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6922B1 - 왕지네 유래의 스콜로펜드라신-11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균, 항진균, 항염증 또는 항여드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왕지네 유래의 스콜로펜드라신-11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균, 항진균, 항염증 또는 항여드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6922B1
KR102146922B1 KR1020180159113A KR20180159113A KR102146922B1 KR 102146922 B1 KR102146922 B1 KR 102146922B1 KR 1020180159113 A KR1020180159113 A KR 1020180159113A KR 20180159113 A KR20180159113 A KR 20180159113A KR 102146922 B1 KR102146922 B1 KR 102146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ammatory
peptide
acne
acid
antifung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9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1402A (ko
Inventor
황재삼
김인우
김미애
서민철
이준하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80159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6922B1/ko
Publication of KR20200071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1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6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6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8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12 to 20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61K35/648Myriapods, e.g. centipedes or millipe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0Anti-acne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0Antimyc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rd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왕지네(Scolopendra subspinipes mutilans) 유래의 스콜로펜드라신-11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항진균, 항염증 또는 항여드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스콜로펜드라신-11 펩타이드는 스태필로코쿠스 에피데르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등에 대한 항균 또는 항진균 효과가 우수하고, NO 분비를 억제하거나 IL-6(interleukin-6), IL-1β(interleukin-1β), iNOS (inducible NO synthase), TNF-α (tumor necrosis factor-α) 또는 COX-2(cyclo oxygenase-2)의 발현을 억제하는 등의 각종 염증반응을 제어하는 효과가 뛰어나 항균, 항진균, 항염증 또는 항여드름용 조성물로서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왕지네 유래의 스콜로펜드라신-11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균, 항진균, 항염증 또는 항여드름용 조성물 {Antimicrobial, anti-inflammatory and anti-acne composition containing the Scolopendrasin-11 peptide from Scolopendra subspinipes mutilans as an a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왕지네(Scolopendra subspinipes mutilans) 유래의 스콜로펜드라신-11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항진균, 항염증 또는 항여드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증(inflammation)은 어떤 자극에 대한 생체조직의 방어반응의 하나로, 조직 변질, 순환장애와 삼출, 조직 증식의 세 가지를 병발하는 복잡한 병변을 일컫는다. 원인은 기계적 상해작용, 온도, 방사선 등의 물리적 인자, 독물 등의 화학적 인자, 세균감염 등의 기생체에 의한 것 등이며 이 중 세균에 의한 것이 가장 많다. 이러한 주요 원인 외에도, 여러 부수적 요인과 개체의 소인이나 면역 등에 의하여 그 발생은 복잡하다.
또한 염증반응은 상처, 미생물 감염 등에 대항하는 숙주의 방어기제에 따른 병리학적인 기작 중 가장 중요한 반응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대식세포는 이러한 염증 반응을 조절하는 가장 대표적인 면역세포로서, 활성화된 대식세포는 TNF-α (tumor necrosis factor-α), IL-6(interleukin-6), PGE2(prostaglandin E2), NO (nitric oxide), ROS (reactive oxygen species) 등과 같은 다양한 염증성 매개체를 분비한다(Laskin, D. L. et al., 2011). 한편, 이러한 염증성 매개체의 과다한 발현은 류마티스 관절염, 골다공증, 패혈증, 혈관질환, 암 등을 유도한다(Lawrence, T. et al., 2012).
여드름(acne)은 털 피지선 샘 단위의 만성 염증질환으로 면포(모낭 속에 고여 딱딱해진 피지), 구진(1cm 미만 크기의 솟아 오른 피부병변), 고름물집, 결절, 거짓낭 등 다양한 피부 변화가 나타나며, 이에 따른 후유증으로 오목한 흉터 또는 확대된 흉터를 남기기도 한다. 피지선이 모여있는 얼굴, 목, 가슴 등에 많이 발생하며 털을 만드는 모낭에 붙어있는 피지선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을 말한다.
여드름의 정확한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으나 한 가지 원인보다는 여러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즉 사춘기에 남성호르몬의 과잉으로 피지선의 분비가 왕성해지고 모낭의 상피가 이각화증(불완전하고 미숙한 각질화를 보이는 비정상적 각질화)을 일으켜 모낭이 막혀서 여드름의 기본 병변인 면포가 형성된다. 모낭 내에 상주하는 균 중 특히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는 지방분해 효소를 분비하여 이 효소가 피지 중의 중성지방을 분해하여 유리 지방산을 형성하고 모낭을 자극한다. 또한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에 대한 면역학적 반응이 여드름의 염증 반응에 기여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왕지네(Scolopendra subspinipes mutilans) 유래의 펩타이드를 이용하여 다양한 생리활성을 연구하던 중, 신규 펩타이드 스콜로펜드라신-11이 항균, 항진균 및 항염증 효능과 여드름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상기 스콜로펜드라신-11 펩타이드가 각종 염증 질환의 치료제로서 용이하게 사용가능함을 밝혀 본 발명을 완성할 수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00603호 (발명의 명칭 : 바퀴벌레에서 유래한 항균 펩타이드 페리플라네타신-1 및 그의 조성물, 출원인 : 대한민국, 등록일 : 2017년01월23일) 한국등록특허 제10-1697179호 (발명의 명칭 : 스콜로펜드라신-1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출원인 : 대한민국, 등록일 : 2017년01월11일) 한국등록특허 제10-1625502호 (발명의 명칭 : 대장상피세포의 성장을 촉진하는 신규 스콜로펜드라신-4 펩타이드 및 그의 조성물, 출원인 : 대한민국, 등록일 : 2016년05월24일)
본 발명의 목적은 왕지네(Scolopendra subspinipes mutilans) 유래의 스콜로펜드라신-11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항진균, 항염증 또는 항여드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왕지네(Scolopendra subspinipes mutilans) 유래의 하기 서열번호 1로 표현되는 항균, 항진균, 항염증 또는 항여드름용 펩타이드에 관한 것이다.
서열번호 1: MKIKMHLIILKK-NH2
상기 펩타이드는 스태필로코쿠스 에피데르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및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펩타이드는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에 대하여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펩타이드는 NO 분비를 억제하거나 IL-6(interleukin-6), IL-1β(interleukin-1β), iNOS (inducible NO synthase), TNF-α (tumor necrosis factor-α) 또는 COX-2(cyclo oxygenase-2)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항진균, 항염증 또는 항여드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이나 여드름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상기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염증 질환은 염증성 장질환, 염증성 콜라겐 혈관 질환, 사구체신염, 염증성 피부 질환, 유육종증, 망막염, 위염, 간염, 장염, 관절염, 편도선염, 인후염, 기관지염, 폐렴, 췌장염, 패혈증 및 신장염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왕지네(Scolopendra subspinipes mutilans)로부터 분리한 항균, 항진균, 항염증 또는 항여드름용 펩타이드의 유전자에서 합성된 서열번호 1로 표현되는 펩타이드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과 동일한 서열을 갖는 왕지네(Scolopendra subspinipes mutilans)로부터 직접 분리한 항균, 항진균, 항염증 또는 항여드름용 펩타이드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카르복실 말단이 -NH2 형태 또는 -OH 형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왕지네(Scolopendra subspinipes mutilans) 유래 펩타이드 유전자를 확인하기 위해 먼저 왕지네를 액체질소로 급속 동결하여 전체 RNA를 분리하고, 이를 RNA 염기서열분석법을 이용하여 왕지네 전사체들에 관한 유전자 정보를 확인하며, 각각의 전사체들로부터 번역된 아미노산(펩타이드)의 서열을 바탕으로 기존의 밝혀진 항균 또는 항염증성 펩타이드의 성질을 이용하여 항균, 항진균, 항염증 또는 항여드름 활성을 나타내는 펩타이드로 추정되는 유니진을 선별할 수 있다.
상기 펩타이드의 아미노산 서열은 MKIKMHLIILKK-NH2로 12개 아미노산으로 구성되며 이를 스콜로펜드라신-11(Scolopendrasin-11)으로 명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 여드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콜로펜드라신-11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은 또한 임상투여시에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펩타이드 또는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실제로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콜로펜드라신-11 펩타이드는 생리식염수 또는 유기용매와 같이 약제로 허용된 여러 전달체(carrier)와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고, 안정성이나 흡수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글루코스, 수크로스 또는 덱스트란과 같은 카보하이드레이트, 아스코르브 산(ascorbic acid) 또는 글루타치온과 같은 항산화제(antioxidants), 킬레이팅 물질(chelating agents), 저분자 단백질 또는 다른 안정화제(stabilizers)들이 약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에서 본 발명의 스콜로펜드라신-11 펩타이드 또는 이와 95% 이상 상동성을 갖는 펩타이드의 총 유효량은 거환(bolus) 형태 혹은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 동안 확산(infusion) 등에 의해 단일 투여량(single dose)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다중 투여량(multiple dose)이 장기간 투여되는 분할 치료 방법(fractionated treatment protocol)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상기 농도는 약학 조성물의 투여 경로 및 치료 횟수뿐만 아니라 환자의 나이 및 건강상태 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환자의 유효 투여량이 결정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이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신규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로서의 특정한 용도에 따른 적절한 유효 투여량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타이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수용성 비타민을 포함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염 (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소듐염 등)이나 유도체(아스코르빈산-2-인산소듐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적용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을 포함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유도체(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 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 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도 적용할 수 있다.
고분자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고분자 다당을 포함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잔탄검, 히알루론산소듐,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소듐염 등)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을 포함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해초 엑기스를 포함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소듐, 아르긴산칼륨 등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와 같은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 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때,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 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 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 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 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 세릴, 트리 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 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 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 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 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 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 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 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 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 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 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 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 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 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 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 록산, 디메틸실록산 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 메틸스테알록시 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 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소듐,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2 이상),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중합도 n=2 이상), 폴리 글리세린B(중합도 n=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때,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잔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 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 틴, 키토산, 덱스트린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 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으며,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보습제로는 장쇄 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하이드록시스 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 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 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 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 POP(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 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 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 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삼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 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소듐,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하이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계면 활성제를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 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 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 등의 무기 안료;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 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세틸린산아연소듐,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 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 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 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하이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하이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하이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하이드 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소듐, 디하이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하이드록시벤조페 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하이드록시디페닐 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호, 모노니트로과이어 콜소듐,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소듐, 말산, 말산소듐, 프말산, 프말산소듐, 숙신산, 숙신산소듐, 수산화소듐, 인산일수소소듐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한,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 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 0.01 내지 3 중량%로 배합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테레오그릴루신 2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적용된 제형은, 예를 들어, 세안제, 비누, 크림, 로션, 스킨, 젤, 수용성 리퀴드, 에센스, 페이스오일, 선크림, 선로션, 핸드크림, 풋크림,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맛사지크림, 마스크팩, 스킨커버, 립스틱, 립글로스,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페이스파우더, 투웨이케익, 아이새도, 치크칼라, 아이브로우 펜슬, 클렌징폼, 클렌징 오일, 클렌징 로션, 클렌징 티슈, 헤어에센스, 샴푸, 린스, 헤어트리트먼트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여드름 또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을 위해 적용될 수 있는 제형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하이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를 들어,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 탄의 지방산 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 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하이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리놀린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왕지네(Scolopendra subspinipes mutilans) 유래의 스콜로펜드라신-11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항진균, 항염증 또는 항여드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스콜로펜드라신-11 펩타이드는 스태필로코쿠스 에피데르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등에 대한 항균 또는 항진균 효과가 우수하고, NO 분비를 억제하거나 IL-6(interleukin-6), IL-1β(interleukin-1β), iNOS (inducible NO synthase), TNF-α (tumor necrosis factor-α) 또는 COX-2(cyclo oxygenase-2)의 발현을 억제하는 등의 각종 염증반응을 제어하는 효과가 뛰어나 항균, 항진균, 항염증 또는 항여드름용 조성물로서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스태필로코쿠스 에피데르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 및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에 대한 본 발명의 스콜로펜드라신-11 펩타이드가 갖는 항균/항진균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2는 마우스의 대식세포인 Raw264.7 세포에 대해 본 발명의 스콜로펜드라신-11 펩타이드가 갖는 세포독성을 MTS 어세이를 통해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스콜로펜드라신-11 펩타이드가 갖는 NO (nitric oxide)의 분비량 감소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스콜로펜드라신-11 펩타이드가 갖는 TNF-α (tumor necrosis factor-α), IL-6(interleukin-6) 및 IL-1β(interleukin-1β)의 mRNA발현 억제 효과를 qRT-PCR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통해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스콜로펜드라신-11 펩타이드가 갖는 iNOS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와 COX-2(cyclooxygenase-2)의 mRNA발현 억제 효과를 qRT-PCR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통해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스콜로펜드라신-11 펩타이드가 갖는 IL-6(interleukin-6) 및 IL-1β(interleukin-1β)의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를 ELIS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nzyme-linked immunospecific assay)를 통해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하여 제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왕지네 유래 항염증성 펩타이드 유전자 선발>
왕지네로부터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펩타이드 유전자를 확인하기 위해 먼저 왕지네의 면역화를 유도하였다. 왕지네의 면역화는 E. coli를 Tryptic Soy Broth (TSB) 액체 배지에서 37℃, 200 rpm 조건으로 진탕배양기에서 18시간 동안 1차 배양 후, 동일한 조건하에서 다시 2시간 30분 동안 2차 배양한 다음 10 mM sodium phosphate buffer (pH 7.4)로 세척하고 세포수가 2 × 106 콜로니 형성 단위(colony forming unit, CFU)가 되도록 취하여 왕지네의 체강에 미세주사기를 이용하여 주사하고 25℃에서 18시간 동안 사육하여 면역화를 유도하였다.
다음으로는 정상의 왕지네와 면역화시킨 왕지네의 total RNA를 이용하여 RNA 염기서열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각 군의 왕지네를 액체 질소로 급속 냉동시키고 막자사발에 갈아서 시료를 준비한 후 시료 100 mg과 트리졸(Trizol) 1 ml를 혼합하고 5분간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200 ㎕ chloroform을 첨가하여 섞어준 후 3분간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다음으로 4℃에서 12,000×g로 15분간 원심분리한 뒤 상층액을 취해 500 ㎕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4℃에서 12,000×g로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침전된 total RNA는 1 ml의 75%(v/v) 에탄올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4℃에서 7,500×g로 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원심분리 후 에탄올을 제거하고 건조시킨 다음 이를 멸균수에 녹여 RNA를 준비하였다. 준비된 total RNA는 Agilent 2100 Bioanalyzer 기기를 이용하여 RNA의 순도와 품질을 확인하였다.
이렇게 준비된 RNA의 염기서열 분석을 위해 Illumina HiSeq™ 2000 기기를 이용하였다. 왕지네 전사체들에 관한 유전자 정보를 확인하였으며 각각의 전사체들로부터 번역된 아미노산의 서열을 바탕으로 기존의 생리활성 펩타이드 성질을 참고하여 유니진 전체를 filtration하였으며 그 결과 새로운 생리활성 펩타이드로 추정되는 유전자를 선발하였다. 선별된 아미노산 서열은 MKIKMHLIILKK-NH2으로 12개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었으며 스콜로펜드라신-11(Scolopendrasin-11)로 명명하였다(표 1).
펩타이드 아미노산 서열
Scolopendrasin-11 MKIKMHLIILKK-NH2
<실시예 2. 스콜로펜드라신-11의 항균 및 항진균 활성 검정>
상기 실시예 1에서 확인된 왕지네로부터 유래하는 스콜로펜드라신-11 펩타이드의 항균 및 항진균 활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스콜로펜드라신-11 펩타이드에 대한 항균 활성 검정은 radial diffusion assay (RDA) 실험방법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citrate phosphate buffer(9 mM sodium phosphate, 1 mM sodium citrate, pH7.4)와 1%(w/v) type Ⅰ(low electroendosmosis) agarose, 0.03% Tryptic Soy Broth (TSB)로 구성된 멸균된 underlay gel에 배양된 세균(4 × 106 CFU/ml)을 넣고 혼합해준 뒤 사각플레이트에 붓고, underlay gel이 굳으면 지름 3mm의 구멍을 내어 펩타이드를 농도별로 5 ㎕씩 구멍에 loading 했다. 펩타이드가 균일하게 확산되도록 37℃에서 3시간 배양한 후, overlay agar(6% TSB, 1% agarose) 10 ml을 붓고 37℃에서 다시 배양하여 clear zone을 확인하고 직경을 측정하였다. 균주 사용은 여드름 유발균인 Propionibacterium acnes, 피부상재균인 Staphylococcus epidermidis, 진균류인 Candida albicans를 대표로 사용하였고 이에 대한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스콜로펜드라신-11 펩타이드는 균주 모두에 대해 농도의존적인 효과가 있으며 이와 같은 다양한 타입의 균주에 대해 항균능이 우수하여 전체적으로 광범위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된다.
<실시예 3. 스콜로펜드라신-11의 세포 독성 확인>
마우스의 대식세포인 Raw264.7 세포를 이용하여, 왕지네로부터 유래된 스콜로펜드라신-11의 세포 독성을 MTS(3-(4,5-dimethylthiazol-2-y)-5-(3-carboxymethoxyphenyl)-2-(4-sulfophenyl)-2H-tetrazolium, inner salt) assay로 확인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상기 MTS assay는 살아있는 미토콘드리아의 탈수소효소(Dehydrogenase)에 의해 노란색의 MTS 테트라졸리움(MTS tetrazolium)이 갈색빛을 띄는 보라색의 포마잔(Formazan)으로 전환될 때의 흡광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를 위해 Raw264.7 세포를 CO2 배양기(37℃, 5% CO2)에서 항생제(100 units/ml penicillin, 100 ㎍/ml streptomycin)와 10% fetal bovine serum (FBS)이 함유된 동물세포배양배지(DMEM)에서 배양하였고, 펩타이드의 처리를 위해 96-well 배양용기에 2 × 104 cell/well 농도의 세포를 100 ㎕ 씩 분주한 후, 스콜로펜드라신-11을 농도 의존적으로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이후 MTS 시약 10 ㎕ CellTiter 96® AQueous One Solution Reagent (Promega, USA)를 첨가하고 3 시간 동안 반응시켜 색의 변화를 확인하였고 이를 멀티 디텍터(multi detecter, Beckman, DTX8800)를 이용하여 450nm 파장에서 흡광도 측정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이에, 도 2와 같이 스콜로펜드라신-11은 Raw264.7 세포에 대해 측정된 최대 농도인 200 ㎍/ml까지 세포 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4. 스콜로펜드라신-11의 항염증 활성 검정>
실시예 4-1. Nitric oxide (NO) assay를 이용한 nitric oxide 억제능 확인
대식세포는 염증반응 시 일산화질소(NO)를 분비한다. 이에 Raw264.7 세포에서 LPS로 염증반응을 일으켜 NO의 분비량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Raw264.7 세포를 6-well에 각 1 × 106 cells/ml 세포수로 준비한 후 펩타이드를 농도별로 1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그 후 염증을 유발하기 위해 지질다당질(lipopolysaccharide, LPS)을 100 ng/ml 처리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이렇게 배양된 세포의 상등액 100 ㎕를 취하여 NO detection kit (intron)를 사용하여 LPS에 의해 염증이 유발된 Raw264.7 세포에서 분비된 NO의 양이 펩타이드에 의해 얼마나 감소되는지를 확인하였다. NO detection kit의 측정 결과는 멀티 디텍터(multi detecter, Beckman, DTX8800)를 이용하여 550nm 파장에서 흡광도 측정을 통해 분석하였고, 이에 대한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을 참고하면, 스콜로펜드라신-11 펩타이드를 처리할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NO의 분비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스콜로펜드라신-11 펩타이드는 염증에 대한 억제 효과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 4-2. Quantitative RT-PCR (qRT-PCR)를 이용한 사이토카인의 발현량 확인
염증이 유발되면 대식세포에서 염증유발인자인 사이토카인(cytokine)과 염증매개인자의 발현량이 증가된다. 이에 Raw264.7 세포에서 발현하는 사이토카인 중 대표적인 물질인 TNF-α, IL-6 및 IL-1β와 염증매개인자인 iNOS와 COX-2의 변화를 qRT-PCR 방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Raw264.7 세포를 6-well 배양용기에 각 1 × 106 cells/ml 세포수로 준비한 후 펩타이드를 농도별로 1시간 처리하였다. 그 후 염증을 유발하기 위해 LPS를 100 ng/ml 처리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상등액을 제거하고 인산염완충식염수(Phosphate-buffered saline, PBS)로 세척한 후 Raw264.7 세포를 수거하였다. 수거한 세포에 1 ml의 트리졸(Trizol) 용액을 혼합하고 5분간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이 때, Trizol 용액은 RNA나 DNA를 분리할 때 쓰는 시약이다. 클로로포름(chloroform)을 첨가하면 3개의 층으로 나누어지며 가장 밑층은 단백질, 중간층은 DNA가 존재하며 가장 상층에는 RNA가 존재하게 된다.
200 ㎕ 클로로포름을 첨가하여 섞어준 후 4℃에서 12,000×g로 1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이후 상층액을 취해 500 ㎕ isopropanol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4℃에서 12,000×g로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침전된 RNA는 1 ml의 75% 에탄올로 세척하고 4℃에서 7,500×g로 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원심분리 후 에탄올을 제거하고 건조시킨 다음 이를 멸균수에 녹여 RNA를 준비하였다. 그 후 1 ㎍의 total RNA를 이용하여 cDNA 합성키트(cDNA synthesis Kit)로 cDNA (complementary DNA)를 준비하고 하기 표 2에 나타낸 프라이머(primer)를 사용하여 qRT-PCR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도 4와 도 5에 나타내었다.
Name Sequence
TNF-α Forward 5’-ATGAGAAGTTCCCAAATGGC-3’
Reverse 5’-CTCCACTTGGTGGTTTGCTA-3’
IL-6 Forward 5’-GAGGATACCACTCCCAACAGACC-3’
Reverse 5’-AAGTGCATCATCGTTGTTCATACA-3’
IL-1β Forward 5’-CCTTCCAGGATGAGGACATGA-3’
Reverse 5’-TGAGTCACAGAGGATGGGCTC-3’
i-NOS Forward 5’-CAGCACAGGAAATGTTTCAGC-3’
Reverse 5’-TAGCCAGCGTACCGGATGA-3’
COX-2 Forward 5’-CAGACAACATAAACTGCGCCTT-3’
Reverse 5’-GATACACCTCTCCACCAATGACC-3’
GAPDH Forward 5’-AAGGTCATCCCAGAGCTGAA-3’
Reverse 5’-CTGCTTCACCACCTTCTTGA-3’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사이토카인 TNF-α, IL-6 및 IL-1β와 염증매개인자인 iNOS와 COX-2의 mRNA 발현이 스콜로펜드라신-11의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스콜로펜드라신-11이 염증 질환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입증한다.
실시예 4-3.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를 이용한 사이토카인의 발현량 확인
다음으로는 대식세포에서의 IL-6와 IL-1β에 대한 단백질 발현량을 ELISA로 확인하였다. Raw264.7 세포를 6-well 배양용기에 각 1 × 106 cells/ml 세포수로 준비한 후 스콜로펜드라신 11 펩타이드를 농도별로 1시간 처리하였다. 그 후 염증을 유발하기 위해 LPS를 100 ng/ml 처리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의 상등액을 수거하였고, 상등액 내 포함된 IL-6, IL-1β의 함량을 ELIS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kit와 멀티 디텍터(multi detecter, Beckman, DTX8800)를 이용하여 측정 및 정량하였고, 그 결과는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를 참고하면 IL-6와 IL-1β의 단백질 발현량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스콜로펜드라신-11이 염증 질환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입증한다.
<110> REPUBLIC OF KOREA(MANAGEMENT :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20> Antimicrobial, anti-inflammatory and anti-acne composition containing the Scolopendrasin-11 peptide from Scolopendra subspinipes mutilans as an active component <160> 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2 <212> PRT <213> Unknown <220> <223> Scolopendra subspinipes mutilans <400> 1 Met Lys Ile Lys Met His Leu Ile Ile Leu Lys Lys 1 5 10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항균, 항진균, 항염증 또는 항여드름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항균은 스태필로코쿠스 에피데르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또는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항균 활성이고,
    상기 항진균은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에 대한 항진균 활성인, 조성물.
  6.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8.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질환은 염증성 장질환, 염증성 콜라겐 혈관 질환, 사구체신염, 염증성 피부 질환, 유육종증, 망막염, 위염, 간염, 장염, 관절염, 편도선염, 인후염, 기관지염, 폐렴, 췌장염, 패혈증 및 신장염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180159113A 2018-12-11 2018-12-11 왕지네 유래의 스콜로펜드라신-11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균, 항진균, 항염증 또는 항여드름용 조성물 KR102146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113A KR102146922B1 (ko) 2018-12-11 2018-12-11 왕지네 유래의 스콜로펜드라신-11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균, 항진균, 항염증 또는 항여드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113A KR102146922B1 (ko) 2018-12-11 2018-12-11 왕지네 유래의 스콜로펜드라신-11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균, 항진균, 항염증 또는 항여드름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402A KR20200071402A (ko) 2020-06-19
KR102146922B1 true KR102146922B1 (ko) 2020-08-21

Family

ID=71137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113A KR102146922B1 (ko) 2018-12-11 2018-12-11 왕지네 유래의 스콜로펜드라신-11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균, 항진균, 항염증 또는 항여드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69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6833B1 (ko) * 2020-10-16 2023-02-08 대한민국 왕지네 유래 펩타이드 스콜로펜드라신-12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511151B1 (ko) * 2020-10-16 2023-03-20 대한민국 왕지네 유래 펩타이드 스콜로펜드라신-13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220073682A (ko) 2020-11-26 2022-06-0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왕지네 원산지 구별을 위한 미코콘드리아 dna 마커 세트
KR102255610B1 (ko) 2021-02-15 2021-05-26 대한민국(식품의약품안전처장) 왕지네의 기원종 감별용 유전자 마커
KR20230173444A (ko) 2022-06-17 2023-12-2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무를 선별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73977B2 (ja) * 2014-06-24 2017-08-02 株式会社スギノマシン ローラバニシング工具
KR101625502B1 (ko) 2014-11-13 2016-05-3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대장상피세포의 성장을 촉진하는 신규 스콜로펜드라신-4 펩타이드 및 그의 조성물
KR101697179B1 (ko) 2014-11-14 2017-01-1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스콜로펜드라신-1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00603B1 (ko) 2015-06-09 2017-02-14 대한민국 바퀴벌레에서 유래한 항균 펩타이드 페리플라네타신-1 및 그의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Vol. 494, pp. 352-357(2017.10.05.)
BMB Rep., Vol. 48, No. 8, pp. 479-484(2015.)
Funct. Integr. Genomics, Vol. 14, pp. 275-283(2014.03.21.)
국립농업과학원 공고 제2016-415호, 입찰품목명세서(2016.06.2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402A (ko) 2020-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6922B1 (ko) 왕지네 유래의 스콜로펜드라신-11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균, 항진균, 항염증 또는 항여드름용 조성물
KR101124441B1 (ko)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map) 및 메틸설포닐메탄(msm)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용 조성물
KR101685121B1 (ko) 발효 밤송이 추출 정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용 조성물
KR102335297B1 (ko) 초고압 처리된 아티초크 잎, 동백나무 잎 및 케이퍼 열매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부자극에 의한 가려움증 완화 또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087378A (ko) 9잔기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용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KR20150050631A (ko)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를 함유하는 항염증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090055261A (ko) 소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의 개선 및치료용 조성물
KR100713030B1 (ko) 항균활성을 갖는 작두콩 추출물의 정제방법
KR101541842B1 (ko) 발효 밤송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항산화, 또는 항염용 조성물
KR20180031937A (ko) 항염효과를 갖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23241B1 (ko) 항염증 활성을 갖는 클로렐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2488864B1 (ko)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세균총의 생장 조절 또는 피부 면역 강화용 조성물
KR20210063048A (ko) 아롱 부챗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의학적 조성물
KR101557788B1 (ko) 무당벌레 유충 유래 신규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항염증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068521B1 (ko) 테레오그릴루신 2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여드름 또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82002A (ko) 이소세코타나파솔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67700A (ko) 흑초 및 나이아신아마이드를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49082A (ko) 발효 밤송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방지 및 항균 조성물
KR102408170B1 (ko) 아이소프로컬큐메놀을 함유하는 항노화 또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KR102408169B1 (ko) 오카닌을 함유하는 항노화 또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KR102629699B1 (ko) 피노스트로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WO2023096345A1 (ko)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31340A (ko) 편백 추출물의 상황버섯 균사체 발효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70022223A (ko) 리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백 조성물
KR20090017343A (ko) 도인피 추출물 및 분획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