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0762B1 - 이형필름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이형필름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0762B1
KR102130762B1 KR1020190021116A KR20190021116A KR102130762B1 KR 102130762 B1 KR102130762 B1 KR 102130762B1 KR 1020190021116 A KR1020190021116 A KR 1020190021116A KR 20190021116 A KR20190021116 A KR 20190021116A KR 102130762 B1 KR102130762 B1 KR 102130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ease film
roller
cutting
lay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로
정준희
Original Assignee
정준희
민병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준희, 민병로 filed Critical 정준희
Priority to KR1020190021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7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1/00Machines for separating superposed webs
    • B08B1/002
    • B08B1/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20Cleaning of moving articles, e.g. of moving webs or of objects on a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02Advancing webs by friction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1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 B65H2301/5112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removing material from outer surface
    • B65H2301/51122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removing material from outer surface peeling layer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1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 B65H2301/5115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5Plastic
    • B65H2701/1752Polymer film

Landscapes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형필름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1층과 제2층을 포함하는 이형필름이 이동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함으로써 상기 이형필름을 이동시키는 이송롤러부; 및 상기 케이스부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2층을 제거하는 절삭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롤러부는, 상기 이형필름을 일측방향으로 이송시키며, 상기 절삭부는, 상기 이형필름을 타측방향으로 이송시킴으로써 상기 이형필름에 장력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절삭부는, 상기 이형필름에 압력을 가하는 제1롤러와, 상기 제1롤러가 상기 이형필름에 접촉되거나 이격이 되도록 상기 제1롤러를 이동시키는 제1구동부와, 상기 이형필름의 존재의 유무를 확인하며 상기 이형필름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롤러가 상기 이형필름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1구동부를 동작시키는 제1센서와, 상기 제1롤러와 마주보게 구비되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2층을 제거하는 절삭롤러와, 상기 절삭롤러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이형필름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상기 제1구동부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회동됨으로써 상기 절삭롤러의 상면을 개방하는 절삭커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송롤러부와 절삭부가 이형필름에 장력을 인가시켜 이형필름의 제2층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이형필름을 분리시 공정이 대폭적으로 감소되고, 장치의 크기가 대폭적으로 축소되며 소음 및 분리시 사용되는 에너지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형필름 분리장치{APARTUS FOR REMOVING RELESE FILM}
본 발명은 이형필름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롤러구조를 사용하여 이형필름으로부터 이형지를 물리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이형필름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형필름이란, 점착 및 접착 성분에 잘 붙지 않는 이른바 이형성을 갖는 필름을 의미하는 것으로써 이형필름 중 점착 및 접착을 가지는 부분을 PVC층 또는 필름층이라 부르며, 접착성분이 없는 부분을 크라프트(Kraft paper) 또는 이형지(Relese Paper)라 한다.
세계적으로 디지털화가 급속하게 진행되면서 이형필름의 사용이 많은 전자부품의 수요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이에 전자부품 제작시 발생되는 이형필름 폐기물 또한 증가되면서 국내외적으로 이형필름의 폐기물을 줄이려 이형필름을 재활용하고 있으며, 이형필름의 재활용을 위해서는 이형지의 분리가 필수적이다.
상술한 배경하에서, 이형필름을 재활용하기 위해 필름과 이형제를 분리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이형필름 분리장치에 따르면 화학성분을 이용한 분리 방법과 열을 가하는 방법과 공기의 압력을 이용하여 분리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이형지를 분리하기 위해 오랜 시간이 소요되며, 장치와 복잡한 공정으로 인하여 넓은 공간이 확보되어야하고, 과다한 비용이 지출되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형필름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롤러구조를 사용하여 필름으로부터 이형지를 물리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이형필름 분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1층과 제2층을 포함하는 이형필름이 이동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함으로써 상기 이형필름을 이동시키는 이송롤러부; 및 상기 케이스부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2층을 제거하는 절삭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롤러부는, 상기 이형필름을 일측방향으로 이송시키며, 상기 절삭부는, 상기 이형필름을 타측방향으로 이송시킴으로써 상기 이형필름에 장력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절삭부는, 상기 이형필름에 압력을 가하는 제1롤러와, 상기 제1롤러가 상기 이형필름에 접촉되거나 이격이 되도록 상기 제1롤러를 이동시키는 제1구동부와, 상기 이형필름의 존재의 유무를 확인하며 상기 이형필름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롤러가 상기 이형필름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1구동부를 동작시키는 제1센서와, 상기 제1롤러와 마주보게 구비되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2층을 제거하는 절삭롤러와, 상기 절삭롤러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이형필름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상기 제1구동부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회동됨으로써 상기 절삭롤러의 상면을 개방하는 절삭커버를 포함하는 이형필름 분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케이스부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층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부러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러시부는 상기 이형필름에 압력을 가하는 제2롤러와 상기 제2롤러가 상기 이형필름에 접촉되거나 이격이 되도록 상기 제2롤러를 이동시키는 제2구동부와, 상기 이형필름의 존재할 때 상기 제2롤러가 상기 이형필름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2구동부를 동작시키는 제2센서부와 상기 제2롤러와 마주보게 구비되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층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브러시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롤러구조를 사용하여 이형필름으로부터 이형지를 물리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이형필름을 분리시 공정이 대폭적으로 감소되고, 장치의 크기가 대폭적으로 축소되며 소음 및 분리시 사용되는 에너지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형필름 분리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형필름 분리장치의 이송롤러부와 절삭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형필름 분리장치의 이송롤러부와 브러시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형필름 분리장치의 절삭커버의 이동을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형필름 분리장치의 브러시커버의 이동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형필름 분리장치의 작동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형필름 분리장치의 이송롤러부와 절삭부의 작동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형필름 분리장치의 이송롤러부와 브러시부의 작동을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은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형필름 분리장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형필름 분리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형필름 분리장치의 이송롤러부와 절삭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형필름 분리장치의 이송롤러부와 브러시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형필름 분리장치의 절삭커버의 이동을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형필름 분리장치의 브러시커버의 이동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형필름 분리장치의 작동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형필름 분리장치의 이송롤러부와 절삭부의 작동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형필름 분리장치의 이송롤러부와 브러시부의 작동을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형필름 분리장치(100)는 케이스부(110)와 이송롤러부(120)와 절삭부(130)와 브러시부(140)을 포함한다.
케이스부(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공간에 제1층(R1)과 제2층(R2)을 포함하는 이형필름(R)이 이동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내부공간에는 이송롤러부(120)와 절삭부(130)와 브러시부(140)가 설치된다.
여기서, 제1층(R1)은 필름층을 의미하며 이송롤러(120)에 의해 이송된다. 제2층(R2)은 이형지를 의미하며 절삭부(130)에 의해 제거된다.
또한 케이스부(110)에는, 상술한 이형필름(R)이 내부로 투입되는 투입구(h1)와 제2층(R2)이 제거되어 제1층(R1)으로 이루어진 이형필름(R)이 배출되는 배출구(h2)가 마련된다.
한편 케이스부(110)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절삭부(130)와 브러시부(140)에 회전을 인가하는 제1동력부(P1)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이송롤러(120)에 회전을 인가하는 제2동력부(P2)가 설치된다.
이송롤러부(120)는 회전함으로써 투입구(h1)로 투입된 이형필름(R)을 일측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것으로서, 상술한 케이스부(110) 내부에 마련된다. 또한, 이송롤러부(120)의 일측에는 이형필름(R)과 평행하게 배치됨으로써 이형필름(R)의 텐션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형필름(R)의 이송이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대(S)가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이송롤러부(120)는 보다 상세하게 상단롤러(121)와 하단롤러(122)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이송롤러부(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로 구비되어 이형필름(R)의 이송방향을 따라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단롤러(121)는 이형필름(R)에 압력을 인가하는 것으로서, 이형필름(R)의 상측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단롤러(121)는 이형필름(R)의 두께가 변경되어도 이형필름(R)에 일정한 압력을 인가하기 위한 스프링과 스프링의 압력을 조절하는 조절나사를 포함한다.
하단롤러(122)는 제2동력부(P2)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이형필름(R)을 일측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것으로서, 상술한 상단롤러(121)와 마주보게 배치되며 이형필름(R)의 하측면에 접촉된다.
절삭부(130)는 회전함으로써 투입구(h1)로 투입된 이형필름(R)의 제2층(R2)을 절삭하는 것으로서, 장력을 이형필름(R)에 인가하기 위해 투입구(h1)와 상술한 이송롤러(1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절삭부(130)에 포함되는 절삭롤러(134)는 회전함으로써 접촉되는 제2층(R2)을 제거하는데, 이때 절삭부(130)에 포함되는 제1롤러(131)가 이형필름(R)을 가압하고, 절삭부(130)에 포함되는 절삭롤러(134)가 하단롤러(122)와 회전하는 방향에 반하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이형필름(R)에 장력이 인가된다. 이러한 절삭부(130)의 구조에 따르면 이형필름(R)에 장력이 효과적으로 인가될 수 있으므로, 후술하는 절삭롤러(134)가 제2층(R2)을 제거하는 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상술한 절삭부(130)는 보다 상세하게, 제1롤러(131)와 제1구동부(132)와 제1센서(133)와 절삭롤러(134)와 절삭커버(135)를 포함한다.
제1롤러(131)는 이형필름(R)에 압력을 가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제1구동부(132)에 의해 이동되어 제1층(R1)의 상측면에 접촉되거나 이격이 될 수 있다.
제1구동부(132)는 상술한 제1롤러(131)를 이동시키는 것으로써, 상술한 제1롤러(131)에 연결된다. 상술한 제1구동부(132)는 보다 상세하게, 제1롤러(131)를 이동시키며 제1롤러(131)와 후술하는 절삭커버(134)에 연결되어 있는 이동축과, 구동함으로써 제1구동부(132)를 상하로 동작시키는 제1실린더(c1)와, 이동축 내부에 설치되며 제1롤러(131)와 제1층(R1)에 일정한 압력을 인가하기 위한 스프링과, 이동축 내부에 설치되며 스프링의 압력을 조절하는 조절나사를 포함한다.
제1센서(133)는 이형필름(R)의 존재의 유무를 확인하는 것으로서 이형필름(R)이 존재하는 경우, 상술한 제1실린더(c1)로 작동신호를 전달한다. 작동신호를 전달받은 제1실린더(c1)는 구동되며, 이에 의해서 제1구동부(132)가 동작되어 제1롤러(131)가 하측으로 이동된다.
상술한 제1센서(133)는 이형필름(R)과 접촉하여 감지하는 압력타입과 레이저를 통하여 이형필름(R)을 감지하는 레이저타입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절삭롤러(134)는 제1동력부(P1)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제2층(R2)의 하측면에 접촉하여 제2층(R2)을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것으로서, 제1롤러(131)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술한 절삭롤러(134)는 외주면을 따라 절삭날(134a)이 형성될 수 있다.
절삭커버(135)는 이형필름(R)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으로서, 이형필름(R)이 투입된 직후 절삭롤러(13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되는 것에 의해 이형필름(R)이 이송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절삭커버(135)는 도 4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롤러(134)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가 도 4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형필름이 통과한 후 제1센서(133)에 의해 이형필름(R)이 통과되는 것이 확인되는 경우 제1구동부(132)가 하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회동되어 절삭롤러(134)의 상면을 개방한다.
브러시부(140)는 회전함으로써 제2층(R2)이 제거된 이형필름(R)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으로서, 장력을 이형필름(R)에 인가하기 위해 투입구(h1)와 상술한 이송롤러(1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이물질은, 제1층(R1) 외의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절삭부(130)에 의해 제거된 제2층(R2)의 잔여물과 먼지 등을 포함한다.
상술한 브러시부(140)에 포함되는 브러시롤러(144)는 회전함으로써 접촉되는 제1층(R1)의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이때 브러시부(140)에 포함되는 제2롤러(141)가 이형필름(R)을 가압하며, 브러시부(140)에 포함되는 브러시롤러(144)가 하단롤러(122)와 회전하는 방향에 반하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이형필름(R)에 장력을 인가한다. 이러한 브러시부(140)의 구조에 따르면 이형필름(R)에 장력이 효과적으로 인가될 수 있으므로, 후술하는 브러시롤러(144)가 제1층(R1)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상술한 브러시부(140)는 보다 상세하게, 제2롤러(141)와 제2구동부(142)와 제2센서(143)와 브러시롤러(144)와 브러시커버(145)를 포함한다.
제2롤러(141)는 이형필름(R)에 압력을 인가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제2구동부(142)에 의해 이동되어 제1층(R1)의 상측면에 접촉되거나 이격이 될 수 있다.
제2구동부(142)는 상술한 제2롤러(141)를 이동시키는 것으로써, 상술한 제2롤러(141)에 연결된다. 상술한 제2구동부(142)는 보다 상세하게, 제2롤러(141)를 이동시키며 제2롤러(141)와 후술하는 브러시커버(144)에 연결되어 있는 이동축과, 구동함으로써 제2구동부(142)를 상하로 동작시키는 제2실린더(c2)와, 이동축 내부에 설치되며 제2롤러(142)와 제1층(R1)에 일정한 압력을 인가하기 위한 스프링과, 이동축 내부에 설치되며 스프링의 압력을 조절하는 조절나사를 포함한다.
제2센서(143)는 이형필름(R)의 존재의 유무를 확인하는 것으로서 이형필름(R)이 존재하는 경우, 상술한 제2실린더(c2)로 작동신호를 전달한다. 작동신호를 전달받은 제2실린더(c2)는 구동되며, 이에 의해서 제2구동부(142)가 동작되어 제2롤러(141)가 하측으로 이동된다.
상술한 제2센서(143)는 이형필름(R)과 접촉하여 감지하는 압력타입과 레이저를 통하여 이형필름(R)을 감지하는 레이저타입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브러시롤러(144)는 제1동력장치(P1)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제1층(R1)의 하측면에 접촉하여 제1층(R1)의 이물질을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것으로서, 제2롤러(141)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술한 브러시롤러(144)는 외주면을 따라 브러시(144a)가 형성될 수 있다.
브러시커버(145)는 이형필름(R)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으로서, 제2층(R2)이 제거된 이형필름(R)이 브러시롤러(144)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에 의해 이형필름(R)이 이송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브러시커버(145)는 도 4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시롤러(144)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가 도 4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형필름(R)이 통과한 후 제2센서(143)에 의해 이형필름(R)이 통과되는 것이 확인되는 경우 제2구동부(142)가 하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회동되어 브러시롤러(144)의 상면을 개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부(110)와 이송롤러부(120)와 절삭롤러부(130)와 브러시부(14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형필름 분리장치(100)에 따르면, 롤러구조를 사용하여 이형필름으로부터 이형지를 물리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이형필름을 분리시 공정이 대폭적으로 감소되고, 장치의 크기가 대폭적으로 축소되며 소음 및 분리시 사용되는 에너지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지금부터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형필름 분리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형필름 분리장치의 작동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형필름 분리장치의 이송롤러부 및 절삭부의 작동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형필름 분리장치의 이송롤러부 및 브러시부의 작동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형필름 분리장치(100)의 작동은, 동력부(P)가 작동하는 단계와, 이송롤러부(120)와 절삭부(130)와 브러시부(140)가 작동하는 단계와, 이형필름(R)이 투입되는 단계와, 이송롤러부(120)로 인해 이형필름(R)이 일측방향으로 이송하는 단계와, 제1센서(133)가 이형필름(R)을 감지하는 단계와, 제1구동부(132)가 작동하는 단계와, 제1롤러(131)와 이형필름(R)이 접촉하는 단계와, 절삭부(130)와 이송롤러(120)로 인해 이형필름(R)에 장력이 인가되는 단계와, 절삭롤러(134)로 인해 이형필름(R)의 제2층(R2)이 제거되는 단계와, 제2센서(143)가 이형필름(R)을 감지하는 단계와, 제2구동부(142)가 작동되는 단계와, 제2롤러(141)와 이형필름(R)이 접촉하는 단계와, 브러시부(140)와 이송롤러(120)로 인해 이형필름(R)에 장력이 인가되는 단계와, 브러시롤러(144)로 인해 제1층(R1)의 이물질이 제거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동력장치(P1)와 제2동력장치(P2)에 의해 이송롤러부(120)와 절삭부(130)와 브러시부(140)가 먼저 작동된 후, 이형필름(R)이 투입되면, 이형필름(R)은 일측방향으로 이송되어 절삭커버(135)의 상면을 지나간 후 제1센서(133)측으로 이동된다. 이후, 이송된 이형필름(R)이 제1센서(133)를 통과하면, 제1센서(133)에서 작동 신호가 생성되어 제1구동부(132)로 전달된다. 작동신호를 전달받은 제1구동부(132)는 제1실린더(c1)의 동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절삭커버(135)는 회동되어 절삭롤러(134)의 상면이 개방된다. 이러한 제1구동부(132)의 작동에 따라 제1롤러(131)는 이형필름(R)에 접촉되며, 이후, 절삭롤러(134)와 이송롤러(120)의 회전에 의해 이형필름(R)에 장력이 인가된다. 동시에, 절삭롤러(134)가 회전되며, 이에 의해 제2층(R2)이 제거된다. 이때 제거된 제2층(R2)은 본 장치의 하단부에 배치된 공간에 적재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층(R2)이 제거된 이형필름(R)은 일측방향으로 이송되어 브러시커버(145)의 상면을 지나간 후 제2센서(143)측으로 이동된다. 이후, 이송된 이형필름(R)이 제2센서(143)를 통과하면, 제2센서(143)에서 작동 신호가 생성되어 제2구동부(142)로 전달된다. 작동신호를 전달받은 제2구동부(142)는 제2실린더(c2)의 동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브러시커버(145)는 회동되어 브러시커버(145)의 상면이 개방된다. 이러한 제2구동부(142)의 작동에 따라 제2롤러(141)는 이형필름(R)에 접촉되며, 이후, 브러시롤러(144)와 이송롤러(120)의 회전에 의해 이형필름(R)에 장력이 인가된다. 동시에, 브러시롤러(144)가 회전되며, 이에 의해 제1층(R1)의 이물질이 제거된다. 이후 제2층(R2)이 제거된 제1층(R1)은 배출구(h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독장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형필름 분리장치
110 : 케이스부
120 : 이송롤러부
121 : 상단롤러
122 : 하단롤러
130 : 절삭부
131 : 제1롤러
132 : 제1구동부
133 : 제1센서
134 : 절삭롤러
134a : 절삭날
135 : 절삭커버
140 : 브러시부
141 : 제2롤러
142 : 제2구동부
143 : 제2센서
144 : 브러시롤러
145 : 브러시커버
h1 : 투입구
h2 : 배출구
c1 : 제1실린더
c2 : 제2실린더
S : 지지대
P1 : 제1동력부
P2 : 제2동력부

Claims (5)

  1. 제1층과 제2층을 포함하는 이형필름이 이동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함으로써 상기 이형필름을 이동시키는 이송롤러부; 및
    상기 케이스부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2층을 제거하는 절삭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롤러부는,
    상기 이형필름을 일측방향으로 이송시키며,
    상기 절삭부는,
    상기 이형필름을 타측방향으로 이송시킴으로써 상기 이형필름에 장력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절삭부는,
    상기 이형필름에 압력을 가하는 제1롤러와, 상기 제1롤러가 상기 이형필름에 접촉되거나 이격이 되도록 상기 제1롤러를 이동시키는 제1구동부와, 상기 이형필름의 존재의 유무를 확인하며 상기 이형필름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롤러가 상기 이형필름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1구동부를 동작시키는 제1센서와, 상기 제1롤러와 마주보게 구비되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2층을 제거하는 절삭롤러와, 상기 절삭롤러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이형필름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상기 제1구동부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회동됨으로써 상기 절삭롤러의 상면을 개방하는 절삭커버를 포함하는 이형필름 분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층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브러시부를 더 포함하는 이형필름 분리장치.
  5. 청구항 4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부는,
    상기 이형필름에 압력을 가하는 제2롤러와, 상기 제2롤러가 상기 이형필름에 접촉되거나 이격이 되도록 상기 제2롤러를 이동시키는 제2구동부와, 상기 이형필름의 존재의 유무를 확인하며 상기 이형필름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2롤러가 상기 이형필름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2구동부를 동작시키는 제2센서와, 상기 제2롤러와 마주보게 구비되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층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브러시롤러를 포함하는 이형필름 분리장치.
KR1020190021116A 2019-02-22 2019-02-22 이형필름 분리장치 KR102130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116A KR102130762B1 (ko) 2019-02-22 2019-02-22 이형필름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116A KR102130762B1 (ko) 2019-02-22 2019-02-22 이형필름 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0762B1 true KR102130762B1 (ko) 2020-07-07

Family

ID=71602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116A KR102130762B1 (ko) 2019-02-22 2019-02-22 이형필름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07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18591A (zh) * 2020-12-08 2021-04-30 洛阳伍鑫金属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钛锭熔炼成型杂质清洁回收工艺及其装置
KR20220021428A (ko) * 2020-08-13 2022-02-22 (주) 피엔피 초박형 유리 초박형 유리 합착시트의 이형필름 수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6746A (ja) * 1998-10-23 2000-05-09 Yasutoshi Yanagisawa 石膏ボードの紙剥離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6746A (ja) * 1998-10-23 2000-05-09 Yasutoshi Yanagisawa 石膏ボードの紙剥離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1428A (ko) * 2020-08-13 2022-02-22 (주) 피엔피 초박형 유리 초박형 유리 합착시트의 이형필름 수거장치
KR102596827B1 (ko) * 2020-08-13 2023-11-01 (주)피엔피 초박형 유리 초박형 유리 합착시트의 이형필름 수거장치
CN112718591A (zh) * 2020-12-08 2021-04-30 洛阳伍鑫金属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钛锭熔炼成型杂质清洁回收工艺及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0762B1 (ko) 이형필름 분리장치
CN103522764B (zh) 打印设备及双面打印方法
JP2019069428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リサイクル装置
US20190219943A1 (en) Image removing device, method for recycling recording material, and image removing method
US6453963B1 (en) Vacuum film laminating apparatus
KR100844109B1 (ko) 라미네이터
CN103786450B (zh) 打印机装置
JP6082290B2 (ja) 媒体供給装置
CN100349749C (zh) 带式打印设备以及带式打印系统
CN1780735A (zh) 用于施加和切割层压材料带条的机器
US20090173427A1 (en) Method for controlling heating rollers and laminator using such method
KR101053343B1 (ko) 평판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라미네이터 및 이를 사용한 라미네이팅방법
US20040134367A1 (en) Image recording material conveying device and automatic image recording system
CN102782570A (zh) 回收装置、贴合系统以及回收方法
JP2007250477A (ja) 転写装置、及び転写方法
US20040112231A1 (en) Stencil printer
EP3782821B1 (en) Paper stack press machine
JP3776509B2 (ja) シート材巻き取り用の巻き芯
KR20110014459A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지분 제거장치
JP4419132B2 (ja) ラミネート装置
JP4419127B2 (ja) ラミネート装置及びラミネート方法
JP2013189267A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17656672A (zh) 一种制证方法及存储介质
JP6260337B2 (ja) 孔版印刷装置及び孔版印刷方法
JP5293942B2 (ja) 文書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