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1727B1 - 경통부재 - Google Patents

경통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1727B1
KR102141727B1 KR1020170185035A KR20170185035A KR102141727B1 KR 102141727 B1 KR102141727 B1 KR 102141727B1 KR 1020170185035 A KR1020170185035 A KR 1020170185035A KR 20170185035 A KR20170185035 A KR 20170185035A KR 102141727 B1 KR102141727 B1 KR 102141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el
weight
resin
barrel member
polyorganosiloxane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5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2429A (ko
Inventor
김정기
김익모
박지권
김남현
홍상현
Original Assignee
롯데첨단소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첨단소재(주) filed Critical 롯데첨단소재(주)
Priority to KR1020170185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1727B1/ko
Priority to PCT/KR2018/016830 priority patent/WO2019132570A1/ko
Publication of KR20190082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2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ultrasonic vib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경통부재는 렌즈의 외주를 감싸며 하우징에 고정되는 경통; 및
상기 경통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경통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69 내지 79 중량%, 유리 섬유 20 내지 30 중량%, 불소화 올레핀계 수지 0.1 내지 0.5 중량% 및 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 0.1 내지 0.7 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불소화 올레핀계 수지와 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은 조성물중 중량비가 1:1 내지 1:3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경통부재{LENS BARREL MEMBER}
본 발명은 경통부재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조립 및 구동시 원활한 윤활성을 구현하며, 경통과 하우징간 초음파 융착성이 우수하여 외관 품질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충격성이 뛰어난 경통부재에 관한 것이다.
경통부재는 렌즈를 보호하고 렌즈를 기기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렌즈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경통부재의 내충격성이 요구된다. 또한 최근에는 핸드폰에 카메라를 장착하는 제품이 늘어남에 따라 소형 사이즈의 경통이 적용되며, 이에 따라 소형 크기도 용이하게 성형될 수 있는 성형성과 사출외관이 중요하다. 뿐만 아니라, 경통부재는 경통에 하우징이 결합된 구조를 갖는데, 이때 경통과 하우징 사이에는 통상 초음파 융착으로 결합된다. 기존 경통용 수지 재료는 초음파 융착성이 미흡하여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또한, 수지 재료의 마찰계수가 높으면 조립이 원활하지 않고, 초점을 잡는 등 제품의 구동 과정에서 과도한 구동력, 소음, 분진 등을 야기하여 제품의 성능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이처럼 경통부재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작동시 윤활성이 확보되어야 하며, 모듈의 조립을 위한 초음파 융착의 적합성, 내충격성, 우수한 사출외관이 요구된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일본공개특허 2015-199892호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 및 구동시 원활한 윤활성을 구현하며, 경통과 하우징간 초음파 융착성이 우수한 경통부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관 품질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충격성이 뛰어난 경통부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경통부재에 관한 것이다. 상기 경통부재는 렌즈의 외주를 감싸며 하우징에 고정되는 경통; 및 상기 경통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경통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69 내지 79 중량%, 유리 섬유 20 내지 30 중량%, 불소화 올레핀계 수지 0.1 내지 0.5 중량% 및 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 0.1 내지 0.7 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불소화 올레핀계 수지와 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은 조성물 중 중량비가 1:1 내지 1:3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예에서, 상기 경통과 상기 하우징은 초음파 융착에 의해 결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융착의 인장강도는 450 내지 550 N 일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20,000 내지 40,000 g/mol 일 수 있다.
상기 유리 섬유는 우레탄계 화합물로 표면처리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불소화 올레핀계 수지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비닐리덴플루오로라이드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불소화 올레핀계 수지는 불소계 올레핀 수지와 방향족 비닐계 수지의 마스터 배치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은 방향족기로 치환된 실록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은 디알킬-디아릴 실록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통은 ASTM D1894에 의거하여 측정한 정지마찰계수가 0.1 내지 0.3 일 수 있다.
상기 경통은 3.2 mm 두께 기준 ASTM D256에 의해 측정한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10 내지 25 kgf.cm/cm 일 수 있다.
상기 경통부재는 핸드폰 카메라, CCTV, 차량용 블랙박스, 또는 카메라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립 및 구동시 원활한 윤활성을 구현하며, 경통과 하우징간 초음파 융착성이 우수하고, 외관 품질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충격성이 뛰어난 경통부재를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 따른 경통부재의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경통부재는 경통(20); 및 상기 경통을 수용하는 하우징(30);을 포함한다. 상기 경통(20)은 렌즈(10)의 외주를 감싸며 하우징(30)에 고정된다.
상기 경통(20)은 하기 설명되는 조성물을 성형하여 형성된다.
상기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69 내지 79 중량%, 유리 섬유 20 내지 30 중량%, 불소화 올레핀계 수지 0.1 내지 0.5 중량% 및 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 0.1 내지 0.7 중량%를 포함한다.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는 통상의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페놀류(방향족 디올 화합물)를 포스겐, 할로겐 포르메이트, 탄산 디에스테르 등의 전구체와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되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디페놀류로는 4,4'-비페놀,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4-비스(4-히드록시페닐)-2-메틸부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2,2-비스(3-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또는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비스페놀-A 라고 불리는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분지쇄가 있는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중합에 사용되는 디페놀류 전체에 대하여, 0.05 내지 2 몰%의 3가 또는 그 이상의 다관능 화합물, 구체적으로, 3가 또는 그 이상의 페놀기를 가진 화합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호모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코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또는 이들의 블렌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에스테르 전구체(precursor), 예컨대 2관능 카르복실산의 존재 하에서 중합 반응시켜 얻어진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수지로 일부 또는 전량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로 측정한 중량평균분자량(Mw)이 20,000 내지 40,000 g/mol, 예를 들면, 22,000 내지 30,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조성물의 내충격성, 가공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조성물 전체 100 중량% 중 69 내지 79 중량%, 예를 들면 69 내지 7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만일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상기 범위에서 벗어날 경우 충분한 내충격성 및 성형성을 얻을 수 없다.
(B) 유리 섬유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유리 섬유는 상업적으로 사용되는 통상적인 것으로서, 평균 직경이 8 내지 20 ㎛,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5 ㎛이고, 평균 길이가 2 내지 4 mm인 유리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유리 섬유의 직경 및 길이가 상기 범위인 경우 압출기에 투입하는 것이 용이하며 충격보강 효과도 크게 개선될 수 있다.
유리 섬유는 단면이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또는 두 개의 원형이 연결된 아령 모양의 유리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단면이 원형인 유리 섬유는 단면의 종횡비가 1 일 수 있다. 종횡비란 유리 섬유의 단면에서 가장 작은 직경에 대한 가장 큰 직경의 비율로 정의된다. 단면이 타원형인 유리 섬유는 단면의 종횡비가 1 초과의 값을 가진다.
한편, 유리 섬유와 수지와의 접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유리 섬유 표면을 소정의 물질로 표면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표면처리제의 종류에 따라 전체적인 조성물의 유동성 및 내충격성 등이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표면처리제로 우레탄계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우레탄계 화합물로는 통상적으로 상용화되어 사용되고 있는 우레탄계 화합물이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우레탄계 화합물로 표면처리된 유리 섬유는 유기물 함량이 적어 수분 흡습율이 낮고, 고온에서 사출성형시 가스배출이 적어서 성형품 표면 가스터짐(blister) 발생이 적고, 수지와의 접착력이 좋아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강도도 우수하다.
유리 섬유는 본 발명의 조성물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유리 섬유의 함량이 20 중량% 미만인 경우 내충격성이 저하되고, 유리 섬유의 함량이 30 중량% 초과인 경우 유동성이 저하되어 우수한 성형성과 외관을 확보하기 어렵다.
(C) 불소화 올레핀계 수지
본 발명의 불소화 올레핀계 수지는 후술할 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과 함께 특정 비율로 첨가되어 경통부재의 작동시 마찰계수를 감소시켜 윤활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불소화 올레핀계 수지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비닐리덴플루오로라이드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이들의 조합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예에서, 상기 불소화 올레핀계 수지는 공지의 중합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나트륨, 칼륨, 암모늄 퍼옥시디설페이트 등의 자유 라디칼 형성 촉매가 들어있는 수성 매질 내에서 제조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불소화 올레핀계 수지는 에멀젼(emulsion) 상태, 분말(powder) 상태 또는 다른 수지와 블렌딩한 마스터배치(masterbatch)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는 불소계 올레핀 수지와 폴리스티렌 수지,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수지 등의 방향족 비닐계 수지의 마스터배치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불소화 올레핀계 수지는 조성물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0.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윤활성이 확보될 수 없다. 또한 0.5 중량%를 초과할 경우 내충격성 및 초음파 융착성이 저하된다.
(D) 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
본 발명의 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은 불소화 올레핀계 수지와 함께 특정 비율로 첨가되어 경통부재의 작동시 윤활성을 확보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은 방향족기로 치환된 실록산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은 폴리디알킬실록산의 알킬기 일부를 아릴기로 치환한 것으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7131420643-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tert-부틸기 등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7131420643-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tert-부틸기 등이거나, 탄소수 6 내지 12의 아릴기, 예를 들면 페닐기, 벤질기, 톨릴(tolyl)기, o-자일릴(o-xylyl)기, m-자일릴(m-xylyl)기 등일 수 있으며, R3 및 R4 중 적어도 하나는 아릴기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은 디알킬-디아릴 실록산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은 아릴기의 함량이 전체 치환기(R1, R2, R3 및 R4) 100 몰% 중 30 내지 50 몰%, 예를 들면 35 내지 45 몰%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조성물의 외관 특성, 내충격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은 폴리(디메틸실록산-페닐메틸실록산) 등의 폴리(디알킬실록산-아릴알킬실록산); 폴리(디메틸실록산- 디페닐실록산) 등의 폴리(디알킬실록산-디아릴실록산); 이들의 조합 등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은 우베로드(Ubbelohde) 점도계를 사용하여 25℃에서 측정한 점도가 1 내지 500 cSt(centistokes), 예를 들면 4 내지 300 cSt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내충격성이 더욱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은 조성물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0.7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윤활성이 확보될 수 없다. 또한 0.7 중량%를 초과할 경우 오히려 윤활성이 떨어지고, 초음파 융착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이형제, 가소제, 열안정제, 광안정제, 난연제, 난연보조제, 산화방지제, 충진제 등의 첨가제를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한도에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통(20)은 상기 조성물을 사출성형, 압출성형, 진공성형, 캐스팅성형 등의 다양한 성형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성형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잘 알려져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경통(20)은 ASTM D1894에 의거하여 측정한 정지마찰계수가 0.1 내지 0.3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경통(20)은 3.2 mm 두께 기준 ASTM D256에 의해 측정한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10 내지 25 kgf.cm/cm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경통(20)은 ASTM D790에 따라 6.4 mm 두께 시편에 대해 2.8 mm/min 조건으로 측정한 굴곡강도가 60,000 kgf/cm2 이상, 60,000 kgf/cm2 내지 100,000 kgf/cm2 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경통 부재의 치수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경통 구동 시 변형을 억제하는 효과가 더욱 우수할 수 있다.
상기 경통(20)은 하우징(30)에 초음파 융착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초음파 융착의 인장강도는 450 내지 550 N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경통부재는 핸드폰 카메라, CCTV, 차량용 블랙박스, 또는 카메라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각 성분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중량평균 분자량이 약 24,000g/mol인 비스페놀-A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제조사: 롯데첨단소재)를 사용하였다.
(B) 유리 섬유
우레탄계 화합물로 표면처리된 원형 단면의 유리 섬유(제조사: Nitto Boseki, 제품명: CSF 3PE-455W)를 사용하였다.
(C) 불소화 올레핀계 수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함량이 50 중량%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AN)의 마스터배치(제조사: 퍼시픽인터켐, 제품명: Poly TS 30A)를 사용하였다.
(D) 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
폴리(디메틸실록산-페닐메틸실록산)(제조사: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제품명: TSF-433)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7
상기 각 구성 성분을 하기 표 1 및 2 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함량으로 첨가한 후, 250℃에서 압출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압출은 L/D=36, 직경 45 mm인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였으며, 제조된 펠렛은 100℃에서 4시간 이상 건조 후, 사출온도 300℃에서 사출성형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이들 시편은 23℃, 상대습도 50%에서 48시간 방치한 후 하기의 방법으로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물성 측정 방법
(1) 정지마찰계수: ASTM D1894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2) 아이조드 충격강도(단위: kgf·cm/cm): ASTM D256에 의거하여, 두께 3.2 mm 시편의 아이조드(Izod) 충격강도를 측정하였다.
(3) 초음파 융착 인장강도(단위: N): 수지 조성물을 경통 형상으로 성형한 후, 초음파 융착기(제조사: Emerson Electric, 모델명: Branson 2000X)를 사용하여 융착시간 0.15 초, 유지시간 0.2 초, 트리거(trigger) 가압력 50 N, 진폭 90 %, 에너지 200 J의 조건으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제조사: 롯데첨단소재, 제품명: EH-1050)로 성형한 하우징 시편의 한쪽면에 길이 1 ㎝, 높이 2 mm의 8 내지 10개의 융착산을 성형하여 융착산이 없는 부분과 맞닿게 초음파 융착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초음파 융착 시편에 대해 10mm/min의 조건으로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4) 굴곡강도(단위: kgf/cm2): ASTM D790에 따라 6.4 mm 두께 시편에 대해 2.8 mm/min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5) 사출외관: 수지 조성물을 경통 형상으로 성형한 시편의 외관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가스 실버(silver streak), 블리스터(blister) 등의 외관 불량 발생 여부를 확인하였다.
(함량단위: 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A) 69.6 69.2 70
(B) 30 30 28.8
(C) 0.2 0.2 0.5
(D) 0.2 0.6 0.7
(C):(D) 중량비 1:1 1:3 1:1.4
정지 마찰계수 0.21 0.20 0.18
아이조드 충격강도 13 17 16
굴곡강도 74,000 74,500 73,000
초음파 융착 인장강도 480 470 470
사출외관 양호 양호 양호
(함량단위: 중량%)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A) 70 69.8 69.2 69.6 69.1 80.8 69.8
(B) 30 30 30 30 30 18 30
(C) - 0.2 0.7 0.3 0.1 0.5 -
(D) - - 0.1 0.1 0.8 0.7 0.2
(C):(D) 중량비 - - 1:0.14 1:0.3 1:8 1:1.4 -
정지 마찰계수 0.58 0.47 0.20 0.41 0.50 0.19 0.55
아이조드 충격강도 10 9 6 5 15 12 17
굴곡강도 75,000 74,500 75,000 74,000 72,500 55,000 75,000
초음파 융착
인장강도
500 470 150 430 100 440 460
사출외관 양호 양호 불량 양호 불량 양호 양호
상기 표 1 및 2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정지마찰계수 0.3 이하로 양호하고 외관품질, 충격강도 및 초음파 융착 후 인장강도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반면, 불소화 올레핀계 수지와 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을 적용하지 않은 비교예 1의 경우 정지마찰계수가 높아 윤활성이 부족하고, 비교예 2의 경우 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을 첨가하지 않음에 따라 충격강도가 낮고 윤활성이 부족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3은 과량의 불소화 올레핀계 수지 첨가에 따라 초음파 융착 성능이 떨어지고 외관품질이 좋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불소화 올레핀계 수지와 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의 혼합비율이 적절하지 못한 비교예 4 및 5의 경우는 각각 내충격성 및 윤활성, 초음파 융착성 및 윤활성이 부족하였으며, 비교예 5는 외관품질 또한 좋지 못하였다. 또한, 비교예 6의 경우 폴리카보네이ㅌ 수지를 과량으로 포함하고 유리 섬유의 양이 부족하여 충분한 충격강도 및 굴곡강도 확보가 어려웠고, 비교예 7의 경우 불소화 올레핀계 수지를 첨가하지 않음에 따라 윤활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2)

  1. 렌즈의 외주를 감싸며 하우징에 고정되는 경통; 및
    상기 경통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경통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69 내지 79 중량%, 유리 섬유 20 내지 30 중량%, 불소화 올레핀계 수지 0.1 내지 0.5 중량% 및 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 0.1 내지 0.7 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불소화 올레핀계 수지와 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은 조성물 중 중량비가 1:1 내지 1:3이며,
    상기 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은 방향족기로 치환된 실록산을 포함하는 것인 경통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통과 상기 하우징은 초음파 융착에 의해 결합된 것인 경통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융착의 인장강도는 450 내지 550 N 인 경통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20,000 내지 40,000 g/mol 인 경통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섬유는 우레탄계 화합물로 표면처리된 것인 경통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화 올레핀계 수지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비닐리덴플루오로라이드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경통부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화 올레핀계 수지는 불소계 올레핀 수지와 방향족 비닐계 수지의 마스터 배치인 경통부재.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은 디알킬-디아릴 실록산을 포함하는 것인 경통부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통은 ASTM D1894에 의거하여 측정한 정지마찰계수가 0.1 내지 0.3 인 경통부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통은 3.2 mm 두께 기준 ASTM D256에 의해 측정한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10 내지 25 kgf.cm/cm 인 경통부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통부재는 핸드폰 카메라, CCTV, 차량용 블랙박스, 또는 카메라에 적용되는 것인 경통부재.
KR1020170185035A 2017-12-31 2017-12-31 경통부재 KR102141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5035A KR102141727B1 (ko) 2017-12-31 2017-12-31 경통부재
PCT/KR2018/016830 WO2019132570A1 (ko) 2017-12-31 2018-12-28 경통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5035A KR102141727B1 (ko) 2017-12-31 2017-12-31 경통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2429A KR20190082429A (ko) 2019-07-10
KR102141727B1 true KR102141727B1 (ko) 2020-08-05

Family

ID=67067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5035A KR102141727B1 (ko) 2017-12-31 2017-12-31 경통부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41727B1 (ko)
WO (1) WO20191325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7560B1 (ko) * 2019-12-20 2023-06-23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경통 부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14264A (ja) * 2005-10-18 2007-05-10 Teijin Chem Ltd ガラス繊維強化難燃性樹脂組成物からなる鏡筒
JP5237531B2 (ja) * 2006-03-17 2013-07-17 出光興産株式会社 ガラス繊維強化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JP2013156483A (ja) * 2012-01-31 2013-08-15 Marumi Koki Kk 高分子弾性体からなるデジタルカメラ用フィルター枠
JP2014214181A (ja) * 2013-04-23 2014-11-17 帝人株式会社 導電性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KR101795143B1 (ko) * 2014-07-31 2017-11-07 롯데첨단소재(주) 투명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7682B1 (ko) * 2004-12-31 2012-01-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소자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0813233B1 (ko) * 2006-02-06 2008-03-13 삼성전기주식회사 내마모성이 향상된 카메라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65337B1 (ko) * 2008-12-19 2011-09-16 제일모직주식회사 내광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1240320B1 (ko) * 2009-12-29 2013-03-07 제일모직주식회사 투명성과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14264A (ja) * 2005-10-18 2007-05-10 Teijin Chem Ltd ガラス繊維強化難燃性樹脂組成物からなる鏡筒
JP5237531B2 (ja) * 2006-03-17 2013-07-17 出光興産株式会社 ガラス繊維強化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JP2013156483A (ja) * 2012-01-31 2013-08-15 Marumi Koki Kk 高分子弾性体からなるデジタルカメラ用フィルター枠
JP2014214181A (ja) * 2013-04-23 2014-11-17 帝人株式会社 導電性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KR101795143B1 (ko) * 2014-07-31 2017-11-07 롯데첨단소재(주) 투명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32570A1 (ko) 2019-07-04
KR20190082429A (ko) 2019-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3959B1 (ko)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JP5613178B2 (ja)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成形品
KR101940431B1 (ko)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JP6770434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CN109988405B (zh) 热塑性树脂组合物和由其生产的模制品
KR102107684B1 (ko) 폴리에테르이미드 조성물 및 관련 물품 및 적층 가공 방법
KR102141727B1 (ko) 경통부재
CN108368333B (zh) 热塑性树脂组合物和包含其的模塑产品
KR20140097278A (ko)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및 반도체 용도에서 유용한 청정 폴리카보네이트 재료
CN109971146B (zh) 镜筒构件
KR102197159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5211994B2 (ja) 難燃性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電気電子部品
JP6837987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KR102244000B1 (ko)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JP7053199B2 (ja) 樹脂組成物及び樹脂成形体
JP2016094577A (ja)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JP2007023094A (ja) 摺動性部品
KR101906682B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2583836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KR102087405B1 (ko)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150034554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186867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CN1519275A (zh) 聚亚芳基硫醚树脂组合物
JP2004004632A (ja) 耐熱光学部品
KR20220070801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