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6349B1 - 웨어러블 카메라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6349B1
KR102136349B1 KR1020190043839A KR20190043839A KR102136349B1 KR 102136349 B1 KR102136349 B1 KR 102136349B1 KR 1020190043839 A KR1020190043839 A KR 1020190043839A KR 20190043839 A KR20190043839 A KR 20190043839A KR 102136349 B1 KR102136349 B1 KR 102136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amera
inner frame
wearable camera
contro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3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국
조성래
김용진
김준세
이지홍
Original Assignee
링크플로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링크플로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링크플로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3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6349B1/ko
Priority to PCT/KR2020/004969 priority patent/WO202021390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6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6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323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achieving an enlarged field of view, e.g. panoramic image cap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56Mixing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43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three or more 2D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0Arrangement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e.g. multiple cameras in TV studios or sports stadiums
    • H04N5/2252
    • H04N5/24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U'자 형상의 케이스에 3개의 카메라모듈을 일정 각도 간격으로 설치함으로써, 목에 착용할 수 있고, 360도 각도 전방위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웨어러블 카메라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케이스의 내부에 금속재질의 내부프레임이 인서트 사출하여 결합되며, 이로 인해 외부 영향으로 인해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카메라모듈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영상의 스티칭 작업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웨어러블 카메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웨어러블 카메라는, 후방부(F)와 상기 후방부(F)의 양단에서 각각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측부(S)로 이루어진 케이스(100); 3대로 이루어져 상기 후방부(F)와, 상기 측부(S)에 각각 장착되는 카메라모듈(200);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카메라모듈(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300); 상기 카메라모듈(200)로 촬영된 영상을 이미지 스티칭에 의해 하나로 결합하여 360도 영상을 생성하는 제어모듈(400);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웨어러블 카메라{Wearable camera}
본 발명은 웨어러블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목이나 머리 등 신체부위에 착용할 수 있으며, 다수개의 카메라가 장착되어 360도 전방위 영상 촬영이 가능한 웨어러블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웨어러블 카메라는 사람의 목이나 머리 등의 신체부위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주변을 촬영하는 카메라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손으로 들고 다닐 필요 없어 두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웨어러블 카메라는 귀에 착용하는 이어셋이나 고글 형태로 이루어진 바디에 소형 카메라 모듈이 설치된 형태로 형성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54468호에 개시된 웨어러블 카메라는, 탄성 와이어의 양 끝단에 반원 고리 형상의 귀걸이부가 각각 고정되며, 상기 귀걸이부에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는 거치부가 구비된 것이다.
상기의 종래의 웨어러블 카메라는 카메라 모듈을 탈부착 할 수 있으며, 착용자의 시선과 동일한 높이에서 전방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나, 착용하는 사용자의 신체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카메라의 유동이 발생하여 초점이 잘 맞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89371호에 개시된 웨어블 카메라는, 귀걸이를 통해 머리에 장착이 가능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착용자의 시선 방향을 감지하는 아이트래커 및 상기 아이트래커에서 감지되는 시선의 방향에 따라 렌즈의 방향이 변하는 카메라 모듈이 구비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웨어러블 카메라는 착용자의 시야를 일부 가리게 되어 이동시 시야 확보가 어려워 안전 사고의 위험이 있다.
또한, 종래의 웨어러블 카메라는 주로 1대의 카메라 모듈이 설치되어 전방 또는 후방의 어느 한 곳만 촬영하므로, 사용자의 주변 전체의 상황을 파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목에 착용할 수 있는 U자 형상 케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 내에 복수의 카메라모듈이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360도 전방위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웨어러블 카메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외력이나 외부 열 등의 외부 영향으로 인한 케이스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카메라모듈 간의 위치 및 포지션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영상 품질이 우수한360도 전방위 웨어러블 카메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제어모듈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서 발생되는 열을 신속하게 흡수 및 분산시켜 냉각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웨어러블 카메라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웨어러블 카메라는, 후방부(F)와 상기 후방부(F)의 양단에서 각각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측부(S)로 이루어진 케이스(100); 3대로 이루어져 상기 후방부(F)와, 상기 측부(S)에 각각 장착되는 카메라모듈(200);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카메라모듈(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300); 상기 카메라모듈(200)로 촬영된 영상을 이미지 스티칭에 의해 하나로 결합하여 360도 영상을 생성하는 제어모듈(400); 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내부프레임(110a,120a);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부프레임(110a,120a)을 사출금형 내에 인서트하여 상기 내부프레임(110a,120a)과 결합되도록 사출 성형되는 외부프레임(110b,120b); 을 포함한다.
상기 내부프레임(110a,120a)은 알루미늄 재질의 프레스 성형물이고, 상기 외부프레임(110b,120b)은 유리섬유가 첨가된 PBT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100)는,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제1단차부(111)가 형성된 제1케이스(110);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1단차부(111)와 맞물림 되는 제2단차부(121)가 형성된 제2케이스(120); 상기 제1단차부(111)와 상기 제2단차부(121) 사이에 도포되는 탄성접착부재(130); 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탄성접착부재(130)는 제1단차부(111)의 상단에 도포되어 제1단차부(111)와 상기 제2단차부(121)를 접합한다.
상기 제어모듈(400)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11)가 장착되는 메인보드(410);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11)에 부착되는 제1방열패드(420); 상기 제1방열패드(420)에 장착되는 보호커버(430); 상기 보호커버(430)에 장착되는 증기챔버(440); 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모듈(400)은, 상기 증기챔버(440)와 상기 내부프레임(110a,120a) 사이에 장착되는 제2방열패드(450); 를 더 포함한다.
상기 내부프레임(110a,120a)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을 프레스 공법에 의해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는 후방부(F)와 상기 후방부(F)의 양단에서 각각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측부(S)를 포함하고, 내부에 실장공간을 가진다. 상기 케이스(100)의 실장공간에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모듈(200)이 장착되고, 제어모듈은 카메라모듈(200)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처리한다.
상기 제어모듈(400)은 상기 후방부(F)에 장착되고,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11)와 방열 부품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의 내부프레임(110a,120a)은 적어도 일부가 실장공간에 노출되고 이 노출부분은 방열 부품과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웨어러블 카메라는 외력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카메라모듈 간의 간격 및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영상의 스티칭 작업시 정확도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목에 밀착되는 탄성지지구가 구비됨으로써 다양한 신체 사이즈에 적용할 수 있고, 착용시 케이스에 변형을 가하지 않으면서 목에 밀착되어 상기 케이스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내구성 및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후방부에 배치된 프로세서를 포함한 메인보드의 열을 더욱 신속하게 확산하고 외부로 방출할 수 있어 냉각 효율을 증대하고 뒷목의 저온 화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카메라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카메라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카메라의 일부를 절단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카메라의 제어모듈이 삽입된 부분을 절단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의 분해 사시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케이스에 탄성지지구가 부착된 상태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카메라의 케이스의 인장력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사용자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카메라는, 케이스(100), 카메라모듈(200), 전원공급수단(300), 제어모듈(40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0)는 사용자의 목에 착용하기 위해 양단이 전방으로 절곡된 U자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카메라모듈(200), 전원공급수단(300), 제어모듈(400)이 삽입 설치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0)는 하부에 배치되는 제1케이스(110)와, 상기 제1케이스(110)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케이스와 결합되는 제2케이스(120)와, 탄성접착부재(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접착부재(130)는 상기 제1케이스(110)와 상기 제2케이스(120)의 틈새에 배치되어 제1 및 제2 케이스를 결합하는 동시에 기밀성을 확보한다.
상기 제1케이스(110)는 착용 위치에 따라 착용자의 목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부(F)와, 상기 후방부(F)의 양단에서 전방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어 목의 양측에 배치되는 측부(S)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1케이스(110)는 'U' 와 같은 형상으로, 중간 부분이 목의 후방에 배치되고, 양단이 목의 측부를 감싸면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케이스(110)는 단면이 하방향으로 볼록한 유선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실장공간을 갖게 된다.
여기에서 후술할 상기 카메라모듈(200)은 상기 제1케이스(110)의 후방부(F)와, 양 측부(S)에 각각 하나씩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케이스(110)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제1단차부(111)가 형성된다. 상기 제1단차부(111)는 상기 제1케이스(110)의 상단에서 내측 테두리를 따라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케이스(120)는 상기 제1케이스(110)와 대략 상하 대칭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케이스(110)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1케이스(110)와 끼워 맞춤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케이스(120)는 상기 제1케이스(110)와 마찬가지로, 착용 위치에 따라 착용자의 목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부(F)와, 상기 후방부(F)의 양단에서 전방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어 목의 양측에 배치되는 측부(S)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케이스(120)는 단면이 상방향으로 볼록한 유선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케이스(110)와의 사이에 설치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2케이스(120)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제2단차부(121)가 형성된다. 상기 제2단차부(121)는 상기 제2케이스(120)의 하단에서 내측 테두리를 따라 상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가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2단차부(121)는 상기 제2케이스(120)가 상기 제1케이스(110)와 결합될 때 상기 제1단차부(111)와 맞물리게 배치된다. 즉, 제1단차부(111)의 상단과 상기 제2단차부(121)의 상단(도면에서 상방향에 위치함)가 마주보고, 제1단차부(111)의 외주면이 상기 제2단차부(121)의 내주면과 마주보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케이스(110)가 상기 제2케이스(120)와 결합되기 전 상기 제1단차부(111)의 상단에 탄성접착부재(130)가 도포되며, 제1케이스(110)가 제2케이스(120)와 결합될 때 상기 제1단차부(111)의 상단이 상기 제2단차부(121)의 내주면에 인접하게 되면서 상기 탄성접착부재(130)가 상기 제1단차부(111)의 내주면과 외주면으로 퍼지게 되고, 상기 제1단차부(111)의 상단 및 외주면과 상기 제2단차부(121)의 상단 및 내주면의 틈새를 상기 탄성접착부재(130)가 메우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단차부(111)의 상단 및 상기 제2단차부(121)의 내주면 사이에 상기 탄성접착부재(13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2케이스(120)가 상기 제1케이스(110)가 접착되면서도 케이스 외부로 접착제가 흘러나오지 않아 제품의 외관 품질이 향상된다. 동시에 상기 제1단차부(111)와 상기 제2단차부(121) 사이의 기밀성이 향상되어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카메라는 3개의 상기 카메라모듈(200)로부터의 영상을 스티칭하여 360도 영상을 생성한다. 여기에서 스티칭이란 사진이나 영상을 이어 붙이는 것으로, 서로 다른 각도에서 촬영된 여러 영상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하여 하나로 연결하여 360° 각도의 전방위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작업을 의미한다.
조립 공정에서 카메라모듈 등 여러 부품들을 제1케이스(110) 내에 고정하고 제2 케이스(120)를 결합하여 조립완료한 후, 각각의 웨어러블 카메라 제품에 대해 소프트웨어적 캘리브레이션을 통해 영상 스티칭 품질을 최적화함으로써 제품이 완성된다. 이후 3개의 카메라의 위치나 각도가 외부 충격이나 열에 의해 후변형될 경우 스티칭 품질이 저하되어 영상 품질이 낮아지거나 스티칭 작업 시에 추가 보정을 해야한다.
즉, 카메라모듈(200)간의 상대적 위치와 광축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정확한 영상이 출력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카메라모듈이 장착되는 케이스를 후변형을 최소화하는 Rigid Body로 구현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케이스(110)와 상기 제2케이스(120)는 각각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내부프레임(110a,120a)과, 인서트 사출에 의해 상기 내부프레임(110a,120a)과 일체로 결합되게 사출 성형된 외부프레임(110b,120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부프레임(110a,120a)은 금속 재질,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재질, 구체적으로 AL5052로 이루어지며, 프레스 공법에 의해 U자 형태로, 단면은 하방 또는 상방으로 볼록한 유선형 형상으로 각기 성형된다. 즉, 상기 내부프레임(110a,120a)은 외부프레임(110b,120b)과 전체적으로 거의 동일한 형상이되 수치가 약간 축소되게 형성된다.
상기 외부프레임(110b,120b)은, 사출 금형에 상기 내부프레임(110a,120a)을 인서트한 후 상기 내부프레임(110a,120a)과 일체로 사출 성형한 것으로, 합성수지 재질, 구체적으로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와 유리섬유가 혼합된 재질로 성형된다. 여기에서 PBT는 폴리에스터 수지 계열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150℃까지 열 저항능력을 가지고 있어 불에 잘 타지 않는 난연성질을 갖으며, 질감이 부드러워 신체부위와 접하는 제품에 적합하다. 이때 상기 내부프레임(110a,120a)의 적어도 일부분은 케이스(110, 120)의 내부(실장공간)로 노출되도록 외부프레임(110b,120b)은 성형된다.
프레임의 강도 향상 효과를 정량적으로 검사하기 위해, 상기 내부프레임(110a,120a)을 갖는 본원 발명의 상기 제1케이스(110,T1)와, 상기 내부프레임(110a,120a) 없이 상기 제1케이스(110)와 동일한 형태로 사출 성형한 비교대상물(T2)의 인장력을 각각 측정하여 비교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여기에서 측정 장비는 만능 시험기이며,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110,120)의 측부(S)를 각각 시험기에 고정하고, 상기 측부(S)가 서로 벌어지게 힘을 가하였으며, 10mm/min의 속도로 30mm까지 5mm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케이스(110,T1)의 인장력이 상기 비교대상물(T2)의 인장력 보다 평균 2.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기 제2케이스(120,T3)의 인장력이 상기 비교대상물(T4)의 인장력 보다 평균 2.9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스 성형시 PBT 소재의 외장재 내측으로 알루미늄 프레스 공법에 의해 성형된 내부프레임을 인서트 사출함으로써 가볍고 얇으면서 강도가 우수한 케이스를 시간 및 비용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영향에 의해 상기 케이스(10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상기 카메라모듈(200)의 상대적 위치와 광축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영상의 스티칭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후술하는 제어모듈의 방열구조와 상기 제1케이스(110)의 내부프레임(110a)의 케이스 내부로 노출된 부분은 연결되어 제어모듈의 방열효과를 극대화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0)의 측부(S)에는 목에 밀착되는 탄성지지구(5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지지구(500)는 2개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상기 케이스(100)의 측부(S)의 내주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휘어진 곡선 형태로 돌출되어 자유상태로 놓인다.
이러한 상기 탄성지지구(500)는 탄성력을 갖으며, 상기 케이스(100)가 목에 장착될 때 탄성력에 의해 목에 밀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케이스(100)의 측부(S)의 내주면에 목에 밀착되는 상기 탄성지지구(500)가 구비됨으로써, 착용시 상기 케이스(100)에 변형을 가하지 않으면서 목에 밀착되어 상기 케이스(100)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 된다.
이하, 케이스 내에 실장되는 각종 부품들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카메라모듈(200)은 렌즈를 통해 이미지센서로 투영된 피사체를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는 장치로서, 화각이 120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카메라모듈(200)은 3대로 이루어지며, 상기 후방부(F)와, 상기 측부(S)에 각각 장착된다.
여기에서 상기 카메라모듈(200)은 3개의 카메라모듈이 서로 이격되게 상기 제1케이스(110) 내에 각각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케이스(110)의 후방부(F)의 중심에 후방 카메라모듈이, 측부(S)의 선단에 각기 좌측 카메라모듈 및 우측 카메라모듈이 배치된다.
상기 전원공급수단(300)은 충전식 배터리로,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전원공급수단(300)은 무게의 균형을 위해 2개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스(100)의 측부(S)에 각각 하나씩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전원공급수단(300)은 상기 카메라모듈(200) 및 상기 제어모듈(400)과 연결되어 작동에 필요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모듈(400)은 상기 카메라모듈(200)로 촬영된 영상들을 이미지 스티칭에 의해 하나로 결합하여 360도 영상을 생성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스티칭 작업은 통신모듈을 통해 외부 서버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여 외부 서버에서 실행될 수 있으나, 웨어러블 카메라 내의 제어모듈(400)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11)에 의해 실시간으로 실행될 수도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모듈(400)은 메인보드(410), 제1방열패드(420), 보호커버(430), 증기챔버(vapor chamber, 440) 및 제2방열패드(45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보드(41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11)가 장착된 PCB이며, 상기 제1케이스(110)의 후방부(F)에 고정 장착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11)는 카메라모듈로부터 수신한 4k 고해상도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시연(preview)하기 위해 고속으로 대용량 신호를 처리하기 때문에 상당한 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열을 처리하기 위해 효과적인 방열구조를 이하 개시한다.
상기 제1방열패드(420)는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11)에 부착되어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11)에서 발생되는 열을 신속히 흡수하여 배출 및 전달한다.
보호커버(430)는 프로세서를 포함한 주요 전자부품을 커버하여 외부 전자파 노이즈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전자파, EMI 등을 차폐하기 위한 쉴드캔(shield can)으로 재질은 구리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11)를 포함한 주요 전자부품을 외부 전파 노이즈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상기 보호커버(430)는 사각 케이스 형태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11)를 이격되게 커버하도록 메인보드(410)에 고정 장착된다.
본 발명의 상기 보호커버(430)는 외부 전파 노이즈 차폐를 위한 쉴드캔이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11)의 열을 증기챔버로 전달하는 방열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보호커버(430)의 일측(내측)은 제1방열패드(420)와 접하게 배치되고 타측은 증기챔버(440)에 접하도록 메인보드(410)에 고정 장착된다.
보호커버(430)는 전자파 차폐와 방열 기능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알루미늄 또는 구리 재질로, 바람직하게는 AL1050과 니켈의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증기챔버(440)는 내부에 열을 흡수하여 상변화를 일으키는 용액, 예를 들어 물이 들어있는 방열장치로, 용액이 열에 의해 기화되면 열을 저감시킨다.
증기챔버(440)는 보호커버(430)에 접하도록 장착되어, 제1방열패드(420)와 보호커버(430)에 전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11)의 열을 신속하게 흡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증기챔버(440)는 단면이 'L'자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보호커버(430)와 측면이 접하여 결합되고, 저면에는 상기 제2방열패드(450)가 부착된다.
상기 제2방열패드(450)는 상기 제1방열패드(420)와 동일하게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면(상면)이 상기 증기챔버(440)와 접촉 결합되고, 타면(저면)이 상기 제1케이스(110)의 내부에 노출된 내부프레임(110a)과 접촉 결합된다.
상기 내부프레임(110a)은 열전도율이 높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1케이스(110)의 내부에 U자 형태로 전체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처럼 상기 제2방열패드(450)에 의해 상기 증기챔버(440)가 상기 제1케이스(110)의 내부프레임(110a)과 열적으로 연결되어, 메인보드의 열을 내부프레임(110a) 전체로 확산하고 상기 제1케이스(110)를 통해 대기 중의 공기와 자연 대류시켜 방출하게 된다. 그러므로, 알루미늄 내부프레임(110a)은 케이스 강도를 높이는 동시에, 착용 시 뒷목 부분에 인접한 메인보드의 열을 신속히 프레임 전체로 확산시켜 저온 화상을 막고 방열 효과를 극대화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뿐 아니라 카메라모듈(200), 특히 촬상소자를 포함하는 PCB를 이와 접하는 별도의 방열패드 또는 히트파이프를 이용하여 상기 내부프레임(110a, 120a)과 열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외부의 소리를 녹음하기 위한 마이크와, 스피커 모듈이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카메라모듈(200)로 촬영된 영상을 외부 저장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Wi-Fi, LTE 등의 무선통신모듈이 설치된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카메라는, 상기 후방부(F)가 목의 뒤쪽에 배치되도록 착용하여 사용되며, 상기 후방부(F)에 장착된 1대의 상기 카메라모듈(200)과 상기 측부(S)에 장착된 2대의 카메라모듈(200)에서 촬영된 영상을 상기 제어모듈(400)에서 수집하여 하나로 연결하여 영상을 생성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금속재질의 내부프레임(110a,120a)이 인서트 사출하여 결합됨으로써, 외부 영향으로 인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카메라모듈(200)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영상의 스티칭 작업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열발생원을 방열패드 등을 통해 노출된 내부프레임(110a,120a)과 연결함으로써,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11)에서 발생되는 열을 신속하게 흡수 및 분산시켜 냉각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 케이스 110 : 제1케이스
110a,120a : 내부프레임 110b,120b : 외부프레임
130 : 탄성접착부재 111 : 제1단차부
121 : 제2단차부 200 : 카메라모듈
300 : 전원공급수단 400 : 제어모듈
410 : 메인보드 411 :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420 : 제1방열패드 430 : 보호커버
440 : 증기챔버 450 : 제2방열패드

Claims (7)

  1. 후방부와 상기 후방부의 양단에서 각각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측부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실장공간을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서로 이격되게 장착되는 복수의 카메라모듈; 및
    상기 카메라모듈로 촬영된 영상을 이미지 스티칭에 의해 하나로 결합하여 360도 영상을 생성하는 제어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내부프레임; 및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부프레임을 사출금형 내에 인서트하여 상기 내부프레임과 일체로 결합되도록 사출 성형되는 외부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카메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방열부품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프레임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실장공간에 노출되고, 노출된 부분은 상기 방열부품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카메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프레임은 알루미늄 재질의 프레스 성형물이고,
    상기 외부프레임은 유리섬유가 첨가된 PBT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카메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방향으로 제1단차부가 돌출 형성된 제1케이스;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1단차부와 맞물림 되도록 오목하게 들어간 제2단차부가 형성된 제2케이스; 및
    상기 제1단차부의 상단에 도포되어 상기 제1단차부와 상기 제2단차부를 접합하는 탄성접착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카메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장착되는 메인보드;
    프로세서를 포함한 전자부품을 커버하여 외부 전자파 노이즈를 방지하기 위한 보호커버; 및
    증기챔버;를 포함하고,
    일측이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 접하고 타측이 보호커버에 접하는 제1방열패드가 구비되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의 열이 상기 보호커버를 통해 상기 증기챔버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카메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챔버와 상기 내부프레임 사이에 제2방열패드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카메라.
  7. 후방부와 상기 후방부의 양단에서 각각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측부를 포함하고, 내부에 실장공간을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실장공간에 서로 이격되게 장착되는 복수의 카메라모듈; 및
    상기 카메라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어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후방부에 장착되고,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방열 부품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이루어진 내부프레임; 및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부프레임을 사출금형 내에 인서트하여 상기 내부프레임과 일체로 결합되도록 사출 성형되는 외부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카메라.
KR1020190043839A 2019-04-15 2019-04-15 웨어러블 카메라 KR102136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839A KR102136349B1 (ko) 2019-04-15 2019-04-15 웨어러블 카메라
PCT/KR2020/004969 WO2020213902A1 (ko) 2019-04-15 2020-04-13 웨어러블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839A KR102136349B1 (ko) 2019-04-15 2019-04-15 웨어러블 카메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6349B1 true KR102136349B1 (ko) 2020-07-22

Family

ID=71893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839A KR102136349B1 (ko) 2019-04-15 2019-04-15 웨어러블 카메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36349B1 (ko)
WO (1) WO2020213902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10133A (ja) * 2014-01-14 2017-04-06 トヨタ モーター エンジニアリ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ノース アメリカ,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立体的視野及び内部処理機能を備えたスマート・ネックレス
KR20170121902A (ko) * 2016-04-26 2017-11-03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현장착용자 장치 및 상기 현장착용자 장치의 360도 카메라와 가상현실 장치를 이용한 원격 관제 시스템
KR20180054066A (ko) * 2016-11-14 2018-05-24 주식회사 인포웍스 적외선 스테레오 카메라 영상처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6972B1 (ko) * 2015-12-18 2018-05-14 (주)네모 웨어러블 카메라
KR101810668B1 (ko) * 2017-03-07 2017-12-20 링크플로우 주식회사 전방향 영상 촬상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10133A (ja) * 2014-01-14 2017-04-06 トヨタ モーター エンジニアリ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ノース アメリカ,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立体的視野及び内部処理機能を備えたスマート・ネックレス
KR20170121902A (ko) * 2016-04-26 2017-11-03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현장착용자 장치 및 상기 현장착용자 장치의 360도 카메라와 가상현실 장치를 이용한 원격 관제 시스템
KR20180054066A (ko) * 2016-11-14 2018-05-24 주식회사 인포웍스 적외선 스테레오 카메라 영상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13902A1 (ko) 2020-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1249B1 (en) Heat dissipation assembly and action camera
KR101724300B1 (ko) 스테레오 카메라
US10462339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system having press bent infrared cut filter holder
JP6662474B2 (ja) 頭部装着型装置
CN110692007B (zh) 具有冲击吸收壁的头戴式装置的金属框架
US11287292B2 (en) Sensor system
JP5341279B2 (ja) 内視鏡装置
KR101455124B1 (ko) 촬상 센서 패키지를 구비한 촬상장치
JP5482748B2 (ja) 撮像装置及び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CN211149071U (zh) 头戴式设备
WO2021109905A2 (zh) 头戴式设备
CN105898117A (zh) 能够有效率且均匀散热的电子设备
JP6732438B2 (ja) 撮像装置
KR102136349B1 (ko) 웨어러블 카메라
JP2010233015A (ja) 撮像装置
US10750267B2 (en) Earplug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140259271A1 (en) Method for embedding electronic device and wearable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50101699A (ko) 개선된 방열 특성을 갖는 트랜스듀서
TW201516466A (zh) 頭戴式顯示裝置
JP6147084B2 (ja) 電子機器
JP2012055489A (ja) 電子内視鏡用の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製造方法
CN211426935U (zh) 头戴式设备
KR20180054066A (ko) 적외선 스테레오 카메라 영상처리 장치
CN211426931U (zh) 头戴式设备
KR20220070977A (ko) 방열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