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7202B1 - 댐퍼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댐퍼 조절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47202B1 KR102147202B1 KR1020180117267A KR20180117267A KR102147202B1 KR 102147202 B1 KR102147202 B1 KR 102147202B1 KR 1020180117267 A KR1020180117267 A KR 1020180117267A KR 20180117267 A KR20180117267 A KR 20180117267A KR 102147202 B1 KR102147202 B1 KR 1021472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dle
- support
- rotation shaft
- rib
- handle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 F16K1/221—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specially adapted operating means theref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08—Mechanical means
- F16K37/0016—Mechanical means having a graduated sca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조절 장치는, 소정의 유체의 유동 여부를 조절하는 댐퍼 - 상기 댐퍼는 소정의 유체가 유동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인 유동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부, 상기 유동 공간 상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에 설치되는 유량조절부 및 상기 유량조절부와 연결되어 상기 유량조절부의 회전의 기준이 되는 회전축부를 포함함. - 에 배치되어 상기 유량조절부를 회전시키는 댐퍼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의 외면에서부터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며, 상기 회전축부가 상기 유동 공간 상에서 소정의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회전축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회전축부에 연결되며, 외력이 제공되는 경우 회전되어 상기 회전축부를 회전시키는 핸들부; 및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며,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핸들부가 회전되지 못하도록 상기 핸들부를 가압하고,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핸들부가 회전되도록 상기 핸들부를 가압하지 않는 스토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부는, 핸들본체부, 상기 스토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핸들본체부가 관통되어 형성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둘레에 상기 핸들본체부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일면이 톱니 형태인 제1 톱니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톱니부와 접촉되어 상기 핸들부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일면에 톱니 형태인 제2 톱니부가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댐퍼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유체의 유동 여부를 조절하는 댐퍼에 배치되어, 댐퍼가 구비하는 유량조절부를 회전시키는 댐퍼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는 반도체 제조공정에서는 웨이퍼의 표면에 패턴을 형성시키기 위한 다양한 공정설비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공정설비들에서는 여러 반응가스들이 웨이퍼와 반응하게 되고, 반응 후 의 부산물이나 미반응 가스 등이 배기가스에 포함되어 방출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반응 후의 부산물 혹은 미 반응가스들을 포함하는 배기가스가 그대로 대기 중으로 방출될 경우에는 심각한 환경오염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반도체 제조공정에는 이러한 배기가스 중 부산물이나 미 반응가스들을 포집하기 위하여 배기라인에 댐퍼를 설치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개시된 종래 댐퍼는 댐퍼 팬들의 스토퍼부가 나사 체결을 통해 핸들부를 가압하여, 상기 핸들부를 고정시키는 구성이다. 다만, 종래의 댐퍼는 사용 과정에서 기체의 압력이 유량조절부(블레이드부)에 계속적으로 작용되게 되면, 유량조절부의 진동에 의해, 스토퍼부의 나사 체결이 풀어지게 되면서, 핸들부가 임의로 회전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로 인해, 유량조절부의 회전 각도가 임의로 변경되어 유동되는 유체의 유량이 임의대로 변화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조작한 상태에서 핸들부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댐퍼 조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조절 장치는, 소정의 유체의 유동 여부를 조절하는 댐퍼 - 상기 댐퍼는 소정의 유체가 유동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인 유동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부, 상기 유동 공간 상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에 설치되는 유량조절부 및 상기 유량조절부와 연결되어 상기 유량조절부의 회전의 기준이 되는 회전축부를 포함함. - 에 배치되어 상기 유량조절부를 회전시키는 댐퍼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의 외면에서부터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며, 상기 회전축부가 상기 유동 공간 상에서 소정의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회전축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회전축부에 연결되며, 외력이 제공되는 경우 회전되어 상기 회전축부를 회전시키는 핸들부; 및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며,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핸들부가 회전되지 못하도록 상기 핸들부를 가압하고,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핸들부가 회전되도록 상기 핸들부를 가압하지 않는 스토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부는, 핸들본체부, 상기 스토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핸들본체부가 관통되어 형성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둘레에 상기 핸들본체부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일면이 톱니 형태인 제1 톱니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톱니부와 접촉되어 상기 핸들부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일면에 톱니 형태인 제2 톱니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회전축부가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부가 지지되는 제1 삽입홀, 상기 스토퍼부가 삽입되어 상기 스토퍼부가 위치 이동될 수 있는 제2 삽입홀 및 상기 제1 톱니부와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지지부의 일면으로부터 함입되는 마찰저감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톱니부는, 상기 제2 삽입홀이 포함되도록 상기 지지부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삽입홀에서 상기 제2 삽입홀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방사상 퍼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마찰저감부는, 상기 제1 삽입홀과 상기 제2 삽입홀 사이의 상기 지지부의 일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부가 상기 회전축부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경우, 상기 핸들부를 지지하는 보완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회전축부가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부가 지지되는 제1 삽입홀, 상기 스토퍼부가 삽입되어 상기 스토퍼부가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삽입홀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완지지부는, 상기 제1 삽입홀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삽입홀과 대향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핸들부와의 접촉 마찰력이 저하되기 위해, 소정의 공간인 마찰저감공간이 제공되도록, 상기 지지부의 일 측면에서부터 상기 지지부의 타 측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부에 외력이 인가되어 상기 지지부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지지부에 작용되는 외력을 상기 보완지지부로 전달하는 외력전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회전축부의 중심 축과 동일 선상에 상기 지지부와 상기 보완지지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마찰저감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둘레에 상기 핸들본체부의 정면으로부터 함입되어 상기 제1 위치인 상기 스토퍼부가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둘레에 상기 안착부가 포함되도록 상기 핸들본체부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보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톱니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둘레에 상기 보강부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일면이 톱니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부는, 상기 핸들부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핸들부와 상기 회전축부가 연결되는 부분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핸들본체부의 후면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핸들본체부가 상기 회전축부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보완지지부와 접촉되는 제1 리브부 및 상기 제1 리브부와 상기 핸들본체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위치되어 상기 핸들본체부에 대한 상기 리브부의 고정력을 강화하는 강화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부는, 상기 회전축부가 삽입되며, 상기 핸들본체부의 가상의 중심 축이 포함되도록, 상기 핸들본체부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연결부 및 상기 핸들본체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핸들본체부의 후면 방향으로 연장되며, 요철면의 외면이 형성되는 그립부 및 상기 그립부에 작용되는 외력에 의해 상기 그립부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그립부와 상기 연결부를 연결하는 제2 리브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리브부는, 제2-1 리브부 및 상기 핸들본체부의 상기 가상의 중심 축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상기 제2-1 리브부와 이격된 제2-2 리브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량조절부가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유동 공간에서 최대의 유량으로 유체가 유동되며, 상기 제1 리브부가 상기 보완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유량조절부가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유동 공간에서 유체가 유동되지 못하며, 상기 제2 리브부가 상기 보완지지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댐퍼 조절 장치에 따르면, 핸들부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정밀하게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장치 및 댐퍼 조절 장치에 대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X-X'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조절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조절 장치가 구비하는 지지부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조절 장치의 구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X-X'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조절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조절 장치가 구비하는 지지부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조절 장치의 구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장치 및 댐퍼 조절 장치에 대한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X-X'에 대한 단면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정의 유체의 유동 여부를 조절하는 댐퍼(10)는 소정의 유체가 유동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인 유동 공간(S11)을 제공하는 하우징부(11), 상기 유동 공간 상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11)에 설치되는 유량조절부(12) 및 상기 유량조절부(12)와 연결되어 상기 유량조절부(12)의 회전의 기준이 되는 회전축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퍼(10)는 상기 하우징부(11)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내면돌출부(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11)는 상기 유체가 유동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하우징부(11)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원통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하우징부(11)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하우징부(11)의 일단부로 상기 유체가 유입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부(11)의 타단부로 상기 유체가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유량조절부(12)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 형상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하우징부(11)가 원통 형상일 경우, 상기 유량조절부(12)는 원형 판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유량조절부(12)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유량조절부(12)는 유동 공간(S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량조절부(12)는 상기 회전축부(13)에 연결되어 상기 유동 공간(S11) 상에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유량조절부(12)가 회전되는 것에 따라, 상기 하우징부(11)의 일단부에서 상기 하우징부(11)의 타단부로 유동되는 유체의 유량이 조절될 수 있다.
회전축부(13)는 상기 유량조절부(12)의 회전 축이 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회전축부(13)는 상기 하우징부(11)의 일 내면에 삽입되는 제1 회전축부(13a) 및 상기 하우징부(11)의 타 내면에 관통되어 삽입되는 제2 회전축부(13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유량조절부(12)는 상기 제1 회전축부(13a)와 상기 제2 회전축부(13b)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축부(13b)가 회전되면 상기 유량조절부(12)가 회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1 회전축부(13a)도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댐퍼 조절 장치(100)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2 회전축부(13b)가 회전되며, 이에 따라 상기 유량조절부(12)가 회전되어, 상기 유동 공간(S11) 상에서 유동되는 상기 유체의 유량이 조절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량조절부(12)가 상기 내면돌출부(14)와 접촉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부(11)의 일단부에서 상기 하우징부(11)의 타단부로 유동되는 유체가 최소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량조절부(12)의 일면의 법선 벡터가 상기 회전축부(13)와 직교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부(11)의 일단부에서 상기 하우징부(11)의 타단부로 유동되는 유체가 최대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조절 장치(100)는 상기 댐퍼(10)에 배치되어 상기 유량조절부(12)를 회전시킬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댐퍼 조절 장치(100)는 상기 하우징부(11)의 외면에서부터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며, 상기 회전축부(13)가 상기 유동 공간 상에서 소정의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회전축부(13)를 지지하는 지지부(110), 상기 회전축부(13)에 연결되며, 외력이 제공되는 경우 회전되어 상기 회전축부(13)를 회전시키는 핸들부(120) 및 상기 지지부(110)에 연결되며,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핸들부(120)가 회전되지 못하도록 상기 핸들부(120)를 가압하고,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핸들부(120)가 회전되도록 상기 핸들부(120)를 가압하지 않는 스토퍼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부(120)가 상기 회전축부(13)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경우, 상기 핸들부(120)를 지지하는 보완지지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부(13)에 외력이 인가되어 상기 지지부(110)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지지부(110)에 작용되는 외력을 상기 보완지지부(140)로 전달하는 외력전달부(150, 도 4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댐퍼 조절 장치(100)의 각 각의 구성에 대해서 자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조절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토퍼부(130)는 후술하는 제2 삽입홀(h112)에 삽입되는 나사산부(131) 및 상기 나사산부(131)가 연결되며 상기 핸들부(120)를 가압하는 헤드부(13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부(130)가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헤드부(132)는 후술하는 상기 안착부(R120)에 안착되어 상기 핸들본체부(121)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부(130)가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핸들본체부(121)는 회전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부(130)가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헤드부(132)는 상기 핸들본체부(121)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부(130)가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핸들본체부(121)는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부(130)의 위치 변화는 상기 제2 삽입홀(h112)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삽입홀(h112)에도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조절 장치가 구비하는 지지부의 정면도 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부(110)는 상기 하우징부(11)의 외면으로부터 일 방향(상기 하우징부(11)의 원주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10)는 상기 회전축부(13)가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부(13)가 지지되는 제1 삽입홀(h111), 상기 스토퍼부(130)가 삽입되어 상기 스토퍼부(130)가 위치 이동될 수 있는 제2 삽입홀(h112) 및 상기 제1 톱니부(123)와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지지부(110)의 일면으로부터 함입되는 마찰저감부(113)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상기 핸들부(120)의 제1 톱니부(123)와 접촉되어 상기 핸들부(120)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일면에 톱니 형태인 제2 톱니부(114)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지지부(110)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일 방향과 반대 방향인 타 방향으로 상기 제1 삽입홀(h1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삽입홀(h111)은 상기 유동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부(11)와 소정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삽입홀(h111)에는 상기 제2 회전축부(13b)가 삽입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2 회전축부(13b)는 상기 제1 삽입홀(h111) 및 상기 하우징부(11)의 타 내면에 관통되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10)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일 방향과 반대 방향인 타 방향으로 상기 제2 삽입홀(h1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10)는 상기 스토퍼부(130)가 삽입되어 상기 스토퍼부(130)가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삽입홀(h111)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삽입홀(h112)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 삽입홀(h112)에는 상기 나사산부(131)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 삽입홀(h112)은 상기 제1 삽입홀(h111)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으로 상기 제1 삽입홀(h111)과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측 방향은 상기 일 방향과 상기 타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측 방향은 상기 하우징부(11)의 길이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삽입홀(h111)의 중심 축과 상기 제2 삽입홀(h112)의 중심 축으로 상기 상측 방향을 기준으로 동일 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톱니부(114)는 상기 제1 삽입홀(h111)과 상기 제2 삽입홀(h112) 사이에 상기 지지부(110)의 일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제2 톱니부(114)는 상기 제2 삽입홀(h112)이 포함되도록 상기 지지부(110)의 일면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톱니부(114)는 상기 제1 삽입홀(h111)에서 상기 제2 삽입홀(h112)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방사상 퍼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톱니부(114)는 상기 제1 삽입홀(h111)과 상기 제2 삽입홀(h112) 사이에 형성되는 제2-1 톱니부(114a) 및 상기 제2 삽입홀(h112)의 상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2 톱니부(114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1 톱니부(114a)의 최소 너비는 상기 제2-2 톱니부(114b)의 최소 너비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2-1 톱니부(114a)는 후술하는 제1-1 톱니부(123a)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2-2 톱니부(114b)는 후술하는 제1-2 톱니부(123b)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마찰저감부(113)는 상기 제1 삽입홀(h111)과 상기 제2 삽입홀(h112) 사이의 상기 지지부(110)의 일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마찰저감부는 상기 회전축부에 대한 방향으로 상기 제1 톱니부와 중첩되고, 상기 제1 삽입홀과 상기 제2 삽입홀 사이의 상기 제2 톱니부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지지부의 일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마찰저감부(113)는 상기 지지부(110)의 일면에서부터 상기 하우징부(11)의 외면까지 함입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마찰저감부(113)가 상기 지지부(110)의 일면에서부터 함입되는 깊이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마찰저감부(113)는 상기 제1 삽입홀(h111)의 중심 축(G111)과 상기 제2 삽입홀(h112)의 중심 축(G112)을 서로 연결하는 가상의 선(L10)을 기준으로 우측 방향 및 좌측 방향으로 편향되게 상기 지지부(110)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우측 방향은 상기 상측 방향, 상기 일 방향, 상기 타 방향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여기서, 좌측 방향은 상기 상측 방향, 상기 일 방향, 상기 타 방향 직교하고 상기 우측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2-1 톱니부(114a)의 너비가 상기 제2-2 톱니부(114b)의 너비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제2-1 톱니부(114a)에 접촉되지 않고 상기 제2-1 톱니부(114a)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지지부(110)의 일면에 접촉되는 상기 제1-1 톱니부(123a)의 면적은 상기 제2-2 톱니부(114b)에 접촉되지 않고 상기 제2-2 톱니부(114b)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지지부(110)의 일면에 접촉되는 상기 제1-2 톱니부(123b)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마찰저감부(113)는 상기 제1-1 톱니부(123a)와 접촉되어 발생될 수 있는 마찰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톱니부(123)와 상기 제2 톱니부(114)의 접촉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상기 핸들부(120)를 회전시키는 외력은 톱니부가 없는 핸들부(120)를 회전시키는데 소요되는 외력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마찰저감부(113)로 인해, 마찰을 최소화 하여 사용자는 상기 핸들부(120)를 편리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보완지지부(140)는 상기 제1 삽입홀(h111)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삽입홀(h112)과 대향되도록 상기 하우징부(11)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보완지지부(140)는 상기 핸들부(120)와의 접촉 마찰력이 저하되기 위해, 소정의 공간인 마찰저감공간(S140)이 제공되도록, 상기 지지부(110)의 일 측면에서부터 상기 지지부(110)의 타 측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스토퍼부(130)가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핸들부(120)는 상기 회전축부(13)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상측 방향의 상기 핸들부(120)는 상기 지지부(110)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상측 방향과 반대 방향인 상기 하측 방향의 상기 핸들부(120)는 상기 보완지지부(14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다만, 핸들부(120)와의 접촉에 의한 마찰력을 저감시키기 위해, 상기 보완지지부(140)는 상기 마찰저감공간(S140)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보완지지부(140)는 'U'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외력전달부(150)는 상기 하우징부(11)의 외면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력전달부(150)는 상기 회전축부(13)의 중심 축과 동일 선상에 상기 지지부(110)와 상기 보완지지부(140)에 연결되도록, 상기 마찰저감공간(S14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외력전달부(150)는 상기 제1 삽입홀(h111)의 중심 축과 동일 선상에 상기 지지부(110)와 상기 보완지지부(140)에 연결되도록, 상기 마찰저감공간(S140)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축부(13)의 중심 축, 상기 외력전달부(150)와 상기 지지부(110)가 연결되는 부분 및 상기 외력전달부(150)와 상기 보완지지부(140)가 연결되는 부분은 동일 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삽입홀(h111)의 중심 축(G111)과 상기 제2 삽입홀(h112)의 중심 축(G112)으로 서로 연결하는 가상의 선(L10)과 동일 선상에서 상기 외력전달부(150)와 상기 지지부(110)가 연결되고, 상기 외력전달부(150)와 상기 보완리브부(160)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 상기 외력전달부(150)는 하측 방향의 상기 지지부(110)의 외면과 상기 보완지지부(140)의 내면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유동 공간에 유체가 유동되는 경우, 상기 회전축부(13)에는 지속적인 외력이 인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회전축부(13)를 지지하는 제1 삽입홀(h111)을 형성하는 지지부(110)가 파손될 수 있다.
상기 외력전달부(150)는 상기 지지부(110)에 작용되는 외력을 상기 보완지지부(140)에 전달시켜, 상기 지지부(110)가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조절 장치(100)는 상기 외력전달부(150)를 보완하는 보완리브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완리브부(160)는 상기 외력전달부(150)와 상기 보완지지부(14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보완리브부(160)는 상기 외력전달부(150)에 전달되는 외력은 분산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구제적으로 도 5(a)는 상기 핸들부(120)의 정면도 이고, 도 5(b)는 상기 핸들부(120)의 후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핸들부(120)는 핸들본체부(121), 상기 스토퍼부(1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핸들본체부(121)가 관통되어 형성되는 가이드부(122) 및 상기 가이드부(122)의 둘레에 상기 핸들본체부(121)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일면이 톱니 형태인 제1 톱니부(123)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부(120)는 상기 가이드부(122)의 둘레에 상기 핸들본체부(121)의 정면으로부터 함입되어 상기 제1 위치인 상기 스토퍼부(130)가 안착되는 안착부(R120) 및 상기 가이드부(122)의 둘레에 상기 안착부(R120)가 포함되도록 상기 핸들본체부(121)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보강부(12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부(120)는 상기 핸들본체부(121)의 정면에 표시되어 소정의 정보를 전달하는 정보전달부(I1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부(120)는 상기 핸들부(12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핸들부(120)와 상기 회전축부(13)가 연결되는 부분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핸들본체부(121)의 후면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핸들본체부(121)가 상기 회전축부(13)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보완지지부(140)와 접촉되는 제1 리브부(125) 및 상기 제1 리브부(125)와 상기 핸들본체부(121)가 연결되는 부분에 위치되어 상기 핸들본체부(121)에 대한 상기 리브부의 고정력을 강화하는 강화부(12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부(120)는 상기 회전축부(13)가 삽입되며, 상기 핸들본체부(121)의 가상의 중심 축이 포함되도록, 상기 핸들본체부(121)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연결부(127) 및 상기 핸들본체부(121)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핸들본체부(121)의 후면 방향으로 연장되며, 요철면의 외면이 형성되는 그립부(128) 및 상기 그립부(128)에 작용되는 외력에 의해 상기 그립부(128)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그립부(128)와 상기 연결부(127)를 연결하는 제2 리브부(129)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핸들본체부(121)는 소정의 판 형상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핸들본체부(121)는 원판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핸들본체부(121)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부(122)는 상기 핸들본체부(121)의 일면에서 타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22)에는 상기 스토퍼부(130)의 나사산부(131)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22)에 상기 나사산부(131)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나사산부(131)에 의해 상기 핸들본체부(121)의 회전 범위가 규정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가이드부(122)는 상기 핸들본체부(121), 상기 보강부(124) 및 상기 제1 톱니부(123)가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정보전달부(I120)는 댐퍼(10)의 개방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정보전달부(I120)는 백분율로서 표현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정보전달부(I120)의 표현 방식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스토퍼부(130)가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헤드부(132)는 상기 안착부(R120)를 가압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핸들본체부(121)는 상기 지지부(110)에 밀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핸들본체부(121)는 회전되지 못할 수 있다.
성가 스토퍼부(130)가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헤드부(132)는 상기 안착부(R120)와 이격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핸들본체부(121)는 회전될 수 있다.
보강부(124)는 상기 핸들본체부(121)의 후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안착부(R120)의 둘레는 상기 보강부(124)의 둘레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헤드부(132)가 상기 안착부(R120)를 가압하여, 상기 핸들본체부(121)가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1 톱니부(123)는 상기 보강부(124)의 후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제1 톱니부(123)의 둘레는 상기 보강부(124)의 둘레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톱니부(123)의 둘레는 상기 안착부(R120)의 둘레와 일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헤드부(132)가 상기 핸들본체부(121)를 효과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1 톱니부(123)의 둘레와 상기 안착부(R120)의 둘레는 서로 일치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 톱니부(123)는 상기 가이드부(122)의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톱니부(123)는 상기 보강부(124)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톱니부(123)의 일면은 톱니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1 톱니부(123)는 상기 제2-1 톱니부(114a)와 접촉될 수 있는 제1-1 톱니부(123a)와 상기 제2-2 톱니부(114b)와 접촉될 수 있는 제1-2 톱니부(123b)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리브부(125)는 상기 핸들본체부(121)의 후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리브부(125)의 일단부는 상기 연결부(127)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1 리브부(125)의 타단부는 상기 그립부(128)의 내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리브부(125)는 상기 핸들본체부(121)의 후면과 직교할 수 있다.
강화부(126)는 상기 제1 리브부(125)와 상기 핸들본체부(121)가 연결되는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강화부(126)도 상기 제1 리브부(125)와 함께 상기 연결부(127)와 상기 그립부(128)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강화부(126)는 상기 핸들본체부(121)의 후면에 연결되는 제1 강화부(126a) 및 상기 제1 리브부(125)의 측면에 연결되는 제2 강화부(126b)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리브부(129)는 상기 핸들본체부(121)의 후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 리브부(129)는 제2-1 리브부(129a) 및 상기 핸들본체부(121)의 상기 가상의 중심 축(G121)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상기 제2-1 리브부(129a)와 이격된 제2-2 리브부(129b)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제1 리브부(125)와 상기 제2-1 리브부(129a)는 상기 핸들본체부(121)의 가상의 중심 축(G121)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1 리브부(129a)와 상기 제2-2 리브부(129b)는 상기 핸들본체부(121)의 가상의 중심 축(G121)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1 리브부(125)와 상기 제2-2 리브부(129b) 사이에는 상기 제2-1 리브부(129a)가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회전축부(13a)는 상기 하우징부(11)의 내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축부(13b)는 상기 제1 삽입홀(h11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유량조절부(12)는 상기 제1 회전축부(13a) 및 상기 제2 회전축부(13b)에 결합된 후에, 체결 수단(일례로, 볼트)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삽입홀(h111)에 삽입된 상기 제2 회전축부(13b)의 일단부는 상기 연결부(127)에 삽입될 수 있다.
다음으로, 체결 수단에 의해 상기 핸들부(120)는 상기 제2 회전축부(13b)에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핸들부(12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지지부(110)와 접촉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제1 리브부(125)와 상기 제2 리브부(129)의 기능에 대해서 자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조절 장치의 구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스토퍼부(130)가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핸들본체부(121)는 회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핸들본체부(121)는 상기 가이드부(122)에 삽입된 상기 나사산부(131)에 의해 회전 각도가 제한될 수 있다.
상기 핸들본체부(121)가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1 톱니부(123, 도 5 참조)는 상기 제2 톱니부(114, 도 4 참조) 상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 유량조절부(12, 도 2 참조)가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유동 공간에서 최대의 유량으로 유체가 유동되며, 상기 제1 리브부(125)가 상기 보완지지부(140, 도 4 참조)에 의해 지지(접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6(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나사산부(131)가 상기 가이드부(122)의 일단부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유량조절부(12)는 제1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럴 경우, 상기 제1 리브부(125)의 일부와 상기 보완지지부(140)는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유량조절부(12)가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유동 공간 상에서 유동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유량조절부(12)가 받는 외력은 최소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부(13, 도 2 참조)에 작용되는 외력도 최소 일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상기 제1 리브부(125)로만 상기 회전축부(13)에 연결되는 상기 핸들본체부(121)를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리브부(129)는 상기 보완지지부(140)와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의 상기 유량조절부(12)를 회전시키는 경우, 다시 말해서, 상기 유동 공간 상에서 유동되는 유체의 양을 줄이려고 하는 경우, 상기 제1 리브부(125)는 상기 보완지지부(140) 상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의 상기 유량조절부(12)가 회전되기 시작되는 시점에서, 상기 유량조절부(12)에 작용되는 외력의 변화가 클 수 있다.
따라서, 갑자기 상기 회전축부(13)에 많은 외력이 작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핸들본체부(121)를 지지하는 제1 리브부(125)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강화부(126, 도 5 참조)에 의해 상기 제1 리브부(125)가 보강되었기 때문에, 상기 제1 리브부(125)가 파손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위치인 상기 유량조절부가 제2 위치를 향해 회전되는 경우, 상기 보완지지부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상기 제1 리브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 강화부는 상기 제1 리브부의 일 측면에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한 개의 리브부만 상기 보완지지부(140)에 접촉되기 때문에, 상기 핸들본체부(121)가 회전되는 경우, 상기 리브부와 상기 보완지지부(140) 상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유량조절부(12)가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유동 공간에서 유체가 유동되지 못하며, 상기 제2 리브부(129)가 상기 보완지지부(140)에 의해 지지(접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나사산부(131)가 가이드부(122)의 타단부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유량조절부(12)는 제2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럴 경우, 상기 제2 리브부(129)의 일부와 상기 보완지지부(140)는 접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1 리브부(129a)와 상기 제2-2 리브부(129b)는 상기 보완지지부(140)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유량조절부(12)가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유동 공간 상에서 유동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유량조절부(12)가 받는 외력은 최대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부(13)에 작용되는 외력도 최대이기 때문에, 상기 제2-1 리브부(129a)와 상기 제2-2 리브부(129b)로 상기 회전축부(13)에 연결되는 상기 핸들본체부(121)를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리브부(125)는 상기 보완지지부(140)와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두 개의 리브부로서 상기 핸들본체부(121)를 지지하여, 상기 회전축부(13)에 작용되는 과도한 외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위치인 상기 유량조절부(12)를 회전시키는 경우, 다시 말해서 상기 유동 공간 상에 유동되는 상기 유체의 양을 줄이려고 하는 경우, 상기 제2 리브부(129)는 상기 보완지지부(140) 상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 제2 위치의 상기 유량조절부(12)가 회전되기 시작되는 시점에서, 상기 유량조절부(12)에 작용되는 외력의 변화가 작을 수 있다.
따라서, 두 개의 리브부가 상기 보완지지부(140)와 접촉되고 있더라도, 상기 핸들본체부(121)는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생략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 댐퍼 11 : 하우징부
12 : 유량조절부 13 : 회전축부
14 : 내면돌출부 100 : 댐퍼 조절 장치
110 : 지지부 120 : 핸들부
130 : 스토퍼부 140 : 보완지지부
150 : 외력전달부 160 : 보완리브부
12 : 유량조절부 13 : 회전축부
14 : 내면돌출부 100 : 댐퍼 조절 장치
110 : 지지부 120 : 핸들부
130 : 스토퍼부 140 : 보완지지부
150 : 외력전달부 160 : 보완리브부
Claims (8)
- 소정의 유체의 유동 여부를 조절하는 댐퍼 - 상기 댐퍼는 소정의 유체가 유동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인 유동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부, 상기 유동 공간 상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에 설치되는 유량조절부 및 상기 유량조절부와 연결되어 상기 유량조절부의 회전의 기준이 되는 회전축부를 포함함. - 에 배치되어 상기 유량조절부를 회전시키는 댐퍼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의 외면에서부터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며, 상기 회전축부가 상기 유동 공간 상에서 소정의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회전축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회전축부에 연결되며, 외력이 제공되는 경우 회전되어 상기 회전축부를 회전시키는 핸들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며,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핸들부가 회전되지 못하도록 상기 핸들부를 가압하고,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핸들부가 회전되도록 상기 핸들부를 가압하지 않는 스토퍼부; 및
상기 핸들부가 상기 회전축부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경우, 상기 핸들부를 지지하는 보완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부는,
핸들본체부, 상기 스토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핸들본체부가 관통되어 형성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둘레에 상기 핸들본체부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일면이 톱니 형태인 제1 톱니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톱니부와 접촉되어 상기 핸들부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지지부의 일면의 일부는 톱니 형태인 제2 톱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회전축부가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부가 지지되는 제1 삽입홀, 상기 스토퍼부가 삽입되어 상기 스토퍼부가 위치 이동될 수 있는 제2 삽입홀 및 상기 제1 톱니부와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지지부의 일면으로부터 함입되는 마찰저감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톱니부는,
상기 제2 삽입홀이 포함되도록 상기 지지부의 일면의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삽입홀에서 상기 제2 삽입홀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방사상 퍼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의 일면은,
상기 제1 톱니부와 접촉되며,
상기 마찰저감부는,
상기 회전축부에 대한 방향으로 상기 제1 톱니부와 중첩되고, 상기 제1 삽입홀과 상기 제2 삽입홀 사이의 상기 제2 톱니부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지지부의 일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며,
상기 보완지지부는,
상기 제1 삽입홀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삽입홀과 대향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지지부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핸들부와의 접촉 마찰력이 저하되기 위해, 소정의 공간인 마찰저감공간이 제공되도록, 상기 지지부의 일 측면에서부터 상기 지지부의 타 측면까지 연장되며,
상기 핸들부는,
상기 핸들부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핸들부와 상기 회전축부가 연결되는 부분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핸들본체부의 후면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핸들본체부가 상기 회전축부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보완지지부와 접촉되는 제1 리브부, 상기 제1 리브부와 상기 핸들본체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위치되어 상기 핸들본체부에 대한 상기 리브부의 고정력을 강화하는 강화부, 상기 회전축부가 삽입되며, 상기 핸들본체부의 가상의 중심 축이 포함되도록, 상기 핸들본체부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연결부, 상기 핸들본체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핸들본체부의 후면 방향으로 연장되며, 요철면의 외면이 형성되는 그립부 및 상기 그립부에 작용되는 외력에 의해 상기 그립부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그립부와 상기 연결부를 연결하는 제2 리브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량조절부는,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유동 공간 상에서 유체가 최대로 유동되며,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유동 공간 상에서 유체가 유동되지 못하며,
상기 제1 리브부는,
상기 유량조절부가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보완지지부 상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리브부만이 상기 보완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강화부는,
상기 핸들본체부의 후면에 연결되는 제1 강화부 및 상기 제1 강화부와 상기 제1 리브부에 연결되는 제2 강화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강화부는,
제1 위치인 상기 유량조절부가 제2 위치를 향해 회전되는 경우, 상기 보완지지부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상기 제1 리브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리브부의 일 측면에만 연결되며,
상기 제2 리브부는,
제2-1 리브부 및 상기 핸들본체부의 상기 가상의 중심 축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상기 제2-1 리브부와 이격된 제2-2 리브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량조절부가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제2-1 리브부와 상기 제2-2 리브부 모두 상기 보완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댐퍼 조절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부에 외력이 인가되어 상기 지지부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지지부에 작용되는 외력을 상기 보완지지부로 전달하는 외력전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회전축부의 중심 축과 동일 선상에 상기 지지부와 상기 보완지지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마찰저감공간에 배치되는,
댐퍼 조절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둘레에 상기 핸들본체부의 정면으로부터 함입되어 상기 제1 위치인 상기 스토퍼부가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둘레에 상기 안착부가 포함되도록 상기 핸들본체부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보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톱니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둘레에 상기 보강부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일면이 톱니 형태인,
댐퍼 조절 장치.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17267A KR102147202B1 (ko) | 2018-10-02 | 2018-10-02 | 댐퍼 조절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17267A KR102147202B1 (ko) | 2018-10-02 | 2018-10-02 | 댐퍼 조절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37920A KR20200037920A (ko) | 2020-04-10 |
KR102147202B1 true KR102147202B1 (ko) | 2020-08-25 |
Family
ID=70292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17267A KR102147202B1 (ko) | 2018-10-02 | 2018-10-02 | 댐퍼 조절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4720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36108B1 (ko) * | 2020-05-15 | 2021-04-05 | 한화시스템(주) | 전투 함정의 공조용 덕트시스템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9616B1 (ko) | 2009-08-21 | 2010-05-27 | 신기산업 주식회사 | 기체 배관용 댐퍼 |
KR101263904B1 (ko) | 2013-03-12 | 2013-05-13 | 신기산업 주식회사 | 기밀 유지 공조기용 댐퍼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60001821Y1 (ko) * | 1984-10-08 | 1986-08-14 | 도오교 신고우 가부시기가이샤 | 벨트구 |
DK177597B1 (en) * | 2012-09-17 | 2013-11-11 | Flowcon Internat Aps | Detachable grip for adjusting a valve and unit comprising a detachable grip and valve |
KR20150003445U (ko) * | 2015-03-19 | 2015-09-16 | 한병규 | 배기용 댐퍼의 핸들장치 |
-
2018
- 2018-10-02 KR KR1020180117267A patent/KR10214720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9616B1 (ko) | 2009-08-21 | 2010-05-27 | 신기산업 주식회사 | 기체 배관용 댐퍼 |
KR101263904B1 (ko) | 2013-03-12 | 2013-05-13 | 신기산업 주식회사 | 기밀 유지 공조기용 댐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37920A (ko) | 2020-04-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210885B2 (en) | Supporting bushing | |
KR102147202B1 (ko) | 댐퍼 조절 장치 | |
KR960008471A (ko) | 영상표시기의 각도조절장치 | |
JP2007315580A (ja) | ボルトの緩み防止用座金 | |
CA2451402A1 (en) | Knife and apparatus for clamping a knife | |
US7384106B2 (en) | Computer housing | |
US20030129860A1 (en) | Card connector device having daughter board retainer | |
US5701639A (en) | Securing device for footwear | |
US4776526A (en) | Fishing reel with variable braking range | |
TW200717211A (en) | Variable capillary groove membrane throttle | |
JP3662631B2 (ja) | シフトレバーノブの取り付け構造 | |
JP2009154666A (ja) | 取付部品角度調整機構及び二輪車 | |
JP2006161871A (ja) | 部品固定装置及び部品押圧部材 | |
KR101316145B1 (ko) | 오르간 타입 가속 페달 | |
JP2011010593A (ja) | リールシート | |
KR101851725B1 (ko) | 활용 핑거탭 | |
US5699968A (en) | Water discharge controlling structure of a sprinkling gun | |
KR100622769B1 (ko) | 스티어링 컬럼 틸트레버 해제시 반발력 완화 구조 | |
KR101816995B1 (ko) | 퀵 릴리스형 에어 브리더 | |
JP2002218869A (ja) | リール脚固定装置 | |
JP2019078988A (ja) | ドラム用テンションボルトの緩み止め | |
JP2003279025A (ja) | ガス器具のガス管接続固定構造 | |
JP3166253U (ja) | ボルト | |
KR960035208A (ko) | 모니터용 스탠드조립체 | |
KR102056422B1 (ko) | 마운팅 유닛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