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2681B1 - 방열 기능을 갖는 안테나 시스템 - Google Patents

방열 기능을 갖는 안테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2681B1
KR102132681B1 KR1020190085753A KR20190085753A KR102132681B1 KR 102132681 B1 KR102132681 B1 KR 102132681B1 KR 1020190085753 A KR1020190085753 A KR 1020190085753A KR 20190085753 A KR20190085753 A KR 20190085753A KR 102132681 B1 KR102132681 B1 KR 102132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or
antenna system
heat dissipation
heating element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5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원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Priority to KR1020190085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26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2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2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2Arrangements for de-icing; Arrangements for drying-out ; Arrangements for cool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Landscapes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열 기능을 갖는 안테나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열 소자의 열을 방열시키는 방열 유닛을 안테나 시스템 내부에 탑재함으로써, 발열 소자의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시켜 안테나 시스템의 성능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열 기능을 갖는 안테나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열 기능을 갖는 안테나 시스템 {ANTENNA SYSTEM WITH HEAT DISSIPATION FUNCTION}
본 발명은 방열 기능을 갖는 안테나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열 소자의 열을 방열시키는 방열 유닛을 안테나 시스템 내부에 탑재함으로써, 발열 소자의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시켜 안테나 시스템의 성능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열 기능을 갖는 안테나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망을 통한 데이터 사용량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데이터 전송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었다. 일례로,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규격의 개발로 주파수 대역을 확대하여 데이터 전송 속도를 향상시켰고, 최근에는 데이터 전송 속도 및 처리 용량을 더욱 확대시키기 위해 5G 통신 규격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5G 통신을 구현하기 위한 안테나 모듈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스마트폰, 태블릿 PC, 차량의 텔레메틱스(Telematics) 시스템에서는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해 안테나 시스템이 구비되는데, 상기 안테나 시스템에는 통신 소자, 전력증폭기(PAM:Power Amplifier Module), 듀플렉서 소자 등 다양한 전기적 소자들이 배치되고 배치된 소자들로부터 열이 발생할 수 있다.
전기적 소자들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분산하거나 방열시키지 못하는 경우, 전기적 소자 및 주변 부품의 고장, 나아가 안테나 시스템의 오작동을 유발시킬 수 있어, 소자들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시킬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1596757호(2016.02.17)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안테나 시스템에 배치되는 전기적 소자인 발열 소자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이용하여 방열 유닛을 구동시킴에 의해 발열 소자의 열을 방열하여 안테나 시스템의 성능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캐리어; 상기 캐리어에 배치되는 발열 소자; 상기 캐리어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발열 소자와 연결되어 상기 발열 소자로부터 열을 전달받는 제1 방사체; 상기 제1 방사체와 이격되어 상기 캐리어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2 방사체; 일측이 상기 제1 방사체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 방사체에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열전 소자; 상기 열전 소자에 의해 생성된 전기를 이용하여 상기 발열 소자의 열을 방열시키는 방열 유닛;을 포함하는 방열 기능을 갖는 안테나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방열 유닛은, 상기 열전 소자에 의해 생성된 전기를 공급받아 구동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캐리어; 상기 캐리어에 배치되는 발열 소자; 상기 캐리어의 일면에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발열 소자와 연결되어 상기 발열 소자로부터 열을 전달받는 제1 방사체; 상기 제1 방사체와 이격되어 상기 캐리어의 일면에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발열 소자와 연결되어 상기 발열 소자로부터 열을 전달받는 제2 방사체; 상기 제1 방사체의 타단 및 상기 제2 방사체의 타단과 연결되는 접촉 단자; 및 상기 접촉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접촉 단자로부터 전달되는 전기를 이용하여 상기 발열 소자의 열을 방열시키는 방열 유닛;을 포함하는 방열 기능을 갖는 안테나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1 방사체와 상기 제2 방사체는 서로 다른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 단자는, 상기 캐리어의 타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방사체 및 상기 제2 방사체의 타단은 상기 캐리어의 타면에 형성된 상기 접촉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열 유닛은, 상기 접촉 단자로부터 전달되는 전기를 공급받아 구동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방열 기능을 갖는 안테나 시스템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시스템에 배치되는 전기적 소자인 발열 소자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이용하여 방열 유닛을 구동시킴에 의해 발열 소자의 열을 방열하여 안테나 시스템의 성능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 기능을 갖는 안테나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 기능을 갖는 안테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열 기능을 갖는 안테나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방열 기능을 갖는 안테나 시스템이 사용되는 활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열 기능을 갖는 안테나 시스템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 기능을 갖는 안테나 시스템(10)에 관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시스템(10)은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차량에 설치되어 데이터를 무선 송/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시스템(10)은 캐리어(100), 발열 소자(150), 제1 방사체(110), 제2 방사체(130), 열전 소자(200) 및 방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캐리어(100)는 절연성의 재질로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절연성 재질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PC)등 합성 수지 재질일 수 있다. 캐리어(100)는 후술할 발열 소자(150), 제1 방사체(110), 제2 방사체(130) 열전 소자(200) 및 상기 방열 유닛이 배치되어 안테나 시스템(10)을 형성한다.
발열 소자(150)는 캐리어(100) 일면에 구비되어 열을 방출할 수 있다. 발열 소자(150)는 안테나 시스템(10)에 구비되어 열이 발생하는 다양한 전기 소자들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때 발열 소자(150)는 통신을 위한 통신 소자,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PAM(Power Amplifier Module) chip, 듀플렉서 소자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발열 소자(150)는 소자가 작동함에 따라 외부로 열이 방출되며, 외부로 방출되는 열은 주변 소자나 부품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제1 방사체(110)는 캐리어(100)의 일면에 형성되며, 발열 소자(150)와 연결되어 발열 소자(150)로부터 열을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제2 방사체(130)는 제1 방사체(110)와 이격되어 캐리어(10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방사체(110) 및 제2 방사체(130)는, 전도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무선 통신 단말기의 신호를 송수신한다.
제1 방사체(110) 및 제2 방사체(130)는 LDS(Laser Direct Structure) 공법에 의해 형성되는 안테나일 수 있다. LDS 공법이란 비전도성이며 화학적으로 안정한 중금속 복합체를 포함하는 재질로 구조물을 형성하고, 구조물의 일부를 UV(Ultra Violet) 레이저, 엑시머(Excimer) 레이저 등의 레이저에 노출시킴으로써 캐리어(100)의 화학적 결합을 해체하여 금속 시드를 노출시킨 후, 구조물을 금속화(metalizing)하여 구조물의 레이저 노출 부위에 도전성 물질을 형성하는 공법을 의미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의 제1 방사체(110) 및 제2 방사체(130)는 LDS 공법에 의해 한정된 것은 아니며, 도금용 전도성 잉크를 캐리어(100)에 인쇄해서 안테나 패턴을 형성하는 PDS(Printing Direct Structuring) 공법, 캐리어(100)에 내장형 안테나 패턴을 인쇄한 후에 붙이는 FPCB(Flexible PCB) 공법 등 여러 가지 공법으로 형성되는 안테나 방사체일 수 있다. 이때, 제1 방사체(110) 및 제2 방사체(130)는 신호를 효과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도록 미앤더라인(meander line)과 같은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열전 소자(200)는 일측이 제1 방사체(110)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2 방사체(130)에 연결되도록 캐리어(100)에 구비될 수 있다.
열전 소자(200)는 열과 전기의 상호작용으로 나타나는 각종 효과를 이용한 소자로서, 크게 전기저항의 온도 변화를 이용한 소자인 서미스터, 온도 차에 의해 기전력이 발생하는 현상인 제베크 효과(Seebeck effect)를 이용한 소자, 전류에 의해 열의 흡수(또는 발생)가 생기는 현상인 펠티에 효과를 이용한 소자인 펠티에소자 등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열전 소자(200)의 일측이 상대적으로 고온인 제1 방사체(110)에 연결되고, 열전 소자(200)의 타측이 상대적으로 저온인 제2 방사체(130)에 연결되어 기전력을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방사체(110)는 발열 소자(150)와 연결되는데, 발열 소자(150)에서 방출되는 열이 제1 방사체(110)에 전달되어 제1 방사체(110)는 상대적으로 고온으로 형성된다. 한편, 제1 방사체(110)와 이격 배치되는 제2 방사체(130)는 다른 열 전달 없이 상온 상태에 놓이므로 제2 방사체(130)는 상대적으로 저온으로 형성된다. 이때, 열전 소자(200)의 일측이 상대적으로 고온인 제1 방사체(110)에 연결되고 열전 소자(200)의 타측이 상대적으로 저온인 제2 방사체(130)에 연결되도록 배치되면, 열전 소자(200)의 양 측에 온도차가 형성되게 되어 열전 소자(200)로부터 기전력이 발생하게 된다.
열전 소자(200)로부터 발생한 기전력은 후술할 방열 유닛을 구동시켜 발열 소자(150)를 냉각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시스템(10)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로서,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열전 소자(200)는 N형 반도체부와 P형 반도체부가 교대로 배열되며, 이들 반도체부들은 전기적으로 직렬 접속되어 있는데, 이를 위해 반도체부들의 상부 및 하부 표면에는 각각 상부 전극 연결판(230a)과 하부 전극 연결판(230b)이 반도체부들에 직렬로 연결되도록 반도체부의 표면에 납땜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전극 연결판(230a) 및 하부 전극 연결판(230b)의 외부에는 상부 전극 연결판(230a) 및 하부 전극 연결판(230b)을 연결하기 위한 전극 연결판 연결 기판(210a, 210b)이 설치되고, 이들 반도체부들과 상/하부 전극 연결판(230a, 230b) 및 전극 연결판 연결 기판(210a, 210b) 이 함께 조립되어 열전 소자(200)를 구성하며,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열전 소자(200)에 전선(115, 135)을 연결한다.
이와 같이, 상대적으로 고온의 제1 방사체(110) 및 상대적으로 저온의 제2 방사체(130)에 연결된 열전 소자(200)에 의해 전력이 발생하며 열전 소자(200)에 의해 발생된 전력은 전선(115, 135)을 통해 상기 방열 유닛으로 전달된다.
상기 방열 유닛은 캐리어(100)에 구비되며, 열전 소자(200)로부터 생성된 전기를 공급받아 발열 소자(150)를 냉각시킴에 의해 발열 소자(150)의 열을 방열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방열 유닛은 모터(170) 및 송풍팬(190)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170)는 열전 소자(200)와 전선(115, 135)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열전 소자(200)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구동되고, 송풍팬(190)은 모터(170)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모터(170) 구동에 따라 회전함으로써 발열 소자(150)를 냉각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별도의 전력원을 구비하지 않고 발열 소자(150)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열전 소자(200)를 통해 전력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방열 유닛을 동작시킴으로써 안테나 시스템(10)을 냉각시킬 수 있어, 발열 소자(150)로부터 발생한 열이 다른 전기적 소자 및 부품에 영향을 주어 안테나 시스템(10)의 고장을 유발하거나 안테나 시스템(10)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시스템(10)의 사시도로서,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시스템(10)은, 캐리어(100), 발열 소자(150), 제1 방사체(110), 제2 방사체(130), 접촉 단자(160), 방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100), 발열 소자(150)는 앞선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시스템(1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앞선 실시예의 구성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한편, 제1 방사체(110)는 캐리어(100)의 일면에 형성되며, 일단이 발열 소자(150)와 연결되어 발열 소자(150)로부터 열을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제2 방사체(130)는 제1 방사체(110)와 이격되어 캐리어(100)의 일면에 형성되며, 일단이 발열 소자(150)와 연결되어 발열 소자(150)로부터 열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할 경우, 발열 소자(150)와 연결되는 제1 방사체(110)의 일단 및 제2 방사체(130)의 일단은 상대적으로 고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방사체(110)의 타단 및 제2 방사체(130)의 타단은 접촉 단자(160)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접촉 단자(160)는 금속 재질의 플레이트로서 제1 방사체(110)의 타단 및 제2 방사체(130)와 연결되며,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할 경우, 상온에 놓이는 접촉 단자(160)와 연결되는 제1 방사체(110)의 타단 및 제2 방사체(130)의 타단은 상대적으로 저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방사체(110)와 제2 방사체(130)는 서로 다른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어, 제1 방사체(110)가 구리(Cu)인 경우 제 2방사체(130)는 철(Fe)일 수 있으며, 제1 방사체(110)가 구리(Cu)인 경우 제 2방사체(130)는 니켈(Ni) 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방사체(110)의 금속 재질을 기준으로 제2 방사체(130)의 금속 재질을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제2 방사체(130)가 구리(Cu)인 경우 제1 방사체(110)가 철(Fe), 니켈(Ni)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제1 방사체(110)와 제2 방사체(130)의 재질은 위에서 설명한 재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방사체(110)와 제2 방사체(130)의 재질이 서로 다른 금속 재질이라면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서로 다른 금속 재질의 제1 방사체(110)와 제2 방사체(130)의 일단이 발열 소자(150)를 통해 접점되고 타단이 접촉 단자(160)를 통해 접점되며, 발열 소자(150)는 상대적으로 고온으로 형성되고 접촉 단자(160)는 상대적으로 저온으로 형성되어, 2개의 접점 사이에 온도차가 형성됨으로써 기전력이 발생하게 된다(제베크 효과).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폐회로 상에서 기전력이 발생하며 발생되는 기전력은 전선(115, 135)을 통해 상기 방열 유닛으로 전달되며, 상기 방열 유닛을 통해 발열 소자(150)를 냉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방열 유닛은 모터(170) 및 송풍팬(19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접촉 단자(160)는 캐리어(100)의 타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방사체(110) 및 제2 방사체(130)의 타단은 캐리어(100)의 타면에 형성된 접촉 단자(160)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캐리어(100)에는 한 쌍의 관통홀(101, 103)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관통홀(101, 103)에 의해 형성되는 캐리어(100)의 내측에는 각각 도전성 박막(111, 1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전성 박막(111)의 일측은 제1 방사체(110)의 타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도전성 박막(111)의 타측은 접촉 단자(16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전성 박막(131)의 일측은 제2 방사체(130)의 타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도전성 박막(131)의 타측은 접촉 단자(16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캐리어(100)의 타면에 형성되는 접촉 단자(160)와 제1 방사체(110) 및 제2 방사체(130)의 타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별도의 전력원을 구비하지 않고 발열 소자(150)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전력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방열 유닛을 동작시킴으로써 안테나 시스템(10)을 냉각시킬 수 있어, 발열 소자(150)로부터 발생한 열이 다른 전기적 소자 및 부품에 영향을 주어 안테나 시스템(10)의 고장을 유발하거나 안테나 시스템(10)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앞선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1 방사체(110), 제2 방사체(130), 발열 소자(150), 접촉 단자(160)를 제베크 효과가 발생하도록 폐회로로 구성함으로써, 열전 소자(200)를 이용하지 않고 기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방열 유닛을 동작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안테나 시스템(10)이 사용되는 활용예로서,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따른 안테나 시스템(10)은 무선 통신 장치에 구비되어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으며, 차량에 구비되어 차량의 텔레매틱스를 구현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안테나 시스템
100: 캐리어
101, 103, 113, 133: 관통홀
110: 제1 방사체
111, 131: 도전성 박막
115, 135: 전선
130: 제2 방사체
150: 발열 소자
160: 접촉 단자
170: 모터
190: 송풍팬
200: 열전 소자
210a, 210b: 전극 연결판 연결 기판
230a: 상부 전극 연결판
230b: 하부 전극 연결판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캐리어;
    상기 캐리어에 배치되는 발열 소자;
    상기 캐리어의 일면에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발열 소자와 연결되어 상기 발열 소자로부터 열을 전달받는 제1 방사체;
    상기 제1 방사체와 이격되어 상기 캐리어의 일면에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발열 소자와 연결되어 상기 발열 소자로부터 열을 전달받는 제2 방사체;
    상기 제1 방사체의 타단 및 상기 제2 방사체의 타단과 연결되는 접촉 단자; 및
    상기 접촉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접촉 단자로부터 전달되는 전기를 이용하여 상기 발열 소자의 열을 방열시키는 방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 단자는,
    상기 캐리어의 타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방사체 및 상기 제2 방사체의 타단은 상기 캐리어의 타면에 형성된 상기 접촉 단자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 기능을 갖는 안테나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사체와 상기 제2 방사체는 서로 다른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 기능을 갖는 안테나 시스템.
  5. 삭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유닛은,
    상기 접촉 단자로부터 전달되는 전기를 공급받아 구동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방열 기능을 갖는 안테나 시스템.
  7. 제3항에 따른 방열 기능을 갖는 안테나 시스템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KR1020190085753A 2019-07-16 2019-07-16 방열 기능을 갖는 안테나 시스템 KR102132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753A KR102132681B1 (ko) 2019-07-16 2019-07-16 방열 기능을 갖는 안테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753A KR102132681B1 (ko) 2019-07-16 2019-07-16 방열 기능을 갖는 안테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2681B1 true KR102132681B1 (ko) 2020-07-10

Family

ID=71604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5753A KR102132681B1 (ko) 2019-07-16 2019-07-16 방열 기능을 갖는 안테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26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99247A1 (en) * 2021-12-16 2023-06-21 The Boeing Company Thermoelectric cooling assembly and method for thermally insulating an aircraft fuselage exterior from an aircraft antennae array
KR20230095276A (ko) 2021-12-22 2023-06-29 위너콤 주식회사 차량용 안테나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9732A (ja) * 1997-01-27 1998-08-07 Sanwa Insatsu:Kk マイクロリピーターアンテナ
JP2012169899A (ja) * 2011-02-15 2012-09-06 Oleg Nizhnik 情報通信装置及び生体情報取得装置
KR101596757B1 (ko) 2014-11-05 2016-02-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텔레매틱스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61421A (ko) * 2017-11-28 2019-06-05 삼호중장비산업 주식회사 대전력 충전기의 과열 방지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9732A (ja) * 1997-01-27 1998-08-07 Sanwa Insatsu:Kk マイクロリピーターアンテナ
JP2012169899A (ja) * 2011-02-15 2012-09-06 Oleg Nizhnik 情報通信装置及び生体情報取得装置
KR101596757B1 (ko) 2014-11-05 2016-02-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텔레매틱스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61421A (ko) * 2017-11-28 2019-06-05 삼호중장비산업 주식회사 대전력 충전기의 과열 방지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99247A1 (en) * 2021-12-16 2023-06-21 The Boeing Company Thermoelectric cooling assembly and method for thermally insulating an aircraft fuselage exterior from an aircraft antennae array
US11926424B2 (en) 2021-12-16 2024-03-12 The Boeing Company Thermoelectric cooling assembly and method for thermally insulating an aircraft fuselage exterior from an aircraft antennae array
KR20230095276A (ko) 2021-12-22 2023-06-29 위너콤 주식회사 차량용 안테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95370A (en) Heat-sinking arrangement for circuit elements
EP2355628B1 (en) Mobile terminal
CN100593366C (zh) 用于光学分组件的散热片
KR102132681B1 (ko) 방열 기능을 갖는 안테나 시스템
CN111512497A (zh) 天线模块和通信装置
EP1632998A1 (en) High power electronic package with enhanced cooling characteristics
JP5920123B2 (ja) 車載用アンテナ装置
WO2011067984A1 (ja) 撮像素子パッケージの放熱構造
JP5067038B2 (ja) 半導体装置
CN212517170U (zh) 一种芯片封装结构及电子设备
US6710691B2 (en) Transformer with an associated heat-dissipating plastic element
CN107708286A (zh) 印刷电路板组件
TWI631887B (zh) 散熱結構及具有所述散熱結構的電子裝置
EP1950805A1 (en) Electronic element, package having same, and electronic device
US11894732B2 (en) Electric machine
KR100756535B1 (ko) 피씨비 생산 기법을 응용한 고효율 방열기 구조 및 이를이용한 방열기 일체형 열전소자 구조.
JP2001308235A (ja) 半導体モジュール
JP2018142055A (ja) ヒートシンク、回路基板、及び無線通信装置
JP4770518B2 (ja) 高出力増幅器
KR20030011159A (ko) 반도체패키지
JP2002076217A (ja) 放熱装置
CN210745657U (zh) 一种点电源装置及电源组件
JP2020053567A (ja) 光モジュール
JP2010514197A (ja) 放熱パターンを有する半導体集積回路
JP2010109236A (ja) ビーズコアの放熱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