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6316B1 - 황칠나무 잎 추출물 및 한라봉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황칠나무 잎 추출물 및 한라봉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6316B1
KR102136316B1 KR1020180087726A KR20180087726A KR102136316B1 KR 102136316 B1 KR102136316 B1 KR 102136316B1 KR 1020180087726 A KR1020180087726 A KR 1020180087726A KR 20180087726 A KR20180087726 A KR 20180087726A KR 102136316 B1 KR102136316 B1 KR 102136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hallabong
cosmetic composition
hwangchil
di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3192A (ko
Inventor
조창수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휴림황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휴림황칠(주)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휴림황칠(주)
Priority to KR1020180087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6316B1/ko
Publication of KR20200013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3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6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6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칠나무 잎 추출물 및 한라봉 껍질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항산화, 항염 및 항균 활성을 가지는 항여드름 기능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다양한 화장료 제형 적용이 가능하면서도, 항산화, 항염 및 항균 효과를 가져 항여드름 기능을 갖는 화장료로서의 높은 가치를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황칠나무 잎 추출물 및 한라봉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LEAF EXTRACT OF DENDROPANAX MORBIFERA AND A EXTRACT OF HALLABONG RIND}
본 발명은 황칠나무 잎 추출물 및 한라봉 껍질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항산화, 항염 및 항균 활성을 가지는 항여드름 기능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드름은 모 피지선의 염증성 질환으로 면포, 홍반성 구진, 농포 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소와성(lacuna) 혹은 비후성(hypertrophic scar) 반흔을 남기기도 한다. 여드름의 정확한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았으나 다양한 인자가 관여한다.
이러한 여드름의 병인으로 모낭벽의 과각화 및 비정상적인 탈락에 의한 면포 형성(comedogenesis), 남성호르몬(androgen)에 의한 피지 분비(sebum production)의 증가, 여드름균(Propionibacterium acnes)의 증식, 염증(inflammation) 유발, 피부장벽 기능의 이상, 스트레스, 유전, 화장품과 세안, 월경과 호르몬, 계절, 환경적 요인, 모낭의 반응성 등으로 보고 있다. 이 중 여드름 발생의 중요한 원인은 여드름 유발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s)의 증식이다. 상기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라는 박테리아 세균은 피지를 먹고 자라면서 트러블 발생의 주된 원인이 되는데, 정상인에서는 이 균이 피부에 존재하더라도 전혀 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나, 모낭이 막혀 피지가 모낭 안에 쌓이게 되면서부터는 피지를 먹고 빠르게 자라난다.
상기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의 여드름 원인균은 지방(트리글리세라이드)을 먹은 뒤 버터와 비슷한 물질, 즉 지방산을 배설하게 된다. 이러한 화학적 변화는 건강한 약산성 피부가 유분의 pH 밸런스가 무너지면서 알칼리화 되어 결국 피부 자체 기능이 저하되고 피부의 악순환을 초래한다. 이러한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에 의해 유발되는 여드름을 예방 및 완화시키기 위하여 통상 바르는 약, 먹는 약의 치료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한편, 황칠나무(Dengropanas morbifera)는 두릅나무과(Araliaceae)에 속하는 상록활엽수림이며, 전남 서남해안 및 도서지방에서만 자생 및 재배되는 난대성 수종이다. 황칠의 수지는 황금색이고 내열, 내구, 내수성이 강하며 부착성 및 광택이 좋아 예로부터 전통공예품에 천연도료 및 민간 의약품 소재로 쓰여지고 있다. 또한, 황칠은 세스퀴테르펜 등의 정유 성분 뿐만 아니라, 아라키딕산, 팔미틱산, 아르기닌 등 다양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동맥경화, 간기능 개선, 항산화 뼈 재생 촉진, 면역 증강, 항균, 항암 등의 효과가 보고되고 있다.
한라봉(Citrus unshiu Marcov X C. sinensis Osbeck) X C. reticulate Blanco)은 제주도 및 일본에 분포하는 무환자나무목 운향과 만다린계의 식물로 일본 농림성 과수시험장에서 청견과 폰캉을 교배하여 육성한 교잡종 감귤이다. 과육은 평운 15 brix의 당도를 나타내고, 씨앗이 없으며, 과육의 윗부분에 특징적인 돌출부를 가지며, 평균 지름은 6.5~9.7 cm정도 된다. 최근 한라봉 과피에는 항암, 항염 효과를 나타내는 화학적 성분인 방향유(essential oils), 폴리메톡시플라본(polymetoxyflavones) 및 폴리사카라이드(polysaccharide)와 같은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한라봉 꽃에서도 항염 효과와 항암 효과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한라봉의 과피와 과실에는 비타민 A의 전구체로 항산화 기능을 가져 자유라디칼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와 DNA의 손상을 억제한다고 알려진 β-크립토잔틴(β-cryptoxanthin)이 포함되어 있다. 최근에는 여드름을 개선하기 위한 화장품 원료 개발을 위해 활성 산소종인 프리라디칼을 제거하는 항산화 활성 물질을 탐색하고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활성 및 피부의 염증을 완화하는 물질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82292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11748호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목적은 황칠나무 잎 추출물 및 한라봉 껍질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여드름 기능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황칠나무 잎 추출물 및 한라봉 껍질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전제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80 중량%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DPPH 라디칼을 소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ABTS 라디칼을 소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활성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니트릭 옥사이드(Nitric Oxide) 생성 저해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겔, 크림, 에센스, 로션, 비누, 폼 클렌징, 미스트 및 세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항염 및 항균 활성을 가지는 항여드름 기능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황칠나무 잎 추출물 및 한라봉 껍질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다양한 화장료 제형 적용이 가능하면서도, 항산화, 항염 및 항균 효과를 가져 항여드름 기능을 갖는 화장료로서의 높은 가치를 확보할 수 있다.
도 1는 황칠나무 잎 추출물, 한라봉 껍질 추출물 및 황칠나무 잎 및 한라봉 껍질의 혼합 추출물의 여드름균 접종 농도별 측정 사진이다.
도 2는 RAW 264.7 세포에 황칠나무 잎 및 한라봉 껍질의 혼합 추출물의 NO 생성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RAW 264.7 세포에 황칠나무 잎 및 한라봉 껍질의 혼합 추출물의 PGE2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원의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상에" 또는 "전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직접적 시계열적인 관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각 단계 후의 혼합하는 단계와 같이 두 단계의 순서에 시계열적 순서가 바뀔 수 있는 간접적 시계열적 관계에 있는 경우와 동일한 권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황칠나무 잎 추출물 및 한라봉 껍질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다양한 화장료 제형 적용이 가능하면서도, 항산화, 항염 및 항균 효과를 가져 항여드름 기능을 갖는 화장료로서의 높은 가치를 확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황칠나무 잎 추출물과 한라봉 껍질 추출물을 함께 함유함으로써 각 추출물의 단독 적용에 비해 보다 우수한 항염증 활성 및 항여드름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황칠나무는 높이 15 m에 달하고 어린 가지는 녹색이며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모양 또는 타원형이다. 또한, 잎 가장자리가 밋밋하지만 어린나무에서는 3~5개로 갈라지고 톱니가 있다. 꽃은 6월에 연한 황록색으로 피고 양성화이며 산형꽃차례에 달린다. 꽃줄기는 길이 3~5 cm이고 작은 꽃줄기는 길이 5~10 mm이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꽃잎과 수술은 5개씩이며 화반에 꿀샘이 있다. 암술머리는 5개로 갈라지고 핵과는 타원형이며 10월에 흑색으로 성숙하고 암술대가 남아 있다. 나무껍질에 상처를 내면 노란 액체가 나오는데 이것을 황칠이라고 하며 가구의 도료로 사용하였다. 한국 특산종으로 남쪽 섬에서 자란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황칠나무 잎 추출물은 황칠나무의 다양한 기관 또는 잎, 꽃, 뿌리, 줄기, 가지, 껍질, 수액 및 종자 등으로부터 추출 및 발효하여 얻은 것을 의미하고, 바람직하게는 잎, 줄기, 가지, 껍질, 수액 또는 뿌리로부터 얻은 발효 추출물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잎, 줄기 또는 수액으로부터 얻은 발효 추출물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잎 또는 수액으로부터 얻은 발효 추출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한라봉은 1972년 일본에서 Kiyomi와 Ponkan을 교배해 육성한 교잡종 감귤의 품종이다. 일본의 품종명은 shiranui이고, 상품은 “dekopon“이라는 브랜드명으로 유통되고 있으며, 브라질에서 대단위로 경작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1990년을 전후해 도입되었으며, 재배 농가마다 부지화, 데코폰 등의 제각각 품종 이름으로 출하하기 시작했으며, 한라봉 감귤 꼭지 부분이 뾰족하게 튀어 나온 모습이 한라산을 닮았다고 해서 ‘한라봉’으로 통일된 명칭을 갖게 되었다. 한라봉의 어린 나무는 곧게 자라지만, 열매가 맺을 무렵부터는 옆으로 갈라지며, 꽃은 다른 감귤류의 꽃보다 크고 꽃가루가 적다. 열매는 거의 씨가 없는데, 씨가 있더라도 아주 적다. 열매의 무게는 200~300 g 정도이고, 열매 끝 부분에 꼭지가 튀어나온 것에서부터 튀어나오지 않은 것까지 다양하고, 대체로 크기와 모양이 고르지 않다. 처음에는 옅은 녹색이었다가, 10월 중순부터 색깔이 변하기 시작해 12월 초가 되면 주황색이 되고 2~3월에 완숙된다. 껍질의 두께는 3.5~5 mm로, 크기에 비해 비교적 얇으며 겁질의 감촉은 거칠지만 잘 벗겨진다. 당도가 높고 육질이 부드러우며 즙이 많다. 껍질에는 정유성분과 여러 가지 카로티노이드, 플라보노이드 및 각종 비타민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정유 성분의 대부분(70-90 %)을 차지하는 리모넨(α-limonene)은 중추신경의 흥분을 진정시키고, 항암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쾌한 향과 인체에 대한 무독성 때문에 화장품과 식품산업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황칠나무 잎 추출물 및 한라봉 껍질 추출물은 각각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추출용매로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과 에탄올의 혼합용매를 이용하는 것이 좋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70 %(v/v) 에탄올,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60 %(v/v) 에탄올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추출온도는 0 ~ 90 ℃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50 ℃인 것이 좋다. 상기 추출온도 상에서 추출시간은 1 ~ 5일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 ~ 4일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 제조되는데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용액, 겔, 크림, 에센스, 로션, 비누, 폼 클렌징, 미스트, 세럼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일 경우,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비누는 액상비누, 가루비누, 고형비누 및 오일 비누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수건 및 클렌징 팩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및 클렌징 겔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로 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황칠나무 잎 추출물의 제조
황칠나무 잎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였다. 본 발명의 황칠나무 잎 추출액은 하기 [표 1]에 기재한 추출용매의 비율에 따라 분쇄한 황칠 잎 5g에 10배수를 가하여 용액을 50 ml씩 넣어 35 ℃에서 72시간 동안 쉐이킹 및 여과하여 추출하였다.
용매 혼합비
DDW (%) 100 50 0
EtOH (%) 0 50 100
실시예 2. 한라봉 껍질 추출물의 제조
한라봉 껍질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말화하였다. 본 발명의 한라봉 껍질 추출액은 하기 [표 2]에 기재한 추출용매의 비율에 따라 분쇄한 한라봉 껍질 5 g에 10배수를 가하여 용액을 50 ml씩 넣어 35 ℃에서 72시간 동안 쉐이킹 및 여과하여 추출하였다.
DDW (%) 100 50 0
EtOH (%) 0 50 100
실험예 1. 황칠나무 잎 추출물, 한라봉 껍질 추출물 및 황칠나무 잎 및 한라봉 껍질의 혼합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실험
실험예 1-1. DPPH 라디칼 소거능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황칠나무 잎 추출물, 한라봉 껍질 추출물 및 황칠나무 잎 및 한라봉 껍질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들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DPPH 라디칼 소거 작용을 측정하였다. 즉, DPPH assay 방법은 Yoshida et al. (1989)이 사용한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96well plate에 control에는 추출물을 추출한 용매를 100 μL, 시험군에는 황칠나무 잎 추출물 100 μL 씩 각각 넣었으며, 모든 웰에 100 μL씩 넣고 50 μL의 DPPH (0.5 mM 1,1-diphenyl-2- picrylhydrazyl(DPPH)/ethanol) 용액을 가하여 혼합하였다.. 25 ℃의 실온에서 30분 동안 반응시킨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용매만을 첨가한 대조군에 대한 추출물의 라디칼 소거능을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Figure 112018074459316-pat00001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Sample DPPH 라디칼 소거능(%)
황칠 잎
50% 에탄올 추출물
원액 97.59 ± 0.27
2 배 희석 97.16 ± 0.07
4 배 희석 83.74 ± 0.25
8 배 희석 82.04 ± 0.34
16 배 희석 76.11 ± 0.75
32 배 희석 49.19 ± 4.00
64 배 희석 27.89 ± 1.17
128 배 희석 14.33 ± 4.99
한라봉 껍질 물 추출물 원액 87.73 ± 0.34
2 배 희석 87.72 ± 0.32
4 배 희석 86.08 ± 0.11
8 배 희석 74.05 ± 1.66
16 배 희석 36.98 ± 1.99
32 배 희석 21.27 ± 0.81
64 배 희석 5.27 ± 1.02
128 배 희석 0.24 ± 1.11
한라봉 껍질
50% 에탄올 추출물
원액 82.64 ± 0.43
2 배 희석 80.19 ± 0.62
4 배 희석 73.25 ± 2.29
8 배 희석 51.85 ± 1.83
16 배 희석 45.55 ± 1.06
32 배 희석 30.70 ± 0.21
64 배 희석 24.15 ± 1.52
128 배 희석 15.88 ± 2.67
한라봉 껍질
100% 에탄올 추출물
원액 91.82 ± 0.71
2 배 희석 91.00 ± 1.16
4 배 희석 67.84 ± 0.84
8 배 희석 42.76 ± 0.51
16 배 희석 27.88 ± 1.01
32 배 희석 20.35 ± 1.84
64 배 희석 16.57 ± 2.25
128 배 희석 16.00 ± 0.52
황칠 잎과
한라봉 껍질
혼합액
원액 86.70 ± 5.06
2 배 희석 86.37 ± 2.02
4 배 희석 85.99 ± 0.54
8 배 희석 84.06 ± 0.26
16 배 희석 77.11 ± 2.17
32 배 희석 56.70 ± 6.11
64 배 희석 28.88 ± 2.17
128 배 희석 12.50 ± 1.37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전연구에서 황칠나무 잎은 40~60 %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항산화활성이 우수하여, 50 %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고, 한라봉 껍질 추출물의 최적 추출조건 탐색을 위해서 에탄올과 물 혼합 추출액으로 추출한 후 추출용매에 따른 항산화활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항산화활성은 에탄올과 물의 혼합비가 50:50 일 때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여주었다. 황칠나무 잎과 한라봉 껍질 추출액을 1:1 로 혼합한 액으로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을 때 황칠나무 잎 추출액을 단독으로 측정하였을 때보다 약간 높은 항산화활성을 보여주었다.
황칠나무 잎 추출액에 비해 한라봉 껍질 추출액은 항산화 활성이 낮은 편이나. 황칠나무 잎 및 한라봉 껍질 추출액을 혼합한 혼합 추출물의 경우에는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비율이 28.88 %으로 증가하여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험예 1-2. ABTS radical 소거능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황칠나무 잎 추출물, 한라봉 껍질 추출물 및 황칠나무 잎 및 한라봉 껍질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들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ABTS 라디칼 소거 작용을 측정하였다. 즉, ABTS radical 소거 활성은 Re et al. (1999)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즉, 7 mM ABTS 5 mL와 140 mM potassium persulfate 88 μL를 섞은 후 상온에서 16 시간 빛을 차단하여 ABTS 양이온을 형성시킨 후 이 용액을 414 nm에서 흡광도 값이 1.5가 되도록 PBS로 희석하였다. 조제된 희석용액 190 μL와 시료 10 μL를 혼합한 후 상온에서 6분간 반응시킨 후 734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용매 대조군으로 하여 대조군에 대한 라디칼 소거능을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Figure 112018074459316-pat00002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Sample ABTS 라디칼 소거능(%)
황칠 잎
50% 에탄올 추출물
원액 99.25 ± 0.05
2 배 희석 99.50 ± 0.14
4 배 희석 99.55 ± 0.02
8 배 희석 97.35 ± 1.68
16 배 희석 87.79 ± 2.93
32 배 희석 59.86 ± 2.97
64 배 희석 36.84 ± 3.85
128 배 희석 23.52 ± 1.34
한라봉 껍질 물 추출물 원액 99.78 ± 0.06
2 배 희석 103.23 ± 0.11
4 배 희석 99.90 ± 0.02
8 배 희석 94.54 ± 4.09
16 배 희석 84.12 ± 2.03
32 배 희석 58.36 ± 1.52
64 배 희석 36.12 ± 4.06
128 배 희석 22.08 ± 0.92
한라봉 껍질
50% 에탄올 추출물
원액 99.47 ± 0.10
2 배 희석 99.18 ± 0.16
4 배 희석 88.17 ± 4.81
8 배 희석 62.20 ± 5.76
16 배 희석 35.81 ± 0.91
32 배 희석 24.86 ± 1.64
64 배 희석 18.48 ± 1.87
128 배 희석 9.87 ± 1.61
한라봉 껍질
100% 에탄올 추출물
원액 99.76 ± 0.08
2 배 희석 99.76 ± 0.08
4 배 희석 99.74 ± 0.08
8 배 희석 94.04 ± 3.74
16 배 희석 70.80 ± 3.44
32 배 희석 63.78 ± 2.79
64 배 희석 32.12 ± 2.37
128 배 희석 19.72 ± 2.21
황칠 잎과
한라봉 껍질
혼합액
원액 99.59 ± 0.01
2 배 희석 99.65 ± 0.06
4 배 희석 99.69 ± 0.09
8 배 희석 97.51 ± 1.21
16 배 희석 86.22 ± 2.01
32 배 희석 67.21 ± 1.35
64 배 희석 39.73 ± 5.35
128 배 희석 36.13 ± 5.49
상기 표 4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전연구에서 황칠나무 잎은 40~60 %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항산화활성이 우수하여, 50 %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고, 한라봉 껍질 추출물의 최적 추출조건 탐색을 위해서 에탄올과 물 혼합 추출액으로 추출한 후 추출용매에 따른 항산화활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항산화활성은 에탄올과 물의 혼합비가 50:50 일 때 가장 낮은 항산화 활성을 보여주었다. 황칠나무 잎과 한라봉 껍질 추출액을 1:1 로 혼합한 액으로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을 때 황칠나무 잎 추출액을 단독으로 측정하였을 때보다 오히려 높은 항산화활성을 보여주었다.
황칠나무 잎 추출액에 비해 한라봉 껍질 추출액은 항산화 활성이 낮은 편이나. 황칠나무 잎 및 한라봉 껍질 추출액을 혼합한 혼합 추출물의 경우에는 황칠나무 잎 추출액 단독보다 39.73 %으로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의 상승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황칠나무 잎 추출물, 한라봉 껍질 추출물 및 황칠나무 잎 및 한라봉 껍질의 혼합 추출물의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 활성 실험
본 실험예 2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황칠나무 잎 추출물, 한라봉 껍질 추출물 및 황칠나무 잎 및 한라봉 껍질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들에 대하여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 활성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실험예 2-1. 항균 실험 균비 및 배양
본 실험에 사용된 균주는 Propionibacterium acnes (P. acnes, 여드름 균)와 Malassezia furfur (M. furfur, 비듬균)으로 미생물자원센터 KCTC (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에서 분양받아 실험에 사용하였다. P. acnes 생육배지로는 Reinforced Clostridial Medium(표 5)을 사용하였으며, M. furfur 생육배지로는 표 6를 사용하여 배양하였다.
생육 조건
Reinforced Clostridial Medium Temp. (℃)
Peptone 10.0 g 37.0
Sodium chloride 5.0 g
Beef extract 10.0 g
Yeast extract 3.0 g
Dextrose 5.0 g
Soluble starch 1.0 mL
Sodium acetate 3.0 g
L-Cysteine hydrochloride 0.5 g
Distilled water 1.0 L
생육 조건
Temp. (℃)
Peptone 10 g 37.0
Dextrose 20 g
Yeast extract 5 g
Olive oil 3.3 g
Distilled water 1 L
실험예 2-2. 항균 활성의 측정
항균활성 측정은 P. acnesM. furfur 균주를 이용하여 시료의 paper disc diffusion 방법을 이용하였다. 배양된 균주의 단일 colony를 취하여 액체배지에 접종한 후 P. acnesM. furfur를 37℃에서, 48 시간 이상 배양한 다음 1000 ㎕ 씩 취해서 고체배지에 균일하게 도말하였다. 멸균된 disc paper (Toyo seisakusho, 8 mm)를 준비하고 50 ㎕ 씩의 시료를 각각 disc에 주입하고 평평한 부분이 밑으로 가게 하여 도말된 고체배지에 올려놓았다. disc에 올려진 균주는 각 균주의 조건으로 배양하였으며 배양 후 클리어 존(cm)을 확인하여 클리어 존의 크기로 항균능을 측정하였다.
시료명 P. acnes M. furfur
대조군 50 ㎕ 0.00 0.0
0.5% 살리실산 50 ㎕ 1.00 -*
마치현 추출물 50 ㎕ 0.30 -*
황칠 잎 50% 에탄올 추출 10 ㎕ 1.08 0.0
25 ㎕ 1.38 0.0
50 ㎕ 2.50 0.2
한라봉 껍질 물 추출물 10 ㎕ -* -*
25 ㎕ -* -*
50 ㎕ 0.0 0.0
한라봉 껍질
50% 에탄올 추출
10 ㎕ -* -*
25 ㎕ -* -*
50 ㎕ 0.45 0.2
한라봉 껍질 100% 에탄올 추출물 10 ㎕ -* -*
25 ㎕ -* -*
50 ㎕ 0.95 0.3
황칠 잎과 한라봉 껍질 혼합액 10 ㎕ 1.50 -*
25 ㎕ 2.00 -*
50 ㎕ 4.00 -*
* - : 실험데이터 없음
표 7에 따르면, 황칠나무 잎은 50 % 에탄올 추출물로 측정하였고, 한라봉 껍질 물 추출물, 한라봉 껍질 50 % 에탄올 추출물, 한라봉 껍질 100 % 에탄올 추출물로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측정하였다. 각 시료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접종량을 달리하여, 각 추출액을 10, 25, 50 ㎕씩(또는 10, 50 ㎕)을 접종하여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비교대조군으로 0.5% 살리실산(씻어내는 화장품의 최대 사용허용치)과 마치현추출물을 같이 시험하였다.
황칠나무 잎 50 %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여드름균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냈으며 여드름균에서 접종 농도별 (10, 25, 50 ㎕)로 1.08, 1.38, 2.50 cm의 클리어 존이 형성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한라봉 껍질 50 % 에탄올 추출물은 여드름균에서 50 ㎕ 접종에서 0.45 cm의 클리어 존을 확인하였다.
황칠나무 잎 추출물 및 한라봉 껍질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은 여드름균에서 접종 농도별 (10, 25, 50 ㎕) 1.50, 2.00, 4.00 cm의 클리어 존을 형성하여 황칠나무 잎 추출물과 한라봉 껍질 추출물, 각각의 개별의 클리어존 보다 크기가 큰 것으로 볼 때, 혼합 추출물의 시너지효과를 확인하였다.
즉, P. acnes균에서 4.0 cm의 클리어존(50 ㎕ 접종)을 형성하여 황칠나무 잎 추출물과 한라봉 껍질 추출물 보다 혼합 추출물이 항균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황칠나무 잎 추출물, 한라봉 껍질 추출물 및 황칠나무 잎 및 한라봉 껍질의 혼합 추출물의 항염증 효능 및 NO 생성 저해능 측정
본 실험예 3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황칠나무 잎 추출물, 한라봉 껍질 추출물 및 황칠나무 잎 및 한라봉 껍질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들에 대하여 항염증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세표(RAW 264.7)에 대한 세포생존율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항염증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NO 생성 저해능을 측정하기 전에 본 원료의 세포(RAW 264.7)에 대한 독성시험을 실시하였다. 비교 대조군으로 여드름 기능성 화장품으로 사용되고 있는 0.5 % 살리실산과 현재 시중에 여드름 개선으로 많이 사용되어지는 마치현추출물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황칠나무 잎 50 % 에탄올추출물 원액을 15배 희석한 후 한라봉 껍질 50% 에탄올 추출물 원액과 1 : 1 비율로 제조하여 황칠나무 잎 50 % 에탄올 추출물 최종 농도가 30배 희석이 되도록 하여 진행하였다. 이 시료를 황칠나무 잎 추출물 및 한라봉 껍질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 원액으로 간주하여 원액, 2배, 5배, 10배, 20배 희석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예 3-1. RAW 264.7 cell의 세포 생장 저해율 측정
항염증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세포(RAW 264.7)에 대한 세포생존율 실험을 실시하였다.
0.5 % 살리실산은 0.5 %에서 13.23 %의 생존율을 보여 독성을 확인하였고 5배 희석 이 후 부터는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마치현추출물은 모든 농도에서 cell viability가 대조군 대비 유의적인 증가를 보여 세포 생존율 저해효능은 없었다. 황칠나무 잎 50 % 에탄올 추출물은 50%에서는 세포 생존율 감소가 없었으나, 5 %에서 급격히 세포 생존율이 저하되었다. 그래서 정확한 세포 독성을 확인하기 위해 희석배수를 다양하게 제조하여 정확한 독성 유발 농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황칠나무 잎 30배 희석액에서는 세포 독성이 없었으나, 20배에서는 독성이 검출되어 세포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농도는 20배 보다 농축된 형태임을 확인하였다. 한라봉 껍질 50% 에탄올 추출물의 모든 농도에서 세포 독성은 없었고, 원액과 5배 희석액에서 대조군 대비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보였다. 또한, 세포 생존율 저해 효능이 없는 황칠 나무 잎 추출물 30배 추출물과 한라봉 껍질 추출물 원액을 1:1로 혼합한 혼합물에서는 모든 시험액에서 세포 생존율 저해 효능은 없었다. 이처럼 염증을 유발하는 RAW 264.7 세포에 대하여 황칠나무 잎 추출액은 20배 희석보다 높은 농도의 용액과 살리실산 원액에서는 세포 생존율이 저해되어 항염증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시료명 RAW 264.7 세포생존율 (%)
마치현 추출물 대조군 (DW) 100.00 ± 1.94
0.5% 살리실산 대조군 (DMSO) 100.00 ± 2.48
마치현 추출물 (비교대조군) 원료 1000 배 희석 104.54 ± 0.37
원료 100 배 희석 104.67 ± 3.28
원료 10 배 희석 104.69 ± 2.72
원액 104.50 ± 1.37
0.5% 살리실산 (비교대조군) 원료 100 배 희석 101.95 ± 5.51
원료 50 배 희석 107.24 ± 2.15
원료 10 배 희석 106.11 ± 2.80
원료 5 배 희석 105.19 ± 2.25
원액 13.23 ± 0.36**
황칠잎과 한라봉껍질 대조군 (50% 에탄올) 100.00 ± 2.40
황칠 잎 50% 에탄올 추출 원료 100 배 희석 96.94 ± 8.10
원료 90 배 희석 99.68 ± 3.93
원료 80 배 희석 98.00 ± 2.93
원료 70 배 희석 98.66 ± 1.48
원료 60 배 희석 97.61 ± 1.94
원료 50 배 희석 101.35 ± 2.71
원료 40 배 희석 99.05 ± 2.96
원료 30 배 희석 97.05 ± 4.57
원료 20 배 희석 84.78 ± 3.52**
원료 10 배 희석 54.45 ± 1.21**
원료 5 배 희석 11.59 ± 1.04**
원액 11.23 ± 0.72**
한라봉 껍질
50% 에탄올 추출
원료 100 배 희석 106.35 ± 4.26
원료 50 배 희석 103.71 ± 1.84
원료 10 배 희석 105.15 ± 4.27
원료 5 배 희석 106.71 ± 3.19**
원액 104.97 ± 1.67**
황칠 잎과 한라봉 껍질 혼합액 * 원료 20 배 희석 98.56 ± 2.11
원료 10 배 희석 100.35 ± 2.18
원료 5 배 희석 102.53 ± 1.74
원료 2 배 희석 102.84 ± 1.67
원액 102.18 ± 2.74
* : 황칠 잎과 한라봉 껍질 혼합액, 황칠잎 50% 에탄올추출물 원액을 15 배 희석한 후 한라봉 50% 에탄올 추출물 원액과 1 : 1 비율로 희석 하여, 황칠잎 50% 에탄올 추출물 농도가 최종적으로 30 배 희석이 되도록 제조
** : p<0.05, (-)대조군 과 비교함.
실험예 3-2. RAW 264.7 cell의 NO(Nitric Oxide) 생성 저해능 측정
Nitric Oxide (NO) 생성 저해능은 황칠나무 잎 추출물, 한라봉 껍질 추출물, 마치현추출물, 살리실산 추출물을 희석한 액을 시료로 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황칠나무 잎 추출물 및 한라봉 껍질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 실험은 세포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농도로 조제하였다. 황칠나무 잎 50 % 에탄올 추출물 원액 15배 희석액과 한라봉 껍질 50 % 에탄올 추출물 원액을 1:1 비율로 혼합하고, 이 시료를 황칠나무 잎 추출물 및 한라봉 껍질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 원액으로 간주하여 원액, 2배, 5배, 10배, 20배 희석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시료명 NO 생성율 (%)
0.5% 살리실산 대조군 100.00 ± 4.54
마치현 추출물 마치현 대조군 100.00 ± 1.96
마치현 추출물 (비교대조군) 원료 100 배 희석 130.17 ± 2.28**
원료 10 배 희석 132.75 ± 0.84**
원액 127.44 ± 2.98**
0.5% 살리실산 (비교대조군) 원료 100 배 희석 95.47 ± 2.52
원료 50 배 희석 94.90 ± 4.85
원료 10 배 희석 68.64 ± 3.11**
원료 5 배 희석 50.77 ± 2.83**
황칠잎과 한라봉껍질 대조군 100.00 ± 2.45
황칠 잎 50% 에탄올 추출 원료 100 배 희석 94.42 ± 4.18
원료 90 배 희석 92.35 ± 2.35**
원료 80 배 희석 94.01 ± 1.35**
원료 70 배 희석 93.77 ± 2.15**
원료 60 배 희석 94.38 ± 1.70**
원료 50 배 희석 90.52 ± 1.38**
원료 40 배 희석 86.33 ± 1.36**
원료 30 배 희석 82.52 ± 2.48**
한라봉 껍질
50% 에탄올 추출
원료 100 배 희석 102.33 ± 2.30
원료 50 배 희석 102.06 ± 0.95
원료 10 배 희석 101.53 ± 3.06
원료 5 배 희석 102.94 ± 4.46
원료 원액 113.11 ± 1.52**
황칠 잎과 한라봉 껍질 혼합액 * 원료 20 배 희석 100.70 ± 1.24
원료 10 배 희석 98.43 ± 3.80
원료 5 배 희석 95.36 ± 2.37**
원료 2 배 희석 84.31 ± 3.01**
원료 원액 66.61 ± 2.49**
* : 황칠 잎과 한라봉 껍질 혼합액, 황칠잎 50% 에탄올추출물 원액을 15 배 희석한 후 한라봉 50% 에탄올 추출물 원액과 1 : 1 비율로 희석 하여, 황칠잎 50% 에탄올 추출물 농도가 최종적으로 30 배 희석이 되도록 제조
** : p<0.05, (-)대조군 과 비교함.
표 9에 따르면, 황칠나무 잎 50 % 에탄올 추출물은 20배 희석액까지 세포 생존율 저해활성을 확인하였고, 30배 희석에서는 97.05 % 세포생존율로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NO(Nitric Oxide) 생성 저해활성을 측정하기 위한 실험에서는 세포생존율 저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농도에서 실시하였다. 황칠나무 잎 50 % 에탄올 추출물 30배 희석액에서 17.48 %의 NO(Nitric Oxide) 생성 저해를 보여주었다. 한라봉 껍질 50 % 에탄올 추출물은 원액에서 NO(Nitric Oxide)가 증가함을 보였다. 비교 대조군으로 실시한 마치현추출물은 모든 농도에서 NO(Nitric Oxide)가 증가하였으며, 0.5 % 살리실산은 5배 희석액에서 49.3 %의 NO(Nitric Oxide) 생성 저해가 확인되었다.
황칠나무 잎 추출물 및 한라봉 껍질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은 살리실산에 비해 NO(Nitric Oxide) 생성 저해능이 높게 나오지 않았으나, 황칠나무 잎 추출물은 세포 생존율을 저해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었고, 30배 희석액의 NO(Nitric Oxide) 생성 저해능이 17.5 % 였고, 한라봉 껍질 추출물은 NO(Nitric Oxide) 생성 저해능이 없었지만, 황칠나무 잎 추출물과 한라봉 껍질 추출물의 1:1 혼합 시에는 NO(Nitric Oxide) 생성 저해율이 33.4 %로 크게 증가하였다. 즉, Nitric Oxide 생성 저해능은 33.39 %로 황칠나무 잎 추출물보다 약 16 % 더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황칠나무 잎 추출물 및 한라봉 껍질 추출물을 혼합했을 때, 항염증 효능이 크게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3. RAW 264.7 cell의 PG E₂생성 저해능 측정
항염증 활성의 기전을 확인하기 위하여 Prostaglandin E₂(PGE₂)의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시료명 PGE₂활성 (%)
황칠잎과 한라봉 혼합액 (-) 대조군 100.00 ± 12.08
황칠잎과 한라봉 혼합액 원료 20 배 희석 100.00 ± 11.97
원료 10 배 희석 92.15 ± 12.01**
원료 5 배 희석 67.46 ± 14.40**
원료 2 배 희석 30.93 ± 4.58**
원액 23.13 ± 5.57**
* : 황칠 잎과 한라봉 껍질 혼합액, 황칠잎 50% 에탄올추출물 원액을 15 배 희석한 후 한라봉 50% 에탄올 추출물 원액과 1 : 1 비율로 희석 하여, 황칠잎 50% 에탄올 추출물 농도가 최종적으로 30 배 희석이 되도록 제조
** : p<0.05, (-)대조군 과 비교함.
표 10에 따르면, PGE₂생성 저해활성은 활칠나무 잎 추출물 및 한라봉 껍질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의 원액, 2배, 5배, 10배 희석에서 (-) 대조군 대비에 유의적인 감소를 확인하여(PGE₂저해능 76.87, 69.07, 32.54 %), 황칠나무 잎 추출물과 한라봉 껍질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의 높은 항염증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황칠나무 잎 추출물과 한라봉 껍질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의 PGE₂함량은 원액의 농도에서 (-) 대조군 대비 23.13 %로 활성이 저해되어 높은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구현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또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전체 중량에 대하여, 황칠나무 잎 추출물 및 한라봉 껍질 추출물의 혼합물을 0.1 내지 8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항염 및 항균 활성을 가지는 항여드름 기능성 용도인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DPPH 라디칼 소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ABTS 라디칼 소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산화질소(Nitric Oxide) 생성 저해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E₂생성 저해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겔, 크림, 에센스, 로션, 비누, 폼 클렌징, 미스트 및 세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삭제
KR1020180087726A 2018-07-27 2018-07-27 황칠나무 잎 추출물 및 한라봉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36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726A KR102136316B1 (ko) 2018-07-27 2018-07-27 황칠나무 잎 추출물 및 한라봉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726A KR102136316B1 (ko) 2018-07-27 2018-07-27 황칠나무 잎 추출물 및 한라봉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192A KR20200013192A (ko) 2020-02-06
KR102136316B1 true KR102136316B1 (ko) 2020-07-22

Family

ID=69569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726A KR102136316B1 (ko) 2018-07-27 2018-07-27 황칠나무 잎 추출물 및 한라봉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63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7343A (ko) * 2020-12-30 2022-07-07 (주)우리아이들플러스 세정제 및 이를 수용하는 포장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2292A (ko) 2010-01-11 2011-07-19 유상훈 아토피 및 여드름 피부에 효능을 보이는 황칠나무 추출물
KR101251040B1 (ko) * 2010-08-03 2013-04-04 박숙우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화장품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939750B1 (ko) 2017-10-26 2019-01-24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한라봉 과육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 및 면역억제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 순한 선크림 레베코코 자연스럽게~. [online], (2018.01.01. 공개)*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제22권, 제4호, 454-461쪽, 2007년 9월 공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7343A (ko) * 2020-12-30 2022-07-07 (주)우리아이들플러스 세정제 및 이를 수용하는 포장지
KR102455971B1 (ko) * 2020-12-30 2022-10-18 (주)우리아이들플러스 친환경 세정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192A (ko) 2020-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2005B1 (ko) 유자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방부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353054B1 (ko) 고로쇠 나무와 황칠 나무를 이용한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식품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Sandeep et al. Moringa for nutritional security (Moringa oleifera Lam.)
KR101806800B1 (ko)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복합 천연 방부제 및 그 제조방법
Bisht et al. Mahua an important Indian species: A review
KR101941753B1 (ko) 기능성 물티슈용 방부제 조성물
Jiménez-González et al. Diospyros digyna (black sapote), an undervalued fruit: A review
CN107625690A (zh) 滋润保湿油茶果润唇膏及其制备方法
Do et al. Nutritional value, phytochemistry, health benefits, and potential food applications of Pouteria campechiana (Kunth) Baehni: A comprehensive review
KR102136316B1 (ko) 황칠나무 잎 추출물 및 한라봉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73925B1 (ko) 태산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및 방부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1248056B1 (ko) 노인 냄새 제거용 천연 한방 화장료 조성물
KR102247549B1 (ko) 붉가시나무 도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
Mudau et al. Bush tea (Athrixia phylicoides DC.) as an alternative herbal and medicinal plant in southern Africa: opportunity for commercialization
KR101950382B1 (ko) 결명자, 갈대, 제주조릿대, 지모 및 치자의 혼합물 발효액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98083B1 (ko) 천연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768612B1 (ko) 간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식품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차의 제조방법
KR102171472B1 (ko) 황칠나무 잎 추출물 및 한라봉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발모개선조성물
KR101063351B1 (ko) 비타민나무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
KR102154139B1 (ko)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TWI704873B (zh) 用於製備一發酵產物的方法及其所製得的發酵產物暨其應用
KR102176983B1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03374A (ko) 황칠나무 발효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05005A (ko) 항염 및 항알러지 효과가 있는 바오밥나무, 자근, 참마, 연근 혼합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eerasinghe et al. A review of Annona species in Sri Lank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