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9688B1 - 산업차량의 프레임 구조 - Google Patents

산업차량의 프레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9688B1
KR102129688B1 KR1020180165074A KR20180165074A KR102129688B1 KR 102129688 B1 KR102129688 B1 KR 102129688B1 KR 1020180165074 A KR1020180165074 A KR 1020180165074A KR 20180165074 A KR20180165074 A KR 20180165074A KR 102129688 B1 KR102129688 B1 KR 102129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eight
fastening hole
center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5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6201A (ko
Inventor
문창기
박삼기
박찬영
류용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to KR1020180165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9688B1/ko
Publication of KR20200076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6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3Tank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 B60K2015/03453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for fixing or mounting parts of the fuel tank together
    • B60K2015/0346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for fixing or mounting parts of the fuel tank together by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5Fork lift trucks, Industrial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산업차량의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으로, 산업차량의 프레임 구조는 일측에 결합홈이 형성된 웨이트부와, 상기 결합홈이 형성된 상기 웨이트부의 일측과 마주하며 상기 결합홈과 나란한 체결홀이 형성된 지지면을 포함하는 프레임 부, 그리고 상기 체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 부와 상기 웨이트부를 체결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산업차량의 프레임 구조{FRAME CONSTRUCTION FOR INDUSTRIAL VEHICL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산업차량의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웨이트부에 효과적으로 프레임 부를 결합시킬 수 있는 산업차량의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차량의 무게추 역할을 하는 웨이트에 산업차량의 몸체인 프레임이 결합된다. 산업차량의 몸체인 프레임과 웨이트 사이를 용접하여 이들을 결합시킨다.
따라서, 산업차량 자체의 진동 또는 산업차량이 운행중에 발생되는 진동으로부터 프레임과 웨이트 사이의 용접에 의한 결합이 유지되도록 한다.
하지만, 프레임과 웨이트 사이가 용접으로 결합되는 경우, 프레임에 설치된 연료탱크와 웨이트 사이의 용접에 의한 누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경우, 연료탱크와 웨이트 사이의 용접의 설계에 대한 자유도가 적어 제품의 생산이 이를 고려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산업차량 자체의 진동 또는 산업차량이 운행중에 발생되는 진동에 따른 연료탱크와 웨이트 사이의 용접부분 사이의 결합관계도 고려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웨이트부에 프레임 부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산업차량의 프레임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산업차량의 프레임 구조는 일측에 결합홈이 형성된 웨이트부와, 상기 결합홈이 형성된 상기 웨이트부의 일측과 마주하며 상기 결합홈과 나란한 체결홀이 형성된 지지면을 포함하는 프레임 부, 그리고 상기 체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 부와 상기 웨이트부를 체결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면은 상기 프레임 부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 부에는 연료탱크가 배치되며, 상기 지지면의 일측은 상기 웨이트부의 일측과 마주하고 상기 지지면의 타측의 일영역은 상기 연료탱크의 일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면의 타측은 상기 연료탱크의 일면을 형성하는 탱크영역과 상기 체결홀이 형성된 지지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홈은 상기 웨이트부의 일측 상에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은 상기 지지면의 상기 지지영역 상에 상기 복수의 결합홈과 대응되도록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이트부는 일측에 상기 복수의 결합홈과 이격 형성된 가이드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탱크영역이 형성된 상기 지지면의 타측과 반대되는 상기 지지면의 일측에 상기 가이드 홈을 향해 돌출 배치된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체결홀은 상기 프레임 부의 중심 방향보다 상기 프레임 부의 외측으로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상기 지지면의 지지영역 상에 관통 형성된 제1 체결홀과, 상기 제1 체결홀 보다 상기 프레임 부의 중심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상기 지지면의 지지영역 상에 관통 형성된 제2 체결홀, 그리고 상기 제1 체결홀과 상기 제2 체결홀 보다 상기 프레임 부의 하부와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상기 지지면의 지지영역 상에 관통 형성된 제3 체결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체결홀의 중심은 상기 웨이트부와 상기 프레임 부가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된 무게중심으로부터 상기 프레임 부의 폭방향으로 496.7 내지 536.7mm, 상기 프레임 부의 높이 방향으로 299.5 내지 319.5mm범위 내에 있고, 상기 제2 체결홀의 중심은 상기 웨이트부와 상기 프레임 부가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된 무게중심으로부터 상기 프레임 부의 폭방향으로 305.5 내지 345.5mm, 상기 프레임 부의 높이 방향으로 162.5 내지 182.5mm범위 내에 있고, 상기 제3 체결홀의 중심은 상기 웨이트부와 상기 프레임 부가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된 무게중심으로부터 상기 프레임 부의 폭방향으로 305.5 내지 345.5mm, 상기 프레임 부의 높이 방향으로 -84 내지 -94mm범위 내에 있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중심은 상기 웨이트부와 상기 프레임 부가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된 무게중심으로부터 상기 프레임 부의 폭방향으로 496.7내지 536.7mm, 상기 프레임 부의 높이 방향으로 43 내지 53mm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산업차량의 프레임 구조는 상기 웨이트부의 타측에 지지되는 카운트 웨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운트 웨이트는 상기 웨이트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 구조는 웨이트부에 프레임 부를 효과적으로 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부와 웨이트부의 체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다른 뷰포인트에서의 도면이다.
도 3은 지지면을 정면으로 본 도면이다.
도 4는 카운터 웨이트가 설치된 산업차량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의 프레임 구조(101)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의 프레임 구조(10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웨이트부(100)와 프레임 부(200) 그리고 체결부재(300)를 포함한다.
웨이트부(100)는 산업차량에서 무게추 역할을 보조한다. 또한, 웨이트부(100)의 일측에 결합홈(110)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결합홈(110)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 부(200)는 산업차량의 몸체를 형성한다. 또한, 프레임 부(200)는 지지면(21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지지면(210)은 웨이트부(100)의 일측과 마주하며 결합홈(110)과 나란한 체결홀(280)이 형성된다. 즉, 체결홀(280)은 결합홈(110)과 마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300)는 체결홀(280)을 관통하여 결합홈(110)에 삽입된다. 또한, 체결부재(300)는 프레임 부(200)와 웨이트부(100)를 체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산업차량의 프레임 구조(101)는 웨이트부(100)에 결합홈(110)이 형성되어 있어, 프레임 부(200)를 웨이트부(100)에 효과적으로 지지하도록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의 프레임 구조(101)의 지지면(210)은 프레임 부(20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 부(200)는 산업차량의 몸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면(210)은 프레임 부(20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면(210)은 프레임 부(200)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웨이트부(100)의 일측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면(210)은 웨이트부(100)의 일측에 효과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의 프레임 구조(101)의 프레임 부(200)에는 연료탱크(220)가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 부(200)에는 연료탱크(220)가 배치될 수 있다. 지지면(210)의 일측은 웨이트부(100)의 일측과 마주하고, 지지면(210)의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의 일영역은 연료탱크(220)의 일면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면(210)의 타측의 일영역은 연료탱크(220)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면(210)의 타측의 일영역에는 연료탱크(220)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내부에 연료가 저장되는 것을 보호할 수 있다. 즉, 지지면(210)의 타측의 일영역은 연료탱크(220)의 일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면(210)은 웨이트부(100)에 지지될 뿐만 아니라 연료탱크(220)의 일면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 산업차량의 프레임 구조(101)가 별도의 브래킷등이 불필요하여 컴팩트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면(210)의 타측은 탱크영역(215)과 지지영역(216)을 포함할 수 있다.
탱크영역(215)은 연료탱크(220)의 일면을 형성한다. 탱크영역(215)은 연료탱크(220)의 일면을 형성하여 산업차량에 필요한 연료 또는 작동유가 저유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탱크영역(215)에는 연료탱크(220)를 형성하는 제1 탱크 플레이트(221)와 제2 탱크 플레이트(222)와 제3 탱크 플레이트(223) 그리고 제4 탱크 플레이트(224)가 지지될 수 있다. 제1 탱크 플레이트(221)는 프레임 부(200)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지지면(210)의 타측 탱크영역(215)에 지지될 수 있다.
제2 탱크 플레이트(222)는 제1 탱크 플레이트(221)와 평행하게 지지면(210)의 타측 탱크영역(215)에 이격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2 탱크 플레이트(222)는 제1 탱크 플레이트(221) 보다 프레임 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른 중심과 상대적으로 인접합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탱크 플레이트(223)는 제1 탱크 플레이트(221)와 제2 탱크 플레이트(222) 사이에 배치되고, 지지면(210)의 타측 탱크영역(215)에 지지될 수 있다.
제4 탱크 플레이트(224)는 제3 탱크 플레이트(223)와 평행하게 지지면(210)의 타측 탱크영역(215)에 이격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4 탱크 플레이트(224)는 제3 탱크 플레이트(223) 보다 지지면(210) 상에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예로, 제1 탱크 플레이트(221)와 제4 탱크 플레이트(224)는 하나의 플레이트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탱크 플레이트(221)와 제2 탱크 플레이트(222)와 제3 탱크 플레이트(223)와 제4 탱크 플레이트(224) 그리고 지지면(210)의 타측에 형성된 탱크영역(215)은 산업차량에 필요한 연료 또는 작동유가 저유될 수 있도록 이를 보관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지지영역(216)은 체결홀(280)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홀(280)이 연료탱크(220)를 형성하는 탱크영역(215)이 아닌 지지영역(216)에 관통 형성되어 있어, 웨이트부(100)에 프레임 부(200)를 체결시 연료탱크(220)의 일부를 관통하는 경우 반복되는 진동 및 체결미비에 따라 발생되는 연료 또는 작동유의 누유 현상을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웨이트부(100)에 프레임 부(200)를 체결시 체결부재(30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연료탱크(220)와의 간섭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의 프레임 구조(101)는 복수의 결합홈(111,112,113)과 복수의 체결홀(211,212,2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홈(110)은 웨이트부(100)의 일측 상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웨이트부(100)의 일측에 복수의 결합홈(111,112,113)이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일예로, 복수의 결합홈(111,112,113)은 제1 결합홈(111)과 제2 결합홈(112) 그리고 제3 결합홈(1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결합홈(111)과 제2 결합홈(112) 그리고 제3 결합홈(113)의 내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체결부재(300)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결합홈(111,112,113)은 웨이트부(100)의 일면에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1 결합홈(111)은 웨이트부(100)의 중심보다 웨이트부(100)의 외측에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홈(112)은 제1 결합홈(111) 보다 웨이트부(100)의 중심에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결합홈(113)은 제1 결합홈(111) 및 제2 결합홈(112) 보다 웨이트부(100)의 하부와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결합홈(112)이 제1 결합홈(111)과 제3 결합홈(11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2 결합홈(112)과 제3 결합홈(113)은 웨이트부(100)의 높이방향으로 동축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홀(280)은 지지면(210)의 지지영역(216) 상에 복수의 결합홈(111,112,113)과 대응되도록 복수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홀(280)은 지지면(210)의 지지영역(216) 상에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관통형성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체결홀(211,212,213)은 복수의 결합홈(111,112,113)과 마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체결부재(300)가 각각의 체결홀(280)와 결합홈(110)을 서로 체결하여, 프레임 부(200)와 웨이트부(10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일예로, 복수의 체결홀(211,212,213)은 제1 체결홀(211)과 제2 체결홀(212) 그리고 제3 체결홀(21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체결홀(211,212,213)은 지지면(210)의 지지영역(216) 상에 서로 이격되어 관통형성 될 수 있다.
제1 체결홀(211)은 웨이트부(100)의 중심보다 웨이트부(100)의 외측에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체결홀(211)은 프레임 부(200)의 중심 방향보다 프레임 부(200)의 외측으로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지지면(210)의 지지영역(216) 상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2 체결홀(212)은 제1 체결홀(211) 보다 웨이트부(100)의 중심에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체결홀(212)은 제1 체결홀(211) 보다 프레임 부(200)의 중심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지지면(210)의 지지영역(216) 상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3 체결홀(213)은 제1 체결홀(211) 및 제2 체결홀(212) 보다 웨이트부(100)의 하부와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체결홀(212)이 제1 체결홀(211)과 제3 체결홀(21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2 체결홀(212)과 제3 체결홀(213)은 웨이트부(100)의 높이방향으로 동축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체결홀(213)은 제1 체결홀(211)과 제2 체결홀(212) 보다 프레임 부(200)의 하부와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지지면(210)의 지지영역(216) 상에 관통 형성될 수 잇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의 프레임 구조(101)는, 앞서 서술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홈(120)과 가이드부재(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홈(120)은 웨이트부(10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홈(120)은 웨이트부(100)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홈(211,212,213)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홈(120)은 지지면(210)과 마주하는 웨이트부(100)의 일영역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복수의 결합홈(211,212,213)이 제1 결합홈(111)과 제2 결합홈(112) 그리고 제3 결합홈(113)을 포함하는 경우, 가이드 홈(120)은 웨이트부(100)의 높이 방향으로 제2 결합홈(112)과 제3 결합홈(1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홈(120)은 웨이트부(100)의 높이 방향으로 제1 결합홈(111)과 동축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260)는 탱크영역(215)이 형성된 지지면(210)의 타측과 반대되는 지지면(21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재(260)는 가이드 홈(120)을 향해 돌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재(260)는 가이드 홈(120)에 삽입 가능하도록 지지면(210)의 일측상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가이드부재(260)는 실린더 형의 부재 일단이 지지면(210)의 일측 상에 용접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재(260)는 프레임 부(200)가 웨이트부(100)에 결합치 이의 체결을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의 프레임 구조(101)는 프레임 부(200)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도록 형성된 웨이트부(100)의 복수의 일측과 지지면(210) 그리고 복수의 연료탱크(2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부(200)와 마주하는 웨이트부(100)의 일측 양측에는 복수의 결합홈(111,112,113)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양측 중 어느 하나에 제1 결합홈(111)과 제2 결합홈(112)과 제3 결합홈(113) 그리고 가이드 홈(12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결합홈(11)이 프레임 부(200)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도록 웨이트부(100)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홈(112)과 제3 결합홈(113) 그리고 가이드 홈(120)의 형성된 구조도 상술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프레임 부(200)는 복수의 연료탱크(220)와 지지면(210)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지지면(210)은 프레임 부(200)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형으로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연료탱크(220) 역시 프레임 부(200)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형으로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 부(2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연료탱크(220)와 하나의 지지면(210)을 포함하고 산업차량의 일측의 몸체를 형성하는 제1 사이드부(240)와, 나머지 하나의 연료탱크(220)와 나머지 하나의 지지면(210)을 포함하고 산업차량의 타측의 몸체를 형성하는 제2 사이드부(250) 그리고 제1 사이드부(240)와 제2 사이드부(250)를 연결하는 크로스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체결홀(211)의 중심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웨이트부(100)와 프레임 부(200)가 체결부재(300)에 의해 결합된 무게중심으로부터 프레임 부(200)의 폭방향(X)으로 496.7 내지 536.7mm, 프레임 부(200)의 높이 방향(Y)으로 299.5 내지 319.5mm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이때, 프레임 부(200)의 높이 방향은 연료탱크(220)의 높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제1 체결홀(211)의 중심이 웨이트부(100)와 프레임 부(200)가 체결부재(300)에 의해 결합된 무게중심으로부터 프레임 부(200)의 폭방향으로 536.7mm를 초과하는 경우, 잔여하는 지지면(210)의 지지영역(216)이 체결부재(300)의 머리부분을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는, 제1 체결홀(211)의 중심이 웨이트부(100)와 프레임 부(200)가 체결부재(300)에 의해 결합된 무게중심으로부터 프레임 부(200)의 높이 방향(Y)으로 319.5mm를 초과하는 경우, 프레임 부(200)의 전체 높이를 고려할 때 이를 웨이트부(100)에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지지면(210)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커져 프레임 부(200)와 웨이트부(100) 사이의 결합되는 것을 유지하기 어렵거나, 산업차량의 무게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1 체결홀(211)의 중심이 웨이트부(100)와 프레임 부(200)가 체결부재(300)에 의해 결합된 무게중심으로부터 프레임 부(200)의 높이 방향으로 299.5mm 미만인 경우, 프레임 부(200)의 높이를 고려할 때 이를 웨이트부(100)에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1 체결홀(211)의 중심이 연료탱크(220)와 인접해져 지지면(210)이 연료탱크(220)의 일면을 형성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즉, 이와 같을 시, 연료탱크(220)의 설치영역이 좁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2 체결홀(212)의 중심은 웨이트부(100)와 프레임 부(200)가 체결부재(300)에 의해 결합된 무게중심으로부터 프레임 부(200)의 폭방향으로 305.5 내지 345.5mm, 프레임 부(200)의 높이 방향으로 162.5 내지 182.5mm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제2 체결홀(212)의 중심이 웨이트부(100)와 프레임 부(200)가 체결부재(300)에 의해 결합된 무게중심으로부터 프레임 부(200)의 폭방향으로 345.5mm를 초과하는 경우, 연료탱크(220)와 제2 체결홀(212)이 인접하게 배치되어 연료탱크(220)의 설치영역이 좁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연료탱크(220)와 체결부재(300) 사이의 간섭으로 인해, 체결부재(300)를 체결시 어려움이 있다.
또는, 제2 체결홀(212)의 중심이 웨이트부(100)와 프레임 부(200)가 체결부재(300)에 의해 결합된 무게중심으로부터 프레임 부(200)의 폭방향으로 305.5mm 미만인 경우, 프레임 부(200)의 전체 폭을 고려할 때 이를 웨이트부(100)에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프레임 부(200)의 내측이 웨이트부(100)와 결합되는 것을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는, 제2 체결홀(212)의 중심이 웨이트부(100)와 프레임 부(200)가 체결부재(300)에 의해 결합된 무게중심으로부터 프레임 부(200)의 높이 방향으로 182.5mm를 초과하는 경우, 프레임 부(200)의 전체 높이를 고려할 때 이를 웨이트부(100)에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지면(210)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커져 프레임 부(200)와 웨이트부(100) 사이의 결합되는 것을 유지하기 어렵거나, 산업차량의 무게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제2 체결홀(212)은 프레임 부(200)와 웨이트부(100)의 결합시 하부로 작용하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2 체결홀(212)의 중심이 웨이트부(100)와 프레임 부(200)가 체결부재(300)에 의해 결합된 무게중심으로부터 프레임 부(200)의 높이 방향으로 162.5mm 미만인 경우, 프레임 부(200)의 높이를 고려할 때 이를 웨이트부(100)에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제1 체결홀(211)에 의해서만 프레임 부(200)와 웨이트부(100)의 상부가 지지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3 체결홀(213)의 중심은 웨이트부(100)와 프레임 부(200)가 상기 체결부재(300)에 의해 결합된 무게중심으로부터 프레임 부(200)의 폭방향으로 305.5 내지 345.5mm, 프레임 부(200)의 높이 방향으로 -84 내지 -94mm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제3 체결홀(213)의 중심이 웨이트부(100)와 프레임 부(200)가 체결부재(300)에 의해 결합된 무게중심으로부터 프레임 부(200)의 폭방향으로 345.5mm를 초과하는 경우, 연료탱크(220)와 제3 체결홀(213)이 인접하게 배치되어 연료탱크(220)의 설치영역이 좁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연료탱크(220)와 체결부재(300) 사이의 간섭으로 인해, 체결부재(300)를 체결시 어려움이 있다.
또는, 제3 체결홀(213)의 중심이 웨이트부(100)와 프레임 부(200)가 체결부재(300)에 의해 결합된 무게중심으로부터 프레임 부(200)의 폭방향으로 305.5mm 미만인 경우, 프레임 부(200)의 전체 폭을 고려할 때 이를 웨이트부(100)에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프레임 부(200)의 내측이 웨이트부(100)와 결합되는 것을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는, 제3 체결홀(213)의 중심이 웨이트부(100)와 프레임 부(200)가 체결부재(300)에 의해 결합된 무게중심으로부터 프레임 부(200)의 높이 방향으로 -94mm를 초과하는 경우, 프레임 부(200)의 전체 높이를 고려할 때 이를 웨이트부(100)에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3 체결홀(213)의 중심이 프레임 부(200)와 웨이트부(100) 사이의 무게중심으로부터 멀어져, 프레임 부(200)와 웨이트부(100)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때, "-"는 웨이트부(100)와 프레임 부(200)가 체결부재(300)에 의해 결합된 무게중심으로부터 방향이 하부로 형성된 것으로 정의하며, 미만/초과를 판단할 때는 무게중심과의 거리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제3 체결홀(213)의 중심이 웨이트부(100)와 프레임 부(200)가 체결부재(300)에 의해 결합된 무게중심으로부터 프레임 부(200)의 높이 방향으로 -84mm 미만인 경우, 프레임 부(200)의 높이를 고려할 때 이를 웨이트부(100)에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제3 체결홀(213)이 제2 체결홀(212)과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됨에 따라, 지지면(210)의 하부(프레임 부(200)의 하부)를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이드부재(260)의 중심은 웨이트부(100)와 프레임 부(200)가 상기 체결부재(300)에 의해 결합된 무게중심으로부터 프레임 부(200)의 폭방향으로 496.7내지 536.7mm, 프레임 부(200)의 높이 방향으로 43 내지 53mm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가이드부재(260)의 중심이 웨이트부(100)와 프레임 부(200)가 체결부재(300)에 의해 결합된 무게중심으로부터 프레임 부(200)의 폭방향으로 536.7mm를 초과하는 경우, 잔여하는 지지면(210)이 웨이트부(100)에 효과적으로 지지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는, 가이드부재(260)의 중심이 웨이트부(100)와 프레임 부(200)가 체결부재(300)에 의해 결합된 무게중심으로부터 프레임 부(200)의 폭방향으로 496.7mm 미만인 경우, 프레임 부(200)의 전체 폭을 고려할 때 이를 웨이트부(100)에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프레임 부(200)의 외측과 웨이트부(100) 사이의 결합을 효과적으로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는, 가이드부재(260)의 중심이 웨이트부(100)와 프레임 부(200)가 체결부재(300)에 의해 결합된 무게중심으로부터 프레임 부(200)의 높이 방향으로 53mm를 초과하는 경우, 프레임 부(200)의 전체 높이를 고려할 때 이를 웨이트부(100)에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이드부재(260)의 중심이 프레임 부(200)와 웨이트부(100) 사이의 무게중심으로부터 멀어져, 프레임 부(200)와 웨이트부(100)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이드부재(260)의 중심이 웨이트부(100)와 프레임 부(200)가 체결부재(300)에 의해 결합된 무게중심으로부터 프레임 부(200)의 높이 방향으로 43mm 미만인 경우, 프레임 부(200)의 높이를 고려할 때 이를 웨이트부(100)에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제3 체결홀(213)과 가이드부재(260)의 중심이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됨에 따라, 지지면(210)의 상부(프레임 부(200)의 상부)를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의 프레임 구조(101)의 체결과정을 서술한다.
프레임 부(200)의 지지면(210)에 형성된 가이드부재(260)가 가이드 홈(120)과 마주하도록 프레임 부(200)를 이동시킨다. 또한, 가이드 홈(120) 내부에 가이드부재(260)가 삽입되어 프레임 부(200)와 웨이트부(100)가 체결 준비되도록 한다.
제1 체결홀(211)과 제1 결합홈(111), 제2 체결홀(212)과 제2 결합홈(112), 그리고 제3 체결홀(213)과 제3 결합홈(113)을 각각 관통하도록 체결부재(300)를 결합한다.
프레임 부(200)에 배치된 복수의 지지면(210)이 웨이트부(100) 일측의 양측과 마주하도록 하여 체결부재(300)를 통해 프레임 부(200)와 웨이트부(100)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의 프레임 구조(101)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운터 웨이트(400)를 더 포함한다.
카운터 웨이트(400)는 산업차량의 무게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웨이트부(100)는 카운터 웨이트(400)와 프레임 부(200)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지지할 수 있다. 카운터 웨이트(400)는 웨이트부(100)의 타측에 지지되어 산업차량의 무게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예로, 웨이트부(100)와 카운터 웨이트(400)는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산업차량의 모델에 따라 서로 다른 무게를 갖는 카운터 웨이트(400)를 웨이트부(100)에 설치하여 산업차량을 출고 시킬 수 있다. 즉, 산업차량에 설치된 중량만 다른 카운터 웨이터(400)를 웨이트부(100)에 설치할 수 있어, 산업차량의 제작시 다른 구성의 설계변화 없이 효과적으로 산업차량을 생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의 프레임 구조(101)는 웨이트부(100)와 프레임 부(200)를 하나의 모듈화된 구성으로 두고 카운터 웨이트(400)가 갖는 중량만 달리 하여 산업차량을 효과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의 프레임 구조(101)는 웨이트부(100)에 프레임 부(200)를 효과적으로 체결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부(200)의 지지면(210)은 연료탱크(220)를 형성하는 영역과 웨이트부(100)에 체결되는 영역이 구분되어 있어, 연료탱크(220)와 웨이트부(100)가 체결되는 경우 발생되는 연료 및 오일의 누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웨이트부 101: 산업차량의 프레임 구조
110: 결합홈 111: 제1 결합홈
112: 제2 결합홈 113: 제3 결합홈
120: 가이드 홈
200: 프레임 부 210: 지지면
211: 제1 체결홀 212: 제2 체결홀
213: 제3 체결홀 215: 탱크영역
216: 지지영역 220: 연료탱크
260: 가이드부재 280: 체결홀
300: 체결부재 400: 카운트 웨이트

Claims (10)

  1. 산업차량의 프레임 구조에 있어서,
    일측에 결합홈이 형성된 웨이트부;
    상기 결합홈이 형성된 상기 웨이트부의 일측과 마주하며, 상기 결합홈과 나란한 체결홀이 형성된 지지면을 포함하는 프레임 부; 및
    상기 체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 부와 상기 웨이트부를 체결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부에는 연료탱크가 배치되며, 상기 지지면의 일측은 상기 웨이트부의 일측과 마주하고, 상기 지지면의 타측은 상기 연료탱크의 일면을 형성하는 탱크영역과 상기 탱크영역 보다 외주에 배치되며 상기 체결홀이 형성된 지지영역을 포함하는 산업차량의 프레임 구조.
  2. 제1항에서,
    상기 지지면은 상기 프레임 부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차량의 프레임 구조.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서,
    상기 결합홈은 상기 웨이트부의 일측 상에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은 상기 지지면의 상기 지지영역 상에 상기 복수의 결합홈과 대응되도록 복수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차량의 프레임 구조.
  6. 제5항에서,
    상기 웨이트부는 일측에 상기 복수의 결합홈과 이격 형성된 가이드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탱크영역이 형성된 상기 지지면의 타측과 반대되는 상기 지지면의 일측에 상기 가이드 홈을 향해 돌출 배치된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산업차량의 프레임 구조.
  7. 제6항에서,
    상기 복수의 체결홀은,
    상기 프레임 부의 중심 방향보다 상기 프레임 부의 외측으로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상기 지지면의 지지영역 상에 관통 형성된 제1 체결홀;
    상기 제1 체결홀 보다 상기 프레임 부의 중심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상기 지지면의 지지영역 상에 관통 형성된 제2 체결홀; 및
    상기 제1 체결홀과 상기 제2 체결홀 보다 상기 프레임 부의 하부와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상기 지지면의 지지영역 상에 관통 형성된 제3 체결홀
    을 포함하는 산업차량의 프레임 구조.
  8. 제7항에서,
    상기 제1 체결홀의 중심은 상기 웨이트부와 상기 프레임 부가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된 무게중심으로부터 상기 프레임 부의 폭방향으로 496.7 내지 536.7mm, 상기 프레임 부의 높이 방향으로 299.5 내지 319.5mm범위 내에 있고,
    상기 제2 체결홀의 중심은 상기 웨이트부와 상기 프레임 부가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된 무게중심으로부터 상기 프레임 부의 폭방향으로 305.5 내지 345.5mm, 상기 프레임 부의 높이 방향으로 162.5 내지 182.5mm범위 내에 있고,
    상기 제3 체결홀의 중심은 상기 웨이트부와 상기 프레임 부가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된 무게중심으로부터 상기 프레임 부의 폭방향으로 305.5 내지 345.5mm, 상기 프레임 부의 높이 방향으로 -84 내지 -94mm범위 내에 있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중심은 상기 웨이트부와 상기 프레임 부가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된 무게중심으로부터 상기 프레임 부의 폭방향으로 496.7내지 536.7mm, 상기 프레임 부의 높이 방향으로 43 내지 53mm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차량의 프레임 구조.
  9. 제1항, 제2항,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웨이트부의 타측에 지지되는 카운트 웨이트를 더 포함하는 산업차량의 프레임 구조.
  10. 제9항에서,
    상기 카운트 웨이트는 상기 웨이트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차량의 프레임 구조.
KR1020180165074A 2018-12-19 2018-12-19 산업차량의 프레임 구조 KR102129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074A KR102129688B1 (ko) 2018-12-19 2018-12-19 산업차량의 프레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074A KR102129688B1 (ko) 2018-12-19 2018-12-19 산업차량의 프레임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6201A KR20200076201A (ko) 2020-06-29
KR102129688B1 true KR102129688B1 (ko) 2020-07-08

Family

ID=71401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5074A KR102129688B1 (ko) 2018-12-19 2018-12-19 산업차량의 프레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968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41332A (ja) * 2015-02-04 2016-08-0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産業車両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7890A (ja) * 1997-04-25 1998-11-10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フォークリフト用カウンタウェイト
KR20160076657A (ko) * 2014-12-23 2016-07-01 주식회사 두산 전동식 3륜 지게차의 카운터웨이트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41332A (ja) * 2015-02-04 2016-08-0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産業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6201A (ko) 2020-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30851B (zh) 电池组
US9758028B2 (en) Vehicle panel structure
JP5924321B2 (ja) 車両の骨格構造
US11462793B2 (en) Battery case structure for vehicle
US20160236713A1 (en) Vehicle body frame and vehicle underfloor structure
WO2012140930A1 (ja) 車両のフック取付構造およびフック取付モジュール
CN104670337A (zh) 车身框架构件
JP2015096754A (ja) 防振装置
CN105026200A (zh) 燃料容器
JP2018172888A (ja) 建築物の架構構造
JP2013067324A (ja) クラッシュボックス及び該クラッシュボックスが適用される車両用バンパ装置
KR102129688B1 (ko) 산업차량의 프레임 구조
WO2016079915A1 (ja) 燃料タンクの車体取付構造
JP6677188B2 (ja) パワーユニットマウント構造
JP5746789B2 (ja) 免震床構造
JP2020175768A (ja) 車両構造及び車両の製造方法
KR101417507B1 (ko) 강관 접합 구조물
JP2015196463A (ja) 車両のエネルギ吸収構造
JP6313067B2 (ja) 制震ダンパー
CN219261330U (zh) 支撑装置
CN115667780B (zh) 燃料箱
JP6551243B2 (ja) バッテリ搭載構造
KR102124354B1 (ko) 차량용 크래쉬 박스 및 그 조립 방법
JP2010217024A (ja) バスケット及びキャスク
JP2012180872A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