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9530B1 -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9530B1
KR102139530B1 KR1020130043176A KR20130043176A KR102139530B1 KR 102139530 B1 KR102139530 B1 KR 102139530B1 KR 1020130043176 A KR1020130043176 A KR 1020130043176A KR 20130043176 A KR20130043176 A KR 20130043176A KR 102139530 B1 KR102139530 B1 KR 102139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flexible display
dimming
state
portab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3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5243A (ko
Inventor
조은형
천시내
김지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3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9530B1/ko
Priority to CN201380075750.9A priority patent/CN105164609B/zh
Priority to EP13882583.1A priority patent/EP2987051B1/en
Priority to PCT/KR2013/004488 priority patent/WO2014171578A1/en
Priority to US13/905,880 priority patent/US8860656B1/en
Priority to US14/048,991 priority patent/US8947344B2/en
Priority to US14/480,303 priority patent/US9424790B2/en
Publication of KR20140125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5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9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9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1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a single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4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09G2340/145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related to small scree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2Flexible displ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Abstract

본 명세서는 사용자가 더욱 편리하고 더욱 정확하게 디바이스의 디밍 모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이를 위해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의 확장된 길이 및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측정 유닛, 유저 입력을 센싱하는 센서 유닛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 측정 유닛 및 센서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포터블 디바이스는 기설정된 디밍(dimming) 타임 이내 유저 입력의 부재(lack)가 센싱된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을 디밍(dimming)하는 디밍 모드를 제공하되, 디밍 모드는 기설정된 디밍 타임이 제 1 디밍 타임인 제 1 디밍 모드 및 기설정된 디밍 타임이 제 1 디밍 타임보다 짧은 제 2 디밍 타임인 제 2 디밍 모드를 포함하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이 확장되지 않은 제 1 상태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이 확장된 제 2 상태를 가지며, 프로세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이 제 2 상태에서 제 1 상태로 축소된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를 제 1 디밍 모드에서 제 2 디밍 모드로 전환하되, 전환된 제 2 디밍 모드에서 기설정된 유저 입력이 센싱되면, 포터블 디바이스를 제 1 디밍 모드로 재전환하고, 전환된 제 2 디밍 모드에서 기설정된 유저 입력의 부재(lack)가 센싱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을 디밍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Portable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포터블 디바이스에 대한 것이다. 특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축소 신호 및 기설정된 유저 입력에 따라 디바이스의 디밍 모드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사용자가 전자 기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이동성(mobility)은 언제나 중요한 이슈였다. 특히, 최근 핸드폰뿐만 아니라 데스크탑에 준하는 성능을 보유하는 다양한 포터블 전자 디바이스들이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포터블 전자 디바이스들은, 크기 및 무게가 줄어 사용자는 이동 중에도 다양한 전자 정보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포터블 디바이스들의 경우, 기존의 데이터 송수신과 같은 기본적인 기능 외에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게 되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좀 더 편리하고 정확하게 디바이스를 컨트롤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최근 포터블 디바이스들의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이 보급됨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의 확장이 가능하게 되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의 확장 및 축소에 다른 유저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 방법이 필요하다.
일 실시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축소 및 기설정된 유저 입력에 따라 디바이스의 디밍 모드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축소 속도에 따라 디바이스의 디밍 모드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디바이스의 디밍 모드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저 입력으로서 유저의 얼굴, 시선 및 목소리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고자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의 확장된 길이 및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측정 유닛, 유저 입력을 센싱하는 센서 유닛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 측정 유닛 및 센서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포터블 디바이스는 기설정된 디밍(dimming) 타임 이내 유저 입력의 부재(lack)가 센싱된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을 디밍(dimming)하는 디밍 모드를 제공하되, 디밍 모드는 기설정된 디밍 타임이 제 1 디밍 타임인 제 1 디밍 모드 및 기설정된 디밍 타임이 제 1 디밍 타임보다 짧은 제 2 디밍 타임인 제 2 디밍 모드를 포함하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이 확장되지 않은 제 1 상태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이 확장된 제 2 상태를 가지며, 프로세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이 제 2 상태에서 제 1 상태로 축소된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를 제 1 디밍 모드에서 제 2 디밍 모드로 전환하되, 전환된 제 2 디밍 모드에서 기설정된 유저 입력이 센싱되면, 포터블 디바이스를 제 1 디밍 모드로 재전환하고, 전환된 제 2 디밍 모드에서 기설정된 유저 입력의 부재(lack)가 센싱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을 디밍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축소 및 기설정된 유저 입력에 따라 디바이스의 디밍 모드를 제어하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축소한 유저의 의도에 부합하게 디밍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는 유저에게 보다 직관적인 디밍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축소 속도가 기설정된 속도보다 빠른지 혹은 느린지 여부로 디바이스의 디밍 모드를 제어하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빠르게 혹은 느리게 축소시킨 유저의 의도에 부합하도록 디밍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축소 모드를 제공하는지 여부에 따라 디바이스의 디밍 모드를 제어하므로, 디바이스의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13)을 탑재한 포터블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디바이스의 디밍 모드에 관한 설명을 나타낸 표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유닛의 크기 상태 및 유저 입력에 의해 디밍 모드를 제어하는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유닛의 크기 상태 및 유저 입력에 의해 디밍 모드를 제어하는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유닛의 축소 및 유저의 터치 입력에 따라 디밍 모드가 제어되는 포터블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유닛의 축소 속도에 의해 디밍 모드를 제어하는 포터블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축소 모드 제공 여부에 따라 디밍 모드를 제어하는 포터블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밍 모드를 제어하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아닌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더욱이,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디바이스 제조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들의 소형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명세서는, 이동 가능한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것으로, 이하에서 이를 통칭하여 포터블 디바이스로 지칭하도록 한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이동성을 갖는 다양한 전자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의미로서, 예를 들면, 핸드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노트북, 태블릿 피씨, MP3 플레이어, CD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등의 전자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포터블 디바이스는 디바이스로 약칭할 수도 있다.
한편, 디바이스에 탑재되는 디스플레이 소자 기술의 발전에 따라,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 유닛이 상용화되고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기존의 하드 디스플레이 패널과 달리 디스플레이 특성의 손실 없이 휘거나, 구부리거나, 말 수 있는 유연한 기판에 제작된 디스플레이를 지칭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전자 종이(e-paper)라고도 지칭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은, 기존의 하드 디스플레이에 비해 가볍고, 얇고, 내충격성이 강하며, 자유롭게 구부릴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경우, 기판은 메탈 호일(metal hoil), 박형 유리(very thin grass) 또는 플라스틱 기판으로 제조될 수 있다. 특히, 플라스틱 기판의 경우 PC 기판, PET 기판, PES 기판, PI 기판, PEN 기판, AryLite 기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상위 개념으로서,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또는 분리된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면적이 조절 가능한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칭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은 다양한 방식으로 디바이스에 탑재될 수 있으며, 탑재 방식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1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은 디스플레이 또는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약칭할 수도 있으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는 구별된다.
본 명세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어 방법으로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의 디밍 기능을 제공한다. 디밍이란,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유저 입력이 센싱되지 않는 경우, 디바이스의 전력 절감을 위해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또는, 디밍이란,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유저 입력의 부재(lack)가 센싱되면,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를 블랙아웃(blackout)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또는,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유저 입력의 부재(lack)가 센싱되면,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의 조도를 조정하여 실행 화면의 밝기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점차 어둡게 또는 흐리게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일정 시간 동안 유저 입력의 부재는 곧, 유저가 디바이스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이고, 이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의 전력 공급을 차단 하는 것이 에너지 효율성 및 경제성 측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디밍 기능을 통해 한정된 배터리 용량 내에서 디바이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장시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디밍은 디밍 타임, 화면 밝기 또는 터치 센싱 영역에 의해서 복수의 디밍 모드로 구별될 수 있는데, 이에 관한 상세한 내용은 도 2 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나아가, 디바이스는 유저가 디바이스를 사용하지 않아 디스플레이 유닛이 디밍된 경우, 디바이스는 잠금(lock)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의 잠금 상태란, 1) 디바이스가 유저의 의도와 다르게 동작하는 것 및 2) 디바이스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 하기 위해, 디바이스의 특정 유닛들을 디액티베이트 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바이스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 측정 유닛 및 센서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디액티베이트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를 디밍함과 동시에 특정 유닛들을 디액티베이트하는 잠금 상태로 전환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전력 절감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의 디밍과 디바이스의 잠금 상태로의 전환은 반드시 함께 일어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개별적으로 동작할 수 있고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이러한 잠금 상태의 디바이스는 유저에 의한 사용이 일부 또는 전부 제한될 수 있으며, 디바이스의 기설정된 잠금 해제 시퀀스에 따라 잠금이 해제되는 경우에, 유저는 디바이스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디밍 모드의 전환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의 축소에 의해 트리거될 수 있는데, 디스플레이 유닛의 축소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더 이상 사용하지 않겠다는 유저의 의도가 내포되어 있다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축소 신호에 따라 짧은 디밍 타임을 제공하는 디밍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이고 직관적인 디밍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9에서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축소에 따른 디밍 모드 제어 방법에 대해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13)을 탑재한 포터블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13)은 그 용도 및 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디바이스에 탑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13)은 면적 또는 길이가 확장될 수 있는 하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지칭할 수 있다.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13)은 복수의 인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통틀어 지칭할 수도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13)은 확장되기 전의 크기 상태인 제 1 상태 및 확장된 크기 상태인 제 2 상태를 가질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13)의 탑재 방법에 따라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유닛(13)의 탑재 방법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크기 상태에 대해 후술하기로 한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메인 디스플레이(10) 및 서브 디스플레이(11)를 탑재한 포터블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13)이 제 1 디스플레이(10)와 제 2 디스플레이(11)로서 디바이스에 구비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13)은 제 1 디스플레이(10) 및 제 2 디스플레이(1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디스플레이(1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또는 인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제 2 디스플레이(11)는 슬라이드-인(slide-in) 또는 롤인(roll-in)되어 디바이스에 수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 2 디스플레이(11)가 슬라이드인(slide-in)되어 디바이스에 수납된 경우, 유저는 제 2 디스플레이(11)를 기설정된 길이 초과로 슬라이드-아웃(slide-out)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유닛(13)을 확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디스플레이(11)의 전부 또는 일부 영역이 디바이스 외부로 슬라이드아웃(slide-out)된 상태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13)의 제 2 상태라 지칭할 수 있다. 반대로, 유저는 제 1 상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13)을 기설정된 길이 이하로 슬라이드인(slide-in)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유닛(13)을 축소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디스플레이(11)의 전부 또는 일부 영역이 디바이스 내에 슬라이드인(slide-in)된 상태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13)의 제 1 상태라 지칭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로서, 제 2 디스플레이(11)가 롤-인(roll-in)되어 디바이스에 수납된 경우, 제 2 디스플레이(11)가 기설정된 길이 초과로 롤아웃된 상태를 제 2 상태라 지칭할 수 있다. 반대로, 제 1 상태의 제 2 디스플레이가 기설정된 길이 이하로 롤인된 상태를 제 1 상태라고 지칭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디스플레이 유닛(13)의 크기 상태는 기설정된 길이를 기준으로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로 구별될 수 있다. 한편, 제 2 디스플레이(11)가 롤인되어 디바이스에 수납된 경우, 제 2 디스플레이(1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도 1-(2)는 면적 또는 길이가 확장될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13)을 탑재한 포터블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유닛(13)이 하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서 디바이스에 탑재된 경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 유닛(13)은 디바이스 내부에 롤인되어 수납될 수 있다. 수납된 디스플레이 유닛(13)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확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3)의 크기 상태는 디스플레이 유닛(13)의 롤인 또는 롤아웃 여부에 따라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로 구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설정된 길이 이하로 디바이스 내부에 롤인된 디스플레이 유닛(13)의 크기 상태를 제 1 상태라 지칭할 수 있다. 이 경우, 디바이스 외부로 노출된 디스플레이 유닛(13)의 영역을 제 1 영역(12)이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길이 초과로 롤아웃된 디스플레이 유닛(13)의 크기 상태를 제 2 상태라 지칭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이 롤아웃됨에 따라 추가로 확장된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 2 영역이라 지칭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2 상태의 디스플레이 유닛(13)의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제 1 영역(12)을 제외한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 2 영역(14)이라 지칭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유닛(13)의 롤아웃 또는 롤인 정도에 따라 제 2 영역(14)의 길이 또는 면적은 변경될 수 있다.
이렇듯, 디스플레이 유닛(13)의 크기 상태는 디스플레이 유닛(13)이 기설정된 길이 전/후로 확장 되었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로 구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13)은 상술한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 중 어느 하나의 크기 상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기설정된 길이는 실질적인 스레스홀드 값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일정한 오차 범위를 허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디스플레이 유닛(13)의 크기 상태를 기준으로 디밍 모드 제어 방법에 관해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유닛(13)의 탑재 방식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자인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디바이스에 탑재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서, 디바이스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20), 측정 유닛(21), 센서 유닛(23) 및 프로세서(22)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20)은 디스플레이 화면에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20)은 플렉서블 특성에 따라 길이 또는 면적의 확장에 대응하여 이미지를 점차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20)은 프로세서(22)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또는 프로세서(22)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20)은 프로세서(22)에 의해 실행되는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페이지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미지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기타 다양한 시각적으로 표현 가능한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20)은 프로세서(22)에 의해 디밍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20)의 디밍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유저 입력이 센싱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22)가 디스플레이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으며, 디밍에 관한 보다 상세한 내용은 상술한 바와 같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20)은 다양한 방식으로 디밍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기설정된 시간이 초과되면 프로세서(22)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의 전력 공급을 일시에 차단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유닛(20)을 디밍할 수 있다. 전력 공급이 차단 되면, 디스플레이 유닛(20)의 화면은 블랙 스크린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블랙 스크린 화면이란, 디스플레이 유닛(20)에 전력 공급이 차단되어 디스플레이 화면이 검게 전환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로서, 프로세서(22)는 기설정된 시간이 초과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유닛(20)의 화면 밝기를 점차 어두워지도록 제어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유닛(20)을 디밍할 수 있다.
측정 유닛(21)은 유저의 다양한 입력 및 디바이스의 환경을 센싱하여, 디바이스가 센싱 결과에 따른 커맨드를 수행할 수 있도록 센싱 결과를 프로세서(22)에 전달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측정 유닛(21)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20)의 확장 길이 및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여 측정 결과를 프로세서(22)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측정 유닛(21)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20)의 확장된 길이 또는 면적을 측정하는 측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 유닛(21)은 디스플레이 유닛(20)이 확장 또는 축소되는 경우, 디바이스의 외부로 확장된 디스플레이 유닛(20)의 면적 또는 길이를 측정할 수 있으며, 반대로, 확장되지 않은 디바이스 내부의 디스플레이 유닛(20)의 면적 또는 길이를 측정할 수도 있다. 측정 유닛은 디스플레이 유닛의 확장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로서, 근접 센서, 터치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로서, 측정 유닛(21)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20)의 확장 또는 축소 속도를 측정하는 측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속도 측정 유닛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20)이 확장 또는 축소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20)의 특정 확장 또는 축소 구간에서의 평균 속도 또는 특정 지점에서의 순간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유닛이 하우징 유닛에 롤업되어 있는 경우, 롤아웃 또는 롤인 속도를 측정함으로써 확장/축소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 유닛(21)은 각속도, 확장 속도, 축소 속도, 순간 속도, 평균 속도, 가속도 등 디스플레이 유닛(20)의 확장 또는 축소 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속도 측정 센서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센서 유닛(23)은 디바이스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사용하여 유저 입력 또는 디바이스가 인식하는 환경을 프로세서(22)로 전달할 수 있다. 센서 유닛(23)은 적어도 하나의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적어도 하나의 센싱 수단은 터치 센서, 지문 센서, 모션 센서, 압력 센서, 마이크 유닛 또는 카메라 유닛 등의 다양한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유닛(23)은 상술한 다양한 센싱 수단을 통칭하는 것으로, 상술한 센서들은 별도의 엘리먼트로 디바이스에 포함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로 통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센서 유닛(23)이 유저 입력으로서 터치 입력을 센싱하는 경우, 디바이스는 센서 유닛(23)을 디스플레이 유닛(20)에 함께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20) 상에 수행되는 다양한 유저 입력을 센서 유닛(23)을 통해 센싱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유닛(23)이 터치 센서인 경우,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20) 상에 수행되는 유저의 다양한 터치 입력을 센싱할 수 있다. 이때, 센서 유닛(23)은 유저의 롱-프레스(long-press) 터치 입력, 숏-프레스(short-press) 터치 입력, 드래그(drag) 터치 입력, 릴리즈(release) 터치 입력 또는 플리킹(flicking) 터치 입력 등 다양한 터치 입력을 센싱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로서, 센서 유닛(23)이 유저 입력으로서 유저의 얼굴 또는 시선을 센싱할 수 있다. 센서 유닛(23)은 유저의 얼굴을 센싱하여, 센싱 결과를 프로세서에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센서 유닛(23)은 유저의 시선 혹은 동공을 센싱하여, 센싱 결과를 프로세서(22)에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 유닛(23)은 일 실시예로서 카메라 유닛을 포함하여 유저의 얼굴 또는 시선을 센싱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로서, 센서 유닛(23)이 유저 입력으로서 유저의 목소리를 센싱하는 경우, 센서 유닛(23)은 마이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유닛(23)은 유저의 목소리를 센싱하여, 센싱 결과를 프로세서에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로서, 센서 유닛(23)은 디바이스에 구비된 피지컬 버튼 프레스 입력을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센싱 결과를 프로세서(22)에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22)는 디바이스 내부의 데이터를 프로세싱하여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2)는 컨텐츠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2)는 상술한 디바이스의 각 유닛들을 제어하며, 유닛들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22)는 센서 유닛(23)을 통해 유저 입력이 센싱된 경우, 유저 입력에 따른 커맨드를 실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는 유저의 입력의 센싱 결과에 따라 디바이스의 디밍 모드를 제어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22)는 다양한 디밍 모드를 제공할 수 있으며, 각 디밍 모드는 디밍 타임, 화면 밝기 및 터치 센싱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구별될 수 있다. 디밍 모드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3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프로세서(22)는 유저 입력,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20)의 축소 속도 또는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디스플레이 유닛(20)의 디밍을 제어할 수 있는데, 디밍 모드의 제어 방법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4 내지 도 8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포터블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각 단계나 동작이 사용자 입력에 의해 시작되거나 진행되는 경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입력 신호가 생성되는 과정은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아도 상술한 과정에 대한 설명이 포함된 것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프로세서가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유닛을 제어한다고 표현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와 디바이스를 동일시하여 설명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포터블 디바이스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로서, 분리하여 표시한 블록들은 디바이스의 엘리먼트들을 논리적으로 구별하여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디바이스의 엘리먼트들은 디바이스의 설계에 따라 하나의 칩으로 또는 복수의 칩으로 장착될 수 있다.
도 3은 디바이스의 디밍 모드에 관한 설명을 나타낸 표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밍 타임, 화면 밝기 또는 터치 센싱 영역에 따라 구별되는 2가지 디밍 모드에 대한 설명을 나타낸 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는 디밍 타임에 따라 복수의 디밍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디바이스는 기설정된 디밍 타임이 제 1 디밍 타임인 제 1 디밍 모드, 기설정된 디밍 타임이 제 2 디밍 타임인 제 2 디밍 모드인 디밍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디밍 타임은 제 2 디밍 타임 보다 길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2 디밍 타임은 제 1 디밍 타임보다 짧을 수 있다. 더 짧은 디밍 타임을 제공하는 디밍 모드로 전환함은 디스플레이 유닛의 축소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더 이상 사용하지 않겠다는 유저의 의도가 내포되어 있다 볼 수 있으므로, 축소에 따라 짧은 디밍 타임을 제공하는 디밍 모드로 전환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디바이스의 소비 전력을 절감하기 위함이다.
디밍 모드가 전환되면, 디바이스는 각 디밍 모드에 대응되는 디밍 타임을 카운팅할 수 있고, 디밍 타임이 지나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디밍할 수 있다. 이때, 일 실시예로서 디바이스는 디밍 타임을 인디케이트하기 위한 디밍 타임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디밍 타임 인디케이터는 디밍 타임의 카운팅을 실시간으로 인디케이트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디바이스는 디밍 타임에 의해 구별되는 디밍 모드에 따라 일 실시예로서,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화면 밝기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화면 밝기는 제 1 디밍 모드에서 제 1 밝기, 제 2 디밍 모드에서는 제 2 밝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밝기 및 제 2 밝기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로서, 디바이스는 디밍 모드에 따라 디스플레이 유닛의 서로 다른 영역 또는 같은 영역에서의 터치 입력을 센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바이스는 디밍 모드에 따라 디스플레이 유닛의 기설정된 영역의 터치 센서 유닛을 액티베이트할 수 있다. 터치 센싱 영역이 서로 다른 경우, 제 1 디밍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유닛의 터치 센싱 영역은 디스플레이 유닛의 전면(overall region)일 수 있다. 또한, 제 2 디밍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유닛의 터치 센싱 영역은 디스플레이 유닛의 특정 영역(specific region)일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센싱 영역이란, 유저의 터치 입력이 센싱될 수 있도록 터치 센서가 액티베이트된 디스플레이 유닛의 특정 영역을 지칭할 수 있다.
디밍 타임은 각 디밍 모드를 구별하기 위한 필수적인 구성 요소로서, 이하에서는 서로 다른 디밍 타임을 갖는 2가지 디밍 모드(제 1 디밍 모드 및 제 2 디밍 모드)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디밍 타임을 제공하는 디밍 모드를 제 1 디밍 모드, 제 2 디밍 타임을 제공하는 모드를 제 2 디밍 모드라 지칭하기로 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유닛의 화면 밝기 또는 터치 센싱 영역은 각 디밍 모드를 구별하는 선택적 구성 요소로서, 디바이스의 디자인, 사용 목적 또는 유저의 설정에 따라 부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그러나, 각 디밍 모드를 구별하기 위한 선택적 구성요소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바이스의 사용 목적, 디자인 및 유저의 설정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구성요소가 부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디밍 모드의 상호 전환은 디스플레이 유닛의 축소 및 기설정된 유저 입력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데, 모드의 전환 방법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유닛의 크기 상태 및 유저 입력에 의해 디밍 모드를 제어하는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유닛(41)은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의 크기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41)의 크기가 제 1 상태인 경우, 디바이스(40)는 제 1 디밍 모드 또는 제 2 디밍 모드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41)의 크기가 제 2 상태인 경우, 디바이스(40)는 제 1 디밍 모드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유닛(41)의 크기 상태에 따른 디밍 모드를 설명하고, 각 디밍 모드 내에서 유저 입력(43)에 따른 디바이스(40)의 제어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제 2 상태의 디스플레이 유닛(41)은 제 1 상태로 축소(42)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디바이스(40)는 디밍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 유닛(41)이 제 1 상태로 축소(42)된 경우, 디바이스(40)는 제 1 디밍 모드를 제 2 디밍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제 1 디밍 모드에서 제 2 디밍 모드로 전환되면, 디바이스(40)는 제 2 디밍 모드에 대응하는 제 2 디밍 타임(t2)을 카운트할 수 있다. 또는, 제 2 디밍 모드로 전환된 경우, 디바이스는 제 2 디밍 타임(t2)을 카운팅 하는 타이머를 동작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디밍 타임(t2)은 제 1 디밍 타임(t1) 보다 짧을 수 있는데, 이는 디스플레이 유닛(41)을 축소(42)시켜 디스플레이 유닛(41)의 확장 영역을 더 이상 사용하지 않겠다는 유저의 의도를 반영한 동작임은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제 2 디밍 타임(t2) 이내에 기설정된 유저 입력(43)이 센싱되는 경우, 디바이스(40)는 디밍 모드를 제 1 디밍 모드로 재전환할 수 있다. 반대로, 제 2 디밍 타임(t2) 이내에 기설정된 유저 입력(43)이 센싱되지 않으면, 디바이스(40)는 디스플레이 유닛(41)을 디밍(44)할 수 있다. 제 2 디밍 타임(t2) 이내에 센싱되는 기설정된 유저 입력(43)은 일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 유닛(41)에 대한 기설정된 터치 입력(43)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입력(43)은 숏-프레스 터치 입력 또는 롱-프레스 터치 입력 패턴 등 다양한 터치 입력으로서 센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 입력(43)이 숏-프레스 터치 입력인 경우, 기설정된 터치 입력은 디스플레이 유닛(41)의 임의의 지점에서 센싱된 터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기설정된 터치 입력(43)은 디스플레이 유닛(41)의 특정 지점에서 센싱된 터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디바이스(40)는 특정 지점을 가이딩하기 위해, 소프트 웨어 버튼을 디스플레이 유닛(4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입력(43)이 롱-프레스 터치 입력인 경우, 기설정된 터치 입력은 디스플레이 유닛(41)에서 센싱된 터치 입력 패턴을 나타낼 수 있다. 또는, 기설정된 터치 입력(43)은 기설정된 시간 초과로 계속적으로 센싱된 터치 입력을 나타낼 수 있다. 이외에도 디바이스(40)는 유저 입력으로서 유저의 얼굴, 지문, 시선, 목소리, 제스쳐 또는 디바이스에 구비된 하드 웨어 버튼 프레스 입력 등을 센싱하여 디밍 모드 전환이 가능하다. 다만, 유저 입력(43)은 위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유저의 입력은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기설정된 유저 입력(43)의 다양한 실시예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5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유닛의 크기 상태 및 유저 입력에 의해 디밍 모드를 제어하는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유닛(51)이 제 2 상태에서 제 1 상태로 축소되면, 디밍 모드는 제 2 디밍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이때, 제 2 디밍 타임(t2) 이내에 기설정된 유저 입력이 센싱되면, 디밍 모드는 제 1 디밍 모드로 재전환될 수 있는데, 이때의 기설정된 유저 입력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설정된 유저 입력이란, 센싱된 유저 입력이 기설정된 값과 일치하는 입력을 나타낼 수 있다. 혹은, 기설정된 유저 입력이란, 센싱된 유저 입력이 스레스홀드를 초과하는 입력을 나타낼 수 있다. 기설정된 유저 입력은 이하에서 후술하는 유저 입력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기설정된 유저 입력은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특정 터치 입력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저 입력은 연속적으로 센싱된 특정 터치 입력 패턴일 수 있다. 센싱된 터치 입력의 패턴이 기설정된 패턴과 일치하면, 디바이스(50)는 디밍 모드를 제 1 디밍 모드로 재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 디바이스(50)는 유저의 터치 입력을 가이딩하기 위해,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52)를 디스플레이 유닛(5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52)의 가이딩에 따라 터치 패턴을 입력함으로써 디밍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로서, 기설정된 유저 입력은 디스플레이 유닛(51)의 임의의 지점 또는 특정 지점에 대한 터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설정된 유저 입력이 디스플레이 유닛(51)의 임의의 지점에 대한 터치 입력인 경우, 유저는 디스플레이 유닛(51)에 대한 터치 입력에 의해 디밍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기설정된 유저 입력이 디스플레이 유닛(51)의 특정 지점에 대한 터치 입력인 경우, 특정 지점을 인디케이트하기 위한 소프트 웨어 버튼이 디스플레이 유닛(51)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외에도, 유저 입력이 터치 입력인 경우, 기설정된 유저 입력은 터치 입력 패턴의 길이 또는 터치 입력의 지속 시간이 스레스홀드를 넘는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유저의 터치 입력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일 실시예로서, 기설정된 유저 입력은 디바이스(50)에 구비된 하드웨어 버튼(54)의 프레스 입력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바이스(50)에 구비된 피지컬(physical) 버튼(54)의 프레스가 센싱되면, 디바이스(50)는 디밍 모드를 제 1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피지컬 버튼(54)은 디바이스(50)의 사용 목적, 설계 방식 또는 디자인적인 목적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디바이스(50)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50)의 잠금을 해제하는 언락 버튼(54)이 피지컬 버튼으로서 디바이스(50)에 구비된 경우, 유저는 제 2 디밍 타임 이내에 언락 버튼(54)을 프레스함으로써 디바이스(50)를 제 1 디밍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로서, 기설정된 유저 입력은 유저의 얼굴 인식, 시선 인식 또는 목소리 인식에 따른 입력일 수 있다. 유저 입력이 유저의 얼굴 인식에 따른 입력인 경우, 디바이스(50)는 제 2 디밍 타임(t2) 이내에 센서 유닛(55)을 이용하여 유저의 얼굴을 센싱할 수 있다. 센싱한 유저의 얼굴이 기설정된 이미지와 매칭되면, 디바이스(50)는 디밍 모드를 제 1 디밍 모드로 재전환할 수 있다. 유저 입력이 유저의 시선 인식에 따른 입력인 경우에도, 디바이스(50)는 제 2 디밍 타임(t2) 이내에 유저의 시선을 센싱할 수 있고, 센싱한 유저의 시선이 스레스홀드를 넘으면, 디바이스(50)는 디밍 모드를 제 1 디밍 모드로 재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50)는 유저의 특정 지점에 대한 시선의 지속 시간이 스레스홀드를 넘는 경우, 디밍 모드를 제 1 모드로 재전환할 수 있다. 또는, 디바이스(50)는 유저의 동공을 센싱하여, 센싱한 동공이 특정 동공 이미지와 일치하는 경우, 제 1 모드로 재전환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유저 입력이 유저의 목소리 인식에 따른 입력인 경우에도, 제 2 디밍 타임 이내에 유저의 목소리를 센싱하고, 센싱된 목소리가 특정 목소리 패턴과 일치하면, 디바이스(50)는 디밍 모드를 제 1 디밍 모드로 재전환할 수 있다.
이렇듯, 기설정된 유저 입력은 다양한 입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유저 입력들은 개별적으로 혹은 혼용되어 디바이스(50)에 입력될 수 있다. 한편, 유저 입력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입력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유닛의 축소 및 유저의 터치 입력에 따라 디밍 모드가 제어되는 포터블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유닛(60)의 크기가 제 2 상태에서 제 1 상태로 축소된 경우, 디밍 모드가 제 2 디밍 모드로 전환될 수 있음은 도 4 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60)의 제 1 상태로의 축소와 함께 디스플레이 유닛(60)에 대한 터치 입력(62)이 센싱되면, 디밍 모드의 전환 없이 제 1 디밍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터치 입력(62)은 디스플레이 유닛(60)의 임의의 지점에서 센싱된 터치 입력을 나타낼 수 있다.
상술한 터치 입력(62)에 따라 제 1 디밍 모드가 유지되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60)이 제 1 상태로 축소됨에 따라 제 1 디밍 타임(t1)을 리카운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제 1 디밍 모드의 유지는, 디스플레이 유닛이 제 1 상태로 축소됨에 따른 제 1 디밍 모드로의 재진입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디밍 타임은 마지막으로 센싱된 유저의 입력으로부터 카운트되므로,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60)이 축소되면, 제 1 디밍 타임(t1)을 리카운트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유닛(60)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축소될 수 있는데, 수동으로 축소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유닛(60)의 일측에 손잡이부(61)가 구비될 수 있다. 손잡이부(61)는 유저가 디스플레이 유닛(60)을 확장하거나 축소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해준다. 유저가 손잡이부(61)를 잡고 디스플레이 유닛(60)을 축소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유닛(60)에 대한 터치 입력이 센싱되지 않으므로, 디바이스는 디밍 모드를 제 2 디밍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반대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저가 디스플레이 유닛(60)을 잡고 축소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유닛(60)에 대한 터치 입력(62)이 센싱되므로, 디바이스는 디밍 모드를 제 1 디밍 모드로 유지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유닛의 축소 속도에 의해 디밍 모드를 제어하는 포터블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바이스(70)는 디스플레이 유닛(71)의 축소 속도에 따라 디밍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 유닛(71)의 축소 속도가 스레스홀드 초과인 경우(73), 디바이스(70)는 디스플레이 유닛(71)을 디밍(74)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유닛(71)이 제 2 상태에서 제 1 상태로 축소된 속도가 기설정된 속도 초과인 경우(73), 디바이스(70)는 디스플레이 유닛(71)을 디밍할 수 있다. 유저가 디스플레이 유닛(71)을 빠른 속도로 축소함(73)은, 디스플레이 유닛(71)을 더 이상 사용하지 않겠다는 의도라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일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 유닛(71)의 축소 속도가 스레스홀드 이하(72)인 경우, 디바이스(70)는 디밍 모드를 제 2 디밍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유닛(71)의 제 2 상태에서 제 1 상태로 축소된 속도가 기설정된 속도 이하인 경우(72), 디바이스(70)는 디밍 모드를 제 2 디밍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유저가 디스플레이 유닛(71)을 느린 속도로 축소함(72)은, 디스플레이 유닛(71)을 계속하여 사용하겠다는 의도라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제 2 디밍 모드로 전환되면, 디바이스(70)는 기설정된 유저 입력의 센싱 여부에 따라 제 1 디밍 모드로 재전환하거나 디스플레이 유닛(71)을 디밍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상세한 내용은 도 4 내지 도 5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거나 상응한다.
디스플레이 유닛(71)의 축소 속도는 측정 유닛(21)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71)의 축소 속도는 특정 축소 구간에서의 평균 속도 또는 특정 축소 지점에서의 순간 속도를 나타낼 수 있다. 측정 유닛(21)의 축소 속도 측정 방법에 관한 내용은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축소 속도의 빠르기를 결정하는 기준인 기설정된 속도는 유저, 사용 목적 또는 디바이스(70)의 설계에 따라 설정 또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디바이스(70)는 하나의 기설정된 속도 기준을 가지나, 복수개의 속도 기준을 가질 수도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축소 모드 제공 여부에 따라 디밍 모드를 제어하는 포터블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축소 모드란, 제 1 상태의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축소 화면(81-1, 81-2)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모드를 나타낸다. 보다 상세하게는, 축소 모드는, 제 2 상태의 디스플레이 유닛이 제 1 어플리케이션 화면(81)을 디스플레이 중이었던 경우, 제 1 상태로 축소됨에 따라 제 2 어플리케이션 화면(81-1, 81-2)으로 전환하는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제 2 어플리케이션 화면(81-1, 81-2)은 제 1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축소된 화면(81-1)이거나, 제 1 어플리케이션(81)과 관련된 컨텐츠 화면(81-2)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어플리케이션 화면(81)이 사진이었던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이 축소되면, 디바이스(80)는 제 2 어플리케이션 화면(81-1)으로서 축소된 사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유닛이 축소 되면, 디바이스(80)는 제 2 어플리케이션 화면(81-2)으로서 제 1 어플리케이션 화면(81)의 사진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디바이스(80)는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축소 모드를 제공하거나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예로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큰 화면으로서만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지도 어플리케이션(82)의 경우, 디바이스(80)는 지도 어플리케이션(82)의 축소 모드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디바이스(80)는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축소 모드 제공 여부에 따라 디밍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축소 모드가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81)이 실행 중이었던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이 제 1 상태로 축소 되면 디바이스(80)는 제 1 디밍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제 1 디밍 모드가 유지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이 제 1 상태로 축소 됨에 따라 제 1 디밍 타임을 리카운트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 유닛이 제 1 상태로 축소되면 디바이스(80)는 제 2 디밍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디바이스(80)는 디스플레이 유닛이 제 1 상태로 축소되면 제 1 어플리케이션 화면(81)의 축소 모드인 제 2 어플리케이션 화면(81-1, 81-2)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 1 디밍 모드 유지 또는 제 2 디밍 모드로 전환된 후의 디바이스(80)의 동작은 도 4 및 도 6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다른 일 실시예로서, 축소 모드가 제공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82)이 실행 중이었던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이 제 1 상태로 축소 되면 디바이스(80)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디밍(83)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이 축소되어도 디바이스(80)가 축소 모드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유닛을 바로 디밍(83)하여 소비 전력을 절감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이외에도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및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디바이스(80)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축소되면, 디밍 모드를 전환 또는 유지하거나 디스플레이 유닛을 바로 디밍(83)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밍 모드를 제어하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디스플레이 유닛이 확장되어 제 2 상태인 경우, 디바이스의 디밍 모드는 제 1 디밍 모드일 수 있다. (S90) 제 1 디밍 모드는 제 1 디밍 타임을 제공하는 디밍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유닛이 축소될 수 있다. (S91) 디스플레이 유닛은 디바이스 내에 탑재된 방식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축소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이 축소된 경우,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이 제 1 상태로 축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92) 디스플레이 유닛이 제 1 상태로 축소되지 않은 경우, 디바이스는 디밍 모드를 전환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유닛이 제 1 상태로 축소된 경우, 디바이스는 디밍 모드를 제 2 디밍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S93) 제 2 디밍 모드는 제 2 디밍 타임을 제공하는 디밍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유닛이 제 1 상태로 축소되었는지 여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기설정된 길이 이하로 축소되었는지 여부로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의 크기 상태, 디밍 모드 및 축소 방식에 관한 보다 상세한 내용은 도 1 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유닛의 축소와 함께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터치 입력이 센싱된 경우, 디바이스는 제 1 디밍 모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관한 상세한 내용은 도 6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추가로,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유닛의 축소 속도 및 축소 모드의 제공 여부에 따라 디밍 모드의 제어가 가능한데, 이는 도 7 및 도 8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디밍 모드가 제 2 디밍 모드로 전환된 경우, 디바이스는 제 2 디밍 타임 이내에 기설정된 유저 입력이 센싱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94) 유저 입력은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유저의 터치, 얼굴, 시선, 목소리, 제스쳐 및 지문 입력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디바이스는 유저 입력을 센싱하여 센싱된 유저 입력이 기설정된 값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유저 입력의 다양한 실시예는 도 5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제 2 디밍 타임 이내에 기설정된 유저 입력이 센싱된 경우, 디바이스는 디밍 모드를 제 1 디밍 모드로 재전환할 수 있다. (S95) 제 1 디밍 모드로 재전환되면, 디바이스는 제 1 디밍 타임을 카운팅할 수 있다. 제 1 디밍 타임 이내에 유저 입력이 센싱되지 않으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디밍할 수 있다.
반대로, 제 2 디밍 타임 이내에 기설정된 유저 입력이 센싱되지 않은 경우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디밍할 수 있다. (S96) 다시 말하면, 제 2 디밍 타임 이내에 기설정된 유저 입력의 부재가 센싱되는 경우,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디밍할 수 있다. 기설정된 유저 입력의 부재(lack)는, 센싱된 유저 입력이 기설정된 값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또는, 기설정된 유저 입력의 부재(lack)는 센싱된 유저 입력이 스레스홀드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이전에 설명된 실시예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설계하는 것도 권리범위에 속한다.
또한,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술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너비, 면적 및 길이는 정확한 값을 의미할 뿐 아니라, 일정 범위의 실질적인 너비, 면적 및 길이를 포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확장 정도는 실질적인 확장 정도를 의미할 수 있고, 일정 범위의 오차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 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40 : 디바이스
41 : 디스플레이 유닛
42 : 디스플레이 유닛의 축소
43 : 유저 입력
44 : 디스플레이 유닛의 디밍

Claims (21)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의 확장된 길이 및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측정 유닛;
    유저 입력을 센싱하는 센서 유닛;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측정 유닛 및 상기 센서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는 디밍(dimming) 타임 이내 상기 유저 입력이 센싱되지 않는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의 적어도 일부 부분을 디밍(dimming)하는 디밍 모드를 제공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은 제 1 상태와 제 2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상태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이 확장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하고,
    상기 제 2 상태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이 확장된 상태를 의미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이 펼쳐진 상태에서 접혀진 상태로의 변화가 감지된 경우,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를 제 1 디밍 모드에서 제 2 디밍 모드로 전환하되,
    상기 제 1 디밍 모드는 제 1 디밍 타임을 제공하고,
    상기 제 2 디밍 모드는 상기 제 1 디밍 타임과 상이한 제 2 디밍 타임을 제공하고,
    제 2 디밍 모드에서, 상기 제 2 디밍 타임 이내에, 기설정된 유저 입력이 센싱되지 않으면, 제 2 디밍 타임에 도달할 때,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디밍을 수행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태의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 외부로 노출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 1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상태의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이 확장되어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 외부에 추가로 노출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은 제 1 디스플레이 및 제 2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상태의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가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로 롤인(roll in)되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가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크기 상태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상태의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가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로부터 롤아웃(roll out)되어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 외부로 일부 또는 전부가 노출된 크기 상태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입력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특정 터치 입력 패턴을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입력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의 특정 지점에 디스플레이된 소프트 웨어 버튼에 대한 터치 입력을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입력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터치 입력의 길이가 스레스홀드(Threshold)를 초과한 터치 입력을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이 상기 제 2 상태에서 상기 제 1 상태로 축소되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상기 유저 입력이 센싱된 경우,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상기 제 1 디밍 모드를 유지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의 디밍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이 블랙 아웃(black out)되는 동작을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의 디밍은 시간에 따라 점진적으로(gradually) 진행되는 것을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이 디밍되면,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를 잠금(lock) 상태로 전환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잠금 상태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측정 유닛 및 상기 센서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디액티베이트(deactivate)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이 상기 제 2 상태에서 상기 제 1 상태로 축소되는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의 축소 속도에 따라 상기 디밍 모드를 제어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의 축소 속도가 기설정된 속도 이하인 경우,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를 상기 제 1 디밍 모드에서 상기 제 2 디밍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의 축소 속도가 상기 기설정된 속도 초과인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을 디밍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이 상기 제 2 상태에서 상기 제 1 상태로 축소되는 경우에 있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상기 디밍 모드를 제어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축소 모드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이 상기 제 1 상태로 축소되면,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를 상기 제 1 디밍 모드에서 상기 제 2 디밍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축소 모드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이 상기 제 1 상태로 축소되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을 디밍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밍 타임을 인디케이트하는 디밍 타임 인디케이터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유닛은 근접 센서, 터치 센서, 적외선 센서, 속도 측정 센서 및 각속도 측정 센서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밍 모드 및 상기 제 2 디밍 모드는 상이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의 화면 밝기(Brightness)를 가지는 모드인, 포터블 디바이스.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유저 입력으로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터치 입력을 센싱하는 경우,
    상기 제 1 디밍 모드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 전면(overall region)에 대한 상기 터치 입력의 센싱을 액티베이트(activate)하는 모드이고,
    상기 제 2 디밍 모드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의 특정 부분(specific region)에 대한 상기 터치 입력의 센싱을 액티베이트(activate)하는 모드인, 포터블 디바이스.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닛은 상기 유저 입력으로서 유저의 얼굴, 시선 및 목소리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21. 삭제
KR1020130043176A 2013-04-18 2013-04-18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139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3176A KR102139530B1 (ko) 2013-04-18 2013-04-18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201380075750.9A CN105164609B (zh) 2013-04-18 2013-05-22 便携式设备及其控制方法
EP13882583.1A EP2987051B1 (en) 2013-04-18 2013-05-22 Port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PCT/KR2013/004488 WO2014171578A1 (en) 2013-04-18 2013-05-22 Port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13/905,880 US8860656B1 (en) 2013-04-18 2013-05-30 Port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14/048,991 US8947344B2 (en) 2013-04-18 2013-10-08 Port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14/480,303 US9424790B2 (en) 2013-04-18 2014-09-08 Port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3176A KR102139530B1 (ko) 2013-04-18 2013-04-18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5243A KR20140125243A (ko) 2014-10-28
KR102139530B1 true KR102139530B1 (ko) 2020-07-30

Family

ID=51731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3176A KR102139530B1 (ko) 2013-04-18 2013-04-18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987051B1 (ko)
KR (1) KR102139530B1 (ko)
CN (1) CN105164609B (ko)
WO (1) WO201417157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9259A1 (ko) * 2020-12-01 2022-06-09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WO2023282483A1 (ko) * 2021-07-07 2023-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320A (ko) * 2015-05-27 2016-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409439B2 (en) 2015-08-05 2019-09-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6446625B (zh) * 2015-08-05 2019-08-23 三星电子株式会社 用户终端装置及其控制方法
KR20170036317A (ko) * 2015-09-24 2017-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05912286B (zh) * 2016-03-31 2019-12-2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08520702B (zh) * 2018-04-02 2022-05-17 广州国显科技有限公司 显示装置及电子产品
CN110995896A (zh) * 2019-11-27 2020-04-1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和电子设备
WO2021153808A1 (ko) * 2020-01-28 2021-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13835470A (zh) * 2020-06-08 2021-12-2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的控制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20230031315A (ko) 2020-07-28 2023-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254597B1 (ko) * 2020-10-15 2021-05-21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화면 운영 방법
KR102289412B1 (ko) 2020-11-05 2021-08-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영역이 확장 가능한 전자 장치 및 그의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KR20220076165A (ko) * 2020-11-30 2022-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확장에 따라 변경된 가시도를 가지는 화면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2119215A1 (ko) * 2020-12-03 2022-06-09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확장 및/또는 축소에 따라서 화면의 표시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6802715A (zh) * 2021-11-26 2023-09-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85382A1 (en) 2008-09-08 2010-04-08 Qualcomm Incorporated Multi-panel electronic device
US20120050338A1 (en) 2010-09-01 2012-03-01 Qualcomm Incorporated Dimming techniques for emissive display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84132B2 (en) * 2005-03-01 2012-05-22 Panasonic Corporation Electronic display device medium and screen display control method used for electronic display medium
KR20080101679A (ko) * 2007-05-18 2008-11-21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표시 장치, 영상 신호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KR101495164B1 (ko) * 2008-04-10 2015-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화면 처리 방법
KR101525160B1 (ko) * 2008-08-08 2015-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랙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101521219B1 (ko) * 2008-11-10 2015-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91975A (ko) * 2011-02-10 2012-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정보 표시 장치 및 그의 정보 표시 방법
KR101778997B1 (ko) * 2011-05-02 2017-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US8665212B2 (en) * 2011-07-08 2014-03-04 Blackberry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locking an electronic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85382A1 (en) 2008-09-08 2010-04-08 Qualcomm Incorporated Multi-panel electronic device
US20120050338A1 (en) 2010-09-01 2012-03-01 Qualcomm Incorporated Dimming techniques for emissive display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9259A1 (ko) * 2020-12-01 2022-06-09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WO2023282483A1 (ko) * 2021-07-07 2023-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164609A (zh) 2015-12-16
WO2014171578A1 (en) 2014-10-23
EP2987051A1 (en) 2016-02-24
EP2987051A4 (en) 2016-10-12
KR20140125243A (ko) 2014-10-28
EP2987051B1 (en) 2018-09-12
CN105164609B (zh) 2017-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9530B1 (ko)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9424790B2 (en) Port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8947344B2 (en) Port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2105958B1 (ko) 익스펜더블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포터블 디바이스의 2중 잠금 해제 장치 및 그 방법
KR102081931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KR102243657B1 (ko)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034584B1 (ko)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868696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07179865B (zh) 一种页面切换方法和终端
US9891662B2 (en) Double unlocking apparatus of a portable device equipped with an expandable displa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250213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licating physical key function with soft keys in an electronic device
US20130234951A1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50116230A1 (en) Display Device and Icon Control Method Thereof
US9727147B2 (en) Unlock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20150185953A1 (en) Optimization ope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erminal interface
US20140333545A1 (en) Port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671269B2 (en) Electronic device with large-size display scre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screen
KR20170012628A (ko)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6126363A (ja) タッチスクリーンに入力する方法、携帯式電子機器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40118276A1 (en) Touch system adapted to touch control and hover contro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4951221B (zh) 响应触摸操作的方法和电子设备
WO2014147718A1 (ja) 電子機器、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138501B1 (ko) 디지털 컨텐츠를 캡쳐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20160357351A1 (en) Display device
KR101265296B1 (ko) 카메라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인식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