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3339B1 - 폐오일캔 압축장치 - Google Patents

폐오일캔 압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3339B1
KR102143339B1 KR1020190086436A KR20190086436A KR102143339B1 KR 102143339 B1 KR102143339 B1 KR 102143339B1 KR 1020190086436 A KR1020190086436 A KR 1020190086436A KR 20190086436 A KR20190086436 A KR 20190086436A KR 102143339 B1 KR102143339 B1 KR 102143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aste oil
guide frame
compression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6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현
Original Assignee
(유)다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다시 filed Critical (유)다시
Priority to KR1020190086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33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 B30B9/321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for consolidating empty containers, e.g. c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 B30B9/326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provided with shearing means for the scrap metal, or adapted to co-operate with a shearing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오일캔을 자동으로 압축하여 수거하는 것은 물론, 폐오일캔에 남겨진 잔여 오일(팜류)은 선별 수거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폐오일캔 압축장치에 관한 것으로, 폐오일캔을 압축하여 배출시키는 제1가이드 프레임과 오일을 수거하는 제2가이드 프레임은 상호 간 나란히 중첩되게 결합되고, 높이조절수단을 통해 타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자중에 의해 압축된 폐오일캔과 더불어 폐오일캔에 남겨진 잔여 오일을 자동 수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오일캔 압축장치{WASTE OIL CAN COMPRESSING DEVICE}
본 발명은 폐오일캔을 자동으로 압축하여 수거하는 것은 물론, 폐오일캔에 남겨진 잔여 오일(팜류)은 선별 수거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폐오일캔 압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오일캔을 압축하여 배출시키는 제1가이드 프레임과 오일을 수거하는 제2가이드 프레임은 상호 간 나란히 중첩되게 결합되고, 높이조절수단을 통해 타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자중에 의해 압축된 폐오일캔과 더불어 폐오일캔에 남겨진 잔여 오일을 자동 수거할 수 있도록 한 폐오일캔 압축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캔 종류는 금속재이라서 부피를 줄이는 방법이 간단하지 않으며 인위적으로 할 경우 안전사고가 유발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되게 되었으며 압축시설을 갖출 경우 타산이 맞지 않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따라서 재활용의 가치가 큰 캔종류의 경제적 손실이 따르게 됨은 물론 쓰레기 부피를 줄이기 운동 및 분리수거운동이 단지 구호에 지나지 않게 되는 현실이다.
한편, 현재에는 폐기물의 분리수거가 생활화되면서 사용되어진 캔 폐기물은 재활용되기 위하여 분리되어 처리되는데, 이때 캔의 부피를 줄이기 위하여 캔 폐기물을 압축시키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캔 폐기물들 즉, 음료 및 식품용 캔과 부탄가스용기와 같은 압력용기 및, 산업용 소형 드럼등과 같은 캔 폐기물들을 압축시키는 캔 폐기물 압축기는 알려져 있는데, 예를 들어 실용신안공고 제19940012146호에서는 캔 압축기가 개시되고 있다.
하지만 상술된 캔 압축기는 4리터 이상(8 ~ 10ℓ)의 중, 소형으로 요식업소용으로 사용되는 각종 스틸캔의 잔여 오일로 인해 이의 처리에 상당한 애로를 겪고 있는 실정이다.
통상 중, 소형 스틸캔들은 대형음식점에서 많은 각종 팜유를 담는 용기로 사용하게 되는데 이들을 담는 용기는 대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된 스틸캔을 사용하고 있다.
이들 스틸캔은 내용물을 모두 사용한 후 일정한 곳에 쌓아 두거나 강제로 찌그러트려서 보관하는 것이 거의 대부분이고, 이를 수거하는 청소대행 업소에서도 내부 잔여 오일을 제거하는데 있어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팜유와 같은 오일 성분의 분리수거는 물론, 폐오일캔 역시 압축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실용신안공고 제1994-001214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폐오일캔을 자동으로 압축하여 수거하는 것은 물론, 폐오일캔에 남겨진 잔여 오일(팜류)은 선별 수거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폐오일캔 압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배출되는 잔여 오일을 식별하여 선별수거할 수 있고, 더불어 폐오일캔을 천공하는 것이라 절개하여 천공시 발생되는 금속팁이 잔여 오일에 섞이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경사도와 진동수단을 이용하여 압축된 폐오일캔과 오일을 자동 수거할 수 있도록 하여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폐오일캔 압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폐오일캔 압축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일측에는 폐오일캔을 진입시키기 위한 출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으로는 상기 출입구 보다 상대적으로 면적이 작은 압축된 폐오일캔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는 제1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제1가이드 프레임의 중앙영역 내부 천정에 설치되어 출입구를 통해 진입된 폐오일캔을 가압하는 압축판;과, 상기 압축판을 승강시키기 위해 상기 제1가이드 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제1가이드 프레임의 하부에 중첩되게 나란히 고정되어 폐오일캔에서 배출되는 잔여 오일를 낙하시켜 수거하기 위한 오일수거부가 형성되는 제2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압축판의 수직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가이드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향으로 승강되는 커터날을 통해 상기 폐오일캔의 저면을 절개하는 절개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가이드 프레임과 제2가이드 프레임은 높이조절수단을 통해 타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압축판에는 폐오일캔의 위치를 정위치시키고, 폐오일캔의 압축 정도를 일정 크기로 간섭하는 스토퍼가 더 장착되고, 상기 제2가이드 프레임에는 오일 상태를 식별하기 위한 투명창이 설치되고, 상기 제1가이드 프레임의 상부에는 폐오일캔의 이동과, 배출된 오일을 경사진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진동수단이 결합되며, 상기 오일수거부는 투명창에서 식별되는 오일 상태에 따라 선별 수거할 수 있도록 밸브가 마련된 제1오일수거부와, 상기 제1오일수거부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오일수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커터날은 폐오일캔의 저면을 보다 넓은 범위에 걸쳐 손쉽게 절개할 수 있도록 양측으로 하향 경사진 삼각형태로 이루어지고,상기 절개부는 커터날이 결합되는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가이드 프레임의 저면에 결합되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압축판의 저면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칼날핀이 장착된 다수의 삼각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지고, 댐퍼를 매개로 상기 제1가이드 프레임 및 제2가이드 프레임에 연결되어 진동수단에 의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발명은, 제2발명에서, 상기 스토퍼의 면상에는 폐오일캔의 진입이 자동으로 감지될 수 있도록 접촉센서가 결합되고, 상기 제1가이드 프레임의 저면에는 압착되는 폐오일캔을 지지하기 위해 보강플레이트가 더 결합되고, 상기 보강플레이트에는 폐오일캔에서 배출되는 오일 낙하 및 절개부의 커터날을 진출입시키기 위한 부분절개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폐오일캔 압축장치에 따르면, 폐오일캔을 자동으로 압축하여 수거하는 것은 물론, 폐오일캔에 남겨진 잔여 오일(팜류)은 선별 수거하여 재활용함으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폐오일캔을 천공하는 것이라 절개하여 천공시 발생되는 금속팁이 잔여 오일에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폐오일캔과 오일을 자동 수거하는데 있어 진동수단을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컨베이어가 필요치 않아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장치의 가동에 있어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오일캔 압축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폐오일캔 압축장치의 작동도이다.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오일캔 압축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폐오일캔 압축장치의 작동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폐오일캔을 자동으로 압축하여 수거하는 것은 물론, 폐오일캔에 남겨진 잔여 오일(팜류)은 선별 수거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폐오일캔 압축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폐오일캔 압축장치(100)는 상기 제1가이드 프레임(10)과 제2가이드 프레임(30)은 상호 간 나란히 중첩되게 결합되고, 높이조절수단(50)을 통해 타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오일막과 자중에 의해 압축된 폐오일캔(C)과 더불어 폐오일캔에 남겨진 잔여 오일을 자동 수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폐오일캔 압축장치(100)는 크게 4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제1,2가이드 프레임(10,30)과, 압축판(20) 및 절개부(40)로 구성된다.
상기 제1가이드 프레임(10)은 통로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일측에는 폐오일캔(C)을 진입시키기 위한 출입구(11)가 형성되고, 타측으로는 상기 출입구(11) 보다 상대적으로 면적이 작은 압축된 폐오일캔(C)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판(20)은 출입구(11)를 통해 진입된 폐오일캔(C)을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가이드 프레임(10)의 중앙영역 내부 천정에 설치된다.
이 때 상기 압축판(20)에는 출입구(11)를 통해 진입된 폐오일캔(C)의 위치를 정위치하고, 더불어 폐오일캔(C)의 압착 정도를 균일하게 결정하기 위한 스토퍼(22)가 더 장착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22)는 압축판(20)의 측면에 하향으로 결합된 것으로, 이러한 스토퍼(22)는 폐오일캔(C)이 압축판(20)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압축판(20)이 폐오일캔(C)을 가압하는데 있어 압축판(20)의 가압정도를 일정 높이로 간섭하여 폐오일캔(C)이 일정 크기로 압축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겸한다.
또한 상기 압축판(20)의 저면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칼날핀(211)이 장착된 다수의 삼각 요철(21)이 더 형성된다. 이러한 압축판(20)의 구성은 폐오일캔(C)을 압축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더불어 후술되는 절개부(40)와 함께 폐오일캔(C)의 상부면을 일부 절개하여 천공시 발생되는 금속 잔여 오일에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압축판(20)을 승강시키기 위해 상기 제1가이드 프레임(10)의 상부에는 구동수단(S)이 고정된다. 이러한 구동수단(S)은 다수의 공압실린더로 이루어지며 선택적으로 유압실린더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아울러 상기 제1가이드 프레임(10)의 저면에는 압착되는 폐오일캔(C)을 지지하기 위해 보강플레이트(13)가 더 결합되어 압축판(20)의 가압력에 의해 제1가이드 프레임(10)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 프레임(30)은 폐오일캔(C)의 잔여 오일을 수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가이드 프레임(10)의 하부에 중첩되게 나란히 고정되어 폐오일캔(C)에서 배출되는 잔여 오일를 낙하시켜 수거하기 위한 오일수거부(31)가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가이드 프레임(30)에는 폐오일캔(C)을 절개하기 위한 절개부(40)가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절개부(40)는 상기 압축판(20)의 수직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가이드 프레임(3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향으로 승강되는 커터날(41)을 통해 상기 폐오일캔(C)의 저면을 절개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절개부(40)는 잔여 오일을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압축판(20)이 폐오일캔(C)을 압착하는데 있어 폐오일캔(C)의 내부 공기를 배출시켜 폐오일캔(C)이 압력에 의해 터지는 것을 방지하는 부가적인 기능을 겸한다.
여기서 상기 절개부(40)의 커터날(41)은 폐오일캔(C)의 저면을 보다 넓은 범위에 걸쳐 손쉽게 절개할 수 있도록 양측으로 하향 경사진 삼각형태를 이룬다.
이러한 절개부(40)는 커터날(41)이 결합되는 승강판(42)과, 상기 승강판(42)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가이드 프레임(30)의 저면에 결합되는 구동수단(S)으로 구성되어 제1가이드 프레임(10)의 내부에 진입된 폐오일캔(C)을 가압하기에 앞서, 상기 절개부(40)의 커터날(41)이 제1가이드 프레임(10)의 내부로 상승되어 폐오일캔(C)의 저면을 절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1가이드 프레임(10)에 결합된 보강플레이트(13)에는 폐오일캔(C)에서 배출되는 잔여 오일의 낙하 및 절개부(40)의 커터날을 진출입시키기 위한 부분절개구(131)가 더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부분절개구(131)는 제1가이드 프레임(10)의 내부로 커터날(41)을 진출입시키는 것은 물론, 호퍼 형태로 하향으로 테이퍼지게 구성됨으로써, 폐오일캔 내부의 잔여 오일이 제2가이드 프레임(30)으로 손쉽게 낙하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부가적인 기능을 겸한다.
아울러 상기 제2가이드 프레임(30)에는 부분절개구(131)를 통해 낙하되는 오일의 상태를 식별하기 위한 투명창(32)이 설치된다.
이러한 투명창(32)은 낙하되는 잔여 오일에 포함된 이물질을 확인하고, 더불어 오일의 오염(수분 포함)상태를 확인하여 재활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오일수거부(31)는 투명창(32)에서 식별되는 오일 상태에 따라 선별 수거할 수 있도록 밸브(311a)가 마련된 제1오일수거부(311)와, 상기 제1오일수거부(311)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오일수거부(312)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오일수거부(311)는 투명창(32)에서 확인된 잔여 오일의 오염 상태가 심한 경우 밸브(V)를 개방하여 수거한 후 폐기될 수 있도록 하고, 오일의 오염 상태가 없는 경우 후처리 공정을 통해 공업용으로 재활용될 수 있도록 제1오일수거부(311)의 밸브(V)를 폐쇄시켜 제2오일수거부(312)를 통해 수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가이드 프레임(10)의 상부에는 폐오일캔(C)의 이동과, 배출된 오일을 경사진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해 진동수단(15)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진동수단(15)은 단일개 또는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제1가이드 프레임(10)과 제2가이드 프레임(30)을 진동시켜 배출된 오일과 폐오일캔(C)이 자중에 의해 경사진 방향으로의 이동을 도모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편심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수단을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컨베이어가 필요치 않아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장치의 가동에 있어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할 수 있다
한편 높이조절수단(50)은 제1가이드 프레임(10)과, 제2가이드 프레임(30)에 결합되어 경사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유압실린더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높이조절수단(50)은 충격을 흡수하는 댐퍼(51)를 매개로 연결되어 진동수단(15)에 의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진동시 발생되는 소음 또한 억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폐오일캔 압축장치의 작동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폐오일캔 압축장치의 작동도이다.
먼저 도 3과 같이, 폐오일캔(C)을 제1가이드 프레임(10)의 출입구(11)로 진입시킨다. 그러면 진동수단(15)의 진동과, 제1가이드 프레임(10)의 경사도와 표면에 묻은 오일막에 의해 폐오일캔(C)은 제1가이드 프레임(10)의 내부로 이동된다.
제1가이드 프레임(10)의 내부로 이동된 폐오일캔(C)은 압축판(20)의 스토퍼(22)에 걸려 압축판(20)의 수직선상에 위치된다.
이 때 상기 스토퍼(22)에는 접촉센서(22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접촉센서(221)를 통해 제어부(미도시)가 절개부(40)의 구동수단(S)을 가동하여 도 4와 같이, 커터날(41)이 폐오일캔(C)의 저면을 절개할 수 있도록 한다.
폐오일캔(C)을 절개한 후, 커터날(41)이 하강한 상태에서 2~3초 정도 휴지 시간을 갖도록 하여 폐오일캔(C)에 남겨진 잔여 오일이 제2가이드 프레임(30)으로 낙하 되도록 유도 한다.
이 후 제어부는 도 5와 같이, 압축판(20)의 구동수단(S)을 가동하여 압축판(20)을 통해 폐오일캔(C)을 스토퍼(22)의 길이만큼 일정하게 압착시킨다.
도 6과 같이, 압축된 폐오일캔(C)은 진동수단(15)의 진동을 제1가이드 프레임(10)에 전가시켜 유동되도록 하고, 유동된 폐오일캔은 제1가이드 프레임(10)의 경사도에 의해 미끄러져 배출구(12)로 배출되어 수거된다.
이 때 제1가이드 프레임(10)의 바닥면에는 배출구(12)와 압축판(20)의 사이 영역으로 다수의 통공(14)이 형성되어 배출되지 않는 잔여 오일을 제2가이드 프레임(30)으로 낙하된다.
동시에 제2가이드 프레임(30)으로 낙하된 오일 역시 진동과 경사도에 의해 타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오일의 오염 상태에 따라 제1오일수거부(311) 또는 제2오일수거부(312)로 수거되고, 상술된 일련을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상기 진동수단(15)의 가동은 점성에 의해 멈춰진 오일을 이동시킬 때 사용될 수 있고, 또한 정지된 폐오일캔(C)을 이동시킬 때 잠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폐오일캔 압축장치는 4리터 이상의 각종 식용유스틸캔, 오일스틸캔, 페인트스틸캔에도 적용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제1가이드 프레임 11: 출입구 12: 배출구
13: 보강플레트 131: 부분절개구
14: 통공 15: 진동수단
20: 압축판 21: 요철 211: 칼날핀
22: 스토퍼 221: 접촉센서
30: 제2가이드 프레임 31: 오일수거부 311: 제1오일수거부
312: 제2오일수거부 32: 투명창
40: 절개부 41: 커터날 42: 승강판
50: 높이조절수단 51: 댐퍼
S: 구동수단 C: 폐오일캔 V: 밸브
100: 폐오일캔 압축장치

Claims (4)

  1. 일측에는 폐오일캔(C)을 진입시키기 위한 출입구(11)가 형성되고, 타측으로는 상기 출입구(11) 보다 상대적으로 면적이 작은 압축된 폐오일캔(C)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2)가 형성되는 제1가이드 프레임(10);
    상기 제1가이드 프레임(10)의 중앙영역 내부 천정에 설치되어 출입구(11)를 통해 진입된 폐오일캔(C)을 가압하는 압축판(20);
    상기 압축판(20)을 승강시키기 위해 상기 제1가이드 프레임(10)의 상부에 고정되는 구동수단(S);
    상기 제1가이드 프레임(10)의 하부에 중첩되게 나란히 고정되어 폐오일캔(C)에서 배출되는 잔여 오일를 낙하시켜 수거하기 위한 오일수거부(31)가 형성되는 제2가이드 프레임(30); 및
    상기 압축판(20)의 수직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가이드 프레임(3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향으로 승강되는 커터날(41)을 통해 상기 폐오일캔(C)의 저면을 절개하는 절개부(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가이드 프레임(10)과 제2가이드 프레임(30)은 높이조절수단(50)을 통해 타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압축판(20)에는 폐오일캔(C)의 위치를 정위치시키고, 폐오일캔(C)의 압축 정도를 일정 크기로 간섭하는 스토퍼(22)가 더 장착되고,
    상기 제2가이드 프레임(30)에는 오일 상태를 식별하기 위한 투명창(32)이 설치되고,
    상기 제1가이드 프레임(10)의 상부에는 폐오일캔(C)의 이동과, 배출된 오일을 경사진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진동수단(15)이 결합되며,
    상기 오일수거부(31)는 투명창(32)에서 식별되는 오일 상태에 따라 선별 수거할 수 있도록 밸브(V)가 마련된 제1오일수거부(311)와, 상기 제1오일수거부(311)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오일수거부(31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오일캔 압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날(41)은 폐오일캔(C)의 저면을 보다 넓은 범위에 걸쳐 손쉽게 절개할 수 있도록 양측으로 하향 경사진 삼각형태로 이루어지고,
    절개부(40)는 커터날(41)이 결합되는 승강판(42)과, 상기 승강판(42)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가이드 프레임(30)의 저면에 결합되는 구동수단(S)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오일캔 압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판(20)의 저면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칼날핀(211)이 장착된 다수의 삼각 요철(21)이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수단(50)은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지고, 댐퍼(51)를 매개로 상기 제1가이드 프레임(10) 및 제2가이드 프레임(30)에 연결되어 진동수단(15)에 의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오일캔 압축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22)의 면상에는 폐오일캔(C)의 진입이 자동으로 감지될 수 있도록 접촉센서(221)가 결합되고,
    상기 제1가이드 프레임(10)의 저면에는 압착되는 폐오일캔(C)을 지지하기 위해 보강플레이트(13)가 더 결합되고, 상기 보강플레이트(13)에는 폐오일캔(C)에서 배출되는 오일 낙하 및 절개부(40)의 커터날(41)을 진출입시키기 위한 부분절개구(131)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오일캔 압축장치.



KR1020190086436A 2019-07-17 2019-07-17 폐오일캔 압축장치 KR102143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436A KR102143339B1 (ko) 2019-07-17 2019-07-17 폐오일캔 압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436A KR102143339B1 (ko) 2019-07-17 2019-07-17 폐오일캔 압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3339B1 true KR102143339B1 (ko) 2020-08-11

Family

ID=72048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436A KR102143339B1 (ko) 2019-07-17 2019-07-17 폐오일캔 압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33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95971A (zh) * 2021-09-30 2021-11-26 大连富地重工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废料收集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2146A (ko) 1992-11-06 1994-06-22 가나이 쯔또무 Cpu와 승산기를 갖는 반도체집적회로
KR19980016152A (ko) * 1996-08-27 1998-05-25 이영희 드럼통 압착장치
KR19980016151A (ko) * 1996-08-27 1998-05-25 이영희 드럼통 압착장치
JP2002018850A (ja) * 2000-07-03 2002-01-22 Matsuda Kogyo:Kk ペットボトル前処理設備
JP2010083128A (ja) * 2008-09-30 2010-04-15 Mitsuo Horiguchi ペットボトル圧縮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2146A (ko) 1992-11-06 1994-06-22 가나이 쯔또무 Cpu와 승산기를 갖는 반도체집적회로
KR19980016152A (ko) * 1996-08-27 1998-05-25 이영희 드럼통 압착장치
KR19980016151A (ko) * 1996-08-27 1998-05-25 이영희 드럼통 압착장치
JP2002018850A (ja) * 2000-07-03 2002-01-22 Matsuda Kogyo:Kk ペットボトル前処理設備
JP2010083128A (ja) * 2008-09-30 2010-04-15 Mitsuo Horiguchi ペットボトル圧縮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95971A (zh) * 2021-09-30 2021-11-26 大连富地重工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废料收集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3339B1 (ko) 폐오일캔 압축장치
CN105563536B (zh) 多功能切纸机
KR102014681B1 (ko) 폐지선별장치
KR102339656B1 (ko) 재활용 폐기물 선별 시스템 및 선별 방법
CN206795994U (zh) 一种带有废料收集功能的气动冲床
US5558284A (en) Crushing apparatus
KR102339655B1 (ko) 재활용 폐기물 선별 시스템
KR102142958B1 (ko) 플라스틱 폐기물의 라벨 분리장치 및 이를 갖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CN205466498U (zh) 一种具有回收废纸功能的切纸机
US7328503B2 (en) Recycling system for engine oil filter
CN205466389U (zh) 一种多功能切纸机
KR102029165B1 (ko) 유리 파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리 파쇄 방법
JP6126482B2 (ja) 容器減容装置
CN215743868U (zh) 金属压力气罐回收处理装置
CN211899445U (zh) 一种自缓冲式高层建筑垃圾分类处理通道
KR200494986Y1 (ko) 폐스프레이 캔의 처리장치
US5639202A (en) Refuse bag opener
CN207156028U (zh) 一种纤维的自动切边设备
CN217679452U (zh) 新型厨房垃圾破碎装置
KR20100001253A (ko) 폐 오일필터 유분분리기
CN210098646U (zh) 一种冲模旋切分离装置
CN206690228U (zh) 一种木板加工装置
CN205298727U (zh) 液压安全阀
CN219445344U (zh) 一种防风抑尘网用冲孔加工设备
KR200494985Y1 (ko) 폐스프레이 캔 용기의 처리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