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0158B1 - 암호화폐 평가 방법 및 암호화폐 지수 - Google Patents

암호화폐 평가 방법 및 암호화폐 지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0158B1
KR102150158B1 KR1020180081177A KR20180081177A KR102150158B1 KR 102150158 B1 KR102150158 B1 KR 102150158B1 KR 1020180081177 A KR1020180081177 A KR 1020180081177A KR 20180081177 A KR20180081177 A KR 20180081177A KR 102150158 B1 KR102150158 B1 KR 102150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yptocurrency
value
index
near future
mar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1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7271A (ko
Inventor
윤태성
한승헌
배기웅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80081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0158B1/ko
Publication of KR20200007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7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0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0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암호화폐 평가 방법 및 암호화폐 지수가 개시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암호화폐 지수(index) 결정 방법에 있어서, 미리 정의된 개별적인 암호화폐에 대한 평가를 나타내는 요소인 암호화폐의 내재 요소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상기 내재 요소를 기반으로 상기 암호화폐의 근 미래 가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상기 암호화폐의 근 미래 가치, 현재 가치 및 원 미래 가치에 기초하여 상기 암호화폐의 지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암호화폐 평가 방법 및 암호화폐 지수{Evaluation methodology of cryptocurrency and the cryptocurrency index}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즉, 가상화폐)의 지수를 결정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암호화폐(cryptocurrency)란 교환수단으로 기능하도록 고안된 디지털자산(digital asset)으로서, 암호화 방법을 사용하여 거래의 안전을 확보하고, 추가적 단위의 생성을 통제하며, 해당 자산의 이전을 인증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암호화폐는 블록체인(blockchain) 기술로 암호화되어 분산 발행되고 일정한 네트워크에서 화폐로 사용이 가능하다.
블록체인은 분산 거래장부(distributed ledger)로 기능하는 공적 데이터베이스를 의미한다. 암호화폐는 중앙은행이 발행하지 않고 블록체인 기술에 기초하여 금전적 가치가 디지털방식으로 표시된 전자정보로서 인터넷에서 P2P 방식으로 분산 저장되어 운영 관리된다. 2009년에 최초의 암호화폐인 비트코인이 출현했고, 이후 이더리움, 라이트코인, 리플, 모네로, 에이코인 등 수많은 암호화폐가 등장하였으며, 암호화폐의 시가총액은 2018년에 1조 내지 2조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암호화폐의 혁신성과 탈중앙화 등의 장점으로 인해 암호화폐의 가치는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각각의 암호화폐가 어떤 특징을 가졌는지에 대한 보편화된 기준이 제시되지 않아, 투자자들이 판단을 잘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결국, 투자자들이 막대한 손해를 보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거래소에서 거래되던 암호화폐가 상장 폐지되는 일 역시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개별적인 각각의 암호화폐를 평가하고 상호 비교하는 기술의 요구가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요구가 증가로 인해 2018.01.24 미국 플로리다에 있는 신용평가사인 "와이스 레이팅스"가 74종의 암호화폐에 대한 신용등급을 발표한 바 있지만, 평가지표가 불분명하고 설명이 부족하여 평가결과가 실제를 반영하지 못해, 결국 평가 결과에 대해 투자자들이 반발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와이스 레이팅스의 등급 발표 결과에 따라 일부 암호화폐는 가격이 10분 만에 최대 20%까지 상승하였으며, 이는 암호화폐 평가의 중요성에 대해서 투자자들이 실제적으로 인지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사례이다.
또한, ICO 암호화폐 및 일부 상용화된 암호화폐에 대해서 리뷰 및 분석을 하며 지수를 제공하는 사이트인 Cryptorated.com는 암호화폐 평가 기준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Cryptorated.com의 모든 측정치는 매우 주관적이다. 즉, 평가자에 따라서 암호화폐의 측정값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Cryptorated.com에서 지수는 암호화폐의 블록체인 기술 및 로드맵 등 암호화폐 요소에 의해서만 정의되었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암호화폐의 현재 및 단기 가격 변동과 연관되지 못하며, 상용화된 암호화폐 중 극히 일부의 암호화폐에 대해서만 지수를 제공한다.
Cryptorated.com 지수의 세부 측정치는 아래의 표 1과 같다.
Figure 112018068871261-pat00001
암호화폐의 급진적인 발전과 경제적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현재는 암호화폐를 평가하는 방법이 미흡하며 일부 제시된 기준 또한 비체계적이고 비객관적이다. 그리고, 와이스 레이팅스와 Cryptorated.com을 제외하고 현존하는 대부분의 암호화폐 지수는 암호화폐 개별 종목이 아닌 전체 종목을 대상으로 한 종합 암호화폐 지수이다. 예컨대, 종합 암호화폐 지수의 사례로는 라스파이레스 수량지수(CRIX) 및 다우존스 주가지수와 같이 우량 암호화폐 30개를 대상으로 지수를 산출하는 CCI30을 들 수 있다.따라서, 개별 종목을 대상으로 암호화폐를 평가하는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기준을 제시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19430호는 가상화폐를 이용하는 실시간 예측 기반 금융거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암호화키에 기반하여 생성되고 거래의 익명성이 보장되며 다양한 형태의 도구를 통해 지급하고 또한 거래할 수 있는 가상화폐를 이용하여 시간적 공간적 제약 없이 쉽고 빠르게 거래할 수 있도록 해주는 가상화폐를 이용하는 실시간 예측 기반 금융거래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암호화폐 평가 방법 및 암호화폐 지수, 그리고 암호화폐 지수 결정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플랫폼을 통해 형성된 네트워크에서, 가상화폐인 암호화폐의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기준을 제시하고, 제시된 기준을 기반으로 개별 종목을 대상으로 암호화폐의 지수를 결정하여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암호화폐 지수(index) 결정 방법에 있어서, 미리 정의된 개별적인 암호화폐에 대한 평가를 나타내는 요소인 암호화폐의 내재 요소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상기 내재 요소를 기반으로 상기 암호화폐의 근 미래 가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상기 암호화폐의 근 미래 가치, 현재 가치 및 원 미래 가치에 기초하여 상기 암호화폐의 지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미리 정의된 종합적인 암호화폐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 상기 암호화폐의 시장요소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암호화폐의 시장요소는, 나스닥 지수, 나스닥 지수 변동성, 다우존스 지수, 다우존스 지수 변동성, 미리 정의된 공식 기관의 달러 지수, 달러 지수 변동성, 달러-유로화 환율, 달러-유로화 환율 변동성, 달러 인플레이션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암호화폐의 근 미래 가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수집된 상기 시장 요소를 기반으로 수지화된 시장 요소 결과값, 상기 내재 요소를 기반으로 수치화된 내재 요소 결과값, 및 가격 예측 함수 f에 기초하여 상기 암호화폐의 근 미래 가치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암호화폐의 근 미래 가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시장 요소 결과값과 상기 내재 요소 결과값을 상기 가격 예측 함수 f의 입력 파라미터로 설정하는 단계, 및 인공 신경망(Recurrent Neural Network)의 LSTM(Long Short-Term Memory) 모델 기반의 상기 가격 예측 함수 f의 출력값인 상기 암호화폐의 근 미래의 가격을 상기 암호화폐의 근 미래 가치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수집된 상기 시장 요소를 대상으로, 미리 정의된 투자 요소의 가격이 미리 정의된 기준일에 해당하는 투자 요소의 가격 대비 상대적으로 낮아질수록 상기 암호화폐의 가격은 상기 기준일 대비 상대적으로 상승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암호화폐의 내재 요소는, 상기 암호화폐가 상장된 거래소의 숫자, 거래소의 거래 금액, 거래소가 속한 국가, 암호화폐의 거래의 집중도(HHI), 상기 암호화폐를 발행한 발행사의 규모, 상기 암호화폐를 보유한 보유자의 집중도, 및 상기 암호화폐를 발행한 발행자의 국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암호화폐의 현재 가치는, 상기 암호화폐가 상장된 거래소에서 현재 시점의 시세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암호화폐의 지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근 미래 가치, 현재 가치, 원 미래 가치의 중요도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가하여 상기 암호화폐의 지수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암호화폐 지수의 요청에 응답하여, 결정된 상기 암호화폐의 지수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암호화폐의 지수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암호화폐 지수를 요청한 사용자의 등급에 따라, 상기 암호화폐의 지수, 현재 가치, 근 미래 가치, 및 원 미래 가치 중 적어도 일부를 차별화하여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암호화폐의 지수를 제공하는 단계는, 복수의 암호화폐의 지수를 제공하는 경우, 복수의 암호화폐의 지수의 크기에 따라 도형의 크기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차별화되도록 가시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암호화폐의 지수를 제공하는 단계는, 동일한 암호화폐를 대상으로,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암호화폐의 지수를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암호화폐 지수(index) 결정 시스템에 있어서, 미리 정의된 개별적인 암호화폐에 대한 평가를 나타내는 요소인 암호화폐의 내재 요소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수집된 상기 내재 요소를 기반으로 상기 암호화폐의 근 미래 가치를 결정하는 가치 결정부, 및 결정된 상기 암호화폐의 근 미래 가치, 현재 가치 및 원 미래 가치에 기초하여 상기 암호화폐의 지수를 결정하는 지수 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정보 수집부는, 미리 정의된 종합적인 암호화폐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 상기 암호화폐의 시장요소를 더 수집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가치 결정부는, 수집된 상기 시장 요소를 기반으로 수지화된 시장 요소 결과값, 상기 내재 요소를 기반으로 수치화된 내재 요소 결과값, 및 가격 예측 함수 f에 기초하여 상기 암호화폐의 근 미래 가치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지수 결정부는, 상기 근 미래 가치, 현재 가치, 원 미래 가치의 중요도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가하여 상기 암호화폐의 지수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암호화폐 지수의 요청에 응답하여, 결정된 상기 암호화폐의 지수를 제공하는 지수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지수 제공부는, 상기 암호화폐 지수를 요청한 사용자의 등급에 따라, 상기 암호화폐의 지수, 현재 가치, 근 미래 가치, 및 원 미래 가치 중 적어도 일부를 차별화하여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지수 제공부는, 복수의 암호화폐의 지수를 제공하는 경우, 복수의 암호화폐의 지수의 크기에 따라 도형의 크기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차별화되도록 가시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플랫폼을 통해 형성된 네트워크에서, 가상화폐인 암호화폐의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기준을 제시하고, 제시된 기준을 기반으로 개별 종목을 대상으로 암호화폐의 지수를 결정하여 제공함으로써, 투자자들이 올바른 판단을 갖고 투자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즉, 보편화된 기준이 제시되지 않아 암호화폐 투자에 참여하는 투자자들이 잘못된 판단으로 인해 막대한 손해를 보는 경우를 감소시키고, 암호화폐의 투자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암호화폐 지수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암호화폐 지수 결정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암호화폐 지수 결정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인공 신경망(RNN)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암호화폐의 지수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시간에 따른 암호화폐의 지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암화화폐 지수의 크기에 따라 차별화하여 제공하는 시각화 모델을 나타낼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암호화폐 평가 방법 및 암호화폐 지수, 그리고 암호화폐 지수 결정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용화된 암호화폐 모두를 대상으로, 미리 정의된 객관적인 기준에 따라 개별적으로 암호화폐의 지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암호화폐의 지수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실시예들은 암호화폐의 현재가치,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미리 정의된 일정 기일에 해당하는 시점까지의 가까운 미래, 즉, 근 미래 시점에 해당하는 가치(즉, 근 미래 가치), 그리고,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미리 정의된 일정 시점 이후에 해당하는 원 미래 가치를 반영하여 암호화폐의 지수를 결정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들에서, 암호화폐의 지수(index)는 암호화폐의 현재 가치와 미래 가치를 모두 반영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서, "암호화폐의 현재 가치"는 현재 시점에 해당 암호화폐의 시장 가치를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현재 가치는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해당 암호화폐의 시세(즉, 가격)로서, 거래소의 거래 가격의 가중 평균에 기초하여 측정/계산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서, "암호화폐의 근 미래 가치"는 암호화폐의 단기 미래에 해당하는 시장 가치를 나타내고, "암호화폐의 원 미래 가치"는 암호화폐의 장기 미래에 해당하는 시장 가치를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암호화폐의 근 미래 가치는, 미리 정의된 해당 암호화폐의 내재 요소와 시장 요소를 단기 미래의 가격으로 맵핑(mapping)하는 가격 예측 함수에 기초하여 계산/예측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서, "암호화폐의 지수"는 해당 암호화폐의 현재 가치, 근 미래 가치 및 원 미래 가치의 합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암호화폐의 원 미래 가치는, 해당 암호화폐의 내재 요소와 시장 요소가 아닌 미리 정의된 기술 가치와 신뢰 가치에 기초하여 계산/예측될 수 있다. 그리고, 암호화폐의 지수는 종합 지수와 개별 지수로 분류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서, "암호화폐의 종합지수"는 해당 시장의 동향을 나타내는 대표값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시장의 모든 품목(예컨대, 종합주가지수 등) 혹은 대표 품목(예컨대, 소비자 물가지수)의 가격과 수량을 대상으로 계산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서, "암호화폐의 개별지수"는 시장 전체 품목이 아닌 해당 품목 하나를 대상으로 계산되는 지수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개별지수가 암호화폐 별로 모두 산출되면, 산출된 개별지수를 기반으로 종합지수가 산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서, "기술 가치"는 해당 암호화폐가 가지는 잠재력과 발전 가능성 등의 가치를 기술적인 측면에서 측정한 값으로, 기술 가치를 측정하기 위한 요소들이 미리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서, "신뢰 가치"는 해당 암호화폐가 가지는 신뢰성을 측정한 값으로서, 신뢰 가치를 측정하기 위한 요소들이 미리 정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암호화폐 지수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네트워크(100)는 암호화폐 지수 결정 시스템(101), 기업 단말(110) 및 개인 단말(120)을 포함할 수 있다.
암호화폐 지수 결정 시스템(101)은 서버에 플랫폼(platform)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암호화폐 지수 결정 방법은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및 구동되는 모든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컨대, 서버에 플랫폼 형태로 구현된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구동을 위한 패키지 파일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tablet), PC 등의 사용자 단말인 기업 단말(110) 및 개인 단말(120)에 저장되고, 기업 단말(110) 및 개인 단말(120)의 암호화폐 인덱스 요청에 따라 서버에 구현되는 암호화폐 지수 결정 시스템(101)을 통해 결정된 암호화폐 지수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외에, 암호화폐 지수 결정 시스템(101)은 사용자 단말(즉, 기업 단말 및 개인 단말)에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은 미리 정의된 일정 주기마다 암호화폐의 지수관련 패키지 파일을 서버로부터 다운받아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해당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암호화폐의 지수가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암호화폐 지수 결정 시스템(101)이 서버에 플랫폼(platform) 형태로 구현되어, 개별적으로 암호화폐 별로 지수를 결정하고,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서버에 구현되는 암호화폐 지수 결정 시스템(101)을 통해 암호화폐 지수를 결정 및 제공하는 방법이 수행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암호화폐 지수 결정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암호화폐 지수 결정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암호화폐 지수 결정 시스템(300)은 정보 수집부(310), 가치 결정부(320), 지수 결정부(330) 및 지수 제공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암호화폐 지수 결정 방법을 나타내는 각 단계들(210 내지 240 단계)은 도 3의 암호화폐 지수 결정 시스템(300)의 구성요소인 정보 수집부(310), 가치 결정부(320), 지수 결정부(330) 및 지수 제공부(34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210 단계에서, 정보 수집부(310)는 미리 정의된 개별적인 암호화폐에 대한 평가를 나타내는 요소인 암호화폐의 내재 요소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정보 수집부(310)는 미리 정의된 종합적인 암호화폐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 암호화폐의 시장요소를 더 수집할 수 있다.
암호화폐의 내재 요소는 개별적인 암호화폐에 대한 평가를 나타내는 요소로서, 암호화폐 고유의 역사적 가격, 변동성, 인지도, 투자자 심리지수(sentiment) 등의 가변 특성을 수치화한 요소를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내재 요소는, 해당 암호화폐가 상장된 거래소의 숫자, 거래소의 거래 금액, 거래소가 속한 국가, 암호화폐의 거래의 집중도(HHI), 암호화폐를 발행한 발행사의 규모, 암호화폐를 보유한 보유자의 집중도, 및 암호화폐를 발행한 발행자의 국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암호화폐의 시장 요소는 종합적인 암호화폐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암호화폐는 투자, 화폐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가지고 있으므로 시장 요소는 투자 요소와 화폐 요소로 구분될 수 있다. 예컨대, 투자 요소는 다른 실물 및 금융 자산의 시장 가치에 따라 변동되는 요소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나스닥 지수, 유가 지수, 다우존스 지수, 다우존스 지수 변동성, 나스닥 지수 변동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화폐 요소는 투자자들이 암호화폐를 화폐로 인식시키기 위한 요소로서, 기축 통화의 가치와 반비례할 수 있다. 예컨대, 화폐 요소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등의 미리 지정된 공식 기관에서 발표한 달러지수, 달러-유로화 환율, 달러지수 변동성, 달러-유로화 환율 변동성, 달러 인플레이션율 등을 요소로서 포함할 수 있다.
220 단계에서, 가치 결정부(320)는 수집된 내재 요소를 기반으로 암호화폐의 근 미래 가치를 결정할 수 있다.
221 단계에서, 가치 결정부(320)는 수집된 내재 요소를 기반으로 수치화된 내재 요소 결과값
Figure 112018068871261-pat00002
, 수집된 시장 요소를 기반으로 수치화된 시장 요소 결과값
Figure 112018068871261-pat00003
및 가격 예측 함수 f에 기초하여 암호화폐의 근 미래 가치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암호화폐의 근 미래의 가격은 해당 암호화폐와 관련하여 수집된 내재 요소를 기반으로 수치화하여 측정된 내재 요소 결과값
Figure 112018068871261-pat00004
과 상기 시장 요소 결과값
Figure 112018068871261-pat00005
을 맵핑(mapping) 함수인 상기 가격 예측 함수 f를 이용하여 예측될 수 있으며, 가치 결정부(320)는 예측된 근 미래의 가격을 해당 암호화폐의 근 미래 가치로 결정(즉, 정의)할 수 있다.
일례로, 가치 결정부(320)는 시장 요소 결과값과 내재 요소 결과값을 가격 예측 함수 f의 입력 파라미터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가치 결정부(320)는 인공 신경망 Recurrent Neural Network, RNN)의 LSTM(Long Short-Term Memory) 모델 기반의 상기 가격 예측 함수 f를 이용하여 암호화폐의 근 미래 가격을 예측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가격 예측 함수 f의 출력값이 암호화폐의 근 미래 가격이며, 가치 결정부(320)는 암호화폐의 근 미래 가격을 암호화폐의 근 미래 가치로 결정할 수 있다.
222 단계에서, 가치 결정부(320)는 암호화폐의 기술 가치 및 신뢰 가치에 기초하여 해당 암호화폐의 원 미래 가치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가치 결정부(320)는 암호화폐가 상장된 거래소에서 해당 암호화폐의 시세(즉, 현재 시점의 가격)를 암호화폐의 현재 가치로 결정할 수 있다.
230 단계에서, 지수 결정부(330)는 결정된 암호화폐의 근 미래 가치, 현재 가치 및 원 미래 가치에 기초하여 암호화폐의 지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지수 결정부(330)는 결정된 암호화폐의 근 미래 가치, 현재 가치 및 원 미래 가치의 중요도에 따라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가하여 해당 암호화폐의 지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지수 결정부(330)는 원 미래 가치에 가중치 0.5, 근 미래 가치에 가중치 0.3, 현재 가치에 가중치 0.2 등과 같이 원 미래 가치에 가장 높은 가중치, 현재 가치에 가장 낮은 가중치, 근 미래 가치에 중간 가중치를 부여하여 암호화폐의 지수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원 미래 가치, 근 미래 가치, 현재 가치 순서로 높은 가중치를 부가할 수 있다. 이때, 지수 결정부(330)는 아래의 수학식 1에 기초하여 해당 암호화폐의 근 미래 가치, 원 미래 가치 및 현재 가치의 합을 통해 해당 암호화폐의 지수를 결정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8068871261-pat00006
위의 수학식 1은 비트코인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해당 암호화폐 지수 X를 나타낸 것으로서, 수학식 1에서, P는 암호화폐의 현재 가격(즉, 현재 가치)를 나타내고,
Figure 112018068871261-pat00007
는 내재 요소를 수치화한 값(즉, 내재 요소 결과값),
Figure 112018068871261-pat00008
는 시장 요소를 수치화한 값(즉, 시장 요소 결과값)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y1은 암호화폐의 기술가치를 나타내고, y2는 암호화폐의 신뢰가치를 나타낼 수 있다. f는 내재 요소와 시장 요소를 근 미래 가격으로 맵핑(mapping)하는 가격 예측 함수를 나타낼 수 있다. B는 기축 통화인 비트코인을 나타내고, y1+y2는 원 미래 가치를 나타낼 수 있다. r은 시간 할인율(discount rate)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1년의 시간 가치에 대한 가격을 나타낼 수 있다. t는 원 미래 가치로 수렴하는데 걸리는 연수를 나타내고, t1은 미리 정의된 기준일자를 나타낼 수 있다. 즉, 암호화폐 지수는 기축통화인 비트코인의 기준일자 지수를 100으로 놓았을 때 대비 상대적인 가치를 나타낼 수 있다.
위의 수학식 1에 따르면, 우면의 3개 항은 순서대로, 암호화폐의 상대적인 현재 가치, 근 미래 가치, 원 미래 가치를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현재 가치에 가중치 0.2, 근 미래 가치에 가중치 0.3, 원 미래 가치에 가중치 0.5가 부가되어 암호화폐 지수 X가 계산될 수 있다. 예컨대, 수학식 1에 따르면, 비트코인의 암호화폐 지수는 모두 약분되어 시간에 관계없이 항상 100일 수 있다. 그러면, 암호화폐 지수가 100보다 높으면 암호화폐의 가치가 비트코인보다 좋고, 100보다 낮으면 비트코인보다 안좋은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240 단계에서, 암호화폐 지수의 요청이 발생하면, 지수 제공부(340)는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암호화폐의 지수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기업 단말, 개인 단말 등의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나 유/무선 웹페이지를 통해 암호화폐의 지수 제공 요청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면, 지수 제공부(340)는 요청이 발생한 암호화폐의 지수를 어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웹사이트의 웹페이지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암호화폐의 내재 요소 및 시장 요소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암호화폐는 주식, 채권, 부동산 등의 일반적인 자산과는 달리 자체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현금 흐름이 없기 때문에, 재무적 관점에서는 내재 가치(intrinsic value)가 없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암호화폐의 시장성, 인지도, 불확실성 등 암호화폐 고유의 가변 특성에 대한 평가를 위한 요소들을 내재 요소로서 정의할 수 있다. 암호화폐는 암호화폐 투자자 상호 간의 신뢰를 기반으로 발행되고 교환되므로, 인지도나 신뢰라는 무형의 가치가 암호화폐의 가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시장가격의 급변동에 따른 불확실성(uncertainty)의 관점에서 암호화폐의 상대적인 위험도가 측정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시장성의 관점에서, 암호화폐를 거래 가능한 거래소의 숫자, 서비스 품질의 관점, 차익 거래의 관점에서 해당 암호화폐의 위험이 평가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요소들이 내재 요소로서 수집될 수 있다.
예컨대, 유동성 선호의 관점에서, 거래 가능한 거래소가 상대적으로 많고, 신뢰할 수 있는 거래소에 해당 암호화폐가 상대적으로 많이 상장되어 있을 수록 해당 암호화폐가 다른 암호화폐보다 상대적으로 더욱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암호화폐를 대상으로, 거래 가능한 거래소의 개수가 동일한 경우, 특정 암호화폐는 다른 암호화폐보다 차익 거래의 기회가 상대적으로 많지만, 다른 암호화폐는 차익 거리의 기회가 상대적으로 적은 경우, 특정 암호화폐 대비 다른 암호화폐의 시장성이 상대적으로 낮고 가격의 신뢰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암호화폐의 경우, 투자자의 심리지수(sentiment)가 근 미래의 암호화폐의 가격과 연관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암호화폐의 내재 요소는 가격의 역사적 불확실성, 시장성, 투자자 평가로 세분화하여 평가하여 수치화될 수 있다.
먼저, 내재 요소 중 암호화폐 가격의 역사적 불확실성에 해당하는 요소는 해당 암호화폐의 과거 매매가격(즉, 역사적 가격), 가격 변동성(volatility), 거래량(trading volume), 및 유통 비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내재 요소 중 암호화폐의 시장성에 해당하는 요소는, 암호화폐가 상장된 거래소의 숫자, 상장된 거래소가 속한 국가, 상장된 거래소의 거래금액, 상장된 거래소의 규모, 암호화폐의 거래의 집중도(HHI), 발행사 규모, 보유자의 집중도, 발행자의 국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연예인이 기획사에 속해는 것과 같이, 어떤 거래소에서 암호화폐가 거래되는지 여부에 따라 해당 암호화폐의 신뢰도와 인지도에 결정적인 영향이 미칠 수 있다. 암호화폐는 내재가치가 없기 때문에, 거래소의 영향이 암호화폐의 가치에 강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암호화폐의 시장 요소는 투자 요소와 화폐 요소로 세분화하여 해당 암호화폐의 사장 요소를 수치화한 시장 요소 결과값이 측정될 수 있다. 시장 요소는 암호화폐 개개의 가치가 아닌 시장 상황에 해당하며, 암화화폐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는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시장 요소 중 투자 요소는 나스닥 지수, 다우존스 지수, 부동산 지수를 포함할 수 있다. 암호화폐의 가치는 투자 요소 지수들의 가격과 변동성에 영향을 받으므로, 상기 투자 요소는 나스닥 지수의 변동성, 다우존스 지수의 변동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암호화폐는 투자 요소의 대체재에 해당하므로 투자 요소의 가치가 낮아질수록 암호화폐의 가격이 상승하는 것으로 예측될 수 있다. 예컨대, 기준일자의 투자요소 가격대비 현재일자의 투자 요소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낮아질수록 암호화폐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상승하는 것으로 예측되고, 기준일자 대비 현재일자의 투자요소의 변동성이 상대적으로 증가할 수록 암호화폐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상승하는 것으로 예측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시장 요소 중 화폐 요소는 달러지수, 달러-유로화 환율, 달러지수 변동성, 달러-유로화 환율 변동성, 달러 인플레이션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암호화폐는 투자자들에 의해 화폐로 인식되어야 하므로, 기축 통화의 가치와 반비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기축통화의 가치는 상대적인 가치 하락과 절대적인 가치 하락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상대적인 가치 하락은 달러와 다른 통화를 비교했을 때 얼마나 상대적인 가치가 하락했는지 여부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달러지수, 달러-유로화 환율과 암호화폐는 대체재이므로, 달러지수 및 유로화 환율이 가치가 줄어들수록 암호화폐의 가치는 상대적으로 상승하는 것으로 예측될 수 있다. 달러지수, 달러-유로화 환율이 낮아질수록 상대적으로 암호화폐 가격은 상승하는 것으로 예측될 수 있다. 달러지수, 달러-유로화 환율의 변동성이 증가할수록 암호화폐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상승하는 것으로 예측될 수 있다.
절대적인 가치하락은 통화의 구매력이 얼마나 감소했는지 여부를 측정한 결과에 해당할 수 있다. 해당 통화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질 때 발생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현재의 짐바브웨, 1945년 직후의 헝가리 및 한반도, 1973년의 칠레, 1919년-1921년의 독일 등이 겪은 초인플레이션의 사례에서 해당 통화의 가치는 인플레이션율이 높아질수록 하락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인플레이션율은 화폐의 가치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인플레이션율이 상대적으로 높을수록 화폐 가치는 하락하므로, 암호화폐의 가치가 상승할 것으로 예측될 수 있다. 예컨대, 기준일자 대비 현재일자에 달러 인플레이션이 상대적으로 높아질수록 암호화폐의 가치는 상승하는 것으로 예측될 수 있다.
이처럼, 암호화폐의 내재 요소 및 시장 요소에 해당하는 다양한 요소들이 맵핑(mapping) 함수인 가격 예측 함수 f의 입력 파라미터로 설정되고, RNN의 LSTM 모형을 기반으로 예측 결과가 출력 값으로 출력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인공 신경망(RNN)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410을 참고하면, 인공 신경망은 입력 레이어(input layer), 히든 레이어(hidden layer) 및 출력 레이어(output lay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420과 같이 다수의 입력 레이어 및 히든 레이어가 존재하고, 하나의 출력 레이어가 존재할 수도 있고, 430과 같이, RNN은 다수의 입력 레이어와 다수의 히든 레이어, 다수의 출력 레이어가 존재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입력 레이어에 암호화폐의 내재 요소 및 시장 요소가 입력 파라미터로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면, 내재 요소
Figure 112018068871261-pat00009
와 시장 요소
Figure 112018068871261-pat00010
를 이용하여 RNN의 LSTM 모형을 기반으로 근 미래 가격 예측 함수
Figure 112018068871261-pat00011
가 추정, 즉, 예측될 수 있다. RNN은 요소들의 차원이 많고 관계가 복잡할수록 효과가 탁월하며, LSTM 모델은 순열을 다루는 RNN 중에서 가장 효과가 좋은 모델인데, 내재 요소와 시장 요소가 순열을 이루기 때문에, RNN의 LSTM 모델이 이용될 수 있다.
이처럼, RNN의 LSTM 모델을 기반으로 암호화폐의 근 미래 가치는 예측될 수 있으며, 암호화폐의 현재 가치는 암호화폐가 상장된 거래소에서 현재 시점의 시세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현재 가치는 암호화폐가 상장된 거래소에서의 거래 가격의 가중 평균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그리고, 원 미래 가치는 기술 가치와 신뢰 가치로 구분하여 측정될 수 있다. 기술가치는 암호화폐를 구성하는 시스템에 따라 다르게 측정될 수 있다. 예컨대, 블록체인(block chain) 시스템을 평가하는 다양한 방법 중에서 일본 경제 산업성이 발표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시스템 평가 기준을 변형하여 기술 가치가 측정될 수 있다. 일본 경제 산업성은 중앙집중형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품질평가 기준(SQuaRE)을 블록체인 기술에 적용하여 평가 기준을 제시하였으며, 상기 평가 기준을 평가 단위를 설정하도록 변형함으로써, 암호화폐의 지수 결정에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 기술 가치는 품질, 보수/운용, 비용 등 3개의 대항목으로 구분하여 산출될 수 있다. 품질은 효율성, 호완성, 확장성, 이식성 등의 4개의 중항목과 총 12개의 소항목으로 평가기준을 포함할 수 있다. 효율성은 처리 성능, 네트워크 성능, 블록 확정 성능, 참조 성능을 포함하고, 호환성은, 중앙집중형 시스템과의 호환성, 이기종 블록체인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포함하고, 확장성은 처리 성능 향상 가능성, 네트워크 성능 향상 가능성, 용량 확장성, 노드 확장 정도를 포함하고, 이식성은 적응성 및 치환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보수 및 운용은 일본 경제산업성 산하 정보처리추진기구(IPA, International-technology Promotion Agency)가 제시한 중앙집중형 시스템 평가 방법 중에서 블록체인과 관련 있는 항목 중 적어도 일부를 추출하여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보수 및 운용은 모듈성, 해석성, 수정성 및 시험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비용은 시스템 운영업체가 비용으로 인식하는 사항으로, 연구 개발, 구현, 보수 및 운용 항목을 평가 단위로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연구개발은 블록체인 엔진 요소 연구 개발, 서브시스템 연구 개발을 포함하고, 시스템 구현 비용은 HW 비용, SW 비용, 시스템 구현 비용을 포함하고, 보수·운용비는 운용비용, 보수비용을 포함할 수 있다.
원 미래 가치 결정을 위한 암호화폐의 신뢰 가치는 거래소, 암호화폐 개발 단체, 암호화폐에 대한 신뢰 가치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의 표 2 내지 표 9는 암호화폐의 지수를 결정하기 위한 요소 별 평가 기준을 나타낼 수 있다.
아래의 표 2는 내재 요소 평가 기준을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8068871261-pat00012
아래의 표 3은 시장 요소 평가 기준을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8068871261-pat00013
아래의 표 4 내지 표 6은 기술가치 평가 기준을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8068871261-pat00014
Figure 112018068871261-pat00015
Figure 112018068871261-pat00016
아래의 표 7 내지 표 9는 신뢰가치 평가 기준을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8068871261-pat00017
Figure 112018068871261-pat00018
Figure 112018068871261-pat00019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암호화폐의 지수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510을 참고하면, 암호화폐의 지수 평가를 위해 사용자가 고려하고자 하는 항목들이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거래소의 고객대응과 관련하여, 고객센터 운영, 고객센터 대응, 고객불만 처리기간, 사고발생 대응, 사고발생 건수 등의 항목들이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항목 별 선택을 위한 체크박스가 함께 표시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체크박스가 선택되면, 선택된 체크박스의 식별을 위한 지시자(indicator)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암호화폐 지수 결정 시스템(300)에 전달될 수 있다. 미리 지정된 디폴트(default) 선택지가 존재할 수 있다.
이처럼, 암호화폐의 지수 평가를 위한 항목이 선택되면, 암호화폐의 평가를 위해 고려할 기간을 지정하기 위한 화면 520이 사용자 단말에 표시될 수 있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암호화폐의 가치를 평가한 평가값이 달라지므로, 이러한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기간을 지정받기 위한 상기 화면 520이 제공될 수 있다.
기간이 선택되면, 해당 암호화폐의 지수를 제공받기 위한 가시화 모델을 선택하는 화면 530이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암호화폐의 지수를 삼각형, 사각형, 헥사곤, 원형 등의 다양한 도형 중 어떤 형태로 제공받을지 여부를 나타내는 가시화 모델 화면 530이 제공될 수 있다. 각 가시화 모델 항목 별로 체크박스가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컨대, 삼각형(triangle) 모델이 가시화 모델로 선택될 수 있다.
이처럼, 가시화 모델의 선택이 완료되면, 지수 제공부(340)는 해당 암호화 화폐의 지수, 현재 가치, 근 미래 가치 및 원 미래 가치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지수 제공부(340)는 선택된 가시화 모델을 기반으로 해당 암호화 화폐의 지수, 현재 가치, 근 미래 가치 및 원 미래 가치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삼각형 형상으로 암호화폐 지수, 현재 가치, 근 미래 가치, 및 원 미래 가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지수 제공부(340)는 사용자의 등급에 따라 모든 지수를 다 제공하지 않고 일부 지수만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유료 회원에 해당하는 등급인 경우, 지수 제공부(340)는 해당 암호화 화폐의 지수, 현재 가치, 근 미래 가치 및 원 미래 가치를 모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무료 회원에 해당하는 등급인 경우, 지수 제공부(340)는 는 해당 암호화 화폐의 지수(예컨대, 117) 만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시간에 따른 암호화폐의 지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암호화폐의 지수는 현재 가치, 근 미래 가치, 원 미래 가치 등 각 가치의 변동에 따라 값이 변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시간이 t에서 t+1, t+2로 지남에 따라 암호화폐 지수는 79, 68, 56 순서로 변할 수 있다(X=X(t)). 이러한 암호화폐의 지수 변화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화되는 암호화폐 지수 변화를 가시화하여 제공함으로써, 암호화폐 지수의 변화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판단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지수 제공부(340)는 시간에 따라 암호화폐 지수의 색상을 차별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암호화폐의 지수가 낮아질수록 푸른색(또는 파란색 계열), 암호화폐의 지수가 높을수록 붉은색(또는 빨간색 계열)으로 해당 암호화폐의 지수를 가시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t+1과 같이 암호화폐 지수가 중간에 해당하는 경우, 붉은색과 푸른색의 중간 색상인 노란색 계열로 가시화하여 암호화폐 지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암화화폐 지수의 크기에 따라 차별화하여 제공하는 시각화 모델을 나타낼 수 있다.
지수 제공부(340)는 해당 암호화폐 지수의 크기에 따라 도형의 크기 및 색상을 차별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암호화폐 A의 지수가 123, 암호화폐 B의 지수가 79로 암호화폐 A의 지수가 암호화폐 B보다 크므로, 암호화폐 A의 지수, 원 미래가치, 근 미래 가치 및 현재 가치에 해당하는 도형의 크기를 암호화폐 B에 속하는 각 지수들의 도형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시각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암호화폐 A의 지수가 B의 지수보다 높으므로 A에 해당하는 도형의 색상을 B에 해당하는 도형의 색상(예컨대, 레몬색)보다 사용자의 눈에 더 잘 띄는 색상(즉, 선명도 높은 색상, 예컨대, 진한 파랑색)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암호화폐 지수의 크기에 따라 도형 및 색상을 차별화하는 것 이외에, 서모그래피(thermography) 형태로 암호화폐 지수가 제공될 수도 있다.
즉, 지수 제공부(340)는 특정 암호화폐와 관련하여, 해당 암호화폐의 지수, 현재 가치, 근 미래 가치, 원 미래 가치가 온도 변화를 나타내는 서모그래피 형태로 제공되도록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암호화폐의 지수가 상대적으로 높을수록 도형의 크기도 상대적으로 크고, 색상은 붉은색 계열로 제공되고, 암호화폐의 지수가 낮을수록 해당 도형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작아지고 색상은 파란색 계열로 제공될 수 있다. 특정 암호화폐의 지수가 암호화폐 A보다는 작고, 지수가 가장 낮은 암호화폐보다 큰 중간 정도에 해당하는 경우, 연두색, 오렌지색, 노란색 등으로 해당 암호화폐의 지수가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암호화폐 지수 결정 방법 및 시스템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시스템 및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은,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정보 수집부, 가치 결정부, 지수 결정부, 및 지수 제공부를 포함하는 암호화폐 지수(index) 결정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암호화폐 지수(index) 결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부에서, 미리 정의된 개별적인 암호화폐에 대한 평가를 나타내는 요소인 암호화폐의 내재 요소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가치 결정부에서, 수집된 상기 내재 요소를 기반으로 상기 암호화폐의 근 미래 가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지수 결정부에서, 결정된 상기 암호화폐의 근 미래 가치, 현재 가치 및 원 미래 가치에 기초하여 상기 암호화폐의 지수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암호화폐의 근 미래 가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수집된 시장 요소를 기반으로 수치화된 시장 요소 결과값, 상기 내재 요소를 기반으로 수치화된 내재 요소 결과값 및 가격 예측 함수 f에 기초하여 상기 암호화폐의 근 미래 가치로 결정하고,
    상기 시장 요소 결과값과 상기 내재 요소 결과값을 상기 가격 예측 함수 f의 입력 파라미터로 설정하고, 인공 신경망(Recurrent Neural Network)의 LSTM(Long Short-Term Memory) 모델 기반의 상기 가격 예측 함수 f의 출력값인 상기 암호화폐의 근 미래의 가격을 상기 암호화폐의 근 미래 가치로 결정하고,
    상기 암호화폐의 기술 가치 및 신뢰 가치에 기초하여 해당 암호화폐의 원 미래 가치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암호화폐의 지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근 미래 가치, 현재 가치, 원 미래 가치의 중요도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가하고, 상기 부가된 가중치를 반영한 상기 암호화폐의 근 미래 가치, 원 미래 가치 및 현재 가치의 합을 통해 상기 암호화폐의 지수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지수 제공부에서, 상기 암호화폐 지수의 요청에 응답하여, 결정된 상기 암호화폐의 지수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암호화폐의 현재 가치는, 암호화폐가 상장된 거래소에서 현재 시점에 암호화폐의 시장 가치를 의미하고,
    상기 암호화폐의 근 미래 가치는, 상기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미리 정의된 일정 기일에 해당하는 시점까지의 가까운 미래에 해당하는 시장 가치를 의미하고,
    상기 암호화폐의 원 미래 가치는, 상기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미리 정의된 일정 시점 이후에 해당하는 시장 가치를 의미하고,
    상기 암호화폐의 기술 가치는, 암호화폐가 가지는 잠재력과 발전 가능성 등의 가치를 기술적인 측면에서 측정한 값으로, 기술 가치를 측정하기 위한 요소들이 미리 정의되고,
    상기 암호화폐의 신뢰 가치는, 해당 암호화폐가 가지는 신뢰성을 측정한 값으로서, 신뢰 가치를 측정하기 위한 요소들이 미리 정의되는
    암호화폐 지수 결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미리 정의된 종합적인 암호화폐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 상기 암호화폐의 시장요소를 수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암호화폐 지수 결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폐의 시장요소는, 나스닥 지수, 나스닥 지수 변동성, 다우존스 지수, 다우존스 지수 변동성, 미리 정의된 공식 기관의 달러 지수, 달러 지수 변동성, 달러-유로화 환율, 달러-유로화 환율 변동성, 달러 인플레이션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폐 지수 결정 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수집된 상기 시장 요소를 대상으로, 미리 정의된 투자 요소의 가격이 미리 정의된 기준일에 해당하는 투자 요소의 가격 대비 상대적으로 낮아질수록 상기 암호화폐의 가격은 상기 기준일 대비 상대적으로 상승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폐 지수 결정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폐의 내재 요소는, 상기 암호화폐가 상장된 거래소의 숫자, 거래소의 거래 금액, 거래소가 속한 국가, 암호화폐의 거래의 집중도(HHI), 상기 암호화폐를 발행한 발행사의 규모, 상기 암호화폐를 보유한 보유자의 집중도, 및 상기 암호화폐를 발행한 발행자의 국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폐 지수 결정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폐의 지수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암호화폐 지수를 요청한 사용자의 등급에 따라, 상기 암호화폐의 지수, 현재 가치, 근 미래 가치, 및 원 미래 가치 중 적어도 일부를 차별화하여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폐 지수 결정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폐의 지수를 제공하는 단계는,
    복수의 암호화폐의 지수를 제공하는 경우, 복수의 암호화폐의 지수의 크기에 따라 도형의 크기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차별화되도록 가시화하여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폐 지수 결정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폐의 지수를 제공하는 단계는,
    동일한 암호화폐를 대상으로,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암호화폐의 지수를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분하여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폐 지수 결정 방법.
  14. 암호화폐 지수(index) 결정 시스템에 있어서,
    미리 정의된 개별적인 암호화폐에 대한 평가를 나타내는 요소인 암호화폐의 내재 요소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수집된 상기 내재 요소를 기반으로 상기 암호화폐의 근 미래 가치를 결정하는 가치 결정부;
    결정된 상기 암호화폐의 근 미래 가치, 현재 가치 및 원 미래 가치에 기초하여 상기 암호화폐의 지수를 결정하는 지수 결정부; 및
    상기 암호화폐 지수의 요청에 응답하여, 결정된 상기 암호화폐의 지수를 제공하는 지수 제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가치 결정부는,
    시장 요소를 기반으로 수치화된 시장 요소 결과값, 상기 내재 요소를 기반으로 수치화된 내재 요소 결과값, 및 가격 예측 함수 f에 기초하여 상기 암호화폐의 근 미래 가치로 결정하고,
    상기 시장 요소 결과값과 상기 내재 요소 결과값을 상기 가격 예측 함수 f의 입력 파라미터로 설정하고, 인공 신경망(Recurrent Neural Network)의 LSTM(Long Short-Term Memory) 모델 기반의 상기 가격 예측 함수 f의 출력값인 상기 암호화폐의 근 미래의 가격을 상기 암호화폐의 근 미래 가치로 결정하고,
    상기 암호화폐의 기술 가치 및 신뢰 가치에 기초하여 해당 암호화폐의 원 미래 가치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지수 결정부는,
    상기 근 미래 가치, 현재 가치, 원 미래 가치의 중요도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가하고, 상기 부가된 가중치를 반영한 상기 암호화폐의 근 미래 가치, 원 미래 가치 및 현재 가치의 합을 통해 상기 암호화폐의 지수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암호화폐의 현재 가치는, 암호화폐가 상장된 거래소에서 현재 시점에 암호화폐의 시장 가치를 의미하고,
    상기 암호화폐의 근 미래 가치는, 상기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미리 정의된 일정 기일에 해당하는 시점까지의 가까운 미래에 해당하는 시장 가치를 의미하고,
    상기 암호화폐의 원 미래 가치는, 상기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미리 정의된 일정 시점 이후에 해당하는 시장 가치를 의미하고,
    상기 암호화폐의 기술 가치는, 암호화폐가 가지는 잠재력과 발전 가능성 등의 가치를 기술적인 측면에서 측정한 값으로, 기술 가치를 측정하기 위한 요소들이 미리 정의되고,
    상기 암호화폐의 신뢰 가치는, 해당 암호화폐가 가지는 신뢰성을 측정한 값으로서, 신뢰 가치를 측정하기 위한 요소들이 미리 정의되는
    암호화폐 지수 결정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부는,
    미리 정의된 종합적인 암호화폐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 상기 암호화폐의 시장요소를 더 수집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폐 지수 결정 시스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수 제공부는,
    상기 암호화폐 지수를 요청한 사용자의 등급에 따라, 상기 암호화폐의 지수, 현재 가치, 근 미래 가치, 및 원 미래 가치 중 적어도 일부를 차별화하여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폐 지수 결정 시스템.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수 제공부는,
    복수의 암호화폐의 지수를 제공하는 경우, 복수의 암호화폐의 지수의 크기에 따라 도형의 크기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차별화되도록 가시화하여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폐 지수 결정 시스템.
KR1020180081177A 2018-07-12 2018-07-12 암호화폐 평가 방법 및 암호화폐 지수 KR102150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177A KR102150158B1 (ko) 2018-07-12 2018-07-12 암호화폐 평가 방법 및 암호화폐 지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177A KR102150158B1 (ko) 2018-07-12 2018-07-12 암호화폐 평가 방법 및 암호화폐 지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271A KR20200007271A (ko) 2020-01-22
KR102150158B1 true KR102150158B1 (ko) 2020-09-01

Family

ID=69368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1177A KR102150158B1 (ko) 2018-07-12 2018-07-12 암호화폐 평가 방법 및 암호화폐 지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01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80613B1 (en) * 2018-11-07 2019-08-13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cryptocurrency-related inform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142524B1 (ko) * 2020-02-20 2020-08-10 팀블랙버드 주식회사 인공지능을 이용한 암호화폐 가격 변동성 예측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KR20210122941A (ko) 2020-04-01 2021-10-13 팀블랙버드 주식회사 인공지능을 이용한 암호화폐의 내재 가치 판단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KR102544332B1 (ko) * 2020-12-04 2023-06-15 채진호 창작물 거래 서비스 관리 서버 및 그 운영 방법
KR20220100482A (ko) 2021-01-08 2022-07-15 두나무 주식회사 가상 자산의 지수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2234338A1 (en) * 2021-05-03 2022-11-10 Royalton Partners Ag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 investible cryptocurrency index fund
KR102381498B1 (ko) * 2021-09-13 2022-04-01 아이스디에셋 주식회사 복합 지표를 이용한 가상 자산 가격 변동 탐지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KR20230077608A (ko) * 2021-11-23 2023-06-01 초록소프트 주식회사 가격 및 거래량을 예측하고 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기계학습 모델 기반 암호화폐 분석 서비스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KR102514178B1 (ko) * 2022-03-11 2023-03-24 이도헌 인공지능 기반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암호화폐 투자 시스템
KR102628453B1 (ko) * 2022-05-27 2024-01-23 충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암호화폐 결제를 위한 가격 증명서 발급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2654931B1 (ko) * 2023-12-14 2024-04-04 주식회사 아브코 자연어 처리 기반 사용자 맞춤형 블록체인 콘텐츠 최적화 및 제공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0714B1 (ko) * 2000-10-06 2003-12-18 김태혁 인터넷을 이용한 금융자산 가격예측 정보제공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0714B1 (ko) * 2000-10-06 2003-12-18 김태혁 인터넷을 이용한 금융자산 가격예측 정보제공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 게시물(체인파트너스), "한국 암호화폐 시장 지수(KCMI) 개발 방법론"(2018.03.31.) 1부.*
인터넷 뉴스(이뉴스투데이), "가상화폐와 블록체인 기술 평가기준이 필요한 이유"(2018.03.24.) 1부.*
인터넷 블로그(티스토리), "[Python] LSTM을 활용한 비트코인 가격 예측 및 결과측정"(2018.03.06.)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271A (ko) 202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0158B1 (ko) 암호화폐 평가 방법 및 암호화폐 지수
Lenz Peer-to-peer lending: Opportunities and risks
US819050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wap contracts management with a discount curve feedback loop
US857777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investments
US1014066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investments
Luthra et al. Impact of Macro factors on BSE Bankex
JP2005530232A (ja) 取引コストの評価および最適化のためのシステム並びに方法
JP2008512775A (ja) 組み合わせ売買およびリスク管理gui表示を表示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5500612A (ja) モーゲージ証券インデックスを管理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08512775A5 (ko)
Kolodiziev et al. Use of causal analysis to improve the monitoring of the banking system stability
US11119983B2 (en) Data conversion and distribution systems
Kaur Stock market volatility in India
CN110866822A (zh) 资产证券化的风控管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A3212982A1 (en) Asset-backed tokenization platform
US8275637B1 (en) Earnings at risk method and system
AU2008232544A1 (en) Authoriza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to determine operation of a controlled device
JP2018514889A (ja) 当初証拠金標準モデルに基づいて当初証拠金を計算及び提供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CA2955748A1 (en) Computer systems and methods for balancing indexes
US20110213731A1 (en) Techniques for identifying high-risk portfolio with automated commercial real estate stress testing
KR102310320B1 (ko) 파생금융상품 매매시스템 및 파생금융상품 매매시스템에서 헤지수량을 계산하는 방법
KR20020085499A (ko) 금융자산 운용시스템 및 금융자산 운용방법
JP6838959B2 (ja) 情報処理装置
US8103564B2 (en) Method of processing investment data and making compensation determinations and associated system
JP6105799B1 (ja) 有価証券の売買に用いられ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