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2161B1 - 수동 자동 강하 조작 및 핸들 조작이 용이한 권양기 - Google Patents

수동 자동 강하 조작 및 핸들 조작이 용이한 권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2161B1
KR102152161B1 KR1020200077737A KR20200077737A KR102152161B1 KR 102152161 B1 KR102152161 B1 KR 102152161B1 KR 1020200077737 A KR1020200077737 A KR 1020200077737A KR 20200077737 A KR20200077737 A KR 20200077737A KR 102152161 B1 KR102152161 B1 KR 102152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means
unit
handle
lever
sluice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7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호
김진택
박세진
김범중
Original Assignee
(유)신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신일 filed Critical (유)신일
Priority to KR1020200077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21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B66D1/56Adaptations of limit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 자동 강하 조작 및 핸들 조작이 용이한 권양기에 관한 것으로서, 정전 등의 비상상황에서 예상치 못한 기후 등에 의한 홍수, 장마 등의 긴급상황이 발생되어도 수문을 자동 및 수동으로 일정높이로 하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동 자동 강하 조작 및 핸들 조작이 용이한 권양기{A hoist for easy manual drop and handle operation}
본 발명은 정전 등의 비상상황에서 예상치 못한 기후 등에 의한 홍수, 장마 등의 긴급상황이 발생되어도 수문을 자동 및 수동으로 일정높이로 하강할 수 있는 수동 자동 강하 조작 및 핸들 조작이 용이한 권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문 권양기는 댐이나 하천제방, 방조제, 저수지 등의 담수설비 또는 저수설비의 수로 상에 설치되어 배수량 조절 및 역류를 방지함으로써 담수율 또는 저수율을 인위적으로 조절하며, 홍수로 인한 설비 구조물의 안정성을 보장 할 수 있도록 하는 설비이다.
이러한 수문 권양기의 구성은 크게 수문과 그 수문을 승강시키는 권양장치로 구분되며, 최근에는 예상치 못한 기후로 인해 댐, 하천제방, 방조제, 저수지 등에 설치된 수문으로 물의 역류가 발생하는 위급 상황시 역류하는 물을 신속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수문 권양기의 긴급 차단장치가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2062850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2062850호의 수문은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는 구동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승하강 동력에 의해 승강운동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동수단으로 전원공급이 차단되는 정전 등의 비상상황이 발생하게 될 경우, 상기 구동수단이 승하강 동력을 수문으로 전달할 수 없어 예상치 못한 기후 등으로 인한 위급상황시 수문이 하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2062850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정전 등의 비상상황에서 예상치 못한 기후 등에 의한 홍수, 장마 등의 긴급상황이 발생되어도 수문을 자동 및 수동으로 일정높이로 하강할 수 있는 수동 자동 강하 조작 및 핸들 조작이 용이한 권양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문을 자동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수단과; 수문을 수동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핸들부와;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반과;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상승된 수문이 자중에 의해 강하하도록 상기 제어반으로 작동신호를 출력하는 비상강하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자동 강하 조작 및 핸들 조작이 용이한 권양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축에 구비되고, 상기 비상강하스위치의 작동신호에 의한 상기 제어반의 제어에 의해 상기 구동축의 브레이크 작동을 해제하는 디스크 브레이크와;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가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축의 브레이크 작동을 해제시키기 위한 작동신호를 상기 비상강하스위치가 상기 제어반으로 출력한 상태를 알리기 위한 알림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알림부는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재와;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음출력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문을 상승시키기 위한 작동신호를 상기 제어반으로 출력하는 상승스위치와; 수문을 하강시키기 위한 작동신호를 상기 제어반으로 출력하는 하강스위치와; 수문의 상승 및 하강을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신호를 상기 제어반으로 출력하는 스톱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비상강하스위치는 상기 하강스위치와 함께 ON상태일 경우 상기 제어반으로 작동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구동수단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상기 구동수단으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되는 비상상황이 발생할 경우 상기 구동수단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공급부와; 상기 수문이 설치된 수로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반은 상기 수위감지센서의 수위감지값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비상강하스위치가 내측에 수용되는 보호캡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보호캡은 상기 비상강하스위치가 내측에 수용되는 수용몸체와; 상기 수용몸체의 상부에 상부가 축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수용몸체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수용몸체의 내측을 개폐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용몸체에 후측이 부착 및 상기 커버부재에 전측이 부착되는 봉인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수용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부재의 하부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가 상기 커버부재의 하부를 감지하고 있는 과정 중 상기 커버부재의 하부가 상기 수용몸체의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됨에 따라 상기 감지부가 상기 커버부재를 감지하지 못한 시간대가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시간대를 추출하는 추출부와; 상기 추출부가 추출한 시간대를 화면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에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작동을 위해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를 상기 구동수단의 일측 방향으로 이동 및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작동을 강제 해제하기 위해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를 상기 구동수단의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레버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구동수단의 상부에 상기 구동수단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어 상기 구동수단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하는 상기 레버부의 좌우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슬릿의 타측에 상기 가이드슬릿과 연통 및 상기 가이드슬릿과 직교를 이루는 보조가이드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레버부는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전측과 후측이 고정되어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와 함께 상기 구동수단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하는 이동프레임과; 상기 이동프레임의 상부에서 상기 가이드슬릿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슬릿내에 수용되고, 상기 이동프레임과 함께 좌우이동하는 이동몸체와; 상기 이동몸체에 하부가 축결합되고, 상부가 상기 이동몸체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이동하며, 상기 이동몸체 및 상기 이동프레임과 함께 디스크 브레이크를 좌우이동시키기 위한 레버와; 상기 레버의 하부 전측에서 상기 구동수단의 전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진 상태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레버의 상부가 상기 이동몸체의 전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할 경우 상기 보조가이드슬릿에 삽입되어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의 강제 해제상태를 유지시키는 돌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동몸체의 전측방향으로 회전이동된 상기 레버의 상부가 상기 이동몸체의 후측방향으로 회전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보조가이드슬릿에 상기 돌출부재가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레버유지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레버유지부는 상기 레버유지부는 상기 보조가이드슬릿의 전측방향의 상기 구동수단의 상부에 형성되는 걸림고정고리와; 상기 걸림고정고리의 내측에 걸림고정되는 후크와; 상기 후크가 하부에 형성되고 상부가 상기 레버의 상부에 연결되며 탄성력에 의해 상기 레버의 상부를 상기 이동몸체의 전측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핸들부는 상기 구동수단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축과; 상기 핸들축의 일측에 스플라인 결합되고, 상기 핸들축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하여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축과 연결 및 연결해제되며, 외주면에 환형형상의 홈이 형성되는 연결몸체와; 상기 핸들축의 타측에 결합되는 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핸들부의 연결몸체를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축에 연결 및 연결해제시키는 클러치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클러치부는 상기 핸들축과 직교를 이룬 상태로 상기 핸들축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연결몸체의 전측 하부방향 및 상기 연결몸체의 후측 하부방향의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 부위에서 각각 상기 연결몸체의 전측 및 후측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연결몸체의 환형형상의 홈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삽입되는 축부재가 형성되는 회전판부재와; 상기 회전축의 전측에 하부가 결합되고, 상부가 상기 핸들축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회전이동하면서 상기 연결몸체를 상기 핸들축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시켜 상기 연결몸체가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축과 연결 및 연결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레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핸들축의 일측방향으로 회전이동된 상기 레버부재를 검출하는 검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검출부의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상승스위치의 작동신호, 상기 하강스위치의 작동신호, 상기 스톱스위치의 정지신호 및 상기 비상강하스위치의 작동신호를 차단하는 신호차단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정전 등의 비상상황이 발생되어 전원공급부에서 구동수단으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되어도 보조전원공급부에서 상기 구동수단으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어 정전 등의 비상상황에서도 예상치 못한 기후 등으로 발생된 홍수, 장마 등의 긴급상황 발생 시 비상강하스위치의 작동신호에 따라 수문이 자동으로 일정높이로 하강 또는 핸들부에 의해 수동으로 일정높이로 하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수동 자동 강하 조작 및 핸들 조작이 용이한 권양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2는 수문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3은 비상강하스위치 및 알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4는 수문의 하강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5는 비상강하스위치가 내측에 수용되는 보호캡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보호캡의 커버부재가 수용몸체의 내측을 개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보호캡에 봉인지가 부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8은 봉인지가 찢어진 상태로 보호캡의 커버부재가 수용몸체의 내측을 개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9는 수용몸체의 하부에 구비된 감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0은 제어반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11은 구동수단과 레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정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평면도이고,
도 13 및 도 14는 레버부의 돌출부재가 보조가이드슬릿에 삽입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5는 일예의 레버유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6은 구동수단에 일예의 클러치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정면도이고,
도 17은 일예의 클러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8은 일예의 검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정면도이고,
도 19는 수문을 자동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레버부와 클러치부의 위치이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정면도이고,
도 20은 수문을 수동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레버부와 클러치부의 위치이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정면도이고,
도 21은 회전드럼과 감속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일부절개정면도이고,
도 23 및 도 24는 일예의 상승높이제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배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수동 자동 강하 조작 및 핸들 조작이 용이한 권양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수동 자동 강하 조작 및 핸들 조작이 용이한 권양기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구동수단(10), 핸들부(20), 제어반(30) 및 비상강하스위치(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구동수단(10)은 수문(3)을 자동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구동모터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수문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상기 수문(3)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도게이트로 이루어지거나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양식 수문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핸들부(20)는 상기 수문(3)을 승강시키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반(30)은 상기 구동수단(10)을 제어하게 된다.
도 3은 비상강하스위치 및 알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비상강하스위치(40)는 상기 구동수단(10)에 의해 상승된 수문(3)이 예상치 못한 기후 등으로 발생된 홍수, 장마 등의 긴급상황 발생 시 자중에 의해 강하하도록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반(30)으로 작동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비상강하스위치(40)는 상기 제어반(30)에 누름식 버튼 또는 다이얼 버튼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크 브레이크(도 11의 11)와 알림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11)는 상기 구동수단(10)의 구동축(도 11의 110)에 구비된 상태로 상기 구동수단(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11)는 상기 비상강하스위치(40)의 작동신호에 의한 상기 제어반(3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구동축(110)의 브레이크 작동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알림부(50)는 상기 비상강하스위치(40)가 상기 구동수단(10)의 구동축(110)의 브레이크 작동을 해제시키기 위한 작동신호를 상기 제어반(30)으로 출력한 상태를 상기 수문(3) 주변의 사람 및 상기 수문(3)의 작동자 등에게 알려 주의를 줄 수 있다.
상기 알림부(50)는 상기 제어반(30)의 제어에 의해 빛을 발광하는 경광등 등의 발광부재(510) 또는 사이렌 소리 등의 경보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등의 경보음출력부재(520)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발광부재(510)와 상기 경보음출력부재(520) 모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승스위치(31), 하강스위치(32) 및 스톱스위치(3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승스위치(31)는 상기 수문(3)을 상승시키기 위한 작동신호를 상기 제어반(30)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하강스위치(32)는 상기 수문(3)을 하강시키기 위한 작동신호를 상기 제어반(30)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스톱스위치(33)는 상기 수문(3)의 상승 및 하강을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신호를 상기 제어반(30)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상승스위치(31), 하강스위치(32) 및 스톱스위치(33)는 상기 제어반(30)에 누름식 버튼 또는 다이얼 버튼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예상치 못한 기후 등으로 발생된 홍수, 장마 등의 긴급상황이 아닌 상황에서 상기 수문(3)의 작동자 또는 작동자 이외의 다른 사람이 잘못된 호기심 등으로 상기 비상강하스위치(40)를 ON상태로 설정하여 상기 수문(3)이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비상강하스위치(40)는 상기 하강스위치(32)와 함께 ON상태일 경우, 상기 제어반(30)으로 작동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수문의 하강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예상치 못한 기후 등으로 발생된 홍수, 장마 등의 긴급상황이 발생하여 상기 수문(3)이 설치된 수로의 수위가 상승할 경우, 상기 수문(3)의 작동자는 상기 하강스위치(32)와 함께 상기 비상강하스위치(40)를 ON상태로 설정할 수 있고, 이때, 상기 비상강하스위치(40)는 상기 제어반(30)으로 작동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반(30)은 상기 비상강하스위치(40)로부터 출력되는 작동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11)가 상기 구동수단(10)의 구동축(110)의 브레이크 작동을 해제하도록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11)를 제어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수문(3)이 자중에 의해 강하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비상강하스위치가 내측에 수용되는 보호캡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보호캡의 커버부재가 수용몸체의 내측을 개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수문(3)의 작동자 또는 작동자 이외의 다른 사람이 잘못된 호기심 등으로 상기 비상강하스위치(40)를 ON상태로 설정하는 것을 더욱 용이하게 방지하기 위한 보호캡(4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호캡(41)의 내측에 상기 비상강하스위치(40)가 수용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보호캡(41)은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수용몸체(411)와 커버부재(4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몸체(411)는 상기 제어반(30)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몸체(411)의 내측에 상기 비상강하스위치(40)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412)의 상부는 상기 수용몸체(411)의 상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412)의 하부는 상기 수문(3)의 작동자에 의해 상기 수용몸체(411)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수용몸체(411)의 내측을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412)는 투명 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보호캡에 봉인지가 부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8은 봉인지가 찢어진 상태로 보호캡의 커버부재가 수용몸체의 내측을 개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수문(3)의 작동자 또는 작동자 이외의 다른 사람이 상기 커버부재(412)의 하부를 상기 수용몸체(411)의 상부방향으로 너무 쉽게 회전이동시켜 상기 수용몸체(411)의 내측을 개방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수문(3)의 작동자 또는 작동자 이외의 다른 사람이 잘못된 호기심 등으로 상기 비상강하스위치(40)를 ON상태로 설정하는 것을 더더욱 용이하게 방지하기 위해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호캡(41)에 봉인지(42)가 부착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봉인지(42)의 후측은 상기 수용몸체(411)의 일측면에 부착될 수 있고, 상기 봉인지(42)의 전측은 상기 커버부재(412)의 일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수문(3)의 작동자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412)의 하부가 회전이동하는 과정 중에 상기 봉인지(42)이 중간부가 찢어지면서 상기 수용몸체(411)의 내측이 개방될 수 있다.
도 9는 수용몸체의 하부에 구비된 감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0은 제어반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수단(10)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2)와; 상기 전원공급부(12)에서 상기 구동수단(10)으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되는 비상상황이 발생할 경우, 상기 구동수단(10)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공급부(13);가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전원공급부(12)에서 상기 구동수단(10)으로 공급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류감지센서가 상기 전원공급부(12)에서 상기 구동수단(10)으로 공급되는 전류를 감지한 경우, 상기 제어반(30)은 상기 보조전원공급부(13)에서 상기 구동수단(10)으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전류감지센서가 상기 전원공급부(12)에서 상기 구동수단(10)으로의 공급되는 전류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제어반(30)은 정전 등의 비상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보조전원공급부(13)가 상기 구동수단(10)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전원공급부(13)는 무정전 전원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ies)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수문(3)이 설치된 수로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도 1 및 도 2의 14)와; 상기 수문(3)의 위치를 감지하는 수문위치센서(미도시)와; 상기 수문위치센서(미도시)가 감지한 수문의 위치를 표시하는 수문위치지시계(도 1 내지 도 3의 도 1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반(30)은 상기 수위감지센서(14)의 수위감지값, 상기 수문위치센서(미도시)의 수문위치값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1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수위감지센서(14)의 수위감지값이 상기 제어반(30)에 설정된 기준수위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어반(30)은 상기 구동수단(10)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상기 구동수단(1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수위감지센서(14)의 수위감지값이 상기 제어반(30)에 설정된 기준수위값을 초과 및 상기 수문위치센서(미도시)의 수문위치값이 상기 제어반(30)에 설정된 기준수문위치값을 초과한 경우, 상기 제어반(30)은 상기 수문(3)이 기준수문위치값만큼 하강하도록 상기 구동수단(1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수위감지센서(14)의 수위감지값이 상기 제어반(30)에 설정된 기준수위값을 초과 및 상기 수문위치센서(미도시)의 수문위치값이 상기 제어반(30)에 설정된 기준수문위치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어반(30)은 상기 수문(3)이 기준수문위치값만큼 상승하도록 상기 구동수단(10)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감지부(43), 메모리부(44), 추출부(45) 및 디스플레이부(4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43)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봉인지(42)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용몸체(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부재(412)의 하부를 감지하는 근접센서, 리미트 스위치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44)에는 상기 감지부(43)가 상기 커버부재(412)의 하부를 감지하고 있는 과정 중 상기 커버부재(412)의 하부가 상기 수용몸체(411)의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됨에 따라 상기 감지부(43)가 상기 커버부재(412)를 감지하지 못한 시간대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44)는 상기 제어반(30)에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추출부(45)는 상기 메모리부(44)에 저장된 시간대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6)는 상기 추출부(45)가 추출한 시간대를 화면출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6)가 화면출력하는 시간대를 통해 예상치 못한 기후 등으로 발생된 홍수, 장마 등의 긴급상황에서 상기 비상강하스위치(40)가 ON상태로 설정된 시간대 또는 잘못된 호기심 등으로 인해 상기 비상강하스위치(40)가 ON상태로 설정된 시간대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1은 구동수단과 레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정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구동수단(10)에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11)를 상기 구동수단(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시키기 위한 레버부(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문(3)의 작동자는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11)의 브레이크 작동을 위해 상기 레버부(15)를 통해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11)를 상기 구동수단(10)의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문(3)의 작동자는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11)의 브레이의 작동을 강제 해제하기 위해, 상기 레버부(15)를 통해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11)를 상기 구동수단(10)의 타측방향으로 강제이동시킬 수 있다.
일예로,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구동수단(10)의 상부에 가이드슬릿(161)과 보조가이드슬릿(16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슬릿(161)은 상기 구동수단(10)의 상부 중간부에 상기 구동수단(10)의 일츠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형성되어 상기 구동수단(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하는 상기 레버부(15)의 좌우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보조가이드슬릿(162)은 상기 가이드슬릿(161)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에 상기 가이드슬릿(161)과 연통 및 상기 가이드슬릿(161)과 직교를 이루도록 상기 가이드슬릿(161)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레버부의 돌출부재가 보조가이드슬릿에 삽입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그리고, 상기 레버부(15)는 일예로, 도 12 내지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이동프레임(151), 이동몸체(152), 레버(153) 및 돌출부재(15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프레임(151)의 내측에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11)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이동프레임(151)은 상기 구동수단(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프레임(151)의 전측과 후측은 각각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11)의 전측 중간부와 후측 중간부에 각각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이동프레임(151)은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11)와 함께 상기 구동수단(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할 수 있다.
상기 이동몸체(152)는 상기 이동프레임(151)의 상부 중간부에서 상기 가이드슬릿(161)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되어 상기 가이드슬릿(161)내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이동몸체(152)의 상부는 상기 가이드슬릿(161)의 상부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이동몸체(152)는 상기 이동프레임(151)과 함께 좌우이동할 수 있다.
상기 레버(153)의 하부는 상기 이동몸체(152)의 상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레버(153)의 상부는 상기 수문(3)의 작동자에 의해 상기 이동몸체(152)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이동할 수 있다.
상기 레버(153)는 상기 수문(3)의 작동자에 의해 상기 이동몸체(152) 및 상기 상기 이동프레임(151)과 함께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11)를 좌우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154)는 상기 레버(153)의 하부 전측에서 상기 구동수단(10)의 전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진 상태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수문의 작동자에 의해 상기 레버(153)의 상부가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몸체(152)의 전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할 경우, 상기 돌출부재(154)는 상기 보조가이드슬릿(162)에 삽입되어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11)의 강제 해제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5는 일예의 레버유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몸체(152)의 전측방향으로 회전이동된 상기 레버(153)의 상부가 상기 이동몸체(152)의 후측방향으로 회전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보조가이드슬릿(162)에 상기 돌출부재(154)가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레버유지부(17);가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레버유지부(17)는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걸림고정고리(171), 후크(172) 및 탄성부재(17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고정고리(171)는 상기 보조가이드슬릿(162)의 전측방향의 상기 구동수단(1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172)는 상기 수문(3)의 작동자에 의해 상기 걸림고정고리(171)의 내측에 분리가능하게 걸림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73)의 하부에 상기 후크(17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73)의 상부는 상기 레버(153)의 상부에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73)는 스프링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탄성력에 의해 상기 레버(153)의 상부를 상기 이동몸체(152)의 전측방향으로 탄성지지할 수 있다.
도 16은 구동수단에 일예의 클러치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정면도이고, 도 17은 일예의 클러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핸들부(20)는 일예로, 도 16 및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고정프레임(210), 핸들축(220), 연결몸체(230) 및 핸들(2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일측 상부와 일측 하부는 상기 구동수단(1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 상부와 타측 하부에 각각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핸들축(220)은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내측에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베어링 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몸체(230)는 상기 핸들축(220)의 일측에 스플라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몸체(230)는 상기 핸들축(22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하여 상기 구동수단(10)의 구동축(110)의 일측의 반대측의 타측과 연결되어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내측에 위치하는 회전몸체(111)와 연결 및 연결해제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회전몸체(111)의 일측면의 반대측인 타측면과 상기 연결몸체(230)의 일측면에 각각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연결몸체(230)가 좌우이동하게됨에 따라 상기 연결몸체(230)의 요철부가 상기 회전몸체(111)의 요철부에 맞물림결합된 상태로 연결 및 상기 회전몸체(111)의 요철부로부터 상기 연결몸체(230)의 요철부가 분리된 상태로 연결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연결몸체(230)의 외주면에는 환형형상의 홈(2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핸들(240)은 상기 핸들축(220)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핸들축(220)과 함께 정역회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핸들부(20)의 연결몸체(230)를 상기 구동수단(10)의 구동축(110)에 구비된 회전몸체(111)와 연결 및 연결해제시키는 클러치부(21)가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클러치부(21)는 도 16 및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회전축(211), 회전판부재(212) 및 레버부재(2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11)은 상기 핸들축(220)과 직교를 이루도록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되어 상기 핸들축(22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하부에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베어링 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판부재(212)는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몸체(230)의 전측 하부방향 및 상기 연결몸체(230)의 후측 하부방향의 상기 회전축(211)의 외주면 부위에서 각각 상기 연결몸체(230)의 전측 및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판부재(212)의 상부에는 상기 연결몸체(230)의 환형형상의 홈(231)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삽입되는 축부재(212a)가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부재(213)의 하부가 상기 회전축(211)의 전측에 용접고정,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된 상태로 상기 레버부재(213)는 상기 회전축(211)의 전측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부재(213)의 상부는 상기 수문(3)의 작동자에 의해 상기 핸들축(211)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회전이동하면서 상기 연결몸체(230)를 상기 구동수단(10)의 구동축(110)의 회전몸체(111)에 연결 및 연결해제할 수 있다.
도 18은 일예의 검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정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수문(3)의 작동자가 상기 핸들(240)을 이용하여 상기 수문(3)을 수동으로 승강시키고자 상기 레버부재(213)의 상부를 상기 핸들축(220)의 일측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킨 경우, 상기 핸들축(220)의 일측방향으로 회전이동된 상기 레버부재(213)를 검출하는 검출부(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검출부(22)는 상기 클러치부(21)의 회전판부재(212)의 일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내측 하부에 수평으로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회전판부재(212)의 상부는 상기 레버부재(213)의 상부와 함께 상기 핸들축(22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회전이동할 수 있다.
상기 레버부재(213)의 상부와 함께 상기 회전판부재(212)의 상부가 상기 핸들축(220)의 일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할 경우, 상기 회전판부재(212)의 일측이 상기 검출부(22)와 접할 수 있고, 이로서, 상기 검출부(22)는 상기 레버부재(213)가 상기 핸들축(220)의 일측방향으로 회전이동된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검출부(22)가 상기 레버부재(213)가 상기 핸들축(220)의 일측방향으로 회전이동된 상태를 검출할 경우, 상기 상승스위치(31)의 작동신호, 상기 하강스위치(32)의 작동신호, 상기 스톱스위치(33)의 정지신호 및 상기 비상강하스위치(40)의 작동신호를 차단하는 신호차단부(도 10의 3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신호차단부(34)가 상기 상승스위치(31)의 작동신호, 상기 하강스위치(32)의 작동신호, 상기 스톱스위치(33)의 정지신호 및 상기 비상강하스위치(40)의 작동신호를 차단하기 때문에 상기 수문(3)의 작동자가 상기 핸들(240)을 이용하여 상기 수문(3)을 수동으로 승강시키는 과정 중에 상기 상승스위치(31), 상기 하강스위치, 상기 스톱스위치(33) 및 상기 비상강하스위치(40)의 오조작으로 인한 상기 구동수단(10)의 작동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검출부(22)는 근접센서, 리미트 스위치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9는 수문을 자동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레버부와 클러치부의 위치이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정면도이다.
상기 상승스위치(31)의 작동신호, 하강스위치(32)의 작동신호, 스톱스위치(33)의 작동신호 및 비상강하스위치(40)의 작동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10)이 상기 수문(3)을 자동으로 승강 및 정지시키기 위해,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문(3)의 작동자는 상기 레버부(15)와 함께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11)를 상기 구동수단(10)의 일측방향으로 이동 및 상기 클러치부(21)의 레버부재(213)의 상부를 상기 핸들축(220)의 타측방향으로 회전이동시켜 상기 핸들부(20)의 연결몸체(230)와 상기 구동수단(10)의 구동축(110)에 구비된 회전몸체(111)의 연결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도 20은 수문을 수동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레버부와 클러치부의 위치이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정면도이다.
상기 수문(3)의 작동자가 상기 핸들(240)을 정역회전시켜 상기 수문(3)을 수동으로 승강시키기 위해, 도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문(3)의 작동자는 상기 레버부(15)와 함께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11)를 상기 구동수단(10)의 타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11)의 브레이크 작동을 강제 해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러치부(21)의 레버부재(213)의 상부를 상기 핸들축(220)의 일측방향으로 회전이동시켜 상기 핸들부(20)의 연결몸체(230)와 상기 구동수단(10)의 구동축(110)에 구비된 회전몸체(111)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수문(3)의 작동자는 상기 핸들(240)과 함께 상기 핸들축(220), 상기 연결몸체(230), 상기 회전몸체(111) 및 상기 구동축(110)을 수동으로 정역회전시켜 상기 수문(3)을 수동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도 21은 회전드럼과 감속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일부절개정면도이다.
도 21 및 도 2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구동수단(10)은 구동축(110)의 회전력은 상기 구동수단(10)의 일측에 구비된 감속부(10b)로 전달될 수 있고, 상기 감속부(10b)는 전달받은 상기 구동수단(10)의 구동축(110)의 회전력을 상기 수문(3)을 승강시키기 위한 회전드럼(10a)으로 감속전달할 수 있다.
도 23 및 도 24는 일예의 상승높이제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배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수단(10)은 도 23 및 도 2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로에 일정높이로 구비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물(5)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문(3)은 상기 구조물(5)의 하부방향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수단(10)에 의해 승강될 수 있다.
여기서, 상승중인 상기 수문(3)이 필요이상으로 과상승하게 될 경우, 상기 수문(3)의 상부에 구비되어 와이어와 연결되는 와이어드럼 또는 체인과 연결되는 체인드럼 등의 연결부재(7)가 상기 구조물(5)의 하부에 충돌하여 상기 연결부재(7), 상기 구조물(5)의 하부 및 상기 수문(3)의 상부부위가 파손될 우려가 다분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수문(3)의 필요이상의 과상승을 방지하여 상기 연결부재(7), 상기 구조물(5)의 하부 및 상기 수문(3)의 상부부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수문(3)의 상승높이를 제한하는 상승높이제한부(60)가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상승높이제한부(60)는 크게, 승강봉(610)과 감지부재(620)를 포함항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수단(10), 회전드럼(10a), 감속부(10b) 및 핸들부(20)는 상기 구조물(5)의 상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평안착고정되는 프레임(9)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승강봉(610)은 상기 프레임(9)의 일측 주변 또는 타측 주변의 상기 구조물(5)을 수직관통한 상태로 상기 구조물(5)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봉(610)의 상부와 하부는 상기 구조물(5)의 상부방향과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9)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가이드링(91)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링(91)의 내측에 상기 승강봉(610)의 상부가 수직으로 수용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링(91)은 상기 승강봉(610)의 승강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링(91)의 상부방향의 상기 승강봉(610)의 상부 외면에는 상기 가이드링(91)의 상부에 안착고정되어 상기 가이드링(91)의 하부방향으로 상기 승강봉(61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턱(911)이 환형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재(620)는 상기 승강봉(610)의 상부 주변의 상기 프레임(9)의 상부 일측 또는 상부 타측에 구비되어 도 23 및 도 2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승강봉(610)의 하부가 상기 수문(3)의 상부와 접하여 상기 승강봉(610)이 상기 수문(3)과 함께 상승할 경우, 상승하는 상기 승강봉(610)의 상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재(620)는 근접센서, 리미트 스위치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반(30)은 상기 감지부재(62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1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문(3)과 함께 상기 승강봉(610)이 상승하는 과정 중에 상기 감지부재(620)가 상기 승강봉(610)의 상부를 감지한 경우, 상기 제어반(30)은 구동수단(10)이 상기 수문(10)을 과상승시키지 않도록 상기 구동수단(10)을 작동중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반(30)의 제어에 따른 상기 구동수단(10)에 의해 상기 수문(10)이 하강될 경우, 상기 승강봉(610)은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문의 과상승방지범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감지부재(620)는 상기 승강봉(61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조절된 상태로 위치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상승높이제한부(60)는 상기 감지부재(620)가 상하이동하여 위치조절된 상태로 고정되는 가이드판부재(6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판부재(630)는 상기 승강봉(610) 주변의 상기 프레임(10)의 상부 일측 또는 상부 타측에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판부재(630)의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상기 가이드판부재(63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슬릿(6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판부재(630)의 후면에 상기 감지부재(620)가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재(620)는 상기 감지부재(62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과 중간부를 각각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슬릿(631)에 수용되는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볼트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판부재(630)의 전면에 밀착고정되는 너트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는 위치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가이드판부재(630)의 후면에 상하위치조절된 상태로 위치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재(620)가 점차 상승될 수록 상기 수문(3)의 상승제한높이는 점차 커질 수 있고, 상기 감지부재(620)가 점차 하강될 수록 상기 수문(3)의 상승제한높이는 점차 작아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정전 등의 비상상황이 발생되어 상기 전원공급부(12)에서 상기 구동수단(10)으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되어도 상기 보조전원공급부(13)에서 상기 구동수단(10)으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어 정전 등의 비상상황에서도 예상치 못한 기후 등으로 발생된 홍수, 장마 등의 긴급상황 발생 시 상기 비상강하스위치(40)의 작동신호에 따라 상기 수문(3)이 자동으로 일정높이로 하강 또는 상기 핸들부(20)에 의해 수동으로 일정높이로 하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구동수단, 20; 핸들부,
30; 제어반, 40; 비상강하스위치.

Claims (20)

  1. 수문을 자동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수단과;
    수문을 수동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핸들부와;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반과;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상승된 수문이 자중에 의해 강하하도록 상기 제어반으로 작동신호를 출력하는 비상강하스위치와;
    상기 비상강하스위치가 내측에 수용되는 수용몸체와, 상기 수용몸체의 상부에 상부가 축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수용몸체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수용몸체의 내측을 개폐하는 커버부재로 구성되는 보호캡과;
    상기 수용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부재의 하부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가 상기 커버부재의 하부를 감지하고 있는 과정 중 상기 커버부재의 하부가 상기 수용몸체의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됨에 따라 상기 감지부가 상기 커버부재를 감지하지 못한 시간대가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시간대를 추출하는 추출부와;
    상기 추출부가 추출한 시간대를 화면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자동 강하 조작 및 핸들 조작이 용이한 권양기.
  2. 수문을 자동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수단과;
    수문을 수동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핸들부와;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반과;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상승된 수문이 자중에 의해 강하하도록 상기 제어반으로 작동신호를 출력하는 비상강하스위치와;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축에 구비되고, 상기 비상강하스위치의 작동신호에 의한 상기 제어반의 제어에 의해 상기 구동축의 브레이크 작동을 해제하는 디스크 브레이크와;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가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축의 브레이크 작동을 해제시키기 위한 작동신호를 상기 비상강하스위치가 상기 제어반으로 출력한 상태를 알리기 위한 알림부와;
    상기 구동수단에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작동을 위해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를 상기 구동수단의 일측 방향으로 이동 및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작동을 강제 해제하기 위해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를 상기 구동수단의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레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수단의 상부에 상기 구동수단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어 상기 구동수단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하는 상기 레버부의 좌우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슬릿의 타측에 상기 가이드슬릿과 연통 및 상기 가이드슬릿과 직교를 이루는 보조가이드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레버부는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전측과 후측이 고정되어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와 함께 상기 구동수단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하는 이동프레임과;
    상기 이동프레임의 상부에서 상기 가이드슬릿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슬릿내에 수용되고, 상기 이동프레임과 함께 좌우이동하는 이동몸체와;
    상기 이동몸체에 하부가 축결합되고, 상부가 상기 이동몸체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이동하며, 상기 이동몸체 및 상기 이동프레임과 함께 디스크 브레이크를 좌우이동시키기 위한 레버와;
    상기 레버의 하부 전측에서 상기 구동수단의 전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진 상태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레버의 상부가 상기 이동몸체의 전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할 경우 상기 보조가이드슬릿에 삽입되어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의 강제 해제상태를 유지시키는 돌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자동 강하 조작 및 핸들 조작이 용이한 권양기.
  3. 수문을 자동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축과, 상기 핸들축의 일측에 스플라인 결합되고 상기 핸들축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하여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축과 연결 및 연결해제되며 외주면에 환형형상의 홈이 형성되는 연결몸체와, 상기 핸들축의 타측에 결합되는 핸들로 구성되어 수문을 수동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핸들부와;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반과;
    수문을 상승시키기 위한 작동신호를 상기 제어반으로 출력하는 상승스위치와;
    수문을 하강시키기 위한 작동신호를 상기 제어반으로 출력하는 하강스위치와;
    수문의 상승 및 하강을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신호를 상기 제어반으로 출력하는 스톱스위치와;
    상기 하강스위치와 함께 ON상태일 경우,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상승된 수문이 자중에 의해 강하하도록 상기 제어반으로 작동신호를 출력하는 비상강하스위치와;
    상기 핸들축과 직교를 이룬 상태로 상기 핸들축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연결몸체의 전측 하부방향 및 상기 연결몸체의 후측 하부방향의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 부위에서 각각 상기 연결몸체의 전측 및 후측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연결몸체의 환형형상의 홈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삽입되는 축부재가 형성되는 회전판부재와, 상기 회전축의 전측에 하부가 결합되고 상부가 상기 핸들축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회전이동하면서 상기 연결몸체를 상기 핸들축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시켜 상기 연결몸체가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축과 연결 및 연결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레버부재로 구성되는 클러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자동 강하 조작 및 핸들 조작이 용이한 권양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재와;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음출력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자동 강하 조작 및 핸들 조작이 용이한 권양기.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상기 구동수단으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되는 비상상황이 발생할 경우 상기 구동수단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공급부와;
    상기 수문이 설치된 수로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반은 상기 수위감지센서의 수위감지값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자동 강하 조작 및 핸들 조작이 용이한 권양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몸체에 후측이 부착 및 상기 커버부재에 전측이 부착되는 봉인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자동 강하 조작 및 핸들 조작이 용이한 권양기.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몸체의 전측방향으로 회전이동된 상기 레버의 상부가 상기 이동몸체의 후측방향으로 회전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보조가이드슬릿에 상기 돌출부재가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레버유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자동 강하 조작 및 핸들 조작이 용이한 권양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유지부는 상기 보조가이드슬릿의 전측방향의 상기 구동수단의 상부에 형성되는 걸림고정고리와;
    상기 걸림고정고리의 내측에 걸림고정되는 후크와;
    상기 후크가 하부에 형성되고 상부가 상기 레버의 상부에 연결되며 탄성력에 의해 상기 레버의 상부를 상기 이동몸체의 전측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자동 강하 조작 및 핸들 조작이 용이한 권양기.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축의 일측방향으로 회전이동된 상기 레버부재를 검출하는 검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검출부의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상승스위치의 작동신호, 상기 하강스위치의 작동신호, 상기 스톱스위치의 정지신호 및 상기 비상강하스위치의 작동신호를 차단하는 신호차단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자동 강하 조작 및 핸들 조작이 용이한 권양기.
  10.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의 상승높이를 제한하는 상승높이제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자동 강하 조작 및 핸들 조작이 용이한 권양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높이제한부는 상기 구동수단이 설치되는 구조물에 승강가능하게 수직구비되는 승강봉과;
    상기 승강봉의 하부가 상기 수문의 상부와 접하여 상기 승강봉이 상기 수문과 함께 상승할 경우, 상승하는 상기 승강봉의 상부를 감지하는 감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반은 상기 감지부재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자동 강하 조작 및 핸들 조작이 용이한 권양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재는 상기 승강봉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조절된 상태로 위치고정되고,
    상기 상승높이제한부는 상기 감지부재가 상하이동하여 위치조절된 상태로 고정되는 가이드판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자동 강하 조작 및 핸들 조작이 용이한 권양기.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200077737A 2020-06-25 2020-06-25 수동 자동 강하 조작 및 핸들 조작이 용이한 권양기 KR102152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737A KR102152161B1 (ko) 2020-06-25 2020-06-25 수동 자동 강하 조작 및 핸들 조작이 용이한 권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737A KR102152161B1 (ko) 2020-06-25 2020-06-25 수동 자동 강하 조작 및 핸들 조작이 용이한 권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2161B1 true KR102152161B1 (ko) 2020-09-07

Family

ID=72471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7737A KR102152161B1 (ko) 2020-06-25 2020-06-25 수동 자동 강하 조작 및 핸들 조작이 용이한 권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21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7720A (ko) * 2021-07-06 2023-01-13 박치영 수동 작동 기능을 갖는 자중 하강식 비상차단 게이트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604B1 (ko) * 2006-06-13 2007-05-02 김상국 힌지식 수문 및 그 구동방법
KR100858281B1 (ko) * 2008-03-24 2008-09-11 김상국 자중강하식 액추에이터
KR101253736B1 (ko) * 2012-10-31 2013-04-11 (유)신일 수문권양기용 비상강하장치
JP2015024916A (ja) * 2013-07-29 2015-02-0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ボタン装置、及び、エレベータ用操作盤
KR101642040B1 (ko) * 2015-09-25 2016-07-29 우일산업 주식회사 수문권양기 및 이의 작동방법
KR102020925B1 (ko) * 2018-11-28 2019-09-16 (유)신일 수동 강하제어가 가능한 수문권양기
KR102062850B1 (ko) 2019-07-12 2020-01-07 광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수문 권양기의 긴급 차단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604B1 (ko) * 2006-06-13 2007-05-02 김상국 힌지식 수문 및 그 구동방법
KR100858281B1 (ko) * 2008-03-24 2008-09-11 김상국 자중강하식 액추에이터
KR101253736B1 (ko) * 2012-10-31 2013-04-11 (유)신일 수문권양기용 비상강하장치
JP2015024916A (ja) * 2013-07-29 2015-02-0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ボタン装置、及び、エレベータ用操作盤
KR101642040B1 (ko) * 2015-09-25 2016-07-29 우일산업 주식회사 수문권양기 및 이의 작동방법
KR102020925B1 (ko) * 2018-11-28 2019-09-16 (유)신일 수동 강하제어가 가능한 수문권양기
KR102062850B1 (ko) 2019-07-12 2020-01-07 광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수문 권양기의 긴급 차단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7720A (ko) * 2021-07-06 2023-01-13 박치영 수동 작동 기능을 갖는 자중 하강식 비상차단 게이트
KR102604384B1 (ko) * 2021-07-06 2023-11-20 박치영 수동 작동 기능을 갖는 자중 하강식 비상차단 게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90087B2 (en) Lighting and signaling systems for loading docks
EP2462049B1 (en) Control system of an operator cage with enhanced safety
US8547234B2 (en) Alarm system for a loading dock
KR102152161B1 (ko) 수동 자동 강하 조작 및 핸들 조작이 용이한 권양기
KR101253736B1 (ko) 수문권양기용 비상강하장치
JP5106515B2 (ja) 取水装置及び取水装置において用いられる補助ゲート装置
KR101642040B1 (ko) 수문권양기 및 이의 작동방법
CN114940444A (zh) 海上平台吊机和海上平台
KR20100118762A (ko) 크레인
KR101827410B1 (ko) 피난유도등에 결합되는 연기감지 자동 눈높이 승하강 리프트 장치
KR102062850B1 (ko) 수문 권양기의 긴급 차단장치
US11649663B2 (en) Position sensing device for sensing an upper limit position and a lower limit position of a hoisting line
KR101251934B1 (ko) 긴급강하속도조절장치가 구비된 수문권양기
KR101908698B1 (ko) 타워크레인의 안전장치
KR101789647B1 (ko) 승강 안전장치가 구비된 레일식 승하강 조명타워
KR101419518B1 (ko) 무대설비용 승강시스템
KR20110080231A (ko) 수문 자동 하강 장치
KR20050094659A (ko) 유압 작동식 수문, 그의 운전 장치 및 운전 방법
KR100839229B1 (ko) 수문 개폐 시스템용 자동 조작장치
KR102602535B1 (ko)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
KR100680514B1 (ko) 수문의 원격 제어와 이상발생 알림 및 권양기 보호장치
CN209242409U (zh) 一种用于采矿设备升降机构的防过卷装置
KR20120042122A (ko) 셔터 및 전동식 셔터의 안전 장치
KR102063603B1 (ko) 추락 방지 기능을 가지는 호이스트 승강기
CN214326982U (zh) 卷扬机防出绳保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