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9581B1 - 공기입 타이어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입 타이어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9581B1
KR102129581B1 KR1020180164301A KR20180164301A KR102129581B1 KR 102129581 B1 KR102129581 B1 KR 102129581B1 KR 1020180164301 A KR1020180164301 A KR 1020180164301A KR 20180164301 A KR20180164301 A KR 20180164301A KR 102129581 B1 KR102129581 B1 KR 102129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 hole
mold
vent
pneumatic tire
locking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4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5524A (ko
Inventor
백호진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4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9581B1/ko
Publication of KR20200075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5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6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6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 B29D2030/0607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moulds
    • B29D2030/0617Venting devices, e.g. vent plugs or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입 타이어의 제조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그린 타이어의 가류 공정을 수행하며, 복수개의 벤트홀이 구비된 금형과, 상기 복수개의 벤트홀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하며, 상기 금형과 찰탈 가능하고, 결합된 상기 벤트홀과 연통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벤트홀부와, 상기 벤트홀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벤트홀부의 회전 시 상기 벤트홀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입 타이어의 제조장치{Manufacturing apparatus for a pneumatic tire}
본 발명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입 타이어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기입 타이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가류 공정을 거쳐야 한다. 이때, 가류 공정은 유연한 고무로 된 그린 타이어를 일정한 금형에 넣어 내부와 외부에서 열과 압력을 가해 유황과 다른 화학 약품이 고무와 반응을 일으키는 작업으로서 트레드 패턴의 독특한디자인과 고무의 탄성을 부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가류 공정에 사용되는 공기입 타이어의 제조장치는 금형과 그린 타이어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를 다양한 방식으로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이때, 금형에는 이러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벤트홀이 형성되며, 이러한 벤트홀은 최초 금형의 제조 시 일정한 범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공기입 타이어의 제조 시 벤트홀에 의하여 그린 타이어가 움직이는 방향 등이 결정될 수 있다. 이때, 그린 타이어거 설계된 것과 같이 움직이지 않는 경우 금형을 외부로 반출하여 별도의 홀을 형성하거나 새로운 금형을 설계하여야 하므로 작업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기입 타이어의 제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그린 타이어의 가류 공정을 수행하며, 복수개의 벤트홀이 구비된 금형과, 상기 복수개의 벤트홀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하며, 상기 금형과 찰탈 가능하고, 결합된 상기 벤트홀과 연통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벤트홀부와, 상기 벤트홀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벤트홀부의 회전 시 상기 벤트홀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의 제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벤트홀부 또는 상기 금형 중 하나는 제1 걸림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벤트홀부 또는 상기 금형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1 걸림돌기가 삽입되며, 상기 제1 걸림돌기의 회전 시 상기 제1 걸림돌기를 고정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벤트홀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하며, 상기 벤트홀에 삽입되어 상기 벤틀홀을 차폐시키는 상기 벤트홀차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벤트홀차폐부 또는 상기 금형 중 하나는 제2 걸림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벤트홀차폐부 또는 상기 금형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걸림돌기가 삽입되며, 상기 제2 걸림돌기의 회전 시 상기 제2 걸림돌기를 고정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벤트홀의 위치 및 개수를 자유롭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기입 타이어의 형상을 최적화하여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의 제조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벤트홀부와 벤트홀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벤트홀부와 벤트홀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벤트홀차폐부와 벤트홀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벤트홀차폐부와 벤트홀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입 타이어의 제조장치를 통하여 제조된 공기입 타이어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의 제조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벤트홀부와 벤트홀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벤트홀부와 벤트홀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벤트홀차폐부와 벤트홀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벤트홀차폐부와 벤트홀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공기입 타이어의 제조장치(1)는 금형(10), 벤트홀부(20), 탄성부(30), 벤트홀차폐부(40), 센서부(5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금형(10)은 그린 타이어(G)의 다양한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금형(10)은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금형(10)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금형(10)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서로 근접하여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그린 타이어(G)의 최종 형상에 대응되도록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금형(10)에는 벤트홀(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벤트홀(11)은 금형(10)과 그린 타이어(G) 사이의 공간의 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특히 벤트홀(11)은 그린 타이어(G)에 압력이 가해져 그린 타이어(G)가 부풀어 오르는 경우 그린 타이어(G)의 전개 방향, 전개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벤트홀(11)의 개수, 벤트홀(11)에서 흡입하는 기체의 흡입 압력 등에 따라 그린 타이어(G)의 전개 방향과 전개 정도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벤트홀(11)은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벤트홀(11)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개의 벤트홀(11)은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벤트홀(11)은 금형(10)의 일부에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개의 벤트홀(11)은 금형(10)의 전면에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벤트홀(11)은 입구부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벤트홀(11)의 입구부는 벤트홀(11)의 다른 부분보다 넓을 수 있으며, 벤트홀(11)의 내경은 벤트홀(11)의 입구부로부터 내측으로 들어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벤트홀(11)의 내경은 벤트홀(11)의 입구부에서 일정 깊이까지 동일하고 이를 도과하면 일정 거리만큼 이동할 때마다 내경이 점점 줄어들 수 있다.
복수개의 벤트홀(11) 중 적어도 하나에는 벤트홀부(20)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벤트홀부(20)는 중앙에 벤트홀부(20)의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관통하는 관통홀(24)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관통홀(24)의 내경은 각 벤트홀(11)의 내경 중 가장 작은 부위와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벤트홀부(20)의 끝단은 각 벤트홀(11)의 내경 중 가장 작은 부위와 접촉함으로써 벤트홀부(20)가 벤트홀(11) 내부에 배치되는 경우 관통홀(24)과 벤트홀(11)의 일부는 일직선을 이룰 수 있으며, 내경이 동일한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벤트홀부(20)와 벤트홀(11)이 결합하여 형성하는 유로는 기체의 흡입 시 유로의 내경이 일정하므로 균일한 압력으로 흡입하는 것이 가능하고, 유로의 내경 변화로 인한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벤트홀부(20)는 제1 바디부(21), 제2 바디부(22) 및 제3 바디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바디부(21)의 외경, 제2 바디부(22)의 외경 및 제3 바디부(23)의 외경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바디부(21)의 외경은 제2 바디부(22)의 외경보다 크고, 제2 바디부(22)의 외경은 제3 바디부(23)의 외경보다 작으며, 제1 바디부(21)의 외경은 제3 바디부(23)의 외경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3 바디부(23)의 외면에는 나사산 등이 형성될 수 있으며, 벤트홀부(20)가 벤트홀(11)에 삽입된 후 제2 바디부(22)가 배치되는 벤트홀(11) 부분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3 바디부(23)의 외경에 배치된 나사산과 치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벤트홀부(20) 또는 금형(10) 중 하나는 제1 걸림돌기(25)를 포함하고, 벤트홀부(20) 또는 금형(10) 중 하나는 제1 걸림돌기(25)가 삽입되며 제1 걸림돌기(25)가 회전하여 고정되는 결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벤트홀부(20)는 제1 걸림돌기(25)를 구비하고, 금형(10)은 상기 결합부를 구비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걸림돌기(25)는 제1 바디부(21)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제1 걸림돌기(25)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제1 걸림돌기(25)는 제1 바디부(21)의 중심으로부터 서로 일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금형(1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부는 제1 걸림돌기(25)가 삽입되도록 벤트홀(11)의 입구부의 홈(12)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의 홈(12)에 삽입된 제1 걸림돌기(25)가 회전 가능하도록 벤트홀(11)의 내면에 형성된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걸림돌기(25)는 상기 결합부의 홈(12)으로 삽입된 후 벤트홀부(20)를 회전하면, 제1 걸림돌기(25)는 상기 결합부의 그루브(미도시)를 따라 회전하여 걸릴 수 있다.
탄성부(30)는 벤트홀(11)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30)의 일단은 벤트홀(11)의 단차진 내부에 접촉하여 지지될 수 있으며, 탄성부(30)의 타단은 벤트홀부(20) 또는 후술할 벤트홀차폐부(40) 중 하나의 일부에 접촉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탄성부(30)는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성부(30)는 고무,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재질로 형성된 바(Bar)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탄성부(30)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30)는 내부에 공간이 존재하지 않거나 존재할 수 있다. 탄성부(30)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경우 벤트홀부(20) 또는 벤트홀차폐부(40) 중 하나의 일부가 십입될 수 있다.
벤트홀차폐부(40)는 벤트홀부(20)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벤트홀차폐부(40)는 내부에 벤트홀부(20)의 관통홀(24)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벤트홀차폐부(40)가 벤트홀(11)에 결합하는 경우 벤트홀(11)은 완전히 차폐될 수 있다.
벤트홀차폐부(40) 또는 금형(10) 중 하나는 제2 걸림돌기(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걸림돌기(41)는 상기에서 설명한 상기 결합부에 삽입될 수 있으며, 삽입된 후 벤트홀차폐부(40)가 회전하면 상기 결합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벤트홀차폐부(40)는 제2 걸림돌기(41)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센서부(50)는 금형(10)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센서부(50)는 금형(10)과 그린 타이어(G) 사이의 기체의 압력을 측정하거나 금형(10)의 외면으로부터 그린 타이어(G)의 외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센서부(50)는 압력센서 및 거리측정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센서부(50)에서 측정된 결과를 근거로 공기입 타이어(미도시)의 제조가 제대로 수행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는 센서부(50)에서 감지된 결과가 기 설정된 결과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가류 공정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외부의 사용자에게 이러한 결과를 알림부(미도시)를 통하여 알릴 수 있다. 이때, 상기 알림부는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 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미지, 소리 등을 통하여 상기의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공기입 타이어의 제조장치(1)를 통하여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제조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그린 타이어(G)를 공기가 주입되는 기체주입부(60)에 배치한 후 금형(10)을 제조될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벤트홀부(20)와 벤트홀차폐부(40)는 복수개의 벤트홀(11) 중 일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후 기체주입부(60)에서 그린 타이어(G)로 기체를 주입하는 경우 그린 타이어(G)가 부풀어 오르면서 금형(10)의 외면에 접촉할 수 있다. 이때, 금형(10)은 그린 타이어(G)의 외면을 고온과 고압으로 가압하여 트레드의 블록 형태와 그루브 형태 등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그린 타이어(G)와 금형(10)의 외부 사이의 기체를 벤트홀(1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벤트홀부(20)와 벤트홀차폐부(40)의 위치에 따라 기체의 흐름이 상이해짐으로써 그린 타이어(G)의 형태 변화가 그린 타이어(G)의 각 부분에서 서로 상이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그린 타이어(G)의 변화에 따라 또는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완성 후에 형태를 비교하여 벤트홀부(20)와 벤트홀차폐부(4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벤트홀부(20) 중 일부를 제거하고 벤트홀차폐부(40)를 그 자리에 배치하거나 벤트홀차폐부(40) 중 일부를 제거하고 벤트홀부(20)를 그 자리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이외에도 센서부(50)에서 감지된 결과를 근거로 상기와 같은 작업을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센서부(50)에서 감지된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보다 낮은 경우 해당하는 금형(10)에 결합된 벤트홀부(20) 중 일부를 제거하고 그 자리에 벤트홀차폐부(40)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센서부(50)에서 감지된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보다 큰 경우 해당하는 금형(10)에 결합된 벤트홀부(20) 중 일부를 제거하고 그 자리에 벤트홀차폐부(40)를 삽입할 수 있다. 반면, 센서부(50)에서 측정된 결과가 상기와 반대인 경우 상기와 반대로 벤트홀부(20)와 벤트홀차폐부(40)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벤트홀부(20)와 벤트홀차폐부(40)를 금형(10)에 설치하는 경우는 서로 유사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벤트홀부(20)가 벤트홀(11)에 삽입되거나 인출되는 경우를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벤트홀부(20)를 벤트홀(11)에 삽입하는 경우 벤트홀부(20)를 회전시켜 제3 바디부(23)가 벤트홀(11) 내부의 나사산에 치합하여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3 바디부(23)는 벤트홀(11) 내부의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을 통과하여 벤트홀(11) 내부로 삽입될 수 있으며, 탄성부(30)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벤트홀부(20)는 벤트홀(11)의 입구부로부터 약간 돌출된 상태일 수 있다. 이후 제1 걸림돌기(25)와 상기 결합부의 홈(12)이 대응되도록 배치한 후 벤트홀부(20)를 누르면, 탄성부(30)가 압축되면서 벤트홀부(20)가 벤트홀(11)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렇게 벤트홀부(20)를 누른 상태에서 벤트홀부(20)를 회전하면, 제1 걸림돌기(25)는 상기 결합부의 그루브를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걸림돌기(25)의 위치와 상기 결합부의 홈(12)의 위치가 어긋나면서 제1 걸림돌기(25)는 상기 결합부에 걸릴 수 있다. 또한, 탄성부(30)가 벤트홀부(20)를 벤트홀(11)의 입구부 측으로 가력함으로써 벤트홀부(2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면, 벤트홀부(20)를 벤트홀(11)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사용자는 벤트홀부(20)를 벤트홀(11) 내부로 가력할 수 있다. 이때, 탄성부(30)는 약간 압축될 수 있으며 제1 걸림돌기(25)는 그루브에서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후 벤트홀부(20)를 회전시키면 제1 걸림돌기(25)는 그루브를 따라 회전하다가 상기 결합부의 홈(12)과 대응되는 위치에 도달하면 벤트홀부(20)를 벤트홀(11) 외부로 인출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사용자는 벤트홀부(20)를 벤트홀(11)로부터 인출하고, 벤트홀(11)에 벤트홀차폐부(40)를 결합하여 벤트홀(11)을 완전히 차단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벤트홀부(20) 또는 벤트홀차폐부(4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금형(10)의 다양한 부위의 벤트홀(11)에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때, 벤트홀부(20) 또는 벤트홀차폐부(40) 중 하나와 벤트홀(11) 내부 사이에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실링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실링부재는 벤트홀부(20) 또는 벤트홀차폐부(40) 중 하나의 외면에 설치된 상태일 수도 있다.
따라서 공기입 타이어의 제조장치(1)는 금형(10)에 형성된 벤트홀(1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금형(10)과 그린 타이어(G) 사이의 압력을 간편하면서 정확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공기입 타이어의 제조장치(1)는 그린 타이어(G)를 상기 공기입 타이어로 제조 시 그린 타이어(G)의 형상 변화를 어느 정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입 타이어의 제조장치를 통하여 제조된 공기입 타이어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공기입 타이어(100)는 트레드부(110), 숄더부(120), 사이드월부(130) 및 비드부(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트레드부(110)는 중앙에 배치되어 지면에 접촉할 수 있으며, 숄더부(120)는 트레드부(110)의 양측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사이드월부(130)는 숄더부(120)와 연결되며, 비드부(140)는 숄더부(12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트레드부(110), 숄더부(120), 사이드월부(130) 및 비드부(140)는 내부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비드부(140)가 림(미도시)에 설치됨으로써 내부의 공간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숄더부(120)와 트레드부(11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숄더부(120)와 트레드부(110)는 동종의 재질로 형성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숄더부(120)는 일면이 골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숄더부(120)의 폭은 트레드부(110)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숄더부(120)는 사이드월부(130)와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숄더부(120)의 상면에 사이드월부(130)의 하면이 배치되거나 숄더부(120)의 하면에 사이드월부(130)의 상면이 배치되어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숄더부(120)의 상면에 사이드월부(130)의 하면이 배치되어 숄더부(120)와 사이드월부(130)가 결합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트레드부(110), 숄더부(120), 사이드월부(130) 및 비드부(140) 내부에는 공통적으로 타이어의 뼈대 역할을 하는 카커스층(15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카커스층(150)은 스틸 혹은 섬유 유기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카커스 코드(미도시)를 고무로 피복하여 압연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스틸 혹은 섬유 유기재는 복수개 구비되며, 복수개의 스틸 혹은 섬유 유기재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카커스층(150)은 제조 시 내부에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표면에 에어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에어홀은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에어홀은 카커스층(150)의 표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카커스층(150)은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특히 복수개의 카커스층(150)이 구비되는 경우 복수개의 카커스층(150)은 서로 적층될 수 있다.
카커스층(150)의 저면에는 인너라이너층(160)이 배치되어 카커스층(150)과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인너라이너층(160)은 특수 고무 재질 등으로 형성되어 내부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트레드부(110)는 카커스층(150) 상에 적층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고무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트레드부(110)는 제1 트레드외피층(111)과 제2 트레드외피층(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트레드외피층(111)은 지면과 접촉하는 부분으로 표면에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트레드외피층(111)에는 블록(111a), 종그루브(111b) 및 횡그루브(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블록(111a)은 자동차의 구동 시 지면과 접촉하는 영역으로, 종그루브(111b) 및 상기 횡그루브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서 구획될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종그루브(111b)와 이웃하는 다른 종그루브(111b) 사이 및 어느 하나의 상기 횡그루브와 이웃하는 다른 상기 횡그루브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블록(11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종그루브(111b)는 공기입 타이어(100)의 원주방향(예를 들면, 도 2의 Y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횡그루브는 공기입 타이어(100)의 폭 방향(예를 들면, 도 2의 X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2 트레드외피층(112)에는 벨트층(17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벨트층(170)은 공기입 타이어(100)의 내구성 향상 시키고,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벨트층(170)은 트레드부(110)의 하측에 배치되고, 스틸 혹은 유기 섬유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벨트 코드(미도시)를 고무로 피복하여 압연 가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벨트층(170)의 양단에는 캡 플라이층(18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캡 플라이층(180)은 벨트층(170)의 양단을 차폐하도록 적층될 수 있다. 이러한 캡 플라이층(180)은 특수 코드지로 주행 시 벨트층(170)의 움직임을 최소화시켜 고속 주행 시 이탈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사이드월부(130)는 숄더부(120)와 연결되어 차량 등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월부(130)는 차량 등의 주행 시 일정 정도 변화함으로써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때, 사이드월부(130)에는 카커스층(150) 상에 배치되는 사이드월외피층(131)이 배치될 수 있다.
비드부(140)는 사이드월부(13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림에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비드부(140)는 사이드월외피층(131)과 연결되는 비드외피층(14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에서 설명한 각 외피층은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서로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비드부(140)는 상기의 경우 이외에도 내부에 삽입되는 비드와이어층(142)을 포함할 수 있으며, 특수 재질을 포함하는 비드필러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 금형
20: 벤트홀부
30: 탄성부
40: 벤트홀차폐부
50: 센서부
60: 기체주입부
100: 공기입 타이어
110: 트레드부
120: 숄더부
130: 사이드월부
140: 비드부
150: 카커스층
160: 인너라이너층
170: 벨트층
180: 캡 플라이층

Claims (4)

  1. 그린 타이어의 가류 공정을 수행하며, 복수개의 벤트홀이 구비된 금형;
    상기 복수개의 벤트홀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하며, 상기 벤트홀에 삽입되어 상기 벤트홀을 차폐시키는 벤트홀차폐부; 및
    상기 벤트홀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벤트홀차폐부의 회전 시 상기 벤트홀차폐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의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벤트홀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하며, 상기 금형과 찰탈 가능하고, 결합된 상기 벤트홀과 연통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벤트홀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의 제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홀부 또는 상기 금형 중 하나는 제1 걸림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벤트홀부 또는 상기 금형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1 걸림돌기가 삽입되며, 상기 제1 걸림돌기의 회전 시 상기 제1 걸림돌기를 고정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의 제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홀차폐부 또는 상기 금형 중 하나는 제2 걸림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벤트홀차폐부 또는 상기 금형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걸림돌기가 삽입되며, 상기 제2 걸림돌기의 회전 시 상기 제2 걸림돌기를 고정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의 제조장치.
KR1020180164301A 2018-12-18 2018-12-18 공기입 타이어의 제조장치 KR102129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301A KR102129581B1 (ko) 2018-12-18 2018-12-18 공기입 타이어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301A KR102129581B1 (ko) 2018-12-18 2018-12-18 공기입 타이어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5524A KR20200075524A (ko) 2020-06-26
KR102129581B1 true KR102129581B1 (ko) 2020-07-02

Family

ID=71136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4301A KR102129581B1 (ko) 2018-12-18 2018-12-18 공기입 타이어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958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6016Y1 (ko) * 1997-07-02 1999-09-01 홍건희 논트리밍 가류금형의 벤트유니트 결합구조
KR100857970B1 (ko) * 2007-06-20 2008-09-10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가류금형의 에어 밸브 및 이를 이용한 타이어가류금형의 공기 배출구조
KR101527067B1 (ko) * 2014-11-06 2015-06-09 한연수 작동 신뢰성을 보장하는 사출 금형용 에어 벤트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6016Y1 (ko) * 1997-07-02 1999-09-01 홍건희 논트리밍 가류금형의 벤트유니트 결합구조
KR100857970B1 (ko) * 2007-06-20 2008-09-10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가류금형의 에어 밸브 및 이를 이용한 타이어가류금형의 공기 배출구조
KR101527067B1 (ko) * 2014-11-06 2015-06-09 한연수 작동 신뢰성을 보장하는 사출 금형용 에어 벤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5524A (ko) 2020-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30342B2 (ja) 自動膨張式タイヤ組立体
JP6006483B2 (ja) タイヤと自動膨張装置の組立体
US10358002B2 (en) Pneumatic tire
JP5896694B2 (ja) 自己膨脹タイヤ装置用タイヤ
RU2517027C2 (ru) Пневматическая шина
JP5946632B2 (ja) 自己膨脹タイヤを製造する方法
US8757995B2 (en) Tire vulcanization mold
JP6058259B2 (ja) 自動膨張式タイヤの組立方法
KR102129581B1 (ko) 공기입 타이어의 제조장치
BRPI0823145B1 (pt) processo e aparelho para moldagem e vulcanizacao de pneus
JP2011245881A (ja) 更生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8500240A (ja) 回転騒音を減衰させるためのタイヤ
US8075294B2 (en) Tire mold and tire with internal grooves in shoulder area
JP5671587B2 (ja) プライ材料製造方法、およびプライ材料を用いた空気入りタイヤ
JP6821953B2 (ja) タイヤの製造方法
KR102203854B1 (ko) 공기입 타이어 어셈블리
JP2017030397A (ja) 空気入りタイヤ、タイヤ加硫成形金型およびタイヤ製造方法
KR102231684B1 (ko) 타이어 몰드 어셈블리
JP6878906B2 (ja) タイヤ金型
KR102221732B1 (ko) 공기입 타이어 및 이의 제조방법
JP6878904B2 (ja) タイヤ金型
JP2017065603A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1357550B1 (ko) 가류기에 장착된 프리킹 장치
JP2022090757A (ja) 空気入りタイ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5054408A (ja) タイヤ加硫成形用モールド、並びに、そのタイヤ加硫成形用モールドにより製造された空気入り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