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0589B1 - 변위 조절이 가능한 볼트-너트 체결력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변위 조절이 가능한 볼트-너트 체결력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0589B1
KR102130589B1 KR1020190004842A KR20190004842A KR102130589B1 KR 102130589 B1 KR102130589 B1 KR 102130589B1 KR 1020190004842 A KR1020190004842 A KR 1020190004842A KR 20190004842 A KR20190004842 A KR 20190004842A KR 102130589 B1 KR102130589 B1 KR 102130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cement
bolt
nut
unit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4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년
도현욱
배한근
손병길
정재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
Priority to KR1020190004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5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24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etermining value of torque or twisting moment for tightening a nut or other member which is similarly stress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16Elements for restraining, or preventing the movement of, parts, e.g. for zeroising

Abstract

본 발명은 리니어 샤프트가 제1 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하는 가진부; 하단이 상기 리니어 샤프트의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리니어 샤프트의 직선 왕복 이동을 따라 하부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하부의 이동에 따라 상부가 회전축을 기준으로 축회전 하여,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제1 변위전달부; 상기 제1 변위전달부의 상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변위전달부의 상부가 축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하는 제2 변위전달부; 볼트가 체결되는 너트 지그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변위전달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변위전달부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힘이 전달되어, 변위에 따른 볼트와 너트의 체결력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는 변위 조절이 가능한 볼트-너트 체결력 측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변위 조절이 가능한 볼트-너트 체결력 측정장치{ADJUSTABLE DISPLACEMENT MESURING APPARATUS FOR BOLT-NUT TIGHTENING LOAD}
본 발명은 변위 조절이 가능한 볼트-너트 체결력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트와 너트는 부품을 고정하거나 체결하는 등의 용도로 많은 곳에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다른 부품들의 고정 및 체결을 위해서는, 볼트에 체결된 너트가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종종 외부의 힘이나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진동에 의해 볼트에 체결된 너트가 진동이나 외부의 충격에 의해 풀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외부 충격에 의해 서로 다른 부품들을 고정하고 있는 볼트가 풀리게 되는 경우, 장치의 이상 등 중대형 사고로 발전할 수 있기 때문에 사전에 볼트와 너트 체결 상태를 신속 정확하게 점검해야 한다. 이와 같이 체결된 상태의 볼트와 너트의 체결력을 검측하기 위해, 너트에 체결된 상태의 볼트에 진동을 가하여 볼트와 너트의 풀림 특성을 측정한다.
이때, 볼트의 종류, 재질, 나사산의 각도, 변위 등 규격에 따라 볼트의 체결력이나 풀림 정도가 다른데, 종래에는 규격이 다른 볼트마다 체결력이나 풀림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장비가 마련되지 않았다. 따라서, 기존의 측정 장치는 동일한 조건의 측정 장치에서 규격이 다른 볼트를 측정해야 하기 때문에 측정의 정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거나, 종래에는 규격이 다른 볼트마다 측정 장치를 별도로 마련하여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58484호(2006.05.30.)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변위 또는 주파수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규격의 볼트와 너트의 체결력을 측정할 수 있는 변위 조절이 가능한 볼트-너트 체결력 측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너트에 체결된 볼트에 가하는 진동 세기를 조절하여, 다양한 조건의 변위에서 볼트와 너트의 체결력을 시험할 수 있는 변위 조절이 가능한 볼트-너트 체결력 측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볼트의 재질, 표면처리, 나사산의 각도 등을 포함하는 볼트 조건에 따른 볼트의 체결력을 측정할 수 있는 변위 조절이 가능한 볼트-너트 체결력 측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니어 샤프트가 제1 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하는 가진부; 하단이 상기 리니어 샤프트의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리니어 샤프트의 직선 왕복 이동을 따라 하부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하부의 이동에 따라 상부가 회전축을 기준으로 축회전 하여,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제1 변위전달부; 상기 제1 변위전달부의 상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변위전달부의 상부가 축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하는 제2 변위전달부; 볼트가 체결되는 너트 지그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변위전달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변위전달부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힘이 전달되어, 변위에 따른 볼트와 너트의 체결력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는 변위 조절이 가능한 볼트-너트 체결력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진부를 제어하여, 상기 리디어 샤프트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하는 속도 또는 이동거리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변위 조절이 가능한 볼트-너트 체결력 측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상기 회전축의 중심에서부터 하단까지의 길이와 상기 회전축의 중점에서부터 상단까지의 길이의 비율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가진부에서 상기 제1 변위전달부로 전달되는 변위와, 상기 제1 변위전달부에서 상기 제2 변위전달부로 전달되는 변위의 비율과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 조절이 가능한 볼트-너트 체결력 측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변위전달부는,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어 직선 왕복 이동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가이드 블록; 상기 가이드 블록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되, 상기 회전부가 축회전하는 각도 범위에 따라, 상기 이동부가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이동거리가 결정되는 변위 조절이 가능한 볼트-너트 체결력 측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이동부에 고정되되, 볼트가 관통하는 볼트 지지부; 상기 볼트 체결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되, 관통홀이 형성된 고정 프레임; 및 상기 고정 프레임의 하부에 고정되되, 내부에 상기 너트 지그가 삽입되는 측정센서; 를 포함하는 변위 조절이 가능한 볼트-너트 체결력 측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변위 또는 주파수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규격의 볼트와 너트의 체결력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너트에 체결된 볼트에 가하는 진동 세기를 조절하여, 다양한 조건의 변위에서 볼트와 너트의 체결력을 시험할 수 있다.
또한, 볼트의 재질, 표면처리, 나사산의 각도 등을 포함하는 볼트 조건에 따른 볼트의 체결력을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위 조절이 가능한 볼트-너트 체결력 측정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변위 조절이 가능한 볼트-너트 체결력 측정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변위전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변위전달부와 가진부와 제2 변위전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변위전달부와 제2 변위전달부의 정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측정부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위 조절이 가능한 볼트-너트 체결력 측정장치(1)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변위 조절이 가능한 볼트-너트 체결력 측정장치(1)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변위 조절이 가능한 볼트-너트 체결력 측정장치(1)는 바디부(10), 가진부(20), 제1 변위전달부(30), 제2 변위전달부(40) 및 측정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0)는 바닥부(11), 상판(12) 및 기둥(13)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0)에는 가진부(20), 제1 변위전달부(30), 제2 변위전달부(40) 및 측정부(50)가 지지될 수 있다.
바닥부(11)는 지면과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바닥부(11)는 단면이 사각형인 사각판 형태일 수 있다. 바닥부(11)의 상면에는 가진부(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판(12)은 상기 바닥부(11)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닥부(11)에 가진부(20)가 배치될 수 있도록, 적어도 가진부(20)의 높이보다 높은 거리로 상판(12)은 바닥부(11)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판(12)은 바닥부(11)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판(12)의 상면에는 측정부(50)가 배치될 수 있다.
상판(12)에는 회전홈(121) 및 측정홈(122)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홈(121)에는 제1 변위전달부(30)의 회전부(31)가 삽입되고, 회전홈(121) 내에서 회전부(31)가 제1 방향을 따라 회전되며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측정홈(122)은 측정부(50)의 하측에 형성되어, 측정부(50)에 볼트(B) 또는 너트 지그(54)를 용이하게 장착 또는 탈착할 수 있다.
기둥(13)은 지면에 고정되어, 바닥부(11)와 상판(12)을 고정할 수 있다. 일 예로, 기둥(13)은 바닥부(11) 및 상판(12)의 꼭지점 마다 배치될 수 있다. 즉, 4개의 기둥(13)이 사각형 형태의 바닥부(11) 및 상판(12)의 꼭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가진부(20)는 후술할 측정부(50)에 체결된 볼트(B)에 변위를 가할 수 있다. 볼트(B)에 변위를 가하기 위해서, 가진부(20)는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가진부(20)는 다양한 변위 또는 주파수 대역의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가진부(20)에서 발생시킨 동력은 제1 변위전달부(30) 및 제2 변위전달부(40)를 통해 측정부(50)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 내지 도 5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이러한 가진부(20)는 바닥부(11)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가진부(20)는 동력 발생부(21) 및 리니어 샤프트(22)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 발생부(21)는 리니어 샤프트(22)를 구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동력 발생부(21)는 서보모터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마그네트와 코일 유닛을 포함하는 구동장치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동력 발생부(21)의 일 측에는 리니어 샤프트(22)가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즉, 동력 발생부(21)는 리니어 샤프트(22)를 동력 발생부(21) 외부로 돌출 또는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여, 리니어 샤프트(22)가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리니어 샤프트(22)는 동력 발생부(21)에서 돌출 또는 삽입되면서 직선 왕복 이동하여, 제1 변위전달부(30)로 진동을 가할 수 있다. 리니어 샤프트(22)는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리니어 샤프트(22)는 지면과 수평 방향인 제1 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니어 샤프트(22)는 실린더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리니어 샤프트(22)는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2개의 리니어 샤프트(22)가 동력 가진부(20)의 일 면에서 동일한 길이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2개의 리니어 샤프트(22)는 동일하게 직선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제1 변위전달부(30)는 가진부(20)와 연결되어, 가진부(20)의 리니어 샤프트(22)가 직언 이동함에 따라 진동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1 변위전달부(30)의 하단은 가진부(20)와 연결되고, 상단은 제2 변위전달부(40)와 연결되어, 가진부(20)로부터 전달받은 진동을 제2 변위전달부(40)로 전달할 수 있다.
가진부(20)로부터 진동을 전달받은 제1 변위전달부(30)가 이동됨에 따라, 제2 변위전달부(40)가 이동되고, 제2 변위전달부(40)가 이동됨에 따라 측정부(50)에 체결된 볼트에 변위를 가할 수 있다.
이때, 제1 변위전달부(30)는 일 지점을 기준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2 변위전달부(40)로 변위를 전달할 수 있다.
제1 변위전달부(30)는 바디부(10)의 상판(12)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변위전달부(30)는 바디부(10)의 상판(12)에 고정되되, 상판(12)에 형성된 회전홈(121)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변위전달부(40)는 제1 변위전달부(30) 및 측정부(50)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변위전달부(40)의 일 단은 제1 변위전달부(30)와 연결되고, 타 단은 측정부(5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변위전달부(40)는 제1 변위전달부(30)로부터 변위를 전달받아 직선 이동하고, 제2 변위전달부(40)가 이동됨에 따라 측정부(50)가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측정부(50)에는 볼트(B)가 체결될 수 있다. 측정부(50)에 볼트(B)가 체결된 상태에서, 측정부(50)는 제1 변위전달부(30) 및 제2 변위전달부(40)를 통해 가진부(20)에서 가하는 진동에 대한 변위를 전달받을 수 있다. 측정부(50)가 변위에 따라 이동됨에 따라, 측정부(50)에 체결된 볼트(B)에 변위가 가해지고, 그에 따라 변위에 따른 볼트(B)의 체결력을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가진부(20)가 볼트(B)에 가하는 변위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가진부(20)의 구동력을 제어하여, 볼트(B)에 가해지는 변위 또는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60)는 0.5mm이상 내지 3mm이하의 범위내에서 변위를 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는 5Hz 이상 내지 20Hz 이하의 범위내에서 가진부(20)가 볼트(B)에 주파수를 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0)는 가진부(20)를 제어하여, 리니어 샤프트(22)가 제1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하는 속도 또는 이동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제어부(60)는 가진부(20)에서 발생시키는 변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60)는 동력 발생부(21)의 동력을 제어하여, 리니어 샤프트(22)가 직선 이동하는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리니어 샤프트(22)가 직선 이동하는 거리에 따라, 제1 변위전달부(30)의 회전 거리가 결정되고, 제1 변위전달부(30)의 회전 거리에 따라 제2 변위전달부(40)의 직선 이동 거리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변위전달부(40)의 이동 거리에 따라 측정부(50)의 볼트(B)에 가해지는 변위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60)가 동력 발생부(21)의 동력을 조절하여, 동력 발생부(21)의 동력이 제1 변위 전달부(30), 제2 변위전달부(40)를 통해 볼트(B)에 1.5mm변위가 가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규격이 다른 볼트(B)마다 다른 변위를 가함으로써, 규격에 따른 볼트(B)의 체결력을 측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하나의 볼트(B)에 다양한 크기의 변위를 가하여 볼트(B)의 체결력을 측정함으로써, 해당 규격 볼트(B)의 체결력 측정을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변위전달부(3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변위전달부(30)와 가진부(20)와 제2 변위전달부(4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변위전달부(30)와 제2 변위전달부(40)의 정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 변위전달부(30)는 회전부(31), 가진부 연결부(32) 및 이동부 연결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31)는 가진부(20) 및 제2 변위전달부(40)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부(31)는 바디부(10)의 상판(12)에 형성된 회전홈(121)에 관통되도록 설치되어, 회전홈(121) 내에서 축회전할 수 있다.
회전부(31)는 상판(12)의 상측에서부터 바닥부(11)와 인접하도록 상판(12)의 하측까지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회전부(31)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일 수 있다.
회전부(31)의 상부 중심에는 회전축(311)이 관통할 수 있다. 즉, 상판(12) 상측에 위치된 회전부(31)의 상부 영역에 회전축(311)이 관통할 수 있다. 회전축(311)은 베어링(312)에 의해 상판(12)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회전부(31)와 베어링(312) 사이에는 플랜지(313)가 배치될 수 있다. 회전부(31)와 베어링(312) 사이의 빈공간을 플랜지(313)가 채워줄 수 있어, 회전부(31)가 앞뒤로 이동되거나 움직이지 않고 안정적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축회전할 수 있다.
회전부(31)의 하단은 리니어 샤프트(22)와 연결되고, 상단은 제2 변위전달부(40)와 연결될 수 있다.
리니어 샤프트(22)와 연결된 회전부(31)는 리니어 샤프트(22)의 직선 왕복 이동을 따라, 회전부(31)가 회전축(311)을 기준으로 축회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니어 샤프트(22)가 돌출되어, 도 3을 기준으로, 리니어 샤프트(22)가 좌측으로 돌출되어 이동되는 경우, 회전부(31)의 하부가 좌측으로 밀리게 된다. 회전부(31)의 하부가 좌측으로 밀리게 될 경우, 회전부(31)는 회전축(311)을 기준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회전부(31)의 하부는 제1 방향을 따라 좌측으로 밀리는 동시에 소정 각도 상승하면서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부(31)가 축회전 하여, 하부가 좌측의 상측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부는 우측의 하측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부(31)는 회전축(311)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회전부(31)는 가진부(20)의 동력 발생부(21)에서 가하는 진동 크기에 따라, 회전축(31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 반경이 조절될 수 있다. 동력 발생부(21)에서 발생시키는 동력이 커짐에 따라 리니어 샤프트(22)의 직선 왕복 이동 거리가 증가하고, 리니어 샤프트(22)의 직선 왕복 이동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회전부(21)의 회전 반경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볼트(B)에 가해지는 변위가 커지게 된다.
이러한 회전부(31)는 가진부 연결부(32) 및 이동부 연결부(33)에 의해 가진부(20) 및 이동부(41)와 연결될 수 있다.
가진부 연결부(32)는 가진부(20)와 제1 변위전달부(30)를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진부 연결부(32)는 회전부(31)의 하단 및 리니어 샤프트(22)와 연결될 수 있다.
가진부 연결부(32)는 가진부 연결 브라켓(321), 가진부 연결 플레이트(322), 가진부 고정 브라켓(323) 및 연결블록(324)을 포함할 수 있다.
가진부 연결 브라켓(321)은 리니어 샤프트(22)의 일 단에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가진부 연결 브라켓(321)에는 타 면에 2개의 리니어 샤프트(22)의 단부가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진부 연결 브라켓(321)은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 및 하부 각각에 연결홈(3211)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홈(3211)에는 가진부 연결 플레이트(322)가 안착될 수 있다.
가진부 연결 플레이트(322)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가진부 연결 브라켓(321)에서부터 회전부(31)의 하부까지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가진부 연결 플레이트(322)의 타 측은 가진부 연결 브라켓(321)의 상부 및 하부 각각에 형성된 연결홈(3211)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진부 연결 플레이트(322)의 일 측은 연결블록(324)과 고정되고, 타 측은 가진부 연결 브라켓(321)과 고정될 수 있다.
판 형상으로 형성된 가진부 연결 플레이트(322)는 금속 등의 쉽게 파괴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되, 판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소정의 탄성을 가질 수 있다.
가진부 고정 브라켓(323)은 가진부 연결 브라켓(321)의 연결홈(3211)에 배치된 가진부 연결 플레이트(322)를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진부 고정 브라켓(323)은 연결홈(321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볼트 또는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연결홈(3211)에 가진부 연결 플레이트(322)가 배치된 상태에서 가진부 고정 브라켓(323)이 가진부 연결 플레이트(322) 및 가진부 연결 브라켓(321)과 고정됨으로써, 가진부 연결 플레이트(322)가 가진부 연결 브라켓(321)에 고정될 수 있다.
연결블록(324)은 회전부(31)의 하단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블록(324)은 제1 연결블록(3241), 제2 연결블록(3242) 및 제3 연결블록(32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블록(3241)이 회전부(31)의 하단에 고정되고, 제1 연결블록(3241)의 하측에 제2 연결블록(3242)이 고정되고, 제2 연결블록(3242)의 하측에 제3 연결블록(3243)이 고정될 수 있다.
제1 연결블록(3241)과 제2 연결블록(3242) 사이와, 제2 연결블록(3242)과 제3 연결블록(3243) 사이에 가진부 연결 플레이트(322)가 고정될 수 있다.
가진부 연결 브라켓(321)의 상부에 형성된 연결홈(3211)에 고정된 가진부 연결 플레이트(322)는 제1 연결블록(3241)과 제2 연결블록(3242)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가진부 연결 브라켓(321)의 하부에 형성된 연결홈(3211)에 고정된 가진부 연결 플레이트(322)는 제2 연결블록(3242)과 제3 연결블록(3243)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정리하면, 가진부 연결 브라켓(321)은 리니어 샤프트(22)의 단부에 고정되고, 가진부 연결 브라켓(321)의 연결홈(3211)에 가진부 연결 플레이트(322)가 배치될 수 있다. 가진부 연결 브라켓(321)의 상부 및 하부 각각에 형성된 연결홈(3211)에 가진부 연결 플레이트(322)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연결홈(3211)에 가진부 연결 플레이트(322)가 배치된 상태에서, 가진부 고정 브라켓(323)이 연결홈(3211)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가진부 연결 플레이트(322)가 가진부 연결 브라켓(321)과 고정될 수 있다.
가진부 연결 브라켓(321)의 상부에 형성된 연결홈(3211)에 배치된 가진부 연결 플레이트(322)는 일 단이 제1 연결블록(3241)과 제2 연결블록(3242)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블록(3241)은 회전부(31)의 하단에 고정된 상태이다.
또한, 가진부 연결 브라켓(321)의 하부에 형성된 연결홈(3211)에 배치된 가진부 연결 플레이트(322)는 일 단이 제2 연결블록(3242)과 제3 연결블록(3243)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동력 발생부(21)에 의해 리니어 샤프트(22)가 제1 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함에 따라, 리니어 샤프트(22)의 단부에 고정된 가진부 연결 브라켓(321)을 포함하는 가진부 연결부(32)가 함께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리니어 샤프트(22)가 직선 이동하는 힘이 가진부 연결부(32)를 통해 회전부(31)로 전달될 수 있다. 즉, 리니어 샤프트(22)가 제1 방향을 따라 미는 힘 또는 당기는 힘에 의해, 회전부(31)는 축회전 할 수 있다.
한편, 리니어 샤프트(22)는 제1 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하고, 회전부(31)는 축회전함에 따라, 리니어 샤프트(22)와 회전부(31) 사이에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판 형상으로 형성된 가진부 연결 플레이트(322)가 휘어질 수 있다. 가진부 연결 플레이트(322)가 휘어짐에 따라 회전부(31)가 소정 각도를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이동부 연결부(33)는 제1 변위전달부(30)와 제2 변위전달부(40)를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부 연결부(33)는 회전부(31)의 상단과 이동부(41)를 연결할 수 있다.
이동부 연결부(33)는 체결블록(331), 이동부 연결 플레이트(332) 및 이동부 고정 브라켓(333)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블록(331)은 회전부(31)의 상단에 고정될 수 있다. 체결블록(331)은 제1 체결블록(3311), 제2 체결블록(3312) 및 제3 체결블록(3313)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체결블록(3311)이 회전부(31)의 상단에 고정되고, 제1 체결블록(3311)의 상측에 제2 체결블록(3312)이 고정되고, 제2 체결블록(3312)의 상측에 제3 체결블록(3313)이 고정될 수 있다.
이동부 연결 플레이트(332)는 제1 체결블록(3311)과 제2 체결블록(3312) 사이에 고정되고, 이동부 연결 플레이트(332)는 제2 체결블록(3312)과 제3 체결블록(3313)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즉, 두 개의 이동부 연결 플레이트(332)가 각각의 체결블록(3311, 3312, 3313)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각각의 이동부 연결 플레이트(332)는 이동부(41)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측이 체결블록(331)에 고정된 이동부 연결 플레이트(332)의 타 측은 이동부(41)의 회전부 체결홈(411)에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회전부(31)는 축회전하고, 이동부(41)는 제1 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함에 따라, 회전부(31)와 이동부(41) 사이에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판 형상으로 형성된 이동부 연결 플레이트(322)가 휘어질 수 있다. 이동부 연결 플레이트(322)가 휘어짐에 따라 회전부(31)가 소정 각도를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이동부 고정 브라켓(333)은 회전부 체결홈(411)에 배치된 이동부 연결 플레이트(332)를 고정할 수 있다. 이동부 고정 브라켓(333)은 이동부 연결 플레이트(332) 및 이동부(41)와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변위전달부(30)는 가진부(20)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볼트(B)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1 변위전달부(30)는 가진부(20)에서 가하는 동력의 크기에 따라 회전반경이 결정되고, 제1 변위전달부(30)의 회전반경에 따라 볼트(B)에 가해지는 변위가 조절될 수 있다.
제2 변위전달부(40)는 제1 변위전달부(30)와 연결되어, 제1 변위전달부(30)에 의해 제1 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제2 변위전달부(40)는 이동부(41), 가이드블록(42) 및 가이드레일(4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41)는 가이드블록(42) 및 가이드레일(43)에 의해 제1 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부(41)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부(41)에는 회전부 체결홈(411) 및 지지부 체결홈(412)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부(41)에서 회전부(31) 측 방향의 일 측에는 회전부 체결홈(4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동부(41)의 상부 및 하부 각각에 이동부 연결 플레이트(332)의 타 측이 안착될 수 있도록, 이동부(41) 일 측의 상부 및 하부에 홈 형태의 회전부 체결홈(41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부(41)에서 측정부(50) 측 방향의 타 측에는 지지부 체결홈(412)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 체결홈(412)은 이동부(41) 타 측의 상부에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부(41)는 회전부(31)의 회전에 따라 직선 왕복 이동하게 된다. 이때, 이동부(41)는 제1 변위조절부(30)의 회전부(31)가 회전하는 회전 반경이 커짐에 따라 직선 왕복 이동하는 이동 거리가 커진다. 이동부(41)가 직선 왕복 이동하는 거리에 따라 볼트(B)에 가해지는 변위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60)를 통해, 동력 발생부(21)의 동력 세기를 조절하여 리니어 샤프트(22)의 직선 왕복 이동 거리를 조절함에 따라, 제1 변위조절부(30)의 회전부(31)를 통해 이동부(41)로 전달되는 변위가 결정될 수 있다.
가이드블록(42)은 이동부(41)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블록(42)은 상판(12)에 고정되는 가이드레일(43)과 체결되어, 가이드레일(43)을 따라 직선 이동될 수 있다. 가이드블록(42) 및 가이드레일(43)은 리니어 모션 가이드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위 조절이 가능한 볼트-너트 체결력 측정장치(1)는 가진부(20)를 제어하여, 변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동력 발생부(21)의 동력을 제어하여 리니어 샤프트(22)의 이동 거리 또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회전부(31)의 회전축(311)의 중심에서부터 하단까지의 길이와 상단까지의 길이의 비율은, 제1 방향을 따라 가진부(20)에서 제1 변위전달부(30)로 전달되는 변위와, 제1 변위전달부(30)에서 제2 변위전달부(40)로 전달되는 변위의 비율과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축(311)에서부터 하단까지의 길이와 상단까지의 비율이 a:b일 경우, 가진부(20)에서 제1 변위전달부(30)로 전달되는 변위와 제1 변위전달부(30)에서 제2 변위전달부(40)로 전달되는 변위의 비율도 a:b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5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따른 측정부(50)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측정부(50)는 볼트 지지부(51), 고정 프레임(52), 측정 센서(53), 너트 지그(54) 및 가이드부(55)를 포함할 수 있다.
볼트 지지부(51)에는 볼트(B)가 삽입 관통될 수 있다. 볼트 지지부(51)는 'L'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볼트 지지부(51)는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된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측면이 이동부(41)의 지지부 체결홈(412)에 안착되어 고정되고,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바닥면에 홀이 형성되어, 홀에 볼트 삽입부(511)가 배치될 수 있다.
볼트 삽입부(511)에 볼트(B)가 삽입될 수 있다. 즉, 볼트 삽입부(511)는 볼트(B)가 안정적으로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는 홀을 포함하며, 볼트 지지부(51)에 배치될 수 있다.
볼트 지지부(51)는 이동부(41)의 지지부 체결홈(412)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부(41)가 직선 왕복 이동함에 따라 볼트 지지부(51)가 함께 직선 왕복 이동할 수 있다.
고정 프레임(52)은 볼트 지지부(51)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판(12)에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고정 프레임(52)은 볼트 지지부(51)의 하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 프레임(52)은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 측이 상판(12)에 고정되고, 상면이 볼트 지지부(51)와 마주보는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고정 프레임(52)의 상면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후술할 너트 지그(54)가 삽입 또는 관통할 수 있다.
측정 센서(53)는 고정 프레임(52)의 하면에 고정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측정 센서(53)의 중공 내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후술할 너트 지그(54)가 체결될 수 있다. 측정 센서(53)는 로드셀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측정 센서(53)의 형태 및 종류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측정 센서(53)는 측정 센서(53) 내부로 삽입되는 너트 지그(54)와 체결된 볼트(B)의 체결력을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정 센서(53)는 측정 센서(53)에 수직 방향으로 가해지는 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측정 센서(53)는 측정 센서(53)의 하측에서 삽입 체결되는 너트 지그(54)와, 측정 센서(53)의 상측에서 삽입되어 너트 지그(54)와 체결되는 볼트(B)가 체결되는 힘에 의해 측정 센서(53)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여, 볼트(B)의 체결력을 측정한다. 다시 말해, 볼트(B)와 너트 지그(54)의 체결에 의해 측정 센서(53)에 수직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을 측정하여, 너트 지그(54)에 체결된 볼트(B)의 체결력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측정 센서(53)는 변위 조절이 가능한 볼트-너트 체결력 측정장치(1)가 작동되는 동안 실시간으로 볼트(B)의 체결력을 측정할 수 있다.
너트 지그(54)는 너트부(541) 및 지그 헤드(542)를 포함한다.
너트부(541)는 측정 센서(53)의 내부로 삽입되어 체결되며, 내주면에는 볼트(B)와 체결 가능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너트부(541)는 측정 센서(53) 내부에 안정적으로 삽입 체결되기 위해, 측정 센서(53)의 중공과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그 헤드(542)는 측정 센서(53)의 하면에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그 헤드(542)는 측정 센서(53)의 내부로 삽입되지 않기 위해, 측정 센서(53)의 중공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그 헤드(542)는 측정 센서(53)의 하면에 위치된다. 이에, 너트부(541)와 볼트(B)가 체결됨에 따라, 지그 헤드(542)에 의해 측정 센서(53)에 수직 방향의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너트 지그(54)는 볼트(B)의 규격에 따라, 변경되어 측정 센서(53)에 삽입될 수 있다. 일 예로, 볼트의 규격마다 나사산의 형태 및 간격이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실험하고자 하는 볼트의 규격에 맞는 너트 지그(54)를 측정 센서(53)에 체결하여 실험을 진행할 수 있다.
가이드부(55)는 고정 프레임(52)의 상면에 배치되어, 고정 프레임(52)의 상측에서 제1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하는 볼트 지지부(51)를 가이드할 수 있다.
정리하면, 볼트(B)는 볼트 지지부(51)의 볼트 삽입부(511)와 고정 프레임(52)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측정 센서(53)에 배치된 너트 지그(54)에 체결된다.
볼트 지지부(51)와 고정 프레임(52)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볼트(B)가 삽입된다. 또한, 측정 센서(53) 내부에 너트 지그(54)의 너트부(541)가 삽입 체결되고, 너트부(541)에 볼트(B)가 체결된다. 이때, 측정 센서(53)는 너트부(541)와 볼트(B)가 체결되는 힘에 의해, 측정 센서(53)에 수직 방향으로 가해지는 축력에 의해 볼트의 체결력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변위 조절이 가능한 볼트-너트 체결력 측정장치(1)를 통해, 서로 다른 조건의 볼트(B)의 체결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예로, 볼트의 나사산의 각도, 볼트의 표면 처리, 볼트의 헤드 부분의 너비, 볼트의 재질 등 볼트의 조건을 다양하게 하여 각 볼트(B)의 체결력을 측정할 수 있다. 즉, 규격이 서로 다른 볼트(B) 각각에 해당하는 변위 또는 주파수를 가하여 볼트(B)의 체결력을 측정할 수 있으며, 또는 하나의 볼트(B)에 다양한 변위 또는 주파수를 가하여 해당 볼트(B)의 체결력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변위 조절이 가능한 볼트-너트 체결력 측정장치
10: 바디부
20: 가진부
30: 제1 변위전달부
40: 제2 변위전달부
50: 측정부
60: 제어부

Claims (5)

  1. 리니어 샤프트가 제1 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하는 가진부;
    하단이 상기 리니어 샤프트의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리니어 샤프트의 직선 왕복 이동을 따라 하부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하부의 이동에 따라 상부가 회전축을 기준으로 축회전 하여,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제1 변위전달부;
    상기 제1 변위전달부의 상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변위전달부의 상부가 축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하는 제2 변위전달부;
    볼트가 체결되는 너트 지그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변위전달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변위전달부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힘이 전달되어, 변위에 따른 볼트와 너트의 체결력을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가진부, 상기 제1 변위전달부, 상기 제2 변위전달부 및 상기 측정부가 지지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형성되고, 지면과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면에 상기 가진부가 배치된 바닥부;
    상기 바디부에 상기 바닥부의 상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바닥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측정부가 배치된 상판;
    상기 가진부의 상기 리니어 샤프트와 상기 제1 변위전달부의 상기 회전부를 연결하는 가진부 연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상판은,
    상기 제1 변위전달부의 회전부를 삽입하고, 내부에서 상기 회전부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관통된 회전홈; 및
    상기 측정부의 하측에 오목하게 형성된 측정홈; 을 포함하고,
    상기 가진부 연결부는,
    상기 회전부의 하단에 고정된 연결블록;
    상부 및 하부 각각에 연결홈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리니어 샤프트의 일 단에 고정된 가진부 연결 브라켓; 및
    탄성을 갖는 금속 소재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 측은 상기 연결블록과 고정되고, 타 측은 상기 연결홈에 안착되게 상기 가진부 연결 브라켓과 고정되는 가진부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변위 조절이 가능한 볼트-너트 체결력 측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진부를 제어하여, 상기 리니어 샤프트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하는 속도 또는 이동거리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변위 조절이 가능한 볼트-너트 체결력 측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회전축의 중심에서부터 하단까지의 길이와 상기 회전축의 중점에서부터 상단까지의 길이의 비율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가진부에서 상기 제1 변위전달부로 전달되는 변위와, 상기 제1 변위전달부에서 상기 제2 변위전달부로 전달되는 변위의 비율과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 조절이 가능한 볼트-너트 체결력 측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변위전달부는,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어 직선 왕복 이동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가이드 블록;
    상기 가이드 블록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되,
    상기 회전부가 축회전하는 각도 범위에 따라, 상기 이동부가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이동거리가 결정되는 변위 조절이 가능한 볼트-너트 체결력 측정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이동부에 고정되되, 볼트가 관통하는 볼트 지지부;
    상기 볼트 지지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되, 관통홀이 형성된 고정 프레임; 및
    상기 고정 프레임의 하부에 고정되되, 내부에 상기 너트 지그가 삽입되는 측정센서;
    를 포함하는 변위 조절이 가능한 볼트-너트 체결력 측정장치.
KR1020190004842A 2019-01-14 2019-01-14 변위 조절이 가능한 볼트-너트 체결력 측정장치 KR102130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842A KR102130589B1 (ko) 2019-01-14 2019-01-14 변위 조절이 가능한 볼트-너트 체결력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842A KR102130589B1 (ko) 2019-01-14 2019-01-14 변위 조절이 가능한 볼트-너트 체결력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0589B1 true KR102130589B1 (ko) 2020-07-06

Family

ID=71571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4842A KR102130589B1 (ko) 2019-01-14 2019-01-14 변위 조절이 가능한 볼트-너트 체결력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058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1555U (ko) * 1997-08-30 1999-03-25 정몽규 선루프 테스트 장치
KR20060058484A (ko) 2004-11-25 2006-05-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볼트 체결력 측정장치
JP3144692U (ja) * 2008-06-10 2008-09-11 ケイエスティ株式会社 締結部材ゆるみ試験機
US20120279305A1 (en) * 2009-12-23 2012-11-08 Vibrationmaster Technology Center s.á.r.l. Vibration test apparatus
JP6383121B1 (ja) * 2018-01-19 2018-08-29 株式会社転造技術研究所 振動試験機及びねじ緩み試験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1555U (ko) * 1997-08-30 1999-03-25 정몽규 선루프 테스트 장치
KR20060058484A (ko) 2004-11-25 2006-05-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볼트 체결력 측정장치
JP3144692U (ja) * 2008-06-10 2008-09-11 ケイエスティ株式会社 締結部材ゆるみ試験機
US20120279305A1 (en) * 2009-12-23 2012-11-08 Vibrationmaster Technology Center s.á.r.l. Vibration test apparatus
JP6383121B1 (ja) * 2018-01-19 2018-08-29 株式会社転造技術研究所 振動試験機及びねじ緩み試験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05613B1 (en) High speed tyre (uniformity) testing device
KR102345274B1 (ko) 바이브레이션 장치, 바이브레이션 방법 및 스크린 인쇄 장치
US9645042B2 (en) Resonance testing machine
CN206496899U (zh) 磁流变减振器性能测试装置
CN106441838B (zh) 可调式高精度动态拉压剪切力作用下螺栓松动实验振动仪
US3123728A (en) Vibratory apparatus with variable frequency and amplitude
KR102130589B1 (ko) 변위 조절이 가능한 볼트-너트 체결력 측정장치
JP2009075064A (ja) 万能試験装置及び直動アクチュエータ
KR102018825B1 (ko) 볼트-너트 풀림 시험기 및 볼트-너트 풀림 시험기의 작동 방법
KR20170116800A (ko) 비틀림 시험장치
CN1267695C (zh) 用于测量纵向尺寸的测量柱
KR20140068714A (ko) 레이저 센서 어셈블리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309982B1 (ko)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및 엘리베이터의 권상기의 제조방법
US4044630A (en) Adjustable eccentric
JPH10263478A (ja) 起振機
CN104057792A (zh) 具有加载带设备的轮胎安装和拆卸设备
CN105772381A (zh) 小型惯性式激振器
CN114345676B (zh) 连续可调偏心激振器
KR101920391B1 (ko) 변속기 시험용 진동 검출장치
US10827947B2 (en)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JP7382062B2 (ja) 支持装置および振動発生装置
JPH054139A (ja) 工作機械の被加工物設置装置
KR102563219B1 (ko) 양수발전기의 중심축 센터링 측정장치
KR101759883B1 (ko) 모터 소음 측정 장치
KR100701628B1 (ko) 자력을 이용한 비틀림 진동 시뮬레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