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3820B1 - 자수정 분말을 포함하는 다목적 세정용 혼합물 - Google Patents

자수정 분말을 포함하는 다목적 세정용 혼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3820B1
KR102153820B1 KR1020190038519A KR20190038519A KR102153820B1 KR 102153820 B1 KR102153820 B1 KR 102153820B1 KR 1020190038519 A KR1020190038519 A KR 1020190038519A KR 20190038519 A KR20190038519 A KR 20190038519A KR 102153820 B1 KR102153820 B1 KR 102153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ixture
cleaning mixture
present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8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용
Original Assignee
이광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용 filed Critical 이광용
Priority to KR1020190038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8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12Water-insoluble compounds
    • C11D3/14Fillers; Abrasives ; Abrasive compositions; Suspending or absorbing ag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of C11D3/12; Specific features concerning abrasives, e.g. granulometry or mix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88Ampholytes; Electroneutral compounds
    • C11D1/94Mixtures with anionic, cationic or non-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73Anticorrosion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04Water-soluble compounds
    • C11D3/10Carbonates ;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12Water-insoluble compounds
    • C11D3/124Silicon containing, e.g. silica, silex, quartz or glass bea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03Alcohols; Phenols
    • C11D3/2006Monohydr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75Carboxylic acids-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43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48Medical, disinfecting agents, disinfecting, antibacterial, germicidal or antimicrobial composi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자수정 분말 0.1~2.0 중량%; (b)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1.0~10.0 중량%; (c) 글리콜계 용제 1.0~10.0 중량%; (d) 살균 소독제 0.1~2.0 중량%; (e) 첨가제 0.1~2.0 중량%; 및 (f)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다목적 세정용 혼합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세정용 혼합물은, 살균력이 우수한 자수정 분말을 포함함으로써 99.9% 이상의 항균 및 살균력을 나타내며, 자수정 분말을 표면처리하거나 대전처리함으로써 혼합물 내에서 자수정 분말이 안정적으로 분산되고, 욕실이나 배수구, 세탁조 등 다양한 용도에 분사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세정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수정 분말을 포함하는 다목적 세정용 혼합물{MIXTURE FOR MULTIPURPOSE CLEANING COMPRISING VIOLET QUARTZ}
본 발명은 다목적 세정용 혼합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수정 분말을 포함함으로써 살균 및 세정력이 우수하며 욕실 및 배수구 등에 다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세정용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의 세정은 통상 욕실용 액체 세정제를 함침한 스펀지로 욕실의 벽면, 욕조면, 그 밖의 욕실 부대 설비 등에 대하여 문질러 세정함으로써 행해진다.
문질러 세정하는 것은 세정 대상을 직접 스펀지로 문지르기 때문에, 예를 들면 욕조를 세정할 경우에는 전굴되거나 엉거주춤해지거나 쭈그려 앉거나 하여 욕조의 전체면을 스펀지로 문지르지 않으면 안되어 시간이 걸리고, 또한 신체적인 부담도 크다.
한편, 화장실에는 세균 등의 미생물 또는 위생상 불결한 악성 오염물들이 다량 존재하기 때문에, 살균, 표백, 악취제거 등의 효과를 발휘하는 세정제를 이용하여 위생적인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항균 및 탈취제는 염소계 소독제인 락스(Rox)류가 대표적이다. 락스는 차아염소산(HClO)에서 발생하는 산소에 의해 항균 및 탈취효과를 발휘하므로 강력한 항균력을 나타내지만, 사용시 발생하는 염소가스의 독성으로 인하여 사용자들에게 불쾌감과 인체 안전성에 대한 불안감을 주므로, 주방과 욕실을 포함하는 실내 공간에서는 사용을 꺼리는 경향이 있다.
또한, 종래의 세정액은 욕실용, 세탁조용, 배수구용 등 각 용도별로 사용이 제한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세정력이 우수하며, 욕실이나 세탁조 등에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신속하고 간편하게 세정할 수 있는 다목적 세정액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는 실정이다.
1.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0962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세정력이 우수한 세정용 혼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욕실이나 세탁조 등에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신속하고 간편하게 세정할 수 있는 다목적 세정용 혼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a) 자수정 분말 0.1~2.0 중량%; (b)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1.0~10.0 중량%; (c) 글리콜계 용제 1.0~10.0 중량%; (d) 살균 소독제 0.1~2.0 중량%; (e) 첨가제 0.1~2.0 중량%; 및 (f)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다목적 세정용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다목적 세정용 혼합물에 있어서, 상기 세정용 혼합물은 분사식 세정제용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수정 분말은, 소수성 표면처리된 분말 및 친수성 표면처리된 분말의 혼합물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수정 분말은, 15~25 중랑%가 소수성 표면처리되고, 75~85 중량%가 친수성 표면처리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수정 분말의 소수성 표면처리는, 자수정 결정체, 소수성 고분자 및 유기 용매를 습식 밀링하여 자수정 결정체를 분말화시키는 동시에 소수성 고분자로 표면처리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수정 분말의 친수성 표면처리는, EDTA(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NaHCO3, Na2CO3, 및 NaCl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과포화상태의 용액을 준비하여 상층액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과포화용액의 상층액 및 자수정 분말을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혼합물에 탈이온수(DI water)를 첨가하여 제2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수정 분말은, 대전 처리된 분말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전 처리는, 코로나 방전(corona discharge)에 의해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수정 분말의 입도는 0.1~10 ㎛ 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계면활성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양성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계면활성제는 전체 함량 중 알킬 D-글루코피라노시드 40.0~60.0 중량%; 및 큐멘설폰산 나트륨 60.0~40.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글리콜계 용제는 전체 함량 중 디에틸렌 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30.0~70.0 중량%; 및 디프로필렌 글리콜메틸에테르 70.0~30.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 소독제는 전체 혼합물 함량 중 구연산 나트륨 0.1~1.0 중량%; 이탄산나트륨 0.1~1.0 중량%; 및 탄산 칼륨 0.1~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첨가제는 방부제, 증점제 및 방향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부제는 옥탄-1,2-디올을 전체 혼합물 함량 중 0.1~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세정용 혼합물은, 살균력이 우수한 자수정 분말을 포함함으로써 99.9% 이상의 항균 및 살균력을 가지는 세정력이 우수한 세정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세정용 혼합물은 자수정 분말을 친수성 및 소수성으로 표면처리하거나 대전 처리함으로써 혼합물 내에서 자수정 분말이 안정적으로 분산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세정용 혼합물은 인체에 유익한 자수정 분말을 포함함으로써 환경 친화적이며, 욕실이나 배수구, 세탁조 등 다양한 용도에 사용할 수 있는 세정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수정 분말의 표면처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세정용 혼합물의 구성 성분 및 조성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정용 혼합물의 품질검사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정용 혼합물을 실제 용기에 충전시킨 사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구현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구현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목적 세정용 혼합물에 대하여 첨부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실시예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다목적 세정용 혼합물은, 자수정 분말,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글리콜계 용제, 살균 소독제, 첨가제, 및 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혼합물의 조성비는 (a) 자수정 분말 0.1~2.0 중량%; (b)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1.0~10.0 중량%; (c) 글리콜계 용제 1.0~10.0 중량%; (d) 살균 소독제 0.1~4.0 중량%; (e) 첨가제 0.1~2.0 중량%; 및 (f) 잔량의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자수정은 SiO2(51.2%), Al2O3(4.78%), CaO(18.2%), MgO(13.4%), K2O(1.54%), Na2 O(0.91%) 등으로 이루어진 광물이다.
이러한 자수정의 효능은 오래전부터 알려져 왔는데, 특히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의 자수정의 시험분석결과를 보면, 원적외선 방사량이 (5∼20㎛, 40℃)에서 91% 이상 원적외선을 방사하고, 그 방사에너지 3.66 ×102 되는 것으로 밝혀져 있으며, 대장균에 의한 항균시험에 있어서 초기농도 3.3 ×105, 24시간 후 99.9% 감소(살균), (7.9 ×105, 1.0 ×103)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고, 녹농균에 의한 항균시험 결과 또한, 초기농도 2.9×106, 24시간 후 99.9% 감소(살균), (7.3 ×105, 1.0 ×104)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세정용 혼합물은, 상기와 같이 살균 및 세정력이 우수한 자수정 분말을 0.1~2.0 중량%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정용 혼합물은 상기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의 자수정의 시험분석결과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99.9%의 살균 효과를 가지는 장점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자수정 분말은 소수성 표면처리된 분말 및 친수성 표면처리된 분말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수정 분말은 15~25 중랑%가 소수성 표면처리되고, 75~85 중량%가 친수성 표면처리된 것일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자수정 분말은 혼합물 내에서 서로 응집하는 현상이 없이 균일하게 분산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친수성 물질은 친수성 물질과 잘 혼합되며, 소수성 물질은 소수성 물질과 혼합이 잘 되기 때문에, 친수성 표면처리된 자수정 분말은 물에 균일하게 분산되며, 소수성 표면처리된 자수정 분말은 소수성인 계면활성제나 유기 용제에 균일하게 분산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표면처리된 자수정 분말의 제조방법은 자수정 결정, 소수성 고분자 및 유기 용매를 습식 밀링하여 자수정 결정을 분말화시키는 동시에 소수성 고분자로 자수정 분말을 표면처리하는 방법이다. 자수정 분말은 미세 입자의 높은 표면에너지로 인하여 계면활성제나 유기 용제에 분산시 응집되거나 혼합이 잘 되지 않아 분산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자수정 분말은 상기와 같이 자수정 분말을 소수성 표면처리함으로써 이를 해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수성 고분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비닐알콜, 폴리에틸렌, 에폭시, 폴리프로필렌 및 아크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고분자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자수정 분말의 표면으로 상기 소수성 고분자가 코팅됨으로써, 자수정 분말의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 용매로는 싸이클로헥산, 톨루엔, 자일렌 등 소수성 고분자를 용해할 수 있는 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수정 분말을 친수성 표면처리하는 방법은, 먼저, EDTA(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NaHCO3, Na2CO3, 및 NaCl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과포화상태의 용액을 준비하여 상층액을 분리한다.
이어서, 상기 상층액 및 자수정 분말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상기 분말 대 상기 과포화용액의 상층액은 1:5 ~ 1:20의 중량%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자수정 분말은 상기 과포화용액의 상층액에 완전히 분산되고, 상기 자수정 분말의 표면에 과포화용액의 상층액이 골고루 코팅되어 있을 정도로, 상기 분말과 상기 과포화용액의 상층액이 적정한 중량%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이후, 제1 혼합물에 소정 비율의 탈이온수(deionized water, DI)를 첨가하여 제2 혼합물을 형성한다. 상기 탈이온수는 자수정 분말의 표면처리 후 남은 혼합 용액을 희석하여 제거하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혼합물 대 상기 탈이온수는 1:1 ~ 1:3의 중량%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친수성 표면처리된 자수정 분말은 세정용 혼합물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물에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수정 분말은 세정용 혼합물 중 소수성인 계면활성제 및 유기 용제의 조성비에 대응하는 15~25 중랑%가 소수성 표면처리되고, 물의 조성비에 대응하는 75~85 중량%가 친수성 표면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자수정 분말의 표면처리 과정을 정리하여 도 1에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자수정 분말은 코로나 방전에 의해 양전하 또는 음전하로 대전 처리될 수 있다. 코로나 방전(corona discharge)이란 도체 주위의 유체의 이온화로 인해 발생하는 전기적 방전이며, 전위 경도(전기장의 세기)가 특정값을 초과하지만 완전한 절연 파괴나 아크를 발생하기에는 불충분한 조건일 때 발생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코로나 방전 방법은 중심 와이어에 직류 고전압을 가하고 구멍이 뚫린 판에 접지를 하면 코로나 방전이 일어나면서 고농도의 단극 이온이 발생하여 자수정 분말을 단극으로 대전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코로나 방전 방법은, 충분한 이온 분위기가 형성되어 방사성 원소를 사용할 경우보다 효율적으로 입자를 대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자수정 분말이 양전하 또는 음전하의 동일한 극으로 대전되기 때문에 정전기적 반발력에 의하여 세정용 혼합물 내에서 서로 응지되지 않고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수정 분말은 세정용 혼합물 전체에 대하여 0.1~2.0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수정 분말의 조성비가 0.1 중량% 미만이면 살균 효과가 미미하고, 2.0 중량%를 초과하면 분산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수정 분말의 입도는 0.1~10 ㎛ 범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정용 혼합물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세정작용을 수행하는 성분으로, 일반적으로 공지된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바람직하게는, 고급알콜계 또는 지방산계 등의 음이온 계면활성제와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탄소수가 10 내지 20인 알킬술폰산염 또는 알킬벤젠술폰산염이 더욱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적인 계면활성제와 더불어 식물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식물성 계면활성제는 일반적인 계면활성제와 혼합되어 사용됨으로써, 물 속에서 미생물에 의한 분 해가 빠르고(생분해) 세척 후 배수에 의한 수질오염 부하량이 적어 수질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다. 식물성계면활성제는 공지된 것중에서 임의로 선택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알카놀아미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로는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알킬 D-글루코피라노시드 1.0~5.0 중량%, 큐멘설폰산 나트륨 1.0~5.0 중량%를 사용할 수 있다. 활성 성분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인 경우 세정력이 떨어지며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제형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세정용 혼합물은 비누 때와 같은 무기 오염, 인체에서 생성되는 유성 오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에 적합한 유기산과 유기 수용성 및 지용성 용제를 동시에 사용하여 오염 제거력을 극대화함으로써 보다 쉽게 오염을 제거할 수 있다.
유기산은 욕실의 비누때와 같은 무기 오염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성분으이다. 유기산으로는 구연산, 호박산 및 주석산을 하나 이상 사용할 수 있다. 유기산의 함량은 전체 세제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2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산을 0.1 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면 오염 제거 능력이 미흡하고,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사용할 때는 단점은 없으나 더 이상의 효과 증가를 기대할 수 없고 경제적이지 못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정용 혼합물은 바람직하게 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용 혼합물에 사용될 수 있는 용제의 예들에는,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N-프로필 에테르, 디프로필렌 글리콜 n-프로필 에테르,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n-프로필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n-부틸 에테르, 디프로필렌 글리콜 n-부틸 에테르,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n-부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디아세테이트, 디프로필렌 글리콜디메틸 에테르, 3-메틸-3-메톡시 부탄올,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물질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세정용 혼합물 중 상술한 용제의 함량은 혼합물 전체를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 성분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인 경우 세정력이 떨어지며,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제형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정용 혼합물은, 또한 살균 소독제로서 이탄산나트륨 0.1~1.0 중량% 및 탄산 칼륨 0.1~1.0 중량%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기 설명한 자수정 분말의 항균, 살균 효과에 추가하여 살균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정용 혼합물은 기타 첨가제로 방부제, 증점제 및 방향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부제로는 옥탄-1,2-디올을 0.1~1.0 중량%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일정속도로 회전가능한 교반기에 자수정 분말 1.0 중량%( 소수성 표면처리 20 중량%, 친수성 표면처리 80 중량%), 알킬 D-글루코피라노시드 3.0 중량%, 큐멘설폰산 나트륨 3.0 중량%, 디에틸렌 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4.0 중량%, 디프로필렌 글리콜메틸에테르 5.0 중량%. 구연산 나트륨 1.0 중량%, 이탄산나트륨 0.5 중량%, 탄산 칼륨 0.5 중량%, 옥탄-1,2-디올 0.5 중량% 및 잔량의 물을 넣은 후, 약 1분간 교반하여 균일한 용액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구성성분 및 조성비를 정리하여 도 2에 도시하였다.
상기 용액에 대하여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에 관한 법률"에 의해 안정성 및 세정력을 평가하였다(자가검사번호:D-A018-A00130004-A180).
상기 평가 결과, 화학적 안정성의 경우 상온 상압에서 안정하였으며, 유해반응 가능성의 경우 중합반응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세정력에서 99.9%의 항균 및 살균 효과를 나타내었다. 상기 품질평가 결과를 정리하여 도 3에 도시하였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세정용 혼합물을 실제 사용 용기에 충전시킨 사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정용 혼합물은 분사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는 대전된 자수정 분말이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지된 방전 방지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정용 혼합물은, 살균력이 우수한 자수정 분말을 포함함으로써 99.9% 이상의 항균 및 살균력을 나타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정용 혼합물은 자수정 분말을 표면처리하거나 대전처리함으로써 혼합물 내에서 자수정 분말이 안정적으로 분산되고, 욕실이나 배수구, 세탁조 등 다양한 용도에 분사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세정제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자수정 분말을 포함함으로써 살균 및 세정력이 우수하며 욕실 및 배수구 등에 다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세정용 혼합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세정용 혼합물은 자수정 분말을 표면처리하거나 대전처리함으로써 혼합물 내에서 자수정 분말이 안정적으로 분산되고, 욕실이나 배수구, 세탁조 등 다양한 용도에 분사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세정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a) 자수정 분말 0.1~2.0 중량%;
    (b)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1.0~10.0 중량%;
    (c) 글리콜계 용제 1.0~10.0 중량%;
    (d) 살균 소독제 0.1~2.0 중량%;
    (2) 첨가제 0.1~2.0 중량%; 및
    (f) 잔량의 물;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자수정 분말은,
    소수성 표면처리된 분말 및 친수성 표면처리된 분말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세정용 혼합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수정 분말의 입도는 0.1~10 ㎛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세정용 혼합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양성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세정용 혼합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 전체 중량 중,
    알킬 D-글루코피라노시드 40.0~60.0 중량%; 및
    큐멘설폰산 나트륨 60.0~40.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세정용 혼합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콜계 용제 전체 중량 중,
    디에틸렌 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30.0~70.0 중량%; 및
    디프로필렌 글리콜메틸에테르 70.0~30.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세정용 혼합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소독제는 혼합물 전체 중량 중,
    구연산 나트륨 0.1~1.0 중량%;
    이탄산나트륨 0.1~1.0 중량%; 및
    탄산 칼륨 0.1~1.0 중량%;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세정용 혼합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방부제, 증점제 및 방향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세정용 혼합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부제는,
    옥탄-1,2-디올을 혼합물 전체 함량 중 0.1~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세정용 혼합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용 혼합물은 분사식 세정제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세정용 혼합물.










KR1020190038519A 2019-04-02 2019-04-02 자수정 분말을 포함하는 다목적 세정용 혼합물 KR102153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519A KR102153820B1 (ko) 2019-04-02 2019-04-02 자수정 분말을 포함하는 다목적 세정용 혼합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519A KR102153820B1 (ko) 2019-04-02 2019-04-02 자수정 분말을 포함하는 다목적 세정용 혼합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3820B1 true KR102153820B1 (ko) 2020-09-08

Family

ID=72451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8519A KR102153820B1 (ko) 2019-04-02 2019-04-02 자수정 분말을 포함하는 다목적 세정용 혼합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82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2504A (ko) * 1998-06-05 2001-03-15 다나카 쇼소 (폴리)알킬렌 글리콜 고급 알킬 에테르 유도체 조성물 및이들을 함유하는 세정제, 윤활제 및 피부외용제
KR100392948B1 (en) * 2002-08-14 2003-07-28 Amko Bio Technology Co Ltd Preparation method of soap
KR20050074548A (ko) * 2002-11-08 2005-07-18 유니레버 엔.브이. 박리 및 보습 성질을 동시에 갖는 액상 세정 조성물
KR20070009628A (ko) 2004-03-22 2007-01-18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프로필렌 옥시드 제조 방법
KR20080053381A (ko) * 2005-09-22 2008-06-12 뷜가리 빠르펭 에스아 보석에서 유래하는 광물성 농축물을 기초로 한 조성물
KR20080071449A (ko) * 2007-01-30 2008-08-04 강대중 자수정을 이용한 미용 팩의 제조 방법
US20100255121A1 (en) * 2007-09-21 2010-10-07 Reckitt & Colman (Overseas) Limited Hard Surface Treatment Compositions with Improved Mold or Fungi Remediation Properties
KR20120009223A (ko) * 2010-07-23 2012-02-01 이춘형 모발세정용 샴푸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2504A (ko) * 1998-06-05 2001-03-15 다나카 쇼소 (폴리)알킬렌 글리콜 고급 알킬 에테르 유도체 조성물 및이들을 함유하는 세정제, 윤활제 및 피부외용제
KR100392948B1 (en) * 2002-08-14 2003-07-28 Amko Bio Technology Co Ltd Preparation method of soap
KR20050074548A (ko) * 2002-11-08 2005-07-18 유니레버 엔.브이. 박리 및 보습 성질을 동시에 갖는 액상 세정 조성물
KR20070009628A (ko) 2004-03-22 2007-01-18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프로필렌 옥시드 제조 방법
KR20080053381A (ko) * 2005-09-22 2008-06-12 뷜가리 빠르펭 에스아 보석에서 유래하는 광물성 농축물을 기초로 한 조성물
KR20080071449A (ko) * 2007-01-30 2008-08-04 강대중 자수정을 이용한 미용 팩의 제조 방법
US20100255121A1 (en) * 2007-09-21 2010-10-07 Reckitt & Colman (Overseas) Limited Hard Surface Treatment Compositions with Improved Mold or Fungi Remediation Properties
KR20120009223A (ko) * 2010-07-23 2012-02-01 이춘형 모발세정용 샴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196160T5 (es) Uso de una combinación de tensioactivos, agentes quelantes y aceites esenciales para desinfección efectiva.
CN1262633C (zh) 硬表面清洁组合物
US5891392A (en) Ready to use aqueous hard surface cleaning and disinfecting compositions containing hydrogen peroxide
US8673365B2 (en) Hard surface cleaning and disinfecting composition
CA2704765A1 (en) Aqueous acidic hard surface cleaning and disinfecting compositions
US10362784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forming stable, liquid metal oxide/hydroxide formulations
WO2003002704A1 (en) Cleaning composition containing an organic acid and a spore forming microbial composition
JPH11510550A (ja) 洗浄組成物
EP2859081A1 (en) Self-adhesive detergent compositions with color-changing systems
WO2006131689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ed to organic compositions
SK115298A3 (en) Disinfecting compositions and processes for disinfecting surfaces
CN1208435A (zh) 消毒组合物和消毒表面的方法
JPH10509209A (ja) 液体クレンザとその使用
KR102153820B1 (ko) 자수정 분말을 포함하는 다목적 세정용 혼합물
JP2829887B2 (ja) 洗浄剤組成物
KR100533123B1 (ko) 의료의 세탁 방법 및 이를 위한 세정제 조성물
US3118842A (en) Multi-purpose cleaner-germicide-deodorizer composition
JP2001503770A (ja) スプレー消毒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て表面を消毒する方法
CZ231298A3 (cs) Stabilní parfémované bělicí prostředky, jejich složení, příprava a způsob jejich použití
JP2001503768A (ja) スプレー用消毒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面を消毒する方法
JP2005187511A (ja) 液体組成物、及び洗浄方法
WO2010139107A1 (en) Cleaning compositions and methods
WO2018219770A1 (en) Aqueous microemulsion
KR20000023826A (ko) 효과적인 소독을 위해 사용하기 위한 계면활성제, 킬레이트제 및 방향유의 배합물
KR101857117B1 (ko) 세정 효과가 우수한 배수관 세정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