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4828B1 - 차폐구조 개선형 인렛장치 - Google Patents

차폐구조 개선형 인렛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4828B1
KR102134828B1 KR1020190066271A KR20190066271A KR102134828B1 KR 102134828 B1 KR102134828 B1 KR 102134828B1 KR 1020190066271 A KR1020190066271 A KR 1020190066271A KR 20190066271 A KR20190066271 A KR 20190066271A KR 102134828 B1 KR102134828 B1 KR 102134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ing
ring member
housing
vehicle body
inle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6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90066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48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4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4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02T90/12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Abstract

차폐구조 개선형 인렛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차폐구조 개선형 인렛장치는: 수용홀더가 구비되고, 차체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구비되고, 고전압와이어가 삽입 설치되는 링부재와, 고전압와이어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차폐하기 위해 고전압와이어에 설치되는 차폐부재와, 차폐부재를 차체에 연결하고, 차폐부재에서 흡수된 노이즈를 접지하는 접지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폐구조 개선형 인렛장치{SHILD STRUCTURE IMPROVED INLET DEVICE}
본 발명은 차폐구조 개선형 인렛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에 연결되는 고전압와이어의 외측에 하우징의 연결부위까지 커버되도록 차폐부재를 설치하고, 링부재를 이용하여 차폐부재를 접속하며, 하우징과 차체를 고정하는 볼트부재에 연결되는 버스바부재를 통해 접지함으로써, 그러운드터미널과 연결와이어를 삭제할 수 있는 차폐구조 개선형 인렛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의 경우에는 일반차량에 비해 고전압/고전류를 요하게 된다. 따라서, 전기자동차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효율적으로 차량 내부로 전원을 충전시키기 위해 충전 인렛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전기자동차는 배터리에 저장된 에너지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차량으로, 상기 배터리는 일정 시간 사용하게 되면 방전이 되고, 방전이 되면 차량을 주행할 수 없으므로 보통 방전이 되기 전에 충전하여 재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전기자동차에는 외부의 전원을 차량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인렛(Inlet)이 설치되고, 인렛에 체결되며,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한 아웃렛(Outlet)이 형성되어 있다.
종래의 전기자동차용 인렛은 플라스틱 하우징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플라스틱 하우징은 플라스틱 사출로 되어 있어 급속 충전부의 차폐를 통전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차폐망을 차체에 접지시키기 위해 별도의 그라운드 터미널을 마련하고 차체에 별도 그라운드 포인트를 구성하여 차폐망과 차체간에 접지처리를 수행한다.
그런데, 종래의 전기자동차용 인렛 차폐구조는 급속 충전용 고전압 와이어의 인렛 하우징의 끝단까지 차폐망 처리가 어려울 뿐만아니라, 별도의 그라운드 터미널을 적용해야하므로 제조원가가 많이 들고, 추가 구성으로 인해 중량이 증가하며, 부품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지닌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928070호(2018.12.05, 발명의 명칭: 전기자동차용 인렛)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하우징에 연결되는 고전압와이어의 외측에 하우징의 연결부위까지 커버되도록 차폐부재를 설치하고, 링부재를 이용하여 차폐부재를 접속하며, 하우징과 차체를 고정하는 볼트부재에 연결되는 버스바부재를 통해 접지함으로써, 그러운드터미널과 연결와이어를 삭제하여 부품수를 저감하고 부품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폐구조 개선형 인렛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폐구조 개선형 인렛장치는, 수용홀더가 구비되고, 차체에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고전압와이어가 삽입 설치되는 링부재; 상기 고전압와이어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차폐하기 위해 상기 고전압와이어에 설치되는 차폐부재; 및 상기 차폐부재를 상기 차체에 연결하고, 상기 차폐부재에서 흡수된 노이즈를 접지하는 접지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부재는 전기적 도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링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사출 성형으로 일부 영역이 매립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폐부재는 차폐망을 포함하고,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링부재의 노출부위까지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지연결부는, 상기 차폐부재를 상기 링부재에 커버한 상태에서 상기 차폐부재를 감싸면서 상기 링부재의 외측면에 밀착 고정하는 밴드부재: 및 상기 링부재에 일체로 형성되고,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차체에 연결되는 버스바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스바부재는, 상기 링부재의 측면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에 구비되고, 설정각도 굴곡 형성되는 굴곡부; 및 상기 굴곡부에 구비되고, 상기 차체에 마련되는 스터드볼트에 끼워져 장착홀이 형성되고, 너트부재를 통해 상기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차폐부재가 커버되지 않는 상기 하우징의 몰딩부에서 돌출되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폐부재는 강도보강부에 의해 상기 링부재와 상기 밴드부재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폐구조 개선형 인렛장치는, 하우징에 연결되는 고전압와이어의 외측에 하우징의 연결부위까지 커버되도록 차폐부재를 설치하고, 링부재를 이용하여 차폐부재를 접속하며, 하우징과 차체를 고정하는 볼트부재에 연결되는 버스바부재를 통해 접지함으로써, 그러운드터미널과 연결와이어를 삭제하여 부품수를 저감하고 부품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폐구조 개선형 인렛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폐구조 개선형 인렛장치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폐구조 개선형 인렛장치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폐구조 개선형 인렛장치의 조립 상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요부 조립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폐구조 개선형 인렛장치에서, 보강내립홈부와 강도보강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폐구조 개선형 인렛장치에서, 보강매립홈부와 강도보강부의 조립 상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폐구조 개선형 인렛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폐구조 개선형 인렛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폐구조 개선형 인렛장치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폐구조 개선형 인렛장치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폐구조 개선형 인렛장치의 조립 상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요부 조립 확대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폐구조 개선형 인렛장치에서, 보강내립홈부와 강도보강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폐구조 개선형 인렛장치에서, 보강매립홈부와 강도보강부의 조립 상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폐구조 개선형 인렛장치는, 하우징(100), 링부재(200), 차폐부재(300) 및 접지연결부(4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수용홀더(110)가 구비되고, 차체(2)에 고정되는 구성이다.
하우징(100)은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사출 성형되며, 복수 개의 단자가 수용 배치되는 수용홀더(110)가 마련되어 차체(2)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수용홀더(12)는 충전 아웃렛(outlet)이 삽입 체결되는 부분으로 양 단이 개구되어 관통 형성된 수용 공간이 격벽에 의해 분할되며, 이에 수용되는 각 단자가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이들을 분리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홀더(110)에는 5개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링부재(200)는 하우징(100)에 구비되고, 고전압와이어(10)가 삽입 설치되는 구성이다.
링부재(200)는 클램프링 형태를 가지며, 일부영역이 하우징(100)에 매립되고 일부 영역이 외부로 노출되어 후술하는 차폐부재(300)가 노출된 부위에 덮여지되도록 구성된다.
즉, 링부재(200)는 하우징(100)에 사출 성형으로 일부 영역이 매립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디.
링부재(200)는 전기적 도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링부재(200)의 중심부에는 전후로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이 관통홀에 고전압와이어(10) 한 쌍이 각각 삽입 설치되어 하우징(100)의 수용홀더(110)의 단자와 연결된다.
이때, 수용홀더(110)에 충전 아울렛이 접속되어져 고전압와이어(10)를 통해 배터리에 충전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충전 과정에서 고전압외이어(10)에서 발생하는 노이즈가 다른 장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벙지하도록 차폐환 후 이를 접지하여야 한다.
차폐부재(300)는 고전압와이어(10)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차폐하기 위해 고전압와이어(10)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차폐부재(300)는 금속재의 실을 직조하여 제조되는 차폐망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도전성이 우수한 금속재질을 적용하도록 한다.
차폐부재(300)는 링부재(200)의 몰딩부(120)를 제외한 노출부위까지 커버하도록 구성된다.
접지연결부(400)는 차폐부재(300)를 차체(2)에 연결하고, 차폐부재(300)에서 흡수된 노이즈를 접지하는 구성이다.
접지연결부(400)는, 차폐부재(300)를 링부재(200)에 커버한 상태에서 차폐부재(300)를 감싸면서 링부재(200)의 외측면에 밀착 고정하는 밴드부재(410)와, 링부재(200)에 일체로 형성되고, 외측으로 연장되어 차체(2)에 연결되는 버스바부재(420)를 포함한다.
밴드부재(410)는 차폐부재(300)와 링부재(200)를 감아주는 밴드부(412)와, 밴드부(412)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고, 관통홀이 형성되는 장착부(414)와, 장착부(414)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밴드부(412)를 결합하는 결합부재(416)를 포함한다.
밴드부재(416)는 도전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버스바부재(420)는, 링부재(200)의 측면으로 연장되는 연장부(422)와, 연장부(422)에 구비되고, 설정각도 굴곡 형성되는 굴곡부(424)와, 굴곡부(424)에 구비되고, 차체(2)에 마련되는 스터드볼트(20)에 끼워지는 장착홀이 형성되고, 너트부재(430)를 통해 차체(2)에 고정되는 고정부(426)를 포함한다.
굴곡부(424)는 연장부(422)와 고정부(426)에 대해 직각으로 굴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장부(422)는 차폐부재(300)가 커버되지 않는 하우징(100)의 몰딩부(120)에서 돌출되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몰딩부(120)는 링부재(200)의 둘레 전체면에 일정한 두꼐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및 도 7을 참조 하면, 차폐부재(300)는 강도보강부(500)에 의해 링부재(200)와 밴드부재(410)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강도보강부(500)는, 링부재(200) 또는 밴드부재(410)의 둘레에 돌출 형성되는 다수개의 보강결합돌부(510)와, 차폐부재(300)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보강결함돌부(510)에 결합되도록 밴드부재(410) 또는 링부재(200)에 함몰 형성되는 보강결합홈부(5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보강결합돌부(510)가 링부재(200)에 형성되고, 보강결합홈부(520)가 밴드부재(410)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링부재(200)의 둘레에 차폐부재(300)을 커버시킨 상태에서 밴드부재(410)의 밴드부(412)를 차페부재(300)의 외측면에 감아서 결합부재(416)를 장착부(414)에 결합시키도록 한다.
이때, 보강결합돌부(510)가 차폐부재(300)를 돌출시키면서 보강결합홈부(520)애 압입 설치되므로 차페부재(300)의 결합강도가 보강된 상태로 견고하게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링부재(200)에는 몰딩부(120)가 매립되어 견고하게 성형되도록 함몰 형성되는 보강매립홈부(210)가 구비될 수 있다.
보강매립홈부(210)는 링부재(200)를 하우징(100)과 일체로 성형하면서 몰딩부(120)의 일정부분이 홈부위에 매립되면서 강도 보강 역활을 수행함으로써, 링부재(200)가 하우징(100)에서 이탈되거나 유동 및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폐구조 개선형 인렛장치는, 하우징에 연결되는 고전압와이어의 외측에 하우징의 연결부위까지 커버되도록 차폐부재를 설치하고, 링부재를 이용하여 차폐부재를 접속하며, 하우징과 차체를 고정하는 볼트부재에 연결되는 버스바부재를 통해 접지함으로써, 그러운드터미널과 연결와이어를 삭제하여 부품수를 저감하고 부품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고전압와이어 100 : 하우징
110 : 수용홀더 120 : 몰딩부
200 : 링부재 210 : 보강매립홈부
300 : 차폐부재 400 : 접지연결부
410 : 밴드부재 412 : 밴드부
414 : 장착부 416 : 결합부재
420 : 버스바부재 422 : 연장부
424 : 굴곡부 426 : 고정부
500 : 강도보강부 510 : 보강결합홈부
520 : 보강결합홈부 :

Claims (7)

  1. 수용홀더가 구비되고, 차체에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고전압와이어가 삽입 설치되는 링부재;
    상기 고전압와이어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차폐하기 위해 상기 고전압와이어에 설치되는 차폐부재; 및
    상기 차폐부재를 상기 차체에 연결하고, 상기 차폐부재에서 흡수된 노이즈를 접지하는 접지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링부재는 전기적 도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링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사출 성형으로 일부 영역이 매립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구조 개선형 인렛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는 차폐망을 포함하고,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링부재의 노출부위까지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구조 개선형 인렛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연결부는,
    상기 차폐부재를 상기 링부재에 커버한 상태에서 상기 차폐부재를 감싸면서 상기 링부재의 외측면에 밀착 고정하는 밴드부재: 및
    상기 링부재에 일체로 형성되고,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차체에 연결되는 버스바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구조 개선형 인렛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부재는,
    상기 링부재의 측면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에 구비되고, 설정각도 굴곡 형성되는 굴곡부; 및
    상기 굴곡부에 구비되고, 상기 차체에 마련되는 스터드볼트에 끼워져 장착홀이 형성되고, 너트부재를 통해 상기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구조 개선형 인렛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차폐부재가 커버되지 않는 상기 하우징의 몰딩부에서 돌출되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구조 개선형 인렛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는 강도보강부에 의해 상기 링부재와 상기 밴드부재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구조 개선형 인렛장치.
KR1020190066271A 2019-06-04 2019-06-04 차폐구조 개선형 인렛장치 KR102134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271A KR102134828B1 (ko) 2019-06-04 2019-06-04 차폐구조 개선형 인렛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271A KR102134828B1 (ko) 2019-06-04 2019-06-04 차폐구조 개선형 인렛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4828B1 true KR102134828B1 (ko) 2020-07-16

Family

ID=71839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6271A KR102134828B1 (ko) 2019-06-04 2019-06-04 차폐구조 개선형 인렛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48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104510A1 (de) 2020-02-20 2021-08-26 HARTING Automotive GmbH Ladebuchse für ein Elektrofahrzeug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7446A (ja) * 2003-07-03 2005-01-27 Hitachi Cable Ltd シールド層付ケーブルの端末構造
JP2009123519A (ja) * 2007-11-15 2009-06-04 Yazaki Corp シールドシェルの取付構造
KR20120030190A (ko) * 2010-09-17 2012-03-28 주식회사 경신 커넥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48158B1 (ko) * 2012-10-05 2014-01-0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고전압 차폐 커넥터
JP2016126982A (ja) * 2015-01-08 2016-07-11 矢崎総業株式会社 止水構造及びワイヤハーネス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7446A (ja) * 2003-07-03 2005-01-27 Hitachi Cable Ltd シールド層付ケーブルの端末構造
JP2009123519A (ja) * 2007-11-15 2009-06-04 Yazaki Corp シールドシェルの取付構造
KR20120030190A (ko) * 2010-09-17 2012-03-28 주식회사 경신 커넥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48158B1 (ko) * 2012-10-05 2014-01-0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고전압 차폐 커넥터
JP2016126982A (ja) * 2015-01-08 2016-07-11 矢崎総業株式会社 止水構造及びワイヤハーネス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104510A1 (de) 2020-02-20 2021-08-26 HARTING Automotive GmbH Ladebuchse für ein Elektrofahrzeug
DE102020104510B4 (de) 2020-02-20 2022-03-24 HARTING Automotive GmbH Ladebuchse für ein Elektrofahrzeu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0434B2 (en) Electrical power distributor for an electric or hybrid vehicle
CN100592576C (zh) 连接器固定结构
KR102633954B1 (ko) 통합형 다극 커넥터
EP2874240B1 (en) Connector and connector connection structure
CN103855524A (zh) 设备用连接器
JP6026660B2 (ja) コネクタ
JP2006344398A (ja) シールドシェル
EP2491625B1 (en) Fitting structure for inner holder and shield shell
JP5915942B2 (ja) 電気接続箱
KR102134828B1 (ko) 차폐구조 개선형 인렛장치
KR102052087B1 (ko) 고-전압 케이블 세트
CN104221096B (zh) 线束
KR102067267B1 (ko) 터미널장착장치가 구비된 충전커넥터
JP6955219B2 (ja) ワイヤハーネス
CN111211433B (zh) 屏蔽连接器
US20230039799A1 (en) Wire harnes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wire harness
US20210320450A1 (en) High voltage shielded connector
US6954120B2 (en) Trap circuit arrangement
KR102598637B1 (ko) 인렛용 차폐 버스바
JP3729636B2 (ja) 電気機器の防水ケース
JP2016062714A (ja) 防水プラグ及び防水プラグ付コード
US20240162649A1 (en) Grommet and inlet assembly
US20230040692A1 (en) Wire harness
WO2022107626A1 (ja) シールドコネクタ
US20240162668A1 (en) Grommet and inlet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