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2839B1 - 도전성 페이스트의 인쇄 특성 향상을 위한 파라미터 및 이를 만족하는 도전성 페이스트 - Google Patents

도전성 페이스트의 인쇄 특성 향상을 위한 파라미터 및 이를 만족하는 도전성 페이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2839B1
KR102152839B1 KR1020180153128A KR20180153128A KR102152839B1 KR 102152839 B1 KR102152839 B1 KR 102152839B1 KR 1020180153128 A KR1020180153128 A KR 1020180153128A KR 20180153128 A KR20180153128 A KR 20180153128A KR 102152839 B1 KR102152839 B1 KR 102152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paste
viscosity
equation
parameter
rp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3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6071A (ko
Inventor
김충호
Original Assignee
엘에스니꼬동제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니꼬동제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니꼬동제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3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2839B1/ko
Priority to PCT/KR2019/016812 priority patent/WO2020111908A1/ko
Publication of KR20200066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6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2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metals or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8/00Enamels; Glazes; 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 C03C8/14Glass frit mixtures having non-frit additions, e.g. opacifiers, colorants, mill-addi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분말, 용제, 유기 바인더, 유리 프릿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전성 페이스트에 대한 파라미터로서,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의 인쇄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점도에 관한 파라미터를 제공하여 상기 파라미터를 만족하는 도전성 페이스트는 장시간 인쇄 특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도전성 페이스트의 인쇄 특성 향상을 위한 파라미터 및 이를 만족하는 도전성 페이스트{Parameters for improving the printing characteristics of the conductive paste satisfying the parameters}
본 발명은 도전성 페이스트의 인쇄 특성 향상을 위한 파라미터 및 이를 만족하는 도전성 페이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태양전지용 전극이나 적층 콘덴서의 내부전극, 회로 기판의 도체 패턴 등 전자 부품에서 전극을 형성시키기 위한 도전성 페이스트에 적용 가능한 파라미터에 관한 것이다.
도전성 페이스트는 도막 형성이 가능한 도포 적성을 갖고 건조 또는 소성된 도막에 전기가 흐르는 페이스트로서, 수지계 바인더와 용매로 이루어지는 비히클 중에 도전성 필러(금속 필러) 단독 또는 글라스 프릿과 함께 분산시킨 유동성 조성물이며, 전기 회로의 형성이나 세라믹 콘덴서의 외부 전극의 형성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은 페이스트(Silver Paste)는 복합계 도전성 페이스트 중에서 가장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도전성이 우수하여 전도성 접착 및 코팅용 그리고 미세회로 형성 등 여러 분야에 있어서 상당히 그 응용범위가 넓다. PCB(Printed Circuit Board) 등과 같은 신뢰성을 특별히 중요시하는 전자부품에 있어서 은 페이스트의 용도는 STH(Silver Through Hole)용 접착 또는 코팅재 등으로 사용되며, 적층 콘덴서에서는 내부전극용으로, 최근에는 실리콘계 태양전지에서 전극 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전성 페이스트의 유변물성(rheology)은 인쇄 특성(도포 적성)을 결정짓는 주요 인자인데, 전자부품의 소형화가 진행되고, 전극 패턴의 고밀도화나 미세패턴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인쇄 특성에 영향을 주는 도전성 페이스트의 유변물성이 중요하며, 특히 태양전지용 스크린 인쇄된 전극은 전극의 좁은 선폭과 높은 두께, 즉 종횡비(aspect ratio)의 증가를 요구하기 때문에 도전성 페이스트의 유변물성이 더욱 중요하다.
또한 태양전지용 전극 페이스트로서 장시간 인쇄 시에는 페이스트가 스퀴지와 제판에 의한 내부 마찰 및 열, 용제흡수, 용제증발에 의하여 점도가 변화하게 되고 이에 따라 단선 및 인쇄불량, 선폭의 변화 문제가 발생된다.
한편, 기존에 제시되는 파라미터들은 좁은 선폭을 구현하기 위한 것들이 대다수이며, 장시간 인쇄 시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에 대한 해결방법에 대해서는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장시간 인쇄 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도전성 페이스트의 점도 관련 파라미터 및 이를 만족하여 장시간 인쇄성이 향상된 도전성 페이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금속 분말, 용제, 유기 바인더, 유리 프릿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전성 페이스트에 대한 파라미터로서,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의 인쇄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점도에 관한 파라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페이스트의 파라미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에 대하여 다른 회전수에서 측정된 점도값을 이용하여 계산되는 파라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라미터는 하기 식 1에 의해 계산되는 제1 점도 경시변화(VC10) 값이 0% 내지 30% 범위 내인 것을 조건으로 하는 제1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 1]
VC10 (%) = {(B10-A10)/A10}×100
(여기서, A는 해당 도전성 페이스트의 brookfield 점도계 10rpm 기준 점도이고, B는 해당 도전성 페이스트에서 주요 용제 1%를 제외한 조성을 갖는 도전성 페이스트의 brookfield 점도계 10rpm 기준 점도이며, 주요 용제는 해당 도전성 페이스트에 가장 많은 함량으로 포함되는 용제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파라미터는 하기 식 2에 의해 계산되는 제2 점도 경시변화(VC100) 값이 0% 내지 30% 범위 내인 것을 조건으로 하는 제2 파라미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 2]
VC100 (%) = {(B100-A100)/A100}×100
(여기서, A는 해당 도전성 페이스트의 brookfield 점도계 10rpm 기준 점도이고, B는 해당 도전성 페이스트에서 주요 용제 1%를 제외한 조성을 갖는 도전성 페이스트의 brookfield 점도계 100rpm 기준 점도이며, 주요 용제는 해당 도전성 페이스트에 가장 많은 함량으로 포함되는 용제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파라미터는 하기 식 3에 의해 계산되는 제2 점도 경시변화에 대한 제1 점도 경시변화의 비(VCratio)가 0.7 내지 1.5 범위 내인 것을 조건으로 하는 제3 파라미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 3]
VCratio = VC10/ VC100
(여기서, VC10는 상기 식 1에 의해 계산되는 제1 점도 경시변화 값(%)이고, VC100은 상기 식 2에 의해 계산되는 제2 점도 경시변화 값(%)이다.)
또한 상기 해당 도전성 페이스트에 지방산, 지방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조건으로 하는 제4 파라미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 분말, 용제, 유기 바인더, 유리 프릿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전성 페이스트로서, 상기 식 1에 의해 계산되는 제1 점도 경시변화(VC10) 값이 0% 내지 30% 범위 내인 것을 조건으로 하는 제1 파라미터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 2에 의해 계산되는 제2 점도 경시변화(VC100) 값이 0% 내지 30% 범위 내인 것을 조건으로 하는 제2 파라미터를 더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 3에 의해 계산되는 제2 점도 경시변화에 대한 제1 점도 경시변화의 비(VCratio)가 0.7 내지 1.5 범위 내인 것을 조건으로 하는 제3 파라미터를 더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해당 도전성 페이스트에 지방산, 지방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조건으로 하는 제4 파라미터를 더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라미터를 만족하는 도전성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전극을 형성하는 경우, 장시간 공정에도 특성변화가 적어 장시간 인쇄시에 발생하는 단선 및 인쇄 불량과 같은 공정 불량을 줄일 수 있다. 이로써 안정적인 공정진행으로 생산수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 내지 9에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도전성 페이스트의 40000장 인쇄 후 이미지를 나타내었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은 기술적으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전반에 걸쳐,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포함(comprise, comprises, 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언급된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및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고, 임의의 어떤 다른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또는 일군의 단계를 배제하는 의미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페이스트는 금속 분말, 용매, 유기 바인더, 유리 프릿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페이스트로서, 본 발명에 따른 파라미터는 특히 태양전지 전극 형성용 도전성 페이스트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페이스트의 인쇄 특성 향상을 위한 파라미터는 점도에 관련한 파라미터이다. 특히 스크린 인쇄 시 도전성 페이스트의 점도는 패턴의 선폭과 상관성이 있다. 동일한 스크린 인쇄 조건에서 도전성 페이스트 점도가 낮아질수록 선폭이 증가되어 태양전지 전극 효율을 감소시킨다. 반대로 도전성 페이스트의 점도가 너무 높아지게 되면 단선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져 선저항이 증가하여 태양전지 전극 효율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적절한 점도값을 가지며,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어느 정도 유지하는 것이 유리한지 그 기준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준이 될 수 있는 3가지의 파라미터를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라미터 계산을 위하여 도전성 페이스트의 측정된 점도값이 필요하고, 점도값은 25℃에서 회전점도계를 이용하여 14번 스핀들로 각 회전수(rpm)에서 측정된다. 구체적인 점도값 측정 조건은 하기 표 1과 같다.
구분 측정 방법
10rpm* 안정화(0rpm) 1rpm 10rpm 100rpm
분석조건 30초 (1분) 30초 30초 30초
제1 파라미터는 하기 식 1에 의해 계산되는 제1 점도 경시변화(VC10) 값이 0% 내지 30% 범위 내인 것을 조건으로 한다.
[식 1]
VC10 (%) = {(B10-A10)/A10}×100
(여기서, A는 해당 도전성 페이스트의 brookfield 점도계 10rpm 기준 점도이고, B는 해당 도전성 페이스트에서 주요 용제 1%를 제외한 조성을 갖는 도전성 페이스트의 brookfield 점도계 10rpm 기준 점도이며, 주요 용제는 해당 도전성 페이스트에 가장 많은 함량으로 포함되는 용제를 의미한다.)
제2 파라미터는 하기 식 2에 의해 측정되는 제2 점도 경시변화(VC100) 값이 0% 내지 30% 범위 내인 것을 조건으로 한다.
[식 2]
VC100 (%) = {(B100-A100)/A100}×100
(여기서, A는 해당 도전성 페이스트의 brookfield 점도계 10rpm 기준 점도이고, B는 해당 도전성 페이스트에서 주요 용제 1%를 제외한 조성을 갖는 도전성 페이스트의 brookfield 점도계 100rpm 기준 점도이며, 주요 용제는 해당 도전성 페이스트에 가장 많은 함량으로 포함되는 용제를 의미한다.)
제3 파라미터는 하기 식 3에 의해 계산되는 제2 점도 경시변화에 대한 제1 점도 경시변화의 비(VCratio)가 0.7 내지 1.5 범위 내인 것을 조건으로 한다.
[식 3]
VCratio = VC10/ VC100
(여기서, VC10는 상기 식 1에 의해 계산되는 제1 점도 경시변화 값(%)이고, VC100은 상기 식 2에 의해 계산되는 제2 점도 경시변화 값(%)이다.)
상기 3가지 파라미터를 만족하는 도전성 페이스트는 장시간 인쇄 시 단선이 발생하지 않아 인쇄 특성이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라미터는 상기 점도와 관련된 파라미터 이외에 성분과 관련된 파라미터인 제4 파라미터를 더 포함한다.
제4 파라미터는 해당 도전성 페이스트에 지방산, 지방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조건으로 한다.
상기 지방산은 스테아르산(stearic acid), 라우르산(lauric acid), 올레산(oleic acid), 미리스트산(myristic acid), 팔미트산(palmitic acid), 베헨산(behenic acid), 벤조산(Benzoic acid)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스테아르산(stearic acid), 라우르산(lauric acid), 올레산(oleic acid)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지방알코올은 세틸알콜(Cetyl Alcohol), 스테아릴알콜(Stearyl Alcohol), 라우릴알콜(Lauryl Alcohol), 옥타데실알콜(octadecyl alcohol), 올레일알콜(Oleyl Alcohol), 헥사데세놀(hexadecenol)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스테아르산(stearic acid), 라우르산(lauric acid), 올레산(oleic acid)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세틸알콜(Cetyl Alcohol), 스테아릴알콜(Stearyl Alcohol), 라우릴알콜(Lauryl Alcohol)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하, 상기 파라미터를 만족하는 도전성 페이스트에 대하여 장시간 인쇄 시 인쇄 특성이 향상되는 것을 구체적인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설명한다.
먼저, 해당 도전성 페이스트(A)로서 은 분말을 포함한 은 페이스트를 하기 표 2에 나타낸 조성으로 혼합 및 분산 후 여과 및 탈포하여 제조한다.
구분 [중량%] 실시예 1A 실시예 2A 실시예 3A 실시예 4A 실시예 5A 비교예 1A 비교예 2A 비교예 3A 비교예 4A
에틸셀룰로오스 수지 0.45 0.45 0.45 0.45 0.45 0.45 0.45 0.45 0.45
디에틸렌 글리콜 부틸에테르 아세테이트 6.1 6.3 6.3 6.1 5.6 6.1 6.1 6.3 6.6
왁스 0.28 0.28 0.28 0.28 0.28 0.28 0.28 0.28 0.28
은 분말 88.5 88.5 88.5 88.5 88.5 88.5 88.5 88.5 88.2
유리 프릿 3.1 3.1 3.1 3.1 3.1 3.1 3.1 3.1 3.1
첨가제 1 0.45 0.45 0.45 0.45 0.45 0.45 0.45 0.45 0.45
첨가제 2 0.92 0.92 0.92 0.92 0.92 0.92 0.92 0.92 0.92
Lauric acid 0.2
Stearic acid 0.2
Oleic acid 0.2
Cetyl alcohol 0.2
Stearyl alcohol 0.2
Lauryl alcohol 0.2 0.7
다음으로 상기 해당 도전성 페이스트(A)에서 주요 용제 1%를 제외한 조성을 갖는 도전성 페이스트(B)를 제조한다. 그 조성은 하기 표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주요 용제인 디에틸렌 글리콜 부틸에테르 아세테이트의 함량을 1% 감소시킨 조성(총 조성 99%)으로 제조한다.
구분 [중량%] 실시예 1B 실시예 2B 실시예 3B 실시예 4B 실시예 5B 비교예 1B 비교예 2B 비교예 3B 비교예 4B
에틸셀룰로오스 수지 0.45 0.45 0.45 0.45 0.45 0.45 0.45 0.45 0.45
디에틸렌 글리콜 부틸에테르 아세테이트 5.1 5.3 5.3 5.1 4.6 5.1 5.1 5.3 5.6
왁스 0.28 0.28 0.28 0.28 0.28 0.28 0.28 0.28 0.28
은 분말 88.5 88.5 88.5 88.5 88.5 88.5 88.5 88.5 88.2
유리 프릿 3.1 3.1 3.1 3.1 3.1 3.1 3.1 3.1 3.1
첨가제 1 0.45 0.45 0.45 0.45 0.45 0.45 0.45 0.45 0.45
첨가제 2 0.92 0.92 0.92 0.92 0.92 0.92 0.92 0.92 0.92
Lauric acid 0.2
Stearic acid 0.2
Oleic acid 0.2
Cetyl alcohol 0.2
Stearyl alcohol 0.2
Lauryl alcohol 0.2 0.7
상기 제조된 실시예 A, B 및 비교예 A, B 에 대하여 각각 점도를 측정한다. 25℃에서 회전점도계를 이용하여 14번 스핀들로 각 회전수(rpm)에서 점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또한 회전수 10rpm 에서의 점도값인 제1 점도 경시변화값, 회전수 100rpm 에서의 점도값인 제2 점도 경시변화값, 제2 점도 경시변화값에 대한 제1 점도 경시변화값의 비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10rpm 점도(Pa.s) 100rpm 점도(Pa.s) VC10(%) VC100(%) VCratio
실시예 1A 443000 64000 29.47% 24.41% 1.21
실시예 1B 594000 79100
실시예 2A 431000 63100 19.53% 24.43% 0.8
실시예 2B 683000 78300
실시예 3A 380000 59800 29.25% 27.07 1.08
실시예 3B 492000 74400
실시예 4A 384000 57300 28.53% 28.60% 1
실시예 4B 459000 71300
실시예 5A 400000 54300 26.65% 24.59% 1.08
실시예 5B 517000 69000
비교예 1A 354000 56300 34.09% 23.59% 1.44
비교예 1B 455000 72400
비교예 2A 334000 54900 58.47% 22.34% 2.61
비교예 2B 423000 68400
비교예 3A 362000 55300 72.10% 46.65% 1.54
비교예 3B 623000 81100
비교예 4A 343000 44700 24.28% 38.00% 0.63
비교예 4B 453000 72100
실험예 - 장시간 인쇄 후 단선 측정
상기 실시예 A 및 비교예 A에 따라 제조된 도전성 페이스트를 이용하여 알루미나 기판 상에 ASYS 회사제 스크린 인쇄기를 이용하여 이격거리 1.5mm, 스퀴지 압력 75N, 인쇄 속도 300mm/s로 하여 무라가미 회사제 360mesh 스크린 제판을 이용하여 40μm 선폭의 패턴을 스크린 인쇄하고, 100℃에서 30분간 건조시켰다. 상기 패턴 인쇄 40000장 이후 인쇄된 EL의 단선여부 촬영 이미지를 도 1 내지 9에 나타내었으며 발생한 단선 개수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도 1 내지 9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라미터를 만족하는 도전성 페이스트를 이용하여 인쇄 한 경우 40000장 인쇄 이후에도 단선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장시간 인쇄시 인쇄특성이 매우 우수한 반면, 본 발명에 따른 파라미터를 만족하지 않는 도전성 페이스트를 이용하여 인쇄한 경우 단선이 다량 발생하여 장시간 인쇄시 인쇄특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단선 개수(개)
실시예 1A 4
실시예 2A 14
실시예 3A 6
실시예 4A 2
실시예 5A 1
비교예 1A 30
비교예 2A 45
비교예 3A 38
비교예 4A 21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금속 분말, 용제, 유기 바인더, 유리 프릿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전성 페이스트로서,
    하기 식 1에 의해 계산되는 제1 점도 경시변화(VC10) 값이 0% 내지 30% 범위 내인 것을 조건으로 하는 제1 파라미터;
    하기 식 2에 의해 계산되는 제2 점도 경시변화(VC100) 값이 0% 내지 30% 범위 내인 것을 조건으로 하는 제2 파라미터; 및
    하기 식 3에 의해 계산되는 제2 점도 경시변화에 대한 제1 점도 경시변화의 비(VCratio)가 0.7 내지 1.5 범위 내인 것을 조건으로 하는 제3 파라미터를 만족하여,
    장시간 인쇄 특성이 향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페이스트.
    [식 1]
    VC10 (%) = {(B10-A10)/A10}×100
    [식 2]
    VC100 (%) = {(B100-A100)/A100}×100
    [식 3]
    VCratio = VC10/ VC100
    (상기 식 1 및 2에서,
    A10은 해당 도전성 페이스트의 brookfield 점도계 10rpm 기준 점도이고,
    B10은 해당 도전성 페이스트에서 주요 용제 1%를 제외한 조성을 갖는 도전성 페이스트의 brookfield 점도계 10rpm 기준 점도이며,
    A100은 해당 도전성 페이스트의 brookfield 점도계 100rpm 기준 점도이고,
    B100은 해당 도전성 페이스트에서 주요 용제 1%를 제외한 조성을 갖는 도전성 페이스트의 brookfield 점도계 100rpm 기준 점도이며,
    주요 용제는 해당 도전성 페이스트에 가장 많은 함량으로 포함되는 용제를 의미한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도전성 페이스트에 지방산, 지방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조건으로 하는 제4 파라미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페이스트.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80153128A 2018-11-30 2018-11-30 도전성 페이스트의 인쇄 특성 향상을 위한 파라미터 및 이를 만족하는 도전성 페이스트 KR102152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128A KR102152839B1 (ko) 2018-11-30 2018-11-30 도전성 페이스트의 인쇄 특성 향상을 위한 파라미터 및 이를 만족하는 도전성 페이스트
PCT/KR2019/016812 WO2020111908A1 (ko) 2018-11-30 2019-11-29 도전성 페이스트의 인쇄 특성 향상을 위한 파라미터 및 이를 만족하는 도전성 페이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128A KR102152839B1 (ko) 2018-11-30 2018-11-30 도전성 페이스트의 인쇄 특성 향상을 위한 파라미터 및 이를 만족하는 도전성 페이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6071A KR20200066071A (ko) 2020-06-09
KR102152839B1 true KR102152839B1 (ko) 2020-09-07

Family

ID=70853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3128A KR102152839B1 (ko) 2018-11-30 2018-11-30 도전성 페이스트의 인쇄 특성 향상을 위한 파라미터 및 이를 만족하는 도전성 페이스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52839B1 (ko)
WO (1) WO20201119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53252B (zh) * 2022-10-25 2023-01-31 江苏华永烯科技有限公司 一种导电浆料用的导电性能测试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32085A (ja) * 2014-07-30 2016-03-07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内部電極用ペースト、及び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2016033179A (ja) 2014-07-31 2016-03-10 平岡織染株式会社 接着性ペーストゾル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産業資材用帆布及びメッシュ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90564B2 (ja) * 1998-04-07 2008-05-28 旭化成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導電性ペースト
JP2012226865A (ja) * 2011-04-15 2012-11-15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導電性ペースト組成物
KR101882525B1 (ko) * 2013-04-11 2018-07-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태양전지 전극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극
JP6292014B2 (ja) * 2014-05-12 2018-03-1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導電性ペーストおよびセラミック電子部品
WO2017150438A1 (ja) * 2016-02-29 2017-09-08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導電性ペースト、電子部品及び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32085A (ja) * 2014-07-30 2016-03-07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内部電極用ペースト、及び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2016033179A (ja) 2014-07-31 2016-03-10 平岡織染株式会社 接着性ペーストゾル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産業資材用帆布及びメッシュ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11908A1 (ko) 2020-06-04
KR20200066071A (ko) 2020-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2558361C2 (de)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durchgehend metallisierten Bohrungen in mehrschichtigen keramischen Moduln
KR100377309B1 (ko) 부동태 부품을 매립하는 개선된 방법
KR20080009684A (ko) 도전성 페이스트 및 그것을 이용한 배선기판
KR101275389B1 (ko) 도전성 페이스트 및 그것을 이용한 배선기판
EP1184881B1 (en) Conductive paste
KR102152839B1 (ko) 도전성 페이스트의 인쇄 특성 향상을 위한 파라미터 및 이를 만족하는 도전성 페이스트
KR100568638B1 (ko) 다층 세라믹 축전기용 말단 전극 조성물
CN101165825B (zh) 导电性糊剂、叠层陶瓷电子器件及其制造方法
US3823093A (en) Silver capacitor metallizations containing copper polynary oxides
KR102545056B1 (ko) 가지형 분말을 적용한 구리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세라믹제품
EP0143426B1 (en) Capacitor electrode compositions
JPH0449767B2 (ko)
KR100908609B1 (ko) 열경화형 후막 저항체용 페이스트와 그것의 제조방법 및후막 저항체
JPS6286602A (ja) 厚膜ペ−スト
JP3814446B2 (ja) 誘電体ペーストおよびセラミック回路基板の製法
JPH0335762B2 (ko)
JPH0449766B2 (ko)
JP2015164104A (ja)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内部電極用導電性ペーストおよび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KR100501199B1 (ko) 적층칩 부품의 단자 전극용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적층칩 부품의 제조방법
JPH0449765B2 (ko)
KR101205448B1 (ko) 흑연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그라비아 잉크 조성물
JPH0449768B2 (ko)
JPS60136211A (ja) 内部電極ペ−スト
JPS6292419A (ja) 電極材料
JPH044976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