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9470B1 -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9470B1
KR102149470B1 KR1020190131374A KR20190131374A KR102149470B1 KR 102149470 B1 KR102149470 B1 KR 102149470B1 KR 1020190131374 A KR1020190131374 A KR 1020190131374A KR 20190131374 A KR20190131374 A KR 20190131374A KR 102149470 B1 KR102149470 B1 KR 102149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edestrian
crosswalk
information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1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인동근
김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크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크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크인
Priority to KR1020190131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94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treadles built into the roa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75Ramp contr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8Controlling traffic signals according to detected number or speed of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87Override of traffic control, e.g. by signal transmitted by an emergency vehicle
    • H01L41/11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3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mechanical input and electr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generators or sens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횡단보도 앞 보도블록 하부에 다수개의 압전소자로 부설되어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의 보행에 따라 가해지는 압력을 수용하여 전원으로 생성하고 이를 증폭 및 변조하여 발생한 신호원을 통해 주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압전블록장치; 횡단보도 앞 일측 상부에 영상카메라로 구비하여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를 감지하여 해당 인식 정보를 촬상 및 수집하여 주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영상장치; 압전블록장치에 전송되는 발생신호원에 따른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의 상태 정보와 영상장치에서 전송되는 촬상, 수집 및 변환된 영상정보를 각각 수신, 수집하여 횡단보도 내에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의 인식정보를 일정 이격된 구동장치로 무선 전송하는 주제어 장치; 주행중인 차량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도로상에 바닥라이트에 이미지로 표시 및 경고음 송출을 송출하는 구동장치; 주행중인 도로상에 전방 횡단보도에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의 존재를 운전자에게 시인성을 제공하기 위해 색구현, 방향을 고려하여 이미지로 구현하여 경고용 신호를 송출하는 바닥라이트 장치; 및 상기 구동장치의 제어신호에 따라 주행중인 운전자에게 전방 횡단보도에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가 존재함을 음향장치를 통해 해당 상태정보를 경고용 음원신호로 송출하는 경고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 감시 시스템{Safety guide system on a crosswalk for pedestrian)}
본 발명은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횡단보도 앞 보도블록 하부에 구비된 압전블록 장치와 상부의 영상 카메라를 통해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를 감지하여 일정거리 이격된 구동장치로 무선전송하여 도로상에 바닥 라이트로 표시하거나, 경고음 송출을 통해 주행 중인 차량 운전자에게 인지되도록 하여 운전자가 보행자를 인식 및 보행자가 주변 차량에 대해 경각심을 유발하여 교통사고 감소를 유도할 수 있는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횡단보도에서 신호를 대기하고 있는 보행자를 압전블록 장치 및 영상 카메라 장치를 통해 상태 정보를 감지하여 주행 중인 차량 운전자에게 소리경보와 주행 도로 바닥에 바닥 라이트를 표시하거나, 진입 차량 정보를 수신하여 보행자에게 소리경보와 횡단보도 바닥에 바닥 라이트를 표시하여 운전자 또는 보행자에게 시각 및 청각으로 횡단보도 진입 전에 보행자의 존재를 인지하거나, 진입차량에 대한 상태정보를 보행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운전을 유도할 수 있는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 보급의 확대로 인해 다양한 장소에서 많은 교통사고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교통사고는 심각한 사회경제적 피해를 주고 있어 세계적으로 주된 공중보건문제의 하나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교통사고로 인한 사망자 수는 감소 추세에 있으나 아직도 OECD 국가 중에서 높은 편이다. 교통사고는 사전 예방을 위해 많은 국가들은 다양한 방법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 횡단보도에서 발생하는 교통사고는 인명사고와 직결되기 때문에 더욱 더 위험하다.
횡단보도 신호등은 차도를 보행자가 건널 수 있도록 신호하는 장치로서 통상 차도에 설치되는 횡단보도의 양측에 횡단보도 신호등을 설치하고 적색과 녹색의 조명을 이용하여 보행자가 차도를 횡단할 수 있도록 신호를 송출하는데, 보행자들은 일반적으로 횡단보도의 건너편에 위치하는 횡단보도 신호등을 인지하여 횡단보도를 횡단하게 된다.
한편, 횡단보도에서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의 안전장치가 시행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횡단보도의 보행자 신호등 지주 일측에 구비된 버튼식 보행자 구동신호기의 경우 보행자가 해당 버튼을 구동하여 동작되도록 설치된 것으로 활용성 및 편리성이 부족하고, 고령자 또는 어린이 등의 기계적 이해도가 낮아 보행자 구동신호기를 인식하지 못하고, 외부에 설치되어 파손의 우려가 있고 청각장애인용 음향 신호기와 혼동이 있어 사용상 제약이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횡단보도 보행자 감지기술은 기존에는 보행자가 직접신호등 버튼을 눌러 “횡단 대기 중”이라는 것을 알리는 누름 버튼식 보행자 구동신호기는 신호가 바뀌는 시점에서 보행자의 존재 유무를 확인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횡단보도의 일측에 구비된 적외선 센서를 통한 보행자 감지신호기의 경우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안내메시지를 송출함으로써 주간에 빈번한 오류가 발생하고 블레이드 설치에 따라 추가적인 토목공사를 실시함으로서 별도의 부대비용이 발생하고, 횡단보도 이용자들의 접촉에 따라 장치의 파손 및 안전사고의 우려가 높은 문제점이 있다.
부가적으로, 적외선 센서를 포함한 보행자 감지신호기의 보행자 감지 기술은 횡단대기 및 횡단영역 전체를 감지영역으로 설정하여 보행자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낮은 정밀도 및 높은 오 동작율이 발생함으로 사용에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압전센서 블록에서 보행자 신호 감지, CCTV 카메라 영상처리를 통해 보행자 감지를 위한 카메라 및 영상처리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한 객체인식율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압전 및 영상감지의 이중 센서 정보를 처리 및 판단을 통해 외부장치와의 연결 및 상호 동작을 통해 횡단보도 보행자의 사전 감지를 통해 주행중인 운전자에게 횡단보도의 상태 정보를 송출하여 횡단보도에서의 교통사고 발생 억제 및 횡단보도의 이용자의 사각지대 또는 운전자의 야간 안전운전을 유도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관련기술문헌]
1. 횡단보도 안전 관리 시스템(CROSSWALK SAFETY SUPERVISION SYSTEM)(특허등록번호 제10-1750879호)
2. 횡단보도의 보행자안전시스템(Safety system on a crosswalk for pedestrian)(특허등록번호 제10-1554971호)
3. 보행자 보호용 횡단보도 시스템(CROSSWALK SYSTEM FOR PROTECTING OF PEDESTRIAN)(특허등록번호 제10-1532554호)
4. 보행자 무단 횡단에 대한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안전 알림 시스템 및 이의 사용방법(Safe Notice System Using Camera at Unsignalized Pedestrian Crossing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특허등록번호 제10-1276385호)
5. 보행자 자동 탐지 방법 및 보행 자동 인식 신호기(A Method for Detecting a Pedestrian Automatically and a Device for Generating a Signal on Detecting a Pedestrian Automatically)(특허등록번호 제10-1574126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횡단보도에서 신호를 대기하고 있는 보행자를 압전블록 장치 및 영상 카메라 장치를 통해 상태 정보를 감지하여 주행 중인 차량 운전자에게 소리경보와 주행 도로 바닥에 바닥 라이트를 표시하거나, 진입 차량 정보를 수신하여 보행자에게 소리경보와 횡단보도 바닥에 바닥 라이트를 표시하여 운전자 또는 보행자에게 시각 및 청각으로 횡단보도 진입 전에 보행자의 존재를 인지하거나, 진입차량에 대한 상태정보를 보행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운전을 유도할 수 있는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횡단보도 앞 보도블록 하부에 구비된 압전블록 장치와 상부의 영상 카메라를 통해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를 감지하여 일정거리 이격된 구동장치로 무선전송하여 도로상에 바닥라이트 장치로 표시하거나, 경고음 송출을 통해 주행 중인 차량 운전자에게 인지되도록 하여 운전자가 보행자를 인식 및 보행자가 주변 차량에 대해 경각심을 유발하여 교통사고 감소를 유도할 수 있는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 감시 시스템은, 횡단보도 앞 보도블록 하부에 다수개의 압전소자로 부설되어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의 보행에 따라 가해지는 압력을 수용하여 AC 전원으로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증폭 및 변조하여 발생한 신호원을 통해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 존재 여부를 주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압전블록장치; 횡단보도 앞 일측 상부에 구비된 영상카메라를 통해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의 움직임정보 추출, 움직임 객체 추출, 영상특징 추출, 영상 내 영역 설정에 따른 객체 통과 여부 판단, 움직임 객체의 정보를 기반으로 구비되는 Multi Object 알고리즘으로 보행자의 이동, 정지의 영상정보를 처리하고 이를 신호로 변환하여 주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영상장치; 상기 압전블록장치 및 영상장치와 연동하여 압전블록장치 및 영상장치의 신호입력량에 따라 인식범위를 설정하고, 신호입력 패턴에 따른 출력, 유지시간, 초기화 여부의 출력조건을 설정, 입력값에 따라 중복조건 설정 여부의 판단 및 처리를 위해 구비된 알고리즘 모듈을 통해 압전블록장치에 전송되는 발생신호원에 대한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의 상태 정보와 영상장치에서 전송되는 촬상, 수집 및 변환된 영상정보를 각각 수신, 수집하여 횡단보도 내에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의 판단 및 인식정보를 1km 이격되어 구성된 구동장치로 무선전송하는 주제어 장치; 횡단보도 상 일측에서 구비된 주제어 장치와 1km 이격되어 구성되고, 주제어 장치를 통해 무선 전송되는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의 상태 정보, 촬상, 수집 및 변환된 영상에 따른 전방 횡단보도의 인식정보를 수신하여 바닥라이트 장치를 통해 LOGO VISION으로 도로상에 이미지로 표시 및 경고장치로 경고음을 송출하여 후방 주행중인 차량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동장치; 상기 구동장치의 제어신호에 따라 후방 주행중인 차량의 운전자에게 전방 횡단보도에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의 존재 여부에 대해 시인성을 제공하기 위해 색구현, 방향을 고려하여 도로상에 경고용 신호인 LOGO VISION 이미지로 구현하여 송출하는 바닥라이트 장치; 및 상기 구동장치의 제어신호에 따라 후방 주행중인 차량의 운전자에게 전방 횡단보도에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가 존재함을 음향장치를 통해 해당 상태정보를 경고용 음원신호로 송출하는 경고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 감시 시스템의 주제어장치는 압전블록장치에서 전송된 신호를 판단 및 처리하기 위해 신호입력량에 따라 인식범위를 설정하고, 신호입력 패턴에 따른 출력, 유지시간, 초기화 여부의 출력조건을 설정, 입력값에 따라 중복조건 설정 여부를 판단 및 처리하는 소프트웨어 알고리즘 모듈로 구비하여 압전블록장치에 전송되는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의 상태정보와 영상장치를 통해 수집된 영상 인식정보를 수집 및 처리하여 운영서버 또는 구동장치로 전송하고, 구동장치는 횡단보도 상의 주제어 장치와 이격되어 구성되어 이격된 지역의 도로상의 주행차량을 감지하여 보행자 단말의 구동 어플(app) 실행에 따라 해당 감지된 차량의 진입 정보를 보행자 단말의 출력창에 표시되도록 하여 차량 진입에 따른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 감시 시스템은, 횡단보도 앞 보도블록 하부에 구비된 압전블록 장치와 횡단보도 상부의 일측에 구비된 영상 카메라를 통해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를 감지하여 일정거리 이격된 구동장치로 해당 감지신호를 무선전송하여 도로상에 바닥 라이트로 표시하거나, 스피커 등을 통해 경고음을 송출하여 주행 중인 차량 운전자에게 인지되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진입 도로상에 보행자 유무가 인지되도록 하여 교통사고 감소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 감시 시스템은 횡단보도에서 신호를 대기하고 있는 보행자를 압전블록 장치 및 영상 카메라 장치를 통해 상태 정보를 감지하여 후방에서 횡단보도 방향으로 주행 중인 차량 운전자에게 경고음 및 주행 도로상에 바닥 라이트로 보행자 상태정보가 표시되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시각 및 청각으로 횡단보도 진입 전에 보행자의 존재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안전운전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 감시 시스템은 횡단보도에서 신호 대기자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주행 중 운전자에게 표시되도록 하여 운전자가 보행자 대기 구간에 대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어 횡단보도 접근 시 보행자를 인지되어 안전운전을 유도하여 횡단보도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보행자가 주변 차량에 대해 경각심을 가질 수 있어 교통사고 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 감시 시스템은 횡단보도 일측에 상부 및 하부에서 부설된 압전블록장치 및 영상카메라 장치를 통해 카메라 영상을 기반으로 한 영상처리와 횡단보도 압전센서블록을 기반으로 한 횡단보도 대기자에 대한 감지로 이중으로 신호 대기자를 감지함으로써 종래의 하나의 센서를 통한 정보 수집보다 오류 발생율를 줄일 수 있고, 정보 수집의 정확성을 높이며 자동감시로 보행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 감시 시스템은 횡단보도와 이격되어 전송된 보행자 상태정보에 따라 대응하도록 구동장치의 경고음 송출 또는 바닥 라이트 표시의 정확성을 제공하기 위해 각 센서들의 결합 및 호환성 확보를 위한 장치 간의 안정성, 호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 감시 시스템은 횡단보도 일측에 바닥에 설치되는 압전블록장치는 보도블록 내에 압전센서가 구비되어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의 이동에 따른 압력에 의해 발생하는 전원을 활용함으로서 별도의 전력공급이 필요없어 독립 구동을 통해 전력 절감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 감시 시스템은 횡단보도와 이격된 구동장치를 통해 횡단보도로 진입하는 차량의 유무를 무선으로 보행자 단말의 구동 어플(app)을 통해 단말내에 표시되도록 하여 보행자의 이상 유무에 따라 경고음/바닥 라이트 표시 및 차량 진입의 상태를 단말에 표시함으로써 양방향으로 감시 및 안전운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 감시 시스템은 횡단보도 신호등의 일측에 구비된 신호등 구동장치에 설치된 압전블록장치를 통하여 횡단보도 신호등의 상태 및 점멸 정보를 사용자 단말의 어플(APP)이 구동된 출력창에 무선으로 해당 신호등의 현재 상태정보 또는 점멸 정보를 전송하거나, 음성 정보로 송출하여 횡단 보도 이용에 따른 편리성 및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 감시 시스템의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 감시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 감시 시스템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안전 감시 시스템의 확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 감시를 위한 압전블록장치의 구조도
도 6은 도 5에 따른 압전블록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따라 압전블록장치의 상부 케이스의 배면을 도시한 상태도
도 8은 도 6에 따른 압전블록장치의 압전센서 어셈블리의 상태도
도 9는 도 8의 압전센서 어셈블리의 배면을 도시한 상태도
도 10은 도 5에 따른 압전블록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 감시를 위한 주제어 장치의 연동 구성도
도 12는 도 11에 따른 주제어 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13은 본 발명의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 감시 시스템의 보행자 단말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14는 도 13의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 감시 시스템의 보행자 단말내 디스플레이부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 감시를 위한 주제어 장치의 구동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 16은 본 발명의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 감시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 감시 시스템의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 감시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 감시 시스템의 블록도를 나타내는데,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 감시 시스템은 크게, 압전블록장치(100), 영상장치(200), 주제어 장치(300), 통신망(400), 구동장치(600), 바닥라이트 장치(700) 및 경고장치(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 감시 시스템의 세부구성 및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압전블록장치(100)는 횡단보도 앞 보도블록 하부에 다수개의 압전소자로 부설되어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의 보행에 따라 가해지는 압력을 수용하여 AC 전원으로 신호를 발생하고 이를 증폭 및 변조하여 발생하는 신호원을 통해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 여부를 주제어장치(300)로 전송한다.
상기 압전블록장치(100)는 횡단보도의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를 감지하기 위해 횡단보도 앞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압력센서로 구비될 수 있으며, 횡단보도의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센서에 압력이 인가되었을 때 1.5V 이상 전압발생이 가능하고, 높은 하중에도 압전센서를 보호하는 블록 구조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영상장치(200)는 횡단보도 앞 일측 상부에 영상카메라로 구비되어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를 감지하여 해당 인식 정보를 촬상 및 수집하여 주제어장치(300)로 전송하도록 동작한다.
한편, 상기 영상장치(200)는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의 움직임정보 추출, 움직임 객체 추출, 영상특징 추출, 영상 내 영역 설정에 따른 객체 통과 여부 판단, 움직임 객체의 정보를 정규화 작업을 기반으로 하는 Multi Object 알고리즘으로 구성되도록 하여 보행자의 이동, 정지 등의 영상정보를 처리하고 이를 신호로 변환하여 주제어 장치(300)로 전송되도록 한다.
상기 주제어 장치(300)는 상기 압전블록장치(100) 및 영상장치(200)와 연동하여 압전블록장치(100)에 전송되는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의 상태 정보와 영상장치(200)에서 전송되는 촬상, 수집 및 변환된 영상정보를 각각 수신 및 수집하여 특정 횡단보도 내에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의 인식정보를 통신망(400)을 통해 일정 이격된 구동장치(600) 또는 운영서버(500)로 전송한다.
상기 주제어 장치(300)는 상기 압전블록장치(100)에 전송되는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의 상태정보와 영상장치(200)를 통해 수집된 영상 인식정보를 수집 및 처리하여 운영서버(500) 또는 구동장치(600)로 전송하는 것으로, 압전블록장치(100)에서 전송된 신호를 판단 및 처리하기 위해 신호입력량에 따라 인식범위를 설정하고, 신호입력 패턴에 따른 출력, 유지시간, 초기화 여부의 출력조건을 설정, 입력값에 따라 중복조건 설정 여부를 판단 및 처리하는 소프트웨어 알고리즘 모듈로 구비한다.
상기 구동장치(600)는 상기 주제어 장치(300)를 통해 전송된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의 상태 정보, 촬상, 수집 및 변환된 영상에 따른 특정 횡단보도의 인식정보를 수신하여 주행중인 차량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도로상에 바닥 라이트 표시 및 경고음 송출을 위한 동작을 제어한다.
한편, 상기 구동장치(600)는 횡단보도 상의 주제어 장치(300)와 이격되어 구성되는데, 이격된 지역을 도 1과 같이 1km로 한정하지 않고 동작이 가능하며, 이격된 지역의 도로상의 주행차량을 감지하여 보행자 단말(900)의 구동 어플(app) 실행에 따라 통신망(400)을 통해 해당 감지된 차량의 진입 정보를 보행자 단말(900)의 출력창에 표시되도록 하여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에게 차량 진입에 따른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구동할 수 있다.
상기 바닥라이트 장치(700)는 상기 구동장치(6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주행중인 도로상에 전방 특정 횡단보도에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가 존재함을 표시하여 운전자에게 시각적으로 경고용 신호를 송출한다.
이때, 상기 바닥라이트 장치(700)는 주행중인 차량 운전자의 시인성을 제공하기 위해 색구현, 방향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상태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경고장치(800)는 상기 구동장치(6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주행중인 운전자에게 특정 횡단보도에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가 존재함을 음향장치를 통해 해당 상태정보를 경고용 음원신호로 송출되도록 한다.
부가적으로, 상기 바닥라이트 장치(700) 또는 경고장치(800)는 구동장치(600)와 동일 구조물에 설치되거나 유무선으로 연동되어 각각 이격되어 독립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통신망(400)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망일 수 있다. 통신망(400)이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이동통신망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5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통신망(400)은 주제어장치(300), 구동장치(600), 하기에 기술될 운영서버(500) 및 보행자 단말(900)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안전 감시 시스템의 확대 구성도를 나타내는데, 도 2의 기본 구성도를 확대 구비하여 보행자 안전 감시를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운영서버(500), 보행자 단말(9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500)는 다수의 주제어 장치(300) 및 구동장치(6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각 도로에 따른 횡단보도간의 이격정보, 구동장치(600)를 통한 바닥라이트 장치(700) 및 경고장치(800)의 설치정보를 각각 수집, 저장하여 차량 주행에 따른 보행자 안전을 위한 제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 횡단보도 상에 구비된 주제어 장치(300)와 이격되어 구성되는 구동장치(600)의 설치정보를 각각 수집 및 저장하고, 주제어 장치(300)에서 전송되는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에 따른 압전블록장치(100)의 상태정보, Multi Object 알고리즘 기반으로 해당 횡단보도의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의 움직임정보 추출, 움직임 객체 추출, 영상특징 추출, 영상 내 영역 설정에 따른 객체 통과 여부, 움직임 객체의 정보를 정규화 작업을 기반으로 하여 보행자의 이동, 정지 등의 영상정보를 처리하고 이를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영상장치(200)의 정보를 기초로 해당 구동장치(600)를 통해 도로상의 주행중인 운전자에게 횡단보도의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의 유무가 인지되도록 바닥라이트 장치(700)에 이미지를 표시하거나, 경고장치(800)를 통해 경고음이 송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운영서버(500)는 진입 차량에 따른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보행자 단말(900)에 해당 상태 정보가 표시할 수 있도록 보행자 안전을 위한 구동 어플(app)을 제공하여 구동장치(600)를 통해 차량 진입 정보를 수신하여 통신망(400)을 통해 상기 보행자 단말(900)에 후방 차량의 진입에 따른 상태를 표시하거나, 횡단보도 신호변경에 따른 상태정보를 송출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구동장치(600)는 운영서버(500)의 제어신호에 따라 바닥라이트 장치(700)을 통해 도로상에 특정 횡단보도 내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 유무에 따라 안전운전을 위한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거나, 경고장치(800)로 진입 도로상의 특정 횡단보도 내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 존재를 인식하도록 경고음이 송출되도록 한다.
상기 보행자 단말(900)은 통신망(400)을 통해 운영서버(500)와 접속하여 차량 진입 또는 횡단보도 내 보행 여부 신호 표시를 위한 전용 어플(app)을 실행하여 상기 구동장치(600)를 통해 전송되는 차량 진입 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출력창에 표시되거나, 운영서버(500)의 제어신호에 따라 횡단보도 내 보행자 신호등의 보행, 정지 또는 보행 잔여시간이 출력창에 표시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보행자 단말(900)은 상기 운영서버(500)의 제어신호에 따라 횡단보도 내 보행자 신호등의 보행신호의 잔여시간에 따라 보행을 위한 음향 신호를 수신하여 송출되도록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 감시를 위한 압전블록장치의 구조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압전블록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내며, 도 7은 도 6에 따라 압전블록장치의 상부 케이스의 배면을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8은 도 6에 따른 압전블록장치의 압전센서 어셈블리의 상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압전센서 어셈블리의 배면의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 감시를 위한 압전블록장치의 특징을 살펴보면, 상기 압전블록장치(100)는 횡단보도 앞 보도블록과 대응되는 상부 케이스(top case)(170) 하부 내부에 삽입되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다수개의 삽입홈에 압전 센서부(120)가 구비된 압전센서 어셈블리(180)가 형성되고, 압전센서 어셈블리(180)가 삽입되어 고정 부설된 상부 케이스(170)와 하부 케이스(bottom case)(190)가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압전센서 어셈블리(180)는 실리콘(silicone) 재질의 방수고무(181)로 압전 센서부(120)가 삽입되도록 삽입홈이 형성되는데, 삽입된 압전 센서부(120)간 연결을 위한 2P의 연결선을 구비하고, 스크류(183: 도면 미도시)에 의해 상부 케이스(170)와 하부 케이스(190)가 체결구조를 갖도록 구성된다.
즉, 압전블록장치(100)는 압전센서부(120)가 내장되고 실리콘으로 방수구조를 가지는 다수개의 압전센서 어셈블리(180)가 상부 케이스(170) 하면에서 스크류(183)에 의해 하부 케이스(190)와 체결되는 구조를 구비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 감시를 위한 압전블록장치(10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압전블록장치(100)는 마이컴(110), 압전센서부(120), 증폭부(130), 변조부(140) 및 전송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 감시 시스템의 압전블록장치(100)의 세부구성 및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마이컴(110)은 다수개의 압전소자가 횡단보도 앞 보도블록 하부에 부설되어 보행자 또는 신호 대기자의 보행에 따라 가해지는 압력을 수용하여 AC 전원으로 신호를 발생하고 이를 증폭 및 변조를 통해 횡단보도 앞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의 여부를 확인이 되도록 압전블록장치의 제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압전센서부(120)는 적어도 한 면에 압전층이 형성된 탄성기판을 구비하여 다수개가 병렬 연결되어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의 외부 힘에 따라 발생하는 압력을 수신하여 AC 전원으로 신호를 발생한다.
한편, 상기 압전센서부(120)의 탄성 기판은 금속 또는 전도성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며, 단위 압전부에 가해지는 압력이나 진동에 의해 휘어지면서 압전층의 형태를 변형시키고, 압력이나 진동 해제 시 압전층이 본래의 형태로 복원되도록 동작한다.
상기 증폭부(130)는 상기 마이컴(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압전센서부(120)을 통해 발생하는 압력이 AC 전원으로 신호로 변환되어 변환된 신호의 세기를 크게하기 위해 증폭한다.
상기 변조부(140)는 상기 증폭부(130)를 통해 증폭된 신호에 따라 횡단보도 앞 보도블록 내에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의 존재 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주제어 장치(300)로 해당 변조된 신호를 전송부(150)를 통해 전송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 감시를 위한 주제어 장치(300)의 연동 구성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따른 주제어 장치(30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주제어 장치(300)는 MCU(310), 입력부(320), 센서구동부(330), 출력부(340), 변환부(350), 연동부(360), 설정부(370) 및 전송부(3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제어 장치(300)의 세부구성 및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MCU(310)은 상기 압전블록장치(100)에 전송되는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의 상태 감지 정보와 영상장치(200)에서 전송되는 촬상, 수집 및 변환된 영상정보를 각각 수신하여 특정 횡단보도 내에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의 인식정보를 구동장치(600)로 전송하여 이격된 진입 차량 운전자에게 해당 보행자 정보가 인식되도록 바닥라이트장치(700) 및 경고장치(800)가 구동되도록 하거나, 구동장치(600)를 통해 진입 차량에 대한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횡단보도 보행자에게 해당 상태정보가 인식되어 표시되도록 주제어 장치(300)의 제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입력부(320)는 상기 MCU(310)의 제어신호에 따라 횡단보도 앞 일측에 구비된 영상장치(200)의 영상카메라 또는 CCTV 카메라를 통해 촬상 및 수집된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의 인식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센서구동부(330)는 상기 MCU(310)의 제어신호에 반응하여 횡단보도 앞 보도블록 하부에 부설된 압전블록장치(100)에서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의 보행에 따라 가해지는 압력센서를 수신하도록 동작하다.
또한, 상기 출력부(340)는 연동부(360)를 통해 무선연동된 구동장치(600)를 통해 전송되는 진입 차량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아 스피커인 경고장치(800)로 상태 정보를 송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MCU(31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장치(600)를 통해 전방 차량 진입의 감지신호를 상기 연동부(360)을 통해 무선 수신하여 횡단보도 일측에 구비된 음향장치인 경고장치(800)로 차량 진입에 대한 안내 방송을 송출되도록 한다.
상기 전송부(380)는 상기 연동부(360)를 통해 무선연동된 구동장치(600)를 통해 전송되는 진입 차량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아 바닥라이트 장치를 통해 LOGO VISION으로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MCU(31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장치(600)를 통해 전방 차량 진입의 감지신호를 연동부(360)을 통해 무선 수신하여 횡단보도 일측에 구비된 바닥라이트 장치(700)인 LOGO VISION으로 이미지를 전송하여 표시되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 감시 시스템의 보행자 단말(900) 세부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안전 감시 시스템의 보행자 단말(900)은 크게 마이컴(910), APP 구동부(920), 모드 설정부(930), 음향송출부(940) 및 디스플레이부(9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단말(900)의 세부구성 및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마이컴(910)은 차량 진입 또는 횡단보도 보행 신호 표시를 위한 전용 어플(APP)의 실행에 따라 상기 구동장치(600)를 통해 전송되는 차량 진입 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950)에 표시되거나, 운영서버(500)의 제어신호에 따라 횡단보도 내 보행자 신호등의 보행, 정지 또는 보행 잔여시간이 수신 및 표시되도록 하거나 보행에 따른 음향신호가 송출되도록 보행자 단말(9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APP 구동부(920)는 상기 운영서버(500)를 통해 전송되는 보행자 신호등의 보행, 정지 또는 보행 잔여시간의 표시 정보를 수신되거나, 상기 구동장치(600)에서 전송되는 차량 진입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되도록 보행자 단말(900)의 보행자의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마이컴(910)의 제어신호에 반응하여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저장된 해당 어플(APP)이 구동되도록 한다.
상기 모드 설정부(930)는 상기 APP 구동부(920)의 어플(APP) 실행에 따라 상기 마이컴(910)의 제어신호에 반응하여 운영서버(500)를 통해 전송되는 보행자 신호등 신호등의 보행, 정지 신호, 보행 잔여시간 또는 상기 구동장치(600)에서 전송되는 차량 진입 정보를 디스플레이부(940) 내에 표시되도록 위치를 지정하거나, 보행정보 또는 잔여시간 표시, 차량 진입 정보의 송출 여부를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950)는 상기 마이컴(910)의 제어신호에 따라 모드 설정부(930)를 통해 지정된 보행 정보 또는 잔여시간 표시에 따라 해당 정보를 시간에 따른 수치, 잔여시간 대기, 점등의 상태를 출력하여 보행자가 인지되도록 하거나, 구동장치(600)에 확인된 진입 도로상의 차량 이동 정보를 출력하여 보행자의 주의를 환기시키도록 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 감시를 위한 주제어 장치(300)의 구동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로서, 첨부된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그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제어부 즉 MCU(310)는 횡단보도 일측에 구비된 CCTV 카메라 또는 영상 카메라로 구성된 영상장치(200) 및 횡단보도 보도블록 하부에 구비된 압전블록장치(100)를 통해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의 출현 여부에 따라 각 장치의 감지 신호를 수신할 준비를 한다.
이때, 상기 압전블록장치(100)를 통해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의 보행에 따라 발생하는 압전신호에 따라 해당 감지신호을 센서구동부(330)을 통해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를 변조하고, 상기 영상장치(200)을 통해 감지된 신호를 입력부(320)을 통해 수신하여 횡단보도 대기자 여부를 판별하고 이벤트 출력을 생성하여 횡단 대기자 발생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 상기 연동부(360)을 통해 무선으로 구동장치(600)로 전송하여 구동장치(700)의 제어신호에 따라 바닥라이트 장치(700)로 전방 횡단보조 보행자 여부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LOGO VISION으로 도로상에 표시되도록 하여 운전자가 식별되도록 하고, 경고장치(800)로 보행자 정보 존재에 따라 안전을 위한 경고음을 스피커 등으로 구성된 경고장치(800)로 송출하여 운전자가 인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구동장치(600)의 구동에 따라 횡단보도로 주행하는 차량에 대한 상태정보의 감지신호를 연동부(360)를 통해 주제어 장치(300)로 전송하여 상기 MCU(310)의 제어신호에 따라 횡단보도 일측에 구비된 바닥라이트 장치(700)로 전방 차량 진입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LOGO VISION으로 횡단보도 상에 표시되도록 하여 보행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경고장치(800)로 차량 진입에 따라 보행상 주의를 위한 경고음을 스피커 등으로 구성된 경고장치(800)로 송출하여 보행자의 보행의 위험성이 인지되도록 한다.
즉, 상기 구동장치(600)는 주제어 장치(300)에서 전송된 횡단보도 보행자 정보의 RF 신호를 수신하여 데이터를 변조하고, 경고 출력 신호를 준비하여 바닥라이트 장치(700)로 로그 이미지를 표시하고, 경고장치(800)로 전방에 횡단보도 보행자 존재를 위한 경고 방송을 송출한다.
상기에서 구동장치(600)는 도로상의 차량 진입에 따라 차량정보의 RF 신호를 수신하여 데이터를 변조하고 통신망(400)을 통해 주제어 장치(300)로 해당 차량 진입 정보를 송출하면, 주제어 장치(300)는 구동장치(600)에서 전송된 차량 진입 정보의 RF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데이터 변조후 횡단보도 일측에 구비된 바닥라이트 장치(700)로 로그이미지로 표시하고, 경고장치(800)로 차량 진입에 따라 경고 방송을 송출한다.
또한, 구동장치(600)를 통해 감지된 차량 진입 정보에 따라 운영서버(500)을 통해 보행자 단말(900)의 구동 어플(APP)을 통해 해당 상태정보가 표시되도록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 감시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를 나타내는데, 첨부된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안전 감시를 위한 절차를 살펴보면, 먼저, 횡단보도 앞 보도블록 하부에 부설된 다수개의 압전소자를 포함한 압전블록장치(100)에서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의 보행 또는 가압에 따라 해당 압력을 수용하여 AC 전원으로 신호를 발생하고 발생된 신호를 증폭 및 변조하여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 신호원을 주제어장치(300)로 전송한다.
또한, 횡단보도 앞 일측 상부에 구비된 영상카메라가 구비된 영상장치(200)를 통해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의 촬상된 신호가 입력신호원으로 상기 주제어장치(300)로 전송한다.
상기 주제어 장치(300)는 압전블록장치(100) 및 영상장치(200)에서 전송되는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의 상태정보와 영상정보를 각각 수신, 수집하여 특정 횡단보도 내에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의 인식정보를 구동장치(600) 또는 운영서버(500)로 통신망(400)을 통해 전송한다.
이후, 상기 구동장치(600)는 상기 주제어 장치(300)를 통해 전송된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의 상태 정보, 촬상, 수집 및 변환된 영상에 따른 특정 횡단보도의 인식정보를 기초로 주행중인 차량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도로상에 바닥 라이트 장치(700)를 통해 도로상에 해당 주의정보를 출력하고, 경고장치(800)를 통해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 존재에 따른 안전운전을 위해 경고음 송출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음성안내를 송출한다.
한편, 상기 주제어 장치(300)는 상기 구동장치(600)에서 횡단보도 방향으로 진입 차량의 감시 정보를 통신망(400)을 통해 무선 전송받아 횡단보도 일측에 구비된 바닥라이트 장치(700)에 LOGO VISION으로 해당 진입에 따른 상태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거나, 횡단보도 일측에 구비된 경보장치(800)로 차량 진입에 따른 경보음이 송출되도록 구동할 수 있다.
또한, 횡단보도 상의 주제어 장치(300)와 이격되어 구성된 상기 구동장치(600)는 이격된 지역의 도로상의 주행차량을 감지하여 보행자 단말(900)의 구동 어플(app) 실행에 따라 통신망(400)을 통해 해당 감지된 차량의 진입 정보를 출력창에 표시되도록 하여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에게 차량 진입에 따른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구동한다.
상기의 절차에 따라 상기 구동장치(600)의 제어신호에 따라 바닥라이트 장치(700)를 통해 주행중인 도로상에 전방 특정 횡단보도에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가 존재함을 표시하여 운전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 및 음성적으로 경고 신호를 송출한다.
이때, 상기 바닥라이트 장치(700)는 주행중인 차량 운전자의 시인성을 제공하기 위해 색구현, 방향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상태정보로 표시되고, 상기 경고장치(800)는 주행중인 운전자에게 전방 진입 횡단보도에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가 존재함을 음향장치를 통해 해당 상태정보를 경고용 음원신호로 송출한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압전블록장치
110 : 마이컴 120 : 압전센서부
130 : 수신부 140 : 증폭부
150 : 전송부 160 : 저장부
200 : 영상장치
300 : 주제어 장치
310 : 제어부(MCU) 320 : 입력부
330 : 센서구동부 340 : 출력부
350 : 변환부 360 : 연동부
370 : 설정부 380 : 전송부
400 : 통신망
500 : 운영서버
600 : 구동장치
700 : 바닥라이트 장치
800 : 경고장치
900 : 보행자 단말

Claims (8)

  1. 횡단보도 앞 보도블록 하부에 다수개의 압전소자로 부설되어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의 보행에 따라 가해지는 압력을 수용하여 AC 전원으로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증폭 및 변조하여 발생한 신호원을 통해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 존재 여부를 주제어 장치(300)로 전송하는 압전블록장치(100);
    횡단보도 앞 일측 상부에 구비된 영상카메라를 통해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의 움직임정보 추출, 움직임 객체 추출, 영상특징 추출, 영상 내 영역 설정에 따른 객체 통과 여부 판단, 움직임 객체의 정보를 기반으로 구비되는 Multi Object 알고리즘으로 보행자의 이동, 정지의 영상정보를 처리하고 이를 신호로 변환하여 주제어 장치(300)로 전송하는 영상장치(200);
    상기 압전블록장치(100) 및 영상장치(200)와 각각 연동하여 압전블록장치 및 영상장치의 신호입력량에 따라 인식범위를 설정하고, 신호입력 패턴에 따른 출력, 유지시간, 초기화 여부의 출력조건을 설정, 입력값에 따라 중복조건 설정 여부의 판단 및 처리를 위해 구비된 알고리즘 모듈을 통해 압전블록장치(100)에 전송되는 발생신호원에 대한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의 상태 정보와 영상장치(200)에서 전송되는 촬상, 수집 및 변환된 영상정보를 각각 수신, 수집하여 횡단보도 내에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의 판단 및 인식정보를 1km 이격되어 구성된 구동장치(600)로 무선 전송하는 주제어 장치(300);
    횡단보도 일측에서 구비된 주제어 장치(300)와 1km 이격되어 구성되고, 주제어 장치(300)를 통해 무선 전송되는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의 상태 정보, 촬상, 수집 및 변환된 영상에 따른 전방 횡단보도의 인식정보를 수신하여 바닥라이트 장치(700)를 통해 LOGO VISION으로 도로상에 이미지로 표시 및 경고장치(800)로 경고음을 송출하여 후방 주행중인 차량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동장치(600);
    상기 구동장치(600)의 제어신호에 따라 후방 주행중인 차량의 운전자에게 전방 횡단보도에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의 존재 여부에 대해 시인성을 제공하기 위해 색구현, 방향을 고려하여 도로상에 경고용 신호인 LOGO VISION 이미지로 구현하여 송출하는 바닥라이트 장치(700); 및
    상기 구동장치(600)의 제어신호에 따라 후방 주행중인 차량의 운전자에게 전방 횡단보도에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가 존재함을 음향장치를 통해 해당 상태정보를 경고용 음원신호로 송출하는 경고장치(8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 감시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 장치(300)는
    압전블록장치(100)에서 전송된 신호를 판단 및 처리하기 위해 신호입력량에 따라 인식범위를 설정하고, 신호입력 패턴에 따른 출력, 유지시간, 초기화 여부의 출력조건을 설정, 입력값에 따라 중복조건 설정 여부를 판단 및 처리하는 소프트웨어 알고리즘 모듈로 구비되어 상기 압전블록장치(100)에 전송되는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의 상태정보와 영상장치(200)를 통해 수집된 영상 인식정보를 수집 및 처리하여 운영서버(500) 또는 구동장치(600)로 전송하고,
    상기 구동장치(600)는 횡단보도 상의 주제어 장치(300)와 이격 구성되어 이격된 특정지역의 도로상 주행차량을 감지하여 보행자 단말(900)의 구동 어플(app) 실행에 따라 해당 감지된 차량의 진입 정보를 전송하여 보행자 단말(900)의 출력창에 표시되도록 하여 차량 진입에 따른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 감시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다수의 주제어 장치(300) 및 구동장치(6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각 도로에 따른 횡단보도간의 이격정보, 각 구동장치(600)를 통한 바닥라이트 장치(700) 및 경고장치(800)의 설치정보를 각각 수집, 저장하고,
    후방 진입 차량에 따른 상태정보를 구동장치(600)를 통해 수신하여 보행자 단말(900)에 해당 상태 정보를 표시하여 보행자 안전을 위한 구동 어플(app)을 제공하여 보행자 단말(900)의 구동 어플(app) 실행에 따라 횡단보도 상의 후방 차량의 진입에 따른 상태를 출력하거나, 횡단보도 신호변경에 따른 상태정보가 표시되도록 하여 차량 주행에 따른 보행자 안전을 위한 제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운영서버(500) 및
    상기 운영서버(500)와 접속하여 후방 차량 진입 또는 횡단보도 내 보행 여부 신호 표시를 위한 전용 어플(app)을 실행하여 상기 구동장치(600)를 통해 전송되는 후방 차량 진입 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출력창에 표시하거나, 운영서버(500)의 제어신호에 따라 횡단보도 내 보행자 신호등의 보행, 정지 또는 보행 잔여시간이 출력창에 표시하는 보행자 단말(9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 감시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압전블록장치(100)는
    횡단보도 앞 보도블록 하부에 다수개의 압전소자로 부설되어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의 보행에 따라 가해지는 압력을 수용하여 전원으로 생성하고 이를 증폭 및 변조하여 횡단보도 앞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의 존재 여부가 확인되도록 압전블록장치의 제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10),
    금속 또는 전도성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며, 단위 압전부에 가해지는 압력이나 진동에 의해 휘어지면서 압전층의 형태를 변형시키고, 압력이나 진동 해제 시 본래의 형태로 복원되도록 동작하는 탄성기판이 적어도 한 면에 압전층으로 형성되고, 다수개의 압전층이 병렬 연결되어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의 외부 힘에 따라 발생하는 압력을 수신하여 전원신호를 발생하는 압전센서부(120),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압전센서부(120)을 통해 발생하는 압력이 전원신호로 변환하여 변환된 신호의 세기를 증폭하는 증폭부(130), 및
    상기 증폭부(130)를 통해 증폭된 신호에 따라 횡단보도 앞 보도블록 내에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의 존재 신호로 변조하여 주제어 장치(300)로 해당 변조된 신호를 전송부(150)를 통해 전송하는 변조부(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 감시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블록장치(100)는
    횡단보도 앞 보드블록과 대응되는 상부 케이스(top case)(170)와
    상부 케이스(170) 하부 내부에 삽입되도록 실리콘(silicone) 재질의 방수고무(181)로 방수구조를 가지고,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금속 또는 전도성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며, 단위 압전부에 가해지는 압력이나 진동에 의해 휘어지면서 압전층의 형태를 변형시키고, 압력이나 진동 해제 시 본래의 형태로 복원되도록 동작하는 탄성기판이 한 면에 압전층으로 형성된 압전 센서부(120)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삽입된 압전 센서부(120)가 2P의 연결선을 통해 각각 병렬 연결되는 압전센서 어셈블리(180)와
    상기 압전센서 어셈블리(180)가 삽입된 상부 케이스(170)와 스크류(183)를 통해 체결되는 하부케이스(bottom case)(19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 감시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 장치(300)는
    상기 압전블록장치(100)에 전송되는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의 상태 감지 정보와 영상장치(200)에서 전송되는 촬상, 수집 및 변환된 영상정보를 각각 수신하여 특정 횡단보도 내에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의 인식정보를 구동장치(600)로 전송하여 이격된 진입 차량 운전자에게 해당 보행자 정보가 인식되도록 바닥라이트 장치(700) 및 경고장치(800)가 구동되도록 하거나, 구동장치(600)를 통해 진입 차량에 대한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횡단보도 보행자에게 해당 상태정보가 인식되어 표시되도록 주제어 장치(300)의 제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MCU(310),
    상기 MCU(310)의 제어신호에 따라 횡단보도 앞 일측에 구비된 영상장치(200)의 영상카메라 또는 CCTV 카메라를 통해 촬상 및 수집된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의 인식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320),
    상기 MCU(310)의 제어신호에 반응하여 횡단보도 앞 보도블록 하부에 부설된 압전블록장치(100)에서 보행자 또는 신호대기자의 보행에 따라 가해지는 압력센서를 수신하는 센서구동부(330),
    상기 MCU(31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장치(600)를 통해 전방 차량 진입의 감지신호를 연동부(360)를 통해 무선 수신하여 횡단보도 일측에 구비된 음향장치를 통해 송출되도록 하는 출력부(340) 및
    상기 MCU(3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일정 이격된 구동장치와 무선으로 연동된 연동부(360)를 통해 구동장치(600)에서 전송되는 전방 차량 진입의 감지신호를 무선 수신하여 횡단보도 일측에 구비된 바닥라이트 장치를 통해 LOGO VISION으로 이미지를 송출하는 전송부(3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 감시 시스템.
  8. 제 4 항에 있어서,
    보행자 단말(900)은
    차량 진입 또는 횡단보도 보행 신호 표시를 위한 전용 어플(APP)의 실행에 따라 상기 구동장치(600)를 통해 전송되는 후방 차량 진입 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950)에 표시하거나, 운영서버(500)의 제어신호에 따라 횡단보도 내 보행자 신호등의 보행, 정지 또는 보행 잔여시간이 수신, 표시하거나, 횡단보도의 보행신호에 따른 음향신호가 송출되도록 보행자 단말(9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910),
    운영서버(500)를 통해 전송되는 보행자 신호등의 보행, 정지 또는 보행 잔여시간의 표시 정보를 수신되거나, 구동장치(600)에서 전송되는 후방 차량 진입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되도록 보행자 단말(900)의 보행자의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마이컴(910)의 제어신호에 반응하여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저장된 해당 어플(APP)이 구동되는 APP 구동부(920),
    상기 APP 구동부(920)의 어플(APP) 실행에 따라 운영서버(500)를 통해 전송되는 보행자 신호등의 보행, 정지 신호, 보행 잔여시간 또는 구동장치(600)에서 전송되는 후방 차량 진입 정보를 디스플레이부(950) 내에 표시되도록 위치를 지정하거나, 보행정보 또는 잔여시간 표시, 후방 차량 진입 정보의 송출 여부를 선택하는 모드 설정부(930), 및
    상기 모드 설정부(930)를 통해 지정된 보행 정보 또는 잔여시간 표시에 따라 해당 정보를 시간에 따른 수치, 잔여시간 대기, 점등의 상태를 출력하여 보행자가 인지되도록 하거나, 구동장치(600)에 확인된 후방 진입 도로상의 차량 이동 정보를 출력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9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 감시 시스템.
KR1020190131374A 2019-10-22 2019-10-22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 감시 시스템 KR102149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374A KR102149470B1 (ko) 2019-10-22 2019-10-22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374A KR102149470B1 (ko) 2019-10-22 2019-10-22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9470B1 true KR102149470B1 (ko) 2020-09-02

Family

ID=72469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1374A KR102149470B1 (ko) 2019-10-22 2019-10-22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94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3572B1 (ko) 2020-12-03 2021-08-26 주식회사 인텔리빅스 횡단보도 환경을 고려한 영상분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N114973661A (zh) * 2022-05-16 2022-08-30 深圳市中建恒峰电子有限公司 一种具备智能控制及交通流数据存储的交通信号灯
KR102639195B1 (ko) * 2023-09-27 2024-02-22 영현정보통신 주식회사 카메라와 바닥형 보행자신호등이 연동되는 교통신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420B1 (ko) * 2015-05-14 2016-02-18 주식회사 제이에스컴 횡단보도 안전장치
KR20160104474A (ko) * 2015-02-26 2016-09-05 양도근 외부 전원공급 독립형 횡단보행자 감지 무선통보 보도블럭 시스템
KR20160113766A (ko) * 2015-03-23 2016-10-04 (주)씨엔에스 정보통신 횡단보도 보행안전 관리시스템 및 그 보행안전 관리시스템을 이용한 보행안전 관리방법
KR101906569B1 (ko) * 2018-07-11 2018-12-05 권성국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4474A (ko) * 2015-02-26 2016-09-05 양도근 외부 전원공급 독립형 횡단보행자 감지 무선통보 보도블럭 시스템
KR20160113766A (ko) * 2015-03-23 2016-10-04 (주)씨엔에스 정보통신 횡단보도 보행안전 관리시스템 및 그 보행안전 관리시스템을 이용한 보행안전 관리방법
KR101590420B1 (ko) * 2015-05-14 2016-02-18 주식회사 제이에스컴 횡단보도 안전장치
KR101906569B1 (ko) * 2018-07-11 2018-12-05 권성국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3572B1 (ko) 2020-12-03 2021-08-26 주식회사 인텔리빅스 횡단보도 환경을 고려한 영상분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N114973661A (zh) * 2022-05-16 2022-08-30 深圳市中建恒峰电子有限公司 一种具备智能控制及交通流数据存储的交通信号灯
CN114973661B (zh) * 2022-05-16 2024-05-10 深圳市中建恒峰电子有限公司 一种具备智能控制及交通流数据存储的交通信号灯
KR102639195B1 (ko) * 2023-09-27 2024-02-22 영현정보통신 주식회사 카메라와 바닥형 보행자신호등이 연동되는 교통신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9470B1 (ko)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 감시 시스템
KR100956125B1 (ko) 어린이 보호구역용 통합 보안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KR101778624B1 (ko) 자율주행용 서라운드 카메라 시스템
KR102322831B1 (ko) 인공지능 기반 횡단보도 보행자 검출 및 사고 예방 시스템
KR20060014080A (ko) 횡단 보도 경보 시스템 및 횡단 보도 경보 방법
KR100692109B1 (ko) 스쿨존 안전 시스템
KR101744282B1 (ko) 보행 안전용 사각지대 투영 안내시스템
KR101635477B1 (ko) 횡단보도의 교통신호안전시스템
CN103112393A (zh) 汽车辅助警笛装置
KR102050064B1 (ko) 횡단 보도 보행자 안전시스템
KR102362304B1 (ko) 사고 감지 및 2차 사고 방지를 위한 교통사고 알림 시스템
KR100956011B1 (ko) 지능형 자동차 주변 감시 시스템
KR20190090221A (ko) 지능형 안전 장치
JP2006232024A (ja) 安全監視システム、安全装置および警報装置
CN113256998A (zh) 一种特种车辆及其工作状态识别方法及设备
KR101937836B1 (ko) 영상 및 음성 복합 상황 판별 장치 및 방법
KR102051592B1 (ko) 차량 간 통신을 이용한 보행자 보호 방법 및 이를 위한 블랙박스 장치
KR101793156B1 (ko) 신호등을 이용한 차량 사고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0661264B1 (ko) 열화상카메라를 이용한 철도건널목 위험 방지시스템
KR20180013076A (ko) 보안프로토콜을 적용한 터널 암순응구간 장애물감지 시스템
JP2001101576A (ja) 歩行者横断補助システム
KR102458852B1 (ko) 휴게소의 역주행 방지시스템
KR20170001540A (ko) 보행자 자동 탐지 방법 및 보행 자동 인식 신호기
CN110853389B (zh) 一种适用于无人物流车的路测监控系统
KR101673306B1 (ko)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차량의 안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