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7639B1 - 석재 고정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석재 고정용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7639B1
KR102577639B1 KR1020200177175A KR20200177175A KR102577639B1 KR 102577639 B1 KR102577639 B1 KR 102577639B1 KR 1020200177175 A KR1020200177175 A KR 1020200177175A KR 20200177175 A KR20200177175 A KR 20200177175A KR 102577639 B1 KR102577639 B1 KR 102577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rod body
support plate
plat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7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6929A (ko
Inventor
김기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석재
김기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석재, 김기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석재
Priority to KR1020200177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7639B1/ko
Publication of KR20220086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6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5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 E04F13/085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adjustable in several directions, one of which is perpendicular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4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ngaging holes or grooves in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재 고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석재 고정용 브라켓은 건물의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벽면의 전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좌우 양단에 형성되는 한쌍의 가드레일부를 포함하는 앵글부재와, 상기 한쌍의 가드레일부에 삽입되어 전후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지지판의 상면에 설치되는 조정판재와, 상기 조정판재의 전단부에 수직으로 구비되며, 석재의 인서트홀에 삽입되어 석재를 고정하는 석재결합봉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석재 고정용 브라켓 {Fixing bracket for stone}
본 발명은 벽면에 시공되는 석재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석재 고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건축기술이 발전되고 건축물에 대한 미감이 중요시되면서 건축물의 벽체에는 외관의 미려함을 제공하는 외장재로서 천연석 또는 인조석의 건축용 석재가 널리 시공되고 있다.
이러한 건축용 석재는 일반적으로 벽체에 설치되는 석재 고정용 브라켓에 의해 지지 고정됨으로써 벽체에 가로와 세로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되도록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석재 고정을 위한 종래의 브라켓은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서 수평하게 절곡된 지지판에 의해 L 자형태를 갖는 앵글부재와, 상기 앵글부재의 지지판 상부에 설치되는 조정판재와, 상기 조정판재의 전단부에 구비되면서 석재에 끼워져 석재를 고정하는 석재결합봉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앵글부재의 고정판과 지지판에는 각각 수직장공과 수평장공이 형성되어 앵글부재의 높이를 조정하거나 조정판재의 전후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석재 고정용 브라켓은 조정판재가 지지판 위에 단순히 안착된 상태에서 위치가 조정되고, 위치조정된 상태에서 체결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조정판재가 좌우로 흔들릴 수 있어 위치조정 작업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체결안전성 또한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석재의 인서트홀에 석재결합봉을 끼워 석재를 고정하게 되는데, 석재의 인서트홀에 석재결합봉을 끼우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끼움작업이 쉽도록 인서트홀을 크게 하는 경우 끼워진 석재결합봉과 인서트홀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면서 견고한 고정력을 제공하지 못함과 함께 고정된 석재의 유동이 발생될 수 있어 시공품질 및 안전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251100호 : 석재 고정용 브라켓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석재의 위치조정 및 설치작업을 보다 쉽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석재 고정용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석재의 고정작업이 쉬우면서 고정력은 향상시킬 수 있는 석재 고정용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
건물의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벽면의 전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좌우 양단에 형성되는 한쌍의 가드레일부를 포함하는 앵글부재와, 상기 한쌍의 가드레일부에 삽입되어 전후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지지판의 상면에 설치되는 조정판재와, 상기 조정판재의 전단부에 수직으로 구비되며, 석재의 인서트홀에 삽입되어 석재를 고정하는 석재결합봉을 포함하고, 상기 석재결합봉은, 상기 인서트홀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일정 간극이 형성되도록 인서트홀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을 갖는 봉몸체와, 상기 봉몸체의 상단 중심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며, 봉몸체가 인서트홀에 삽입되면 인서트홀의 내부 끝단에 눌려짐으로써 봉몸체 내부로 진입되는 가압핀과, 상기 봉몸체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봉몸체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가압핀이 봉몸체 내부로 진입되면 가압핀에 의해 가압되어 봉몸체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됨으로써 인서트홀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복수의 밀착편을 포함하는, 석재 고정용 브라켓이 개시된다.
여기서, 상기 석재결합봉의 후방쪽 조정판재에 구비되며, 석재결합봉에 고정되는 석재의 후면에 밀착됨으로써 석재를 후방쪽에서 지지하는 후방지지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쌍의 가드레일부는 지지판의 좌우 양단에서 상측으로 절곡되는 수직절곡부와, 상기 수직절곡부에서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수평하게 절곡되는 수평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판재는 한쌍으로 이루어지며, 상호간에 상하 대칭을 이루어 상기 한쌍의 가드레일부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복수의 밀착편은 봉몸체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호간에 90도 각도간격으로 봉몸체에 삽입되는 4쌍으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밀착편 각각의 내측에는 상하 폭이 점진적으로 축소되는 피가압단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핀의 하부에는 피가압단에 대응하여 직경이 점진적으로 축소되는 리듀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석재 고정용 브라켓에 의하면,
조정판재가 가드레일부에 삽입 지지된 상태에서 전후 위치조정이 이루어지므로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쉽게 위치조정 및 볼트체결의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석재와의 결합이 쉬우면서 석재를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위와 같은 작업의 편의성을 통해 석재의 시공성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명시한 효과 이외에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되고 기대될 수 있는 특유한 효과 또한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될 수 있음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석재 고정용 브라켓을 조정판재가 분리된 상태에서 일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석재 고정용 브라켓을 조정판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일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석재결합봉을 일 예시한 도면,
도 4는 석재결합봉의 단면구성 및 작용을 평면쪽에서 일 예시한 도면,
도 5와 도 6은 석재결합봉에 석재가 끼워져 고정되는 작용을 각각 일 예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석재 고정용 브라켓의 시공예를 일 예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석재 고정용 브라켓을 조정판재가 분리된 상태에서 일 예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석재 고정용 브라켓을 조정판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일 예시한 도면,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석재 고정용 브라켓의 시공과정을 각각 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석재 고정용 브라켓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크기, 갯수, 요소간의 간격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축소되거나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으며, 특별하게 제한하지 않는 한 도면에 예시된 사항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만일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구비되어”, “형성되어”, “설치되어”, “결합되어”, “고정되어”, “연결되어” 있다고 기재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구비, 형성, 설치, 결합,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전, 후, 좌, 우, 상, 하 등과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들은, 도면에 도시되고 관측되는 방향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었을 뿐, 도시되고 관측되는 방향이 달라지면 이 같은 용어들 역시 달라질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석재 고정용 브라켓이 일 예시되어 있다.
먼저, 도 1 내지 도 2에 일 예시되어 있는 것처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석재 고정용 브라켓은 앵글부재(100)와, 조정판재(200)와, 석재결합봉(300)과, 후방지지판(4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앵글부재(100)는 건물의 벽면(W)에 고정 설치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앵글부재(100)는 고정판(110)과, 지지판(120)과, 가드레일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110)은 벽면(W)에 설치된 앵커볼트(aB)에 의해 고정되며, 이를 위해 고정판(110)에는 앵커볼트(aB)가 끼워지는 앵커볼트공(111)이 좌우 중간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앵커볼트공(111)은 앵커볼트(aB)에 대한 고정판(110)의 상대적인 수직위치를 조정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수직장공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120)은 고정판(110)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벽면의 전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된다.
상기 도면들에는 지지판(120)이 고정판(110)의 하단에서 전방을 향해 수직으로 절곡되는 형태가 일 예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고정판(110)의 상단에서 전방향을 향해 수직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이러한 지지판(120)에는 조정판재(200)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볼트(cB)가 끼워지는 체결볼트공(121)이 좌우 중간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체결볼트공(121)은 지지판(120)에 대한 조정판재(200)의 상대적인 전후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수평장공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드레일부(130)는 지지판(120)의 좌우 양단에 한쌍을 이루어 좌우 대칭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드레일부(130)는 지지판(120)의 좌우 양단에서 상방으로 수직하게 절곡되는 수직절곡부(131)와, 상기 수직절곡부(131)의 상단에서 상호간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수평하게 절곡되는 수평절곡부(13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가드레일부(130)는 지지판(120)의 좌우 양단에서 2회 절곡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지지판(12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수평절곡부(132)의 저면과 지지판(120)의 상면 사이의 이격간격은 삽입되는 조정판재(200)의 두께에 대응될 수 있다.
이러한 가드레일부(130)에는 후술하는 조정판재(200)가 삽입되어 지지되며, 조정판재(200)는 가드레일부(130)에 지지된 상태에서 가드레일부(130)를 따라 지지판(120)의 상면에서 전후 이동이 이루어짐으로써 좌우로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전후 위치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가드레일부(130)는 또한 절곡된 형태를 가짐으로써 지지판(120)의 강도를 증강시키는 기능까지 수행하게 되며, 따라서 앵글부재(100) 전체의 강도증강을 위하여 가드레일부(130)는 지지판(120) 뿐만 아니라 고정판(110)의 좌우 양단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조정판재(200)는 앵글부재(100)에 결합되면서 석재(P)를 지지하는 부분이다.
조정판재(200)는 가드레일부(130)에 삽입되어 지지판(120)의 상면에 안착 지지되며, 따라서 조정판재(200)는 가드레일부(130)에 삽입 가능한 좌우 폭과 두께를 갖는다.
조정판재(200)에는 지지판(120)의 체결볼트공(121)에 대응하여 체결볼트(cB)가 관통될 수 있는 체결볼트홀(201)이 좌우 중간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조정판재(200)는 가드레일부(130)를 따라 안정적으로 전후 이동되면서 벽면(W)과의 이격거리가 조정될 수 있으며, 위치가 조정된 상태에서 체결볼트(cB)의 체결에 의해 지지판(120)에 결합됨으로써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석재결합봉(300)은 조정판재(200)의 전단부에 수직으로 구비되며, 석재(P)의 인서트홀(p1)에 끼워져 석재(P)를 고정하는 부분이다.
석재결합봉(300)은 조정판재(200)의 전단부 상단과 하단 양쪽에 수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석재결합봉(300)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 3 내지 도 6에 일 예시되어 있는 바, 상기 도면들에 예시된 것처럼, 석재결합봉(300)은 봉몸체(310)와, 가압핀(320)과, 밀착편(3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봉몸체(310)는 조정판재(200)로부터 수직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며, 석재(P)의 인서트홀(p1)에 삽입될 수 있다.
봉몸체(310)는 석재(P)의 인서트홀(p1)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을 가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봉몸체(310)의 외주면과 인서트홀(p1)의 내주면 사이에는 일정한 여유 간극이 형성됨으로써 석재결합봉(300)에 석재(P)의 인서트홀(p1)이 보다 쉽게 끼워질 수 있다.
봉몸체(310)의 중심부에는 수직으로 핀통로(311)가 형성되고, 상단에는 핀통로(311)와 연통되면서 하방으로 일정깊이 요입된 핀안착부(31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봉몸체(310)에는 핀통로(311)와 연통되면서 후술할 복수의 밀착편(330)이 출입 가능하게 삽입되는 복수의 오프닝부(313)가 핀통로(311)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핀(320)은 봉몸체(310)의 상단 중심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가압핀(320)은 상부가 봉몸체(310)의 상단으로부터 일정높이 돌출되면서 나머지 부분은 핀통로(311)에 삽입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가압핀(320)은 하부에 직경이 점진적으로 축소되는 리듀서부(321)가 형성될 수 있으며, 핀안착부(312)에 설치된 핀스프링(322)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가압핀(320)은 봉몸체(310)가 석재(P)의 인서트홀(p1)에 삽입되면, 인서트홀(p1)의 내부 끝단에 눌려짐으로써 핀통로(311)를 따라 봉몸체(310) 내부로 진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밀착편(330)은 오프닝부(313)에 삽입되어 봉몸체(310)에 설치될 수 있다.
밀착편(330)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는데, 봉몸체(310)의 중심부, 즉 핀통로(311)를 기준으로 하여 180도 간격으로 2개, 120도 간격으로 3개, 90도 간격으로 4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4에는 90도 간격으로 배치된 4개의 밀착편(33)이 일 예로서 예시되어 있다.
밀착편(330)은 좌우 측면이 봉몸체(310)의 중심부를 향해 수렴하는 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밀착편(330)의 내측에는 핀통로(311)로 돌출되면서 가압핀(320)의 진입시 상호간에 방사상으로 이격되도록 가압을 받는 피가압단(3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가압단(331)은 가입핀(320)의 리듀서부(321)에 대응하여 상하방향의 폭이 점진적으로 축소되면서 끝단은 원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밀착편(330) 각각의 피가압단(331) 끝단은 상호간에 90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가상의 원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때 피가압단(331)이 형성하는 가상의 원은 가압핀(320)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다.
이러한 복수의 밀착편(330)은, 도 4의 (a)에 예시된 것처럼, 각각의 외측면이 봉몸체(31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삽입 설치된 상태에서 가압핀(320)이 봉몸체(310) 내부로 진입되면, 도 4의 (b)에 예시된 것처럼, 가압핀(320)에 의하여 피가압단(331)이 가압을 받음으로써 봉몸체(310)로부터 측방으로 돌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밀착편(330)은 봉몸체(3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좌우 측면에 탄성재질의 오링(332)이 구비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오프닝부(313)에는 오링(332)이 탄성적으로 걸릴 수 있는 오링홈(31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석재결합봉(300)은, 도 5에 일 예시된 것처럼, 석재(P)의 인서트홀(p1)에 삽입되는 단계에서는 복수의 밀착편(330)이 봉몸체(310)로부터 돌출되지 않게 삽입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인서트홀(p1)에 쉽게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삽입이 완료되는 단계에서는, 도 6에 일 예시된 것처럼 가압핀(320)이 인서트홀(p1)의 내부 끝단에 눌려 봉몸체(310) 내부로 진입이 이루어지면서 복수의 밀착편(330)을 가압하게 되고, 그에 따라 복수의 밀착편(330)이 봉몸체(310)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면서 인서트홀(p1)의 내주면에 강하게 밀착됨으로써 석재(P)에 견고한 고정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후방지지판(400)은 석재결합봉(300)의 후방쪽 조정판재(200)에 구비될 수 있다.
후방지지판(400)은 석재결합봉(300)으로부터 일정간격 후방쪽으로 이격되어 조정판재(20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수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방지지판(400)은 석재결합봉(300)에 끼워져 고정된 석재(P)의 후면에 밀착됨으로써 석재(P)를 후방쪽에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후방지지판(400)은 석재결합봉(300)에 석재(P)의 인서트홀(p1)이 삽입될 때, 석재(P)의 삽입 위치를 가이드하여 보다 쉽게 삽입이 이루어지게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석재 고정용 브라켓의 설치 예가 도 7에 일 예시되어 있는 바, 이를 참조하여 그 설치방법을 간략하게 살펴본다.
먼저, 벽면(W)에 고정 설치된 앵커볼트(aB)에 고정판(110)의 앵커볼트공(111)이 관통되도록 고정판(110)을 벽면(W)에 밀착시킨다.
그리고, 고정판(110)의 수직위치를 조정한 후 앵커볼트(aB)에 와셔 및 너트를 체결하여 앵글부재(100)를 벽면(W)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한다.
이렇게 앵글부재(100)가 설치되면, 이어서 조정판재(200)를 앵글부재(100)의 가드레일부(130)로 삽입시켜 조정판재(200)를 앵글부재(100)의 지지판(120) 상면에 지지되게 한다.
그리고, 조정판재(200)를 전후로 움직여 전후 위치를 조정한 후 체결볼트(cB)를 체결하여 조정판재(200)를 앵글부재(100)에 결합시킨다.
이 때, 조정판재(200)는 한쌍의 가드레일부(130)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드레일부(130)를 따라 전후 이동만 가능하므로 좌우 유동의 발생없이 위치조정 및 체결볼트(cB)의 체결작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조정판재(200)의 전단부에 구비된 석재결합봉(300)에 석재(P)의 인서트홀(p1)을 끼워 석재(P)를 고정시키면 석재(P)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 때, 설치된 석재(P)는 봉몸체(310)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밀착편(330)에 의하여 석재결합봉(300)과 고정이 이루어지게 됨과 함께 후측면은 후방지지판(400)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한 고정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8 내지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석재 고정용 브라켓이 일 예시되어 있다.
이하에서 제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면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8 내지 도 9에 일 예시되어 있는 것처럼, 제2 실시예에 따른 석재 고정용 브라켓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대부분의 구성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되, 조정판재(200)가 한쌍으로 이루어지면서 상호 간에 상하 대칭을 이루어 지지판(120)에 설치되는 차이점이 있다.
즉, 제2 실시예에서는 조정판재(200) 한쌍이 가드레일부(130)에 삽입되어 지지판(120)에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가드레일부(130)의 상하방향 폭, 즉 수평절곡부(132)의 저면과 지지판(120)의 상면 사이의 이격간격은 조정판재(200) 두께의 2배에 대응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일 예로 조정판재(20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조정판재에 대비하여 두께가 1/2일 수 있다.
또는, 다른 예로 가드레일부(130)의 상하방향 폭이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가드레일부에 대비하여 2배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상하로 배치되는 석재(P) 사이의 간격이 너무 넓어질 수 있으므로 석재(P) 각각의 상하단에 간격을 좁혀주기 위한 돌출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조정판재(200)의 상면과 하면에 한쌍으로 각각 구비되는 제1 실시예와 달리, 석재결합봉(300) 및 후방지지판(400)은 조정판재(200)의 일측면에만 구비된다. 즉, 조정판재(200)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한쪽에만 수직으로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석재 고정용 브라켓의 설치 예가 도 10 내지 도 12에 일 예시되어 있는 바, 이를 참조하여 그 설치방법을 간략하게 살펴본다.
먼저, 벽면(W)에 고정 설치된 앵커볼트(aB)에 고정판(110)의 앵커볼트공(111)이 관통되도록 고정판(110)을 벽면(W)에 밀착시킨다.
그리고, 고정판(110)의 수직위치를 조정한 후 앵커볼트(aB)에 와셔 및 너트를 체결하여 앵글부재(100)를 벽면(W)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한다.
이렇게 앵글부재(100)가 설치되면, 이어서 석재(P)의 상단과 하단의 인서트홀(p1)에 각각 석재결합봉(300)을 끼워 석재(P)의 상하단에 조정판재(200) 한쌍을 결합시킨다.
이 때, 한쌍의 조정판재(200)는 동일한 것으로서 석재(P)의 상단에는 석재결합봉(300)이 하방을 향하도록 반대로 뒤집어서 결합시켜 주면 된다.
그런 다음, 도 10에 예시된 것과 같이 석재(P)가 결합된 상태의 조정판재(200) 한쌍을 벽면(W)의 하측과 상측에 고정된 앵글부재(100) 한쌍의 가드레일부(130)에 각각 끼워 지지시킨다.
이렇게 되면, 도 11에 예시된 것과 같이, 하측 앵글부재(100)의 가드레일부(130)에는 또다른 하측 석재(P) 상단에 고정된 조정판재(200)와 상측 석재(P) 하단에 고정된 조정판재(200)가 한쌍을 이루어 지지된 상태가 되며, 이 상태에서 한쌍의 조정판재(200) 전후위치를 맞추어 준 후 체결볼트(cB)를 체결하여 고정시켜 준다.
이어서 상측 앵글부재(100)의 가드레일부(130)에도 또다른 석재(P)가 결합된 상태의 조정판재(200) 한쌍을 삽입시켜 지지시켜 준 후, 상측 앵글부재(100)에 지지된 한쌍의 조정판재(200) 전후위치를 맞추어 준 후 체결볼트(cB)를 체결하여 고정시켜 주면, 도 12에 일 예시된 것과 같이 석재(P)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러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경우, 조정판재 한쌍이, 즉 하측 석재(P)의 상단에 결합된 조정판재(200)와 상측 석재(P)의 하단에 결합된 조정판재(200)가 한쌍을 이루어 하나의 앵글부재(100)에 지지되어 고정되는 것이며, 따라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석재의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면서도 제1 실시예에 비하여 설치공정이 더욱 간편하고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0: 앵글부재 110: 고정판
120: 지지판 130: 가드레일부
200: 조정판재 300: 석재결합봉
310: 봉몸체 311: 핀통로
313: 오프닝부 320: 가압핀
321: 리듀서부 330: 밀착편
331: 피가압단

Claims (5)

  1. 건물의 벽면(W)에 고정되는 고정판(110)과, 상기 고정판(110)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벽면(W)의 전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지지판(120)과, 상기 지지판(120)의 좌우 양단에 형성되는 한쌍의 가드레일부(130)를 포함하는 앵글부재(100)와;
    상기 한쌍의 가드레일부(130)에 삽입되어 전후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지지판(120)에 설치되는 조정판재(200)와;
    상기 조정판재(200)의 전단부에 수직으로 구비되며, 석재(P)의 인서트홀(p1)에 삽입되어 석재(P)를 고정하는 석재결합봉(300);을 포함하고,
    상기 석재결합봉(300)은,
    상기 인서트홀(p1)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일정 간극이 형성되도록 인서트홀(p1)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을 갖는 봉몸체(310)와;
    상기 봉몸체(310)의 상단 중심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며, 봉몸체(310)가 인서트홀(p1)에 삽입되면 인서트홀(p1)의 내부 끝단에 눌려짐으로써 봉몸체(310) 내부로 진입되는 가압핀(320)과;
    상기 봉몸체(310)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봉몸체(310)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가압핀(320)이 봉몸체(310) 내부로 진입되면 가압핀(320)에 의해 가압되어 봉몸체(310)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됨으로써 인서트홀(p1)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복수의 밀착편(330);을 포함하는, 석재 고정용 브라켓.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석재결합봉(300)의 후방쪽 조정판재(200)에 구비되며, 석재결합봉(300)에 고정되는 석재(P)의 후면에 밀착됨으로써 석재(P)를 후방쪽에서 지지하는 후방지지판(400);을 더 포함하는, 석재 고정용 브라켓.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가드레일부(130)는 지지판(120)의 좌우 양단에서 상측으로 절곡되는 수직절곡부(131)와, 상기 수직절곡부(131)에서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수평하게 절곡되는 수평절곡부(132)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판재(200)는 한쌍으로 이루어지며, 상호간에 상하 대칭을 이루어 상기 한쌍의 가드레일부(130)에 삽입 설치되는, 석재 고정용 브라켓.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밀착편(330)은 봉몸체(31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호간에 90도 간격으로 봉몸체(310)에 삽입되는 4쌍으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밀착편(300) 각각의 내측에는 상하 폭이 점진적으로 축소되는 피가압단(331)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핀(320)의 하부에는 피가압단(331)에 대응하여 직경이 점진적으로 축소되는 리듀서부(321)가 형성되는, 석재 고정용 브라켓.
KR1020200177175A 2020-12-17 2020-12-17 석재 고정용 브라켓 KR102577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175A KR102577639B1 (ko) 2020-12-17 2020-12-17 석재 고정용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175A KR102577639B1 (ko) 2020-12-17 2020-12-17 석재 고정용 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929A KR20220086929A (ko) 2022-06-24
KR102577639B1 true KR102577639B1 (ko) 2023-09-12

Family

ID=82215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175A KR102577639B1 (ko) 2020-12-17 2020-12-17 석재 고정용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76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986B1 (ko) * 2023-01-20 2023-10-24 광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무게중심 조정 기능을 갖는 인양 브라켓을 구비한 수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695B1 (ko) * 2018-01-29 2018-06-21 (주)한국환경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석재 고정장치
KR102122685B1 (ko) * 2019-10-30 2020-06-12 우정기 건물벽 마감재 고정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100Y1 (ko) 2001-07-03 2001-11-16 주식회사 정원금속 석재 고정용 브라켓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695B1 (ko) * 2018-01-29 2018-06-21 (주)한국환경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석재 고정장치
KR102122685B1 (ko) * 2019-10-30 2020-06-12 우정기 건물벽 마감재 고정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929A (ko) 2022-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01615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固定用可変型ファスナー
JP2014147288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取付構造、太陽電池装置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取付方法
KR102044345B1 (ko) 하중분산형 방음벽 및 이의 방음패널 교체방법
CN110670784B (zh) 稳装型吊顶结构
KR102122685B1 (ko) 건물벽 마감재 고정조립체
KR102577639B1 (ko) 석재 고정용 브라켓
KR20090017280A (ko) 건축물 외장패널의 오픈 조인트 조립체
KR102133582B1 (ko) 돌기 결합형 무용접 프레임 조립구조
KR101479062B1 (ko) 철골조 구조물용 커튼월 설치 구조물
JP2008095311A (ja) フェンス用継手
KR102393461B1 (ko) 건축용 석재마감판 고정장치
KR101868944B1 (ko) 건물 외벽 마감용 마감패널 고정장치
KR200284032Y1 (ko) 줄눈크기조정이 가능한 건축외장재 고정장치
KR102194738B1 (ko) 건축 판넬용 고정 브라켓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220053111A (ko) 외장재 지지 구조체
KR20150088125A (ko) 힌지형 대각부재를 이용한 건축물 개구부 보강 구조물
JP2007138506A (ja) 木造建築物における接合緊締構造とその接合緊締用金具および柱・梁接合構造用金具
JP2007247220A (ja) Alc壁パネルの取付構造
KR101616229B1 (ko) 조립식 난간
KR200294360Y1 (ko) 건축용 마감석재 고정장치
KR200273593Y1 (ko) 건축외장재 고정장치
KR102098059B1 (ko) 목재 펜스용 브라켓
KR200489894Y1 (ko) 커튼월 고정장치
KR200491999Y1 (ko) 발코니 안전 난간대 결합구조
KR102097088B1 (ko) 설치가 용이한 교량의 내진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