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3855B1 - 후타 보호용 신축이음장치 - Google Patents

후타 보호용 신축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3855B1
KR102153855B1 KR1020200042657A KR20200042657A KR102153855B1 KR 102153855 B1 KR102153855 B1 KR 102153855B1 KR 1020200042657 A KR1020200042657 A KR 1020200042657A KR 20200042657 A KR20200042657 A KR 20200042657A KR 102153855 B1 KR102153855 B1 KR 102153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horizontal plate
horizontal
plate portion
f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2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민
Original Assignee
김용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민 filed Critical 김용민
Priority to KR1020200042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8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2Joints having intermediate beam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제1 블록아웃(a first blockout)을 갖는 제1 슬라브(100A)와 상기 제1 블록아웃과 마주하는 제2 블록아웃(a second blockout)을 갖는 제2 슬라브(100B) 사이를 연결하는 교량의 신축 이음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교량의 신축 이음 장치는, 상기 제1 블록아웃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블록아웃의 수평면과 평행하게 이격된 제1 수평판부(220A)와, 상기 제1 블록아웃의 수직면과 평행하게 이격되는 제1 수직판부(240A)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블록아웃의 수평면과 상기 제1 수평판부 사이에는 후타 콘크리트(2)가 채워지는, 제1 지지 프레임(200A); 상기 제2 블록아웃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블록아웃의 수평면과 평행하게 이격된 제2 수평판부(220B)와, 상기 제2 블록아웃의 수직면과 평행하게 이격되고 상기 제1 수직판부와의 사이에 갭(G)을 형성하는 제2 수직판부(220B)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블록아웃의 수평면과 상기 제2 수평판부 사이에는 후타 콘크리트(2)가 채워지는, 제2 지지 프레임(200B); 상기 갭(G) 사이에서 신축될 수 있도록, 양단이 상기 제1 수직판부(240A)와 상기 제2 수직판부(240B)에 연결되는 신축 이음재(300); 제1 막힌 부분(420A) 및 복수개의 제1 핑거(440A)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수평판부(220A)의 상면에 접하여 체결되는 제1 핑거 플레이트(400A); 및 상기 제1 막힌 부분(420A)보다 긴 길이를 갖는 제2 막힌 부분(420B) 및 상기 제1 핑거(440A)들과 교호로 맞물리는 복수개의 제2 핑거(440B)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수평판(220B)부의 상면에 접하여 체결되는 제2 핑거 플레이트(400B)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400A)가 상기 제1 수평판부(220A)의 상면에 접하여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핑거(440A)들은 상기 제1 수직판부(240A)를 넘지 않고 상기 제1 수평판부(220A) 상에만 존재하고,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400B)가 상기 제2 수평판부(220B)의 상면에 접하여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핑거(440B)들은 모두 상기 제2 수직판부(240B)를 넘어 제1 수평판부(240A) 상에 존재하며, 상기 갭(G)은 상기 제2 막힌 부분(420B)에 의해 덮힌다.

Description

후타 보호용 신축이음장치{Expansion joint for protecting post-placing concrete}
본 발명은 교량의 신축 이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후타 콘크리트의 노출을 억제하여 후타 콘크리트 파손의 문제점을 최소화하고, 신축 이음 장치의 갭을 통해 이물이 쌓이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교량의 신축 이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의 상부를 이루는 교각들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연속적으로 수축 및 팽창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수축 및 팽창 현상은 온도 및 습도에 따른 수축과 팽창, 콘크리트의 크리프 및 건조 신축, 활하중에 의한 이동과 회전등이 주요한 원인이 된다. 이러한 교각의 팽창 및 수축에 대응하기 위하여 교량의 상판을길이방향을 따라 여러 개의 슬라브들로 분할하고 이웃하는 슬라브 사이에 신축 이음 장치가 설치된다.
종래의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는 서로 이웃하는 교량 슬라브들의 대응 단부에 형성된 블록아웃들에 배치되는 한 쌍의 핑거 플레이트들과, 한 쌍의 핑거 플레이트들의 저면이 밀착되는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와, 플레이트와 지지 플레이트를 체결하는 볼트 및 앵커와,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 연결되며 한 쌍의 핑거 플레이트들 사이의 갭 직하에 위치하는 신축 이음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신축 이음 장치가 배치된 교량 슬라브의 블록 아웃들에는 지지 플레이트들 및 핑거 플레이트들을 고정하도록 후타 콘크리트가 타설되며, 이 후타 콘크리트는 신축 이음 장치 주변 도로 밖으로 노출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는 후타 콘크리트가 도로면 밖으로 노출되어 파손이 쉽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최근에는 교량의 개통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후타 콘크리트로 초속경 콘크리트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초속경 콘크리트는 빠르게 경화되는 장점을 갖는 반면 내구성이 떨어진다. 초속경 콘크리트가 채용된 후타 콘크리트가 신축 이음 장치 주변 도로면 밖으로 노출되는 경우, 내구성 문제는 더욱 심각하게 나타난다.
또한 종래의 교량 신축 이음 장치는 한 쌍의 핑거 플레이트 사이의 갭 직하에 슬라브 사이의 갭이 존재하므로, 즉, 한 쌍의 핑거 플레이트 사이의 갭과 슬라브들 사이의 갭이 동일 수직선 상에 존재하므로, 한 쌍의 핑거 플레이트 사이의 갭을 통해 이물질이 슬라브 사이의 갭에 설치된 신축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714994호(20017.4.27.)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후타 콘크리트의 도로면 노출을 억제하여 후타 콘크리트 파손의 문제점을 최소화하고, 신축 이음 장치의 갭을 통해 이물이 쌓이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교량의 신축 이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1 블록아웃(first blockout; 120A)을 갖는 제1 슬라브(100A)와 상기 제1 블록아웃(120A)과 마주하는 제2 블록아웃(second blockout; 120B)을 갖는 제2 슬라브(100B) 사이를 연결하는 교량의 신축 이음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교량의 신축 이음 장치는, 상기 제1 블록아웃(120A)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블록아웃(120A)의 수평면(122A)과 평행하게 이격되고 일측단이 상기 제1 블록아웃(120A)의 수직면(124A)에 접하여 상기 제1 블록아웃(120A)의 상부를 막는 제1 수평판부(220A)와, 상기 제1 블록아웃(120A)의 수직면(124A)과 평행하게 이격되고 하단이 상기 제1 블록아웃(120A)의 수평면(122A)과 접하여 상기 제1 블록아웃(120A)의 전방을 막는 제1 수직판부(240A)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수평판부(220A)에는 전방과 상부가 막힌 상기 제1 블록아웃(120A)의 공간에 후타 콘크리트(2)를 넣기 위한 제1 콘크리트 주입홀(222A)이 형성된, 제1 지지 프레임(200A); 상기 제2 블록아웃(120B)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블록아웃(120B)의 수평면(122B)과 평행하게 이격되고 일측단이 상기 제2 블록아웃(120B)의 수직면(124B)에 접하여 상기 제2 블록아웃(120B)의 상부를 막는 제2 수평판부(220B)와, 상기 제2 블록아웃(120B)의 수직면(124B)과 평행하게 이격되고 하단이 상기 제2 블록아웃(120B)의 수평면(122B)과 접하여 상기 제2 블록아웃(120B)의 전방을 막고 상기 제1 수직판부(240A)와의 사이에 갭(G)을 형성하는 제2 수직판부(240B)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수평판부(220B)에는 전방과 상부가 막힌 상기 제2 블록아웃(120B)의 공간에 후타 콘크리트(2)를 넣기 위한 제2 콘크리트 주입홀(222B)이 형성된, 제2 지지 프레임(200B); 상기 갭(G) 사이에서 신축될 수 있도록, 양단이 상기 제1 수직판부(240A)와 상기 제2 수직판부(240B)에 연결되는 신축 이음재(300); 제1 막힌 부분(420A) 및 복수개의 제1 핑거(440A)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수평판부(220A)의 상면에 적층되어 체결되는 제1 핑거 플레이트(400A); 및 상기 제1 막힌 부분(420A)보다 긴 길이를 갖는 제2 막힌 부분(420B) 및 상기 제1 핑거(440A)들과 교호로 맞물리는 복수개의 제2 핑거(440B)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수평판부(220B)의 상면에 적층되어 체결되며, 상기 제2 수평판부(220B)와의 사이에 상기 신축 이음재(300)까지 물의 흐름을 허용하고 이물질을 통과시키지 않는 틈이 형성되는 제2 핑거 플레이트(400B)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400A)가 상기 제1 수평판부(220A)의 상면에 적층되어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핑거(440A)들은 상기 제1 수직판부(240A)를 넘지 않고 상기 제1 수평판부(220A) 상에만 존재하고,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400B)가 상기 제2 수평판부(220B)의 상면에 적층되어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핑거(440B)들은 모두 상기 제2 수직판부(240B)를 넘어 제1 수평판부(240A) 상에 존재하며, 상기 갭(G)은 상기 제2 막힌 부분(420B)에 의해 덮이며,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400A)에 의해 상기 제1 수평판부(220A)에 형성된 상기 제1 콘크리트 주입홀(222A)이 막히고,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400B)에 의해 상기 제2 수평판부(220B)에 형성된 상기 제2 콘크리트 주입홀(222B)이 막힌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교량의 신축 이음 장치는, 상기 제1 수평판부(220A)의 하측에 채워지는 후타 콘크리트(2)에 매립되도록 상기 제1 수평판부(220A)에 결합된 1 포스트 앵커(500A)와,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400A) 및 상기 제1 수평판부(220A)의 볼트 안내홀들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제1 포스트 앵커(500A)들에 체결되는 제1 볼트(600A)들과, 상기 제2 수평판부(220B)의 하측에 채워지는 후타 콘크리트(2)에 매립되도록 상기 제2 수평판부(220B)에 결합된 2 포스트 앵커(500B)들과,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400B) 및 상기 제2 수평판부(220B)의 볼트 안내홀들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제2 포스트 앵커(500B)에 체결되는 제2 볼트(600B)들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신축 이음 장치는, 핑거 플레이트 시공 전 핑거 플레이트 지지를 위해 미리 설치된 지지 플레이트들의 하부 공간으로 후타 콘크리트가 먼저 채워지므로, 후타 콘크리트의 도로면 노출을 억제할 수 있고, 따라서, 후타 콘크리트 파손의 문제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신축 이음 장치는 서로 이웃하는 핑거 플레이트들 사이의 갭이 서로 이웃하는 슬라브들 사이의 갭과 완전히 벗어나 있음으로 신축 이음 장치 내로 이물이 쌓이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신축 이음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절단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신축 이음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신축 이음 장치의 평면도로서, 이웃하는 슬라브들 사이의 갭 또는 지지 프레임 사이의 갭이 이점쇄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도면이고,
도 4, 도 5, 도 6 및 도 7은 교량의 이웃하는 두 슬라브 사이에 신축 이음 장치가 시공되는 과정들을 차례로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신축 이음 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신축 이음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절단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신축 이음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신축 이음 장치의 평면도로서, 이웃하는 슬라브들 사이의 갭 또는 지지 프레임 사이의 갭이 이점쇄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도면이고, 도 4, 도 5, 도 6 및 도 7은 교량의 이웃하는 두 슬라브 사이에 신축 이음 장치가 시공되는 과정들을 차례로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신축 이음 장치는, 교량의 서로 이웃하는 두 슬라브들 사이, 즉, 제1 슬라브(100A)와 제2 슬라브(100B) 사이를 신축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제1 슬라브(100A)는 일단부 상측 일부를 폭 전체에 걸쳐 제거하여 형성된 제1 블록아웃(120A; first blockout)(120A)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슬라브(100B)는 상기 제1 블록아웃과 마주하는 일단부 상측 일부를 폭 전체에 걸쳐 제거하여 형성된 제2 블록아웃(second blockout; 120B)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블록아웃 및 상기 제2 블록아웃 각각은 상기 제1 슬라브(100A) 및 상기 제2 슬라브(100B)의 상단면보다 아래로 함몰되어 있는 수평면(122A, 122B)과, 상기 제1 슬라브(100A) 및 상기 제2 슬라브(100B)의 서로 마주하는 전방 단부면보다 안쪽으로 함몰되어 있는 수직면(124A, 124B)을 포함한다.
상기 신축 이음 장치는 제1 지지 프레임(200A) 및 제2 지지 프레임(200B)과, 신축 이음재(300)와, 제1 핑거 플레이트(400A) 및 제2 핑거 플레이트(400B)와, 복수개의 제1 포스트 앵커(500A)들 및 복수개의 제2 포스트 앵커(500B)들과, 복수개의 제1 볼트(600A)들 및 복수개의 제2 볼트(600B)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지지 프레임(200A)은 상기 제1 블록아웃(120A)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지지 프레임(200B)은 상기 제1 지지 프레임(200A)과 마주보도록 상기 제2 블록아웃(120B)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 지지 프레임(200A)은 상기 제1 블록아웃(120A) 내에서 상기 제1 블록아웃(120A)의 수평면(122A)과 평행하게 이격된 제1 수평판부(220A)와, 상기 제1 블록아웃(120A)의 수직면(124A)과 평행하게 이격되는 제1 수직판부(240A)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 프레임(200B)은 상기 제2 블록아웃(120B) 내에서 상기 제2 블록아웃(120B)의 수평면(122B)과 평행하게 이격된 제2 수평판부(220B)와, 상기 제2 블록아웃(120B)의 수직면(124B)과 평행하게 이격되는 제2 수직판부(240B)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지지 프레임(200A)은 상기 제1 블록아웃(120A) 내에서 제1 슬라브(100A)에 구비된 철근들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제2 지지 프레임(200B)은 상기 제2 블록아웃(120B) 내에서 제2 슬라브(100B)에 구비된 철근들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평판부(220A)와 상기 제1 블록아웃(120A)의 수평면(122A), 즉, 제1 블록아웃의 바닥면과의 사이에는 후타 콘크리트(2)가 채워지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수평판부(220B)와 상기 제2 블록아웃(120B)의 수평면(122B), 즉, 제2 블록아웃의 바닥면과의 사이에도 후타 콘크리트(2)가 채워지는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제1 지지 프레임(200A)은 상기 제1 수직판부(240A)의 하단이 상기 제1 블록아웃(120A)의 수평면(122A)과 인접한 채로 상기 제1 블록아웃(120A)의 전방을 마감하도록 배치되고, 제2 지지 프레임(200B)은 상기 제2 수직판부(240B)의 하단이 상기 제2 블록아웃(120B)의 수평면(122B)과 인접한 채로 상기 제2 블록아웃(120B)의 전방을 마감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 지지 프레임(200A)은, 상기 제1 수평판부(220A)의 후단이 상기 제1 블록아웃(120A)의 수직면(124A)과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지지 프레임(200B)은 상기 제2 수평판부(220B)의 후단이 상기 제2 블록아웃(120B)의 수직면(124B)과 접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핑거 플레이트(400A)와 제2 핑거 플레이트(400B)가 제1 지지 프레임(200A) 및 제2 지지 프레임(200B)에 결합되기 전에, 상기 제1 수평판부(220A)와 제1 블록아웃(120A)의 수평면(122A)과의 사이 그리고 상기 제2 수평판부(220B)와 상기 제2 블록아웃(120B)의 수평면(122B)과의 사이 각각에 후타 콘크리트(2)가 채워지도록 타설된다. 상기 제1 수평판부(220A)와 상기 제2 수평판부(220B)가 후타 콘크리트(2)가 타설될 공간을 막고 있지만, 상기 제1 수평판부(220A)에는 복수개의 제1 콘크리트 주입홀(222A)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수평판부(220B)에는 복수개의 제2 콘크리트 주입홀(222B)들이 형성되므로, 상기 제1 콘크리트 주입홀(222A) 및 제2 콘크리트 주입홀(222B)을 통해 상기 제1 수평판부(220A)와 상기 제2 수평판부(220B)의 하부 공간 내로 후타 콘크리트(2)를 채워 넣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수평판부(220A)와 상기 제2 수판판부(220B)각각에는 볼트 안내홀(224A, 224B)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포스트 앵커(500A)들과 상기 제2 포스트 앵커(500B)들 각각은 나사홀들 각각이 상기 볼트 안내홀(224A, 224B)들 각각과 연결되도록 상기 제1 수평판부(220A)와 상기 제2 수평판부(220B)의 저면에 용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포스트 앵커(500A)들과 상기 제2 포스트 앵커(500B)들 각각은 후타 콘크리트(2)에 매립된다.
상기 제1 수직판부(240A)와 상기 제2 수직판부(240B) 사이에는 갭(G)이 형성되며, 상기 갭(G)은 제1 슬라브(100A)와 제2 슬라브(100B) 사이의 갭 직상 영역에 존재한다. 전술한 신축 이음재(300)는 양단이 상기 제1 수직판부(240A)와 상기 제2 수직판부(240B)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수직판부(240A)와 상기 제2 수직판부(240B) 사이의 갭(G)에 배치된다. 상기 신축 이음재(300)는 U형 단면을 갖도록 설치된 고무 재질의 멤브레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400A)는, 후방에 구비된 제1 막힌 부분(blind portion)(420A)과 전방에 구비된 복수개의 제1 핑거(440A)들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수평판부(220A)의 상면에 접하여 배치된다.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400B)는, 후방에 구비된 제2 막힌 부분(blind portion)(420B)과 전방에 구비된 복수개의 제2 핑거(440B)들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2 수평판부(220B)의 상면에 접하여 배치된다.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400A)와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400B)가 상기 제1 수평판부(220A) 및 상기 제2 수평판부(220B)에 접하여 배치되기 전에, 상기 제1 수평판부(220A)의 하부 공간과 상기 제2 수평판부(220B)의 하부 공간 후타 콘크리트(2)가 먼저 타설된다.
또한,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400A)와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400B) 각각은 제1 수평판부(220A) 및 상기 제2 수평판부(220B)의 볼트 안내홀(224A, 224B)들에 대응되게 형성된 볼트 안내홀(402A, 402B)들을 구비한다. 상기 제1 수평판부(220A)와 상기 제2 수평판부(220B)에 구비된 볼트 안내홀을 일정한 내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400A)와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400B)에 구비된 볼트 안내홀(402A, 402B)들은 볼트의 스템이 통과하는 작은 내경부와 볼트 머리가 안착되는 큰 내경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볼트(600A)들 각각은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400A) 및 상기 제1 수평판부(220A)의 볼트 안내홀들(402A, 224A)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제1 포스트 앵커(500A)의 나사홀에 체결되고, 상기 제2 볼트(600B)들 각각은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400B) 및 상기 제2 수평판부(220B)의 볼트 안내홀들(402B, 224B)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제2 포스트 앵커(500B)의 나사홀에 체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400A)는 상기 제1 수평판부(220A)의 상부면에 접하여 결합되고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400B)는 상기 제2 수평판부(220B)의 상부면에 접하여 결합된다.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400B)의 제2 막힌 부분(420B) 길이(L2)는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400A)의 제1 막힌 부분(420A) 길이(L1)보다 길다. 또한,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400A)가 상기 제1 수평판부(220A)의 상면에 접하여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핑거(440A)들은 상기 제1 수직판부(240A)를 넘지 않고 상기 제1 수평판부(220A) 상에만 존재하고,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400B)가 상기 제2 수평판부(220B)의 상면에 접하여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핑거(440B)들은 모두 상기 제2 수직판부(240B)를 넘어 제1 수평판부(220A) 상에 존재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수직판부(240A)와 상기 제2 수직판부(2401B) 사이의 갭(G)은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400B)의 제2 막힌 부분(420B)에 의해 덮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상기 제1 핑거(420A)들과 상기 제2 핑거(420B)들은 교호로 맞물리며, 이들 사이에는 갭이 존재한다. 상기 제1 핑거(420A)들과 상기 제2 핑거(420B)들 사이의 갭과 상기 제1 수직판부(240A)와 상기 제2 수직판부(240B) 사이의 갭(G)은 일치하지 않으며, 따라서, 이물질이 상기 제1 수직판부(240A)와 상기 제2 수직판부(240B) 사이의 갭(G)까지 이동하지 못하며, 따라서, 신축 이음재(300)에 쌓이지도 않게 된다. 물은 상기 제1 수평판부(220A)와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400A) 사이의 미세 틈 및 상기 제2 수평판부(220B)와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400B) 사이의 미세 틈을 거쳐 상기 신축 이음재(300) 측으로 흐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후타 콘크리트(2)가 제1 수평판부(220A)의 하부측 및 제2 수평판부(220B)의 하부측에만 채워진 채 도로면 상측으로 노출되지 않으며, 따라서, 후타 콘크리트(2)에 크랙이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핑거 플레이트(400A)의 제1 핑거(440A)들과 제2 핑거 플레이트(400B)의 제2 핑거(440B)들 사이의 갭과 신축 이음재(300)가 설치되는 제1 지지 프레임(200A)과 제2 지지 프레임(200B) 사이의 갭(G)이 서로 완전히 벗어나 있으므로, 이물질이 제1 지지 프레임(200A)과 제2 지지 프레임(200B) 사이의 갭(G)을 통해 신축 이음재(300)에 쌓이는 것을 막을 수 있다.
100A........................제1 슬라브
100B........................제2 슬라브
200A........................제1 지지 프레임
200B........................제2 지지 프레임
300.........................신축 이음재
400A........................제1 핑거 플레이트
400B........................제2 핑거 플레이트

Claims (3)

  1. 제1 블록아웃(first blockout; 120A)을 갖는 제1 슬라브(100A)와 상기 제1 블록아웃(120A)과 마주하는 제2 블록아웃(second blockout; 120B)을 갖는 제2 슬라브(100B) 사이를 연결하는 교량의 신축 이음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아웃(120A)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블록아웃(120A)의 수평면(122A)과 평행하게 이격되고 일측단이 상기 제1 블록아웃(120A)의 수직면(124A)에 접하여 상기 제1 블록아웃(120A)의 상부를 막는 제1 수평판부(220A)와, 상기 제1 블록아웃(120A)의 수직면(124A)과 평행하게 이격되고 하단이 상기 제1 블록아웃(120A)의 수평면(122A)과 접하여 상기 제1 블록아웃(120A)의 전방을 막는 제1 수직판부(240A)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수평판부(220A)에는 전방과 상부가 막힌 상기 제1 블록아웃(120A)의 공간에 후타 콘크리트(2)를 넣기 위한 제1 콘크리트 주입홀(222A)이 형성된, 제1 지지 프레임(200A);
    상기 제2 블록아웃(120B)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블록아웃(120B)의 수평면(122B)과 평행하게 이격되고 일측단이 상기 제2 블록아웃(120B)의 수직면(124B)에 접하여 상기 제2 블록아웃(120B)의 상부를 막는 제2 수평판부(220B)와, 상기 제2 블록아웃(120B)의 수직면(124B)과 평행하게 이격되고 하단이 상기 제2 블록아웃(120B)의 수평면(122B)과 접하여 상기 제2 블록아웃(120B)의 전방을 막고 상기 제1 수직판부(240A)와의 사이에 갭(G)을 형성하는 제2 수직판부(240B)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수평판부(220B)에는 전방과 상부가 막힌 상기 제2 블록아웃(120B)의 공간에 후타 콘크리트(2)를 넣기 위한 제2 콘크리트 주입홀(222B)이 형성된, 제2 지지 프레임(200B);
    상기 갭(G) 사이에서 신축될 수 있도록, 양단이 상기 제1 수직판부(240A)와 상기 제2 수직판부(240B)에 연결되는 신축 이음재(300);
    제1 막힌 부분(420A) 및 복수개의 제1 핑거(440A)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수평판부(220A)의 상면에 적층되어 체결되는 제1 핑거 플레이트(400A); 및
    상기 제1 막힌 부분(420A)보다 긴 길이를 갖는 제2 막힌 부분(420B) 및 상기 제1 핑거(440A)들과 교호로 맞물리는 복수개의 제2 핑거(440B)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수평판부(220B)의 상면에 적층되어 체결되며, 상기 제2 수평판부(220B)와의 사이에 상기 신축 이음재(300)까지 물의 흐름을 허용하고 이물질을 통과시키지 않는 틈이 형성되는 제2 핑거 플레이트(400B)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400A)가 상기 제1 수평판부(220A)의 상면에 적층되어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핑거(440A)들은 상기 제1 수직판부(240A)를 넘지 않고 상기 제1 수평판부(220A) 상에만 존재하고,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400B)가 상기 제2 수평판부(220B)의 상면에 적층되어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핑거(440B)들은 모두 상기 제2 수직판부(240B)를 넘어 제1 수평판부(240A) 상에 존재하며,
    상기 갭(G)은 상기 제2 막힌 부분(420B)에 의해 덮이며,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400A)에 의해 상기 제1 수평판부(220A)에 형성된 상기 제1 콘크리트 주입홀(222A)이 막히고,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400B)에 의해 상기 제2 수평판부(220B)에 형성된 상기 제2 콘크리트 주입홀(222B)이 막히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신축 이음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판부(220A)의 하측에 채워지는 후타 콘크리트(2)에 매립되도록 상기 제1 수평판부(220A)에 결합된 제1 포스트 앵커(500A)와,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400A) 및 상기 제1 수평판부(220A)의 볼트 안내홀들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제1 포스트 앵커(500A)들에 체결되는 제1 볼트(600A)들과, 상기 제2 수평판부(220B)의 하측에 채워지는 후타 콘크리트(2)에 매립되도록 상기 제2 수평판부(220B)에 결합된 제2 포스트 앵커(500B)들과,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400B) 및 상기 제2 수평판부(220B)의 볼트 안내홀들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제2 포스트 앵커(500B)에 체결되는 제2 볼트(600B)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신축 이음 장치.
KR1020200042657A 2020-04-08 2020-04-08 후타 보호용 신축이음장치 KR102153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657A KR102153855B1 (ko) 2020-04-08 2020-04-08 후타 보호용 신축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657A KR102153855B1 (ko) 2020-04-08 2020-04-08 후타 보호용 신축이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3855B1 true KR102153855B1 (ko) 2020-09-09

Family

ID=72469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2657A KR102153855B1 (ko) 2020-04-08 2020-04-08 후타 보호용 신축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8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56185A (zh) * 2021-09-26 2021-12-07 武汉耐久伸缩工程有限公司 一种超浅埋梳齿板桥梁伸缩装置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391006A (zh) * 2002-07-24 2003-01-15 徐斌 特大位移量梳齿桥梁伸缩装置
KR100714994B1 (ko) 2006-03-15 2007-05-09 주식회사 예경산업개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JP2007517996A (ja) * 2004-01-08 2007-07-05 斌 徐 耐たわみ性超大型橋梁のフィンガージョイント装置
KR101053485B1 (ko) * 2011-04-05 2011-08-03 이경진 ㄷ자형 플레이트를 이용한 조립식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설/보수 시공공법
KR101389996B1 (ko) * 2013-11-22 2014-04-30 권명희 교량의 방수형 신축이음 장치
KR20160080147A (ko) * 2014-12-29 2016-07-07 (주)유안개발 유간 조절이 용이한 신축이음장치
KR101795337B1 (ko) * 2017-01-25 2017-11-08 주식회사 케이이테크 걸침판부를 가지는 핑거 조인트
KR102039092B1 (ko) * 2019-06-11 2019-11-01 대창이엔지 주식회사 후타콘크리트 보강이 가능한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391006A (zh) * 2002-07-24 2003-01-15 徐斌 特大位移量梳齿桥梁伸缩装置
JP2007517996A (ja) * 2004-01-08 2007-07-05 斌 徐 耐たわみ性超大型橋梁のフィンガージョイント装置
KR100714994B1 (ko) 2006-03-15 2007-05-09 주식회사 예경산업개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053485B1 (ko) * 2011-04-05 2011-08-03 이경진 ㄷ자형 플레이트를 이용한 조립식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설/보수 시공공법
KR101389996B1 (ko) * 2013-11-22 2014-04-30 권명희 교량의 방수형 신축이음 장치
KR20160080147A (ko) * 2014-12-29 2016-07-07 (주)유안개발 유간 조절이 용이한 신축이음장치
KR101795337B1 (ko) * 2017-01-25 2017-11-08 주식회사 케이이테크 걸침판부를 가지는 핑거 조인트
KR102039092B1 (ko) * 2019-06-11 2019-11-01 대창이엔지 주식회사 후타콘크리트 보강이 가능한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56185A (zh) * 2021-09-26 2021-12-07 武汉耐久伸缩工程有限公司 一种超浅埋梳齿板桥梁伸缩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3984B1 (ko) 방수 및 이물질 유입 방지형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장치 시공공법
KR102202700B1 (ko) 무배수시트 타입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KR102375815B1 (ko) 엇갈림갭판을 구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784721B1 (ko) 배수시트 교체가 용이한 도로교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153855B1 (ko) 후타 보호용 신축이음장치
KR100558373B1 (ko) 교량의 신축이음 장치
KR102052963B1 (ko) 탄성 보강재를 이용한 신축이음 보수 공법
KR101389996B1 (ko) 교량의 방수형 신축이음 장치
US6893187B2 (en) Expansion joint structure for concrete slabs
AU2014336082B2 (en) Transition slab between the abutment and the deck of a bridge with expansion and contraction joints having a long service life, and methods for absorbing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movements of the deck of a bridge
US2355771A (en) Load transfer device and tie bar
KR101933105B1 (ko) 종방향 신축이음장치의 보수방법
KR101020414B1 (ko) 교량용 신축이음구조
KR101693767B1 (ko) 신축 이음을 구비한 프리캐스트 바닥판 시공방법
KR100714994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0736858B1 (ko) 배수관을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의 시공 방법
KR101365436B1 (ko)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
KR200403788Y1 (ko)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KR102473577B1 (ko) 시공 조인트
RU234160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швов в бетонной кладке
JPH11200317A (ja) 橋梁における排水装置
JP6579931B2 (ja) 橋梁における床版連結構造
KR200264354Y1 (ko) 교량 상판의 신축 이음장치
KR20060085054A (ko) 일체식 교대 교량의 합성구조
KR200245373Y1 (ko) 교체가능한 교량신축이음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