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8754B1 - 너트 - Google Patents

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8754B1
KR102138754B1 KR1020130010252A KR20130010252A KR102138754B1 KR 102138754 B1 KR102138754 B1 KR 102138754B1 KR 1020130010252 A KR1020130010252 A KR 1020130010252A KR 20130010252 A KR20130010252 A KR 20130010252A KR 102138754 B1 KR102138754 B1 KR 102138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face
nut body
central axis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0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9194A (ko
Inventor
페터 운셀트 닥터
구엔터 메스머 닥터.
Original Assignee
헤비 게. 빙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헤비 게. 빙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헤비 게. 빙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30089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9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8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8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HMAKING PARTICULAR METAL OBJECTS BY ROLLING, e.g. SCREWS, WHEELS, RINGS, BARRELS, BALLS
    • B21H3/00Making helical bodies or bodies having parts of helical shape
    • B21H3/08Making helical bodies or bodies having parts of helical shape internal screw-thr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1/00Making machine elements
    • B21K1/64Making machine elements nuts
    • B21K1/70Making machine elements nuts of special shape, e.g. self-locking nuts, wing nuts
    • B21K1/707Self-locking n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3/00Specially shaped nuts or heads of bolts or screws for rotations by a tool
    • F16B23/0061Specially shaped nuts or heads of bolts or screws for rotations by a tool with grooves, notches or splines on the external peripheral surface designed for tools engaging in radial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3/00Features common to bolt and n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8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special members on, or shape of, the nut or bolt
    • F16B39/284Locking by means of elastic de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Forg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가능한 한 적은 중량을 갖고 가능한 한 이상적인 기계적 특성을 갖는 방식으로, 내부 나사산을 구비하거나 구비할 수 있고 한편으로는 에지 영역들과 다른 한편으로는 표준에 맞도록 연장되어 있는 키 면 평면에서 연장하고 에지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키 면들을 갖는 다각형 외곽선을 갖는 다각형 섹션을 갖는 너트 본체를 포함하는, 너트의 제조 방법 및 너트를 최적화하기 위해, 너트 본체가 각각의 키 면 평면으로부터 방생되는 구멍(bore)의 방향으로 너트 본체 안으로 연장되어 있는 복수의 오목부를 갖는 것을 제안한다.

Description

너트{NUT}
본 발명은, 구멍(bore)의 영역에 내부 나사산(internal thread)을 구비하거나 구비할 수 있고, 한편으로, 에지 영역(edge area)과, 다른 한편으로, 상기 에지 영역 사이에 위치하고 표준에 맞도록 연장되어 있는 키 면 평면(key face plane)에서 연장되어 있는 키 면(key face)을 갖는 다각형 외곽선(polygonal outer contour)을 구비한 다각형 섹션을 갖는, 너트 본체(nut body)를 포함하는, 너트(nut)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타입의 너트는 현재 기술상태로 공지된 관례적인 다각형 너트이고, 여기서 키 면의 위치, 정렬 및 경로는, 예를 들어, 규범 원칙, 예를 들어, 표준 DIN EN 1661, 1663, 1664, 1667, 표준 DIN EN ISO 4032 - 4036, 표준 DIN EN ISO 8673 - 8675, 표준 DIN EN ISO 7040 - 7042, 표준 DIN EN ISO 7719, 표준 DIN EN ISO 10511 - 10513 및 표준 DIN EN ISO 4759 - 1로부터 유래한다.
너트는 자기형성(self-forming) 또는 자동-탭(self-tapping) 나사가 나사체결될 때 내부 나사산이 생기는, 구멍만을 구비하거나 또는 내부 나사산을 이미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타입의 나사에서 기계적 사용 특성을 갖는 것의 자중을 줄일 필요가 있고 이는 가능한 한 유익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기본적인 목적은, 가능한 한 적은 중량을 갖고 가능한 한 이상적인 기계적 특성을 갖도록 일반적인 유형의 너트를 최적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서두에 기술한 유형의 너트에 대해서, 상기 너트 본체가 각각의 키 면 평면으로부터 진행하는 구멍의 방향으로 너트 본체 안으로 연장되어 있는 복수의 오목부를 갖는다는 점에서, 본 발명에 따라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법의 장점은 재료가 절약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너트 본체의 기계적 특성이 부정적으로 손상됨 없이 너트 본체로 오목부가 연장한 결과로 중량이 감소되는 사실에서 찾을 수 있다.
오목부의 배치에 관해 추가 세부사항은 주어지지 않는다.
하나의 유리한 해결법은 오목부가 너트 본체 안으로 연장하고, 서로 대향하게 배치된 키 면 평면으로부터 각각 발생되게 제공된다.
가장 간단한 경우에, 2개의 키 면 평면이 있고 이는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발생되고 오목부가 그로부터 너트 본체 안으로 연장한다.
그러나, 이로부터 진행하여 오목부가 너트 본체 안으로 연장되어 있는, 몇 개의 키 면 평면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무게 절감은 다각형 섹션의 각각의 키 면 평면으로부터 발생되는 너트 본체로 오목부가 연장할 때 훨씬 더 유익하다.
오목부의 너트 본체로의 확장에 관해,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에 관해 추가 세부사항이 주어지지 않았다.
유리한 하나의 해결법은 오목부가 각각의 키 면 평면으로부터 내부 나사산을 둘러싸는 나사산을 갖는 케이싱(thread-bearing casing)까지 안정적인 방식으로 연장하게 제공되고, 즉, 오목부가 나사산을 갖는 케이싱까지만 연장하고 이를 넘지 않는다.
나사산을 갖는 케이싱은 원주 방향으로 닫혀 있는 너트 본체의 영역이고, 안정적인 방식으로 내부 나사산을 둘러싸고 내부 나사산이 특히 나사 볼트가 이에 체결되거나 나사가 이에 체결되어 그 형상 또는 형상 안정성을 잃은 결과로 응력을 받는 중에 정해진 양을 넘어 변형 특히 납작해지지 않도록 하므로, 힘 및/또는 토크를 흡수할 필요가 있다.
이에 관해, 나사산을 갖는 케이싱이 내부 나사산의 외경으로부터 진행하여 내부 나사산의 외경보다 적어도 0.05배인 반경 방향 최소 두께를 가질 때 특히 유익하다.
이에 관해, 반경 방향으로 가장 얇은 나사산을 갖는 케이싱의 지점에서 반경 방향 최소 두께가 측정되고, 특히 너트 본체의 일체형 부분이고 모든 지점에서 반경 방향 최소 두께를 갖고 따라서 나사산을 갖는 케이싱의 안정성이 반경 방향 최소 두께에 의해 결정된다.
나사산을 갖는 케이싱의 반경 방향 최소 두께가 중심 축의 방향으로 변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나사산을 갖는 케이싱의 반경 방향 최소 두께가 중심 축의 방향으로 변할 수 있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원칙적으로, 제1 단부면과 제2 단부면 사이에서 연장하고 각각의 단부면은 너트에 의해 본체 또는 부재를 제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본체 또는 부재에 작용하기에 적합한 방식으로 너트 본체를 설계하는 것이 본 발명에 따른 해결법으로 가능할 수도 있다.
그러나, 너트 본체에 힘을 가하는 것에 관해 본 발명에 따른 너트를 최적화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그 사이에서 너트 본체가 연장되어 있는, 압력 측면으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제2 단부면과 압력면을 갖는 압력 측면으로서 설계되는 제1 단부면을 갖도록 너트 본체가 제공된다.
이 해결법은 너트가 결과적으로 압력 측면의 영역에서 본체 또는 부재가 너트와 작용될 때 발생하는 힘이 너트 본체에 작용하고 이에 의해 흡수되는 한편 제2 단부면의 경우에 작용력에 의해 직접적인 작용을 겪지 않는다고 가정되는 정도로 최적화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너트의 경우에, 예를 들어, 너트 본체가 제2 단부면의 영역에서 작용력으로 작동되고 따라서 제2 단부면의 영역에서 발생하는 힘이 최소로 기대되지 않으므로 제2 단부면까지 오목부가 연장하게 제공된다.
또한, 오목부가 압력 측면까지 연장하도록 너트 본체를 설계할 수 있고, 여기서 이 경우에, 압력 측면의 형상의 안정성은 고려되는 부하를 흡수하기에 충분하도록 적절할 필요가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하나의 단부면으로부터 다른 단부면까지 너트 본체의 연장의 부분 섹션에 걸쳐서만 오목부가 연장하도록 제공되어 오목부가 다른 단부면에 도달하지 않는다.
다른 유리한 해결법은 압력 측면에 제공되는 압력 베이스까지 그러므로, 압력 베이스의 단부까지 오목부가 연장하게 제공되고, 따라서 너트 본체는 압력 베이스의 결과로 압력 측면의 영역에서 추가 안정성을 받는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또는 이에 부가하여, 압력 측면에 제공되고 방사방향으로 다각형 섹션 너머로 연장되어 있는 압력 플랜지까지 오목부가 연장하도록 제공된다.
나사산을 갖는 케이싱의 최소 두께에 관해 압력 측면의 영역에서 나사산을 갖는 케이싱의 반경 방향 최소 두께가 최소한 제2 단부면의 영역에서만큼 클 때 너트 본체의 압력 측면이 존재하는 것이 유익하다.
압력 측면의 영역에서 나사산을 갖는 케이싱의 반경 방향 최소 두께가 제2 단부면의 영역에서보다 클 때 훨씬 더 유리한데 왜냐하면 나사산을 갖는 케이싱 상의 더 큰 원주방향 부하가 제2 단부면의 영역에서보다, 압력 측면과 나사산 사이의 힘 상호작용으로 인해, 압력 측면의 영역에서 일어나고, 따라서 너트 본체는 발생하는 부하의 관점에서 최적화될 수 있다.
나사산을 갖는 케이싱이 제2 단부면으로부터 압력 측면을 향해 범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최소 두께를 가질 때 특히 바람직한데 왜냐하면 결과적으로 제2 단부면으로부터 진행하여 증가하는, 나사산을 갖는 케이싱 상의 원주방향 부하가 압력 측면과 내부 나사산 간의 힘 상호작용의 결과로 최적 방식으로 고려될 수 있다.
키 면의 디자인에 관해, 추가 세부사항이 지금까지 주어지지 않았다.
하나의 유리한 해결법은, 예를 들어, 키 면 영역을 제공하는 것이고, 이는 대향하여 위치하는 에지 영역과 인접하고 그 사이에 각각의 오목부가 키 면 평면마다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이는 각각의 오목부가 적어도 2개의 키 면 영역을 분할하고 이는 에지 영역에 인접하여 각각 연장하고 오목부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분리되어 있고 키 면을 함께 형성함을 의미한다.
에지 영역 사이의 횡방향으로 키 면 영역의 최소 범위에 대해, 횡방향은 에지 영역의 거리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하고, 바람직하게는 내부 나사산의 중심 축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되어 있는 다각형 섹션을 통해 단면 평면마다 횡방향으로 이러한 에지 영역 사이의 거리의, 적어도 10%, 더 낫게는 적어도 15%, 특히 적어도 20%이도록 서로 추종하는 2개의 각각의 에지 영역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키 면 영역의 범위의 합에 대해 제공된다.
이는 두 키 면 영역으로부터 형성된 키 면이 오목부가 존재하지 않을 때 키 면의 범위에 대해, 횡방향으로 범위의 10%로 감소되었음을 의미한다.
원리적으로, 각각의 개개의 키 면 영역의 범위가 상이하도록 선택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고, 여기서 범위의 합은 에지 영역 사이의 거리의 10%이다.
예를 들어, 조임 또는 해제중의 너트 본체 상의 부하에 대한 키 면 영역의 최적화된 조정이 이루어질 때를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더 적은 정도로 부하가 가해지는 키 면 영역보다 횡방향으로 더 넓도록 너트 본체가 단단히 체결될 때 더 큰 정도로 부하가 가해지는, 키 면 영역을 설계하는 것은 예를 들어, 두 키 면 영역이 상이하도록 선택되게 이후에 일반적으로 더 이상 해제되지 않도록 주로 단단히 나사체결되는 너트 본체의 경우에 고려될 수 있다.
간략화된 실시예는 두 키 면 모두가 횡방향으로 거의 동일한 범위, 바람직하게는 횡방향으로 같은 범위를 갖도록 제공된다.
오목부 자체의 디자인에 대해, 추가 세부사항은 지금까지 주어지지 않았다.
오목부은 중심 축에 대해 평행하게 및 방사방향으로 그 범위에 대해 임의의 선택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즉 자유롭게 형성된 표면을 갖는다.
또한, 너트 본체의 각각의 오목부는 그 형태 또는 범위에서 다른 오목부와 상이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너트 본체의 대향하여 위치한 측면 상에 각각 배치된 오목부는 같은 디자인이다.
오목부의 단면 형상에 관해 어떤 것도 특히 언급되지 않았다.
하나의 유리한 해결법은 예를 들어, 내부 나사산의 중심 축에 대해 직각으로 매번 다각형 섹션을 통해 연장되어 있는 단면 평면에서 같은 단면 형상을 갖도록 오목부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오목부의 단면 형상이 오목부의 단면 형상이 각각의 단면 평면에서 U자와 유사한 것이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각각의 단면 평면에서 오목부의 단면 형상이 원형 세그먼트 또는 직사각형 또는 V자 형상 단면 형상과 유사한 단면 형상에 근접한 것도 고려될 수 있다.
하나의 유리한 해결법은 각각의 키 면 평면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하고 베이스 영역과 인접하는 측벽 영역과 베이스 영역에 의해 결정되는 단면 형상을 갖는 오목부를 제공한다.
이에 관해, 예를 들어, 오목하게 만곡되고 측벽 영역을 연결하는 베이스 영역에 의해 결정되는 단면 형상을 갖도록 오목부가 설계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오목부의 단면 형상의 변화에 관해, 추가 세부사항이 지금까지 주어지지 않았다.
예를 들어, 중심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그 면적이 일정하거나 변하는 단면 형상을 갖는 오목부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특히 내부 나사산의 중심 축으로부터 베이스 영역의 거리가 중심 축의 방향으로 오목부의 범위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한 것이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해 다르게는, 베이스 영역이 중심 축의 방향으로 그 범위와 중심 축으로부터의 거리가 변하도록 하는 것이 고려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키 면 평면까지 연장하고 예를 들어, 중심 축에 대해 일정 각도로 연장되어 있는 베이스 영역을 오목부가 구비하도록 제공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해결법의 특징과 다르게 또는 부가하여, 서두에 상술한 목적이 체크 너트인 너트를 설계하기 위해, 내부 나사산이 표준 경로에 상응하는 내부 나사산으로서 생성되지만 너트 본체의 소성 변형결과로 표준 경로와는 일탈되게 설계되는, 서두에 설명한 타입의 너트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법의 장점은 체크 너트에 필요한 클램핑 토크를 달성하는데 일반적으로 필요한 추가 요소가 너트 본체에 제공되지 않으므로 가능한 한 낮은 중량을 갖고 최적의 기계적 특성을 갖는 체크 너트를 생산하도록 너트 본체의 소성 변형 결과로 간단하게 가능하다는 사실에서 발견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너트는 유사하게 가능한 한 적은 중량을 갖는 최적화된 또는 향상된 기계적 특성을 갖는다.
체크 너트로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에 요구되는 정해진 클램핑 토크가 특히 표준 경로로부터 벗어난 나사산 피치 또는 표준 경로 및/또는 거리 경로들로부터 벗어낫 중심 축으로부터의 다양한 반경 방향 거리들을 너트 본체의 변형 때문에 내부 나사산이 가져 달성될 수 있고 따라서 나사 볼트 또는 나사의 임의의 체결이 표준 측정에 대해 소성적으로 변형된 너트 본체를 다시 탄성-소성적으로 변형시켜, 클램핑 토크가 발생한다.
가장 간단한 경우에, 너트 본체의 소성 변형 때문에 중심 축에 대한 비-원형 디자인의 내부 나사산이 제공된다.
다른 유리한 해결법은 중심 축에 관해 동일한 각도 거리에 배치되는 변형된 나사산 영역들을 내부 나사산이 갖게 제공하는 것이고 중심 축으로부터의 그 거리는 표준 경로에 관해 감소되고, 즉 그 거리가 표준에 따르는 디자인의 경우에서보다 작다.
가장 간단한 경우에, 서로 대향하여 위치하는 한 쌍의 변형된 나사산 영역들이 있고, 중심 축으로부터의 그 거리는 감소된다.
추가의 유리한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체크 너트에 필요한 정해진 클램핑 토크는 내부 나사산이 중심 축에 관해 2배 대칭 또는 다중 대칭으로 배치된 다수의 변형된 나사산 영역을 갖고 그 사이의 거리가 표준 경로에 관해 감소되어 편리하게는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몇 개의 변형된 나사산 영역들이 제공되고 이들은 중심 축에 관해 서로 쌍으로 대향하여 위치하고 이들 사이의 거리는 표준 측정에 비해 감소되고 또는, 그 사이가 표준 경로에 관해 감소된 거리와 외주 상에 균일하게 분포된 예를 들어, 3개 이상의 변형된 나사산 영역들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너트의 하나의 특히 편리한 디자인은 중심 축에 관해 서로 대향하여 위치하는 에지 영역에 작용하는 힘의 결과로서 소성적으로 변형되는 너트 본체를 제공한다.
이에 대안적으로, 다른 해결법은 중심 축에 관해 서로 대향하여 위치하는 오목부의 측벽 영역 및/또는 베이스 영역에 작용하는 힘의 결과로서 소성적으로 변형되는 너트 본체를 제공한다.
이에 관해, 다각형 섹션의 상부 영역에 힘이 작용할 때 특히 바람직한데 왜냐하면 너트 본체가 바람직하게는 그 압력 측면의 영역에서보다 더 작은 힘들로 상부 영역에서 소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추가의 대안적인 해결법은 제2 단부면의 외부 에지의 영역에 작용하는 힘의 결과로서 소성적으로 변형되는 너트 본체를 제공한다.
하나의 해결법은 특히 표준 경로를 벗어난 경로로 변형된 나사산 영역들을 갖는 내부 나사산을 제공하고, 여기서 예를 들어, 그 피치의 경로는 표준 피치에 관해 변경되고, 즉, 예를 들어, 나사산 회전부의 서로로부터의 거리는 표준에 따른 디자인의 경우에서보다 크거나 작다.
다른 한편, 추가의 유리한 해결법은 중심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구성요소와 함께, 단부면 중 하나, 특히 제2 단부면에 작용하는 힘의 결과로서 소성적으로 변형되는 너트 본체를 제공한다.
힘이 제2 단부면의 외부 에지에 작용하거나 또는 힘이 제2 단부면에 직접 작용하는, 경우에서, 제2 단부면과 직접 인접한 나사산 회전부(thread turn)가 요구되는 클램핑 토크를 일으키도록 표준 경로를 벗어나는 방식으로 소성 변형된다.
변형력의 작용 타입에 관해, 추가 세부사항이 지금까지 주어지지 않았다.
유리한 하나의 해결법은 예를 들어, 점형태로 작용하는 변형력에 의해 소성 변형되는 너트 본체를 제공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이에 부가하여, 추가 해결방법은 선형적으로 작용하는 변형력에 의해 소성 변형되는 너트 본체를 제공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이에 부가하여, 추가의 편리한 해결방법은 면형태로 작용하는 변형력에 의해 소성 변형되는 너트 본체를 제공한다.
너트 본체의 변형의 정도에 관해, 추가 세부사항들이 지금까지 주어지지 않았다.
하나의 유리한 해결방법은 예를 들어, 주로 전체적으로(globally) 변형되는 너트 본체를 제공한다.
'전체적으로 변형되는'이라는 용어는, 바람직하게는 너트 본체의 다각형 섹션인, 너트 본체가 표준에 따르도록 제조된 형상에 관해 표준 경로를 벗어나는 형상을 전체적으로 가지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는 너트 본체와, 특히 그 다각형 섹션이 전체적으로 변형됨을 의미한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너트 본체가 주로 국부적으로 변형될 수도 있다.
주로 국부적인 변형은 국부적으로만, 즉, 도입되는 너트 본체의 영역에서만 효과를 가지므로, 너트 본체 자체 또는 그 다각형 섹션이 그 기본 형상을 크게 바꾸는 효과를 갖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너트 본체가 생산된 재료에 관해, 본 발명에 따른 해결법에 대한 앞서의 언급에 관해 추가 세부사항들이 주어지지 않았다.
상술한 특징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너트가 금속, 예를 들어, 강철, 세라믹, 유리, 중합체, 복합물 또는 "스마트 재료(smart material)"로부터 생산될 수 있다.
특히, 서두에 상술한 목적은 너트 본체가 베이나이트(bainitic) 또는 페라이트-펄라이트 구조(ferritic-perlitic structure)를 갖는 강철로 제조된다는 점에서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 및 버전의 특징에 부가하여 또는 다르게,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강철은 가능한 한 적은 중량을 갖고 가능한 한 이상적인 기계적 특성들이 너트에 주어질 수 있게 하고, 특히, 이러한 구조는 이러한 너트의 특히 저렴한 생산을 허용한다.
하나의 편리한 해결법은, 예를 들어, 0.25 중량% 이상의 탄소 함량을 갖도록 베이나이트 또는 페라이트-펄라이트 구조를 제공한다.
이러한 탄소 함량은 최적의 기계적 특성을 갖는 너트의 구조에 부합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러한 베이나이트 또는 페라이트-펄라이트 구조의 안정성 특성들은 베이나이트 또는 페라이트-펄라이트 구조가 미세합금 요소의 침전에 의해 향상된 강도 특성을 가져 본 발명에 따라 개선될 수 있다.
이에 관해, 이러한 미세합금 요소의 양이 매우 작다.
하나의 유리한 해결법은 예를 들어, 적어도 0.05 중량%의 미세합금 요소들을 갖는 베이나이트 또는 페라이트-펄라이트 구조를 제공한다.
하나의 특히 편리한 해결법은 적어도 0.1 중량%의 미세합금 요소들을 갖는 베이나이트 또는 페라이트-펄라이트 구조를 제공한다.
이에 관해, 이러한 미세합금 요소에 관해 추가 세부사항들이 주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타입의 미세합금 요소들은 예를 들어, Nb, Va, Ti이다.
다른 유리한 해결법은 열적-기계적 전처리의 결과로 향상된 강도 특성을 갖는 베이나이트 또는 페라이트-펄라이트 구조를 제공한다.
이들은 당 업계의 기술상태로 공지된 열적-기계적 전처리 단계들이다.
또한, 한 가지 유리한 해결법은, 예를 들어, 실리콘 및/또는 망간으로 인한 고용체 경화(solid solution hardening)를 갖기 위해 베이나이트 또는 페라이트-펄라이트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특히, 이후의 열처리에 의해, 나사산을 갖는 케이싱의 영역에서 너트 본체의 원하는 형상 안정성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이 가능한 생산 비용을 상당히 절감시키므로 이후의 어떠한 열처리 없이 베이나이트 또는 페라이트-펄라이트 구조의 냉간 성형 및 높은 전위 밀도의 섹션의 생성의 결과로 나사산을 갖는 케이싱의 원하는 형상 안정성이 달성될 때 특히 유익하다.
너트의 하나의 편리한 실시예는 구조 변형을 제어한 결과로서 및 재성형의 결과로서, 이후의 어떠한 열처리도 필요없이 나사산을 갖는 케이싱의 정밀 나사산에 대해 170 내지 370HV, 더 낫게는 180 내지 360HV 범위의 경도 및 보통 나사산에 대해 100 내지 370HV, 더 낫게는 110 내지 360HV 범위의 경도를 베이나이트 또는 페라이트-펄라이트 구조가 갖도록 제공한다.
또한, 서두에 상술한 목적은 청구범위 48 내지 70항 중 임의의 것에 정의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추가 특징들과 장점들은 몇 개의 실시예들을 예시하는 도면 및 하기의 설명의 관련 주제이다.
본 발명은, 가능한 한 적은 중량을 갖고 가능한 한 이상적인 기계적 특성을 갖도록 일반적인 타입의 너트를 최적화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너트의 예시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화살표 A의 방향으로 너트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선 3-3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너트의 도 1과 유사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너트의 도 2와 유사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너트의 도 3과 유사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너트의 도 1과 유사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너트의 도 2와 유사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너트의 도 3과 유사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너트의 도 1과 유사한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너트의 도 2와 유사한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너트의 도 3과 유사한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예의 너트의 도 1과 유사한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예의 너트의 도 2와 유사한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예의 너트의 도 3과 유사한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6 실시예의 너트의 도 1과 유사한 예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6 실시예의 너트의 도 2와 유사한 예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제6 실시예의 너트의 도 3과 유사한 예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제7 실시예의 너트의 도 1과 유사한 예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제7 실시예의 너트의 도 2와 유사한 예시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제7 실시예의 너트의 도 3과 유사한 예시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제8 실시예의 너트의 도 1과 유사한 예시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제8 실시예의 너트의 도 2와 유사한 예시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제8 실시예의 너트의 도 3과 유사한 예시도;
도 25는 체크 너트의 제1 버전으로서 설계된,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너트의 도 11과 유사한 예시도;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버전의 체크 너트의 도 12와 유사한 예시도;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버전의 체크 너트의 도 25와 유사한 예시도;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버전의 체크 너트의 도 26과 유사한 예시도;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버전의 체크 너트의 도 25와 유사한 예시도;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버전의 체크 너트의 도 26과 유사한 예시도;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제4 버전의 체크 너트의 도 25와 유사한 예시도;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제4 버전의 체크 너트의 도 26과 유사한 예시도;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제5 버전의 체크 너트의 도 25와 유사한 예시도;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제5 버전의 체크 너트의 도 26과 유사한 예시도;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제6 버전의 체크 너트의 도 25와 유사한 예시도;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제6 버전의 체크 너트의 도 26과 유사한 예시도;
도 37은 본 발명에 따른 제7 버전의 체크 너트의 도 25와 유사한 예시도;
도 38은 본 발명에 따른 제7 버전의 체크 너트의 도 26과 유사한 예시도;
부록 1(Annex 1)은, 본 발명에 따른 침전-경화, 페라이트-펄라이트 구조를 갖는 강철의 요약을 도시하고,
부록 2(Annex 2)는, 양호한 냉간 성형 특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침전-경화, 페라이트-펄라이트 구조로 구성되는 강철의 조성들과 특성의 요약을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3에 예시되고 전체적으로 도면부호 10으로 지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너트는 너트 본체(12)를 포함하고 이는 제1 단부 면(16)과 제2 단부 면(18) 사이에서 중심 축(14)을 따라 연장한다.
너트 본체(12)는 제1 단부 면(16)로부터 제2 단부 면(18)까지 중심 축(14)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나사 구멍(20)에 의해 관통되고 나사산 회전부(24; thread turns)의 내부 외형에 의해 결정되는 중심 구멍 직경(DK)로부터 나사산 회전부(24)를 둘러싸고 너트 본체(12)의 일부인 나사산을 갖는 케이싱(30)에 의해 지지되고 나사산 회전부(24)의 외곽선에 의해 결정된 외부 직경(DA) 또는 공칭 직경까지 너트 본체(12)로 연장되어 있는 나사산 회전부(24)와 함께 내부 나사산(22)을 갖는다.
너트 본체(12)의 일체형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원통형 나사산을-지지하는 케이싱(30)은 중심 축(14) 둘레에서 연장되어 있는 원주 방향(32)에서 닫혀 있는 그 벽(34)의 결과로 중심 축(14)에 대해 축방향으로 및/또는 방사방향으로 임의의 편차에 대한 필수적인 안정성을 나사산 회전부(24)에 전하고, 여기서 원통형 나사산을-지지하는 케이싱(30)의 벽(34)은, 중심 축(14)에 관해 방사방향으로 외경(DA)으로부터 발생하는, 상응하는 외부 나사산(35)과 나사산 회전부(24)로 나사 볼트(36)가 나사체결되어 발생하는 임의의 부하 중에 중심 축(14)에 관한 방사방향 및/또는 축방향의 임의의 운동에 대해 나사산 회전부(24)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내부 나사산(22)의 외경(DA)의 적어도 0.05배에 상응하는 두께(DG)를 갖는다.
너트 본체(12)는 에지 영역(42) 사이에 위치하는 키 면(44)과 에지 영역(42)에 의해 형성되는 다각형 외곽선(40)을 갖는, 제1 실시예에서 제1 단부 면(16)으로부터 제2 단부 면(18)까지 연장되어 있는, 다각형 섹션(38)으로 제공되고, 여기서 중심 축(14)에 대해 서로 대향하게 위치하는 키 면(44)은 너트(10)에 대해 관례적인 표준, 예를 들어, 표준 DIN EN 1661, 1663, 1664, 1667, 표준 DIN EN ISO 4032-4036, 표준 DIN EN ISO 8673-8675, 표준 DIN EN ISO 7040 -7042, 표준 DIN EN ISO 7719, 표준 DIN EN ISO 10511-10513 및 표준 DIN EN ISO 4759-1 등에 의해 정해지는 거리에서 및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하고 외곽선(40)은 쌍들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짝수의 키 면(44)을 매번 갖고, 여기서 에지 영역(42)은 원주 방향(32)에서 서로 추종하는 키 면(44) 사이의 천이부를 각각 표현한다.
예시된 너트(10)의 경우에, 다각형 외곽선(40)은 "Tabellenbuch Metall"(= 금속 계산표), 44번째 판, 발행인 Europa Lehrmittel, 59페이지 등에 따라 일반 육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육각형으로서 설계되어 있고 6개의 에지 영역(42) 및 6개의 키 면(44)이 서로 각각 추종하는 에지 영역(42) 사이의 키 면 평면(46)에 위치하고, 여기서 키 면 평면(46)은 중심 축(14)에 평행하게 각각 연장하고 서로 대향하여 각각 위치하는 키 면 평면(46)이 서로에 대해 평행하고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중심 축(14)에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정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너트 본체(12)의 경우, 키 면(44)은 키 면 평면(46)에서 밀착되고 상호연결된 방식으로, 서로 추종하는 에지 영역(42) 사이의 각각의 키 면 평면(46)에 위치하는 횡방향(48)에서 연장하지 않고, 오히려 키 면(44)은 키 면 평면(46)에 위치하는 키 면 영역(52, 54)에 의해 형성되고, 여기서 키 면 영역(52, 54)은 바람직하게는 에지 영역(42) 중 하나와 각각 인접하고 각각 다른 에지 영역(42)의 방향으로 연장하지만 서로 합쳐지지 않는다.
대조적으로, 오목부(60)는 키 면 영역(52, 54) 사이에 위치하고 이 오목부는 각각의 키 면 평면(46)으로부터 나아가 중심 축(14)의 방향으로 너트 본체(12)로 연장하고 키 면 영역(52, 54)과 인접하고 이들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측벽 영역(62, 64), 및 나사산을 갖는 케이싱(30)과 닿는 정도로 너트 본체로 돌출하고 오목하게 만곡되게 설계되고 측벽 영역(62, 64)을 연결하는 베이스 영역(66)을 갖는다.
베이스 영역(66)은 바람직하게는 유사하게 오목하게 만곡된 측벽 영역(62, 64)에 합쳐지는 방식으로 오목하게 만곡되어 오목부(60)가 U-자형 단면 형상, 바람직하게는 중심 축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하고 도 2의 중간 평면에 상응하게 연장되어 있는 단면 평면(QE)에서, 심지어 원호 부분(segment)에 근접하는 단면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너트 본체(12)의 경우에, 에지 영역(42), 키 면 영역(52, 54) 및 측벽 영역(62, 64) 및, 부분적으로, 베이스 영역(66)이 너트 본체(12)의 일체형 구성요소를 유사하게 나타내는 너트 본체의 외곽선 지지부(70)에 의해 한정되므로, 나사산을 갖는 케이싱(30) 상의 하나의 부품으로서 일체로 형성되고 나사산을 갖는 케이싱(30)으로부터 진행하는 중심 축(14)에 대해 방사방향 외부으로 각각 연장하고 상술한 면들을 갖는다.
에지 영역(42)으로부터 나아가, 키 면(44)을 형성하는 키 면 영역(52, 54)은 중심 축(14)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되어 있는, 각각의 단면 평면(QE), 예를 들어, 인접한 에지 영역(42) 사이에서 합쳐서 거리(AK)의 적어도 10%이하인 횡방향(48)에서의 폭(B52) 및 폭(B54)에 걸쳐, 도 2의 도면의 평면에서 연장하고, 역으로, 오목부(60)는 서로 추종하는 에지 영역(42) 사이에서 거리(AK)의 최대 90%인 중심 축(14)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되어 있는 단면 평면(QE)에서의 폭(BA)을 갖는다.
키 면 영역(52, 54) 및 에지 영역(42)에 의해서만 한정되고 이러한 영역에서 표준들을 따르도록 설계되는 외곽선(40)은, 제1 실시예에서, 너트 본체(12)의 다각형 섹션(38)의 영역에서 중심 축(14)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되어 있는 각각의 단면 평면(QE)과 일치하고 표준들을 따르는 이러한 다각형에 대해 제공되는 관례적인 공구들은 나사 볼트 상에 내부 나사산(22)으로 너트(10)를 나사체결하고 이를 단단히 나사체결할 수 있도록 각각의 키 폭(SW)을 갖는 다각형 섹션(38)과 결합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너트(10)의 실시예에서, 너트 본체(12)는 다각형 섹션(38) 너머로 연장하지 않는다, 즉, 너트 본체(12)는 다각형 섹션(38)으로만 형성되므로, 예를 들어, 단부 면(16)은 압력면(82)을 나타내고, 이 압력면으로 단단히 체결될 본체 또는 단단히 체결될 부재가 작용된다.
또한, 너트 본체(12)의 단면 형상은 전체 다각형 섹션(38)에서 중심 축(14)에 직각으로 연장되어 있는 각각의 단면 평면(QE)에서 동일하므로, 제1 단부 면(16)과 제2 단부 면(18) 사이에서 너트 본체의 전체 범위에서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는다.
그 결과, 제1 실시예의 너트 본체(12)는 전체적으로 내부 나사산(22)의 경로에 대한 것을 제외하고 중심 축(14) 둘레에서 6배 회전 대칭이도록 설계된다.
부재가 압력 측면(82)으로부터 압력면(84)과 함께 작용되면, 나사산을 갖는 케이싱(30)의 확장부로서 작용하는, 압력 측면(82)에 가까운 나사산을 갖는 케이싱(30)의 원주방향(32)에서 작용하는 힘들이, 최대이고 압력 측면(82)으로부터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고 따라서 나사산을 갖는 케이싱(30)은 그 벽(34)의 방사방향 두께(DG)가 압력 측면(82; 도 3)과 인접하는 너트 본체(12) 상의 지정된 부하 중에 토크와 힘의 집합 하중을 흡수하기에 충분한 치수를 전체적으로 갖는다.
도 4 내지 도 6에 예시된, 제2 실시예에서, 다각형 섹션(38)은 유사하게 중심 축(14)을 따라 제1 단부 면(16)으로부터 제2 단부 면(18)까지 전체 너트 본체(12')에 걸쳐 연장하지만 오목부(60')는 제2 단부 면(18)으로부터 제1 단부 면(16')까지 연장하지 않고 너트 본체(12')의 일체형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압력 측면(82')의 영역의 압력 베이스(90)까지 연장하고 중심 축(14)에 대해 방사방향으로 연이은 에지 영역(42) 사이에서 키 면 평면(46)까지 연장하고, 이에 따라, 압력 베이스(90)의 영역에 키 면 영역(56)이 형성되고 이는 에지 영역(42)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횡방향(46)으로 연장한다.
제2 실시예에서, 오목부(60')는 그러므로 제1 단부 면(16)의 방향으로 제2 단부 면(18)으로부터 압력 베이스(90)까지만, 그러므로 중심 축(14)의 방향으로 너트 본체(12')의 범위의 부분 영역(TA)에 걸쳐 연장하고 중심 축(14)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되어 있는 단면 평면(QE)에 평행하게 정렬된 단부 벽(92)에서 종료되고 압력 면(84') 대향하여 위치하는 압력 베이스(90)의 상부 측면을 나타낸다.
제2 실시예의 압력 베이스(90)가 압력 측면(82')의 영역에서 방사방향으로 더 외부으로 연장되어 있는 사실의 결과로, 나사산을 갖는 케이싱(30)의 방사방향 두께(DG 1)는 제2 단부 면의 영역에서보다 제1 단부 면(16)의 영역에서 더 크고, 여기서 나사산을 갖는 케이싱(30)의 방사방향 두께(DG 2)는 오목부(60')의 베이스 영역(66')에 의해 한정된다.
결과적으로, 나사산을 갖는 케이싱(30')은 압력 측면(82')의 영역에서 더 큰 방사방향 두께(DG1)를 가지므로 모든 방사방향 및/또는 축방향 확장에 대해 더 큰 안정성을 압력 측면(82')의 영역에서 내부 나사산(22)에 준다.
그러므로, 원주방향(32)에서 임의의 확장에 대한 나사산을 갖는 케이싱(30)의 추가 보강은 압력 베이스(90)의 결과로 압력 측면(82')의 영역에서 이루어진다.
또한, 서로에 대한 외곽선 지지부(70)의 보강은 압력 베이스(90)의 결과로서 이루어지고 따라서, 결과적으로, 너트 본체(12')가 전체적으로 더 큰 부하를 흡수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예시된 제3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들은 같은 도면부호들이 주어지고 앞선 실시예에서의 언급을 전부 참조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압력 플랜지(100)가 압력 베이스(90)의 영역에서 제3 실시예에서 제공되고 이 압력 플랜지는 다각형 본체(38)의 방사방향 너머로 돌출하고 중심 축(14)에 관해 원형 외곽선(102)을 갖고 따라서 너트 본체의 압력 측면(82")의 영역에서 사이즈가 증가된 압력 면(84")이 제공되고 이는, 본 실시예에서, 중심 축(14)에 평행한 방향으로 압력 플랜지(100) 위로 상승하는 다각형 섹션(38)의 단면 표면 너머로 방사방향으로 돌출한다. 다각형 섹션(38)은 오목부(60')가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단부 면(16")의 방향으로 연장하여 제2 단부 면(18)으로부터 압력 베이스(90)까지만 진행하고, 압력 베이스(90)의 영역에서 단부 벽(92)에서 종료하므로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설계된다.
이에 관해, 단부 벽(92)은 중심 축(14)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되어 있는 단면 평면(QE)에 평행하게,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방식으로, 연장한다.
도 10, 11 및 12에 예시된 제4 실시예에서, 너트 본체(12"')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되는 한, 앞서의 실시예와 동일한 디자인이고 따라서 이에 대한 언급을 전부 참조할 수 있다.
너트 본체(12"')는 특히 제3 실시예에 따라 압력 플랜지(100) 및 압력 베이스(90)를 갖는, 다각형 섹션(38)을 포함한다.
제3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그러나 오목부(60"')의 단부 벽(92"')은 단면 평면(QE)에 평행하지 않고 이에 대해 일정 각도(α)로 연장하므로, 오목부(60"')의 베이스 영역(66"')으로부터 방사방향 연장부가 증가함에 따라 중심 축(14)에 대해 외부으로 경사지고 따라서 단부 벽(92"')은 압력 플랜지(100)를 향해 방사방향 외부으로 하강한다.
도 13 내지 도 15에 예시된 제5 실시예에서, 앞서의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들은 동일한 도면부호들이 마찬가지로 주어지고 따라서 그 설명에 관해 앞서의 실시예의 언급을 전부 참조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와는 대조적으로, 오목부(60"")의 베이스 영역(66"")은 제2 단부 면(18)의 영역에서 최대 깊이, 즉, 제1 단부 면(16)의 방향으로 베이스 영역(66"")의 범위가 증가함에 따라 갈수록 감소되는 키 면 평면(46)으로부터의 최대 거리를 갖도록 제5 실시예에서 설계되고, 즉, 베이스 영역(66"")이 전체적으로 중심 축(14)에 대해 예각으로 연장하고 압력 베이스(90)에 도달할 때 키 면 평면(46)에 도달한다.
제1 단부 면(16)의 방향으로 제2 단부 면(18)으로부터 오목부(60"")의 확장은 예를 들어, 너트 본체(12"")의 부분 섹션(TA)에 한정되고, 그 범위는 제1 단부 면(16)으로부터 제2 단부 면(18)까지의 너트 본체(12"")의 범위의 절반 미만이다.
본 실시예에서, 그러므로 나사산을 갖는 케이싱(30"")의 벽(34"")의 방사방향 두께(DG)는 제2 단부 면(18)의 영역에서 제2 단부 면(18)으로부터 제1 단부 면(16)까지 너트 본체(12)의 범위의 약 절반보다 훨씬 크고 이 영역에 존재하는 압력 플랜지(100)와 제1 단부 면(16)의 영역에서 방사방향 두께(DG1)까지 추가로 증가한다.
도 16 내지 도 18에 예시된 제6 실시예에서, 제5 실시예와는 대조적으로, 오목부(60""')의 베이스 영역(66""')이 직선으로 연장하게 설계되지 않고 각각의 키 면 평면(46)에 도달할 때까지 오목하게 만곡된 형상으로 제2 단부 면(18)으로부터 제1 단부 면(16)의 방향으로 연장한다.
나머지에 관해, 제6 실시예는 제5 실시예와 같은 방식으로 설계되고 따라서 추가 세부사항에 관해 제5 실시예 및 앞서의 실시예의 언급을 참조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1에 예시된 제7 실시예에서, 오목부(60""")는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에 관해 예시한 바와 같이, 거의 U자형 단면을 갖지 않고, 거의 직사각형인 단면을 갖도록 설계되고, 여기서 측벽 영역(62""", 64""")은 먼저 키 면 평면(46)에 거의 직각으로 너트 본체(12""")로 연장한 다음에, 측벽 영역(62""", 64""")으로의 라운딩된(rounded) 천이부들과는 별도로, 측벽 영역(62, 64) 사이의 키 면 평면(46)에 거의 평행한 횡방향(48)으로 연장되어 있는 베이스 영역(66""")으로 작은 곡선들과 함께 합쳐지고, 또한, 제2 단부 면(18)으로부터 진행하여 중심 축(14)에 대해 외부으로 연장하고 중심 축(14)과 평행한 방향으로 영역이 증가하고, 결과적으로 압력 플랜지(100)를 향해 방사방향 외부으로 하강한다.
결과적으로, 너트 본체의 제2 단부 면(18)으로부터 진행하는, 베이스 영역(66""")은 중심 축(14)에 대해 예각(α""")으로 제1 단부면(16)의 방향으로 연장하고 제1 단부면(16)을 향해 방사방향 외부으로 하강하므로 부분 섹션(TA)에 걸쳐 그 범위를 따르는 키 면 평면(46)에 도달한다.
나머지에 대해, 본 발명에 따른 제7 실시예의 너트(10)의 추가 요소들이 앞서의 실시예와 동일한 한 동일한 도면부호들이 주어지므로 앞서의 실시예에서의 언급을 전부 참조할 수 있다.
도 22 내지 도 24에 예시된 제8 실시예에서, 오목부(60"""')는 불규칙적인 형상이고, 따라서 예를 들어, 베이스 영역(66"""')이 너트 본체(12"""')의 제1 단부면(16)의 방향으로 제2 단부면(18)으로부터의 그 확장 방향에서만이 아니라 에지 영역(42) 사이에서 횡방향(48)에서도 부분적으로 불규칙적인 파형 형상이고 따라서 베이스 영역(66"""')에 관련한 측벽 영역(62"""', 64"""')의 전체가 임의의 선택적인 불규칙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여기서 각각의 키 면 평면(46)으로부터 베이스 영역(66"""')의 최대 거리는 나사산을 갖는 케이싱(30"""')의 벽(34)의 방사방향 두께(DG)를 결정한다.
이에 대해, 오목부(60"""')는 제1 단부면(16)의 방향으로 제2 단부면(18)으로부터 압력 플랜지(100)까지, 적용가능한 경우에, 부분 섹션(TA)에 걸친 범위에 대해서만, 연장할 수 있고, 따라서 압력 베이스(90)가 각각의 오목부(60"""')와 압력 플랜지(100) 사이에 형성된다.
모든 앞서의 실시예에 관련해, 본 발명에 따른 너트를 종래의 너트, 즉 너트로서 구성할 수 있고, 그 내부 나사산(22)은 가능한 한 힘들지 않게 나사 볼트(36) 상에 나사체결될 수 있고, 특히 나사체결되거나 풀릴 때와 상관없이 클램핑 토크가 없고, 그러므로, 모든 손실에 대해 안전 요소를 갖지 않는다.
그러나, 다르게는, 본 발명에 따른 너트(10), 특히, 상술한 모든 실시예에 따른 너트(10)를 체크 너트(10S)로 설계할 수 있고, 즉, 내부 나사산(22)이 나사 볼트(36) 상에 나사체결될 때 클램핑 토크가 발생하도록 이러한 너트를 설계할 수 있고, 이는 너트가 지배적인 부하 조건 때문에, 단단히 나사체결된, 상태와 무관하게 해제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하고, 여기서 클램핑 토크는 바람직하게는 사용 목적에 따라 예정될 수 있도록 의도된다.
상술한 제4 실시예에 근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대안 또는 추가 가능성들이 하기에 예시되고, 정해진 클램핑 토크가 일반적인 다각형 너트, 특히 제1 내지 제8 실시예에 따라 설계된 다각형 너트에 대해 어떻게 예정될 수 있는지를 간단한 방식으로 보인다.
다각형 섹션(38)을 갖는 너트 본체(12)와 도 25 및 도 26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너트(10S)의 제1 버전에서, 너트 본체(12)는 다각형 섹션(38)를 갖고, 다각형 섹션(38)의 변형은 예를 들어, 중심 축(14)에 대해 서로 대향하여 있고 점형태로 작용하는 점형태 힘에 의해 작용되는 외곽선 지지부(70)의 영역에 위치하는, 나사산 영역(GBD)이 나사산 영역(GBD)의 외부에 위치하는 나사산 영역(GB)보다 서로 더 작은 거리(AGD)에 있는 방식으로 다각형 섹션(38)의 변형이 내부 나사산(22)의 소성 변형을 일으키는 방식으로, 예를 들어, 서로 대향하여 위치한 에지 섹션(42)에서, 예를 들어, 서로 대향하여 위치한 외곽선 지지부(70)의 두 대향하여 위치하는 에지 섹션(42) 상에서만 점형태 변형력(DKP)의 작용의 결과로서 일어나고, 제1 버전에 따른 이 너트(10S)가 체결될 때 변형되는 나사산 영역(GBD)과 표준에 의해 정해진 것보다 작은 거리(AGD)에서, 내부 나사산(22)은 나사 볼트(36)가 외부 나사산(35)이 내부 나사산(22)에 체결될 때 다각형 섹션(38)의 탄소성 변형의 결과로서 체결될 나사 볼트(36)의 측정값으로 다시 넓어지고 따라서 전체적 탄소성 형상 안정성을 갖는 다각형 섹션(38)이 주로 전체적으로 형상의 탄소성 변화를 겪고, 그러므로, 이후에 반력을 생성하고, 이로써 변형된 나사산 영역(GBD)이 체결될 나사 볼트(36)의 외부 나사산(35)에 눌리고, 그러므로 원하는 클램핑 토크를 생성한다.
이 실시예에서, 점형태의 변형력(DKP)에 의해 생성된 다각형 섹션(38)의 소성 변형이 주로 다각형 섹션(38)의 전체적 변형을 보이므로, 탄소성적 형상 변화에 의해 생성되고 변형된 나사산 섹션(GBD)이 체결되는 나사 볼트(36)의 외부 나사산(35)에 작용하는 힘이 유사하게 다각형 섹션(38)의 전체적 탄소성 형태 안정성에 의해 주로 정해진다.
에지 섹션(42) 상의 점형태 변형력(DKP)의 작용은 바람직하게는 제2 단부면(18)에 가깝게 위치하는 에지 영역(42)의 상부 영역(112)에서 일어나는데 왜냐하면 이 상부 영역(112)에서 다각형 섹션(38)은 압력 베이스(90) 또는 압력 플랜지(100)의 영역에서보다 큰 소성 변형성을 가지므로 최소 거리(AGD)로 변형된 영역을 통해 나사 볼트(36)의 외부 나사산(68)에 의해 커버되는 거리가 작기 때문이다.
이에 관해, 상부 영역(112)은 바람직하게는 제1 단부면(16) 또는 압력 측면(82)의 방향으로 제2 단부면(18)으로부터 오목부(60"')의 범위의 최대 1/2까지 제2 단부면(18)으로부터 연장하고, 바람직하게는 제1 단부면(16)의 방향으로 제2 단부면(18)으로부터 오목부(60"')의 범위의 최대 1/3까지 연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버전의 체크 너트(10S)에서, 점 형태로 작용하는 변형력(DKP)이 중심 축(14)에 대해 횡방향으로 및 방사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이에 대해 직각으로 작용하도록 정렬된다.
그러나, 제1 단부면(16)의 방향의 성분으로 또는 제2 단부면(18)의 방향에서의 성분과 함께, 점 형태로 작용하는, 변형력(DKP)을 가질 수도 있다.
점형태로 작용하는 힘(DKP)은 그 작용이 명확한 곳인, 점형태 압력 지점(114)을 너트 본체(12)에 남긴다.
도 27 및 도 28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제2 버전의 체크 너트(10S')에서, 변형력의 작용은 점형태로 작용하는 변형력(DKP)의 형태가 아니라 상부 영역(112)에서 에지 영역(42)에 선형적으로 작용하는 변형력(DKL)의 형태이고 이들은 제1 버전에 관해 설명한 방식과 유사하게 다각형 섹션(38)의 변형들을 일으키고, 실질적으로 전체적으로 다각형 섹션(38)의 변형은 선형적으로 작용하는 변형력(DKL)으로 유사하게 이루어진다.
제1 버전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선형적으로 작용하는 변형력(DKL)은 중심 축(14)에 대해 서로 반대쪽인 쌍으로 작용하는 2개의 변형력(DKL)이거나 또는 중심 축(14)에 관해 바람직하게는 규칙적인 각각의 각도 거리에 배치되는 몇 개의 작용하는 변형력(DKL)일 수 있고, 제1 버전과 거의 유사한 다각형 섹션(38)의 변형이 일어나고 변형력(DKL)은 너트 본체(12) 상의 선형 압력 지점(116)을 남긴다.
또한, 선형적으로 작용하는 제2 버전에 따른 변형력(DKL)이 사용된 경우, 선형적으로 작용하는 변형력(DKL)은 이들이 중심 축(14)에 대해 횡방향으로, 예를 들어, 이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하도록 정렬된다.
그러나, 제2 단부면(18)의 방향으로 성분과 함께 또는 제1 단부면(16)의 방향으로 성분과 함께 작용하는, 선형적으로 작용하는, 변형력(DKL)을 가질 수도 있다.
도 29 내지 도 30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제3 버전의 체크 너트에서, 제4 실시예에 따른 너트 본체(12)가 유사하게 사용되고 이 경우에 그 작용은 외곽선 지지부(70)의 영역에서가 아니라 오목부(60"')의 베이스 영역(66"')에서 일어나고, 제3 버전에서 점형태로 작용하는 변형력(DKP)이 유사하게 상부 영역(112)에 사용되고 이들은 점형태 압력 지점(114)에 접하는 나사산을 갖는 케이싱(30)의 부분 영역의 변형을 주로 일으키므로, 변형된 나사산 영역(GBD")을 생성하고, 이 변형은 외곽선 지지부(70)에 대해 대조적으로, 나사산을 갖는 케이싱(30)이 더 적은 두께때문에 주로 국부적인 탄소성 변형을 이미 겪고 있이 때문에 더 크게 국지화되어 있고 이 변형은 유사하게 내부 나사산(22)의 국부적 탄소성 변형을 일으키므로, 국부적 변형된 나사산 영역(GBD")을 일으킨다.
제3 버전에 따른 이러한 체크 너트(10S")가 나사 볼트(36)의 외부 나사산(35)에 체결될 때, 변형된 나사산 영역(GBD")에 작용하고 탄소성 변형에 의해 생성되는 힘이 생성되어 나사산을 갖는 케이싱(30)의 국부적 소성 변형이 주로 나사 볼트(36)가 체결될 때 나사산을 갖는 케이싱(30)의 형상으로의 국부적 탄소성 복귀로 인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소된다.
그러나, 이에 관해, 형상의 국부적인, 탄소성 복귀는 다각형 섹션(38)의 전체적인 변형과 추가 중첩될 수도 있고 이는 나사 볼트(36)가 내부 나사산(22)에 나사체결될 수 있지만 원하는 클램핑 토크가 생성되는 정도로 변형된 나사산 영역(GBD")이 다시 서로 멀어질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오목부(60"')의 베이스 영역(66"')에의 작용 결과로 주로 국부적으로 생성되는 변형이 제1 또는 제2 버전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에지 영역(42) 상의 변형력(DKP 또는 DKL)에 의한 보조 작용의 결과로 다각형 섹션(38)의 주로 국부적 변형과, 추가로, 조합될 수 있다.
제3 버전에 따른 점 형태의 유효 변형력(DKP)은 유사하게, 바람직하게는 중심 축(14)에 대해 횡방향으로 특히 이에 대해 직각으로 향해진다.
그러나, 제1 단부면(16) 또는 제2 단부면(18)의 방향으로 성분을 이러한 점형태로 작용하는 변형력(DKP)이 줄 수도 있다.
도 31 및 도 32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제4 버전의 체크 너트(10S"')에서, 베이스 영역(66)에 점 형태 작용이 없고 선형적으로 작용하는 변형력(DKL)이 사용되고 이 버전에서 이들은 중심 축(14) 둘레에서 몇 개의 영역을, 예를 들어, 주로 나사산을 갖는 케이싱(30)의 국부적 변형으로 발생하는 변형된 나사산 영역(GBD"'1 내지 GBD"'6)을 베이스 영역(66)의 개수에 따라 생성하기 위해 다각형 섹션(38)의 모든 베이스 영역(66)에서 작용하고, 따라서 중심 축(14) 둘레에 배치된 이들 6개의 변형된 나사산 영역(GBD"'1 내지 GBD"'6)은 나사 볼트(36)에 이 나사산이 체결될 때 생성되는 내부 나사산(22)의 클램핑 토크를 담당한다.
제4 버전에 제공된 선형적으로 작용하는 변형력(DKL)은, 예를 들어, 중심 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이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하고, 제1 단부면(16) 또는 제2 단부면(18)의 방향으로 성분을 갖고 선형 압력 지점(116)을 뒤에 남긴다.
원리적으로, 선형적으로 변형된 나사산 영역(GBD"'1 내지 GBD"'6)의 합과 방향은 쌍들로 변할 수 있다.
도 33 및 도 34에 본 발명에 따른 제5 버전의 체크 너트(10S"")로 예시된 바와 같이, 면 형태로 작용하는 힘(DKF)이 점형태로 작용하는 힘(DKP) 또는 선 형태로 작용하는 힘(DKL)에 대해 대안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제5 버전에서 이들은 오목부(60"')의 베이스 영역(66"')에 면 형태로 작용하여, 면 형태 압력 지점(118)을 생성하고, 그러므로 여전히 주로 국부적이지만 더 큰 표면적에 걸쳐 분포된 나사산을 갖는 케이싱(30)의 탄소성 변형을 일으키고, 그러므로 그 면형태 작용에 상응하여 큰 면적에 걸쳐 형성되는 변형된 나사산 영역(GBD"")을 생성한다.
베이스 영역(66"')에 면으로 작용하는 이러한 변형력(DKF)은 이들이 점 형태 변형력(DKP) 또는 선형 변형력(DKL) 또는 적용가능한 경우에, 면 형태 변형력(DKF)이거나, 에지 영역(42)에 작용하는 변형력과 조합되거나, 또는 쌍들로 3개의 개개의 또는 몇 개의 대향하게 위치하는 베이스 영역(66"')에서 또는 서로 대향하게 위치된 베이스 영역(66"')의 쌍에서 효과적일 수도 있다.
제5 버전에서, 면으로 작용하는 변형력(DKF)이 중심 축(14)에 대해 횡방향으로 작용하도록 주로 정렬되고, 그러나, 면으로 작용하는 변형력(DKF)은 향상된 소성 변형, 특히 나사산을-갖는 본체(30)에서 주로 국부적인, 소성 변형을 부분 표면 영역의 영역에서, 또한 그에 해당하는 내부 나사산(22)의 변형 나사산 영역 GBD""에서도 그 작용과 함께 생성될 수 있도록 제1 단부면(16)의 방향으로 또는 제2 단부면(18)의 방향으로 모두 각각의 성분을 가질 수 있다.
도 35 및 도 36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제6 버전의 체크 너트(10S""')에서, 에지 영역(42)은 상부 영역(112)에 작용하지 않지만, 예를 들어, 각각의 쌍들로 서로 대향하여 위치한 몇 개의 에지 영역(42) 또는 서로 대향하여 위치한, 예를 들어, 2개의 에지 영역(42)과, 제2 단부면(18) 사이에서, 제2 단부면(18) 상에서 접하는, 상부 외부 에지(122) 상에서 선형적으로 작용하는 변형력(DKL)을 통해 작용하고, 따라서 변형력(DKL)은 각각의 외곽선 지지부(80) 상에 작용하고, 그러므로, 제2 단부면(18)에 직접 인접한 다각형 섹션(38)의 주로 전체적인 변형이 일어나고 따라서 변형된 나사산 영역(GBD""')이 특히 제2 단부면(18)에 직접 인접하는 내부 나사산(32)의 나사산 회전부의 영역에서 발생된다.
이에 대해, 선 형태로 작용하는 변형력(DKL)은 바람직하게는 한편으로, 중심 축(14)의 방향에서, 다른 한편으로, 압력 측면(82) 또는 제1 단부면(16)의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향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중심 축(14)에 대해 서로 대향하여 위치하는 2개의 변형력(DKL)만이 작용하거나 각각의 쌍들로 서로 대향하여 위치하는 몇 개의 변형력(DKL)이 작용할 수 있다.
도 37, 38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체크 너트(10S""")의 제7 버전에서, 중심 축(14)에 평행하게 정렬된, 축방향 변형력(DKAL)이 나사산을 갖는 케이싱(30)의 영역에서 제2 단부면(18) 상에서, 중심 축(14)에 대해 선형적으로, 즉, 방사방향으로 정렬되어 작용하여, 선형 압력 지점(120)을 생성하고 소성 변형을 일으키고, 이는 제2 단부면(18)에 인접하는 나사산(22)의 제1 나사산 회전부(24)의 중심 축(14) 둘레에서 연장하고, 이 내부 나사산은 예를 들어, 결과적으로 그 중심 구멍 직경(DK)에 대해 전체적으로 좁아지는 것을 겪고, 표준 경로에 대해 중심 축(14)의 방향으로 변형되는 나사 영역들을 갖고 표준 피치에 관해 그 사이의 거리가 감소된다. 이 변형은 나사 볼트(36)가 내부 나사산(22)에 체결될 때 특히 제2 단부면(18)에 가까운 다각형 섹션(38)의 탄소성 넓어짐을 전체적으로 일으키고, 이 탄소성 넓어짐은 체결되는 나사 볼트(36)의 외부 나사산(35)에 대해 제1 나사산 회전부를 누르는 반력들을 일으키므로, 원하는 클램핑 토크를 담당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1 내지 제7 버전들로 소성 변형들을 조합할 수 있고, 이는 변형력(DK)에 의해 생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다각형 섹션(38)의 다중 변형에 의해, 내부 나사산이 나사 볼트에 체결되고 해제될 때, 원하는 클램핑 토크를 달성하기 위해, 중심 축(18)으로부터 나사 영역의 거리에 작용하고 서로에 대해 나사산 회전부의 경로에 작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너트(10)는 바람직하게는 부록 1(Annex 1)에 따른 베이나이트 또는 페라이트-펄라이트 기본 구조를 갖는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인장 강도와 변형성의 유리한 조합이 구조 변형의 일치된 제어의 결과로 두 타입의 재료 모두의 경우에 달성된다.
예를 들어, 종래의 차가운 선두 제품(heading product)이 사용될 때 특수한 열처리 공정에 의해 실제변형 공정 후에 일어나야 하는 정해진 구조적으로 기계적인 특성들로의 실제변형 결과(냉간 성형 공정 중에 전위를 증가시켜 또는 열간 성형 공정 중에 단조 열로부터의 냉각)로서 일어나는 실제변형 과정 전에 미세합금 원소를 합금하고 열적-기계적 전처리 공정의 결과로 특성들이 생성된다.
이러한 베이나이트 또는 페라이트-펄라이트 기본 구조를 갖는 재료에 기반하여 진행하여, 예를 들어, 냉간 변형이 일어나고, 상술한 버전 중 하나 및/또는 상술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라 너트 본체(12)의 형상까지 적어도 하나의 변형 단계에서 또는 몇 개의 변형 단계에서 출발 재료, 예를 들어, 와이어 또는 봉 재료 의 유동 압착(flow pressing)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재료의 이 변형 과정에서, 재료의 경화는 상이한 두께에서 불균질한 단면 형성 때문에 전위(dislocation) 밀도의 증가 및/또는 전위의 형성의 결과로서 일어나고, 여기서 더 큰 변형이 특히 상응하는 더 두꺼운 단면을 갖는 영역에서보다 얇은 단면을 갖는 영역에서 일어난다.
변형은 특히 출발 재료의 강도 값에 근거하여 진행되어 출발 재료와 비교하여 적어도 5%, 더 낫게는 적어도 10% 또는 더 낫게는 적어도 20%만큼 강도가 증가되게 한다.
예를 들어, 너트 본체(12)의 나사산을 갖는 케이싱(30)의 보다 큰 경화는 오목부(60)의 영역 주위에서 일어나고 이는 나사 볼트(36)에 의한 응력 부가 중의 모든 변형에 대한 내부 나사산(22)의 향상된 안정화에 기여한다. 이에 관해, 키 면(44)으로부터 진행되고 나사산을 갖는 케이싱(30)을 향해 증가하는 변형에 의해 생성되는 경화 밀도 구배의 결과로서, 베이나이트 또는 페라이트-펄라이트 기본 구조를 갖는 재료와 보다 큰 경화 밀도의 조합의 결과로, 예를 들어, 나사산을 갖는 케이싱(30)에 대해, 보다 높고, 구조적으로 기계적인 요구조건의 범위에서 적절한 경도가 달성될 수 있으므로 변형 과정 이후에 가능한 열처리를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사산을 갖는 케이싱(30)의 경도는 미세한 나사산에 대해 180 내지 360HV 범위이고, 보통 나사산에 대해 110 내지 360HV 범위이다.
침전-경화되는, 페라이트-펄라이트 재료 또는 침전-경화되는, 양호한 냉간 변형성을 갖는 페라이트-펄라이트 강철에 대한 예로서, 예를 들어, 재료 24MnSiV5 또는 재료 27MnSiV6(40)가 참조되고, 여기서 마지막에 명명한 재료는 부록 2(Annex 2)에 열거한 특성 및 부록 2에 상술한 화학적 조성을 갖는다.
이에 관해, 강도는, Si, Mn으로의 고용체 경화 및/또는 Va, Nb, Ti으로의 침전 경화에 의해 이루어진다.
Figure 112013008870416-pat00001
Figure 112013008870416-pat00002

Claims (99)

  1. 내부 나사산(internal thread)(22)이 구비되거나 너트 본체(nut body)(12)의 구멍(bore)의 영역에서 내부 나사산(internal thread)(22)이 구비될 수 있는 상기 너트 본체(nut body)(12)를 포함하며,
    상기 너트 본체(12)는, 한편으론, 에지 영역들(edge areas)(42)과, 다른 한편으론, 상기 에지 영역들(42) 사이에 위치하고 표준에 맞도록 연장되어 있는 키 면 평면들(key face planes)(46)에서 연장되어 있는 키 면들(key planes)(44)을 갖는 다각형 외곽선(polygonal outer contour)(40)을 구비한 다각형 섹션(polygonal section)(38)을 갖는, 너트(nut)로서,
    상기 너트 본체(12)는 각각의 키 면 평면들(46)로부터 진행하여 상기 구멍 (bore)(20)의 방향으로 상기 너트 본체(12)의 안으로 연장되어 있는 복수의 오목부들(recesses)(6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60)는 서로 대향하여 위치한 키 면 평면(46)으로부터 각각 진행하는 너트 본체(12)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60)는 다각형 섹션(38)의 각각의 키 면 평면 (46)으로부터 진행하는 너트 본체(12)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60)는 각각의 키 면 평면(46)으로부터 내부 나사산(22)을 둘러싸는 나사산을 갖는 케이싱(30)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산을 갖는 케이싱(30)은 내부 나사산(22)의 외경(DA)으로부터 진행하여, 내부 나사산(22)의 외경(DA)의 0.05배의 반경 방향 최소 두께(DG)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 본체(12)는 압력 측면(82)으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제2 단부면(18)과 압력면(84)을 갖는 압력 측면(82)으로서 설계된 제1 단부면(16)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 본체(12)는 압력 측면(82)으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제2 단부면(18)과 압력면(84)을 갖는 압력 측면(82)으로서 설계된 제1 단부면(16)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60)는 제2 단부면(18)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60)는 압력 측면(82)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60)는 너트 본체(12)의 범위의 부분 섹션(TA)에 걸쳐서만 하나의 단부면(18)으로부터 다른 단부면(16)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11.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60)는 압력 측면(82)에 제공된 압력 베이스(90)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60)는 압력 측면(82)에 제공된 압력 베이스(90)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60)는 압력 측면(82)에 제공된 압력 베이스(90)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60)는 압력 측면(82)에 제공된 압력 플랜지(1 00)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15. 제1항에 있어서, 압력 측면(16)의 영역에서 나사산을 갖는 케이싱(30)의 반경 방향 최소 두께(DG)는 적어도 제2 단부면(18)의 영역에서만큼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16.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제7항 내지 제10항, 제12항, 제14항 및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력 측면(16)의 영역에서 나사산을 갖는 케이싱(30)의 반경 방향 최소 두께(DG)는 제2 단부면(18)의 영역에서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17. 제4항에 있어서, 압력 측면(16)의 영역에서 나사산을 갖는 케이싱(30)의 반경 방향 최소 두께(DG)는 제2 단부면(18)의 영역에서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18. 제6항에 있어서, 압력 측면(16)의 영역에서 나사산을 갖는 케이싱(30)의 반경 방향 최소 두께(DG)는 제2 단부면(18)의 영역에서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19. 제11항에 있어서, 압력 측면(16)의 영역에서 나사산을 갖는 케이싱(30)의 반경 방향 최소 두께(DG)는 제2 단부면(18)의 영역에서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20.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제7항 내지 제10항, 제12항, 제14항, 제15항 및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나사산을 갖는 케이싱(30)은 제2 단부면(18)으로부터 압력 측면(16)을 향해 증가하는 범위를 갖는 증가하는 반경 방향 최소 두께(DG)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21. 제4항에 있어서, 나사산을 갖는 케이싱(30)은 제2 단부면(18)으로부터 압력 측면(16)을 향해 증가하는 범위를 갖는 증가하는 반경 방향 최소 두께(DG)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22. 제6항에 있어서, 나사산을 갖는 케이싱(30)은 제2 단부면(18)으로부터 압력 측면(16)을 향해 증가하는 범위를 갖는 증가하는 반경 방향 최소 두께(DG)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23. 제11항에 있어서, 나사산을 갖는 케이싱(30)은 제2 단부면(18)으로부터 압력 측면(16)을 향해 증가하는 범위를 갖는 증가하는 반경 방향 최소 두께(DG)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24. 제16항에 있어서, 나사산을 갖는 케이싱(30)은 제2 단부면(18)으로부터 압력 측면(16)을 향해 증가하는 범위를 갖는 증가하는 반경 방향 최소 두께(DG)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25. 제1항에 있어서, 대향하여 위치된 에지 영역(42)에 인접하는 키 면 영역(52, 54)은 각각의 키 면 평면(44)에 위치하고, 각각의 오목부(60)는 상기 키 면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나사산(22)의 중심 축(14)에 대해 직각으로 상기 다각형 섹션(38)을 통해 연장되어 있는 각각의 단면 평면(QE)에서, 서로 추종하는 2개의 각각의 에지 영역(42) 사이에서 횡방향(48)으로 상기 키 면 영역(52, 54)의 연장부의 합은 상기 횡방향(48)에서 이러한 에지 영역(42) 사이의 거리(AK)의 적어도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60)는 상기 내부 나사산(22)의 중심 축(14)에 대해 직각으로 매번 상기 다각형 섹션(38)을 통해 연장되어 있는 단면 평면(QE)에서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60)의 단면 형상은 각각의 단면 평면(QE)에서 U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2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60)는 개개의 키 면 평면(46)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하고 베이스 영역(66)에 인접하는 측벽 영역(62, 64)과 베이스 영역(66)에 의해 정해지는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60)는 측벽 영역(62, 64)을 연결하고 오목하게 만곡된 베이스 영역(66)에 의해 정해지는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31.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제7항 내지 제10항, 제12항,제14항, 제15항, 제17항, 제21항 및 제25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60)는 중심 축(14)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범위가 변하거나 일정한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3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60)는 중심 축(14)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범위가 변하거나 일정한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3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60)는 중심 축(14)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범위가 변하거나 일정한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3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60)는 중심 축(14)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범위가 변하거나 일정한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35.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60)는 중심 축(14)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범위가 변하거나 일정한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3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60)는 중심 축(14)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범위가 변하거나 일정한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37. 제1항에 있어서, 내부 나사산(22)의 중심 축(14)으로부터의 베이스 영역(66)의 거리는 중심 축(14)의 방향으로 오목부(60)의 범위에서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38.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영역(66)은 중심 축(14)의 방향으로 상기 오목부(60)의 범위에서 중심 축(14)으로부터 다양한 거리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39. 제38항에 있어서, 오목부(60)는 중심 축(14)에 대해 일정 각도로 연장되어 있는 베이스 영역을 갖는 각각의 키 면 평면(46)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40.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제7항 내지 제10항, 제12항, 제14항, 제15항, 제17항, 제21항, 제25항 내지 제30항, 제32항, 제37항 및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체크 너트(10S)인 너트를 설계하기 위해 내부 나사산(22)이 표준 측정값에 해당하는 내부 나사산으로서 제조되지만, 너트 본체(12)의 소성 변형의 결과로 표준 경로로부터 벗어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41. 제4항에 있어서, 체크 너트(10S)인 너트를 설계하기 위해 내부 나사산(22)이 표준 측정값에 해당하는 내부 나사산으로서 제조되지만, 너트 본체(12)의 소성 변형의 결과로 표준 경로로부터 벗어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42. 제6항에 있어서, 체크 너트(10S)인 너트를 설계하기 위해 내부 나사산(22)이 표준 측정값에 해당하는 내부 나사산으로서 제조되지만, 너트 본체(12)의 소성 변형의 결과로 표준 경로로부터 벗어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43. 제11항에 있어서, 체크 너트(10S)인 너트를 설계하기 위해 내부 나사산(22)이 표준 측정값에 해당하는 내부 나사산으로서 제조되지만, 너트 본체(12)의 소성 변형의 결과로 표준 경로로부터 벗어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44. 제16항에 있어서, 체크 너트(10S)인 너트를 설계하기 위해 내부 나사산(22)이 표준 측정값에 해당하는 내부 나사산으로서 제조되지만, 너트 본체(12)의 소성 변형의 결과로 표준 경로로부터 벗어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45. 제20항에 있어서, 체크 너트(10S)인 너트를 설계하기 위해 내부 나사산(22)이 표준 측정값에 해당하는 내부 나사산으로서 제조되지만, 너트 본체(12)의 소성 변형의 결과로 표준 경로로부터 벗어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46. 제31항에 있어서, 체크 너트(10S)인 너트를 설계하기 위해 내부 나사산(22)이 표준 측정값에 해당하는 내부 나사산으로서 제조되지만, 너트 본체(12)의 소성 변형의 결과로 표준 경로로부터 벗어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47. 제40항에 있어서, 너트 본체(12)의 소성 변형 때문에 내부 나사산(22)은 표준 경로로부터 벗어나는 중심 축(14)으로부터 변하는 반경 방향 거리(AGD)에 있고, 표준 경로로부터 벗어나는 나사산 회전부의 거리 경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48. 제40항에 있어서, 너트 본체(12)의 소성 변형 때문에 내부 나사산(22)은 표준 경로로부터 벗어나는 중심 축(14)으로부터 변하는 반경 방향 거리(AGD)에 있거나, 표준 경로로부터 벗어나는 나사산 회전부의 거리 경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49.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나사산(22)은 너트 본체(12)의 소성 변형 때문에 중심 축(14)에 대해 비-원형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50.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나사산(22)은 너트 본체(12)의 소성 변형 때문에 중심 축(14)에 대해 비-원형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5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나사산(22)은 중심 축(14)에 대해 동일한 각도 거리에 배치된 변형된 나사산 영역(GBD)을 갖고, 중심 축(14)으로부터 상기 나사산 영역의 거리(AGD)는 표준 경로에 관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52.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나사산(22)은 중심 축(14)에 대해 2중 또는 다중 대칭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변형된 나사산 영역(GBD)을 갖고, 상기 나사산 영역 사이의 거리(AGD)는 표준 경로에 관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53. 제1항에 있어서, 너트 본체(12)는 중심 축(14)에 관해 서로 대향하여 위치하는 에지 영역(42) 상에 작용하는 힘(DK)의 결과로 소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54. 제1항에 있어서, 너트 본체(12)는 중심 축(14)에 관해 서로 대향하여 위치하는 오목부(60)의 베이스 영역(66)에 작용하는 힘(DK)의 결과로 소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55. 제54항에 있어서, 너트 본체는 다각형 섹션(38)의 상부 영역(112)에 작용하는 힘(DK)의 결과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56. 제1항에 있어서, 너트 본체(12)는 제2 단부면(18)의 외부 에지의 영역에 작용하는 힘(DK)의 결과로 소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57. 제1항에 있어서, 너트 본체(12)는 중심 축(14)에 관해 평행한 방향으로 구성요소와 함께 제2 단부면(18)에 작용하는 힘(DK)의 결과로 소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58. 제53항에 있어서, 너트 본체(12)는 점 형태로(punctiformly) 작용하는 변형력(DKP)에 의해 소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59. 제53항에 있어서, 너트 본체(12)는 선 형태로 작용하는 변형력(DKL)에 의해 소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60. 제53항에 있어서, 너트 본체(12)는 면 형태로 작용하는 변형력(DKF)에 의해 소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61. 제53항에 있어서, 너트 본체(12)는 전체적으로(globally)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62. 제53항에 있어서, 너트 본체(12)는 국부적으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63. 제1항에 있어서, 너트 본체(12)는 베이나이트(bainitic) 또는 페라이트-펄라이트 구조(ferritic-perlitic structure)를 갖는 강철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나이트 또는 페라이트-펄라이트 구조는 0.25 중량% 이상의 탄소 함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65.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나이트 또는 페라이트-펄라이트 구조는 미세합금 원소의 침전(precipitation)에 의해 향상된 강도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66.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나이트 또는 페라이트-펄라이트 구조는 0.05 중량% 이상의 미세합금 원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67.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나이트 또는 페라이트-펄라이트 구조는 0.1 중량% 이상의 미세합금 원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68.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나이트 또는 페라이트-펄라이트 구조는 열적-기계적 전처리의 결과로 향상된 강도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69.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나이트 또는 페라이트-펄라이트 구조는 실리콘 및 망간으로 인한 고용체 경화(solid solution hardening)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70.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나이트 또는 페라이트-펄라이트 구조는 실리콘 또는 망간으로 인한 고용체 경화(solid solution hardening)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71. 제63항에 있어서, 구조 변형을 제어한 결과로서 및 재성형한 결과로서 베이나이트 또는 페라이트-펄라이트 구조는 임의의 후속 열처리 없이 나사산을 갖는 케이싱(30)에서 미세한 나사산에 대해 170 내지 370HV 범위의 경도를 갖고, 보통 나사산에 대해 100 내지 370HV 범위의 경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72. 내부 나사산(internal thread)(22)이 구비되거나 너트 본체(nut body)(12)의 구멍(bore)의 영역에서 내부 나사산(internal thread)(22)이 구비될 수 있는 상기 너트 본체(nut body)(12)를 포함하며,
    상기 너트 본체(12)는, 한편으론, 에지 영역들(edge areas)(42)과, 다른 한편으론, 상기 에지 영역들(42) 사이에 위치하고 표준 방식으로 연장되어 있는 키 면 평면들(key face planes)(46)에서 연장되어 있는 키 면들(key planes)(44)을 갖는 다각형 외곽선(polygonal outer contour)(40)을 구비한 다각형 섹션(polygonal section)(38)을 갖는, 너트(nut)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너트 본체(12)는 각각의 키 면 평면들(46)로부터 진행하여 상기 구멍 (bore)(20)의 방향으로 상기 너트 본체(12)의 안으로 연장되어 있는 복수의 오목부들(recesses)(6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제조 방법.
  73.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나사산(22)은 체크 너트(check nut)(10S)인 너트를 설계하기 위해 표준 측정값에 해당하는 내부 나사산으로서 제조되지만 상기 너트 본체(12)의 소성 변형 결과로 표준 경로로부터 벗어나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제조 방법.
  74. 제73항에 있어서, 너트 본체(12)의 소성 변형 때문에 내부 나사산(22)은 표준 경로로부터 벗어나는 중심 축(14)으로부터 변하는 반경 방향 거리(AGD) 및 표준 경로로부터 벗어나는 나사산 회전부의 거리 경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제조 방법.
  75. 제73항에 있어서, 너트 본체(12)의 소성 변형 때문에 내부 나사산(22)은 표준 경로로부터 벗어나는 중심 축(14)으로부터 변하는 반경 방향 거리(AGD) 또는 표준 경로로부터 벗어나는 나사산 회전부의 거리 경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제조 방법.
  76.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나사산(22)은 너트 본체(12)의 소성 변형 때문에 중심 축(14)에 대해 비-원형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제조 방법.
  77. 제73항 내지 제7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나사산(22)은 중심 축(14)에 대해 같은 각도 거리에 배치되는 변형된 나사산 영역(GBD)을 구비하고, 중심 축(14)으로부터 상기 나사산 영역의 거리(AGD)는 표준 경로에 대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제조 방법.
  78.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나사산(22)은 중심 축(14)에 대해 같은 각도 거리에 배치되는 변형된 나사산 영역(GBD)을 구비하고, 중심 축(14)으로부터 상기 나사산 영역의 거리(AGD)는 표준 경로에 대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제조 방법.
  79.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나사산(22)은 중심 축(14)에 대해 2중 또는 다중 대칭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변형된 나사산 영역(GBD)을 구비하고, 상기 나사산 영역 사이의 거리(AGD)는 표준 경로에 대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제조 방법.
  80. 제72항 내지 제75항, 제78항 및 제7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 본체(12)는 중심 축(14)에 대해 서로 대향하여 위치한 에지 영역(42)에 작용하는 힘(DK)의 결과로 소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제조 방법.
  81.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 본체(12)는 중심 축(14)에 대해 서로 대향하여 위치한 에지 영역(42)에 작용하는 힘(DK)의 결과로 소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제조 방법.
  82.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 본체(12)는 중심 축(14)에 대해 서로 대향하여 위치한 에지 영역(42)에 작용하는 힘(DK)의 결과로 소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제조 방법.
  83.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 본체(12)는 중심 축(14)에 대해 서로 대향하여 위치한 오목부(60)의 베이스 영역(66)에 작용하는 힘(DK)의 결과로 소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제조 방법.
  84. 제83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 본체는 다각형 섹션(38)의 상부 영역(112)에 작용하는 힘(DK)의 결과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제조 방법.
  85.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 본체(12)는 제2 단부면(end face)(18)의 외부 에지의 영역에 작용하는 힘(DK)의 결과로 소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제조 방법.
  86.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 본체(12)는 중심 축(14)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구성요소와 함께 제2 단부면(18)에 작용하는 힘(DK)의 결과로 소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제조 방법.
  87. 제80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 본체(12)는 점 형태로 작용하는 변형력(DKP)의 결과로 소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제조 방법.
  88. 제80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 본체(12)는 선 형태로 작용하는 변형력(DKL)의 결과로 소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제조 방법.
  89. 제80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 본체(12)는 면 형태로 작용하는 변형력(DKF)의 결과로 소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제조 방법.
  90. 제80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 본체(12)는 전체적으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제조 방법.
  91. 제80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 본체(12)는 국부적으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제조 방법.
  92.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 본체(12)는 베이나이트 또는 페라이트-펄라이트 구조를 갖는 강철로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제조 방법.
  93. 제92항에 있어서, 베이나이트 또는 페라이트-펄라이트 구조는 0.25 중량% 이상의 탄소 함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제조 방법.
  94. 제92항 또는 제93항에 있어서, 베이나이트 또는 페라이트-펄라이트 구조는 미세합금 원소의 침전 결과로 향상된 강도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제조 방법.
  95. 제94항에 있어서, 베이나이트 또는 페라이트-펄라이트 구조는 0.05 중량% 이상의 미세합금 원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제조 방법.
  96. 제92항에 있어서, 베이나이트 또는 페라이트-펄라이트 구조는 열적-기계적 전처리의 결과로 향상된 강도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제조 방법.
  97. 제92항에 있어서, 베이나이트 또는 페라이트-펄라이트 구조는 실리콘 및 망간으로 인한 고용체 경화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제조 방법.
  98. 제92항에 있어서, 베이나이트 또는 페라이트-펄라이트 구조는 실리콘 또는 망간으로 인한 고용체 경화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제조 방법.
  99. 제92항에 있어서, 베이나이트 또는 페라이트-펄라이트 구조는 구조 변형을 제어하고 재성형한 결과로서, 보통 나사산에 대해 100 내지 370HV 범위의 경도를 갖고, 임의의 후속 열처리 없이 나사산을 갖는 케이싱에서 미세한 나사산에 대해서는 170 내지 370HV 범위의 경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제조 방법.






KR1020130010252A 2012-02-01 2013-01-30 너트 KR1021387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100850.7 2012-02-01
DE102012100850A DE102012100850A1 (de) 2012-02-01 2012-02-01 Mut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194A KR20130089194A (ko) 2013-08-09
KR102138754B1 true KR102138754B1 (ko) 2020-07-29

Family

ID=47714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0252A KR102138754B1 (ko) 2012-02-01 2013-01-30 너트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9624962B2 (ko)
EP (1) EP2809958B1 (ko)
JP (1) JP6280053B2 (ko)
KR (1) KR102138754B1 (ko)
CN (1) CN104136788B (ko)
BR (1) BR112014018857B1 (ko)
DE (1) DE102012100850A1 (ko)
MX (1) MX2014009237A (ko)
WO (1) WO201311387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100850A1 (de) 2012-02-01 2013-08-01 Hewi G. Winker Gmbh & Co. Kg Mutter
WO2014046322A1 (ko) * 2012-09-24 2014-03-27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유,공압용 실린더의 피스톤 풀림방지 코킹 방법
DE102013012577A1 (de) * 2013-07-30 2015-02-05 Steven Keiner Verbindungselement eines Verbindungssystems, Werkzeug zum Verbinden, Lösen und Prüfen des Verbindungselementes, Verfahren zum Versehen eines Verbindungssystems mit einer Verschlussversiegelung
DE102013021238A1 (de) * 2013-12-14 2015-06-18 Daimler Ag Schraubelement mit einem Werkzeugangriff
FR3037525B1 (fr) * 2015-06-22 2017-12-29 Valeo Systemes Thermiques Element de fixation, ensemble comprenant ledit element de fixation, module de face avant comprenant ledit element de fixation et procede pour fixer ledit element de fixation
US11458071B2 (en) 2017-05-11 2022-10-04 Scalpal Llc Torque enhancer device for grasping and tooling, and assemblies and uses thereof
USD801165S1 (en) * 2016-02-22 2017-10-31 Doskocil Manufacturing Company, Inc. Nut
ITUA20164439A1 (it) * 2016-06-16 2017-12-16 Bimecc Eng S P A Organo di collegamento, in particolare una vite o un dado, preferibilmente per fissare una ruota, o cerchio, ad un mozzo di un veicolo.
DE102016123318B4 (de) * 2016-12-02 2019-12-05 Kamax Holding Gmbh & Co. Kg Hochfeste Leichtbauschraube mit Doppelkonturangriff sowie Umformverfahren und Umformwerkzeug zum Herstellen sowie Betätigungswerkzeug zum Betätigen einer solchen Schraube
US12023786B2 (en) * 2017-02-15 2024-07-02 Grip Holdings Llc Multi-directional driver bit
US11969864B2 (en) 2017-05-11 2024-04-30 Scalpal Llc Multi-tier torque enhancer driver and/or receiver and method of using same
USD885880S1 (en) * 2017-08-15 2020-06-02 Sheng-Yong Li Lock nut
USD837047S1 (en) * 2017-08-15 2019-01-01 Kun-Meng Lin Nut
USD840797S1 (en) * 2017-09-20 2019-02-19 Ephraim Blu Bentley Quick connect fastener
US11028870B2 (en) * 2018-01-16 2021-06-08 Maclean-Fogg Company Hybrid three-point drive fastener
USD861474S1 (en) * 2018-05-18 2019-10-01 Kyo-Ei Industrial Corporation Wheel nut for automobiles
WO2019238250A1 (de) * 2018-06-15 2019-12-19 Nicole Bongartz Verfahren zum drehfesten Verbinden zweier Bauteile
USD857490S1 (en) * 2018-07-11 2019-08-27 Delaval Holding Ab Bung tab
USD890604S1 (en) * 2018-08-07 2020-07-21 Roger Kirkpatrick Adapter
USD896627S1 (en) * 2018-08-07 2020-09-22 Roger Kirkpatrick Adapter
USD880283S1 (en) * 2019-01-03 2020-04-07 R. Bradford Fawley Lock nut
USD878194S1 (en) * 2019-03-21 2020-03-17 Edward Lee Lug nut
CN110030250A (zh) * 2019-05-20 2019-07-19 嘉兴华意五金科技有限公司 一种桥梁用高强度防盗螺母
USD903481S1 (en) * 2019-09-20 2020-12-01 Patrick Harders Decorative nut
US11859738B2 (en) * 2020-04-03 2024-01-02 Pratt & Whitney Canada Corp. Fluid coupling nuts and tools therefor
DE102021201282A1 (de) 2021-02-11 2022-04-14 Zf Friedrichshafen Ag Fahrwerkbauteil für ein Fahrwerk eines Fahrzeugs und mit einer Werkzeugaufnahme sowie Werkzeug für die Montage eines solchen Fahrwerkbauteils
US20220307537A1 (en) * 2021-03-26 2022-09-29 Mathread Inc. Assembly Improving, Low Mass, Fastener Head
CN114198380A (zh) * 2021-12-23 2022-03-18 东风汽车紧固件有限公司 一种车用花型螺母及其成形方法
WO2023230168A1 (en) * 2022-05-24 2023-11-30 Grip Holdings Llc Multi-directional driver bi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451101A (fr) 1964-11-06 1966-06-24 Screw & Bolt Corp Of America écrous à couple à blocage
US3543826A (en) 1967-08-05 1970-12-01 Harcourt L Forgaard Stiff nut
US5324149A (en) 1993-06-16 1994-06-28 Mcgard, Inc. Lightweight lug nut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2098C (ko)
US111996A (en) * 1871-02-21 Improvement in pressed nut-blanks
US2440944A (en) * 1943-09-03 1948-05-04 Security Machine Products Comp Nut
BE482871A (ko) * 1946-03-01
US2931410A (en) * 1956-12-21 1960-04-05 Stoll Albert Nut lock with thread portions deformed upon tightening of the nut
GB985714A (en) 1962-06-12 1965-03-10 Allen Mfg Company Self-locking nu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e thereof
US3277942A (en) * 1963-07-16 1966-10-11 Elastic Stop Nut Corp Lock nuts having reduced single hexagon wrenching surfaces
US3456704A (en) * 1967-11-13 1969-07-22 Screw & Bolt Corp Of America Prevailing torque locknut
US3687182A (en) * 1969-12-09 1972-08-29 Amerace Esna Corp Self-locking one-piece metal castle nut
JPS4816276U (ko) * 1971-07-06 1973-02-23
US4207938A (en) * 1978-08-21 1980-06-17 The Lamson & Sessions Co. Locknut
DE2937980C2 (de) 1979-09-20 1987-04-23 Gewerkschaft Eisenhütte Westfalia GmbH, 4670 Lünen Mehrkant-Schraubenmutter mit Sprengkerben
JPS57200722U (ko) * 1981-06-17 1982-12-21
US4436002A (en) * 1981-12-11 1984-03-13 Hughes Tool Company Reversal mechanism for power tong
FR2525709B1 (fr) 1982-04-22 1986-04-04 Ugine Aciers Vis et boulons en acier a hautes caracteristiques mecaniques et procede d'elaboration de ces vis et boulons
NL8502413A (nl) 1985-09-03 1987-04-01 Fcf Europa Bv Borgmoer, matrijs voor de vervaardiging daarvan, alsmede inrichting voor het aanbrengen van indrukkingen in een borgmoer.
US4759237A (en) 1986-12-18 1988-07-26 Fauchet Christian R Self-locking nut and tightening tool
US4957702A (en) * 1988-04-30 1990-09-18 Qinghua University Air-cooling duplex bainite-martensite steels
JPH0392611A (ja) * 1989-09-06 1991-04-17 Kurimoto Ltd 鋳鉄製ボルト、ナ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139380A (en) * 1990-11-28 1992-08-18 Pac Fasteners Scalloped nut and method of construction
DE4307090B4 (de) * 1992-04-18 2004-04-15 Erich Neumayer Gmbh & Co Kg Mutter, insbesondere Radmutter
US6068344A (en) * 1996-08-29 2000-05-30 Nether; Joseph G. Wheel mount
JP3515923B2 (ja) * 1998-04-21 2004-04-05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冷間加工性に優れた線状または棒状鋼、および冷間鍛造品、冷間圧造品、または冷間転造品
WO2001014753A1 (fr) * 1999-08-25 2001-03-01 Hard Lock Kogyo Co. Ecrou de blocage
DE102005015661B4 (de) * 2004-04-07 2022-09-08 Neumayer Tekfor Engineering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aus relativ zueinander verdrehbaren Mutternkörper und Druckteller zusammengesetzten Zusammenbau-Mutter
US7568874B2 (en) * 2006-06-02 2009-08-04 Pur Water Purification Products, Inc. Nut for attaching two devices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same
JP2009115297A (ja) * 2007-11-09 2009-05-28 Miki Seisakusho:Kk 緩み止めナット、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加工用治具
JP4962891B2 (ja) * 2009-12-30 2012-06-27 大一螺子工業株式会社 縦溝を有するナットの製造方法
JP5198608B2 (ja) * 2010-03-18 2013-05-15 韓国標準科学研究院 半導体ストレインゲージを用いたフレキシブルな力または圧力センサアレイ、そのフレキシブルな力または圧力センサアレイの製造方法、及びそのフレキシブルな力または圧力センサアレイを用いた力または圧力測定方法
CN201902420U (zh) * 2010-09-26 2011-07-20 青特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前轴楔形锁销的螺母
DE102012100850A1 (de) 2012-02-01 2013-08-01 Hewi G. Winker Gmbh & Co. Kg Mut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451101A (fr) 1964-11-06 1966-06-24 Screw & Bolt Corp Of America écrous à couple à blocage
US3543826A (en) 1967-08-05 1970-12-01 Harcourt L Forgaard Stiff nut
US5324149A (en) 1993-06-16 1994-06-28 Mcgard, Inc. Lightweight lug nu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624962B2 (en) 2017-04-18
BR112014018857A8 (pt) 2017-07-11
JP2015508870A (ja) 2015-03-23
US20130195581A1 (en) 2013-08-01
MX2014009237A (es) 2015-05-15
BR112014018857B1 (pt) 2021-08-24
WO2013113871A3 (de) 2013-10-24
JP6280053B2 (ja) 2018-02-14
CN104136788B (zh) 2018-01-05
WO2013113871A2 (de) 2013-08-08
BR112014018857A2 (pt) 2017-06-20
EP2809958B1 (de) 2022-08-03
US11193524B2 (en) 2021-12-07
US20170159696A1 (en) 2017-06-08
DE102012100850A1 (de) 2013-08-01
CN104136788A (zh) 2014-11-05
EP2809958A2 (de) 2014-12-10
KR20130089194A (ko) 2013-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8754B1 (ko) 너트
KR101230876B1 (ko) 체결부재 및 체결구조
JP3956701B2 (ja) セルフタッピンねじ
CA1329330C (en) Differential thread for transfer of screw thread force
US8061948B2 (en) Device for fastening an add-on part and a support part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US7740436B2 (en) Clinch nut
JP2015508870A5 (ko)
US6632057B1 (en) Fixing unit with an end imprint in a threaded terminal portion
US8671547B2 (en) Fastening member and fastening structure
US6572315B1 (en) Threaded fastener having a thread crest greater than its thread root
CN100523526C (zh) 用于低延展性材料中的自攻螺钉
JP2013539841A (ja) ネジ山付き締結具を締め付ける装置
US20220145927A1 (en) Anti-loosening screw pair and anti-loosening screw component
KR20180132903A (ko) 하우징과 플랜지를 포함하는 조합체, 그리고 조립체
TW201727086A (zh) 尤其用於輕金屬技術領域的螺紋成型式或者螺紋滾壓式螺紋件
JP7418418B2 (ja) 2ピース高強度ねじ
KR100710544B1 (ko) 버킷투스 및 그 제조방법
JP2011012784A (ja) 締結具とボルト及びナットの製造方法並びに締結具の締結方法
US11092186B2 (en) Pretensioning element pressure screw and pretensioning element having a plurality of such pretensioning element pressure screws and pretensioning screw body element having a plurality of such pretensioning element pressure screws
US20060245842A1 (en) Fastener and method for reducing stress failure in an engine component
JP6228203B2 (ja) ねじ部品及びねじ部品の製造方法
JP6247477B2 (ja) 高周波焼入タッピンねじ
US3520222A (en) Composite fastening device
JPH0689768B2 (ja) 高力ボルト・ナット・座金のセット
CN102444659A (zh) 卸载式自调位抗振螺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