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5387B1 - 물류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물류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35387B1 KR102135387B1 KR1020200039714A KR20200039714A KR102135387B1 KR 102135387 B1 KR102135387 B1 KR 102135387B1 KR 1020200039714 A KR1020200039714 A KR 1020200039714A KR 20200039714 A KR20200039714 A KR 20200039714A KR 102135387 B1 KR102135387 B1 KR 10213538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rizontal support
- leg portion
- binding member
- flow mode
- artic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8—Roller-ways of curved form; with branch-offs
- B65G13/10—Switching arrang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11—Roller fram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물류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창고에 위치되며 RFID 태그가 부착되는 다수의 물품(7); 및 상기 물품이 적재되어 이송되는 운송수단(2)을 포함하는 물류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물품별 RFID 태그를 이용하여 각 물품의 추적 및 위치 파악이 용이하며, 물품의 분류를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Я甁? 스마트 물류관리가 가능한 물류 관리시스템 및 물류 관리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물품별 RFID 태그를 이용하여 각 물품의 추적 및 위치 파악이 용이하며, 물품의 분류를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Я甁? 스마트 물류관리가 가능한 물류 관리시스템 및 물류 관리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물류 관리시스템 및 물류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품의 출고와 입고에 있어 물품별 RFID 태그를 이용하여 각 물품의 추적 및 위치 파악이 용이하며, 물품의 분류를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Я甁? 스마트 물류관리가 가능한 물류 관리시스템 및 물류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량이 물류는 하루에도 엄청난 양으로 이송되고 저장된다. 이러한 물품을 취급자가 대량으로 취급하는 경우 물품의 종류와 개수 등을 세부적이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물류의 대량화와 빈번한 이송과정 가운데 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특히 이러한 부분을 수기나 작업자의 직관적인 능력에 의지하면 오류가 발생되어 물류 파악이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러한 물품의 적재와 운송 과정에서 보다 최신화된 기술로 적용하여 물류의 적재 이동, 배치 등을 파학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물류의 입고와 출고 가운데 각 물품의 효율적인 분류와 이동을 포함하는 취급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부분을 보다 쾌적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수단이 부재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물류의 보다 스마트한 취급을 수행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물품의 출고와 입고에 있어 물품별 RFID 태그를 이용하여 각 물품의 추적 및 위치 파악이 용이하며, 물품의 분류를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Я甁? 스마트 물류관리가 가능한 물류 관리시스템 및 물류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교물류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창고에 위치되며 RFID 태그가 부착되는 다수의 물품(7); 및 상기 물품이 적재되어 이송되는 운송수단(2)을 포함하는 물류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물류 관리방법으로서, 운송수단(2)에 적재된 물품(7)을 하적하는 단계; 및 상기 운송수단(2)에서 하적된 물품(7)의 분류를 위항 물품 이송장치로 이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물품 이송장치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일정거리 이격되고 양단부가 메인프레임(5) 상에 축 결합되어 제자리 회전되는 복수의롤러(11)가 구비된 롤러이송부(10)가 구비되며, 상기 롤러이송부(10)의 롤러(11) 사이에 배치되어 이 롤러이송부(10) 상으로 이송되어 온 물품의 방향을 직각 전환시키기 위한 방향전환부(20); 및 상기 방향전환부(20)의 인접부에 배치되어 상기 롤러이송부(10) 상에 놓여있는 물품을 전환된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물품이송부(30)가 구비되며, 상기 메인프레임(5)은, 정방형 또는 장방형 타입으로서 설정 규격으로 구비되며, 상기 메인프레임(5)의 하부에는 플레이트 형태의 제1 안착다리부(110)와 제2 안착다리부(120)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안착다리부(110)와 상기 제2 안착다리부(120) 사이에는 상호간을 연동시키는 다수의 수평지지체(130)가 결속되어 구비되며, 상기 수평지지체(130)는, 최상단의 제1 수평지지체(131)와, 최하단의 제2 수평지지체(132)와, 중단의 제3 수평지지체(133)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수평지지체(131)는, 제1-1 결속부재(141a)가 감겨진 제1-1 회동부(141)와, 제1-2 결속부재(142a)가 제1-2 회동부(142)가 구비되며, 상기 제3 수평지지체(133)는, 제3-1 결속부재(151a)가 감겨진 제3-1 회동부(151)와, 제3-2 결속부재(152a)가 감겨진 제3-2 회동부(152)와, 상기 제1-1 회동부(141)에서 풀어진 상기 제1-1 결속부재(141a)가 결속되는 제3-1 결속부(153)와, 상기 제1-2 회동부(142)에서 풀어진 상기 제1-2 결속부재(142a)가 결속되는 제3-2 결속부(154)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수평지지체(132)는, 상기 제3-1 회동부(151)에서 풀어진 상기 제3-1 결속부재(151a)가 결속되는 제2-1 결속부(161)와, 상기 제3-2 회동부(152)에서 풀어진 상기 제3-2 결속부재(152a)가 결속되는 제2-2 결속부(162)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안착다리부(110)와 상기 제2 안착다리부(120)는 상기 제1-1 회동부(141), 상기 제1-2 회동부(142), 상기 제3-1 회동부(151) 및 상기 제3-2 회동부(152)의 회전에 기반하여 상호간에 연동 고정되며, 상기 제1 수평지지체(131) 내지 상기 제3 수평지지체(133)는, 상호간에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전진하거나 후진하여 유동되는 제1 유동모드로 동작되며, 상기 제1 안착다리부(110)와 상기 제2 안착다리부(120)는 상기 제1 유동모드에 기반하여 연동 고정되며, 상기 제1 수평지지체(131) 내지 상기 제3 수평지지체(133)는, 상기 제1 유동모드 상태에서 2차적으로 상호간에 이격정도가 조절되는 제2 유동모드로 동작되며, 상기 제1 안착다리부(110)와 상기 제2 안착다리부(120)는 상기 제1 유동모드 및 상기 제2 유동모드에 기반하여 연동 고정되며, 상기 제1 유동모드 또는 상기 제2 유동모드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유동모드 또는 상기 제2 유동모드 상태에서, 상기 제1 수평지지체(131), 상기 제3 수평지지체(133), 상기 제2 수평지지체(132)는 상호간에 보강모듈(170)을 통해 상호 연동 고정되며, 상기 보강모듈(170)은, 상기 제1 수평지지체(131)에 구비되는 제1 몸체(171)와, 상기 제1 몸체(171)와 연동바(174)로 결속되며 상기 제3 수평지지체(133)에 구비되는 제3 몸체(173)와, 상기 제1 몸체(171)와 연동바(174)로 결속되며 상기 제2 수평지지체(132)에 구비되는 제2 몸체(172)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몸체(171) 내지 상기 제3 몸체(173)는 상기 연동바(174)를 매개로 상호 이격정도가 조절되도록 구동되는 물류 관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류의 대량화와 빈번한 이송과정 가운데 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여 물품의 적재와 운송 과정에서 보다 정확한 이동, 배치 등을 파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물류의 입고와 출고 가운데 RFID 태그를 기반으로 각 물품의 효율적인 분류와 이동을 포함하는 취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대량의 물품을 보다 쾌적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특화된 이송수단을 운용하여 물류의 간편하고 편린한 보다 스마트한 취급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관리시스템의 구성들 중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관리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8은 도 2에 따른 물품 이송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9 내지 12는 도 2에 따른 물품 이송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관리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8은 도 2에 따른 물품 이송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9 내지 12는 도 2에 따른 물품 이송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관리시스템의 구성들 중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물류 관리시스템은 창고에 위치되며 RFID 태그가 부착되는 다수의 물품(7); 및 상기 물품이 적재되며 소정의 위치 문짝, 적재부 인접 영역 등 에 리더기(2a)가 구비되어 적재되는 상기 물품에 부착된 상기 RFID 태그(1a)를 인식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운송수단(2)을 포함한다. 이를 통하여 실시간 재고파악, 출입 관리 및 위치 추적이 가능한 물류 관리시스템을 구축한다 예컨데 900MHz 수동(Passive) RFID 태그를 부가하여 개별물품의 정보를 기록하여 개별 화물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게 하고, 2.4GHz 능동(Active) RFID 태그를 부가하여 개별화물을 담은 컨테이너의 정보를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함으로써, 수동 RFID 태그와 능동 RFID 태그가 간섭없이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기술적용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3 내지 8은 도 2에 따른 물품 이송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물품 이송장치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일정거리 이격되고 양단부가 메인프레임(5) 상에 축 결합되어 제자리 회전되는 복수의 롤러(11)가 구비된 롤러이송부(10)와, 이 롤러이송부(10)의 롤러(11) 사이에 배치되어 이 롤러이송부(10) 상으로 이송되어 온 물품(7)의 방향을 직각 전환시키기 위한 방향전환부(20) 및 이 방향전환부(20)의 인접부에 배치되어 상기 롤러이송부(10)상에 놓여있는 물품(7)을 전환된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물품이송부(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롤러이송부(10)는 전 단계에서 이송되어 오는 물품(7)을 이 롤러이송부(10)의 중앙으로 이송시키도록 별도의 모터(미도시)에 의해 축 회전 구동되는 복수의 원기둥 형상 롤러(11) 군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롤러이송부(10) 중 물품(7)이 입출되는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메인프레임(5)의 테두리 상에 물품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대(12)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이탈방지대(12)는 롤러이송부(10) 중 물품(7)이 입출되는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메인프레임(5)의 테두리 전체를 따라 연결된 울타리 구조로 되어 있다. 미 설명 부호 5a는 롤러이송부(10)로 물품(7)이 진입되는 과정에서 이 물품(7)이 푸싱부재(34)에 걸리지 않도록 푸싱부재(34)를 메인프레임(5) 측으로 은폐시키기 위한 은폐홈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방향전환부(20)는 상기 롤러(11) 사이에서 상하로 수직 승강되는 바퀴틀(21)과, 상기 롤러(11)의 회전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축 회전 가능하도록 바퀴틀(21)에 축 결합되는 복수의 바퀴(22) 및 상기 바퀴틀
(21) 저면에 연결채(24)를 통해 연결되어 이 바퀴틀(21)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수단(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수단(23)은 바퀴틀(21) 저면에 연결되는 로드(23a)를 상하로 승강 출몰시키는 실린더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퀴틀(21)은 내부에 복수개의 바퀴(22)가 등 간격 배치되고 이 바퀴(22) 양단부의 바퀴축(22a)이 각각 축 결합되도록, 양 측벽(21a)과, 이 양 측벽(21a)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바닥면(21b)으로 이루어진 디귿자틀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바퀴틀(21)은 롤러(11)와 수평을 이루면서 횡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마련되고, 이들 바퀴틀(21)을 서로 연결시켜 일체형으로 수직 승강되도록 하는 연결대(24)가 더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실린더에 의한 바퀴틀(21)의 상승높이는 이 바퀴틀(21)의 바퀴(22)가 롤러(11)보다 대략 5mm 정도 높이 상승되도록 함으로써, 실린더의 동력 사용은 최소화하면서 물품(7)이 롤러(11)에 의해 간섭되지 않고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물품이송부(30)는 상기 롤러이송부(10)의 롤러(11)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레일(31)과, 이 레일(31) 상에서 물품 이송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물품을 이송시키는 슬라이더(32) 및 이 슬라이더(32)를 전, 후진시키는 전후진수단(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후진수단(33)은 슬라이더(32) 후단부에 연결되는 로드(33a)를 전, 후진 출몰시키는 실린더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32)의 후단부에는 이 슬라이더(32)의 전진 이동시 물품(7)의 배면에 걸려 이 물품(7)을 이송방향으로 밀어내기 위한 푸싱부재(34)가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푸싱부재(34)는 슬라이더(32) 후단 상면에서 상방으로 직립 돌출된 원기둥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렇게 원기둥 형상 이외에, 물품(7)의 배면에 걸린 상태로 이 물품(7)을 전방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하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구조가 강구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이송장치는 전 단계에서 물품(7)이 롤러이송부(10)로 이송되어 오는 순간 롤러(11)들이 모터 구동되어 축 회전되면서 물품(7)을 상기 롤러이송부(10)의 중앙으로 이송시킨다. 그런 다음, 롤러(11)의 구동이 정지되고, 계속해서 승강수단(23)인 실린더가 작동되어 그 로드(23a)가 상방으로 돌출되면서 연결대(24)를 들어 올리면, 이에 연결되어 있는 바퀴틀(21)이 연동 상승되어서 그 바퀴(22)들이 롤러(11) 보다 높이 상승하여 물품(7)을 롤러(11)로부터 일정높이 상방으로 들어올린다.
그러고나서, 물품이송부(30)의 전후진수단(33)인 실린더를 작동시켜 로드(33a)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슬라이더(32)가 레일(31)을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동안 슬라이더(32) 후단 상면의 푸싱부재(34)가 물품(7)의 배면에 걸린 상태로 물품(7)을 전방으로 밀어내면서 바퀴(22)들의 구름 운동에 의해 최종적으로 물품(7)을 본 발명의 이송장치 인접부에 배치되어 있는 하적컨베이어(미도시)로 이송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승강수단(23)의 수직 상승에 의해 물품(7)이 롤러(11)와 수평인 상태로 들어 올려지고, 또한, 전후진수단(33)의 직진 가압에 의해 물품(7)이 롤러(11)와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전진 이송되어 원하는 하적컨베이어 상으로 안전하게 이송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송이 완료되고 나면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전후진수단(33)의 로드(33a)를 실린더로 몰입시켜 원상복귀되는 동시에 승강수단(23)의 로드(23a)를 실린더로 몰입시켜 방향전환부(20)의 바퀴(22)가 롤러(11) 하방으로 하강되도록 하여 새로운 물품(7)의 방향 전환 이송을 준비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방향전환부(20)의 승강 조작 및 물품이송부(30)의 전후진 조작의 지속적인 반복을 통해 물품(7)들의 이송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9 내지 12는 도 2에 따른 물품 이송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물류 관리방법은 운송수단(2)에 적재된 물품(7)을 하적하는 단계; 및 상기 운송수단(2)에서 하적된 물품(7)의 분류를 위항 물품 이송장치로 이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물품 이송장치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일정거리 이격되고 양단부가 메인프레임(5) 상에 축 결합되어 제자리 회전되는 복수의롤러(11)가 구비된 롤러이송부(10)가 구비되며, 상기 롤러이송부(10)의 롤러(11) 사이에 배치되어 이 롤러이송부(10) 상으로 이송되어 온 물품의 방향을 직각 전환시키기 위한 방향전환부(20); 및 상기 방향전환부(20)의 인접부에 배치되어 상기 롤러이송부(10) 상에 놓여있는 물품을 전환된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물품이송부(30)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프레임(5)은, 정방형 또는 장방형 타입의 구조물로서 설정 규격으로 구비되며 이러한 상기 메인프레임(5)의 하부에는 플레이트 형태의 제1 안착다리부(110)와 제2 안착다리부(12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안착다리부(110)와 상기 제2 안착다리부(120) 사이에는 상호간을 연동시키는 다수의 수평지지체(130)가 결속되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프레임(5)의 형상은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으며 어느 특정한 것으로만 한정되지 않고 물품이송을 위한 적합한 기존의 공지된 형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지지체(130)는 최상단의 제1 수평지지체(131)와, 최하단의 제2 수평지지체(132)와, 중단의 제3 수평지지체(133)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수평지지체(131)는, 제1-1 결속부재(141a)가 감겨진 제1-1 회동부(141)와, 제1-2 결속부재(142a)가 제1-2 회동부(142)가 구비된다.
상기 제3 수평지지체(133)는, 제3-1 결속부재(151a)가 감겨진 제3-1 회동부(151)와, 제3-2 결속부재(152a)가 감겨진 제3-2 회동부(152)와, 상기 제1-1 회동부(141)에서 풀어진 상기 제1-1 결속부재(141a)가 결속되는 제3-1 결속부(153)와, 상기 제1-2 회동부(142)에서 풀어진 상기 제1-2 결속부재(142a)가 결속되는 제3-2 결속부(154)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수평지지체(132)는, 상기 제3-1 회동부(151)에서 풀어진 상기 제3-1 결속부재(151a)가 결속되는 제2-1 결속부(161)와, 상기 제3-2 회동부(152)에서 풀어진 상기 제3-2 결속부재(152a)가 결속되는 제2-2 결속부(162)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안착다리부(110)와 상기 제2 안착다리부(120)는 상기 제1-1 회동부(141), 상기 제1-2 회동부(142), 상기 제3-1 회동부(151) 및 상기 제3-2 회동부(152)의 회전에 기반하여 상호간에 연동 고정된다. 상기 제1 수평지지체(131) 내지 상기 제3 수평지지체(133)는, 상호간에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전진하거나 후진하여 유동되는 제1 유동모드로 동작된다. 상기 제1 안착다리부(110)와 상기 제2 안착다리부(120)는 상기 제1 유동모드에 기반하여 연동 고정된다.
상기 제1 수평지지체(131) 내지 상기 제3 수평지지체(133)는, 상기 제1 유동모드 상태에서 2차적으로 상호간에 이격정도가 조절되는 제2 유동모드로 동작되며, 상기 제1 안착다리부(110)와 상기 제2 안착다리부(120)는 상기 제1 유동모드 및 상기 제2 유동모드에 기반하여 연동 고정된다. 상기 제1 유동모드 또는 상기 제2 유동모드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유동모드 또는 상기 제2 유동모드 상태에서, 상기 제1 수평지지체(131), 상기 제3 수평지지체(133), 상기 제2 수평지지체(132)는 상호간에 보강모듈(170)을 통해 상호 연동 고정된다. 상기 보강모듈(170)은, 상기 제1 수평지지체(131)에 구비되는 제1 몸체(171)와, 상기 제1 몸체(171)와 연동바(174)로 결속되며 상기 제3 수평지지체(133)에 구비되는 제3 몸체(173)와, 상기 제1 몸체(171)와 연동바(174)로 결속되며 상기 제2 수평지지체(132)에 구비되는 제2 몸체(17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몸체(171) 내지 상기 제3 몸체(173)는 상기 연동바(174)를 매개로 상호 이격정도가 조절되도록 구동된다.
상기 제1 수평지지체(131) 내지 상기 제3 수평지지체(133)는 각기 상기 제1 안착다리부(110)와 상기 제2 안착다리부(120) 상에서 좌우 유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1 수평지지체(131)가 좌우 방향 중 제1 방향으로 유동되면, 상기 제3 수평지지체(133)가 상기 제1 수평지지체(131)와 이격되는 좌우 방향 중 제2 방향으로 유동된다. 상기 제2 수평지지체(132)는 좌우 방향 중 상기 제3 수평지지체(133)와 이격되는 제3 방향으로 유동되어 상기 제1-1 결속부재(141a), 상기 제1-2 결속부재(142a), 상기 제3-1 결속부재(151a), 상기 제3-2 결속부재(152a)에 대한 긴장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1 안착다리부(110)는, 상기 제1 수평지지체(131)의 좌우방향 간으로 유동시키기 위한 제1 수평지지체유동부(181)와, 상기 제2 수평지지체(132)의 좌우방향 간으로 유동시키기 위한 제2 수평지지체유동부(182)와, 상기 제3 수평지지체(133)의 좌우방향 간으로 유동시키기 위한 제3 수평지지체유동부(183)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안착다리부(120)는, 상기 제1 수평지지체유동부(181)에 의한 상기 제1 수평지지체(131)의 좌우방향 간으로 유동되을 홀딩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수평지지체(131)를 가압 파지하는 제1 수평지지체홀딩부(191)와, 상기 제2 수평지지체유동부(182)에 의한 상기 제2 수평지지체(132)의 좌우방향 간으로 유동되을 홀딩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 수평지지체(132)를 가압 파지하는 제2 수평지지체홀딩부(192)와, 상기 제3 수평지지체유동부(183)에 의한 상기 제3 수평지지체(133)의 좌우방향 간으로 유동되을 홀딩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3 수평지지체(133)를 가압 파지하는 제3 수평지지체홀딩부(193)가 구비된다. 상기 제1-1 결속부재(141a) 내지 상기 제3-2 결속부재(152a)는 각각 고무, 엘라스토머, 금속재질(예: 플레이트 형태, 체인 형태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2: 운송수단
5 : 메인프레임
7 : 물품
10 : 롤러이송부
11 : 복수의롤러
20 : 방향전환부
5 : 메인프레임
7 : 물품
10 : 롤러이송부
11 : 복수의롤러
20 : 방향전환부
Claims (2)
- 물류 관리를 위한 물품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품 이송장치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일정거리 이격되고 양단부가 메인프레임(5) 상에 축 결합되어 제자리 회전되는 복수의롤러(11)가 구비된 롤러이송부(10)가 구비되며,
상기 롤러이송부(10)의 롤러(11) 사이에 배치되어 이 롤러이송부(10) 상으로 이송되어 온 물품의 방향을 직각 전환시키기 위한 방향전환부(20); 및
상기 방향전환부(20)의 인접부에 배치되어 상기 롤러이송부(10) 상에 놓여있는 물품을 전환된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물품이송부(30)가 구비되며,
상기 메인프레임(5)은,
정방형 또는 장방형 타입으로서 설정 규격으로 구비되며, 상기 메인프레임(5)의 하부에는 플레이트 형태의 제1 안착다리부(110)와 제2 안착다리부(120)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안착다리부(110)와 상기 제2 안착다리부(120) 사이에는 상호간을 연동시키는 다수의 수평지지체(130)가 결속되어 구비되며,
상기 수평지지체(130)는,
최상단의 제1 수평지지체(131)와, 최하단의 제2 수평지지체(132)와, 중단의 제3 수평지지체(133)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수평지지체(131)는,
제1-1 결속부재(141a)가 감겨진 제1-1 회동부(141)와, 제1-2 결속부재(142a)가 제1-2 회동부(142)가 구비되며,
상기 제3 수평지지체(133)는,
제3-1 결속부재(151a)가 감겨진 제3-1 회동부(151)와,
제3-2 결속부재(152a)가 감겨진 제3-2 회동부(152)와,
상기 제1-1 회동부(141)에서 풀어진 상기 제1-1 결속부재(141a)가 결속되는 제3-1 결속부(153)와,
상기 제1-2 회동부(142)에서 풀어진 상기 제1-2 결속부재(142a)가 결속되는 제3-2 결속부(154)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수평지지체(132)는,
상기 제3-1 회동부(151)에서 풀어진 상기 제3-1 결속부재(151a)가 결속되는 제2-1 결속부(161)와,
상기 제3-2 회동부(152)에서 풀어진 상기 제3-2 결속부재(152a)가 결속되는 제2-2 결속부(162)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안착다리부(110)와 상기 제2 안착다리부(120)는 상기 제1-1 회동부(141), 상기 제1-2 회동부(142), 상기 제3-1 회동부(151) 및 상기 제3-2 회동부(152)의 회전에 기반하여 상호간에 연동 고정되며,
상기 제1 수평지지체(131) 내지 상기 제3 수평지지체(133)는,
상호간에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전진하거나 후진하여 유동되는 제1 유동모드로 동작되며,
상기 제1 안착다리부(110)와 상기 제2 안착다리부(120)는 상기 제1 유동모드에 기반하여 연동 고정되며,
상기 제1 수평지지체(131) 내지 상기 제3 수평지지체(133)는,
상기 제1 유동모드 상태에서 2차적으로 상호간에 이격정도가 조절되는 제2 유동모드로 동작되며,
상기 제1 안착다리부(110)와 상기 제2 안착다리부(120)는 상기 제1 유동모드 및 상기 제2 유동모드에 기반하여 연동 고정되며,
상기 제1 유동모드 또는 상기 제2 유동모드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유동모드 또는 상기 제2 유동모드 상태에서,
상기 제1 수평지지체(131), 상기 제3 수평지지체(133), 상기 제2 수평지지체(132)는 상호간에 보강모듈(170)을 통해 상호 연동 고정되며,
상기 보강모듈(170)은,
상기 제1 수평지지체(131)에 구비되는 제1 몸체(171)와,
상기 제1 몸체(171)와 연동바(174)로 결속되며 상기 제3 수평지지체(133)에 구비되는 제3 몸체(173)와,
상기 제1 몸체(171)와 연동바(174)로 결속되며 상기 제2 수평지지체(132)에 구비되는 제2 몸체(172)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몸체(171) 내지 상기 제3 몸체(173)는 상기 연동바(174)를 매개로 상호 이격정도가 조절되도록 구동되며,
상기 제1 수평지지체(131) 내지 상기 제3 수평지지체(133)는 각기 상기 제1 안착다리부(110)와 상기 제2 안착다리부(120) 상에서 좌우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 수평지지체(131)가 좌우 방향 중 제1 방향으로 유동되면, 상기 제3 수평지지체(133)가 상기 제1 수평지지체(131)와 이격되는 좌우 방향 중 제2 방향으로 유동되며,
상기 제2 수평지지체(132)는 좌우 방향 중 상기 제3 수평지지체(133)와 이격되는 제3 방향으로 유동되어 상기 제1-1 결속부재(141a), 상기 제1-2 결속부재(142a), 상기 제3-1 결속부재(151a), 상기 제3-2 결속부재(152a)에 대한 긴장력을 발생시키는 물품 이송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39714A KR102135387B1 (ko) | 2020-04-01 | 2020-04-01 | 물류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39714A KR102135387B1 (ko) | 2020-04-01 | 2020-04-01 | 물류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35387B1 true KR102135387B1 (ko) | 2020-07-17 |
Family
ID=71832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39714A KR102135387B1 (ko) | 2020-04-01 | 2020-04-01 | 물류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35387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49743B1 (ko) * | 2011-12-15 | 2014-01-27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자동창고 제어 실습장비 |
KR101832142B1 (ko) * | 2017-08-22 | 2018-02-27 | 화동하이테크 주식회사 | 물류 자동 정렬 및 이송 컨베어 장치 |
KR102043898B1 (ko) | 2018-03-27 | 2019-11-12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물류 센터의 피킹 자동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킹 자동화 방법 |
-
2020
- 2020-04-01 KR KR1020200039714A patent/KR10213538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49743B1 (ko) * | 2011-12-15 | 2014-01-27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자동창고 제어 실습장비 |
KR101832142B1 (ko) * | 2017-08-22 | 2018-02-27 | 화동하이테크 주식회사 | 물류 자동 정렬 및 이송 컨베어 장치 |
KR102043898B1 (ko) | 2018-03-27 | 2019-11-12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물류 센터의 피킹 자동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킹 자동화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42280B1 (ko) | 물체 핸들링 시스템 및 방법 | |
US9725241B2 (en) | Storage and picking system and method for picking with autonomously moving shelf-serving devices | |
EP2627592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loading items | |
KR101851142B1 (ko) | 전철 화물 배송 시스템 | |
WO2016144254A1 (en) | A platform for baggage cart and baggage handling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 |
CN211392592U (zh) | 一种配送中转站 | |
US20240253902A1 (en) | A grid framework structure | |
US20240262617A1 (en) | A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 |
JP2006103873A (ja) | 仕分け設備 | |
KR102135387B1 (ko) | 물류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 |
JP2010052878A (ja) | ピッキングシステム | |
US10934091B1 (en) | Modular indexing tote storage system | |
CN216835693U (zh) | 供料装置及分拣设备 | |
CN216425638U (zh) | 仓储系统 | |
JP7155501B2 (ja) | 搬送車システム | |
TWM326006U (en) | Conveying device | |
JP2001220002A (ja) | 自動搬送システム | |
JP7171992B2 (ja) | ケース移載システム及びケース移載方法 | |
JP4029688B2 (ja) | 自動倉庫設備 | |
CN112849892A (zh) | 一种电子器件智能仓储设备 | |
JP2017128402A (ja) | 自動倉庫および台車式搬送装置 | |
US20110095134A1 (en) | Baggage Handling at Air Terminals | |
JPS59163237A (ja) | 荷物搬送システム | |
US20230079659A1 (en) | Unloading Device | |
EP2138425A1 (en) | Container for baggages and method of loading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