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1902B1 - 높이조절 및 장력조절이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높이조절 및 장력조절이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1902B1
KR101851902B1 KR1020170108059A KR20170108059A KR101851902B1 KR 101851902 B1 KR101851902 B1 KR 101851902B1 KR 1020170108059 A KR1020170108059 A KR 1020170108059A KR 20170108059 A KR20170108059 A KR 20170108059A KR 101851902 B1 KR101851902 B1 KR 101851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tension
clip
buckle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8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현
최재원
Original Assignee
이승현
최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현, 최재원 filed Critical 이승현
Priority to KR1020170108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19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4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06Anchoring devices for buckles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조절과 장력조절이 동시에 가능한 3점식 안전벨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3점식으로 고정되는 안전벨트; 좌석의 일측 상부에서 상기 안전벨트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1 고정점; 상기 제1 고정점 측에 제1 버클과 상기 제1 버클에 탈부착 가능하며 상기 안전벨트가 끼워진 제1 클립을 구비한 제1 고정부; 좌석을 기준으로 제1 고정부 반대쪽에 고정되어 있는 제2 버클과 상기 제2 버클에 탈부착 가능하며 상기 안전벨트가 끼워진 제2 클립을 구비한 제2 고정부; 제1 고정부의 아래쪽에서 위치하여 상기 안전벨트의 한쪽 끝이 고정되어 위치를 고정하는 제2 고정점; 및 상기 안전벨트가 끼워져서 상기 안전벨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력조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클립이 부착되는 제1 버클의 높이를 선택함으로써 제1 고정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장력조절장치는 상기 제1 고정점 또는 상기 제1 클립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높이조절 및 장력조절이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SAFETY BELT SYSTEM FOR ADJUSTING HEIGHT AND TENSION}
본 발명은 사용자가 앉는 좌석에 설치된 안전벨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높이조절과 장력조절이 동시에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안전벨트란 일반적으로 자동차나 고속버스, 항공기, 기차 등에서 운행 중에 생기는 충격으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좌석에 설치하는 장치를 말한다.
현재 좌석에 설치된 안전벨트 중에서는 좌석의 일측의 상부와 하부 및 좌석 타측의 측면의 3개의 점으로 고정이 되어서 사용자의 가슴 부분과 골반을 압박하는 3점식 안전벨트가 안전하면서도 착용이 편리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3점식 안전벨트는 모든 고정점의 위치가 정해져 있으므로 사용자의 신체에 따라 압박되는 부분이 달라질 수 있으며, 어린이 등과 같이 일반인의 신체 크기와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안전벨트가 가슴이 아닌 목이나 얼굴을 압박할 수 있기 때문에, 어린이 등에게는 3점식 안전벨트가 위험하고 불편하다.
또한, 안전벨트를 착용할 때의 안전벨트의 장력이 탑승자에게 갑갑한 느낌을 준다는 점에서 높이조절 및 장력조절이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에 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7-0024586호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높이조절 및 장력조절이 가능한 3점식 안전벨트 시스템을 제공하여 안전벨트의 착용률과 사용자의 안전과 편안함을 증가시키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높이조절과 장력조절이 동시에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은, 3점식으로 고정되는 안전벨트; 좌석의 일측 상부에서 상기 안전벨트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1 고정점; 상기 제1 고정점 측에 제1 버클과 상기 제1 버클에 탈부착 가능하며 상기 안전벨트가 끼워진 제1 클립을 구비한 제1 고정부; 좌석을 기준으로 제1 고정부 반대쪽에 고정되어 있는 제2 버클과 상기 제2 버클에 탈부착 가능하며 상기 안전벨트가 끼워진 제2 클립을 구비한 제2 고정부; 제1 고정부의 아래쪽에서 위치하여 상기 안전벨트의 한쪽 끝이 고정되어 위치를 고정하는 제2 고정점; 및 상기 안전벨트가 끼워져서 상기 안전벨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력조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클립이 부착되는 제1 버클의 높이를 선택함으로써 제1 고정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장력조절장치는 상기 제1 고정점 또는 상기 제1 클립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버클은 높이를 달리하여 복수로 형성되며, 복수의 제1 버클 중에서 제1 클립이 부착되는 제1 버클의 높이를 선택함으로써 제1 고정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클립과 제2 클립의 크기를 서로 다르게 구성하여 구별이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력조절장치는, 안전벨트를 양쪽 면에서 각각 접하는 두 개의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에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모터가 연결되어 장력을 조절하는 구조일 수 있다. 크랭크축과 크랭크축 회전모터를 더 구비하며, 크랭크축과 크랭크축 회전모터가 두 개의 롤러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 좋다. 롤러에 연결된 모터의 회전수에 제한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력조절장치는, 회전축에 연결된 캠과 원형의 축이 안전벨트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고, 캠을 회전시킬 수 있는 레버를 구비하며, 레버에 의해 캠이 회전하고, 캠과 축의 상호 관계에 의해서 사이에 위치하는 안전벨트의 장력이 조절되는 구조일 수 있다.
장력조절장치는, 회전축에 연결된 두 개의 캠이 상기 안전벨트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고, 캠 중에 하나를 회전시킬 수 있는 레버를 구비하며, 레버에 의해 하나의 캠이 회전하면, 다른 캠은 종속되어 회전하며, 두 개의 캠 구조가 서로 맞물리는 경우에 마찰력에 의해서 안전벨트의 장력이 조절되는 구조일 수 있다.
장력조절장치가 제1 클립에 형성되어 높이조절장치와 장력조절장치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안전벨트의 높이를 달리 조절할 수 있으므로 편하고 안전하게 안전벨트를 착용할 수 있고, 안전벨트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체형에 맞는 올바른 착용이 가능하게 되므로 안전벨트의 목적이 기존보다 더 많이 성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 및 장력조절이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은 안전벨트의 장력으로 인한 사용자의 답답함을 해소하여 안전벨트의 착용률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및 장력조절이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에서 전체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및 장력조절이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에서 시트옆면에 부착된 높이조절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높이조절 및 장력조절이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에 적용되는 첫 번째 장력조절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높이조절 및 장력조절이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에 적용되는 두 번째 장력조절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높이조절 및 장력조절이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에 적용되는 세 번째 장력조절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높이조절 및 장력조절이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에 적용되는 네 번째 장력조절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높이조절 및 장력조절이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섯 번째 장력조절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높이조절 및 장력조절이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에 적용되는 여섯 번째 장력조절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및 장력조절이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에서 전체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높이조절 및 장력조절이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에서 시트옆면에 부착된 높이조절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높이조절 및 장력조절이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은 안전벨트(1000), 제1 고정점(1100), 제1 버클(1200), 제1 클립(1210), 제2 버클(1300), 제2 클립(1310), 제2 고정점(1400) 및 장력조절장치(1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전벨트(1000)는 3점식 안전벨트로서 좌석의 일측의 상부에 제1 고정점(1100)이 위치하고 하부에는 제2 고정점(1400)이 위치하며, 좌석의 타측에는 제2 버클(1300)이 위치하여 안전벨트(1000)에 끼워진 제2 클립(1310)이 제2 버클(1300)에 채워지면 3개의 고정점이 고정되는 구조인 점에서 일반적인 구조와 같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 고정점(1100)을 지나서 내부에는 위치하는 안전벨트(1000)의 끝부분에는 리트렉터가 위치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높이조절 및 장력조절이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은, 좌석의 측면에 높이를 달리하여 복수의 제1 버클(1200)이 형성된다. 안전벨트(1000)에 끼워진 제1 클립(1210)을 복수의 제1 버클(1200)들 중에서 원하는 높이의 제1 버클(1200)에 채워서 결합하는 방법으로 3점식 안전벨트가 사용자의 상체를 가로지르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버클(1200)은 도시된 것과 같이 좌석의 측면이 노출된 구조의 좌석인 경우에는 좌석의 측면에 형성하는 것이 좋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승용차의 뒷좌석과 같이 좌석의 측면이 노출되지 않은 경우라면, 노출된 등받이 부분의 한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복수의 제1 버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버클에 제1 클립을 채우면 좌석 공간이 좁아지는 문제가 있으나, 키가 작아서 안전벨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체구가 작아서 좁아진 좌석 공간에도 문제없이 안전벨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안전벨트(1000)에 제1 클립(1210)과 제2 클립(1310)이 끼워져 있기 때문에, 제1 클립(1210)과 제2 클립(1310)의 체결 위치를 혼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클립(1210)과 제2 클립(1310)의 크기 및 이에 대응되는 제1 버클(1200)과 제2 버클(1300)의 크기를 서로 다르게 구성하였다. 따라서 사용자는 클립의 위치를 기준으로 제1 클립(1210)과 제2 클립(1310)을 구별하거나, 클립의 크기를 기준으로 제1 클립(1210)과 제2 클립(1310)을 구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높이조절 및 장력조절이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은, 안전벨트(1000)가 인출되는 제1 고정점(1100)이 형성된 차체 내벽에 장력조절장치(1500)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장력조절장치(15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이후에 자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장력조절장치가 제1 고정점에 일체형으로 구성된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로서 장력조절장치가 제1 클립(1210)에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높이조절 및 장력조절이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의 사용자는, 자신의 체형에 따라 제1 클립(1210)이 체결되는 제1 버클(1200)의 높이를 선택함으로써 안전벨트(1000)가 상체를 가로지르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장력조절장치(1500)로 안전벨트(1000)가 몸을 조이는 장력을 조절할 수 있어 안전벨트를 기존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높이조절 및 장력조절이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에 적용되는 장력조절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높이조절 및 장력조절이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에 적용되는 첫 번째 장력조절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장력조절장치는 2개의 롤러와 크랭크축 및 회전모터를 사용한 장력조절장치이다.
안전벨트(1000)를 사이에 끼워서 위치시키는 2개의 롤러(1510, 1530)를 구비한다. 이중 하나의 롤러(1510)는 롤러 회전축(1544)에 롤러 회전모터(1520)가 연결되고, 다른 롤러(1530)는 커넥팅 로드(1543) 및 크랭크축(1540)이 연결된다.
회전모터(1520)는, 롤러 회전모터 버튼 1(1521)과 롤러 회전모터 버튼 2(1522)를 조작함에 따라서 양방향 회전이 가능하며, 회전모터(1520)는 연결된 롤러 회전축(1544)을 통해서 롤러(1510)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크랭크축(1540)에는 크랭크축 회전모터(1541)가 연결되며, 크랭크축 회전버튼(1545)을 조작함에 따라서 크랭크축 회전모터(1541)가 회전하면 그에 연결된 크랭크축(1540)이 회전하고 크랭크축(1540)에 크랭크핀(1542)로 연결된 커넥팅로드(1543)가 크랭크축(154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롤러(1530)가 다른 롤러(1510)와의 간격을 조절한다. 롤러(1510, 1530) 사이가 멀어져 안전벨트(1000)와 롤러(1510, 1530)가 이격된 경우에는 안전벨트(1000)의 장력조절이 불가능하도록 하여 기존의 안전벨트처럼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롤러(1510, 1530) 사이 간격이 좁아져 안전벨트(1000)의 양면에 접하는 상태에서, 롤러(1510)을 회전하여 안전벨트(1000)를 감거나 풀어주어 안전벨트(1000)의 장력을 조절한다. 롤러 회전모터 버튼 1(1521)은 롤러 회전모터(1520)를 안전벨트(1000)를 감아주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고, 롤러 회전모터 버튼 2(1522)는 롤러 회전모터(1520)를 안전벨트(1000)를 풀어주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필요에 따라서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과도하게 장력이 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롤러 회전모터(1520)의 회전수에 제한을 두는 것이 좋다.
사용자가 안전벨트(1000)를 착용할 때는 롤러(1510, 1530) 사이 간격을 좁혀서 안전벨트(1000)와 접하여 위치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안전벨트(1000)를 해제할 때는 롤러(1510, 1530) 사이 간격을 넓혀 안전벨트(1000)와 멀게 위치하도록 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구조의 높이조절 및 장력조절이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우선 제2 버클(1300)에 제2 클립(1310)을 장착한다. 다음은 제1 버클(1200)들 중에서 원하는 높이에 제1 클립(1210)을 장착한다. 다음은 크랭크축 회전버튼(1545)을 사용하여 롤러(1510, 1530) 사이의 간격을 좁히고 롤러 회전모터 버튼(1521, 1522)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장력을 조절한다. 착용을 해제할 때는 먼저 크랭크축 회전버튼(1545)을 사용하고 제2 버클(1300)에서 제2클립(1310)만 해제하면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높이조절 및 장력조절이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에 적용되는 두 번째 장력조절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장력조절장치는 두 개의 캠과 하나의 레버를 사용하는 장력조절장치이다.
캠(1550)은 회전축에 레버(1552)와 연결되고 종속 캠(1553)은 회전축(1544)에 연결된다. 레버(1552)의 회전에 따라서 캠(1550)이 회전하고, 캠의 회전에 의해서 종속 캠(1553)이 반대로 회전한다.
안전벨트(1000)는 캠(1550)과 종속 캠(1553)의 사이에 위치하며, 레버(1552)를 조작하여 캠(1550)과 종속 캠(1553)이 회전하면 안전벨트(1000)를 압착하며 안전벨트(1000)를 느슨해지는 방향으로 밀어낸다. 캠(1550)과 종속 캠(1553)이 회전을 진행하다보면 서로의 모양에 의해 맞물리게 된다. 캠(1550)과 종속 캠(1553)이 맞물릴 때 까지 회전하며 안전벨트(1000)를 밀어낸 만큼 장력이 조절된다. 사용자는 안전벨트(1000)를 착용한 뒤에 장력조절장치의 레버(1552)를 돌려 안전벨트(100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높이조절 및 장력조절이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에 적용되는 세 번째 장력조절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장력조절장치는 하나의 캠과 하나의 레버를 사용하는 장력조절장치이다.
캠(1550)은 회전축(1554)에 레버(1552)와 연결되고, 레버(1552)의 회전에 따라서 캠(1550)이 회전한다. 축(1551)은 원형의 외관을 가지며 캠(1550)에 근접하여 위치함으로써 캠(1550)이 회전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안전벨트(1000)는 캠(1550)과 축(1551)의 사이에 위치하며, 레버(1552)를 조작하여 캠(1550)과 축(1551)이 회전하면 안전벨트(1000)를 압착하며 안전벨트(1000)를 느슨해지는 방향으로 밀어낸다. 캠(1550)과 축(1551)이 회전을 진행하다보면 서로의 모양에 의해 맞물리게 된다. 캠(1550)과 축(1551)이 맞물릴 때 까지 회전하며 안전벨트(1000)를 밀어낸 만큼 장력이 조절된다. 사용자는 안전벨트(1000)를 착용한 후 레버(1552)를 돌려 안전벨트(100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높이조절 및 장력조절이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에 적용되는 네 번째 장력조절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장력조절장치는 크랭크축과 롤러 및 회전모터를 사용하는 장력조절장치가 도 1의 제1 클립에 형성된 것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클립 결합부(1211)를 포함하는 제1 클립에 도 3의 구조를 가지는 장력조절장치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였다.
롤러(1510, 1530), 롤러 회전모터(1520), 롤러 회전모터 버튼 1(1521), 롤러 회전모터 버튼 2(1522), 크랭크축(1540), 크랭크축 회전모터(1541), 크랭크핀(1542), 커넥팅로드(1543), 롤러 회전축(1544) 및 크랭크축 회전버튼(1545)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의 장력조절장치는 회전모터를 동작하기 위한 배터리(건전지)(1530)와 이를 위한 스프링(1531)을 추가로 구비한다.
이와 같이, 도 3의 장력조절장치를 제1 클립에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도 4와 도 5에 도시된 장력조절장치도 제1 클립에 일체형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높이조절 및 장력조절이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섯 번째 장력조절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장력조절장치는 두 개의 캠과 하나의 레버를 사용하는 장력조절장치가 도 1의 제1 클립에 형성된 것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클립 결합부(1211)를 포함하는 제1 클립에 도 4의 구조를 가지는 장력조절장치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였다.
캠(1550), 레버(1552), 종속 캠(1553) 및 캠 회전축(1554)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높이조절 및 장력조절이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에 적용되는 여섯 번째 장력조절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장력조절장치는 하나의 캠과 하나의 레버를 사용하는 장력조절장치가 도 1의 제1 클립에 형성된 것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클립 결합부(1211)를 포함하는 제1 클립에 도 5의 구조를 가지는 장력조절장치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였다.
캠(1550), 레버(1552), 축 (1551) 및 캠 회전축(1554)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0 : 안전벨트 1100 : 제1 고정점
1200 : 제1 버클 1210 : 제1 클립
1211 : 제1 클립 결합부 1300 : 제2 버클
1310 : 제2 클립 1400 : 제2 고정점
1500: 장력조절장치 1510, 1530 : 롤러
1520 : 롤러 회전모터 1521 : 롤러 회전모터 버튼 1
1522 : 롤러 회전모터 버튼 2 1531 : 스프링
1532 : 배터리(건전지) 1540 : 크랭크축
1541 : 크랭크축 회전모터 1542 : 크랭크핀
1543 : 커넥팅로드 1544 : 롤러 회전축
1545 : 크랭크축 회전버튼 1550 : 캠
1551 : 축 1552 : 레버
1553 : 종속 캠 1554 : 캠 회전축

Claims (9)

  1. 3점식으로 고정되는 안전벨트;
    좌석의 일측 상부에서 상기 안전벨트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1 고정점;
    상기 제1 고정점 측에 제1 버클과 상기 제1 버클에 탈부착 가능하며 상기 안전벨트가 끼워진 제1 클립을 구비한 제1 고정부;
    좌석을 기준으로 제1 고정부 반대쪽에 고정되어 있는 제2 버클과 상기 제2 버클에 탈부착 가능하며 상기 안전벨트가 끼워진 제2 클립을 구비한 제2 고정부;
    제1 고정부의 아래쪽에서 위치하여 상기 안전벨트의 한쪽 끝이 고정되어 위치를 고정하는 제2 고정점; 및
    상기 안전벨트가 끼워져서 상기 안전벨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력조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클립이 부착되는 제1 버클의 높이를 선택함으로써 제1 고정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장력조절장치(1500)는 상기 제1 클립(1210)에 형성되어 높이조절장치와 장력조절장치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 장력조절장치(1500)는, 상기 안전벨트(1000)를 양쪽 면에서 각각 접하는 두 개의 롤러(1510, 15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롤러에는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모터가 연결되고, 하나의 상기 롤러(1510)에는 롤러 회전축에 롤러 회전모터(1520)가 연결되고, 다른 상기 롤러(1530)에는 커넥팅 로드(1543) 및 크랭크축(1540)이 연결되며, 상기 크랭크축(1540)에는 크랭크축 회전모터(1541)가 연결되어,
    상기 크랭크축 회전모터(1541)가 회전하면 그에 연결된 상기 크랭크축(1540)이 회전하고 상기 크랭크축(1540)에 연결된 상기 커넥팅 로드(1543)가 상기 크랭크축(154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하나의 상기 롤러(1530)가 다른 상기 롤러(1510)와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및 장력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 및 장력조절이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클은 높이를 달리하여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1 버클 중에서 상기 제1 클립이 부착되는 제1 버클의 높이를 선택함으로써 제1 고정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및 장력조절이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립과 상기 제2 클립은 크기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및 장력조절이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장치의 상기 롤러에 연결된 모터의 회전수에 제한을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및 장력조절이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70108059A 2017-08-25 2017-08-25 높이조절 및 장력조절이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 KR101851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059A KR101851902B1 (ko) 2017-08-25 2017-08-25 높이조절 및 장력조절이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059A KR101851902B1 (ko) 2017-08-25 2017-08-25 높이조절 및 장력조절이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1902B1 true KR101851902B1 (ko) 2018-04-25

Family

ID=62088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8059A KR101851902B1 (ko) 2017-08-25 2017-08-25 높이조절 및 장력조절이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19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4836A (ko) * 2018-11-29 2020-06-08 (주)서연인테크 버스시트의 선택형 3점식 벨트 장치
KR20230114461A (ko) 2022-01-25 2023-08-01 주식회사 테스 안전벨트 높이 조절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6292Y1 (ko) * 1996-12-30 1999-10-01 정몽규 진동장치가 구비된 차량의 시트밸트
JP2001310666A (ja) * 2000-04-26 2001-11-06 Riiman Kk チャイルドシートのシートベルト固定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6292Y1 (ko) * 1996-12-30 1999-10-01 정몽규 진동장치가 구비된 차량의 시트밸트
JP2001310666A (ja) * 2000-04-26 2001-11-06 Riiman Kk チャイルドシートのシートベルト固定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4836A (ko) * 2018-11-29 2020-06-08 (주)서연인테크 버스시트의 선택형 3점식 벨트 장치
KR102139422B1 (ko) 2018-11-29 2020-07-30 (주)서연인테크 버스시트의 선택형 3점식 벨트 장치
KR20230114461A (ko) 2022-01-25 2023-08-01 주식회사 테스 안전벨트 높이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45784B1 (en) Child car seat
KR101851902B1 (ko) 높이조절 및 장력조절이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
EP1123833A3 (en) Child safety seat
KR200477727Y1 (ko) 내장형 카시트
JP2004130920A (ja) 自動車用シートベルト装置
CN107433927A (zh) 包括噪音去除单元的智能卷收装置
AU2013200996A1 (en) Compensator
US4118053A (en) Safety belt device with a winder/unwinder especially for automobiles
KR20070111315A (ko) 길이가 조절되는 버스 손잡이
US9346434B2 (en) Seat belt retractor having an inertia sensor with a pivotal sensor housing
KR102139422B1 (ko) 버스시트의 선택형 3점식 벨트 장치
KR101139406B1 (ko) 안전벨트 고정장치
KR0125229Y1 (ko) 자동차용 시트의 높낮이 조절 장치
KR0114527Y1 (ko) 시트벨트 압박감 완화장치가 내설된 자동차의 리트랙터
KR102647190B1 (ko) 차량용 웨어러블 안전장치 및 안전시스템
KR200145624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높낮이 조절장치
KR100513678B1 (ko) 차량용 4점 지지 시트벨트
JP3154787U (ja) 簡易取り付け型ツボ押し装置
KR20140024703A (ko) 자동차의 후석 가변 웨빙가이드
KR100435371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버클의 길이조절 장치
KR200272618Y1 (ko) 안전벨트
KR200150717Y1 (ko) 위치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 프론트 시트 벨트
KR100379963B1 (ko) 다방향 시트벨트의 위치 조절 장치
KR19990024478U (ko) 자동차의 시트 처짐량 조절장치
KR100418504B1 (ko) 차량용 안전벨트 길이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