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8309B1 - 키보드용 키의 키 모듈을 위한 키 플런저, 키보드용 키의 키 모듈, 및 키 모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키보드용 키의 키 모듈을 위한 키 플런저, 키보드용 키의 키 모듈, 및 키 모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8309B1
KR102138309B1 KR1020157034336A KR20157034336A KR102138309B1 KR 102138309 B1 KR102138309 B1 KR 102138309B1 KR 1020157034336 A KR1020157034336 A KR 1020157034336A KR 20157034336 A KR20157034336 A KR 20157034336A KR 102138309 B1 KR102138309 B1 KR 102138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plunger
module
section
key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4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6823A (ko
Inventor
칼-하인츠 뮐러
Original Assignee
체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체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체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60016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6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8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8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20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layers, e.g. by their material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9/00Manufacturing
    • H01H2229/044Injection mou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7/00Mechanism between key and laykey
    • H01H2237/006Guided plunger or b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보드용 키의 키 모듈을 위한 키 플런저(140)에 관한 것이다. 이때, 키 플런저(140)는 키의 키 헤드를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 섹션(150)과, 키 플런저(140)의 작동 시 키 모듈의 수용 섹션 내에서 키 플런저(140)를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섹션(160)을 구비한다. 가이드 섹션(160)은, 키 플런저(140)의 작동 시 키 모듈의 수용 섹션 내에서 슬라이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섹션(262)을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키 플런저(140)를 몰드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야기되는 키 플런저(140)의 디몰딩 핀(demolding fin)이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섹션(262)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키보드용 키의 키 모듈을 위한 키 플런저, 키보드용 키의 키 모듈, 및 키 모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KEY PLUNGER FOR A KEY MODULE OF A KEY FOR A KEYBOARD, KEY MODULE OF A KEY FOR A KEYBOARD, AND METHOD FOR PRODUCING SAID KEY MODULE}
본 발명은, 키보드용 키의 키 모듈을 위한 키 플런저, 키보드용 키의 키 모듈, 및 키보드용 키를 위한 키 모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컴퓨터 등을 위한 키보드에서는 통상적으로 개별 키를 위한 베이스, 접촉 부재, 접촉 형성부 등을 구비하는 키 스위치가 사용된다. 키 스위치의 한 예는, 특히 MX-모듈의 한 압력점의 매칭이 기술되는 DE 37 13 775 C2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내용을 배경으로 하여,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들에 따른 키보드용 키의 키 모듈을 위한 개선된 키 플런저, 키보드용 키의 개선된 키 모듈, 및 키보드용 키를 위한 키 모듈을 제조하기 위한 개선된 방법을 소개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 및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드러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키보드용 키의 키 모듈을 위한 키 플런저는 특히, 키 플런저가 키 모듈 내에서 슬라이딩하기 위한 슬라이딩 면에 디몰딩 핀(demolding fin)을 구비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또는 개선된 슬라이딩 특성을 갖는 키 모듈, 특히 MX-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키 플런저는 예를 들어 특히 매끈한 슬라이딩 면 또는 최소화된 표면 조도를 갖는 슬라이딩 면을 구비할 수 있다. 이로써, 개선된 슬라이딩 특성을 위해 매칭된 특수한 키 플런저를 구비하는 키 모듈, 특히 MX-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감소된 표면 조도를 갖는 슬라이딩 면을 갖춘 이와 같은 키 플런저를 사용하여, 특히 작동시에 마찰이 최소화된 키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키의 작동 시 그리고 키의 리턴 전환 시에, 마찰이 최소화된 슬라이딩 면을 갖춘 개선된 키 플런저로 인해 사용자에게 긍정적인 작동 느낌이 전달되고, 높은 작동 속도가 가능한 것이 달성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 키 플런저의 슬라이딩 면 또는 가이드 면의 영역에서 디몰딩 핀을 제거함으로써 긁히고 걸린다는 작동 느낌이 방지된다.
이 경우에는, 키 플런저 외에, 키 모듈을 위한 표준 부픔들이 더 사용될 수 있다. 키 플런저는 예를 들어 표준 MX-모듈에 내장될 수 있다. 이때에는, 유리한 방식으로 특히 다만 키 플런저의 가이드 섹션 또는 슬라이딩 섹션에서의 변형만 실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키 모듈의 나머지 개별 부분은 표준 부품일 수 있다. 이로써, 다만 키 플런저만 약간 변형된 기존의 키 모듈 모델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표준에 따른 모듈 조립, 특히 표준 MX-모듈 조립, 예를 들어 회로 기판 조립 또는 프레임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조 장치 또는 특히 MX 제조 자동화 장치에서도, 개선된 키 플런저를 구비하는 키 모듈을 제조하기 위하여, 키 플런저 공급부에서 필요에 따라 다만 약간의 변경만 이루어지면 된다. 키 모듈, 예를 들어 MX-모듈의 또 다른 표준 특성들은 바람직하게 변경 없이 그대로 유지된다.
또한, 키 플런저는 키 모듈의 모듈 하우징의 수용 섹션 내부에 정확히 피팅되면서도 미끄럼 가능하게 수용 가능하거나 수용될 수 있다. 이로써, 허용 오차가 바람직하게 감소됨으로써 작동시에 가이드 유격의 감소가 나타나게 된다. 키 플런저와 수용 섹션 간의 최소화된 허용 오차에 의해서 그리고 전환점을 위해서, 높은 전환 정확성, 짧은 전환 거리, 신속하게 도달된 전환점, 짧은 총 거리, 신속한 리턴 전환 그리고 키의 최소화된 기울어짐 및 비틀림 경향이 나타난다. 또한, 짧은 총 거리 및 신속한 리턴 전환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키 플런저는 작동 축을 따라 적합한 치수의 길이를 갖고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키 플런저에 의해서는, 사용자를 위한 키의 작동 느낌이 개선되고, 키를 작동할 때에는 전환점에 더 신속하게 도달할 뿐만 아니라 총 거리도 줄어든다.
키보드용 키의 키 모듈을 위한 한 가지 특히 바람직한 키 플런저는, 키의 키 헤드를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 섹션과, 키 플런저의 작동 시 키 모듈의 수용 섹션 내에서 키 플런저를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섹션을 구비하며, 이 가이드 섹션이, 키 플런저의 작동 시 키 모듈의 수용 섹션 내에서 슬라이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섹션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 경우에는, 키 플런저를 몰드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야기되는 키 플런저의 디몰딩 핀이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섹션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키보드는 하나 이상의 키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키당 하나의 키 모듈이 제공되어 있다. 하나의 키는 키 모듈을 구비할 수 있거나 이 키 모듈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키 모듈로서는, 예를 들어 소위 MX-모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전술된 키 모듈을 키보드에 사용하거나 내장함으로써, 키의 작동 시 키 플런저와 수용 섹션 간의 마찰이 최소로 될 수 있다. 키 헤드는, 조작자가 볼 수 있는 그리고 누름 동작에 의해서 조작할 수 있는 키 모듈의 한 부분일 수 있다. 키 플런저의 커플링 섹션은 키 헤드에 기계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키 모듈이 결합된 상태에서, 키 플런저의 가이드 섹션은, 키 플런저의 작동 축 또는 세로 연장 축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키 모듈의 수용 섹션 내에 수용될 수 있다. 가이드 섹션은, 작동시에 키 플런저를 수용 섹션 내에서 허용 오차 범위 안에 있는 선형의 이동 경로 상에서 가이드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섹션은 가이드 섹션 내에 실질적으로 평탄한 키 플런저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이때,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섹션은, 키 모듈의 수용 섹션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그리고 수용 섹션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라, 가이드 섹션은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섹션의 한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라운딩 처리된 에지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는, 키 모듈 내에서의 작동 운동 중에 키 플런저가 이와 같은 에지 라운딩 처리에 의해 개선된 슬라이딩 특성을 갖는다는 장점을 제공해준다.
또한, 가이드 섹션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섹션 내에서 표면 조도를 최소화하기 위해 표면 처리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섹션의 하나 이상의 표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섹션 내에서 광택 처리 등의 방식으로 처리될 수 있다. 특히, 가이드 섹션은 적어도 한 부분 섹션에 표면 정련된 플라스틱 재료를 구비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오로지 또는 다른 무엇보다도 표면 정련된 폴리옥시메틸렌(POM)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는, 키 플런저의 경우에 키 모듈에 대해 상대적인 슬라이딩 특성의 개선 및 표면 조도의 감소에 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해준다. 이와 같은 장점에는 또한 특히 실질적으로 가이드 섹션의 사용된 재료와 무관하게 도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키 플런저에서 또는 이 키 플런저의 가이드 섹션에서 표준에 따라 사용되고 추후에 표면 정련될 재료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가이드 섹션은 마찰을 최소화하는 플라스틱 재료로 또는 마찰을 최소화하는 첨가제를 함유하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마찰을 최소화하는 플라스틱 재료 또는 마찰을 최소화하는 첨가제를 함유하는 플라스틱 재료는 특히 낮은 표면 조도를 갖는다. 첨가제는 개선된 슬라이딩 특성을 야기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첨가제는 특히 오일 또는 지방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는, 가이드 섹션의 개선된 슬라이딩 특성 및 개선된 표면 조도를 갖는 키 플런저가 구현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해준다. 이때, 바람직하게 가이드 섹션의 마찰을 최소화하는 특성은 이미 재료 측면에서 고려될 수 있다.
특히,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섹션은 키 플런저의 작동 축을 따라 가이드 섹션 치수의 적어도 2/3에 걸쳐 작동 축을 따라 연장된다. 이와 같은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섹션의 상기 유형의 길이 치수가 키 모듈의 수용 섹션 내에서 키 플런저의 높은 가이드 정확성 및 적은 가이드 유격을 야기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해준다.
키보드용 키의 특히 바람직한 키 모듈은 키 플런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섹션을 갖는 모듈 하우징을 구비하며, 키 모듈이 전술된 키 플런저의 한 실시예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 경우 키 플런저의 가이드 섹션은 키 모듈의 수용 섹션 내에 수용 가능하거나 수용되어 있다.
키 모듈과 관련하여, 키 모듈 내에서 키 플런저의 슬라이딩 특성의 개선을 야기하기 위하여, 전술된 키 플런저의 한 실시예 또는 변형예가 사용 또는 이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라, 키 플런저의 작동 축을 따라 측정된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섹션의 치수와 작동 축을 따라 측정된 수용 섹션의 치수는, 모듈 하우징을 기준으로 정지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서 키 플런저의 작동 시 키 플런저의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섹션이 대체로 모듈 하우징의 수용 섹션 내부에 배치되도록 상호 매칭될 수 있다. 이때,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섹션은 작동 중에 작동 축에 대하여 자신의 치수의 적어도 절반을 따라 수용 섹션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키 플런저 혹은 키 모듈 또는 키의 정지 위치는 부하를 받지 않거나 낮은 압력을 받지 않는 키의 상태에 상응할 수 있다. 키 플런저 혹은 키 모듈 또는 키의 작동 위치는 부하를 받거나 낮은 압력을 받는 키의 상태에 상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는, 키 플런저의 작동 시 키 모듈의 수용 섹션 내에서 키 플런저의 높은 가이드 정확성 및 적은 가이드 유격에 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해준다.
키보드용 키의 키 모듈을 제조하기 위한 특히 바람직한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구비한다:
키 플런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섹션을 갖는 모듈 하우징 및 전술된 키 플런저의 한 실시예를 제공하는 단계; 및
키 플런저의 작동 시 키 플런저의 가이드 섹션의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섹션이 모듈 하우징의 수용 섹션 내에서 슬라이딩되도록, 모듈 하우징의 수용 섹션 내에 키 플런저의 가이드 섹션을 배치하는 단계.
이 방법은, 전술된 바와 같은 키 플런저 혹은 키 모듈의 한 실시예 또는 변형예와 연계하여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다. 이 방법을 실시함으로써, 키 모듈 내에서 키 플런저의 바람직하고 개선된 슬라이딩 특성을 갖는 전술된 키 모듈의 한 실시예 또는 변형예가 만들어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라, 제공 단계에서는 키 플런저가 적어도 가이드 섹션의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섹션 내에서 표면 조도를 최소화하기 위해 표면 처리될 수 있다. 특히 이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섹션이 광택 처리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표면 정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는, 이러한 방식으로 표면 처리된 가이드 섹션을 갖는 키 플런저가 이 키 플런저의 작동과 관련하여 특히 우수한 슬라이딩 특성을 갖는다는 장점을 제공해준다. 이와 같은 표면 처리는,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재료로 이루어진 키 플런저에 개선된 슬라이딩 특성을 제공할 수 있는 유리한 가능성을 형성한다.
또한, 제공 단계에서는 적어도 키 플런저의 가이드 섹션이 마찰을 최소화하는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또는 마찰을 최소화하는 첨가제를 함유하는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마찰을 최소화하는 플라스틱 재료 또는 마찰을 최소화하는 첨가제를 함유하는 플라스틱 재료는 마찰을 최소화하는 특성을 갖는 슬라이딩 표면의 형성과 관련하여 적합하게 선택되어 있거나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는, 키 플런저가 적합한 재료 선택으로 인해 키 플런저의 작동과 관련하여 특히 우수한 슬라이딩 특성을 갖는다는 장점을 제공해준다. 이 경우에는 또한 바람직하게, 제조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섹션의 후속적인 표면 처리가 생략될 수 있거나, 특성을 더욱더 개선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섹션의 표면 처리가 추가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키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키 플런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키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다양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고 유사하게 작용하는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 부호들이 사용되며, 이들 요소들과 관련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1은, 키 모듈(100)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키 모듈(100)은 모듈 베이스(110), 모듈 커버(120) 및 수용 섹션(130)을 갖는 모듈 하우징(105), 그리고 커플링 섹션(150) 및 가이드 섹션(160)을 갖는 키 플런저(140)를 구비한다. 키 모듈(100)은 예를 들어 키보드용 키의 부분이다. 키 모듈(100)로서는, 예를 들어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되고 기술된 키 모듈 또는 유사한 키 모듈이 사용된다. 키 플런저(140)로서는, 예를 들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되고 기술된 키 플런저 또는 유사한 키 플런저가 사용된다.
모듈 베이스(110)와 모듈 커버(120)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때, 모듈 베이스(110)와 모듈 커버(120)는 키 모듈(100)의 모듈 하우징(105)을 형성한다. 키 모듈(100)의 수용 섹션(130)은, 모듈 커버(120)로부터 출발하여 키 모듈(100)의 모듈 하우징(105)의 하나 이상의 부분 섹션을 통과해서 연장되는 하나의 수용 덕트로서 형성되어 있다.
키 플런저(140)는 수용 섹션(130) 내에 부분적으로 수용되어 있다. 이때, 키 플런저(140)의 커플링 섹션(15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키 모듈(100)의 모듈 하우징(105)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커플링 섹션(150)은, 키 헤드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키 플런저(140)의 가이드 섹션(160)은 키 모듈(100)의 수용 섹션(130)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어 있다.
작동할 때에는, 키 플런저(140)가 모듈 베이스(110) 및 모듈 커버(120)에 의해서 형성된 키 모듈(100)의 모듈 하우징(105)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 1에서 명시적으로 확인할 수 없다 하더라도, 작동시 키 플런저(140)가 따라서 이동할 수 있는 키 플런저(140)의 작동 축은, 키 모듈(100)의 수용 섹션(130)의 세로 연장 축을 따라서 연장된다.
도 2a는, 키보드 키의 키 모듈을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키 플런저(140)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키 플런저(140)는 커플링 섹션(150), 가이드 섹션(160) 및 복수의 슬라이딩 섹션(262) 혹은 슬라이딩 면 혹은 가이드 면을 구비하며, 그 중에서 도 2a에는 예로서 그리고 도면 조건으로 인해 단 4개의 슬라이딩 섹션(262)만 도시되어 있다. 키 플런저(140)로서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키 모듈의 키 플런저가 사용된다.
키 플런저(140)는 직사각형의 베이스 면 혹은 베이스 평면을 구비하며, 이 베이스 면 혹은 베이스 평면으로부터 출발해서 커플링 섹션(150)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가이드 섹션(160)은 제1 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된다. 커플링 섹션(150)은 십자 모양의 외부 윤곽을 갖고, 베이스 면으로부터 출발해서 제1 방향으로 압출 성형되어 있다. 가이드 섹션(160)은, 박스 모양으로 제2 방향으로 압출 성형 되었고 4개의 측벽을 갖는 외부 섹션, 및 원통형으로 제2 방향으로 압출 성형 되었고 상기 외부 섹션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인 내부 섹션을 구비한다. 내부 섹션이 도 2a의 도시에서는 외부 섹션에 의해 은폐되어 있지만, 도 2b의 도시에서는 볼 수 있다.
슬라이딩 섹션(262)은 가이드 섹션(160)의 외부 섹션에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딩 섹션(262)은 도 2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광택 처리된 가이드 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슬라이딩 섹션(262)은, 키 플런저(140)의 작동 시 키 플런저와 키 모듈 사이에서 미끄럼 방식의 마찰 최소화된 상대 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섹션(160)은 커플링 섹션(150) 쪽을 향하는 그리고 베이스 면에 대하여 이웃하는 제1 단부 영역을 구비한다. 또한, 가이드 섹션(160)은 커플링 섹션(150) 및 베이스 면으로부터 떨어져서 마주한 제2 단부 영역을 구비한다. 슬라이딩 섹션(262)은 가이드 섹션(160)의 제1 단부 영역으로부터 출발하여 키 플런저(140)의 외부 면에서 가이드 섹션(160)의 제2 단부 영역 쪽으로 연장된다. 이 경우에 예를 들어 슬라이딩 섹션(262)은 제1 단부 영역과 제2 단부 영역 사이에서 가이드 섹션(160)의 치수의 적어도 2/3에 걸쳐 연장된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키 플런저(140)의 다른 사시도를 보여준다. 이때, 본 도면에는 키 플런저(140) 중에서 커플링 섹션(150), 가이드 섹션(160), 원통형으로 압출 성형되었고 외부 섹션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저널(264)(journal)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 섹션(160)의 내부 섹션 및 라운딩 처리된 에지(266)가 도시되어 있다.
저널(264)은 예를 들어 가이드 섹션(160)의 또 다른 슬라이딩 섹션을 나타낸다. 라운딩 처리된 에지(266)는 가이드 섹션(160)의 외부 섹션에서 슬라이딩 섹션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며, 특히 적어도 가이드 섹션(160)의 제2 단부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저널(264)은 가이드 섹션(160)의 제2 단부 영역에 라운딩 처리된 에지(266)를 구비한다.
도 2a 및 도 2b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키 플런저(140) 또는 키 플런저의 가이드 섹션(160)은 슬라이딩 섹션(262)의 영역에 디몰딩 핀을 구비하지 않는다.
도 3a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키 모듈(100)의 부분 사시도를 비스듬한 평면도로 보여준다. 키 모듈(100)은 예를 들어 키보드용 키의 부분이다. 키 모듈(100) 중에서 도 3a의 도시에는 모듈 커버(120), 수용 섹션(130) 및 가이드 요소(332)를 갖는 모듈 하우징(105), 그리고 커플링 섹션(150) 및 가이드 섹션(160)을 갖는 키 플런저(140)가 도시되어 있다. 모듈 하우징(105)으로서는, 도 1에 도시된 모듈 하우징(105) 또는 유사한 모듈 하우징이 사용된다. 키 플런저(140)로서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키 플런저가 사용된다.
키 모듈(100)의 수용 섹션(130)은, 모듈 커버(120)로부터 출발하여 키 모듈(100)의 모듈 하우징(105)의 하나 이상의 부분 섹션을 통과해서 연장되는 하나의 수용 덕트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 3a에는 도면 조건으로 인해 도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모듈 하우징(105)의 모듈 커버(120)는 예를 들어 모듈 베이스와 연결되어 있다.
키 플런저(140)는 수용 섹션(130) 내부에 부분적으로 수용되어 있다. 이때, 키 플런저(140)의 커플링 섹션(15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키 모듈(100)의 모듈 하우징(105)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커플링 섹션(150)은, 키 헤드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키 플런저(140)의 가이드 섹션(160)은 키 모듈(100)의 수용 섹션(130)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어 있다.
작동시에는, 키 플런저(140)가 키 모듈(100)의 모듈 하우징(105)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 3a에서 명시적으로 확인할 수 없다 하더라도, 작동시 키 플런저(140)가 따라서 이동할 수 있는 키 플런저(140)의 작동 축은, 키 모듈(100)의 수용 섹션(130)의 세로 연장 축을 따라서 연장된다.
도 3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용 섹션(130) 내에는 복수의 - 다만 예로 든 4개의 - 가이드 요소(332)가 배치되어 있다. 이때, 가이드 요소(332)는 돌출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키 플런저(140)가 수용 섹션(130) 내에 배치된 경우, 가이드 요소(332)는 예를 들어 키 플런저(140)의 가이드 섹션(160)의 외부 섹션의 슬라이딩 섹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이때, 키 플런저(140)의 가이드 섹션(160)의 슬라이딩 섹션은 가이드 요소(332)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키 모듈(100)의 사시도를, 모듈 베이스가 제거된 상태에서 저면도로 보여준다. 키 모듈(100) 중에서 도 3b에는 모듈 하우징의 모듈 커버(120), 수용 섹션(130) 및 슬라이딩 섹션(262) 그리고 키 플런저의 저널(264)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슬라이딩 섹션(262)은 키 플런저의 가이드 섹션의 제1 단부 영역으로부터 출발하여 예를 들어 키 플런저의 가이드 섹션의 제2 단부 영역 내부까지 연장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키보드용 키의 키 모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400)의 흐름도를 보여준다. 이 방법(400)은, 키 플런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섹션을 갖는 모듈 하우징 및 키 플런저를 제공하는 단계(410)를 포함한다. 키 플런저로서는, 도 2a 내지 도 3b 중 한 도면에 도시된 키 플런저들 중 하나와 같은 키 플런저가 사용된다. 또한, 이 방법(400)은, 모듈 하우징의 수용 섹션 내에 키 플런저의 가이드 섹션을 배치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키 플런저의 작동 시 키 플런저의 가이드 섹션의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섹션이 모듈 하우징의 수용 섹션 내에서 슬라이딩 되는 단계(420)를 포함한다. 방법(400)을 실시함으로써, 도 3a 및 도 3b 중 한 도면에 도시된 키 모듈들 중 하나와 같은 키 모듈이 바람직하게 제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라, 제공 단계(410)에서는 키 플런저가 적어도 가이드 섹션의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섹션 내에서 표면 조도를 최소화하기 위해 표면 처리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라, 제공 단계(410)에서는 적어도 키 플런저의 가이드 섹션이 마찰을 최소화하는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또는 마찰을 최소화하는 첨가제를 함유하는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형성된다.
위에서 기술되었고 각각의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다만 예로서만 선택되었다. 상이한 실시예들이 전체적으로 또는 개별 특징들과 관련해서 상호 조합될 수 있다. 또한, 한 가지 실시예는 또 다른 한 가지 실시예의 특징들에 의해서 보완될 수도 있다. 위에서 기술된 방법의 단계들은 반복해서 실시될 수 있다.
100: 키 모듈
105: 모듈 하우징
110: 모듈 베이스
120: 모듈 커버
130: 수용 섹션
140: 키 플런저
150: 커플링 섹션
160: 가이드 섹션
262: 슬라이딩 섹션 또는 가이드 면 또는 슬라이딩 면
264: 저널
266: 라운딩 처리된 에지
332: 가이드 요소
400: 제조 방법
410: 제공 단계
420: 배치 단계

Claims (10)

  1. 키보드용 키의 키 모듈(100)을 위한 키 플런저(140)이며, 키 플런저(140)는 베이스 평면, 키의 키 헤드를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 섹션(150), 및 키 플런저(140)의 작동 시 키 모듈(100)의 수용 섹션(130) 내에서 키 플런저(140)를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섹션(160)을 구비하는, 키보드용 키의 키 모듈을 위한 키 플런저에 있어서,
    커플링 섹션(150)은 베이스 평면으로부터 연장되고,
    가이드 섹션(160)은, 박스 모양으로 베이스 평면으로부터 연장되고, 4개의 측벽을 갖는 외부 섹션, 및 원통형으로 베이스 평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외부 섹션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인 내부 섹션(264)을 갖고,
    가이드 섹션(160)은, 키 플런저(140)의 작동 시 키 모듈(100)의 수용 섹션(130) 내에서 슬라이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섹션(262)을 구비하며,
    돌출부로서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 요소(332)가 수용 섹션(130) 내에 배치되고,
    키 플런저(140)를 몰드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야기되는 키 플런저(140)의 디몰딩 핀(demolding fin)들이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섹션(262) 외부에 배치되어 있고, 슬라이딩 섹션(262)의 영역에 있지 않고,
    가이드 섹션(160)은,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섹션(262)의 한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라운딩 처리된 에지(266)를 갖고,
    키 플런저(140)의 가이드 섹션(160)의 슬라이딩 섹션(262)은 가이드 요소(332)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키보드용 키의 키 모듈을 위한 키 플런저(140).
  2. 제1항에 있어서, 가이드 섹션(16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섹션(262) 내에서 표면 조도를 최소화하기 위해 표면 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용 키의 키 모듈을 위한 키 플런저(14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가이드 섹션(160)은 마찰을 최소화하는 플라스틱 재료로 또는 마찰을 최소화하는 첨가제를 함유하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용 키의 키 모듈을 위한 키 플런저(140).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섹션(262)은 키 플런저(140)의 작동 축을 따라 가이드 섹션(160) 치수의 적어도 2/3에 걸쳐 작동 축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용 키의 키 모듈을 위한 키 플런저(140).
  5. 키보드용 키의 키 모듈(100)이며, 키 모듈(100)은 키 플런저(14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섹션(130)을 갖는 모듈 하우징을 구비하는, 키보드용 키의 키 모듈에 있어서,
    키 모듈(100)은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키 플런저(140)를 구비하며, 키 플런저(140)의 가이드 섹션(160)은 키 모듈(100)의 수용 섹션(130) 내에 수용될 수 있거나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용 키의 키 모듈(100).
  6. 제5항에 있어서, 키 플런저(140)의 작동 축을 따라 측정된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섹션(262)의 치수와 작동 축을 따라 측정된 수용 섹션의(130) 치수는, 모듈 하우징을 기준으로 정지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서 키 플런저(140)의 작동 시 상기 키 플런저(140)의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섹션(262)이 작동 축에 대하여 자신의 치수의 적어도 절반을 따라 모듈 하우징의 수용 섹션(130) 내부에 배치되도록 상호 매칭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용 키의 키 모듈(100).
  7. 키보드용 키의 키 모듈(100)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400)으로서, 상기 방법(400)은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키 플런저(140) 및 키 플런저(14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섹션(130)을 갖는 모듈 하우징을 제공하는 단계(410)와;
    키 플런저(140)의 작동 시 키 플런저(140)의 가이드 섹션(160)의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섹션(262)이 모듈 하우징의 수용 섹션(130) 내에서 슬라이딩 되도록, 모듈 하우징의 수용 섹션(130) 내에 키 플런저(140)의 가이드 섹션(160)을 배치하는 단계(420)를 포함하는, 키보드용 키의 키 모듈을 제조하는 방법(400).
  8. 제7항에 있어서, 제공 단계(410)에서 키 플런저(140)는 적어도 가이드 섹션(160)의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섹션(262) 내에서 표면 조도를 최소화하기 위해 표면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용 키의 키 모듈을 제조하는 방법(400).
  9. 제7항에 있어서, 제공 단계(410)에서 적어도 키 플런저(140)의 가이드 섹션(160)은 마찰을 최소화하는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또는 마찰을 최소화하는 첨가제를 함유하는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용 키의 키 모듈을 제조하는 방법(400).
  10. 삭제
KR1020157034336A 2013-06-07 2014-05-05 키보드용 키의 키 모듈을 위한 키 플런저, 키보드용 키의 키 모듈, 및 키 모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21383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210609.2A DE102013210609A1 (de) 2013-06-07 2013-06-07 Tastenstößel für ein Tastenmodul einer Taste für eine Tastatur, Tastenmodul einer Taste für eine Tastatu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sselben
DE102013210609.2 2013-06-07
PCT/EP2014/059042 WO2014195069A1 (de) 2013-06-07 2014-05-05 TASTENSTÖßEL FÜR EIN TASTENMODUL EINER TASTE FÜR EINE TASTATUR, TASTENMODUL EINER TASTE FÜR EINE TASTATU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SSELB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6823A KR20160016823A (ko) 2016-02-15
KR102138309B1 true KR102138309B1 (ko) 2020-07-27

Family

ID=50639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4336A KR102138309B1 (ko) 2013-06-07 2014-05-05 키보드용 키의 키 모듈을 위한 키 플런저, 키보드용 키의 키 모듈, 및 키 모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468210B2 (ko)
EP (1) EP3005391B1 (ko)
JP (1) JP2016520242A (ko)
KR (1) KR102138309B1 (ko)
CN (2) CN204167170U (ko)
DE (1) DE102013210609A1 (ko)
WO (1) WO20141950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210609A1 (de) * 2013-06-07 2014-12-11 Zf Friedrichshafen Ag Tastenstößel für ein Tastenmodul einer Taste für eine Tastatur, Tastenmodul einer Taste für eine Tastatu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sselben
WO2017174074A1 (de) 2016-04-07 2017-10-12 Cherry Gmbh TASTENSTÖßEL FÜR EINE TASTE EINER TASTATUR UND TASTE FÜR EINE TASTATUR
KR101956432B1 (ko) * 2016-11-03 2019-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터치입력장치
DE102016121381A1 (de) 2016-11-08 2018-05-09 Cherry Gmbh Aufsteckelement zum Aufstecken auf ein Tastenmodul für eine Taste einer Tastatur und Tastenmodul für eine Taste einer Tastatur
DE102016123239A1 (de) 2016-12-01 2018-06-07 Cherry Gmbh Tastenmodul für eine Taste einer Tastatu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Tastenmoduls für eine Taste einer Tastatur
DE202018101604U1 (de) 2017-03-23 2018-04-04 Cherry Gmbh Tastenmodul für eine Taste einer Tastatur
US10393172B2 (en) * 2017-08-01 2019-08-27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Touchpad guided by a linear bearing
US11630524B1 (en) * 2021-12-09 2023-04-18 Majestic Devices Wireless input output apparatus
KR102523693B1 (ko) * 2022-07-19 2023-04-20 김영걸 소음 저감 기능이 향상된 키보드용 스테빌라이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6646A (ja) 2005-08-30 2007-03-15 Mitsubishi Electric Corp 押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26963A (en) * 1971-03-03 1973-08-15 Burgess Micro Switch Co Ltd Operating members for snapaction switches and a method of making said members
US3773997A (en) * 1971-12-13 1973-11-20 Datanetics Corp Key assembly diaphragm switch actuator with overtravel and feel mechanisms
DE3447085A1 (de) * 1984-12-22 1986-07-03 Marquardt Gmbh, 7201 Rietheim-Weilheim Tastenschalter
DE3713775C2 (de) 1987-04-24 1996-02-08 Cherry Mikroschalter Gmbh Tastenschalter
JPS63279531A (ja) * 1987-05-11 1988-11-16 Otsuka Chem Co Ltd 打鍵感触性を有するスイツチ部材
DE9113199U1 (ko) * 1991-10-23 1992-11-26 Cherry Mikroschalter Gmbh, 8572 Auerbach, De
JP2005209506A (ja) * 2004-01-23 2005-08-04 Calsonic Kansei Corp 車載用押しボタンスイッチ
CN101494128A (zh) * 2008-01-22 2009-07-29 珠海市东部天亿计算机设备厂 一种机械式薄膜键盘开关
CN202871645U (zh) * 2012-08-14 2013-04-10 钱江 改进型机械键盘用机械轴
DE102013210609A1 (de) * 2013-06-07 2014-12-11 Zf Friedrichshafen Ag Tastenstößel für ein Tastenmodul einer Taste für eine Tastatur, Tastenmodul einer Taste für eine Tastatu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sselbe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6646A (ja) 2005-08-30 2007-03-15 Mitsubishi Electric Corp 押釦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소48-076073호(1973.10.13)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95069A1 (de) 2014-12-11
CN104241000A (zh) 2014-12-24
EP3005391A1 (de) 2016-04-13
CN104241000B (zh) 2018-01-12
CN204167170U (zh) 2015-02-18
US20160133403A1 (en) 2016-05-12
US10468210B2 (en) 2019-11-05
KR20160016823A (ko) 2016-02-15
EP3005391B1 (de) 2017-07-12
JP2016520242A (ja) 2016-07-11
DE102013210609A1 (de) 2014-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8309B1 (ko) 키보드용 키의 키 모듈을 위한 키 플런저, 키보드용 키의 키 모듈, 및 키 모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CN104271283B (zh) 凸轮从动件布置结构
KR101310478B1 (ko) 렌즈 제조용 사출 금형
CN104078260B (zh) 键盘按键的按键模块的按键挺杆、按键模块和其制造方法
JP7167761B2 (ja) 回路基板用コネクタ
JP2017180575A (ja) 運動伝達装置、成形用金型及び機械類
TW201521995A (zh) 射出成型模具
CN205272503U (zh) 一种改良的模具组件
JP6324798B2 (ja) エジェクタ装置および成形金型
KR940005344A (ko) 골프공용 금형의 마스터의 제조방법
KR101696068B1 (ko) 두 가지 각도의 언더컷 동시 처리용 슬라이드 코어 조립체
JP3910572B2 (ja) ウォームに関連づけられた直線運動装置
CN105058694B (zh) 一种单型腔内实现双色注射的腔内切换机构
US9028244B1 (en) Lifter for an injection molding tool
TWI411734B (zh) A circulation element for ball screw
CN107030163A (zh) 冲压装置
CN114714564A (zh) 成型模具
JP2007210152A (ja) 樹脂成形品
JP6260960B2 (ja) 押釦スイッチ
CN211105433U (zh) 开模机构及注塑模具
KR101884341B1 (ko) 엔진피스톤의 오일갤러리 형성용 코어 제조장치의 상부금형
JP5954262B2 (ja) 金型装置
CN107984704B (zh) 注塑模具的抽芯导滑机构
CN108162313A (zh) 壳体的加工模具及加工方法、可穿戴设备
KR200224562Y1 (ko) 타정핀 성형용 다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