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6986B1 - 낙지다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촉진용 약제 조성물 및 피부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낙지다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촉진용 약제 조성물 및 피부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6986B1
KR102136986B1 KR1020180135098A KR20180135098A KR102136986B1 KR 102136986 B1 KR102136986 B1 KR 102136986B1 KR 1020180135098 A KR1020180135098 A KR 1020180135098A KR 20180135098 A KR20180135098 A KR 20180135098A KR 102136986 B1 KR102136986 B1 KR 102136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regeneration
extract
octopus
octopus leg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5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2029A (ko
Inventor
김진규
서찬곤
최정준
신윤민
권진관
신현탁
정수영
홍성수
정연우
최춘환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Priority to KR1020180135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6986B1/ko
Publication of KR20200052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2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6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6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1Crassulaceae (Stonecrop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rd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낙지다리(Penthorum chinense Pursh)의 줄기, 잎, 뿌리 및 종자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추출된 낙지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 촉진을 위한 외용 약제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낙지다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촉진용 약제 조성물 및 피부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promoting skin regenera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Penthorun chinense Pursh}
본 발명은 낙지다리(Penthorun chinense Pursh) 지상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피부(skin)는 인체의 최외각에 존재하여 외부 환경과 직접적으로 접해 있어, 외부의 손상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고, 체내수분과 열의 과도한 증발을 막는 역할을 한다. 피부는 표피(epidermis), 진피(dermis), 피하지방(subcutaneous tissue)의 3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는 표피의 대부분은 각질형성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표피의 각질형성세포는 기저층으로부터 증식, 이동 및 분화과정을 통해 각질을 형성하여 피부를 보호하고, 다양한 사이토카인을 생산하여 염증반응과 면역반응에 관여한다. 또한, 각질형성세포의 증식과 이동은 상처치유와 피부 재생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콜라젠(collagen) 합성을 유도하여 피부의 탄력 증진과 기저막 형성을 향상시켜 피부 세포들의 부착과 증식이 조절되고, 유해물질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장벽기능의 향상과 표피와 진피의 상호작용 등을 제공한다. 이로 인해, 피부 표피 각질형성세포의 이동과 증식은 피부재생과 상처치유 뿐만 아니라 피부탄력을 증진시키고 건강한 피부가 유지되도록 도와준다.
낙지다리(Penthorum chinense PURSH)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돌나물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못이나 도랑과 같은 습지에서 자라는 다육질의 여러해살이 풀이다. 꽃은 7-8월에 황백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낙지 다리처럼 가지가 사방으로 갈라져 발달한 총상꽃차례를 이루며, 꽃이 위쪽으로 치우쳐서 달리고 꽃차례에 짧은 털이 있다. 꽃의 지름은 4-5 mm이고, 꽃잎은 없으며, 꽃받침은 컵 모양이고 5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지름 6-7 mm의 삭과이며, 5개의 씨방 밑 부분이 붙어 있는데, 다 자라면 붙어 있는 부분의 위쪽이 갈라져서 가는 종자가 나온다. 한국·일본·중국 등지에 분포하며, 뿌리는 약으로 쓰는데, 뿌리에서 짜낸 물을 부스럼에 바르면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식물이다.
이러한 낙지다리 추출물은 간과 신경세포 보호, 알레르기 억제 효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하지만 피부재생에 대한 보고된 결과는 없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 식물 추출물의 피부재생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피부재생 및 피부세포증식 효능 평가를 수행한 결과, 낙지다리 추출물의 우수한 효능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재생을 촉진시키기 위한, 낙지다리의 줄기, 잎, 뿌리 및 종자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추출된 낙지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외용 약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부재생을 촉진시키기 위한, 낙지다리의 줄기, 잎, 뿌리 및 종자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추출된 낙지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재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낙지다리의 줄기, 잎, 뿌리 및 종자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추출된 낙지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을 촉진시키기 위한 외용 약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낙지다리의 줄기, 잎, 뿌리 및 종자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추출된 낙지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을 촉진시키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낙지다리의 줄기, 잎, 뿌리 및 종자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추출된 낙지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약제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대한 자극이 없고 세포 독성이 없으면서 피부재생을 촉진시키는 효과를 생성시킨다.
도 1은 낙지다리 추출물이 사람의 피부각질형성세포에 나타내는 피부재생 촉진 효능을 wound healing assay로 평가한 실험결과이다.
도 2는 낙지다리 추출물이 사람의 피부각질형성세포에 나타내는 세포증식 촉진 효능을 BrdU assay로 평가한 실험결과이다.
본 발명은 낙지다리의 줄기, 잎, 뿌리 및 종자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추출된 낙지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을 촉진시키기 위한 외용 약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낙지다리의 줄기, 잎, 뿌리 및 종자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추출된 낙지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을 촉진시키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낙지다리 추출물을 얻기 위해서 사용되는 낙지다리는 습기가 많은 강가나 풀밭에서 자생하며,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 분포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낙지다리의 줄기, 잎, 뿌리 및 종자를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낙지다리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은 본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추출방법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용매 추출법, 열수 추출법, 냉침 추출법, 환류냉각 추출법, 수증기 증류법, 또는 초음파 추출법 등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용매 추출법일 수 있다.
용매 추출법의 경우에,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낙지다리 추출물은 낙지다리 지상부를 건조 한 후 파쇄기에 곱게 파쇄하고, 파쇄된 낙지다리 지상부를 용매에 넣어 일정한 시간 동안 방치한 후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용매 추출법에 의해서 낙지다리를 추출하는데 사용되는 용매는 본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용매가 사용될 수 있는 용매이며,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탄올, 이소프로판올 및 부탄올 등의 저급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헥산, 시클로헥산 및 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일 수 있다.
낙지다리 추출물을 얻기 위한 용매 추출법에서, 추출 온도 및 추출 시간과 같은 조건은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조건에 따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낙지다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재생 촉진을 위한 외용 약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제 조성물에 함유되는 추출물의 바람직한 양은 피부재생을 촉진하기에 유효한 양으로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서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제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1 내지 20 중량%일 수 있다. 낙지다리 추출물의 양이 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피부재생 촉진 효과가 미흡하고, 낙지다리 추출물의 양이 20 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양의 증가에 따른 피부재생 촉진 효과의 향상 정도가 크지 않다.
이러한 본 발명의 약제 조성물의 제형은 젤, 크림,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의 형태일 수 있으며,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 조성물은, 낙지다리 추출물 이외에,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등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의 구체적인 예는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올리고당,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낙지다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재생 촉진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1 내지 20 중량%의 양의 낙지다리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낙지다리 추출물의 양이 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피부재생 촉진 효과가 미흡하고, 낙지다리 추출물의 양이 20 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양의 증가에 따른 피부재생 촉진 효과의 향상 정도가 크지 않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기본적으로 피부에 도포되어 적용될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포뮬레이션(formulation)될 수 있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형태로 포뮬레이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낙지다리 추출물 외에,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다른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글리세린, 부틸렌 글라이콜,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시트릭산, 판테놀, 스쿠알란, 소듐 시트레이트 및 알란토인으로 포함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보조성분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의 형태로 포뮬레이션되는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의 형태로 포뮬레이션되는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로 포뮬레이션되는 경우에는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형태로 포뮬레이션되는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사용되고, 예를들어,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현탁액의 형태로 포뮬레이션되는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이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단지 구체적으로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제조예: 낙지다리 추출물의 제조
낙지다리 지상부 100g을 건조 한 후 파쇄기에 곱게 파쇄하여 10배 중량의 50% 에탄올 수용액을 가해 실온에서 24시간 방치하여 2회 반복 추출하고 여과 한 후, 여과액을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고형상의 낙지다리 추출물 19g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1: 낙지다리 추출물의 피부재생 활성화 평가
사람의 각질형성세포인 Hacat 세포는 한국세포주은행 (KCLB, Seoul, Korea)에서 분양 받았으며, 100 units/ml penicilin/streptomycin과 10% fetal bovine serum (FBS)이 함유된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DMEM) (WLGENE, Korea)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Hacat 세포를 5x105cells/ml로 24-well에 500 ㎕ 씩 분주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배지를 FBS를 포함하지 않는 배지로 교체한 후 각 well에 200 μl tip을 이용하여 스크래치를 내고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ascorbic acid (50 μg/ml, Sigma Aldrich, USA)를 사용하였다.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고 48시간 동안 CO2 배양기에 배양하였다. 시료처리 후 0시간과 48시간에 현미경을 이용하여 세포 사진을 찍고 Image J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0시간 대비 48시간에 wound healing 된 면적을 계산하여 closure rate (%)를 구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낙지다리 추출물 5 μg/ml의 농도로 낙지다리 추출물을 처리한 세포들은 closure rate가 40.55%로 나타나 대조군 (Nor)의 25.25%에 비하여 wound healing이 현격하게 증가하였다.
실험예 2: 낙지다리 추출물의 피부세포 증식능 활성화 평가
Hacat 세포는 한국세포주은행 (KCLB, Seoul, Korea)에서 분양 받았으며, 100 units/ml penicilin/streptomycin과 10% fetal bovine serum (FBS)이 함유된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DMEM) (WLGENE, Korea)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Hacat 세포를 1x105cells/ml로 96-well에 100 ㎕ 씩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안정화시킨 후, FBS를 포함하지 않는 배지에서 하룻밤 배양하였다. 다음날 낙지다리 추출물을 농도별로 24시간 처리한 후, BrdU Cell Proliferation Assay Kit (Cell Signaling Technology, USA)를 이용하여 제품 제조사의 매뉴얼에 따라 분석을 수행하였다. 세포를 배양한 96-well plate의 각 well에 10X의 BrdU solution을 10 ㎕ 씩 넣어준 후, 4시간 동안 배양시켰다. 세포 배양액을 제거한 후, Fixing/Denaturing Solution을 100 ㎕ 씩 넣어주고 30분 동안 상온에서 방치하였다. Fixing/Denaturing Solution을 제거한 후, detection antibody solution을 well 당 100 ㎕ 씩 넣어주고 1시간 동안 상온에서 방치하였다. 그 후, Washing Buffer로 3번 세척하고 HRP-conjugated secondary antibody solution을 각 well 당 100 ㎕ 씩 넣고 상온에서 30분 동안 방치한 후, 3번 세척을 하고 TMB substrate를 100 ㎕ 씩 넣어주었다. 상온에서 30분 방치한 후 stop solution을 100 ㎕ 씩 넣고 450 nm의 파장에서 micro spectrophotometer (Molecular Device, Sunnyvale, CA, USA)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는 epidermal growth factor (EGF, 50 ng/ml)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2와 같이 농도 의존적으로 낙지다리 추출물이 사람의 피부각질형성세포의 생장을 현저하게 증가시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특히 5 μg/ml의 농도에서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EGF와 비슷한 수준의 피부세포 증식능력을 나타내었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낙지다리(Penthorum chinense Pursh)의 줄기, 잎, 뿌리 및 종자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추출된 낙지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7. 청구항 6에 있어서,
    낙지다리 추출물의 양은 피부재생 촉진용 약제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20 중량%인 피부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낙지다리 추출물이 낙지다리 지상부를 건조 한 후 파쇄기에서 파쇄하고, 파쇄된 낙지다리 지상부를 추출용매에 넣어 방치한 후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함으로써 수득되는 피부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9. 청구항 8에 있어서,
    추출용매가 메탄올, 에탄올, 프로탄올, 이소프로판올 및 부탄올 등의 저급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헥산, 시클로헥산 및 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피부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추출용매가 에탄올인 피부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135098A 2018-11-06 2018-11-06 낙지다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촉진용 약제 조성물 및 피부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36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098A KR102136986B1 (ko) 2018-11-06 2018-11-06 낙지다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촉진용 약제 조성물 및 피부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098A KR102136986B1 (ko) 2018-11-06 2018-11-06 낙지다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촉진용 약제 조성물 및 피부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2029A KR20200052029A (ko) 2020-05-14
KR102136986B1 true KR102136986B1 (ko) 2020-07-23

Family

ID=70736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5098A KR102136986B1 (ko) 2018-11-06 2018-11-06 낙지다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촉진용 약제 조성물 및 피부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69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6286B1 (ko) 2021-12-23 2022-06-13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낙지다리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1043B1 (ko) 2017-08-23 2018-06-29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낙지다리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1043B1 (ko) 2017-08-23 2018-06-29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낙지다리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6286B1 (ko) 2021-12-23 2022-06-13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낙지다리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2029A (ko) 2020-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8916B1 (ko) 피부 생기 부여 및 활력 증대를 위한 식물세포 컴플렉스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14157B1 (ko) 녹차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3648479B (zh) 包含植物提取物的局部护肤制剂
KR102113645B1 (ko) 미세침 분말 및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00678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1712305A (zh) 木棉树花提取物,以及含有其的化妆品、药物或皮肤病学组合物
KR101408019B1 (ko)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조성물
KR101731480B1 (ko) 천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36986B1 (ko) 낙지다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촉진용 약제 조성물 및 피부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68532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81279B1 (ko) 피부 노화 예방, 피부 주름 개선, 유연 증진,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85224B1 (ko) 금불초, 삼지구엽초 및 마디풀 복합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100345B1 (ko) 제주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38354B1 (ko) 동백 식물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26179B1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2168534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32715A (ko) 노화방지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10302B1 (ko) 풍란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장벽 기능 강화용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81428B1 (ko)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약학적 조성물
KR101619710B1 (ko) 튤립나무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574248B1 (ko) 왕호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56522A (ko) 기실, 원보초, 상기생, 여정자 및 지골피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유 라디칼 소거작용을 갖는화장료 조성물
KR101944494B1 (ko) 털마삭줄을 포함하는 마삭줄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53731B1 (ko) 스피룰리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온도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35679B1 (ko) 버드나무 꽃 정유를 포함하는 피부재생 또는 상처치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