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2064B1 - 평판체결너트 및 이를 이용한 평판체결너트 구조물 그리고 평판체결너트 구조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평판체결너트 및 이를 이용한 평판체결너트 구조물 그리고 평판체결너트 구조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2064B1
KR102152064B1 KR1020190023687A KR20190023687A KR102152064B1 KR 102152064 B1 KR102152064 B1 KR 102152064B1 KR 1020190023687 A KR1020190023687 A KR 1020190023687A KR 20190023687 A KR20190023687 A KR 20190023687A KR 102152064 B1 KR102152064 B1 KR 102152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plate
fastening
protrusion
nut
receiv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3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상헌
Original Assignee
오상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헌 filed Critical 오상헌
Priority to KR1020190023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20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16B37/041Releasable devices
    • F16B37/042Releasable devices locking by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3/00Washers or equivalent devices; Other devices for supporting bolt-heads or n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4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rive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설비를 사용하지 않고도 체결부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평판에 체결되는 평판체결너트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은 별도의 설비를 사용하지 않고도 체결부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평판에 체결되기 때문에 체결이 편리하고 체결단가를 줄이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접이 불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 평판이나 열처리된 너트의 경우에도 용접에 의하지 않고 평판과 너트를 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평판체결너트 및 이를 이용한 평판체결너트 구조물 그리고 평판체결너트 구조물 제조방법 {THE NUT, THE NUT STRUCTUR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별도의 설비를 사용하지 않고도 체결부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평판에 체결되는 체결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판에 너트를 체결하는 방법으로서 평판와 웰드너트를 용접하여 체결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너트의 용접은 프로젝션 용접기로 불리는 너트 용접기와 상기 너트 용접기에 너트를 공급하는 너트 피더(nut feeder)에 의해 진행된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프로젝션 용접기라는 별도의 설비를 사용해야 하므로 불편할 뿐만 아니라 체결단가가 높고, 용접이 불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 평판이나 열처리된 너트에는 용접에 의한 체결이 불가능하므로 평판이나 너트의 종류에 따른 사용상 제약이 있다.
등록특허 제10-0205992호 (1999.04.07)
평판과 너트의 체결상의 불편함과 체결단가를 줄이고, 용접에 의한 체결이 불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 평판 또는 너트의 경우에도 평판에 체결될 수 있는 너트를 제시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내부에 나사산(122)이 형성된 너트몸체(120)와 상기 너트몸체(120)의 상부에 형성된 체결부(140)을 포함하는 평판체결너트(100)와 상기 체결부(140)가 체결되는 체결구멍(220)이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된 평판(200)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140)는 평판의 체결구멍(220)에 대응되는 원통형의 돌출부(142)와 상기 돌출부(142)의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절개홈(144)과 상기 돌출부(142)의 상부 외주면을 둘러 감싸는 경사돌기(146)와 상기 경사돌기(146)의 하부에 형성되어 평판의 일측이 수용되는 평판수용공간(148)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체결부(140)가 평판(200)에 체결될 때 경사돌기(146)가 평판의 내주면에 의해 밀려서 안쪽으로 이동되나, 경사돌기(146)가 체결구멍(220)을 통과한 후에는 다시 복귀되는 탄성복귀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평판은 체결구멍(220)의 상부에 체결구멍(220)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돌기수용공간(240)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수용공간(240)이 형성됨으로써, 돌기수용공간(240)의 하부에는 계단 형태의 단턱부(260)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260)의 상면에 경사돌기(146)의 하면이 안착되고, 돌기수용공간(240)의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절개홈(144)의 위치 및 크기에 대응되는 회전방지돌기(28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체결너트 구조물 및 상부측에 형성된 돌출부(142)의 외주면에 경사돌기(146)가 형성되어 있는 평판체결너트(100)를 준비하는 단계(1단계); 평판체결너트(100)의 돌출부(142) 및 경사돌기(146)에 대응된 형상의 돌기수용공간(240)이 형성된 평판(2200)을 준비하는 단계(2단계); 상기 평판체결너트(100)를 평판(2200)에 체결하는 단계(3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1단계에서 평판체결너트(100)는 내부에 나사산(122)이 형성된 너트몸체(120)와 상기 너트몸체(120)의 상부에 형성된 체결부(140)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140)는 평판의 체결구멍(220)에 대응되는 원통형의 돌출부(142)와 상기 돌출부(142)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절개홈(144)과 상기 돌출부(142)의 상부 외주면을 둘러 감싸는 경사돌기(146)와 상기 경사돌기(146)의 하부에 형성되어 평판의 일측이 수용되는 평판수용공간(148)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2단계에서 평판(2200)은 상기 체결부(140)에 대응하여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된 체결구멍(220)과 상기 체결구멍(220)의 상부에 체결구멍(220)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돌기수용공간(240)과 상기 돌기수용공간(240)의 하부에 형성된 단턱부(260)와 상기 돌기수용공간(240)의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절개홈(144)의 위치 및 크기에 대응되게 형성된 회전방지돌기(28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3단계에서의 평판체결너트(100)와 평판(2200)의 결합은 평판(200)의 하단면(S1)이 너트몸체(120)의 상단면(S2)에 닿을 때까지 체결부(100)가 이동하면 체결부(100)는 탄성력에 의해 외경 방향으로 다시 복귀되고, 경사돌기(146)의 하단면(S3)은 단턱부(260)의 상단면(S4)에 맞닿아 거치되고, 돌출부(142)의 하부 외주면(S5)에 단턱부(260)의 내주면(S6)이 맞닿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체결너트 구조물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은 별도의 설비를 사용하지 않고도 체결부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평판에 체결되기 때문에 체결이 편리하고 체결단가를 줄이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접에 의한 체결이 불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 평판 또는 너트의 경우에도 평판과 너트를 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평판에 평판체결너트가 체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a)는 체결 전, (b)는 체결 후를 나타낸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평판에 평판체결너트가 체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a)는 체결 전, (b)는 체결 중, (c)는 체결 후를 나타낸다.
도3은 도2의 A부 확대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평판에 평판체결너트가 체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a)는 체결 전, (b)는 체결 후를 나타낸다.
도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평판에 평판체결너트가 체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a)는 체결 전, (b)는 체결 후를 나타낸다.
도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평판체결너트가 평판에 체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a)는 체결 전, (b)는 체결 중, (c)는 체결 후를 나타낸다.
도7은 도6의 A부 확대도이다.
도8은 도6의 B부 확대도이다.
도9 내지 도10은 평판체결너트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평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평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3 내지 도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평판을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15은 평판체결너트 구조물에 볼트가 수직 하방으로 체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a)는 체결 전, (b)는 체결 후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파악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는 공지기술의 설명은 생략한다.
단,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 중 "상", "하" 등의 방향 한정은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의 형태를 기준으로 지시하는 것일 뿐, 기준선(또는 도면)을 달리하면 방향도 달리 지시될 것임을 밝혀둔다.
도1 내지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평판에 평판체결너트가 체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3은 도2의 A부 확대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평판에 평판체결너트가 체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5 내지 도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평판에 평판체결너트가 체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7은 도6의 A부 확대도이고, 도8은 도6의 B부 확대도이고, 도9 내지 도10은 평판체결너트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11 내지 도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평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평판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15는 평판체결너트 구조물에 볼트가 수직 하방으로 체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도15와 같이 볼트(2000)가 수용될 수 있는 구조체를 제시한다. 이러한 볼트가 수용될 수 있는 구조체는 크게 평판체결너트와 평판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평판은 3가지의 실시예로 제시된다. 제1실시예에 따른 평판(200)은 도1 내지 도3, 도11에 도시되어 있고, 제2실시예에 따른 평판(1200)은 도4, 도12에 도시되어 있고, 제3실시예에 따른 평판(2200)은 도5 내지 도8, 도13 내지 도15에 도시되어 있다.
도1과 같이 평판체결너트 구조물(1000)은 평판체결너트(100)와 평판(200)을 포함하는데, 평판체결너트(100)가 평판(200)에 체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에 앞서 평판체결너트(100) 및 평판(20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9 내지 도10은 평판체결너트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평판체결너트(100)는 너트몸체(120)와 상기 너트몸체(120)의 상부에 형성된 체결부(140)을 포함한다.
상기 너트몸체(120)의 내부에는 나사산(122)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나사산(122)에는 평판체결너트(100)가 제2실시예에 따른 평판(1200) 또는 제3실시예에 따른 평판(2200)에 체결된 후에 볼트(2000)가 하방으로 체결된다 (도15 참조).
체결부(140)에 대해 설명한다. 체결부(140)는 평판(200)에 체결되는 부위로서, 평판의 체결구멍(220)에 대응되는 원통형의 돌출부(142)와 상기 돌출부(142)의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절개홈(144)과 상기 돌출부(142)의 상부 외주면을 둘러 감싸는 경사돌기(146)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돌기(146)의 하부에는 평판의 일측이 수용되는 평판수용공간(148)이 형성되어 있다.
평판체결너트(100) 및 체결부(14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하고, 이하 평판의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평판의 제1실시예
평판의 제1실시예는 도1, 도2, 도3, 도11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평판(20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평판(200)은 평판체결너트(100)가 체결되는 다른 대상물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금속에 국한되지 않고 소정의 강성을 가지고 있는 소재이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평판(200)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체결구멍(220)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평판체결너트(100)의 체결부(140)가 체결되는 공간이다.
평판체결너트(100)가 평판(200)에 체결될 때 상기 체결구멍(220)을 둘러싸는 평판(200)의 일부분이 평판수용공간(148)에 끼워지면서 평판체결너트(100)가 평판(200)에 고정되는 것이다 (도1,도2 참조).
제1실시예에 따르면, 평판(200)에 평판체결너트(100)가 체결된 후에는 경사돌기(146)가 평판(200)의 상부에 돌출하게 되는데 (도1,도2 참조), 이 경우 평판(200)의 상부에 위치한 다른 구조물과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평판의 제2실시예
평판의 제2실시예는 도4, 도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평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평판(1200)은 제1실시예에 따른 평판(200,도11)에 돌기수용공간(2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실시예에서 설명되지 않은 구성은 제1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참고한다.
상기 돌기수용공간(240)은 경사돌기(146)가 수용되는 공간으로서, 체결구멍(220)의 상부를 둘러싸는 평판(1200)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체결구멍(220) 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진다.
평판체결너트(100)가 평판(1200)에 체결될 때 돌기수용공간(240)에 경사돌기(146)가 수용되기 때문에 제1실시예에서 언급된 문제 즉, 경사돌기(146)가 평판의 상부에 돌출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평판(1200)의 상부에 돌기수용공간(240)이 형성됨으로 인하여 체결구멍(220)의 안쪽면 하부에는 계단 형태의 단턱부(260)가 형성된다.
도8을 참조하면, 상기 단턱부(260)는 평판수용공간(148)에 삽입되는 부분이므로, 단턱부(260)의 높이(a1)는 평판수용공간(148)의 높이(a2)와 일치해야 한다.
제2실시예에 따르면, 경사돌기(146)가 평판(1200)의 상부에 위치한 다른 구조물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는 있지만, 평판체결너트(100)가 평판(1200)에 체결된 상태로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
평판의 제3실시예
평판의 제3실시예는 도5 내지 도8, 도13 내지 도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실시예에 따른 평판(2200)은 제2실시예에 따른 평판(1200)에 회전방지돌기(28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3실시예에서 설명되지 않은 구성은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참고한다.
상기 회전방지돌기(280)는 돌기수용공간(240)의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절개홈(144)의 위치 및 크기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제3실시예에 따르면, 평판체결너트(100)가 평판(2200)에 체결될 때 회전방지돌기(280)가 절개홈(144)에 끼워지게 되므로, 평판체결너트(100)가 평판(2200)에 체결된 상태로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평판에 평판체결너트가 체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a)는 체결 전, (b)는 체결 후를 나타낸다.
도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평판체결너트가 평판에 체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a)는 체결 전, (b)는 체결 중, (c)는 체결 후를 나타낸다.
아래에서는 제3실시예를 기준으로 도5 내지 도6을 참고로 하여 체결부(14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체결부(140)는 평판의 체결구멍(220)에 대응되는 원통형의 돌출부(142)와 상기 돌출부(142)의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절개홈(144)과 상기 돌출부(142)의 상부 외주면을 둘러 감싸는 경사돌기(146)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돌기(146)의 하부에는 상기 돌출부(142)의 하부 외주면을 둘러 감싸는 평판수용공간(148)이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42)에 대해 설명한다. 돌출부(142)는 원통체가 절개홈(144)에 의해 분할됨으로써 형성된다. 도5 내지 도6을 참고하면, 돌출부(142)는 평판(200)에 체결될 때 안쪽으로 약간 휘어져야 하는데(R방향,도7), 이 때 돌출부(142)가 원활하게 휘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돌출부(142)의 두께(c3,도8)는 다소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소정의 강도는 갖추어야 하므로, 돌출부(142)가 파괴되지 않을 정도의 두께가 필요하다.
절개홈(144)에 대해 설명한다. 절개홈(142)은 체결구멍(220)에 대응되는 원통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하방향으로 절단함으로써 다수개 형성된다. 절개홈(144)이 다수개 형성됨으로써 돌출부(142)는 작은 외력만으로도 안쪽으로 휘어질 수 있게 된다. 돌출부(142)의 개수는 3~5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그 갯수를 가감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경사돌기(146)에 대해 설명한다. 경사돌기(146)는 돌출부(142)의 상부 외주면을 둘러 감싸면서 형성된다. 체결부(140)가 평판(200)가 체결될 때 경사돌기(146)의 경사면(S7,도7)이 단턱부(260)의 내주면(S6,도7)에 의해 자연스럽게 밀려나면서 돌출부(142)가 휘어지게끔 하기 위해서는 경사돌기(146)는 단면이 직각 삼각형인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평판과 체결된 부위를 누르는 형태의 밑면을 가진 구조라면 여러 변형된 형태가 있을 수 있다.
평판수용공간(148)에 대해 설명한다. 평판수용공간(148)은 경사돌기(146)의 하부에 형성되는 공간으로서, 평판체결너트(100)가 평판(200)에 체결된 후에는 체결구멍(220)의 바깥 둘레에 위치하는 평판(200)의 일부가 수용된다. 평판체결너트(100)와 평판(200)의 체결을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평판수용공간(148)에 단턱부(260)의 내측 일부가 꽉 끼워질 수 있도록 평판수용공간의 높이(a2)는 단턱부의 높이(a1)에 대응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평판체결너트 구조물 제조방법
이하에서는 도5 내지 도8을 참고로 하여 평판체결너트 구조물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평판체결너트 구조물 제조방법은 상부측에 형성된 돌출부(142)의 외주면에 경사돌기(146)가 형성되어 있는 평판체결너트(100)를 준비하는 단계(1단계), 평판체결너트(100)의 돌출부(142) 및 경사돌기(146)에 대응된 형상의 돌기수용공간(240)이 형성된 평판(2200)을 준비하는 단계(2단계), 상기 평판체결너트(100)를 평판(2200)에 체결하는 단계(3단계)를 거친다.
여기서, 3단계에서의 평판체결너트(100)와 평판(2200)의 결합은
평판(200)의 하단면(S1)이 너트몸체(120)의 상단면(S2)에 닿을 때까지 체결부(100)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체결부(100)는 탄성력에 의해 외경 방향으로 다시 복귀되고, 경사돌기(146)의 하단면(S3)은 단턱부(260)의 상단면(S4)에 맞닿아 거치되고, 돌출부(142)의 하부 외주면(S5)에 단턱부(260)의 내주면(S6)이 맞닿게 된다.
돌출부(142)가 탄성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체결부(140)가 체결구멍(220)에 삽입되어 상방으로 이동할 때 경사돌기(146)는 체결구멍(220)의 내주면(S6)에 의해 자연스럽게 밀리게 되고 체결부(100)는 안쪽으로 휘어진다 (R방향,도7).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평판체결너트(100)가 평판(200)에 체결될 때 체결부(140)가 도7의 R방향으로 잘 휘어지게 하기 위하여 돌출부(142)의 두께(c3,도8)는 파괴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얇게 형성될 필요가 있다. 다만, 평판(200)과의 체결 후 외력에 대한 강도 확보 등을 고려한다면, 적정한 두께로 형성될 필요가 있다.
또한, 평판체결너트(100)를 전체적으로 열처리하여 돌출부(142)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도7은 도6의 A부 상세도이고, 도8은 도6의 B부 상세도이다. 도7 및 도8을 참고하여 평판체결너트(100)가 평판(200)에 체결된 상태에서 각 구성요소의 바람직한 치수관계를 설명한다.
평판(200)의 하단면(S1)과 너트몸체(120)의 상단면(S2)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 및 경사돌기(146)의 하단면(S3)과 단턱부(260)의 상단면(S4)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동시에 발생되게 하기 위하여 단턱부의 높이(a1)는 평판수용공간의 높이(a2)와 대응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경사돌기(146)가 평판(200)의 표면에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돌기수용공간(240)의 높이(b1)는 경사돌기(146)의 높이(b2)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경사돌기(146)의 경사면(S7)이 평판상부의 내주면(S8)에 의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돌기수용공간(240)의 폭(c1)은 경사돌기(146)의 폭(c2)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0, 1001, 1002 평판체결너트 구조물
100 평판체결너트
120 너트몸체
122 나사산
140 체결부
142 돌출부
144 절개홈
146 경사돌기
148 평판수용공간
200, 1200, 2200 평판
220 체결구멍
240 돌기수용공간
260 단턱부
280 회전방지돌기
2000 볼트
a1 단턱부의 높이
a2 평판수용공간의 높이
b1 돌기수용공간의 높이
b2 경사돌기의 높이
c1 돌기수용공간의 폭
c2 경사돌기의 폭
S1 평판의 하단면
S2 너트몸체의 상단면
S3 경사돌기의 하단면
S4 단덕부의 상단면
S5 돌출부의 하부 외주면
S6 단턱부의 내주면
S7 경사돌기의 경사면
S8 평판상부의 내주면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내부에 나사산(122)이 형성된 너트몸체(120)와 상기 너트몸체(120)의 상부에 형성된 체결부(140)을 포함하는 평판체결너트(100);
    상기 체결부(140)가 체결되는 체결구멍(220)이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된 평판(200);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140)는
    평판의 체결구멍(220)에 대응되는 원통형의 돌출부(142)와
    상기 돌출부(142)의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절개홈(144)과
    상기 돌출부(142)의 상부 외주면을 둘러 감싸는 경사돌기(146)와
    상기 경사돌기(146)의 하부에 형성되어 평판의 일측이 수용되는 평판수용공간(148)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체결부(140)가
    평판(200)에 체결될 때 경사돌기(146)가 평판(200)의 내주면에 의해 밀려서 안쪽으로 이동되나, 경사돌기(146)가 체결구멍(220)을 통과한 후에는 다시 복귀되는 탄성복귀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평판(200)은
    체결구멍(220)의 상부에 체결구멍(220)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돌기수용공간(240)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수용공간(240)이 형성됨으로써, 돌기수용공간(240)의 하부에는 계단 형태의 단턱부(260)가 형성되고,
    돌기수용공간(240)의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절개홈(144)의 위치 및 크기에 대응되는 회전방지돌기(280)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260)의 상면에 경사돌기(146)의 하면이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단턱부의 높이(a1)는 평판수용공간의 높이(a2)와 대응되게 형성되고, 돌기수용공간(240)의 높이(b1)는 경사돌기(146)의 높이(b2)보다 크게 형성되고, 돌기수용공간(240)의 폭(c1)은 경사돌기(146)의 폭(c2)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체결너트 구조물.

  4. 삭제
  5. 삭제
KR1020190023687A 2019-02-28 2019-02-28 평판체결너트 및 이를 이용한 평판체결너트 구조물 그리고 평판체결너트 구조물 제조방법 KR102152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687A KR102152064B1 (ko) 2019-02-28 2019-02-28 평판체결너트 및 이를 이용한 평판체결너트 구조물 그리고 평판체결너트 구조물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687A KR102152064B1 (ko) 2019-02-28 2019-02-28 평판체결너트 및 이를 이용한 평판체결너트 구조물 그리고 평판체결너트 구조물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2064B1 true KR102152064B1 (ko) 2020-09-04

Family

ID=72470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3687A KR102152064B1 (ko) 2019-02-28 2019-02-28 평판체결너트 및 이를 이용한 평판체결너트 구조물 그리고 평판체결너트 구조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206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5992B1 (ko) 1994-09-23 1999-07-01 정몽규 프로젝션 너트의 용접 시스템
JP2001221219A (ja) * 2000-02-04 2001-08-17 Sanku:Kk 仮止め機能付きナット
KR100778028B1 (ko) * 2003-12-22 2007-12-18 주식회사 파워앙카 앵커볼트유닛
KR20110129491A (ko) * 2008-02-20 2011-12-01 히로시 미치와키 양나사체 및 암나사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5992B1 (ko) 1994-09-23 1999-07-01 정몽규 프로젝션 너트의 용접 시스템
JP2001221219A (ja) * 2000-02-04 2001-08-17 Sanku:Kk 仮止め機能付きナット
KR100778028B1 (ko) * 2003-12-22 2007-12-18 주식회사 파워앙카 앵커볼트유닛
KR20110129491A (ko) * 2008-02-20 2011-12-01 히로시 미치와키 양나사체 및 암나사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3395B1 (ko) 러그 플레어를 갖는 너트
JP5715292B1 (ja) 締付具
US4274460A (en) Panel fastener joint
US11773894B2 (en) Self-clinching fastener
US6113329A (en) Lock nut
JP6096420B2 (ja) ロックナット
US10018216B1 (en) Slotted nut for hold down threaded rods
JP2007315580A (ja) ボルトの緩み防止用座金
KR102152064B1 (ko) 평판체결너트 및 이를 이용한 평판체결너트 구조물 그리고 평판체결너트 구조물 제조방법
JP2006275072A (ja) 固定ボルトおよび固定ナット用キャップ式防犯具
JP5289545B2 (ja) ナット及びボルト・ナットの締結構造
JP6637150B1 (ja) ケーブルグランド
JP6855924B2 (ja) バッテリーターミナル
CA2287632A1 (en) Lock nut
RU2586988C2 (ru) Скрепляемая конструкция
JP5872888B2 (ja) ねじの緩み止め構造
KR20160031398A (ko) 너트 어셈블리
WO2021010959A1 (en) Self-clinching fastener
KR102172337B1 (ko) 플레이트 연결구조물
JP7058229B2 (ja) 締結器具および締結構造
KR102484081B1 (ko) 전선볼트 고정구조
JPH0649952Y2 (ja) バランスウェイト
JP2549853Y2 (ja) 緩み止めナット
CN215762709U (zh) 一种螺钉
JP7262773B2 (ja) 固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