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1902A - 현장착용자 장치 및 상기 현장착용자 장치의 360도 카메라와 가상현실 장치를 이용한 원격 관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현장착용자 장치 및 상기 현장착용자 장치의 360도 카메라와 가상현실 장치를 이용한 원격 관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1902A
KR20170121902A KR1020160050750A KR20160050750A KR20170121902A KR 20170121902 A KR20170121902 A KR 20170121902A KR 1020160050750 A KR1020160050750 A KR 1020160050750A KR 20160050750 A KR20160050750 A KR 20160050750A KR 20170121902 A KR20170121902 A KR 20170121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eld
wearer
virtual reality
information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0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8893B1 (ko
Inventor
엄정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Priority to KR1020160050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8893B1/ko
Priority to PCT/KR2017/004279 priority patent/WO2017188665A1/ko
Publication of KR20170121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1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04N13/0003
    • H04N13/0048
    • H04N13/0232
    • H04N13/0429
    • H04N13/04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61Encoding,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different image signal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07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a single 2D image sensor
    • H04N13/232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a single 2D image sensor using fly-eye lenses, e.g. arrangements of circular len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44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with head-mounted left-right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360도 카메라와 가상현실 장치를 이용한 원격 관제 시스템 및 현장착용자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현장착용자 장치는 현장착용자의 머리에 착용 가능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현장착용자의 상황을 원격에서 관찰할 수 있는 상기 가상현실 장치와의 통신을 중계하는 LTE 통신 모듈;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현장과 관련된 360도 영상을 촬영하는 360도 카메라 모듈;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현장착용자의 음성 또는 상기 현장과 관련된 음성을 수집하고, 상기 가상현실 장치의 착용자의 음성을 전송하는 PTT 모듈; 및 상기 촬영된 360도 영상 및 상기 수집된 음성을 상기 LTE 통신 모듈을 통해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현장착용자 장치 및 상기 현장착용자 장치의 360도 카메라와 가상현실 장치를 이용한 원격 관제 시스템{USER DEVICE OF FILED AND REMOTE-CONTROL SYSTEM USING 360-DEGREE CAMERA OF THE USER DEVICE AND VIRTUAL REALITY DEVIC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작업 또는 임무수행과 같은 현장을 관제하는 원격 관제 시스템 및 이를 구성하는 현장착용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현장착용자가 속한 현장과 관련된 구체적인 정보를 서버 또는 가상현실 장치와 통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업 또는 임무수행 현장에서는 복수의 인원들이 정해진 일을 협업 또는 분담하여 처리하고, 몇몇 인원들마다 배정된 관리자가 해당 작업의 지시를 통해 작업 현장을 관리하고 있다.
이러한 작업 현장 중 화재, 건설, 원전, 화학공장, 원자력, 터널공사, 경찰작전, 군사훈련, 해외파병과 같은 위험지역의 현장에서는 해당 현장 특성상 현장 인원들간 또는 현장 인원와 관리자간의 상호 커뮤니케이션이 매우 중요하게 작용한다.
한편, 현장의 인원들은 안전모, 소방복, 군복, 경찰복 등과 같은 장비 또는 복장을 착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장비 또는 복장들은 해당 현장의 위험요소로부터 인원들을 보호하거나 식별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현장 인원들의 위험을 인식할 수 있도록 음성 내지 발광 등의 동작을 통해 현장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장비 또는 복장에서 알림하는 다양한 형태의 아이템이 소개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92882호
화재가 발생하거나 고산(高山)에서 조난을 당하는 등 사고가 발생했을 때, 피해의 확산을 방지하고 안전하게 구조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현재 발생한 사고나 노출된 위험이 구체적으로 어떤 것인지, 그리고 그러한 상황에 놓여진 사람이 구체적으로 어떤 상태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정확한 판단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층으로 구성된 건물의 중간 층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화재 현장에서 떨어져 있는 관리자가 화재 현장에 있는 작업자(예: 소방 인원)를 지휘하기 위해서는 화재 현장에 대한 상황을 정확하게 판단하여야 한다. 또한, 관리자는 화재 현장에 있는 사람의 현재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하여야만 정확한 구조 시기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원거리에 있는 관리자가 현장의 주변 상황이나 환자의 신체 상태 등에 관한 정보를 받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휴대 전화나 무전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앞서 언급한 화재 상황이나 조난 상황 등 긴급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이용하기도 힘들기 때문에, 관리자는 작업과 관련된 지시 정보를 정확하게 원거리의 작업 인원에게 전달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원자력 관련 작업 현장, 건설 현장, 경찰 또는 군인의 임무 수행 현장에서는 관리자(예: 상급자)가 정확하게 현장 정보를 파악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전술한 장비 또는 복장으로는 짧은 시간안에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는데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특정 환경에 속해있는 작업자가 원거리에 있는 관리자에게 자신의 상황이나 현재 상태를 영상으로서 정확하게 전송할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되고 있으며, 다른 측면으로는 원거리에 있는 관리자가 작업자가 속한 현장 정보를 정확하게 알아낼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안출된 것으로서, 현장에 있는 현장착용자가 현장에서 360도 영상과 같은 파노라마 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원격의 가상현실 장치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가상현실 장치의 사용자(예: 관리자)가 보다 정확하게 현장착용자가 있는 현장을 분석할 수 있는 원격 관제 시스템 및 이를 구성하는 현장착용자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내용을 통해 다양하게 도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현장착용자 장치는 현장착용자의 머리에 착용 가능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현장착용자의 상황을 원격에서 관찰할 수 있는 상기 가상현실 장치와의 통신을 중계하는 LTE 통신 모듈;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현장과 관련된 360도 영상을 촬영하는 360도 카메라 모듈;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현장착용자의 음성 또는 상기 현장과 관련된 음성을 수집하고, 상기 가상현실 장치의 착용자의 음성을 전송하는 PTT 모듈; 및 상기 촬영된 360도 영상 및 상기 수집된 음성을 상기 LTE 통신 모듈을 통해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현장착용자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상현실 장치에서 생성된 현장지시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LTE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현장지시 정보를 상기 PTT 모듈을 통해 상기 현장착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현장착용자 장치는 상기 현장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 정보를 상기 LTE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현장지시 정보는 상기 가상현실 장치에서 상기 360도 영상, 상기 음성 및 상기 센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현장착용자 장치는 상기 현장착용자의 머리에 착용될 수 있는 헬멧 또는 밴드 형태의 웨어러블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현장착용자 장치는 상기 하우징 외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PTT(Push to TALK)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PTT 버튼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PTT 모듈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상기 수집되는 음성을 상기 LTE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서버 또는 상기 가상현실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현장착용자 장치에서, 상기 센서 정보는 상기 현장착용자가 위치한 현장에서 수집되는 현장 정보 및 상기 현장착용자의 상태를 나타내는 생체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장 정보에 따른 제1 변수 및 상기 생체 정보에 따른 제2 변수를 산출하고, 상기 제1 변수 및 상기 제2 변수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현장착용자의 안전상태 등급을 설정하며, 상기 설정된 안전상태 등급이 미리 설정된 제1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LTE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서버로 긴급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현장착용자 장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전상태 등급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더 높은 값을 가지는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알림부를 통해 상기 현장착용자에게 상기 긴급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현장착용자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변수의 가중치 및 상기 제2 변수의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상기 안전상태 등급을 산출하고, 상기 제2 변수의 가중치는 상기 상기 제1 변수의 가중치보다 더 높은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현장착용자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전상태 등급이 상기 제1 임계값 또는 상기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안전상태 등급이 상기 제1 임계값 또는 상기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 시간 동안의 360도 영상을 상기 촬영된 360도 영상 내에서 구별되도록 식별자 또는 태그 정보를 부여하고, 상기 식별자 또는 태그 정보가 부여된 360도 영상을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현장착용자 장치는 번역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번역 모듈은, 상기 PTT 모듈에서 수집되는 음성을 상기 가상현실 장치에 따라 미리 설정된 언어로 번역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제 시스템은 360도 카메라와 가상현실 장치를 이용한 원격 관제 시스템으로서, 상기 원격 관제 시스템은 현장착용자 장치, 상기 현장착용자를 원격으로 지시하는 가상현실 장치 및 상기 현장착용자 장치와 상기 가상현실 장치를 중개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현장착용자 장치는, 현장착용자의 머리에 착용 가능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현장착용자의 상황을 원격에서 관찰할 수 있는 상기 가상현실 장치와의 통신을 중계하는 LTE 통신 모듈;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현장과 관련된 360도 영상을 촬영하는 360도 카메라 모듈;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현장착용자의 음성 또는 상기 현장과 관련된 음성을 수집하고, 상기 가상현실 장치의 착용자의 음성을 전송하는 PTT 모듈; 및 상기 촬영된 360도 영상 및 상기 수집된 음성을 상기 LTE 통신 모듈을 통해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현장착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360도 영상 및 상기 음성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360도 영상 및 상기 음성을 상기 가상현실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현장착용자가 현장과 관련된 360도 영상을 촬영하고, PTT 모듈을 통해 상기 현장착용자 또는 현장과 관련된 음성을 수집하며, 상기 360도 영상과 음성을 LTE 통신을 이용하여 가상현실 장치에 전송함으로써, 가상현실 장치의 사용자는 현장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고, 현장착용자에게 정확하고 구체적인 현장지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현장착용자 장치에서 현장과 관련된 센서 정보를 수집하여 가상현실 장치에 추가적으로 제공함으로써, 가상현실 장치의 사용자(예: 관리자)는 영상뿐 아니라 다양한 정보를 통해 현장과 관련된 정보를 더욱 구체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현장착용자 장치는 현장착용자의 머리에 착용될 수 있는 헬멧 또는 밴드 형태의 웨어러블 장치로 구성됨으로써 현장의 사용자가 별도로 손을 쓰지 않아도 현장의 360도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현장착용자 장치, 서버 또는 가상현실 장치에서 현장 정보 및 생체 정보에 변수 또는 가중치를 부여하여 자동으로 안전상태 등급을 설정함으로써, 현장착용자의 긴급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현장착용자 장치, 서버, 또는 가상현실 장치에서 번역 모듈을 이용하여 PTT 모듈에서 수집되는 음성을 번역하고, 번역된 음성을 서버 또는 가상현실 장치에 제공함으로써, 현장착용자와 가상현실 장치(300)의 사용자가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현장착용자 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현장착용자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제 시스템의 현장착용자 장치에서 360도 영상을 촬영하고 이를 기반으로 생성된 현장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현장착용자 장치에서 사용자의 안전상태 등급을 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긴급신호를 생성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 현장과 관련된 정보를 가공하여 현장착용자 장치 및 가상현실 장치의 통신을 중개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 사용자의 안전상태 등급을 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긴급신호를 생성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장치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장치에서 현장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장치에서 사용자의 안전상태 등급을 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긴급신호를 생성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언급되는 “현장”은 화재 현장, 건설 현장, 원자력 처리 현장, 화학관련 처리 현장, 터널공사 현장, 군사훈련 현장, 경찰, 소방인원, 군인 등의 임무수행 현장과 같은 다양한 현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언급되는 “사용자”는 상기 현장의 인원(예: 작업자) 또는 상기 현장을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거나 분석하는 인원(예: 관리자)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자는 이하에서 “현장착용자”로, 상기 관리자는 이하에서 “가상현실 장치의 사용자”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언급하는 “현장관련 정보”는 현장에서 현장착용자 장치(100)가 수집하는 360도 영상, 음성 및 센서 정보와, 가상현실 장치(300)에서 생성하는 현장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원격 관제 시스템(10)에서 수행되는 현장관련 정보 송수신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제 시스템(10)의 구성도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원격 관제 시스템(10)은 현장착용자 장치(100) 서버(200), 가상현실 장치(300) 및 네트워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원격 관제 시스템(10)은 현장착용자가 현장착용자 장치(100)를 통해 360도 영상을 촬영하여 서버(200) 또는 가상현실 장치(300)에 전송하고, 가상현실 장치(300)는 360도 영상을 기반으로 생성된 현장지시 정보를 현장착용자 장치(10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현장착용자 장치(100), 서버(200) 및 가상현실 장치(300)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면들을 통해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네트워크(400)는 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s network)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 네트워크는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 인터넷(internet),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모바일 네트워크(mobile network) 또는 전화망(telephone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현장착용자 장치(100)의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현장착용자 장치(100)는 현장착용자 머리에 착용될 수 있는 웨어러블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현장착용자 장치(100)는 다양한 형태의 헬멧(100_S)과 연결되어 현장 특성에 적합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도 2의 현장착용자 장치(100)는 예시적인 형태이며, 현장의 사용자 또는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현장착용자 장치(100)는 헬멧(100_S) 또는 헤어밴드와 일체로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현장착용자 장치(100)는 하우징(100_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00_1)은 상기 현장착용자의 머리에 착용 가능하게 형성되며, 현장착용자 장치(100)의 각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현장착용자 장치(100)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 PTT(Push to TALK) 버튼과 같은 음성 버튼(101), 전원 버튼(102), 카메라 모듈(103), 발광부(104) 및 마이크(10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현장착용자 장치(100)는 내부 또는 배면과 같이 도 2에서 표시되지 않는 영역에서 도 3의 적어도 일부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현장착용자는 현장에서 도 2와 같은 현장착용자 장치(100)를 머리에 착용하고 현장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장착용자가 현장착용자 장치(100)의 전원 버튼(102)을 누르는 것에 응답하여, 현장착용자 장치(100)는 현장착용자 장치(100)의 각 구성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현장 업무 수행 중 현장착용자가 음성 버튼(101)을 누르면, 현장착용자 장치(100)의 마이크(105)는 현장착용자로부터 수집되는 음성(예: 현장착용자의 목소리) 또는 현장의 음성(예: 주변 소리와 같은 오디오 신호 또는 주변 현장 인원의 음성 등)을 수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03)은 360도로 현장을 촬영할 수 있는 360도 카메라 모듈일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130)은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카메라는 소정 각도로 이격되어 적어도 하나의 방향을 각각 촬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103)은 상기 카메라 모듈(103)의 각 카메라에서 촬영된 각각의 이미지들을 결합(예: 스티칭)하고, 결합된 이미지를 후처리하여 하나의 360도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카메라 모듈(103)은 상기 결합 과정 및 후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카메라 모듈(103)은 수집된 영상을 제어부(예: 프로세서(110))로 전송하여 상기 제어부에 의해 360도 영상이 생성될 수도 있다.
한정되지 않는 예로서, 카메라 모듈(103)은 도 2에서 도시되는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현장착용자 장치(100)의 상단부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카메라 모듈(103)은 현장착용자 장치(100)의 전면부에 위치하는 제1 카메라 및 현장착용자 장치(100)의 후면부에 위치하는 제2 카메라로 구성됨으로써 360도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현장착용자 장치(100)는 발광부(104)를 통해 통신 상태, 전원 상태, 긴급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구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104)는 적어도 하나의 LED 소자를 포함할 수 있고, 각 상태에 따라 미리 설정된 색상 또는 개수의 LED 소자가 발광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현장착용자 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도이다.
현장착용자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0, 예: CPU, AP, MCU 또는 DSP), 통신 모듈(120), 메모리(130), 센서 모듈(140), 입력 장치(150), 디스플레이(160), 인터페이스(170), 오디오 모듈(180), 카메라 모듈(191), 전력 관리 모듈(195), 배터리(196), 인디케이터(197) 및 모터(198)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예를 들면,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상기 프로세서(11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110)는, 예를 들면, SoC (system on chip) 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 모듈(120)은, 예를 들면, 셀룰러 모듈(121), WIFI 모듈(123), BT 모듈(125), GPS 모듈(127), NFC 모듈(128) 및 RF (radio frequency) 모듈(129)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20)은 LTE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120) 또는 셀룰러 모듈(121)은 LTE, LTE-A, CDMA, WCDMA, UMTS, WiBro 및 GSM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200) 또는 원격 관제 시스템(10)은 LTE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기지국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LTE 통신 모듈은 오디오 모듈(180)에서 수집되는 음성 신호를 서버(200) 또는 가상현실 장치(300)에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현장착용자는 셀룰러 모듈(121)을 통해 관리자와 실시간으로 통화 호 연결하여 현장지시 정보를 전달받을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현장착용자는 WIFI 모듈(123), BT 모듈(125), GPS 모듈(127) 또는 NFC 모듈(128)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인접한 현장착용자(예: 다른 작업자)의 현장착용자 장치와 실시간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내장 메모리(132) 또는 외장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132) 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solid state drive (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장 메모리(134)는 예를 들면, CF (compact flash), SD (secure digital), Micro-SD (micro secure digital), Mini-SD (mini secure digital), xD (extreme digital), 또는 메모리 스틱 (memory stic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장 메모리(134) 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현장착용자 장치(100)와 기능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30)는 현장착용자 장치(100)의 각 구성을 통해 수집되는 360도 영상, 음성 신호 및 센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30)는 음성 신호 및 센서 정보와 관련하여, 프로세서(110)의 제어 하에 현장관련 정보와 현장착용자의 정보를 구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오디오 모듈(180)을 통해 수집된 현장착용자의 음성 신호(예: 현장착용자의 목소리) 및 현장의 음성 신호(예: 현장의 주변 소리)를 구분할 수 있고, 구분된 음성 신호를 메모리(130)에 구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후술할 서버(200) 또는 가상현실 장치(300)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센서 모듈(140)을 통해 수집된 현장 정보(예: 현장의 온도정보 또는 풍속 정보)와 현장착용자의 생체 정보(예: 현장착용자의 심박 정보 등)을 구분할 수 있고, 구분된 생체 정보를 메모리(130)에 구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40)은, 예를 들면,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현장착용자 장치(100)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140)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140A), 자이로 센서(140B), 기압 센서(140C), 마그네틱 센서(140D), 가속도 센서(140E), 그립 센서(140F), 근접 센서(140G), color 센서(140H) (예: RGB (red, green, blue) 센서), 생체 센서(140I), 온/습도 센서(140J), 조도 센서(140K), 구축 센서, 또는 UV (ultra violet) 센서(140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상기 센서 모듈(140)은, 예를 들면, 후각 센서 (E-nose sensor), EMG 센서 (electromyography sensor), EEG 센서 (electroencephalogram sensor), ECG 센서 (electrocardiogram sensor), IR (infrared) 센서, 홍채 센서 및/또는 지문 센서, 모션 센서, 모션 센서, 질소량 측정 센서, 일산화탄소량 측정 센서 및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생체 센서(140I)는 상기 현장착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심박 측정 센서, 상기 현장착용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 측정 센서, 상기 현장착용자의 피부 상태를 측정하는 피부 상태 측정 센서, 상기 현장착용자의 체내 산소량을 측정하는 산소량 측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모션 센서는 자이로센서(140B), 가속도센서(140E), 지자기센서 등의 센서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이를 이용하여 현장착용자 장치(100)의 위치나 움직임 등을 감지한다.
심박 측정 센서는 현장착용자의 심박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심장 박동에 의한 혈관 굵기의 변화에 따른 광혈류량의 변화를 측정한다. 뿐만 아니라 단위 시간당 심장 박동의 횟수 및 횟수의 변화 등을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단위 시간당 심장 박동의 횟수 등을 측정하는 경우 상기 심박검출센서는 주변 환경의 상태 및 측정 대상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측정할 수도 있다.
피부 상태 측정 센서(체온 측정 센서)는 피부 상태 측정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체온을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변 온도 변화에 반응하여 저항 값이 변화하는 것에 따라 피부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로서, 미리 정해진 값(예를 들어, 피부의 정상 온도인 섭씨 36.5도 내지 섭씨 37.5도)을 기준으로 하여 비정상적인 피부 온도 상승 및 저하에 대해서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부 저항 센서는 피부의 전기 저항을 측정하여, 상기 피부 온도 센서가 주변 온도 변화에 반응하여 저항 값이 변화하는 것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UV 센서(140M)는 자외선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예를 들어 화재 현장에서 발생하는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는 자외선 감지 센서라고 할 수 있다. 즉, 화재로 인해 연기가 발생되어 그 연기가 상기 UV 센서(140M)로 유입되는 빛을 차단하면, 상기 UV 센서(140M)에 의해 감지될 수 있는 자외선의 양에 변화가 생기므로 상기 변화된 자외선의 양을 측정하여 화재 여부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V 센서(140M)가 특정 부분에 대해 빛을 비추고 있다가 화재로 인해 발생된 연기가 상기 비추고 있는 빛을 가릴 경우, 상기 UV 센서(140M)는 가려진 빛의 정도에 따라 화재 발생 여부 및 발생된 화재의 크기 등을 감지 내지 판단할 수 있으며, 위와 같이 자외선을 분석 내지 처리하여 판단한 화재의 규모 등을 토대로 단위 면적당 연기(Smoke) 포화도를 계산할 수도 있다.
체내 산소 측정 센서는 현장착용자의 체내 산소량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인체 내에 존재하고 있는 산소의 양을 측정하는 센서로서, 평균 상태에 있는 인체가 정상 범위의 산소의 양을 가지고 있는 경우의 여러 가지 조건(예를 들어, 체온, 주변 온도, 심박수 등)을 미리 판단한 다음, 상기 여러 가지 조건 등의 변화를 고려하여 상기 인체 내에 존재하고 있는 산소의 양을 판단하여 그 결과를 측정하는 센서를 의미한다.
일산화탄소 측정 센서는, 인접한 공기 중에 존재하는 이산화탄소 가스의 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광학적인 비분산적외선(Non-Dispersive InfraRed; NDIR) 으로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는 방식 및 고체전해질을 이용함으로써 전기화학적으로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는 방식이 존재한다.
질소량 측정 센서는, 일산화 질소(NO), 이산화질소(NO2), 삼산화이질소(N2O3) 및 아산화질소(N2O) 등 인접한 공기 중에 존재하는 질소산화물을 측정하는 센서로서, 평형 전위를 이용하는 방식, 전류를 이용하는 방식, 질소산화물 가스를 하나의 다른 가스 형태로 변환하는 변환 셀을 이용하는 방식 및 산소이온 전도성 고체전해질과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는 방식 등이 있다.
입력 장치(150)은, 예를 들면, 터치 패널(152) 또는 키(15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152)은,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키(156)는,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한정되지 않는 키(156)의 예시로서, 전술한 도 2의 음성 버튼(101) 또는 전원 버튼(102)이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패널(16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162)은, 예를 들면, 유연하게 (flexible), 투명하게 (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 (wearable) 구현될 수 있다. 패널(162)은 전술한 터치 패널(152)과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도 2에서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현장착용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6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현장착용자 장치(100)에서 수집되는 영상 정보(예: 360도 영상), 음성 신호, 센서 정보 또는 긴급 신호를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0)는, 예를 들면, HDMI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172), USB (universal serial bus, 174), 광 인터페이스 (optical interface, 176), 또는 D-sub (D-subminiature, 178)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현장착용자 장치(100)는 현장과 관련되어 수집된 정보 또는 수신된 현장지시 정보를 인터페이스(170)를 통해 외부 장치로 내보낼 수 있다.
오디오 모듈(180)은, 예를 들면, 소리 (sound)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80)은 스피커(182), 리시버(184), 이어폰(186), 또는 마이크(188)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음성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80)은 전술한 도 2의 음성 버튼(101, 예: PTT 버튼)과 물리적으로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음성 버튼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마이크(188)를 통해 음성 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이러한 마이크(188)는 전술한 도 2의 마이크(105)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191)은, 예를 들면,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 (예: 전면 센서 또는 후면 센서), 렌즈, ISP (image signal processor), 또는 플래쉬 (flash)(예: LED 또는 xenon lamp)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191)은 전술한 도 2의 카메라 모듈(103)과 동일한 기능 및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91)은 전술한 360도 카메라 모듈일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95)은 현장착용자 장치(100)의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력 관리 모듈(195)은 PMIC (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충전 IC (charger integrated circuit), 또는 배터리(196) 또는 연료 게이지 (battery or fuel gauge)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95)은 전술한 도 2의 전원 버튼(102)과 물리적으로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전원 버튼(102)의 입력에 따라 배터리로부터 인가되는 전력을 온오프시킬 수 있다.
인디케이터(197)는 현장착용자 장치(100) 혹은 그 일부 (예: 프로세서(110)의 특정 상태, 예를 들면, 부팅(전원) 상태, 통신 상태, 충전 상태, 긴급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인디케이터(197)는 도 2의 발광부(104)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으며, 발광부(104)의 적어도 일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198)는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고, 진동 (vibration), 또는 햅틱 (haptic) 효과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198)는 알림부의 일부 구성으로 기능적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 경우, 모터(198)는 후술한 긴급 신호를 현장착용자에게 진동으로 알릴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현장착용자 장치(100)는 PTT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PTT 모듈은 하우징(100_1)에 배치되어 현장착용자 또는 현장과 관련된 음성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PTT 모듈은 전술한 PTT 버튼 및 오디오 모듈(18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TT 모듈은 상기 PTT 버튼, 오디오 모듈(180), 전기회로 및 PTT 모듈의 각 구성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현장착용자 장치(100)는 번역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미도시). 이러한 번역 모듈은 현장착용자 장치(100)의 PTT 모듈로부터 수집되는 음성 신호를 가상현실 장치(300) 또는 가상현실 장치(300)의 사용자에 따라 미리 설정된 언어 형식으로 변역, 변경 또는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번역 모듈은 가상현실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현장지시 정보를 현장착용자 또는 현장착용자 장치(100)에 따라 미리 설정된 언어로 번역, 변경 또는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번역 모듈은 현장착용자 장치(100) 외에 서버(200) 또는 가상현실 장치(300)에도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제 시스템(10)의 현장착용자 장치(100)에서 360도 영상을 촬영하고 이를 기반으로 생성된 현장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S410 단계에서, 현장착용자 장치(100)는 현장과 관련된 360도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현장착용자는 현장착용자 장치(100)의 전원 버튼(102)을 눌러서 카메라 모듈(103, 191)을 활성화시키고, 현장의 영상을 360도 파노라마로 촬영할 수 있다.
다음으로, S430 단계에서, 현장착용자 장치(100)는 촬영된 360도 영상을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현장착용자 장치(100)는 주변 현장에 대해 360도로 촬영한 360도 영상을 실시간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현장착용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 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현장착용자 장치(100)는 PTT 모듈을 통해 현장착용자로부터 수집되는 음성 신호 또는 현장의 음성 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장착용자 장치(1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구비된 PTT 버튼이 현장착용자에 의해 눌러지는 경우, 현장착용자 장치(100)는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현장착용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현장착용자 장치(100)는 현장착용자가 위치한 현장에서 수집되는 현장 정보 및 현장착용자의 상태를 나타내는 생체 정보와 같은 센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현장 정보는 현장착용자가 속한 현장의 온도 정보, 현장의 풍속 정보, 현장의 일산화탄소 측정 정보, 현장의 질소량 측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현장의 온도 정보, 현장의 일산화탄소 측정 정보 및 현장의 질소량 측정 정보는 현장착용자 장치(100)로부터 미리 설정된 소정 범위 이내에서 측정된 정보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생체 정보는 현장착용자의 심박 정보, 현장착용자의 온도 정보 및 현장착용자의 체내 산소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현장착용자 장치(100)는 상기와 같이 수집된 음성 신호 및 센서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장착용자 장치(100)는 360도 영상, 음성 신호 및 센서 정보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S450 단계에서 현장착용자 장치(100)는 360도 영상을 기반으로 생성된 현장지시 정보를 서버(200) 또는 가상현실 장치(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현장지시 정보는 상기 360도 영상에 기초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는 현장착용자 장치(100) 또는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360도 영상을 분석하여 적절한 현장지시 정보를 가상현실 장치(100)에 입력할 수 있고, 가상현실 장치(300)는 입력된 현장지시 정보를 서버(200)를 통해 현장착용자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한정되지 않는 예로서, 현장지시 정보는 관리자의 음성 신호 또는 텍스트 신호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S470 단계에서 현장착용자 장치(100)는 서버(200) 또는 가상현실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현장지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장착용자 장치(100)는 PTT 모듈, 알림부, 오디오 모듈(180), 디스플레이(160)를 통해 현장지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그러면, 현장착용자는 출력된 현장지시 정보를 통해 자신에게 주어진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현장의 현장착용자가 현장의 360도 영상, 음성 신호 및 센서 정보를 상기 현장에서 떨어진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공유함으로써, 관리자는 보다 정확하게 현장의 내용을 분석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한 현장지시 정보를 현장착용자가 LTE 모듈을 통해 원격으로 지시받음으로써 효율적이고 신속한 현장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현장착용자 장치(100)는 현장착용자의 안정 또는 긴급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현장착용자 장치(100)에서 수집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현장착용자의 안전상태 등급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이어지는 도 5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현장착용자 장치(100)에서 현장 정보 및 생체 정보에 따라 안전상태 등급을 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긴급신호를 생성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러한 도 5의 내용은 전술한 도 4의 각 단계 수행 중 임의의 시점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 개시되는 안전 상태 등급 설정 및 긴급신호 생성동작의 다양한 실시예는 후술할 서버(200) 또는 가상현실 장치(300)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먼저, S505 단계 및 S510 단계에서, 현장착용자 장치(100)는 센서 정보 중 상기 현장 정보에 따른 제1 변수 및 및 상기 생체 정보에 따른 제2 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장의 온도 정보가 미리 설정된 온도 값을 초과하는 경우, 현장착용자 장치(100)는 상기 초과된 횟수 또는 초과되는 온도를 카운팅하여 제1 변수값을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현장착용자의 체온이 미리 설정된 온도 값을 초과하거나, 현장착용자의 체내 산소량이 미리 설정된 양을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현장착용자 장치(100)는 상기 초과된 횟수, 초과 온도 또는 부족 산소량을 카운팅하여 제2 변수값을 설정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현장착용자 장치(100)는 상기 제1 변수의 가중치 및 상기 제2 변수의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보통의 경우, 현장 정보보다는 현장착용자의 생체 정보가 현장착용자의 안전상태와 보다 직결되는 지표이므로, 현장착용자 장치(100)는 제2 변수의 가중치를 제1 변수의 가중치보다 더 높은 값을 가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S515 단계에서 현장착용자 장치(100)는 상기 산출된 제1 변수 및 제2 변수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현장착용자의 안전상태 등급을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S520 단계에서 현장착용자 장치(100)는 안전상태 등급이 미리 설정된 제1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안전상태 등급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예: 제1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도 5의 동작은 종료될 수 있다.
반면, 안전상태 등급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예: 제1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현장착용자 장치(100)는 S525 단계에서 안전상태 등급이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더 높은 임계값(예: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안전상태 등급이 제2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S530 단계에서 현장착용자 장치(100)는 서버(200)로 긴급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200)는 수신된 긴급신호를 가상현실 장치(300)에 전달하거나 상기 긴급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현장지시 정보를 현장착용자 장치(100)에 회신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안전상태 등급이 미리 설정된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S535 단계에서 현장착용자 장치(100)는 현장착용자에게 긴급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장착용자 장치(100)는 발광부(104), 모터(198), 디스플레이(160), 오디오 모듈(180) 또는 PTT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현장착용자에게 긴급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S540 단계에서 현장착용자 장치(100)는 360도 영상에서 해당 구간에 대한 식별자를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현장착용자 장치(100)는 안전상태 등급이 제1 임계값 또는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 구간(예: 시간) 동안의 360도 영상을 상기 촬영된 360도 영상 내에서 구별되도록 식별자 또는 태그 정보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장착용자 장치(100)는 안전상태 등급이 제1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 초과된 시점부터 촬영되는 360도 영상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경고 아이템이 노출되도록 360도 영상을 가공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장착용자 장치(100)는 가공된 360도 영상을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현장착용자 장치(100)는 식별자 또는 태그 정보와 같은 메타 데이터를 360도 영상에 부여함으로써 임계값 초과 구간에 해당하는 영상을 촬영되는 영상 내에서 구별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변수, 제2 변수, 제1 가중치, 제2 가중치, 제1 임계값, 제2 임계값, 식별자 또는 태그 정보는 현장착용자 또는 현장착용자 장치(100)에 미리 설정된 정책에 따라 설정되어 메모리(13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임의의 시점에서 변경되거나 업데이트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변수, 가중치, 식별자 등을 이용하여 현장착용자의 안전상태 등급을 설정하고 특정 구간을 구별함으로써, 현장 영상을 제공받는 관리자는 영상 분석시 해당 현장착용자의 안전상태를 직관적이고 신속하게 확인함으로써 보다 적합한 현장지시 정보를 현장착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의 구성도이다. 이러한 서버(200)는 현장착용자 장치(100) 또는 가상현실 장치(300)와 통신하여 현장관련 정보의 통신을 중개하고, 응급 상황 시 적절한 현장지시 정보를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200)는 통신 모듈(210), 제어부(220), 영상정보 처리부(221), 센서정보 처리부(223), 음성정보 처리부(223), 인증 처리부(227) 번역 처리부(229) 및 저장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는 도 6의 구성 중 적어도 일부가 생략되거나 적어도 일부 구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도 3의 현장착용자 장치(100)의 적어도 일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210)는 현장착용자 장치(100) 또는 가상현실 장치(300)와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모듈(210)는 현장착용자 장치(100)의 통신 모듈(120)의 적어도 일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모듈(210)는 유선통신 모듈 및 무선통신 모듈(예: RF 송/수신 모듈, 트랜시버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현장착용자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서버(200)는 LTE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서버(200)의 전원공급 제어 등과 같은 전반적인 동작 및 서버(200)의 내부 구성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정보 처리부(221)는 현장착용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영상 정보(예: 360도 영상)를 수신하고, 해당 영상정보에 대한 처리 및 가공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정보 처리부(221)는 현장착용자의 안전상태 등급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예: 제1 임계값 또는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초과된 구간 동안의 360도 영상을 현장착용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360도 영상 내에서 구별되도록 식별자 또는 태그 정보와 같은 메타 데이터를 부여할 수 있다.
음성정보 처리부(223)는 현장착용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음성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 정보를 가상현실 장치(300)에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음성정보 처리부(223)는 현장착용자로부터 수신된 음성정보에서 현장의 음성 신호(예: 현장의 주변 소리)와 현장착용자의 음성 신호(예: 현장착용자의 목소리)를 구별하여 서버(200)의 저장부(230)에 저장할 수 있다.
센서정보 처리부(225)는 현장착용자 장치(100)로부터 센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센서 정보를 가상현실 장치(300)에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정보 처리부(225)는 센서 정보에 포함된 현장 정보 및 현장착용자의 생체 정보를 기반으로 현장착용자의 안전상태 등급을 설정할 수 있고, 설정된 안전상태 등급에 따른 긴급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인증 처리부(227)는 현장착용자 또는 관리자가 본 발명의 원격관리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인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증 처리부(227)는 현장착용자 장치(100) 또는 가상현실 장치(300)로부터 현장착용자 또는 관리자와 관련된 정보(예: 아이디, 비밀번호, 주소, 접속 IP, 로그 정보, 국적, 언어 정보 등)를 입력받아 인원 정보 DB(231)에 미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원격 관제 시스템(10)에 현장착용자 장치(100) 또는 가상현실 장치(300)가 접근하고자 하는 경우, 현장착용자 장치(100) 또는 가상현실 장치(300)로부터 수신되는 인증 정보를 상기 인원 정보 DB(231)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인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인증이 완료되면, 인증 처리부(227)는 인증이 완료된 때로부터 현장착용자 장치(100) 또는 가상현실 장치(300)와 서버(200)를 연결할 수 있다. 인증이 완료되지 않으면, 인증 처리부(227)는 인증이 완료되지 않았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현장착용자 장치(100) 또는 가상현실 장치(300)로 전송하거나, 재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증 처리부(227)는 인증이 완료될 때까지 현장착용자 장치(100) 또는 가상현실 장치(300)와 서버와의 통신을 보류할 수 있다.
번역 처리부(229)는 수신된 음성 신호를 미리 설정된 언어로 번역하고, 번역된 음성 신호를 가상현실 장치(300)에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번역 처리부(229)는 관리자에 따라 미리 설정된 언어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언어 정보를 기반으로 현장착용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를 번역할 수 있다. 이러한 번역 과정은 공지의 음성 인식 및 음성 변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번역 처리부(229)는 관리자 또는 현장착용자가 사용하는 언어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저장부(230)의 인원 정보 DB(231)를 참조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번역 처리부(229)는 가상현실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현장지시 정보를 현장착용자가 사용하는 언어로 번역한 후, 번역된 현장지시 정보를 현장착용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현장에서 수행하는 현장착용자와 상기 현장착용자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더라도 효과적으로 현장관련 정보를 통신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저장부(230)는 제어부(220), 서버(200) 또는 원격 관제 시스템(10)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되거나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예를 들어, 메모리(memory), 캐시(cash), 버퍼(buffer)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230)는 인원정보 DB(231) 및 정보 DB(233)를 포함할 수 있다. 인원정보 DB(231)는 현장착용자 또는 관리자와 관련된 개인 정보 또는 로그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정보 DB(233)는 서버(200)에서 현장 원격관리 서비스 수행 중 발생하는 정보 또는 서비스 수행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정되지 않는 예로서, 정보 DB(233)는 제1 변수, 제2 변수, 제1 가중치, 제2 가중치, 제1 임계값, 제2 임계값, 식별자, 태그 정보 또는 번역된 음성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도 6에서 영상정보 처리부(221), 센서정보 처리부(223), 음성정보 처리부(223), 인증 처리부(227) 및 번역 처리부(229)는 제어부(220)와 별도의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어부(220)와 하나의 모듈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영상정보 처리부(221), 센서정보 처리부(223), 음성정보 처리부(223), 인증 처리부(227), 번역 처리부(229) 및 제어부(220)의 기능은 저장부(230, 예: 메모리)에 저장된 루틴, 명령어(instruction) 또는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형성된 루틴, 명령어 또는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에도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서버(200)는 PTT 처리부 및 LTE 통신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PTT 처리부는 현장착용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를 가상현실 장치(30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LTE 통신 처리부는 현장착용자 장치(100)와 가상현실 장치(300)간의 LTE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에서 현장과 관련된 정보를 현장착용자 장치(100) 또는 가상현실 장치(300)와 통신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S710 단계에서, 서버(200)는 현장착용자 장치(100)로부터 현장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200)는 상기 현장과 관련하여 상기 현장착용자 장치에서 촬영된 360도 영상 및 상기 현장 또는 상기 현장착용자와 관련하여 상기 현장착용자 장치에서 수집된 음성 신호를 통신 모듈(210)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는 수신된 음성 신호를 번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는 가상현실 장치(300)에 해당하는 언어 정보를 확인하고, 현장착용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의 언어가 상기 확인된 언어 정보와 상이한 경우, 확인된 언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신된 음성 신호를 번역할 수 있다.
다음으로, S730 단계에서 서버(200)는 가상현실 장치(300)로 360도 영상 및 음성 신호(또는 번역된 음성 신호)와 같은 현장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S750 단계에서 가상현실 장치(300)로부터 상기 현장관련 정보(예: 360도 영상 및 음성 신호)에 기초한 현장지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S770 단계에서, 서버(200)는 수신된 현장지시 정보를 현장착용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현장지시 정보의 언어가 현장착용자 장치(100)에 따라 미리 설정된 언어와 상이한 경우, 서버(200)는 상기 현장지시 정보를 상기 현장착용자 장치(100)에 따라 번역한 후 전송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서버(200)는 상기 현장과 관련하여 현장착용자 장치(100)에서 감지된 센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센서 정보를 가상현실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현장착용자 장치(100)에서의 실시예와 같이, 서버(200) 또한 센서 정보를 기반으로 안전상태 등급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이어지는 도 8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는 원격 현장관리 시스템(10)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현장착용자 장치(100) 또는 가상현실 장치(300)에 대한 인증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에서 현장착용자의 안전상태 등급을 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긴급신호를 생성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러한 도 8의 내용은 전술한 도 7의 각 단계 수행 중 임의의 시점에서 수행될 수 있다.
먼저, S805 단계 및 S810 단계에서, 서버(200)는 센서 정보 중 현장 정보에 따른 제1 변수 및 및 생체 정보에 따른 제2 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현장 정보 및 생체 정보에 따른 변수를 산출하는 과정 및 제1 변수와 제2 변수에 대하여 가중치를 설정하는 과정은 전술한 도 5의 현장착용자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내용과 동일할 수 있다.
다음으로, S815 단계에서 서버(200)는 제1 변수 및 제2 변수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현장착용자의 안전상태 등급을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S820 단계에서 서버(200)는 안전상태 등급이 제1 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안전상태 등급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예: 제1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도 8의 동작은 종료되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825 단계로 분기하여 안전상태 등급이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안전상태 등급이 제2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S830 단계에서 현장착용자 장치(100)는 가상현실 장치(300)로 긴급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안전상태 등급이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S835 단계에서 서버(200)는 안전상태 등급에 따라 미리 저장된 긴급신호를 현장착용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설정된 안전상태 등급이 매우 긴급한 상황의 경우에는, 가상현실 장치(300)에서 별도로 현장지시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서버(200) 자체에서 자동으로 긴급신호를 현장착용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200)는 미리 저장부(230)에 소정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현장착용자 장치(100)로 자동으로 전송할 안전상태 등급 별 긴급신호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S840 단계에서 서버(200)는 360도 영상에서 해당 구간에 대한 식별자를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200)는 안전상태 등급이 제1 임계값 또는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 구간(예: 시간) 동안의 360도 영상을 상기 현장착용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360도 영상 내에서 구별되도록 식별자 또는 태그 정보를 부여할 수 있다. 서버(200) 또한 현장착용자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현장착용자 장치(100)는 식별자 또는 태그 정보와 같은 메타 데이터를 360도 영상에 부여함으로써 임계값 초과 구간에 해당하는 영상을 현장착용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영상 내에서 구별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장치(300)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상현실 장치(300)는 가상현실(VR) 장치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가상현실 장치(300)는 관리자가 머리에 착용할 수 있는 헤드 장착형 장치와 같은 웨어러블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현실 장치(300)는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 장치(1)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VR 장치(예: VR 디스펜서) 또는 전자 장치(1)와 결합없이 Stand Alone으로 동작하는 VR 디바이스로 구성될 수 있으나, 특정한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현실 장치(100)는 상기 가상현실 장치(100)의 사용자가 착용 가능한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은 가상현실 장치(100)의 사용자의 머리 또는 얼굴의 일부 영역을 착용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밴드 또는 프레임 등과 같은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은 가상현실 장치(100)의 각 구성들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가상현실 장치(300)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현장착용자 장치(100)의 음성 버튼(104, 예: PTT 버튼)과 동일 또는 유사한 음성 버튼(301, 예: PTT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치(300)는 PTT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PTT 모듈은 전술한 현장착용자 장치(100)의 PTT 모듈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PTT 모듈은 하우징에 배치되어 가상현실 장치(300)의 사용자와 관련된 음성신호(예: 목소리 등)를 수집할 수 있다.
관리자는 도 9와 같이 도시된 가상현실 장치(300)를 머리 또는 얼굴에 착용하고, 현장착용자 장치(100)에서 촬영한 360도 360도 영상을 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현장착용자가 속한 현장을 실시간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시청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는 음성 버튼(301)을 터치 또는 누름으로써 음성으로 현장지시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가상현실 장치(300)는 입력된 음성에 해당하는 현장지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가상현실 장치(300)는 LTE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310)을 통해 서버(200) 또는 현장착용자 장치(100)로 상기 생성된 현장지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장치(300)의 구성도이다.
가상현실 장치(300)는 입력 모듈(310), 표시 모듈(320), 저장부(330), 오디오 모듈(340), 통신 모듈(350) 및 제어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현실 장치(300)는 상기 가상현실 장치(3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모듈(예: 회로 및 배터리), 관리자가 상기 가상현실 장치(300)를 착용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연결 프레임 또는 밴드 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가상현실 장치(300)는 전술한 도 3의 현장착용자 장치(100)의 적어도 일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모듈(310)은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고, 다양한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 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모듈(310)은 음성 버튼(301, 예: PTT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입력 모듈(310)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표시 모듈(320)은 가상현실 장치(300)의 기능 운용에 따라 발생하는 다양한 화면(예: 가상 공간에서 360도로 출력되는 360도 영상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표시 모듈(120)은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모듈(320)는 VR 장치에서 지원하는 가상 출력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가 가상현실 장치(300)를 전술한 도 9와 같이 착용하면, 관리자의 시선에 노출되는 가상현실 장치(300)의 표시 모듈(320)상에서 가상의 공간 및 해당 가상공간 내의 영상이 파노라마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자는 고개를 좌우로 돌리는 경우, 돌려지는 위치에 따라 360도 영상이 가상의 공간에서 연속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저장부(330)는 제어부(360), 가상현실 장치(300) 또는 원격 관제 시스템(10)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되거나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예를 들어, 메모리(memory), 캐시(cash), 버퍼(buff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330)는 원격 관리 어플리케이션(331)을 포함할 수 있다. 원격 관리 어플리케이션(331)은 앱 스토어와 같은 오픈 마켓을 통해 다운로드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가상현실 장치(300)에 내장(Embedded)된 홈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되거나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 장치(301)로부터 가상현실 장치(300)에 로드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원격 관리 어플리케이션(331)은 제어부(360)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미도시)의 호출에 따라 로드되어 가상현실 장치(300)의 각 구성을 통해 현장 원격관리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원격 관리 어플리케이션(331)은 루틴, 명령어 또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프로그램 등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330)는 정보 DB(3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 DB(335)에는 예컨대, 360도 영상, 음성 신호, 생체 정보, 변수, 가중치, 임계값, 또는 안전상태 등급에 따른 현장지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오디오 모듈(340)은 가상현실 장치(300)의 현장 원격관리 운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PTT 모듈은 전술한 PTT 버튼 및 상기 오디오 모듈(34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TT 모듈은 상기 PTT 버튼, 오디오 모듈(340), 전기회로 및 PTT 모듈의 각 구성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350)은 현장착용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예: 서버(200))간의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통신 모듈(150)은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300)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현실 장치(300)의 통신 모듈(350)은 현장착용자 장치(100)의 통신 모듈(120)의 적어도 일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치(300)의 통신 모듈(350)은 현장착용자 장치(100) 또는 서버(200)의 LTE 통신 모듈과 동일할 수 있으며, 이러한 LTE 통신 모듈은 LTE, LTE-A, CDMA, WCDMA, UMTS, WiBro 및 GSM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제어부(360)는 가상현실 장치(300)의 전원공급 제어 등과 같은 전반적인 동작 및 가상현실 장치(300)의 내부 구성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36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현실 장치(300)는 번역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미도시). 이러한 번역 모듈은 가상현실 장치(300)의 PTT 모듈로부터 수집되는 음성 신호를 가상현실 장치(300) 또는 가상현실 장치(300)의 사용자에 따라 미리 설정된 언어 형식으로 변역, 변경 또는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번역 모듈은 현장착용자 장치(100) 또는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를 가상현실 장치(300) 또는 가상현실 장치(300)의 사용자에 따라 미리 설정된 언어로 번역, 변경 또는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장치(300)에서 현장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S1110 단계에서, 가상현실 장치(300)는 서버(200)로부터 360도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치(300)는 현장과 관련하여 현장착용자 장치에서 촬영한 360도 영상을 서버(200) 또는 현장착용자 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S1130 단계에서, 가상현실 장치(300)는 표시 모듈(320)을 통해 가상의 공간 상에서 360도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S1150 단계에서, 가상현실 장치(300)는 출력된 360도 영상에 기초한 관리자의 입력을 기반으로 현장지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는 가상현실 장치(300)를 착용하고, 현장착용자 장치(100)에서 촬영된 현장의 360도 영상을 가상의 공간상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자는 현장을 분석하고 가상현실 장치(300)에 대하여 음성, 텍스트 또는 영상을 입력할 수 있고, 가상현실 장치(300)는 관리자의 입력을 기반으로 현장지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정되지 않는 예로서, 이러한 현장지시 정보는 관리자의 입력 정보 그 자체 또는 관리자의 입력 정보를 기반으로 가상현실 장치(300)에서 가공된 정보(예: 음성 노이즈 제거, 영상 전처리 과정 등에 의해 가공된 정보)일 수 있다.
다음으로, S1170 단계에서, 가상현실 장치(300)는 생성된 현장지시 정보를 현장착용자 장치(100) 또는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자가 가상현실 장치(3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구비된 음성 버튼(예: PTT 버튼)을 누르거나 터치하는 경우, 가상현실 장치(300)는 관리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통신 모듈(320, 예: LTE 통신 모듈)을 통해 서버(200) 또는 현장착용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현실 장치(300)는 현장과 관련하여 현장착용자 장치(100)에서 수집된 음성 신호 또는 센서 정보를 서버(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가상현실 장치(300)는 수신된 음성 신호 및 센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출력할 수 있고, 관리자는 출력된 정보를 기초로 현장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전술한 현장착용자 장치(100) 또는 서버(200)에서의 실시예와 같이, 가상현실 장치(300) 또한 현장착용자의 안정 또는 긴급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가상현실 장치(300)에서 수집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현장착용자의 안전상태 등급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이어지는 도 12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장치(300)에서 현장착용자의 안전상태 등급을 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긴급신호를 생성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러한 도 12의 내용은 전술한 도 11의 각 단계 수행 중 임의의 시점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도 12의 내용 중 도 5 및 도 8의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먼저, S1205 단계 및 S1210 단계에서, 가상현실 장치(300)는 센서 정보 중 상기 현장 정보에 따른 제1 변수 및 및 상기 생체 정보에 따른 제2 변수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S1215 단계에서 가상현실 장치(300)는 제1 변수 및 제2 변수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현장착용자의 안전상태 등급을 설정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현실 장치(300)는 상기 제1 변수의 가중치 및 상기 제2 변수의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장치(300)는 제2 변수의 가중치를 제1 변수의 가중치보다 더 높은 값을 가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S1220 단계에서 가상현실 장치(300)는 안전상태 등급이 제1 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안전상태 등급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예: 제1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도 12의 동작은 종료될 수 있다.
반면, 안전상태 등급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예: 제1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가상현실 장치(300)는 S1225 단계에서 안전상태 등급이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더 높은 임계값(예: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안전상태 등급이 제2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S1230 단계에서 가상현실 장치(300)는 서버(200)로 긴급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200)는 수신된 긴급신호를 현장착용자 장치(100)에 전달하거나 상기 긴급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현장지시 정보를 현장착용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안전상태 등급이 미리 설정된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S1235 단계에서 가상현실 장치(300)는 안전상태 등급에 따라 미리 저장된 긴급신호를 서버(200) 또는 현장착용자 장치(100) 전송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S1240 단계에서 가상현실 장치(300)는 360도 영상에서 해당 구간에 대한 식별자를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현장착용자 장치(100)는 안전상태 등급이 제1 임계값 또는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 구간(예: 시간) 동안의 360도 영상을 상기 촬영된 360도 영상 내에서 구별되도록 식별자 또는 태그 정보를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가상현실 장치(300)는 상기와 같은 식별자 또는 태그 정보가 부여된 360도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장치(300)는 안전상태 등급이 제1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 초과된 시점부터 촬영되는 360도 영상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경고 아이템이 노출되도록 360도 영상을 가공할 수 있다. 그리고, 가상현실 장치(300)는 가공된 360도 영상을 가상의 공간에서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현장착용자 장치(100)는 식별자 또는 태그 정보와 같은 메타 데이터를 360도 영상에 부여함으로써 임계값 초과 구간에 해당하는 영상을 촬영되는 영상 내에서 구별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변수, 제2 변수, 제1 가중치, 제2 가중치, 제1 임계값, 제2 임계값, 식별자 또는 태그 정보는 관리자 또는 가상현실 장치(300)에 미리 설정된 정책에 따라 설정되어 가상현실 장치(300)의 메모리(33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임의의 시점에서 변경되거나 업데이트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사용된 용어 “모듈”또는 “~부”는, 예를 들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 또는 “~부”는 예를 들어, 유닛(unit), 로직(logic), 논리 블록(logical block), 부품(component) 또는 회로(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모듈” 또는“~부”는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모듈” 또는“~부”는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래밍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래밍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10: 원격 관제 시스템 100: 현장착용자 장치
200: 서버 300: 가상현실 장치
400: 네트워크

Claims (11)

  1. 360도 카메라와 가상현실 장치를 이용한 원격 관제 시스템을 구성하는 현장착용자 장치로서,
    현장착용자의 머리에 착용 가능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현장착용자의 상황을 원격에서 관찰할 수 있는 상기 가상현실 장치와의 통신을 중계하는 LTE 통신 모듈;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현장과 관련된 360도 영상을 촬영하는 360도 카메라 모듈;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현장착용자의 음성 또는 상기 현장과 관련된 음성을 수집하고, 상기 가상현실 장치의 착용자의 음성을 전송하는 PTT(Push to TALK) 모듈; 및
    상기 촬영된 360도 영상 및 상기 수집된 음성을 상기 LTE 통신 모듈을 통해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현장착용자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상현실 장치에서 생성된 현장지시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LTE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현장지시 정보를 상기 PTT 모듈을 통해 상기 현장착용자에게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착용자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착용자 장치는,
    상기 현장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 정보를 상기 LTE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현장지시 정보는 상기 가상현실 장치에서 상기 360도 영상, 상기 음성 및 상기 센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착용자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착용자 장치는 상기 현장착용자의 머리에 착용될 수 있는 헬멧 또는 밴드 형태의 웨어러블 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착용자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착용자 장치는 상기 하우징 외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PTT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PTT 버튼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PTT 모듈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상기 수집되는 음성을 상기 LTE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서버 또는 상기 가상현실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착용자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정보는 상기 현장착용자가 위치한 현장에서 수집되는 현장 정보 및 상기 현장착용자의 상태를 나타내는 생체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장 정보에 따른 제1 변수 및 상기 생체 정보에 따른 제2 변수를 산출하고,
    상기 제1 변수 및 상기 제2 변수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현장착용자의 안전상태 등급을 설정하며,
    상기 설정된 안전상태 등급이 미리 설정된 제1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LTE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서버로 긴급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착용자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착용자 장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전상태 등급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더 높은 값을 가지는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알림부를 통해 상기 현장착용자에게 상기 긴급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착용자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변수의 가중치 및 상기 제2 변수의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상기 안전상태 등급을 산출하고,
    상기 제2 변수의 가중치는 상기 상기 제1 변수의 가중치보다 더 높은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착용자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전상태 등급이 상기 제1 임계값 또는 상기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안전상태 등급이 상기 제1 임계값 또는 상기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 시간 동안의 360도 영상을 상기 촬영된 360도 영상 내에서 구별되도록 식별자 또는 태그 정보를 부여하고,
    상기 식별자 또는 태그 정보가 부여된 360도 영상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착용자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착용자 장치는 번역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번역 모듈은, 상기 PTT 모듈에서 수집되는 음성을 상기 가상현실 장치에 따라 미리 설정된 언어로 번역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착용자 장치.
  11. 360도 카메라와 가상현실 장치를 이용한 원격 관제 시스템으로서, 상기 원격 관제 시스템은 현장착용자 장치, 상기 현장착용자를 원격으로 지시하는 가상현실 장치 및 상기 현장착용자 장치와 상기 가상현실 장치를 중개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현장착용자 장치는,
    현장착용자의 머리에 착용 가능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현장착용자의 상황을 원격에서 관찰할 수 있는 상기 가상현실 장치와의 통신을 중계하는 LTE 통신 모듈;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현장과 관련된 360도 영상을 촬영하는 360도 카메라 모듈;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현장착용자의 음성 또는 상기 현장과 관련된 음성을 수집하고, 상기 가상현실 장치의 착용자의 음성을 전송하는 PTT 모듈; 및
    상기 촬영된 360도 영상 및 상기 수집된 음성을 상기 LTE 통신 모듈을 통해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현장착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360도 영상 및 상기 음성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360도 영상 및 상기 음성을 상기 가상현실 장치로 전송하는,
    360도 카메라와 가상현실 장치를 이용한 원격 관제 시스템.
KR1020160050750A 2016-04-26 2016-04-26 현장착용자 장치 및 상기 현장착용자 장치의 360도 카메라와 가상현실 장치를 이용한 원격 관제 시스템 KR101898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750A KR101898893B1 (ko) 2016-04-26 2016-04-26 현장착용자 장치 및 상기 현장착용자 장치의 360도 카메라와 가상현실 장치를 이용한 원격 관제 시스템
PCT/KR2017/004279 WO2017188665A1 (ko) 2016-04-26 2017-04-21 현장착용자 장치, 가상현실 장치 및 현장착용자 장치의 360도 카메라와 가상현실 장치를 이용한 원격 관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750A KR101898893B1 (ko) 2016-04-26 2016-04-26 현장착용자 장치 및 상기 현장착용자 장치의 360도 카메라와 가상현실 장치를 이용한 원격 관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902A true KR20170121902A (ko) 2017-11-03
KR101898893B1 KR101898893B1 (ko) 2018-10-29

Family

ID=60383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0750A KR101898893B1 (ko) 2016-04-26 2016-04-26 현장착용자 장치 및 상기 현장착용자 장치의 360도 카메라와 가상현실 장치를 이용한 원격 관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889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21942A1 (de) 2017-09-21 2019-03-21 Hyundai Motor Company Kühlmittel-Steuerventileinheit
WO2020122263A1 (ko) * 2018-12-10 2020-06-18 디노플러스 (주) 스마트 글래스를 이용한 고소작업대의 안전점검 시스템 및 방법
KR102136349B1 (ko) * 2019-04-15 2020-07-22 링크플로우 주식회사 웨어러블 카메라
WO2021006655A1 (ko) * 2019-07-10 2021-01-14 링크플로우 주식회사 웨어러블 카메라 및 넥 가이드
KR102203809B1 (ko) * 2020-02-11 2021-01-18 주식회사 아이티로 이동형 통합 현장 모니터링 관리 장치
KR102464232B1 (ko) * 2022-03-22 2022-11-09 주식회사 위피엠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회를 제공하는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시스템의 전시회 설계 및 관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404B1 (ko) * 2019-05-23 2020-04-23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작전상황 공유 시스템
KR102201959B1 (ko) * 2019-05-24 2021-01-12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위급 상황에서 긴급 상황 공유 기능을 갖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21942A1 (de) 2017-09-21 2019-03-21 Hyundai Motor Company Kühlmittel-Steuerventileinheit
WO2020122263A1 (ko) * 2018-12-10 2020-06-18 디노플러스 (주) 스마트 글래스를 이용한 고소작업대의 안전점검 시스템 및 방법
KR102136349B1 (ko) * 2019-04-15 2020-07-22 링크플로우 주식회사 웨어러블 카메라
WO2020213902A1 (ko) * 2019-04-15 2020-10-22 링크플로우 주식회사 웨어러블 카메라
WO2021006655A1 (ko) * 2019-07-10 2021-01-14 링크플로우 주식회사 웨어러블 카메라 및 넥 가이드
KR102203809B1 (ko) * 2020-02-11 2021-01-18 주식회사 아이티로 이동형 통합 현장 모니터링 관리 장치
KR102464232B1 (ko) * 2022-03-22 2022-11-09 주식회사 위피엠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회를 제공하는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시스템의 전시회 설계 및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8893B1 (ko) 2018-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8893B1 (ko) 현장착용자 장치 및 상기 현장착용자 장치의 360도 카메라와 가상현실 장치를 이용한 원격 관제 시스템
KR101885355B1 (ko) 가상현실 장치 및 360도 카메라와 가상현실 장치를 이용한 원격 관제 시스템
US10769465B2 (en) Method for biometric recognition and terminal device
US10212399B2 (en) Wearable device for generating image signal, and system for controlling same
US10939066B2 (en) Wearable camera system and recording control method
CN109381165B (zh) 一种皮肤检测方法及移动终端
US9819843B2 (en) Head-mounted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spection, evaluation or assessment of an event or location
US20170076140A1 (en) Wearable camera system and method of notifying person
EP3382600A1 (en) Method of recognition based on iris recogni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CN108134913B (zh) 一种视频通话的智能调整方法及可穿戴设备
US20180063421A1 (en) Wearable camera, wearable camera system, and recording control method
KR101671981B1 (ko) 무선 통신을 이용한 협업 소방관의 위치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과, 협업 소방관의 위치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소방 헬멧
KR20210042603A (ko) 스마트 안전모 동작 시스템
US20150312742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video call service
CN108206892B (zh) 联系人隐私的保护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08549802A (zh) 一种基于人脸识别的解锁方法、装置以及移动终端
KR101569880B1 (ko) 영상 신호 생성을 위한 웨어러블 장치 및 그 제어를 위한 시스템
CN108280405A (zh) 一种车辆避障的方法和装置
CN113449273A (zh) 解锁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08134620A (zh) 一种救援处理方法及系统
CN108734001B (zh) 一种用户身份的认证方法、移动终端
CN108763894B (zh) 一种用户身份的认证方法、移动终端
JP2009267827A (ja) 被指揮者識別装置及び指揮支援システム
TW202102156A (zh) 一種高集成的智慧安全帽
CN107147871B (zh) 一种基于无线电的消防信息实时传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