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9422B1 - 버스시트의 선택형 3점식 벨트 장치 - Google Patents

버스시트의 선택형 3점식 벨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9422B1
KR102139422B1 KR1020180151444A KR20180151444A KR102139422B1 KR 102139422 B1 KR102139422 B1 KR 102139422B1 KR 1020180151444 A KR1020180151444 A KR 1020180151444A KR 20180151444 A KR20180151444 A KR 20180151444A KR 102139422 B1 KR102139422 B1 KR 102139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bus seat
buckle
fixing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1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4836A (ko
Inventor
정진정
Original Assignee
(주)서연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연인테크 filed Critical (주)서연인테크
Priority to KR1020180151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9422B1/ko
Publication of KR20200064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4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9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9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6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0Coupling devices other than buckles, including length-adjusting fittings or anti-slip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65Type of vehicles
    • B60R2021/0067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06Anchoring devices for b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시트의 선택형 3점식 벨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2점식 벨트를 기본으로 채용하는 버스시트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3점식 벨트를 사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버스시트의 선택형 3점식 벨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버스시트의 선택형 3점식 벨트 장치{Optional 3-point belt device on bus seat}
본 발명은 버스시트의 선택형 3점식 벨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점식 벨트를 기본으로 채용하는 버스시트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3점식 벨트를 사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버스시트의 선택형 3점식 벨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버스 등에는 승객의 안전을 위해 안전벨트가 각 시트별로 설치되며,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2804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허리부근만 감싸는 2점식 벨트가 주로 채용되고 있다. 이러한 2점식 벨트는 가장 간단한 구조로서 신체의 중앙부인 허리부근만 감싸 비용이나 면적 대비 신체 보호에 대한 효율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그러나, 버스의 형태도 점차 발전화 되면서 현재 고속버스 등은 누워서 갈수록 발전되었으며, 버스 내에서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점차 발전되어가고 있다.
이에 따라, 2점식 벨트만으로는 버스 내에서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한계에 다다르고 있다.
한편, 2점식 벨트보다 더 안전하게 작동할 수 있는 3점식 벨트가 있다. 이러한 3점식 벨트는 승용차에 주로 채용되며, 일례로,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8-0023797호에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3점식 벨트는 하나의 벨트가 하나의 버클로서 모두 연결되는 구조로서, 버클 하나의 움직임에 따라 3개의 점이 모두 작용됨으로써 허리부근을 감싸기 위해서는 가슴부근까지 같이 감싸지도록 작동되었다.
따라서, 안전을 위해 종래의 3점식 벨트를 버스에 적용할 수는 있으나, 이는 몸의 많은 부근을 감싸는 형태로써, 이를 필요치 않는 버스 승객에게는 불편함으로 작용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 2점식 벨트를 기본으로 채용하는 버스시트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3점식 벨트를 사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버스시트의 선택형 3점식 벨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시트의 선택형 3점식 벨트 장치는, 신체를 고정하기 위한 버스시트의 벨트 장치에 있어서, 신체의 허리부를 고정하도록 버스시트의 일측부에서 인출되어 버스시트의 타측부로 고정되는 제1 벨트부; 상기 제1 벨트부의 제1 버클에 구비되는 고정핀 및 버스시트의 등받이부 일측 상단부에서 버스시트의 타측 하단부 방향으로 인출되는 제2 벨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벨트부는, 상기 제1 벨트부를 고정 후에 선택적으로 상기 고정핀에 체결하여 신체의 가슴부를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벨트부는, 제2 벨트의 단부에 구비되는 축 지지부; 상기 축 지지부에 회전되도록 지지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어 회전하되 상기 고정핀과 체결되기 위한 체결부를 복수로 형성하는 회전형의 제2 버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핀은, 양 내측면 높이를 따라 다수의 고정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버클에 장착되는 가이드 하우징의 내부로 마련되며 양측으로는 상기 고정홈부에 안착되기 위한 고정돌기를 돌출하는 가이드부재에 형성되어, 상/하 위치 조절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핀은, 상기 제1 버클을 관통하여 제1 버클의 외측과 내측으로 각각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걸림홈 또는 걸림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스시트의 선택형 3점식 벨트 장치는, 상기 제2 벨트부의 인출부에 근접하도록 제2 벨트에 장착되며, 상기 버스시트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제1 벨트 조절부; 상기 제2 벨트부의 제2 버클에 근접하게 제2 벨트에 장착되는 제2 벨트 조절부 및 상기 제2 벨트 조절부에 근접하되 제2 벨트 조절부보다 제2 버클에서 더 이격되도록 제2 벨트에 장착되며, 상기 제2 벨트의 단부측이 2단으로 방향 전환되도록 상기 제2 벨트 조절부와 결합하는 제3 벨트 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벨트 인출 시에 제1 벨트 조절부를 통해 제2 벨트를 고정 후, 제2 또는 제3 벨트 조절부를 통해 제2 벨트를 신체에 맞추도록 정밀하게 조절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벨트 조절부는, 조절부 하우징과, 상기 조절부 하우징의 전/후 내측면에 지지되어 압축 또는 신장되도록 형성되는 가압스프링과, 상기 제2 벨트를 중심으로 전/후방으로 대향 배치되어 상기 가압스프링과 연결되며 가압스프링의 신장과 압축에 따라 상기 제2 벨트에 대하여 가압과 해제를 수행하는 가압판으로 구성되는 가압부; 전협후광(前狹後廣)의 형태로 테이퍼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대향 배치된 가압판 사이 양측으로 배치되며, 측방 이동에 따라 가압판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간격조절부재; 및 상기 간격조절부재를 누르거나 복귀하도록 측방 이동시키는 누름부;를 포함하며, 상기 누름부는, 상기 조절부 하우징 양측면으로 마련되는 스프링 하우징; 상기 조절부 하우징과 스프링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상기 간격조절부재와 연결되며, 측방으로 돌출되는 누름부재 및 상기 누름부재에 결합되되, 상기 스프링 하우징에 의해 탄성력이 형성되도록 스프링 하우징 내부에서 결합되어 간격조절부재의 복귀력을 형성하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시트의 선택형 3점식 벨트 장치는, 버스 탑승객의 취향 또는 주변 상황에 따라 2점식 또는 3점식으로 벨트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시트의 선택형 3점식 벨트 장치는, 버스 탑승객의 신체 구조에 맞추어 보다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시트의 선택형 3점식 벨트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시트의 선택형 3점식 벨트 장치의 사용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시트의 선택형 3점식 벨트 장치의 회전형 제2 버클 장착 예시도이며, (b)는 (a)의 회전형 제2 버클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시트의 선택형 3점식 벨트 장치의 고정핀 상/하 이동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시트의 선택형 3점식 벨트 장치의 양방향 고정핀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시트의 선택형 3점식 벨트 장치의 제1 내지 제3 벨트 조절부 장착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제1 내지 제3 벨트 조절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시트의 선택형 3점식 벨트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시트의 선택형 3점식 벨트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시트의 선택형 3점식 벨트 장치의 사용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시트의 선택형 3점식 벨트 장치는, 제1 벨트부(10), 고정핀(20) 및 제2 벨트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벨트부(10)는 버스시트에 착좌된 신체의 허리부를 고정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것으로서, 버스시트에 있어 통상적으로 설치되는 벨트부와 동일할 수 있다.
즉, 제1 벨트부(10)는 신체의 허리부를 고정하도록 버스시트(1)의 일측부에서 인출되어 버스시트(1)의 타측부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제1 벨트부(10)는 제1 벨트(11)와, 제1 벨트(11)의 단부에 파지 또는 고정을 위해 마련되는 제1 버클(12) 및 상기 제1 버클(12)을 체결하여 제1 벨트(11)를 고정시키는 버클체결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벨트부(10)는 제1 벨트(11)가 인출되는 버스시트(1) 일측부 또는 제1 버클(12)에 리트렉터(미도시)를 더 구비하여 제1 벨트(11)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하며 제1 벨트(11)의 길이를 한정하지 않고 권취하여 필요에 따라 늘려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벨트부(10)는, 통상적인 버스시트의 안전벨트 구조를 따르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제2 벨트부(30)도 제1 벨트부(10)와 마찬가지로 통상적인 차량벨트와 같이 버스시트(1)의 등받이부 일측 상단부에서 버스시트(1)의 타측 하단부 방향으로 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제2 벨트(31), 제2 벨트(31)를 권취하기 위한 리트렉터(미도시), 파지 또는 고정을 위해 제2 벨트(31)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2 버클(3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특징은 제2 벨트부(30)를 제1 벨트부(10)의 고정 후에 선택적으로 착용하도록 형성되는 것인데,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벨트부(10)의 일 구성인 제1 버클(12)에 고정핀(20)을 구비하고, 제2 벨트부(30)의 제2 버클(32)을 고정핀(20)에 고정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2 벨트(31)의 버클을 체결하는 버클체결부는 고정핀(20)이 마련된 제1 버클(12)이 되는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버클(12)을 버클체결부(13)에 체결 후에, 제2 벨트(31)의 체결여부를 결정하여 제2 벨트(31)를 체결하고자 할 시에는 고정핀(20)에 제2 버클(32)을 체결함으로써 제2 벨트(31)를 고정시키고, 이로 인해 제2 벨트(31)는 신체의 가슴부와 밀착되어 가슴부를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는, 다양한 특성을 지닌 버스 승객들 특성에 맞춘 구성으로, 시트를 뒤로 젖혀 누워서 가거나, 독서 또는 별도의 업무를 하거나, 또는 안전을 중시하는 승객들과 같은 다양한 부류의 승객에 맞추어 상황에 따라 제2 벨트(31)의 체결을 결정하도록 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시트의 선택형 3점식 벨트 장치는, 버스 승객의 편의성을 위해 보다 다양한 실시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이는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시트의 선택형 3점식 벨트 장치의 회전형 제2 버클 장착 예시도이며, (b)는 (a)의 회전형 제2 버클 상세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제2 벨트부(30)의 제2 버클(32)이 고정형(32) 외에도 회전형(43)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2 벨트부(30)는 축 지지부(41), 회전축(4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벨트(31)의 단부에 제2 버클(32)이 바로 결착되는 고정형(32)과 달리 회전형(43)은 제2 벨트(31)의 단부에 축 지지부(41)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축 지지부(41)의 형태는 한정되지 않으며, 내부로는 후술하는 회전축(42)이 결합될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회전축(42)은 축 지지부(41)와 결합되어 축 지지부(4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회전축(42)은 축 지지부(41)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회전 구조를 갖출 수 있다.
상기의 축 지지부(41)와 회전축(42)을 통해 제2 벨트(31)의 단부가 회전구조를 형성하면, 회전형의 제2 버클(43)이 회전축(42)에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형 제2 버클(43)은 고정핀(20)과 체결되기 위한 체결부(432)를 복수개 형성할 수 있는데, 일 예로 도면과 같이 제2 버클(32)은 삼각형의 개방부(431)를 형성하며, 개방부(431)의 각 꼭지점에 체결부(432)가 형성되어 고정핀(20)과 체결할 수 있다.
그러나, 개방부(431)의 형태는 한정되지 않으며, 일자형, 사각형, 오각형 등 다양한 다각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은 구조로서 고정핀(20)과의 체결되는 회전형의 제2 버클(43)은 어느 방향으로 회전시켜도 체결이 가능하도록 하여 버클 방향을 맞출 필요가 없으며, 특히 버스 등의 움직임에 따라 제2 버클(43)이 회전 유동성을 갖도록 하여 제2 벨트(31)에 의해 신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일부 흡수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에서는 회전형 제2 버클(43)을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회전축(42)을 예시하였으나,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球)형의 볼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시트의 선택형 3점식 벨트 장치의 고정핀 상/하 이동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고정핀(20)을 상/하로 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가이드 하우징(51)과 가이드부재(5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하우징(51)은 제1 버클(12)에 장착되며, 가이드 하우징(51) 내부의 양측면에는 높이를 따라 다수의 고정홈부(511)가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고정홈부(511)의 형태는 한정되지는 않으나, 후술하는 가이드부재(52)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굴곡홈이 일정 간격 연속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52)는 가이드 하우징(51)의 고정홈부(511)를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 하우징(51) 내부로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이드부재(52) 양측에는 고정홈부(511)에 상응하여 안착될 수 있는 고정돌기(521)가 돌출될 수 있다.
즉, 가이드 하우징(51)과 가이드부재(52)를 통해 소정의 힘에 의해서 이동할 수 있는 상/하 이동구조가 형성되는데, 여기서, 고정핀(20)은 가이드부재(52)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가이드부재(52)를 따라 상/하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고정핀(20)의 상/하 이동구조는, 고정핀(20)이 제1 버클(12)에 형성되는 구조 상 한 부분에 고정되어 있을 시에는 버스 탑승객의 신체 구조 변화에 맞출 수 없어 아동이 안착할 시에는 제2 벨트(31)의 밀착성이 낮을 여지가 있는 것에 대비하여, 제2 버클(32)의 고정위치를 달리할 수 있어 다양한 신체 조건에서도 제2 벨트(31)의 밀착성을 달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시트의 선택형 3점식 벨트 장치의 양방향 고정핀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고정핀(20)은 제1 버클(12)을 관통하여 제1 버클(12) 외측과 내측으로 각각 돌출되며, 제1 버클(12)에 대해 외측 또는 내측으로 이동시켜 돌출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양방향 고정핀(60)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양방향 고정핀(60)은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걸림홈 또는 걸림돌기(61)가 형성될 수 있는데, 걸림홈 또는 걸림돌기(61)는 먼저는 제1 버클(12)에 대해 양방향 고정핀(60) 이동 시 양방향 고정핀(60)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부차적으로, 제2 버클(32)의 고정 또는 미끄럼 방지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컨대, 양방향 고정핀(60)을 제1 버클(12) 외측 또는 내측으로 이동시킬 때에는 걸림홈(61)이 제1 버클(12)에 대해 양방향 고정핀(60)을 고정시키거나, 걸림돌기(61)와 걸림돌기(61) 사이로 양방향 고정핀(60)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으며, 제2 버클(32)을 결속시킬 때는 걸림홈(61)에 안착시키거나, 걸림돌기(61)와 걸림돌기(61) 사이에 끼워 제2 버클(32)을 고정하거나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양방향 고정핀(60)을 제1 버클(12)에 대하여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로서, 신체가 큰 어른들은 양방향 고정핀(60)을 외측으로 이동시켜 제2 버클(32)이 제1 버클(12) 외측에서 결합되도록 하여 신체 밀착폭을 비교적 넓히며, 신체가 작은 아동들은 양방향 고정핀(60)을 내측으로 이동시켜 제2 버클(32)이 제1 버클(12) 내측에서 결합되도록 하여 신체 밀착폭을 좁히는 등 신체 구조에 맞추어 제2 버클(32)의 신체 밀착폭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시트의 선택형 3점식 벨트 장치의 제1 내지 제3 벨트 조절부 장착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벨트(31)의 밀착 정도를 신체에 맞추어 보다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제1 내지 제3 벨트 조절부(100a 내지 100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내지 제3 벨트 조절부(100a 내지 100c)는 제2 벨트(31)를 가압하여 움직임을 제한하거나 가압을 해제하여 움직이도록 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모두 구조는 같으나 제2 벨트(31)에 대하여 설치위치가 달리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3 벨트 조절부(100a 내지 100c)의 설치로 인한 제2 벨트(31)의 정밀 조정 원리를 전술한 후, 제1 내지 제3 벨트 조절부(100a 내지 100c)의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1 벨트 조절부(100a)는 제2 벨트부(30)가 인출되는 시작점인 인출부(30a)에 근접하도록 제2 벨트(31)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제1 벨트 조절부(100a)는 제2 벨트(31)에 장착된 상태로 버스시트(1)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벨트 조절부(100a)의 버스시트(1)에 대한 고정방식은 한정되지는 않으며, 버스시트 제조 시에 고정되어 제조되거나, 따로 고정부재(미도시)를 마련하여 탈부착식으로 고정될 수가 있다. 고정부재(미도시)의 일례로는 똑딱이 단추 등의 단추형이나, 고리형, 원터치형 등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면 모두 사용 가능하다.
제2 벨트 조절부(100b)와 제3 벨트 조절부(100c)는 세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2 벨트 조절부(100b)와 제3 벨트 조절부(100c)는 서로 결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제2 벨트 조절부(100b)는 제2 버클(32)에 근접한 위치에서 제2 벨트(31)에 장착될 수 있으며, 제3 벨트 조절부(100c)는 제2 벨트 조절부(100b)보다 제2 버클(32)에서 더 먼 위치에서 제2 벨트(31)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제2 벨트 조절부(100b)와 제3 벨트 조절부(100c)는 제2 버클(32)에 가깝도록 제2 벨트(31)의 단부측에 마련되면서, 제3 벨트 조절부(100c)가 제2 벨트 조절부(100b)보다 제1 벨트 조절부(100a)와 더 가까운 위치로 제2 벨트(31)에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때, 제2 벨트 조절부(100b)와 제3 벨트 조절부(100c)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될 수 있는데, 결합될 시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벨트(31)가 2단으로 방향 전환되는 형태가 되도록 결합될 수가 있다.
이는, 2단으로 방향 전환되는 각 단의 방향전환부(R1, R2)를 당기거나 밀어 제2 벨트(31)의 조임 정도를 조절할 수 형태로서, 먼저는 제1 벨트 조절부(100a)가 제2 벨트(31)를 가압시키지 않도록 한 후에 제2 벨트(31)를 적정량만큼 넉넉히 잡아당긴 후 제1 벨트 조절부(100a)로 제2 벨트(31)를 가압하여 고정하고, 넉넉히 잡아당겨진 제2 벨트(31)를 제2 벨트 조절부(100b)와 제3 벨트 조절부(100c)를 통해 형성된 2단 방향 전환되는 방향전환부(R1, R2)의 각 단을 당기거나 밀도록 조절함으로써, 신체에 맞추어 보다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는, 리트렉터(미도시)에만 의존하여 제2 벨트(31)의 밀착정도가 자동적으로 조절되는 것이 아닌, 각 탑승객이 스스로 편안함을 느끼는 밀착 정도를 미세하게 조절 가능함으로써, 편의성을 한층 확대시킨 탁월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그 조절 위치가 손이 쉽게 닿을 수 있는 제2 버클(32) 부분으로 형성되면서도 제2 벨트(31)를 풀지 않고 조절이 가능하여, 버스의 움직임에도 안전하게 조절이 가능하며,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의 효과를 나타내는 제1 내지 제3 벨트 조절부(100a 내지 100c)의 구조는 도 7을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도 6의 제1 내지 제3 벨트 조절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내지 제3 벨트 조절부(100a 내지 100c)는 가압부(101), 간격조절부재(102) 및 누름부(103)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압부(101)는 조절부 하우징(1011), 가압스프링(1012) 및 가압판(1013)을 포함할 수 있고, 누름부(103)는 스프링 하우징(1031), 누름부재(1032) 및 복귀스프링(1033)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절부 하우징(1011)은 하우징 겸 가압스프링(1012)의 탄성력을 형성하기 위한 고정장치로서, 조절부 하우징(1011)의 전/후 내측면에 가압스프링(1012)이 지지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조절부 하우징(1011)에 의해 지지점이 형성되는 가압스프링(1012)은 힘의 작용에 따라 압축 또는 신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가압스프링(1012)은 조절부 하우징(1011)을 통과하는 제2 벨트(31)를 두고 대향 배치되는 가압판(1013)과도 연결될 수 있다.
즉, 가압판(1013)은 전/후 내측면에 지지되는 가압스프링(1012)과 각각 연결됨으로써, 가압스프링(1012)의 압축 또는 신장에 따라 제2 벨트(31)를 가압하여 제2 벨트(31)의 움직임을 제한하거나, 가압을 해제하여 제2 벨트(31)가 조절부 하우징(1011)의 상방 또는 하방으로 움직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압부(101)는 간격조절부재(102) 및 누름부(103)에 의해 힘이 작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간격조절부재(102)는 전협후광(前狹後廣)의 형태로 테이퍼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대향 배치된 가압판(1013) 사이의 양측부로 배치되어 누름부(103)의 눌림 또는 복귀 작용에 의해 측방 이동될 수 있다. 즉, 누름부(103)에 의해 눌릴 시에는 간격조절부재(102)의 테이퍼부(1021)가 가압판(1013) 사이로 인입되면서 가압판(1013) 간격을 벌리고, 누름부(103)에 의해 제자리로 복귀 될 시에는 간격조절부재(102)가 외측으로 빠지면서 가압판(1013)이 가압스프링(1012)에 의해 다시 제2 벨트(31)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구조이다.
간격조절부재(102)의 측방 이동을 담당하는 누름부(103)의 경우에는 상술하였듯이 스프링 하우징(1031), 누름부재(1032) 및 복귀스프링(103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프링 하우징(1031)은 복귀스프링(1033)의 이탈을 방지하고 탄성력을 형성하도록 반작용점을 제공하는 공간으로서, 조절부 하우징(1011)의 양측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누름부재(1032)는 간격조절부재(102)와 연결되어 조절부 하우징(1011)과 스프링 하우징(1031)을 관통하도록 측방으로 돌출되는 부재이다. 즉, 누름부재(1032)는 간격조절부재(102)를 이동시키도록 힘을 전달 수 있는 연결수단으로서, 일자봉과 같이 로드(1032a)의 형태로만 형성될 수도 있으며, 끝단에 로드(1032a)보다 직경이 넓은 누름판(1032b)을 함께 마련하는 것 모두 가능하다.
복귀스프링(1033)은 누름부재(1032)의 눌림 후에 복귀시키도록 탄성력을 형성하는 수단으로, 스프링 하우징(1031) 내부에서 누름부재(1032)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복귀스프링(1033)은 누름부재(1032)의 눌림과 함께 눌리도록 형성되며, 눌릴 시에는 스프링 하우징(1031)과 조절부 하우징(1011)의 경계면에 의해 압축되고, 누름부재(1032)를 누르는 힘을 제할 시에는 탄성에 의해 복귀력을 형성하여 누름부재(1032)을 외측으로 복귀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상기의 구조에 의한 제1 내지 제3 벨트 조절부(100a 내지 100c)는 제2 벨트(31)를 다양한 신체에 맞추어 정밀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버스 탑승객의 편의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가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 버스시트
10 : 제1 벨트부
11 : 제1 벨트
12 : 제1 버클
13 : 버클체결부
20 : 고정핀
30 : 제2 벨트부
31 : 제2 벨트
32 : 제2 버클
41 : 축 지지부
42 : 회전축
43 : 회전형 제2 버클
431 : 개방부
432 : 체결부
51 : 가이드 하우징
511 : 고정홈부
52 : 가이드부재
521 : 고정돌기
60 : 양방향 고정핀
61 : 걸림홈 또는 걸림돌기
100a : 제 1 벨트 조절부
100b : 제 2 벨트 조절부
100c : 제3 벨트 조절부
101 : 가압부
1011 : 조절부 하우징
1012 : 가압스프링
1013 : 가압판
102 : 간격조절부재
1021 : 테이퍼부
103 : 누름부
1031 : 스프링 하우징
1032 : 누름부재
1033 : 복귀스프링
R1, R2 : 방향전환부

Claims (6)

  1. 신체를 고정하기 위한 버스시트의 벨트 장치에 있어서,
    신체의 허리부를 고정하도록 버스시트의 일측부에서 인출되어 버스시트의 타측부로 고정되는 제1 벨트부;
    상기 제1 벨트부의 제1 버클에 구비되는 고정핀 및
    버스시트의 등받이부 일측 상단부에서 버스시트의 타측 하단부 방향으로 인출되는 제2 벨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벨트부는,
    제2 벨트의 단부에 구비되는 축 지지부;
    상기 축 지지부에 회전되도록 지지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어 회전하되 상기 고정핀과 체결되기 위한 체결부를 복수로 형성하는 회전형의 제2 버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벨트부를 고정 후에 선택적으로 상기 제2 벨트부를 상기 고정핀에 체결하여 신체의 가슴부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시트의 선택형 3점식 벨트 장치.
  2. 삭제
  3. 신체를 고정하기 위한 버스시트의 벨트 장치에 있어서,
    신체의 허리부를 고정하도록 버스시트의 일측부에서 인출되어 버스시트의 타측부로 고정되는 제1 벨트부;
    상기 제1 벨트부의 제1 버클에 구비되는 고정핀 및
    버스시트의 등받이부 일측 상단부에서 버스시트의 타측 하단부 방향으로 인출되는 제2 벨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핀은,
    양 내측면 높이를 따라 다수의 고정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버클에 장착되는 가이드 하우징의 내부로 마련되며 양측으로는 상기 고정홈부에 안착되기 위한 고정돌기를 돌출하는 가이드부재에 형성되어, 상/하 위치 조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시트의 선택형 3점식 벨트 장치.
  4. 신체를 고정하기 위한 버스시트의 벨트 장치에 있어서,
    신체의 허리부를 고정하도록 버스시트의 일측부에서 인출되어 버스시트의 타측부로 고정되는 제1 벨트부;
    상기 제1 벨트부의 제1 버클에 구비되는 고정핀 및
    버스시트의 등받이부 일측 상단부에서 버스시트의 타측 하단부 방향으로 인출되는 제2 벨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핀은,
    상기 제1 버클을 관통하여 제1 버클의 외측과 내측으로 각각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걸림홈 또는 걸림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시트의 선택형 3점식 벨트 장치.
  5. 신체를 고정하기 위한 버스시트의 벨트 장치에 있어서,
    신체의 허리부를 고정하도록 버스시트의 일측부에서 인출되어 버스시트의 타측부로 고정되는 제1 벨트부;
    상기 제1 벨트부의 제1 버클에 구비되는 고정핀 및
    버스시트의 등받이부 일측 상단부에서 버스시트의 타측 하단부 방향으로 인출되는 제2 벨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벨트부의 인출부에 근접하도록 제2 벨트에 장착되며, 상기 버스시트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제1 벨트 조절부;
    상기 제2 벨트부의 제2 버클에 근접하게 제2 벨트에 장착되는 제2 벨트 조절부 및
    상기 제2 벨트 조절부에 근접하되 제2 벨트 조절부보다 제2 버클에서 더 이격되도록 제2 벨트에 장착되며, 상기 제2 벨트의 단부측이 2단으로 방향 전환되도록 상기 제2 벨트 조절부와 결합하는 제3 벨트 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벨트 인출 시에 제1 벨트 조절부를 통해 제2 벨트를 고정 후, 제2 또는 제3 벨트 조절부를 통해 제2 벨트를 신체에 맞추도록 정밀하게 조절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시트의 선택형 3점식 벨트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벨트 조절부는,
    조절부 하우징과, 상기 조절부 하우징의 전/후 내측면에 지지되어 압축 또는 신장되도록 형성되는 가압스프링과, 상기 제2 벨트를 중심으로 전/후방으로 대향 배치되어 상기 가압스프링과 연결되며 가압스프링의 신장과 압축에 따라 상기 제2 벨트에 대하여 가압과 해제를 수행하는 가압판으로 구성되는 가압부;
    전협후광(前狹後廣)의 형태로 테이퍼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대향 배치된 가압판 사이 양측으로 배치되며, 측방 이동에 따라 가압판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간격조절부재; 및
    상기 간격조절부재를 누르거나 복귀하도록 측방 이동시키는 누름부를 포함하며,
    상기 누름부는,
    상기 조절부 하우징 양측면으로 마련되는 스프링 하우징;
    상기 조절부 하우징과 스프링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상기 간격조절부재와 연결되며, 측방으로 돌출되는 누름부재 및
    상기 누름부재에 결합되되, 상기 스프링 하우징에 의해 탄성력이 형성되도록 스프링 하우징 내부에서 결합되어 간격조절부재의 복귀력을 형성하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버스시트의 선택형 3점식 벨트 장치.
KR1020180151444A 2018-11-29 2018-11-29 버스시트의 선택형 3점식 벨트 장치 KR102139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444A KR102139422B1 (ko) 2018-11-29 2018-11-29 버스시트의 선택형 3점식 벨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444A KR102139422B1 (ko) 2018-11-29 2018-11-29 버스시트의 선택형 3점식 벨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836A KR20200064836A (ko) 2020-06-08
KR102139422B1 true KR102139422B1 (ko) 2020-07-30

Family

ID=71089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1444A KR102139422B1 (ko) 2018-11-29 2018-11-29 버스시트의 선택형 3점식 벨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942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902B1 (ko) 2017-08-25 2018-04-25 이승현 높이조절 및 장력조절이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2112A (ja) * 1995-11-06 1997-05-20 Toyota Motor Corp 自動車の後部中央座席の三点式シートベルト装置
KR100324377B1 (ko) * 1999-12-11 2002-02-16 류정열 자동차의 유아용시트 벨트 길이 조절장치
KR20040036536A (ko) * 2002-10-23 2004-04-30 박정우 안전벨트 위치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902B1 (ko) 2017-08-25 2018-04-25 이승현 높이조절 및 장력조절이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836A (ko) 2020-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27249B2 (ja) ロッキングタング
US5797654A (en) Belt buckle/tether strap for booster car seat
US7971908B2 (en) Guide assembly for a safety belt
KR101623438B1 (ko) 휴대용 차량용 안전벨트 체결장치
US20180050657A1 (en) Webbing adjustment device for a seat belt system
US10011245B2 (en) Adjustment device for seat belt mechanism
JPH0777861B2 (ja) 幼児用拘束保護シート
DE10161289A1 (de) Sicherheitsgurtsystem
KR102139422B1 (ko) 버스시트의 선택형 3점식 벨트 장치
US20140008960A1 (en) Harness retainer for juvenile vehicle seat
EP1253052A1 (en) Safety belt webbing with tongue stop
US5333905A (en) Shoulder anchor weight adjusting apparatus
KR101851902B1 (ko) 높이조절 및 장력조절이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
US10654390B2 (en) Assembled footrest of car seat apparatus for early child
US4598951A (en) Adjustable anchor mounting device
KR101994379B1 (ko) 등산용 스틱
JP3929566B2 (ja) ショルダーベルトアンカー調節装置
KR20190140164A (ko) 안전 벨트 보조 장치
KR100211366B1 (ko) 차량용 시트벨트 높이조절장치
CN211567885U (zh) 一种用于防止安全带勒脖的儿童带
KR101447374B1 (ko) 상하 조절 기능을 갖는 암레스트
KR101283755B1 (ko)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손잡이
JPH0321316Y2 (ko)
KR100534449B1 (ko) 시트벨트 텅 수납 및 웨빙가이드 위치 고정장치
KR20070043076A (ko) 차량 안전벨트용 버클 스트랩의 길이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