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9014B1 - 엘리베이터 비상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비상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9014B1
KR102129014B1 KR1020190103904A KR20190103904A KR102129014B1 KR 102129014 B1 KR102129014 B1 KR 102129014B1 KR 1020190103904 A KR1020190103904 A KR 1020190103904A KR 20190103904 A KR20190103904 A KR 20190103904A KR 102129014 B1 KR102129014 B1 KR 102129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r
wave
detected
elevator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3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너지파트너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너지파트너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너지파트너즈
Priority to KR1020190103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90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66B5/02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where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 is caused by a natural event, e.g. earthqua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비상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엘리베이터 카에 가해지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감지 단계와, 감지한 진동의 종류와 연속적으로 감지한 진동의 순서에 기초하여 지진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 그리고 감지한 진동과 지진 발생 여부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카를 비상 제어하는 비상 제어 단계를 포함한다. 때문에, 지진파 P파와 지진파 S파 사이의 전파속도 차와 지진파 파형의 종류를 이용하여 지진 발생 상황을 판단함으로써 지진과 무관하게 발생하는 진동과 지진으로 발생한 진동을 정확하게 구분 판단하여 지진 발생 판단의 유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비상 제어 방법{Elevator emergency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비상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진파 P파와 지진파 S파 사이의 전파속도 차와 지진파 파형의 종류를 이용하여 지진 발생 상황을 판단함으로써 지진과 무관하게 발생하는 진동과 지진으로 발생한 진동을 정확하게 구분 판단하여 지진 발생 판단의 유효성이 향상된 엘리베이터 비상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승강로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카를 이용하여 승객을 건물의 소정의 층으로 수송하는 수송수단으로, 고층건물이 즐비한 현대 사회에서 필수적인 장치이다. 엘리베이터에는 안전성이 최우선적으로 요구되는데, 이러한 안전성을 위한 제어 방법의 예로 지진 발생시 비상 제어를 하여 승객의 안전과 기기의 기능을 보호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비상 제어 방법을 들 수 있다.
지진에 의해 탄성체인 지구 내부 또는 표면을 따라 전파되는 탄성파인 지진파(seismic wave)는 전파 특성에 따라 실체파(body wave)와 표면파(surface wave)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이 중 실체파는 종파인 P파(Primary wave)와 횡파인 S파(Secondary wave)가 있는데, S파는 P파의 전파속도보다 약 1.7배 느리며, S파는 지진파의 전파 방향에 직각으로 매질을 진동시킴으로써 매질의 모양 변화를 발생시키며 진폭이 P파의 진폭보다 크게 나타난다.
지진이 발생시 엘리베이터를 계속해서 운행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며, 지진 발생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여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를 인접 층으로 이동 후 탑승자를 안전하게 대비시켜야 한다. 이와 같이 지진 발생시 엘리베이터를 비상 운행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
지진 발생시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종래 기술로 한국등록특허 10-1924559호(선행문헌 1)를 살펴보면, 선행문헌 1은 엘리베이터 카에 설치된 가속도 검출수단을 이용하여 지진 발생을 감지하고, 감지된 가속도 정보를 기초하여 지진 발생을 판단하여 엘리베이터 카를 비상 제어하도록 하되, 엘리베이터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지진 발생 여부를 판단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탑승객의 승하차 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한 오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 1은 엘리베이터 카에서 감지되는 진동 여부에 기초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진동이 감지되는 경우 엘리베이터를 비상 제어하며 지진 감지로 인해 엘리베이터를 비상 제어하는 경우 다시 엘리베이터를 정상 운행하기까지 상당히 오랜 시간 소요되므로, 실제 지진 발생이 발생하지 않고 엘리베이터 카에 일시적인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엘리베이터 카를 비상 제어하여 탑승자와 관리자에 불편함을 일으킨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더욱이 종래 지진 발생시 엘리베이터의 비상 제어 방법의 경우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 중 다소 무거운 짐을 엘리베이터 카에 싣거나, 다수의 탑승자가 동시에 엘리베이터 카에 탑승하거나 엘리베이터 카에서 동시에 움직이는 경우 발생 가능한 진동을 지진으로 오판 가능하다는 한계가 존재하며, 고속 엘리베이터의 경우 비상 제어 과정에서 고속 운행 중인 엘리베이터 카를 갑작스럽게 감속시키면 이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한국등록특허 10-1924559호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지진파 P파와 지진파 S파 사이의 전파속도 차와 지진파 파형의 종류를 이용하여 지진 발생 상황을 판단함으로써 지진과 무관하게 발생하는 진동과 지진으로 발생한 진동을 정확하게 구분 판단하여 지진 발생 판단의 유효성이 향상된 엘리베이터 비상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P파가 감지되면 지진 발생 상황을 대비하여 엘리베이터 카가 감속 운행하도록 대기 모드로 동작 후 연속하여 S파 감지되는 경우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엘리베이터 카를 비상 제어함으로써 지진 발생 상황 시 급격한 감속에 의한 안전사고를 대비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비상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P파가 감지되거나 또는 S파가 연속하여 감지되었을 때, 대기 모드와 비상 모드를 엘리베이터 카의 탑승객의 유무에 따라 상이하게 제어하여 무의미한 운행 중단이나 이동을 생략함으로써 효율성이 향상된 엘리베이터 비상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비상 제어 방법은, 엘리베이터 카에 가해지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감지 단계와, 감지한 진동의 종류와 연속적으로 감지한 진동의 순서에 기초하여 지진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 그리고 감지한 진동과 지진 발생 여부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카를 비상 제어하는 비상 제어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판단 단계에서 종파인 P파를 감지하고 P파를 감지한 시점부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연속하여 횡파인 S파가 감지되는 경우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종파인 P파를 감지하는 경우 엘리베이터 카를 대기 모드로 동작 제어하며, P파를 감지 후 설정된 시간 이내에 연속하여 S파를 감지하는 경우 엘리베이터 카를 비상 모드로 동작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비상 제어 방법은 지진파 감지 단계에서 P파를 감지한 시점부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연속하여 S파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엘리베이터 카를 다시 정상 모드로 동작 제어하는 복귀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상 제어 단계에서 비상 모드에서의 동작 제어는 엘리베이터 카를 근접 층의 승강장으로 이동시킨 뒤 운행을 중단하도록 하는 동작 제어를 포함하고, 대기 모드에서의 동작 제어는 엘리베이터 카가 평시보다 저속 운행되도록 하는 동작 제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상 제어 단계는 대기 모드에서 저속 운행 중에 승강장에 위치하면 지진파 감지 단계에서 P파를 감지한 시점부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엘리베이터 카의 승강이 일시 정지되도록 동작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비상 제어 단계는 비상 모드로 엘리베이터 카를 동작 제어하는 경우 회생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대기 모드로 엘리베이터 카를 동작 제어하는 경우 일반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비상 제어 방법은 엘리베이터 카의 탑승객을 감지하는 탑승객 감지 단계를 더 포함하고, 비상 제어 단계는 지진파 감지 단계에서 P파를 감지하고 탑승객 감지 단계에서 탑승객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엘리베이터 카를 비상 모드로 동작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비상 제어 방법은 엘리베이터 카의 탑승객을 감지하는 탑승객 감지 단계를 더 포함하고, 비상 제어 단계는 지진파 감지 단계에서 P파를 감지한 시점부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연속하여 S파를 감지하고 탑승객 감지 단계에서 탑승객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이 즉시 중단되도록 동작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진파 P파와 지진파 S파 사이의 전파속도 차와 지진파 파형의 종류를 이용하여 지진 발생 상황을 판단함으로써 지진과 무관하게 발생하는 진동과 지진으로 발생한 진동을 정확하게 구분 판단하여 지진 발생 판단의 유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P파가 감지되면 지진 발생 상황을 대비하여 엘리베이터 카가 감속 운행하도록 대기 모드로 동작 후 연속하여 S파 감지되는 경우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엘리베이터 카를 비상 제어함으로써 지진 발생 상황 시 급격한 감속에 의한 안전사고를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P파가 감지되거나 또는 S파가 연속하여 감지되었을 때, 대기 모드와 비상 모드를 엘리베이터 카의 탑승객의 유무에 따라 제어 방법을 상이하게 하여 무의미한 제어 과정을 생략함으로써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비상 제어 방법이 적용된 엘리베이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비상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 모드에서의 동작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비상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비상 제어 방법이 적용된 엘리베이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비상 제어 방법이 적용된 엘리베이터 장치는 감지부(100), 제어부(300) 및 구동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를 참조하면 감지부(100)는 엘리베이터 카에 가해지는 P파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P파 감지부(110), 엘리베이터 카에 가해지는 S파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S파 감지부(130) 및 엘리베이터 카에 탑승한 탑승객의 유무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탑승객 감지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P파 감지부(110) 및 S파 감지부(130)는 엘리베이터 카에 발생하는 종 방향 진동 또는 횡 방향 진동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탑승객 감지부(150)는 엘리베이터 카의 탑승객 무게를 감지하는 하중 센서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탑승객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감지부(100)에 의해 감지된 엘리베이터 카에 가해지는 지진파의 종류에 기초하여 지진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엘리베이터 카를 비상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300)는 엘리베이터 카를 구동시키는 구동부(500)를 동작 제어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를 비상 제어할 수 있다.
지진이 발생한 경우 통상적으로 P파가 먼저 감지되고 일정 시간 경과 후 연속하여 S파가 감지되는데, 제어부(300)는 P파가 감지되고, P파를 감지한 시점부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연속하여 S파가 감지되면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엘리베이터 카를 비상 모드로 동작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상하 방향의 진동만을 감지하거나 또는 좌우 방향의 진동만을 감지하는 경우 또는 좌우 방향의 진동을 감지한 후 상하 방향의 진동을 감지하는 경우 또는 상하 방향의 진동을 감지 후 설정된 시간 이내에 좌우 방향의 진동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지진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가 진동하는 것이 아니라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 중 일시적인 진동으로 판단하거나 엘리베이터 카의 고장에 따른 진동으로 판단하여 해당 상황에 맞게 운행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300)는 지진에 의한 엘리베이터 카의 진동과 지진 이외의 다른 원인에 의한 엘리베이터 카의 진동을 정확하게 구분하여 지진 발생 오판단으로 인한 엘리베이터의 운행 중단 또는 운행 지연의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지진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비상 운행 모드와 다른 원인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비상 운행 모드로 상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지진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비상 운행 모드에 따라 제어부에서 엘리베이터 카를 제어하는 방식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어부(300)는 P파가 감지되면 우선 엘리베이터 카를 대기 모드로 동작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P파를 감지한 시점부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연속하여 S파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엘리베이터 카를 다시 정상 모드로 동작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300)는 엘리베이터 카에 가해지는 P파가 감지되면 엘리베이터 카를 대기 모드로 동작 제어하고, P파가 감지된 시점부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연속하여 S파가 감지되면 엘리베이터 카를 비상 모드로 동작 제어하되, P파가 감지된 시점부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연속하여 S파가 감지되지 않으면 엘리베이터 카를 다시 정상 모드로 동작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대기 모드에서의 동작 제어는 엘리베이터 카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여 엘리베이터가 이동 중인 경우에는 저속으로 운행 제어하며, 저속 운행 중에 승강장에 위치하게 되면, 위치한 승강장이 목표 승강장이 아니더라도 P파를 감지한 시점부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엘리베이터 카의 승강이 일시 정지되도록 하는 동작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엘리베이터가 정지 상태인 경우 엘리베이터의 호출이 있더라도 엘리베이터를 이동시키지 않고 정지 대기한다. 대기 모드에서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장에 위치하는 경우 외부 승강장에서 도어 개방 버튼이 입력되더라도 엘리베이터 카 도어를 개방 제어하지 않는다.
그리고 비상 모드에서의 동작 제어는 엘리베이터 카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여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장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을 정지하고 엘리베이터 카의 도어를 개방하여 탑승객이 비상 대피하도록 한다. 그러나 엘리베이터 카의 현재 위치가 승강장에 위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 엘리베이터 카를 근접 층의 승강장으로 이동시킨 뒤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을 정지하고 엘리베이터 카의 도어를 개방하여 탑승객이 비상 대피하도록 한다. 이때, 비상 모드에서 엘리베이터가 정지 상태인 경우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을 즉시 정지하고 엘리베이터의 호출이 있더라도 엘리베이터를 이동시키지 않으며,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장에 위치하는 경우 외부 승강장에서 도어 개방 버튼이 입력되더라도 엘리베이터 카 도어를 개방 제어하지 않는다.
한편 제어부(300)는 일반 모드와 대기 모드로 엘리베이터 카를 동작 제어하는 경우에는 일반 전원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카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지만, 비상 모드로 엘리베이터 카를 제어하는 경우에는 회생 전원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카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정리하면, 제어부(300)는 P파가 감지되고 일정 시간 내에 S파가 감지된 경우에만 지진 발생 상황으로 판단하여 엘리베이터 카를 근접 층의 승강장으로 이동시킨 뒤 운행을 중단하되, P파가 감지되면 엘리베이터 카를 저속 운행되도록 하고 저속 운행 중에 승강장에 위치하면 승강을 일시 중지시킴으로써 비상 운행 모드를 준비하면서도 탑승객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300)는 탑승객 감지부(150)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에 탑승객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모드가 다르게 선택되거나, 또는 대기 모드와 비상 모드에서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을 상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 탑승객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의 현재 위치가 승강장에 위치하고 있지 않으면 엘리베이터 카를 근접 층의 승강장으로 이동시킨 뒤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을 정지하고 엘리베이터 카의 도어를 개방하여 탑승객이 비상 대피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30)는 탑승객 감지부(150)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의 도어를 개방 후 탑승객이 비상 대피하였는지, 즉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 탑승객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 탑승객이 존재 않는 경우 외부 승강장에서 도어 개방 버튼이 입력되더라도 엘리베이터 카 도어를 개방 제어하지 않는다. 그러나 비상 모드에서 탑승객 감지부(150)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 탑승객이 존재 않는 것으로 판단되더라도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서 도어 개방 버튼이 입력되는 경우 엘리베이터 카 도어를 개방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 탑승객이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엘리베이터 카가 고속 이동 중에 급격한 감속이 이뤄지더라도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이 적으므로, 제어부(300)는 P파가 감지되었다 판단되고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 탑승객이 존재하는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엘리베이터 카를 대기 모드가 아닌 비상 모드로 바로 동작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 탑승객이 존재하여 대기 모드로 운행되고 있더라도 도중에 승객이 하차하여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 탑승객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30)는 즉시 대기 모드에서 비상 모드로 운행 모드를 전환하여 엘리베이터 카를 운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비상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비상 제어 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제어부(300)는 P파 감지부(110)에 의해 P파가 감지되었는지 판단하고(S110), P파가 감지되지 않았다면(S110-N), P파가 감지될 때까지 대기하되, 만약 P파가 감지되었다면(S110-Y), 탑승객 감지부(150)에 의해 탑승객이 감지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S120).
만약, 탑승객이 감지되었다면(S120-Y), 제어부(300)는 엘리베이터 카를 대기 모드로 동작 제어하고(S130), P파가 감지되고 설정된 시간 이내에 연속하여 S파가 감지되었는지 판단하며(S140), P파가 감지되고 설정된 시간 이내에 연속하여 S파가 감지되지 않았다면(S140-N), 제어부(300)는 엘리베이터 카에 대한 대기 모드로의 동작 제어를 중단하고 정상 모드로 동작 제어하여(S170), 비상 제어를 종료할 수 있다.
반면, P파와 S파가 설정된 시간 이내에 연속하여 감지되면(S140-Y), 엘리베이터 카를 비상 모드로 동작 제어할 수 있다(S150). 또한, P파가 감지된 후 탑승객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도(S120-N), 제어부(300)는 엘리베이터 카를 비상 모드로 동작 제어할 수 있다(S150).
그리고 제어부(300)는 해제 신호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여(S160), 해제 신호가 수신되면 엘리베이터 카에 대한 비상 모드로의 동작 제어를 중단하고 정상 모드로 동작 제어하여(S170), 비상 제어를 종료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 모드에서의 동작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대기 모드에서의 동작 제어 과장을 살펴보면, 우선, P파가 감지되어 대기 모드로 전환되면(S131), 제어부(300)는 엘리베이터 카가 저속 운행하도록 구동부(500)를 동작 제어할 수 있다(S132).
그리고 제어부(300)는 저속 운행 중에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장에 위치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S133), 만약, 저속 운행 중에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장에 도착하지 않았다면 제어부(300)는 P파가 감지되고 설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하고(S135), 설정 시간이 경과하였다면(S135-Y), 엘리베이터 카에 대한 대기 모드로의 동작 제어를 중단하고 엘리베이터 카를 정상 모드로 동작 제어할 수 있다(S170). 그리고 P파가 감지되고 설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다면(S135-N),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장에 위치하였는지를 다시 판단할 수 있다(S133).
한편, 저속 운행 중에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장에 위치하면(S133-Y), 제어부(300)는 엘리베이터 카의 승강이 일시 정지되도록 동작 제어할 수 있다(S134). 그리고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장에서 승강이 일시 정지된 상태에서 제어부(300)는 P파가 감지되고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하고(S136), 설정 시간이 경과하였다면(S136-Y), 엘리베이터 카에 대한 대기 모드로의 동작 제어를 중단하고 엘리베이터 카를 정상 모드로 동작 제어할 수 있다(S170). 그리고 P파가 감지되고 설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다면(S136-N), 설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엘리베이터 카의 승강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엘리베이터 카의 정지 상태는 승강 이동만이 정지된 상태이며, 그 외에 조명, 문 열림 및 닫힘 등의 다른 구동은 평시와 동일하게 수행 가능한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P파가 감지되고 설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엘리베이터 카를 대기 모드로 동작 제어하지만, 만약, 엘리베이터 카를 대기 모드로 동작 제어 중에 어떤 단계에서 라도 S파가 감지된다면, 제어부(300)는 엘리베이터 카를 비상 모드로 동작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비상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비상 제어 방법을 살펴보면, 우선 제어부(300)는 P파 감지부(110)에 의해 P파가 감지되었는지 판단하고(S210), P파가 감지되지 않았다면(S210-N), P파가 감지될 때까지 대기하되, 만약 P파가 감지되었다면(S210-Y), 제어부(300)는 엘리베이터 카를 대기 모드로 동작 제어하고(S220), P파가 감지되고 설정된 시간 이내에 연속하여 S파가 감지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S230).
만약, P파가 감지되고 설정된 시간 이내에 S파가 감지되지 않았다면(S230-N 제어부(300)는 엘리베이터 카의 대기 모드로의 동작 제어를 종료하고 정상 모드로 동작 제어할 수 있으며(S280), 엘리베이터 비상 제어가 종료될 수 있다.
반면, P파가 감지되고 설정된 시간 이내에 S파가 감지되었다면(S230-Y), 제어부(300)는 탑승객 감지부(150)를 통해 탑승객이 감지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S240).
그리고 제어부(300)는 탑승객이 감지된 경우에는(S240-Y), 엘리베이터 카를 비상 모드로 동작 제어하고(S250), 탑승객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는(S240-N),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이 즉시 중단(S260)되도록 동작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해제 신호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여(S270), 해제 신호가 수신되면 엘리베이터 카를 정상 모드로 동작 제어하여(S280), 엘리베이터의 비상 제어를 종료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감지부
110: P파 감지부 130: S파 감지부 150: 탑승객 감지부
300: 제어부
500: 구동부

Claims (9)

  1. 엘리베이터 카에 가해지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감지 단계;
    감지한 진동의 종류와 연속적으로 감지한 진동의 순서에 기초하여 지진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
    상기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탑승객을 감지하는 탑승객 감지 단계;
    감지한 진동과 지진 발생 여부 그리고 탑승객 감지 여부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카를 비상 제어하는 비상 제어 단계; 및
    엘리베이터 카를 다시 정상 모드로 동작 제어하는 복귀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 단계에서 종파인 P파를 감지하고 P파를 감지한 시점부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연속하여 횡파인 S파가 감지되는 경우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며,
    P파를 감지하는 경우 엘리베이터 카를 대기 모드로 동작 제어하되, P파를 감지 후 설정된 시간 이내에 연속하여 S파를 감지하거나 또는 상기 대기 모드 상태에서 탑승객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엘리베이터 카를 비상 모드로 동작 제어하고,
    P파를 감지한 시점부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연속하여 S파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엘리베이터 카를 다시 정상 모드로 동작 제어하며,
    상기 비상 모드로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동작 제어하는 경우 회생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대기 모드로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동작 제어하는 경우 일반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대기 모드에서의 동작 제어는 엘리베이터 카가 평시보다 저속 운행되도록 하고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장에 위치하면 추가 승강 이동은 정지되도록 하되, 조명의 점등과 카 도어의 열림/닫힘 동작은 평시처럼 구동되도록 하는 동작 제어를 포함하며,
    상기 비상 모드에서의 동작 제어는 엘리베이터 카가 근접 층의 승강장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장에 위치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탑승객이 감지되면 카 도어가 개방되도록 하되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탑승객이 감지되지 않으면 승강장에서 도어 개방 버튼이 입력되어도 카 도어의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엘리베이터가 승강장에 위치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서 도어 개방 버튼이 입력되면 탑승객의 감지 여부와 상관없이 카 도어가 개방되도록 하는 동작 제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비상 제어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90103904A 2019-08-23 2019-08-23 엘리베이터 비상 제어 방법 KR102129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904A KR102129014B1 (ko) 2019-08-23 2019-08-23 엘리베이터 비상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904A KR102129014B1 (ko) 2019-08-23 2019-08-23 엘리베이터 비상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9014B1 true KR102129014B1 (ko) 2020-07-02

Family

ID=71599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904A KR102129014B1 (ko) 2019-08-23 2019-08-23 엘리베이터 비상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901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4862A (ja) * 2007-04-04 2008-10-23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5078250B2 (ja) * 2005-08-31 2012-11-2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924559B1 (ko) 2017-01-10 2018-12-04 (주)태두 엘리베이터 카의 지진 감지장치 및 지진 감지신호 처리장치
KR20190000258A (ko) * 2017-06-22 2019-01-02 주식회사 에너지파트너즈 엘리베이터 회생 전원의 관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78250B2 (ja) * 2005-08-31 2012-11-2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8254862A (ja) * 2007-04-04 2008-10-23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KR101924559B1 (ko) 2017-01-10 2018-12-04 (주)태두 엘리베이터 카의 지진 감지장치 및 지진 감지신호 처리장치
KR20190000258A (ko) * 2017-06-22 2019-01-02 주식회사 에너지파트너즈 엘리베이터 회생 전원의 관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77258B2 (ja) 昇降路アクセス検知システム
JP2014047015A (ja) エレベータドア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ドアシステムを備えるエレベータ
JPWO2009078088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5534932A (ja) 可変長緩衝器を有するエレベータ
JP4973014B2 (ja) エレベータの地震管制運転システム
EP1524232B1 (en) Safety device for working on top of an elevator car
SG193704A1 (en) Control apparatus of elevator
KR102129014B1 (ko) 엘리베이터 비상 제어 방법
JP2011121750A (ja)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JPH04313571A (ja) エレベータ制御方法
JP2014114157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H04365768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101324093B1 (ko)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 및 제어방법
JP4794179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
JP2007331902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07254037A (ja) 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装置
WO2010086960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3355683B2 (ja) エレベーターの地震時運転装置
JP2007254036A (ja) 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装置
JP2007254038A (ja) 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装置
EP1431228B1 (en) Safety device for working on top of an elevator car
JP7344477B1 (ja) エレベータ
JP6747613B1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11131996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19127329A (ja)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