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8501B1 - 디지털 컨텐츠를 캡쳐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컨텐츠를 캡쳐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8501B1
KR102138501B1 KR1020130058393A KR20130058393A KR102138501B1 KR 102138501 B1 KR102138501 B1 KR 102138501B1 KR 1020130058393 A KR1020130058393 A KR 1020130058393A KR 20130058393 A KR20130058393 A KR 20130058393A KR 102138501 B1 KR102138501 B1 KR 102138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content
control input
display device
capturing
capturing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8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5227A (ko
Inventor
박효림
김용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3/918,469 priority Critical patent/US8635552B1/en
Priority to PCT/KR2013/005407 priority patent/WO2014148689A1/en
Priority to US14/104,892 priority patent/US9557907B2/en
Publication of KR20140115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5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8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8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은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디지털 컨텐츠에 오버랩하여 캡쳐링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캡쳐링 윈도우는 캡쳐링 윈도우의 내부 영역을 캡쳐함, 디지털 컨텐츠를 이동시키는 제1 제어 입력을 캡쳐링 윈도우의 내부에서 디텍팅하는 단계, 제1 제어 입력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를 이동하고, 캡쳐링 윈도우의 내부로 이동한 디지털 컨텐츠를 캡쳐링 대상에 포함하는 단계, 디지털 컨텐츠를 이동시키는 제2 제어 입력을 캡쳐링 윈도우의 외부에서 디텍팅하는 단계, 및 제2 제어 입력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를 이동하고, 제2 제어 입력에 의해 캡쳐링 윈도우의 내부로 이동한 디지털 컨텐츠를 캡쳐링 대상에서 제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컨텐츠를 캡쳐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apturing digital content}
본 명세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컨텐츠를 캡쳐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웹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외부 서버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를 다운로드하고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하지만, 외부 서버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에 연결된 때에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가 연결되지 않은 오프라인 상태에서도 외부 서버의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컨텐츠를 캡쳐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하지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한정된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고 있어 디지털 컨텐츠의 일부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디지털 컨텐츠의 일부 영역은 디스플레이되고, 다른 일부 영역은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컨텐츠를 캡쳐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컨텐츠의 일부만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컨텐츠의 전체 영역을 저장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컨텐츠를 스크롤하여 전체 영역을 복수 개의 일부 영역으로 나누어 캡쳐하고 저장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일부 영역으로 나뉘어 캡쳐된 디지털 컨텐츠는 각각의 이미지 파일로 저장되어 원본 디지털 컨텐츠와의 동일성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컨텐츠의 전체 영역을 하나의 이미지 파일로 저장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명세서는, 디지털 컨텐츠를 캡쳐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어 입력이 디텍팅된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컨텐츠를 캡쳐링 대상에 포함시킬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컨텐츠 및 캡쳐링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캡쳐링 윈도우는 캡쳐 영역을 인디케이트함,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제어 입력을 디텍팅하는 센서 유닛, 및 디스플레이 유닛 및 센서 유닛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컨트롤러는 디지털 컨텐츠에 오버랩하여 캡쳐링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지털 컨텐츠를 이동시키는 제1 제어 입력이 캡쳐링 윈도우의 내부에서 디텍팅되면, 제1 제어 입력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를 이동하고, 제1 제어 입력에 의해 캡쳐링 윈도우의 내부로 이동한 제1 디지털 컨텐츠를 캡쳐링 대상에 포함시키고, 디지털 컨텐츠를 이동시키는 제2 제어 입력이 캡쳐링 윈도우의 외부에서 디텍팅되면, 제2 제어 입력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를 이동하고, 제2 제어 입력에 의해 캡쳐링 윈도우의 내부로 이동한 제2 디지털 컨텐츠는 캡쳐링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방법은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디지털 컨텐츠에 오버랩하여 캡쳐링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캡쳐링 윈도우는 캡쳐링 윈도우의 내부 영역을 캡쳐함, 디지털 컨텐츠를 이동시키는 제1 제어 입력을 캡쳐링 윈도우의 내부에서 디텍팅하는 단계, 제1 제어 입력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를 이동하고, 캡쳐링 윈도우의 내부로 이동한 디지털 컨텐츠를 캡쳐링 대상에 포함하는 단계, 디지털 컨텐츠를 이동시키는 제2 제어 입력을 캡쳐링 윈도우의 외부에서 디텍팅하는 단계, 및 제2 제어 입력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를 이동하고, 제2 제어 입력에 의해 캡쳐링 윈도우의 내부로 이동한 디지털 컨텐츠를 캡쳐링 대상에서 제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컨텐츠를 캡쳐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컨텐츠의 디스플레이된 영역 및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영역을 연속적으로 캡쳐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컨텐츠의 원본과 동일한 이미지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컨텐츠를 편집하여 캡쳐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컨텐츠 중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만을 선택적으로 캡쳐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캡쳐된 디지털 컨텐츠의 미리보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캡쳐링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디지털 컨텐츠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쳐링 윈도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쳐링 윈도우의 크기를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캡쳐링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가 이미지 파일로 캡쳐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연속적인 캡쳐링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가 이미지 파일로 캡쳐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캡쳐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캡쳐링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캡쳐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를 캡쳐하는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청구하고자 하는 범위는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명세서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본 명세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컨텐츠를 연속하여 캡쳐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태블릿 컴퓨터 또는 노트북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어하는 대신 증강 현실로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를 제어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할 캡쳐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어하는 대신 프로젝션된 오브젝트를 제어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할 캡쳐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디지털 컨텐츠를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스플레이 유닛(12)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스플레이 유닛(12)을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13)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2)에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컨텐츠(13)는 한정된 디스플레이 유닛의 크기로 인해 오리지널 디지털 컨텐츠(14)의 일부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컨텐츠(13)의 길이가 디스플레이 유닛(12)보다 더 긴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서 디지털 컨텐츠를 스크롤할 수 있다. 도 1의 좌측과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스플레이 유닛(12)의 한정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인해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지털 컨텐츠의 길이가 제한될 수 있다. 도 1의 우측과 같이 오리지널 디지털 컨텐츠(14)의 길이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영역보다 긴 길이를 갖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오니지널 디지털 컨텐츠(14)의 일부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단락 1부터 단락 6을 포함하는 오리지널 디지털 컨텐츠(14)의 일부인 단락 1부터 단락 4까지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오리지널 디지털 컨텐츠(14)의 단락 5부터 단락 6에 대해서는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컨텐츠(13)를 스크롤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의 디스플레이 유닛(12)은 그 크기가 한정되어 있으므로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컨텐츠를 캡쳐하는 경우에도 캡쳐 가능한 영역은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컨텐츠(13)로 제한된다. 따라서 도 1의 우측과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의 길이보다 긴 오리지널 디지털 컨텐츠(14)에 대해서는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스크롤을 이용하여 복수회에 걸쳐 캡쳐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캡쳐링 윈도우와 스크롤을 이용한 연속적인 스크롤 캡쳐 방법을 제안한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쳐링 윈도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캡쳐링 윈도우(21)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의 디스플레이 유닛(12)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2에서 캡쳐링 윈도우(21)는 사각형으로 도시되었으나 그 형태나 모양은 실시예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즉, 캡쳐링 윈도우(21)는 사용자가 지정한 모양 또는 사용자가 드래그한 모양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유닛(13)에 직선을 드래그한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직선을 이용하여 캡쳐할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사용자가 드래그한 직선의 위쪽 또는 아래쪽 영역을 캡쳐할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캡쳐링 윈도우(21) 내에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컨텐츠(13)를 캡쳐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캡쳐 인풋을 입력받아 캡쳐링 윈도우 내의 디지털 컨텐츠(13)를 이미지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도 2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컨텐츠(13) 중 캡쳐링 윈도우(21) 내에 포함된 단락 1 내지 단락 3의 내용을 캡쳐할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쳐링 윈도우의 크기를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캡쳐링 윈도우(21-1)에 대한 제어 입력(31)을 디텍팅하여 캡쳐링 윈도우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어 입력(31)에 따라 캡쳐링 윈도우의 크기나 모양을 변경할 수 있으며, 변경된 캡쳐링 윈도우(21-2) 내에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컨텐츠가 캡쳐링 대상이 될 수 있다.
도 3의 좌측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지털 컨텐츠의 단락 1 내지 단락 3을 포함하는 캡쳐링 윈도우(21-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캡쳐될 내용이 단락 1 및 단락 2인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캡쳐링 윈도우의 모양 또는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캡쳐링 윈도우(21-1)에 대한 제어 입력(31)을 디텍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캡쳐링 윈도우(21-1)를 선택하고 드래그하는 제어 입력(31)을 디텍팅하면, 제어 입력에 따라 캡쳐링 윈도우(21-1)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의 우측과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변경된 크기 또는 모양의 캡쳐링 윈도우(21-2)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변경된 캡쳐링 윈도우(21-2)에 포함된 단락 1 및 단락 2의 내용을 캡쳐할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캡쳐링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스크롤되는 디지털 컨텐츠를 연속적으로 이어서 캡쳐하여 하나의 이미지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도 4의 좌측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지털 컨텐츠(41)의 단락 1 내지 단락 4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의 좌측에서 캡쳐링 윈도우(21)는 단락 1 내지 단락 3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캡쳐링 윈도우(21)의 내부를 터치하고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컨텐츠(41)를 스크롤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캡쳐링 윈도우(21)의 내부 영역에서 사용자의 제어 입력(42)를 디텍팅하고, 사용자의 제어 입력(42)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41)를 스크롤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사용자의 제어 입력(42)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41)를 스크롤하여 도 4의 우측과 같이 스크롤된 디지털 컨텐츠(43)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스크롤의 결과로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지털 컨텐츠(43)의 단락 3 내지 단락 6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캡쳐링 윈도우 내에 단락 3 내지 단락 5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어 입력 이전에 캡쳐링 윈도우(21)에 포함되었던 단락 1 내지 단락 3 및 제어 입력(42)에 의해 스크롤되어 캡쳐링 윈도우(21) 내에 포함된 단락 4 내지 단락 5를 캡쳐링 대상에 포함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도 4의 좌측 및 우측에서 캡쳐링 윈도우 내에 중복하여 포함된 단락 3에 대해서는 한번만 캡쳐할 수 있다. 캡쳐된 이미지에 대해서는 도 5에서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어 입력이 종료되고 시간 스레시홀드 이상의 시간이 지나면, 캡쳐링 대상에 대한 선정을 종료하고 캡쳐링 대상에 포함된 디지털 컨텐츠를 캡쳐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캡쳐를 종료하는 제어 입력을 디텍팅하고, 캡쳐링 대상에 포함된 디지털 컨텐츠를 캡쳐할 수도 있다.
위의 실시 예에서 제어 입력이 디지털 컨텐츠를 스크롤하여 단락 6까지 캡쳐링 윈도우 내에 포함시키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단락 1 내지 단락 6을 캡쳐링 대상에 포함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가 이미지 파일로 캡쳐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설명한 캡쳐링 윈도우 내부를 스크롤하는 제어 입력에 의해 캡쳐된 캡쳐 이미지(51)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캡쳐링 대상에 포함된 단락들을 캡쳐하여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한된 크기로 인해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 없는 단락 1 내지 단락 5를 하나의 이미지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스크롤 캡쳐 방법을 통해 디스플레이 유닛의 길이보다 긴 디지털 컨텐츠를 하나의 이미지 파일로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사용자는 도 1의 우측에 도시된 오리지널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원하는 길이의 디지털 컨텐츠를 캡쳐하여 저장할 수 있다.
만약, 도 4에서 단락 1 내지 단락 6이 캡쳐링 대상에 포함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도 1의 우측에 도시된 오리지널 디지털 컨텐츠(14)와 동일한 이미지를 캡쳐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크기 또는 해상도가 제한되더라도, 오리지널 디지털 컨텐츠와 동일한 이미지를 캡쳐하고, 이를 이미지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연속적인 캡쳐링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좌측 상단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단락 1 내지 단락 4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6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지털 컨텐츠(61)에 오버랩하여 캡쳐링 윈도우(2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6의 좌측 상단에서 디스플레이된 캡쳐링 윈도우(21)는 단락 1 내지 단락 3을 포함할 수 있다. 캡쳐링 윈도우(21)에 포함됨 단락 1 내지 단락 3은 캡쳐링 대상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캡쳐링 윈도우(21)의 외부를 터치하고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컨텐츠(61)를 스크롤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캡쳐링 윈도우(21)의 외부 영역에서 사용자의 제어 입력(62)을 디텍팅하고, 제어 입력(62)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61)를 스크롤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어 입력(62)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61)를 스크롤하여 도 6의 우측 상단과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에 단락 2 내지 단락 5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63)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캡쳐링 윈도우(21) 내에는 단락 2 내지 단락 4가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캡쳐링 윈도우(21) 외부에서 디텍팅된 제어 입력(62)에 의해 스크롤되어 캡쳐링 윈도우(21)에 새롭게 포함된 디지털 컨텐츠의 부분, 즉 단락 4에 대해서는 캡쳐 동작을 일시 정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캡쳐링 윈도우(21) 외부에서 디텍팅된 제어 입력(62)에 의해 스크롤되어 캡쳐링 윈도우(21)에 새롭게 포함된 디지털 컨텐츠의 부분은 캡쳐링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다.
캡쳐링 윈도우(21) 외부에서 디텍팅된 제어 입력(62)이 디스플레이 유닛과의 컨택트를 유지한 채 캡쳐링 윈도우의 내부로 이동한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캡쳐링 윈도우(21)의 내부에서 디텍팅된 제어 입력을 캡쳐링 윈도우의 외부에서 디텍팅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6의 우측 상단에서 사용자는 캡쳐링 윈도우(21)의 내부를 터치하고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컨텐츠(62)를 스크롤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캡쳐링 윈도우(21)의 내부 영역에서 사용자의 제어 입력(64)을 디텍팅하고, 제어 입력(64)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63)를 스크롤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어 입력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63)를 스크롤하여 도 6의 좌측 하단과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에 단락 3 내지 단락 6을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65)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캡쳐링 윈도우(21) 내에는 단락 3 내지 단락 5가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캡쳐링 윈도우(21) 내부에서 디텍팅된 제어 입력(64)에 의해 스크롤되어 캡쳐링 윈도우(21)에 새롭게 포함된 디지털 컨텐츠의 부분, 즉 단락 5에 대해서는 캡쳐 동작을 재개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도 6의 우측 상단에서 캡쳐 동작을 일시정지한 이후에, 캡쳐링 윈도우(21) 내부에서 디텍팅된 제어 입력(64)에 의해 스크롤되어 캡쳐링 윈도우(21)에 새롭게 포함된 디지털 컨텐츠의 부분은 캡쳐링 대상에 포함시킬 수 있다.
캡쳐링 윈도우(21) 내부에서 디텍팅된 제어 입력(64)이 디스플레이 유닛과의 컨택트를 유지한 채 캡쳐링 윈도우의 외부로 이동한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캡쳐링 윈도우(21)의 외부에서 디텍팅된 제어 입력을 캡쳐링 윈도우의 내부에서 디텍팅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가 이미지 파일로 캡쳐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서 설명한 캡쳐링 윈도우의 외부 및 내부를 스크롤하는 제어 입력에 의해 캡쳐된 캡쳐 이미지(71)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캡쳐링 대상에 포함된 단락들을 캡쳐하여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컨텐츠에서 불연속하게 존재하는 단락 1 내지 단락 3 및 단락 5를 하나의 이미지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캡쳐링 윈도우 내부의 스크롤과 외부의 스크롤을 구분하여 디텍팅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만을 선택적으로 캡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사용자는 도 1의 우측에 도시된 오리지널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원하는 부분의 디지털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캡쳐하여 저장할 수 있다.
만약, 도 4에서 단락 1 내지 단락 6이 캡쳐링 대상에 포함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도 1의 우측에 도시된 오리지널 디지털 컨텐츠(14)에서 단락 4가 제외된 이미지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한된 크기 또는 해상도를 초과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캡쳐링 대상에 포함시키고, 이를 캡쳐하여 이미지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캡쳐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캡쳐 이미지(81)를 캡쳐링 윈도우(21) 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8의 좌측 상단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도 7의 캡쳐 이미지(81)의 프리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캡쳐 이미지의 일부분인 단락 1 내지 단락 3을 캡쳐링 윈도우(21) 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캡쳐링 윈도우(21) 외부에는 캡쳐의 대상이었던 디지털 컨텐츠(82)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지털 컨텐츠(82)의 일부분인 단락 6을 캡쳐링 윈도우(21) 외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캡쳐링 윈도우(21)의 내부 영역과 외부 영역을 각각 독립적으로 스크롤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캡쳐링 윈도우(21) 내에서 제1 제어 입력(83)이 디텍팅된 경우, 디스플레이된 캡쳐 이미지(81)를 스크롤하고, 스크롤된 캡쳐 이미지(84)를 캡쳐링 윈도우(21) 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8의 우측 상단과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캡쳐 이미지(81)를 스크롤하여 캡쳐링 윈도우(21) 내에 단락 2, 단락 3 및 단락 5를 포함하는 스크롤된 캡쳐 이미지(84)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1 제어 입력(83)에 디텍팅되어도 캡쳐링 윈도우(21) 외에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컨텐츠(82)는 스크롤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캡쳐링 윈도우(21) 외부에 디스플레이된 단락 6을 유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캡쳐링 윈도우(21) 외부에서 제2 제어 입력(85)이 디텍팅된 경우,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컨텐츠(82)를 스크롤하고, 스크롤된 디지털 컨텐츠(86)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8의 우측 하단과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지털 컨텐츠(82)를 스크롤하여 캡쳐링 윈도우(21) 외부에 단락 4를 포함하는 스크롤된 디지털 컨텐츠(86)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2 제어 입력(83)에 디텍팅되어도 캡쳐링 윈도우(21) 내에 디스플레이된 캡쳐 이미지(81)는 스크롤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캡쳐링 윈도우(21) 내에 디스플레이된 단락 1 내지 단락 3을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캡쳐링 윈도우의 내부 영역 또는 외부 영역을 스크롤하여 캡쳐 이미지 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캡쳐링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스크롤되는 디지털 컨텐츠를 연속적으로 캡쳐하여 하나의 이미지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도 9의 좌측 상단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지털 컨텐츠(91)의 단락 1 내지 단락 4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9의 좌측 상단에서 캡쳐링 윈도우(21)는 내부에 단락 1 내지 단락 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캡쳐링 윈도우(21)의 외부를 터치하고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컨텐츠(91)를 스크롤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캡쳐링 윈도우(21)의 외부 영역에서 제1 제어 입력(92)를 디텍팅하고, 제1 제어 입력(92)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91)를 스크롤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1 제어 입력(92)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91)를 스크롤하여 도 9의 우측 상단과 같이 스크롤된 디지털 컨텐츠(93)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스크롤의 결과로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지털 컨텐츠(93)의 단락 2 내지 단락 5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캡쳐링 윈도우 내에 단락 2 내지 단락 3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1 제어 입력(92)이 입력되기 이전에 캡쳐링 윈도우(21)에 포함되었던 디지털 컨텐츠는 캡쳐링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 입력(92)은 캡쳐링 윈도우(21)의 외부에서 디텍팅되었으므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1 제어 입력(92)에 의해 캡쳐링 윈도우(21)의 내부로 이동된 디지털 컨텐츠는 캡쳐링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1 제어 입력 이전에 캡쳐링 윈도우(21)에 포함되었던 단락 1 내지 단락 2, 및 제1 제어 입력(92)에 의해 스크롤되어 캡쳐링 윈도우(21) 내에 포함된 단락 3을 캡쳐링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캡쳐링 윈도우(21)의 내부를 터치하고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컨텐츠(93)를 스크롤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캡쳐링 윈도우(21)의 내부 영역에서 제2 제어 입력(94)를 디텍팅하고, 제2 제어 입력(94)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93)를 스크롤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2 제어 입력(94)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93)를 스크롤하여 도 4의 좌측 하단과 같이 스크롤된 디지털 컨텐츠(95)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스크롤의 결과로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지털 컨텐츠(93)의 단락 4 내지 단락 6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캡쳐링 윈도우(21) 내에 단락 4 내지 단락 5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2 제어 입력(94)에 의해 스크롤되어 캡쳐링 윈도우(21) 내에 포함된 단락 4 내지 단락 5를 캡쳐링 대상에 포함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캡쳐링 대상에 포함된 단락 4 내지 단락 5를 캡쳐하여 이미지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도 9의 우측 하단은 캡쳐 이미지(96)를 나타낸 도면이다. 캡쳐 이미지는 캡쳐링 대상에 포함된 단락 4 내지 단락 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캡쳐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캡쳐링 윈도우(21) 내에 위치가 고정되고 제어 입력에 의해서 스크롤되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는 중복 캡쳐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의 좌측 상단과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고정 영역(101) 및 단락 1 내지 단락 3을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10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고정 영역(101), 단락 1 및 단락 2를 포함하는 캡쳐링 윈도우(2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캡쳐링 윈도우 내에서 디지털 컨텐츠(100)를 스크롤하는 제어 입력(102)을 디텍팅하고 디지털 컨텐츠(100)를 스크롤할 수 있다. 도 10의 우측 상단과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고정 영역(101)을 동일한 위치에 디스플레이한 채, 디지털 컨텐츠(100)를 스크롤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캡쳐링 윈도우(21) 내에 고정 영역, 단락 2 및 단락 3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도 10의 좌측 상단 및 우측 상단에서 공통적으로 캡쳐링 윈도우(21) 내에 포함된 고정 영역(101)에 대해 중복 캡쳐를 하지 않고 1회만 캡쳐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어 입력(102) 전후로 캡쳐링 윈도우(21)에 포함된 고정 영역(101), 단락 1, 단락 2, 및 단락 3을 캡쳐링 대상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고정 영역(101), 단락 1, 단락 2, 및 단락 3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캡쳐할 수 있다. 도 10의 하단은 캡쳐된 캡쳐 이미지(104)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111), 센서 유닛(112) 및 컨트롤러(113)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11)은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11)은 디지털 컨텐츠에 오버랩하여 캡쳐링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11)은 디지털 컨텐츠의 해상도보다 작은 해상도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111)은 디지털 컨텐츠의 일부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111)은 디지털 컨텐츠를 스크롤하여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부분을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11)은 실시예에 따라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자잉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유닛(112)은 사용자의 제어 입력을 디텍팅할 수 있다. 센서 유닛(112)은 캡쳐링 윈도우 내부 또는 캡쳐링 윈도우 외부에 입력되는 제어 입력을 디텍팅할 수 있다. 제어 입력은 터치 입력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기울임, 인풋 디바이스 입력, 음성 입력 및 제스쳐 입력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인풋 디바이스는 마우스나 키보드 또는 리모컨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유닛은 터치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이미지 센서 및 음성 인식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다양한 제어 입력을 디텍팅할 수 있다.
센서 유닛(112)은 디텍팅된 사용자의 제어 입력에 대한 정보를 컨트롤러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 입력에 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제어 입력이 디텍팅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디스플레이 유닛(111) 및 센서 유닛(112)은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터치 센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센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은 정전식 터치 패널 또는 감압식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13)는 센서 유닛(112)으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어하고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컨텐츠를 캡쳐할 수 있다. 컨트롤러(113)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 센서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13)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 및 캡쳐링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컨트롤러(113)는 디지털 컨텐츠를 스크롤하는 제어 입력이 캡쳐링 윈도우의 내부에서 센싱되었는지 여부를 디텍팅할 수 있다. 컨트롤러(113)는 디지털 컨텐츠를 이동시키는 제어 입력이 캡쳐링 윈도우의 내부에서 디텍팅되면, 제어 입력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13)는 제어 입력에 의해 캡쳐링 윈도우의 내부로 이동한 디지털 컨텐츠의 일부를 캡쳐링 대상에 포함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113)는 디지털 컨텐츠를 이동시키는 제어 입력이 캡쳐링 윈도우의 외부에서 디텍팅되면, 제어 입력에 따라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13)는 제어 입력에 의해 캡쳐링 윈도우의 내부로 이동한 디지털 컨텐츠의 일부를 캡쳐링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다.
컨트롤러(113)는 캡쳐링 대상에 포함된 디지털 컨텐츠의 부분들을 병합하여 하나의 이미지 파일로 생성할 수 있다. 컨트롤러(113)는 생성된 캡쳐 이미지를 캡쳐링 윈도우 내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로서, 분리하여 표시한 블록들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엘러먼트들을 논리적으로 구별하여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엘러먼트들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설계에 따라 하나의 칩으로 또는 복수의 칩으로 장착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를 캡쳐하는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컨텐츠 및 캡쳐링 윈도우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S10).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해상도가 디지털 컨텐츠의 해상도보다 작은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컨텐츠의 일부분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컨텐츠에 오버랩하여 캡쳐링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캡쳐링 윈도우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캡쳐할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캡쳐링 윈도우는 제어 입력에 의해 크기, 모양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캡쳐링 윈도우 내부에 대한 제1 제어 입력 또는 캡쳐링 윈도우 외부에 대한 제2 제어 입력을 디텍팅할 수 있다(S20). 도 4 및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제어 입력이 입력된 위치를 디텍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정전식 터치 패널 또는 감압식 터치 패널을 사용하여 제어 입력을 디텍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제어 입력 및 제2 제어 입력 중 어느 것이 입력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S3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어 입력이 캡쳐링 윈도우의 내부에서 디텍팅된 경우, 이를 제1 제어 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어 입력이 캡쳐링 윈도우의 외부에서 디텍팅된 경우, 이를 제2 제어 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캡쳐링 윈도우의 내부에서 디텍팅된 제어 입력이 디스플레이 유닛과의 컨택트를 유지한 채 캡쳐링 윈도우의 외부로 이동하더라도 이를 제1 제어 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캡쳐링 윈도우의 외부에서 디텍팅된 제어 입력이 디스플레이 유닛과의 컨택트를 유지한 채 캡쳐링 윈도우의 내부로 이동하더라도 이를 제2 제어 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제어 입력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를 이동할 수 있다(S40). 도 4 및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제어 입력의 이동 방향 또는 속도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를 이동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해상도 보다 큰 해상도의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 경우, 디지털 컨텐츠를 스크롤하여 디지털 컨텐츠의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부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제어 입력에 의해 캡쳐링 윈도우의 내부로 이동한 디지털 컨텐츠를 캡쳐링 대상에 포함할 수 있다(S50). 도 4 및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제어 입력에 의해 캡쳐링 윈도우로 진입한 디지털 컨텐츠의 부분을 캡쳐링 대상에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캡쳐링 대상에 포함된 디지털 컨텐츠의 부분들을 병합하여 하나의 이미지로 캡쳐하고, 이미지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2 제어 입력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를 이동할 수 있다(S60).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2 제어 입력의 이동 방향 또는 속도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를 이동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해상도 보다 큰 해상도의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 경우, 디지털 컨텐츠를 스크롤하여 디지털 컨텐츠의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부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2 제어 입력에 의해 캡쳐링 윈도우의 내부로 이동한 디지털 컨텐츠를 캡쳐링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다(S70).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2 제어 입력에 의해 캡쳐링 윈도우로 진입한 디지털 컨텐츠의 부분을 캡쳐링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캡쳐링 대상에서 제외된 디지털 컨텐츠의 부분들을 캡쳐 이미지에 포함시키지 않을 수 있으며, 저장되는 이미지 파일에도 포함시키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어 입력이 디텍팅된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컨텐츠를 캡쳐링 대상에 포함시킬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해상도보다 큰 해상도의 캡쳐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1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디스플레이 유닛
13: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컨텐츠 14: 오리지널 디지털 컨텐츠
21: 캡쳐링 윈도우

Claims (20)

  1. 디지털 컨텐츠 및 캡쳐링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캡쳐링 윈도우는 캡쳐 영역을 인디케이트함;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제어 입력을 디텍팅하는 센서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센서 유닛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써,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상기 캡쳐링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이동시키는 제 1 제어 입력이 상기 캡쳐링 윈도우의 내부에서 디텍팅되면, 상기 제 1 제어 입력에 따라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이동하고,
    상기 제 1 제어 입력에 의해 상기 캡쳐링 윈도우의 내부로 이동한 제 1 디지털 컨텐츠를 캡쳐링 대상에 포함시키고,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이동시키는 제 2 제어 입력이 상기 캡쳐링 윈도우의 외부에서 디텍팅되면, 상기 제 2 제어 입력에 따라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이동하고, 상기 제 2 제어 입력에 의해 상기 캡쳐링 윈도우의 내부로 이동한 제 2 디지털 컨텐츠는 상기 캡쳐링 대상에서 제외하되,
    상기 제 1 디지털 컨텐츠와 상기 제 2 디지털 컨텐츠는 각각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부분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제어 입력에 따라 이동된 상기 제1 디지털 컨텐츠를 제 1 디지털 컨텐츠 이동의 처음과 마지막 경로를 소정 간격으로 균등하게 분할하여 캡쳐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캡쳐된 제1 디지털 컨텐츠를 제1 디지털 이미지로 저장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제어 입력이 디텍팅된 후,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이동시키는 제3 제어 입력이 상기 캡쳐링 윈도우의 내부에서 디텍팅되면, 상기 제3 제어 입력에 따라 상기 캡쳐링 윈도우의 내부로 이동한 제3 디지털 컨텐츠를 캡쳐하고, 상기 제1 디지털 이미지에 상기 제1 디지털 컨테츠와 함께 저장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캡쳐링 윈도우 내부에 위치가 고정되어 이동되지 않는 제4 디지털 컨텐츠에 대해서는 1회에 한정하여 캡쳐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입력이 디텍팅된 후, 이어서 상기 제2 제어 입력이 디텍팅된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캡쳐링 윈도우의 내부에서 이동된 상기 디지털 컨텐츠 중 상기 제2 디지털 컨텐츠를 제외한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캡쳐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된 디지털 컨텐츠는 하나의 이미지 파일로 저장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캡쳐를 종료하는 제4 제어 입력을 디텍팅하고,
    상기 캡쳐링 대상에 포함된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캡쳐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캡쳐된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캡쳐링 윈도우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캡쳐링 윈도우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캡쳐된 디지털 컨텐츠를 이동시키는 제5 제어 입력을 디텍팅하고,
    상기 제5 제어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캡쳐된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캡쳐링 윈도우 내에서 이동시키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캡쳐링 윈도우를 제어하는 제5 제어 입력을 더 디텍팅하고,
    상기 제5 제어 입력에 따라 상기 캡쳐링 윈도우의 모양, 위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제어 입력은 상기 캡쳐링 윈도우가 디스플레이된 영역에서 디텍팅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입력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과의 컨택트를 유지한 채 상기 캡쳐링 윈도우의 외부에서 디텍팅된 상기 제2 제어 입력으로 전환된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2 제어 입력을 상기 제1 제어 입력으로 인식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4. 삭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닛은 터치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이미지 센서 및 음성 인식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입력은 터치 입력, 인풋 디바이스 입력, 음성 입력 및 제스쳐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프로젝터 또는 전자잉크(Electrophoretic Ink)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정전식 터치 패널 또는 감압식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뮤직 플레이어,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키오스크, 모니터, 월(wall) 디스플레이, 데스크탑 컴퓨터, 스마트 테이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또는 텔레비젼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0.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캡쳐링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캡쳐링 윈도우는 상기 캡쳐링 윈도우의 내부 영역을 캡쳐함;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이동시키는 제 1 제어 입력을 상기 캡쳐링 윈도우의 내부에서 디텍팅하는 단계;
    상기 제 1 제어 입력에 따라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이동하고, 상기 캡쳐링 윈도우의 내부로 이동한 제 1 디지털 컨텐츠를 캡쳐링 대상에 포함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이동시키는 제 2 제어 입력을 상기 캡쳐링 윈도우의 외부에서 디텍팅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제어 입력에 따라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이동하고, 상기 제 2 제어 입력에 의해 상기 캡쳐링 윈도우의 내부로 이동한 제 2 디지털 컨텐츠를 캡쳐링 대상에서 제외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디지털 컨텐츠와 상기 제 2 디지털 컨텐츠는 각각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부분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방법.
KR1020130058393A 2013-03-20 2013-05-23 디지털 컨텐츠를 캡쳐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138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918,469 US8635552B1 (en) 2013-03-20 2013-06-14 Display device capturing digital conten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PCT/KR2013/005407 WO2014148689A1 (en) 2013-03-20 2013-06-19 Display device capturing digital conten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rerfor
US14/104,892 US9557907B2 (en) 2013-03-20 2013-12-12 Display device capturing digital conten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03772P 2013-03-20 2013-03-20
US61/803,772 2013-03-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227A KR20140115227A (ko) 2014-09-30
KR102138501B1 true KR102138501B1 (ko) 2020-07-28

Family

ID=51758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8393A KR102138501B1 (ko) 2013-03-20 2013-05-23 디지털 컨텐츠를 캡쳐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85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5859A1 (ko) * 2021-04-06 2022-10-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캡쳐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US11803294B2 (en) 2021-04-06 2023-10-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capture func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69296A1 (en) 2000-06-19 2003-09-11 Chitoshi Ito Data processing device, data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040257346A1 (en) 2003-06-20 2004-12-23 Microsoft Corporation Content selection and handling
US20050060656A1 (en) 2003-09-11 2005-03-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viewpoint collaboration
US20080318636A1 (en) 2007-03-09 2008-1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improved interface function and method for improving interface func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69296A1 (en) 2000-06-19 2003-09-11 Chitoshi Ito Data processing device, data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040257346A1 (en) 2003-06-20 2004-12-23 Microsoft Corporation Content selection and handling
US20050060656A1 (en) 2003-09-11 2005-03-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viewpoint collaboration
US20080318636A1 (en) 2007-03-09 2008-1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improved interface function and method for improving interface func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5859A1 (ko) * 2021-04-06 2022-10-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캡쳐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US11803294B2 (en) 2021-04-06 2023-10-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capture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227A (ko) 2014-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924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pplication
US20240103699A1 (en) Operating method for multiple windows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102165444B1 (ko) 증강현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161510B1 (ko)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868696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10282067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controlling an interface based on touch operations
KR102284108B1 (ko) 전자 장치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화면을 공유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US9557907B2 (en) Display device capturing digital conten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US20160004373A1 (en) Method for providing auxiliary information and touch control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TWI502478B (zh) 觸摸屏電子裝置及其控制方法
KR102097495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TWI639941B (zh) 輸入元件、顯示裝置、顯示系統及其控制方法
KR102179816B1 (ko) 히스토리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91302A (ko) 전자장치에서 스크롤링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US20130239032A1 (en) Motion based screen control method in a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for the same
KR102161061B1 (ko) 복수의 페이지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US20180018084A1 (en)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2138501B1 (ko) 디지털 컨텐츠를 캡쳐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01324A (ko)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기능 제어 방법
KR101265296B1 (ko) 카메라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인식 장치 및 방법
KR102131765B1 (ko) 썸네일을 이용한 파일 관리 방법 및 장치
JP201600939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50122014A (ko) 터치 압력 및 터치 면적에 따른 동작 대상의 임시 조작 방법 및 단말기
TWI502481B (zh) 電子裝置以及使用者介面控制方法
US11221754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at the edge of an information element to be display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