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1934B1 - 긴급강하속도조절장치가 구비된 수문권양기 - Google Patents

긴급강하속도조절장치가 구비된 수문권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1934B1
KR101251934B1 KR1020120121996A KR20120121996A KR101251934B1 KR 101251934 B1 KR101251934 B1 KR 101251934B1 KR 1020120121996 A KR1020120121996 A KR 1020120121996A KR 20120121996 A KR20120121996 A KR 20120121996A KR 101251934 B1 KR101251934 B1 KR 101251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ar
unit
rotating shaf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1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호
박세진
이상근
김범중
Original Assignee
(유)신일
박세진
이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신일, 박세진, 이광호 filed Critical (유)신일
Priority to KR1020120121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19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1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1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4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긴급강하속도조절장치가 구비된 수문권양기에 관한 것으로서, 비상시에 수문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강하시킬 수 있음은 물론 특히 긴급강하속도조절부를 통해 수문의 강하속도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긴급강하속도조절부와 종래의 수문용 권양부와의 호환성이 매우 우수하고, 나아가 상기 긴급강하속도조절부의 교체 및 장착이 용이함은 물론 수문을 자동은 물론 수동으로도 손쉽게 승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긴급강하속도조절장치가 구비된 수문권양기{EMERGENCY DESCENT SPEED CONTROL DEVICE IS EQUIPPED WITH HYDROLOGICAL WINCHES}
본 발명은 비상시에 수문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강하시킬 수 있음은 물론 특히 긴급강하속도조절부를 통해 수문의 강하속도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긴급강하속도조절부와 종래의 수문용 권양부와의 호환성이 매우 우수하고, 나아가 상기 긴급강하속도조절부의 교체 및 장착이 용이함은 물론 수문을 자동은 물론 수동으로도 손쉽게 승강시킬 수 있는 긴급강하속도조절장치가 구비된 수문권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문은 농수로, 상하수도, 중계펌프장, 빗물펌프장, 도시하수처리장, 정수처리장 및 산업폐수처리장 등에 유량을 제어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구동방식에 따라 수동식, 모터구동식 및 유압구동식 등 다양한 형태의 수문이 설치운영되고 있다.
이 중에서 유압구동식 수문은 수로의 입구에 설치된 문틀에 안내되어 수로를 개폐시키는 수문이 설치되고, 상기 수문을 승강시키는 실린더가 상기 수문의 상측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압구동식 수문은 수동으로 개폐시키던 수문을 유압을 이용하여 개폐시킴으로서,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유압구동식 수문은 비상시에 수문이 닫히는 속도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비상시에 수문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강하시킬 수 있음은 물론 특히 긴급강하속도조절부를 통해 수문의 강하속도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긴급강하속도조절부와 종래의 수문용 권양부와의 호환성이 매우 우수하고, 나아가 상기 긴급강하속도조절부의 교체 및 장착이 용이함은 물론 수문을 자동은 물론 수동으로도 손쉽게 승강시킬 수 있는 긴급강하속도조절장치가 구비된 수문권양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문을 승강시키기 위한 수문용 권양부와; 상기 수문용 권양부의 출력축과 결합된 회전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수문을 승강시키는 회전드럼과; 상기 회전드럼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상기 회전축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긴급강하속도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강하속도조절장치가 구비된 수문권양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긴급강하속도조절부와 상기 회전드럼 사이에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드럼으로 감속전달하는 감속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긴급강하속도조절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따라 회전하는 회전체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하측이 축결합되는 일측회전바와,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일측회전바의 하측에 축결합되어 상기 회전체의 일측과 접하는 일측브레이크판으로 구성되는 일측브레이크부재와;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하측이 축결합되는 타측회전바와,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일측회전바의 하측에 축결합되어 상기 회전체의 타측과 접하는 타측브레이크판으로 구성되는 타측브레이크부재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일측회전바의 상측과 상기 타측회전바의 상측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모터와 축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일측회전바의 상측과 상기 타측회전바의 상측을 좌우회전이동시키는 회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긴급강하속도조절부는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따라 회전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상부방향에 구비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회전체의 타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일측회전바와, 상기 일측회전바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체의 타측과 접하는 일측브레이크판으로 구성되는 일측브레이크부재와; 상기 회전체의 상부방향에 구비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회전체의 일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며 중심부가 상기 일측회전바의 중심부와 축결합되는 타측회전바와, 상기 타측회전바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체의 일측과 접하는 타측브레이크판으로 구성되는 타측브레이크부재와; 상기 일측회전바의 상측과 상기 타측회전바의 상측 사이에 구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축결합되어 상기 일측회전바의 상측과 상기 타측회전바의 상측 사이에 구비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일측회전바의 상측과 상기 타측회전바의 상측을 좌우회전이동시키는 회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긴급강하속도조절부는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따라 회전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일측방향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일측이동바와, 상기 일측이동바의 하측에 축결합되어 상기 회전체의 일측과 접하는 일측브레이크판으로 구성되는 일측브레이크부재와; 상기 회전체의 타측방향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타측이동바와, 상기 타측이동바의 하측에 축결합되어 상기 회전체의 타측과 접하는 타측브레이크판으로 구성되는 타측브레이크부재와; 상기 일측이동바의 상측이 일측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타측이동바의 상측이 타측에 나사결합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와 축결합되어 상기 리드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구동모터와 축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일측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일측회전바의 상측과 접하는 일측롤러부재와; 상기 회전판의 타측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타측회전바의 상측과 접하는 타측롤러부재와; 상기 일측롤러부재를 탄성지지하는 일측탄성부재와; 상기 타측롤러부재를 탄성지지하는 타측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긴급강하속도조절부는 상기 일측브레이크판의 하측을 지지하는 일측지지부재와; 상기 타측브레이크판의 하측을 지지하는 타측지지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가 측정한 회전수값과 미리 설정된 기준회전수값을 비교하여 상기 긴급강하속도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회전드럼과 상기 수문을 연결시키고, 상기 회전드럼에 감겨지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장력상태을 감지하는 장력감지부와; 상기 장력감지부가 감지한 장력상태에 따라 수문용 권양부와 상기 긴급강하속도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장력감지부는 관체와; 상기 관체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관체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되며, 하측에 상기 연결부재가 연결되는 상하이동축과; 상기 상하이동축이 내주면 상측에 연결되고, 상기 관체를 감싼 상태로 상기 관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상하이동관체와; 상기 관체의 내부 및 상기 상하이동관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상하이동관체의 상부방향에 구비되어 상기 상하이동관체의 상하위치를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미트스위치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수문용 권양부와 상기 긴급강하속도조절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비상시에 수문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강하시킬 수 있음은 물론 특히 긴급강하속도조절부를 통해 수문의 강하속도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긴급강하속도조절부와 종래의 수문용 권양부와의 호환성이 매우 우수하고, 나아가 상기 긴급강하속도조절부의 교체 및 장착이 용이함은 물론 수문을 자동은 물론 수동으로도 손쉽게 승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긴급강하속도조절장치가 구비된 수문권양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긴급강하속도조절부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도 2의 긴급강하속도조절부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긴급강하속도조절부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의 긴급강하속도조절부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긴급강하속도조절부의 또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2 및 도 13은 도 11의 긴급강하속도조절부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4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5는 장력감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6은 장력감지부와 연결부재의 연결상태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17 및 도 18은 장력감지부의 설치상태 및 수문의 승강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긴급강하속도조절장치가 구비된 수문권양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긴급강하속도조절장치가 구비된 수문권양기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수문용 권양부(10), 회전드럼(20) 및 긴급강하속도조절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수문용 권양부(10)는 수문(도 17 및 도 18의 3)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승강시키는 것으로서, 이는 국내등록특허 10-1005016호(수문용 권양장치) 등을 통해 널리 공지된 기술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수문용 권양부(10)의 출력축(140)의 전측에는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회전축(150)의 후측이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드럼(20)은 상기 수문용 권양부(10)의 출력축(140)과 결합된 회전축(150)으로부터 정역회전력을 전달받아 정역회전하여 수문을 승강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긴급강하속도조절부(30)는 상기 회전드럼(20)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상기 회전축(150)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150)의 정역회전속도를 제어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긴급강하속도조절부(30)와 상기 회전드럼(20) 사이에는 상기 회전축(150)의 정역회전력을 상기 회전드럼(20)으로 감속전달하는 감속부(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속부(80)는 리듀서(810), 제 1기어(820), 제 2기어(830), 제 3기어(840) 및 제 4기어(8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리듀서(810)의 후측은 상기 회전축(150)의 전측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150)을 따라 정역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 1기어(820)는 상기 리듀서(810)의 전측에 결합되어 상기 리듀서(810)를 따라 정역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 2기어(830)는 상기 제 1기어(820)와 치합된 상태로 상기 제 1기어(820)의 일측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기어(830)의 중심부에는 상기 제 2기어(830)를 따라 정역회전하는 보조회전축(831)이 상기 제 2기어(83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회전축(831)의 전측과 상기 보조회전축(831)의 후측에는 각각 전측베어링(832)과 후측베어링(833)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3기어(840)는 상기 후측베어링(833)의 후방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보조회전축(831)의 후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보조회전축(831)을 따라 정역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 4기어(850)은 상기 제 3기어(840)와 치합된 상태로 상기 제 3기어(840)의 일측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드럼(20)은 상기 제 4기어(850)와 결합되어 상기 제 4기어(850)를 따라 정역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 4기어(850)의 외경크기는 상기 제 2기어(830)의 외경크기보다 크고,
상기 제 2기어(830)의 외경크기는 상기 제 3기어(840)의 외경크기보다 크고,
상기 제 3기어(840)의 외경크기는 상기 제 1기어(820)의 외경크기보다 클 수 있다.
도 2는 긴급강하속도조절부(30)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긴급강하속도조절부(30)는 일예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프레임(310), 회전체(320), 일측브레이크부재(330), 타측브레이크부재(340), 구동모터(350) 및 회전부재(3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310)은 전측프레임(311), 후측프레임(312) 및 하측프레임(31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수직상태인 상기 전측프레임(311)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전측프레임(311)의 후방에는 수직상태인 상기 후측프레임(31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측프레임(313)은 상기 전측프레임(311)과 상기 후측프레임(312)의 하측에 각각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320)는 상기 프레임(31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축(150)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150)을 따라 정역회전할 수 있다.
상기 일측브레이크부재(330)는 일측회전바(331)와 일측브레이크판(33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회전바(331)의 하측은 상기 전측프레임(311)의 일측과 상기 후측프레임(312) 일측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측프레임(311)과 상기 후측프레임(312)의 일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일측브레이크판(332)이 상기 프레임(31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일측브레이크판(332)의 일측은 상기 전측프레임(311)의 일측, 상기 일측회전바(331)의 하측 및 상기 후측프레임(312)의 일측을 전후관통하는 축부재(314)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일측회전바(331)의 하측에 축결합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브레이크판(332)의 타측에는 상기 회전체(320)의 일측 외주면과 접하는 고무재질 등의 일측브레이크패드(도 4 내지 도 6의 332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측브레이크부재(340)는 타측회전바(341)와 타측브레이크판(34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회전바(341)의 하측은 상기 전측프레임(311)의 타측과 상기 후측프레임(312)의 타측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측프레임(311)의 타측과 상기 후측프레임(312)의 타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타측브레이크판(342)이 상기 프레임(31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타측브레이크판(342)의 타측은 상기 전측프레임(311)의 타측, 상기 타측회전바(341)의 하측 및 상기 후측프레임(312)의 타측을 전후관통하는 상기 축부재(314)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타측회전바(341)의 하측에 축결합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측브레이크판(342)의 일측에는 상기 회전체(320)의 타측 외주면과 접하는 고무재질 등의 타측브레이크패드(도 4 내지 도 6의 342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310)의 후측프레임(312)의 상측 중간부에는 상기 후측프레임(312)의 후방방향으로 수평연장되는 고정판(315)가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350)는 상기 고정판(315)의 상부면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전후방향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360)는 상기 일측회전바(331)의 상측과 상기 타측회전바(341)의 상측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360)의 중심부가 상기 구동모터(350)와 축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350)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360)는 정역회전하여 상기 일측회전바(331)의 상측과 상기 타측회전바(341)의 상측을 좌우회전이동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일예의 상기 회전부재(36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회전판(361), 일측롤러부재(362), 타측롤러부재(363), 일측탄성부재(364) 및 타측탄성부재(36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판(361)은 전측회전판(361a)과 후측회전판(361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회전판(361a)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전측회전판(361a)의 후방에 상기 후측회전판(361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측회전판(361a)의 중심부와 상기 후측회전판(361b)의 중심부가 각각 상기 구동모터(350)와 축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350)에 의해 상기 전측회전판(361a)과 후측회전판(361b)는 정역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전측회전판(361a)의 일측과 상기 전측회전판(361a)의 타측 및 상기 후측회전판(361b)의 일측과 상기 후측회전판(361b)의 타측에는 각각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슬릿(361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회전판(361a)의 후면 중심부와 상기 후측회전판(361b)의 전면 중심부 사이에는 상기 전측회전판(361a)과 상기 후측회전판(361b)를 연결하는 일측연결판(361d)와 타측연결판(361e)이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연결판(361d)과 상기 타측연결판(361e) 사이에는 상기 구동모터(350)의 구동축(351)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일측롤러부재(362)는 일측브라켓(362a), 일측롤러(362b), 일측축부재(362c), 일측연장판(362d)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브라켓(362a)은 일측전면판(362a1), 일측후면판(362a2) 및 일측연결판(362a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전면판(362a1)은 상기 전측회전판(361a)과 평행을 이룬 상태로 상기 전측회전판(361a)의 일측 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후면판(362a2)은 상기 후측회전판(361b)과 평행을 이룬 상태로 상기 후측회전판(361b)의 일측 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연결판(362a3)은 상기 일측전면판(362a1)의 타측과 상기 일측후면판(362a2)의 타측 사이에 일체형성되어 상기 일측전면판(362a1)과 상기 일측후면판(362a2)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일측롤러(362b)는 상기 일측전면판(362a1)의 일측과 상기 일측후면판(362a2)의 일측 사이에 정역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롤러(362b)는 상기 일측회전바(331)의 상부 일측의 반대측인 상기 일측 회전바(331)의 상부 타측과 접할 수 있다.
상기 일측축부재(362c)는 일측축(362c1)과 일측너트(362c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축(362c1)의 전측과 상기 일측축(362c1)의 후측은 상기 전측회전판(361a)의 일측과 상기 후측회전판(361b)의 일측에 각각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상기 가이드슬릿(361c)내에 좌우이동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일측축(362c1)의 전측에는 상기 전측회전판(361a)의 일측 전방 외부로 노출되는 일측헤드부(362c12)가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축(362c1)의 중간부에는 상기 일측롤러(362b)의 중심부가 베어링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일측너트(362c2)는 상기 일측축(362c1)의 후측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일측너트(362c2)는 상기 후측회전판(361b)의 일측 후방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일측연장판(362d)은 각각 상기 일측전면판(362a1)의 타측과 상기 일측후면판(362a2)의 타측에서 상기 회전판(361)의 중심부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롤러부재(363)는 타측브라켓(363a), 타측롤러(363b), 타측축부재(363c), 타측연장판(363d)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브라켓(363a)은 타측전면판(363a1), 타측후면판(363a2) 및 타측연결판(363a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전면판(363a1)은 상기 전측회전판(361a)과 평행을 이룬 상태로 상기 전측회전판(361a)의 타측 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측후면판(363a2)은 상기 후측회전판(361b)과 평행을 이룬 상태로 상기 후측회전판(361b)의 타측 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측연결판(363a3)는 상기 타측전면판(363a1)의 일측과 상기 타측후면판(363a2)의 일측 사이에 일체형성되어 상기 타측전면판(363a1)과 상기 타측후면판(363a2)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타측롤러(363b)는 상기 타측전면판(363a1)의 타측과 상기 타측후면판(363a2)의 타측 사이에 정역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측롤러(363b)는 상기 타측회전바(341)의 상부 일측과 접할 수 있다.
상기 타측축부재(363c)는 타측축(363c1)과 타측너트(363c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축(363c1)의 전측과 상기 타측축(363c1)의 후측은 상기 전측회전판(361a)의 타측과 상기 후측회전판(361b)의 타측에 각각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상기 가이드슬릿(361c)내에 좌우이동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타측축(363c1)의 전측에는 상기 전측회전판(361a)의 타측 전방 외부로 노출되는 타측헤드부(363c12)가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축(363c1)의 중간부에는 상기 타측롤러(363b)의 중심부가 베어링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타측너트(363c2)는 상기 타측축(363c1)의 후측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타측너트(363c2)는 상기 후측회전판(361b)의 타측 후방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타측연장판(363d)은 각각 상기 타측전면판(363a1)의 일측과 상기 타측후면판(363a2)의 일측에서 상기 회전판(361)의 중심부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탄성부재(364)와 상기 타측탄성부재(365)는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측회전판(361a)과 상기 후측회전판(361b)을 연결하는 상기 일측연결판(361d)의 일측면에는 상기 일측롤러부재(362)의 일측연결판(362a3) 방향으로 수평연장되는 일측고정축(361f)이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회전판(361a)과 상기 후측회전판(361b)을 연결하는 상기 타측연결판(361e)의 일측면의 반대측인 상기 타측연결판(361e)의 타측면에는 상기 타측롤러부재(363)의 타측연결판(363a3) 방향으로 수평연장되는 타측고정축(361g)이 일체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일측탄성부재(364)의 일측은 상기 일측롤러부재(362)의 일측연결판(362a3)의 일측면의 반대측인 상기 일측연결판(362a3)의 타측면과 접하여 상기 일측롤러부재(362)의 일측연결판(362a3)을 탄성지지할 수 있다.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일측탄성부재(364)의 타측은 상기 일측고정축(361f)을 감싼 상태로 상기 전측회전판(361a)과 상기 후측회전판(361b)을 연결하는 상기 일측연결판(361d)의 일측면과 접할 수 있다.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타측탄성부재(365)의 일측은 상기 타측고정축(361g)을 감싼 상태로 상기 전측회전판(361a)과 상기 후측회전판(361b)을 연결하는 상기 타측연결판(361e)의 일측면과 접할 수 있다.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타측탄성부재(365)의 타측은 상기 타측롤러부재(363)의 타측연결판(363a3)의 일측면과 접하여 상기 타측롤러부재(363)의 타측연결판(363a3)을 탄성지지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2의 긴급강하속도조절부(30)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일측보조탄성부재(101)와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타측보조탄성부재(102)로 구성되는 보조탄성부재(1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보조탄성부재(101)의 일측은 상기 일측회전바(331)의 중간부 일측의 반대측인 상기 일측회전바(331)의 중간부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일측보조탄성부재(101)의 타측은 상기 프레임(310)의 전측프레임(311)의 상부 일측 또는 후측프레임(312)의 상부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타측보조탄성부재(102)의 일측은 상기 프레임(310)의 전측프레임(311)의 상부 타측 또는 후측프레임(312)의 상부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타측보조탄성부재(102)의 타측은 상기 타측회전바(341)의 중간부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일예의 상기 긴급강하속도조절부(30)의 구동모터(350)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360)가 정역회전하여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평상태로 위치조절될 경우,
상기 일측회전바(331)의 상측은 상기 구동모터(350)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보조탄성부재(100)는 팽창 및 상기 일측브레이크부재(330)의 일측브레이크패드(332a)는 상기 회전체(320)의 일측 외주면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회전체(320)의 일측 외주면과 접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타측회전바(341)의 상측은 상기 구동모터(350)의 타측 외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타측브레이크부재(340)의 타측브레이크패드(342a)는 상기 회전체(320)의 타측 외주면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회전체(320)의 타측 외주면과 접하게 된다.
상기 일측브레이크패드(332a)와 상기 타측브레이크패드(342a)가 각각 상기 회전체(320)의 일측 외주면과 상기 회전체(320)의 타측 외주면에 접하게 됨에 따라 상기 회전체(320)의 정역회전속도는 저하되고, 이로 인해 수문(3)의 승강속도는 저하될 수 있다.
일예의 상기 긴급강하속도조절부(30)의 구동모터(350)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360)가 정역회전하여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직상태로 위치조절될 경우,
상기 보조탄성부재(100)의 수축력에 의해 상기 일측회전바(331)의 상측은 상기 구동모터(350)의 일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일측브레이크패드(332a)는 상기 회전체(320)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일측브레이크패드(332a)와 상기 회전체(320)의 접한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측회전바(341)의 상측은 상기 구동모터(350)의 타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타측브레이크패드(342a)는 상기 회전체(320)의 타측 외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타측브레이크패드(342a)와 상기 회전체(320)의 접한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회전체(320)의 정역회전속도는 상승하게 됨과 더불어 상기 수문(3)의 승강속도 또한 상승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예의 상기 긴급강하속도조절부(30)의 구동모터(350)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360)가 정역회전하여 사선방향으로 경사지게 위치조절될 경우,
상기 일측브레이크패드(332a)와 상기 타측브레이크패드(342a)는 상기 회전부재(360)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평상태로 위치조절된 상태보다 상대적으로 약하게 상기 회전체(320)에 접하게 되고,
이때, 상기 회전체(320)의 정역회전속도는 상기 회전부재(360)가 수평상태로 위치조절된 상태의 상기 회전체(320)의 정역회전속도보다 빠르게 정역회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360)의 경사각도(도 6의 α)가 점차 커지면 상기 회전체(320)의 정역회전속도는 점차 커지고,
상기 회전부재(360)의 경사각도(α)가 점차 작아지면 상기 회전체(320)의 정역회전속도는 점차 느려지게 된다.
도 7은 긴급강하속도조절부(30)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다른예로, 상기 긴급강하속도조절부(30)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프레임(310), 상기 회전체(320), 일측브레이크부재(330), 타측브레이크부재(340), 상기 구동모터(350) 및 상기 회전부재(3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체(320)의 상부방향에 구비되는 상기 일측브레이크부재(330)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일측회전바(331)와 일측브레이크판(332)으로 구성되되,
상기 일측회전바(331)는 상부일측회전바(331a)와 하부일측회전바(331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일측회전바(331a)는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일측회전바(331b)는 상기 상부일측회전바(331a)의 하측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일측회전바(331b)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회전체(320)의 타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일측브레이크판(332)은 상기 하부일측회전바(331b)의 하측에 일체형성되어 상기 회전체(320)의 타측 외주면과 접할 수 있다.
상기 일측브레이크판(332)의 일측에는 상기 회전체(320)의 타측 외주면과 접하는 고무재질 등의 상기 일측브레이크패드(332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320)의 상부방향에 구비되는 상기 타측브레이크부재(340)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타측회전바(341)와 타측브레이크판(342)으로 구성되되,
상기 타측회전바(341)는 상부타측회전바(341a)와 하부타측회전바(341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타측회전바(341a)는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타측회전바(341b)는 상기 상부타측회전바(341a)의 하측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타측회전바(341b)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회전체(320)의 일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타측브레이크판(342)은 상기 하부타측회전바(341b)의 하측에 일체형성되어 상기 회전체(320)의 일측 외주면과 접할 수 있다.
상기 타측브레이크판(342)의 일측의 반대측인 상기 타측브레이크판(342)의 타측에는 상기 회전체(320)의 일측 외주면과 접하는 고무재질 등의 상기 타측브레이크패드(342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310)의 전측프레임(311)의 상부 중심부와 후측프레임(312)의 상부 중심부 사이에 상기 하부일측회전바(331b)의 중심부와 상기 하부타측회전바(341b)의 중심부가 위치할 수 있고,
이상태에서 상기 축부재(314)가 상기 전측프레임(311)의 상부 중심부, 상기 하부일측회전바(331b)의 중심부, 상기 하부타측회전바(341b)의 중심부 및 상기 후측프레임(312)의 상부 중심부를 전후방향으로 수평관통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350)는 상기 일측회전바(331)의 상부일측회전바(331a)와 상기 타측회전바(341)의 상부타측회전바(341a)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360)는 상기 구동모터(350)와 축결합되어 상기 일측회전바(331)의 상부일측회전바(331a)와 상기 타측회전바(341)의 상부타측회전바(341a) 사이에 구비된 상태에서 정역회전하여 상기 일측회전바(331)의 상부일측회전바(331a)와 상기 타측회전바(341)의 상부타측회전바(341a)를 좌우회전이동시킬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의 긴급강하속도조절부(30)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일측회전바(331a)의 상측과 상기 상부타측회전바(341a)의 상측사이에는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보조탄성부재(1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탄성부재(100)의 일측은 상기 상부일측회전바(331a)의 상측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보조탄성부재(100)의 타측은 상기 상부타측회전바(341a)의 상측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예의 상기 긴급강하속도조절부(30)의 구동모터(350)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360)가 정역회전하여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평상태로 위치조절될 경우,
상기 보조탄성부재(100)는 팽창하게 되고,
상기 상부일측회전바(331a)의 상측은 상기 구동모터(350)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일측브레이크부재(330)의 일측브레이크패드(332a)는 상기 회전체(320)의 타측 외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일측브레이크패드(332a)와 상기 회전체(320)의 접한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타측회전바(341a)의 상측은 상기 구동모터(350)의 타측 외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타측브레이크부재(340)의 타측브레이크패드(342a)는 상기 회전체(320)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타측브레이크패드(342a)와 상기 회전체(320)의 접한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회전체(320)의 정역회전속도는 상승하게 됨과 더불어 상기 수문(3)의 승강속도 또한 상승될 수 있다.
다른예의 상기 긴급강하속도조절부(30)의 구동모터(350)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360)가 정역회전하여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직상태로 위치조절될 경우,
상기 보조탄성부재(100)는 수축하게 되고,
상기 상부일측회전바(331a)의 상측은 상기 구동모터(350)의 일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일측브레이크부재(330)의 일측브레이크패드(332a)는 상기 회전체(320)의 타측 외주면 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회전체(320)의 타측 외주면과 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타측회전바(341a)의 상측은 상기 구동모터(350)의 타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타측브레이크부재(340)의 타측브레이크패드(342a)는 상기 회전체(320)의 일측 외주면 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회전체(320)의 일측 외주면과 접할 수 있다.
상기 일측브레이크패드(332a)와 상기 타측브레이크패드(342a)가 각각 상기 회전체(320)의 타측 외주면과 상기 회전체(320)의 일측 외주면에 접하게 됨에 따라 상기 회전체(320)의 정역회전속도는 저하되고, 이로 인해 수문(3)의 승강속도는 저하될 수 있다.
한편,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350)에 의해 정역회전하여 사선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위치조절되는 상기 회전부재(360)의 경사각도(α)가 작아질수록 상기 일측브레이크패드(332a)와 상기 타측브레이크패드(342a)는 상기 회전체(320)로부터 점차 이격되어 상기 회전체(320)의 정역회전속도는 점차 상승되고,
상기 구동모터(350)에 의해 정역회전하여 사선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위치조절되는 상기 회전부재(360)의 경사각도(α)가 커질수록 상기 일측브레이크패드(332a)와 상기 타측브레이크패드(342a)는 상기 회전체(320)에 점차 강하게 밀착되어 상기 회전체(320)의 정역회전속도는 점차 저하될 수 있다.
도 11은 긴급강하속도조절부(30)의 또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또 다른예로, 상기 긴급강하속도조절부(30)는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회전체(320), 일측브레이크부재(330), 타측브레이크부재(340), 리드스크류(370) 및 구동모터(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일측브레이크부재(330)는 일측이동바(333)와 일측브레이크판(33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이동바(333)는 상기 회전체(320)의 일측방향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브레이크판(332)의 일측은 상기 일측이동바(333)의 하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일측브레이크판(332)의 타측에 구비된 상기 일측브레이크패드(332a)는 상기 회전체(320)의 일측 외주면과 접할 수 있다.
상기 타측브레이크부재(340)는 타측이동바(343)와 타측브레이크판(34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이동바(343)는 상기 회전체(320)의 타측방향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측브레이크판(342)의 일측의 반대측인 상기 타측브레이크판(342)의 타측은 상기 타측이동바(343)의 하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타측브레이크판(342)의 일측에 구비된 사익 타측브레이크패드(342a)는 상기 회전체(320)의 타측 외주면과 접할 수 있다.
상기 일측이동바(333)의 하단부와 상기 타측이동바(343)의 하단부에는 상기 일측이동바(333)와 상기 타측이동바(343)의 좌우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판(200)이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판(200)의 일측 상부에는 상기 일측이동바(333)의 하단부가 좌우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일측홈(201)이 상기 가이드판(20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판(200)의 타측 상부에는 상기 타측이동바(343)의 하단부가 좌우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타측홈(202)이 상기 가이드판(20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홈(201)과 상기 타측홈(202)은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로 각각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370)는 상기 일측브레이크부재(330)의 상측과 상기 타측브레이크부재(340)의 상측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370)는 일측 외주면과 타측 외주면에 서로 대칭되는 나사선이 형성된 양방향 리드스크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370)의 일측에는 상기 일측이동바(333)의 상측이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370)의 타측에는 상기 타측이동바(343)의 상측이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350)는 상기 리드스크류(370)의 일단부의 반대측인 상기 리드스크류(370)의 타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리드스크류(370)를 정역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350)는 상기 구동모터(350)의 하부방향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350)를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몸체(300)의 상부면에 수평으로 볼트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모터(350)가 상기 리드스크류(370)를 감속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350)와 상기 리드스크류(370) 사이에는 감속기어박스(4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속기어박스(400)는 본체(401), 하부기어(402) 및 상부기어(40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401)는 상기 리드스크류(370)와 상기 구동모터(350) 사이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기어(402)는 상기 본체(401)의 내부 하측에 수직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350)와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기어(403)는 상기 하부기어(402)와 치합된 상태로 상기 본체(401)의 내부 상측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기어(403)는 상기 리드스크류(370)의 타단부와 축결합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1의 긴급강하속도조절부(30)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 다른예의 상기 긴급강하속도조절부(30)의 구동모터(350)에 의해 상기 리드스크류(350)가 역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이동바(333)는 상기 회전체(320)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일측브레이크패드(332a)와 상기 회전체(320)의 접한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측이동바(343)는 상기 회전체(320)의 타측외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타측브레이크패드(342a)와 상기 회전체(320)의 접한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회전체(320)의 정역회전속도는 상승하게 됨과 더불어 상기 수문(3)의 승강속도 또한 상승될 수 있다.
또 다른예의 상기 긴급강하속도조절부(30)의 구동모터(350)에 의해 상기 리드스크류(350)가 정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이동바(333)는 상기 회전체(320)의 일측 외주면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일측브레이크패드(332a)가 상기 회전체(320)에 접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타측이동바(343)는 상기 회전체(320)의 타측 외주면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타측브레이크패드(342a)가 상기 회전체(320)에 접하게 된다.
상기 일측브레이크패드(332a)와 상기 타측브레이크패드(342a)가 각각 상기 회전체(320)의 타측 외주면과 상기 회전체(320)의 일측 외주면에 접하게 됨에 따라 상기 회전체(320)의 정역회전속도는 저하되고, 이로 인해 수문(3)의 승강속도는 저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일예와 또 다른예의 상기 일측브레이크판(332)의 하측 및 일예와 또 다른예의 상기 타측브레이크판(342)의 하측이 각각 상기 일측브레이크판(332)의 하부방향 및 상기 타측브레이크판(342)의 하부방향으로 치우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하기 위해,
도 4 내지 도 6 및 도 12,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예와 또 다른예의 상기 긴급강하속도조절부(30)는 일측지지부재(380)와 타측지지부재(39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일측지지부재(380)는 일측지지판(381)과 일측지지볼트(38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지지판(381)은 일예의 상기 프레임(310)의 하측프레임(313)의 상부 일측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지지판(381)은 상기 일측브레이크판(332)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또 다른예의 상기 가이드판(200)의 상부면 일측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지지볼트(382)는 상기 일측지지판(381)의 상측에 좌우이동가능하게 수평으로 나사결합되어 상기 일측브레이크판(332)의 하부 타측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타측지지부재(390)는 타측지지판(391)과 타측지지볼트(39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지지판(391)은 일예의 상기 프레임(310)의 하측프레임(313)의 상부 타측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측지지판(391)은 상기 타측브레이크판(342)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또 다른예의 상기 가이드판(200)의 상부면 타측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지지볼트(392)는 상기 타측지지판(391)의 상측에 좌우이동가능하게 수평으로 나사결합되어 상기 타측브레이크판(342)의 하부 일측을 지지할 수 있다.
도 14는 제어부(50)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다음으로,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측정부(40)와 제어부(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측정부(40)는 상기 회전축(150)의 정역회전수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지된 인코더 또는 타코메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측정부(40)가 측정한 정역회전수값과 상기 제어부(50)에 미리 설정된 기준회전수값을 비교하여 전원공급부(5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긴급강하속도조절부(3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40)가 측정한 상기 회전축(150)의 정역회전수값이 상기 제어부(50)에 미리 설정된 기준회전수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긴급강하속도절부(30)는 상기 일측브레이크패드(332a)와 상기 타측브레이크패드(342a)가 상기 회전체(320)에 접하지 않게 하여 상기 회전축(150)의 회전속도가 상승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40)가 측정한 상기 회전축(150)의 정역회전수값이 상기 제어부(50)에 미리 설정된 기준회전수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긴급강하속도조절부(30)는 상기 일측브레이크패드(332a)와 상기 타측브레이크패드(342a)가 상기 회전체(320)에 접하도록 하여 상기 회전축(150)의 회전속도가 저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5는 장력감지부(7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결부재(60), 장력감지부(70) 및 상기 제어부(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60)는 체인 또는 와이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60)는 상기 회전드럼(20)과 상기 수문(3)을 연결시키고, 상기 회전드럼(20)에 감겨질 수 있다.
상기 장력감지부(70)는 상기 연결부재(60)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재(60)의 장력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장력감지부(70)가 감지한 장력상태에 따라 상기 수문용 권양부(10)와 상기 긴급강하속도조절부(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6은 장력감지부(70)와 연결부재(60)의 연결상태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17 및 도 18은 장력감지부(70)의 설치상태 및 수문(3)의 승강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평플레이트(600), 보조프레임(700) 및 보조회전체(8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평플레이트(600)는 도 17 및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문(3)의 상부방향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프레임(700)은 일측보조프레임(701)과 타측보조프레임(70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보조프레임(701)은 일측상부보조프레임(701a)과 일측하부보조프레임(701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상부보조프레임(701a)은 상기 수평플레이트(600)의 상부면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상부보조프레임(701a)의 상부에는 본 발명인 긴급강하속도조절장치가 구비된 수문권양기(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하부보조프레임(701b)은 상기 수문(3)의 상부면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측보조프레임(702)은 타측상부보조프레임(702a)과 타측하부보조프레임(702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상부보조프레임(702a)은 상기 수평플레이트(600)의 상부면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측하부보조프레임(702b)은 상기 수문(3)의 상부면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회전체(800)는 일측보조회전체(801)와 타측보조회전체(80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회전체(800)는 도르래 또는 기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일측보조회전체(801)는 일측상부보조회전체(801a)와 일측하부보조회전체(801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상부보조회전체(801a)는 상기 일측상부보조프레임(701a)의 상부면 일측의 반대측인 상기 일측상부보조프레임(701a)의 상부면 타측에 정역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일측하부보조회전체(801b)는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일측하부보조회전체(801b1), 제 2일측하부보조회전체(801b2) 및 제 3일측하부보조회전체(801b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2, 3일측하부보조회전체(801b1, 801b2, 801b3)는 상기 일측하부보조프레임(701b)의 전측에서 상기 일측하부보조프레임(701b)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일측하부보조프레임(701b)의 상부에 정역회전가능하게 각각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타측보조회전체(802)는 타측상부보조회전체(802a)와 타측하부보조회전체(802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상부보조회전체(802a)는 상기 타측상부보조프레임(702a)에 정역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타측하부보조회전체(802b)는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타측하부보조회전체(802b1), 제 2타측하부보조회전체(802b2) 및 제 3타측하부보조회전체(802b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2, 3타측하부보조회전체(802b1, 802b2, 802b3)는 상기 타측하부보조프레임(702b)의 전측에서 상기 타측하부보조프레임(702b)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타측하부보조프레임(702b)의 상부에 정역회전가능하게 각각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60)는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측연결부재(601)와 후측연결부재(60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장력감지부(70)는 상기 전측연결부재(601)와 연결되는 전측장력감지부(70a)와; 상기 후측연결부재(602)와 연결되는 후측장력감지부(70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장력감지부(70a)와 상기 후측장력감지부(70b)는 상기 타측상부보조프레임(802a)의 상부면 일측의 반대측인 상기 타측상부보조프레임(802a)의 상부면 타측에 상기 타측상부보조프레임(802a)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각각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측연결부재(601)의 일측은 상기 회전드럼(20)의 전측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드럼(20)의 전측에 감겨질 수 있다.
상기 전측연결부재(601)의 타측은 상기 전측장력감지부(70a)의 후술할 상하이동축(720)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드럼(20)의 전측과 상기 전측장력감지부(70a)의 상하이동축(720)의 하측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전측연결부재(601)부위는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일측하부보조회전체(801b1)의 하측, 상기 일측상부보조회전체(801a)의 상측, 제 2일측하부보조회전체(801b2)의 하측, 제 1타측하부보조회전체(802b1)의 하측을 경유할 수 있다.
상기 후측연결부재(602)의 일측은 상기 회전드럼(20)의 후측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드럼(20)의 후측에 감겨질 수 있다.
상기 후측연결부재(602)의 타측은 상기 후측장력감지부(70b)의 상하이동축(720)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드럼(20)의 후측과 상기 후측장력감지부(70b)의 상하이동축(720)의 하측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후측연결부재(602)부위는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3일측하부보조회전체(801b3)의 하측, 상기 제 2타측하부보조회전체(802b2)의 하측, 상기 타측상부보조회전체(802a)의 상측 및 상기 제 3타측하부보조회전체(802b3)의 하측을 경유할 수 있다.
상기 전측장력감지부(70a)와 후측장력감지부(70b)로 구성되는 상기 장력감지부(70)는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관체(710), 상하이동축(720), 상하이동관체(730), 탄성부재(740) 및 리미트스위치(75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리미트스위치(75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수문용 권양부(10)와 상기 긴급강하속도조절부(3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관체(710)는 상기 타측상부보조프레임(702a)의 상부면 타측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축(720)은 상기 관체(710)의 하부 중심부와 상기 타측상부보조프레임(702a)의 타측을 수직관통한 상태로 상기 관체(710)의 하부방향 및 상기 타측상부보조프레임(702a)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축(720)의 하측에는 상기 연결부재(6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관체(730)의 내주면 상측에는 상기 상하이동축(720)의 상단부가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관체(730)는 상기 관체(710)의 외주면을 감싼 상태로 상기 관체(710)의 외주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탄성부재(740)는 상기 상하이동축(720)의 상측을 감싼 상태로 상기 관체(710)의 내부 및 상기 상기 상하이동관체(73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740)의 상측은 상기 상하이동관체(730)의 내주면 상측과 접하여 상기 상하이동관체(730)의 내주면 상측을 탄성지지할 수 있다.
상기 리미트스위치(750)는 상기 상하이동관체(730)의 상부방향에 구비되어 상기 상하이동관체(730)의 상하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관체(710)의 일측의 반대측인 상기 관체(710)의 타측에는 상기 리미트스위치(750)를 일정높이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9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900)는 수평지지판(901)과 수직지지판(90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지지판(901)의 일측은 상기 관체(710)의 하부 타측 외주면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직지지판(902)는 상기 수평지지판(901)의 타측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미트스위치(750)의 타측은 상기 수직지지판(902)의 상부 일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인 긴급강하속도조절장치가 구비된 수문권양기는 상기 수문(3)의 열림정도를 나타내는 공지된 개도계(도 17 및 도 18의 9)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60)는 상기 수문(3)의 하중으로 인해 평상시에는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하이동관체(730)는 상기 수문(3)의 하중으로 인해 상기 관체(710)의 하부방향으로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때 상기 탄성부재(740)는 수축될 수 있다.
상기 수문(3)이 하강하면서 상기 개도계(9)가 측정한 수치가 0m이고, 상기 리미트스위치(750)가 상기 상하이동관체(730)의 상부와 접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수문(3)이 완전하강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수문용 권양부(10)와 상기 긴급강하속도조절부(30)를 각각 작동중지시킬 수 있다.
한편, 하강 중인 상기 수문(3)의 하측이 상기 수문(3)의 하부방향에 위치한 나무 등의 이물질(2)과 접촉한 상태 및 상기 개도계(9)가 측정한 수치가 0m초과인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수문용 권양부(10) 및 상기 긴급강하속도조절부(30)가 상기 수문(3)을 지속적으로 하강시킬 시,
팽팽한 상태인 상기 연결부재(60)는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느슨해지게 되고,
이때, 상기 장력감지부(70)의 탄성부재(740)는 팽창되면서, 상기 상하이동축(720)과 상기 상하이동관체(730)가 상기 관체(710)의 상부방향으로 상승하게 된다.
상승한 상기 상하이동관체(730)가 상기 리미트스위치(750)의 일측과 접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수문(3)이 상기 수문(3)의 하부방향에 위치한 나무 등의 이물질(2)로 인해 완전하강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게 되고,
이때,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수문용 권양부(10)는 상기 제어부(50)에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상기 수문(3)을 상하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상승 및 하강시키게 되고, 상기 긴급강하속도조절부(30)는 상기 수문(3)의 상승 및 하강속도즐 조절하게 된다.
상기 수문(3)이 상기 제어부(50)에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상하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상승 및 하강하는 과정 중에 상기 수문(3)의 하측을 통과하는 물의 유속에 의해 상기 수문(3)의 하측에 묻은 일부 이물질(2)과 상기 수문(3)의 하측에 위치한 나무 등의 이물질(2)은 물을 따라 떠내려가게 된다.
상기 수문(3)이 상기 제어부(50)에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상하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상승 및 하강한 후 상기 수문(3)은 다시 하강하게 되고, 이때 상기 개도계(9)가 측정한 수치가 0m임과 더불어 상기 리미트스위치(750)가 상기 상하이동관체(730)의 상부와 접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수문(3)이 완전하강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수문용 권양부(10)와 상기 긴급강하속도조절부(30)를 각각 작동중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비상시에 상기 수문(3)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강하시킬 수 있음은 물론 특히, 상기 긴급강하속도조절부(30)를 통해 상기 수문(3)의 강하속도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긴급강하속도조절부(30)와 종래의 상기 수문용 권양부(10)와의 호환성이 매우 우수하고, 나아가 상기 긴급강하속도조절부(30)의 교체 및 장착이 용이함은 물론 상기 수문(3)을 자동은 물론 수동으로도 손쉽게 승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수문용 권양부, 20; 회전드럼,
30; 긴급강하속도조절부.

Claims (10)

  1. 수문(3)을 승강시키기 위한 수문용 권양부(10)와;
    상기 수문용 권양부(10)의 출력축(140)과 결합된 회전축(15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수문(3)을 승강시키는 회전드럼(20)과;
    상기 회전드럼(20)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상기 회전축(150)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15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긴급강하속도조절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긴급강하속도조절부(30)와 상기 회전드럼(20)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150)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드럼(20)으로 감속전달하는 감속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강하속도조절장치가 구비된 수문권양기.
  2. 수문(3)을 승강시키기 위한 수문용 권양부(10)와;
    상기 수문용 권양부(10)의 출력축(140)과 결합된 회전축(15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수문(3)을 승강시키는 회전드럼(20)과;
    상기 회전드럼(20)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상기 회전축(150)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15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긴급강하속도조절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긴급강하속도조절부(30)는 프레임(310)과;
    상기 프레임(31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축(150)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150)을 따라 회전하는 회전체(320)와;
    상기 프레임(310)의 일측에 하측이 축결합되는 일측회전바(331)와, 상기 프레임(31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일측회전바(331)의 하측에 축결합되어 상기 회전체(320)의 일측과 접하는 일측브레이크판(332)으로 구성되는 일측브레이크부재(330)와;
    상기 프레임(310)의 타측에 하측이 축결합되는 타측회전바(341)와, 상기 프레임(31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일측회전바(331)의 하측에 축결합되어 상기 회전체(320)의 타측과 접하는 타측브레이크판(342)으로 구성되는 타측브레이크부재(340)와;
    상기 프레임(310)의 상부에 구비되는 구동모터(350)와;
    상기 일측회전바(331)의 상측과 상기 타측회전바(341)의 상측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모터(350)와 축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일측회전바(331)의 상측과 상기 타측회전바(341)의 상측을 좌우회전이동시키는 회전부재(3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강하속도조절장치가 구비된 수문권양기.
  3. 수문(3)을 승강시키기 위한 수문용 권양부(10)와;
    상기 수문용 권양부(10)의 출력축(140)과 결합된 회전축(15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수문(3)을 승강시키는 회전드럼(20)과;
    상기 회전드럼(20)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상기 회전축(150)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15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긴급강하속도조절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긴급강하속도조절부(30)는 상기 회전축(150)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150)을 따라 회전하는 회전체(320)와;
    상기 회전체(320)의 상부방향에 구비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회전체(320)의 타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일측회전바(331)와, 상기 일측회전바(331)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체(320)의 타측과 접하는 일측브레이크판(332)으로 구성되는 일측브레이크부재(330)와;
    상기 회전체(320)의 상부방향에 구비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회전체(320)의 일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며 중심부가 상기 일측회전바(331)의 중심부와 축결합되는 타측회전바(341)와, 상기 타측회전바(341)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체(320)의 일측과 접하는 타측브레이크판(342)으로 구성되는 타측브레이크부재(340)와;
    상기 일측회전바(331)의 상측과 상기 타측회전바(341)의 상측 사이에 구비되는 구동모터(350)와;
    상기 구동모터(350)와 축결합되어 상기 일측회전바(331)의 상측과 상기 타측회전바(341)의 상측 사이에 구비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일측회전바(331)의 상측과 상기 타측회전바(341)의 상측을 좌우회전이동시키는 회전부재(3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강하속도조절장치가 구비된 수문권양기.
  4. 수문(3)을 승강시키기 위한 수문용 권양부(10)와;
    상기 수문용 권양부(10)의 출력축(140)과 결합된 회전축(15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수문(3)을 승강시키는 회전드럼(20)과;
    상기 회전드럼(20)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상기 회전축(150)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15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긴급강하속도조절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긴급강하속도조절부(30)는 상기 회전축(150)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150)을 따라 회전하는 회전체(320)와;
    상기 회전체(320)의 일측방향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일측이동바(333)와, 상기 일측이동바(333)의 하측에 축결합되어 상기 회전체(320)의 일측과 접하는 일측브레이크판(332)으로 구성되는 일측브레이크부재(330)와;
    상기 회전체(320)의 타측방향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타측이동바(343)와, 상기 타측이동바(343)의 하측에 축결합되어 상기 회전체(320)의 타측과 접하는 타측브레이크판(342)으로 구성되는 타측브레이크부재(340)와;
    상기 일측이동바(333)의 상측이 일측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타측이동바(343)의 상측이 타측에 나사결합되는 리드스크류(370)와;
    상기 리드스크류(370)와 축결합되어 상기 리드스크류(37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강하속도조절장치가 구비된 수문권양기.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360)는 상기 구동모터(350)와 축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판(361)과;
    상기 회전판(361)의 일측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일측회전바(331)의 상측과 접하는 일측롤러부재(362)와;
    상기 회전판(361)의 타측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타측회전바(341)의 상측과 접하는 타측롤러부재(363)와;
    상기 일측롤러부재(362)를 탄성지지하는 일측탄성부재(364)와;
    상기 타측롤러부재(363)를 탄성지지하는 타측탄성부재(36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강하속도조절장치가 구비된 수문권양기.
  6.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강하속도조절부(30)는 상기 일측브레이크판(332)의 하측을 지지하는 일측지지부재(380)와;
    상기 타측브레이크판(342)의 하측을 지지하는 타측지지부재(39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강하속도조절장치가 구비된 수문권양기.
  7. 수문(3)을 승강시키기 위한 수문용 권양부(10)와;
    상기 수문용 권양부(10)의 출력축(140)과 결합된 회전축(15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수문(3)을 승강시키는 회전드럼(20)과;
    상기 회전드럼(20)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상기 회전축(150)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15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긴급강하속도조절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축(150)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측정부(40)와;
    상기 측정부(40)가 측정한 회전수값과 미리 설정된 기준회전수값을 비교하여 상기 긴급강하속도조절부(30)를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강하속도조절장치가 구비된 수문권양기.
  8. 수문(3)을 승강시키기 위한 수문용 권양부(10)와;
    상기 수문용 권양부(10)의 출력축(140)과 결합된 회전축(15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수문(3)을 승강시키는 회전드럼(20)과;
    상기 회전드럼(20)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상기 회전축(150)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15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긴급강하속도조절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드럼(20)과 상기 수문(3)을 연결시키고, 상기 회전드럼(20)에 감겨지는 연결부재(60)와;
    상기 연결부재(60)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재(60)의 장력상태을 감지하는 장력감지부(70)와;
    상기 장력감지부(70)가 감지한 장력상태에 따라 수문용 권양부(10)와 상기 긴급강하속도조절부(30)를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강하속도조절장치가 구비된 수문권양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감지부(70)는 관체(710)와;
    상기 관체(710)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관체(71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되며, 하측에 상기 연결부재(60)가 연결되는 상하이동축(720)과;
    상기 상하이동축(720)이 내주면 상측에 연결되고, 상기 관체(710)를 감싼 상태로 상기 관체(710)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상하이동관체(730)와;
    상기 관체(710)의 내부 및 상기 상하이동관체(730)의 내부에 구비되는 탄성부재(740)와;
    상기 상하이동관체(730)의 상부방향에 구비되어 상기 상하이동관체(730)의 상하위치를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750);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리미트스위치(75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수문용 권양부(10)와 상기 긴급강하속도조절부(3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강하속도조절장치가 구비된 수문권양기.
  10. 삭제
KR1020120121996A 2012-10-31 2012-10-31 긴급강하속도조절장치가 구비된 수문권양기 KR101251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996A KR101251934B1 (ko) 2012-10-31 2012-10-31 긴급강하속도조절장치가 구비된 수문권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996A KR101251934B1 (ko) 2012-10-31 2012-10-31 긴급강하속도조절장치가 구비된 수문권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1934B1 true KR101251934B1 (ko) 2013-04-08

Family

ID=48442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1996A KR101251934B1 (ko) 2012-10-31 2012-10-31 긴급강하속도조절장치가 구비된 수문권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193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66982A (zh) * 2014-05-21 2014-08-06 苏州新协力特种工业模板有限公司 一种大型启闭机装置
CN107435326A (zh) * 2017-07-26 2017-12-05 开普天(上海)岩土科技有限公司 挤密砂桩成桩设备及挤密砂桩成桩方法
KR102062850B1 (ko) * 2019-07-12 2020-01-07 광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수문 권양기의 긴급 차단장치
KR102387230B1 (ko) * 2022-01-03 2022-04-18 (주)성진하이텍 와이어와 케이블 속도 제어가 가능한 공기청정기가 부설된 등기구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6830U (ko) * 1996-11-13 1998-08-05 양창호 수문 개폐용 권양기의 유압식 구동장치
KR100926525B1 (ko) * 2009-08-11 2009-11-12 금전기업 주식회사 수문용 권양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6830U (ko) * 1996-11-13 1998-08-05 양창호 수문 개폐용 권양기의 유압식 구동장치
KR100926525B1 (ko) * 2009-08-11 2009-11-12 금전기업 주식회사 수문용 권양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66982A (zh) * 2014-05-21 2014-08-06 苏州新协力特种工业模板有限公司 一种大型启闭机装置
CN107435326A (zh) * 2017-07-26 2017-12-05 开普天(上海)岩土科技有限公司 挤密砂桩成桩设备及挤密砂桩成桩方法
KR102062850B1 (ko) * 2019-07-12 2020-01-07 광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수문 권양기의 긴급 차단장치
KR102387230B1 (ko) * 2022-01-03 2022-04-18 (주)성진하이텍 와이어와 케이블 속도 제어가 가능한 공기청정기가 부설된 등기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1934B1 (ko) 긴급강하속도조절장치가 구비된 수문권양기
KR101253736B1 (ko) 수문권양기용 비상강하장치
KR102062849B1 (ko)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수문 권양장치
KR100975954B1 (ko) 수문용 권양장치
KR101005016B1 (ko) 수문용 권양장치
KR102002795B1 (ko) 수문 권양장치
JP2021014771A (ja) 道路交通検査の遮断装置
KR20110097538A (ko) 미닫이식 개폐수문
KR101439225B1 (ko) 수로 개폐형 협잡물 제진장치
KR100832126B1 (ko) 이중 수문의 권양장치
KR20050118116A (ko) 권양기 수문의 구성방법
KR101170324B1 (ko) 도로용 빗물 저류조시설
KR101599999B1 (ko) 로터리 제진기
KR100995969B1 (ko) 수문 시스템
EP0744525B1 (en) A device for removing debris from a helical drilling tool
KR101068406B1 (ko) 수문 권양기용 제동장치
KR100839229B1 (ko) 수문 개폐 시스템용 자동 조작장치
JP2003336454A (ja) 昇降式防水扉装置
KR100982528B1 (ko) 전도 게이트용 권양장치
KR102152161B1 (ko) 수동 자동 강하 조작 및 핸들 조작이 용이한 권양기
ES2221594T1 (es) Procedimiento de compactado de desechos y maquina para su realizacion.
JPH0428912Y2 (ko)
KR101831394B1 (ko) 와이어 로프 인양용 수문
CN219590299U (zh) 一种污水浓度检测设备
KR20100119221A (ko) 유압식 수문의 권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