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6431B1 -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기반 쌍방향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기반 쌍방향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6431B1
KR102146431B1 KR1020180155386A KR20180155386A KR102146431B1 KR 102146431 B1 KR102146431 B1 KR 102146431B1 KR 1020180155386 A KR1020180155386 A KR 1020180155386A KR 20180155386 A KR20180155386 A KR 20180155386A KR 102146431 B1 KR102146431 B1 KR 102146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harging
display
boarding
uni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5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8418A (ko
Inventor
정도훈
Original Assignee
정도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도훈 filed Critical 정도훈
Priority to KR1020180155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6431B1/ko
Publication of KR20200068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8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6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6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gital information display, DID) 기반 쌍방향 통신 장치가 개시된다. 이 장치는 터치패널과 일체로 결합된 디지털 디스플레이, 관리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외부의 전자 기기로 220V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전원 콘센트, 임의의 모바일 기기로 DC 5V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유선 충전 케이블, 모바일 기기를 충전시키기 위한 복수의 무선 충전 패드, 가용 유선 충전 케이블의 수를 표시하기 위한 제 1 세그먼트 디스플레이, 가용 무선 충전 패드의 수를 표시하기 위한 제 2 세그먼트 디스플레이, 및 전체 유선 충전 케이블 중에서 가용 유선 충전 케이블의 수를 파악하고 전체 무선 충전 패드 중에서 가용 무선 충전 패드의 수를 파악하여 각각 제 1 세그먼트 디스플레이와 제 2 세그먼트 디스플레이에 표시 제어하는 충전 현황 관리부와,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광고 콘텐츠를 디지털 디스플레이에 표시 제어하는 광고 제공부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기반 쌍방향 통신 장치{Bidirectional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digital information display}
본 발명은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광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반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라 함은 포스터, 안내 표시, 간판 등 기존의 아날로그 광고판을 디지털 디스플레이를 활용해 각종 정보와 광고를 제공하는 디지털 게시판을 이르는 말이다.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gital Information Display, DID)라고도 한다. 디지털 사이니지는 애초 입력된 정보만 전해주는 수준에 그쳤다. 하지만 터치패널 등과 결합해 양방향 통신 서비스로 발전하면서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87306호 (2017년 7월 28일 공개)
본 발명은 공공장소에서 현대 생활의 필수품인 모바일 기기에 대한 유무선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되, 원거리에서도 유선 충전 및 무선 충전의 가용 수를 확인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기반 쌍방향 통신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합실에서 대기중인 예비 탑승객들의 성별 및 연령대에 맞춰 복수 광고 콘텐츠의 재생을 스케줄링하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기반 쌍방향 통신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예비 탑승객이 피보호자일 경우에는 그 예비 탑승객의 영상과 탑승권 정보를 보호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기반 쌍방향 통신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일 양상에 따른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운용되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gital information display, DID) 기반 쌍방향 통신 장치는 터치패널과 일체로 결합된 디지털 디스플레이, 관리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외부의 전자 기기로 220V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전원 콘센트, 임의의 모바일 기기로 DC 5V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유선 충전 케이블, 모바일 기기를 충전시키기 위한 복수의 무선 충전 패드, 가용 유선 충전 케이블의 수를 표시하기 위한 제 1 세그먼트 디스플레이, 가용 무선 충전 패드의 수를 표시하기 위한 제 2 세그먼트 디스플레이, 및 전체 유선 충전 케이블 중에서 가용 유선 충전 케이블의 수를 파악하고 전체 무선 충전 패드 중에서 가용 무선 충전 패드의 수를 파악하여 각각 제 1 세그먼트 디스플레이와 제 2 세그먼트 디스플레이에 표시 제어하는 충전 현황 관리부와,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광고 콘텐츠를 디지털 디스플레이에 표시 제어하는 광고 제공부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무선 충전 패드는 패드상에 놓여진 모바일 기기로부터 모바일 기기의 기기명 정보를 리딩하는 무선 리더기를 포함하고, 자기 유도 방식과 근거리 자기 공진 방식 및 원거리 마이크로파 방식을 모두 지원하는 통합형 무선 충전 패드이며, 제어부는 무선 리더기에 의해 리딩된 기기명 정보에 대응되는 무선 충전 방식을 확인하고, 확인된 무선 충전 방식에 따라 무선 충전 패드의 자기 유도 방식과 근거리 자기 공진 방식 및 원거리 마이크로파 방식 중에서 해당되는 방식만을 활성화 제어하는 무선 충전 활성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기반 쌍방향 통신 장치는 성별 및 연령대별로 대응되는 광고 콘텐츠가 저장된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광고 제공부는 관리 서버로부터 탑승권을 예약한 예약자들의 탑승 예약 시간과 성별 및 연령대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탑승 예약 시간을 고려하여 공공장소인 대합실에서 탑승 대기중일 예약자들의 성별 및 연령대별 비중을 파악하고, 파악된 비중에 따라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된 광고 콘텐츠별 재생 횟수를 달리 결정하며, 그 결정에 맞춰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된 성별 및 연령대별 광고 콘텐츠를 디지털 디스플레이에 표시 제어할 수 있다.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기반 쌍방향 통신 장치는 예약자의 탑승권을 인식하는 탑승권 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인식된 탑승권 정보에 따른 탑승 장소가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기반 쌍방향 통신 장치가 설치된 공공장소와 일치할 경우 탑승권 정보에 속하는 예약자 아이디(ID)에 대응되는 보호자 정보가 관리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지 조회하고, 조회 결과 보호자 정보가 등록되어 있을 경우 카메라를 제어하여 예약자 영상을 획득하며, 보호자 정보를 이용하여 예약자 영상과 탑승권 정보를 보호자의 모바일 단말로 전달하는 보호자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자 알림부는 예약자 영상에 탑승권 정보를 합성하여 보호자의 모바일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합실 등의 공공장소를 이용하고 있는 사람들은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기반 쌍방향 통신 장치에 의해 서비스되는 모바일 기기용 유무선 충전 서비스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유선 또는 무선 충전의 가용 수를 세그먼트 표시기를 통해 원거리에서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바, 충전 서비스만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람들은 세그먼트 표시기에 표시된 가용 수를 확인한 후에 이용할 수 있는 편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무선 충전 패드가 복수의 무선 충전 방식을 지원하되, 충전 대상이 되는 모바일 기기에 맞게 해당되는 무선 충전 방식을 활성화하는 바, 무선 충전 자원의 효율적 사용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대합실에서 탑승 대기중인 예비 탑승객(예약자)들의 성별 및 연령대를 파악하고 그에 맞춰 광고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개선된 광고 효과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예비 탑승객이 피보호자일 경우에는 예비 탑승객이 탑승 장소에 도착하였다는 사실과 함께 탑승권 정보를 보호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보호자의 피보호자에 대한 관리를 더욱 강화할 수 있게 한다.
도 1 및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기반 쌍방향 통신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기반 쌍방향 통신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4는 가용 충전케이블 수와 가용 무선패드의 수를 나타낸 세그먼트 표시 예시도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gital Information Display, DID) 기반 쌍방향 통신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기반 쌍방향 통신 장치(이하에서는 편의상 ‘DID 통신 장치’라 한다)(100)는 터치패널과 일체로 결합되어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가능하게 하는 디지털 디스플레이(110)와 충전 테이블(10)을 포함한다. 도 1과 도 2에서 명확히 확인되지는 않으나, 충전 테이블(10)에는 모바일 기기의 유선 충전을 위한 하나 이상의 충전 케이블과 무선 충전을 위한 하나 이상의 무선 충전 패드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서 확인되듯이, DID 통신 장치(100)는 외부의 전자기기로 220V 상용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전원 콘센트(143)도 포함한다. 주요 제원은 표 1과 같을 수 있다.
Figure 112018121974715-pat00001
이 같은 DID 통신 장치(100)는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이용된다. 공공장소로는 역 대합실이나 공항 대합실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기반 쌍방향 통신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DID 기반 쌍방향 통신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DID 통신 장치(100)와 관리 서버(200)를 포함한다. DID 통신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광고 콘텐츠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공공장소를 이용하는 자들에게 모바일 기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게 하는 충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 서버(200)는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서버 시스템일 수 있으며, 윈도우 계열 운영체제나 MacOS, 자바, 유닉스(UNIX) 또는 리눅스(LINUX)를 포함하거나 이에 포함되지 않은 다양한 운영체제 하에서 운영될 수 있다. 이 같은 관리 서버(200)는 DID 통신 장치(100)와 연동한다. 관리 서버(200)는 DID 통신 장치(100)로 다양한 광고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200)는 웹이나 앱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들의 탑승 예약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기반 쌍방향 통신 장치 블록도이다. 디지털 디스플레이(110)는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것 외에도 터치패널과 일체로 결합되어 사용자와의 인터렉션을 가능하게 한다. 통신부(120)는 관리 서버(2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구성이다. 통신부(120)는 하나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데, 예를 들어 TCP/IP, IPX, SPX, NetBIOS, 이더넷, ARCNET, Fiber Distributed Date Interface(FDDI), IEEE 802.11, IEEE 802.11a 및 직접 동기화 연결 등의 통신 프로토콜들 중 적어도 일부를 지원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데이터 저장을 위한 구성이다. 저장부(130)에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다양한 광고 콘텐츠가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저장부(130)에는 성별 및 연령대별로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광고 콘텐츠가 제공된다.
전원 공급부(140)는 복수의 유선 충전 케이블(141)과 복수의 무선 충전 패드(142) 그리고 복수의 전원 콘센트(143)를 포함한다. 유선 충전 케이블(141)은 모바일 기기를 유선 충전시키기 위한 구성이고, 무선 충전 패드(142)는 모바일 기기를 무선 충전시키기 위한 구성이며, 전원 콘센트(143)는 전자 기기에 220V 상용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선 충전 케이블(141)과 무선 충전 패드(142)는 충전 테이블(10)에 마련될 수 있으며, 전원 콘센트(143)는 도 2에서와 같이 본체의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유선 충전 케이블(141)은 USB 케이블일 수 있다. 무선 충전 패드(142)는 자기 유도 방식과 근거리 자기 공진 방식 및 원거리 마이크로파 방식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충전 방식을 지원한다.
제 1 세그먼트 디스플레이(150)는 가용 유선 충전 케이블의 수를 표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7-세그먼트 디스플레이이며, 제 2 세그먼트 디스플레이(160)는 가용 무선 충전 패드의 수를 표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7-세그먼트 디스플레이이다. 도 1과 도 2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 1 세그먼트 디스플레이(150)와 제 2 세그먼트 디스플레이(160)는 DID 통신 장치(100)의 상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는 멀리서도 제 1 세그먼트 디스플레이(150)와 제 2 세그먼트 디스플레이(160)에 표시된 숫자가 잘 보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어부(170)는 DID 통신 장치(1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이다. 제어부(170)는 광고 제공부(171)와 충전 현황 관리부(172)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광고 제공부(171)는 광고 콘텐츠를 디지털 디스플레이(110)에 표시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광고 제공부(171)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미리 수신되어 메모리에 저장된 광고 콘텐츠를 읽어들여 재생 처리함에 의해 디지털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되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광고 제공부(171)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실시간으로 광고 콘텐츠를 수신하여 디지털 디스플레이(110)에 표시시킨다.
충전 현황 관리부(172)는 복수의 유선 충전 케이블(141) 중에서 가용 유선 충전 케이블의 수를 파악하며, 복수의 무선 충전 패드(142) 중에서 사용 가능한 무선 충전 패드의 수를 파악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충전 현황 관리부(172)는 유선 충전 케이블별로 대응되는 별도의 전류 센서를 통해 감지된 전류값에 근거하여 모바일 기기의 유선 충전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이를 통해 가용 유선 충전 케이블의 수를 파악한다. 이와 유사하게, 충전 현황 관리부(172)는 무선 충전 패드별로 모바일 기기의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가용 무선 충전 패드의 수를 파악할 수 있다. 충전 현황 관리부(172)는 파악된 가용 유선 충전 케이블의 수를 제 1 세그먼트 디스플레이(150)에 표시시키며, 파악된 가용 무선 충전 패드의 수를 제 2 세그먼트 디스플레이(160)에 표시시킨다. 이에 따라,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가용 충전케이블 수와 가용 무선패드의 수가 세그먼트 표시된다.
한편, 각각의 무선 충전 패드(142)는 자기 유도 방식과 근거리 자기 공진 방식 및 원거리 마이크로파 방식을 모두 지원하는 통합형 무선 충전 패드일 수 있다. 각각의 무선 충전 원리는 잘 알려진 바와 같다. 그리고 각각의 무선 충전 패드(142)는 무선 리더기(142-1)를 포함한다. 무선 리더기(142-1)는 패드 상에 놓여진 모바일 기기로부터 모바일 기기의 기기명 정보를 리딩하기 위한 구성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리더기(142-1)는 NFC 리더기이다. 이 경우, 모바일 기기는 기기명 정보가 기록된 NFC 태그를 구비한다.
제어부(170)는 무선 충전 활성화부(1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충전 활성화부(173)는 무선 리더기(142-1)에 의해 리딩된 모바일 기기의 기기명 정보를 확인하며, 확인된 기기명 정보에 따라 해당 무선 충전 패드(142)의 자기 유도 방식과 근거리 자기 공진 방식 및 원거리 마이크로파 방식 중에서 어느 하나의 무선 충전 방식만을 활성화 제어한다. 즉, 무선 충전 패드(142)에 구비된 무선 충전용 자원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무선 충전 방식을 위한 자원만을 활성화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저장부(130)에는 기기명별로 무선 충전 방식 정보가 매핑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충전 활성화부(173)는 무선 리더기(142-1)에 의해 리딩된 기기명 정보에 매핑된 무선 충전 방식 정보를 저장부(130)에서 조회하여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광고 제공부(171)는 대합실에서 탑승 대기중일 탑승권 예약자들의 성별과 연령대를 고려하여 맞춤형으로 광고 콘텐츠를 디지털 디스플레이(110)에 표시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광고 제공부(171)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탑승권을 예약한 예약자들의 탑승 예약 시간과 성별 및 연령대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탑승 예약 시간을 고려하여 현재 대합실에서 탑승 대기중일 예약자들의 성별 및 연령대를 파악하고, 파악된 결과에 따라 저장부(130)에 저장된 복수 광고 콘텐츠의 재생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재생 스케줄링 정보에 따른 재생 순서에 맞춰 복수 광고 콘텐츠를 디지털 디스플레이(110)에 표시시킨다.
Figure 112018121974715-pat00002
Figure 112018121974715-pat00003
예를 들어, 저장부(130)에 표 2와 같이 성별 및 연령대별로 대응되는 광고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으며, 대합실에서 탑승 대기중일 예약자들의 성별 및 연령대 비율이 표 3과 같이 파악될 경우, 광고 제공부(171)는 “F → E → F → E → F → E → D → C → D → C → B → A → G → H → I → J”와 같이 광고 재생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성별 및 연령대 비율에 따라 광고 콘텐츠들의 재생 순서와 재생 횟수를 달리 결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광고 재생 스케줄링 정보는 소정 시간 단위로 갱신될 수 있다.
추가로, DID 통신 장치(100)는 탑승권 인식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170)는 보호자 알림부(1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탑승권 인식부(180)는 예약자의 탑승권으로부터 탑승권 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구성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탑승권 인식부(180)는 바코드 리더기 또는 QR코드 리더기이다. 그리고 탑승권에는 탑승권 정보에 대한 바코드나 QR 코드가 포함된다. 이 같은 탑승권은 인쇄물일 수도 있고, 모바일 탑승권일 수도 있다. 따라서, 탑승권 인식부(180)는 탑승권에 인쇄된 바코드나 QR코드 또는 모바일 기기의 화면에 표시된 바코드나 QR코드를 읽어들여 탑승권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탑승권 정보에는 예약자 아이디(ID), 탑승 장소, 탑승 일자 및 시간, 도착 장소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보호자 알림부(174)는 탑승권 인식부(180)에 의해 인식된 탑승권 정보로부터 탑승 장소를 확인하고, 확인된 탑승 장소가 대합실 장소와 일치할 경우 탑승권 정보로부터 예약자 ID를 확인하며, 확인된 예약자 ID에 대응되는 보호자 정보가 관리 서버(200)에 등록되어 있는지 조회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보호자 정보는 보호자의 모바일 전화번호이다. 조회 결과 보호자 정보가 등록되어 있을 경우, 보호자 알림부(174)는 카메라(190)를 제어하여 예약자의 안면이 포함된 영상을 획득하며, 보호자 정보를 이용하여 예약자 영상과 탑승권 정보를 보호자의 모바일 단말로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보호자 알림부(174)는 예약자 영상에 탑승권 정보를 합성하고, 탑승권 정보가 합성된 예약자 영상을 관리 서버(200)를 통해 보호자의 모바일 단말로 전달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DID 통신 장치 110 : 디지털 디스플레이
120 : 통신부 130 : 저장부
140 : 전원 공급부 141 : 유선 충전 케이블
142 : 무선 충전 패드 142-1 : 무선 리더기
143 : 전원 콘센트 150 : 제 1 세그먼트 디스플레이
160 : 제 2 세그먼트 디스플레이 170 : 제어부
171 : 광고 제공부 172 : 충전 현황 관리부
173 : 무선 충전 활성화부 174 : 보호자 알림부
180 : 탑승권 인식부 190 : 카메라
200 : 관리 서버

Claims (5)

  1.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운용되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gital information display, DID) 기반 쌍방향 통신 장치에 있어서,
    터치패널과 일체로 결합된 디지털 디스플레이;
    관리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외부의 전자 기기로 220V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전원 콘센트;
    임의의 모바일 기기로 DC 5V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유선 충전 케이블;
    모바일 기기를 충전시키기 위한 복수의 무선 충전 패드;
    가용 유선 충전 케이블의 수를 표시하기 위한 제 1 세그먼트 디스플레이;
    가용 무선 충전 패드의 수를 표시하기 위한 제 2 세그먼트 디스플레이;
    예약자의 탑승권을 인식하는 탑승권 인식부; 및
    전체 유선 충전 케이블 중에서 가용 유선 충전 케이블의 수를 파악하고 전체 무선 충전 패드 중에서 가용 무선 충전 패드의 수를 파악하여 각각 제 1 세그먼트 디스플레이와 제 2 세그먼트 디스플레이에 표시 제어하는 충전 현황 관리부와,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광고 콘텐츠를 디지털 디스플레이에 표시 제어하는 광고 제공부, 및 탑승권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탑승권 정보에 따른 탑승 장소가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기반 쌍방향 통신 장치가 설치된 공공장소와 일치할 경우 탑승권 정보에 속하는 예약자 아이디(ID)에 대응되는 보호자 정보가 관리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지 조회하고, 조회 결과 보호자 정보가 등록되어 있을 경우 카메라를 제어하여 예약자 영상을 획득하며, 보호자 정보를 이용하여 예약자 영상과 탑승권 정보를 보호자의 모바일 단말로 전달하는 보호자 알림부를 포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기반 쌍방향 통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무선 충전 패드는 패드상에 놓여진 모바일 기기로부터 모바일 기기의 기기명 정보를 리딩하는 무선 리더기를 포함하고, 자기 유도 방식과 근거리 자기 공진 방식 및 원거리 마이크로파 방식을 모두 지원하는 통합형 무선 충전 패드이며,
    제어부는 무선 리더기에 의해 리딩된 기기명 정보에 대응되는 무선 충전 방식을 확인하고, 확인된 무선 충전 방식에 따라 무선 충전 패드의 자기 유도 방식과 근거리 자기 공진 방식 및 원거리 마이크로파 방식 중에서 해당되는 방식만을 활성화 제어하는 무선 충전 활성화부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기반 쌍방향 통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성별 및 연령대별로 대응되는 광고 콘텐츠가 저장된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광고 제공부는 관리 서버로부터 탑승권을 예약한 예약자들의 탑승 예약 시간과 성별 및 연령대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탑승 예약 시간을 고려하여 공공장소인 대합실에서 탑승 대기중일 예약자들의 성별 및 연령대별 비중을 파악하고, 파악된 비중에 따라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된 광고 콘텐츠별 재생 횟수를 달리 결정하며, 그 결정에 맞춰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된 성별 및 연령대별 광고 콘텐츠를 디지털 디스플레이에 표시 제어하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기반 쌍방향 통신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보호자 알림부는 예약자 영상에 탑승권 정보를 합성하여 보호자의 모바일 단말로 전달하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기반 쌍방향 통신 장치.
  5. 삭제
KR1020180155386A 2018-12-05 2018-12-05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기반 쌍방향 통신 장치 KR102146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386A KR102146431B1 (ko) 2018-12-05 2018-12-05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기반 쌍방향 통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386A KR102146431B1 (ko) 2018-12-05 2018-12-05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기반 쌍방향 통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418A KR20200068418A (ko) 2020-06-15
KR102146431B1 true KR102146431B1 (ko) 2020-08-20

Family

ID=71081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5386A KR102146431B1 (ko) 2018-12-05 2018-12-05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기반 쌍방향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64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3553B1 (ko) 2023-05-08 2023-09-01 주식회사 바벨텍 통신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활용한 did 광고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30168351A (ko) 2022-06-07 2023-12-14 주식회사 메디칼타임즈 웹서버와의 연동을 이용한 실시간 디지털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5365A (ja) * 2008-08-28 2010-03-11 Railway Technical Res Inst 鉄道の車内広告に用いる鉄道マーケティングツール
KR101700223B1 (ko) * 2016-07-13 2017-01-26 주식회사 파워넥스 무선 충전/광고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6449B1 (ko) * 2010-04-12 2011-11-25 한국전력공사 원거리 인식 충전소 상태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87306A (ko) 2016-01-20 2017-07-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사이니지 서버,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 및 그 단말 제어방법
KR102392887B1 (ko) * 2017-02-22 2022-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5365A (ja) * 2008-08-28 2010-03-11 Railway Technical Res Inst 鉄道の車内広告に用いる鉄道マーケティングツール
KR101700223B1 (ko) * 2016-07-13 2017-01-26 주식회사 파워넥스 무선 충전/광고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8351A (ko) 2022-06-07 2023-12-14 주식회사 메디칼타임즈 웹서버와의 연동을 이용한 실시간 디지털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573553B1 (ko) 2023-05-08 2023-09-01 주식회사 바벨텍 통신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활용한 did 광고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418A (ko) 202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04471B2 (ja) 経路誘導システム
US6813608B1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user experience in a wide-area facility having a distributed, bounded environment
CN106032233B (zh) 电梯引导装置
CN105023020B (zh) 语义标注设备及其方法
KR102146431B1 (ko)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기반 쌍방향 통신 장치
EP2869080A1 (en) Terminal device, method of controling terminal device and program
WO20081218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user experience in a wide-area facility having a distributed, bounded environment
MX2007013610A (es) Metodos y sistemas para coordinacion de posicion.
CN108074129A (zh) 数字标牌及其控制方法
ITMI20112434A1 (it) Videoreception con controllo di accesso.
KR20150077739A (ko) 유치원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JP2020109403A (ja) エリア案内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
CN112074852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程序
JP2020181607A (ja) 広告表示装置
KR100932453B1 (ko) 도우미 로봇을 이용한 고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330566B1 (ko) 무선인식 기술을 이용한 전시장 관리 시스템 및 홍보 방법
JP2015228145A (ja) 表示装置、デジタル表示システム及びデジタル表示プログラム
JP2016057706A (ja) 遊戯施設案内システム、情報サーバ、及び遊戯施設案内プログラム
KR20160100009A (ko) 충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충전시스템
KR20150093574A (ko) 맞춤형 교통정보 안내서비스 방법
KR101589964B1 (ko) 디지털 사이니지 신호체계를 갖는 led 전광판을 이용한 지능형 전자게시대의 모바일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31508A (ko)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방법
JP2012128812A (ja) 情報提示システム及び情報提示システムの電子表示機器
JP2016110366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サーバ、機器、および情報出力プログラム
KR101411219B1 (ko) 결혼예식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