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1913B1 - 보행자 쉘터용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제거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행자 쉘터 - Google Patents

보행자 쉘터용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제거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행자 쉘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1913B1
KR102131913B1 KR1020200001545A KR20200001545A KR102131913B1 KR 102131913 B1 KR102131913 B1 KR 102131913B1 KR 1020200001545 A KR1020200001545 A KR 1020200001545A KR 20200001545 A KR20200001545 A KR 20200001545A KR 102131913 B1 KR102131913 B1 KR 102131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ase surface
fine dust
shelter
pedestri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1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청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원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원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원코리아
Priority to KR1020200001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19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1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1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11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3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ionisation
    • F24F2003/168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자 쉘터용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제거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행자 쉘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행자 쉘터의 천장에 설치되고 음이온 발생기를 이용하여 미세먼지의 흡착 제거 기능을 제공하며, 음이온 발생기에서 방출된 음이온에 흡착 경화된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이 보행자 쉘터의 천장이나 벽면으로 부유하여 흡착되는 흑화(黑化)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보행자 쉘터용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제거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행자 쉘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보행자 쉘터용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제거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행자 쉘터 {Removing apparatus of fine dust and harmful substances for pedestrian shelter and pedestrian shelt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보행자 쉘터용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제거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행자 쉘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보행자 쉘터의 천장에 설치되고 음이온 발생기를 이용하여 미세먼지의 흡착 제거 기능을 제공하며, 음이온 발생기에서 방출된 음이온에 흡착 경화된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이 보행자 쉘터의 천장이나 벽면으로 부유하여 흡착되는 흑화(黑化)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보행자 쉘터용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제거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행자 쉘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에 의한 대기 오염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인체 건강에 큰 우려가 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지름이 10마이크로미터보다 작은 입자를 미세먼지라고 한다. 미세먼지는 주로 연소 입자인 탄소, 유기탄화수소, 질산염, 황산염, 유해금속 성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크기가 매우 작아서 코와 기도를 거쳐 기도 깊숙한 폐포에 도달할 수 있으며, 크기가 작을수록 폐포를 직접 통과해서 혈액을 통해 전신적인 순환을 할 수 있다. 지름이 2.5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입자는 초미세먼지로 더욱 구분한다.
횡단보도 인근에서 보행자가 횡단 신호를 기다리는 보행자 쉘터 내부, 또는 버스 이용을 위해 대기하는 승객들을 위한 버스 쉘터 내부의 미세먼지를 제거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기술들이 제안된 바 있다.
종래기술의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007704(2019년07월31일)는 미세먼지 제어 기능과 에어나이프에 의한 미세먼지 차단 기능을 구비한 버스 쉘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에어커튼장치와 환기장치를 이용하여 버스 쉘터 내부의 미세먼지 제어와 차단 기능을 제공하는 구성을 제안하였다.
또다른 종래기술의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025329(2019년09월19일)는 공기정화 기능을 포함하는 기능성 쉘터에 관한 것으로서, 벤치, 기둥 및 차양수단으로 이루어지되, 공기정화수단을 더 구비하여 외부 공기를 흡입 후 정화시켜 쉘터 내의 상부, 즉 사람이 서있을 때 키높이 보다 높은 곳에서 정화된 공기를 분사시킬 수 있도록 하며, 더 나아가 상기 벤치 상면으로부터 정화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입체적으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구성을 제안하였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쉘터 내부와 외부의 공기를 에어커튼으로 구분하여 미세먼지를 제어하는 구성을 취하거나 공기정화를 위해 환기장치를 포함하는 구성을 취하므로, 에어커튼이나 환기장치의 운용에 많은 전력이 소모된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들은 쉘터에 에어커튼이나 환기장치와 같은 별도의 장치가 설치되는 구성이므로, 기존에 설치된 쉘터의 구조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설치되기 어렵고 쉘터의 기본 구조를 이에 맞게 별도로 제작해야 하는 한계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007704(2019년07월31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025329(2019년09월19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보행자 쉘터의 천장에 설치되고 음이온 발생기를 이용하여 미세먼지의 흡착 제거 기능을 제공하며, 음이온 발생기에서 방출된 음이온에 흡착 경화된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이 보행자 쉘터의 천장이나 벽면으로 부유하여 흡착되는 흑화(黑化)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보행자 쉘터용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제거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행자 쉘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직선 형태로 연장된 중공형의 관 형상을 가지며, 일단 및 타단에 각각 구비된 커버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커버 부재에 전원연결단자가 설치되고, 상부면 측에 보행자 쉘터의 천장면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고정 부재가 구비되고, 하부면의 중심부에 관 형상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음이온 발생 토출부가 노출되기 위해 적어도 일부의 개방 영역을 포함하는 기저면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직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음이온 발생기 기판부; 및 상기 음이온 발생기 기판부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며, 상기 본체의 기저면부의 개방 영역을 통해 하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음이온 발생 토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보행자 쉘터용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제거장치가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는, 횡방향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하부면의 중심부에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음이온 발생 토출부가 노출되기 위해 적어도 일부의 개방 영역을 포함하는 기저면부와, 상기 기저면부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기저면부보다 외측 하부 방향으로 확장 형성된 좌측 확장부 및 우측 확장부와, 상기 좌측 확장부의 외측 단부와 상기 우측 확장부의 외측 단부를 상부에서 둘러싸는 형태로 연결하며 상기 음이온 발생기 기판부가 내부에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좌측 확장부의 내측 단부 및 우측 확장부의 내측 단부의 사이에는 개구면이 형성되고, 상기 기저면부는 상기 개구면을 차단하되 적어도 일부의 개방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좌측 확장부 및 우측 확장부에 착탈식 결합이 가능한 판상형 부재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좌측 확장부의 내측 단부 및 우측 확장부의 내측 단부에는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좌측 결합용 홈 및 우측 결합용 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기저면부의 좌측 단부와 우측 단부가 각각 상기 좌측 결합용 홈 또는 우측 결합용 홈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저면부는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단위 기저면부로 분할 형성되며, 인접한 2개의 단위 기저면부가 형성하는 간격 공간을 통해 상기 음이온 발생 토출부가 노출된다.
바람직하게, 인접한 2개의 단위 기저면부가 형성하는 간격 공간에는 상기 음이온 발생 토출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음이온 발생 토출부가 상하로 관통하는 음이온 발생 토출부 고정부재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의 좌측 내측면 및 우측 내측면에는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좌측 내부 결합용 홈 및 우측 내부 결합용 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음이온 발생기 기판부의 좌측 단부와 우측 단부가 각각 상기 좌측 내부 결합용 홈 또는 우측 내부 결합용 홈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의 횡방향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상기 좌측 확장부 및 우측 확장부의 각각의 단면 형상은 원 형상의 일부를 포함하는 형상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하부면이 보행자 쉘터의 천장면을 구성하는 지붕 부재; 및 상단부에 상기 지붕 부재의 일측이 결합되며 하단부가 지면에 고정되어 상기 지붕 부재가 지면으로부터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복수개의 상기 고정 부재를 통해 상기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제거장치가 상기 천장면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 부재는 힌지부를 구비하여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제거장치의 본체의 설치 각도를 가변 가능하도록 구성된 보행자 쉘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하부면이 보행자 쉘터의 천장면을 구성하는 지붕 부재; 및 상단부에 상기 지붕 부재의 일측이 결합되며 하단부가 지면에 고정되어 상기 지붕 부재가 지면으로부터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천장면에 직선 형태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수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 내부 공간에 상기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제거장치가 설치된 보행자 쉘터가 개시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보행자 쉘터의 천장에 설치되고 음이온 발생기를 이용하여 미세먼지의 흡착 제거 기능을 제공하며, 음이온 발생기에서 방출된 음이온에 흡착 경화된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이 보행자 쉘터의 천장이나 벽면으로 부유하여 흡착되는 흑화(黑化) 현상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쉘터용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제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쉘터용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제거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쉘터용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제거장치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쉘터용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제거장치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쉘터용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제거장치의 본체의 각도 조절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쉘터의 저면 방향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쉘터의 주요부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쉘터의 저면 방향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쉘터의 상면 방향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쉘터의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하는 것을 표현하려는 것이지, 다른 구성요소 또는 특징이 존재 또는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쉘터용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제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쉘터용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제거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쉘터용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제거장치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쉘터용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제거장치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쉘터용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제거장치의 본체의 각도 조절 상태도이다.
본 실시예의 보행자 쉘터용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제거장치(DR)는 보행자 쉘터(100)의 천장에 설치되고 음이온 발생기(24)를 이용하여 미세먼지의 흡착 제거 기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보행자 쉘터(100)는 횡단보도 인근에서 횡단 신호를 기다리는 보행자가 이용하는 보행자 쉘터이거나, 또는 버스 탑승을 위해 대기하는 승객들이 이용하는 버스 쉘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보행자 쉘터용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제거장치(DR)는 본체(10), 복수의 음이온 발생기 기판부(20) 및 음이온 발생 토출부(30)를 포함한다. 음이온 발생 토출부(30)는 일예로 메탈 섬유가 될 수 있으며, 음이온 발생기(24)로부터 발생된 음이온을 공기 중으로 방출할 수 있다면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음이온 발생 토출부(30)가 메탈 섬유인 경우를 예시 설명한다.
상기 본체(10)는, 직선 형태로 연장된 중공형의 관 형상을 가지며, 일단(10-1) 및 타단(10-2)에 각각 구비된 커버 부재(12) 중 적어도 하나의 커버 부재(12)에 전원연결단자(11)가 설치되고, 상부면 측에 보행자 쉘터(100)의 천장면(112)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고정 부재(116)가 구비된다.
일예로, 고정 부재(116)는 도 3에 예시된 것처럼, 본체(10) 상부에 일측이 결합(걸림 결합, 착탈 결합 등)되고, 타측이 보행자 쉘터(100)의 천장면(112)에 볼트 고정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으며, 중간에 힌지축(부호 미도시)를 구비하여 각도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전원연결단자(11)는 보행자 쉘터(100)의 천장에 내설된 외부 전원(미도시)이 연결되어 음이온 발생기 기판부(20)에 내부 전선(미도시)를 통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는, 하부면의 중심부에 관 형상의 길이 방향(L1-L2)을 따라 형성되며 음이온 발생 토출부(30)가 노출되기 위해 적어도 일부의 개방 영역(14a)을 포함하는 기저면부(14)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음이온 발생기 기판부(20)는 상기 본체(1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10)의 길이 방향(L1-L2)을 따라 간격을 두고 직렬로 배치된다.
복수의 음이온 발생기 기판부(20)는 상호 간에 직렬적으로 전원 공급용 전선(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으며, 최외측의 음이온 발생기 기판부(20)는 전원연결단자(11)와 전선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변형예로서, 복수의 음이온 발생기 기판부(20)는 상호 간에 병렬적으로 전원 공급용 전선(미도시)이 연결될 수도 있다. 복수의 음이온 발생기 기판부(20)의 개수 및 직렬 배치 간격은 요구되는 미세먼지 제거 성능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직렬 배치 구조를 통해, 본 실시예의 보행자 쉘터용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제거장치(DR)는 하나의 장치의 설치 만으로 복수의 음이온 발생기를 동시에 설치하는 것과 같은 설치 편의성을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보행자 쉘터용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제거장치(DR)는 직선 형태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므로, 사각형의 형태로 제작되는 통상적인 보행자 쉘터(100)의 천장에 적절한 간격 및 배치 구조로 분산 설치하기에 용이하다.
음이온 발생기 기판부(20)에는 음이온 발생기(24)가 구비된다.
음이온 발생기(24)는 다양한 구성이 공지된 바 있으며, 일예로, 다음과 같은 구성을 통해 음이온을 발생시켜 후술하는 음이온 발생 토출부(30)의 하단 팁을 통해 음이온을 방출할 수 있다.
직류전원공급부에서 전원이 공급되면, 콘덴서로 구성된 발진부가 발진 작동하여 일정 주파수의 출력펄스를 발생시킨다. 저항과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승압부가 상기 발진부로부터 출력되는 일정 주파수의 직류전압을 고전압으로 변환시킨다.
다수의 콘덴서와 다이오드가 직병렬로 연결된 구성된 고전압부가 상기 승압부의 출력전압을 음이온 발생에 필요한 고전압으로 승압시킴과 동시에, 공기의 절연저항을 파괴하는 전압값으로 음전압을 발생시킴으로써, 음이온의 발생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고전압부에서 출력되는 고전압에 의해 음이온방출부가 구동되고, 외부로 인출된 방전용 전선에 연결된 음이온 발생 토출부(30)에서 높은 음전압이 발생하여 음이온이 생성 및 방출된다.
상기 음이온 발생 토출부(30)는 상기 음이온 발생기 기판부(20)로부터 하부(D)로 연장되며, 상기 본체(10)의 기저면부(14)의 개방 영역(14a)을 통해 하부(D)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개방 영역(14a)은 하나의 기저면부(14)의 중간에 관통 형성될 수도 있고, 하나의 상기 기저면부(14)가 분할 형성된 복수의 단위 기저면부(14')의 사이 공간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예로, 상기 음이온 발생 토출부(30)가 메탈 섬유인 경우, 메탈 섬유는 은나노로 코팅된 다음 합성수지로 피복 처리되고, 그 끝단은 피복되지 않고 내부의 음이온 발생 토출부(30)가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어 음이온 발생기(24)로부터 발생된 음이온을 공기 중으로 방출한다. 바람직하게, 음이온 발생 토출부(30)의 하단 팁은 미세먼지 유착시에 교체 가능하도록 분리결합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본체(10)의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본체(10)는, 횡방향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하부면의 중심부에 본체(10)의 길이 방향(L1-L2)을 따라 형성되며 음이온 발생 토출부(30)가 노출되기 위해 적어도 일부의 개방 영역(14a)을 포함하는 기저면부(1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10)는, 상기 기저면부(14)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기저면부(14)보다 외측 하부(D) 방향으로 확장 형성된 좌측 확장부(15a) 및 우측 확장부(15b)를 포함한다. 좌측 확장부(15a) 및 우측 확장부(15b)는 음이온 발생 토출부(30)의 하단 팁 인근에 부유하는 미세먼지 입자들이 그 사이 공간에서 벗어나지 않고 음이온에 흡착 경화되어 바닥으로 침전 제거되기에 유리한 환경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음이온 발생 토출부(30)의 하단 팁은 좌측 확장부(15a) 및 우측 확장부(15b)의 최하단부보다 더 높은 위치에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세먼지 입자의 침전 제거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좌측 확장부(15a)의 내측 단부(15a-2) 및 우측 확장부(15b)의 내측 단부(15b-2)의 사이에는 개구면(15c)이 형성되고, 상기 기저면부(14)는 상기 개구면(15c)을 차단하되 적어도 일부의 개방 영역(14a)을 포함하며 상기 좌측 확장부(15a) 및 우측 확장부(15b)에 착탈식 결합이 가능한 판상형 부재로 구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좌측 확장부(15a)의 내측 단부(15a-2) 및 우측 확장부(15b)의 내측 단부(15a-2)에는 상기 본체(10)의 길이 방향(L1-L2)을 따라 연장된 좌측 결합용 홈(15a-3) 및 우측 결합용 홈(15b-3)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기저면부(14)의 좌측 단부(14a)와 우측 단부(14b)가 각각 상기 좌측 결합용 홈(15a-3) 또는 우측 결합용 홈(15b-3)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결합된다.
이러한 슬라이딩 방식의 삽입 결합 구조를 통해, 본 실시예의 보행자 쉘터용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제거장치(DR)는 복수의 음이온 발생기를 하나의 장치로 구성하는데 있어서 양호한 조립 편의성을 제공한다.
일예로, 상기 기저면부(14)는 상기 본체(10)의 길이 방향(L1-L2)을 따라 복수의 단위 기저면부(14')로 분할 형성되며, 단위 기저면부(14')의 일단 또는 양단부는 개방 영역(14a) 형성을 위해 오목부 형태로 구성된다. 인접한 2개의 단위 기저면부(14')의 개방 영역(14a)이 서로 만나서 형성하는 간격 공간(14d)을 통해 상기 음이온 발생 토출부(30)가 노출된다. 복수의 단위 기저면부(14')로 분할 형성된 구조는 양호한 조립 편의성을 제공한다.
인접한 2개의 단위 기저면부(14')가 형성하는 간격 공간(14d)에는 상기 음이온 발생 토출부(3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음이온 발생 토출부(30)가 상하로 관통하는 음이온 발생 토출부 고정부재(32)가 설치된다. 일예로, 음이온 발생 토출부 고정부재(32)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단위 기저면부(14')의 개방 영역(14a)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음이온 발생 토출부 고정부재(32)의 형상은 원통 형상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본체(10)는, 상기 좌측 확장부(15a)의 외측 단부(15a-1)와 상기 우측 확장부(15b)의 외측 단부(15b-1)를 상부에서 둘러싸는 형태로 연결하며 상기 음이온 발생기 기판부(20)가 내부에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몸체부(16)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좌측 내측면(10a) 및 우측 내측면(10b)에는 상기 본체(10)의 길이 방향(L1-L2)을 따라 연장된 좌측 내부 결합용 홈(10a-1) 및 우측 내부 결합용 홈(10b-1)이 각각 형성된다.
이를 통해, 판상으로 형성된 상기 음이온 발생기 기판부(20)의 좌측 단부(20a)와 우측 단부(20b)가 각각 상기 좌측 내부 결합용 홈(10a-1) 또는 우측 내부 결합용 홈(10b-1)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결합된다.
이러한 슬라이딩 방식의 삽입 결합 구조를 통해, 본 실시예의 보행자 쉘터용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제거장치(DR)는 복수의 음이온 발생기를 하나의 장치로 구성하는데 있어서 양호한 조립 편의성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보행자 쉘터용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제거장치(DR)는 다음과 같이 미세먼지 제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제거장치(DR)의 전원연결단자(11)가 보행자 쉘터(100)의 천장에 내설된 외부 전원에 연결된 상태에서 전원이 인가되면, 음이온 발생기(24)가 음이온을 발생시켜 음이온 발생 토출부(30)의 하단 팁을 통해 좌측 확장부(15a) 및 우측 확장부(15b)의 사이 공간에 음이온을 방출하게 된다. 전원 인가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
좌측 확장부(15a) 및 우측 확장부(15b)의 사이 공간에서 양이온 입자 상태로 부유 상태에 있던 공기 중의 미세먼지 입자들이 음이온에 흡착 경화되어 더 큰 입자를 이루게 된다. 미세먼지 입자들이 흡착되어 그 크기가 일반 먼지 입자 정도로 커지게 되면, 입자의 하중에 의해 보행자 쉘터(100)의 바닥으로 침전되어 공기 중에 부유하던 미세먼지 입자가 보행자 쉘터(100)의 바닥으로 침전 제거된다.
이 과정 중에 음이온 발생 토출부(30)의 하단 팁에 인접한 미세먼지 중 부유 상태를 유지하는 일부 미세먼지 입자들이 더 상층으로 부유하여 보행자 쉘터(100)의 천장면(112)으로 이동하여 흡착되는 흑화(黑化)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본체(10)는 상기 기저면부(14)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기저면부(14)보다 외측 하부(D) 방향으로 확장 형성된 좌측 확장부(15a) 및 우측 확장부(15b)를 포함하므로, 좌측 확장부(15a) 및 우측 확장부(15b)가 미세먼지의 상부(U)로의 부유를 가로막는 일종의 격벽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도 3).
그러므로, 음이온 발생 토출부(30)의 하단 팁에 인접한 미세먼지는 더 상층으로 부유하지 못하고 좌측 확장부(15a) 및 우측 확장부(15b)의 사이 공간에 더 머물면서 음이온에 흡착 경화될 가능성이 높아지며, 음이온에 흡착 경화되어 더 큰 입자를 이루게 되고 입자의 하중에 의해 보행자 쉘터(100)의 바닥으로 침전되어 제거된다.
이와 같이, 상기 좌측 확장부(15a) 및 우측 확장부(15b)가 상기 기저면부(14)보다 외측 하부(D) 방향으로 각각 확장 형성됨으로써, 본 실시예의 보행자 쉘터용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제거장치(DR)는, 음이온 발생기에서 방출된 음이온에 흡착 경화된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이 보행자 쉘터의 천장이나 벽면으로 부유하여 흡착되는 흑화(黑化)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10)의 횡방향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상기 좌측 확장부(15a) 및 우측 확장부(15b)의 각각의 단면 형상은 원 형상의 일부를 포함하는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원 형상의 단면 형상을 취함으로써, 본 실시예의 보행자 쉘터용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제거장치(DR)는 상술한 흑화(黑化) 현상을 방지하는 것과 함께, 취급 및 설치 상태에서 외부 충격에 더 잘 견디면서, 미감 상으로도 양호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쉘터의 저면 방향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쉘터의 주요부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쉘터의 저면 방향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쉘터의 상면 방향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보행자 쉘터(100)는 지붕 부재(110) 및 지지부재(120)를 포함한다.
상기 지붕 부재(110)는 하부면이 보행자 쉘터(100)의 천장면(112)을 구성한다.
상기 지지부재(120)는, 상단부(120a)에 상기 지붕 부재(110)의 일측이 결합되며 하단부(120b)가 지면(G)에 고정되어 상기 지붕 부재(110)가 지면(G)으로부터 지지되도록 한다.
복수개의 상기 고정 부재(116)를 통해 상술한 본 실시예의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제거장치(DR)가 상기 천장면(112)에 설치된다.
일예로, 상기 고정 부재(116)는 힌지부를 구비하여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제거장치(DR)의 본체(10)의 설치 각도(a)를 가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힌지부를 통해 본 실시예의 고정 부재(116)는 설치 위치 및 배치 상태에 따라 도 5와 같이 다양한 설치 방향 설정이 가능하다. 도 7은 병렬 설치된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제거장치(DR)들이 보행자 쉘터(100) 아래 공간의 중앙부를 서로 향하도록 설치 방향이 설정된 상태를 예시한다. 미설명 부호 117은 조명기구이며, 부호 127은 먼지 센서이다.
이러한 설치 구조를 취하는 경우, 기존에 설치된 보행자 쉘터의 구조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제거장치(DR)를 추가적으로 설치하기에 유리하며, 보행자 쉘터의 천장 구조 및 크기에 맞추어 설치 방향을 설정하기에 유리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쉘터의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보행자 쉘터(100)는 상술한 도 6 내지 도 9와 동일한 형태로 지붕 부재(110) 및 지지부재(1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보행자 쉘터(100)는 상기 천장면(112)에 직선 형태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수납홈(114)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114) 내부 공간(114a)에 상술한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제거장치(DR)가 매립형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설치 구조를 취하는 경우, 미관 측면에서 더욱 양호하며, 외부 충격에 의한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제거장치(DR)의 손상을 방지하기에 유리하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0: 본체
11: 전원연결단자
12: 커버 부재
14: 기저면부
14': 단위 기저면부
14a: 개방 영역
15a: 좌측 확장부
15b: 우측 확장부
15c: 개구면
16: 상부 몸체부
20: 음이온 발생기 기판부
30: 음이온 발생 토출부
100: 보행자 쉘터
110: 지붕 부재
112: 천장면
116: 고정 부재
112: 천장면
114: 수납홈
120: 지지부재
DR: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제거장치

Claims (10)

  1. 직선 형태로 연장된 중공형의 관 형상을 가지며, 일단(10-1) 및 타단(10-2)에 각각 구비된 커버 부재(12) 중 적어도 하나의 커버 부재(12)에 전원연결단자(11)가 설치되고, 상부면 측에 보행자 쉘터(100)의 천장면(112)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고정 부재(116)가 구비되고, 하부면의 중심부에 관 형상의 길이 방향(L1-L2)을 따라 형성되며 음이온 발생 토출부(30)가 노출되기 위해 적어도 일부의 개방 영역(14a)을 포함하는 기저면부(14)를 포함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10)의 길이 방향(L1-L2)을 따라 간격을 두고 직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음이온 발생기 기판부(20); 및
    상기 음이온 발생기 기판부(20)로부터 하부(D)로 연장되며, 상기 본체(10)의 기저면부(14)의 개방 영역(14a)을 통해 하부(D)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음이온 발생 토출부(3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10)는, 횡방향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하부면의 중심부에 본체(10)의 길이 방향(L1-L2)을 따라 형성되며 음이온 발생 토출부(30)가 노출되기 위해 적어도 일부의 개방 영역(14a)을 포함하는 기저면부(14)와, 상기 기저면부(14)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기저면부(14)보다 외측 하부(D) 방향으로 확장 형성된 좌측 확장부(15a) 및 우측 확장부(15b)와, 상기 좌측 확장부(15a)의 외측 단부(15a-1)와 상기 우측 확장부(15b)의 외측 단부(15b-1)를 상부에서 둘러싸는 형태로 연결하며 상기 음이온 발생기 기판부(20)가 내부에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몸체부(16)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 확장부(15a)의 내측 단부(15a-2) 및 우측 확장부(15b)의 내측 단부(15b-2)의 사이에는 개구면(15c)이 형성되고, 상기 기저면부(14)는 상기 개구면(15c)을 차단하되 적어도 일부의 개방 영역(14a)을 포함하며 상기 좌측 확장부(15a) 및 우측 확장부(15b)에 착탈식 결합이 가능한 판상형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좌측 확장부(15a)의 내측 단부(15a-2) 및 우측 확장부(15b)의 내측 단부(15a-2)에는 상기 본체(10)의 길이 방향(L1-L2)을 따라 연장된 좌측 결합용 홈(15a-3) 및 우측 결합용 홈(15b-3)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기저면부(14)의 좌측 단부(14a)와 우측 단부(14b)가 각각 상기 좌측 결합용 홈(15a-3) 또는 우측 결합용 홈(15b-3)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결합되며,
    상기 기저면부(14)는 상기 본체(10)의 길이 방향(L1-L2)을 따라 복수의 단위 기저면부(14')로 분할 형성되며, 인접한 2개의 단위 기저면부(14')가 형성하는 간격 공간(14d)을 통해 상기 음이온 발생 토출부(30)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쉘터용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제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인접한 2개의 단위 기저면부(14')가 형성하는 간격 공간(14d)에는 상기 음이온 발생 토출부(3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음이온 발생 토출부(30)가 상하로 관통하는 음이온 발생 토출부 고정부재(3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쉘터용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제거장치.
  7. 직선 형태로 연장된 중공형의 관 형상을 가지며, 일단(10-1) 및 타단(10-2)에 각각 구비된 커버 부재(12) 중 적어도 하나의 커버 부재(12)에 전원연결단자(11)가 설치되고, 상부면 측에 보행자 쉘터(100)의 천장면(112)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고정 부재(116)가 구비되고, 하부면의 중심부에 관 형상의 길이 방향(L1-L2)을 따라 형성되며 음이온 발생 토출부(30)가 노출되기 위해 적어도 일부의 개방 영역(14a)을 포함하는 기저면부(14)를 포함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10)의 길이 방향(L1-L2)을 따라 간격을 두고 직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음이온 발생기 기판부(20); 및
    상기 음이온 발생기 기판부(20)로부터 하부(D)로 연장되며, 상기 본체(10)의 기저면부(14)의 개방 영역(14a)을 통해 하부(D)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음이온 발생 토출부(3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10)는, 횡방향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하부면의 중심부에 본체(10)의 길이 방향(L1-L2)을 따라 형성되며 음이온 발생 토출부(30)가 노출되기 위해 적어도 일부의 개방 영역(14a)을 포함하는 기저면부(14)와, 상기 기저면부(14)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기저면부(14)보다 외측 하부(D) 방향으로 확장 형성된 좌측 확장부(15a) 및 우측 확장부(15b)와, 상기 좌측 확장부(15a)의 외측 단부(15a-1)와 상기 우측 확장부(15b)의 외측 단부(15b-1)를 상부에서 둘러싸는 형태로 연결하며 상기 음이온 발생기 기판부(20)가 내부에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몸체부(16)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 확장부(15a)의 내측 단부(15a-2) 및 우측 확장부(15b)의 내측 단부(15b-2)의 사이에는 개구면(15c)이 형성되고, 상기 기저면부(14)는 상기 개구면(15c)을 차단하되 적어도 일부의 개방 영역(14a)을 포함하며 상기 좌측 확장부(15a) 및 우측 확장부(15b)에 착탈식 결합이 가능한 판상형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좌측 확장부(15a)의 내측 단부(15a-2) 및 우측 확장부(15b)의 내측 단부(15a-2)에는 상기 본체(10)의 길이 방향(L1-L2)을 따라 연장된 좌측 결합용 홈(15a-3) 및 우측 결합용 홈(15b-3)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기저면부(14)의 좌측 단부(14a)와 우측 단부(14b)가 각각 상기 좌측 결합용 홈(15a-3) 또는 우측 결합용 홈(15b-3)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결합되며,
    상기 본체(10)의 좌측 내측면(10a) 및 우측 내측면(10b)에는 상기 본체(10)의 길이 방향(L1-L2)을 따라 연장된 좌측 내부 결합용 홈(10a-1) 및 우측 내부 결합용 홈(10b-1)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음이온 발생기 기판부(20)의 좌측 단부(20a)와 우측 단부(20b)가 각각 상기 좌측 내부 결합용 홈(10a-1) 또는 우측 내부 결합용 홈(10b-1)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쉘터용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제거장치.
  8.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횡방향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상기 좌측 확장부(15a) 및 우측 확장부(15b)의 각각의 단면 형상은 원 형상의 일부를 포함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쉘터용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제거장치.
  9. 하부면이 보행자 쉘터(100)의 천장면(112)을 구성하는 지붕 부재(110); 및
    상단부(120a)에 상기 지붕 부재(110)의 일측이 결합되며 하단부(120b)가 지면에 고정되어 상기 지붕 부재(110)가 지면으로부터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부재(120);를 포함하며,
    복수개의 상기 고정 부재(116)를 통해 제1항 또는 제7항의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제거장치(DR)가 상기 천장면(112)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 부재(116)는 힌지부를 구비하여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제거장치(DR)의 본체(10)의 설치 각도(a)를 가변 가능하도록 구성된 보행자 쉘터.
  10. 하부면이 보행자 쉘터(100)의 천장면(112)을 구성하는 지붕 부재(110); 및
    상단부(120a)에 상기 지붕 부재(110)의 일측이 결합되며 하단부(120b)가 지면(G)에 고정되어 상기 지붕 부재(110)가 지면(G)으로부터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부재(120);를 포함하며,
    상기 천장면(112)에 직선 형태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수납홈(114)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114) 내부 공간(114a)에 제1항 또는 제7항의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제거장치(DR)가 설치된 보행자 쉘터.
KR1020200001545A 2020-01-06 2020-01-06 보행자 쉘터용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제거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행자 쉘터 KR102131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545A KR102131913B1 (ko) 2020-01-06 2020-01-06 보행자 쉘터용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제거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행자 쉘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545A KR102131913B1 (ko) 2020-01-06 2020-01-06 보행자 쉘터용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제거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행자 쉘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1913B1 true KR102131913B1 (ko) 2020-07-08

Family

ID=71599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1545A KR102131913B1 (ko) 2020-01-06 2020-01-06 보행자 쉘터용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제거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행자 쉘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191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695B1 (ko) * 2010-07-15 2011-04-26 (주)블루앤 음이온 엘이디 형광등
KR101610839B1 (ko) * 2014-10-29 2016-04-08 (주)유원지앤이 방열효율이 우수한 경량의 원터치형 엘이디램프
KR101703237B1 (ko) * 2016-05-30 2017-02-06 백보현 횡단 보도용 쉘터
KR20180038091A (ko) * 2016-10-05 2018-04-16 주식회사 이토피아이앤씨 공기정화 버스 쉘터
KR102007704B1 (ko) 2018-12-03 2019-08-06 주식회사 드웰링 미세먼지 제어 기능과 에어나이프에 의한 미세먼지 차단 기능을 구비한 버스 쉘터의 제어방법
KR102025329B1 (ko) 2019-04-10 2019-09-25 정영철 공기정화 기능을 포함하는 기능성 쉘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695B1 (ko) * 2010-07-15 2011-04-26 (주)블루앤 음이온 엘이디 형광등
KR101610839B1 (ko) * 2014-10-29 2016-04-08 (주)유원지앤이 방열효율이 우수한 경량의 원터치형 엘이디램프
KR101703237B1 (ko) * 2016-05-30 2017-02-06 백보현 횡단 보도용 쉘터
KR20180038091A (ko) * 2016-10-05 2018-04-16 주식회사 이토피아이앤씨 공기정화 버스 쉘터
KR102007704B1 (ko) 2018-12-03 2019-08-06 주식회사 드웰링 미세먼지 제어 기능과 에어나이프에 의한 미세먼지 차단 기능을 구비한 버스 쉘터의 제어방법
KR102025329B1 (ko) 2019-04-10 2019-09-25 정영철 공기정화 기능을 포함하는 기능성 쉘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7786B1 (ko) 차량의 배기 장치
CA2984652C (en) Power bar hanger for modular lighting system
KR102131913B1 (ko) 보행자 쉘터용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제거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행자 쉘터
US20050082160A1 (en) Electro-kinetic air transporter and conditioner devices with a mesh collector electrode
CA2698148A1 (en) High speed tunnel fan with electrostatic filter
DE102008016697A1 (de) Leuchte
CA2984671C (en) Light bar for a lighting system
CA2984672A1 (en) Low profile hanger for modular lighting system
CN110404681A (zh) 复合颗粒带电和吸附功能的过滤器及空气净化设备
EP2661778B1 (de) Leuchte mit flexibler oled und rahmen
EP2601436B1 (de) Leuchte
KR102265917B1 (ko) 공기정화방음벽
ES2021891B3 (es) Salida de aire para recintos interiores, en especial para el recinto interior de un vehiculo de motor
IT8553594V0 (it) Plafoniera per autovetture incorporante un attrezzatura di cortesia per i passeggeri posteriori
JP6956367B2 (ja) 照明装置
CA2984651C (en) Laterally supported lights
CN209154917U (zh) 一种火灾辅助救援无人机
JP2015144109A (ja) 放電装置及び空気処理装置
CN115962435A (zh) 一种负离子空气净化灯
ES2021473B3 (es) Salida de aire para recintos interiores, en especial para el recinto interior de un vehiculo de motor
KR102187786B1 (ko) 미세먼지 제거장치
DE202013103223U1 (de) Flächenheizung
ATE425056T1 (de) Schienenfahrzeug mit wenigstens einem ein- /ausstiegsbereich und einem modularen fussbodenaufbau
TWI793271B (zh) 放電裝置、放電裝置的設置構造、以及放電裝置的設置方法
JP2009172543A (ja) 集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