KR102154492B1 - 인테리어 자재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인테리어 자재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4492B1
KR102154492B1 KR1020200040873A KR20200040873A KR102154492B1 KR 102154492 B1 KR102154492 B1 KR 102154492B1 KR 1020200040873 A KR1020200040873 A KR 1020200040873A KR 20200040873 A KR20200040873 A KR 20200040873A KR 102154492 B1 KR102154492 B1 KR 102154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frame
driving part
mounting
flow
le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0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옥경
Original Assignee
박옥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옥경 filed Critical 박옥경
Priority to KR1020200040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44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4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4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05B12/12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responsive to distance between spray apparatus and targ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인테리어 자재 시공방법에 있어서, 인테리어 패널을 준비하는 단계; 및 시공 위치에 인테리어패널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인테리어 패널은 인테리어용 패널 가공장치를 통해 코팅 가공되며, 상기 인테리어용 패널 가공장치는, 소정의 본체구조물(10); 상기 본체구조물(10) 상에 구비되어 무한궤도로 구동되면서 스티로폼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20); 및 상기 이송부(20)에 의하여 이송된 스티로폼에 대하여 별도의 유체를 분사하여 코팅가공을 수행하는 도포유닛(100)을 포함하며, 상기 도포유닛(100)은, 외부 전원의 인가에 의한 전자기장에 의해 구동되는 리니어 모터(111)가 내장된 한 쌍의 제1, 제2 수직프레임(110a, 110b);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부를 연결하며, 양단부측이 수직프레임 내의 리니어 모터(111)에 결합된 수평프레임(120); 상기 수평프레임(120)에 등간격으로 배치된 노즐(130); 및 상기 수평프레임(120)의 임의 지점에 장착되고, 상기 수평프레임(120) 하부의 이송 라인(L)을 따라 수평 이송되는 스티로폼의 상면에 반사된 거리의 계산에 의한 센싱 신호가 리니어 모터(111)로 인가되도록 하는 레이져 변위센서(140);를 포함하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인 인테리어 자재 시공방법을 제공한다.을 제공한다.
따라서, 인테리어 패널을 시공함에 있어 이러한 패널 자체의 표면에 단회 또는 다회 반복적인 코팅막 형성을 수행하여 패널 표면에 코팅막의 두께와 내구성을 다양하게 설정하여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패널의 보관, 이송, 시공 전반에 있어서 패널의 손상, 파손 등 품질 저하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패널을 가공하는 과정에서도 충격에 대응하여 보다 안정적인 가공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테리어 자재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of interior materials}
본 발명은 인테리어 자재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품질이 우수하고,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친환경 인친환경 인테리어 자재를 대상영역(예 : 공항청사 등)에 설치하도록 제공할 수 있는 인테리어 자재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인테리어 시공과 관련하여 각종 기법과 장식 기술 등 다채로운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인테리어 관련 분야 중 벽체 면, 혹은 자체적인 구조물로서 패널이 사용된다. 이러한 패널은 용도와 분위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된다. 무엇보다도 이러한 패널은 외관 상의 표출되는 부분이 인테리어 상의 가장 중요 포인트가 될 수 있다. 때문에, 패널 외관에 대한 표현이 중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패널 자체의 외관을 보다 인테리어 적으로 뛰어나게 가공하는 것은 물론 이러한 가공이 패널의 보호를 위한 기능(예 : 패널의 보관, 이송, 시공 전반에 있어서)을 부여하여 그 패널을 시공할 수 있는 기술은 부재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패널을 가공하는 과정에서도 보다 안정적인 가공을 수행하도록 하기위한 기술적 적용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73907호
본 발명은 품질이 우수하고,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친환경 인친환경 인테리어 자재를 대상영역(예 : 공항청사 등)에 설치하도록 제공할 수 있는 인테리어 자재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인테리어 자재 시공방법에 있어서, 인테리어 패널을 준비하는 단계; 및 시공 위치에 인테리어패널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인테리어 패널은 인테리어용 패널 가공장치를 통해 코팅 가공되며, 상기 인테리어용 패널 가공장치는, 소정의 본체구조물(10); 상기 본체구조물(10) 상에 구비되어 무한궤도로 구동되면서 스티로폼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20); 및 상기 이송부(20)에 의하여 이송된 스티로폼에 대하여 별도의 유체를 분사하여 코팅가공을 수행하는 도포유닛(100)을 포함하며, 상기 도포유닛(100)은, 외부 전원의 인가에 의한 전자기장에 의해 구동되는 리니어 모터(111)가 내장된 한 쌍의 제1, 제2 수직프레임(110a, 110b);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부를 연결하며, 양단부측이 수직프레임 내의 리니어 모터(111)에 결합된 수평프레임(120); 상기 수평프레임(120)에 등간격으로 배치된 노즐(130); 및 상기 수평프레임(120)의 임의 지점에 장착되고, 상기 수평프레임(120) 하부의 이송 라인(L)을 따라 수평 이송되는 스티로폼의 상면에 반사된 거리의 계산에 의한 센싱 신호가 리니어 모터(111)로 인가되도록 하는 레이져 변위센서(140);를 포함하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인 인테리어 자재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테리어 패널을 시공함에 있어 이러한 패널 자체의 표면에 단회 또는 다회 반복적인 코팅막 형성을 수행하여 패널 표면에 코팅막의 두께와 내구성을 다양하게 설정하여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패널의 보관, 이송, 시공 전반에 있어서 패널의 손상, 파손 등 품질 저하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패널을 가공하는 과정에서도 충격에 대응하여 보다 안정적인 가공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자재 시공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도 1에 따른 인테리어 패널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패널 가공장치의 구성 중 인레리어 패널에 대한 코팅을 수행하가 위한 도포유닛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패널 가공장치의 구성 중 인레리어 패널에 대한 코팅을 수행하가 위한 도포유닛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0 내지 도 8은 도 8 내지 도 9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자재 시공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도 1에 따른 인테리어 패널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인테리어 자재 시공방법에 있어서, 인테리어 패널을 준비하는 단계; 및 시공 위치에 인테리어패널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인테리어 패널은 인테리어용 패널 가공장치를 통해 코팅 가공된다. 먼저 인테리어 패널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인테리어 패널은,
인테리어 패널은 기재층(10), 화장층(20), 인쇄층(30), 보호코팅층(40), 보강층(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기재층(10)은 인테리어 패널의 자체 프레임을 형성하는 것으로, 중밀도 섬유보드(MDF: Medium
Densit인테리어 패널 가공장치 Fiberboard), 고밀도 섬유보드(HDF: High Densit인테리어 패널 가공장치 Fiberboard), 수지목분 혼합보드, 내수합판 등의 목질계 보드로 이루어진다. 상기 화장층(20)은 상기 기재층(10)에 내열성, 내산성, 내마모성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종이재나 섬
유재에 열경화성 수지인 멜라닌수지 또는 페놀수지를 함침시킨 함침지를 적층시킨 후 프레스기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착시킨 HPL(High Pressure Laminate)시트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쇄층(30)은 로고, 도안 등과 같은 각종 문양 또는 색상을 나타냄에 따라 고급스러우면서도 미려한 외관미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실크스크린 인쇄와 같은 실사인쇄가 가능하고 속성건조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라비아코팅, 닙코팅, 바코팅 또는 전사인쇄방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실사인쇄는 UV프린터와 같은 인쇄장비에 의해 자외선경화성도료가 사용되어 특정문양이나, 색상으로 인쇄가 이루어지는데, 상기 자외선경화성도료는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광화학 반응을 일으켜 액상으로부터 고상으로 경화 및 건조되는 도료를 말하는 것으로, 짧은 시간 내에 경화됨에 따라 작업성이 향상되고 휘발성 유기용제가 없는 100% 고형분으로 환경친화적이며, 내마찰성, 내열성, 내화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상기 보호코팅층(40)은 인쇄문양층의 표면을 보호함과 아울러 물의 침투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자외선 코팅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자외선 코팅은 자외선의 조사로 단시간에 경화되는 자외선경화성 코팅액을 이용하여 문양인쇄층상에 내화성, 내식성 및 방수성이 우수한 코팅막을 형성하는 것으로, 인쇄층의 박리현상을 방지하고, 경도가 우수하여 스크래치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며, 내부로 물이나 화학약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보강층(50))은 모시줄기가루를 이용하여 보드 형태로 제작된다. 상기 모시줄기가루는 모시풀에서 얻은 모시섬유의 폐기물인 모시줄기를 미세한 가루 혹은 약간의 굵은 메시로 분쇄한 것이다. 상기 모시줄기가루는 입자크기가 20 내지 100 메시(mesh)로 분쇄된 것이 좋다. 그리고, 분쇄된 모시줄기가루의 수분을 제거하여 함수량이 3% 이내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시섬유는 길이가 6~20cm이고, 질기기는 아마의 4배, 목화의 8배 이상을 가진다. 상기 모시섬유는 대부분모시의 인피섬유 부분을 방직품의 상등 섬유원료로 이용하고, 모시풀의 껍질을 벗긴 후의 모시줄기와 표피부분
은 폐기물로 여겨 분사 처리된다. 이처럼 분사처리되는 폐기물은 대략 모시 한줄기의 2/3를 차지함에 따라 환경오염뿐만 아니라 극심한 자원 낭비를 초래하였다. 이처럼 폐기처리되는 모시줄기는 대부분 섬유질로 이루어지고, 그 섬유 가운데는 도랑형 빈강이며 파이브벽은 구멍이 많다. 그리고 가늘고 길고 질기며, 재질이가볍고, 습기에 대한 흡인과 분산이 빠르다. 따라서, 목재를 대체할 원료로 충분한 가치가 있다. 또한, 농산물계 자원을 활용하고 농업폐기물의 처리문제를 해결하여 농산품의 부가가치를 향상시키고, 모시원료의 광범위한 생산과 저렴한 가격으로 인하여 제품의 원가를 낮추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상기 보강층(50)은 모시줄기가루에 합성수지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모시줄기가
루는 식물섬유이고, 상기 식물섬유는 강한 극성을 가지고 있어서 플라스틱과의 호환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상기 모시줄기가루와 합성수지의 호환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90 내지 110℃의 온도에서 모시줄기가루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2 중량부의 표면변성제를 분사하여 변성 모시줄기가루를 제조한다. 여기서, 상기 표면변성제는 실란 KH550 또는 티탄산염 NDZ-101 : 무수알코올 = 1 : 3의 중량비로 희석된 것이다. 여기서, 실란 KH550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의 화학적 명칭으로서 CAS NO : 919-30-2이고, 분자식 : NH2(CH2)3Si(OC2H5)3 이며, 우수한 접착 개선제이며 라텍스와 아미노 실리콘 오일을 생산하는 데 사용된다. 이제품은 코팅, 접착제 및 실란트의 용도로서 당업계에서는 실란 KH550으로 칭한다. 또한, 티탄산염 표면변성제 NDZ-101은 티탄산염 기제 커플링제이며, 테트라부틸 티탄산염 중 하나의 타입으로서 이소프로필 디올레산(디옥틸인산염)티탄산염을 말한다. 이렇게 제조된 변성 모시줄기가루는 합성수지와 혼합된다. 여기서, 상기 합성수지는 폴리프로필렌(PP, Pol인테리어 패널 가공장치prop인테리어 패널 가공장치lene), 폴리에틸렌(PE, Pol인테리어 패널 가공장치 Eth인테리어 패널 가공장치lene), 폴리스틸렌(PS,Pol인테리어 패널 가공장치st인테리어 패널 가공장치rene), 폴리에틸렌 데레프탈레이트(PET, Pol인테리어 패널 가공장치 Eth인테리어 패널 가공장치lene Terephthalate), ABS(Acr인테리어 패널 가공장치lonitrile Butadiene St인테리어 패널 가공장치rene resin)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2종 이상의 재료를 사용한다. 상기 합성수지는 상기 변성 모시줄기와 혼합시 내수성, 내열성, 충격강도, 휨강도 등의 물성을 강화시킨다. 상기 보강층(50) 재료에는 첨가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변성 모시줄기가루 6 내지 30 중량부에 대하여, 합성수지 50 내지 84 중량부, 첨가제 10 내지 20 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첨가제는 상용제, 윤활제, 산화방지제, 난연제 등을 포함하며, 숯, 홍토, 은, 맥반석, 게르마늄, 자철광, 옥, 향균제, 방충제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기능성 물질을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보강층(50) 재료에는 석회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변성 모시줄기가루 6 내지 30 중량부에 대하여, 합성수지 40 내지 74 중량부, 석회 10 내지 20 중량부, 첨가제 4 내지 16 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석회는 모시줄기에 함유된 수분문제를 개선시킨다. 상기 석회를 일정량 사용하게 되면, 별도의 수분제거를 위한 작업이나 공정이 불필요하고, 건조 후 공기 중의 수분을 재흡수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불연효과와 내구성이 증대되고 온도의 영향을 비교적 덜 받게 된다.
상기 보강층을 이루는 모시줄기보드의 제조방법은 모시줄기를 20 내지 100 메시의 모시줄기가루로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모시줄기가루의 함수량이 3% 이내가 되도록 건조하고 별도로 합성수지를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건조된 모시줄기가루 100 중량부를 반죽기에 넣고 표면변성제를 1 내지 2 중량부 분사하여 90℃ 내지 110℃ 의 온도에서 40 내지 60분간 반죽하는 단계, 상기 반죽된 모시줄기가루를 고속혼합기에 넣고 15 내지 20분간 혼합하여 변성모시줄기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변성모시줄기 6 내지 3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건조된 합성수지 50 내지 84 중량부, 첨가제 4 내지 16 중량부, 석회 10 내지 20 중량부가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된 복합재를 압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보강층(100)은 인테리어 패널의 흡수두께 팽창률을 낮추고, 치수안정성을 높이며, 친환경제품이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인테리어 패널은 기재층(10), 화장층(20), 인쇄층(30), 보호코팅층(40)을 포함하고, 어느 한 층과 다른 층 사이에 모시줄기로 이루어진 보강층(50)이 삽입되어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재층(10)과 화장층(20) 사이에 보강층(50)이 삽입되어 이루어지거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장층(20)과 인쇄층(30) 사이에 보강층(50)이 삽입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화장층(20), 인쇄층(30), 보호코팅층(40), 보강층(50)은 기재층(10)의 일측에만 적층형성될 수도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기재층(10)의 양측에 적층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기재층(10), 화장층(20), 인쇄층(30), 보호코팅층(40) 중 선택되는 층을 포함하고, 선택된 층 중 어느 한 층과 다른 층 사이에 모시줄기로 이루어진 보강층(50)이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재층(10), 화장층(20), 인쇄층(20), 보호코팅층(40)을 포함하고, 어느 한층과 다른 층 사이에 흡수두께 팽창률과 치수안전성을 확보하는 보강층(50)이 삽입되어 이루어짐으로써, MDF, HDF를 기재로하는 인테리어 패널의 단점을 극복시킨다. 또한, 보강층(50)이 친환경재료인 모시줄기로 이루어짐으로써, 새집증후군의 발생 원인이 되는 유독물질인 VOC(휘발성 유기화합물)와 HCHO(포름알데히드)가 발생되지 않고, 원적외선이 방사되어 생활환경을 개선시키게 된다. 도 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시줄기를 이용한 친환경 인테리어 패널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3(a)~(d) 내지 도 5(a)~(d)는 도 2의 기재에 대한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패널은 모시줄기보드(110)를 기재로 사용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인테리어 패널는 모시줄기보드(110)를 이용한 기재층(100) 상에 일실시예에서 설명된 화장층(20), 인쇄층(30), 보호코팅층(40)이 적층되어 구성되거나, 또는 모시줄기보드(110)를 이용한 기재층(100)상에 화장층(20), 인쇄층(30), 보호코팅층(40) 중 선택되는 층이 적층되어 구성된다. 상기 모시줄기보드(110)는 모시줄기가루를 이용하여 보드 형태로 제작된 것으로서, 일 실시예의 보강층(50)과 동일한 설명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일실시예에서 설명된 화장층(20), 인쇄층(30), 보호코팅층(40)을 비롯하여 모시줄기보드(11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모시줄기보드(110)를 기재로 하는 기재층(100)에는 섬유판(120)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섬유판(120)은 모시줄기보드(110)의 강성 및 물성을 보완하고, 방향성이 없으며, 합판에 비하여 가격이 매우 저렴하다. 상기 섬유판(120)으로는 중밀도 섬유보드(MDF: Medium Densit인테리어 패널 가공장치 Fiberboard) 또는 고밀도 섬유보드(HDF: High Densit인테리어 패널 가공장치 Fiberboard)가 사용되며, 특히 고밀도 섬유보드(HDF)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층(100)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시줄기보드(110), 섬유판(120)으로 이루질 수도 있고,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시줄기보드(110), 섬유판(120), 모시줄기보드(110)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도 3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섬유판(120), 모시줄기보드(110), 섬유판(120)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모시줄기보드(110)를 기재로 하는 기재층(100)에는 단판(130)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단판(130)은 가격이 합판보다 저렴하면서도 모시줄기보드(110)의 강성 및 물성을 보완하고, 치수안정성, 흡수두께 팽창률을 향상시킨다. 상기 단판(130)으로는 합판에 사용되는 베니어(veneer)단판이 사용되며, 상기 단판은 보통 1.2 내지 4.8mm의 두께로 절삭되지만 특정 인테리어 패널의 구조에 따라 적정 두께로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재층(100)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시줄기보드(110), 단판(130)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시줄기보드(110), 단판(130), 모시줄기보드(110)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판(130), 모시줄기보드(110), 단판(130)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모시줄기보드(110)를 기재로 하는 기재층(100)에는 섬유판(120) 및 단판(130)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기재층(100)은 도 5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에서부터 모시줄기보드(110), 섬유판(120), 단판(130)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에서부터 섬유판(120), 모시줄기보드(110), 단판(130)으로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에서부터 단판(130), 모시줄기보드(110), 섬유판(120)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실시예]
위로부터 모시줄기보드(110), 섬유판(120), 모시줄기보드(110)를 압착에 의해 일체화하여 인테리어 패널의 기재(100)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부층과 하부층에 적용되는 모시줄기보드(110)는 비중이 0.9, 두께가 3.5mm, 함수율이 2.5%인 것을 사용하였고, 섬유판(120)은 비중이 0.7, 함수율이 5%, 두께가 3mm인 것을 사용하였으며, 접착제는 멜라민 수지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상기 기재(100)는 각층을 적층시킨 후, 압력 7kgf/㎠, 가압시간 7분, 열판온도 120℃인 프레스를 이용하여 일체화시켰다.
[비교예 1]
합판을 기재로 하는 인테리어 패널.
[비교예 2]
HDF를 기재로 하는 인테리어 패널.
[시험예]
실시예의 인테리어 패널과 비교예 1, 비교예 2의 인테리어 패널 대하여 치수안정성 및 흡수두께 팽창률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과 같다. 실시예에서 제조한 인테리어 패널의 흡수팽창률이 비교예 1, 비교예 2의 인테리어 패널보다 우수하였다. 그리고, 치수안정성은 상온 수조에서의 침지 조건과 고온(80℃)의 오븐 건조 조건에서 48시간 전후의 치수변화를 측정하였다. 여기서, 흡수두께 팽창률은 KSF 3200 규격에 따라 항온 수조에서 20℃ 물에 24시간, 70℃ 물에 2시간 침지 전후의 두께를 비교하여 팽창률을 측정하였다.
Figure 112020034986051-pat00001
치수안정성은 상온수 침지와 고온 건조 조건 모두 0에 가까울수록 양호한 결과를 나타낸다. 즉, 실시예의 경우, 상온수 침지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에서 비교예 1과 비슷한 물성을 보였고, 비교예 2보다는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고온 건조 조건에서는 실시예가 가장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다. 흡수 두께 팽창률의 경우, 20℃ 24시간, 70℃ 2시간에서 실시예가 가장 좋은 수치를 나타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모시줄기보드(110)를 기재(100)로 사용함으로써, 합판 대비 안정된 기본 물성이 확보되고, 모시원료의 광범위한 생산과 폐모시줄기의 활용으로 합판 대비 가격 경쟁력이 우수하며, 원재료 수급 안전성이 확보된다. 또한, 친환경재료인 모시줄기가 사용됨으로써, 새집 증후군의 발생 원인이 되는 유독물질인 VOC(휘발성 유기화합물)와 HCHO(포름알데히드)가 발생되지 않으며, 원적외선 방사효과 및 표면 질감이 우수하여 환경친화적인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패널 가공장치의 구성 중 인레리어 패널에 대한 코팅을 수행하가 위한 도포유닛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여기서 상기 도포유닛은 리니어 모터가 내장된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을 연결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에 등간격으로 배치된 노즐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되어 레이져 변위센서를 포함다. 상기 수직프레임은 인레리어 패널이 수평 이송되는 이송 라인 상에 수직 설치되어 그 상단 임의의 지점을 상호 연결하는 수평프레임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 내에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양단부에 결착된 리니어 모터가 내장되어 상기 리니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수평프레임이 수직프레임 상에서 상, 하로 수직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프레임은 하부에 등간격으로 다수의 분사노즐이 설치되고, 상기 노즐이 배치된 수평프레임의 상, 하 이송에 의해서 상기 이송 라인을 수평으로 통과하는 인레리어 패널의 상면과 상기 수평프레임에 배치된 노즐과의 간격이 조절된다. 따라서, 상기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유체는 상기 인레리어 패널의 상면에 최적의 분사압, 즉 대략 2~4(kgf/㎠)의 압력으로 분출된다. 이때, 상기 분사노즐이 설치된 수평프레임은 수직프레임 상에서 수직 이송될 때, 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작되는 바, 자동 운전의 경우에는 상기 수평프레임에 레이져 변위센서의 작동에 구동되고, 수동 운전의 경우에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일측에 연결된 컨트롤 박스의 선택적 조작에 의해서 구동된다.
도포유닛(100)은 지면 또는 소정의 높이로 지지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10)을 상호 연결하는 수평프레임(120)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프레임(120)에 다수의 노즐(130)이 등간격으로 배치된 구조이다. 상기 수평프레임(120)의 일단부측에는 레이져의 조사에 의한 반사 시간에 따라 그 거리가 측정되는 레이져 변위센서(140)가 장착된다. 상기 수직프레임(110)은 그 하부측에서 일방향으로 연속 이송되는 이송 라인(L) 상에 수직 설치되며,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상부에는 상기 수직 이송 라인(L)과 평행을 이루며 다수의 노즐(130)이 구비된 수평프레임(120)이 연결된다. 상기 각 수직프레임(110)의 내부에는 외부의 전원 공급에 의해서 작동되는 리니어 모터(111)가 내장되고, 상기 리니어 모터(111)는 상기 수직프레임(110)을 연결하는 수평프레임(120)의 각 단부측과 결합된다. 상기 리니어 모터(111)는 외부 전원과 같이 공급되는 전기 신호에 의해 동작하며, 모터(111) 내부의 전자기적반응에 의해 상기 수직프레임(110) 내에서 상, 하부로 수직 구동된다. 따라서, 상기 리니어 모터(111)와 결합된 수평프레임(120)은 그 내부가 중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내측에서 상기 리니어 모터(111)를 따라 소정의 범위 내에서 수직 이송된다.
또한, 상기 수평프레임(120)은 하부에는 다수의 노즐(130)이 등간격을 이루어 배치되는 바, 상기 노즐(130)은 중공의 수평프레임(120) 내부를 흐르는 유체가 하부를 향해 배출될 수 있도록 그 개구부가 하부를 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노즐(130)은 중공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유체가 그 하부의 이송 라인(L)을 따라 수평 이송되는 인레리어 패널(O)의 상면 전체에 균일하게 분사될 수 있도록 등간격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평프레임(120)의 하부측 임의 지점에는 상기 노즐(130)과 동일한 방향, 즉 인레리어 패널(O)이 수평 이송되는 이송 라인(L)과 수직을 이루어 레이져 변위센서(140)가 설치된다. 상기 레이져 변위센서(140)는 그 전방 단부측에서 조사되는 레이져가 반사되는 시간에 의해 거리가 계산되며, 상기 레이져 변위센서(140)의 직하부에서 수평 이송되는 인레리어 패널(O)의 상면에 조사된 레이져에 의해 그 간격이 계산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 라인(L)을 따라 이송되는 인레리어 패널(O)의 상면과 노즐(130)의 하단부가 항상 기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노즐(130)을 통한 유체의 분사압력은 세정 공정의 경우 2~4 ㎏f/㎠을 유지함이 바람직하며, 그 분사형태가 역원추형을 이루어 스프레이됨으로써, 각 노즐(130)을 통한 분사 영역이 인레리어 패널(O)의 상면 전체를 커버하게 된다. 이와 같은 기술적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도포유닛은 아래의 도 8에 도시된 단면도에서와 같이, 노즐(130) 하단부와 인레리어 패널(O) 상면 사이의 간격(α)을 최적 거리로 설정하게 되면, 상기 이송 라인(L)상의 수직프레임(110) 사이를 통과하는 인레리어 패널(O)의 종류에 따라 상기 수평프레임(120)에 장착된 레이져 변위센서(140)의 작동됨으로써, 상기 수직프레임(110) 상에서 자동으로 수평프레임(120)의 상, 하 위치가 조절된다.
즉, 상기 이송 라인(L)을 따라 이송되는 인레리어 패널(O)의 두께가 두꺼우면 상기 노즐(130)과 인레리어 패널(O) 상면과의 간격이 좁아지게 됨에 따라 상기 레이져 변위센서(140)의 동작에 의한 거리 측정에 의해 상기 수직프레임(110) 내의 리니어 모터(111)가 작동되고, 상기 리니어 모터(111)에 양단부가 결합된 수평프레임(120)의 상향 이동에 의해 상기 노즐(130)과 인레리어 패널(O)이 기설정된 최적의 간격(α)으로 조절된다. 또한, 이와는 반대로 이송 라인(L)을 따라 이송되는 인레리어 패널(O)의 두께가 얇아지게 되면, 상기 노즐(130)과 인레리어 패널(O)과의 간격이 다소 넓어지고,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레이져 변위센서(140)의 동작에 의한 리니어 모터(111)의 구동을 통해 상기 수평프레임(120)이 하향 이동됨으로써, 상기 노즐(130)과 인레리어 패널(O)의 기설정된 최적의 간격(α)으로 조절된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Y의 구성 중 인레리어 패널에 대한 코팅을 수행하가 위한 도포유닛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0 내지 도 8은 도 8 내지 도 9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공통되는 사항을 베이스로 기술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이송부(20)에 의하여 이송된 인레리어 패널에 대하여 별도의 유체를 분사하여 코팅가공을 수행하는 도포유닛(1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도포유닛(100)은 외부 전원의 인가에 의한 전자기장에 의해 구동되는 리니어 모터(111)가 내장된 한 쌍의 제1, 제2 수직프레임(110a, 110b);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부를 연결하며, 양단부측이 수직프레임 내의 리니어 모터(111)에 결합된 수평프레임(120); 상기 수평프레임(120)에 등간격으로 배치된 노즐(130); 및 상기 수평프레임(120)의 임의 지점에 장착되고, 상기 수평프레임(120) 하부의 이송 라인(L)을 따라 수평 이송되는 인레리어 패널의 상면에 반사된 거리의 계산에 의한 센싱 신호가 리니어 모터(111)로 인가되도록 하는 레이져 변위센서(140);를 포함하되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도포유닛(100)은, 소정의 중심구동부(210)와, 상기 중심구동부(2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부로 제1 수직프레임(110a)이 장착되는 제1 유동부(211)와, 상기 중심구동부(210)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부로 제2 수직프레임(110b)이 장착되는 제2 유동부(212)와, 상기 중심구동부(2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유동부(211)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1 수직프레임(110a)의 내측방향에서 내부로 진입되어 장착되는 제1 장착부(221)와, 상기 중심구동부(2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유동부(212)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2 수직프레임(110b)의 내측방향에서 내부로 진입되어 장착되는 제2 장착부(222)와, 상기 중심구동부(210)의 일측에 위치하 구비되는 제1 외곽구동부(231)와, 상기 제1 외곽구동부(231)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수직프레임(110a)의 외측방향에서 내부로 진입되어 장착되는 제3 장착부(223)와, 상기 중심구동부(210)의 일측에 위치하 구비되는 제2 외곽구동부(241)와, 상기 제2 외곽구동부(241)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수직프레임(110b)의 외측방향에서 내부로 진입되어 장착되는 제4 장착부(23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장착부(221)는 상기 제1 수직프레임(110a)에 장착된 상태에서 정회전방식으로 축회전되어 상기 제1 수직프레임(110a)을 고정하며, 상기 제3 장착부(223)는 상기 제1 수직프레임(110a)에 장착된 상태에서 정회전방식으로 축회전되어 상기 제1 수직프레임(110a)을 고정하며, 상기 제3 장착부(223)는 상기 제2 수직프레임(110b)에 장착된 상태에서 정회전방식으로 축회전되어 상기 제2 수직프레임(110b)을 고정하며, 상기 제4 장착부(233)는 상기 제2 수직프레임(110b)에 장착된 상태에서 정회전방식으로 축회전되어 상기 제2 수직프레임(110b)을 고정하며, 상기 도포유닛(100)은, 상기 중심구동부(210)의 일측에 진퇴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 외곽구동부(231), 상기 제1 유동부(21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 거치부(251)와, 상기 중심구동부(210)의 타측에 진퇴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2 외곽구동부(241), 상기 제2 유동부(212)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 거치부(25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거치부(251)는 상기 제1 외곽구동부(231)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며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제1 외곽구동부(231)를 상기 제1 수직프레임(110a)방향으로 밀어내기 위한 제1 가동체(261)가 구비되며,상기 제1 가동체(261)는 상기 제1 외곽구동부(231)를 상기 제1 유동부(211)와의 사이에 두고 고정하며, 상기 제2 거치부(252)는 상기 제2 외곽구동부(241)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며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제2 외곽구동부(241)를 상기 제2 수직프레임(110b)방향으로 밀어내기 위한 제2 가동체(262)가 구비되며, 상기 제2 가동체(262)는 상기 제2 외곽구동부(241)를 상기 제2 유동부(212)와의 사이에 두고 고정하며, 상기 제1 거치부(251), 상기 중심구동부(210) 및 상기 제2 거치부(252)의 하부에는 석재를 포함하는 기반구조부(G)가 위치된다. 상기 중심구동부(210)는 하부에 상호 이동 가능한 다리부(270)가 상기 기반구조부(G)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상기 다리부(270)는 일측의 제1 다리부(271)와, 타측의 제2 다리부(272)와, 상기 제1 다리부(271)와 상기 제2 다리부(272)사이의 제3 다리부(27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다리부(271)는 상기 제3 다리부(273)측을 향하여 유동힘을 가하며, 상기 제2 다리부(272)는 상기 제3 다리부(273)측을 향하여 유동힘을 가하며, 상기 제1 다리부(271)는 하부에 둘레방향 회전을 위한 제1 회전유동부(2711)가 구비되어, 상기 제2 다리부(272)는 하부에 둘레방향 회전을 위한 제2 회전유동부(2721)가 구비된다. 상기 제3 다리부(273)는 하부에 둘레방향 회전을 위한 제3 회전유동부(2731)가 구비되며, 상기 제1 거치부(251)는, 상기 제1 유동부(211)의 제1 수용공간(SP1)으로 삽입되는 제1 삽입부(281)와, 상기 제1 삽입부(281)의 단부에서 양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제1 수용공간(SP1)의 내벽을 가압하는 한 쌍의 제1 돌출부(281, 282)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유동부(211)는 상기 제1 수용공간(SP1)에서 상기 제1 삽입부(281)를 가압하는 제1 가압부(291, 292)가 구비된다.
상기 제1 거치부(251)는, 상기 제1 삽입부(281)는 하강유동하는 경우 상기 제1 돌출부(281, 282)가 상기 제1 가압부(291, 292)의 상부에 걸려져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1 유동부(211)와 연동 고정되며, 상기 제2 거치부(252)는, 상기 제2 유동부(212)의 제1 수용공간(SP2)으로 삽입되는 제2 삽입부(381)와, 상기 제2 삽입부(381)의 단부에서 양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제2 수용공간(SP2)내벽을 가압하는 한 쌍의 제2 돌출부(382)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유동부(212)는 상기 제2 수용공간(SP2)에서 상기 제2 삽입부(381)를 가압하는 제2 가압부(391, 392)가 구비되며, 상기 제2 거치부(252)는, 상기 제2 삽입부(381)는 하강유동하는 경우 상기 제2 돌출부(382)가 상기 제2 가압부(391, 392)의 상부에 걸려져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2 유동부(212)와 연동 고정된다.
상기 도포유닛(100)은, 상기 중심구동부(210)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중심구동부(210)의 상부에 이송 라인(L)의 제1 저면영역(L1)과의 이격거리를 감지하여 제1 흔들림정보를 생성하는 제1 감지센서(SN1)와, 상기 중심구동부(210)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중심구동부(210)의 상부에 이송 라인(L)의 제2 저면영역(L2)과의 이격거리를 감지하여 제2 흔들림정보를 생성하는 제2 감지센서(SN2)와, 상기 중심구동부(210)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흔들림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송 라인(L)의 제1 저면영역(L1)이 기설정된 오차범위 값을 이탈하여 하부로 쳐진 경우 상승하여 상기 제1 저면영역(L1)으로 접촉하여 고정하도록 하는 제1 접촉부(205)와, 상기 중심구동부(210)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 흔들림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송 라인(L)의 제2 저면영역(L2)이 기설정된 오차범위 값을 이탈하여 하부로 쳐진 경우 상승하여 상기 제2 저면영역(L2)으로 접촉하여 고정하도록 하는 제2 접촉부(206)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접촉부(205)는, 상기 제1 중심구동부(210)에 구비되는 상기 제1 접촉구동체(205a)와, 상기 제1 접촉구동체(205a)에서 상하로 구동되는 제1 접촉유동체(205b)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접촉부(206)는, 상기 제1 중심구동부(210)에 구비되는 상기 제2 접촉구동체(206a)와, 상기 제2 접촉구동체(206a)에서 상하로 구동되는 제2 접촉유동체(206c)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라인(L)은 저면부가 평탄화된 고무재질, 엘라스토머재질 및 금속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비되는 평탄면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접촉유동체(205b)는 상방 단부에 제1 흡착모듈(205b)을 통해 상기 이송라인의 저면부에 대한 흡착고정을 수행하여, 상기 노즐(103)의 유체 분사 및 작동에 따른 진동을 억제하며, 상기 제2 접촉유동체(206c)는 상방 단부에 제2 흡착모듈(206b)을 통해 상기 이송라인의 저면부에 대한 흡착고정을 수행하여, 상기 노즐(103)의 유체 분사 및 작동에 따른 진동을 억제하며, 상기 수평프레임(120)은 저면부가 평탄화된 고무재질, 엘라스토머재질 및 금속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비되는 평탄면이 구비된다.
상기 도포유닛(100)은, 상기 제1 중심구동부(210)에 구비되는 제1 보조구동체(207a)와, 상기 제1 보조구동체(207a)에서 구동되는 바 형상의 제1 보조유동체(207b)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보조유동체(207b)는 상방 단부에 구비된 제3 흡착모듈(207c)를 통해 상기 수평프레임(120)의 상기 저면부에 대한 흡착고정을 수행하여, 상기 노즐(130)분사에 따른 수평프레임(120)의 진동을 억제한다. 상기 도포유닛(100)은, 상기 제1 중심구동부(210)에 구비되는 제2 보조구동체(208a)와, 상기 제2 보조구동체(208a)에서 구동되는 바 형상의 제2 보조유동체(208b)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보조유동체(208b)는 상방 단부에 구비된 제4 흡착모듈(208c)를 통해 상기 수평프레임(120)의 상기 저면부에 대한 흡착고정을 수행하여, 상기 노즐(130)분사에 따른 수평프레임(120)의 진동을 억제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도포유닛
120 : 수평프레임

Claims (5)

  1. 삭제
  2. 인테리어 자재 시공방법에 있어서,
    인테리어 패널을 준비하는 단계; 및
    시공 위치에 인테리어패널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인테리어 패널은 인테리어용 패널 가공장치를 통해 코팅 가공되며,
    상기 인테리어용 패널 가공장치는,
    인테리어 패널에 대하여 별도의 유체를 분사하여 코팅가공을 수행하는 도포유닛(100)을 포함하며,
    상기 도포유닛(100)은,
    외부 전원의 인가에 의한 전자기장에 의해 구동되는 리니어 모터(111)가 내장된 한 쌍의 제1, 제2 수직프레임(110a, 110b);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부를 연결하며, 양단부측이 수직프레임 내의 리니어 모터(111)에 결합된 수평프레임(120); 상기 수평프레임(120)에 등간격으로 배치된 노즐(130); 및 상기 수평프레임(120)의 임의 지점에 장착되고, 상기 수평프레임(120) 하부의 이송 라인(L)을 따라 수평 이송되는 인테리어 패널의 상면에 반사된 거리의 계산에 의한 센싱 신호가 리니어 모터(111)로 인가되도록 하는 레이져 변위센서(140);를 포함하되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도포유닛(100)은,
    소정의 중심구동부(210)와, 상기 중심구동부(2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부로 제1 수직프레임(110a)이 장착되는 제1 유동부(211)와, 상기 중심구동부(210)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부로 제2 수직프레임(110b)이 장착되는 제2 유동부(212)와, 상기 중심구동부(2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유동부(211)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1 수직프레임(110a)의 내측방향에서 내부로 진입되어 장착되는 제1 장착부(221)와,
    상기 중심구동부(2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유동부(212)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2 수직프레임(110b)의 내측방향에서 내부로 진입되어 장착되는 제2 장착부(222)와,
    상기 중심구동부(210)의 일측에 위치하 구비되는 제1 외곽구동부(231)와,
    상기 제1 외곽구동부(231)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수직프레임(110a)의 외측방향에서 내부로 진입되어 장착되는 제3 장착부(223)와,
    상기 중심구동부(210)의 일측에 위치하 구비되는 제2 외곽구동부(241)와,
    상기 제2 외곽구동부(241)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수직프레임(110b)의 외측방향에서 내부로 진입되어 장착되는 제4 장착부(233)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장착부(221)는 상기 제1 수직프레임(110a)에 장착된 상태에서 정회전방식으로 축회전되어 상기 제1 수직프레임(110a)을 고정하며,
    상기 제3 장착부(223)는 상기 제1 수직프레임(110a)에 장착된 상태에서 정회전방식으로 축회전되어 상기 제1 수직프레임(110a)을 고정하며,
    상기 제3 장착부(223)는 상기 제2 수직프레임(110b)에 장착된 상태에서 정회전방식으로 축회전되어 상기 제2 수직프레임(110b)을 고정하며,
    상기 제4 장착부(233)는 상기 제2 수직프레임(110b)에 장착된 상태에서 정회전방식으로 축회전되어 상기 제2 수직프레임(110b)을 고정하는 것인 인테리어 자재 시공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도포유닛(100)은,
    상기 중심구동부(210)의 일측에 진퇴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 외곽구동부(231), 상기 제1 유동부(21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 거치부(251)와,
    상기 중심구동부(210)의 타측에 진퇴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2 외곽구동부(241), 상기 제2 유동부(212)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 거치부(25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거치부(251)는 상기 제1 외곽구동부(231)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며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제1 외곽구동부(231)를 상기 제1 수직프레임(110a)방향으로 밀어내기 위한 제1 가동체(261)가 구비되며,상기 제1 가동체(261)는 상기 제1 외곽구동부(231)를 상기 제1 유동부(211)와의 사이에 두고 고정하며,
    상기 제2 거치부(252)는 상기 제2 외곽구동부(241)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며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제2 외곽구동부(241)를 상기 제2 수직프레임(110b)방향으로 밀어내기 위한 제2 가동체(262)가 구비되며,
    상기 제2 가동체(262)는 상기 제2 외곽구동부(241)를 상기 제2 유동부(212)와의 사이에 두고 고정하는 것인 인테리어 자재 시공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거치부(251), 상기 중심구동부(210) 및 상기 제2 거치부(252)의 하부에는 석재를 포함하는 기반구조부(G)가 위치되며,
    상기 중심구동부(210)는 하부에 상호 이동 가능한 다리부(270)가 상기 기반구조부(G)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상기 다리부(270)는 일측의 제1 다리부(271)와, 타측의 제2 다리부(272)와, 상기 제1 다리부(271)와 상기 제2 다리부(272)사이의 제3 다리부(273)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다리부(271)는 상기 제3 다리부(273)측을 향하여 유동힘을 가하며,
    상기 제2 다리부(272)는 상기 제3 다리부(273)측을 향하여 유동힘을 가하며,
    상기 제1 다리부(271)는 하부에 둘레방향 회전을 위한 제1 회전유동부(2711)가 구비되어,
    상기 제2 다리부(272)는 하부에 둘레방향 회전을 위한 제2 회전유동부(2721)가 구비되며,
    상기 제3 다리부(273)는 하부에 둘레방향 회전을 위한 제3 회전유동부(2731)가 구비되는 인테리어 자재 시공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거치부(251)는,
    상기 제1 유동부(211)의 제1 수용공간(SP1)으로 삽입되는 제1 삽입부(281)와,
    상기 제1 삽입부(281)의 단부에서 양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제1 수용공간(SP1)의 내벽을 가압하는 한 쌍의 제1 돌출부(281, 282)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유동부(211)는 상기 제1 수용공간(SP1)에서 상기 제1 삽입부(281)를 가압하는 제1 가압부(291, 292)가 구비되며,
    상기 제1 거치부(251)는,
    상기 제1 삽입부(281)는 하강유동하는 경우 상기 제1 돌출부(281, 282)가 상기 제1 가압부(291, 292)의 상부에 걸려져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1 유동부(211)와 연동 고정되는 것인 인테리어 자재 시공방법.
KR1020200040873A 2020-04-03 2020-04-03 인테리어 자재 시공방법 KR102154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873A KR102154492B1 (ko) 2020-04-03 2020-04-03 인테리어 자재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873A KR102154492B1 (ko) 2020-04-03 2020-04-03 인테리어 자재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4492B1 true KR102154492B1 (ko) 2020-09-10

Family

ID=72469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873A KR102154492B1 (ko) 2020-04-03 2020-04-03 인테리어 자재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449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7944U (ja) * 2012-06-13 2012-08-23 大東工業株式会社 ソーラーパネル用保護ガラス板の塗布装置
JP2016507676A (ja) * 2012-12-21 2016-03-10 ベーリンゲ、フォトカタリティック、アクチボラグVaelinge Photocatalytic Ab 建築用パネルを被覆する方法、及び、建築用パネル
KR101673907B1 (ko) 2015-06-30 2016-11-09 주식회사 넥스플러스 건축물 슬라브시공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건축자재
JP6023440B2 (ja) * 2012-03-12 2016-11-09 東レ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塗布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23440B2 (ja) * 2012-03-12 2016-11-09 東レ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塗布装置
JP3177944U (ja) * 2012-06-13 2012-08-23 大東工業株式会社 ソーラーパネル用保護ガラス板の塗布装置
JP2016507676A (ja) * 2012-12-21 2016-03-10 ベーリンゲ、フォトカタリティック、アクチボラグVaelinge Photocatalytic Ab 建築用パネルを被覆する方法、及び、建築用パネル
KR101673907B1 (ko) 2015-06-30 2016-11-09 주식회사 넥스플러스 건축물 슬라브시공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건축자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83456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анели, включающей износостойкий слой, и панель
US7985444B2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ing of decorative boards
UA118967C2 (uk) Спосіб виготовлення будівельної панелі і будівельна панель
RU2591466C2 (ru) Балансирующий слой на порошкообразной основе
EP2422885B1 (en) Coating method
RU2635061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декоративных панелей
KR101778417B1 (ko) 인쇄 재료의 제조 방법 및 직접 인쇄된 장식 패널
KR101317063B1 (ko) 양마보드와 섬유판을 포함하는 복합기재 구조를 적용한마루바닥재
KR102226107B1 (ko) 장식된 벽 또는 플로어 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US20110171412A1 (en) Direct printed lightweight panel
CN108025564A (zh) 具有凹窝真空带的喷墨印刷装置
JP5860546B2 (ja) ベベルを有するパネル
DE602008001194D1 (de) Dekoratives Laminatprodukt mit Holzfurnieroberfläche und Herstellungsverfahren dafür
KR20080092591A (ko) 단판과 섬유판을 포함하는 복합기재 구조를 적용한마루바닥재
RU2014142036A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строительной панели
KR102154492B1 (ko) 인테리어 자재 시공방법
KR101287255B1 (ko) 친환경 바닥장식재
KR101241496B1 (ko) 종이와 합성수지층을 이용한 인테리어 마루바닥재
RU2769650C1 (ru) Структурированная цифровой печатью износостойкая защитная пленка
CN104822538A (zh) 包含椭圆体固体颗粒的抗磨保护层
CN108437105B (zh) 木饰面成品油漆板异型成型工艺、油漆剂及制备方法
KR101287249B1 (ko) 모시줄기를 이용한 친환경 건축내장재
KR20070014510A (ko) 모양층 및 목질계 보드를 포함하는 마루바닥재
KR101287304B1 (ko) 모시줄기를 이용한 친환경 인테리어 패널
US20080160264A1 (en) Resin decoration panel impregnated with silver nano solu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