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7549B1 - 붉가시나무 도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붉가시나무 도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7549B1
KR102247549B1 KR1020190066353A KR20190066353A KR102247549B1 KR 102247549 B1 KR102247549 B1 KR 102247549B1 KR 1020190066353 A KR1020190066353 A KR 1020190066353A KR 20190066353 A KR20190066353 A KR 20190066353A KR 102247549 B1 KR102247549 B1 KR 102247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xtract
thorn
antibacterial
antioxid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6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9893A (ko
Inventor
이수연
허진성
이오규
최식원
이경태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90066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7549B1/ko
Publication of KR20200139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9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7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7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9Fagaceae (Beech family), e.g. oak or chestnu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rds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붉가시나무 도토리 추출물의 농도가 0.312 ㎎/㎖ ~ 0.019 ㎎/㎖이고, 대장균(Escherichia coli),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및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세균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갖는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붉가시나무 도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Antioxidnat and antibacterial composition comprising Quercus acuta Thunb acorn extract}
본 발명은 붉가시나무 도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붉가시나무 도토리 추출물의 농도가 0.312 ㎎/㎖ ~ 0.019 ㎎/㎖이고, 대장균(Escherichia coli),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및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세균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갖는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가시나무는 상록활엽수종으로 참나무과에 속하고,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남부지역에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서부지방산림청 및 지자체에서 1997년부터 현재까지 난대상록활엽수에 대한 양묘 및 조림사업을 활발히 수행하여 조림면적이 이미 약 200 ha를 넘어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붉가시림의 총 임목 분포면적은 약 1,832 ha로 추정되고, 남부지역에서는 가시나무의 도토리를 묵으로 제조하여 섭취하고 있으며(특허문헌 1), 일반적으로 도토리의 화학적 구성성분은 약 70%가 전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약 6~9%가 탄닌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고되었다(비특허문헌 1).
탄닌은 본래 맛이 떫고 쓴맛이 있지만, 이러한 탄닌 성분은 폴리페놀 성분의 일종으로 항산화 효과에 주요 성분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식용 이외의 기능성 자원으로 발굴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까지 가시나무를 포함한 참나무류에 존재하는 페놀함량 결과가 개시되어 있지만(비특허문헌 1 내지 비특허문헌 3), 대부분 잎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이고, 이마저도 일부 수종에 국한되어 있으며, 항산화 기능성 물질 관련 연구결과는 드물다.
한편, 특허문헌으로는 붉가시나무 잎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특허문헌 2), 붉가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요산혈증 및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특허문헌 3), 붉가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암용 조성물(특허문헌 4) 등이 개시되어 있지만, 상기 특허문헌들 또한 붉가시나무의 잎 등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사용하고 있을 뿐, 붉가시나무의 열매, 즉 도토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활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1794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5594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1769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18154호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2016) Vol.29 No.1 pp.58-64 Journal of Medicinal Plants Research (2018) Vol. 6(39), pp. 5228-5239. Comparison of phenolic compounds content in indeciduous Quercus species Food Research International(2018). Vol 114, pp.208-213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여, 국내에 자생하고 있는 가시나무 6종(가시나무, 종가시나무, 참가시나무, 졸가시나무, 개가시나무, 붉가시나무)의 종자, 즉 도토리의 항산화력 및 항균력을 평가하여 수종간 비교 분석을 수행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항산화 활성 및 항균 활성이 우수한 특정 가시나무류 유래의 도토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붉가시나무 도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붉가시나무 도토리 추출물이 붉가시나무 도토리의 에탄올 추출물인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붉가시나무 도토리 추출물의 농도가 0.312 ㎎/㎖ ~ 0.019 ㎎/㎖인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붉가시나무 도토리 추출물이 대장균(Escherichia coli),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및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세균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갖는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조성물이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인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조성물이 약학 조성물인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인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붉가시나무 도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은 다른 수종의 가시나무류 유래의 도토리 추출물에 비하여, 월등하게 높은 항산화 활성 및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도 1은 가시나무류 6종의 도토리 에탄올 추출물의 DPPH 항산화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가시나무류 6종의 도토리 에탄올 추출물의 ABTS 항산화 활성(흡광도, 450nm)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가시나무류 6종의 도토리 에탄올 추출물의 S. aureus에 대한 항균 활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3에서 “S. lococus”는 황색포도상구균을 의미한다.
도 4는 가시나무류 6종의 도토리 에탄올 추출물의 P. aeruginosa에 대한 항균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가시나무류 6종의 도토리 에탄올 추출물의 E. coli에 대한 항균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붉가시나무 도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붉가시나무(Quercus acuta THUNB.)는 목재의 빛깔이 붉기 때문에 붉가시나무라고 하는데, 내한성이 약하여 전라남도와 제주도 지방에 분포하며 수직적으로는 높이 170∼500m에서 자생한다. 주로 산록과 계곡의 양지에서 자라는데 음지에서 견디는 힘도 다소 있으며, 내조성, 내공해성이 우수하고, 목재가 무겁고 잘 쪼개지지 않으며, 보존성이 좋아서 기구재, 기계재, 차량재, 선박재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붉가시나무 도토리 추출물은 물, C1-C4 알콜,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n-부탄올, 클로로포름 및 메틸렌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붉가시나무 도토리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추출물일 수 있는데, 상기 에탄올의 농도는 70~99%(v/v), 바람직하게는 90~99%(v/v), 보다 바람직하게는 95%(v/v)일 수 있다.
상기 붉가시나무 도토리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은 붉가시나무를 침지시키는 방법과 참가시나무를 추출 용매로 증류시키는 방법을 모두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침지에 의한 추출방법에는 냉침, 가온, 초음파, 환류 등 임의의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추출 시간은 1일 이상, 바람직하게는 3일 이상 동안, 바람직하게는 3일 동안 수행할 수 있으며, 추출 용매 및 추출 온도 등의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추출은 활성성분을 보다 다량 수득하기 위해 1 회 이상 여러 번 추출할 수 있으며, 여러 번 추출하여 얻어진 각각의 추출액을 합한 추출액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추출한 추출물은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농축한 엑스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충분한 농도로 사용될 수 있도록 농축된 형태로서 사용한다. 상기 농축은 추출액을 예를 들어 30℃의 온도에서 감압농축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농축한 다음 동결 건조하여 동결건조물의 형태로서 이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붉가시나무 도토리 추출물은 0.312 ㎎/㎖ ~ 0.019 ㎎/㎖의 농도, 바람직하게는 0.078 ㎎/㎖ ~ 0.019 ㎎/㎖의 농도에서, 가시나무, 종가시나무, 참가시나무, 졸가시나무, 개가시나무등과 같은 다른 가시나무류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DPPH 활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상기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붉가시나무 도토리 추출물은 대장균(Escherichia coli),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및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바람직하게는 상기 3종의 세균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일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식품"이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3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은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통상적인 건강기능식품의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예를 들어 산제, 과립제, 정제, 캅셀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제, 액제, 엑스제, 차, 젤리, 엑스, 또는 음료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첨가제로는 제조하고자 하는 제형의 제조에 당해 기술분야에서 사용 가능한 것으로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담체 또는 첨가제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이 음료인 경우에는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단당류, 말토오스, 수크로오스와 같은 이당류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다당류,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과 같은 당알콜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조성물이 약학 조성물인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일 수 있는데,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통상적인 약제학적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경구투여제제, 주사제, 좌제, 경피투여제제, 외용제, 및 경비투여제제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임의의 제형으로 제제화되어 투여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액제, 현탁제,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엑스제와 같은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제형으로 제제화 시, 각각의 제형의 제조에 필요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첨가제를 부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 제제화 시, 상기 담체로서 희석제, 활택제, 결합제, 붕해제, 감미제, 안정제, 및 방부제 중에서 1 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첨가제로는 향료, 비타민류, 및 항산화제 중에서 1 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및 첨가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것은 모두 가능하며, 구체적으로 희석제로는 유당, 옥수수 전분, 대두유, 미정질 셀룰로오스, 또는 만니톨, 활택제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또는 탈크, 결합제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또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붕해제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칼슘, 전분글리콜산나트륨, 폴라크릴린칼륨, 또는 크로스포비돈, 감미제로는 백당, 과당, 솔비톨, 또는 아스파탐, 상기 안정제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백납, 또는 잔탄검, 상기 방부제로는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또는 솔빈산칼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성분 이외에도 공지의 첨가제로서 미각을 돋구기 위하여, 매실향, 레몬향, 파인애플향, 허브향 등의 천연향료, 천연과즙, 클로로필린, 플라보노이드 등의 천연색소, 과당, 벌꿀, 당알코올, 설탕과 같은 감미 성분, 또는 구연산, 구연산 나트륨과 같은 산미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인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일 수 있는데, 당해 화장품 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는 방법으로 특정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화장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안정화제, 용해화제, 유탁화제, 비타민, 안료, 향료, 또는 이들이 조합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조하고자 하는 제형의 종류에 따라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임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리퀴드 파운데이션 및 크림 파운데이션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카르복실비닐폴리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경화피마자유, 방부제 또는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향료, 농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이소스테라일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또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유화현탁제,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점증제 또는 방부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이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 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재료 및 방법
(1). 공시재료
본 실험에 사용된 공시수종은 가시나무(Quercus myrsinifolia Blume), 종가시나무(Quercus glauca Thunb), 붉가시나무(Quercus acuta Thunb), 개가시나무(Quercus gilva), 졸가시나무(Quercus phillyraeoides), 참가시나무(Quercus salicina Blume)의 종자를 각 지역별로 수집하였다.
도토리 수집 시기는 9~10월 이었으며, 가시나무, 종가시나무, 붉가시나무, 졸가시나무, 참가시나무의 도토리는 진주에서 수집하였고, 개가시나무의 도토리는 제주도에서 수집하였다.
(2). 유기용매 추출
함수율 10 % 이하로 기건된 각각의 수종의 도토리를 95% 에탄올에 72시간 침지하여 추출하였다. 추출용액을 감압 농축한 후 얻어진 조추출물은 동결 건조하였다. 충분한 양의 추출 용액을 얻기 위해 추출을 2회 반복하였으며 얻어진 추출용액 수율은 최소 5.7%부터 최대 10.6%로 확인되었다.
(3). 항산화활성 평가
① DPPH 활성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어세이는 자유라디칼(free radical) 소거능 원리로 측정하였다. 각 시료의 에탄올 추출물 100 ㎕를 0.15 mM DPPH 용액 100 ㎕에 첨가한 다음, 반응액을 완전히 섞은 후에 실온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잔여 DPPH 량을 측정하기 위해 UV-vis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항산화 활성인 자유라디칼 소거능은 다음 식에 대입하여 계산하였다.
[수학식 1]
DPPH 라디칼 소거활성(%) = [1-(517nm에서 시료의 흡광도 ÷ 517nm에서 대조군의 흡광도)] × 100
② ABTS 활성
ABTS(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diammonium salt) 라디칼 소거활성을 이용한 항산화력 측정은 ABTS 양이온 탈색 어세이(ABTS cation decolorization assay)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는데, 7 mM ABTS와 2.4 mM 퍼태슘 퍼설페이트(potassium persulfate)를 섞어 12시간 이상 암소에 방치하여 청록색의 ABTS 라디칼을 형성시켜 냉장 보관하였으며, 라디칼 저장용액(radical stock solution)은 450 nm에서 흡광도 값이 0.70(±0.02)이 되도록 에탄올로 희석하였다.
이 용액 0.9 ㎖에 농도별로 제조한 각 시료 용액 0.1 ㎖를 첨가한 후 실온에서 7분간 반응시킨 다음, 반응액의 흡광도 변화를 450 ㎚에서 측정하였다. ABTS 라디칼 양이온 탈색 정도는 시료 용액 첨가군과 무첨가군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4). 항균 활성 평가
항균활성 실험에 사용된 균주는 그람 음성균인 대장균(Escherichia coli),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과 그람양성균인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를 사용하였다. 이때, 각 추출물의 항균 효능은 Murray 방법(Murray PR 등, Manual of clinical microbiology (7th). Washington DC, ASM, pp 1527-1539, 1999)에 따라 페이퍼 디스크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공시 균주는 최적 배양조건에서 활성을 키운 후 뉴트리언트 브로쓰(nutrient broth) 등 최적배지에서 6시간 정도 배양하여 배양의 탁도를 Macfarland turbidity No.0.5가 되도록 맞추어 본 배양에 사용하였다.
각 균주의 배양액 0.1 ㎕를 뉴트리언트 아가(nutrient agar) 배지 등 최적배지에 골고루 도말하였다. 각 도토리 추출물의 농도는 10, 5, 1%가 되도록 에탄올에 희석하여 페이퍼 디스크에 40 ㎕씩 분주한 뒤 37℃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미생물 억제환을 확인하였다.
2. 결과 및 고찰
항산화력 평가는 95%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을 이용하였다. 일반적으로 페놀성 화합물은 항산화 효과를 보이는 주요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페놀 함량과 항산화력과의 상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DPPH, ABTS 등의 어세이를 실시한 후 시료에 대한 총페놀 함량을 분석중에 있다.
(1). DPPH 어세이
활성 정도는 반응 초기의 DPPH 농도를 50%로 감소시키는 항산화 물질의 농도를 EC50(half maximal effective concentration; ㎎/㎖)로 표시하였는데,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결과적으로 DPPH 활성 또한 수종별로 활성 정도에 차이를 보이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붉가시나무>참가시나무>종가시나무>개가시나무>가시나무>졸가시나무 순으로 활성이 높았는데, 가장 중요하게 살펴볼 결과는 DPPH 결과에서는 붉가시나무 도토리 추출물의 활성이 가장 높았다. 본 실험에 사용된 6종의 경우 0.312 ㎎/㎖ ~ 0.019 ㎎/㎖의 시료 농도에서 EC50 결과를 보였다.
DPPH 어세이가 가장 간단한 항산화력 측정 방법이나 항산화 물질과 페록시 라디칼(peroxy radical)과의 반응에서 일어나는 수소 분자 전이의 기계론적 차이점으로 인해 실험적 한계가 있다. 따라서 수종간 활성 차이 결과를 명확히 하기 위해 추가적인 ABTS 어세이를 수행하였다.
추가 실험 모두 활성의 평가를 UV의 흡광도를 통해 확인하기 때문에, 색이 진한 시료의 경우 흡광도 간섭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실험의 경우에도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6수종 모두 고유의 색을 함유하고 있어 시료의 색이 흡광도 측정에 방해되지 않으며, DPPH 활성 범위 안에 드는 시료 농도 조건 10 ㎎/㎖ ~ 0.625 ㎎/㎖에서 수행하였다.
(2). ABTS 활성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의 경우 비타민 C로도 알려져 있는 성분으로 대표적인 환원제이다. 그래서 항산화 환원력 평가에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으로 사용되는 주요 표준물질로 알려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아스코르브산을 표준 물질로 삼아 활성을 비교하였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평가에서도 결과적으로 붉가시나무>참가시나무>종가시나무>개가시나무>가시나무>졸가시나무 순으로 활성이 높게 측정되었다.
보통 참나무과의 항산화 효과의 주요 물질은 탄닌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갈산(gallic acid)의 함량이 높다고 알려져 있으나, 가시나무 도토리 내 존재하는 탄닌 성분에 대한 연구는 차후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3). 항균활성
식품부패 및 식중독 원인균 3종에 대해 가시나무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소 높은 억제환을 보였다. 세가지 균(E. coli, P. aeruginosa , S. aureus) 모두에 활성을 보인 추출물은 붉가시나무 도토리의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은 효과를 보였다. 나머지 5종 수종에 대해서는 각각 균에 대한 활성의 차이가 관찰되었다.
S. aureus에 대해서는 붉가시나무 이외에 종가시나무 및 참가시나무 도토리 추출물이 항균활성을 보였다. 그람 음성균인 P. aeruginosa에 대해서는 붉가시나무, 참가시나무 도토리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확인되었지만, 그 외의 수종에서는 활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항균효과에서도 붉가시나무와 참가시나무의 도토리추출물의 활성이 가장 높게 관찰되었다.
식중독을 발병시키는 원인 중 80% 이상이 미생물에 의해 발병한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식품산업이 고차가공으로 발전하면서 각종 첨가물과 가공제제 등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현재까지는 주로 화학적 합성제제에 주로 의존하여 왔다.
대부분의 천연물이 그람 음성균보다 그람 양성균에 대해 더 넓은 항균 스펙스럼을 가진 것과 비교하면 본 연구결과를 통해 도출된 가시나무 추출물의 경우 그람 음성균에도 항균활성을 가짐으로써, 항균소재로서도 이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통상의 기술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붉가시나무 도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은 붉가시나무 도토리 추출물의 농도가 0.312 ㎎/㎖ ~ 0.019 ㎎/㎖이고, 대장균, 녹농균 및 황색포도상구균 등과 같은 세균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갖는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Claims (7)

  1. 붉가시나무 도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로서,
    상기 붉가시나무 도토리 추출물은 붉가시나무 도토리의 95% 에탄올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붉가시나무 도토리 추출물의 농도는 0.312 ㎎/㎖ ~ 0.019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붉가시나무 도토리 추출물은 대장균(Escherichia coli),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및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세균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조성물.
  5. 제1항, 제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조성물.
  6. 제1항, 제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조성물.
  7. 제1항, 제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0190066353A 2019-06-05 2019-06-05 붉가시나무 도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 KR102247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353A KR102247549B1 (ko) 2019-06-05 2019-06-05 붉가시나무 도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353A KR102247549B1 (ko) 2019-06-05 2019-06-05 붉가시나무 도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9893A KR20200139893A (ko) 2020-12-15
KR102247549B1 true KR102247549B1 (ko) 2021-05-03

Family

ID=73780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6353A KR102247549B1 (ko) 2019-06-05 2019-06-05 붉가시나무 도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75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0424A (ko) 2022-06-10 2023-12-19 유씨엘 주식회사 도토리로부터 갈릭산을 추출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3342A (ko) 2021-05-11 2022-11-18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브로콜리 잎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674B1 (ko) 2008-05-13 2010-12-03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붉가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항암용 조성물
KR100917946B1 (ko) 2008-12-05 2009-09-21 전라남도 붉가시나무의 열매를 이용한 묵 제조방법
KR101223749B1 (ko) 2009-11-20 2013-01-17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율초 또는 붉가시나무 잎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KR101303198B1 (ko) * 2010-11-15 2013-09-03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염증 활성을 갖는 도토리 추출물 및 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리적 조성물
KR20160072407A (ko) * 2014-12-15 2016-06-23 이영서 도토리 유효성분의 분리 및 항산화력
KR101717698B1 (ko) 2016-07-22 2017-03-28 전라남도 붉가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요산혈증 및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0424A (ko) 2022-06-10 2023-12-19 유씨엘 주식회사 도토리로부터 갈릭산을 추출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9893A (ko) 202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lva et al.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of phenolic extracts from acerola (Malpighia emarginata DC) fruit
KR101806800B1 (ko)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복합 천연 방부제 및 그 제조방법
US20120141390A1 (en) Natural Preservatives and Antimicrobial Agents
KR102247549B1 (ko) 붉가시나무 도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
KR101483749B1 (ko) 비타민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항균제 조성물
CN111494258A (zh) 天然提取物和维生素c混合制成的抗菌抑菌抗口臭牙膏及制造方法
Butkhup et al. Phenolic constituents of extract from Mao Luang seeds and skin–pulp residue and its antiradical and antimicrobial capacities
Yurt Effect of hydrogen-enriched solvents on the extraction of phytochemicals in propolis
KR102410803B1 (ko) 그램 양성균, 그램 음성균 그리고 진균류에 대해 항균효과가 있는 식품소재 허브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항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13373B1 (ko) 탱자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 및 항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04361B1 (ko) 비타민나무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
KR101063351B1 (ko) 비타민나무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
KR101839612B1 (ko)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방부제 조성물
KR101861094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80112192A (ko) 동백나무 유래 겨우살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644607B1 (ko) 흑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유래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식품
KR102136316B1 (ko) 황칠나무 잎 추출물 및 한라봉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043008A (ko) 여뀌바늘 추출물을 이용한 항산화 또는 항균용 조성물
KR20180013306A (ko) 계피를 함유한 꿀의 제조방법
KR20170059221A (ko) 복분자딸기의 잎 및 줄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조성물
KR102062626B1 (ko) 천연추출물과 비타민c가 혼합된 천연 방부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07001B1 (ko) 비타민나무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
KR101852032B1 (ko) 도라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 예방 효능의 도라지 함유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13125B1 (ko) 개벚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Chanudom et al. Scavenging capacity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Roselle aqueous extract and wine prod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