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3656B1 - 광고판이 포함된 주차차단기 - Google Patents

광고판이 포함된 주차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3656B1
KR102153656B1 KR1020200005385A KR20200005385A KR102153656B1 KR 102153656 B1 KR102153656 B1 KR 102153656B1 KR 1020200005385 A KR1020200005385 A KR 1020200005385A KR 20200005385 A KR20200005385 A KR 20200005385A KR 102153656 B1 KR102153656 B1 KR 102153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dvertisement
auxiliary
rod
block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5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노경
전우일
이승보
Original Assignee
전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노경 filed Critical 전노경
Priority to KR1020200005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6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6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open position about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road direction, i.e. swing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48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with obstructing members moving in a translatory motion, e.g. vertical lift barriers, sliding gat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1/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 G09F11/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the display elements being fed one by one from storage place to a display position
    • G06K2209/1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이 통행하는 진입로 일편에 설치된 본체, 다단의 단위로드가 텔레스코프 형태로 진퇴하면서 신축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신장 시 상기 진입로를 차단하고, 축소 시 상기 진입로를 개방하는 차단로드, 상기 단위로드의 각 상단부가 지지된 상태에서 하방향으로 드리워진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차단로드의 신장 동작 시 넓게 펼쳐지고 상기 차단로드의 축소 동작 시 겹쳐지는 형태로 좁혀지며, 전면에는 진입차량의 전조등 빛을 받아 반사하여 상기 진입차량의 운전자에게 광고영상을 표시하는 패턴화된 다수의 광고시각화 홈을 구비하는 복수의 광고판, 상기 차단로드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차단로드의 신축동작을 조절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별도의 조사수단 없이 진입차량의 전조등만으로 광고영상이 가시화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광고판이 포함된 주차차단기{Parking crossing gate with advertisement}
본 발명은 주차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조사수단 없이 주차차단기에 광고판을 포함시켜 광고 기능을 갖도록 하는 광고판이 포함된 주차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차차단기는 주차장 또는 도로 등으로 출입하는 차량을 제어하기 위해 설치된 장치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주차차단기의 대부분은 바 형태로서, 차량이 출입하는 출입구에 설치되며, 이를 들어 올리거나 내려 차량을 통제한다. 다만, 이러한 기계적인 방식은 넓은 구동범위를 필요로 하여 한정적인 공간에 설치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한편, 일반적인 주차차단기는 차량을 통제하기 위한 목적만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통제기능의 속성상 외부인에 대한 친밀감을 떨어뜨리게 할 뿐만 아니라, 건물이나 특정 장소에 대한 출입구의 전면에 위치해 있으면서도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주차차단기에 광고기능을 포함시키는 등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는 방안들이 제안되고 있으나, 그 결합구조 또는 설치조건이 까다로워 교체 또는 수리 등이 제한적이라는 한계점을 안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46610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항을 고려하여 제안된 것으로, 별도의 조사수단 없이 진입차량의 전조등만으로 광고영상이 가시화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단로드를 일직선으로 전진이동 또는 후진이동 시킴으로써 주차차단기의 구동범위를 최소화하고, 다양한 공간에서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고판을 복수 개로 구성하여 진입차량의 정보에 따른 맞춤형 광고 기능을 갖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관리자가 진입을 허용하고자 하는 차량에 대한 정보를 등록함으로써 내부차량 및 외부차량을 명확하게 구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별로 각각 상이한 전조등 규격에 따라 광고판의 기울기를 조절함으로써, 차량 종류와 상관없이 광고영상 인식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광고판이 포함된 주차차단기는 차량이 통행하는 진입로 일편에 설치된 본체, 다단의 단위로드가 텔레스코프 형태로 진퇴하면서 신축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신장 시 상기 진입로를 차단하고, 축소 시 상기 진입로를 개방하는 차단로드, 상기 단위로드의 각 상단부가 지지된 상태에서 하방향으로 드리워진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차단로드의 신장 동작 시 넓게 펼쳐지고 상기 차단로드의 축소 동작 시 겹쳐지는 형태로 좁혀지며, 전면에는 진입차량의 전조등 빛을 받아 반사하여 상기 진입차량의 운전자에게 광고영상을 표시하는 패턴화된 다수의 광고시각화 홈을 구비하는 복수의 광고판, 상기 차단로드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차단로드의 신축동작을 조절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광고판이 포함된 주차차단기는 상기 차단로드의 끝단에 위치하는 단위로부터 진퇴 가능하도록 한 보조로드, 상기 보조로드의 상단부가 지지된 상태에서 하방향으로 드리워진 형태로 설치된 보조석 탑승자 전용의 보조 광고판, 상기 구동모터와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보조로드가 진퇴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보조로드 전용의 보조모터, 상기 진입차량의 보조석에 탑승자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감지센서가 상기 진입차량의 보조석에 탑승자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면 상기 보조로드를 진출시켜 상기 보조 광고판이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보조 광고판에 보조석 탑승자 전용 광고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광고판이 포함된 주차차단기는 관리자에 의해 등록된 차량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정보 DB 모듈, 상기 진입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하는 번호판 인식 모듈, 상기 차량정보 DB 모듈에 기초하여 상기 인식된 번호판이 내부차량인지 또는 외부차량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번호판 판단 모듈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어기는 상기 판단된 결과에 해당하는 광고판이 설치된 단위로드만 선택적으로 진출시켜 상기 해당 광고판이 펼쳐지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해당 광고판에 광고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번호판 인식 모듈에 의해 상기 진입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할 때마다 상기 판단된 결과와 상관없이, 상기 복수의 광고판 중 상기 본체와 가장 가까운 위치의 단위로드를 진출시켜 상기 진입차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내부차량은 상가입주차량 및 입주민차량을 포함하는 등록된 차량이고, 상기 외부차량은 상기 등록된 차량 외에 차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광고판은 광고 영상의 종류에 따라 복수 개의 구역으로 구획되며, 상대적으로 진입차량의 전조등 빛을 많이 수광하는 중심부 구역의 단면적은 좁게, 상대적으로 진입차량의 전조등 빛을 적게 수광하는 바깥부 구역의 단면적은 넓게 형성되면서 상기 구획된 구역 별로 상이하게 패턴화된 다수의 광고시각화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다수의 광고시각화 홈은 2개의 반투명 금속층과, 2개의 반투명 금속층 사이에서 처리된 유전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물을 가진 분산반사 시트의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2개의 반투명 금속층은 금속으로부터 독립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금속은 원소 Al, Ag, Ni, Cr, Cu, Au 및 상기 원소 중 하나 이상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재귀 반사성 시트이고, 상기 유전층은 SiO2 층, ZnO 층, Al2O3 층, TiO2 층, MgF2 층 또는 원소 Si, Zn, Al, Ti 중 하나의 질화물 또는 질소산화물로 만들어진 층이고, 상기 분산반사 시트의 재질을 가진 다수의 광고시각화 홈은 역반사 큐브 코너 또는 글라스 마이크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어기는 상기 진입차량의 전조등의 크기와 각도 및 상기 구획된 구역으로부터 상기 진입차량의 전조등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광고판 각각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기울기 조절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울기 조절기는 하기 수학식 1로 표현되는 기울기 조절식에 따라 상기 복수의 광고판 각각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학식 1>
Figure 112020004656096-pat00001
(
Figure 112020004656096-pat00002
: 광고판의 기울기, dn: 상기 구획된 구역 중 n번째 구역으로부터 상기 진입차량의 전조등까지의 거리(m),
Figure 112020004656096-pat00003
: 상기 n번째 구역에 구비된 광고시각화 홈의 단면적(mm2),
Figure 112020004656096-pat00004
: 상기 차량의 한쪽의 전조등의 단면적(mm2),
Figure 112020004656096-pat00005
: 상기 차량의 다른 쪽의 전조등의 단면적(mm2),
Figure 112020004656096-pat00006
: 상기 차량의 한쪽의 전조등의 각도(rad),
Figure 112020004656096-pat00007
: 상기 차량의 다른 쪽의 전조등의 각도(ra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광고판이 포함된 주차차단기에 따르면,
첫째, 본 발명은 별도의 조사수단 없이 진입차량의 전조등만으로 광고영상이 가시화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둘째, 본 발명은 차단로드를 일직선으로 전진이동 또는 후진이동 시킴으로써 주차차단기의 구동범위를 최소화하고, 다양한 공간에서의 설치가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셋째, 본 발명은 광고판을 복수 개로 구성하여 진입차량의 정보에 따른 맞춤형 광고 기능을 가질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넷째, 본 발명은 관리자가 진입을 허용하고자 하는 차량에 대한 정보를 등록함으로써 내부차량 및 외부차량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다섯째, 본 발명은 차량별로 각각 상이한 전조등 규격에 따라 광고판의 기울기를 조절함으로써, 차량 종류와 상관없이 광고영상 인식이 용이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고판이 포함된 주차차단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고판이 포함된 주차차단기에서 하나의 차단로드만 인출된 형태를 나타낸 내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고판이 포함된 주차차단기에서 두 개의 차단로드가 인출된 형태를 나타낸 내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고판이 포함된 주차차단기에서 모든 차단로드가 인출된 형태를 나타낸 내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고판이 포함된 주차차단기 중 차단로드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고판이 포함된 주차차단기의 사시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의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고판이 포함된 주차차단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고판이 포함된 주차차단기에서 하나의 차단로드만 인출된 형태를 나타낸 내부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고판이 포함된 주차차단기에서 두 개의 차단로드가 인출된 형태를 나타낸 내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고판이 포함된 주차차단기에서 모든 차단로드가 인출된 형태를 나타낸 내부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고판이 포함된 주차차단기는 크게 본체(A), 차단로드(100), 광고판(200), 구동모터(300) 및 제어기(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A)는 차량이 통행하는 진입로 일편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본체(A)는 차단로드(100), 광고판(200), 구동모터(300) 및 제어기(400)를 내장할 수 있도록 박스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차단로드(100)는 다단의 단위로드(m1, m2, m3)로 구성하여, 이를 본체(A)에 수납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차단로드(100)는 본체(A)에 수납할 수 있도록, 다단의 단위로드(m1, m2, m3)가 텔레스코프 형태로 진퇴하면서 신축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다단의 단위로드(m1, m2, m3)는 신장 시 상기 진입로를 차단하고, 축소 시 상기 진입로를 개방할 수 있다. 즉, 차단로드(100)는 다단의 단위로드(m1, m2, m3)를 일직선으로 전진이동 또는 후진이동 시키도록 함으로써, 주차차단기의 구동범위를 최소화하고 다양한 공간에서의 설치가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광고판(200)은 다단의 단위로드(m1, m2, m3)의 각 상단부가 지지된 상태에서 하방향으로 드리워진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차단로드(100)의 신장 동작 시 넓게 펼쳐지고 상기 차단로드(100)의 축소 동작 시 겹쳐지는 형태로 좁혀질 수 있다. 이는 다단의 단위로드(m1, m2, m3)의 신축 시, 텔레스코프 형태로 진퇴하면서 본체(A)에 수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특징이라 할 수 있다.
광고판(200)의 전면에는 진입차량의 전조등 빛을 받아 반사하여 진입차량의 운전자에게 광고영상을 표시하는 패턴화된 다수의 광고시각화 홈(21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는 별도의 조사수단 없이 차단로드(100)에 진입하는 차량의 전조등 빛에 의한 재귀반사로 광고영상을 가시화하기 위한 특징이라 할 수 있다.
한편, 광고판(200)은 복수 개로 구성하여 각 단위로드의 하방향으로 드리워진 형태로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는 광고영상의 개수를 다양하게 포함하여 진입차량의 정보에 따라 맞춤형으로 광고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광고판(200)은 광고 영상의 종류에 따라 복수 개의 구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는 광고 영상의 종류에 따른 구역별 광고 설계 및 변경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광고판(200)은 중심부 구역에서 바깥부의 구역으로 갈수록 광고시각화 홈(210)의 단면적이 넓어지는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구획된 구역 별로 상이하게 패턴화된 다수의 광고시각화 홈(21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는 패턴화 설계의 용이성을 위한 것이며, 상대적으로 진입차량의 전조등 빛을 많이 수광하는 중심부 구역의 단면적은 좁게, 상대적으로 진입차량의 전조등 빛을 적게 수광하는 바깥부 구역의 단면적은 넓게 형성함으로써 수광량의 균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다수의 광고시각화 홈(210)은 사용자 편의에 따라 하나의 박판(Board)으로 형성하여, 차단로드(100) 전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제작할 수 있다. 이는 광고영상을 다양한 종류로 용이하게 변경하기 위한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광고시각화 홈(210)은 2개의 반투명 금속층과, 2개의 반투명 금속층 사이에서 처리된 유전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물을 가진 분산반사 시트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다수의 광고시각화 홈(210)은 재귀 반사 시트로서, 사전에 정해진 범위를 가진 역반사 시트의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다수의 광고시각화 홈(210)은 어두운 환경에서도 인식이 용이한 반투명 기능층을 가진 분산반사 시트의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전조등에 의해 광고영상이 가시화되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 전조등이 오프(off) 상태인 경우를 고려한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반투명 기능층은 2개의 반투명 금속층과 2개의 반투명 금속층 사이에서 처리된 유전층을 가진 다층 구조물이라 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반투명 금속층은 금속으로부터 독립적으로 형성되고, 금속은 원소 Al, Ag, Ni, Cr, Cu, Au 및 상기 원소 중 하나 이상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재귀 반사성 시트이고, 유전층은 SiO2 층, ZnO 층, Al2O3 층, TiO2 층, MgF2 층 또는 원소 Si, Zn, Al, Ti 중 하나의 질화물 또는 질소산화물로 만들어진 층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한편, 분산반사 시트의 재질을 가진 다수의 광고시각화 홈(210)은 역반사 큐브 코너 또는 글라스 마이크로 구조를 가짐으로써 광고판(200)의 가시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러한, 다수의 광고시각화 홈(210)의 재질 및 구조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시인성의 효과를 평가할 수 있다.
1) 실시예1
역반사 시트의 재질로서, 반투명 기능층을 가진 분산반사 시트의 재질로 제작된 다수의 광고시각화 홈(210)을 가진 광고판(200)을 제작할 수 있다. 이 때 반투명 기능층은 2개의 반투명 금속층과 2개의 반투명 금속층 사이에서 처리된 유전층을 가진 다층 구조물이라 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반투명 금속층은 2개의 반투명 금속층이 금속으로부터 독립적으로 형성하고, 금속은 Al인 재귀 반사성 시트이고, 유전체 층은 ZnO으로 구성된 질화물 또는 질소산화물 층이라 할 수 있다.
2) 실시예2
역반사 큐브 코너 구조로 제작된 다수의 광고시각화 홈(210)을 가진 광고판(200)을 제작할 수 있다.
3) 실시예3
글라스 마이크로 구조로 제작된 다수의 광고시각화 홈(210)을 가진 광고판(200)을 제작할 수 있다.
4) 비교예1
반투명 기능층을 가지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하게 제작된 분산반사 시트의 재질로 제작된 다수의 광고시각화 홈(210)을 가진 광고판(200)을 제작할 수 있다.
5) 비교예2
일반적인 재귀반사각도인 90도 내지 95도 범위로 각각 상이하게 형성된 다수의 광고시각화 홈(210)을 가진 광고판(200)을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작된 다수의 광고시각화 홈(210)을 대상으로 한 시인성의 효과는, Murakami사의 HM-150 haze meter를 이용하여, KSM ISO 13468을 기준으로 투과도(Tt) 값, 헤이즈 값, 정반사 방지,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먼저, 투과도 (Tt) 값과 헤이즈 값은 KSM ISO 13468 기준에 따라,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광고판(200)의 투과도(Tt) 값 및 헤이즈 값을 측정하였다.
내부 헤이즈(Hi) 값은, 표면 요철에 기인하는 값을 배제시키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광고판(200) 상부에 점착 필름을 라미네이팅한 후, 보호 필름을 벗겨, 필름 표면의 요철을 없앤 후 측정하였다.
표면 헤이즈(Hs) 값은, 전체 헤이즈 값에서, 내부 헤이즈 값을 뺀 값(Ht-Hi) 계산하였다.
정반사 방지 평가는 상기 제조된 광고판(200) 에 45도 각도에서 입사한 레이저 포인터 빛의 정반사에 의한 상의 퍼짐 정도를 육안으로 판별하였다. 퍼짐 정도가 커서 레이저 포인터의 초점이 보이지 않으면 매우 우수, 초점이 흐릿하게 보이면 우수, 초점이 뚜렷이 시인되나 주변부 퍼짐이 있으면 보통, 주변부 퍼짐 없이 초점이 또렷이 보이면 나쁨으로 평가하였다.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평가는 접착 필름을 이용하여 상기 제조된 광고판(200)에 접합하고, 상기 제조된 광고판(200) 위에 5m 떨어진 거리에서, 60도의 각도로 입사한 레이저 포인터 불빛에 대해, 상기 제조된 광고판(200) 정면에서 7cm 떨어진 거리에서 휘도 값을 측정하여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수준을 평가하였다.
<수학식 2>
시인성 평가 값= B1 / A1
상기 수학식 2에서,
A은, KSM ISO 13468에 따른 투과도가 93.0이고, KSM ISO 13468에 따른 헤이즈 값이 0.3인 필름을, 상기 제조된 광고판(200)에 접합한 후, 백라이트 면에 놓고, 법선의 60도(degree) 방향에서 laser 광을 조사하였을 때 정면에서 측정되는 휘도 값이고,
B는, 상기 제조된 광고판(200)을 유리 슬라이드에 접합한 후, 백라이트 면에 놓고, 법선의 60도(degree) 방향에서 동일한 laser 광을 조사하였을 때 정면에서 측정되는 휘도 값이다.
상기 측정 및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정리할 수 있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투과도(%) 70.3 72.5 75.8 80.1 86.4
헤이즈(%) 12.3 21.4 16.6 28.3 33.3
표면 헤이즈(%) 7.5 5.8 6.8 10.8 24.3
내부 헤이즈(%) 11.4 15.0 15.2 10.4 29.4
정반사 방지 평가 우수 매우 우수 우수 나쁨 보통
시인성 평가 값=B/A 5.86 7.21 6.55 3.21 4.69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비교예의 경우 헤이즈 값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레이저 포인터에 대한 시인성이 보통이거나 나쁨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정반사 방지 등과 같은 광학적 특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구동모터(3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로드(10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구동모터(300)는 케이블체인(31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체인(310)은 차단로드(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한쪽 끝단에 연결할 수 있다. 이는 차단로드(100)를 구동하기 위한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한편, 케이블체인(310)은 다단의 단위로드(m1, m2, m3)의 개별적인 구동을 위해 각 단위로드(m1, m2, m3) 별로 연결할 수 있다. 이는 케이블체인(310)이 각 단위로드(m1, m2, m3)에 설치된 각 광고판(200) 별로 길이 방향을 따라 연결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케이블체인(310)은 상기 단위로드(m1, m2, m3)의 개수에 따라 감기는 방향 쪽, 즉 아래쪽으로 꺾이도록 연결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차단로드(100)를 전진이동 시킬 때 본체(A)의 상부덮개에 의해 케이블체인(310)이 위쪽으로 꺾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차단로드(100)가 전진이동하는 힘이 일직선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케이블체인(310)이 꺾이는 일정 각도 범위는 상기 각 광고판(200)이 모두 접철되어 수납될 수 있는 범위로서, 꺾이는 각도는 각 광고판(200)이 케이블체인(310)의 감기는 방향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따라 각각 상이한 각도로 설치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판이 포함된 주차차단기의 차단로드의 인출 형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할 수 있다. 이 때 도 2 내지 도 4를 포함하여 도 1, 도 5에서 단위로드는 3개(m1, m2, m3)로 구성하였으나, 이 개수는 주차차단기의 설치 공간 및 광고영상의 개수에 따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고판이 포함된 주차차단기에서 하나의 단위로드만 인출된 형태를 살펴보면, 단위로드 m1에는 단위로드 m2가 절첩되고, 단위로드 m2에는 단위로드 m3이 절첩될 수 있다. 즉, 단위로드 m3만 노출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고판이 포함된 주차차단기에서 두 개의 단위로드가 인출된 형태를 살펴보면, 단위로드 m2에 절첩된 단위로드 m3이 인출되어, 단위로드 m3과 단위로드 m2만 노출될 수 있다. 이 때 단위로드 m1은 단위로드 m2에 접철되어 수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고판이 포함된 주차차단기에서 모든 단위로드가 인출된 형태를 살펴보면, 단위로드 m1에 절첩되어 수납된 단위로드 m2가 인출되고, 단위로드 m2에 절첩되어 수납된 단위로드 m3이 인출되어 노출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고판이 포함된 주차차단기 중 단위로드의 측단면도를 살펴보면, 단위로드 m1, m2, m3은 상측에 돌출턱(m11, m22, m33)을 각각 형성하여 단위로드의 절첩 시, 단위로드 m3의 돌출턱(m33)은 단위로드 m2에 걸리고, 단위로드 m2의 돌출턱(m22)은 단위로드 m1에 걸리도록 하여 절첩됨으로써 본체(A)에 수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단위로드 m1, m2, m3이 모두 절첩될 때, 각 단위로드에 설치된 광고판(200)은 차량 진입 방향을 기준으로 단위로드 m3의 광고판(200)이 가장 앞쪽에, 그 다음으로는 단위로드 m2의 광고판(200), 마지막으로 단위로드 m1의 광고판(200) 순으로 접철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제어기(400)는 구동모터(300)를 제어하여 차단로드(100)의 신축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제어기(400)는 상기 각 광고판(200)이 설치된 단위로드의 노출 여부에 따라 구동모터(3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노출 여부는 각 광고판(200)이 설치된 단위로드의 노출 개수에 따라 구동모터(3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고판이 포함된 주차차단기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고판이 포함된 주차차단기는 크게 본체(A), 차단로드(100), 광고판(200), 구동모터(300) 및 제어기(400) 외에, 보조로드(150), 보조 광고판(250), 보조모터(350) 및 감지센서(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보조로드(150)는 차단로드(100)의 끝단에 위치하는 단위로부터 진퇴가 가능할 수 있다. 이는 운전자를 대상으로 광고영상을 표시하는 것 외에, 추가 탑승자를 대상으로 광고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로드라 할 수 있다.
보조 광고판(250)은 보조로드(150)의 상단부가 지지된 상태에서 하방향으로 드리워진 형태로 설치된 보조석 탑승자 전용의 광고판이라 할 수 있다. 이는 마찬가지로 운전자 외에 추가 탑승자, 즉 보조석 탑승자를 위해 전용 광고영상을 표시하고자 한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보조모터(350)는 구동모터(300)와 별도로 구비되어 보조로드가 진퇴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보조로드 전용의 모터라 할 수 있다. 이는 마찬가지로 운전자 외에 추가 탑승자, 즉 보조석 탑승자를 위해 전용 광고영상을 표시하는 보조 광고판(25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감지센서(500)는 진입차량의 보조석에 탑승자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는 보조로드의 진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진입차량 보조석의 탑승자 존재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어기(400)는 감지센서(500)가 진입차량의 보조석에 탑승자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면, 보조로드(150)를 진출시켜 보조 광고판(250)이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보조 광고판(250)에 보조석 탑승자 전용 광고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판이 포함된 주차차단기는 차량정보 DB 모듈(600), 번호판 인식 모듈(700) 및 번호판 판단 모듈(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차량정보 DB 모듈(600), 번호판 인식 모듈(700) 및 번호판 판단 모듈(800)은 본체(A)에 내장되어있으나, 이는 차단로드(100)의 상측에 마련되는 등 진입차량의 정보를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로의 변경이 가능하다.
차량정보 DB 모듈(600)은 관리자에 의해 등록된 차량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관리자가 진입을 허용하고자 하는 차량에 대한 정보를 등록함으로써 내부차량 및 외부차량을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한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관리자는 사용자를 포함하여 주차차단기를 관리하는 사람을 통칭하여 표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때 차량정보 DB 모듈(600)은 제어기(400)에 내장되거나, 차단로드(100)에 내장되는 등 장착 위치는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부차량은 상가입주차량 및 입주민차량을 포함하는 등록된 차량이고, 상기 외부차량은 상기 등록된 차량 외의 차량이라 할 수 있다.
번호판 인식 모듈(700)은 진입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할 수 있다. 이는 진입차량의 정보에 따른 맞춤형 광고 기능을 제공하고자, 진입차량으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번호판 판단 모듈(800)은 차량정보 DB 모듈(600)에 기초하여 인식된 번호판이 내부차량인지 또는 외부차량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번호판 판단 모듈(800)은 상기 인식된 번호판을 상기 차량정보 DB 모듈(600)에 포함된 차량정보와 비교할 수 있으나, 이는 신규 번호판의 의미에 따라 번호판 판단을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신규 번호판은 페인트식 또는 필름식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된 번호판으로서, 본 발명은 이를 고려하여 번호판 판단 모듈(800)은 및 번호판 판단방법을 용이하게 설계 변경할 수 있다.
먼저, 번호판 판단 모듈(800)은 공공데이터 포털로부터 공공데이터 포털에 등록된 차량을 대상으로 상기 인식된 번호판을 1차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규 번호판의 시행 대상인 비사업용 승용차(자가용) 및 대여사업용 승용차(렌트카)인 것을 고려하여, 상기 인식된 번호판을 1차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는, 사업용 승용차, 승합, 화물, 특수, 전기자동차는 현행 7자리 번호체계가 부여된 것을 고려하여, 상기 인식된 번호판을 1차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는 차단로드(100)에 진입하는 차량을 대상으로 보다 빠르게 맞춤형 광고를 노출하고 차단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특징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번호판 판단 모듈(800)은 상기 1차적으로 분류된 번호판을 문자 단위로 분석할 수 있다. 이 때 문자 단위 분석은 상기 인식된 번호판의 판단 기준이 되는 유사도를 산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1차적으로 분류된 번호판을 각 문자 단위로 분해 및 분석함으로써, 유사도 및 번호판 판단 결과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번호판 판단 모듈(800)은 상기 분석된 결과를 차량정보 DB 모듈(600) 또는 공공데이터 포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저장된 차량정보와 비교하여 내부차량 또는 외부차량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분석된 결과를 차량정보 DB 모듈(600) 또는 공공데이터 포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저장된 차량정보와 비교하는 것은 하기 수학식 3을 기반으로 비교할 수 있다. 하기 수학식 3은 유사도 함수 s(c, N)라 할 수 있다. 이 때, N은 차량정보 DB 모듈(600) 또는 공공데이터 포털에 저장된 차량정보이며, c는 N의 각 문자 단위 번호라 할 수 있다.
<수학식 3>
s(c, N) =
Figure 112020004656096-pat00008
여기서, N은 차량정보 DB 모듈(600) 또는 공공데이터 포털에 저장된 차량정보, c는 N의 각 문자 단위 번호,
Figure 112020004656096-pat00009
은 각 문자 c가 속하는 차량의 집합
Figure 112020004656096-pat00010
에 속한 차량의 집합 g의 벡터, vc은 차량정보 DB 모듈(600) 또는 공공데이터 포털에 저장된 차량정보의 벡터라 할 수 있다.
해당 유사도는 기 설정된 유사도 범위를 기준으로 내부차량 또는 외부차량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한편, 제어기(400)는 상기 판단된 결과에 해당하는 광고판이 설치된 단위로드만 선택적으로 진출시켜 상기 해당 광고판이 펼쳐지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해당 광고판에 광고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는 진입차량의 정보에 따른 맞춤형 광고 기능, 즉 진입차량별로 필요한 광고수단만 노출하기 위한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어기(400)는 상기 번호판 인식 모듈(700)에 의해 상기 진입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할 때마다 상기 판단된 결과와 상관없이, 상기 복수의 광고판(200) 중 상기 본체(A)와 가장 가까운 위치의 단위로드를 진출시켜 상기 진입차량을 차단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주차차단기의 기본적인 특징으로서, 진입차량의 정보와 상관없이 무조건적으로 차단을 수행하기 위한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 때 해당 차단을 위한 광고판(200)은 진입차량의 정보와 상관없는 일반적인, 공통적인 광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기(400)는 진입차량의 전조등의 크기와 각도 및 상기 구획된 구역으로부터 진입차량의 전조등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광고판(200) 각각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기울기 조절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진입차량 별로 각각 상이한 전조등 규격에 따라 광고판(200)의 기울기를 조절함으로써, 차량 종류와 상관없이 광고영상을 용이하게 인식하기 위한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이 때 기울기 조절기는 하기 수학식 1로 표현되는 기울기 조절식에 따라 상기 복수의 광고판(200) 각각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20004656096-pat00011
(
Figure 112020004656096-pat00012
: 광고판의 기울기, dn: 상기 구획된 구역 중 n번째 구역으로부터 상기 진입차량의 전조등까지의 거리(m),
Figure 112020004656096-pat00013
: 상기 n번째 구역에 구비된 광고시각화 홈의 단면적(mm2),
Figure 112020004656096-pat00014
: 상기 차량의 한쪽의 전조등의 단면적(mm2),
Figure 112020004656096-pat00015
: 상기 차량의 다른 쪽의 전조등의 단면적(mm2),
Figure 112020004656096-pat00016
: 상기 차량의 한쪽의 전조등의 각도(rad),
Figure 112020004656096-pat00017
: 상기 차량의 다른 쪽의 전조등의 각도(rad))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판이 포함된 주차차단기는 본체(A) 상면 또는 차단로드(100) 상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에 태양전지 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전조등에 의해 광고영상이 가시화되지 않는 경우,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저장한 에너지를 이용하여 광고영상을 가시화하기 위한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이 때 전조등에 의해 광고영상이 가시화되지 않는 경우는 전조등이 오프(off) 상태인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할 것이다.
A : 본체 100 : 차단로드
150 : 보조로드 m1, m2, m3 : 단위로드
m11 : 단위로드 m1의 돌출턱 m22 : 단위로드 m2의 돌출턱
m33 : 단위로드 m3의 돌출턱 200 : 광고판
210 : 광고시각화 홈 250 : 보조 광고판
300 : 구동모터 310 : 케이블체인
350 : 보조모터 400 : 제어기
500 : 감지센서 600 : 차량정보 DB 모듈
700 : 번호판 인식 모듈 800 : 번호판 판단 모듈

Claims (9)

  1. 차량이 통행하는 진입로 일편에 설치된 본체;
    다단의 단위로드가 텔레스코프 형태로 진퇴하면서 신축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신장 시 상기 진입로를 차단하고, 축소 시 상기 진입로를 개방하는 차단로드;
    상기 단위로드의 각 상단부가 지지된 상태에서 하방향으로 드리워진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차단로드의 신장 동작 시 넓게 펼쳐지고 상기 차단로드의 축소 동작 시 겹쳐지는 형태로 좁혀지며, 전면에는 진입차량의 전조등 빛을 받아 반사하여 상기 진입차량의 운전자에게 광고영상을 표시하는 패턴화된 다수의 광고시각화 홈을 구비하는 복수의 광고판;
    상기 차단로드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차단로드의 신축동작을 조절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로드의 끝단에 위치하는 단위로부터 진퇴 가능하도록 한 보조로드;
    상기 보조로드의 상단부가 지지된 상태에서 하방향으로 드리워진 형태로 설치된 보조석 탑승자 전용의 보조 광고판;
    상기 구동모터와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보조로드가 진퇴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보조로드 전용의 보조모터; 및
    상기 진입차량의 보조석에 탑승자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감지센서가 상기 진입차량의 보조석에 탑승자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면 상기 보조로드를 진출시켜 상기 보조 광고판이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보조 광고판에 보조석 탑승자 전용 광고영상을 표시하며,
    관리자에 의해 등록된 차량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정보 DB 모듈;
    상기 진입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하는 번호판 인식 모듈; 및
    상기 차량정보 DB 모듈에 기초하여 상기 인식된 번호판이 내부차량인지 또는 외부차량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번호판 판단 모듈;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어기는 상기 판단된 결과에 해당하는 광고판이 설치된 단위로드만 선택적으로 진출시켜 상기 해당 광고판이 펼쳐지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해당 광고판에 광고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광고판은,
    광고 영상의 종류에 따라 복수 개의 구역으로 구획되며,
    상대적으로 진입차량의 전조등 빛을 많이 수광하는 중심부 구역의 단면적은 좁게, 상대적으로 진입차량의 전조등 빛을 적게 수광하는 바깥부 구역의 단면적은 넓게 형성되면서 상기 구획된 구역 별로 상이하게 패턴화된 다수의 광고시각화 홈을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광고시각화 홈은,
    2개의 반투명 금속층과, 2개의 반투명 금속층 사이에서 처리된 유전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물을 가진 분산반사 시트의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2개의 반투명 금속층은 금속으로부터 독립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금속은 원소 Al, Ag, Ni, Cr, Cu, Au 및 상기 원소 중 하나 이상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재귀 반사성 시트이고,
    상기 유전층은 SiO2 층, ZnO 층, Al2O3 층, TiO2 층, MgF2 층 또는 원소 Si, Zn, Al, Ti 중 하나의 질화물 또는 질소산화물로 만들어진 층이고,
    상기 분산반사 시트의 재질을 가진 다수의 광고시각화 홈은 역반사 큐브 코너 또는 글라스 마이크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판이 포함된 주차차단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번호판 인식 모듈에 의해 상기 진입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할 때마다 상기 판단된 결과와 상관없이, 상기 복수의 광고판 중 상기 본체와 가장 가까운 위치의 단위로드를 진출시켜 상기 진입차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판이 포함된 주차차단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차량은 상가입주차량 및 입주민차량을 포함하는 등록된 차량이고,
    상기 외부차량은 상기 등록된 차량 외에 차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판이 포함된 주차차단기.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진입차량의 전조등의 크기와 각도 및 상기 구획된 구역으로부터 상기 진입차량의 전조등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광고판 각각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기울기 조절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판이 포함된 주차차단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조절기는,
    하기 수학식 1로 표현되는 기울기 조절식에 따라 상기 복수의 광고판 각각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판이 포함된 주차차단기.
    <수학식 1>
    Figure 112020004656096-pat00018


    (
    Figure 112020004656096-pat00019
    : 광고판의 기울기, dn: 상기 구획된 구역 중 n번째 구역으로부터 상기 진입차량의 전조등까지의 거리(m),
    Figure 112020004656096-pat00020
    : 상기 n번째 구역에 구비된 광고시각화 홈의 단면적(mm2),
    Figure 112020004656096-pat00021
    : 상기 차량의 한쪽의 전조등의 단면적(mm2),
    Figure 112020004656096-pat00022
    : 상기 차량의 다른 쪽의 전조등의 단면적(mm2),
    Figure 112020004656096-pat00023
    : 상기 차량의 한쪽의 전조등의 각도(rad),
    Figure 112020004656096-pat00024
    : 상기 차량의 다른 쪽의 전조등의 각도(rad))
KR1020200005385A 2020-01-15 2020-01-15 광고판이 포함된 주차차단기 KR102153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385A KR102153656B1 (ko) 2020-01-15 2020-01-15 광고판이 포함된 주차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385A KR102153656B1 (ko) 2020-01-15 2020-01-15 광고판이 포함된 주차차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3656B1 true KR102153656B1 (ko) 2020-09-08

Family

ID=72471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5385A KR102153656B1 (ko) 2020-01-15 2020-01-15 광고판이 포함된 주차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6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38330A (zh) * 2021-08-16 2021-11-12 深圳中恒智汇实业有限公司 一种物业管理用自动化闸机
US20230175229A1 (en) * 2021-12-06 2023-06-08 Jay Beardsley Methods and systems for maintaining aridity
CN116386484A (zh) * 2023-04-24 2023-07-04 广东优众传媒有限公司 一种机动车停车场用道闸广告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532Y1 (ko) * 2005-06-22 2005-09-02 김재용 홍보용 양면 게시대
KR200422045Y1 (ko) * 2006-05-04 2006-07-24 주식회사니즈텍 시인성 차단봉
KR20180011599A (ko) * 2016-07-25 2018-02-02 (주)코맥스시큐리티 차량 출입 관리시스템 및 차량 출입 관리방법
KR20180101091A (ko) * 2017-03-03 2018-09-12 여상철 주차 차단기에 설치되는 광고 장치
KR101946610B1 (ko) 2018-03-28 2019-02-11 오정오 체인을 이용한 차단수단을 갖는 인출형 주차차단기
CN209114383U (zh) * 2018-11-26 2019-07-16 重庆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收缩式门禁杆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532Y1 (ko) * 2005-06-22 2005-09-02 김재용 홍보용 양면 게시대
KR200422045Y1 (ko) * 2006-05-04 2006-07-24 주식회사니즈텍 시인성 차단봉
KR20180011599A (ko) * 2016-07-25 2018-02-02 (주)코맥스시큐리티 차량 출입 관리시스템 및 차량 출입 관리방법
KR20180101091A (ko) * 2017-03-03 2018-09-12 여상철 주차 차단기에 설치되는 광고 장치
KR101946610B1 (ko) 2018-03-28 2019-02-11 오정오 체인을 이용한 차단수단을 갖는 인출형 주차차단기
CN209114383U (zh) * 2018-11-26 2019-07-16 重庆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收缩式门禁杆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38330A (zh) * 2021-08-16 2021-11-12 深圳中恒智汇实业有限公司 一种物业管理用自动化闸机
CN113638330B (zh) * 2021-08-16 2022-12-27 深圳市志美通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物业管理用自动化闸机
US20230175229A1 (en) * 2021-12-06 2023-06-08 Jay Beardsley Methods and systems for maintaining aridity
US11976433B2 (en) * 2021-12-06 2024-05-07 Jay Beardsley Methods and systems for maintaining aridity
CN116386484A (zh) * 2023-04-24 2023-07-04 广东优众传媒有限公司 一种机动车停车场用道闸广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3656B1 (ko) 광고판이 포함된 주차차단기
EP2393691B1 (en) A vehicular rearview mirror assembly including integrated backlighting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EP1339570B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rfassen eines objekts in einem fahrzeug
CN107148346B (zh) 具有amoled屏幕的层压车窗玻璃
WO2011041301A2 (en) Multi-display mirror system for expanded view around a vehicle
CN107148345A (zh) 具有amoled屏幕的层压车窗玻璃
US20200276891A1 (en) Transparent roof assembly for a vehicle roof
CN210852235U (zh) 一种车窗显示及交互系统
CN111971173A (zh) 具有可加热插入元件的车辆复合玻璃板
EP2774815B1 (de) Fahrzeug mit einem Sichtsystem
US20050023465A1 (en) Device for improving visibility in motor vehicles
CN111417516A (zh) 用于平视显示器的复合玻璃板
DE102018215272A1 (d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lickfeldanzeige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KR20180112989A (ko) 우천시 차선 시인성 개선장치
WO2021139995A1 (en) Glass vehicle side window and partition window with active projection transparent screen
WO2021233827A1 (en) Vehicle compound glazing unit with projection area
DE102006056180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Kalibrieren eines Bildsensors im Kraftfahrzeug
DE202020100464U1 (de) Beleuchtbare Verbundscheibe, Isolierglasanordnung und Fahrzeugbeleuchtung
EP2940493A1 (de) Gewitterfrühwarnsystem für ein Fahrzeug
JPWO2018189910A1 (ja) 日除け装置
DE102012203674A1 (de) Optische Vorrichtung zur Erfassung einer Umgebung und Scheibe mit integrierter optischer Baugruppe
JPH05104980A (ja) 車両用表示装置
JP2006137209A (ja) 車両用防眩装置
JP6548762B2 (ja) 日除け装置
CN114253016A (zh) 智能挡风玻璃控制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