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3472B1 - 착색제 원료 손실방지구조를 갖는 콘택트렌즈 문양 패턴 착색장치 - Google Patents

착색제 원료 손실방지구조를 갖는 콘택트렌즈 문양 패턴 착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3472B1
KR102153472B1 KR1020190092103A KR20190092103A KR102153472B1 KR 102153472 B1 KR102153472 B1 KR 102153472B1 KR 1020190092103 A KR1020190092103 A KR 1020190092103A KR 20190092103 A KR20190092103 A KR 20190092103A KR 102153472 B1 KR102153472 B1 KR 102153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ant
pattern
upper side
cold water
col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2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쌍호
Original Assignee
김쌍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쌍호 filed Critical 김쌍호
Priority to KR1020190092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4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317Production of lenses with markings or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865Applying coatings; tinting; colouring
    • B29D11/00923Applying coatings; tinting; colouring on lens surfaces for colouring or t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951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양 패턴을 프린팅시킬 때 연속적인 반복작업에 의해 발생하는 주변 또는 마찰열에 의해 착색제 고유의 응집력과 점착성이 떨어져 착색제 원료사용이 증가와 제품불량을 방지하는 착색제 원료 손실방지구조를 갖는 콘택트렌즈 문양 패턴 착색장치를 제공함을 그 주된 목적으로 한다.
다양한 색상 패턴을 갖는 콘텍트렌즈를 생산하기 위해 용매와 색소분말을 일정비율로 혼합시킨 착색제를 주원료 소재로 제조하는 착색장치에 있어서, 상기 착색제를 성형몰드의 표면에 착색시킬 때 작업공정온도에 의해 착색제의 성분 중 휘발성 용매성분이 열에 의해 증발이 촉진되어 착색제(C)의 점성이 굵어지고 색소분말의 사용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문양 패턴 착색장치(A)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착색제 재료의 공급을 연속적 또는 선택적으로 공급하여도 패턴인쇄형판의 상면이동면에 마찰에 의한 열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저온순환기에 의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여 오랜 시간 연속마찰과 공정간 대기시간까지 발생되는 휘발성 용매의 증발을 최소화시켜 착색제의 색상분말이 굵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점성을 유지할 수 있어 성형몰드에 골고루 착색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착색제 원료 손실방지구조를 갖는 콘택트렌즈 문양 패턴 착색장치{The Contact lens pattern patterning device of Colorant Loss Prevention Structure}
본 발명은 각막 외면에 탈부착 형으로 사용하는 콘택트렌즈 제조시 시력 교정과 미용을 위해 렌즈표면에 다양한 문양 패턴에 프린팅하는 착색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문양 패턴을 프린팅시킬 때 연속적인 반복작업에 의해 발생하는 주변 또는 마찰열에 의해 착색제 고유의 응집력과 점착성이 떨어져 착색제 원료사용의 증가와 제품불량을 방지하는 착색제 원료 손실방지구조를 갖는 콘택트렌즈 문양 패턴 착색장치를 제공함을 그 주된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콘택트렌즈는 안경 대신에 눈의 각막에 직접 탈부착형태로 붙여서 사용하는 렌즈로서, 처음에는 시력 교정 효과가 적은 심한 근시, 원시, 난시 따위의 교정을 위하여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나 최근에는 미용을 목적으로 널리 사용하기도 있다.
또, 콘택트렌즈 제조 기술의 발전으로 안경을 대신하여 사용하는 시력 교정 콘택트렌즈와 착용자 눈의 홍채 및 각막 색깔을 원하는 색과 디자인으로 변화시켜 주어 미용적 효과를 얻도록 하고 있다.
또, 이러한 컬러 콘택트렌즈를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한 패턴인쇄형판을 사용하는 제조방법 및 시스템은 본 산업에 널리 공지되어 있고, 통상 원하는 패턴 또는 형상으로 사전 성형되어 있는 패턴인쇄형판에 착색제를 공급시킨 후 그 성형몰드에 구비된 렌즈 표면에 패턴인쇄형판에 제공되어 있는 착색제를 찍기 형태로 프린팅하여 제조된다.
이와 같이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형태의 제조방법 및 장치들을 통해 콘택트렌즈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콘택트렌즈제조와 관련된 선행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한 예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80554호(공개일자: 2006.07.10.)에서는 “연판에 인접해 있고, 통풍구와, 내부, 이 천정부 아래의 에어 갭을 포함하는 착색제 컵과;착색제를 포함하는 저장조와;상기 저장조와 유체소통하는 공급 도관과; 상기 컵과 유체소통하는 복귀 도관을 포함하는 시스템”이 있고,
또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33699호(공개일자 : 2006.04.19.) “단량체, 중합 반응 개시제, 분자량 개질제, 용매 등을 혼합하여 결합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형성된 결합 중합체와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안료, 용매를 혼합하여 잉크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제조된 잉크를 사용하여 콘택트렌즈 표면에 인쇄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컬러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결합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온에서 결합 중합체의 원료를 조성비에 따라 투입하여 55℃까지 1차 승온하는 과정과: 상기 단계에서 1차 승온된 결합 중합체의 원료를 2~3 시간 동안 54~56℃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중합을 실시하는 과정; 상기 단계에서 중합 실시하는 결합 중합체의 원료를 25~45분 동안 상온에서 45℃까지 낮추어 1차 냉각하는 과정; 상기 단계에서 1차 냉각된 결합 중합체의 원료를 15~25분 동안 상온에서 55℃까지 높여 2차 승온하는 과정; 상기 단계에서 2차 승온된 결합 중합체의 원료를 1~2시간 동안 상온에서 30~33℃까지 낮추어 2차 냉각하는 과정; 및, 상기 단계에서 2차 냉각된 결합 중합체의 원료에 반응 종결 및 점도 유지를 위해 2-HEMA 2~3wt%와 하이드로퀴논(Hychoquinone) 02~03wt%를 투입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컬러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이 있으며,
또,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820696호(공개일자 : 2018.01.23.) “컬러 콘택트렌즈의 잉크층 표면에 패드 프린팅에 의하여 코팅되는 컬러 콘택트렌즈 코팅액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에틸렌옥사이드(Ethylene oxide)를 포함하는 올리고머(oligomer) 44중량%에 열가소성 우레탄(thermoplasticurethane) 28중량%와 솔벤트(solvent) 28중량%를 첨가하여 기본 혼합물을 생성하는 제 1단계(S10);와 상기의 기본 혼합물을 50 ~ 70℃로 가열 후 교반기를 사용하여 50 ~ 80rpm으로 28 ~ 32분간 교반하는 제 2단계(S20); 및 상기의 교반이 완료된 기본 혼합물을 상온으로 냉각하는 제 3단계(S30);로 구성되며, 상기의 제 1단계 내지 제3단계로 제조되어 점도가 500 ~ 10,000cps이고, 산가(acid value)가 3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콘택트렌즈 코팅액의 제조방법”이 있고,
또,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910298호(공개일자 : 2009.08.03.) “홍채 모양 채색부를 구비한 컬러 콘택트렌즈에 있어서, 부식판에 원하는 형상의 디자인을 채색하여 부식시키는 단계; 상기 디자인이 형성된 부식판에 채색부 형성용 조성물을 착색하는 단계; 상기 프린팅된 채색부 형성용 조성물을 실리콘패드에 부착시키는 단계; 상기 채색부 형성용 조성물로 구성된 디자인을 몰드에 이전하기 위하여 실리콘패드를 몰드 상에 착색하는 단계; 상기 채색부 형성용 조성물의 중합율이 60 내지 80%가 될 때까지 UV를 8 내지 25분간 조사하고 상기 조성물을 중합하여 채색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채색부의 상부에 렌즈 형성용 고분자를 도포하여 렌즈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컬러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이 있으며,
또,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810370호(공개일자 : 2017.12.18.) “투명코팅액을 제조하는 코팅액제조단계; 상기 투명코팅액을 상부몰드에 투명코팅하여 투명코팅층을 형성하는 투명코팅단계; 상기 투명코팅층을 건조시키는 1차건조단계; 상기 건조된 투명코팅층위에 컬러코팅을 하여 컬러코팅층을 형성하는 컬러코팅단계; 상기 컬러코팅층을 건조시키는 2차건조단계; 상하부 몰드 사이에 중합액을 주입하는 중합액주입단계; 상기 주입한 중합액을 중합시키는 중합단계; 상기 상하부 몰드에서 콘택트렌즈를 분리하는 콘택트렌즈 분리단계; 로 이루어지는 콘택트렌즈의 알지네이트 코팅방법에 있어서, 상기 1차건조단계는 투명코팅된 투명코팅층을 80~100℃에서 15~25분동안 건조시키며, 상기 2차건조단계는 컬러코팅된 컬러코팅층을 100~130℃에서 30~ 90분동안 건조시키는 것이며, 상기 투명코팅액은 HEMA 870중량부에 대하여, 1% AIBN 90~110중량부, 10% EGDMA 25~35중량부, 알지네이트 수용액 9~110중량부를 혼합한 것이며, 상기 투명코팅단계는 투명코팅액을 상부몰드 위에 코팅하되, 이때 사용되는 부식판은 외경 40 ~ 12mm, 내경 15 ~ 65mm, 깊이 3~20㎛의 수치범위로 부식시킨 것으로, 상기 부식판의 부식된 부위에 투명코팅액을 묻힌 후, 패드기기를 사용하여 상부몰드위에 도포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컬러코팅단계는 1차건조된 투명코팅층위에 컬러코팅을 하여 컬러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색상컬러를 세라믹 잉크컵에 가득 붓고 앞뒤로 한번 움직이면 부식판의 부식된 부분에 컬러잉크가 남고 나머지 부분은 깨끗이 긁고 가게 되며, 패드기기를 이용하여 컬러이송착색하는 것이며, 이때 사용되는 부식판은 외경 50 ~ 124mm, 내경 15 ~ 70mm, 깊이 3~25㎛의 수치범위로 부식시킨 것이며, 상기 중합액주입단계는 중합액을 상하부 몰드 사이에 주입한 후 중합시키는 것이며, 상기 중합액은 Hema(2-
hydroxy-ethyl methacrylate) 10 ~ 99중량부에 대하여, GMMA(Glycerol MonoMethacrylate) 05 ~ 50중량부, EGDMA(2-ethoxyethyl methacrylate) 005 ~ 3중량부, 계면활성제인 TTAB 또는 DTAB 001 ~ 20 중량부, 중합개 시제인 V65[2,2'-azobis-(2,4-dimethyl)valeronitrile] 01 ~ 1중량부를 각각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의 알지네이트 코팅방법”이 있고,
또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35456호(공개일자 : 2007.03.30.) “패드 인쇄 형판에 인접한 착색제(colorant) 컵 장치에 착색제를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착색제를 포함하는 착색제 용기와, 상기 착색제 용기 및 상기 컵 장치와 유체 연통하는 급송 도관과, 상기 급송 도관내의 착색제의 점도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급송 도관에 인접한, 상기 착색제 용기 외부의 직렬 점도계와, 상기 착색제 용기와 유체 연통하는 착색제 솔벤트를 포함하는 솔벤트 분배기와, 상기 급송 도관에 인접한 상기 직렬 점도계에 의해 수행된 점도 측정에 기초하여 상기 솔벤트 분배기로 착색제 솔벤트를 상기 착색제 용기내로 분배하도록 동작하는 제어 메커니즘, 및 상기 컵 장치와 상기 착색제 용기 사이에서 유체 연통하는 반환 도관을 포함하는 착색제 공급 시스템”이 알려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여러 국내 종래 기술이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80554호에서는 렌즈몰드를 인쇄하기 위한 점성 제어 및 착색제 순환에 관한 것이고, 이러한 구성은 연판에 인접해 있는 통풍구, 내부, 이 천정부 아래의 에어 갭을 포함하는 착색제 컵, 착색제를 포함하는 저장조, 저장조와 유체소통하는 공급 도관, 및 상기 컵과 유체소통하는 복귀 도관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구성되어 있고 이로 인해 기존 착색장치에 저장조 내에서 원하는 착색제의 조성 또는 점성을 능동적으로 제어하면서 착색제를 저장조로부터 컵으로 순환시키고 다시 컵으로부터 저장조로 복귀시키는 착색제 관리 시스템과, 또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35456호에서는 패드 인쇄를 위한 착색제 공급에 제시되어 있으나, 착색제 재료의 공급을 연속적이면서 순환되는 효과가 있을 착색제가 패턴인쇄형판에 노출된 상태에서 일정시간 다음 공정으로 대기시간까지 외부에 노출되는 동안 주변환경 또는 패턴인쇄형판의 열에 의해 휘발성을 갖는 착색제의 원료가 일부 증발되어 착색제가 성형몰드에 찍힐 수 없는 문제점과 또 열에 의해 착색제의 특성 재료가 빨리 소진되어 이에 대한 재료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33699호에서는 미용 칼라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중에서 고온 중합시 제어하기 어려운 점도와 저온 중합시 장시간 반응을 지속해야 하는 단점을 모두 보완하여 콘택트렌즈에 착색하는 잉크를 제조하는데 사용하는 결합 중합체를 최초 중합 반응을 고온으로 시작하여 최종 중합 반응을 저온으로 완결시켜 중합 시간의 단축과 함께 일정한 점도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결합 중합체를 얻을 수 있는 결합 중합체 조성비로 하고 있을 뿐 제조공정에서 발생되는 열이나 주변 온도에 착색제가 성분이 달라지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구조 및 방법이 없는 문제점이 있고, 위 결합 중합체 조성비로도 내부에 휘발성 용매가 외부에 노출되는 작동공정중에 노출되어 착색제의 성분이 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820696호에서는 컬러 콘택트렌즈 코팅액 및 이의 제조방법중에서 여러성분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권리화된 코팅액을 구비하여 잉크층과 코팅층 및 각막 보호층 사이의 밀착도를 높여 색소 내포성이 확보되어 사용자의 눈꺼풀 안쪽이 잉크층과 직접 접촉하여 발생하는 염증이나 변색 등의 부작용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도록 구비한 것과, 또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910298호에서는 컬러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컬러 콘택트렌즈중에서 부식판에 원하는 형상의 디자인을 채색하는 부식단계, 상기 디자인이 형성된 부식판에 채색부 형성용 조성하는 프린팅단계, 상기 프린팅된 채색부 형성용 조성물을 실리콘패드부착하는 부착단계, 상기 채색부 형성용 조성물로 구성된 디자인을 몰드에 이전하기 위하여 실리콘패드를 몰드 상에 프린팅하는 단계, 상기 채색부 형성용 조성물의 중합율이 60 내지 80%가 될 때까지 UV를 8 내지 25분간 조사하고 상기 조성물을 중합하여 채색부를 형성단계, 상기 채색부의 상부에 렌즈 형성용 고분자를 도포하여 렌즈를 구비하는 형성단계로 구성한 것과, 또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810370호에서는 콘택트렌즈의 알지네이트 코팅방법을 제시하면서 특정비율로 혼합된 코팅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나, 착색제 성분 중에 휘발성을 갖는 성분이 패턴인쇄형판에 인쇄되어 외부로 노출될 때 열에 의해 증발되는 문제점으로 인해 착색제 비율 확보가 어려워 성형몰드에 정밀하게 착색되지 못해 눈꺼풀 안쪽이 잉크층과 직접 접촉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앞서 종래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80554호 및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35456호에 있는 착색장치는 착색제가 인쇄 패드에 연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되, 잉크컵과 패턴인쇄형판이 매우 반복적으로 마찰되는 문제점으로 인해 상기 잉크컵과 패턴인쇄형판 자체에 열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잉크컵과 패턴인쇄형판에 열이 발생하여 착색제의 성분 중에서 색소분말과 휘발성 성질을 갖는 용매가 열에 의해 자연증발이 촉진되는 문제점에 의해 착색제가 용매특성상 외부에 노출됨과 동시에 색소가 굵어지고 동시에 점성의 증가로 인해 뭉쳐져 성형몰드에 착색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내재 되어 있어 이에 개선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 있다.
·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80554호(공개일자 : 2006.07.10.) ·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33699호(공개일자 : 2006.04.19.) ·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820696호(공개일자 : 2018.01.23.) ·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910298호(공개일자 : 2009.08.03.) ·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810370호(공개일자 : 2017.12.18.) ·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35456호(공개일자 : 2007.03.30.)
없음
본 발명은 종래의 제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착색장치의 문양패턴 착색 작업공정중에 잉크컵의 세라믹잉크컵링에서 발생되는 마찰열과 패턴인쇄형판에서 발생되는 열을 감소시키는 온도저감수단을 갖는 착색장치를 구비하여 문양패턴이 착색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구비하고,
상기 공간을 축소하고 작동효율성을 증대시킨 소재공급배출유닛과 착색제의 공급을 효율적으로 개선시킨 착화제공급피더를 구비하여 착색효율과 착색제 재료 사용을 감소시켜 많은 문양패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한 착색제 원료 손실방지구조를 갖는 콘택트렌즈 문양 패턴 착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은 다양한 색상 패턴을 갖는 콘텍트렌즈(R)를 생산하기 위해 용매와 색소분말을 일정비율로 혼합시킨 착색제(C)를 주원료 소재로 제조하는 착색장치에 있어서, 상기 착색제(C)를 성형몰드(510)의 표면에 착색시킬 때 작업공정온도에 의해 착색제(C)의 성분 중 휘발성 용매성분이 열에 의해 증발이 촉진되어 착색제(C)의 점성이 굵어지고 색소분말의 사용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문양 패턴 착색장치(A)를 구비한다.
상기 문양 패턴 착색장치(A)는 지면에 이동 또는 고정되는 각형 형태의 구조물을 갖는 프레임(1f)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1f)의 상측 양측에 대칭으로 수직프레임(1b)(1c)을 구비하며, 상기 수직프레임(1b)(1c)의 사이에는 작업판(1a)을 구비하고, 상기 작업판(1a)의 상측에는 수평프레임(1d)을 구비한 몸체(1)를 구비한 것과,
상기 몸체(1)의 작업판(1a) 상부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레일(202)을 구비하고, 상기 각 가이드레일(202)의 상면에는 가이드블럭(201a)을 구비하되, 그 가이드블럭(201a)의 상측에 고정설치되어 이동되는 이동판(201)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판(201)의 중심 하측에는 모터(M)의 동력을 인가받아 회전되는 타이밍벨트(205)가 풀리(205a)(205b)를 회전되도록 상기 작업판(1a)의 상측에 구비하되, 상기 풀리(205a)(205b)의 중심에는 나사회전축(205c)의 정역회전에 따라 좌·우 이동되는 이동블럭(204)이 고정설치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이동판(201)의 상측에는 측면에서 탈부착형태로 끼워져 고정설치되는 인쇄형판고정틀(210)을 구비하고, 상기 인쇄형판고정틀(210)의 상측에는 길이방향으로 렌즈 성형몰드(510)에 색깔을 입히는 착색제(C)가 미세 음각문양홈(221)에 채워진 패턴인쇄형판(220)이 고정설치되도록 구비한 소재공급배출유닛(2)을 구비한 것과,
상기 소재공급배출유닛(2)의 인쇄형판고정틀(210)과 패턴인쇄형판(220)에는 선택적으로 착색제(C)의 성분 중에서 열에 의한 자연증발에 따른 착색제(C) 불량률을 낮출 수 있는 온도저감수단(F)을 구비한 것과,
상기 소재공급배출유닛(2)의 상측 인쇄형판고정틀(210)에 착색제(C)가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프레임(1b)(1c) 사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브라켓(3a)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브라켓(3a)의 내측으로 하나 이상의 지지브라켓(3b)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브라켓(3b)의 내측 하단으로 안착브라켓(301)을 구비하고, 상기 안착브라켓(301)에는 착화제공급피더(3)를 구비한 것과,
상기 착화제공급피더(3)의 전측에는 상기 수평프레임(1d)의 상측에 고정설치되는 지지브라켓(402)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브라켓(402)의 상측에는 승하강모터(M2)가 고정설치되며, 상기 승하강모터(M2)의 아래 측 중심에는 커플링(401)이 연결되어 정·역회전 되는 나사회전축봉(403)을 구비하고, 상기 나사회전축봉(403)에는 상·하로 승하강하는 이동블럭(404)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블럭(404)의 전측에는 양측 가이드레일(406)을 따라 위·아래측으로 움직이는 가이드블럭(407)의 외측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판(405)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판(405)의 아래 측에는 최소 하나 이상의 가압축(420)을 구비하되, 그 아래 측에는 실리콘패드(410)가 고정설치되도록 구비한 착화제착색유닛(4)을 구비한 것과,
상기 착화제착색유닛(4)의 수직선상 아래측 작업판(1a)에는 상기 작업판(1a)의 상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지지대(530)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대(530)의 상측에는 받침대(520)를 구비하며, 상기 받침대(520)의 상측에는 하나 이상의 정위치세팅핀(520a)을 구비하고, 상기 정위치세팅핀(520a)의 상측에 끼워지는 성형몰드(510)를 구비한 몰드설치대(5)를 구비한 것과,
상기 몰드설치대(5)에 구비된 성형몰드(510)는 순차적으로 상기 착화제착색유닛(4)의 실리콘패드(410) 외면에 착색된 착색제(C)를 착색하여 다음 위치로 픽업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몰드픽업 이동유닛(6)을 구비하고,
상기 온도저감수단(F)은 상기 착화제공급피더(3)의 잉크컵(330)에 설치된 세라믹잉크컵링(340)이 상기 패턴인쇄형판(220)의 상면이동면(220a)에 마찰되면서 전·후진되어 발생하는 마찰열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패턴인쇄형판(220)의 측면에는 외부로부터 저온순환기(미도시)를 통해 냉수를 공급받아 상기 패턴인쇄형판(220)의 상면이동면(220a)의 온도가 10~25℃ 유지될 수 있도록 냉수연결라인(G)을 구비하며,
상기 착화제공급피더(3)는 꺾임 형태의 안착브라켓(301)의 내측중심으로 내주면에 나사산을 구비하고 통공형태의 체결홈(301a)을 구비하고, 상기 체결홈(301a)에 나사 결합하는 조절축(302b)을 구비하며, 상기 조절축(302b)은 중심이 관통된 통공(303)을 구비하되, 그 조절축(302b)의 아래 측 외주면에는 결합나사산(302c)과 상측 외주면에는 나사산(302a)을 구비하고, 상기 나사산(302a)의 상측에는 조절형 조절레버(302)를 구비하며, 상기 조절레버(302)의 중심 통공(303)의 상측 내주면에는 나사홈(304)을 구비하되, 그 아래 측 중심으로 원형 축봉형태의 걸림턱(305a)을 갖는 가압핀(305)이 삽설되어 구멍(302d)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가압핀(305)의 상측으로는 탄성스프링(306)이 삽설되되, 그 탄성스프링(306)의 상측에는 가이드핀(311)을 구비한 조절핀(310)이 나사홈(304)에 체결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조절핀(310)의 상측 중심에는 렌치홈(313)과 외주면에는 상기 나사홈(304)과 체결고정되는 나사산(312)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나사산(302c)의 외주면에는 편측에 조절마개(331)가 체결고정되되, 내부에 착색제(C)가 채워지는 공간을 갖는 잉크컵(330)을 구비하며, 상기 잉크컵(330)의 아래 측 외주면에는 밀폐용 고무링(345)이 끼워지는 세라믹잉크컵링(340)을 구비하고,
상기 몰드픽업 이동유닛(6)은 상기 몰드설치대(5)의 전측에 수평형 고정프레임(601)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프레임(601)의 상측에는 가이드레일(602)을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레일(602)의 상측에는 이동블럭(603)이 구비된 지지판(604)을 구비한 다음, 상기 고정프레임(601)의 편 측에 가압축봉(661)을 구비한 가압실린더(660)를 설치하여 상기 가압축봉(661)이 지지판(604)을 좌·우로 이동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지지판(604)의 상측에는 꺾임브라켓(610)을 구비하며, 상기 꺾임브라켓(610)의 내측에는 승강실린더(611)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실린더(611)의 상측에는 승강축봉(612)을 구비하며, 상기 승강축봉(612)의 상측에는 수평판(613)을 구비하고, 상기 수평판(613)의 상면에는 공압에 의해 절첩회전되는 회전브라켓(651)(652)을 대칭으로 구비한 픽업유닛(650)을 구비하며,
상기 몰드픽업 이동유닛(6)에는 상기 몸체(1)의 외측 편 측에 몰드설치대(5)로 성형몰드(510)를 연속적으로 공급시키는 진동형 몰드공급유닛(8)을 구비하고,
상기 온도저감수단(F)은 상기 패턴인쇄형판(220)에서 착색제 공급 공정시 발생되는 마찰열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인쇄형판고정틀(210)의 측면에는 상부로 개방홈(210c)을 구비하되, 그 일측 또는 타측 외부로부터 저온순환기(미도시)를 통해 냉수를 공급받아 상기 인쇄형판고정틀(210)의 외면 온도가 10~25℃ 유지될 수 있도록 냉수연결라인(G-1)을 구비하며,
상기 냉수연결라인(G)은 상기 패턴인쇄형판(220)의 내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되는 냉수이송라인(G1)을 일정한 간격으로 균일하게 구비하고, 상기 각 냉수이송라인(G1)은 외면에 연결이송튜브(G2)가 설치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연결이송튜브(G2)의 양측 끝단에는 냉수가 공급되고 배출되는 유입단자(G3)와 배출단자(G4)를 구비한 것과,
상기 냉수이송라인(G1)의 냉수의 냉기전도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수지 또는 금속재질의 배관(G5)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구비하고,
상기 배관(G5)에는 냉기전도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상측방향으로 돌출형태의 미세냉기이동로(290)를 구비하며,
상기 냉수연결라인(G-1)은 상기 인쇄형판고정틀(210)의 양측면에 관통되는 냉수이송라인(G-10)을 일정한 간격으로 균일하게 구비하고, 상기 각 냉수이송라인(G-10)의 외면에는 연결이송튜브(G-20)를 설치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연결이송튜브(G-10)의 양측 끝단에는 냉수가 공급되고 배출되는 유입단자(G-30)와 배출단자(G-40)를 구비한 것과,
상기 냉수이송라인(G-10)의 냉수의 냉기전도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수지 또는 금속재질의 배관(G-50)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착색제 원료 손실방지구조를 갖는 콘택트렌즈 문양 패턴 착색장치는 착색제 재료의 공급을 연속적 또는 선택적으로 공급하여도 패턴인쇄형판의 상면이동면에 마찰에 의한 열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저온순환기에 의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여 오랜 시간 연속마찰과 공정간 대기시간까지 발생되는 휘발성 용매의 증발을 최소화시켜 착색제의 색상분말이 굵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점성을 유지할 수 있어 성형몰드에 골고루 착색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또, 이러한 증발되는 온도를 제어하여 착색제 원재료의 소모량을 획기적으로 줄여 성형몰드에 찬착된 렌즈에 착색제를 착색시킬 때 적은 재료로도 똑같은 착색 품질을 얻을 수 있어 생산원가를 절감시켜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또, 온도저감수단이 적용된 패턴인쇄형판은 음각문양홈에 채워진 착색제가 실리콘패드에 점착되어 성형몰드에 착색될 때까지 냉기에 의해 일정한 온도가 유지되어 휘발성이 감쇠된 상태에서 착색되어 착색품질이 우수하고 착색 재료의 소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또한, 착색공정중에 발생되는 공정중에 발생되는 열 또는 패턴인쇄형판의 열에 의한 착색제의 성분비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등 그 기대하는 바가 실로 다대한 발명이다.
도 1 내지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착화제공급피더와 소재공급배출유닛의 바람직한 실시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착화제공급피더의 부분파절 단면 확대 예시도
도 6 내지도 7은 본 발명의 온도저감수단 및 응용 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 내지도 9는 본 발명의 착화제착색유닛의 작동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0 내지도 13은 본 발명의 몰드픽업 이동유닛의 작동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색상 패턴을 갖는 콘텍트렌즈(R)를 생산하기 위해 용매와 색소분말을 일정비율로 혼합시킨 착색제(C)를 주원료 소재로 제조하는 착색장치에 있어서,
상기 착색제(C)를 성형몰드(510)의 표면에 착색시킬 때 작업공정온도에 의해 착색제(C)의 성분 중 휘발성 용매성분이 열에 의해 증발이 촉진되어 착색제(C)의 점성이 굵어지고 색소분말의 사용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문양 패턴 착색장치(A)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문양 패턴 착색장치(A)는,
지면에 이동 또는 고정되는 각형 형태의 구조물을 갖는 프레임(1f)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1f)의 상측 양측에 대칭으로 수직프레임(1b)(1c)을 구비하며, 상기 수직프레임(1b)(1c)의 사이에는 작업판(1a)을 구비하고, 상기 작업판(1a)의 상측에는 수평프레임(1d)을 구비한 몸체(1)를 구비한 것과,
도 2 내지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의 작업판(1a) 상부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레일(202)을 구비하고, 상기 각 가이드레일(202)의 상면에는 가이드블럭(201a)을 구비하되, 그 가이드블럭(201a)의 상측에 고정설치되어 이동되는 이동판(201)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판(201)의 중심 하측에는 모터(M)의 동력을 인가받아 회전되는 타이밍벨트(205)가 풀리(205a)(205b)를 회전되도록 상기 작업판(1a)의 상측에 구비하되, 상기 풀리(205a)(205b)의 중심에는 나사회전축(205c)의 정역회전에 따라 좌·우 이동되는 이동블럭(204)이 고정설치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이동판(201)의 상측에는 측면에서 탈부착형태로 끼워져 고정설치되는 인쇄형판고정틀(210)을 구비하고, 상기 인쇄형판고정틀(210)의 상측에는 길이방향으로 렌즈성형몰드(510)에 색깔을 입히는 착색제(C)가 미세 음각문양홈(221)에 채워진 패턴인쇄형판(220)이 고정설치되도록 구비한 소재공급배출유닛(2)을 구비한 것과,
도 6 내지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재공급배출유닛(2)의 인쇄형판고정틀(210)과 패턴인쇄형판(220)에는 선택적으로 착색제(C)의 성분 중에서 열에 의한 자연증발에 따른 착색제(C) 불량률을 낮출 수 있는 온도저감수단(F)을 구비한 것과,
도 1 내지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재공급배출유닛(2)의 상측 인쇄형판고정틀(210)에 착색제(C)가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프레임(1b)(1c) 사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브라켓(3a)을 구비하고,상기 고정브라켓(3a)의 내측으로 하나 이상의 지지브라켓(3b)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브라켓(3b)의 내측 하단으로 안착브라켓(301)을 구비하고, 상기 안착브라켓(301)에는 착화제공급피더(3)를 구비한 것과,
도 8 내지도 9에 도시된바와 같이 상기 착화제공급피더(3)의 전측에는 상기 수평프레임(1d)의 상측에 고정설치되는 지지브라켓(402)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브라켓(402)의 상측에는 승하강모터(M2)가 고정설치되며, 상기 승하강모터(M2)의 아래 측 중심에는 커플링(401)이 연결되어 정·역회전 되는 나사회전축봉(403)을 구비하고, 상기 나사회전축봉(403)에는 상·하로 승하강하는 이동블럭(404)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블럭(404)의 전측에는 양측 가이드레일(406)을 따라 위·아래측으로 움직이는 가이드블럭(407)의 외측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판(405)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판(405)의 아래 측에는 최소 하나 이상의 가압축(420)을 구비하되, 그 아래 측에는 실리콘패드(410)가 고정설치되도록 구비한 착화제착색유닛(4)을 구비한 것과,
상기 착화제착색유닛(4)의 수직선상 아래측 작업판(1a)에는 상기 작업판(1a)의 상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지지대(530)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대(530)의 상측에는 받침대(520)를 구비하며, 상기 받침대(520)의 상측에는 하나 이상의 정위치세팅핀(520a)을 구비하고, 상기 정위치세팅핀(520a)의 상측에 끼워지는 성형몰드(510)를 구비한 몰드설치대(5)를 구비한 것과,
도 10 내지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몰드설치대(5)에 구비된 성형몰드(510)는 순차적으로 상기 착화제착색유닛(4)의 실리콘패드(410) 외면에 착색된 착색제(C)를 착색하여 다음 위치로 픽업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몰드픽업 이동유닛(6)을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도 1 내지도 4와 도 6 내지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온도저감수단(F)은 상기 착화제공급피더(3)의 잉크컵(330)에 설치된 세라믹잉크컵링(340)이 상기 패턴인쇄형판(220)의 상면이동면(220a)에 마찰되면서 전·후진되어 발생하는 마찰열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패턴인쇄형판(220)의 측면에는 외부로부터 저온순환기(미도시)를 통해 냉수를 공급받아 상기 패턴인쇄형판(220)의 상면이동면(220a)의 온도가 10~25℃ 유지될 수 있도록 냉수연결라인(G)을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도 2 내지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화제공급피더(3)는 꺾임 형태의 안착브라켓(301)의 내측중심으로 내주면에 나사산을 구비하고 통공형태의 체결홈(301a)을 구비하고, 상기 체결홈(301a)에 나사 결합하는 조절축(302b)을 구비하며, 상기 조절축(302b)은 중심이 관통된 통공(303)을 구비하되, 그 조절축(302b)의 아래 측 외주면에는 결합나사산(302c)과 상측 외주면에는 나사산(302a)을 구비하고, 상기 나사산(302a)의 상측에는 조절형 조절레버(302)를 구비하며, 상기 조절레버(302)의 중심 통공(303)의 상측 내주면에는 나사홈(304)을 구비하되, 그 아래 측 중심으로 원형 축봉형태의 걸림턱(305a)을 갖는 가압핀(305)이 삽설되어 구멍(302d)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가압핀(305)의 상측으로는 탄성스프링(306)이 삽설되되, 그 탄성스프링(306)의 상측에는 가이드핀(311)을 구비한 조절핀(310)이 나사홈(304)에 체결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조절핀(310)의 상측 중심에는 렌치홈(313)과 외주면에는 상기 나사홈(304)과 체결고정되는 나사산(312)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나사산(302c)의 외주면에는 편측에 조절마개(331)가 체결고정되되, 내부에 착색제(C)가 채워지는 공간을 갖는 잉크컵(330)을 구비하며, 상기 잉크컵(330)의 아래 측 외주면에는 밀폐용 고무링(345)이 끼워지는 세라믹잉크컵링(340)을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도 10 내지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몰드픽업 이동유닛(6)은 상기 몰드설치대(5)의 전측에 수평형 고정프레임(601)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프레임(601)의 상측에는 가이드레일(602)을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레일(602)의 상측에는 이동블럭(603)이 구비된 지지판(604)을 구비한 다음, 상기 고정프레임(601)의 편 측에 가압축봉(661)을 구비한 가압실린더(660)를 설치하여 상기 가압축봉(661)이 지지판(604)을 좌·우로 이동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지지판(604)의 상측에는 꺾임브라켓(610)을 구비하며, 상기 꺾임브라켓(610)의 내측에는 승강실린더(611)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실린더(611)의 상측에는 승강축봉(612)을 구비하며, 상기 승강축봉(612)의 상측에는 수평판(613)을 구비하고, 상기 수평판(613)의 상면에는 공압에 의해 절첩회전되는 회전브라켓(651)(652)을 대칭으로 구비한 픽업유닛(650)을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도 1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몰드픽업 이동유닛(6)에는 상기 몸체(1)의 외측 편 측에 몰드설치대(5)로 성형몰드(510)를 연속적으로 공급시키는 진동형 몰드공급유닛(8)을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온도저감수단(F)은 상기 패턴인쇄형판(220)에서 착색제 공급 공정시 발생되는 마찰열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인쇄형판고정틀(210)의 측면에는 상부로 개방홈(210c)을 구비하되, 그 일측 또는 타측 외부로부터 저온순환기(미도시)를 통해 냉수를 공급받아 상기 인쇄형판고정틀(210)의 외면 온도가 10~25℃ 유지될 수 있도록 냉수연결라인(G-1)을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수연결라인(G)은 상기 패턴인쇄형판(220)의 내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되는 냉수이송라인(G1)을 일정한 간격으로 균일하게 구비하고, 상기 각 냉수이송라인(G1)은 외면에 연결이송튜브(G2)가 설치되도록 구비하며,상기 연결이송튜브(G2)의 양측 끝단에는 냉수가 공급되고 배출되는 유입단자(G3)와 배출단자(G4)를 구비한 것과,
상기 냉수이송라인(G1)의 냉수의 냉기전도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수지 또는 금속재질의 배관(G5)이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관(G5)은 상시 냉기전도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상측방향으로 돌출형태의 미세냉기이동로(290)를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수연결라인(G-1)은 상기 인쇄형판고정틀(210)의 양측면에 관통되는 냉수이송라인(G-10)을 일정한 간격으로 균일하게 구비하고, 상기 각 냉수이송라인(G-10)의 외면에는 연결이송튜브(G-20)를 설치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연결이송튜브(G-10)의 양측 끝단에는 냉수가 공급되고 배출되는 유입단자(G-30)와 배출단자(G-40)를 구비한 것과,
상기 냉수이송라인(G-10)의 냉수의 냉기전도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수지 또는 금속재질의 배관(G-50)을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도 1 내지도 13에 도시된 착색제 원료 손실방지구조를 갖는 콘택트렌즈 문양 패턴 착색장치는,
다양한 색상의 패턴을 렌즈(R) 포면에 착색시키 위한 착생장치에서 착색제(C)의 소재중 휘발성 용매성분이 있는 착색제(C)가 착색공정중에 발생되는 마찰열 또는 인접한 열에 의해 용매성분의 증발이 촉진되어 착색제(C)의 점성이 굵어지고 색소분말의 사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온도저감수단(F)을 갖는 문양 패턴 착색장치(A)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문양 패턴 착색장치(A)는 각 부품유닛들을 고정설치하기 위해 프레임(1f), 수직프레임(1b)(1c), 작업판(1a)을 구비한 몸체(1)를 구비한 상태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성형몰드(510)를 진동에 의해 공급되도록 하는 몰드공급유닛(8)로부터 공급되는 성형몰드(510)를 몰드설치대(5)에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위해 몰드픽업 이동유닛(6)에 의해 성형몰드(510)가 공급되어 순차적인 문양패턴 착색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동하고,
상기 몰드공급유닛(8)과 몰드픽업 이동유닛(6)은 선택적으로 작동화 시킬 수 있도록 함을 기존 구조로 하고 있으나,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선택적으로 상기 몰드설치대(5)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설치대(5)는 상기 작업판(1a)의 외측 편측에 길이방향으로 지지대(530)를 구비한 상태에서, 그 상측에 지지대(530)를 구비한다음 상기 받침대(520)에 구비되는 성형몰드(510)에 삽입되어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외부에서 일시적으로 공압에 의해 진공이 유지되어 당김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정위치세팅핀(520a)에 거치되도록 작동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위치세팅핀(520a)에 삽입되어 거취된 성형몰드(510)에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색제(C)를 연속적으로 공급시켜 작동화 공정에 의해 착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양측 수직프레임(1b)(1c)사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브라켓(3a)을 구비하고, 그 고정브라켓(3a)의 내측에 하나 이상의 지지브라켓(3b)이 고정되도록 하고 그 아래측 내측에는 안착브라켓(301)을 고정설치시키고,
상기 안착브라켓(301)에는 착색제(C)를 공급시키는 착화제공급피더(3)을 구비하여 착화제공급피더(3)에서 공급되는 착색제(C)는 소재공급배출유닛(2)에 의해 착색제가 음각문양홈(221)에 소량씩 채워져 렌즈(R)에 착색될 수 있도록 공급작동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재공급배출유닛(2)은 작업판(1a)의 저부에 설치된 모터(M)의 동력을 인가받아 회전되는 풀리(205a)(205b)와 타이밍벨트(205)에 의해 나사회전축(205c)이 회전되도록 작동하고,
상기 나사회전축(205c)의 정역회전에 따라 이동블럭(204)의 상측에 고정설치된 이동판(201)이 좌·우로 왕복슬라이딩 되도록 작동하며,
상기 이동판(201)의 원활하 슬라이딩 왕복동 작동을 위해 가이드블럭(201a)이 작업판(1a)의 상면에 고정설치되어 슬라이딩 작동이 이루어지도록하고,
상기 이동판(201)의 상측에는 측면에서 삽설되어 고정설치되는 인쇄형판고정틀(210)을 구비하여, 그 상측에 음각문양홈(221)을 구비한 패턴인쇄형판(220)이 탈부착 형태로 고정설치되어 상기 이동판(201)의 슬라이딩 왕복동운동에 따라 상기 음각문양홈(221)에 착색제(C)가 채워지도록 작동하고,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쇄형판고정틀(210)과 패턴인쇄형판(220)에는 선택적으로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는 온도저감수단(F)이 적용되어 연속적인 반복작업에 의해 발생되는 패턴인쇄형판(220)과 인쇄형판고정틀(21)과 잉크컵(330)과 세라믹잉크컵링(340)의 상호 왕복작동에 따른 주변 또는 마찰열에 의해 착색제 고유의 응집력과 점착성이 떨어져 착색제 원료사용 증가와 제품불량을 방지하도록 작동하며,
상기 착화제공급피더(3)의 전측에는 착화제착색유닛(4)을 구비하여, 상기 실리콘패드(410)가 상기 패턴인쇄형판(220)의 음각문양홈(221)에 채워진 착색제(C)가 정위치세팅핀(520a)에 삽설된 상태의 성형몰드(510)의 상면 렌즈(R)의 외면에 착색제(C)가 착색되도록 하기 위해서,
수평축(1d)의 상측에 고정설치되는 지지브라켓(402)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브라켓(402)의 상측에는 승하강모터(M2)가 고정설치되어 수직 아래측 나사회전축봉(403)이 정·역회전이 발생되도록 작동하고,
상기 나사회전축봉(403)을 따라 위아래로 왕복운동하는 이동블럭(404)의 전측에 설치되는 프레임(1f)의 양측에 고정설치되는 가이드레일(406)을 따라 승하강하는 고정판(405)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판(405)이 수직방향으로 승하강모터(M2)의 정역회전에 따라 조절되도록 작동하며,
상기 고정판(405)의 아래측에는 최소 하나이상의 가압축(420)을 구비한 다음, 그 가압축(420)의 아래측에는 탈부착 형태의 실리콘패드(410)가 설치되어 상기 착색제(C)를 점착시켜 렌즈(R)의 상면에 착색되도록 작동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색제(C)의 용매의 휘발성을 최소화 시키도록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패턴인쇄형판(220)의 측면에는 순환타입형 냉수 저온순환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상면이동면(220a)의 온도가 10~25℃를 유지할 수 있도록 냉수연결라인(G)을 구비하여 마찰중에 발생되는 열에 의한 착색제(C)의 재료소모를 절감할 수 있도록 작동하며,
상기 냉수연결라인(G)은 상기 패드인쇄형판(220)의 내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하되 연결이송튜브(G2)에 의해 냉기가 이동되도록 작동하고,
상기 연결이송튜브(G2)의 양측 끝단에는 냉수 유입과 배출을 위한 유입단자(G3)와 배출단자(G4)에 의해 저온순환기에 의해 냉수가 공급되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작동하며,
또한 상기 냉수이송라인(G1)의 냉수의 냉기전도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수리 또는 금속재질의 배관(G5)을 구비하여 냉기전도를 효율적으로 높일수 있도록 작동하고,
상기 배관(G5)의 상측에는 미세냉기이동로(290)를 구비하여 상기 패드인쇄형판(220)의 상측으로 냉기가 신속하게 전도되어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쇄형판고정틀(210)의 측면에는 저온순환기(미도시)를 통해 냉수를 공급받아 부식판고정틀(210)의 온도가 10~25℃를 유지할 수 있도록 냉수연결라인(G-1)을 구비하여 착색제(C)의 재료소모와 상기 패턴인쇄형판(220)의 열발생을 최소화되도록 작동하고,
상기 냉수연결라인(G-1)은 인쇄형판고정틀(210)의 측면에 패턴인쇄형판(210)의 양측면에 냉수이송라인(G-10)을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하되, 그 외면에 연결이송튜브(G-20)를 구비하여 냉수가 순환되도록 작동하며,
상기 냉수연결라인(G-1)에는 양측에 냉수 유입과 배출을 위한 유입단자(G-30)와 배출단자(G-40)를 구비하여 냉수가 순환되도록 작동하고,
상기 냉수이송라인(G-10)의 냉수전도 효율성을 증진을 위해 수지 또는 금속재질의 배관(G-50)을 구비하여 냉수의 전도 효율성을 증대되도록 작동한다.
도 5에 도시된 착화제공급피더(3)는 렌즈(R)의 패턴의 가지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하나이상 구비되어 설치되는 안착브라켓(301)이 고정되도록 설치한 다음,
상기 안착브라켓(301)의 중심에 통공형태의 체결홈(301a)에 조절축(302b)이 설치되어 상기 조절레버(302)에 의해 잉크컵(330)과 세라킥잉크컵링(34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작동하고,
상기 조절축(302b)의 중심에는 통공(303)을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통공(303)의 저면 외측에는 잉크컵(330)과 고정체결을 위한 결합나사산(302c)에 고정되어 체결고정되도록 작동하며,
상기 통공 중심에는 단턱형태의 구멍(302d)을 구비하되, 그 구멍(302d)에는 상측 탄성스프링(306)의 가압력에 의해 일정한 압력으로 탄발되도록 조절되는 가이드핀(311)을 갖는 조절핀(310)이 설치되어 상기 잉크컵(330)의 내부 착색제(C)가 뭉치거나 골고루 섞이도록 작동하고,
상기 탄성스프링(306)의 상측에는 외부 렌치홈(313)과 나사산(312)을 갖는 가이드핀(311)에 의해 상기 가압핀(305)의 탄성정도를 외부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작동하며,
상기 잉크컵(330)의 편측에는 착색제(C)를 공급후 밀봉되어 재료의 증발을 방지하는 조절마개(331)를 구비하여 밀폐되도록 작동하고,
상기 잉크컵(330)의 하측 외면에는 세라믹잉크컵링(340)에 의해 상기 패턴인쇄형판(220)의 상면이동면(220a)에 착색제(C)가 채워진 상태에서 좌·우 이동되고, 상기 착색제(C)가 음각문양홈(221)에 채워져 이동될 때는 잔여 불필요한 착색제(C)가 마찰되면서 깨끗하게 수거되도록 작동하며,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몰드픽업유닛(6)은 몰드설치대(5)의 전측에 수평형 고정프레임(601)에 설치한 다음 상기 고정프레임(601)의 상측에 가이드레일(602)을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레일(602)의 상측에는 이동블럭(603)이 구비된 지지판(604)을 구비하여, 상기 지지판(604)이 좌·우로 슬라이딩되면서 왕복동 되도록 작동하고,
상기 지지판(604)이 슬라이딩 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601)의 편측에는 가압축봉(661)을 구비하는 가압실린더(660)가 상기 지지판(604)에 고정설치되어 전·후진 되도록 작동하며,
상기 지지판(604)의 상측에는 꺾임브라켓(610)을 구비하고, 그 외측으로 승강축봉(612)를 구비한 승강실린더(611)가 고정설치되어 상기 승강축봉(612)의 상측에 고정설치되는 수평판(613)에 하나 이상 일정한 간격으로 구분되어 설치되는 픽업유닛(650)을 구비하되, 그 픽업유닛(650)에는 내측으로 공압에 의해 벌리거나 축소되는 형태의 회전브라켓(651)(652)을 구비하여 상기 몰드설치대(5)에 설치된 정위치세팅핀(520a)에 순차적으로 이동되는 성형몰드(510)를 상기 착화제착색유닛(4)의 실리콘패드(410)에 의해 색상 또는 문양별로 착색되어 이동되면서 다양한 패턴작업을 연속적으로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작동한다.
A : 착색장치 C : 착삭제
F : 온도저감수단 G, G-1 : 냉수연결라인
G1, G-10 : 냉수이송라인 G2, G10, G20 : 연결이송튜브
G3, G-30 : 유입단자 G4, G-40 : 배출단자
G5, G-50 : 배관 R : 컨텍트렌즈
M: 모터 M2 : 승하강모터
1: 몸체 1a : 작업판
1b, 1c : 수직프레임 1d : 수평프레임
1f : 프레임 2 : 소재공급배출유닛
3 : 착화제공급피터 3a : 고정브라켓
3b : 지지브라켓 4 : 착화제착색유닛
5 : 몰드설치대 6 : 이동유닛
8 : 몰드공급유닛 201 : 이동판
201a : 가이드블럭 202 : 가이드레일
204 : 이동블럭 205 : 타이밍벨트
205a, 205b : 풀리 205c : 나사회전축
210 : 인쇄형판고정틀 210c : 개방홈
220: 패턴인쇄형판 220a : 상면이동면
221 : 음각문양홈 251 : 바디
290 : 미세냉기이동로 301 : 안착브라켓
301a : 체결홈 302 : 조절레버
302a : 나사산 302b : 조절축
302c : 결합나사산 302d : 구멍
303 : 통공 304 : 나사홈
305 : 가압핀 305a : 걸림턱
306 : 탄성스프링 310 : 조절핀
311 : 가이드핀 312 : 나사산
313 : 렌치홈 330 : 잉크컵
331 : 조절마개 340 : 세라믹잉크컵링
345 : 고무링 401 : 커플링
402 : 지지브라켓 403 : 나사회전축봉
404 : 이동블럭 405 : 고정판
406 : 가이드레일 407 : 가이드블럭
410 : 실리콘패드 420 : 가압축
510 : 성형몰드 520 : 받침대
520a : 정위치세팅핀 530 : 지지대
601 : 고정프레임 602 : 가이드레일
603 : 이동블럭 604 : 지지판
610 : 꺾임브라켓 611 : 승강실린더
612 : 승강축봉 613 : 수평판
650 : 픽업유닛 651, 652 : 회전프라켓
660 : 가압실린더 661 : 가압축봉

Claims (10)

  1. 다양한 색상 패턴을 갖는 콘텍트렌즈(R)를 생산하기 위해 용매와 색소분말을 일정비율로 혼합시킨 착색제(C)를 주원료 소재로 제조하는 착색장치에 있어서,

    상기 착색제(C)를 성형몰드(510)의 표면에 착색시킬 때 작업공정온도에 의해 착색제(C)의 성분 중 휘발성 용매성분이 열에 의해 증발이 촉진되어 착색제(C)의 점성이 굵어지고 색소분말의 사용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문양 패턴 착색장치(A)를 구비한 것과,

    상기 문양 패턴 착색장치(A)는,
    지면에 이동 또는 고정되는 각형 형태의 구조물을 갖는 프레임(1f)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1f)의 상측 양측에 대칭으로 수직프레임(1b)(1c)을 구비하며, 상기 수직프레임(1b)(1c)의 사이에는 작업판(1a)을 구비하고,
    상기 작업판(1a)의 상측에는 수평프레임(1d)을 구비한 몸체(1)를 구비한 것과,

    상기 몸체(1)의 작업판(1a) 상부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레일(202)을 구비하고,
    상기 각 가이드레일(202)의 상면에는 가이드블럭(201a)을 구비하되, 그 가이드블럭(201a)의 상측에 고정설치되어 이동되는 이동판(201)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판(201)의 중심 하측에는 모터(M)의 동력을 인가받아 회전되는 타이밍벨트(205)가 풀리(205a)(205b)를 회전되도록 상기 작업판(1a)의 상측에 구비하되, 상기 풀리(205a)(205b)의 중심에는 나사회전축(205c)의 정역회전에 따라 좌·우 이동되는 이동블럭(204)이 고정설치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이동판(201)의 상측에는 측면에서 탈부착형태로 끼워져 고정설치되는 인쇄형판고정틀(210)을 구비하고,
    상기 인쇄형판고정틀(210)의 상측에는 길이방향으로 렌즈성형몰드(510)에 색깔을 입히는 착색제(C)가 미세 음각문양홈(221)에 채워진 패턴인쇄형판(220)이 고정설치되도록 구비한 소재공급배출유닛(2)을 구비한 것과,

    상기 소재공급배출유닛(2)의 인쇄형판고정틀(210)과 패턴인쇄형판(220)에는 선택적으로 착색제(C)의 성분 중에서 열에 의한 자연증발에 따른 착색제(C) 불량률을 낮출 수 있는 온도저감수단(F)을 구비한 것과,

    상기 소재공급배출유닛(2)의 상측 인쇄형판고정틀(210)에 착색제(C)가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프레임(1b)(1c) 사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브라켓(3a)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브라켓(3a)의 내측으로 하나 이상의 지지브라켓(3b)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브라켓(3b)의 내측 하단으로 안착브라켓(301)을 구비하고,
    상기 안착브라켓(301)에는 착화제공급피더(3)를 구비한 것과,

    상기 착화제공급피더(3)의 전측에는,
    상기 수평프레임(1d)의 상측에 고정설치되는 지지브라켓(402)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브라켓(402)의 상측에는 승하강모터(M2)가 고정설치되며,
    상기 승하강모터(M2)의 아래 측 중심에는 커플링(401)이 연결되어 정·역회전 되는 나사회전축봉(403)을 구비하고,
    상기 나사회전축봉(403)에는 상·하로 승하강하는 이동블럭(404)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블럭(404)의 전측에는 양측 가이드레일(406)을 따라 위·아래측으로 움직이는 가이드블럭(407)의 외측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판(405)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판(405)의 아래 측에는 최소 하나 이상의 가압축(420)을 구비하되, 그 아래 측에는 실리콘패드(410)가 고정설치되도록 구비한 착화제착색유닛(4)을 구비한 것과,

    상기 착화제착색유닛(4)의 수직선상 아래측 작업판(1a)에는,
    상기 작업판(1a)의 상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지지대(530)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대(530)의 상측에는 받침대(520)를 구비하며,
    상기 받침대(520)의 상측에는 하나 이상의 정위치세팅핀(520a)을 구비하고,
    상기 정위치세팅핀(520a)의 상측에 끼워지는 성형몰드(510)를 구비한 몰드설치대(5)를 구비한 것과,

    상기 몰드설치대(5)에 구비된 성형몰드(510)는 순차적으로 상기 착화제착색유닛(4)의 실리콘패드(410) 외면에 착색된 착색제(C)를 착색하여 다음 위치로 픽업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몰드픽업 이동유닛(6)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착색제 원료 손실방지구조를 갖는 콘택트렌즈 문양 패턴 착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저감수단(F)은,
    상기 착화제공급피더(3)의 잉크컵(330)에 설치된 세라믹잉크컵링(340)이 상기 패턴인쇄형판(220)의 상면이동면(220a)에 마찰되면서 전·후진되어 발생하는 마찰열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패턴인쇄형판(220)의 측면에는 외부로부터 저온순환기(미도시)를 통해 냉수를 공급받아 상기 패턴인쇄형판(220)의 상면이동면(220a)의 온도가 10~25℃ 유지될 수 있도록 냉수연결라인(G)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착색제 원료 손실방지구조를 갖는 콘택트렌즈 문양 패턴 착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화제공급피더(3)는,
    꺾임 형태의 안착브라켓(301)의 내측중심으로 내주면에 나사산을 구비하고 통공형태의 체결홈(301a)을 구비하고,
    상기 체결홈(301a)에 나사 결합하는 조절축(302b)을 구비하며,
    상기 조절축(302b)은 중심이 관통된 통공(303)을 구비하되, 그 조절축(302b)의 아래 측 외주면에는 결합나사산(302c)과 상측 외주면에는 나사산(302a)을 구비하고,
    상기 나사산(302a)의 상측에는 조절형 조절레버(302)를 구비하며,
    상기 조절레버(302)의 중심 통공(303)의 상측 내주면에는 나사홈(304)을 구비하되, 그 아래 측 중심으로 원형 축봉형태의 걸림턱(305a)을 갖는 가압핀(305)이 삽설되어 구멍(302d)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가압핀(305)의 상측으로는 탄성스프링(306)이 삽설되되, 그 탄성스프링(306)의 상측에는 가이드핀(311)을 구비한 조절핀(310)이 나사홈(304)에 체결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조절핀(310)의 상측 중심에는 렌치홈(313)과 외주면에는 상기 나사홈(304)과 체결고정되는 나사산(312)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나사산(302c)의 외주면에는 편측에 조절마개(331)가 체결고정되되, 내부에 착색제(C)가 채워지는 공간을 갖는 잉크컵(330)을 구비하며,
    상기 잉크컵(330)의 아래 측 외주면에는 밀폐용 고무링(345)이 끼워지는 세라믹잉크컵링(34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착색제 원료 손실방지구조를 갖는 콘택트렌즈 문양 패턴 착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픽업 이동유닛(6)은,
    상기 몰드설치대(5)의 전측에 수평형 고정프레임(601)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프레임(601)의 상측에는 가이드레일(602)을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레일(602)의 상측에는 이동블럭(603)이 구비된 지지판(604)을 구비한 다음, 상기 고정프레임(601)의 편 측에 가압축봉(661)을 구비한 가압실린더(660)를 설치하여 상기 가압축봉(661)이 지지판(604)을 좌·우로 이동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지지판(604)의 상측에는 꺾임브라켓(610)을 구비하며,
    상기 꺾임브라켓(610)의 내측에는 승강실린더(611)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실린더(611)의 상측에는 승강축봉(612)을 구비하며,
    상기 승강축봉(612)의 상측에는 수평판(613)을 구비하고,
    상기 수평판(613)의 상면에는 공압에 의해 절첩회전되는 회전브라켓(651)(652)을 대칭으로 구비한 픽업유닛(65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착색제 원료 손실방지구조를 갖는 콘택트렌즈 문양 패턴 착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픽업 이동유닛(6)에는
    상기 몸체(1)의 외측 편 측에 몰드설치대(5)로 성형몰드(510)를 연속적으로 공급시키는 진동형 몰드공급유닛(8)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착색제 원료 손실방지구조를 갖는 콘택트렌즈 문양 패턴 착색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저감수단(F)은,
    상기 패턴인쇄형판(220)에서 착색제 공급 공정시 발생되는 마찰열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인쇄형판고정틀(210)의 측면에는 상부로 개방홈(210c)을 구비하되, 그 일측 또는 타측 외부로부터 저온순환기(미도시)를 통해 냉수를 공급받아 상기 인쇄형판고정틀(210)의 외면 온도가 10~25℃ 유지될 수 있도록 냉수연결라인(G-1)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착색제 원료 손실방지구조를 갖는 콘택트렌즈 문양 패턴 착색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연결라인(G)은,
    상기 패턴인쇄형판(220)의 내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되는 냉수이송라인(G1)을 일정한 간격으로 균일하게 구비하고,
    상기 각 냉수이송라인(G1)은 외면에 연결이송튜브(G2)가 설치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연결이송튜브(G2)의 양측 끝단에는 냉수가 공급되고 배출되는 유입단자(G3)와 배출단자(G4)를 구비한 것과,

    상기 냉수이송라인(G1)의 냉수의 냉기전도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수지 또는 금속재질의 배관(G5)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착색제 원료 손실방지구조를 갖는 콘택트렌즈 문양 패턴 착색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G5)은.
    상시 냉기전도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상측방향으로 돌출형태의 미세냉기이동로(29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착색제 원료 손실방지구조를 갖는 콘택트렌즈 문양 패턴 착색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연결라인(G-1)은,
    상기 인쇄형판고정틀(210)의 양측면에 관통되는 냉수이송라인(G-10)을 일정한 간격으로 균일하게 구비하고,
    상기 각 냉수이송라인(G-10)의 외면에는 연결이송튜브(G-20)를 설치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연결이송튜브(G-20)의 양측 끝단에는 냉수가 공급되고 배출되는 유입단자(G-30)와 배출단자(G-40)를 구비한 것과,
    상기 냉수이송라인(G-10)의 냉수의 냉기전도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수지 또는 금속재질의 배관(G-50)을 구비한 한 착색제 원료 손실방지구조를 갖는 콘택트렌즈 문양 패턴 착색장치
  10. 삭제
KR1020190092103A 2019-07-30 2019-07-30 착색제 원료 손실방지구조를 갖는 콘택트렌즈 문양 패턴 착색장치 KR102153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103A KR102153472B1 (ko) 2019-07-30 2019-07-30 착색제 원료 손실방지구조를 갖는 콘택트렌즈 문양 패턴 착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103A KR102153472B1 (ko) 2019-07-30 2019-07-30 착색제 원료 손실방지구조를 갖는 콘택트렌즈 문양 패턴 착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3472B1 true KR102153472B1 (ko) 2020-09-08

Family

ID=72471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2103A KR102153472B1 (ko) 2019-07-30 2019-07-30 착색제 원료 손실방지구조를 갖는 콘택트렌즈 문양 패턴 착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47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3699A (ko) 2005-08-31 2006-04-19 (주)엔보이비젼 미용 칼라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KR20060080554A (ko) 2005-01-05 2006-07-10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렌즈 몰드들을 인쇄하기 위한 점성 제어 및 착색제 순환
KR20070035456A (ko) 2005-09-27 2007-03-30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패드 인쇄를 위한 착색제 공급
KR100836518B1 (ko) * 2001-02-23 2008-06-12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착색 콘택트 렌즈에 사용되는 착색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10298B1 (ko) 2009-01-24 2009-08-03 (주)드림콘 컬러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컬러 콘택트렌즈
KR101810370B1 (ko) 2017-06-09 2017-12-18 (주)비젼사이언스 콘텍트렌즈의 알지네이트 코팅방법
KR101820696B1 (ko) 2017-03-16 2018-01-23 주식회사 인터로조 컬러 콘택트렌즈 코팅액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518B1 (ko) * 2001-02-23 2008-06-12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착색 콘택트 렌즈에 사용되는 착색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60080554A (ko) 2005-01-05 2006-07-10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렌즈 몰드들을 인쇄하기 위한 점성 제어 및 착색제 순환
KR20060033699A (ko) 2005-08-31 2006-04-19 (주)엔보이비젼 미용 칼라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KR20070035456A (ko) 2005-09-27 2007-03-30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패드 인쇄를 위한 착색제 공급
KR100910298B1 (ko) 2009-01-24 2009-08-03 (주)드림콘 컬러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컬러 콘택트렌즈
KR101820696B1 (ko) 2017-03-16 2018-01-23 주식회사 인터로조 컬러 콘택트렌즈 코팅액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10370B1 (ko) 2017-06-09 2017-12-18 (주)비젼사이언스 콘텍트렌즈의 알지네이트 코팅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없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96896B1 (en) Pad printing method for making colored contact lenses
CN101765494B (zh) 塑料透镜的制造方法
EP0319760B1 (en) Hydrophilic colored contact lenses
EP1759824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plastic lenses
US6955832B2 (en) Colored printing ink for contact lenses
KR101912572B1 (ko) 콘택트 렌즈
JP4405385B2 (ja) 色付きコンタクトレンズの製造方法
EP2330161B1 (en) Dye composition for ophthalmic lens, method for producing colored ophthalmic lens using the same and colored ophthalmic lens
JP2001512249A (ja) 活性化光吸収レンズ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組成物
KR100773571B1 (ko) 콘택트렌즈 착색용 잉크페이스트 및 이를 이용한 컬러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NO342082B1 (no) Herdbare, fargede sverter for fremstilling av fargede silikonhydrogellinser
TW201006663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nk jet provided energy receptor
US4946269A (en) Colored contact lens
EP0699312B1 (en) Method for making colored contact lenses and color coating composition
CN1312239C (zh) 在着色的隐形眼镜中使用的着色剂及其制备方法
KR20050044682A (ko) 코팅 콘택트 렌즈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153472B1 (ko) 착색제 원료 손실방지구조를 갖는 콘택트렌즈 문양 패턴 착색장치
US7726237B2 (en) Printing apparatus for making colored contact lenses
CN101970516A (zh) 用于形成含有(甲基)丙烯酸酯的无规预聚物的方法
US20080018005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Plastic Lens, Gasket For Molding Plastic Lens, Casting Mold For Molding Plastic Lens, Casting Jig For Plastic Lens Starting Material Liquid, Holding Member For Plastic Lens Casting Mold, And Plastic Lens Manufacturing Apparatus
KR101981030B1 (ko) 안과용 렌즈 형성 광학체
KR20060033699A (ko) 미용 칼라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KR20020063382A (ko) 미용 칼라 콘택트렌즈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