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3250B1 - 회전식 메뉴 선택기능을 갖는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회전식 메뉴 선택기능을 갖는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3250B1
KR102133250B1 KR1020190014553A KR20190014553A KR102133250B1 KR 102133250 B1 KR102133250 B1 KR 102133250B1 KR 1020190014553 A KR1020190014553 A KR 1020190014553A KR 20190014553 A KR20190014553 A KR 20190014553A KR 102133250 B1 KR102133250 B1 KR 102133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menu
knob
clockwise
counterclockw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4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명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90014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32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for accepting orders, advertisement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17Toothed whee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식 메뉴 선택기능을 갖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면 판넬이 구비된 본체의 내부에 제어부가 구비된 형태를 갖고 표면 실장부품이 위치하는 인쇄회로기판(PCB) 상에 노즐을 통해 정해진 양의 액제를 자동으로 배출시켜 주는 디스펜서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판넬의 일측에 각종 메뉴의 선택 또는 수치의 입력을 회전겸 푸쉬 형태로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 메뉴 및 수치 선택 및 입력 중 시작 또는 종료 시점을 벗어날 때 솔레노이드와 레치 및 톱니형 기어를 이용하여 자동 제동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메뉴선택 및 수치 입력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전면 판넬의 중앙에는 터치 조작형 디스플레이를 설치하며, 상기 전면 판넬의 타측에는 각종 작동상태 표시등과 전원 스위치 및 액제 공급 파이프 연결구를 설치하여, 운용자가 상기 메뉴선택 및 수치 입력장치의 노브를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원하는 메뉴 및 수치를 선택한 다음 노브를 푸쉬하여 텍트 스위치를 조작할 경우, 제어부에서 이를 인식하고 운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뉴 및 수치에 대응하여 액제의 배출압력 및 노즐의 개폐량을 자동 제어하여 운용자가 원하는 량의 액제를 자동 배출시켜 줌은 물론 메뉴 선택 내용을 포함한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비숙련 운용자도 하나의 메뉴선택 및 수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간편하고 정확하게 원하는 메뉴 및 수치를 선택 및 입력할 수 있고, 메뉴선택 및 수치 입력장치의 오조작에 따른 오선택 및 오입력 확률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어 디스펜서 자체의 기능에 따른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전기, 전자제품의 생산 수율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으며, 또한 불필요한 경제적/시간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어 디스펜서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전기, 전자제품의 생산원가 자체를 대폭 줄일 수 있고, 더욱이 디스펜서의 외관상 미려함을 증대시킬 수 있어 디스펜서 자체의 상품성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식 메뉴 선택기능을 갖는 디스펜서{Dispenser with rotary menu selection}
본 발명은 회전식 메뉴 선택기능을 갖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펜서의 전면부에 빼곡하게 설치되던 복수의 푸쉬 버튼형 메뉴 선택버튼과 수치 입력버튼 대신 자동 제동기능을 구비한 하나의 회전겸 푸쉬 조작형 메뉴선택 및 수치 입력장치와 터치 조작형 디스플레이를 설치하여, 비숙련 운용자도 메뉴 및 수치를 간편하게 선택 및 입력할 수 있고, 오조작 또는 오선택 및 오입력 확률을 대폭 감소시켜 디스펜서 자체의 기능에 따른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전기, 전자제품의 생산 수율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으며, 또 불필요한 경제적/시간적 손실을 방지하여 디스펜서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전기, 전자제품의 생산원가 자체를 대폭 줄일 수 있고, 또한 디스펜서의 외관상 미려함을 증대시켜 디스펜서 자체의 상품성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회전식 메뉴 선택기능을 갖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전기, 전자제품의 소형화 추세에 부응하여 전자제품의 소형화, 고밀도화, 다양화되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전기, 전자제품에 적용되는 인쇄회로기판(PCB)의 조립생산에 적용되는 기수로서 표면 실장기술이 상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표면 실장에 있어 표면 실장부품이 위치하는 PCB 상에는 디스펜싱(Dispensing) 공정에 의하여 접착제를 도포하여 주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또한, 휴대폰의 카메라모듈 하우징 등과 같은 실장부품 등에도 디스펜싱 공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디스펜싱 공정을 실행하기 위한 디스펜서는 헤드가 X축-Y축으로 각각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로봇유닛(Robot unit)에 장착된 상태에서 디스펜싱을 위해 X축-Y축 이동 → Z축 하강 → 노즐에 의한 디스펜싱 → Z축 상승의 반복적인 작동에 의하여 접착제를 토출하는 방식으로 디스펜싱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디스펜서는 로봇유닛에 유선 케이블을 이용하여 티칭 펜던트를 접속시킨 후 상기 로봇유닛의 제어부에 저장되어 있는 메인 프로그램을 상기 티칭 펜던트로 불러 들여와 제품에 따라 일부 수정을 하여 상기 디스펜서를 작동시킨다.
또한, 디스펜서에는 사용하고자 하는 액제에 대한 메뉴의 선택을 위해 각 메뉴에 맞는 복수의 메뉴 선택버튼이 필요하고, 이와 더불어 해당 액제의 점도를 감안한 압력이나 시간 등에 대한 세팅 값 수치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0~9까지 직접 입력할 수 있는 숫자 입력 버튼이 필요하며, 이와 같은 메뉴 선택버튼들과 숫자 입력 버튼들은 조작의 편리성 등을 위해 디스펜서의 전면 판넬에 배치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액제들에 대한 메뉴의 종류는 수십 개가 됨에도 불구하고 종래 대부분의 디스펜서에서는 상기한 수십 개의 메뉴 선택버튼과 더불어 숫자 입력 버튼까지 푸쉬 버튼을 채택하고 있어 디스펜서의 전면 판넬 대부분을 푸쉬 버튼들이 차지하고 있어 미관상 미려하지 못함은 물론 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조작하기에도 매우 힘든 실정이다.
또한, 디스팬서의 전면 판넬은 그 면적에 한계가 있어 각각의 메뉴 선택버튼에 대한 메뉴 명칭을 자세히 표현하지 못하고, 간략한 명칭만을 나타낼 수밖에 없기 때문에 디스펜서의 운용자가 제품 상용 설명서를 완벽히 숙지하지 않고서는 각각의 메뉴 선택버튼 주변에 기입된 명칭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명확히 알 수 없어 숙련되지 않은 디스펜서 운용자의 경우 메뉴 선택시 많은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오조작할 확률이 높고, 특히 오조작시 생산품의 불량 효율이 높아(즉, 제품의 생산 수율이 낮아) 제품의 생산원가가 상승하게 됨은 물론 불필요한 경제적 시간적 손실로 이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10-1836051호(2018년 02월 28일) 국내 등록특허공보 10-1845675호(2018년 03월 29일)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디스펜서의 전면부에 빼곡하게 설치되던 복수의 푸쉬 버튼형 메뉴 선택버튼과 수치 입력버튼을 배제하는 대신 제동기능을 구비하고 메뉴 또는 수치를 회전겸 푸쉬 형태로 조작하여 선택 또는 입력할 수 있는 하나의 메뉴선택 및 수치 입력장치와 터치 조작형 디스플레이를 설치하여, 숙련되지 않은 디스펜서 운용자라도 디스플레이에 나타나는 메뉴 등을 확인하며 메뉴선택 및 수치 입력장치의 노브를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다이얼식으로 회전하며 원하는 메뉴 및 수치 등을 선택한 다음 노브를 푸쉬하는 방식을 통해 선택한 메뉴 및 수치를 확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숙련 운용자도 간편하고 정확하게 조작하여 원하는 메뉴 및 수치를 선택 및 입력할 수 있고, 메뉴선택 및 수치 입력장치의 오조작에 따른 오선택 및 오입력 확률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어 디스펜서 자체의 기능에 따른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전기, 전자제품의 생산 수율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으며, 또한 불필요한 경제적/시간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어 디스펜서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전기, 전자제품의 생산원가 자체를 대폭 줄일 수 있고, 더욱이 디스펜서의 외관상 미려함을 증대시킬 수 있어 디스펜서 자체의 상품성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는 회전식 메뉴 선택기능을 갖는 디스펜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회전식 메뉴 선택기능을 갖는 디스펜서는, 전면 판넬이 구비된 본체의 내부에 제어부가 구비된 형태를 갖고 표면 실장부품이 위치하는 인쇄회로기판(PCB) 상에 노즐을 통해 정해진 양의 액제를 자동으로 배출시켜 주는 디스펜서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판넬의 일측에 각종 메뉴의 선택 또는 수치의 입력을 회전겸 푸쉬 형태로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 메뉴 및 수치 선택 및 입력 중 시작 또는 종료 시점을 벗어날 때 솔레노이드와 레치 및 톱니형 기어를 이용하여 자동 제동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메뉴선택 및 수치 입력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전면 판넬의 중앙에는 터치 조작형 디스플레이를 설치하며, 상기 전면 판넬의 타측에는 각종 작동상태 표시등과 전원 스위치 및 액제 공급 파이프 연결구를 설치하여, 운용자가 상기 메뉴선택 및 수치 입력장치의 노브를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다이얼식으로 회전시키며 원하는 메뉴 및 수치를 선택한 다음 노브를 푸쉬하여 텍트 스위치를 조작할 경우, 제어부에서 이를 인식하고 운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뉴 및 수치에 대응하여 액제의 배출압력 및 노즐의 개폐량을 자동 제어하여 운용자가 원하는 량의 액제를 자동 배출시켜 줌은 물론 메뉴 선택 내용을 포함한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메뉴선택 및 수치 입력장치는 전면과 저면을 제외한 모든 면이 개구되어 측단면이 "ㄴ"자 형상을 갖되, 전면 판넬의 후면에 밀착 고정되는 전면 판에는 샤프트 통과공이 천공된 형태를 갖는 베이스 프레임과; 전방 중간부에 스프링 받침돌기를 구비하고, 중간부에는 다각형 고정부가 구비된 형태를 갖고, 전방부 일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 및 전면 판넬의 샤프트 통과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상기 전면 판넬과 직각을 이루도록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운용자의 노브 회전방향에 대응하여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엔코더의 회전판과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 제지수단의 두 톱니형 기어가 회전되게 함은 물론 노브가 눌러질 경우 후방부로 이동되며 텍트 스위치를 조작해 주는 샤프트와; 상기 전면 판넬의 외부로 노출된 샤프트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노브와; 상기 전면 판의 배면과 중간 지지겸 고정판 사이의 샤프트 외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운용자가 노브를 강제로 누르지 않는 통상시 또는 눌렀던 노브에서 손이 떨어지는 순간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코일 스프링의 복원(탄성)력을 통해 샤프트의 타단부가 텍트 스위치와 비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샤프트 원상 복귀수단과; 상기 샤프트의 다각형 고정부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게 상방부에 형성한 샤프트 통과공을 통해 샤프트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 원상 복귀수단의 후방부에서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된 중간 지지겸 고정판과;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개의 슬릿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형성된 다각형의 샤프트 고정공을 통해 상기 샤프트와는 직각을 이루며 다각형 고정부의 외측에 고정 설치된 형태를 갖는 회전판과, 정단면이 "U"자 형상을 갖는 센서 고정구의 양 날개 내측에 발광소자와 수광소자가 각각 서로 대향되게 설치된 구성을 갖고 발광소자와 수광소자가 각각 상기 회전판의 양면에서 슬릿 방향을 향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중간 지지겸 고정판의 배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광센서를 구비하고, 운용자에 의해 노브 및 샤프트가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 인해 회전판이 회전될 때, 슬릿들을 통과하는 발광소자의 빛을 수광하는 수광소자를 통해 펄스 형태로 검출하여 제어부로 하여금 실시간으로 변화되는 샤프트의 회전각도 변화량을 통해 운용자가 원하는 메뉴 및 수치가 어떤 메뉴 및 수치인지 인식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샤프트의 회전각도가 메뉴 또는 수치의 최종점 또는 시작점을 벋어나는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엔코더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저면 후방부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구와 상기 샤프트의 다각형 고정부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노브를 통해 샤프트를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며 메뉴 및 수치를 선택 또는 입력하던 중 최종점 또는 시작점을 벋어날 경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샤프트의 회전을 자동 제지해 주는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 제지수단과; 상기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 제지수단의 두 고정구 배면에 고정 설치된 스위치 고정판의 전면에 고정 설치되어 운용자가 노브를 눌러 샤프트를 후진시킬 경우 "온"되며 제어부로 하여금 운용자가 최종 선택 또는 입력한 메뉴 또는 수치가 어떤 메뉴 또는 수치인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텍트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샤프트 원상 복귀수단은, 샤프트 통과공이 중앙에 구비된 플랜지가 원통체의 전면에 고정 설치된 형태를 갖고, 베이스 프레임 내에서 샤프트의 전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되, 상기 샤프트의 스프링 받침돌기 전면에 걸리진 형태를 갖는 플랜지를 통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면 판 배면에 고정 설치되는 케이스와; 외경은 상기 케이스의 원통체 내경보다 작고, 내경은 상기 샤프트의 스프링 받침돌기 외면보다 큰 형태를 갖고 상기 원통체 내에서 샤프트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어 코일 스프링의 변형을 방지하는 원통 형상의 가이드 부시와; 일단부는 상기 샤프트의 스프링 받침돌기 후면에 받쳐지고 타단부는 상기 케이스의 원통체 배면에 고정 설치되는 중간 지지겸 고정판의 전면에 받쳐지도록 샤프트의 외측에 설치된 형태를 갖고 통상시 샤프트의 후단부가 텍트 스위치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샤프트에 복원용 탄성력을 발생시켜 주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 제지수단은, 중앙에 다각형 샤프트 통과공을 각각 구비하고 외주면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톱니형 걸림돌기가 형성된 형태를 갖고 상기 샤프트의 다각형 고정부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톱니형 기어와; 로드의 상단부에 구비된 기어 걸림구가 각각 상기 한 쌍의 톱니형 기어 중 어느 한 톱니형 기어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한 쌍의 고정구 전면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운용자가 노브를 통해 샤프트를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며 메뉴를 선택하거나 수치를 입력하던 중 엔코더를 통해 검출되는 샤프트의 회전각도가 메뉴 또는 수치의 최종점 또는 시작점을 벋어났다고 판단되어 제어부에서 구동신호가 발생될 경우 어느 하나가 작동되어 로드의 상단부에 구비된 기어 걸림구가 상기 한 쌍의 톱니형 기어 중 어느 한 톱니형 기어의 톱니형 걸림돌기들 사이에 걸려지게 하여 샤프트의 회전을 자동 제지해 주는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 제지용 솔레노이드;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기어 걸림구는 내측 상부에 "ㄷ"자 형상의 레치 안치홈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 제지용 솔레노이드의 로드 상단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레치 결합구와; 정단면이 "
Figure 112019012975019-pat00001
" 형상을 갖고 상단부가 상기 레치 결합구의 레치 안치홈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축지된 형태를 갖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는 상기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 제지용 솔레노이드 중 어느 한 솔레노이드가 작동되어 로드와 함께 상기 레치 결합구가 하강할 경우, 이들과 같이 하강함은 물론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한 쌍의 톱니형 기어 중 어느 한 톱니형 기어의 톱니형 걸림돌기들 사이에 끼워져 걸려지는 레치;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회전식 메뉴 선택기능을 갖는 디스펜서에 의하면, 디스펜서의 전면부에 빼곡하게 설치되던 복수의 푸쉬 버튼형 메뉴 선택버튼과 수치 입력버튼을 배제하는 대신 각종 메뉴의 선택 또는 수치의 입력을 회전겸 푸쉬 형태로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 메뉴 및 수치 선택 및 입력 중 시작 또는 종료 시점을 벗어날 때 솔레노이드와 레치 및 톱니형 기어를 이용하여 자동 제동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메뉴선택 및 수치 입력장치와 더불어 터치 조작형 디스플레이를 설치하여, 숙련되지 않은 디스펜서 운용자라도 디스플레이에 나타나는 메뉴 및 수치 등을 확인하며 메뉴선택 및 수치 입력장치의 노브를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원하는 메뉴 및 수치 등을 선택한 다음 노브를 푸쉬하는 방식을 통해 선택한 메뉴 및 수치를 확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숙련 운용자도 간편하고 정확하게 조작하여 원하는 메뉴 및 수치를 선택 및 입력할 수 있고, 메뉴선택 및 수치 입력장치의 오조작에 따른 오선택 및 오입력 확률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어 디스펜서 자체의 기능에 따른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전기, 전자제품의 생산 수율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으며, 또한 불필요한 경제적/시간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어 디스펜서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전기, 전자제품의 생산원가 자체를 대폭 줄일 수 있고, 더욱이 디스펜서의 외관상 미려함을 증대시킬 수 있어 디스펜서 자체의 상품성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디스펜서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된 메뉴선택 및 수치 입력장치의 설치상태 우측 및 좌측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메뉴선택 및 수치 입력장치의 설치상태 우측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메뉴선택 및 수치 입력장치의 설치상태 평단면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디스펜서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된 메뉴선택 및 수치 입력장치의 설치상태 우측 및 좌측 배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메뉴선택 및 수치 입력장치의 설치상태 우측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메뉴선택 및 수치 입력장치의 설치상태 평단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면 판넬(20)이 구비된 본체(10)의 내부에 제어부(30)가 구비된 형태를 갖고 표면 실장부품이 위치하는 인쇄회로기판(PCB) 상에 노즐(도시 생략함)을 통해 정해진 양의 액제를 자동으로 배출시켜 주는 디스펜서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판넬(20)의 일측에 각종 메뉴의 선택 또는 수치의 입력을 회전겸 푸쉬 형태로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 메뉴 및 수치 선택 및 입력 중 시작 또는 종료 시점을 벗어날 때 솔레노이드와 레치 및 톱니형 기어를 이용하여 자동 제동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메뉴선택 및 수치 입력장치(40)를 설치하고, 상기 전면 판넬(20)의 중앙에는 터치 조작형 디스플레이(60)를 설치하며, 상기 전면 판넬(20)의 타측에는 각종 작동상태 표시등(71)과 전원 스위치(72) 및 액제 공급 파이프 연결구(73)를 설치하여, 운용자가 상기 메뉴선택 및 수치 입력장치(40)의 노브(43)를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원하는 메뉴 및 수치를 선택한 다음 노브(43)를 푸쉬하여 텍트 스위치(48)를 조작할 경우, 제어부(30)에서 이를 인식하고 운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뉴 및 수치에 대응하여 액제의 배출압력 및 노즐의 개폐량을 자동 제어하여 운용자가 원하는 량의 액제를 자동 배출시켜 줌은 물론 메뉴 선택 내용을 포함한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60)에 문자와 숫자 및 그림 등으로 표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메뉴선택 및 수치 입력장치(40)는,
전면과 저면을 제외한 모든 면이 개구되어 측단면이 "ㄴ"자 형상을 갖되, 전면 판넬(20)의 후면에 밀착 고정되는 전면 판(411)에는 샤프트 통과공(412)이 천공된 형태를 갖는 베이스 프레임(41)과;
전방 중간부에 스프링 받침돌기(421)를 구비하고, 중간부에는 다각형 고정부(422)가 구비된 형태를 가지며, 전방부 일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41) 및 전면 판넬(20)의 샤프트 통과공(411)(2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상기 전면 판넬(20)과 직각을 이루도록 베이스 프레임(41)의 내측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운용자의 노브(43) 회전방향에 대응하여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엔코더(46)의 회전판(461)과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 제지수단(47)의 두 톱니형 기어(471)가 회전되게 함은 물론 노브(43)가 눌러질 경우 후방부로 이동되며 텍트 스위치(48)를 조작해 주는 샤프트(42)와;
상기 전면 판넬(20)의 외부로 노출된 샤프트(42)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노브(43)와;
상기 전면 판(411)의 배면과 중간 지지겸 고정판(45) 사이의 샤프트(42) 외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운용자가 노브(43)를 강제로 누르지 않는 통상시 또는 눌렀던 노브(43)에서 손이 떨어지는 순간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코일 스프링(443)의 복원(탄성)력을 통해 샤프트(42)의 타단부가 텍트 스위치(48)와 비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샤프트 원상 복귀수단(44)과;
상기 샤프트(42)의 다각형 고정부(422)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게 상방부에 형성한 샤프트 통과공(451)을 통해 샤프트(4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 원상 복귀수단(44)의 후방부에서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된 중간 지지겸 고정판(45)과;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개의 슬릿(461a)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형성된 다각형 샤프트 고정공(461b)을 통해 상기 샤프트(42)와는 직각을 이루며 다각형 고정부(422)의 외측에 고정 설치된 형태를 갖는 회전판(461)과, 정단면이 "U"자 형상을 갖는 센서 고정구(462)의 양 날개 내측에 발광소자(463a)와 수광소자(463b)가 각각 서로 대향되게 설치된 구성을 갖고 발광소자(463a)와 수광소자(463b)가 각각 상기 회전판(461)의 양면에서 슬릿 방향을 향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중간 지지겸 고정판(45)의 배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광센서(463)를 구비하고, 운용자에 의해 노브(43) 및 샤프트(42)가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 인해 회전판(461)이 회전될 때, 슬릿(461a)들을 통과하는 발광소자(463a)의 빛을 수광하는 수광소자(463b)를 통해 펄스 형태로 검출하여 제어부(30)로 하여금 실시간으로 변화되는 샤프트(42)의 회전각도 변화량을 통해 운용자가 원하는 메뉴 및 수치가 어떤 메뉴 및 수치인지 인식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샤프트(42)의 회전각도가 메뉴 또는 수치의 최종점 또는 시작점을 벋어나는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엔코더(46)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41)의 저면 후방부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구(49)와 상기 샤프트(42)의 다각형 고정부(422)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노브(43)를 통해 샤프트(42)를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며 메뉴 및 수치를 선택 또는 입력하던 중 최종점 또는 시작점을 벋어날 경우 제어부(30)의 제어를 받아 샤프트(42)의 회전을 자동 제지해 주는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 제지수단(47)과;
상기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 제지수단(47)의 두 고정구(49) 배면에 고정 설치된 스위치 고정판(481)의 전면에 고정 설치되어 운용자가 노브(43)를 눌러 샤프트(42)를 후진시킬 경우 "온"되며 제어부(30)로 하여금 운용자가 최종 선택 또는 입력한 메뉴 또는 수치가 어떤 메뉴 또는 수치인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텍트 스위치(48);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샤프트 원상 복귀수단(44)은,
샤프트 통과공(441b)이 중앙에 구비된 플랜지(441c)가 원통체(441a)의 전면에 고정 설치된 형태를 갖고, 베이스 프레임(41) 내에서 샤프트(42)의 전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되, 배면이 상기 샤프트(42)의 스프링 받침돌기(421) 전면에 걸리진 형태를 갖는 플랜지(441c)를 통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41)의 전면 판(411) 배면에 고정 설치되는 케이스(441)와;
외경은 상기 케이스(441)의 원통체(441a) 내경보다 작고, 내경은 상기 샤프트(42)의 스프링 받침돌기(421) 외면보다 큰 형태를 갖고 상기 원통체(441a) 내에서 샤프트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어 코일 스프링(443)의 변형을 방지하는 원통 형상의 가이드 부시(442)와;
일단부는 상기 샤프트(42)의 스프링 받침돌기(421) 후면에 받쳐지고 타단부는 상기 케이스(441)의 원통체(441a) 배면에 고정 설치되는 중간 지지겸 고정판(45)의 전면에 받쳐지도록 샤프트(42)의 외측에 설치된 형태를 갖고 통상시 샤프트(42)의 후단부가 텍트 스위치(48)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샤프트(42)에 복원용 탄성력을 발생시켜 주는 코일 스프링(443);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 제지수단(47)은,
중앙에 다각형 샤프트 통과공(471a)을 각각 구비하고 외주면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톱니형 걸림돌기(471b)가 형성된 형태를 갖고 상기 샤프트(42)의 다각형 고정부(422)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톱니형 기어(471)와;
로드(472a)의 상단부에 구비된 기어 걸림구(473)가 각각 상기 한 쌍의 톱니형 기어(471) 중 어느 한 톱니형 기어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한 쌍의 고정구(49) 전면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운용자가 노브(43)를 통해 샤프트(42)를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며 메뉴를 선택하거나 수치를 입력하던 중 엔코더(46)를 통해 검출되는 샤프트(42)의 회전각도가 메뉴 또는 수치의 최종점 또는 시작점을 벋어났다고 판단되어 제어부(30)에서 구동신호가 발생될 경우 어느 하나가 작동되어 로드(472a)의 상단부에 구비된 기어 걸림구(473)가 상기 한 쌍의 톱니형 기어(471) 중 어느 한 톱니형 기어의 톱니형 걸림돌기(471b)들 사이에 걸려지게 하여 샤프트(42)의 회전을 자동 제지해 주는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 제지용 솔레노이드(472);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기어 걸림구(473)는 내측 상부에 "ㄷ"자 형상의 레치 안치홈(4731a)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 제지용 솔레노이드(472)의 로드(472a) 상단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레치 결합구(4731)와;
정단면이 "
Figure 112019012975019-pat00002
" 형상을 갖고 상단부가 상기 레치 결합구(4731)의 레치 안치홈(4731a)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축지된 형태를 갖고, 상기 제어부(30)의 제어를 받는 상기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 제지용 솔레노이드(472) 중 어느 한 솔레노이드가 작동되어 로드(472a)와 함께 상기 레치 결합구(4731)가 하강할 경우, 이들과 같이 하강함은 물론 힌지(4733)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한 쌍의 톱니형 기어(471) 중 어느 한 톱니형 기어의 톱니형 걸림돌기(471b)들 사이에 끼워져 걸려지는 레치(4732);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회전식 메뉴 선택기능을 갖는 디스펜서에 대한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회전식 메뉴 선택기능을 갖는 디스펜서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종 제어프로그램과 수많은 액제들에 대한 정보데이터 등을 구비한 제어부(30)를 내장하고 표면 실장부품이 위치하는 인쇄회로기판(PCB) 상에 도시 생략한 노즐을 통해 정해진 양의 액제를 자동으로 배출시켜 주는 디스펜서의 본체(10) 전면 판넬(20)에 빼곡하게 설치되던 종래 복수의 푸쉬 버튼형 메뉴 선택버튼과 수치 입력버튼을 배제하는 대신 각종 메뉴의 선택 또는 수치의 입력을 회전겸 푸쉬 형태로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 메뉴 및 수치 선택 및 입력 중 시작 또는 종료 시점을 벗어날 때 솔레노이드와 레치 및 톱니형 기어를 이용하여 자동 제동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메뉴선택 및 수치 입력장치(40)와 터치 조작형 디스플레이(60)를 포함하여 각종 작동상태 표시등(71)과 전원 스위치(72) 및 액제 공급 파이프 연결구(73)를 설치하여, 숙련되지 않은 디스펜서 운용자라도 디스플레이에 나타나는 메뉴 및 수치 등을 확인하며 메뉴선택 및 수치 입력장치(40)의 노브를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원하는 메뉴 및 수치 등을 선택한 다음 노브(43)를 푸쉬하는 방식을 통해 선택한 메뉴 및 수치를 확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즉, 본 발명은 공지된 디스펜서의 본체(10)에 구비된 전면 판넬(20) 일측에는 각종 메뉴의 선택 또는 수치의 입력을 회전겸 푸쉬 형태로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 메뉴 및 수치 선택 및 입력 중 시작 또는 종료 시점을 벗어날 때 솔레노이드와 레치 및 톱니형 기어를 이용하여 자동 제동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메뉴선택 및 수치 입력장치(40)를 설치하고, 상기 전면 판넬(20)의 중앙에는 터치 조작형 디스플레이(60)를 설치하며, 상기 전면 판넬(20)의 타측에는 각종 작동상태 표시등(71)과 전원 스위치(72) 및 액제 공급 파이프 연결구(73)를 설치하여, 운용자가 상기 메뉴선택 및 수치 입력장치(40)의 노브(43)를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원하는 메뉴 및 수치를 선택한 다음 노브(43)를 푸쉬하여 텍트 스위치(48)를 조작할 경우, 제어부(30)에서 이를 인식하고 운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뉴 및 수치에 대응하여 액제의 배출압력 및 노즐의 개폐량을 자동 제어하여 운용자가 원하는 량의 액제를 자동 배출시켜 줌은 물론 메뉴 선택 내용을 포함한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60)에 문자와 숫자 및 그림 등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메뉴선택 및 수치 입력장치(40)는 베이스 프레임(41)과 샤프트(42), 노브(43), 샤프트 원상 복귀수단(44), 중간 지지겸 고정판(45), 엔코더(46),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 제지수단(47) 및 텍트 스위치(48)로 구성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메뉴선택 및 수치 입력장치(40)의 구성요소 중 상기 베이스 프레임(41)은, 철판을 이용하여 전면과 저면을 제외한 모든 면이 개구된 형상 즉, 측단면이 "ㄴ"자 형상을 갖도록 제작하되, 복수의 스크류 등을 통해 전면 판넬(20)의 후면에 밀착 고정되는 전면 판(411)에는 샤프트 통과공(412)을 천공시킨 형태를 갖는다.
또, 상기 샤프트(42)는 전방부에 형성되는 노브 결합부와 전방 중간부에 돌출 형성되는 스프링 받침돌기(421), 중간부에 형성되는 다각형 고정부(422) 및 후방부에 원봉 형태로 형성되는 스위치 작동부를 일체로 구비한 형태를 갖는다.
즉, 상기 샤프트(42)는 노브 결합부와 다각형 고정부(422)의 경계부인 전방 중간부에는 스프링 받침돌기(421)가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 받침돌기(421)와 스위치 작동부 사이인 중간부에는 다각형 고정부(422)가 구비된 형태를 갖고, 전방부의 노브 결합부 일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41) 및 전면 판넬(20)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샤프트 통과공(411)(2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하여 상기 전면 판넬(20)과 직각을 이루도록 베이스 프레임(41)의 내측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샤프트(4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디스펜서 운용자가 조작하는 노브(43)의 회전방향에 대응하여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후술하는 엔코더(46)의 회전판(461)과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 제지수단(47)의 두 톱니형 기어(471)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게 함은 물론 운용자에 의해 노브(43)가 눌러질 경우 그 압력에 대응하여 후방부로 이동되며 후술하는 텍트 스위치(48)를 조작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노브(43)는 상기 전면 판넬(20)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샤프트(42)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운용자가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잡고 상기 샤프트(42)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 기능과 샤프트(42)를 선택적으로 후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버튼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샤프트 원상 복귀수단(44)은, 케이스(441)와 가이드 부시(442) 및 코일 스프링(443)을 구비하고, 상기 전면 판(411)의 배면과 후술하는 중간 지지겸 고정판(45) 사이의 샤프트(42) 전방부 외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운용자가 노브(43)를 강제로 누르지 않는 통상시 또는 눌렀던 노브(43)에서 손이 떨어지는 순간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코일 스프링(443)의 복원(탄성)력을 통해 샤프트(42) 자체가 원위치로 복귀되어 샤프트(42)의 타단부가 텍트 스위치(48)와 비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샤프트 원상 복귀수단(44)의 구성요소 중 케이스(441)는, 샤프트 통과공(441b)이 중앙에 구비된 플랜지(441c)가 원통체(441a)의 전면에 고정 설치된 형태를 갖는 것으로, 이와 같은 케이스(441)는 베이스 프레임(41) 내에서 샤프트(42)의 전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되, 배면이 상기 샤프트(42)의 스프링 받침돌기(421) 전면에 걸리진 형태를 갖는 플랜지(441c)를 통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41)의 전면 판(411) 배면에 고정 설치되어 가이드 부시(442) 및 코일 스프링(443)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는 기능과 후술하는 중간 지지겸 고정판(45)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시(442)는, 외경은 상기 케이스(441)의 원통체(441a) 내경보다 작고, 내경은 상기 샤프트(42)의 스프링 받침돌기(421) 외면보다 큰 형태의 원통 형상을 갖는 것으로, 이와 같은 가이드 부시(442)는 상기 원통체(441a) 내에서 샤프트(42)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어 노브(43)를 누르는 동작을 통해 상기 샤프트(42)를 후진시킬 때 압축되는 코일 스프링(443)의 일부가 어느 일측으로 절곡되거나 그 자체가 뒤틀리는 것 등과 같은 변형을 사전에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코일 스프링(443)은, 샤프트(42)의 외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방 일단부가 상기 샤프트(42)의 스프링 받침돌기(421) 후면에 받쳐지고, 후방 타단부는 상기 케이스(441)의 원통체(441a) 배면에 고정 설치되는 중간 지지겸 고정판(45)의 전면에 받쳐지게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코일 스프링(443)은 상기 샤프트(42)의 스프링 받침돌기(421) 후면과 중간 지지겸 고정판(45)의 전면 사이에서 자체의 탄성력을 발휘시켜 통상시에는 샤프트(42)의 후단부가 텍트 스위치(48)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시켜 주고, 또 운용자가 노브(43)를 눌렀다가 손을 떼는 순간 복원용 탄성력을 발생시켜 샤프트(42)가 원위치로 자동 돌아가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중간 지지겸 고정판(45)은 직사각 또는 장방형 판체 형상을 갖되, 상방부에는 상기 샤프트(42)의 다각형 고정부(422)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게 샤프트 통과공(451)이 형성된 형태를 갖고, 상기 샤프트(4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 원상 복귀수단(44)의 후방부에서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된 형태를 갖고, 상기 코일 스프링(443)의 받침기능과 후술하는 엔코더(46)의 구성요소 중 광센서(463)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엔코더(46)는 회전판(461)과 광센서(463)로 구성된 것으로, 이들 중 상기 회전판(461)은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개의 슬릿(461a)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중앙에는 다각형 샤프트 고정공(461b)이 형성된 형태를 갖고 있어, 상기 다각형 샤프트 고정공(461b)을 통해 상기 샤프트(42)와는 직각을 이루며 다각형 고정부(422)의 외측에 고정 설치된 형태를 가지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판(461)의 중앙에 형성되는 샤프트 고정공은 샤프트(42)의 다각형 고정부(422) 형상에 대응하여 사각 또는 육각 또는 팔각 등과 같은 다각형 형상을 갖게 되므로 운용자에 의해 노브(43) 및 샤프트(42)가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샤프트(42)와 함께 상기 회전판(461)이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운용자에 의해 노브(43)가 눌려져 샤프트(42)가 후방부 측으로 밀려 이동될 때에는 회전판(461)은 현재의 위치에서 이동되지 않고 샤프트(42)만 회전판(461)의 중앙에 형성된 다각형 샤프트 고정공(461b)을 통해 후진하게 된다.
또한, 상기 광센서(463)는 기본적으로 제어부(30)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점등되는 발광소자(463a)와, 상기 발광소자(463a)에서 발생되는 빛을 수광하여 제어부(30)로 전달하는 수광소자(463b)를 구비한 것으로, 상기 발광소자(463a)와 수광소자(463b)는 정단면이 "U"자 형상을 갖는 센서 고정구(462)의 양 날개 내측에 각각 서로 대향되게 설치된 구성을 갖고, 상기 발광소자(463a)와 수광소자(463b)가 각각 상기 회전판(461)의 양면에서 슬릿 방향을 향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중간 지지겸 고정판(45)의 배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엔코더(46)는 운용자에 의해 노브(43) 및 샤프트(42)가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 인해 회전판(461)이 회전될 때, 슬릿(461a)들을 통과하는 발광소자(463a)의 빛을 수광소자(463b)에서 펄스 형태로 실시간 수광하여 제어부(3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30)에서는 상기 엔코더(46)에서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수광센서(463)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계속 입력받으며 자체 내에 기입력되어 있는 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샤프트(42)의 회전각도 변화량을 계속 산출하여 만약 운용자가 디스플레이(60)의 터치를 통해 메뉴 선택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서는 기입력되어 있는 액제들의 메뉴 데이터와 상호 비교하며 운용자가 원하는 메뉴가 어떤 메뉴인지 인식하고, 수치 입력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서는 어느 값의 수치를 입력하고자 하는지를 정확하게 판단하고 최종적으로 후술하는 텍트 스위치(48)가 "온" 작동될 경우 그 때의 메뉴 및 수치를 최종 메뉴 및 수치로 인식하고 노즐을 통한 액제 토출량을 제어(즉, 노즐의 개폐 시간과 액제의 토출압력 등을 통해 액제 토출량을 제어)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어부(30)에서는 상기와 같이 엔코더(46)의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샤프트(42)의 회전각도 변화량을 계속 산출하던 중 샤프트(42)의 회전각도가 자체 내에 기입력되어 있는 메뉴들 중 최종점 메뉴 또는 시작점 메뉴를 벋어나는지 및 숫자의 최종 및 시작 한계점 등을 벋어나는지를 판단하여 만약 최종 메뉴 또는 시작점 메뉴 중 어느 한 메뉴 한계점을 벋어났거나 또는 숫자의 최종 및 시작 한계점 등을 벋어났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후술하는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 제지수단(47)을 통해 해당 방향으로의 회전을 강제로 제지시켜 운용자가 노브(43)를 통해 해당 방향으로는 더 이상 회전시킬 수 없도록 한다.
한편, 상기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 제지수단(47)은, 한 쌍의 톱니형 기어(471)와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 제지용 솔레노이드(472)를 포함한 구성을 갖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41)의 저면 후방부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구(49)와 상기 샤프트(42)의 다각형 고정부(422)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운용자가 노브(43)를 통해 샤프트(42)를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며 메뉴를 선택하거나 수치를 입력하던 중 최종점 또는 시작점(즉, 최종 메뉴 또는 시작점 메뉴 중 어느 한 메뉴 한계점 또는 숫자의 최종 및 시작 한계점 등)을 벋어날 경우 제어부(30)에서 출력되는 구동신호를 입력받아 샤프트(42)의 회전을 자동 제지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 제지수단(47) 중 상기 한 쌍의 톱니형 기어(471)는, 중앙에 다각형 샤프트 통과공(471a)을 각각 구비한 형태를 갖되, 각각의 외주면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톱니형 걸림돌기(471b)가 형성된 형태를 갖고, 상기 샤프트(42)의 다각형 고정부(422)에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후술하는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 제지용 솔레노이드(472)에 각각 구비된 기어 걸림구(473)에 의해 선택적으로 걸려져 그 회전에 제한된다.
또, 상기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 제지용 솔레노이드(472)는, 제어부(30)에서 구동신호가 발생되면 전자기에 의해 구동되는 것으로, 피스톤 로드 형태로 작동되는 로드(472a)의 상단부에 구비시킨 기어 걸림구(473)가 샤프트(42)의 다각형 고정부(422)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상기 한 쌍의 톱니형 기어(471) 중 어느 한 톱니형 기어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고정구(49) 전면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 제지용 솔레노이드(472)는, 운용자가 노브(43)를 통해 샤프트(42)를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며 메뉴를 선택하거나 수치를 입력하던 중 엔코더(46)를 통해 검출되는 샤프트(42)의 회전각도가 메뉴 또는 수치의 최종점 또는 시작점을 벋어났다고 판단되어 제어부(30)에서 구동신호가 발생될 경우 어느 하나(즉, 메뉴 또는 수치의 최종점 또는 시작점을 벋어난 측의 회전 제지용 솔레노이드)가 작동되어 로드(472a)의 상단부에 구비된 기어 걸림구(473)가 하강하며 상기 한 쌍의 톱니형 기어(471) 중 어느 한 톱니형 기어의 톱니형 걸림돌기(471b)들 사이에 걸려지게 되어 운용자가 노브(43)를 통해 회전시키고 있는 샤프트(42)의 회전을 자동 제지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기어 걸림구(473)는 레치 결합구(4731)와 레치(4732)로 구성된 형태를 갖는데, 이들 중 상기 레치 결합구(4731)는 내측 상부에 "ㄷ"자 형상의 레치 안치홈(4731a)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 제지용 솔레노이드(472)의 로드(472a) 상단부에 각각 고정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레치(4732)는 정단면이 "
Figure 112019012975019-pat00003
" 형상을 갖게 형성된 형태를 갖고, 상단부가 상기 레치 결합구(4731)의 레치 안치홈(4731a) 내에 위치된 상태에서 힌지(4733)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축지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레치(4732)는 상기 제어부(30)의 제어를 받는 상기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 제지용 솔레노이드(472) 중 어느 한 솔레노이드가 작동되어 로드(472a)와 함께 상기 레치 결합구(4731)가 하강할 경우, 이들과 같이 하강한 다음 현재 회전 중인 톱니형 기어(471)의 톱니형 걸림돌기(471b)들 사이에 끼워짐과 동시에 힌지(4733)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도 *과 같이 해당 톱니형 기어(471)의 중 어느 한 톱니형 기어의 톱니형 걸림돌기(471b)들 사이에 끼워져 걸려지며 현재 회전 중인 톱니형 기어(471)의 회전을 강제로 제한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톱니형 기어(471)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외주면에 형성된 톱니형 걸림돌기(471b)가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샤프트(42) 및 상기 한 쌍의 톱니형 기어(47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던 중 메뉴 또는 수치의 최종점 또는 시작점을 벋어나 도면상 우측의 시계방향 회전 제지용 솔레노이드(472)가 작동되어 기어 걸림구(473)의 레치(4732)가 도면상 샤프트(42) 후방부의 톱니형 기어(471)에서 시계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톱니형 걸림돌기(471b) 사이에 걸려지면 샤프트(42) 등의 시계방향 회전이 강제로 차단된다.
상기와 반대로 샤프트(42) 및 상기 한 쌍의 톱니형 기어(47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던 중 메뉴 또는 수치의 최종점 또는 시작점을 벋어나 도면상 좌측의 반시계방향 회전 제지용 솔레노이드(472)가 작동되어 기어 걸림구(473)의 레치(4732)가 도면상 샤프트(42) 전방부의 톱니형 기어(471)에서 시계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톱니형 걸림돌기(471b) 사이에 걸려지면 샤프트(42) 등의 반시계방향 회전이 강제로 차단된다.
한편, 상기 텍트 스위치(48)는 상기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 제지수단(47)의 두 고정구(49) 배면에 고정 설치된 스위치 고정판(481)의 전면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운용자가 메뉴의 선택 또는 수치의 입력을 완료하고 노브(43)를 눌러 샤프트(42)를 후진시킬 경우, "온"신호를 제어부(30)로 발생시켜 상기 제어부(30)로 하여금 운용자가 최종 선택 또는 입력한 메뉴 또는 수치가 어떤 메뉴 또는 수치인지 인식하고 최종 확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비숙련 운용자도 하나의 메뉴선택 및 수치 입력장치만 이용하여 간편하고 정확하게 조작하여 원하는 메뉴 및 수치를 선택 및 입력할 수 있고, 메뉴선택 및 수치 입력장치의 오조작에 따른 오선택 및 오입력 확률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어 디스펜서 자체의 기능에 따른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전기, 전자제품의 생산 수율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으며, 또한 불필요한 경제적/시간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어 디스펜서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전기, 전자제품의 생산원가 자체를 대폭 줄일 수 있고, 더욱이 디스펜서의 외관상 미려함을 증대시킬 수 있어 디스펜서 자체의 상품성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본체
20 : 전면 판넬 21 : 샤프트 통과공
30 : 제어부
40 : 메뉴선택 및 수치 입력장치
41 : 베이스 프레임
411 : 전면 판 412 : 샤프트 통과공
42 : 샤프트
421 : 스프링 받침돌기 422 : 다각형 고정부
43 : 노브
44 : 샤프트 원상 복귀수단
441 : 케이스 441a : 원통체
441b : 샤프트 통과공 441c : 플랜지
442 : 가이드 부시 443 : 코일 스프링
45 : 중간 지지겸 고정판 451 : 샤프트 통과공
46 : 엔코더
461 : 회전판
461a : 슬릿 461b : 다각형 샤프트 고정공
462 : 센서 고정구 463 : 광센서
463a : 발광소자 463b : 수광소자
47 :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 제지수단
471 : 톱니형 기어
471a : 다각형 샤프트 통과공 471b : 톱니형 걸림돌기
472 :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 제지용 솔레노이드
472a : 로드
473 : 기어 걸림구
4731 : 레치 결합구 4731a : 레치 안치홈
4732 : 레치 4733 : 힌지
48 : 텍트 스위치 481 : 스위치 고정판
49 : 고정구
60 : 디스플레이
71 : 작동상태 표시등 72 : 전원 스위치
73 : 액제 공급 파이프 연결구

Claims (5)

  1. 전면 판넬이 구비된 본체의 내부에 제어부가 구비된 형태를 갖고 표면 실장부품이 위치하는 인쇄회로기판(PCB) 상에 노즐을 통해 정해진 양의 액제를 자동으로 배출시켜 주는 디스펜서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판넬의 일측에 각종 메뉴의 선택 또는 수치의 입력을 회전겸 푸쉬 형태로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 메뉴 및 수치 선택 및 입력 중 시작 또는 종료 시점을 벗어날 때 솔레노이드와 레치 및 톱니형 기어를 이용하여 자동 제동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메뉴선택 및 수치 입력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전면 판넬의 중앙에는 터치 조작형 디스플레이를 설치하며, 상기 전면 판넬의 타측에는 각종 작동상태 표시등과 전원 스위치 및 액제 공급 파이프 연결구를 설치하여,
    운용자가 상기 메뉴선택 및 수치 입력장치의 노브를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원하는 메뉴 및 수치를 선택한 다음 노브를 푸쉬하여 텍트 스위치를 조작할 경우, 제어부에서 이를 인식하고 운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뉴 및 수치에 대응하여 액제의 배출압력 및 노즐의 개폐량을 자동 제어하여 운용자가 원하는 량의 액제를 자동 배출시켜 줌은 물론 메뉴 선택 내용을 포함한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하며,
    상기 메뉴선택 및 수치 입력장치는,
    전면 판넬의 후면에 밀착 고정되는 전면 판에는 샤프트 통과공이 천공된 형태를 갖는 베이스 프레임과;
    전방 중간부에 스프링 받침돌기를 구비하고, 중간부에는 다각형 고정부가 구비된 형태를 갖고, 전방부 일부는 전면 판넬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운용자의 노브 회전방향에 대응하여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엔코더의 회전판과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 제지수단의 두 톱니형 기어가 회전되게 하고, 노브가 눌러질 경우 후방부로 이동되며 텍트 스위치를 조작해 주는 샤프트와;
    상기 전면 판넬의 외부로 노출된 샤프트의 단부에 설치되는 노브와;
    상기 전면 판의 배면과 중간 지지겸 고정판 사이의 샤프트 외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노브를 강제로 누르지 않는 통상시 또는 눌렀던 노브에서 손이 떨어지는 순간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코일 스프링의 복원(탄성)력을 통해 샤프트의 타단부가 텍트 스위치와 비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샤프트 원상 복귀수단과;
    상기 샤프트 원상 복귀수단의 후방부에서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된 중간 지지겸 고정판과;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개의 슬릿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형성된 다각형의 샤프트 고정공을 통해 상기 샤프트의 다각형 고정부 외측에 고정 설치되는 회전판과, 센서 고정구의 양 날개 내측에 발광소자와 수광소자가 각각 서로 대향되게 설치된 구성을 갖고 발광소자와 수광소자가 각각 상기 회전판의 양면에서 슬릿 방향을 향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중간 지지겸 고정판의 배면에 고정 설치되는 광센서를 구비하고, 운용자에 의해 노브 및 샤프트가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 인해 회전판이 회전될 때, 슬릿들을 통과하는 발광소자의 빛을 수광하는 수광소자를 통해 펄스 형태로 검출하여 제어부로 하여금 실시간으로 변화되는 샤프트의 회전각도 변화량을 통해 운용자가 원하는 메뉴 및 수치가 어떤 메뉴 및 수치인지 인식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샤프트의 회전각도가 메뉴 또는 수치의 최종점 또는 시작점을 벋어나는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엔코더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저면 후방부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구와 상기 샤프트의 다각형 고정부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노브를 통해 샤프트를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며 메뉴 및 수치를 선택 또는 입력하던 중 최종점 또는 시작점을 벋어날 경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샤프트의 회전을 자동 제지해 주는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 제지수단과;
    상기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 제지수단의 두 고정구 배면에 고정 설치된 스위치 고정판의 전면에 설치되어 운용자가 노브를 눌러 샤프트를 후진시킬 경우 "온"되며 제어부로 하여금 운용자가 최종 선택 또는 입력한 메뉴 또는 수치가 어떤 메뉴 또는 수치인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텍트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메뉴 선택기능을 갖는 디스펜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원상 복귀수단은,
    플랜지가 원통체의 전면에 고정 설치된 형태를 갖고, 샤프트의 전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되, 상기 샤프트의 스프링 받침돌기 전면에 걸리진 형태를 갖는 플랜지를 통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면 판 배면에 고정 설치되는 케이스와;
    외경은 상기 케이스의 원통체 내경보다 작고, 내경은 상기 샤프트의 스프링 받침돌기 외면보다 큰 형태를 갖고 상기 원통체 내에서 샤프트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어 코일 스프링의 변형을 방지하는 원통 형상의 가이드 부시와;
    일단부는 상기 샤프트의 스프링 받침돌기 후면에 받쳐지고 타단부는 상기 케이스의 원통체 배면에 고정 설치되는 중간 지지겸 고정판의 전면에 받쳐지도록 샤프트의 외측에 설치된 형태를 갖고, 통상시 샤프트의 후단부가 텍트 스위치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샤프트에 복원용 탄성력을 발생시켜 주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메뉴 선택기능을 갖는 디스펜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 제지수단은,
    외주면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톱니형 걸림돌기가 형성된 형태를 갖고, 상기 샤프트의 다각형 고정부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톱니형 기어와;
    로드의 상단부에 구비된 기어 걸림구가 각각 상기 한 쌍의 톱니형 기어 중 어느 한 톱니형 기어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한 쌍의 고정구 전면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운용자가 노브를 통해 샤프트를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며 메뉴를 선택하거나 수치를 입력하던 중 엔코더를 통해 검출되는 샤프트의 회전각도가 메뉴 또는 수치의 최종점 또는 시작점을 벋어났다고 판단되어 제어부에서 구동신호가 발생될 경우 어느 하나가 작동되어 로드의 상단부에 구비된 기어 걸림구가 상기 한 쌍의 톱니형 기어 중 어느 한 톱니형 기어의 톱니형 걸림돌기들 사이에 걸려지게 하여 샤프트의 회전을 자동 제지해 주는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 제지용 솔레노이드;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메뉴 선택기능을 갖는 디스펜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기어 걸림구는,
    내측 상부에 "ㄷ"자 형상의 레치 안치홈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 제지용 솔레노이드의 로드 상단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레치 결합구와;
    정단면이 "
    Figure 112019012975019-pat00004
    " 형상을 갖고 상단부가 상기 레치 결합구의 레치 안치홈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축지된 형태를 갖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는 상기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 제지용 솔레노이드 중 어느 한 솔레노이드가 작동되어 로드와 함께 상기 레치 결합구가 하강할 경우, 이들과 같이 하강함은 물론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한 쌍의 톱니형 기어 중 어느 한 톱니형 기어의 톱니형 걸림돌기들 사이에 끼워져 걸려지는 레치;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메뉴 선택기능을 갖는 디스펜서.

KR1020190014553A 2019-02-07 2019-02-07 회전식 메뉴 선택기능을 갖는 디스펜서 KR102133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553A KR102133250B1 (ko) 2019-02-07 2019-02-07 회전식 메뉴 선택기능을 갖는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553A KR102133250B1 (ko) 2019-02-07 2019-02-07 회전식 메뉴 선택기능을 갖는 디스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3250B1 true KR102133250B1 (ko) 2020-07-13

Family

ID=71570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4553A KR102133250B1 (ko) 2019-02-07 2019-02-07 회전식 메뉴 선택기능을 갖는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325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6051B1 (ko) 2017-11-15 2018-03-07 백명신 데스크탑 로봇 디스펜서용 무선 컨트롤러
KR101845675B1 (ko) 2017-11-15 2018-04-05 백명신 무선 컨트롤러를 이용한 데스크탑 로봇 디스펜서 시스템
KR101874403B1 (ko) * 2016-12-19 2018-07-05 주식회사 지엔테크 디스플레이 제조용 정량 토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4403B1 (ko) * 2016-12-19 2018-07-05 주식회사 지엔테크 디스플레이 제조용 정량 토출장치
KR101836051B1 (ko) 2017-11-15 2018-03-07 백명신 데스크탑 로봇 디스펜서용 무선 컨트롤러
KR101845675B1 (ko) 2017-11-15 2018-04-05 백명신 무선 컨트롤러를 이용한 데스크탑 로봇 디스펜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06231B2 (ja) 遊技機
EP2921940A1 (en) Touch pad input device
TW201600703A (zh) 門機控制器
US20060131323A1 (en) Beverage dispenser
KR102133250B1 (ko) 회전식 메뉴 선택기능을 갖는 디스펜서
JP2015084910A (ja) 遊技機用操作装置
JP2019122431A (ja) 遊技機
JP2011110344A (ja) 遊技機用ボタンスイッチ装置及び遊技機用ボタンスイッチ装置を備えた遊技機
JP5783577B2 (ja) 遊技機
KR102149095B1 (ko) 회전식 메뉴 선택기능을 갖는 디스펜서
JP2013240419A (ja) 遊技機
JP2015150295A (ja) 遊技機
JP5675305B2 (ja) パチンコ遊技機
US11537082B2 (en) Watch provided with a control member
EP3211649A1 (en) Key structure of electronic product and electronic product
JP5679841B2 (ja) 遊技機
JP2001297652A (ja) 昇降式キートップを備えた入力装置
JP5474603B2 (ja) コイン払い出し装置
CN210859981U (zh) 表阀一体控制器
KR100818849B1 (ko) 차량용 푸시스위치 장치
KR102460697B1 (ko) 선택적 전후 회동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
JP2022101841A (ja) 景品獲得ゲーム装置
JP4876787B2 (ja) 球検出器
JP6511079B2 (ja) 遊技機
JP4032469B2 (ja) 遊技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