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7059B1 - 경관벽 철골구조물 지지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경관벽 철골구조물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경관벽 철골구조물 지지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경관벽 철골구조물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47059B1 KR102147059B1 KR1020190137809A KR20190137809A KR102147059B1 KR 102147059 B1 KR102147059 B1 KR 102147059B1 KR 1020190137809 A KR1020190137809 A KR 1020190137809A KR 20190137809 A KR20190137809 A KR 20190137809A KR 102147059 B1 KR102147059 B1 KR 1021470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structure
- lower plate
- plate
- fixing pin
- fix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면에 철골구조물을 고정시키는 철골구조물 지지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경사면에 일정 간격으로 수직하게 삽입되며, 상부로 일정 높이 노출되는 고정핀(110)과; 일정 면적을 갖는 판상재질로 형성되며, 가운데 영역에 상기 고정핀(110)이 삽입되는 하부핀삽입공(131)이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철골구조물이 안착되는 하부판(130)과; 상기 하부판(13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고정핀(110)에 삽입되어 상기 경사면과 상기 하부판(130)을 콘크리트 기준피복두께만큼 이격시키는 하부너트(120)와; 상기 하부판(130)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며, 가운데 영역에 상기 고정핀(110)이 삽입되는 상부핀삽입공(141)이 형성되며, 상기 철골구조물이 안착된 상기 하부판(130)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고정핀(110)에 결합되는 상부판(140)과; 상기 상부판(140)의 상부로 노출된 고정핀(110)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판(140)을 상기 하부판(130)을 향해 가압하여 상기 상부판(140)과 상기 하부판(130) 및 상기 철골구조물을 고정하는 상부고정부재(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경관벽 철골구조물 지지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경관벽 철골구조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철골구조물과 밀착되게 지지하여 전면적에 걸쳐 철근피복두께를 확보할 수 있으며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경관벽 철골구조물 지지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경관벽 철골구조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로공사 또는 급경사지붕괴위험지역 또는 산지붕괴 지역 등의 경사면 안정성 확보 및 경관성 향상을 위해 경사면의 표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입체적인 형상을 형성하며 경관을 미려하게 하는 경관벽의 시공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 때, 경관벽이 시공된 경사면과 콘크리트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경사면에 철골구조물을 배치하고, 이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작업이 시행된다.
도 1은 종래 경사면에 철골구조물(20)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경관벽시공을 위해 경사면(A) 표면에 수평철근과 수직철근이 격자형태로 형성된 철골구조물(20)이 전 면적에 걸쳐 결합된다. 이 때, 철골구조물(20)의 고정을 위해 경사면(A)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고정핀(10)이 설치된다.
고정핀(10)은 하부는 경사면(A)에 매립되게 삽입되고, 상부는 일정길이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되어 철골구조물(20)에 밀착되게 배치되고, 작업자는 철골구조물(20)과 고정핀(10)을 용접하여 철골구조물(20)과 고정핀(10)을 고정하게 된다.
그런데, 도 1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의 표면이 매끈하지 않고 울퉁불퉁하게 형성되므로, 경사면에 일정간격으로 고정핀(10)을 결합하더라도 철골구조물(20)과 고정핀(10)이 맞닿지 않고 이격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렇게 고정핀(10)과 철골구조물(20) 사이에 이격공간이 발생되면, 작업자는 고정핀(10)과 철골구조물(20)을 결합시키기 위한 별도의 보조철근을 준비하고, 보조철근의 양단을 각각 고정핀(10)과 철골구조물(20)에 용접하게 된다. 이에 따라 용접작업공수가 늘어나 전체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고정핀(10)과 철골구조물(20)이 맞닿게 용접을 하더라도, 고정핀(10)과 철골구조물(20) 모두 단면이 원형이므로 둘의 접촉면적이 좁아 용접면적도 좁을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고정핀(10)과 철골구조물(20)의 결합력이 약한 한계가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경사면의 표면이 울퉁불퉁하기 때문에 경사면에 배치된 철골구조물(20)과 경사면(A) 표면과의 높이가 일정하지 않고 불규칙하게 형성된다.
건축구조설계 및 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 요령 기준에 따르면 철골구조물(20) 표면에서 콘크리트 외면 즉 경사면(A) 사이의 철근피복 두께(d)는 통상 4~6cm로 정해진다. 그러나, 실제 현장에서는 불규칙한 경사면에 맞추어 피복두께 확보를 위한 스페이서 설치 등의 작업이 불가능하여 실제 피복두께는 이보다 훨씬 두껍거나 4~6cm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피복 두께(d)가 기준두께 이상으로 타설되면 불필요하게 재료가 과다 투입되고, 철근과 콘크리트의 부착력이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반면 피복 두께(d)가 기준두께 이하로 타설되면 철근의 수축 팽창 등에 의해 크랙이 발생되거나 철근이 부식되는 등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되며, 심한 경우 옹벽구조물이 붕괴될 수 있는 요소가 된다.
한편, 경관벽은 입체감을 주기 위해 경사면 표면에 철골구조물(20)을 "ㄱ"자 또는 "ㄴ"자 등으로 꺽은 후 용접 체결하여 입체구조를 형성한다. 그런데, 이렇게 절곡하여 형성된 철골구조물(20)을 용접체결할 경우 용접면적이 더욱 좁아져 결합력이 약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자의 용접공수를 줄여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철골구조물 지지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경관벽 철골구조물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복두께를 설계기준두께로 형성하여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철골구조물 지지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경관벽 철골구조물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영역에 걸쳐 고정핀과 철골구조물이 밀착되게 형성하여 강도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철골구조물 지지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경관벽 철골구조물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철골구조물을 더욱 입체감 있게 형성할 경우, 입체구조물을 철골지지조립체에 결합하여 용접면적을 증가시켜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경관벽 철골구조물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경사면에 철골구조물을 고정시키는 철골구조물 지지조립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철골구조물 지지조립체는, 상기 경사면에 일정 간격으로 수직하게 삽입되며, 상부로 일정 높이 노출되는 고정핀(110)과; 일정 면적을 갖는 판상재질로 형성되며, 가운데 영역에 상기 고정핀(110)이 삽입되는 하부핀삽입공(131)이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철골구조물이 안착되는 하부판(130)과; 상기 하부판(13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고정핀(110)에 삽입되어 상기 경사면과 상기 하부판(130)을 콘크리트 기준피복두께만큼 이격시키는 하부너트(120)와; 상기 하부판(130)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며, 가운데 영역에 상기 고정핀(110)이 삽입되는 상부핀삽입공(141)이 형성되며, 상기 철골구조물이 안착된 상기 하부판(130)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고정핀(110)에 결합되는 상부판(140)과; 상기 상부판(140)의 상부로 노출된 고정핀(110)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판(140)을 상기 하부판(130)을 향해 가압하여 상기 상부판(140)과 상기 하부판(130) 및 상기 철골구조물을 고정하는 상부고정부재(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철골구조물은 복수개의 수평철근과 복수개의 수직철근이 직교되게 용접되어 그물망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철골구조물은 상기 수평철근과 상기 수직철근이 교차되어 용접되는 용접영역이 상기 하부판(130)의 상면에 배치되게 안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판(140)과 상기 하부판(130)의 테두리영역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재(160)는 상기 상부고정부재(150)에 의한 가압시 압축되는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재(160)를 감싸는 주름관 형태의 연결부재하우징(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철골구조물 시공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철골구조물 시공방법은, 경사면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고정핀(110)을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개의 고정핀(110) 각각에 하부너트를 체결하는 단계와;상기 하부너트(120)의 상부에 하부판(130)이 위치되도록 상기 고정핀(110)에 상기 하부판(130)을 결합시키는 단계와; 상기 하부판(130)에 철골구조물을 안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철골구조물을 덮도록 상기 고정핀(110)에 상부판(140)을 결합시키는 단계와; 상기 상부판(140)이 결합된 고정핀(110)의 상부에 상부고정부재(150)를 결합시켜, 상기 상부판(140)과 상기 하부판(130) 사이에 상기 철골구조물의 위치를 구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철골구조물을 상기 하부판(130)에 안착시킨 후, 상기 철골구조물을 상기 하부판(130)에 용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철골구조물 지지조립체는 고정핀의 하부에 하부너트가 결합되어 콘크리트의 피복두께가 법령에서 정한 기준두께로 피복되게 한다. 이에 의해 종래 콘크리트 피복두께가 확보되지 못해 크랙이 발생되거나 내구성이 저하되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골구조물 지지조립체는 일정면적을 갖는 하부판과 상부판 사이에 철골구조물이 구속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이에 의해 별도의 용접을 하지 않더라도 철골구조물 위치가 고정되므로, 작업자의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하부판과 상부판 사이에 철골구조물이 수용되므로, 서로간의 접촉면적이 넓어 콘크리트 타설 이후의 결합안정성이 높아지고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용접을 할 경우 종래 고정핀과 철근은 단면이 원형인 관계로 용접면적이 좁았던데 반해 본 발명은 하부판과 철근이 선접촉하므로 용접면적이 넓어져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옹벽시공을 위한 철골구조물 결합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골구조물 지지조립체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골구조물 지지조립체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골구조물 지지조립체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철골구조물 지지조립체가 경사면의 철골구조물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골구조물 지지조립체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골구조물 지지조립체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골구조물 지지조립체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철골구조물 지지조립체가 경사면의 철골구조물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 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골구조물 지지조립체(10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철골구조물 지지조립체(100)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골구조물 지지조립체(100)는 경사면(A)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고정핀(110)과, 경사면(A)에 삽입되어 있는 고정핀(1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콘크리트 피복두께를 조절하는 하부너트(120)와, 하부너트(120)의 상부에 배치되게 고정핀(110)에 삽입되는 하부판(130)과, 하부판(130)의 상부에 삽입되는 상부판(140)과, 상부판(14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부판(140)을 하부판(130)을 향해 가압하여 상부판(140)과 하부판(130) 사이에 적재된 철골구조물(20)의 위치를 구속시키는 상부고정부재(150)를 포함한다.
고정핀(110)은 경사면(A)에 일정간격으로 삽입되어 하부판(130) 및 상부판(140)의 위치를 고정하여 하부판(130)과 상부판(140)이 철골구조물(20)에 밀착될 수 있게 지지한다.
고정핀(110)은 경사면(A)에 복수개의 열과 행으로 배치된다. 고정핀(110)의 배치간격은 1~1.5m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고정핀(110)은 경사면(A)이 암반지반일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전산볼트로 구비될 수 있고, 경사면(A)이 토사지반인 경우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철근으로 구비될 수 있다.
고정핀(110)은 공지된 다양한 방법에 의해 경사면(A)에 삽입된다. 이 때, 고정핀(110)의 하부는 경사면(A) 내부에 삽입되고, 상부는 경사면(A) 외부로 일정길이 노출된다.
여기서, 도 2는 하나의 고정핀(110)에 결합되는 철골구조물 지지조립체(100)의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경사면(A)의 전영역에 구비된 모든 고정핀(110)도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하부너트(120)는 경사면(A)의 외부로 노출된 고정핀(110)의 하부에 결합되어 경사면(A)과 하부판(130)을 이격시켜 콘크리트 피복두께를 법령에서 정한 기준두께로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하부너트(120)는 고정핀(110)이 전산볼트인 경우 나사 결합되고, 철근인 경우 단순히 삽입되거나 철근에 고정하는 부속인 라이너 스크류 등이 사용된다.
하부너트(120)는 피복 기준두께를 형성하기 위해 한 개의 하부너트(120)를 콘크리트 피복두께에 맞추어 체결하거나 또는 경사면으로부터 복수개가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기준 피복두께(W)가 6cm인 경우, 두께가 3cm인 하부너트(120)를 경사면으로부터 3cm가 이격되게 조여서 설치하거나, 두께가 3cm인 하부너트(120) 2개를 함께 배치하여 형성 할 수 있다.
하부판(130)은 하부너트(120)의 상부에 배치되게 고정핀(110)에 결합되며, 상면에 철골구조물(20)이 안착된다. 하부판(130)은 일정 면적을 갖는 판상재질로 형성되어 철골구조물(20)과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킨다.
하부판(130)은 20*20*2.0t, 25*25*2.5t, 30*30*3t 등 다양한 규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판(130)은 내구성을 위해 금속소재로 형성된다. 하부판(130)의 가운데 영역에는 고정핀(110)이 삽입되는 하부핀삽입공(131)이 관통형성된다.
하부핀삽입공(131)은 고정핀(110)의 종류에 따라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철골구조물(20)은 복수개의 고정핀(110)에 결합된 복수개의 하부판(130) 상에 안착된다. 철골구조물(20)은 수직철근(23)과 수평철근(21)이 서로 직교하게 용접되어 형성된다. 철골구조물(20)은 수직철근(23)과 수평철근(21)이 직교하게 형성된 용접영역(25)이 하부판(130)의 상면에 안착되게 배치되는 것이 하부판(130) 및 상부판(140)과 접촉면적이 넓어져 결합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부판(140)은 철골구조물(20)이 안착된 하부판(130)의 상부에 배치되게 고정핀(110)에 결합된다. 상부판(140)은 하부판(130)과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며, 위치만 하부판(130)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부고정부재(150)는 상부판(140)의 상부에 배치되게 고정핀(110)에 결합되며, 상부판(140)을 하부판(130)으로 가압하여 철골구조물(20)이 하부판(130)과 상부판(140) 사이에 위치가 구속되게 한다. 상부고정부재(150)는 고정핀(110)이 전산볼트인 경우 너트로 형성되며, 고정핀(110)이 철근으로 구비될 경우 라이너 스크류로 체결되거나 용접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철골구조물(20)은 하부판(130)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하부판(130)과 용접에 의해 물리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판(130)의 상면에 수평철근(21)이 선접촉되게 위치되므로 작업자는 선용접을 하게 된다. 이에 의해 용접면적이 넓어져 하부판(130)과 철골구조물(20)이 도 1에 도시된 종래 구조보다 결합안정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 본 발명의 철골구조물(20)은 하부판(130)에 용접되지 않고 상부판(140)과 하부판(130) 사이에 위치가 구속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부고정부재(150)를 회전시켜 상부판(140)을 하부판(130) 측으로 가압하면, 철골구조물(20)은 하부판(130)과 상부판(140) 사이에 위치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콘크리트가 경사면(A)에서 상부판(140) 높이 이상까지 타설되므로 별도의 용접을 하지 않더라도 철골구조물(20)의 위치가 구속되어 결합안정성이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철골구조물 지지조립체(100)를 이용한 철골구조물 시공방법을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작업자들은 옹벽시공을 진행할 경사면(A)에 일정간격으로 고정핀(110)을 설치한다. 그리고, 각각의 고정핀(110)에 콘크리트 피복두께를 만족하도록 하부너트(120)를 체결한다.
하부너트(120)의 체결이 완료되면, 각각의 고정핀(110)에 하부판(130)을 결합시킨다. 하부판(130)의 결합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경사면(A) 전체에 걸쳐 철골구조물(20)을 배치한다. 수평철근(21)과 수직철근(23)을 직교하게 배치시켜 하부판(130)의 상면에 안착시킨다. 이 때, 수평철근(21)과 수직철근(23)의 용접영역이 하부판(130)의 상면에 배치되게 안착시킨다.
이 과정에서 작업자는 하부판(130)에 철골구조물(20)을 용접할 수 있다
철골구조물(20)의 배치가 완료되면, 작업자는 하부판(130)을 덮도록 고정핀(110)에 상부판(140)을 결합시킨다. 이에 의해 철골구조물(20)이 일정면적씩 하부판(130)과 상부판(14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작업자는 상부판(140)의 상부에 상부고정부재(150)를 배치하고, 상부판(140)이 하부판(130)을 가압하여 철골구조물(20)이 상부판(140)과 하부판(130) 사이에 위치가 구속되도록 상부고정부재(150)를 결합시켜 철골구조물(20) 시공과정을 완료할 수 있다.
이렇게 철골구조물(20) 시공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설계도서의 옹벽두께에 따라 경사면(A)으로부터 상부판(140)이 완전히 덮이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옹벽시공을 완료할 수 있다. 통상 경사면에 직접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두께는 최소 15cm이상으로 설계 시공되어진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골구조물 지지조립체(100)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골구조물 지지조립체(100)는 하부판(130)과 상부판(140)이 독립적으로 각각 고정핀(110)에 결합된다.
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골구조물 지지조립체(100)는 하부판(130)과 상부판(140)의 테두리영역이 연결부재(160)에 의해 결합된다. 연결부재(160)는 탄성적으로 신장 및 압축될 수 있는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재(160)는 상부고정부재(150)에 의해 가압되어 압축되며 철골구조물(20)의 두께에 맞게 조절된다.
이 때, 연결부재(160)의 외부는 주름관 형태의 연결부재하우징(170)에 의해 씌워진다. 연결부재하우징(170)은 콘크리트 타설시에 콘크리트가 연결부재(160)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막아준다.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된 연결부재(160)는 옹벽시공 후에 지진이 발생할 경우, 진동을 흡수하여 옹벽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는 내진 구조를 갖게 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철골구조물 지지조립체(100)가 경사면의 철골구조물(20)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A)은 경사지게 형성되며 표면에 다양한 굴곡이 형성된다. 철골구조물(20)은 경사면(A)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경우에 따라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경사면(A) 상에 튀어나온 입체적인 구조물(일례로 튀어나온 바위)을 시공하기 위해서 경사면(A)에 시공된 철골구조물(20) 위에 별도로 철근을 "ㄱ"이나 "ㄴ"자 절곡하여 입체구조물(미도시)을 시공할 수 있다.
종래 입체적인 형상을 시공하기 위해 철골구조물(20)과 입체구조물(미도시)이 서로 접촉되는 영역을 용접하여 고정하였으나, 철근의 단면적이 원형이므로 둘의 접촉영역이 좁아 용접면적이 좁아 용접면적도 좁아져 구조적 안정성이 낮았다.
이에 철골구조물(20)과 입체구조물(미도시)의 결합영역에 본 발명의 철골구조물 지지조립체(100)가 배치되어 용접 면적을 증가시키고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철골구조물 지지조립체는 경관벽 시공 외에도 경사면에 설치되는 인공폭포, 조형물 시공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골구조물 지지조립체는 고정핀의 하부에 하부너트가 결합되어 콘크리트의 피복두께가 법령에서 정한 기준두께 이상으로 피복되게 한다. 이에 의해 종래 콘크리트 피복두께가 적합하지 않아 크랙이 발생되거나 내구성이 낮았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골구조물 지지조립체는 일정면적을 갖는 하부판과 상부판 사이에 철골구조물이 구속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이에 의해 별도의 용접을 하지 않더라도 철골구조물 위치가 고정되므로, 작업자의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하부판과 상부판 사이에 철골구조물이 수용되므로, 서로간의 접촉면적이 넓어 콘크리트 타설 이후의 결합안정성이 높아지고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용접을 할 경우 종래 고정핀과 철근은 단면이 원형인 관계로 용접면적이 좁았던데 반해 본 발명은 하부판과 철근이 선접촉하므로 용접면적이 넓어져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철골구조물 지지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경관벽 철골구조물 시공방법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20 : 철골구조물 21 : 수평철근
23 : 수직철근 25 : 용접영역
100 : 철골구조물 지지조립체 110 : 고정핀
120 : 하부너트 130 : 하부판
131 : 하부핀삽입공 140 : 상부판
141 : 상부핀삽입공 150 : 상부고정부재
160 : 연결부재 161 : 연결부재하우징
A : 경사면
23 : 수직철근 25 : 용접영역
100 : 철골구조물 지지조립체 110 : 고정핀
120 : 하부너트 130 : 하부판
131 : 하부핀삽입공 140 : 상부판
141 : 상부핀삽입공 150 : 상부고정부재
160 : 연결부재 161 : 연결부재하우징
A : 경사면
Claims (6)
- 굴곡이 형성된 경사면에 철골구조물을 고정시키는 경관벽 철골구조물 지지조립체에 있어서,
하부는 상기 경사면에 일정 간격으로 수직하게 삽입되며, 상부는 상기 경사면의 외부로 일정 높이 노출되는 고정핀(110)과;
상기 경사면의 외부로 노출된 고정핀(110)에 결합되는 하부너트(120)와;
일정 면적을 갖는 판상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너트(120)의 상부에 배치되며, 가운데 영역에 상기 고정핀(110)이 삽입되는 하부핀삽입공(131)이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철골구조물이 안착된 후 용접되는 하부판(130)과;
상기 하부판(130)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며, 가운데 영역에 상기 고정핀(110)이 삽입되는 상부핀삽입공(141)이 형성되며, 상기 철골구조물이 안착된 상기 하부판(130)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고정핀(110)에 결합되는 상부판(140)과;
상기 상부판(140)의 상부로 노출된 고정핀(110)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판(140)을 상기 하부판(130)을 향해 가압하여 상기 상부판(140)과 상기 하부판(130) 및 상기 철골구조물을 고정하는 상부고정부재(150)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너트(120)는 상기 경사면과 상기 하부판(130)을 이격시켜 상기 하부판(130) 상면에 안착된 철골구조물에서 상기 경사면 사이의 콘크리트 피복두께를 콘크리트 기준피복두께로 형성하며, 상기 콘크리트 기준피복두께에 따라 한 개 또는 복수개가 상기 고정핀(110)에 결합되며,
상기 철골구조물은 복수개의 수평철근과 복수개의 수직철근이 직교되어 그물망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판(130)의 상면과 상기 상부판(140)의 하면에 각각 선접촉되며 상기 상부고정부재(150)의 가압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며,
상기 수평철근과 수직철근은 경사면의 굴곡을 따라 절곡하여 형성되며,
상기 하부판(130) 상면에 안착된 철골구조물에서 상기 경사면 사이의 콘크리트 피복두께를 상기 경사면의 전면적에 걸쳐 콘크리트 기준피복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관벽 철골구조물 지지조립체.
- 삭제
- 삭제
- 삭제
- 경관벽 철골구조물 시공방법에 있어서,
굴곡이 형성된 경사면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고정핀(110)을 수직하게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개의 고정핀(110) 각각에 하부너트(120)를 체결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너트(120)의 상부에 하부판(130)이 위치되도록 상기 고정핀(110)에 상기 하부판(130)을 결합시키는 단계와;
상기 하부판(130)의 상면에 철골구조물을 선접촉하도록 안착시킨 후 용접하는 단계와;
상기 철골구조물을 덮도록 상기 고정핀(110)에 상부판(140)을 결합시키는 단계와;
상기 상부판(140)이 결합된 고정핀(110)의 상부에 상부고정부재(150)를 결합시켜, 상기 상부판(140)과 상기 하부판(130) 사이에 상기 철골구조물의 위치를 구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너트(120)는 상기 고정핀(110)에 삽입되어 상기 경사면과 상기 하부판(130)을 이격시켜 상기 하부판(130) 상면에 안착된 철골구조물에서 상기 경사면 사이의 콘크리트 피복두께를 콘크리트 기준피복두께로 형성하며, 상기 콘크리트 기준피복두께에 따라 한 개 또는 복수개가 상기 고정핀(110)에 삽입되며,
상기 하부판(130)은 일정 면적을 갖는 판상재질로 형성되며, 가운데 영역에 상기 고정핀(110)이 삽입되는 하부핀삽입공(131)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판(140)은 상기 하부판(130)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며, 가운데 영역에 상기 고정핀(110)이 삽입되는 상부핀삽입공(141)이 형성되며,
상기 철골구조물은 복수개의 수평철근과 복수개의 수직철근이 직교되어 그물망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판(130)의 상면과 상기 상부판(140)의 하면에 각각 선접촉되며 상기 상부고정부재(150)의 가압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며,
상기 수평철근과 수직철근은 경사면의 굴곡을 따라 절곡하여 형성되며,
상기 하부판(130) 상면에 안착된 철골구조물에서 상기 경사면 사이의 콘크리트 피복두께를 상기 경사면의 전면적에 걸쳐 콘크리트 기준피복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관벽 철골구조물 시공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7809A KR102147059B1 (ko) | 2019-10-31 | 2019-10-31 | 경관벽 철골구조물 지지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경관벽 철골구조물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7809A KR102147059B1 (ko) | 2019-10-31 | 2019-10-31 | 경관벽 철골구조물 지지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경관벽 철골구조물 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47059B1 true KR102147059B1 (ko) | 2020-08-24 |
Family
ID=72235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37809A KR102147059B1 (ko) | 2019-10-31 | 2019-10-31 | 경관벽 철골구조물 지지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경관벽 철골구조물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47059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085411B2 (ja) * | 2003-06-30 | 2008-05-14 | 株式会社ダイチ技研 | 凍上による法枠体の変形回復装置 |
JP6485830B2 (ja) * | 2014-12-08 | 2019-03-20 | 日特建設株式会社 | 法面保護工用プレート |
JP2019157625A (ja) * | 2019-06-28 | 2019-09-19 | 公益財団法人鉄道総合技術研究所 | 補強部材保持用治具及びそれを用いた吹付工法 |
-
2019
- 2019-10-31 KR KR1020190137809A patent/KR10214705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085411B2 (ja) * | 2003-06-30 | 2008-05-14 | 株式会社ダイチ技研 | 凍上による法枠体の変形回復装置 |
JP6485830B2 (ja) * | 2014-12-08 | 2019-03-20 | 日特建設株式会社 | 法面保護工用プレート |
JP2019157625A (ja) * | 2019-06-28 | 2019-09-19 | 公益財団法人鉄道総合技術研究所 | 補強部材保持用治具及びそれを用いた吹付工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20071B1 (ko) | 콘크리트제 가대의 제조 방법, 콘크리트제 가대 및 이음재 | |
KR102012486B1 (ko) | 필로티 구조 건물에 가변적인 설치가 가능한 내진 보강 구조체와 그 내진 보강 구조체를 이용한 내진 보강 공법 | |
US6920724B1 (en) | Bracket for a structural panel and a structural panel made with such a bracket | |
CN205875473U (zh) | 内置定位预制件钢筋混凝土剪力墙 | |
KR20200008685A (ko) | 콘크리트 기둥 내진 보강 방법 | |
JP6818401B2 (ja) | 箱形金物を用いた連結構造 | |
KR102147059B1 (ko) | 경관벽 철골구조물 지지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경관벽 철골구조물 시공방법 | |
KR101904115B1 (ko) | 합성기둥과 보의 접합 시스템 | |
KR101739126B1 (ko) | 탑다운 방식 지하 구조물 형성 방법 | |
KR101281067B1 (ko) | 거치식 말뚝 두부 보강장치 | |
JP6632290B2 (ja) | 鋼製柱の脚部構造及び鋼製柱脚部の施工方法 | |
JP6918613B2 (ja) | 壁面構造および壁面の構築方法 | |
KR102156384B1 (ko) | 무용접 조립식 앙카베이스 시스템 | |
KR101641334B1 (ko) | 조립식 라운드 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공법 | |
JPH112031A (ja) | 既存大梁の曲げに対する耐震補強方法 | |
KR101951404B1 (ko) | 단면증설형 내진보강구조체 | |
KR102485138B1 (ko) | 탄소섬유패널과 보강철물을 조립한 필로티 rc 기둥의 자가 휨 보강 공법 및 구조 | |
CN105715042A (zh) | 工具式建筑降板装置及其施工方法 | |
KR100622059B1 (ko) | 보강재를 타설한 파형강판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JP3233260B2 (ja) | 鉄骨柱脚におけるアンカー材の定着構造 | |
JP6604650B2 (ja) | 擁壁型枠の固定金物 | |
KR100235117B1 (ko) | 알씨 기둥용 기성철망조립체 및 그것을 이용한 기둥시공방법 | |
KR200292762Y1 (ko) | 거푸집 설치용 중앙 지지대고정구 | |
CN216405698U (zh) | 一种混凝土框架连接节点及建筑构造 | |
KR102150222B1 (ko) | 트러스 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AMND | Amendment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