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0090B1 - 일체형 금속 회로기판 - Google Patents

일체형 금속 회로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0090B1
KR102130090B1 KR1020130041164A KR20130041164A KR102130090B1 KR 102130090 B1 KR102130090 B1 KR 102130090B1 KR 1020130041164 A KR1020130041164 A KR 1020130041164A KR 20130041164 A KR20130041164 A KR 20130041164A KR 102130090 B1 KR102130090 B1 KR 102130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insulating layer
metal
flexible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1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3827A (ko
Inventor
윤상인
김은진
박정욱
임현구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1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090B1/ko
Publication of KR20140123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3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8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specially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e.g. using folded por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502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for cooling of specific components
    • F21V29/503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for cooling of specific components of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8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 H05K3/281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by means of a preformed insulating fo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ulated Metal Substrates For Printed Circuits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형 금속 회로기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금속 회로기판은 금속 기판; 적어도 일부가 상기 금속 기판의 상부에 적층결합되는 플렉서블 절연층, 및 상기 플렉서블 절연층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도전패턴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회로기판; 및 상기 금속 기판과의 결합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플렉서블 회로기판 상에 실장되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일체형 금속 회로기판{INTEGRATED METAL PRINTED CIRCUIT BOARD}
본 발명은 일체형 금속 회로기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렉서블 회로기판이 일체화된 일체형 금속 회로기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는 전류 인가에 의해 P-N 반도체 접합(P-N junction)에서 전자와 정공이 만나 빛을 발하는 소자로서, 통상 발광 다이오드가 탑재된 모듈의 구조로 제작된다. 발광 다이오드 모듈은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상에 장착되어 그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전극으로부터 전류를 인가 받아 발광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 모듈에서,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발생한 열은 발광 다이오드 모듈의 발광 성능 및 수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발광 다이오드에 발생한 열이 발광 다이오드일반적으로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는 전류 인가에 의해 P-N 반도체 접합(P-N junction)에서 전자와 정공이 만나 빛을 발하는 소자로서, 통상 발광 다이오드가 탑재된 모듈의 구조로 제작된다. 발광 다이오드 모듈은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상에 장착되어 그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전극으로부터 전류를 인가받아 발광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 모듈에서,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발생한 열은 발광 다이오드 모듈의 발광 성능 및 수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발광 다이오드에 발생한 열이 발광 다이오드에 오래 머무르면, 발광 다이오드를 이루는 결정 구조에 전위(dislocation) 및 부정합(mismatch)을 발생시켜 발광 다이오드 모듈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발생한 열의 방출을 촉진시키기 위한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 일 예로, 방열특성을 높이기 위해 방열특성이 뛰어난 금속소재의 회로기판(Metal Printed Circuit Board: Metal PCB)을 발광 다이오드 모듈에 적용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금속 회로기판을 적용하는 경우, 발광 다이오드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플렉서블 회로기판(flexible PCB)이 솔더(solder) 접합 방식으로 금속 회로기판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금속 회로기판에 플렉서블 회로기판을 솔더 접합하는 경우, 발광 다이오드의 발열이나 진동 또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 솔더에 크랙이 발생하여 장기 신뢰성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고사양의 신뢰성을 요구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에 적용되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의 경우 회로기판 간의 안정적인 연결이 매우 중요하므로, 이러한 솔더 접합에 의한 크랙 발생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플렉서블 회로기판과 금속 회로기판간의 접합 안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플렉서블 회로기판 일체형 금속 회로기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금속 기판; 적어도 일부가 상기 금속 기판의 상부에 적층결합되는 플렉서블 절연층, 및 상기 플렉서블 절연층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도전패턴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회로기판; 및 상기 금속 기판과의 결합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플렉서블 회로기판 상에 실장되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을 포함하는 일체형 금속 회로기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회로기판은 상기 도전패턴이 형성된 상기 플렉서블 절연층의 적어도 일면에 부착되는 보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은, 상기 플렉서블 회로기판 및 상기 금속 기판의 적층결합으로 인해 절곡이 발생하는 절곡부에 부착되는 커버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은, 상기 도전패턴이 형성된 상기 플렉서블 절연층의 적어도 일면에서 상기 절곡부를 제외한 영역에 부착되는 솔더 레지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절연층은 폴리이미드, 카본 수 1 내지 10 사이의 지방족 또는 방향족을 작용기로 가지는 폴리이미드, 및 카본 수 1 내지 10 사이의 할로겐 치환 지방족 또는 할로겐 치환 방향족을 작용기로 가지는 폴리이미드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절연층은 20㎛ 내지 20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 기판은 상기 플렉서블 절연층과 적층결합되는 결합면의 외곽부가 곡면 처리될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 모듈은 상기 금속 기판과의 결합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플렉서블 회로기판 상에 부착되는 세라믹 기판; 및 상기 세라믹 기판에 결합되는 발광 다이오드 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회로기판이 일체형으로 결합된 금속 회로기판을 제공함으로써,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렉서블 회로기판이 적층결합함에 따라 절곡이 발생하는 절곡부에는 내구성이 좋은 커버레이를 단면 또는 양면 부착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플렉서블 회로기판과 적층결합되는 금속 기판의 결합면 외곽부를 곡면 처리하여 플렉서블 회로기판의 절곡으로 인한 크랙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어 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플렉서블 회로기판(flexible PCB)을 금속 회로기판(metal PCB)에 접합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금속 회로기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금속 회로기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금속 회로기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금속 회로기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일체형 금속 회로기판에 있어서, 플렉서블 회로기판의 절곡 구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층, 막, 영역, 판, 부 등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없는 것을 뜻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플렉서블 회로기판(flexible PCB)을 금속 회로기판(metal PCB)에 접합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금속 회로기판(10)은 금속 기판(11), 절연층(12), 도전패턴(13), 도전패턴(13)의 일면에 형성되는 솔더 레지스트(solder resist: SR)(14)를 포함한다.
금속 회로기판(10)의 일면에는 세라믹 기판(31)에 발광 다이오드(32)를 결합한 형태의 발광 다이오드 모듈(30)이 실장된다.
플렉서블 회로기판(20)은 플렉서블 절연층(21), 도전패턴(22), 및 도전패턴(22)의 일면에 형성되는 솔더 레지스트(23)를 포함한다.
금속 회로기판(10)은 발광 다이오드 모듈(30)의 방열특성을 높이기 위해 금속 기판(11)을 적용한 회로기판으로서, 금속 회로기판(10)에는 플렉서블 회로기판(20)이 솔더(40)로 접합하는 방식으로 연결된다.
한편, 금속 회로기판(10)에 플렉서블 회로기판(20)을 솔더 접합하는 경우, 발열이나 진동 또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 솔더(40)에 크랙이 발생하여 장기 신뢰성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고사양의 신뢰성을 요구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에 적용되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의 경우 회로기판 간의 안정적인 연결이 매우 중요하므로, 이러한 솔더(40) 접합에 의한 크랙 발생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
또한, 솔더 레지스트 자체가 굴곡에 취약한 단점이 있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더 레지스트(23)를 플렉서블 회로기판(20)의 보호층으로 사용할 경우 내구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적어도 일면에 솔더 레지스트 대신 커버레이(coverlay)를 부착한 플렉서블 절연층을 금속 기판에 적층결합함으로써, 플렉서블 회로기판을 일체형으로 결합한 일체형 금속 회로기판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금속 회로기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체형 금속 회로기판은 금속 기판(100) 및 플렉서블 회로기판(200)을 포함하며, 접착층(400)에 의해 금속 기판(100)에 플렉서블 회로기판(200)이 적층결합되어 일체화될 수 있다. 즉, 접착층(400)을 이용하여 금속 기판(100)을 플렉서블 회로기판(200)의 일부 영역에 접착함으로써, 플렉서블 회로기판(200)이 일체화된 금속 회로기판을 제공할 수 있다.
금속 기판(100)은 구리 또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 모듈(300)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금속 기판(100)의 상부면에는 접착층(bonding sheet)(400)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용이함을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의 위치를 상부 또는 하부로 표현하나, 이는 그 위치를 한정하는 절대적인 의미가 아니며, 각 구성요소 간의 상대적 위치를 의미하는 것에 불과하다.
접착층(400)은 접착 필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금속 기판(100)의 상부면에 플렉서블 회로기판(200)의 일부 영역을 적층결합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금속 기판(100)은 발광 다이오드 모듈(300)의 방열이 용이하도록 플렉서블 회로기판(200)에서 발광 다이오드 모듈(300)이 실장되는 영역에 대응하여 적층결합될 수 있다.
플렉서블 회로기판(200)은 플렉서블 절연층(210), 도전패턴(220), 보호층(230, 240)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플렉서블 회로기판(200)의 상부면에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300)이 실장될 수 있다.
플렉서블 절연층(210)으로는 방열 특성이 15W/mK이상인 고방열 절연층이 사용될 수 있다.
플렉서블 절연층(210)은 필름, 시트 형태 등의 폴리이미드(polyimide: PI)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폴리이미드는 카본(carbon: C) 수 1 내지 10 사이의 지방족, 카본 수 1 내지 10 사이의 방향족, 또는 카본 수 1 내지 10 사이의 할로겐 치환 지방족이나 할로겐 치환 방향족을 작용기로 가질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절연층(210)은 20㎛ 내지 20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플렉서블 절연층(210)의 두께가 이보다 얇은 경우에는 외부 충격에 쉽게 찢어질 수 있으며, 이보다 두꺼운 경우에는 플렉서블 회로기판(200)의 굴곡력이 낮아지고, 굴곡 시현 시 금속 기판(100)과의 결합면 사이에서 들뜸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플렉서블 절연층(210)의 하부면 일부와 금속 기판(100)의 상부면에 배치된 접착층(400)을 통해 플렉서블 절연층(210)의 상부면 및 하부면 중 적어도 일면에는 도전패턴(22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서는 도전패턴(220)이 플렉서블 절연층(21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플렉서블 절연층(210)의 하부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전패턴(220)은 구리 또는 구리를 주성분으로 하는 금속층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보호층(230, 240)은 플렉서블 회로기판(200)에 대한 전기적 절연 및 전기적/물리적 충격 완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호층(230, 240)은 플렉서블 회로기판(200)에 대한 전기적 절연 및 전기적/물리적 충격 완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호층(230, 240)은 플렉서블 회로기판(200)의 노출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며, 부착 영역에 따라서 다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회로기판(200) 및 금속 기판(100)의 적층결합으로 인해 플렉서블 회로기판(200)에 절곡이 발생하는 절곡부(B)에 해당하는 영역에 대해서는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커버레이를 이용한 보호층(230)을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외 영역에 대해서는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솔더 레지스트를 이용한 보호층(240)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레이는 폴리이미드 내에 카본 블랙(carbon black)이 피그먼트(pigment)로 분산되어 있는 형태의 필름으로서, 솔더 레지스트에 비해 내구성이 뛰어난 소재이다. 또한, 솔더 레지스트는 커버레이에 비해 내구성은 떨어지나 가격이 저렴하다. 따라서, 높은 내구성이 필요한 영역에는 보호층으로서 커버레이를 사용하고, 상대적으로 내구성에 대한 필요성이 낮은 영역에는 보호층으로 솔더 레지스트를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배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절곡부(B)에 해당하는 영역에만 커버레이 보호층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금속 기판(100)과의 결합 영역과 발광 다이오드 모듈(300)의 실장 영역을 제외한 플렉서블 회로기판(200)의 노출면 전체에 커버레이 보호층을 부착할 수도 있다.
커버레이는 폴리이미드 필름에 열경화성 난연 에폭시 접착제가 코팅된 필름 형태로 구현되어 접착제를 통해 플렉서블 회로기판(200)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솔더 레지스트는 에폭시 계열의 PSR(Photo Imageable Solder Resist Ink)을 플렉서블 회로기판(200)의 전면에 도포한 뒤, 솔더 레지스트 패턴이 출력된 아트워크 필름을 밀착하여 노광 및 현상을 수행함으로써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절곡부(B) 영역에 있어서의 내구성 향상을 위해 커버레이를 보호층(230)으로 부착하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부위에 대한 보강을 위해 금속 기판(100)이 결합되는 일부 영역에까지 커버레이 보호층(230)을 연장하여 부착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 모듈(300)은 세라믹 기판(310), 및 발광 다이오드(3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320)는 칩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전도성 접착제(500)에 의해 세라믹 기판(310)과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320)는 절연 기판인 세라믹 기판(310)에 결합된 형태로 플렉서블 회로기판(200)의 도전패턴(220) 상에 전도성 접착제(500)를 통해 실장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320)의 애노드(anode) 및 캐소드(cathode) 단자에 연결되는 각 와이어(600)는 도전패턴(2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도성 접착제(500)는 전기 전도성을 가진 접착제로서, AuSn 페이스트 등이 전도성 접착제(500)로 사용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발광 다이오드(320)와 세라믹 기판(310) 간의 전도성 접착제(500)와, 세라믹 기판(310)과 도전패턴(220) 간의 전도성 접착제(500)에 동일한 부호가 부여되어 있으나, 이는 동일한 접착물질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전도성 접착물일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2의 실시 예에서는 보호층(230, 240)이 도전패턴(220)이 형성된 플렉서블 절연층(210)의 상부에 단면 부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보호층(230, 240)은 양면 부착될 수도 있다. 즉, 보호층(230, 240)은 플렉서블 절연층(210)의 하부에 추가로 부착될 수도 있다. 보호층(230, 240)이 양면 부착되는 실시 예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회로기판 일체형 금속 회로기판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회로기판 일체형 금속 회로기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전패턴(210)이 형성되는 플렉서블 회로기판(200)의 상부면에 보호층(230, 240)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회로기판(200)의 하부면에 추가적인 보호층(250)이 부착될 수 있다.
추가적인 보호층(250)은 플렉서블 절연층(210)에서 금속 기판(100)과의 결합 영역 이외의 영역에 부착되며, 내구성이 좋은 커버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도전패턴(210)이 형성되는 플렉서블 회로기판(200)의 상부면에 보호층(230, 240, 260)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회로기판(200)의 하부면에 추가적인 보호층(250)이 부착될 수 있다.
도 4에 개시된 실시 예는 비용 절감을 위하여 커버레이 사용을 최소화하면서 플렉서블 회로기판(2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시 예이다. 구체적으로 플렉서블 회로기판(200)의 절곡부(B)를 커버하는 커버레이 보호층(230, 250)을 상하부 양면으로 부착하고, 플렉서블 회로기판(200)의 나머지 영역에는 솔더 레지스트 보호층(240, 260)을 단면 또는 양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금속 회로기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의 일체형 금속 회로기판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금속 회로기판과 금속 기판(100)의 형상을 제외한 전체 구성이 동일하므로 각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금속 기판(100)은 플렉서블 회로기판(200)과 적층결합되는 결합면(101)의 외곽부(E)가 곡면 처리될 수 있다. 상세히 하면, 금속 기판(100)의 결합면(101)과, 이 결합면(101)과 연결되는 측면(102)이 완만한 곡면을 이루도록 라운드 처리될 수 있다.
이러한 금속 기판(100)의 곡면 처리를 통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회로기판(200)의 절곡 구현 시, 플렉서블 회로기판(200)이 완만한 곡면 각도를 이루며 절곡되기 때문에 절곡으로 인한 플렉서블 회로기판(200)의 크랙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회로기판(200)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전체적인 일체형 금속 회로기판의 신뢰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5에서는 도 2에 도시된 일체형 금속 회로기판을 기본으로 하여 금속 기판(100)이 곡면 처리되는 실시 예를 개시하였으나, 도 3 및 도 4 등의 실시 예에서도 금속 기판(100)의 곡면 처리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금속 회로기판 11, 100 : 금속 기판
12 : 절연층 13, 22, 220 : 도전패턴
14, 23 : 솔더 레지스트 20, 200 : 플렉서블 회로기판
21, 210 : 플렉서블 절연층 30, 300 : 발광 다이오드 모듈
31, 310 : 세라믹 기판 32, 320 : 발광 다이오드
40 : 솔더 210 : 플렉서블 절연층
230, 240, 250, 260 : 보호층 400 : 접착층
500 : 전도성 접착제 600 : 와이어

Claims (8)

  1. 금속 기판;
    적어도 일부가 상기 금속 기판의 상부에 적층결합되는 플렉서블 절연층, 및 상기 플렉서블 절연층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도전패턴, 및 상기 도전패턴이 형성된 상기 플렉서블 절연층의 적어도 일면에 부착되는 보호층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회로기판; 및
    상기 금속 기판과의 결합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플렉서블 회로기판 상에 실장되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은,
    상기 플렉서블 회로기판 및 상기 금속 기판의 적층결합으로 인해 절곡이 발생하는 절곡부에 부착되는 커버레이, 그리고
    상기 도전패턴이 형성된 상기 플렉서블 절연층의 적어도 일면에서 상기 절곡부를 제외한 영역에 부착되는 솔더 레지스트를 포함하는 일체형 금속 회로기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절연층은 폴리이미드, 카본 수 1 내지 10 사이의 지방족 또는 방향족을 작용기로 가지는 폴리이미드, 및 카본 수 1 내지 10 사이의 할로겐 치환 지방족 또는 할로겐 치환 방향족을 작용기로 가지는 폴리이미드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일체형 금속 회로기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절연층은 20㎛ 내지 200㎛의 두께로 형성되는 일체형 금속 회로기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기판은 상기 플렉서블 절연층과 적층결합되는 결합면의 외곽부가 곡면 처리된 일체형 금속 회로기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 모듈은,
    상기 금속 기판과의 결합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플렉서블 회로기판 상에 부착되는 세라믹 기판; 및
    상기 세라믹 기판에 결합되는 발광 다이오드 칩
    을 포함하는 일체형 금속 회로기판.
KR1020130041164A 2013-04-15 2013-04-15 일체형 금속 회로기판 KR102130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1164A KR102130090B1 (ko) 2013-04-15 2013-04-15 일체형 금속 회로기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1164A KR102130090B1 (ko) 2013-04-15 2013-04-15 일체형 금속 회로기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3827A KR20140123827A (ko) 2014-10-23
KR102130090B1 true KR102130090B1 (ko) 2020-07-03

Family

ID=51994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1164A KR102130090B1 (ko) 2013-04-15 2013-04-15 일체형 금속 회로기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00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39425A (zh) * 2019-11-25 2021-05-25 浙江荷清柔性电子技术有限公司 柔性电路板、柔性芯片封装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7210A (ja) * 2007-12-17 2009-07-02 Stanley Electric Co Ltd セラミック回路基板及び半導体発光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26994A (ja) * 1985-03-30 1986-10-08 日本メクトロン株式会社 可撓性金属ベ−ス回路基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7210A (ja) * 2007-12-17 2009-07-02 Stanley Electric Co Ltd セラミック回路基板及び半導体発光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3827A (ko) 2014-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2563B2 (en) LED package with metal PCB
KR101044200B1 (ko) 리지드-플렉서블 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US20080067526A1 (en) Flexible circuits having improved reliability and thermal dissipation
JP2020515068A (ja) 平坦なキャリア上へのled素子の取り付け
JP2006278766A (ja) 発光素子の実装構造及び実装方法
KR101431099B1 (ko) 금속 인쇄 회로 기판, 이를 이용하는 엘이디 조립 기판 및 엘이디 조립체
KR102105566B1 (ko) 일체형 금속 회로기판
KR102130090B1 (ko) 일체형 금속 회로기판
US10985303B2 (en) Method of making an LED device
KR102123555B1 (ko) 일체형 금속 회로기판
KR102203683B1 (ko)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장치
JP2016525792A (ja) 印刷電子装置作製技術に基づいて印刷回路基板アセンブリを製造する方法及び印刷回路基板アセンブリ
WO2012017725A1 (ja) 発熱源実装用基板モジュール、照明装置
JP5150384B2 (ja) 半導体発光装置
KR101523000B1 (ko) 3차원 조명장치
KR20210084881A (ko) 차량용 램프
KR102087864B1 (ko) 발광소자 모듈
JP2022038722A (ja) 発光モジュール及び照明器具
KR102053498B1 (ko) 인쇄 회로 기판, 그 인쇄 회로 기판을 이용한 발광 소자 모듈 및 그 인쇄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
KR20160118507A (ko) 구부릴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
KR20230029337A (ko) 인쇄 회로 기판 및 그를 포함하는 차량
KR101958131B1 (ko) 발광 소자 조립 구조체
KR102176472B1 (ko)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장치
KR101352057B1 (ko) 회로와 칩을 통합한 엘이디 칩 어레이
JP2015018608A (ja) 発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