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4519B1 - 모노레일용 수평조절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대차 및 이를 포함한 객차 - Google Patents

모노레일용 수평조절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대차 및 이를 포함한 객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4519B1
KR102144519B1 KR1020200070862A KR20200070862A KR102144519B1 KR 102144519 B1 KR102144519 B1 KR 102144519B1 KR 1020200070862 A KR1020200070862 A KR 1020200070862A KR 20200070862 A KR20200070862 A KR 20200070862A KR 102144519 B1 KR102144519 B1 KR 102144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shaft
monorail
main body
carri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0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엠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엠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엠티
Priority to KR1020200070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45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02Arrangements permitting limited transverse relative movements between vehicle underframe or bolster and bogie; Connections between underframes and bogies
    • B61F5/22Guiding of the vehicle underframes with respect to the bogies
    • B61F5/24Means for damping or minimising the canting, skewing, pitching, or plunging movements of the under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04Monorai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B66F7/025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screw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tiltable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노레일용 수평조절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대차 및 이를 포함한 객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식 가속체인방식의 자동 수평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한 대차 및 객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모노레일용 수평조절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과 힌지 결합하고 객차 하부와 결합되는 객차 지지부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객차 지지부의 타측과 결합하여 상기 객차 지지부를 들어 올리고 내리는 틸트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상하부 프레임을 지지하는 수직 지지대를 다수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은 레일이 지나가는 위치에 구동장치 결합부를 포함하고 일측단에는 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프레임은 레일이 수용될 수 있도록 가운데가 개방되어 형성되고, 상기 틸트부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를 중심으로 좌우로 형성된 구동축과, 상기 구동부를 중앙으로 지지하고 좌우로 각각 하나 이상의 리프트부를 지지하는 구동부 지지대 및, 상기 구동부 지지대에 지지되는 리프트부를 포함되되, 상기 리프트부는 상기 구동부 지지대에 고정되는 리프트 주축, 객차 지지부와 상단이 연결되는 상방 리프트축, 본체의 하단 프레임과 하단이 연결되는 하방 리프트축 및 상기 축들 사이에서 수직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 주축은은 축의 상단과 하단을 가로질러 회전하는 구동체인과, 상기 구동축의 회전을 전달하는 주축 스프라켓과, 체인의 회전을 지지하는 아이들 스프라켓을 상하부에 각각 포함하고, 상기 상방 리프트축과 하방 리프트축은 상기 구동체인에 일측이 각각 고정되어, 구동체인이 회전 시 상기 리프트 주축의 일측면을 따라서 각각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모노레일용 대차는 상기 모노레일용 수평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모노레일용 객차는 상기 모노레일용 수평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모노레일용 수평조절장치, 이를 포함하는 대차 및 이를 포함한 객차는 수평과 경사진 곳 운행시 탑승자 불편함을 주지 않고 운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노레일용 수평조절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대차 및 이를 포함한 객차 {HORIZONTAL CONTROL APPARATUS FOR MONORAIL, BOGIE WITH THE APPARATUS, AND GARRIAGE WITH THE APPARATUS}
본 발명은 모노레일용 수평조절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대차 및 이를 포함한 객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식 가속체인방식의 자동 수평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한 대차 및 객차에 관한 것이다.
다인승 모노레일의 경우 경사선로 등판 시 탑승객의 안전을 고려하여 탑승부의 수평을 자동조절할 필요가 있다. 야외 또는 산악지역에 설치된 모노레일의 경우 경사진 선로의 설치가 일반적인데, 이와 관련한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등록실용신안 제20-0371912호, 등록특허 제10-1161612호 에서는 경사진 모노레일 주행시 모두 고정 방식 수평유지장치를 사용한 대차를 활용 사례로서 수평인 곳과 경사진 곳 모두를 운행해야 하는 경우 적용할 수 없는 기술이고, 틸트 문제 해결을 위한 선행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090846호와 같이 구동장치와 대차간의 연결 구조에서 자유도를 활용한 방식이 제안된바 있으나 이러한 수평유지장치는 해결할 수있는 기울기 정도가 지극히 제한되어 기울기가 심한 산악지역 등에 적용될 수 없다.
공개특허 제10-2010-0115281호의 경우 유압 실린더 액추에이터를 이용한 수평유지장치를 이용한 사례가 있는데, 대차나 객차의 틸트장치 - 리프트 수단 - 로 유압 실린더를 사용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다.
유압의 경우 온도 에 따라 효율 및 힘, 작용속도의 편차가 크고, 저온 시 예열, 고온시 냉각이 필요하며, 별도의 유압공급장치를 구비해야 하고, 유압공급장치를 통한 에너지 효율이 매우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관, 작용유, 필터 등을 정기적으로 교체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전체적인 하중을 증가시키는 문제를 야기할 뿐만 아니라 누유에 의한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구조적인 한계로서 탑승부가 커질수록 수평유지를 위한 장치의 스트로크가 길어져야만 하는데 이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힌지부 가까운 위치에 유압 액추에이터를 설치하게 될 수밖에 없고, 이럴경우 유압을 높여야 하는 문제와, 실린더 길이와 부피의 증가로 프레임을 보강해야하는 문제, 대차와 객차의 무게가 상승하는 문제 등이 발생된다.
KR 20-0371912 Y1 KR 10-1161612 B1 KR 10-1090846 B1 KR 10-2010-0115281 A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수평 및 경사진 곳 모두에 운행이 가능하고, 유압식 실린더의 수평유지장치가 갖는 스트로크의 구조적인 문제와 고하중, 누유, 큰 부피, 온도제약, 유지보수, 소모품 증가, 환경오염, 에너지 효율저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모노레일용 수평조절장치, 이를 포함하는 대차 및 객차에 관한 발명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모노레일용 수평조절장치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일측과 힌지 결합하고 객차 하부와 결합되는 객차 지지부(2) 및, 상기 본체(1)에 설치되고 상기 객차 지지부(2)의 타측과 결합하여 상기 객차 지지부(2)를 들어 올리고 내리는 틸트부(3)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1)는 상부 프레임(11)과 하부 프레임(12) 및 상기 상하부 프레임(11)(12)을 지지하는 수직 지지대(13)를 다수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11)은 레일이 지나가는 위치에 구동장치 결합부(111)를 포함하고 일측단에는 힌지부(112)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프레임(12)은 레일이 수용될 수 있도록 가운데가 개방되어 형성되고, 상기 틸트부(3)는 구동부(31)와, 상기 구동부(32)를 중심으로 좌우로 형성된 구동축(32)과, 상기 구동부(31)를 중앙으로 지지하고 좌우로 각각 하나 이상의 리프트부(34)를 지지하는 구동부 지지대(33) 및, 상기 구동부 지지대(33)에 지지되는 리프트부(34)를 포함되되, 상기 리프트부(34)는 상기 구동부 지지대(33)에 고정되는 리프트 주축(341), 객차 지지부(2)와 상단이 연결되는 상방 리프트축(342), 본체의 하단 프레임과 하단이 연결되는 하방 리프트축(343) 및 상기 축들 사이에서 수직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수단(344)을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 주축은(341)은 축의 상단과 하단을 가로질러 회전하는 구동체인(3411)과, 상기 구동축(32)의 회전을 전달하는 주축 스프라켓(3412)과, 체인의 회전을 지지하는 아이들 스프라켓(3412)을 상하부에 각각 포함하고, 상기 상방 리프트축(342)과 하방 리프트축(343)은 상기 구동체인(3413)에 일측이 각각 고정되어, 구동체인(3413)이 회전 시 상기 리프트 주축(341)의 일측면을 따라서 각각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방 리프트축(342) 상단과 객차 지지부(2) 사이에는 아치형태의 상부 브라켓(342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1)와 객차 지지부(2) 사이에 접이식 하우징(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모노레일용 대차는 상기 모노레일용 수평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모노레일용 객차는 상기 모노레일용 수평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모노레일용 수평조절장치, 이를 포함하는 대차 및 이를 포함한 객차는 수평과 경사진 곳 운행시 탑승자 불편함을 주지 않고 운행할 수 있다.
경사진 곳 운행시 틸트 조절을 위한 수단으로 유압실린더 액추에이터가 아닌 전동식을 이용하므로 온도에 따른 효율과 편차가 없고, 배관, 작동유, 필터 교체 등의 번거로운 작업을 덜어 주고, 누유에 의한 자연환경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동 다단식 가속체인방식은 유압실린더 액추에이터가 갖는 스트로크 길이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어 대차의 크기와 무게를 줄일 수 있고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유압실린더 액추에이터를 활용할 수없는 베터리 방식 모노레일 시설에도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1 및 2는 본 발명의 모노레일용 수평조절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틸트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틸트부의 분해도.
도5는 본 발명의 구동체인과 체인고정부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부분확대도.
도6은 본 발명의 리프트 주축, 상방 리프트축 및 하방 리프트축과 가이드 수단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해도.
도7 내지 10은 본 발명의 모노레일용 수평조절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11은 본 발명의 모노레일용 수평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객차의 정면도.
도12 내지 14는 본 발명의 모노레일용 수평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객차의 운행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본 발명의 모노레일용 수평조절장치, 이를 포함하는 대차 및 이를 포함한 객차에 관하여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1 및 2는 본 발명의 모노레일용 수평조절장치의 일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도시된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노레일용 수평조절장치는 크게 대차의 몸체에 해당하는 본체(1)와, 상기 본체에 일측과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하고, 객차 하부에 결합되어 틸트운동시 객차를 지지하는 객차 지지부(2) 및, 상기 객차 지지부(2)의 타측과 결합하여 상기 객차 지지부(2)를 들어 올리고 내리는 틸트부(3)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는 도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1)과 하부 프레임(12) 및 상하부 프레임(11)(12)을 수직으로 지지하는 수직 지지대(13)가 다수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객차의 평면이 직사각형이므로 상기 본체(1)외 객차 지지부(2)도 그에 상응하는 사각형의 평면을 가진 프레임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구조 범위내에서 부분적으로 둥글다거나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의 상부 프레임에(11)에는 레일이 지나가는 위치에 레일 위를 운행하는 구동장치가 결합되는 구동장치 결합부(111)가 하나 이상 형성되며, 일측단에 상기 객차 지지부(2)와 회동 결합하는 힌지부(112)가 구비된다. 하부 프레임(12)은 상기 수직 지지대(13)에 의해 상기 상부 프레임(11)과 일정한 높이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트부(3)의 하단이 하부 프레임(12)과 연결되고, 객차 지지부(2)가 본체(1)에 안착했을 때 틸트부(3)를 수직으로 수용하기 위해서이다. 만약 본 발명과 달리 객차 지지부(2)를 들어올리기 위한 수단으로 유압식 액추에이터를 사용하게 된다면 바로 이부분에서 문제가 발생된다.
수평조절을 위해 리프트 수단(또는 틸트장치)를 설치할 경우 탑승부 아래 대차 공간-본 발명에서의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사이 공간-에 설치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최소한 1.5m 이상의 스트로크(stroke)를 가진 액추에이터가 필요하다. 유압식 액추에이터의 경우 그 길이 만큼의 스트로크를 확보하려면, 실린더 튜브, 로드 연결조인트 등을 고려한다면, 스트로크 0일 때라 하더라도 거의 해당 길이 만큼의 길이를 갖게 된다. 그런데, 탑승부 아래의 대차 공간의 높이는 무한정 확보할 수 없고 제한이 따를 수 밖에 없다. 경험적으로 약 600~1000mm 이상의 공간을 확보하기도 어렵고 대차 공간의 무리한 확보는 부피와 무게를 가중시켜 운행상의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낮은 높이에 높은 스트로크를 얻기 위해 하기 하는 바와 같이 전동 2단 가속 체인 방식으로 작동하는 틸트부(3)를 채택한 것이다. 가속 체인 방식이란 스프라켓 1회전에 상방 하방으로 리프트축이 동시에 이동하므로 2배의 거리를 이동하는 점에서 가속된다는 의미이다.
본체(1)의 하부 프레임(12)을 더 살펴보면 도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객차가 운행될 때 레일이 안착될 수 있도록 정면과 배면에서 볼 때 하부 프레임의 가운데 부분이 개방되어 형성되어, 하부 프레임(12)은 좌측 하부 프레임과, 우측 하부 프레임으로 구분되어 형성된다. 상기 좌우 각각의 하부 프레임(12)에 상기 틸트부(3)의 하단이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객차 지지부(2)는 객차(100)의 하부에 결합하여 틸트부(3)에 의해 들어올려질 때 객차를 지지하는 구조물로 일측이 본체(1)의 상부 프레임(11)의 힌지부(112)와 회동 연결되고, 타측이 틸트부(3)의 상부와 연결된다.
상기 틸트부(3)는 본 발명의 핵심 구성요소로 상기 힌지부(112) 반대측에서 상기 객차 지지부(2)를 들어올리고 내리는 기능을 한다. 틸트부(3)는 도3 내지 8에 도시된바와 같이 구동부(31)와, 구동축(32), 구동부 지지대(33) 및 리프트부(34)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부(34)는 다시 리프트 주축(341)과, 상방 리프트축(342), 하방 리프트축(343) 및 가이드 수단(344)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31)는 구동모터(311)와 감속기(312)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축(32)은 구동부(31)를 중심으로 좌우를 향해 모노레일의 진행방향과 수직으로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31)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한다.
상기 구동부 지지대(33)는 중앙에 상기 구동부(31)를 고정하여 지지하고, 상기 구동축(32)과 평행하게 본체 좌우로 형성된다. 상기 구동부 지지대(33) 좌우 각각에는 리프트 주축(341)이 고정되어 리프트부(34)가 지지된다.
상기 리프트부(34)는 객차 지지부(2)를 들어올릴 때 균형을 맞추기 위해 상기 구동부 지지대(33) 좌우에 각각 형성되는데, 좌우 하나씩 한쌍으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 하중을 고려하여 좌우 각각에 하나 이상씩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리프트 주축(341)은 상기 상방 리프트축(342)과 하방 리프트축(343)의 동력전달과 상하 이동의 기준이되는 요소이다. 상방 리프트축(342)는 틸트부(3) 구동 시 윗쪽 방향으로 이동하는 축이며, 하방 리프트축(343)은 구동 시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는 축을 지칭한다. 도3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프트 주축(341)은 상기 구동부 지지대(33)와 결합하고, 전면과 배면에 각각 상방 리프트축(342)과 하방 리프트축(343)이 연접된다. 상기 리프트 주축(341)은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 주축(341)의 상단과 하단에 걸쳐 무한궤도를 형성하는 구동체인(3411)을 포함하고, 리프트 주축(341)의 상단에는 상기 구동축(32)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고, 상기 구동체인(3411)의 텐션과 회전력을 지지하기 위한 주축 스프라켓(3412)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기 구동체인(3411)이 텐션을 유지하고 회전할 수 있도록 아이들 스프라켓(3414)이 형성된다. 상기 주축 스프라켓(3412)과 구동축(32)의 고정을 위해 체인커플링(34121)과 같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체인(3411)은 다양한 체인을 채택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하중을 잘 견딜 수 있도록 복열체인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상방 리프트축(342)은 상단이 객차 지지부(2)와 연결된다. 도10 에서와 같이 객차 지지부(2)가 들어올려질 때 틸트부(3)가 기울어지면서 생기는 각도를 고려하여 어느 정도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야 할 것이다. 연결방식은 직접 연결 부재를 사용하여 연결할 수도 있고, 브라켓을 사용해서 연결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객차 하부의 공간을 활용하여 상방향으로 볼록한 아치형 상부 브라켓(3421)을 포함할 경우 좀 더 긴 스트로크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상방 리프트축(342)은 구동체인(341)의 일측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 받게 되는데, 이러한 연결방법으로는 직접 연결 방법 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체인(3411)의 틈에 삽입되는 혹이 다수 형성된 상방 체인연결 부재(3422)를 매개로 연결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하방 리프트축(343)은 상기 하부 프레임(12)과 연결된다. 도10에서와 같이 객차 지지부(2)가 들어올려질 때 상기 상방 리프트축(343)과 마찬가지로 틸트 부(3)가 기울어지면서 각도가 발생하므로 어느 정도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야 할 것이다. 연결방식은 직접 연결 부재를 사용하여 연결할 수도 있고, 하부 조정 브라켓(3431)을 이용 해서 연결할 수 있을 것이다. 하방 리프트축(343)도 상기 상방 리프트축(342)과 마찬가지로 구동체인(341)과 연결을 위해 구동체인(3411)의 틈에 삽입되는 혹이 다수 형성된 하방 체인연결 부재(3432)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상방 리프트축(342)과 하방 리프트축(343)은 긴 막대형상의 축으로서 다양한 단면의 형상을 채용할 수 있을 것이지만, 하중을 잘 견디고 무게를 줄일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형 채널(잔넬) 타입의 축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가이드 수단(344)는 리프트 주축(341)과 상방 리프트축(342) 및 하방 리프트축(343) 사이에는 이들의 수직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6에 도시된바와 같이 리프트 주축(341)에 상단에서 하단까지 길게 형성된 레일과, 상기 레일을 잡아주는 홀더가 일체로 결합하여 형성될 수 일을 것이고, 그 밖에도 공지의 다양한 형태의 가이드 수단을 응용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12 내지 도14는 본 발명의 모노레일용 수평조절장치를 포함하는 대차 및 이를 포함한 모노레일 객차의 사용상태에 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객차는 수평의 레일과 경사진 레일 운행시 탑승부의 수평을 유지하며 자연스럽게 운행운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평조절장치는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 및 본체(1)와 객차 지지부(2) 사이에 외부 물체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끼임으로 인한 사고 발생 등을 예방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1)와 객차 지지부(2) 사이에 접이식 하우징(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내용에 의해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1: 본체 11: 상부 프레임
111: 구동장치 결합부 112: 힌지부
12: 하부 프레임 13: 수직 지지대
14: 힌지부 2: 객차 지지부
3: 틸트부 31: 구동부
311: 구동모터 312: 감속기
32: 구동축 33: 구동부 지지대
34: 리프트부 341: 리프트 주축
3411: 구동체인 3412: 주축 스프라켓
3413: 아이들 스프라켓 342: 상방 리프트축
3421: 상부 브라켓 3422: 상방 체인고정부재
343: 하방 리프트축 3431: 하부 조정 브라켓
3432: 하방 체인고정부재 344: 가이드 수단
100: 객차

Claims (5)

  1.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과 힌지 결합하고 객차 하부와 결합되는 객차 지지부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객차 지지부의 타측과 결합하여 상기 객차 지지부를 들어 올리고 내리는 틸트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상하부 프레임을 지지하는 수직 지지대를 다수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은 레일이 지나가는 위치에 구동장치 결합부를 포함하고 일측단에는 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프레임은 레일이 수용될 수 있도록 가운데가 개방되어 형성되고,
    상기 틸트부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를 중심으로 좌우로 형성된 구동축과, 상기 구동부를 중앙으로 지지하고 좌우로 각각 하나 이상의 리프트부를 지지하는 구동부 지지대 및, 상기 구동부 지지대에 지지되는 리프트부를 포함되되,
    상기 리프트부는 상기 구동부 지지대에 고정되는 리프트 주축, 객차 지지부와 상단이 연결되는 상방 리프트축, 본체의 하단 프레임과 하단이 연결되는 하방 리프트축 및 상기 축들 사이에서 수직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 주축은은 축의 상단과 하단을 가로질러 회전하는 구동체인과, 상기 구동축의 회전을 전달하는 주축 스프라켓과, 체인의 회전을 지지하는 아이들 스프라켓을 상하부에 각각 포함하고,
    상기 상방 리프트축과 하방 리프트축은 상기 구동체인에 일측이 각각 고정되어, 구동체인이 회전 시 상기 리프트 주축의 일측면을 따라서 각각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용 수평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방 리프트축 상단과 객차 지지부 사이에는 아치형태의 상부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용 수평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객차 지지부 사이에 접이식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용 수평조절장치.
  4. 상기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모노레일용 수평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용 대차.
  5. 상기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모노레일용 수평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용 객차.
KR1020200070862A 2020-06-11 2020-06-11 모노레일용 수평조절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대차 및 이를 포함한 객차 KR102144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862A KR102144519B1 (ko) 2020-06-11 2020-06-11 모노레일용 수평조절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대차 및 이를 포함한 객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862A KR102144519B1 (ko) 2020-06-11 2020-06-11 모노레일용 수평조절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대차 및 이를 포함한 객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4519B1 true KR102144519B1 (ko) 2020-08-13

Family

ID=72043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0862A KR102144519B1 (ko) 2020-06-11 2020-06-11 모노레일용 수평조절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대차 및 이를 포함한 객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4519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7088A (ja) * 2001-11-02 2003-05-14 Chigusa Giken Kogyo Kk 傾斜角制御電動モノレール
JP2004338470A (ja) * 2003-05-14 2004-12-02 Monoreele Kogyo Kk ヘリポート用モノレール
KR200371912Y1 (ko) 2004-09-23 2005-01-10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모노레일시스템의 점검을 위한 모노레일점검장치가 장착된 모노레일카
JP2005170315A (ja) * 2003-12-15 2005-06-30 Chigusa Giken Kogyo Kk 2両連結乗用中間傾斜電動モノレール
JP2005263147A (ja) * 2004-03-22 2005-09-29 Chigusa Giken Kogyo Kk 乗用中間傾斜電動モノレール
KR20100115281A (ko) 2009-04-17 2010-10-27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사면(斜面)승강기의 과하중검출장치
KR101090846B1 (ko) 2009-03-11 2011-12-08 주식회사 로윈 Y형 모노레일 시스템용 다자유도 철도차량
KR101161612B1 (ko) 2005-06-14 2012-07-03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무벌식(無伐式) 자연보호형 모노레일 시공방법 및 이에적합한 작업대차 및 이송대차
KR101947433B1 (ko) * 2018-08-27 2019-02-13 주식회사 에이엠티 다중 자유도를 갖는 모노레일용 주행장치 및 이를 구비한 대차
KR101941470B1 (ko) * 2018-08-27 2019-04-12 주식회사 에이엠티 모노레일용 절환장치
KR102116394B1 (ko) * 2020-01-07 2020-06-05 주식회사 에이엠티 모노레일 구동장치, 이를 구비한 모노레일용 레일 바이크 및 이를 구비한 모노레일용 대차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7088A (ja) * 2001-11-02 2003-05-14 Chigusa Giken Kogyo Kk 傾斜角制御電動モノレール
JP2004338470A (ja) * 2003-05-14 2004-12-02 Monoreele Kogyo Kk ヘリポート用モノレール
JP2005170315A (ja) * 2003-12-15 2005-06-30 Chigusa Giken Kogyo Kk 2両連結乗用中間傾斜電動モノレール
JP2005263147A (ja) * 2004-03-22 2005-09-29 Chigusa Giken Kogyo Kk 乗用中間傾斜電動モノレール
KR200371912Y1 (ko) 2004-09-23 2005-01-10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모노레일시스템의 점검을 위한 모노레일점검장치가 장착된 모노레일카
KR101161612B1 (ko) 2005-06-14 2012-07-03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무벌식(無伐式) 자연보호형 모노레일 시공방법 및 이에적합한 작업대차 및 이송대차
KR101090846B1 (ko) 2009-03-11 2011-12-08 주식회사 로윈 Y형 모노레일 시스템용 다자유도 철도차량
KR20100115281A (ko) 2009-04-17 2010-10-27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사면(斜面)승강기의 과하중검출장치
KR101947433B1 (ko) * 2018-08-27 2019-02-13 주식회사 에이엠티 다중 자유도를 갖는 모노레일용 주행장치 및 이를 구비한 대차
KR101941470B1 (ko) * 2018-08-27 2019-04-12 주식회사 에이엠티 모노레일용 절환장치
KR102116394B1 (ko) * 2020-01-07 2020-06-05 주식회사 에이엠티 모노레일 구동장치, 이를 구비한 모노레일용 레일 바이크 및 이를 구비한 모노레일용 대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0026B2 (en) Crane assembly
KR101302922B1 (ko) 도어 행잉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도어 장치
KR102228872B1 (ko) 경사각도가 조절되는 궤도차량
US20120111671A1 (en) Double-deck elevator
AU2015310840B2 (en) Railway vehicle and funicular apparatus
KR20180005089A (ko) 차량 주행 상태에서의 터널 방음벽 설치 및 보수 작업이 가능한 작업대차
KR102144519B1 (ko) 모노레일용 수평조절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대차 및 이를 포함한 객차
CN212124971U (zh) 侧开门式车辆养护站
US4687110A (en) Apparatus for angularly displacing a load
CN216947858U (zh) 一种桥梁检修用变轨距履带式走行机构
CN115417342B (zh) 一种便于悬挂式单轨车辆检修的检修作业平台及检修方法
CN216272627U (zh) 罐内阻车器、阻车系统及罐笼
CN114016336A (zh) 一种悬挂式轨道梁三股道换线系统
CN211496612U (zh) 一种具有升降功能的龙门吊支架
US2974606A (en) Cranes
CN211442283U (zh) 一种联动式变轨装置及防脱轨的轨道交通系统
CN112762309A (zh) 翻转led屏
KR100447564B1 (ko) 체인블록,화물현수장치및견인케이블을위한러닝기어
CN220395320U (zh) 用于矿用检修平台的乘人平台
CN216712581U (zh) 一种悬挂式轨道梁三股道换线系统
KR100304538B1 (ko) 하단면주행식의교량하부면작업대차의주행장치
CN219539434U (zh) 用于舞台演艺的大型升降翻板装置
CN213925809U (zh) 后拉立转式钢箱梁开启桥
CN214003959U (zh) 一种叉车轻型门架
CN114960794B (zh) 基于模块化装配的铲板式搬运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