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1292B1 - 접이식 간이선반 - Google Patents

접이식 간이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1292B1
KR102141292B1 KR1020190000670A KR20190000670A KR102141292B1 KR 102141292 B1 KR102141292 B1 KR 102141292B1 KR 1020190000670 A KR1020190000670 A KR 1020190000670A KR 20190000670 A KR20190000670 A KR 20190000670A KR 102141292 B1 KR102141292 B1 KR 102141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unit
unit
shelf
support body
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0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4593A (ko
Inventor
신민호
Original Assignee
신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민호 filed Critical 신민호
Priority to KR1020190000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1292B1/ko
Publication of KR20200084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4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6/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one or more surfaces adapted to be brought into position for use by extending or pivoting
    • A47B46/005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one or more surfaces adapted to be brought into position for use by extending or pivoting by displacement in a vertical plane; by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2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Landscapes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측벽에 설치되어 지지바디유닛으로부터 선반바디유닛을 간편하게 접었다 펼 수 있고, 지지바디유닛으로부터 펼쳐진 선반바디유닛을 통해 사용자가 소지한 소지품을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 간이선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접이식 간이선반은 건물의 측벽에 결합되는 지지바디유닛과, 지지바디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선반바디유닛과, 선반바디유닛의 타단부를 가압하여 지지바디유닛의 전방으로 선반바디유닛의 타단부를 돌출시키는 인출유닛 및 지지바디유닛의 상단부와 선반바디유닛의 타단부를 연결하는 견인유닛을 포함하되, 선반바디유닛은 지지바디유닛과 평행한 수직 상태에서 인출유닛에 의해 타단부가 지지바디유닛의 전방으로 돌출된 다음, 외력이나 견인유닛의 구동에 의해 지지바디유닛과 교차되는 수평 상태로 회동되고, 수평 상태에서 견인유닛에 의해 수직 상태로 복귀한다.

Description

접이식 간이선반{FOLDING TYPE EASY SHELF}
본 발명은 접이식 간이선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건물의 측벽에 설치되어 지지바디유닛으로부터 선반바디유닛을 간편하게 접었다 펼 수 있고, 지지바디유닛으로부터 펼쳐진 선반바디유닛을 통해 사용자가 소지한 소지품을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 간이선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중화장실은 고속도로 휴게소, 공원, 경기장, 병원 등과 같이 다수인이 수시로 드나드는 건물 내에 설치된 화장실을 일컬으며, 각 개인이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화장실 실내에는 좌변기를 기준으로 파티션으로 구획된 화장실 부스가 설치된다.
공중화장실을 이용함에 있어, 지갑, 핸드폰, 가방, 짐 등과 같이 사용자가 소지한 소지품의 보관을 위해 화장실 부스 내에는 선반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선반이 마련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소지한 소지품을 화장실의 바닥에 놓아야 하므로, 사용자의 소지품을 화장실의 바닥에 놓는다는 자체가 거부감을 느끼게 되고, 사용자가 화장실을 이용하는데 매우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73767호 (고안의 명칭 : 공중화장실용 선반대, 2000. 03. 15.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건물의 측벽에 설치되어 지지바디유닛으로부터 선반바디유닛을 간편하게 접었다 펼 수 있고, 지지바디유닛으로부터 펼쳐진 선반바디유닛을 통해 사용자가 소지한 소지품을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 간이선반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간이선반은 건물의 측벽에 결합되는 지지바디유닛; 상기 지지바디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선반바디유닛; 상기 선반바디유닛의 타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지지바디유닛의 전방으로 상기 선반바디유닛의 타단부를 돌출시키는 인출유닛; 및 상기 지지바디유닛의 상단부와 상기 선반바디유닛의 타단부를 연결하는 견인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선반바디유닛은, 상기 지지바디유닛과 평행한 수직 상태에서 상기 인출유닛에 의해 타단부가 상기 지지바디유닛의 전방으로 돌출된 다음, 외력이나 상기 견인유닛의 구동에 의해 상기 지지바디유닛과 교차되는 수평 상태로 회동되고, 수평 상태에서 상기 견인유닛에 의해 수직 상태로 복귀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바디유닛에는, 상기 선반바디유닛의 수평 상태 유지를 위해 상기 선반바디유닛의 일단부가 끼움 고정되도록 함몰 형성되는 끼움고정부;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선반바디유닛의 타단부에는, 중량을 갖는 금속 재질의 편심하중부;가 포함되고, 상기 지지바디유닛에는, 자기력이 발생되어 상기 편심하중부를 끌어당기는 지지자석부;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선반바디유닛에는, 상기 견인유닛과의 연결을 위해 타단부에 구비되는 케이블연결부; 사용자가 소지한 소지품의 걸림 결합을 위해 가장자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후크부; 수직 상태에서 상기 지지바디유닛과 마주보는 면에 함몰 형성되는 바닥안착홈부; 사용자가 소지한 소지품의 미끄러짐 방지를 위해 수직 상태에서 상기 지지바디유닛과 마주보는 면에 구비되는 논슬립부; 사용자의 파지를 위해 타단부에 구비되는 파지손잡이부; 및 중량을 가지고 타단부에 구비되는 편심하중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인출유닛은, 일부가 상기 지지바디유닛의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바디유닛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인출가동부; 상기 지지바디유닛에 내장된 상태에서 상기 인출가동부에 치합되고, 상기 인출가동부의 슬라이드 이동에 대응하여 회전되는 인출피니언부; 및 상기 지지바디유닛에 내장된 상태에서 상기 인출피니언부와 치합되고, 상기 인출가동부의 슬라이드 이동에 대응하여 일부가 상기 지지바디유닛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지지바디유닛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선반푸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견인유닛은, 상기 지지바디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내장되는 견인롤러; 상기 견인롤러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견인축; 상기 견인롤러에 권취되고, 자유단부가 상기 선반바디유닛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견인케이블; 및 상기 견인롤러를 회전시키는 견인구동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견인구동부는, 상기 견인축에 구비되어 상기 견인롤러와 함께 회전하면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견인태엽; 및 상기 인출유닛의 동작에 따라 상기 견인롤러를 정역 회전시키는 견인모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간이선반은 수직 상태에서 상기 선반바디유닛을 살균 처리하는 살균유닛; 및 상기 선반바디유닛의 회전 상태, 유닛 구동을 위한 전원의 인가 상태, 자외선의 조사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상태표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간이선반에 따르면, 건물의 측벽에 설치되어 지지바디유닛으로부터 선반바디유닛을 간편하게 접었다 펼 수 있고, 지지바디유닛으로부터 펼쳐진 선반바디유닛을 통해 사용자가 소지한 소지품을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반바디유닛이 수직 상태일 때, 지지바디유닛에 선반바디유닛과 인출유닛과 견인유닛과 전원유닛과 살균유닛이 삽입 또는 내장된 상태를 나타내어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주변 이동체에 간섭되지 않으며, 간이선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바디유닛에서 선반바디유닛의 회전 및 슬라이드 이동을 부드럽게 하고, 수평 상태에서 선반바디유닛을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자석부를 통해 선반바디유닛의 수직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지지바디유닛에서 선반바디유닛을 유동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걸림후크부를 통해 사용자의 소지품을 걸어서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안착홈부 또는 논슬립부를 또는 수평 상태인 선반바디유닛에서 사용자의 소지품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선반바디유닛에서 사용자의 소지품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지손잡이부를 통해 선반바디유닛의 수동 조작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파지를 간편하게 할 수 있고, 선반바디유닛의 오염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편심하중부를 통해 수직 상태인 선반바디유닛을 수평 상태로 변경할 때, 선반바디유닛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고, 선반바디유닛의 회전에 따라 선반바디유닛의 타단부가 안정되게 낙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출유닛을 통해 수직 상태인 선반바디유닛이 지지바디유닛으로부터 안정되게 인출되도록 하고, 선반바디유닛에 편심하중을 부여하여 선반바디유닛의 회전이 용이해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출유닛을 통해 인출유닛의 동작을 부드럽게 하고, 선반바디유닛의 타단부를 안정되게 가압하여 지지바디유닛으로부터 선반바디유닛의 타단부가 간편하게 인출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출유닛을 통해 돌출푸셔와 인출푸셔의 슬라이드 이동 및 인출피니언부의 회전을 부드럽게 하고, 지지바디유닛이 인출유닛의 동작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귀탄성부를 통해 돌출푸셔의 원위치 복귀를 원활하게 하고, 견인유닛의 동작을 안정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위치조작부를 통해 견인유닛 중 견인모터의 동작을 명확하게 하고, 견인모터의 정역 회전을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견인유닛을 통해 수동 동작은 물론 자동 동작으로 지지바디유닛에서 선반바디유닛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고, 수평 상태인 선반바디유닛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견인태엽을 통해 수평 상태인 선반바디유닛을 탄성력으로 복귀시켜 선반바디유닛의 수직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견인모터를 통해 선반바디유닛의 자동 회전을 구현하고, 선반바디유닛의 수평 상태 및 수직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살균유닛을 통해 수직 상태에서 사용자의 소지품에 의해 오염된 선반바디유닛을 살균 처리할 수 있고, 다른 사용자에게 오염물질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며, 접이식 간이선반의 청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태표시부를 통해 선반바디유닛의 회전 상태, 유닛 구동을 위한 전원의 인가 상태, 자외선의 조사 상태를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유닛을 통해 견인모터와 살균유닛과 상태표시부가 안정되게 동작되도록 하고, 전원의 교체 및 인가 방식을 다양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간이선반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간이선반에서 선반바디유닛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간이선반에서 걸림후크부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확대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간이선반에서 인출유닛과 견인유닛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간이선반에서 지지바디유닛과 선반바디유닛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간이선반에서 지지바디유닛으로부터 선반바디유닛이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간이선반에서 지지바디유닛으로부터 선반바디유닛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간이선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간이선반은 지지바디유닛(10)과, 선반바디유닛(30)과, 인출유닛(40)과, 견인유닛(50)을 포함한다.
지지바디유닛(10)은 건물의 측벽에 결합된다. 여기서, 건물의 측벽이라 함은 접이식 간이선반이 설치되는 실내의 측벽, 화장실의 칸막이벽, 화장실의 좌변기 출입도어, 화장실의 측벽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바디유닛(10)은 블럭 형태의 함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지지바디유닛(10)은 육면체 형상의 함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바디유닛(10)에는 바디안착홈부(11)와, 끼움고정부(12)와, 인출유닛장착부(13)와, 견인유닛장착부(14)와, 살균유닛장착부(15)와, 전원유닛장착부(16)와, 지지자석부(17)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바디안착홈부(11)는 선반바디유닛(30)이 삽입되도록 지지바디유닛(10)의 전면에 함몰 형성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바디안착홈부(11)의 바닥에는 마주보는 대상을 비추기 위한 거울이 구비될 수 있다.
끼움고정부(12)는 선반바디유닛(30)의 일단부가 끼움 고정되도록 지지바디유닛(10)의 하단부에 함몰 형성된다. 끼움고정부(12)에 선반바디유닛(30)의 일단부가 끼움 고정됨에 따라 선반바디유닛(30)의 수평 상태 유지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수평 상태의 선반바디유닛(30)이라 함은 지지바디유닛(10)의 전방에서 선반바디유닛(30)이 지지바디유닛(10) 또는 건물의 측벽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상태로 돌출된 상태를 의미한다.
인출유닛장착부(13)는 인출유닛(40)의 설치 공간을 형성한다.
견인유닛장착부(14)는 견인유닛(50)의 설치 공간을 형성한다.
살균유닛장착부(15)는 살균유닛(70)의 설치 공간을 형성한다.
전원유닛장착부(16)는 전원유닛(60)의 설치 공간을 형성한다.
지지자석부(17)는 자기력을 발생시킨다. 지지자석부(17)는 자성체 또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자석부(17)는 선반바디유닛(30)의 타단부 또는 선반바디유닛(30)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편심하중부(38)를 자기력에 의해 끌어당길 수 있다.
선반바디유닛(30)은 회동축(20)을 매개로 지지바디유닛(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선반바디유닛(30)은 지지바디유닛(10)과 평행한 수직 상태에서 접힌 상태를 나타내고, 지지바디유닛(10)과 교차되는(실질적으로는 지지바디유닛(10)에서 수직으로 돌출되는) 수평 상태에서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서, 회동축(20)은 지지바디유닛(10)의 하단부와 선반바디유닛(30)의 일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회동축(20)은 지지바디유닛(10)의 하단부와 선반바디유닛(30)의 일단부 중 어느 하나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반바디유닛(30)의 일단부에 회동축(20)이 구비되는 경우, 지지바디유닛(10)의 끼움고정부(12)에는 선반바디유닛(30)의 일단부 양측단에 구비된 회동축(20)이 끼움 결합되는 슬라이딩홈이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지지바디유닛(10)의 하단부에 회동축(20)이 구비되는 경우, 선반바디유닛(30)의 일단부 양측단에는 지지바디유닛(10)의 하단부에 구비된 회동축(20)이 끼움 결합되는 슬라이딩홈이 구비될 수 있다.
슬라이딩홈은 선반바디유닛(30)의 일단부가 지지바디유닛(10)의 끼움고정부(12)에 끼움 고정될 때, 회동축(20)의 슬라이드 이동 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슬라이딩홈의 일측단은 회동축(20)의 회전 중심을 형성할 수 있고, 슬라이딩홈의 타측단은 회동축(20)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선반바디유닛(30)에는 케이블연결부(31)와, 걸림후크부(32)와, 바닥안착홈부(34)와, 논슬립부(36)와, 파지손잡이부(37)와, 편심하중부(38)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케이블연결부(31)는 견인유닛(50)과의 연결을 위해 선반바디유닛(30)의 타단부에 구비된다. 케이블연결부(31)에는 견인유닛(50)의 견인케이블(53)이 연결되고, 견인케이블(53)의 탈부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걸림후크부(32)는 사용자가 소지한 소지품의 걸림 결합을 위해 선반바디유닛(30)의 타단부 가장자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걸림후크부(32)는 후크회전축(321)을 매개로 선반바디유닛(30)의 타단부 가장자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걸림후크부(32)에는 후크손잡이(322)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걸림후크부(32)를 간편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한다. 사용시에는 선반바디유닛(30)에서 걸림후크부(32)가 회전됨에 따라 선반바디유닛(30)에 걸림후크부(32)를 돌출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소지품을 걸림후크부(32)에 걸어 보과할 수 있다.
이때, 선반바디유닛(30)에는 걸림후크부(32)가 삽입되는 후크안착홈부(33)가 함몰 형성됨으로써, 미사용시 선반바디유닛(30)에서 걸림후크부(32)의 돌출을 방지할 수 있고, 수직 상태인 선반바디유닛(30)에서 걸림후크부(32)가 지지바디유닛(10)에 간섭되는 것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바닥안착홈부(34)는 수직 상태인 선반바디유닛(30)에서 지지바디유닛(10)과 마주보는 면에 함몰 형성된다. 수평 상태인 선반바디유닛(30)에서 바닥안착홈부(34)에는 사용자의 소지품이 안착됨에 따라 수평 상태인 선반바디유닛(30)에서 사용자의 소지품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선반바디유닛(30)에는 바닥안착홈부(34)의 가장자리로부터 선반바디유닛(30)의 가장자리를 향해 상향 경사를 이루는 지지경사부(35)가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의 소지품과 선반바디유닛(30) 사이의 충돌 면적을 최소화하고, 사용자의 소지품과 선반바디유닛(30)의 상호 충돌에 따른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논슬립부(36)는 사용자가 소지한 소지품의 미끄러짐 방지를 위해 수직 상태인 선반바디유닛(30)에서 지지바디유닛(10)과 마주보는 면에 구비된다. 선반바디유닛(30)에 바닥안착홈부(34)가 구비되는 경우, 논슬립부(36)는 바닥안착홈부(34)의 바닥에 구비되도록 한다. 이때, 수직 상태인 선반바디유닛(30)에서 논슬립부(36)는 지지바디유닛(10)과 마주보는 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바디안착홈부(11)에서 논슬립부(36)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파지손잡이부(37)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해 선반바디유닛(30)의 타단부에 구비된다. 수동 방식으로 지지바디유닛(10)으로부터 선반바디유닛(30)을 펼치거나 접을 때, 끼움고정부(12)에 선반바디유닛(30)을 끼움 결합하거나 해제할 때,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파지하고, 수직 상태인 선반바디유닛(30)에서 지지바디유닛(10)과 마주보는 면이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편심하중부(38)는 중량을 가지고 선반바디유닛(30)의 타단부에 구비된다. 편심하중부(38)는 선반바디유닛(30)의 타단부에 내장되어 선반바디유닛(30)의 무게 중심을 선반바디유닛(30)의 타단부 쪽으로 편심시키고, 선반바디유닛(30)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편심하중부(38)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자기력에 의해 지지바디유닛(10)의 지지자석부(17)와 결합될 수 있다.
인출유닛(40)은 외력에 의해 선반바디유닛(30)의 타단부를 가압한다. 인출유닛(40)이 선반바디유닛(30)의 타단부를 가압함에 따라 선반바디유닛(30)의 일단부는 회동축(20)을 매개로 지지바디유닛(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가 유지되고, 선반바디유닛(30)의 타단부는 지지바디유닛(1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자기력에 의한 지지자석부(17)와 선반바디유닛(30) 사이의 결합 또는 지지자석부(17)와 편심하중부(38) 사이의 결합을 해제시키고, 선반바디유닛(30)의 타단부에 편심 하중이 발생되도록 한다.
인출유닛(40)은 인출가동부(41)와, 인출피니언부(42)와, 선반푸시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인출가동부(41)는 지지바디유닛(1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인출가동부(41)는 지지바디유닛(10)의 인출유닛장착부(13)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인출가동부(41)의 일부는 지지바디유닛(10)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인출가동부(41)는 돌출푸셔(411)와, 가동랙기어(412)를 포함하고, 복귀탄성부(413)와 스위치조작부(4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푸셔(411)는 지지바디유닛(10)의 인출유닛장착부(13)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돌출푸셔(411)의 일부는 지지바디유닛(10)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사용자가 돌출푸셔(411)를 가압하면, 돌출된 돌출푸셔(411)의 일부는 인출유닛장착부(13)로 삽입되도록 한다.
가동랙기어(412)는 돌출푸셔(411) 중 적어도 인출유닛장착부(13)에 삽입된 부분에 구비된다. 가동랙기어(412)는 인출피니언부(42)와 치합된다. 가동랙기어(412)는 돌출푸셔(411)의 슬라이드 이동에 대응하여 인출피니언부(42)와 치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복귀탄성부(413)는 지지바디유닛(10)에 대하여 돌출푸셔(411)를 탄성 지지한다. 복귀탄성부(413)는 인출유닛장착부(13)에 구비된다. 돌출푸셔(411)에 외력이 가해지면, 복귀탄성부(413)는 돌출푸셔(411)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압축 또는 인장된다. 돌출푸셔(411)에 가해지는 외력이 해제되면, 복귀탄성부(413)는 탄성력에 의해 돌출푸셔(411)를 원위치로 복귀시킴으로써, 돌출푸셔(411)의 일부가 지지바디유닛(10)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스위치조작부(414)는 돌출푸셔(411)에 구비된다. 스위치조작부(414)는 돌출푸셔(411)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스위치조작부(414)는 전원유닛(60)의 모터스위치(62)를 동작시켜 견인유닛(50)의 견인모터(55)가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인출피니언부(42)는 지지바디유닛(10)에 내장된 상태에서 인출가동부(41)에 치합된다. 인출피니언부(42)는 인출유닛장착부(13)에 구비된 상태에서 지지바디유닛(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인출랙기어(432)에 치합된다. 인출피니언부(42)는 인출가동부(41)의 돌출푸셔(411)의 슬라이드 이동에 대응하여 회전된다.
선반푸시부(43)는 지지바디유닛(10)에 내장된 상태에서 인출피니언부(42)와 치합된다. 선반푸시부(43)는 지지바디유닛(10)의 인출유닛장착부(13)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선반푸시부(43)는 인출가동부(41)의 슬라이드 이동에 대응하여 슬라이드 이동된다. 인출가동부(41)의 일부가 지지바디유닛(10)의 인출유닛장착부(13)에 삽입되면, 선반푸시부(43)의 일부는 지지바디유닛(10)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삽입된 인출가동부(41)의 일부가 지지바디유닛(10)의 인출유닛장착부(13)에서 돌출되면, 돌출된 선반푸시부(43)의 일부가 지지바디유닛(10)의 인출유닛장착부(13)에 삽입된다. 이때, 선반푸시부(43)의 일부는 지지바디유닛(10)의 인출유닛장착부(13)에서 전방으로 돌출됨에 따라 선반바디유닛(30)의 타단부를 가압하여 선반바디유닛(30)의 타단부가 지지바디유닛(10)의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한다.
선반푸시부(43)는 인출가동부(41)와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러면, 선반푸시부(43)는 인출가동부(41)의 슬라이드 이동에 대응하여 인출가동부(41)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선반푸시부(43)의 일부가 지지바디유닛(10)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선반푸시부(43)는 인출가동부(41)와 교차되도록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그러면, 선반푸시부(43)는 인출가동부(41)의 슬라이드 이동에 대응하여 인출가동부(41)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선반푸시부(43)의 일부가 지지바디유닛(10)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선반푸시부(43)는 인출푸셔(431)와, 인출랙기어(432)를 포함할 수 있다.
인출푸셔(431)는 지지바디유닛(10)의 인출유닛장착부(13)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인출푸셔(431)는 지지바디유닛(10)의 인출유닛장착부(13)에 구비된다. 사용자가 돌출푸셔(411)를 가압하면, 인출푸셔(431)의 일부는 지지바디유닛(10)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인출랙기어(432)는 인출푸셔(431) 중 적어도 지지바디유닛(1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구비된다. 인출랙기어(432)는 인출피니언부(42)와 치합된다. 인출랙기어(432)는 인출푸셔(431)의 슬라이드 이동에 대응하여 인출피니언부(42)와 치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술한 복귀탄성부(413)와 스위치조작부(4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선반푸시부(43)에도 포함될 수 있다.
다시말해, 복귀탄성부(413)는 지지바디유닛(10)에 대하여 인출푸셔(431)를 탄성 지지한다. 복귀탄성부(413)는 인출유닛장착부(13)에 구비된다. 인출푸셔(431)에 외력이 가해지면, 복귀탄성부(413)는 인출푸셔(431)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압축 또는 인장된다. 인출푸셔(431)에 가해지는 외력이 해제되면, 복귀탄성부(413)는 탄성력에 의해 인출푸셔(431)를 원위치로 복귀시킴으로써, 인출푸셔(431)가 지지바디유닛(10)의 인출유닛장착부(13)에 내장되도록 한다.
스위치조작부(414)는 인출푸셔(431)에 구비된다. 스위치조작부(414)는 인출푸셔(431)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스위치조작부(414)는 전원유닛(60)의 모터스위치(62)를 동작시켜 견인유닛(50)의 견인모터(55)가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다.
견인유닛(50)은 지지바디유닛(10)의 상단부와 선반바디유닛(30)의 타단부를 연결한다. 그러면, 선반바디유닛(30)은 지지바디유닛(10)과 평행한 수직 상태에서 인출유닛(40)에 의해 타단부가 지지바디유닛(10)의 전방으로 돌출된 다음, 외력이나 견인유닛(50)의 구동에 의해 지지바디유닛(10)과 교차되는 수평 상태로 회동되고, 수평 상태에서 견인유닛(50)에 의해 수직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좀더 자세하게, 지지바디유닛(10)과 평행한 수직 상태인 선반바디유닛(30)의 타단부가 인출유닛(40)에 의해 지지바디유닛(10)의 전방으로 돌출되면, 선반바디유닛(30)은 외력이나 견인유닛(50)의 구동에 의해 지지바디유닛(10)과 교차되는 수평 상태로 회동된다. 이때, 선반바디유닛(30)의 일단부를 끼움고정부(12)에 끼움 고정시키거나 견인유닛(50)의 구동을 정지시키면, 선반바디유닛(30)은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선반바디유닛(30)의 일단부를 끼움고정부(12)에서 분리한 다음, 외력을 해제하거나 견인유닛(50)을 역으로 구동시키면, 수평 상태인 선반바디유닛(30)은 견인유닛(50)에 의해 수직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견인유닛(50)은 지지바디유닛(10)에 회전 가능하게 내장되는 견인롤러(51)와, 견인롤러(51)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견인축(52)과, 견인롤러(51)에 권취되고 자유단부가 선반바디유닛(30)의 타단부에 구비된 케이블연결부(31)에 결합되는 견인케이블(53)과, 견인롤러(51)를 회전시키는 견인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견인케이블(53)은 베 재질, 삼실 재질, 무명실 재질, 명주실 재질 등과 같은 피륙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견인케이블(53)에 으히ㅐ 사용자의 소지품에 흠집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견인구동부는 견인태엽(54)과 견인모터(5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견인구동부가 견인태엽(54)을 포함하는 경우, 선반바디유닛(30)은 수동으로 수평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견인구동부가 견인모터(55)를 포함하는 경우, 선반바디유닛(30)은 구동력에 의해 견인롤러(51)가 정역 회전됨에 따라 자동으로 수평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견인태엽(54)은 견인축(52)에 구비되어 견인롤러(51)와 함께 회전하면서 탄성력을 발생시킨다. 일예로, 견인롤러(51)에서 견인케이블(53)이 풀리면, 견인태엽(54)은 견인축(52)에 감김에 따라 탄성력이 발생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견인롤러(51)에서 견인케이블(53)이 풀리면, 견인태엽(54)은 견인축(52)에서 풀림에 따라 탄성력이 발생될 수 있다.
견인모터(55)는 인출유닛(40)의 동작에 따라 견인롤러(51)를 정역 회전시킨다. 견인모터(55)는 전원유닛(60)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력이 발생되어 견인롤러(51)를 정역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간이선반은 전원유닛(60)과, 살균유닛(70)과, 상태표시부(8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전원유닛(60)은 견인유닛(50)의 견인모터(55)와, 살균유닛(70)과, 상태표시부(8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원을 인가한다. 전원유닛(60)은 외부전원을 견인모터(55)와, 살균유닛(70)과, 상태표시부(8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인가할 수 있다. 전원유닛(60)은 지지바디유닛(10)의 전원유닛장착부(16)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의 전원을 견인모터(55)와, 살균유닛(70)과, 상태표시부(8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인가할 수 있다.
전원유닛(60)은 외부전원을 전달하거나, 지지바디유닛(10)의 전원유닛장착부(16)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가 포함된 전원부(61)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유닛(60)은 견인유닛(50)의 견인모터(55)의 동작을 위해 전원의 인가 여부를 선택하는 모터스위치(62)와, 살균유닛(70)의 동작을 위해 전원의 인가 여부를 선택하는 살균스위치와, 상태표시부(80)의 동작을 위해 전원의 인가 여부르 선택하는 상태스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견인유닛(50)의 견인모터(55)에는 모터스위치(62)의 동작에 따라 견인롤러(51)의 정역 회전을 위한 전원부(61)의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다.
살균유닛(70)에는 선반바디유닛(30)의 수직 상태에 대응하여 살균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전원부(61)의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다.
상태표시부(80)에는 전원부(61)의 전원이 상시 인가되도록 하거나, 상태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전원부(61)의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다.
살균유닛(70)은 선반바디유닛(30)의 수직 상태에서 선반바디유닛(30)을 살균 처리한다. 살균유닛(70)에는 인가되는 전원에 대응하여 선반바디유닛(30)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살균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태표시부(80)는 선반바디유닛(30)의 회전 상태, 유닛 구동을 위한 전원의 인가 상태, 자외선의 조사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한다.
지금부터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간이선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수동방식)
수직 상태인 선반바디유닛(30)에 대하여 돌출푸셔(411)를 가압하면, 인출푸셔(431)는 선반바디유닛(30)의 타단부를 가압하므로, 선반바디유닛(30)의 타단부는 지지바디유닛(10)의 전방으로 인출된다. 이때, 선반바디유닛(30)은 지지자석부(17)와의 자기력이 해제된다.
그리고 선반바디유닛(30)이 수평 상태가 되도록 사용자는 파지손잡이부(37)를 파지한 상태에서 선반바디유닛(30)을 회전시킨다. 이때, 견인롤러(51)는 정회전되므로, 견인롤러(51)에서는 견인케이블(53)이 풀리고, 견인태엽(54)에는 탄성력이 발생된다.
마지막으로, 수평 상태인 선반바디유닛(30)의 일단부를 끼움고정부(12)에 끼움 고정시키면, 선반바디유닛(30)은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선반바디유닛(30)에 사용자의 소지품을 보관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선반바디유닛(30)의 회전에 따라 선반바디유닛(30)이 수평 상태가 되면, 별도의 잠금수단(미도시)을 이용한 잠금 동작을 통해 선반바디유닛(30)의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파지손잡이부(37)를 파지한 상태에서 수평 상태인 선반바디유닛(30)의 일단부를 끼움고정부(12)에서 분리한 다음, 사용자가 파지손잡이부(37)의 파지를 해제하게 되면, 선반바디유닛(30)의 수평 상태 유지가 해제되고, 견인태엽(54)의 탄성력에 의해 견인롤러(51)가 역회전되면서 견인케이블(53)이 견인롤러(51)에 권취되므로, 선반바디유닛(30)이 수직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수직 상태인 선반바디유닛(30)은 지지자석부(17)의 자기력에 의해 수직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별도의 잠금수단(미도시)을 이용한 잠금 해제 동작을 통해 선반바디유닛(30)의 수평 상태 유지를 해제할 수 있다.
상술한 수동방식에서 선반바디유닛(30)이 지지바디유닛(10)의 전방으로 인출된 경우, 인출된 선반바디유닛(30)의 하중이 견인태엽(54)의 탄성력과 같거나 작으므로, 사용자가 선반바디유닛(30)을 회전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다만, 상술한 수동방식에서 선반바디유닛(30)이 지지바디유닛(10)의 전방으로 인출된 경우, 인출된 선반바디유닛(30)의 하중이 견인태엽(54)의 탄성력보다 큰 경우, 선반바디유닛(30)의 하중에 의해 선반바디유닛(30)이 회전되고, 견인태엽(54)에 탄성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수직 상태로의 복귀시 사용자가 선반바디유닛(30)을 파지한 상태에서 원위치로 회전시키면, 견인태엽(54)의 탄성력에 의해 견인케이블(53)이 견인롤러(51)에 권취되고, 수직 상태가 된 다음에는 지지자석부(17)에 의해 선반바디유닛(30)의 수직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자동방식)
수직 상태인 선반바디유닛(30)에 대하여 돌출푸셔(411)를 가압하면, 인출푸셔(431)는 선반바디유닛(30)의 타단부를 가압하므로, 선반바디유닛(30)의 타단부는 지지바디유닛(10)의 전방으로 인출된다. 이때, 선반바디유닛(30)은 지지자석부(17)와의 자기력이 해제된다.
그리고 스위치조작부(414)가 모터스위치(62)를 동작시킴으로써, 견인모터(55)가 정회전하면서 견인롤러(51)를 정회전시키므로, 견인롤러(51)에서는 견인케이블(53)이 풀린다.
마지막으로, 선반바디유닛(30)이 수평 상태가 되면, 견인모터(55)가 정지함에 따라 견인롤러(51)를 고정시킬 수 있고, 선반바디유닛(30)의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수평 상태인 선반바디유닛(30)의 일단부를 끼움고정부(12)에 끼움 고정시키면, 선반바디유닛(30)의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선반바디유닛(30)의 수평 상태에서 선반바디유닛(30)에 사용자의 소지품을 보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파지손잡이부(37)를 파지한 상태에서 수평 상태인 선반바디유닛(30)의 일단부를 끼움고정부(12)에서 분리할 수 있다.
다시 스위치조작부(414)가 모터스위치(62)를 동작시키면, 견인모터(55)가 역회전하면서 견인롤러(51)를 역회전시키므로 견인롤러(51)에서는 견인케이블(53)이 감기므로, 선반바디유닛(30)이 수직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견인태엽(54)이 구비되는 경우, 견인롤러(51)에서 견인케이블(53)이 풀리면, 견인태엽(54)에는 탄성력이 발생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파지손잡이부(37)를 파지한 상태에서 수평 상태인 선반바디유닛(30)의 일단부를 끼움고정부(12)에서 분리한 다음, 사용자가 파지손잡이부(37)의 파지를 해제하게 되면, 견인태엽(54)의 탄성력에 의해 견인롤러(51)가 회전되면서 견인케이블(53)이 견인롤러에 감기므로, 선반바디유닛(30)이 수직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수직 상태인 선반바디유닛(30)은 지지자석부(17)의 자기력에 의해 수직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상술한 접이식 간이선반에 따르면, 건물의 측벽에 설치되어 지지바디유닛(10)으로부터 선반바디유닛(30)을 간편하게 접었다 펼 수 있고, 지지바디유닛(10)으로부터 펼쳐진 선반바디유닛(30)을 통해 사용자가 소지한 소지품을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선반바디유닛(30)이 수직 상태일 때, 지지바디유닛(10)에 선반바디유닛(30)과 인출유닛(40)과 견인유닛(50)과 전원유닛(60)과 살균유닛(70)이 삽입 또는 내장된 상태를 나타내어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주변 이동체에 간섭되지 않으며, 접이식 간이선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바디유닛(10)에서 선반바디유닛(30)의 회전 및 슬라이드 이동을 부드럽게 하고, 수평 상태에서 선반바디유닛(30)을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자석부(17)를 통해 선반바디유닛(30)의 수직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지지바디유닛(10)에서 선반바디유닛(30)의 유동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걸림후크부(32)를 통해 사용자의 소지품을 걸어서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바닥안착홈부(34) 또는 논슬립부(36) 또는 수평 상태인 선반바디유닛(30)에서 사용자의 소지품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선반바디유닛(30)에서 사용자의 소지품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파지손잡이부(37)를 통해 선반바디유닛(30)의 수동 조작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파지를 간편하게 할 수 있고, 선반바디유닛(30)의 오염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편심하중부(38)를 통해 수직 상태인 선반바디유닛(30)을 수평 상태로 변경할 때, 선반바디유닛(3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고, 선반바디유닛(30)의 회전에 따라 선반바디유닛(30)의 타단부가 안정되게 낙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인출유닛(40)을 통해 수직 상태인 선반바디유닛(30)이 지지바디유닛(10)으로부터 안정되게 인출되도록 하고, 선반바디유닛(30)에 편심하중을 부여하여 선반바디유닛(30)의 회전이 용이해지도록 한다.
또한, 인출유닛(40)을 통해 인출유닛(40)의 동작을 부드럽게 하고, 선반바디유닛(30)의 타단부를 안정되게 가압하여 지지바디유닛(10)으로부터 선반바디유닛(30)의 타단부가 간편하게 인출되도록 한다.
또한, 인출유닛(40)을 통해 돌출푸셔(411)와 인출푸셔(431)의 슬라이드 이동 및 인출피니언부(42)의 회전을 부드럽게 하고, 지지바디유닛(10)이 인출유닛(40)의 동작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귀탄성부(413)를 통해 돌출푸셔(411)의 원위치 복귀를 원활하게 하고, 견인유닛(50)의 동작을 안정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조작부(414)를 통해 견인유닛(50) 중 견인모터(55)의 동작을 명확하게 하고, 견인모터(55)의 정역 회전을 구분할 수 있다.
또한, 견인유닛(50)을 통해 수동 동작은 물론 자동 동작으로 지지바디유닛(10)에서 선반바디유닛(3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고, 수평 상태인 선반바디유닛(30)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견인태엽(54)을 통해 수평 상태인 선반바디유닛(30)을 탄성력으로 복귀시켜 선반바디유닛(30)의 수직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견인모터(55)를 통해 선반바디유닛(30)의 자동 회전을 구현하고, 선반바디유닛(30)의 수평 상태 및 수직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살균유닛(70)을 통해 수직 상태에서 사용자의 소지품에 의해 오염된 선반바디유닛(30)을 살균 처리할 수 있고, 다른 사용자에게 오염물질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며, 접이식 간이선반의 청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태표시부(80)를 통해 선반바디유닛(30)의 회전 상태, 유닛 구동을 위한 전원의 인가 상태, 자외선의 조사 상태를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원유닛(60)을 통해 견인모터(55)와 살균유닛(70)과 상태표시부(80)가 안정되게 동작되도록 하고, 전원의 교체 및 인가 방식을 다양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 지지바디유닛 11: 바디안착홈부 12: 끼움고정부
13: 인출유닛장착부 14: 견인유닛장착부 15: 살균유닛장착부
16: 전원유닛장착부 17: 지지자석부 20: 회동축
30: 선반바디유닛 31: 케이블연결부 32: 걸림후크부
321: 후크회전축 322: 후크손잡이 33: 후크안착홈부
34: 바닥안착홈부 35: 지지경사부 36: 논슬립부
37: 파지손잡이부 38: 편심하중부 40: 인출유닛
41: 인출가동부 411: 돌출푸셔 412: 가동랙기어
413: 복귀탄성부 414: 스위치조작부 42: 인출피니언부
43: 선반푸시부 431: 인출푸셔 432: 인출랙기어
50: 견인유닛 51: 견인롤러 52: 견인축
53: 견인케이블 54: 견인태엽 55: 견인모터
60: 전원유닛 61: 전원부 62: 모터스위치
70: 살균유닛 80: 상태표시부

Claims (6)

  1. 건물의 측벽에 결합되는 지지바디유닛;
    상기 지지바디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선반바디유닛;
    상기 선반바디유닛의 타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지지바디유닛의 전방으로 상기 선반바디유닛의 타단부를 돌출시키는 인출유닛; 및
    상기 지지바디유닛의 상단부와 상기 선반바디유닛의 타단부를 연결하는 견인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선반바디유닛은,
    상기 지지바디유닛과 평행한 수직 상태에서 상기 인출유닛에 의해 타단부가 상기 지지바디유닛의 전방으로 돌출된 다음, 외력이나 상기 견인유닛의 구동에 의해 상기 지지바디유닛과 교차되는 수평 상태로 회동되고,
    수평 상태에서 상기 견인유닛에 의해 수직 상태로 복귀하며,
    상기 인출유닛은,
    일부가 상기 지지바디유닛의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바디유닛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인출가동부;
    상기 지지바디유닛에 내장된 상태에서 상기 인출가동부에 치합되고, 상기 인출가동부의 슬라이드 이동에 대응하여 회전되는 인출피니언부; 및
    상기 지지바디유닛에 내장된 상태에서 상기 인출피니언부와 치합되고, 상기 인출가동부의 슬라이드 이동에 대응하여 일부가 상기 지지바디유닛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지지바디유닛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선반푸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간이선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디유닛에는,
    상기 선반바디유닛의 수평 상태 유지를 위해 상기 선반바디유닛의 일단부가 끼움 고정되도록 함몰 형성되는 끼움고정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간이선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바디유닛의 타단부에는, 중량을 갖는 금속 재질의 편심하중부;가 포함되고,
    상기 지지바디유닛에는, 자기력이 발생되어 상기 편심하중부를 끌어당기는 지지자석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간이선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바디유닛에는,
    상기 견인유닛과의 연결을 위해 타단부에 구비되는 케이블연결부;
    사용자가 소지한 소지품의 걸림 결합을 위해 가장자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후크부;
    수직 상태에서 상기 지지바디유닛과 마주보는 면에 함몰 형성되는 바닥안착홈부;
    사용자가 소지한 소지품의 미끄러짐 방지를 위해 수직 상태에서 상기 지지바디유닛과 마주보는 면에 구비되는 논슬립부;
    사용자의 파지를 위해 타단부에 구비되는 파지손잡이부; 및
    중량을 가지고 타단부에 구비되는 편심하중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간이선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유닛은,
    상기 지지바디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내장되는 견인롤러;
    상기 견인롤러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견인축;
    상기 견인롤러에 권취되고, 자유단부가 상기 선반바디유닛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견인케이블; 및
    상기 견인롤러를 회전시키는 견인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간이선반.
KR1020190000670A 2019-01-03 2019-01-03 접이식 간이선반 KR102141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670A KR102141292B1 (ko) 2019-01-03 2019-01-03 접이식 간이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670A KR102141292B1 (ko) 2019-01-03 2019-01-03 접이식 간이선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4593A KR20200084593A (ko) 2020-07-13
KR102141292B1 true KR102141292B1 (ko) 2020-08-05

Family

ID=71570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0670A KR102141292B1 (ko) 2019-01-03 2019-01-03 접이식 간이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129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312760A1 (en) * 2011-06-13 2012-12-13 Roger Charles Larson Storag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3767Y1 (ko) 1999-09-28 2000-03-15 표흥식 공중화장실용 선반대
KR20060134416A (ko) * 2005-06-22 2006-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090080755A (ko) * 2008-01-22 2009-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홈바도어의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용홈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312760A1 (en) * 2011-06-13 2012-12-13 Roger Charles Larson Storag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4593A (ko) 2020-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7645B2 (en) Modular customizable cart
US20070295570A1 (en) Collapsible Suitcase
CN102282053B (zh) 具有附加的可折叠的用于驾驶台的座椅装置的有轨车辆
US7967400B1 (en) Wall mounted personal cabinet for jewelry and other items
CA2577225A1 (en) Multiple-roll toilet tissue
US20120145592A1 (en) Case having a housing and a sliding tray
KR102141292B1 (ko) 접이식 간이선반
US10046455B2 (en) Multi-position tool box system and method
JP2006255049A (ja) 収納補助椅子
JP2006288563A (ja) 手摺り
JP2002095539A (ja) スクリーンを備えたキャビネット
US9647431B1 (en) Wall mounted personal cabinet for jewelry and other items
US20210045527A1 (en) Pivotable overhead storage unit
JP5319089B2 (ja) トランクルーム内で使用するための一時保管容器
CN208729834U (zh) 交互式服务机器人的存储装置
JP4617792B2 (ja) スクリーン付家具
JP2004201795A (ja) ベッド用収納設備
NL2016880B1 (en) Linen compartment and hotel trolley comprising a linen compartment
US20030076013A1 (en) Shop towel dispenser
JPH0420809Y2 (ko)
JP4149880B2 (ja) 家具収納椅子
US20220349519A1 (en) Cantilevered and Extendable Support Systems for Supporting Storage Containers
JP2006101990A (ja) 玄関収納装置
KR20210130347A (ko) 싱크대용 인출식 선반
JP2003339463A (ja) 収納補助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