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3582B1 - 돌기 결합형 무용접 프레임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돌기 결합형 무용접 프레임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3582B1
KR102133582B1 KR1020180169567A KR20180169567A KR102133582B1 KR 102133582 B1 KR102133582 B1 KR 102133582B1 KR 1020180169567 A KR1020180169567 A KR 1020180169567A KR 20180169567 A KR20180169567 A KR 20180169567A KR 102133582 B1 KR102133582 B1 KR 102133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shape
bending shape
protrusi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9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9892A (ko
Inventor
이명현
이해열
Original Assignee
(주)동광명품도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광명품도어 filed Critical (주)동광명품도어
Priority to KR1020180169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3582B1/ko
Publication of KR20200079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9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8Shape of edges of wing and/or its frame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88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specially adapted for sheet metal frame members with an open U-shaped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Corner Units Of Frames 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돌기 결합형 무용접 프레임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수평프레임, 수직프레임이 절곡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수평프레임의 돌기삽입홀에 수직프레임의 돌기가 관통 삽입되어, 외부로 돌출된 돌기를 구부려 고정시키는 조립구조를 제공하는 돌기 결합형 무용접 프레임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수평하게 놓여지고, 제1 절곡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부면에 돌기삽입홀이 형성되는 수평프레임;과 수직하게 세워지고, 제2 절곡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면 상단에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간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안착면과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측면삽입부가 갖추어지며, 상기 하부안착면에 상방향으로 돌기가 형성되는 수직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프레임의 하부면이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부안착면에 안착되는 제1 조립구조;와 상기 수평프레임의 측면이 상기 측면삽입부로 삽입되는 제2 조립구조;와 상기 제1 조립구조와 상기 제2 조립구조에 의해 상기 수평프레임의 돌기삽입홀에 상기 수직프레임의 돌기가 관통 삽입되며, 외부로 돌출된 상기 돌기를 구부려 고정시키는 제3 조립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 결합형 무용접 프레임 조립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돌기 결합형 무용접 프레임 조립구조{Pin jointed Frame assembly structure instead of weld bonding}
본 발명은 돌기 결합형 무용접 프레임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수평프레임, 수직프레임이 절곡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수평프레임의 돌기삽입홀에 수직프레임의 돌기가 관통 삽입되어, 외부로 돌출된 돌기를 구부려 고정시키는 조립구조를 제공하는 돌기 결합형 무용접 프레임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으로 이루어진 철골구조, 프레임은 복수개가 조립되어 사용된다. 프레임을 조립하는 방법으로는 리벳, 나사, 용접, 굽힘 등 다양한 방법이 존재하며, 상기 방법을 적용하여 프레임을 조립한 후, 조립된 프레임을 운반하여 적정 장소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방화(防火)를 목적으로 하는 방화문은 일반적으로 용접공정을 이용하여 전면판과 후면판을 프레임과 일체로 고정하고 전면판과 후면판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부에 난연소재가 충진된다. 방화문은 방화구획의 구성요소로서 설치되며,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 확산을 방지하여 사람들이 대피하는 시간을 확보해 줌으로써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는 주요 요소이다. 따라서 방화문은 밀폐성이 우수해야 하고, 뒤틀림이 최소화 되어야 하기 때문에 방화문을 구성하는 보강 프레임의 조립 방법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상기 언급된 결합방법 중 용접 방법을 적용한 방화문은 용접시 열에 의한 뒤틀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용접된 결합부위가 취약하여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50778호("철골부재 무용접 조립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50778호("철골부재 무용접 조립구조")는 종래기술로서, 플랜지가 형성된 철골부재, 플랜지 클램프, 장나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철골부재에 용접 작업을 하지 않고 철골부재를 결합할 수 있음으로써 용접열에 의한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으나, 결합을 위한 볼트 조립 시, 철골에 직접적인 손상이 감으로써 구조적인 강도가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0001] 제10-2009-0050778호("철골부재 무용접 조립구조", 2007.11.16) 실용신안문헌 [0002] 제20-0279164호("방화문 프레임", 2002.03.13.)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본 발명은 돌기 결합형 무용접 프레임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절곡형상으로 이루어진 프레임을 통해 강도가 확보되어 외부로부터 침입이 방지되는 무용접 프레임 조립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의 절곡형상 제조공정이 단순하여 작업시간이 단축되며, 무용접 조립구조로서 프레임 간 조립이 간편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는 돌기 결합형 무용접 프레임 조립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용접 프레임이 조립되는 구조로 용접으로 인한 안전사고발생 우려가 없으며, 용접 접합시 프레임의 뒤틀림 발생 우려가 없어 방화문의 정상적인 형태와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돌기 결합형 무용접 프레임 조립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수평하게 놓여지고, 제1 절곡형상(10)으로 이루어지며, 하부면에 돌기삽입홀(110)이 형성되는 수평프레임(100);과 수직하게 세워지고, 제2 절곡형상(20)으로 이루어지며, 일측면 상단에 삽입공간(210)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간(210)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안착면(220)과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측면삽입부(230)가 갖추어지며, 상기 하부안착면(220)에 상방향으로 돌기(240)가 형성되는 수직프레임(200);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프레임(100)의 하부면이 상기 수직프레임(200)의 하부안착면(220)에 안착되는 제1 조립구조(1);와 상기 수평프레임(100)의 측면이 상기 측면삽입부(230)로 삽입되는 제2 조립구조(2); 및 상기 제1 조립구조(1)와 상기 제2 조립구조(2)에 의해 상기 수평프레임(100)의 돌기삽입홀(110)에 상기 수직프레임(200)의 돌기(240)가 관통 삽입되며, 외부로 돌출된 상기 돌기(240)를 구부려 고정시키는 제3 조립구조(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 결합형 무용접 프레임 조립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제1 절곡형상(10)은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며, 상단에 배치되는 제1 절곡형상 제1면(11);과 상기 제1 절곡형상 제1면(11)의 후단에서 하방향으로 직각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는 제1 절곡형상 제2면(12);과 상기 제1 절곡형상 제2면(12)의 하면에서 전방으로 직각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는 제1 절곡형상 제3면(13);과 상기 제1 절곡형상 제3면(13)의 전단에서 상방향으로 직각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는 제1 절곡형상 제4면(14); 및 상기 제1 절곡형상 제4면(14)의 상면에서 후방으로 직각 절곡되어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1 절곡형상 제1면(11)의 설정높이에 배치되는 제1 절곡형상 제5면(15);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절곡형상 제3면(13)은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 절곡형상 제2면(12)의 하면에서 전방으로 직각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는 제1 절곡형상 제3a면(13a);과 상기 제1 절곡형상 제3a면(13a)의 전단에서 하방향으로 직각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는 제1 절곡형상 제3b면(13b); 및 상기 제1 절곡형상 제3b면(13b)의 하면에서 전방으로 직각 절곡되어 상기 제1절곡형상 제4면(14)과 연결되는 제1 절곡형상 제3c면(13c);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절곡형상(20)은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며, 후방에 배치되는 제2 절곡형상 제1면(21);과 상기 제2 절곡형상 제1면(21)의 후단에서 일측으로 직각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는 제2 절곡형상 제2면(22);과 상기 제2 절곡형상 제2면(22)의 일단에서 전방으로 직각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는 제2 절곡형상 제3면(23);과 상기 제2 절곡형상 제3면(23)의 전단에서 타측으로 직각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는 제2 절곡형상 제4면(24); 및 상기 제2 절곡형상 제4면(24)의 타단에서 후방으로 직각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는 제2 절곡형상 제5면(25);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절곡형상 제3면(23)은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2 절곡형상 제2면(22)의 타단에서 전방으로 직각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는 제2 절곡형상 제3a(23a)면;과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2 절곡형상 제3a면(23a)의 전단에서 타측으로 직각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는 제2 절곡형상 제3b면(23b); 및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2 절곡형상 제3b면(23b)의 타단에서 전방으로 직각 절곡되어 상기 제2절곡형상 제4면(24)과 연결되는 제2 절곡형상 제3c면(23c);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절곡형상으로 이루어진 프레임을 통해 강도가 확보되어 외부로부터 침입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프레임의 절곡형상 제조공정이 단순하여 작업시간이 단축되며, 무용접 조립구조로서 프레임 간 조립이 간편하여 인건비 절감 및 작업성 향상의 효과가 있다.
또한, 무용접 프레임이 조립되는 구조로 용접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방지되며, 용접으로 인한 품질저하 발생 우려가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돌기 결합형 무용접 프레임 조립구조에 의해 결합된 문틀이다.
도 2는 도 1의 A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돌기 결합형 무용접 프레임 조립구조의 제1 조립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돌기 결합형 무용접 프레임 조립구조의 제2 조립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돌기 결합형 무용접 프레임 조립구조의 제3 조립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돌기 결합형 무용접 프레임 조립구조의 수평프레임의 일실시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돌기 결합형 무용접 프레임 조립구조의 수평프레임의 다른실시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돌기 결합형 무용접 프레임 조립구조의 수직프레임의 일실시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돌기 결합형 무용접 프레임 조립구조의 수직프레임의 다른실시예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돌기 결합형 무용접 프레임 조립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계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돌기 결합형 무용접 프레임 조립구조에 의해 결합된 문틀이고, 도 2는 도 1의 A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돌기 결합형 무용접 프레임 조립구조의 제1 조립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돌기 결합형 무용접 프레임 조립구조의 제2 조립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돌기 결합형 무용접 프레임 조립구조의 제3 조립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인 돌기 결합형 무용접 프레임 조립구조는 도 2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프레임(100), 수직프레임(200)이 제1 조립구조(1), 제2 조립구조(2), 제3 조립구조(3)를 통해 조립되는 구조를 제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돌기 결합형 무용접 프레임 조립구조의 수평프레임의 일실시예이다.
도 6-(a)는 수평프레임의 일실시예에 대한 평면도이며, 도 6-(b)는 수평프레임의 일실시예에 대한 우측면도이다.
수평프레임(100)은 수평하게 놓여지며 제1 절곡형상(1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수평프레임(100)은 하부면에 돌기삽입홀(110)과 전후 상단으로부터 수직 하방향으로 측면삽입홈(120)이 형성될 수 있다.
수직프레임(200)은 수직하게 세워지며 제2 절곡형상(20)으로 이루어져, 일측면 상단에 삽입공간(2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수직프레임(200)은 삽입공간(210) 하부에 도 8-(a)에 굵은 실선으로 도시된 하부안착면(220)이 배치되고, 수직프레임(200)의 가장자리에 측면삽입부(230)가 배치된다. 그리고 하부안착면(220)은 상방향으로 돌기(240)가 형성되어 수평프레임(100)의 돌기삽입홀(110)에 삽입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측면삽입부(230)는 도 9-(a)에 굵은 실선으로 도시된 측면삽입면(231)과 측면삽입구(232)로 구성되어 수직프레임이 삽입고정되게 한다. 이때, 측면삽입면(231)은 수직프레임(200)의 끝단부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측면삽입구(232)는 측면삽입홈(120)에 수직프레임(200)이 삽입고정되도록 내측으로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수평프레임(100)과 수직프레임(200)은 제1 조립구조(1), 제2 조립구조(2), 제3 조립구조(3)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조립구조(1)는 수평프레임(100)의 하부면이 수직프레임(200)의 하부안착면(220)에 안착되는 구조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조립구조(2)는 수평프레임(100)의 측면이 측면삽입부(230)로 삽입되어 측방향으로 움직이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공간이 제한되도록 구비되는 구조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조립구조(3)는 제1 조립구조(1)와 제2 조립구조(2)에 의해 수평프레임(100)의 돌기삽입홀(110)에 수직프레임(200)의 돌기(240)가 관통삽입되며, 외부로 돌출된 돌기(240)를 구부려 고정시키는 구조이다.
수평프레임(100)의 제1 절곡형상(10)은 도 6-(b)에 일점 쇄선으로 도시된, 제1 절곡형상 제1면(11), 제1 절곡형상 제2면(12), 제1 절곡형상 제3면(13), 제1 절곡형상 제4면(14) 및 제1 절곡형상 제5면(15)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 절곡형상 제1면(11)은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며, 상단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1 절곡형상 제2면(12)은 제1 절곡형상 제1면(11)의 후단에서 하방향으로 직각 절곡되어 연장형성된다. 그리고 제1 절곡형상 제3면(13)은 제1 절곡형상 제2면(12)의 하면에서 전방으로 직각 절곡되어 연장형성된다. 또한, 제1 절곡형상 제4면(14)은 제1 절곡형상 제3면(13)의 전단에서 상방향으로 직각 절곡되어 연장형성된다. 그리고 제1 절곡형상 제5면(15)은 제1 절곡형상 제4면(14)의 상면에서 후방으로 직각 절곡되어 연장형성되고, 제1 절곡형상 제1면(11)의 설정높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1 절곡형상 제1면(11)과 제1 절곡형상 제5면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절곡형상 제1면(11), 제1 절곡형상 제2면(12), 제1 절곡형상 제3면(13), 제1 절곡형상 제4면(14) 및 제1 절곡형상 제5면(15)으로 이루어진 제1 절곡형상은 수평프레임(100)의 형상을 나타낸다.
이때, 측면삽입홈(120)은 제1 절곡형상 제4면(14)의 후단과 제1 절곡형상 제5면(15)의 전단으로부터 제1 절곡형상 제3면(13)이 배치된 수직 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돌기삽입홀(110)은 제1 절곡형상 제3면(13)에 복수 개가 설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대응되도록 수직프레임(200)에 돌기(24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돌기 결합형 무용접 프레임 조립구조의 수평프레임의 다른실시예이다.
도 7-(a)는 수평프레임의 다른실시예에 대한 평면도이며, 도 7-(b)는 수평프레임의 다른실시예에 대한 우측면도이다.
제1 절곡형상 제3면(13)은 제1 절곡형상 제3a면(13a), 제1 절곡형상 제3b면(13b), 제1 절곡형상 제3c면(13c)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절곡형상 제3a면(13a)은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며, 제1 절곡형상 제2면(12)의 하면에서 전방으로 직각 절곡되어 연장형성된다. 그리고 제1 절곡형상 제3b면(13b)은 제1 절곡형상 제3a면(13a)의 전단에서 상방향으로 직각 절곡되어 연장형성된다. 또한, 제1 절곡형상 제3c면(13c)은 제1 절곡형상 제3면(13b)의 상면에서 전방으로 직각 절곡되어 제1 절곡형상 제4면(14)과 연결된다. 이러한 제1 절곡형상 제3a면(13a)에는 두 개의 돌기삽입홀(1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절곡형상 제3c면(13c)에는 하나의 돌기삽입홀(11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돌기 결합형 무용접 프레임 조립구조의 수직프레임의 일실시예이다.
도 8-(a)는 수직프레임의 일실시예에 대한 평면도이며, 도 8-(b)는 수직프레임의 일실시예에 대한 정면도이다.
수직프레임(200)의 제2 절곡형상(20)은 도 8-(a)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제2 절곡형상 제1면(21), 제2 절곡형상 제2면(22), 제2 절곡형상 제3면(23), 제2 절곡형상 제4면(24) 및 제2 절곡형상 제5면(2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2 절곡형상 제1면(21)은 전방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2 절곡형상 제2면(22)은 제2 절곡형상 제1면(21)의 전단에서 일측으로 직각 절곡되어 연장형성된다. 또한, 제2 절곡형상 제3면(23)은 제2 절곡형상 제2면(22)의 일단에서 후방으로 직각 절곡되어 연장형성된다. 그리고 제2 절곡형상 제4면(24)은 제2 절곡형상 제3면(23)의 후단에서 타측으로 직각 절곡되어 연장형성된다. 이어서 제2 절곡형상 제5면(25)은 제2 절곡형상 제4면(24)의 타단에서 전방으로 직각 절곡되어 연장형성되고, 제1 절곡형상 제1면(11)의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2 절곡형상 제1면(21)과 제2 절곡형상 제5면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절곡형상 제1면(21), 제2 절곡형상 제2면(22), 제2 절곡형상 제3면(23), 제2 절곡형상 제4면(24) 및 제2 절곡형상 제5면(25)으로 이루어진 제2 절곡형상은 수직프레임(200)의 형상을 나타낸다.
이때, 제2 절곡형상 제3면(23)에는 삽입공간(210), 하부안착면(220), 돌기(240), 측면삽입구(232), 측면삽입면(23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삽입공간(210)은 제2 절곡형상의 양단부 사이인 설정구간의 상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하부안착면(220)은 삽입공간(210)의 하부에 제1 절곡형상 제3면(13)의 하부면 표면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돌기(240)는 하부안착면(220)의 상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며, 수평프레임(100)의 돌기삽입홀(110)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측면삽입구(232)는 하부안착면(220)의 양측에 형성된다. 즉, 삽입공간(210)이 형성되는 양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부가 단차진 턱이 형성되어 측면삽입홈(120)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측면삽입면(231)은 제2 절곡형상 제1면(21)과 제2 절곡형상 제2면(22)을 이루는 영역과, 제2 절곡형상 제4면(24)과 제2 절곡형상 제5면(25)을 이루는 영역에 형성되어 수평프레임(100)의 타단부가 안착된다.
측면삽입홈(120)은 제1 절곡형상 제4면(14)의 후단과 제1 절곡형상 제5면(15)의 전단으로부터 제1 절곡형상 제3면(13)이 배치된 수직 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돌기삽입홀(110)은 제1 절곡형상 제3면(13)에 복수 개가 설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대응되도록 수직프레임(200)에 돌기(24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돌기 결합형 무용접 프레임 조립구조의 수직프레임의 다른실시예이다.
도 9-(a)는 수직프레임의 다른실시예에 대한 평면도이며, 도 9-(b)는 수직프레임의 다른실시예에 대한 정면도이다.
또한, 제2 절곡형상 제3면(23)은 제2 절곡형상 제3a면(23a), 제2 절곡형상 제3b면(23b), 제2 절곡형상 제3c면(23c)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2 절곡형상 제3a면(23a)은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며, 제2 절곡형상 제2면(22)의 일단에서 후방으로 직각 절곡되어 연장형성된다. 그리고 제2 절곡형상 제3b면(23b)은 제2 절곡형상 제3a면(23a)의 후단에서 일측으로 직각 절곡되어 연장형성된다. 이어서 제2 절곡형상 제3c면(23c)은 제2 절곡형상 제3b면(23b)의 일단에서 후방으로 직각 절곡되어 제2 절곡형상 제4면(24)과 연결된다. 이러한 제2 절곡형상 제3a면에는 한 개의 돌기(24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절곡형상 제3a면(13a)에 형성되는 돌기삽입홀(110)에 삽입되고, 제2 절곡형상 제3c면에는 두 개의 돌기(240)가 형성되어 제1 절곡형상 제3면(13)에 형성되는 돌기삽입홀(110)에 삽입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제1 조립구조 2 : 제2 조립구조
3 : 제3 조립구조 10 : 제1 절곡형상
11 : 제1 절곡형상 제1면 12 : 제1 절곡형상 제2면
13 : 제1 절곡형상 제3면 13a : 제1 절곡형상 제3a면
13b : 제1 절곡형상 제3b면 13c : 제1 절곡형상 제3c면
14 : 제1 절곡형상 제4면 15 : 제1 절곡형상 제5면
20 : 제2 절곡형상 21 : 제2 절곡형상 제1면
22 : 제2 절곡형상 제2면 23 : 제2 절곡형상 제3면
23a : 제2 절곡형상 제3a면 23b : 제2 절곡형상 제3b면
23c : 제2 절곡형상 제3c면 24 : 제2 절곡형상 제4면
25 : 제2 절곡형상 제5면 100 : 수평프레임
110 : 돌기삽입홀 120 : 측면삽입홈
200 : 수직프레임 210 : 삽입공간
220 : 하부안착면 230 : 측면삽입부
231 : 측면삽입면 232 : 측면삽입구
240 : 돌기

Claims (5)

  1. 수평하게 놓여지고, 제1 절곡형상(10)으로 이루어지며, 하부면에 돌기삽입홀(110)이 형성되는 수평프레임(100);과
    수직하게 세워지고, 제2 절곡형상(20)으로 이루어지며, 일측면 상단에 삽입공간(210)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간(210)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안착면(220)과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측면삽입부(230)가 갖추어지며, 상기 하부안착면(220)에 상방향으로 복수 개의 돌기(240)가 형성되는 수직프레임(200);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프레임(100)의 하부면이 상기 수직프레임(200)의 하부안착면(220)에 안착되는 제1 조립구조(1);
    상기 수평프레임(100)의 측면이 상기 측면삽입부(230)로 삽입되는 제2 조립구조(2); 및
    상기 제1 조립구조(1)와 상기 제2 조립구조(2)에 의해 상기 수평프레임(100)의 돌기삽입홀(110)에 상기 수직프레임(200)의 돌기(240)가 관통 삽입되며, 외부로 돌출된 상기 돌기(240)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 구부려져 고정되는 제3 조립구조(3);를 가지되,
    상기 제1 절곡형상(10)은,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며, 상단에 배치되는 제1 절곡형상 제1면(11);
    상기 제1 절곡형상 제1면(11)의 후단에서 하방향으로 직각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는 제1 절곡형상 제2면(12);
    상기 제1 절곡형상 제2면(12)의 하면에서 전방으로 직각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는 제1 절곡형상 제3면(13);
    상기 제1 절곡형상 제3면(13)의 전단에서 상방향으로 직각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는 제1 절곡형상 제4면(14); 및
    상기 제1 절곡형상 제4면(14)의 상면에서 후방으로 직각 절곡되어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1 절곡형상 제1면(11)의 설정높이에 배치되는 제1 절곡형상 제5면(15);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절곡형상(20)은,
    전방에 배치되는 제2 절곡형상 제1면(21);
    상기 제2 절곡형상 제1면(21)의 전단에서 일측으로 직각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는 제2 절곡형상 제2면(22);
    상기 제2 절곡형상 제2면(22)의 일단에서 후방으로 직각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는 제2 절곡형상 제3면(23);
    상기 제2 절곡형상 제3면(23)의 후단에서 타측으로 직각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는 제2 절곡형상 제4면(24); 및
    상기 제2 절곡형상 제4면(24)의 타단에서 전방으로 직각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는 제2 절곡형상 제5면(25);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프레임(100)은,
    상기 제1 절곡형상 제3면(13)의 전방에 수평으로 형성되고, 하나의 돌기삽입홀(110)을 가지는 전방 수평프레임(110a);
    상기 제1 절곡형상 제3면(13)의 후방에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방 수평프레임(110a)과 연결되되 상기 전방 수평프레임(110a)보다 하단에 위치되며, 두 개의 돌기삽입홀(110)을 가지는 후방 수평프레임(110b);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프레임(200)의 돌기(240)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제1 돌기(240a), 제2 돌기(240b), 제3 돌기(240c)가 구비되고,
    제3 조립구조(3)는,
    전방 수평프레임(110a)의 돌기삽입홀(110)에 상기 제1 돌기(240a)가 관통 삽입되며, 후방 수평프레임(110b)의 돌기삽입홀(110)에 상기 제2 돌기(240b) 및 제3 돌기(240c)가 관통 삽입되고, 상기 제2 돌기(240b)는 제1 돌기(240a) 및 제3 돌기(240c)는 일측 또는 타측으로 구부려지되 상기 제2 돌기(240b)는 제1 돌기(240a) 및 제3 돌기(240c)와 반대방향으로 구부려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 결합형 무용접 프레임 조립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곡형상 제3면(13)은,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 절곡형상 제2면(12)의 하면에서 전방으로 직각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는 제1 절곡형상 제3a면(13a);
    상기 제1 절곡형상 제3a면(13a)의 전단에서 상방향으로 직각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는 제1 절곡형상 제3b면(13b); 및
    상기 제1 절곡형상 제3b면(13b)의 상면에서 전방으로 직각 절곡되어 상기 제1절곡형상 제4면(14)과 연결되는 제1 절곡형상 제3c면(13c);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절곡형상 제3면(23)은,
    상기 제2 절곡형상 제2면(22)의 일단에서 후방으로 직각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는 제2 절곡형상 제3a면(23a);
    상기 제2 절곡형상 제3a면(23a)의 후단에서 일측으로 직각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는 제2 절곡형상 제3b면(23b); 및
    상기 제2 절곡형상 제3b면(23b)의 일단에서 후방으로 직각 절곡되어 상기 제2절곡형상 제4면(24)과 연결되는 제2 절곡형상 제3c면(23c);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 결합형 무용접 프레임 조립구조.
  4. 삭제
  5. 삭제
KR1020180169567A 2018-12-26 2018-12-26 돌기 결합형 무용접 프레임 조립구조 KR102133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567A KR102133582B1 (ko) 2018-12-26 2018-12-26 돌기 결합형 무용접 프레임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567A KR102133582B1 (ko) 2018-12-26 2018-12-26 돌기 결합형 무용접 프레임 조립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9892A KR20200079892A (ko) 2020-07-06
KR102133582B1 true KR102133582B1 (ko) 2020-07-13

Family

ID=71570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9567A KR102133582B1 (ko) 2018-12-26 2018-12-26 돌기 결합형 무용접 프레임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35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2220A (ko) 2021-07-15 2023-01-26 주식회사 동서스텐 코너부분 무용접을 통한 금속판재의 제작방법 및 제작물품
KR102583539B1 (ko) 2023-04-26 2023-10-10 최철빈 금속박판 레이저 커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1739B1 (ko) * 2021-07-01 2023-05-11 김중길 구조보강프레임이 내장된 방화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4497Y1 (ko) * 1996-01-23 1999-02-18 오수호 문용 조립식 프레임
JPH09228738A (ja) * 1996-02-21 1997-09-02 Steelcraft Manufacturing Co 金属製ドア枠
US6779630B2 (en) 2000-10-10 2004-08-24 Gary E. Choate Rebar stanchion horizontal lifeline fall arrest system
KR20090050778A (ko) 2007-11-16 2009-05-20 박정진 철골부재 무용접 조립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2220A (ko) 2021-07-15 2023-01-26 주식회사 동서스텐 코너부분 무용접을 통한 금속판재의 제작방법 및 제작물품
KR102583539B1 (ko) 2023-04-26 2023-10-10 최철빈 금속박판 레이저 커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9892A (ko) 2020-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3582B1 (ko) 돌기 결합형 무용접 프레임 조립구조
KR101134180B1 (ko) 피벗힌지 결합을 위한 보강재 및 용접이 필요 없는 방화문 및 그 제조방법
KR102101849B1 (ko) 끼움식 무용접 프레임 조립구조
KR20190005815A (ko) 무볼트 조립식 선반용 연결프레임 및 이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는 무볼트 조립식 선반
KR102577639B1 (ko) 석재 고정용 브라켓
KR20160121235A (ko) 스틸 커튼월의 결합구조물
KR101849919B1 (ko) 방화문 보강 구조물
CN205348477U (zh) 一种钢铝结合幕墙立柱形式
CN208135715U (zh) 用于自动扶梯的侧覆板安装装置
JP2021055465A (ja) 水平構面補強プレートおよび水平構面補強構造
CN212506942U (zh) 一种玻璃幕墙天棚组合结构
KR101734087B1 (ko) 비정형 조립식 트러스 지붕 구조물 시스템
JP2560455Y2 (ja) 枠体の連結構造
JP5953611B2 (ja) 鋼板製枠体
JPS6332318Y2 (ko)
KR0127437Y1 (ko) 창틀용 코너연결구
KR20130143329A (ko) 방화문 프레임
JP3755088B2 (ja) 鋼板ブロック工法及び同工法の実施に使用する間隔調整機構を備えた鋼板ブロック
JP5984664B2 (ja) 柱接続構造
JPH04198547A (ja) パネル構成の外壁
KR100395372B1 (ko) 샤시의 조립구조
KR101663276B1 (ko) 구조물의 프레임 연결구조
KR20170070590A (ko) 선조립 기둥 설치용 주각부
KR200151813Y1 (ko) 전동차의 측벽 구조
JP2002235372A (ja) バルコニーの外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