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8919B1 - 전자기기,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8919B1
KR102128919B1 KR1020160173329A KR20160173329A KR102128919B1 KR 102128919 B1 KR102128919 B1 KR 102128919B1 KR 1020160173329 A KR1020160173329 A KR 1020160173329A KR 20160173329 A KR20160173329 A KR 20160173329A KR 102128919 B1 KR102128919 B1 KR 102128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ure
image
electronic device
display unit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3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4782A (ko
Inventor
타츠야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74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4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image or video messa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04N23/632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for displaying or modifying preview images prior to image capturing, e.g. variety of image resolutions or capturing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5/23216
    • H04N5/2329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4Image rotation following screen orientation, e.g. switching from landscape to portrait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7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ousing movement or orientation, e.g. for controlling scrolling or cursor movement on the display of an handhel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udio De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전자기기는, 상기 전자기기가 제1 상태로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전자기기의 검출된 자세가 제1 자세로부터 제2 자세로 변화되는 경우에는, 상기 전자기기를 제2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검출된 자세가 상기 제2 자세로부터 상기 제1 자세로 변화되는 경우에는 상기 전자기기를 상기 제1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전자기기가 제1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에 대해 행해진 터치 조작에 따라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전자기기가 제2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에 대해 상기 터치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도 상기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전자기기,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ELECTRONIC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유저가 터치 조작으로 전자기기를 조작 가능하게 하고 오조작 및 오검출을 방지하는, 전자기기,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화상처리 환경에서는, 스마트 폰이나 타블렛 컴퓨터등의 휴대 단말이 대중적이고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여러 가지 관련 기술의 발달은 그 휴대단말의 보급을 한층 더 촉진할 것이다. 이것들의 휴대 단말의 특징적 특징으로서, 각 유저는, 임의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이하, "애플리케이션"이라고 함)를 선택하여 휴대 단말에 자유롭게 인스톨할 수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에 내장된 중앙처리장치(CPU)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는, 퍼스널 컴퓨터(PC)와 유사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그 소프트웨어의 구성은, 운영체제(OS)층과 애플리케이션층으로 대별된다. 각 유저는, 유저가 임의의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해서 인스톨할 때, 휴대 단말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여러 가지 기능 및 편리성을 즐길 수 있다.
단말 바디에 부착된 터치패널은, 전술한 휴대 단말의 다른 특징이다. 터치패널은, 상기 소프트웨어가 여러 가지 조작 지시를 입력하는 방법들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종래의 버튼들과 스위치들과 다르다. 그 때문에, 터치패널이 각각 장착되는 휴대 단말들을 위해 제안된 여러 가지 애플리케이션 및 조작 순서들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12-253716에는, 단말 바디가 종방향으로 유지되면 통상의 리모트 컨트롤러와 같이 유저가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고, 단말 바디가 횡방향으로 유지되면 터치패널상에서 행해진 제스처 입력 조작을 인식할 수 있어, 유저가 각종의 조작을 직관적으로 행할 수 있는, 종래의 휴대 단말이 개시되어 있다.
정지 화상을 기록 가능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 및 동화상을 기록 가능한 디지털 비디오카메라에 대하여, 여러 가지의 터치패널 기반 애플리케이션이 제안되어 있다. CPU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는, 내용에 근거하여 터치패널을 거쳐 이들 카메라가 조작 지시를 입력하는 여러 가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다기능을 향상시키고 카메라 바디를 소형화하는 것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다.
유저가 일본 특허공개 2012-253716에 기재된 휴대 단말의 터치 패널상에서 화상 관련 조작을 행할 때, 오조작 또는 오검출이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조작은, 스마트 폰을 쥔 유저가 터치패널 위에 손가락을 무심코 접촉할 때 일어날 수 있다. 스마트 폰은, 이 의도하지 않는 터치에 근거하여 소정의 처리를 행하여, 의도하지 않은 조작이 구현될 것이다.
스마트 폰의 최근의 추세는, 예를 들면, 소형화 및 매력적인 상품 디자인 등의 여러 가지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 정교한 형상을 스마트 폰에 제공하고 있다. 이 때문에, 그 스마트 폰의 외형은, 유저가 유저의 손으로 쥐는데 적절하지 않을 수도 있다. 특히, 터치패널의 대화면화와 스마트 폰 바디의 소형화의 모순되는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스마트 폰의 터치패널의 주변부는 스마트 폰 바디의 외주부에 근접하게 위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유저가 스마트 폰을 쥘 때, 유저의 손가락은 의도하지 않은 조작을 구현시키는 터치패널을 무심코 접촉할 수 있다.
스마트 폰들과 타블렛들 등의 터치패널을 갖는 모바일 단말들은, 여러 가지 조건들과 여러 가지의 상황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습한 환경에서, 예를 들면, 비 올 때 모바일 단말을 유저가 이용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방수성 모바일 단말들이 시장에서 나오고 있다. 추가로, 방수 케이들은, 자체가 방수성이 아닌 모바일 단말에 이용 가능해지고 있다. 유저가 습한 환경에서 방수된 모바일 단말을 사용하는 경우, 물방울 등은, 휴대 단말의 터치패널에 부착할 수 있다. 물방울 등의 부착은, 유저에 의한 터치 조작으로서 오인될 수 있다.
실시예들은, 유저가 의도하지 않는 오조작 또는 오검출을 방지하는, 전자기기,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를 대상으로 삼는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표시부가 장착된 전자기기는, 상기 표시부에 대해 행해진 터치 조작을 검출하는 터치 검출부; 상기 전자기기의 자세를 검출하는 자세검출부; 상기 전자기기가 제1 상태로 설정되어 있고, 상기 검출된 자세가 제1 자세로부터, 상기 제1 자세와 다른 제2 자세로 변화되는 경우에는, 상기 전자기기를 제2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검출된 자세가 상기 제2 자세로부터 상기 제1 자세로 변화되는 경우에는 상기 전자기기를 상기 제1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전자기기가 제1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에 대해 행해진 상기 터치 조작에 근거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전자기기가 제2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에 대해 상기 터치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도 상기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표시부가 장착된 전자기기는, 상기 표시부에 대해 행해진 터치 조작을 검출하는 터치 검출부; 상기 표시부가 제1 사이즈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상태와, 상기 표시부가 상기 제1 사이즈보다도 큰 제2 사이즈로 화상을 표시하는 풀 스크린 표시 상태를 바꾸는 전환부; 및 상기 제1 사이즈로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화상의 표시 영역에 대해 행해진 터치 조작에 근거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제2 사이즈로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화상의 표시 영역에 대해 터치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도 상기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비디오카메라와 스마트 폰과의 사이에서 무선통신을 행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카메라의 내부 구성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의 내부 구성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조작상 쥐고 있는 스마트 폰의 자세가 세로 방향일 때 터치패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표시된 유저 인터페이스(UI)화면의 구성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다.
도 5는 조작상 쥐고 있는 스마트 폰의 자세가 가로 방향일 때 터치패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표시된 UI화면의 구성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동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 조작의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7은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조작상 쥐고 있는 스마트 폰의 자세가 세로 방향일 때 터치패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표시된 UI화면의 구성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다.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동화상 재생 조작의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9는 제3의 실시예에 있어서, 조작상 쥐고 있는 스마트 폰의 자세가 세로 방향일 때 터치패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표시된 UI화면의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다.
도 10은 제3의 실시예에 따른 정지 화상의 슬라이드 쇼를 표시하는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해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예들일 뿐이고, 장치들의 개별적인 구성과 각종 조건들에 따라 적절하게 수정 또는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보여지지 않는다.
이하, 도 1∼도 6을 참조하여 제1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비디오카메라(200)와 스마트 폰(300)과의 사이에서 무선통신을 행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다. 본 실시예에서는, 비디오카메라는 촬상 장치의 일례이고, 스마트 폰은 전자기기의 일례다.
도 1에 있어서, 비디오카메라(200)는, 스마트 폰(300)과 NFC통신과 Wi-Fi통신과의 2가지 타입의 무선통신을 행한다. NFC통신은, 비디오카메라(200)의 NFC통신부(206)와 스마트 폰(300)의 NFC통신부(306)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한다. Wi-Fi통신은, 비디오카메라(200)의 Wi-Fi통신부(207)와 스마트 폰(300)의 Wi-Fi통신부(307)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비디오카메라(200)와 스마트 폰(300)은, NFC통신만, Wi-Fi통신만, 또는 양쪽을 실행할 수 있다.
비디오카메라(200)와 스마트 폰(300)은, 비디오카메라(200)의 NFC통신부(206)가 전원 OFF상태일 경우에도 NFC통신을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스마트 폰(300)의 NFC통신부(306)로부터 비디오카메라(200)의 NFC통신부(206)에 전자 유도로 전력공급을 행하는 것에 의해 비디오카메라(200)의 NFC통신부(206)를 작동 상태로 한다. 따라서, 스마트 폰(300)의 NFC통신부(306)는, 비디오카메라(200)의 NFC통신부(206)에 설치된 태그 메모리(214)로부터 및 이 태그 메모리에, 데이터의 판독 및 기록 동작을 행한다.
스마트 폰(300)은, 터치패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30)를 구비한다. 터치패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30)는, 디스플레이 기능과 터치패널 기능을 구비한다. 디스플레이 기능은, 스마트 폰(300)에서 처리된 화상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및 조작 메뉴를 표시한다. 또한, 터치패널 기능은, 조작자가 표시된 조작 메뉴의 원하는 개소를 손가락 등으로 터치하여, 조작 부재를 조작하여서 실현된 조작과 같이, 스마트 폰(300)에 대하여 조작 지시를 입력 가능하게 한다.
또한, 스마트 폰(300)은, 스위치 조작부(303)를 구비한다. 스위치 조작부(303)는 버튼 등의 하드웨어 조작 부재로 구성된다. 조작자가 스위치 조작부(303)를 조작함에 의해, 스마트 폰(300)에 대하여 조작 지시를 입력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카메라(200)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본 실시예에서는, 비디오카메라(200)는 이하에 설명된 것과 같은 촬상 장치의 일례다. 촬상 장치는, 화상 데이터를 처리 가능한 디지털 비디오카메라, 디지털 스틸 카메라 또는 임의의 다른 장치다. 예를 들면, 촬상 장치는, 촬상부를 구비한 퍼스널 컴퓨터(PC), 타블렛 컴퓨터, 스마트 폰 또는 워크스테이션일 수 있다. 촬상 장치는, 방송국, 영화제작회사, 또는 영상제작 회사에서 통상 사용된, 임의의 전문 또는 업무목적 촬상 장치일 수 있다.
시스템 제어부(201)는, 예를 들면 중앙처리장치(CPU)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장치(MPU)이며, 관련된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시스템 제어부(201)는, 비디오카메라(20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각 구성요소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한다. 시스템 제어부(201)는, 조작부(202)로부터의 조작 신호에 응답하여, 비디오카메라(20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조작부(202)는, 전원 버튼, 슬라이드 스위치, 각 종 버튼, 십자 키 및 터치패널로 구성된다. 조작부(202)는, 유저가 각 조작 부재를 조작하면 시스템 제어부(201)에 조작 신호를 송신한다. 버스(203)는, 각종 데이터, 제어 신호, 및 지시 신호를 비디오카메라(200)의 각 구성요소에 송신하기 위한 범용 버스다.
제1 메모리(204a)는, 예를 들면 판독전용 메모리(ROM)이며, 시스템 제어부(201)에서 사용하는 동작용의 정수와, 시스템 제어부(201)가 각종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관련된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제2 메모리(204b)는,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나 플래시 메모리이며, 화상신호와 음성신호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제2 메모리(204b)에는, 시스템 제어부(201)의 동작용의 정수, 변수, 또는 제1 메모리(204a)로부터 판독한 프로그램들이 로딩된다.
기록 매체(205)는, 비디오카메라(200)에 내장된 기록 매체다. 기록 매체(205)는, 비디오카메라(200)에서 처리하는 각종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솔리드 상태 드라이브(SSD), 광디스크, 및 플래시 메모리는 기록 매체(205)의 예들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 목적상, 기록 매체(205)는 플래시 메모리다.
NFC통신부(206)는, 비디오카메라(200)가 스마트 폰(300)과 NFC통신을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부다. 비디오카메라(200)와 스마트 폰(300)이 통신을 행할 때, 스마트 폰(300)은, 비디오카메라(200)에 및 비디오카메라로부터 처리될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스마트 폰(300)은, 상술한 각종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 폰(300)은, NFC통신부(206)가 통신하는 대상 외부 단말이다. 그 밖의 외부 단말은, 타블렛 컴퓨터,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 또는 데스크탑형 퍼스널 컴퓨터로 구성될 수 있다.
NFC통신부(206)는, 태그 메모리(214)를 구비하고 있다. 시스템 제어부(201)는, 버스(203)와 NFC통신부(206)를 경유하여, 태그 메모리(214)와 다른 구성요소와의 사이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한다. 태그 메모리(214)는, NFC통신부(206)가 전원OFF상태일 때에도, 스마트 폰(300)으로부터 전자 유도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면, 그 동작이 시작하고, 스마트 폰(300)과 통신할 수 있다.
Wi-Fi통신부(207)는, 비디오카메라(200)가 스마트 폰(300)과 Wi-Fi통신하고, 파일을 전송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통신부다. Wi-Fi통신부(207)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FTP)을 지원한다. Wi-Fi통신부(207)는 파일을 전송할 경우, Wi-Fi통신부(207)는 FTP서버에 대하여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FTP클라이언트로서의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Wi-Fi통신부(207)는 상술한 것과 같은 스마트 폰(300)과 Wi-Fi통신을 행한다.
비디오카메라(200)는, 표시부(208)를 구비한다. 표시부(208)는, 기록 매체(205)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 및 메뉴등의 각종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들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유기EL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표시부(208)의 예들이다.
비디오카메라(200)는 음성출력부(209)를 구비한다. 음성출력부(209)는, 예를 들면 스피커 및 구동부를 구비한다. 음성출력부(209)는, 기록 매체(205)에 기록된 음성신호에 근거해서 음성을 출력한다.
영상 외부 출력부(210)는, 외부의 표시장치를 비디오카메라(200)에 접속하기 위한 출력부다. 영상 외부 출력부(210)는, 기록 매체(205)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 및 각종 메뉴등의 GUI들을 외부의 표시장치에 출력한다. 그 외부의 표시장치는, 이것들의 데이터에 근거하여 각종 화상을 표시한다. 상기 표시장치의 예들은, 텔레비전 수신기 또는 모니터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표시장치는 외부 모니터다.
음성 외부 출력부(211)는, 외부의 음성출력 장치를 비디오카메라(200)에 접속하기 위한 출력부다. 음성 외부 출력부(211)는, 기록 매체(205)에 기억된 음성신호를 외부의 음성출력 장치에 출력한다. 외부의 음성출력 장치는, 음성신호에 근거해서 음성을 출력한다. 음성출력 장치의 예들은, 스피커나 헤드폰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의 음성출력 장치는, 외부 스피커다.
촬상부(212)는, 렌즈, 광전변환 소자, 및 신호 처리 회로로 구성된다. 광전변환 소자는 렌즈를 거쳐 입사한 입사광의 촬상 대상 정보를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촬상부(212)는, 전기신호에 관해 적용된 신호 처리를 통해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시스템 제어부(201)는, 상기 렌즈의 포커스 상태 및/또는 줌 상태를 최적화하도록 렌즈 위치를 제어한다.
부호화/복호화부(213)는, 촬상부(212)가 생성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MPEG2규격에 따라 압축처리를 실시해서 파일화된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부호화/복호화부(213)는, 화상재생 처리시에 상기 파일화된 데이터에 대하여 신장 처리를 실시하여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압축처리에있어서, 시스템 제어부(201)는, 제1 메모리(204a)에 기억된 관련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상기 파일화된 데이터에 메타데이터를 추가해서 스트림 파일을 생성하여, 기록 매체(205)에 기록한다. 이 경우에, 시스템 제어부(201)는, 제1 메모리(204a)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제1 메모리(204a)에 메타데이터 파일을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태그 메모리(214)를 메타데이터의 기억 영역으로서 사용한다. 메타데이터는, 촬상부(212)에서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고 기록 매체(205)에 기록할 때에, 기록된 부대 정보다. 메타데이터는, 촬영 처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촬상 대상의 내용을 표현하기 위해 ASCII 코드로 기술된 텍스트 정보는, 이용 가능하고, 미리 태그 메모리(214)에 기억된다.
유저는 조작부(202)를 조작하고, 비디오카메라(200)에 촬영 동작의 실행을 지시한다. 시스템 제어부(201)는, 유저가 입력한 지시를 검출하고, 버스(203)를 통해서 각 구성요소에 촬영에 관한 처리의 실행을 지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촬상부(212)는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부호화/복호화부(213)는 그 화상 데이터의 부호화를 위한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부(201)는,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파일로서 기록 매체(205)에 기록한다. 이 경우에, 시스템 제어부(201)는, 버스(203)를 통해서 메타데이터 관련 처리의 실행을 각 구성요소에 지시한다. 시스템 제어부(201)는, NFC통신부(206)의 태그 메모리(214)로부터 메타데이터를 판독하고, 그 메타데이터를 기록 매체(205)에 화상 데이터 파일과 함께 기록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300)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 폰(300)은 전자기기의 일례다.
시스템 제어부(301)는, 예를 들면, 중앙처리장치(CPU)나 마이크로프로세서(MPU)이며, 관련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시스템 제어부(301)는, 스마트 폰(30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각 구성요소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한다. 시스템 제어부(301)는, 유저의 조작을 접수하는 스위치 조작부(303)로부터의 조작 신호에 응답하여, 스마트 폰(30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스위치 조작부(303)는, 전원 버튼, 슬라이드 스위치, 및 각종 버튼으로 구성된다. 스위치 조작부(303)는, 유저가 각 조작 부재를 조작하면, 시스템 제어부(301)에 조작 신호를 송신한다.
버스(302)는, 각종 데이터, 제어 신호, 및 지시 신호를 스마트 폰(300)의 각 구성요소에 보내는 범용 버스다.
제1 메모리(304a)는, 예를 들면 판독전용 메모리(ROM)이며, 시스템 제어부(301)에서 사용하는 동작용의 정수와, 본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의 각종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관련된 프로그램이 기억된다.
제2 메모리(304b)는,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나 플래시 메모리이며, 화상신호와 음성신호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제2 메모리(304b)에는, 시스템 제어부(301)의 동작용의 정수와 변수 또는, 제1 메모리(304a)로부터 판독한 프로그램들이 로딩된다.
기록 매체(305)는, 스마트 폰(300)에 내장된 기록 매체다. 기록 매체(305)는, 스마트 폰(300)에서 처리하는 각종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기록 매체(305)의 예들로서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솔리드 상태 드라이브(SSD), 광디스크, 또는 플래시 메모리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 매체(305)가 플래시 메모리다.
NFC통신부(306)는, 스마트 폰(300)이 비디오카메라(200)와 NFC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부다. 스마트 폰(300)과 비디오카메라(200)가 통신을 행하면, 스마트 폰(300)은, 비디오카메라(200)에 및 비디오카메라로부터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스마트 폰(300)은, 상술한 각종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비디오카메라(200)의 NFC통신부(206)가 전원OFF상태일 때, 스마트 폰(300)의 NFC통신부(306)로부터 전자 유도를 통해 전력공급을 행할 때 비디오카메라(200)의 NFC통신부(206)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비디오카메라(200)와 스마트 폰(300)과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Wi-Fi통신부(307)는, 스마트 폰(300)이 비디오카메라(200)와 Wi-Fi통신하여, 예를 들면 파일을 전송 가능하게 하는 통신부다. Wi-Fi통신부(307)는 FTP프로토콜을 지원한다. Wi-Fi통신부(307)가 파일을 전송할 경우, Wi-Fi통신부(307)는 FTP클라이언트로서 역할을 하여 FTP서버에 대하여 그 파일을 전송한다.
스마트 폰(300)은 표시부(308)를 구비한다. 표시부(308)는, 기록 매체(305)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나, 각종 메뉴등의 GUI를 표시한다. 표시부(308)는, 도 1의 터치패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30)로서 동작 가능하다. 표시부(308)의 예들은,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유기EL디스플레이가 있다.
스마트 폰(300)은 음성출력부(309)를 구비한다. 음성출력부(309)는, 예를 들면 스피커 및 구동부로 이루어진다. 음성출력부(309)는 기록 매체(305)에 기록된 음성신호에 근거해서 음성을 출력한다.
스마트 폰(300)은, 터치패널 조작부(310)를 구비한다. 터치패널 조작부(310)는, 도 1의 터치패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30)로서 동작 가능하다. 시스템 제어부(301)는, 터치패널 조작부(310)에의 이하의 조작과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 터치 조작의 시작 상태로서 간주된, 예를 들면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에 의해 새롭게 터치되는 터치 패널의 상태(이하, "터치다운(Touch-Down)"이라고 칭한다).
* 계속 터치되는 터치패널의 상태(이하, "터치 온(Touch-On)"이라고 칭한다).
* 예를 들면, 터치패널을 손가락이나 펜으로 접촉한 채 이동하고 있는 터치패널의 상태(이하, "터치무브(Touch-Move)"라고 칭한다).
* 터치 조작의 종료 상태로서 간주된, 예를 들면 손가락이나 펜이 더 이상 접촉하고 있지 않는 터치패널의 상태(이하, "터치업(Touch-Up)"이라고 칭한다).
* 터치하지 않고 있는 터치패널의 상태(이하, "터치 오프(Touch-Off)"라고 칭한다).
터치다운 조작이 검출되면, 동시에 터치 온 조작이 검출된다. 터치다운 조작 후 터치업 조작이 검출되지 않는 한은, 그 터치 온 조작이 계속 검출된다. 터치무브 조작이 검출되면, 터치 온 조작이 동시에 검출된다. 터치 온 조작이 검출될 때 터치 위치가 이동하지 않으면, 터치무브 조작이 검출되지 않는다고 판정한다. 터치업 조작이 종료하면, 터치 오프 상태가 된다고 판정한다.
상술한 조작 및/또는 상태, 및 터치패널 위에 터치된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에 대한 위치 좌표 정보는 내부 버스를 통해서 시스템 제어부(301)에 제공된다. 시스템 제어부(301)는, 이 제공된 터치 검출 정보에 근거해서 터치패널 위에서 행해진 각 조작을 식별한다. 시스템 제어부(301)는, 터치무브 조작시에 터치패널상에서 이동하는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의 이동 방향을, 상기 위치 좌표 정보의 변화에 근거하여, 터치패널상의 수직성분과 수평성분마다 판정할 수 있다.
유저가 터치패널상에 순차로 터치다운, 터치무브 및 터치업을 행하여서 스트로크를 그린 것으로 한다. 재빠르게 스트로크를 그리는 것을 "플릭 조작"이라고 한다. 이 플릭 조작에서, 유저는 손가락/스타일러스를 터치패널과 접촉하게 하고, 터치패널 상에서 어느 정도의 거리만큼 손가락/스타일러스를 재빠르게 옮기고 나서, 손가락/스타일러스를 터치패널로부터 떼어 놓는다. 검출된 터치무브 조작이 소정거리이상이고 소정속도이상이며 그 뒤에 터치업 조작이 검출되면, 플릭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할 수 있다. 그렇지만, 터치무브 조작의 속도가 소정속도미만이면, 터치무브 조작의 거리에 상관없이 드래그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한다.
터치패널은,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방식, 표면탄성파 방식, 적외선방식, 전자 유도방식, 화상인식 방식, 또는 광 센서 방식 등, 임의의 방식의 터치패널일 수 있다. 터치패널은, 터치패널에 대한 직접 터치에 응답하여 터치 조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거나, 터치패널에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가 근접하게 접근할 때의 순간에 터치 조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패널 조작부(310)가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패널인 것으로 한다.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패널은, 예를 들면 터치면에 물방울이 부착되면, 터치조작을 오검출할 수 있다. 물방울 자체가 터치 조작으로서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도,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패널은, 유저가 물방울의 영향으로 인해 터치한 위치로부터 벗어난 부정확한 위치를 오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면이 젖어 있는 상태에서는, 유저의 의도된 조작이 행해지지 않을 수도 있다.
자세검출부(311)는, 스마트 폰(300)의 자세를 검출한다. 자세검출부(311)는, 가속도 센서와 주변회로를 구비한다. 가속도 센서는 지구의 중력 즉, 중력가속도를 측정한다. 달리 말하면, 자세검출부(311)는, 스마트 폰(300)의 자세가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인가를 판정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300)의 외형은, 직사각형이다. 직사각형을 구성하는 4변 중 평행한 긴 2변의 방향이 지구의 중력의 방향이면, 즉 그 직사각형이 수직으로 길 때, 자세검출부(311)는 그 자세가 세로 방향이라고 판정한다. 평행한 긴 2변의 방향이 지구의 중력의 방향에 대하여 직각이면, 즉 그 직사각형이 수평으로 길 때, 자세검출부(311)는 그 자세가 가로 방향이라고 판정한다. 가속도 센서는, 다른 센서 타입이 스마트 폰(300)이 수직 또는 수평으로 긴지를 판별할 수 있으면, 다른 타입의 가속도 센서, 예를 들면, 자이로제 센서로 대체될 수 있다.
복호화부(312)는, 기록 매체(305)에 기억된 파일의 데이터, 또는 Wi-Fi통신부(307)를 경유해서 외부기기로부터 취득한 파일화된 데이터에 대하여 신장 처리를 실시하여, 표시부(308)에 표시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300)은, 본체에 부착될 수 있는 방수의 외장 커버를 구비할 수 있다. 또는, 스마트 폰(300)은, 본체와는 독립적인 방수 케이스에 수납될 수 있다. 방수 스마트 폰은, 욕실이나 부엌등의 스마트 폰이 물방울에 노출될 수 있는 습한 환경에서 사용 가능하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조작상 쥐고 있는 스마트 폰(300)의 자세가 세로 방향일 때 터치패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30)에 표시된 유저 인터페이스(UI) 화면의 구성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저 인터페이스(UI)(400)는, 스마트 폰(300)의 터치패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30)에 표시된 화면전체다. UI(400)의 형상은 직사각형이다. 도 4에 나타낸 예에 의하면, 조작상 쥐고 있는 스마트 폰(300)의 자세가 세로 방향이기 때문에, 터치패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30) 및 UI(400)의 각 자세가 세로 방향이다.
화상표시 영역(410)은, 스트리밍으로 수신한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예를 들면, 비디오카메라(200)로 촬영된 라이브 뷰 화상이 화상표시 영역(410)에 표시된다. 무선통신 상황 표시 영역(420)은 무선통신의 상황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수신 전파 강도 아이콘(421)은 수신 전파 강도에 관한 표시다. 무선통신 스테이터스(422)는, 현재 진행중인 무선통신의 상황에 관한 표시다.
카메라 상황 표시 영역(430)은, 비디오카메라(200)의 스테이터스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유저는 카메라 상황 표시 영역(430)에 표시된 콘텐츠를조작할 수 있다. 기록 버튼(431)은 동화상의 기록동작의 시작을 지시 가능한 터치 버튼이다. 기록 버튼(431)은, 토글 동작을 위한 것이다. 비디오카메라(200)의 기록이 아직 시작되지 않은 상황에서 유저가 기록 버튼(431)에 터치하면, 비디오카메라(200)는 기록중 상태로 천이한다. 유저가 비디오카메라(200)의 기록중인 상황에서 기록 버튼(431)을 터치하면, 비디오카메라(200)는 기록 정지 상태로 천이한다. 기록 시간 표시(432)는, 비디오카메라(200)에 있어서의 기록 진행의 계속 시간을 나타내고 있다. 잔여 시간 표시(433)는, 비디오카메라(200)에서 행할 수 있는 기록 잔여 시간을 나타내고 있다.
UI프레임(401)은, 화상표시 영역(410), 무선통신 상황 표시 영역(420), 및 카메라 상황 표시 영역(430)이 소정의 위치에 위치되도록 적절한 프레임 형상을 갖는다. UI프레임(401)은, 결정된 UI전체의 디자인을 나타낸다.
AE아이콘(440)은, 자동 노출(AE) 제어의 대상이 되는 기준영역으로서 화상표시 영역(410)의 특정한 화상영역을 나타내는 아이콘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AE제어가 자동노출 제어다. 통상의 상태에서, AE아이콘(440)은 비표시 상태에 있다.
유저가 특정한 화상영역, 즉 화상표시 영역(410) 중 AE제어 대상 영역에 터치다운 조작을 행하면, 터치다운 조작에 응답하여 소정의 시간, 예를 들면 5초간, AE아이콘(440)이 표시된다. 터치다운 조작에 응답하여,스마트 폰(300)의 Wi-Fi통신부(307) 및 비디오카메라(200)의 Wi-Fi통신부(207)를 경유하여, 비디오카메라(200)에 AE제어 관련 정보가 통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AE제어 요구 정보와, AE제어 기준 화상 좌표정보가 비디오카메라(200)에 통지된다. 그 후, 비디오카메라(200)는 AE제어를 실행한다. 그 후에, AE제어로부터 얻어지는 스트리밍 화상은, 비디오카메라(200)의 Wi-Fi통신부(207) 및 스마트 폰(300)의 Wi-Fi통신부(307)를 경유하여, 화상표시 영역(410)에 표시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조작상 쥐고 있는 스마트 폰(300)의 자세가 가로 방향일 때 터치패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30)에 표시된 UI화면의 구성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다. 이후, 조작상 쥐고 있는 스마트 폰(300)의 자세가 세로 방향인 상술한 경우에서 기술된 것들과 다른 특징만을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상 쥐고 있는 스마트 폰(300)의 자세가 가로 방향이기 때문에, 터치패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30) 및 UI(400)의 각 자세는 가로 방향이다. 가로 방향 자세는, 터치패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30)의 수평 방향에 해당한다. 세로 방향 자세는, 터치패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30)의 수직 방향에 해당한다.
화상표시 영역(510)은, 스트리밍으로 수신한 순차적 화상, 예를 들면, 비디오카메라(200)로 촬영된 라이브 뷰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스마트 폰(300)의 자세가 가로 방향 자세일 경우, 무선통신 상황 표시 영역(420) 및 카메라 상황 표시 영역(430)은 비표시가 된다. 따라서, 화상표시 영역(510)에서 화상의 표시를 위해서는 도 4에 나타낸 화상표시 영역(410)보다도 큰 UI(400)의 최대 영역을 이용 가능하다. 도 5에 나타낸 예에 의하면, 표시부(308)는, 전체 화면 표시, 즉 풀 스크린 표시를 실현하여, 수신한 라이브 뷰 화상이 표시부(308)의 표시면에 전체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촬영 화상의 최대 사이즈는, 표시부(308)의 표시면의 수직 길이 및 수평 길이 중 보다 작은 쪽에 해당한다.
스마트 폰(300)의 자세가 가로 방향일 경우에는, 기록 버튼(431)은 비표시가 된다. 달리 말하면, 유저는 기록 버튼(431)에 대하여 터치 조작을 행할 수 없다. 이러한 상황에서, 유저는, 비디오카메라(200)에 대하여 기록 시작 조작 및/또는 기록 정지 조작을 행할 수 없다. 스마트 폰(300)의 자세가 가로 방향 자세일 경우에는, 유저가 화상표시 영역(510) 중 임의의 화상영역에 대해 터치다운 조강을 행할 때도, AE아이콘(440)은 표시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황에서, 유저는 비디오카메라(200)에 대하여 AE제어 관련 조작을 행할 수 없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300)의 시스템 제어부(301)가 행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조작의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6의 흐름도의 각 처리는, 시스템 제어부(301)가 제1 메모리(304a)로부터 제2 메모리(304b)에 로딩된 관련 프로그램을 실행함에 의해 실현된다. 도 6에 나타낸 예시 처리에 의하면, 비디오카메라(200)는 동화상의 촬영 동작을 행하고, 스마트 폰(300)은 비디오카메라(200)에 스트리밍 영상 화상의 송신을 요구한다.
우선, 단계 S601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301)는, 자세검출부(311)의 자세검출 결과를, 버스(302)를 경유해서 취득하고, 스마트 폰(300)의 자세를 검출한다. 이 자세검출 결과가 "세로 방향"을 가리키는 경우(단계 S601에서 YES), 단계 S602에 진행된다. 이 자세검출 결과가 "가로 방향"을 가리키는 경우(단계 S601에서 NO)는, 단계 S612에 진행된다.
단계 S602 내지 단계 S611의 처리는, 스마트 폰(300)의 자세가 세로 방향일 때 행해지는 순차적 처리의 상세 내용이다. 단계 S602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301)는, 터치패널 조작부(310)를 거쳐 입력한 유저 조작이 각각 지정된 제어를 행하는데 유효로 된 조작 허가 상태를 설정한다. 계속해서, 단계 S603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301)는, 표시부(308)에 대해 유저 인터페이스 프레임(이후, "UI프레임"이라고 함) 및 조작UI를 표시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UI프레임(401), 화상표시 영역(410), 무선통신 상황 표시 영역(420), 수신 전파 강도 아이콘(421), 무선통신 스테이터스(422), 카메라 상황 표시 영역(430), 기록 버튼(431), 기록 시간 표시(432), 및 잔여 시간 표시(433)는 표시부(308)에 표시된다.
다음에, 단계 S604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301)는, 단계 S603에서 표시한 UI프레임(401) 및 화상표시 영역(410)에 맞춰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를 행한다. 단계 S604에서 표시된 화상은, 화상, 예를 들면, 비디오카메라(200)의 Wi-Fi통신부(207)를 경유해서 스마트 폰(300)의 Wi-Fi통신부(307)에 송신된 라이브 뷰 화상이다. 스마트 폰(300)에서는, Wi-Fi통신부(307)로부터 파일화된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된 파일화된 데이터에 관해 신장 처리를 행하게 복호화부(312)를 제어한다. 시스템 제어부(301)는, 결과적인 신장된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표시부(308)를 제어한다.
다음에, 단계 S605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301)는, 화상표시 영역(410)내에서 터치다운 조작이 행해진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301)는, 유저가 화상표시 영역(410)의 영역내의 원하는 좌표 포인트를 정확히 지정할 수 있기 때문에 터치다운 조작의 존재에 대해 확인한다. 후술하는 단계 S607과 같이, 상술한 판정에서 시스템 제어부(301)가 터치업 조작의 존재에 대해 확인하도록 구성되면, 검출된 손가락/스타일러스의 위치는, 터치다운 포인트로부터 벗어날 수도 있다. 시스템 제어부(301)는, 터치다운 조작의 좌표와 다른 좌표 포인트를 검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시스템 제어부(301)는, 상술한 판정에서, 터치다운 조작, 즉 터치무브 조작을 포함하는 않는 조작의 존재에 대해 확인한다.
단계 S605의 판정의 결과가 화상표시 영역(410)내에서 터치다운 조작이 행해진 것을 나타내는 경우(단계 S605에서 YES), 단계 S606에 진행된다. 단계 S606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301)는, 터치다운 조작이 행해진 좌표위치 정보를 취득하고, 노출 조정 제어를 실행한다. 이하는 단계 S606에서 행하는 상세한 처리다. 우선, 시스템 제어부(301)는, 취득한 좌표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노출 조정 실행 요구 정보와 지정 좌표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그 후, 시스템 제어부(301)는, Wi-Fi통신부(307)를 경유하여, 비디오카메라(200)의 Wi-Fi통신부(207)에 그 생성된 정보를 송신한다. 비디오카메라(200)에서는, Wi-Fi통신부(207)를 경유해서 취득한 노출 조정 실행 요구 정보와 지정 좌표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촬상부(212)의 휘도 게인 조정을 실시한다. 비디오카메라(200)에서는, 촬상 화상상의 지정 좌표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지정된 위치 및 주변위치에 대해 적절한 휘도를 설정하도록, 휘도 게인을 조정한다. 단계 S605의 판정의 결과는 화상표시 영역(410)내에서 터치다운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경우(단계 S605에서 NO)는, 단계 S607에 진행된다.
단계 S607에 있어서는, 시스템 제어부(301)는, 기록 버튼(431)에 대한 터치업 조작이 행해진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단계 S607에서의 판정의 결과는 터치업 조작이 기록 버튼(431)에 대해 행해진 것을 나타내는 경우(단계 S607에서 YES)는, 단계 S608에 진행된다. 단계 S608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301)는, 기록 제어를 실행한다. 단계 S607의 판정에서는, 터치업 위치가 기록 버튼(431)의 유효 영역내인 경우에, 단계 S608에 진행된다. 이 때문에, 터치업 조작전에 터치무브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도, 터치무브 조작을 고려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터치무브 조작의 검출에 상관없이 터치업 조작이 행해진 위치가 기록 버튼(431) 위이면, 단계 S608에 진행된다.
이하는 단계 S608에 행해진 상세한 처리다. 우선, 시스템 제어부(301)는, 비디오카메라(200)의 기록 제어 상태정보를, 비디오카메라(200)의 Wi-Fi통신부(207)와 스마트 폰(300)의 Wi-Fi통신부(307)를 경유해서 취득한다. 비디오카메라(200)의 기록 제어 상태정보는, 비디오카메라(200)가 기록중 상태인지 기록 정지 상태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다. 그 취득된 기록 제어 상태정보가 기록 정지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 시스템 제어부(301)는, 기록 시작 요구 정보를 스마트 폰(300)의 Wi-Fi통신부(307)와 비디오카메라(200)의 Wi-Fi통신부(207)를 경유해서 비디오카메라(200)에 통지한다. 그 취득된 기록 제어 상태정보가 기록중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는, 시스템 제어부(301)는, 기록 정지 요구 정보를 마찬가지로 비디오카메라(200)에 통지한다. 단계 S607의 판정 결과가 기록 버튼(431)에 대해 터치업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경우(단계 S607에서 NO)는, 단계 S609에 진행된다.
단계 S609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301)는, 임의의 다른 조작이 행해졌는가를 검출한다. 시스템 제어부(301)는 다른 조작이 행해진 것을 검출하는 경우, 시스템 제어부(301)는 그 검출된 조작에 근거하여 여러 가지 제어를 실행한다. 그 밖의 조작은, 포커스 제어, 줌 조작에 근거한 줌 제어, 업/와이드 조작에 근거한 업/와이드 제어, (미도시된) 카메라 팬(pan) 테이블 또는 팬 헤드에 대해 행해진 팬 제어, 또는 정지 화상 촬영 조작에 근거하는 촬영 제어 등의 촬영을 위한 설정 조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에, 단계 S610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301)는, 자세검출부(311)로부터 자세검출 결과를 취득하고, 스마트 폰(300)의 자세가 변화되었는지를 판정한다. 단계 S610의 판정 결과가 자세의 변화를 나타내는 경우(단계 S610에서 YES) 단계 S601에 되돌아가고, 시스템 제어부(301)는, 스마트 폰(300)의 자세가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인지를 다시 판정한다. 단계 S610의 판정의 결과가 자세의 변화가 없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단계 S610에서 NO)는, 단계 S611에 진행된다.
단계 S611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301)는, 종료 이벤트의 존재를 검출한다. 종료 이벤트는, 시스템 제어부(301)가 다른 운영체계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때 일어날 수 있다. 그 종료 이벤트의 예들은, 스위치 조작부(303)를 거쳐 도 6에 나타낸 처리를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종료하는 유저의 조작, (미도시된) 배터리의 감소된 잔량의 검출, 및 스마트 폰(300)의 전원을 오프하는 유저의 조작을 포함한다. 이 종료 이벤트는 애플리케이션 요인으로 인해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도시된) 통신 관리 처리에서 Wi-Fi통신이 강제 종료되었을 경우에 종료 이벤트가 일어날 수 있다. 단계 S611의 검출의 결과가 그 종료 이벤트가 없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단계 S611에서 NO)는, 단계 S604에 진행된다. 단계 S604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301)는, UI프레임에 맞추기 위해 화상표시를 갱신한다. 그 종료 이벤트가 일어났을 경우(단계 S611에서 YES)는, 시스템 제어부(301)는, 도 6에 나타낸 흐름도의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612 내지 단계 S615의 처리는, 스마트 폰(300)의 자세가 가로 방향일 경우에 행해진 순차적 처리의 상세 내용이다. 단계 S612에 있어서는, 시스템 제어부(301)는, 터치패널 조작부(310)를 거쳐 입력된 유저 조작이 지정된 제어가 행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무효로 되는 조작금지상태를 설정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유저가 화상표시 영역(510) 중 임의의 화상영역에 터치다운 조작을 행하는 경우도, AE아이콘(440)이 표시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동화상의 기록 시작 또는 정지를 지시하는 터치 조작(또는 탭 조작)이 금지된다. 도 6의 처리를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는, 터치 조작 무효화 상태가 된다. 어떤 터치 조작이 행해질 때, 그 터치 조작에 대응한 각 기능 제어는, 실행될 수 없다. 그렇지만, 이 경우에, 도 6의 처리를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와는 다른 OS, 즉 다른 소프트웨어가 인터럽트 처리를 요구하는 경우, 인터럽트 처리는 유효로 된다.
다음에, 단계 S613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301)는, UI(400)의 전체 영역에서, 화상의 풀 스크린 표시를 행한다. 그 표시된 화상의 자세가 세로 방향일 경우, 시스템 제어부(301)는, 단계 S604에서 표시된 화상을 90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즉 그 자세에 대응한 방향으로 회전하여서 얻어질 수 있는 화상을 표시한다.
다음에, 단계 S614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301)는, 자세검출부(311)로부터 자세검출 결과를 취득하고, 스마트 폰(300)의 자세가 변화되었는지를 판정한다. 단계 S614에서의 판정 결과가 자세의 변화를 나타내는 경우(단계 S614에서 YES)는 단계 S601에 되돌아간다. 단계 S601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301)는, 스마트 폰(300)의 자세가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인지를 다시 판정한다. 단계 S614의 판정 결과가, 자세에 변화가 없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단계 S614에서 NO), 단계 S615에 진행된다.
단계 S615에 있어서는, 시스템 제어부(301)는, 종료 이벤트의 존재를 검출한다. 단계 S615에서 행해지는 처리는, 단계 S611에서 행해진 처리와 같다. 단계 S615에서의 판정 결과가 종료 이벤트가 없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단계 S615에서 NO)는, 단계 S613에 진행된다. 단계 S613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301)는, 상기 화상의 풀 스크린 표시를 갱신한다. 단계 S615에서의 판정 결과가 종료 이벤트가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단계 S615에서 YES), 시스템 제어부(301)는 도 6의 흐름도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제어부(301)는, 스마트 폰(300)의 자세가 가로 방향일 경우에 터치패널 조작부(310)를 거쳐 입력된 유저 조작에 대응한 제어가 행해지는 것을 금지하고, 스마트 폰(300)의 자세가 세로 방향일 경우에 그 제어를 허가한다. 이에 따라, 터치패널의 오조작이나 오검출을 없앨 수 있다.
또한, 유저가 스마트 폰의 자세를 변경하여서 소정의 터치 조작을 "유효"와 "무효" 사이에서 바꿀 수 있다. 이 때문에, 간편하고 확실한 조작으로, "금지"와 "허가"를 바꾸는 것이 실현될 수 있다. 조작 금지 상태에서 조작UI를 비표시로 하기 때문에, 유저는, 스마트 폰(300)이 현재 조작금지상태 또는 조작허가 상태에 있는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조작UI를 비표시로 하기 때문에, 유저는 정지 화상과 동화상을 풀 스크린 표시로 열람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는 각 유저에게 향상된 사용성을 제공한다. 모든 유저는, 스마트 폰(300)의 자세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상술한 이점을 향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 조작 금지 상태에서는 조작UI를 비표시 한다. 그렇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신에 조작UI를 그레이 아웃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라이브 뷰 표시 기반 촬영 동작에 근거하여 설명하였다. 상술한 제어는, 화상 재생 동작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하는 것처럼, 제2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동화상의 재생시에, 스마트 폰(300)의 자세가 세로 방향일 경우 터치 조작을 유효로 해서 동화상에 관한 유저 조작을 접수하고, 스마트 폰(300)의 자세가 가로 방향일 경우 터치 조작을 무효로 해서 오동작에 의해 열람이 저해되지 않도록 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 및 디지털 카메라의 특징적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제1 실시예와 같다. 이 때문에, 그에 대한 중복 설명은 피할 것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조작상 쥐고 있는 스마트 폰(300)의 자세가 세로 방향일 때 터치패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30)에 표시된 UI화면의 구성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다. 도 7에서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은 부분은 동일한 참조부호를 의미한다. 따라서, 그에 대한 중복 설명은 피할 것이다. 스마트 폰(300)의 자세가 가로 방향일 때 터치패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30)에 표시된 UI화면은 도 5와 같다. 이 때문에, 그에 대한 중복 설명은 피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 폰(300)은, 비디오카메라(200)의 기록 매체(205)에 기억된 복수의 동화상 파일(클립)을, 비디오카메라(200)의 Wi-Fi통신부 및 스마트 폰(300)의 Wi-Fi통신부를 경유해서 취득한다. 그리고, 유저는, 상술한 복수의 동화상 파일 중 1개를 선택하여, 스마트 폰(300)의 표시부(308)에서 동화상을 표시시킨다. 표시하는 동화상은, 비디오카메라(200)의 기록 매체(205)로부터 취득된 동화상에 한정되지 않고, 스마트 폰(300)의 기록 매체(305)에 기억된 동화상, 또는 서버로부터 스트리밍된 동화상일 수 있다.
도 7에 있어서, 재생 버튼(731)은, 화상표시 영역(410)에 표시된 동화상의 재생을 지시(또는 시작)할 수 있는 터치 버튼이다. 화상표시 영역(410)에 표시된 동화상이 정지된 상태에 있을 경우는, 표시된 재생 버튼(731)은 재생 시작 지시 버튼이다. 화상표시 영역(410)에 표시된 동화상이 재생중 상태에 있을 경우에는, 표시된 재생 버튼(731)은 재생 정지 지시 버튼이다. 재생 버튼(731)에 대한 탭 조작을 행하는 경우, 즉 유저가 순차로 재생 버튼(731)에 터치다운 조작과 터치업 조작을 행하면, 스마트 폰(300)은, 동화상이 정지된 상태에 있을 경우에 동화상의 재생을 시작하고, 동화상이 재생중 상태에 있을 동화상의 재생을 정지한다.
클립 길이 표시(737)는, 현재 선택된 클립, 즉 화상표시 영역(410)에 표시된 동화상의 기록 시간 길이를 나타내고 있다. 동화상의 재생이 준비가 될 때, 혹은 동화상의 재생 시작 위치가 선두부분에 있을 때 클립 이송 버튼(733)에 탭 조작이 행해지면, 시스템 제어부(301)는, 비디오카메라(200)의 기록 매체(205)에 기록된 복수의 클립의 리스트로부터 1개전의 클립을 선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클립 이송 버튼(733)은, 화상표시 영역(410)에 표시된 동화상을 다른 동화상으로 바꾸는 버튼으로서 기능적으로 동작 가능하다. 또한, 클립 이송 버튼(733)은, 동화상의 재생이 현재 진행중인 상태에서, 혹은 동화상의 재생 정지 위치가 선두이외의 위치일 때 탭 조작이 행해지면, 상기 표시된 동화상의 선두에 재생 위치를 이동하는 큐잉(cueing) 버튼으로서 기능적으로 동작 가능하다.
클립 되돌림(reversing) 버튼(732)은, 터치 버튼이며, 클립 되돌림 버튼(732)에 탭 조작하면, 시스템 제어부(301)는, 1개 앞의 클립, 즉 다음의 동화상을 선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클립 되돌림 버튼(732)은, 화상표시 영역(410)에 표시된 동화상을 다른 동화상으로 바꾸는 버튼으로서 기능적으로 동작 가능하다.
표시 사이즈 전환 버튼(734)은, 동화상의 표시를 풀 스크린 표시로 전환 가능한 터치 버튼이다. 표시 사이즈 전환 버튼(734)에 탭 조작되면, 스마트 폰(300)의 자세가 가로 방향일 때 실현된 풀 스크린 표시와 같이 동화상이 풀 스크린 사이즈로 표시된다. 단, 스마트 폰(300)의 자세가 종방향일 경우에, 유저는 풀 스크린 사이즈에 필적할 만한 화상표시 영역을 터치함으로써 동화상의 재생 시작이나 정지를 지시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이 경우에 터치 조작이 무효가 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동화상의 재생이 시작 또는 정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표시 사이즈 전환 버튼(734)에의 유저 조작에 응답하여 스마트 폰(300)이 (상기 자세가 가로 방향일 때 표시된 화상과 같은) 풀 스크린 사이즈 동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 스마트 폰(300)의 자세에 관계없이 화상표시 영역에 행해진 터치 조작이 무효로 될 수 있다. 볼륨 버튼(735)은, 동화상의 음량을 조정 가능한 터치 버튼이다. 시크(seek) 바(736)는, 동화상의 현재의 재생 위치를 나타냄과 아울러, 터치 및 활주 조작, 즉 터치무브 조작에 근거하여 재생 위치를 변경하는, 표시 아이템이다. 유저가 시크 바(736)의 임의의 위치에서 탭 조작하면, 그 탭핑된 위치로 재생 위치는 즉시 변경될 수 있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300)의 시스템 제어부(301)로 실행된 동화상 재생 조작의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8에 나타낸 흐름도의 각 처리는, 시스템 제어부(301)가 제1 메모리(304a)로부터 제2 메모리(304b)에 로딩된 관련 프로그램을 실행하여서 실현된다.
단계 S801∼단계 S804에서 행해지는 처리는, 전술한 도 6의 단계 S601∼단계 S604에서 행해진 처리와 같다. 따라서, 그에 대한 중복 설명은 피할 것이다. 단, 화상표시 영역(410)에 표시된 화상은, 라이브 뷰 화상이 아니고, 재생된 동화상의 정지 영상, 즉 포즈(pause)상태의 프레임 화상, 혹은 재생 영상이다.
단계 S805에 있어서는, 시스템 제어부(301)는, 임의의 조작 아이콘, 즉 재생 버튼(731) 내지 시크 바(736) 중 하나에 대해 행해진 탭 조작이 있는가를 판정한다. 단계 S805에서의 판정 결과가 어느 하나의 조작 아이콘에 대한 탭 조작이 행해진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단계 S805에 YES), 단계 S806에 진행된다. 단계 S805에서의 판정 결과가 어느 하나의 조작 아이콘에 대한 탭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단계 S805에 NO), 단계 S807에 진행된다.
단계 S806에 있어서는, 시스템 제어부(301)는, 탭핑된 아이콘에 근거하여 기능적 조작을 실행한다. 예를 들면, 시스템 제어부(301)는, 재생 버튼(731)에 대해 탭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는, 화상표시 영역(410)에 정지한 상태로 표시하고 있었던 동화상의 재생을 시작한다. 예를 들면, 시스템 제어부(301)는, 클립 이송 버튼(733)에 대한 탭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는, 클립 이송 제어를 실행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301)는, 비디오카메라(200)의 기록 매체(205)에 기록된 동화상 파일에 대하여 클립 이송 제어를 행한다. 우선, 시스템 제어부(301)는 클립 이송 실행 요구 정보를 생성하여, Wi-Fi통신부(307)를 경유해서 비디오카메라(200)의 Wi-Fi통신부(207)에 송신한다. 비디오카메라(200)에서는, Wi-Fi통신부(207)를 경유해서 수신된 클립 이송 실행 요구 정보에 따라 기록 매체(205)로부터 동화상 파일을 취득하여, 스마트 폰(300)에 송신한다.
예를 들면, 시스템 제어부(301)는, 클립 되돌림 버튼(732)에 대한 탭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 클립 되돌림 제어를 실행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301)는, 비디오카메라(200)의 기록 매체(205)에 기록된 동화상 파일에 대하여 클립 되돌림 제어를 이하의 순서에 따라 행한다. 우선, 시스템 제어부(301)는 클립 되돌림 실행 요구 정보를 생성하여, Wi-Fi통신부(307)를 경유해서 비디오카메라(200)의 Wi-Fi통신부(207)에 송신한다. 비디오카메라(200)에서는, Wi-Fi통신부(207)를 경유해서 수신된 클립 되돌림 실행 요구 정보에 근거하여 기록 매체(205)로부터 동화상 파일을 취득하여, 스마트 폰(300)에 송신한다.
시스템 제어부(301)는, 임의의 다른 조작 아이콘, 즉 표시 사이즈 전환 버튼(734)∼시크 바(736) 중 하나에 대한 탭 조작이 행해진 경우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은 제어를 실행한다. 다음에, 단계 S807 및 S808에서 행해진 처리는, 전술한 도 6의 단계 S610 및 S611에서 행해진 처리와 같으므로, 그에 대한 중복 설명을 피할 것이다.
스마트 폰(300)의 자세가 가로 방향일 경우에, 단계 S811에 있어서는, 시스템 제어부(301)는, 터치패널 조작부(310)를 거쳐 입력된 유저 조작이 지정된 제어가 행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무효로 되는 조작 금지상태를 설정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유저가 (도 5의 화상표시 영역(510)과 같은) 가로 방향의 화상표시 영역을 터치할 때도, 동화상의 재생을 정지하거나 재시작할 수 없고, 음량을 변경할 수 없다. 유저가 동화상 관련 각종 동작 지시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각종 조작 아이콘, 예를 들면 재생 버튼(731)∼시크 바(736)에 해당하는 표시 아이템들은 표시되지 않는다. 요컨대, 도 8의 처리를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는, 터치 조작 무효화 상태가 된다. 어떤 터치 조작이 행해질 때도, 터치된 조작에 대응한 기능적 제어가 행해지는 것이 금지된다. 단, 이 경우에, 도 8의 처리를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와는 다른, OS, 즉 다른 소프트웨어가 인터럽트 처리를 요구하는 경우, 인터럽트 처리가 유효로 된다.
다음에, 단계 S812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301)는, UI(400)의 표시영역에 풀 스크린 화상을 표시한다. 풀 스크린 화상의 표시 영역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화상과 같다. 단계 S812에서 표시된 화상은, 단계 S804에서 표시된 화상을 90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즉 자세에 대응한 방향으로 회전하여서 얻어질 수 있는 화상에 필적한다.
다음에, 단계 S813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301)는, 동화상의 재생처리를 시작한다. 이 경우에, 스마트 폰(300)의 자세가 세로 방향이고 스마트 폰(300)이 동화상의 재생 정지 상태에 있을 때에도, 유저는, 스마트 폰(300)의 자세를 세로 방향으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변경하여서 스마트 폰(300)에 자동적으로 동화상의 재생처리를 시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스마트 폰(300)의 자세가 세로 방향일 때 시크 바(736)를 조작하여서 원하는 재생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이어서, 유저는, 스마트 폰(300)의 자세를 세로 방향에서 가로 방향으로 변경시켜 시크 바(736)가 나타낸 시작 위치부터 동화상의 재생처리를 스마트 폰(300)에 시작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 폰(300)이, 스마트 폰(300)의 세로 방향에서 가로 방향으로의 자세 변경에 응답하여 자동적으로 동화상의 재생처리를 시작한다. 또한, 스마트 폰(300)은, 동화상의 재생처리를 시작하지 않고 상기 재생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에, 유저는, 스마트 폰(300)이 가로 방향의 상태로 유지하기 전의 세로 방향의 상태로 동화상의 재생처리 시작을 스마트 폰(300)에 지시하여, 유저는 어떠한 오동작도 없이 상기 재생된 동화상을 가로 방향 상태로 열람할 수 있다.
단계 S814 및 단계 S815에서 행해진 처리는, 도 6의 단계 S614 및 단계 S615에서 행해진 처리와 같다. 이 때문에, 그에 대한 중복 설명은 피할 것이다. 단계 S814의 판정 결과가 스마트 폰(300)의 자세가 변화된 것을 나타내는 경우(S814에서 YES)는, 단계 S801에 되돌아간다. 단계 S814의 판정 결과가 자세가 변화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경우(단계 S814에서 NO), 단계 S815에 진행된다. 단계 S815의 판정 결과가 종료 이벤트가 검출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경우(단계 S815에서 NO), 단계 S812에 되돌아간다. 단계 S815의 판정 결과가 종료 이벤트가 검출된 것을 나타내는 경우(단계 S815에서 YES)는, 시스템 제어부(301)는 도 8에 나타낸 흐름도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각 유저는 스마트 폰(300)의 자세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스마트 폰(300)에 동화상의 재생처리를 실행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유저는, 우수한 조작성을 즐길 수 있다. 스마트 폰(300)이 터치패널 조작에 응답하여 동화상의 재생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이 유저의 터치패널 조작을 요구하지 않고 동화상의 재생처리를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터치패널의 오조작과 오판정을 없앨 수 있다. 그 결과, 유저는, 편안하게 동화상을 열람할 수 있다.
이하, 제3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정지 화상의 슬라이드 쇼를 행한다. 이하, 상기 제2 실시예서 설명되지 않은 특징들을 주로 설명하겠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 및 디지털 카메라는,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들과 같은 특징적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그에 대한 중복 설명은 피할 것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조작상 쥐고 있는 스마트 폰(300)의 자세가 세로 방향일 때 터치패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30)에 표시된 UI화면의 구성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다. 도 9에서, 도 4와 같은 부분들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낸다. 그러므로, 그에 대한 중복 설명은 피할 것이다. 조작상 쥐고 있는 스마트 폰(300)의 자세가 가로 방향일 때 터치패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30)에 표시된 UI화면은, 도 5와 같다. 따라서, 그에 대한 중복 설명은 피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비디오카메라(200)는, (미도시된) 셔터 버튼의 각 조작에 근거하여 동화상과 아울러 정지 화상을 촬영하고, 그 정지 화상 파일을 기록 매체(205)에 기록한다. 스마트 폰(300)은, 비디오카메라(200)의 기록 매체(205)로부터 복수의 정지 화상 파일을, Wi-Fi통신부(207) 및 스마트 폰(300)의 Wi-Fi통신부(307)를 경유해서 취득한다. 이렇게 하여, 유저는, 취득한 복수의 정지 화상 파일의 슬라이드 쇼를 열람할 수 있다.
도 9에 있어서, 유저가 사진이송 버튼(931)에 탭 조작을 행하면, 스마트 폰(300)은, 비디오카메라(200)의 기록 매체(205)에 기록된 복수의 정지 화상 파일의 리스트로부터 1개 다음의 정지 화상 파일을 선택한다. 유저가 사진 되돌림 버튼(932)에 탭 조작을 행하면, 스마트 폰(300)은, 1개 앞의 정지 화상 파일을 선택한다. 슬라이드 쇼 화상매수 표시(933)는, 슬라이드 쇼, 즉 현재 표시 대상을 구성하는 정지 화상의 총 수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300)의 시스템 제어부(301)로 실행된 정지 화상의 슬라이드 쇼를 표시하는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0의 흐름도에 있어서의 각 처리는, 시스템 제어부(301)가 제1 메모리(304a)로부터 제2 메모리(304b)에 로딩된 관련 프로그램을 실행하여서 실현된다.
단계 S1001∼단계 S1004에서 행해진 처리는, 도 6의 단계 S601∼단계 S604에서 행해진 처리와 같다. 이 때문에, 그에 대한 중복 설명은 피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 쇼를 협력하여 구성하는 정지 화상을, 단계 S1004에서 표시한다. 따라서, 시스템 제어부(301)는, 이때에 슬라이드 쇼 표시를 행하지 않는다.
단계 S1005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301)는, 사진이송 버튼(931)에 대한 탭 조작이 행해졌는가를 판정한다. 단계 S1005에서의 판정 결과가 그 탭 조작이 행해진 것을 나타내는 경우(단계 S1005에 YES)는, 단계 S1006에 진행된다. 단계 S1006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301)는, 후술한 것처럼 사진이송 제어를 실행한다. 우선, 시스템 제어부(301)는, 사진이송 실행 요구 정보를 생성하여, Wi-Fi통신부(307)를 경유하여 비디오카메라(200)의 Wi-Fi통신부(207)에 송신한다. 비디오카메라(200)에서는, Wi-Fi통신부(207)를 경유해서 취득한 사진이송 실행 요구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 매체(205)로부터 정지 화상파일을 취득하여, 스마트 폰(300)에 송신한다. 단계 S1005에서의 판정 결과가 그 탭 조작이 행해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경우(단계 S1005에 NO), 단계 S1007에 진행된다.
단계 S1007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301)는, 사진 되돌림 버튼(932)에 대한 탭 조작이 행해졌는가를 판정한다. 단계 S1007에서의 판정 결과가 탭 조작이 행해진 것을 나타내는 경우(단계 S1007에서 YES)는, 단계 S1008에 진행된다. 단계 S1008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301)는, 후술한 것처럼 사진 되돌림 제어를 실행한다. 우선, 시스템 제어부(301)는, 사진 되돌림 실행 요구 정보를 생성하여, Wi-Fi통신부(307)를 경유해서 비디오카메라(200)의 Wi-Fi통신부(207)에 송신한다. 비디오카메라(200)에서는, Wi-Fi통신부(207)를 경유해서 수신된 상기 취득된 사진 되돌림 실행 요구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 매체(205)로부터 정지 화상파일을 취득하여, 스마트 폰(300)에 송신한다. 단계 S1007에서의 판정 결과가 탭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경우(단계 S1007에 NO)는, 단계 S1009에 진행된다.
단계 S1009∼단계 S1013에서 행해진 처리는, 도 6의 단계 S609∼단계 S613에서 행해진 처리와 같다. 그리고, 단계 S1014에 있어서는, 시스템 제어부(301)는, 비디오카메라(200)의 기록 매체(205)로부터 취득한 각 정지 화상파일의 슬라이드 쇼 표시를 실행한다. 이 경우에, 시스템 제어부(301)는,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비디오카메라(200)에 대하여 정지 화상파일을 순차로 요구한다. 그 후, 시스템 제어부(301)는, 상술한 순서에 따라 각각의 정지 화상파일을 취득해서 표시한다. 단계 S1015 및 단계 S1016에서 행해진 처리는, 도 6의 단계 S614 및 단계 S615에서 행해진 처리와 같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각 유저는 스마트 폰(300)의 자세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스마트 폰(300)을 제어하여 정지 화상의 슬라이드 쇼를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우수한 조작성을 즐길 수 있다. 스마트 폰(300)이 터치패널 조작에 응답하여 그 슬라이드 쇼 표시를 실행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이 유저의 터치패널 조작을 요구하지 않고 그 슬라이드 쇼를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터치패널의 오조작과 오판정을 없앨 수 있다. 그 결과, 유저는 편안하게 정지 화상을 열람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예시의 라이브 뷰 표시, 동화상재생 및 슬라이드 쇼를 설명했지만, 이들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추가의 실시예들은, 상기 자세가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 중 한쪽일 때 소정의 기능에 관한 탭 조작, 터치무브 조작을 포함하지 않는 터치 조작을 무효로 하고, 그 자세가 다른 쪽일 때 그 소정의 기능에 관한 탭 조작을 유효로 하는, 다른 전자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탭 조작을 무효로 한 자세에 있어서, 유저 조작의 존재에 상관없이 표시된 콘텐츠가 열람 가능한 상황에서 효과적이다. 시계열 진행 데이터, 예를 들면 동화상, 또는 정지 화상 슬라이드 쇼는 이러한 콘텐츠의 일례다. 음성 데이터, 문서 데이터, 예를 들면 텍스트 데이터, 서적 데이터, 만화 데이터 또는 요리의 레시피 데이터의 자동 스크롤/자동 페이지 넘김은 그 밖의 예들이다.
상술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 유저는 전자기기의 자세가 가로 방향일 때 터치 조작을 무효로 할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로 방향 자세로 터치 조작을 무효화하는 기능은, 유저 지시에 근거하여 미리 온 또는 오프로 선택적으로 설정된다. 이 경우에, 기능 설정이 온일 경우, 상기 시스템은, 전술한 각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소정의 제어를 실행한다. 기능 설정이 오프일 경우, 상기 시스템은, 그 자세가 가로 방향일 때에도 터치 조작을 접수하고, 가로 방향 자세와 마찬가지로 터치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를 행한다.
상술한 각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시스템은, 전자기기의 자세에 근거하여 터치무브 조작을 포함하지 않는 탭 조작을 무효로 한다. 터치무브 조작을 수반한 조작이 물방울이나 유저의 의도하지 않는 터치 조작으로 좀처럼 유발되지 않기 때문에 그 조작은 오조작이 아니라고 간주된다. 상기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시스템은, 터치무브 조작을 수반하지 않는 탭 조작, 즉 터치다운 조작이나 터치업 조작에 근거하여 행해지는 기능을 무효로 함으로써, 물방울이나 유저의 의도하지 않는 터치 조작에 의해 유발된 동작에 응답하여 어떠한 제어도 행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시스템 제어부(301)의 전체 제어는 1개의 하드웨어 디바이스에 의해 실현될 수 있거나, 복수의 하드웨어 디바이스에 의해 분담될 수 있다.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들 실시예들은 단지 예들일 뿐이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예들을 조합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스마트 폰에 근거하여 설명하였다. 그렇지만, 한쪽 자세에서 소정의 기능에 관한 탭 조작, 즉 터치무브 조작을 포함하지 않는 터치 조작을 무효로 하고, 다른 쪽 자세에서 상기 소정의 기능에 관한 탭 조작을 유효로 하는 어떠한 다른 전자기기도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개인용 정보 단말기(PDA), 휴대형 화상 뷰어, 디지털 포토 프레임, 음악 플레이어, 게임기 및 전자 북 리더.
추가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실시예들의 적어도 한 개의 기능을 실현가능한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 매체를 통해 시스템 또는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또는 그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의 적어도 한 개의의 프로세서에 의해 그 프로그램을 판독해 실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처리를 통해 실현될 수 있다. 회로(예를 들면, ASIC)는 상기 실시예들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실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 의하면, 유저가 의도하지 않는 오조작 또는 오검출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는, 기억매체(보다 완전하게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라고도 함)에 레코딩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회로(예를 들면, 주문형 반도체(ASIC))를 구비하는 것인, 시스템 또는 장치를 갖는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고, 또 예를 들면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회로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시스템 또는 상기 장치를 갖는 상기 컴퓨터에 의해 행해지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면,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처리장치(MPU))를 구비하여도 되고,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여 실행하기 위해 별개의 컴퓨터나 별개의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구비하여도 된다.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예를 들면 네트워크나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에 제공하여도 된다. 상기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랜덤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등), 플래시 메모리 소자,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도 된다.
실시예들을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예,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폭 넓게 해석해야 한다.

Claims (26)

  1. 표시부가 장착된 전자기기로서,
    상기 표시부에 대해 행해진 터치 조작을 검출하는 터치 검출부;
    상기 전자기기의 자세를 검출하는 자세검출부;
    상기 전자기기가 제1 상태로 설정되어 있고, 상기 검출된 자세가 제1 자세로부터, 상기 제1 자세와 다른 제2 자세로 변화되는 경우에는, 상기 전자기기를 제2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검출된 자세가 상기 제2 자세로부터 상기 제1 자세로 변화되는 경우에는 상기 전자기기를 상기 제1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전자기기가 제1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에, 화상 및 상기 화상에 관한 유저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조작 인터페이스를 통해 행해진 상기 터치 조작에 근거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전자기기가 제2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조작 인터페이스를 표시하지 않고 상기 표시부의 전체 표시 영역에 걸쳐 화상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부에 대해 상기 터치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도 상기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전자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표시부에 대해 행해진 터치 조작을 유효로 하는 상태이며,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표시부에 대해 행해진 터치 조작을 무효로 하는 상태인, 전자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관한 터치 조작을 무효로 하는 상태이며,
    상기 제2 상태에서도, 상기 특정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관한 터치 조작 이외의 처리는 터치 조작의 무효화로부터 제외되는, 전자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상태에서 화상의 표시 영역에 대해 행해진 터치 조작에 근거하여 상기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상태에서는 상기 화상의 표시 영역에 대해 터치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도 상기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지 않는, 전자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세는, 상기 제1 자세에 수직하고, 상기 표시부의 표시면에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상기 전자기기를 90도 회전시켜서 얻어질 수 있는, 전자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기기의 상기 검출된 자세가 상기 제1 자세인지 상기 제2 자세인지에 근거하여, 상기 전자기기를 상기 제1 상태 또는 상기 제2 상태로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전자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촬영된 라이브 화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제1 상태로 설정되는 경우에 상기 표시부에 대해 행해진 터치 조작에 근거하여, 소정의 처리로서 촬영 관련 처리를 행하는 것을 지시하도록 제어하는, 전자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된 라이브 화상은 동화상이며,
    상기 촬영 관련 처리는, 상기 동화상의 기록을 시작하는 조작 또는 상기 동화상의 기록을 정지하는 조작인, 전자기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관련 처리는, 특정한 촬영 설정을 조정하는 조작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제1 상태로 설정되는 경우에, 상기 표시부에 상기 촬영 라이브 화상이 표시된 영역에 대해 행해진 터치 조작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 조작이 행해진 위치를 기준으로서 상기 특정한 촬영 설정을 조정하는 것을 지시하도록 제어하는, 전자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촬영 설정은, 적어도, 노출 제어, 줌 제어, 포커스 제어, 또는 상기 촬영된 라이브 화상을 생성하는 촬상 장치의 팬 헤드에 관한 제어인, 전자기기.
  11. 제 7 항에 있어서,
    외부의 촬상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외부의 촬상 장치에 의해 촬영되고 상기 통신부에 의해 수신된 라이브 화상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기기의 상기 검출된 자세가 상기 제1 자세일 경우에, 상기 터치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터치 조작에 근거하여 상기 촬영 관련 처리를 행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의 촬상 장치에 지시하는, 전자기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시계열 진행 콘텐츠를 재생하는 재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소정의 처리는, 상기 시계열 진행 콘텐츠의 재생에 관한 처리인, 전자기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처리는, 적어도, 상기 시계열 진행 콘텐츠의 재생 시작, 상기 시계열 진행 콘텐츠의 재생 정지, 다른 콘텐츠의 선택, 상기 시계열 진행 콘텐츠의 풀 스크린 표시로의 전환, 음량 조정, 또는 상기 시계열 진행 콘텐츠의 재생 위치 변경인, 전자기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제1 상태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동화상의 표시 영역에 대해 행해진 터치 조작에 근거하여 동화상의 재생 시작 또는 정지를 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화상의 표시 영역에 대해 상기 터치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도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제2 상태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동화상의 재생 시작 또는 정지를 행하지 않는, 전자기기.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자세가 제2 자세로 변화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재생부에 상기 시계열 진행 콘텐츠의 재생을 시작하도록 제어하는, 전자기기.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열 진행 콘텐츠는, 적어도, 동화상, 슬라이드 쇼를 위한 정지 화상, 음성 데이터, 또는 서적 데이터인, 전자기기.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세는, 상기 표시부가 수직으로 긴 자세이며,
    상기 제2 자세는, 상기 표시부가 수평으로 긴 자세인, 전자기기.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기기의 자세가 상기 제1 자세일 경우에는 터치 조작을 접수하기 위한 표시 아이템을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기기의 자세가 상기 제2 자세일 경우에는 상기 표시 아이템을 표시하지 않는, 전자기기.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기기의 자세가 상기 제1 자세일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에 제1 사이즈로 화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세가 상기 제1 자세로부터 상기 제2 자세로 변화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부에 상기 제1 사이즈보다도 큰 제2 사이즈로 상기 화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전자기기.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제1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에 대한 터치 위치의 이동을 포함하지 않는 터치 조작에 근거하여 상기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제2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에 대한 터치 위치의 이동을 포함하지 않는 터치 조작이 행해지는 경우에도 상기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지 않는, 전자기기.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자세에 근거하여 터치 조작의 가부를 제어할 것인가 아닌가를 설정하는 설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이 상기 터치 조작의 가부를 제어하지 않는다고 나타내는 경우에는, 자세가 상기 제1 자세로부터 상기 제2 자세로 변화되는 경우에도 상기 전자기기를 상기 제2 상태로 설정하지 않는, 전자기기.
  22.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대해 행해진 터치 조작을 검출하는 터치 검출부와, 전자기기의 자세를 검출하는 자세검출부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전자기기가 제1 상태로 설정되어 있고, 상기 검출된 자세가 제1 자세로부터, 상기 제1 자세와 다른 제2 자세로 변화되는 경우에는, 상기 전자기기를 제2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자세가 상기 제2 자세로부터 상기 제1 자세로 변화되는 경우에는 상기 전자기기를 상기 제1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전자기기가 제1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에, 화상 및 상기 화상에 관한 유저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조작 인터페이스를 통해 행해진 상기 터치 조작에 근거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기기가 제2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조작 인터페이스를 표시하지 않고 상기 표시부의 전체 표시 영역에 걸쳐 화상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부에 대해 상기 터치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도 상기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23.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대해 행해진 터치 조작을 검출하는 터치 검출부와, 전자기기의 자세를 검출하는 자세검출부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기억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전자기기가 제1 상태로 설정되어 있고, 상기 검출된 자세가 제1 자세로부터, 상기 제1 자세와 다른 제2 자세로 변화되는 경우에는, 상기 전자기기를 제2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자세가 상기 제2 자세로부터 상기 제1 자세로 변화되는 경우에는 상기 전자기기를 상기 제1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전자기기가 제1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에, 화상 및 상기 화상에 관한 유저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조작 인터페이스를 통해 행해진 상기 터치 조작에 근거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기기가 제2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조작 인터페이스를 표시하지 않고 상기 표시부의 전체 표시 영역에 걸쳐 화상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부에 대해 상기 터치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도 상기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억매체.
  24. 표시부가 장착된 전자기기로서,
    상기 표시부에 대해 행해진 터치 조작을 검출하는 터치 검출부;
    상기 표시부가 제1 사이즈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상태와, 상기 표시부가 상기 제1 사이즈보다도 큰 제2 사이즈로 화상을 표시하는 풀 스크린 표시 상태를 바꾸는 전환부; 및
    상기 제1 사이즈로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에, 화상 및 상기 화상에 관한 유저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화상의 표시영역에 대해 상기 조작 인터페이스를 통해 행해진 상기 터치 조작에 근거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제2 사이즈로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작 인터페이스를 표시하지 않고 상기 표시부의 전체 표시 영역에 걸쳐 화상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화상의 표시영역에 대해 상기 터치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도 상기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전자기기.
  25. 표시부가 장착된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표시부에 대해 행해진 터치 조작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표시부가 제1 사이즈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상태와, 상기 표시부가 상기 제1 사이즈보다도 큰 제2 사이즈로 화상을 표시하는 풀 스크린 표시 상태를 바꾸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이즈로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에, 화상 및 상기 화상에 관한 유저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화상의 표시영역에 대해 상기 조작 인터페이스를 통해 행해진 상기 터치 조작에 근거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이즈로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작 인터페이스를 표시하지 않고 상기 표시부의 전체 표시 영역에 걸쳐 화상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화상의 표시영역에 대해 상기 터치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도 상기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26. 표시부가 장착된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기억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표시부에 대해 행해진 터치 조작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표시부가 제1 사이즈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상태와, 상기 표시부가 상기 제1 사이즈보다도 큰 제2 사이즈로 화상을 표시하는 풀 스크린 표시 상태를 바꾸는 단계;
    상기 제1 사이즈로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에, 화상 및 상기 화상에 관한 유저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화상의 표시영역에 대해 상기 조작 인터페이스를 통해 행해진 상기 터치 조작에 근거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이즈로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작 인터페이스를 표시하지 않고 상기 표시부의 전체 표시 영역에 걸쳐 화상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화상의 표시영역에 대해 상기 터치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도 상기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억매체.
KR1020160173329A 2015-12-22 2016-12-19 전자기기,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KR1021289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50331 2015-12-22
JP2015250331A JP6700775B2 (ja) 2015-12-22 2015-12-22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4782A KR20170074782A (ko) 2017-06-30
KR102128919B1 true KR102128919B1 (ko) 2020-07-01

Family

ID=59066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3329A KR102128919B1 (ko) 2015-12-22 2016-12-19 전자기기,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257411B2 (ko)
JP (1) JP6700775B2 (ko)
KR (1) KR102128919B1 (ko)
CN (1) CN10691183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26242B2 (en) * 2014-12-26 2018-07-17 Komatsu Ltd. Status information display device for wheeled work vehicle, maintenance-screen display method for wheeled work vehicle, and maintenance-screen display program for wheeled work vehicle
JP6700775B2 (ja) * 2015-12-22 2020-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CN110896495A (zh) * 2019-11-19 2020-03-20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用于目标设备的视图调整方法、装置、电子设备和介质
JP2022172840A (ja) * 2021-05-07 2022-11-17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WO2024101704A1 (ko) * 2022-11-09 2024-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입력을 식별하는 웨어러블 장치,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18588A (ja) * 2010-11-29 2012-06-21 Canon Inc 電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2253716A (ja) * 2011-06-07 2012-12-20 Nec Saitama Ltd 携帯端末、携帯端末の操作方法、携帯端末の操作プログラム、動画再生システム
JP2013182381A (ja) * 2012-03-01 2013-09-12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端末装置、端末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4131200A (ja) * 2012-12-28 2014-07-10 Canon Marketing Japan Inc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97310B2 (ja) * 2004-04-28 2008-12-17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電話機
JP4411193B2 (ja) * 2004-12-09 2010-02-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付き撮像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KR101370351B1 (ko) * 2006-11-20 2014-03-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컴퓨터 및 그 전원제어방법
CN102118488B (zh) * 2009-12-30 2014-03-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南京分公司 一种应用重力感应功能的方法及其移动终端
US9558651B2 (en) * 2010-11-12 2017-01-31 Lenovo (Singapore) Pte. Ltd. Convertible wireless remote controls
US8717381B2 (en) * 2011-01-11 2014-05-06 Apple Inc. Gesture mapping for image filter input parameters
US9348455B2 (en) * 2011-02-21 2016-05-24 Nec Corporation Display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1677639B1 (ko) * 2011-05-06 2016-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JP6101432B2 (ja) * 2012-04-23 2017-03-22 ローム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
KR101870775B1 (ko) * 2012-02-08 2018-06-26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에서 애니메이션 재생 방법 및 장치
US9158383B2 (en) * 2012-03-02 2015-10-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orce concentrator
JP5972629B2 (ja) * 2012-03-27 2016-08-17 京セラ株式会社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3105999A (zh) * 2013-01-17 2013-05-15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视频窗口调整的方法及移动智能终端
CN103257777B (zh) * 2013-05-14 2016-06-01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触摸屏状态的控制方法及触摸屏、便携式触摸终端
US11334113B2 (en) * 2013-05-20 2022-05-17 Lenovo (Singapore) Pte. Ltd. Disabling touch input to information handling device
KR102153006B1 (ko) * 2013-05-27 2020-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4238928B (zh) * 2013-06-14 2018-02-27 阿尔卡特朗讯 一种用于对触摸屏设备的屏幕进行锁定操作的方法与设备
CN103336655B (zh) * 2013-06-21 2016-08-1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控制手机横竖屏切换的方法
JP2015038695A (ja) * 2013-08-19 2015-02-2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9544649B2 (en) * 2013-12-03 2017-01-10 Aniya's Production Company Device and method for capturing video
JP6231869B2 (ja) * 2013-12-12 2017-11-1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通信機器およびそれら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CN103677589A (zh) * 2013-12-30 2014-03-2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终端屏幕画面的旋转控制方法及装置
FR3021485A1 (fr) * 2014-05-26 2015-11-27 Lg Electronics Inc Dispositif mobile et methode de controle associee
CN104363505B (zh) * 2014-11-17 2017-05-31 天脉聚源(北京)传媒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播放界面的方法及装置
KR102332015B1 (ko) * 2015-02-26 2021-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04902078B (zh) * 2015-04-29 2018-08-17 深圳市万普拉斯科技有限公司 移动终端中屏幕旋转的控制方法和系统及移动终端
CN105094428A (zh) * 2015-07-20 2015-11-25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智能终端及其防误操作的处理方法
CN105159640B (zh) * 2015-08-28 2020-06-1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显示界面旋转方法、装置和移动终端
KR20170037466A (ko) * 2015-09-25 2017-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JP6700708B2 (ja) * 2015-10-09 2020-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6700775B2 (ja) * 2015-12-22 2020-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6765956B2 (ja) * 2016-12-27 2020-10-0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18588A (ja) * 2010-11-29 2012-06-21 Canon Inc 電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2253716A (ja) * 2011-06-07 2012-12-20 Nec Saitama Ltd 携帯端末、携帯端末の操作方法、携帯端末の操作プログラム、動画再生システム
JP2013182381A (ja) * 2012-03-01 2013-09-12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端末装置、端末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4131200A (ja) * 2012-12-28 2014-07-10 Canon Marketing Japan Inc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911839A (zh) 2017-06-30
KR20170074782A (ko) 2017-06-30
US20170180634A1 (en) 2017-06-22
US10257411B2 (en) 2019-04-09
JP2017117108A (ja) 2017-06-29
JP6700775B2 (ja) 2020-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8919B1 (ko) 전자기기,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US10165189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266674B1 (ko) 촬영 방법 및 단말
KR102010955B1 (ko) 프리뷰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 단말
KR102227087B1 (ko) 글래스 타입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10222903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6488090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CN112653838B (zh) 显示控制设备及其控制方法和存储介质
US20140362257A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camera modes and associated methods
US9538086B2 (en) Method of performing previewing and electronic device for implementing the same
US11076121B2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for video presentation
US10120496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20194103A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US11169684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es, control methods therefor,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20150100919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display control apparatus
US20230254555A1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JP7419051B2 (ja)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20230276015A1 (en) Electronic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US20230345121A1 (en) Image pickup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22137023A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2024037370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21068155A (ja)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2021099643A (ja)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6167171A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