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6788B1 - 회전축의 회전 위치 결정 기구 - Google Patents

회전축의 회전 위치 결정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6788B1
KR102146788B1 KR1020180167081A KR20180167081A KR102146788B1 KR 102146788 B1 KR102146788 B1 KR 102146788B1 KR 1020180167081 A KR1020180167081 A KR 1020180167081A KR 20180167081 A KR20180167081 A KR 20180167081A KR 102146788 B1 KR102146788 B1 KR 102146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driven member
teeth
gear
pressure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7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8743A (ko
Inventor
징-산 장
Original Assignee
산제트 인터내셔널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제트 인터내셔널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산제트 인터내셔널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180167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6788B1/ko
Publication of KR20200078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8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6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6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26Racks
    • F16H55/28Special devices for taking up backla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 B23Q1/44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using particular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52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parts of devices for automatically inserting or removing tools
    • B23Q3/1554Transfer mechanisms, e.g. tool gripping arms; Drive mechanisms theref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회전축의 회전 위치 결정 기구는, 가지런히 인접되게 설치되어 상대적 이동이 가능한 제1 종동 부재 및 제2 종동 부재를 포함하며, 제1 종동 부재와 제2 종동 부재는 어긋나게 설계된 치열을 구비하여 동시에 기어와 맞물리며, 제1 종동 부재와 제2 종동 부재가 반대되는 힘의 작용을 받으면 기어를 밀면서 클램핑하여 흔들리지 않게 한다. 기어가 회전축의 일부분이고 또한 회전축의 일단에 부품이 결합되면, 부품은 회전 동작을 진행할 수 있으며, 회전하여 위치 결정 지점에 도달했을 때 흔들리지 않고 정밀하게 위치 결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축의 회전 위치 결정 기구{ROTARY POSITIONING MECHANISM FOR A ROTATING SHAFT}
본 발명은 전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전축에 대해 회전 위치 결정 효과를 발생시키는 기어 전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전동 기구란 동력에 의해 제공되는 운동 방식, 방향 또는 속도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을 말하며, 일반적으로는 부재들 사이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동력을 전달하거나 또는 맞물림 방식을 이용하여 동력을 전달함으로써 기계 부재가 운동 또는 운전하게 한다. 맞물림 전동 기구를 예로 들면, 톱니들 사이의 상호 맞물림을 통해 운동 전달이 확실하고 적용 하중이 큰 효과를 발휘하므로, 공작 기계에 광범위하게 응용된다.
도 1~도 3에 도시된 것은 종래의 기어 전동 기구이며, 이는 랙(racks, 1)이 왕복 이동하도록 구동시켜 랙과 맞물리는 기어(2)가 정역 반향으로 회전하도록 전동하며, 이러한 배치 방식은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기어(2)가 회전축(3)의 일부분일 경우, 회전축(3)의 일단에 결합된 부품을 움직여 대응되게 회전시킬 수 있다. 공작기계의 공구교환암(4)을 예로 들면, 회전축(3)의 일단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공구 교환 작업을 수행하나, 공구 교환암(4)의 정지 상태에서, 랙(1)의 톱니(1a)와 기어(2)의 톱니(2a)의 맞물림 부위 사이에 백 래시(G)가 존재함으로, 회전축(3)은 여전히 미세한 회전 공간이 생기게 되며, 이 경우 공구 교환암(4)을 흔들리지 않는 정지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 결정할 수 없어 곤란하게 되며, 유사한 상황은 부품이 공구 교환암인 경우에만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부품이 회전대인 다른 경우에도 백 래시의 존재로 인해 운동 정지 상태에서 최적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어렵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기구가 운동을 정지한 상태에서 회전축에 대해 매우 정밀한 위치 결정이 가능한 회전축의 회전 위치 결정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에 도달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어를 구비하는 회전축의 회전 위치 결정 기구를 제공하며, 회전 위치 결정 기구는 제1 치열을 구비한 제1 종동 부재 및 제2 치열을 구비한 제2 종동 부재를 포함하며, 제1 종동 부재와 제2 종동 부재는 가지런히 인접되게 설치되며, 기어는 제1 치열 및 제2 치열과 동시에 맞물리며, 제1 종동 부재가 제1 방향 힘의 작용을 받고, 제2 종동 부재가 제2 방향 힘의 작용을 받으며, 또한 제1 방향 힘과 제2 방향 힘의 방향이 반대이면, 제1 치열과 제2 치열은 기어를 밀면서 클램핑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제1 종동 부재와 제2 종동 부재가 상대적 이동이 가능한 것을 통해 반대 힘의 작용을 받으면 기어를 흔들리지 않도록 클램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어 전동 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회전 위치 결정 기구와 회전축의 배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부분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 위치 결정 기구와 회전축의 분해도이다.
도 8은 도 7의 구성요소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9-9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부분 단면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부분 단면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4는 도 10과 유사하며, 회전축의 회전 상태를 나타낸다.
도 15는 도 11과 유사하며, 도 14에 대응되는 회전축의 회전 상태를 나타낸다.
도 16a 및 도 16b는 각각 도 14의 "B" 부분 및 "C" 부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7은 사시도이며, 회전 위치 결정 기구가 고정링 및 바이어스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을 더욱 정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과 결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도 6에 도시한 회전 위치 결정 기구(100)는 회전축(200)의 전동에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축(200)은 기어(201)를 구비하고, 회전축(200)의 일단에 부품(미도시)을 결합하여 부품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적용 경우에 따라, 상기 부품은 공작기계의 공구교환암 또는 기타 회전하며 회전 정지 시 정밀하게 위치 결정되어야 하는 부품일 수 있다.
회전 위치 결정 기구(100)는 가지런히 인접되게 설치되어 상대적 이동이 가능한 제1 종동 부재(10)와 제2 종동 부재(20)를 포함하며, 제1 종동 부재(10)는 제1 치열(12)을 구비하고, 제2 종동 부재(20)는 제2 치열(22)을 구비하며, 회전축(200)의 기어(201)는 제1 치열(12) 및 제2 치열(22)과 동시에 맞물린다. 본 실시예에서, 기어(201)는 원주를 따라 설치된 복수의 맞물림 톱니(201a)를 구비한 스퍼 기어(Spur gears)이며, 제1 종동 부재(10)와 제2 종동 부재(20)는 각각 독립된 랙(Racks)이며, 서로 평행축(Parallel shafts) 방식으로 배치된다. 회전 위치 결정 기구(100)가 운동을 정지하고 회전축(200)이 회전을 정지할 때, 제1 종동 부재(10)는 제1 방향 힘(F1)의 작용을 받고, 제2 종동 부재(20)는 제2 방향 힘(F2)의 작용을 받으며, 제1 방향 힘(F1)과 제2 방향 힘(F2)의 방향은 반대로서, 제1 치열(12)과 제2 치열(22)이 어긋나게 배치되도록 하여 백래시를 제거함으로써, 기어(201)를 밀면서 클램핑하여 회전축(200)이 흔들리지 않는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축(200)의 일단에 결합된 부품이 정밀하게 위치 결정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제1 방향 힘(F1)과 제2 방향 힘(F2) 중 하나는 작용력이고, 다른 하나는 반작용력일 수 있으며, 또한 다른 압력소스에 의한 것도 배제할 수 없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서의 회전 위치 결정 기구(100)는 상기 제1 종동 부재(10)와 제2 종동 부재(20)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또한 회전시트(30), 실린더 튜브(40), 제1 가압실린더(50), 제2 가압실린더(60), 제1 푸싱 부재(70), 제2 푸싱 부재(80) 및 제어 모듈(90)을 더 포함한다. 회전시트(30)는 중간에 위치하고 외부에 베어링(202) 및 밀봉링(203)이 끼움 설치된 회전축(200)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 설치되는 축홀(32)을 구비하며, 회전축(200)의 일단은 회전시트(30)를 관통하여 나와 부품(공구교환암)이 결합될 수 있으며, 회전시트(30)의 상대적 양측에는 각각 원통형의 실린더 튜브(40)가 연결되며, 상기 2개의 실린더 튜브(40) 외부에 제1 가압실린더(50)와 제2 가압실린더(60)가 각각 연결되고, 각 실린더 튜브(40) 내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 푸싱 부재(70)와 제2 푸싱 부재(80)가 각각 설치되며, 제어 모듈(90)은 제1 가압실린더(50)가 제1 방향 힘(F1)을 발생시켜 제1 푸싱 부재(70)에 작용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제2 가압실린더(60)가 제2 방향 힘(F2)을 발생시켜 제2 푸싱 부재(80)에 작용하도록 제어한다. 상술한 제1 방향 힘(F1)과 제2 방향 힘(F2)의 발생은 유압 또는 기압에 의한 것일 수 있으며, 제어 모듈(90)은 유압 또는 기압의 흐름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전자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가압실린더(50)와 제2 가압실린더(60) 중 하나에 의해 방향성 힘이 발생될 때, 다른 하나는 압력이 방출된 상태에 있다.
본 실시예의 제1 종동 부재(10)와 제2 종동 부재(20)는 길이가 동일한 랙이며, 제1 종동 부재(10)의 제1 치열(12)은 축방향으로 배열 설치된 복수의 제1 톱니(14)로 구성되며, 각각의 제1 톱니(14)는 서로 등지는 제1 전방 톱니면(14a) 및 제1 후방 톱니면(14b)을 구비하며, 인접한 제1 톱니(14) 사이에 제1 톱니골(16)이 형성되며, 제2 종동 부재(20)의 제2 치열(22)은 축방향으로 배열 설치된 복수의 제2 톱니(24)로 구성되며, 각각의 제2 톱니(24)는 서로 등지는 제2 전방 톱니면(24a)과 제2 후방 톱니면(24b)을 구비하며, 인접한 제2 톱니(24) 사이에 제2 톱니골(26)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치열(12)의 톱니 간격은 제2 치열(22)의 톱니 간격과 동일하나, 제1 치열(12)과 제2 치열(22)이 완전히 정렬된 위치에 위치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제1 종동 부재(10)와 제2 종동 부재(20)의 양단이 정렬되었을 때, 제1 치열(12)과 제2 치열(22)은 어긋나지만, 어긋나는 차이는 여전히 하나의 맞물림 톱니가 대응하는 제1 톱니골(16)과 제2 톱니골(26) 내로 들어갈 수 있는 정도이다.
제1 종동 부재(10)와 제2 종동 부재(20)는 회전시트(30)의 관통홀(34)에 가지런히 인접되게 관통 설치되고, 양단은 실린더 튜브(40) 내까지 연신되어 회전축(200)과 직교하게 배치되며, 제1 종동 부재(10)와 제2 종동 부재(20)는 피스톤 구조에 속하는 제1 푸싱 부재(70)와 제2 푸싱 부재(80) 사이에 위치하며, 제1 푸싱 부재(70)는 제1 종동 부재(10)의 일단에 밀착되는 제1 밀착면(72)을 구비하며, 제2 푸싱 부재(80)는 제2 종동 부재(20)의 일단에 밀착되는 제2 밀착면(82)을 구비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회전 위치 결정 기구(10)에서, 제1 가압실린더(50)는 제1 방향 힘(F1)을 발생시켜 제1 푸싱 부재(70)에 작용하고, 제1 푸싱 부재(70)는 제1 종동 부재(10)를 오른쪽으로 밀고, 제2 푸싱 부재(80)는 제2 가압실린더(60)가 압력 방출 상태이므로 제2 가압실린더(60)의 내측벽에 정지되어, 제2 종동 부재(20)가 반작용력(즉 제2 방향 힘(F2))을 받도록 한다. 도 11~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모듈(90)이 제어 동작을 정지하여, 제1 종동 부재(10)와 제2 종동 부재(20)도 운동을 정지하도록 하면, 제1 톱니(14)의 제1 전방 톱니면(14a)과 제2 톱니(24)의 제2 후방 톱니면(24b)이 전후로 제1 반경 방향 라인(L1) 상의 대응되는 맞물림 톱니(201a)의 상대적 양측의 톱니면에 밀착되며, 이때의 맞물림 톱니(201a)와 제1 톱니(14) 및 제2 톱니(24) 사이는 백래시가 전혀 존재하지 않으며, 이로써, 회전축(200)은 회전을 정지하고 흔들리지 않는 안정 상태를 유지하여, 회전축(200)의 일단에 결합된 부품도 정밀하게 위치 결정되도록 하며, 동시에, 제1 치열(12)과 제2 치열(22)의 어긋나게 배치된 설계로 인해, 제1 종동 부재(10)의 타단과 제2 밀착면(82)은 간격(G1)을 유지하고, 제2 종동 부재(20)의 타단과 제1 밀착면(72)은 동일한 간격(G1)을 유지하게 된다.
회전축(200)을 회전시키고자 할 경우, 제어 모듈(90)은 제2 가압실린더(60)가 제2 방향 힘(F2)을 발생시켜 제2 푸싱 부재(80)에 작용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변경되며, 제1 가압실린더(50)는 압력 방출 상태로 전환되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절차에서의 제1 방향 힘(F1)은 존재하지 않으며, 제2 방향 힘(F2)은 더 이상 반작용력이 아니므로, 제2 푸싱 부재(80)는 제2 종동 부재(20)를 왼쪽으로 밀어 이동시켜, 제2 톱니(24)가 직선 방향으로 맞물림 톱니(201a)를 푸싱하도록 하며,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때 원래 제1 반경 방향 라인(L1) 상에 위치한던 맞물림 톱니(201a)가 제2 반경 방향 라인(L2)으로 편향하는 과정에서, 제1 종동 부재(10)를 동기 푸싱하여 제2 종동 부재(20)와 동일한 평행 이동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제2 종동 부재(20)가 직선 방향으로 기어(201)를 푸싱하고, 기어(201)는 회전 방식으로 제1 종동 부재(10)를 푸싱하므로, 제1 종동 부재(10)의 이동 행정은 제2 종동 부재(20)의 이동 행정보다 약간 크며,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한 바를 참조하면, 이 경우 제1 종동 부재(제2 종동 부재(20))의 제2 밀착면(82)(제1 밀착면(72))에 접촉하지 않는 일단과 제2 밀착면(82)(제1 밀착면(72)) 사이에 간격(G2)은 상기 도 13에 도시한 상태의 간격(G1)보다 약간 크며, 동시에 또한 제1 톱니(14)가 제2톱니(24)와 거의 겹치는 위치로 접근하게 하며, 이와 같이 기어(201)의 맞물림 톱니(201a)와 종동 부재의 톱니 사이에 백래시가 생기게 하면, 제1 종동 부재(10)와 제2 종동 부재(20)가 원활하게 맞물리면서 회전축(200)을 회전시키는데 유리하다.
제1 푸싱 부재(70)가 제1 가압실린더(50)의 내측벽까지 이동하여 정지하면, 제어 모듈(90)은 제어 동작을 정지하고, 이때의 제2 푸싱 부재(80)는 여전히 실린더 튜브(40) 내의 유압 또는 기압을 받아 제2 방향 힘(F2)의 작용을 받으며, 제1 푸싱 부재(70)는 제1 가압실린더(50)의 내측벽에 정지되어 반작용력(제1 방향 힘(F1))의 작용을 받으며, 이는 종동 부재 일단과 푸싱 부재의 밀착면 사이의 거리가 다시 간격(G1)으로 축소되게 하고, 이로 인해 제1 톱니(14)의 제1 전방 톱니면(14a)과 제2 톱니(24)의 제2 후방 톱니면(24b)이 다시 전후로 대응되는 맞물림 톱니의 상대적 양측의 톱니면에 밀착되며, 이로써 회전축(200)의 회전 제어가 완료되며, 회전축(200)은 회전을 정지하고 흔들리지 않는 안정한 상태를 유지한다.
상술한 바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가지런히 인접되게 설치되어 상대적 이동이 가능한 제1 종동 부재(10)와 제2 종동 부재(20)를 통해 동시에 맞물리면서 기어(201)를 회전시키고, 제1 종동 부재(10)와 제2 종동 부재(20) 중의 하나가 저항을 받아 전진할 수 없으면, 각각 작용력과 반작용력의 짝을 이루는 힘의 영향을 받아 기어(201)의 맞물림톱니(201a)를 밀면서 클램핑하여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회전축(200)의 일단에 결합된 부품이 공구교환암일 경우, 공구교환암이 위치 결정 지점까지 회전하여 도달할 때 미세한 흔들림도 없이 정밀하게 위치 결정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17를 참고하면, 상기 실시예의 제1 종동 부재(10)와 제2 종동 부재(20)의 외부에는 상호간의 상대적 위치를 안정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링(18)에 선택적으로 끼움 설치되며, 도면에서는 2개의 고정링을 사용하여 종동 부재의 양단에 끼움 설치하는 것을 도시하였다. 그밖에, 회전시트(30)에 바이어스 부재(36)를 증설하여, 제1 종동 부재(10)와 제2 종동 부재(20)에 편향 압력을 제공하여 기어와 치열 사이에 양호한 맞물림 관계를 유지하도록 하며, 바이어스 부재(36)는 제1 종동 부재(10) 및 제2 종동 부재(20)의 외형 윤곽과 매칭되는 접촉면(36a)을 구비하며, 편향 압력은 스프링에 의한 것일 수 있으며, 또한 위치 조절 가능한 볼트에 의해 얻을 수도 있으며, 상기 볼트는 회전시트(30)의 나사홀에 나사 결합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방식은 직선 방향으로 설치된 치열을 구비한 랙에 의해 달성되나, 기타의 실시예에서는 인터널 기어(Internal gears)와 스퍼 기어(Spur gears)의 조합에 의해 달성될 수 있으며, 회전축의 기어는 여전히 스퍼 기어이고, 제1 종동 부재와 제2 종동 부재는 각각 가지런히 인접되게 설치되고 스퍼 기어와 동일한 회전 중심을 가지며 또한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한 인터널 기어이며, 인터널 기어의 치열은 링 형상이며 또한 양자는 여전히 어긋나게 배치된 설계이며, 이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회전축을 회전시키고, 정지 상태에서 회전축에 대해 위치 제한 효과를 발생시켜 흔들리지 않게 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뿐이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따른 등가 변화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100: 회전 위치 결정 기구
10: 제1 종동 부재
12: 제1 치열
14: 제1 톱니
14a: 제1 전방 톱니면
14b: 제1 후방 톱니면
16: 제1 톱니골
18: 고정링
20: 제2 종동 부재
22: 제2 치열
24: 제2 톱니
24a: 제2 전방 톱니면
24b: 제2 후방 톱니면
26: 제2 톱니골
30: 회전시트
32: 축홀
34: 관통홀
36: 바이어스 부재
36a: 접촉면
40: 실린더 튜브
50: 제1 가압실린더
60: 제2 가압실린더
70: 제1 푸싱 부재
72: 제1 밀착면
80: 제2 푸싱 부재
82: 제2 밀착면
90: 제어 모듈
200: 회전축
201: 기어
201a: 맞물림 톱니
202: 베어링
203: 밀폐링
G1, G2: 간격
F1: 제1 방향 힘
F2: 제2 방향 힘
L1: 제1 반경 방향 라인
L2: 제2 반경 방향 라인

Claims (9)

  1. 기어를 구비하는 회전축의 회전 위치 결정 기구에 있어서,
    제1 치열을 구비한 제1 종동 부재; 및
    상기 제1 종동 부재에 가지런히 인접되며 제2 치열을 구비한 제2 종동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의 상기 기어는 상기 제1 치열 및 상기 제2 치열과 동시에 맞물리며, 이를 통해, 상기 제1 종동 부재가 제1 방향 힘의 작용을 받고, 상기 제2 종동 부재가 제2 방향 힘의 작용을 받으며, 또한 상기 제1 방향 힘과 상기 제2 방향 힘의 방향이 반대이면, 상기 제1 치열과 상기 제2 치열은 상기 기어를 밀면서 클램핑하고,
    상기 제1 종동 부재와 상기 제2 종동 부재의 외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링이 공동으로 끼움 설치되는,
    회전축의 회전 위치 결정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 힘과 상기 제2 방향 힘 중 하나는 작용력이며, 다른 하나는 반작용력인, 회전축의 회전 위치 결정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제1 푸싱 부재와 제2 푸싱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푸싱 부재는 제1 밀착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2 푸싱 부재는 제2 밀착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종동 부재와 상기 제2 종동 부재는 상기 제1 푸싱 부재와 상기 제2 푸싱 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종동 부재의 일단은 상기 제1 밀착면에 밀착되며, 상기 제1 종동 부재의 일단 타단은 상기 제2 밀착면과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제2 종동 부재의 일단은 상기 제2 밀착면에 밀착되며, 상기 제2 종동 부재의 타단은 상기 제1 밀착면과 간격을 유지하는, 회전축의 회전 위치 결정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제1 가압실린더와 제2 가압실린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압실린더가 상기 제1 방향 힘을 발생시켜 상기 제1 종동 부재에 작용할 경우, 상기 제2 푸싱 부재는 상기 제2 종동 부재에 대해 반작용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제2 가압실린더가 상기 제2 방향 힘을 발생시켜 제2 종동 부재에 작용할 경우, 상기 제1 푸싱 부재는 상기 제1 종동 부재에 대해 반작용력을 발생시키는, 회전축의 회전 위치 결정 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에 의해 상기 제1 가압실린더와 상기 제2 가압실린더 중 하나가 방향성 힘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면, 상기 제1 가압실린더와 상기 제2 가압실린더 중 다른 하나는 압력 방출 상태인, 회전축의 회전 위치 결정 기구.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상기 기어는 원주를 따라 설치된 복수의 맞물림 톱니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종동 부재의 제1 치열은 축방향으로 배열 설치된 복수의 제1 톱니를 구비하고 인접한 제1 톱니 사이에 제1 톱니골을 형성하며, 상기 제2 종동 부재의 제2 치열은 축방향으로 배열 설치된 복수의 제2 톱니를 구비하고 인접한 제2 톱니 사이에 제2 톱니골을 형성하며, 상기 맞물림 톱니는 대응되는 상기 제1 톱니골과 상기 제2 톱니골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톱니골과 상기 제2 톱니골은 어긋나게 설치되는, 회전축의 회전 위치 결정 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각 상기 제1 톱니는 서로 등지는 제1 전방 톱니면 및 제1 후방 톱니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톱니는 서로 등지는 제2 전방 톱니면과 제2 후방 톱니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톱니의 제1 전방 톱니면과 상기 제2 톱니의 제2 후방 톱니면은 각각 대응되는 맞물림 톱니의 상대적 양측의 톱니면에 밀착되거나 또는 상기 제1 톱니의 제1 후방 톱니면과 상기 제2 톱니의 제2 전방 톱니면은 각각 대응되는 맞물림 톱니의 상대적 양측의 톱니면에 밀착되는, 회전축의 회전 위치 결정 기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종동 부재와 상기 제2 종동 부재에 편향 압력을 제공하여, 제1 치열과 상기 제2 치열이 상기 기어에 맞물리도록 하는 바이어스 부재를 포함하는, 회전축의 회전 위치 결정 기구.
  9. 삭제
KR1020180167081A 2018-12-21 2018-12-21 회전축의 회전 위치 결정 기구 KR102146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081A KR102146788B1 (ko) 2018-12-21 2018-12-21 회전축의 회전 위치 결정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081A KR102146788B1 (ko) 2018-12-21 2018-12-21 회전축의 회전 위치 결정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8743A KR20200078743A (ko) 2020-07-02
KR102146788B1 true KR102146788B1 (ko) 2020-08-24

Family

ID=71599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7081A KR102146788B1 (ko) 2018-12-21 2018-12-21 회전축의 회전 위치 결정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678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2528A (ja) * 2004-10-14 2006-04-27 Funai Electric Co Ltd 伝動機構のバックラッシュ除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9923A (en) * 1992-01-24 1993-03-02 Bimba Manufacturing Company Antibacklash rack assemb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2528A (ja) * 2004-10-14 2006-04-27 Funai Electric Co Ltd 伝動機構のバックラッシュ除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8743A (ko) 202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0384B1 (en) Fluid power rotary drive device
KR102146788B1 (ko) 회전축의 회전 위치 결정 기구
JP4038118B2 (ja) 流体圧シリンダ
EP3276294B1 (en) Displacement system of motor attachment angle in imitation gun
KR100918619B1 (ko) 롤러 스크류 방식의 리니어 액츄에이터
US3696686A (en) Control apparatus
JP5724865B2 (ja) レンズ鏡筒及びレンズユニット
TWM573396U (zh) Rotary axis rotary positioning mechanism
CN111156299A (zh) 旋转轴的回转定位机构
TWI663348B (zh) 旋轉軸之迴轉定位機構
CN115045995A (zh) 一种档位调节装置及其调节方法
US20080250921A1 (en) Stroke adjustment mechanism for reciprocating pumps
US6199588B1 (en) Servovalve having a trapezoidal drive
US20180164568A1 (en) Microscope with friction drives
KR101887475B1 (ko) 전동 액추에이터
CN112424498B (zh) 离合器致动器
JP2020106062A (ja) 回転軸の回動位置決め装置
CN210600070U (zh) 传动组件及束光器
JP2782036B2 (ja)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JP6335549B2 (ja) クラッチユニット、および、モータ
KR20150050841A (ko) 평활축 베어링 스크류 이송장치
JP7427858B2 (ja) 送りねじクラッチ機構
JP6507605B2 (ja) 差動歯車変速機構
JP2014031818A (ja) 双方向直動機構
TWI764245B (zh) 齒輪動力裝置與背隙調整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