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3661B1 - 현장 조립형 게비온 구조물 - Google Patents

현장 조립형 게비온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3661B1
KR101973661B1 KR1020180053319A KR20180053319A KR101973661B1 KR 101973661 B1 KR101973661 B1 KR 101973661B1 KR 1020180053319 A KR1020180053319 A KR 1020180053319A KR 20180053319 A KR20180053319 A KR 20180053319A KR 101973661 B1 KR101973661 B1 KR 101973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lip
frame
support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상
임월숙
Original Assignee
동양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건설(주) filed Critical 동양건설(주)
Priority to KR1020180053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36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08Gab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명은 자갈이 충진토록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는 육면체로 이루어진 단위블럭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져 복수의 단위블럭이 메인U클립을 통하여 좌,우 및 전,후로 쌓아 게비온구조물을 형성토록 설치되고, 상기 단위블럭은 개구부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면서 요철면을 통하여 서로 접촉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메탈레스 및 상기 메탈레스의 둘레중 적어도 2면 이상에 연결되는 ㄷ자 형상의 고정프레임과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는 지주를 서로 연결하는 단위U클립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지는 현장 조립형 게비온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현장 조립형 게비온 구조물{gabion retaining wall block with built-up type}
본 명은 자갈이 충진토록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는 육면체로 이루어진 단위블럭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져 복수의 단위블럭이 메인U클립을 통하여 좌,우 및 전,후로 쌓아 게비온구조물을 형성토록 설치되고, 상기 단위블럭은 개구부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면서 요철면을 통하여 서로 접촉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둘레중 적어도 2면 이상에 연결되는 ㄷ자 형상의 고정프레임과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는 지주를 서로 연결하는 단위U클립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지는 현장 조립형 게비온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이란, 토압력에 저항하여 토사가 무너지지 않게 세워지는 벽체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지표지반의 안정된 경사보다 가파른 경사로 흙을 쌓거나 또는 산을 깍을때에 발생하는 지반붕괴를 막기 위해 만든 구조물로서 상기 옹벽의 종류로는 주로 강성구조 옹벽과 연성구조 옹벽으로 분류가 되는 바 상기 강성구조 옹벽은 토압발생에 대하여 변형되지 않은 철근콘크리트 옹벽으로서 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구조물임은 물론 가장 안전한 공법이기는 하나 공사비가 고가인 관계로 실제 현장에서 설치하기에 많은 부담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반면, 연성구조옹벽은 저가의 공사비로 진행이 용이하여 현장에서 주로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연성구조옹벽의 종류로는 게비온 옹벽과 강재틀옹벽으로 구분되는 것인바 상기 게비온 옹벽은 벌집구조와 같은 망사로구성된 철망을 펼친상태에서 박스형상으로 조립하여 상기 박스안에 돌채움 작업을 진행한 후 상기 돌채움 작업을 마친 후에는 철선과 같은 마감재를 이용하여 뚜껑을 철선으로 묶어줌으로서 간단한 작업방식에 의하여 설치되는 것이고, 강재틀옹벽은 강재부재를 이용하여 박스형상의 틀을 제작한 후 상기 틀 내부에 돌을 채워 벽을 만들어 줌으로서 토압에 저항하기 용이하고 배수구조에 의한 수압을 소화가능하며 철근콘크리트 옹벽과 게비온 옹벽보다 경제적으로 설치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은 기술과 관련되어 종래의 게비온 구조물 기술이 특허 1802351호에 제시되고 있으며, 그 구성은 도1에서와 같이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는 육면체로 이루어진 단위블럭(100)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져 복수의 단위블럭이 상,하로 적층되거나, 좌우및 전후로 쌓아 게비온구조물을 형성하고, 상기 단위블럭은, 육면체의 수직방향 모서리에 각각 위치하면서 서로 다른 방향의 개방부를 갖는 메인프레임(110)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개방부에 연결되면서 육면체의 면을 형성하는 단위프레임(130)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프레임은, 2개의 ㄷ자형 단위프레임이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단위프레임에는 볼트공이 일체로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게비온 구조물은 메인프레임에 단위프레임을 연결하기 위하여 단위프레임에 대응하는 볼트공을 형성한 후 일일히 볼트로 체결하여 각각의 면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작업시 용이성이 떨어지며 시간이 오래걸리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현장에서의 조립이 용이토록 하면서 시간을 단축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토록 하며, 다양한 연출이 가능토록 현장 조립형 게비온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갈이 충진토록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는 육면체로 이루어진 단위블럭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져 복수의 단위블럭이 메인U클립을 통하여 좌,우 및 전,후로 쌓아 게비온구조물을 형성토록 설치되고,
상기 단위블럭은 개구부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면서 요철면을 통하여 서로 접촉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둘레중 적어도 2면 이상에 연결되는 ㄷ자 형상의 고정프레임과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는 지주를 서로 연결하는 단위U클립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지는 현장 조립형 게비온 구조물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단위U클립 및 메인U클립에 프레임을 걸어 지지하는 후크유니트가 일체로 더 연결되는 현장 조립형 게비온 구조물을 제공한다.
더하여, 본 발명은 지주의 상부에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면서 양측의 지주를 위치결정하는 고정캡이 더 연결되는 현장 조립형 게비온 구조물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본 발명에 의하면, 지주 및 프레임을 동시에 감싸는 형상의 고정클램프의 구성으로 지주를 중심으로 양측면의 프레임을 동시에 체결가능하여 단위블럭의 조립과 단위블럭의 다양한 연출이 용이하면서 그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게비온 구조물을 도시한 조립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게비온 구조물을 도시한 조립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단위블럭 열결상태를 도시한 조립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단위블럭 체결상태를 도시한 요부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인프레임의 형상을 도시한 요부사시도 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원터치 클립 체결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7 및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지주의 연결상태 및 고정캡의 연결상태도 이다.
도9 및 도10은 본 발명의 U클립 장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U클립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며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게비온 구조물(G)는, 복수의 단위블럭(100)이 상,하로 적층되거나, 좌,우 및 전,후로 쌓아져 사면이나 벽면 등으로 이루어진 설치면(미도시) 전방에 벽(미도시)을 형성토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단위블럭(100)은,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는 육면체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단위블럭은, 육면체의 수직방향 모서리에 각각에 위치하는 지주(130)와 상기 지주에 연결되면서 육면체의 측방4면 또는 6면을 형성하면서 자갈의 이탈을 방지하는 메탈레스로 이루어진 프레임(110) 및 상기 프레임의 가장자리2면 이상에 지지되는 고정프레임(113), 상기 지주(130)를 연결하는 단위클립(150)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위블럭의 내측에 자갈이 충진토록 된다.
상기 지주(130)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각각의 개방부(132)를 갖는 2개의 단위지주(133)가 상기 개방부의 개방면이 직교토록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단위지주가 맞닿는 밀착면은 서로 대응되는 요철(136)이 형성된다.
계속하여, 상기 프레임(110)은, 외각을 이루는 고정프레임(113)에 철망이나 메탈레스중에서 선택되는 네트부재로 면을 이루고, 상기 메인프레임 내측에 복수의 보강프레임(115)이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프레임(110)은 단위지주(133)에 형성된 개방부(132)에 일부가 삽입되어 연결되며, 상기 지주와 양측의 프레임은 단위U클립(150)에 의해 동시에 고정되어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단위U클립(150)은, 일측의 지주(130)와 상기 지주로부터 양측으로 연결되는 프레임(110) 및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네트부재를 동시에 고정토록 지주의 평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 또는 "
Figure 112018045673053-pat00001
"형상으로 절곡되는 지지핀(153)과 상기 지지핀의 양끝단에 관통되어 체결되는 연결편(155) 및 상기 지지편의 위치결정 및 이탈을 방지토록 하는 지지핀의 양끝단에 나사결합되는 너트(157)의 구성으로 이루진다.
이때, 상기 지지편(155)은, 바형상으로 되어도 좋으나, 압착력을 증가토록 프레임(110)의 평단면 형상에 대응하여 절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상기, 네트부재는, 단위U클립(150)에 의해 프레임에 고정되어도 좋으나, 별도의 원터치클립(170)에 고정되며, 상기 원터치클립은 지주에 지지되어 상기 지주 양측 프레임의 네트부재를 동시에 고정토록 지주 및 프레임을 동시에 감싸면서 지주의 평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 또는 "
Figure 112018045673053-pat00002
"형상의 탄성핀(173)의 양측 끝단에 네트부재의 교차지점을 걸쳐 지지토록 고리(175)가 절곡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캡(140)은, 단위블럭 각각의 모서리에 장착토록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는 뚜껑형태면서 내측면이 프레임(110)에 밀착토록 가이드홈(14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주(130)를 형성하는 단위지주(133)를 각각 지지토록 격벽(142)에 의해 공간이 분할된다.
이때, 상기 분할된 공간에는, 단위지주의 회전을 방지토록 니브(14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니브(144)에 대응되는 홈이 단위지주(133)에 형성된다.
또한, 단위블럭(100)은, 공간 내측에 철망이나 메탈레스 중에서 선택되는 망체(240)를 통하여 자갈이 충진된다.
그리고, 인접하는 4개의 단위블럭(100)의 지주들이 각각 접촉하여 하나의 메인U클립(250)으로 결합되어도 된다.
더하여, 하나의 단위블럭(100)에 위치하는 지주(130)를 단위U클립(150)으로 각각 연결한 상태에서 인접하는 4개의 단위블럭(100) 지주들을 하나의 메인U클립(250)으로 한번 더 결합하여도 된다.
이때, 상기 메인U클립은, "∪"형상 또는 "
Figure 112018045673053-pat00003
"형상으로 절곡되는 메인지지핀(253)과 상기 메인지지핀의 양끝단에 관통되어 체결되는 메인연결편(255) 및 상기 메인지지편의 위치결정 및 이탈을 방지토록 하는 메인지지핀의 양끝단에 나사결합되는 메인너트(257)의 구성으로 이루진다.
또한, 상기 단위U클립에는 메탈레스를 걸어 지지하는 후크유니트(270)가 더 연결된다.
이때, 상기 후크유니트(270)는, 클립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부재(271)와 상기 너트부재에 탄성연결되는 몸체부(273) 및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는 후크(275)로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2 내지 도11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게비온 구조물(G)는, 복수의 단위블럭(100)이 상,하로 적층되거나, 좌,우및 전,후로 쌓아져 사면이나 벽면 등으로 이루어진 설치면(미도시) 전방에 벽(미도시)을 형성하여 설치면을 보강함으로써 설치면의 붕괴를 막거나 전방에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단위블럭(100)은,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는 육면체로 이루어져 그 내측에 철망이나 메탈레스로 감싼 자갈로 이루어진 망체(240)가 충진되거나 단위블럭(100) 상면 또는 하면 및 상,하면에 프레임(110)이 연결되어 그 내측에 자갈충진되어 일정 체적의 중량물을 형성하여 설치면의 전방을 보강토록 한다.
이때, 상기 단위블럭(100)은, 육면체의 수직방향 모서리에 각각에 길이방향으로 위치하는 지주(130)와 상기 지주에 연결되면서 육면체의 측방4면 또는 6면을 형성하는 프레임(110)이 단위U클립(150)에 의해 고정되어 공장이나 현장에서 조립이 가능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10)은, 외각을 이루는 단위프레임(113)에 철망이나 메탈레스중에서 선택되는 네트부재로 면을 이루어 상기 단위블럭(100) 내측의 자갈 등이 외부로 유출되는것을 방지토록 하며, 상기 단위프레임 내측에 복수의 보강프레임(115)이 연결되어 단위블럭 내측에 충진된 자갈 등의 하중을 분산토록 하여 파손을 방지토록 한다.
더하여, 상기 지주(130)는, 길이방향으로 형성하는 각각의 개방부(132)를 갖는 2개의 단위지주(133)가 상기 개방부의 개방면이 직교토록 연결되어 이루어져 각각의 개방부에 프레임(110)을 삽입하여 연결함으로써 일측의 지주의 양측에 프레임이 동시에 연결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단위지주(133)는 서로 맞닿는면에 서로 대응되는 요철(136)이 형성되어 있어, 서로 연결시 뒤틀림이나 회전을 방지토록 한다.
또한, 상기 단위U클립(150)은, 지주(130) 및 프레임(110)을 동시에 감싸면서 상기 지주의 평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 또는 "
Figure 112018045673053-pat00004
"형상으로 절곡되는 지지핀(153)과 상기 지지핀의 양끝단에 관통되어 체결되는 지지편(155) 및 상기 지지편의 위치결정 및 이탈을 방지토록 하는 지지핀의 양끝단에 나사결합되는 너트(157)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너트의 회전으로 지지핀과 지지편이 지주(130)와 프레임(110) 및 네트부재의 교차지점을 압착하여 일측의 지주와 상기 지주로부터 양측으로 연결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네트부재를 한번의 체결로 동시에 고정토록 하여 조립의 용이성 향상 및 작업시간을 단축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지주(130)의 상,하 끝단은, 고정캡(140)이 장착되어 지주 내측에 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어 녹슬거나 오염에 의한 부식을 방지토록 한다.
더하여, 상기 고정캡(140)은, 단위블럭(100) 각각의 모서리에 장착토록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는 뚜껑형태면서 내측면이 프레임(110)에 밀착토록 가이드홈(14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주(130)를 형성하는 단위지주(133)를 각각 지지토록 격벽(142)에 의해 공간이 분할되어 지주의 이물질 유입 방지와 동시에 한번더 단위지주를 지지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분할된 공간에는, 니브(14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위지주(133)는, 상기 니브에 대응되는 홈(134)이 형성되어 있어 단위지주의 뒤틀림이나 회전을 방지토록 한다.
또한, 단위블럭(100)은, 공간 내측에 철망이나 메탈레스 중에서 선택되는 망체(240)를 통하여 자갈이 충진되어 중량체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인접하는 4개의 단위블럭(100)의 지주들이 각각 접촉하여 하나의 메인U클립(250)으로 결합되어도 되는 구성으로 조립공정을 최소화 하게 된다.
더하여, 하나의 단위블럭(100)에 위치하는 지주(130)를 단위U클립(150)으로 각각 연결한 상태에서 인접하는 4개의 단위블럭(100) 지주들을 하나의 메인U클립(250)으로 한번 더 결합하여 조립고정을 최소화 하면서 각 단위블럭의 연결이 가능토록 된다.
이때, 상기 메인U클립은, "∪"형상 또는 "
Figure 112018045673053-pat00005
"형상으로 절곡되는 메인지지핀(253)과 상기 메인지지핀의 양끝단에 관통되어 체결되는 메인연결편(155) 및 상기 메인지지편의 위치결정 및 이탈을 방지토록 하는 메인지지핀의 양끝단에 나사결합되는 메인너트(257)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조립시 각 단위블럭을 견고하게 지지토록 한다.
또한, 상기 단위U클립에는 메탈레스를 걸어 지지하는 후크유니트(270)가 더 연결되어 네트부재와 지주의 연결작업이 한번의 동작에 의해 수행토록 되어 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G...게비온 구조물 100...단위블럭
110...고정프레임 130...지주
133...단위지주 140...고정캡
150...단위U클립 153...고정핀
155...고정편 157...너트

Claims (3)

  1. 자갈이 충진토록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는 육면체로 이루어진 단위블럭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져 복수의 단위블럭이 메인U클립을 통하여 좌,우 및 전,후로 쌓아 게비온구조물을 형성토록 설치되고,
    상기 단위블럭은 개구부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면서 밀착면을 통하여 서로 접촉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네트부재 및 상기 네트부재의 둘레중 적어도 2면 이상에 연결되는 프레임과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는 지주를 서로 연결하는 단위U클립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위U클립의 일측에는 각 단위블럭을 지지하는 원터치클립이 더 설치되며,
    상기 원터치클립은 탄성핀의 양측 끝단에 네트부재의 교차점에 걸리는 고리가 절곡형성되고,
    상기 지주의 상부에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면서 양측의 지주를 위치결정하는 고정캡이 더 연결되고,
    상기 지주는, 개방부를 갖는 2개의 단위지주가 개방부의 개방면이 서로 직교토록 연결되면서 맞닿는 밀착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요철이 일체로 형성되는 현장 조립형 게비온 구조물.
  2. 삭제
  3. 삭제
KR1020180053319A 2018-05-09 2018-05-09 현장 조립형 게비온 구조물 KR101973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319A KR101973661B1 (ko) 2018-05-09 2018-05-09 현장 조립형 게비온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319A KR101973661B1 (ko) 2018-05-09 2018-05-09 현장 조립형 게비온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3661B1 true KR101973661B1 (ko) 2019-04-29

Family

ID=66282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319A KR101973661B1 (ko) 2018-05-09 2018-05-09 현장 조립형 게비온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366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621U (ja) * 1991-04-23 1993-03-23 共和鉄網株式会社 砂防堤用フトン籠の金網パネル連結具
JPH071232U (ja) * 1993-06-04 1995-01-10 日鐵建材工業株式会社
JP2005098074A (ja) * 2003-08-19 2005-04-14 Joji Yamashita 固定具
KR100791804B1 (ko) * 2007-03-07 2008-01-04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보강토 강제옹벽
KR101802351B1 (ko) * 2017-05-10 2017-12-28 정해상 조립형 게비온 구조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621U (ja) * 1991-04-23 1993-03-23 共和鉄網株式会社 砂防堤用フトン籠の金網パネル連結具
JPH071232U (ja) * 1993-06-04 1995-01-10 日鐵建材工業株式会社
JP2005098074A (ja) * 2003-08-19 2005-04-14 Joji Yamashita 固定具
KR100791804B1 (ko) * 2007-03-07 2008-01-04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보강토 강제옹벽
KR101802351B1 (ko) * 2017-05-10 2017-12-28 정해상 조립형 게비온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8194B1 (ko) Pc부재 연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pc구조물
KR101301081B1 (ko) 벽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186348B1 (ko) 고강성구조 c형강을 적용한 방음벽지주
KR101238030B1 (ko) 외부 보강프레임 조립체를 갖는 조립식 물탱크
KR101321497B1 (ko) 조립설치가 용이한 칸막이 설치구조를 갖는 조립식 물탱크
KR101222206B1 (ko) 절곡강판형 강재 보와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KR100644745B1 (ko) 피씨 기둥-보 접합부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10040493A (ko) 철근콘크리트 영구 거푸집
KR100573798B1 (ko) 흙막이 벽의 설치구조
KR101973661B1 (ko) 현장 조립형 게비온 구조물
KR101610263B1 (ko) 다양한 표현이 가능한 프레임 일체형 게비온 구조물
KR200434425Y1 (ko) 사면보강 조립식 거푸집
KR101642110B1 (ko) 탈형 데크 플레이트
JPH01187226A (ja) 盛土用の被覆材
KR100585855B1 (ko) 철근콘크리트 기둥 및 철골 보의 접합부
KR100700074B1 (ko) 강봉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 돌망태 격자블럭 및 이의시공방법
EP0831184B1 (en) Block member and panel structure
KR20170053050A (ko) 양돈장 구조
KR101345898B1 (ko) 선 조립된 철근다발을 가지는 벽체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 방법
KR102350905B1 (ko) 강선을 이용한 조적조 내진보강 구조 및 이를 위한 내진보강 공법
JP3189413U (ja) 残存型枠
KR102485138B1 (ko) 탄소섬유패널과 보강철물을 조립한 필로티 rc 기둥의 자가 휨 보강 공법 및 구조
KR200374859Y1 (ko) 대용량 물탱크
JP2015017434A (ja) 配筋支持具及び当該配筋支持具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組積方法
KR200178975Y1 (ko) 전기박스 주변의 슬라브 균열방지용 보강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