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8302B1 - 자동 필름 권취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필름 권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8302B1
KR102138302B1 KR1020200055114A KR20200055114A KR102138302B1 KR 102138302 B1 KR102138302 B1 KR 102138302B1 KR 1020200055114 A KR1020200055114 A KR 1020200055114A KR 20200055114 A KR20200055114 A KR 20200055114A KR 102138302 B1 KR102138302 B1 KR 102138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connecting rod
curved connect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5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운곤
Original Assignee
김운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운곤 filed Critical 김운곤
Priority to KR1020200055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83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8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8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8Web-wind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02Advancing webs by friction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26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transverse stationary or adjustable bar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2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longitudinal slitters or perf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6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 F16F15/067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using only wound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2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having an operating surface contacting only one face of the material, e.g. roller
    • B65H2301/44324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5Cutting handled material longitudi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5Plastic
    • B65H2701/1752Polymer fil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Of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단되지 않은 필름을 설정된 폭에 따라 자동으로 제단하면서 권취할 수 있도록 구현한 자동 필름 권취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단되지 않은 필름이 권취된 권취롤을 회전시켜 필름을 공급하는 권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 필름 권취 장치{AUTOMATIC FILM WINDING DEVICE}
본 발명은 자동 필름 권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단되지 않은 필름을 설정된 폭에 따라 자동으로 제단하면서 권취할 수 있도록 구현한 자동 필름 권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종래의 와인더는 이미 제작되어 있는 원통형으로 속이 중공된 보빈을 회동되도록 하는 작업대에 설치하는 것과, 이 보빈의 회동에 의해 외주면으로 필름이 소정의 규격길이로 감겨진 후 인위적인 동작으로 칼로서 대략의 위치에서 절단시킨 다음, 완성된 물품 즉 보빈의 주위로 필름이 감겨진 롤 형태의 제품을 보빈축으로부터 분리하고, 새로운 보빈을 작업대에 설치하는 작업에 이르기까지 일일이 수작업에 의해 그 공정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그러나, 다수의 숙련공이 항시 기기의 주변에 지키고 있는 상태에서 권취 완료를 관찰하고, 그 교체를 매 공정 마다 일일이 수작업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하는 결과로, 불필요한 인력의 낭비는 물론 제품 원가가 상승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완성품을 교체시키는 과정은 안전성 등을 고려하여 기기의 작동을 저지해야 하므로, 생산효율이 크게 저하되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또한, 자동으로 필름을 권취하고 지관을 교체하는 자동 와인더가 있지만, 이러한 자동 와인더의 경우 나이프 커팅 이후 원단의 탄성 및 에어 블로워에 의해 지관쪽으로 달라붙어 지관의 물림점에서 물고 들어가게 되며, 드럼 롤과의 들뜸현상이 지속되어 기관 중간 부위가 볼록하게 배가 부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12811호 한국등록특허 제10-1903487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제단되지 않은 필름을 다수 개의 이송 롤러를 이용하여 이송시키면서,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폭에 따라 필름의 양측 부분을 한꺼번에 자동으로 제단하는 동시에 권취할 수 있도록 구현한 자동 필름 권취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장치의 구동 또는 필름의 정리 등을 위한 안정적인 작업 공간을 제공하여 안정적인 구동을 보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송 중인 필름으로 안정적인 장력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이송 중인 필름이 찢어지는 등의 파손을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필름 권취 장치는, 제단되지 않은 필름이 권취된 권취롤을 회전시켜 필름을 공급하는 권출부; 상기 권출부로부터 공급되는 필름의 이송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변경하면서 전달하는 다수 개의 이송 롤러; 및 상기 다수 개의 이송 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필름을 기 설정된 폭으로 제단한 뒤 권취하는 제단 권취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필름 권취 장치는, 상기 다수 개의 이송 롤러 중 일 이송 롤러와 다른 이송 롤러 사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작업을 위해 상측에 올라가도록 하며, 상기 일 이송 롤러와 상기 다른 이송 롤러 사이를 이동 중인 필름이 하측의 공간을 통해 이동되도록 하는 발판부;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발판부는, 사용자가 올라가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지지하며, 사용자의 작업에 따라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서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감쇄시켜 주기 위한 발판 지지대;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측에 상기 발판 지지대가 설치되는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하측에 다수 개가 설치되며, 필름이 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플레이트를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발판 지지대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 지지 플레이트;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과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제1 지지 스프링;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대향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후단으로 이격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2 지지 플레이트;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과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제2 지지 스프링;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후단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가 하강함에 따라 승강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제1 보조 플레이트; 상기 제1 보조 플레이트의 상측과 상기 상부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제3 지지 스프링;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전단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가 하강함에 따라 승강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제2 보조 플레이트; 상기 제2 보조 플레이트의 상측과 상기 상부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제4 지지 스프링; 하측으로 둥근 "U" 형태로 형성되며, 전단 상측에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후단 상측에 상기 제1 보조 플레이트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가 하강함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제1 보조 플레이트를 승강시켜 주는 제1 곡선형 연결대; 상기 제1 곡선형 연결대의 형태에 대응하여 하측으로 둥근 "U" 형태로 형성되며, 후단 상측에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전단 상측에 상기 제2 보조 플레이트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가 하강함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제2 보조 플레이트를 승강시켜 주는 제2 곡선형 연결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곡선형 연결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곡선형 연결대의 하측이 안착되는 제1 지지 박스; 및 상기 제2 곡선형 연결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곡선형 연결대의 하측이 안착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가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곡선형 연결대 및 상기 제2 곡선형 연결대에 의해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측에서 상기 제1 지지 박스로부터 전단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2 지지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 박스는,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단 상측에 설치되는 제1 스프링;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단 상측에 설치되는 제2 스프링; 후단 하측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전단 하측이 상기 제1 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되는 제1 회전 박스; 전단 하측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에 상기 제1 회전 박스의 후단 하측과 함께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후단 하측이 상기 제2 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되어 전면이 상기 제1 회전 박스의 후면과 밀착되는 제2 회전 박스; 상기 제1 곡선형 연결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곡선형 연결대의 곡률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회전 박스의 전면 상측으로부터 후면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곡선형 안착홀; 및 상기 제1 곡선형 안착홀의 후단과 대향하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곡선형 연결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곡선형 연결대의 곡률에 대응하여 상기 제2 회전 박스의 전면 하측으로부터 후면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곡선형 안착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곡선형 연결대는, 상기 제1 회전 박스와 상기 제2 회전 박스의 각 상단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전단 및 후단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하부에 회동축을 형성하며, 상측면을 따라 제1 렉기어가 형성되고, 하측면을 따라 제2 렉기어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곡선형 안착홀 및 제2 곡선형 안착홀은, 내부 공간에 안착된 상기 제1 곡선형 연결대의 상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 개의 제1 지지 구조; 및 내부 공간에 안착된 상기 제1 곡선형 연결대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 개의 제2 지지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 구조는, 상기 제1 곡선형 안착홀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으로부터 상측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홈; 상기 연장홈의 상측에 설치되는 지지 스프링; 상기 연장홈에 안착되어 상기 지지 스프링에 의하여 상측이 지지되며, 상기 연장홈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 바아; "ㅅ"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바아의 하측에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ㅅ" 형 지지대; 상기 제1 "ㅅ" 형 지지대의 형태에 대응하여 "ㅅ"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ㅅ" 형 지지대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슬라이딩 바아의 하측에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ㅅ" 형 지지대; 및 상기 제1 "ㅅ" 형 지지대와 상기 제2 "ㅅ" 형 지지대의 하부 전단 사이 및 하부 후단 사이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렉기어에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제1 곡선형 연결대가 상기 제1 곡선형 안착홀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제1 곡선형 연결대의 상측을 지지하는 두 개의 회전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필름 권취 장치는, 이송 중인 필름의 상측에 안착되어 필름을 지지하는 이송 롤러의 양측 각 상측에 설치되어 이송 롤러를 지지하는 롤러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롤러 지지대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이송 롤러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 상측을 지지하는 하판; 상기 하판의 형태에 대응하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상판; 상기 하판의 상측 중심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상판의 하측 중심 부위를 지지하는 중간 지지부; 및 상기 하판의 상측 각 모서리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상판의 하측 각 모서리 부위를 지지하는 4 개의 모서리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간 지지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하측에 반구 형태의 상부 안착홈이 형성되는 상부 원통; 상기 상부 원통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원통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측에 반구 형태의 하부 안착홈이 형성되는 하부 원통; 구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가 상기 상부 안착홈에 안착되고 하부가 상기 하부 안착홈에 안착되어 상기 상부 원통과 상기 하부 원통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 구체; 및 상기 상부 원통과 상기 하부 원통 사이를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원통과 상기 하부 원통 사이를 지지하는 다수 개의 지지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원통은, 상기 하부 안착홈에 안착된 상기 지지 구체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안착홈을 따라 방사형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 개의 구체 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체 지지부는, 중심축이 상기 지지 구체의 중심을 향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홈; 상기 하부홈의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 스프링; 상기 하부홈에 안착되어 상기 하부 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하부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측 테두리를 따라 안착링을 형성하여 상기 하부홈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안착턱에 안착되어 상기 하부홈에서 하강되지 아니하도록 지지되는 지지 바아; 및 상부 일부가 노출되어 상기 지지 구체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바아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안착 구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구체는, 구체를 상부 및 하부로 구분할 수 있도록 구의 중심을 지나고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원판; 및 상기 4 개의 모서리 지지부와 대향하는 상기 지지 원판의 각 테두리에 설치되며,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상부 원통의 상측에 설치되는 상부 원판과 상기 하부 원통의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 원판 사이를 지지하는 4 개의 원판 지지대;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롤러 지지대는, 상기 원판 지지대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모서리 지지부를 승강시켜 주기 위한 승강 링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승강 링크부는, 상기 원판 지지대의 하측에 일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다른 일측이 상기 모서리 지지부를 바라보며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제1 바아; 상기 제1 바아의 일측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바아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탄성 지지대; 상기 하판의 내부를 따라 상기 모서리 지지부의 하측까지 연장 형성되는 설치 터널의 일측 바닥면에 일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일측 상측에 상기 제1 탄성 지지대가 설치되며, 다른 일측이 상기 모서리 지지부를 바라보며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바아의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바아;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설치 터널의 내부에 안착되며, 일측에 상기 제1 바아와 상기 제2 바아가 함께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탄성 지지대가 하강하여 상기 제1 바아와 상기 제2 바아의 각 일측 사이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기 모서리 지지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3 바아; 상기 설치 터널의 다른 일측 바닥면에 다른 일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일측이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3 바아의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4 바아; 상기 제4 바아의 다른 일측 상측에 설치되는 제2 탄성 지지대; 다른 일측 하측이 상기 제2 탄성 지지대에 의하여 지지되며, 일측이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3 바아의 다른 일측에 상기 제4 바아와 함께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5 바아; 및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부가 상기 제5 바아의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3 바아가 상기 모서리 지지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4 바아와 상기 제5 바아의 각 다른 일측 사이의 간격이 벌어짐에 따라 승강되어 상기 모서리 지지부를 승강시켜 주는 제6 바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서리 지지부는, 상기 하판의 일 모서리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대; 상기 제6 바아가 수직 방향으로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지지대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슬라이딩 관통홀; 및 상측이 밀폐된 원형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의 상측에 안착되어 상기 제6 바아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제6 바아가 승강함에 따라 승강되는 상부캡;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제단되지 않은 필름을 다수 개의 이송 롤러를 이용하여 이송시키면서,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폭에 따라 필름의 양측 부분을 한꺼번에 자동으로 제단함으로써, 제단과 권취를 개별적인 수작업으로 할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으며, 또한 각각의 공정을 동시에 수행되도록 하여 필름 제단 및 권취에 필요로 하는 가공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장치의 구동 또는 필름의 정리 등을 위한 안정적인 작업 공간을 제공하여 안정적인 구동을 보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송 중인 필름으로 안정적인 장력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이송 중인 필름이 찢어지는 등의 파손을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필름 권취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필름 권취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발판 지지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제1 지지 박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제2 회전 박스와 제1 곡선형 연결대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제1 곡선형 연결대와 제1 회전 박스 및 제2 회전 박스 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제1 회전 박스와 제2 회전 박스의 회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지지 구조 및 제2 지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2의 롤러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9의 중간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2는 도 11의 구체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구체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5는 도 3의 롤러 지지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모서리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필름 권취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필름 권취 장치(10)는, 권출부(100), 다수 개의 이송 롤러(200-1 내지 200-7) 및 제단 권취부(300)를 포함한다.
권출부(100)는, 제단되지 않은 필름(F)이 권취된 권취롤(R)을 회전시켜 필름(F)을 공급한다.
이송 롤러(200-1 내지 200-7)는, 권출부(100)로부터 공급되는 필름(F)의 이송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변경하면서 제단 권취부(300)로 전달한다.
제단 권취부(300)는, 다수 개의 이송 롤러 제단 권취부(300)에 의해 이송되는 필름(F)을 기 설정된 폭으로 제단한 뒤 권취(R2)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단 권취부(300)는, 절단 롤러(310) 및 권취롤(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절단 롤러(310)은, 이송 롤러(120)를 구성하는 하나의 롤러와 대향하며 설치되며, 외측을 따라 설치된 회전날을 이용하여 제1 필름롤(110)로부터 공급되는 필름(F)을 기 설정된 폭으로 제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절단 롤러(3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6번 이송 롤러(200-6)와 밀착되어 설치되며, 외측면을 따라 형성된 회전날(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하여 6번 이송 롤러(200-6)를 경유하여 이송되고 있는 필름(F)을 절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절단 롤러(310)는, 6번 이송 롤러(200-6)의 양측에 기 설정된 간격(즉,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필름(F)의 폭에 따른 간격 등)으로 이격 배치됨으로써, 6번 이송 롤러(200-6)를 경유하여 이송되고 있는 필름(F)을 해당 간격의 폭으로 절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절단 롤러(31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대향하며 설치되는 이송 롤러(200-6)의 종류를 변경할 수 있다.
권취롤(320은, 절단 롤러(310)에 의하여 일측 또는 양측이 제단된 필름(F)을 7번 이송 롤러(200-7)를 경유하여 전달받아 권취(R2)해 둔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필름 권취 장치(10)는, 제단되지 않은 필름(F)을 다수 개의 이송 롤러를 이용하여 이송시키면서,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폭에 따라 필름(F)의 양측 부분을 한꺼번에 자동으로 제단함으로써, 제단과 권취를 개별적인 수작업으로 할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으며, 또한 각각의 공정을 동시에 수행되도록 하여 필름 제단 및 권취에 필요로 하는 가공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필름 권취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필름 권취 장치(20)는, 권출부(100), 다수 개의 이송 롤러(200-1 내지 200-7), 제단 권취부(300) 및 발판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권출부(100), 다수 개의 이송 롤러(200-1 내지 200-7) 및 제단 권취부(3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발판부(400)는, 다수 개의 이송 롤러(200) 중 일 이송 롤러(200-3, 즉 3번 롤러)와 다른 이송 롤러(200-4, 즉 4번 롤러) 사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작업을 위해 상측에 올라가도록 하며, 일 이송 롤러(200-3)와 다른 이송 롤러(200-4) 사이를 이동 중인 필름(F)이 하측의 공간을 통해 이동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발판부(400)는, 상부 플레이트(410), 발판 지지대(500), 하부 플레이트(430) 및 지지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410)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올라가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며, 하부 플레이트(430)의 상측에서 발판 지지대(420)에 의하여 지지된다.
발판 지지대(420)는, 하부 플레이트(43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부 플레이트(410)의 하측, 즉 하부 플레이트(430)의 상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부 플레이트(410)를 지지하며, 사용자의 작업에 따라 상부 플레이트(41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감쇄시켜 준다.
하부 플레이트(430)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 플레이트(410)의 하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측에 발판 지지대(420)가 설치되며, 지지대(440)에 의하여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지지된다.
지지대(440)는, 하부 플레이트(430)의 하측에 다수 개가 설치되며, 필름(F)이 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부 플레이트(430)를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필름 권취 장치(20)는, 롤러 지지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롤러 지지대(600)는, 이송 롤러(200-3, 200-4)가 일정한 탄성력으로 필름(F)을 눌러 일정한 장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이송 중인 필름(F)의 상측에 안착되어 필름(F)을 지지하는 이송 롤러(200)의 양측 각 상측에 설치되어 이송 롤러(200)를 지지한다.
이때, 롤러 지지대(600)가 설치될 수 있는 이송 롤러(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번 및 4번 롤러(200-3, 200-4)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번 및 5번 롤러(200-2, 200-5)의 하측에 설치되어 2번 및 5번 롤러(200-2, 200-5)를 상측 방향으로 승강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필름 권취 장치(20)는, 장치의 구동 또는 필름(F)의 정리 등을 위한 안정적인 작업 공간을 제공하여 안정적인 구동을 보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송 중인 필름(F)으로 안정적인 장력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이송 중인 필름(F)이 찢어지는 등의 파손을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발판 지지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발판 지지대(500)는, 제1 지지 플레이트(510), 제1 지지 스프링(510S), 제2 지지 플레이트(520), 제2 지지 스프링(520S), 제1 보조 플레이트(530), 제3 지지 스프링(530S), 제2 보조 플레이트(540), 제4 지지 스프링(540S), 제1 곡선형 연결대(550), 제2 곡선형 연결대(560), 제1 지지 박스(570) 및 제2 지지 박스(580)를 포함한다.
제1 지지 플레이트(510)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제1 곡선형 연결대(550)에 의해 제1 보조 플레이트(530)와 연결 설치되며, 상부 플레이트(410)의 하측을 지지하며, 제1 지지 스프링(510S)에 의하여 지지되며, 하강함에 따라 제1 보조 플레이트(530)를 승강시켜 준다.
제1 지지 스프링(510S)은, 제1 지지 플레이트(510)의 하측과 하부 플레이트(430)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지지 플레이트(510)를 지지한다.
제2 지지 플레이트(520)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제2 곡선형 연결대(560)에 의해 제2 보조 플레이트(540)와 연결 설치되며, 제1 지지 플레이트(510)와 대향하며 제1 지지 플레이트(510)의 후단으로 이격되어 상부 플레이트(410)의 하측을 지지하며, 제2 지지 스프링(520S)에 의하여 지지되며, 하강함에 따라 제2 보조 플레이트(540)를 승강시켜 준다.
제2 지지 스프링(520S)은, 제2 지지 플레이트(520)의 하측과 하부 플레이트(430)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지지 플레이트(510)를 지지한다.
제1 보조 플레이트(530)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제1 곡선형 연결대(550)에 의해 제1 지지 플레이트(510)와 연결 설치되며, 제2 지지 플레이트(520)의 후단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제1 지지 플레이트(510)가 하강함에 따라 승강되어 상부 플레이트(410)를 지지하며, 상부 플레이트(410)와의 사이에 제3 지지 스프링(530S)이 설치된다.
이때, 제1 보조 플레이트(530)는, 제1 지지 플레이트(510)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야 할 것이다.
제3 지지 스프링(530S)은, 제1 보조 플레이트(530)의 상측과 상부 플레이트(410)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부 플레이트(410)를 지지한다.
제2 보조 플레이트(540)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제2 곡선형 연결대(560)에 의해 제2 지지 플레이트(520)와 연결 설치되며, 제2 지지 플레이트(520)가 하강함에 따라 승강되어 상부 플레이트(410)를 지지하며, 상부 플레이트(410)와의 사이에 제4 지지 스프링(540S)이 설치된다.
이때, 제2 보조 플레이트(540)는, 제2 보조 플레이트(540)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야 할 것이다.
제4 지지 스프링(540S)은, 제2 보조 플레이트(540)의 상측과 상부 플레이트(410)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부 플레이트(410)를 지지한다.
제1 곡선형 연결대(550)는, 하측으로 둥근 "U" 형태로 형성되며, 전단 상측에 제1 지지 플레이트(510)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후단 상측에 제1 보조 플레이트(530)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1 지지 플레이트(510)가 하강함에 따라 회전하여 제1 보조 플레이트(530)를 승강시켜 준다.
제2 곡선형 연결대(560)는, 제1 곡선형 연결대(550)의 형태에 대응하여 하측으로 둥근 "U" 형태로 형성되며, 후단 상측에 제2 지지 플레이트(520)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전단 상측에 제2 보조 플레이트(540)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2 지지 플레이트(520)가 하강함에 따라 회전하여 제2 보조 플레이트(540)를 승강시켜 준다.
제1 지지 박스(570)는, 하부 플레이트(430)의 상측에 설치되며, 제1 곡선형 연결대(55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제1 곡선형 연결대(550)의 하측이 안착된다.
제2 지지 박스(580)는, 제2 곡선형 연결대(56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제2 곡선형 연결대(560)의 하측이 안착되며, 제1 지지 플레이트(510)와 제2 지지 플레이트(520)가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제1 곡선형 연결대(550) 및 제2 곡선형 연결대(560)에 의해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하부 플레이트(430)의 상측에서 제1 지지 박스(570)로부터 전단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발판 지지대(500)는, 상부 플레이트(410)와 하부 플레이트(430) 사이를 지지함으로써, 발판부(400)에 탑승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움직임에 따른 진동이나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작업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제1 지지 박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지지 박스(570)는, 베이스 플레이트(571), 제1 스프링(572), 제2 스프링(573), 제1 회전 박스(574), 제2 회전 박스(575), 제1 곡선형 안착홀(576) 및 제2 곡선형 안착홀(577)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지지 박스(580)는, 제1 지지 박스(570)와 이격되어 설치되나,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베이스 플레이트(571)는,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부 플레이트(430)에 설치된다.
제1 스프링(572)은, 베이스 플레이트(571)의 전단 상측에 설치되어 제1 회전 박스(574)의 전단 하측(574a)을 지지한다.
제2 스프링(573)은, 베이스 플레이트(571)의 후단 상측에 설치되어 제2 회전 박스(575)의 후단 하측(575a)을 지지한다.
제1 회전 박스(574)는, 후단 하측이 베이스 플레이트(571)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전단 하측(574a)이 제1 스프링(572)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2 회전 박스(575)는, 전단 하측이 베이스 플레이트(571)의 상측에 제1 회전 박스(574)의 후단 하측과 함께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A)되고, 후단 하측(575a)이 제2 스프링(573)에 의하여 지지되어 전면이 제1 회전 박스(574)의 후면과 밀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회전 박스(575)는, 제1 곡선형 연결대(550)가 제1 보조 플레이트(530)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저지할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곡선형 연결대(550)의 후단 하측에 설치되는 제1 고리(B1)과 후면에 설치되는 제2 고리(B2)에 각 단부가 설치되는 저지 스프링(S)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곡선형 안착홀(576)는, 제1 곡선형 연결대(550)가 안착되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곡선형 연결대(550)의 곡률에 대응하여 제1 회전 박스(574)의 전면 상측으로부터 후면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2 곡선형 안착홀(577)은, 제1 곡선형 안착홀(576)의 후단과 대향하며 연장 형성되어 제1 곡선형 연결대(550)가 안착되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곡선형 연결대(550)의 곡률에 대응하여 제2 회전 박스(575)의 전면 하측으로부터 후면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곡선형 안착홀(576) 및 제2 곡선형 안착홀(577)은, 내부 공간에 안착된 제1 곡선형 연결대(550)의 상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 개의 제1 지지 구조(578) 및 내부 공간에 안착된 제1 곡선형 연결대(550)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 개의 제2 지지 구조(579)를 구비할 수 있다(도 8 참조).
제1 지지 구조(578)는, 내부 공간에 안착된 제1 곡선형 연결대(550)의 상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제1 곡선형 안착홀(576) 또는 제2 곡선형 안착홀(577)의 상측면을 따라 형성된다(도 8 참조).
제2 지지 구조(579)는, 내부 공간에 안착된 제1 곡선형 연결대(550)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제1 곡선형 안착홀(576) 또는 제2 곡선형 안착홀(577)의 하측면을 따라 형성된다(도 8 참조).
일 실시예에서, 제1 곡선형 연결대(5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 박스(574)와 제2 회전 박스(575)의 각 상단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전단 및 후단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회동축(551)을 형성하며, 상측면을 따라 제1 렉기어(552)가 형성되고, 하측면을 따라 제2 렉기어(553)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지지 구조 및 제2 지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지지 구조(578)는, 연장홈(5781), 지지 스프링(5782), 슬라이딩 바아(5783), 제1 “ㅅ” 형 지지대(5784), 제2 “ㅅ” 형 지지대(5785) 및 두 개의 회전 기어(5786)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지지 구조(579)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 구조(578)의 구성요소와 상하 대칭구조로서 각각의 구성요소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연장홈(5781)은, 제1 곡선형 안착홀(576)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으로부터 상측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측에 지지 스프링(5782)이 설치되고, 슬라이딩 바아(5783)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지지 스프링(5782)은, 연장홈(5781)의 상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슬라이딩 바아(5783)를 지지한다.
슬라이딩 바아(5783)는, 연장홈(5781)에 안착되어 지지 스프링(5782)에 의하여 상측이 지지되며, 연장홈(5781)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하측에 제1 “ㅅ” 형 지지대(5784) 및 제2 “ㅅ” 형 지지대(5785)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1 “ㅅ” 형 지지대(5784)는, 제1 “ㅅ” 형 지지대(5784)로부터 슬라이딩 바아(5783)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ㅅ" 형태로 형성되어 슬라이딩 바아(5783)의 하측에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2 “ㅅ” 형 지지대(5785)는, 제1 “ㅅ” 형 지지대(5784)의 형태에 대응하여 "ㅅ" 형태로 형성되며, 제1 “ㅅ” 형 지지대(5784)로부터 슬라이딩 바아(5783)를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슬라이딩 바아(5783)의 하측에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회전 기어(5786)는, 제1 “ㅅ” 형 지지대(5784)와 제2 “ㅅ” 형 지지대(5785)의 하부 전단 사이 및 하부 후단 사이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1 렉기어(552)에 맞물려 회전하며, 제1 곡선형 연결대(550)가 제1 곡선형 안착홀(576)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회전하면서 제1 곡선형 연결대(550)의 상측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지지 구조(578) 제2 지지 구조(579)는, 제1 곡선형 안착홀(576) 또는 제2 곡선형 안착홀(577)에 안착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는 제1 곡선형 연결대(550)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곡선형 연결대(550)에 적당한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함으로써 불필요하게 제1 곡선형 연결대(550)가 제1 곡선형 안착홀(576) 또는 제2 곡선형 안착홀(577)에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도 2의 롤러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롤러 지지대(600)는, 하판(610), 상판(620), 중간 지지부(630) 및 4 개의 모서리 지지부(640)를 포함한다.
하판(610)은,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이송 롤러(20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 상측을 지지하며, 상측에 중간 지지부(630) 및 4 개의 모서리 지지부(640)가 각각 설치된다.
상판(620)은, 하판(610)의 형태에 대응하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중간 지지부(630) 및 4 개의 모서리 지지부(640)에 의하여 지지되며, 별도로 구비된 지지대 또는 프레임에 고정 설치됨으로써 롤러 지지대(600)를 지지한다.
중간 지지부(630)는, 하판(610)의 상측 중심 부위에 설치되어 상판(620)의 하측 중심 부위를 지지한다.
모서리 지지부(640)는, 하판(610)의 상측 각 모서리 부위에 설치되어 상판(620)의 하측 각 모서리 부위를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롤러 지지대(600)는, 이송 롤러(200)를 중간 지지부(630) 및 4 개의 모서리 지지부(640)를 이용하여 일정한 탄성력으로 하강시켜 줌으로써, 이송 중인 필름(F)으로 안정적인 장력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이송 중인 필름(F)이 찢어지는 등의 파손을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도 9의 중간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중간 지지부(630)는, 상부 원통(631), 하부 원통(632), 지지 구체(633) 및 다수 개의 지지 탄성체(634)를 포함한다.
상부 원통(631)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하측에 반구 형태의 상부 안착홈(H1)이 형성되어 지지 구체(633)의 상측에 안착되어 상판(620)을 지지한다.
하부 원통(632)은, 상부 원통(631)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 원통(631)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측에 반구 형태의 하부 안착홈(H2)이 형성되어 지지 구체(633)의 하측을 지지하며 하판(610)의 상측에 설치된다.
지지 구체(633)는, 구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가 상부 안착홈(H1)에 안착되고 하부가 하부 안착홈(H2)에 안착되어 상부 원통(631)과 하부 원통(632) 사이를 지지한다.
지지 탄성체(634)는, 상부 원통(631)과 하부 원통(632) 사이를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부 원통(631)과 하부 원통(632) 사이를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탄성체(634)는, 상부 원통(631)의 하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상부홈(6331)에 상부가 안착되고, 하부 원통(632)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하부홈(6321)에 하부가 안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원통(632)은, 하부 안착홈(H2)에 안착된 지지 구체(633)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부 안착홈(H2)을 따라 방사형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 개의 구체 지지부(635)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원통(631)는, 상부 안착홈(H1)에 안착된 지지 구체(633)의 상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 안착홈(H1)을 따라 방사형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 개의 구체 지지부(636)를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중간 지지부(630)는, 상부 원통(631)과 하부 원통(632)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 구체(633)를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여러 방향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충하면서 하판(610)과 상판(620) 사이를 지지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1의 구체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구체 지지부(635)는, 하부홈(6351), 하부 스프링(6352), 지지 바아(6353) 및 안착 구체(635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부 원통(631)의 구체 지지부(636)는, 하부 원통(632)의 구체 지지부(635)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하부홈(6351)은, 중심축이 지지 구체(633)의 중심을 향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측에 하부 스프링(6352)이 설치되고, 지지 바아(6353)가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하부 스프링(6352)은, 하부홈(6351)의 하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 바아(6353)를 지지한다.
지지 바아(6353)는, 하부홈(6351)에 안착되어 하부 스프링(6352)에 의하여 지지되며, 하부홈(635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측 테두리를 따라 안착링(6355)을 형성하여 하부홈(6351)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안착턱(6356)에 안착되어 하부홈(6351)에서 하강되지 아니하도록 지지되며, 상측에 안착 구체(6354)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안착 구체(6354)는, 상부 일부가 노출되어 지지 구체(633)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 바아(6353)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구체 지지부(635)는, 지지 구체(633)의 하측 여러 곳을 방사형으로 지지함으로써, 하판(610)과 상판(620) 사이에서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감쇄시켜 장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구체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구체(633)는, 지지 원판(6331) 및 4 개의 원판 지지대(6332)를 구비한다.
지지 원판(6331)은, 구체를 상부 및 하부로 구분할 수 있도록 구의 중심을 지나고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하판(610)과 상판(620) 사이의 공간에 안착된다.
원판 지지대(6332)는, 4 개의 모서리 지지부(640)와 대향하는 지지 원판(6331)의 각 테두리에 설치되며,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부 원통(631)의 상측에 설치되는 상부 원판(6312)과 하부 원통(632)의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 원판(6322) 사이를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원판 지지대(6332)는, 보다 탄성적으로 상부 원판(6312)과 하부 원판(6322) 사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 원판(6312)과의 사이에 상부 스프링(F1)이 설치되고, 하부 원판(6322)과의 사이에 하부 스프링(F2)이 설치될 수 있다.
도 15는 도 3의 롤러 지지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러 지지대(600)는, 하판(610), 상판(620), 중간 지지부(630), 4 개의 모서리 지지부(640) 및 승강 링크부(650)를 포함한다.
여기서, 하판(610), 상판(620), 중간 지지부(630) 및 4 개의 모서리 지지부(640)는, 도 9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승강 링크부(650)는, 일 원판 지지대(6332)가 하강함에 따라 해당 원판 지지대(6332)와 대향하고 설치되는 모서리 지지부(640)를 승강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승강 링크부(650)는, 제1 바아(651), 제1 탄성 지지대(652), 제2 바아(653), 제3 바아(654), 제4 바아(655), 제2 탄성 지지대(656), 제5 바아(657) 및 제6 바아(658)를 포함한다.
제1 바아(651)는, 원판 지지대(6332)의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 스프링(F2) 대신에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원판 지지대(6332)의 하측에 일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다른 일측이 모서리 지지부(640)를 바라보며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된다.
제1 탄성 지지대(652)는, 제1 바아(651)의 일측 하측에 설치되어 제1 바아(651)의 일측을 지지한다.
제2 바아(653)는, 하판(610)의 내부를 따라 모서리 지지부(640)의 하측까지 연장 형성되는 설치 터널(T)의 일측 바닥면에 일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일측 상측에 제1 탄성 지지대(652)가 설치되며, 다른 일측이 모서리 지지부(640)를 바라보며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제1 바아(651)의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3 바아(654)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설치 터널(T)의 내부에 안착되며, 일측에 제1 바아(651)와 제2 바아(653)가 함께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1 탄성 지지대(652)가 하강하여 제1 바아(651)와 제2 바아(653)의 각 일측 사이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모서리 지지부(640)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4 바아(655)는, 설치 터널(T)의 다른 일측 바닥면에 다른 일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일측이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제3 바아(654)의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2 탄성 지지대(656)는, 제4 바아(655)의 다른 일측 상측에 설치된다.
제5 바아(657)는, 다른 일측 하측이 제2 탄성 지지대(656)에 의하여 지지되며, 일측이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제3 바아(654)의 다른 일측에 제4 바아(655)와 함께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6 바아(658)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부가 제5 바아(657)의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3 바아(654)가 모서리 지지부(640)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4 바아(655)와 제5 바아(657)의 각 다른 일측 사이의 간격이 벌어짐에 따라 승강되어 모서리 지지부(640)를 승강시켜 준다.
도 16은 모서리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모서리 지지부(640)는, 하부 지지대(641), 슬라이딩 관통홀(642) 및 상부캡(643)을 포함한다.
하부 지지대(641)는, 하판(610)의 일 모서리에 설치되며, 상측에 상부캡(643)이 안착된다.
슬라이딩 관통홀(642)은, 제6 바아(658)가 수직 방향으로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하부 지지대(641)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된다.
상부캡(643)은, 상측이 밀폐된 원형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 지지대(641)의 상측에 안착되어 제6 바아(658)에 의하여 지지되며, 제6 바아(658)가 승강함에 따라 승강되어 상판(620)을 승강시켜 준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자동 필름 권취 장치
100: 권출부
200: 이송 롤러
300: 제단 권취부
400: 발판부
500: 발판 지지대
600: 롤러 지지대

Claims (2)

  1. 제단되지 않은 필름이 권취된 권취롤을 회전시켜 필름을 공급하는 권출부;
    상기 권출부로부터 공급되는 필름의 이송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변경하면서 전달하는 다수 개의 이송 롤러;
    상기 다수 개의 이송 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필름을 기 설정된 폭으로 제단한 뒤 권취하는 제단 권취부; 및
    상기 다수 개의 이송 롤러 중 일 이송 롤러와 다른 이송 롤러 사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작업을 위해 상측에 올라가도록 하며, 상기 일 이송 롤러와 상기 다른 이송 롤러 사이를 이동 중인 필름이 하측의 공간을 통해 이동되도록 하는 발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판부는, 사용자가 올라가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지지하며, 사용자의 작업에 따라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서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감쇄시켜 주기 위한 발판 지지대;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측에 상기 발판 지지대가 설치되는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하측에 다수 개가 설치되며, 필름이 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플레이트를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발판 지지대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 지지 플레이트;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과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제1 지지 스프링;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대향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후단으로 이격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2 지지 플레이트;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과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제2 지지 스프링;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후단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가 하강함에 따라 승강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제1 보조 플레이트; 상기 제1 보조 플레이트의 상측과 상기 상부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제3 지지 스프링;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전단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가 하강함에 따라 승강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제2 보조 플레이트; 상기 제2 보조 플레이트의 상측과 상기 상부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제4 지지 스프링; 하측으로 둥근 "U" 형태로 형성되며, 전단 상측에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후단 상측에 상기 제1 보조 플레이트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가 하강함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제1 보조 플레이트를 승강시켜 주는 제1 곡선형 연결대; 상기 제1 곡선형 연결대의 형태에 대응하여 하측으로 둥근 "U" 형태로 형성되며, 후단 상측에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전단 상측에 상기 제2 보조 플레이트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가 하강함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제2 보조 플레이트를 승강시켜 주는 제2 곡선형 연결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곡선형 연결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곡선형 연결대의 하측이 안착되는 제1 지지 박스; 및 상기 제2 곡선형 연결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곡선형 연결대의 하측이 안착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가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곡선형 연결대 및 상기 제2 곡선형 연결대에 의해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측에서 상기 제1 지지 박스로부터 전단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2 지지 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 박스는,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단 상측에 설치되는 제1 스프링;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단 상측에 설치되는 제2 스프링; 후단 하측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전단 하측이 상기 제1 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되는 제1 회전 박스; 전단 하측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에 상기 제1 회전 박스의 후단 하측과 함께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후단 하측이 상기 제2 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되어 전면이 상기 제1 회전 박스의 후면과 밀착되는 제2 회전 박스; 상기 제1 곡선형 연결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곡선형 연결대의 곡률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회전 박스의 전면 상측으로부터 후면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곡선형 안착홀; 및 상기 제1 곡선형 안착홀의 후단과 대향하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곡선형 연결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곡선형 연결대의 곡률에 대응하여 상기 제2 회전 박스의 전면 하측으로부터 후면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곡선형 안착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곡선형 연결대는, 상기 제1 회전 박스와 상기 제2 회전 박스의 각 상단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전단 및 후단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하부에 회동축을 형성하며, 상측면을 따라 제1 렉기어가 형성되고, 하측면을 따라 제2 렉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곡선형 안착홀 및 제2 곡선형 안착홀은, 내부 공간에 안착된 상기 제1 곡선형 연결대의 상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 개의 제1 지지 구조; 및 내부 공간에 안착된 상기 제1 곡선형 연결대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 개의 제2 지지 구조;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지지 구조는, 상기 제1 곡선형 안착홀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으로부터 상측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홈; 상기 연장홈의 상측에 설치되는 지지 스프링; 상기 연장홈에 안착되어 상기 지지 스프링에 의하여 상측이 지지되며, 상기 연장홈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 바아; "ㅅ"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바아의 하측에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ㅅ" 형 지지대; 상기 제1 "ㅅ" 형 지지대의 형태에 대응하여 "ㅅ"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ㅅ" 형 지지대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슬라이딩 바아의 하측에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ㅅ" 형 지지대; 및 상기 제1 "ㅅ" 형 지지대와 상기 제2 "ㅅ" 형 지지대의 하부 전단 사이 및 하부 후단 사이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렉기어에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제1 곡선형 연결대가 상기 제1 곡선형 안착홀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제1 곡선형 연결대의 상측을 지지하는 두 개의 회전 기어;를 포함하며,
    이송 중인 필름의 상측에 안착되어 필름을 지지하는 이송 롤러의 양측 각 상측에 설치되어 이송 롤러를 지지하는 롤러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자동 필름 권취 장치.
  2. 삭제
KR1020200055114A 2020-05-08 2020-05-08 자동 필름 권취 장치 KR102138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114A KR102138302B1 (ko) 2020-05-08 2020-05-08 자동 필름 권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114A KR102138302B1 (ko) 2020-05-08 2020-05-08 자동 필름 권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8302B1 true KR102138302B1 (ko) 2020-07-27

Family

ID=71893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114A KR102138302B1 (ko) 2020-05-08 2020-05-08 자동 필름 권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830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2811B1 (ko) 2011-04-20 2012-12-18 강창원 인쇄 필름 권취 장치
KR101903487B1 (ko) 2017-02-21 2018-10-02 이화선 복수의 권취 섹션을 갖는 권취 롤을 구비하는 필름사 권취장치
KR101955266B1 (ko) * 2018-11-16 2019-03-08 (주)현대티에스 슬리팅 권취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2811B1 (ko) 2011-04-20 2012-12-18 강창원 인쇄 필름 권취 장치
KR101903487B1 (ko) 2017-02-21 2018-10-02 이화선 복수의 권취 섹션을 갖는 권취 롤을 구비하는 필름사 권취장치
KR101955266B1 (ko) * 2018-11-16 2019-03-08 (주)현대티에스 슬리팅 권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92214B2 (en) Apparatus to overturn sheets and/or panels
DE102010020998A1 (de) Packplatz und Verfahren zum automatisierten Beladen von Stückgütern auf Ladungsträger mit anschließender Folienumwicklung
US10246285B2 (en) Web roll handling and loading system
KR102138302B1 (ko) 자동 필름 권취 장치
KR900001586A (ko) 웨브(web)권취 방법 및 장치
US7255301B2 (en) Reel spool storage and loading device and method
US10364114B2 (en) Device for handling paper reels in paper converting plants
EP0070399B1 (de) Dreheinrichtung für Stück- und Sackgut
US5360180A (en) Roll-support system for paper-winding machine
AT511010B1 (de) Verfahren zur handhabung von einem faserbahnwickler zugeführter, leerer wickelwellen
US1951715A (en) Uniform speed reel
CN203764700U (zh) 一种三辊式卷板机
DE1300235B (de) Vorrichtung zum Aufbringen eines Metalldraehte oder -litzen enthaltenden Auflagebandes auf eine Reifenkarkasse
EP0942889B1 (de) Wickelmaschine zum aufwickeln einer materialbahn, insbesondere einer papier- oder kartonbahn zu einer wickelrolle
JP3196631U (ja) シート分割巻取装置
CN204096297U (zh) 一种皮革原料辊的存放台
US5364044A (en) Air-cushion roll support in roll-making machine
FI118593B (fi) Rullalle kelatun rainan leikkurilaite
CN101905818B (zh) 用于纤维幅材卷绕机的卷绕轴支架
CN206476669U (zh) 一种摇臂起重吊车的装置
CN104229294B (zh) 一种皮革原料辊的存放台
US2612744A (en) Device for changing bobbins in spinning machines
JP2992414B2 (ja) 巻芯移載装置
KR200238079Y1 (ko) 2단롤척의적치장치
CN210103083U (zh) 用于分条机的自张紧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