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8462B1 - 산업용 공기조화기용 케이싱 - Google Patents

산업용 공기조화기용 케이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8462B1
KR102128462B1 KR1020180051668A KR20180051668A KR102128462B1 KR 102128462 B1 KR102128462 B1 KR 102128462B1 KR 1020180051668 A KR1020180051668 A KR 1020180051668A KR 20180051668 A KR20180051668 A KR 20180051668A KR 102128462 B1 KR102128462 B1 KR 102128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frame
casing
outer fram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1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7262A (ko
Inventor
박승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참에스엠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참에스엠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참에스엠피
Priority to KR1020180051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8462B1/ko
Publication of KR20190127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7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56Casing or covers of separate outdoor units, e.g. fan gu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용 공기조화기용 케이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산업용 공조기인 외조기의 외형을 구성하는 구조물에 대하여, 밀폐성과 단열성을 충분히 확보함은 물론, 진동이나 외력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해당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벽체를 제작함에 있어, 끼움방식으로 연결되도록 결합되는 단위유닛 형태의 가이드패널을 이용하여 제작함으로써, 제작성 및 시공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벽체를 내측프레임과 외측프레임의 이중구조를 적용하여 응력을 향상시킴으로써, 변형이나 휨 등에 의한 손상 등을 방지함하고 밀폐성을 지속적으로 확보함은 물론, 단열재 및 실링 등을 이용하여 내측프레임과 외측프레임 간의 열교환을 차단함으로써, 단열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공조기 분야 특히 산업용 외조기 분야 및 외조기용 구조물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산업용 공기조화기용 케이싱{Casing for industrial air conditions}
본 발명은 산업용 공기조화기용 케이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산업용 공조기인 외조기의 외형을 구성하는 구조물인 케이싱(하우징)에 대하여, 밀폐성과 단열성을 충분히 확보함은 물론, 진동이나 외력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해당 케이싱을 설치하기 위한 케이싱 및 케이싱을 이루는 벽체를 제작함에 있어, 끼움방식으로 연결되도록 결합되는 단위유닛 형태의 가이드패널을 이용하여 제작함으로써, 제작성 및 시공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한 산업용 공기조화기용 케이싱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공조기)의 일종인 외기조화기(외조기)는, 실내공기의 습도가 매우 높거나 분진, 오염가스, 냄새 등으로 오염되어 재순환시키는 것이 부적합한 경우에 사용되는 설비로, 오염된 실내공기를 모두 외부로 배출시키고 따로 정화된 공기를 전량 공급하게 된다.
외조기는 주로 냄새나 분진, 습기 등에 민감한 주방이나 식당, 전산실, 수영장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반도체 등의 생산시설이나 특수실험실, 기타 크린룸 및 항온항습시설 등에서는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외조기는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09611호 '저온 배열을 이용한 에너지 절약형 외기공조장치'(이하 '선행기술'이라 한다)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내부공기를 일정한 상태로 제어하는 대상시설물(예를 들어, 클린룸)과는 별도로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선행기술과 같은 산업용 외조기(공조기)는 각각의 구성들이 별도의 공간에 구획되어 설치되는데, 열교환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구성별로 구획된 공간에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으며, 각 공간들은 밀폐성이 충분히 확보되어야 한다.
특히, 산업용 외조기는 대용량으로 운용되기 때문에, 각 구성들의 크기와 무게가 상당하므로, 외형을 이루는 구조물의 구조적 강도 및 안정성에 대한 부분도 충분히 확보해야만 한다.
그러나, 선행기술을 포함하여 외조기와 관련된 기술들은, 외조기의 운용이나 열교환효율 등에 관한 기술이 대부분이며, 외조기를 이루는 구조물(예를 들어, 벽체나 천장구조물 등)에 대해서는 특별히 알려진 기술이 없었기 때문에, 앞서 설명한 요구들을 고려하거나 만족할만한 기술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09611호 '저온 배열을 이용한 에너지 절약형 외기공조장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산업용 공조기인 외조기의 외형을 구성하는 구조물인 케이싱(하우징)에 대하여, 밀폐성과 단열성을 충분히 확보함은 물론, 진동이나 외력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산업용 공기조화기용 케이싱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해당 케이싱 및 케이싱을 이루는 벽체를 제작함에 있어, 끼움방식으로 연결되도록 결합되는 단위유닛 형태의 가이드패널을 이용하여 제작함으로써, 제작성 및 시공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산업용 공기조화기용 케이싱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벽체를 내측프레임과 외측프레임의 이중구조를 적용하여 응력을 향상시킴으로써, 변형이나 휨 등에 의한 손상 등을 방지함하고 밀폐성을 지속적으로 확보함은 물론, 단열재 및 실링 등을 이용하여 내측프레임과 외측프레임 간의 열교환을 차단함으로써, 단열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산업용 공기조화기용 케이싱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공기조화기용 케이싱은, 외측단열재가 구성되며, 연속적으로 이어져 연결되는 다수 개의 가이드패널을 포함하는 외측프레임; 내측단열재가 구성되며, 상기 외측프레임의 내측면에 구성되는 격자형의 내측프레임; 및 상기 내측프레임의 내측면을 덮도록 구성된 마감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외측프레임은, 내부에 상기 외측단열재가 구성되며, 어느 하나의 일측면이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다른 일측면과 끼움결합되면서 폭방향으로 이어져 결합되는 다수 개의 가이드패널; 및 상기 가이드패널이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끼워지며, 상기 가이드패널의 길이방향 양측단을 지지하는 적어도 두 개의 가이드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프레임은, 폭방향으로 이어져 결합되는 다수 개의 상기 가이드패널 중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가이드패널의 측면에 결합되는 마감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패널은, 상하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는 판형의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폭방향 일측 가장자리를 내측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제1 절곡부;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폭방향 다른 일측 가장자리를 내측으로 절곡하여 상기 제1 절곡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2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패널은, 상기 제1 절곡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 끼움부; 및 상기 제2 절곡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끼움부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제2 끼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패널은, 상기 제1 절곡부의 종단부에서 일측방향으로 절곡된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절곡부의 종단부에서 일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연장부에 밀착되도록 형성된 제2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프레임은, 상기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에 비하여 큰 폭으로 형성되어, 다수 개의 상기 가이드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패널에 형성된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프레임은, 다수 개의 상기 가이드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패널에 형성된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 그리고 상기 지지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되는 실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수 개의 상기 가이드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패널에 형성된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 그리고 상기 지지플레이트 및 실링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외측프레임과 내측프레임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프레임은, 다수 개의 가로프레임 및 세로프레임이 격자형태를 구성하고, 상기 가로프레임 및 세로프레임에 의해 형성된 공간부에 상기 내측단열재가 단순끼움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산업용 공조기인 외조기의 외형을 구성하는 구조물인 케이싱(하우징)에 대하여, 밀폐성과 단열성을 충분히 확보함은 물론, 진동이나 외력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해당 케이싱 및 케이싱을 이루는 벽체를 제작함에 있어, 끼움방식으로 연결되도록 결합되는 단위유닛 형태의 가이드패널을 이용하여 제작함으로써, 정밀도가 높은 케이싱의 제작이 가능하고 시공의 효율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대상 설비(외조기)를 쉽고 효율적으로 시공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장기간 운용하더라도 안정적인 성능을 지속적으로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싱 및 케이싱을 이루는 벽체를 내측프레임과 외측프레임의 이중구조를 적용하여 응력을 향상시킴으로써, 변형이나 휨 등에 의한 손상 등을 방지함하고 밀폐성을 지속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대상 설비(외조기)를 장기간 운용하더라도, 성능의 저하를 최소화하여 안정적인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이를 통해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싱 및 케이싱을 이루는 벽체를 제작함에 있어, 단열재 및 실링 등을 이용하여 내측프레임과 외측프레임 간의 열교환을 차단함으로써, 단열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대상 설비(외조기)의 열효율을 향상시키고, 전체적인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공조기 분야 특히 산업용 외조기 분야 및 외조기용 구조물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산업용 공기조화기용 케이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외측프레임을 설명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난 가이드패널을 설명하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난 내측프레임을 설명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공기조화기용 케이싱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산업용 공기조화기용 케이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산업용 공기조화기용 케이싱은 외측프레임(100), 내측프레임(200) 및 마감플레이트(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1은 케이싱의 일부를 구성하는 벽체(A)를 나타낸 것으로, 해당 구조가 확장되거나 다수 개가 결합되어 하나의 케이싱을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도 1의 구조는 대상 설비인 공조기(외조기)의 벽면에 설치되는 벽체(A)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의 구조가 케이싱 전체를 의미할 수 있으므로, 해당 구조는 케이싱의 천장 등을 구성하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외측프레임(100)은 상부프레임을 의미하고, 내측프레임(200)은 하부프레임을 의미하며, 마감플레이트(300)는 실내측 벽면을 의미할 수 있다.
외측프레임(100)은 연속적으로 이어져 연결되는 다수 개의 가이드패널(100)을 포함하며, 다수 개의 가이드패널(100)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는 외측단열재(130)가 구성된다.
내측프레임(200)은 외측프레임(100)의 내측면에 구성되는 것으로, 외측프레임(100)과는 서로 다른 패턴의 격자형으로 구성되고, 격자 사이사이에는 내측단열재(230)가 구성된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패턴의 프레임을 이중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진동이나 외력에 의한 응력을 크게 향상시켜, 해당 설비의 구조적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마감플레이트(300)는 실내측의 마감재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내측프레임(200)의 내측면을 덮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외측프레임(100), 내측프레임(200) 및 마감플레이트(300)는 각각 용접(Welding), 볼트(Bolt)체결, 스크루(Screw)체결, 피스(Piece)체결 등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당업자의 요구에 의해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나타난 각 구성들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외측프레임을 설명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외측프레임(100)은 가이드패널(110) 및 가이드프레임(121, 122, 123)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패널(110)은 내부에 외측단열재(130)가 구성되며, 어느 하나의 일측면이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다른 일측면과 끼움결합되면서 폭방향으로 이어져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이드패널(110)의 끼움결합구조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가이드프레임(121, 122, 123)은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상부 가이드프레임(121), 하부 가이드프레임(122) 및 연결 가이드프레임(123)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때, 각 가이드프레임(121, 122, 123)은 가이드패널(110)이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끼워질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ㄷ'자형 또는 'H'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패널(110)이 가이드프레임(121, 122, 123)에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게 되면, 가이드패널(110)을 결합하는 과정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프레임(121, 122, 123)을 기준으로 쉽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프레임(121, 122, 123)이 가이드패널(110)의 길이방향 양측단(도 2에서 상부 및 하부의 양단)을 지지하게 되므로, 각각의 가이드패널(110)의 결합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다수의 가이드패널(110)을 연결하여 설치하는 과정에서, 비숙련자나 실수 등으로 인해 가이드패널(100)이 어긋나거나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정교한 벽체(A)의 제작이 가능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외측프레임(100)은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마감프레임(1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마감프레임(124)은 폭방향으로 이어져 결합되는 다수 개의 가이드패널(110) 중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도 2에서는 우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가이드패널(100)의 측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에 나타난 가이드패널(11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난 가이드패널을 설명하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이드패널(110)은 상하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는 판형의 베이스플레이트(111)와, 베이스플레이트(111)의 폭방향 일측 가장자리(도 3에서 우측 가장자리)를 내측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제1 절곡부(112) 및 베이스플레이트(111)의 폭방향 다른 일측 가장자리(도 3에서 좌측 가장자리)를 내측으로 절곡하여 제2 절곡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절곡부(113)는 제1 절곡부(112)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이웃하는 어느 하나의 가이드패널(110)에 형성된 제2 절곡부(113)가 다른 하나의 가이드패널(110)에 형성된 제1 절곡부(112)에 밀착되도록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가이드패널(110)은 도 3의 확대부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절곡부(112)에 길이방향(상하방향)으로 제1 끼움부(114)를 형성하고, 제2 절곡부(113)에 길이방향으로 제2 끼움부(115)를 형성하여,
이웃하는 어느 하나의 가이드패널(110)에 형성된 제2 끼움부(115)가 다른 하나의 가이드패널(110)에 형성된 제1 끼움부(114)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이웃하는 두 가이드패널(110)이 정확한 위치에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패널(110)이 구성되는 외측프레임(100)이 외부환경에 노출된 상태이므로, 제1 절곡부(112)와 제2 절곡부(113)의 밀착면을 통해 이물질이나 오수 등이 유입될 수 있는 바, 제1 끼움부(114) 및 제2 끼움부(115)를 형성하게 되면, 이물질이나 오수 등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동일 내지 유사한 이유로, 본 발명의 가이드패널(110)은 제1 절곡부(112)의 종단부에서 일측방향(도 3에서 우측방향)으로 제1 연장부(116)를 절곡형성할 수 있고, 제2 절곡부(113)의 종단부에서 일측방향(도 3에서 우측방향)으로 제2 연장부(117)를 절곡형성할 수 있다.
특히, 제1 연장부(116) 및 제2 연장부(117)가 밀착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이물질이나 오수 등이 유입되는 것을 보다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장부(116) 및 제2 연장부(117)에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외측단열재(130)가 억지끼움방식으로 끼워지므로, 제1 연장부(116) 및 제2 연장부(117)는 외측단열재(130)가 분리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외측프레임(100)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플레이트(1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118)는 제1 연장부(116) 및 제2 연장부(117)에 비하여 큰 폭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되어, 다수 개의 가이드패널(110) 중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패널에 형성된 제1 연장부(116) 및 제2 연장부(117)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플레이트(118)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 연장부(117)에 의해 지지되는 외측단열재(130)의 다른 일측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지지플레이트(118)는 가이드프레임(121, 122, 123)과 제1 연장부(116) 및 제2 연장부(117) 간의 단차를 메우도록 결합됨으로써, 밀폐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지지플레이트(118)를 통해 외측프레임(100)의 내측면 가장자리가 일정한 레벨이 되도록 함으로써,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내측프레임(200)과 결합되는 과정에서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지지플레이트(118)는 외측단열재(130)의 이탈방지와 더불어, 외측프레임(100)과 내측프레임(200)이 충분히 밀폐되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외측프레임(100)은 다수 개의 가이드패널(110) 중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패널(110)에 형성된 제1 연장부(116) 및 제2 연장부(117), 그리고 지지플레이트(118)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되는 실링(11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측프레임(100)과 내측프레임(200) 및 마감플레이트(300)가 금속재로 형성된 경우, 외기의 열에너지가 외측프레임(100)의 가이드패널(110) 및 지지플레이트(118)를 통해 내측프레임(200)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이후 마감플레이트(300)를 통해 실내에 영향을 미치게 될 수 있다.
이에,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링(119)을 구성하게 되면, 실내측과 실외측의 열교환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해당 설비인 외조기가 운용되는 과정에서 외기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도 5의 하부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벽체(A)는, 다수 개의 가이드패널(110) 중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패널(110)에 형성된 제1 연장부(116) 및 제2 연장부(117), 그리고 지지플레이트(118) 및 실링(119)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외측프레임(100)과 내측프레임(200) 사이에 공기층(101)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이러한 공기층(101)을 통해 실내측과 실외측의 열교환을 보다 효율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단열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난 내측프레임을 설명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내측프레임(200)은 다수 개의 가로프레임(210) 및 세로프레임(220)에 의해 격자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내측프레임(200)은 가로프레임(210) 및 세로프레임(220)에 의해 형성된 공간부(201)에 내측단열재(230)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내측단열재(230)의 경우, 외측방향으로는 외측프레임(1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내측방향으로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마감플레이트(3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므로, 외측단열재(130)와 같이 복잡한 형태가 아니라, 단순끼움방식으로 설치함으로써, 내측단열재(230)의 구성 및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작성 및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과 같은 외측프레임(100)과 내측프레임(200)의 구조는, 전체적인 구조적 안정성은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그 구조를 최대한 단순화함으로써, 공조기(외조기)의 제작성 및 시공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으며, 더불어 단열성 및 밀폐성 또한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산업용 공기조화기용 케이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A : 벽체
100 : 외측프레임 101 : 공기층
110 : 가이드패널 111 : 베이스플레이트
112 : 제1 절곡부 113 : 제2 절곡부
114 : 제1 끼움부 115 : 제2 끼움부
116 : 제1 연장부 117 : 제2 연장부
118 : 지지플레이트 119 : 실링(Sealing)
121 : 상부 가이드프레임 122 : 하부 가이드프레임
123 : 연결 가이드프레임 124 : 마감프레임
130 : 외측단열재
200 : 내측프레임 201 : 공간부
210 : 가로프레임 220 : 세로프레임
230 : 내측단열재
300 : 마감플레이트

Claims (10)

  1. 외측단열재가 구성되며, 연속적으로 이어져 연결되는 다수 개의 가이드패널을 포함하는 외측프레임;
    내측단열재가 구성되며, 상기 외측프레임의 내측면에 구성되는 격자형의 내측프레임; 및
    상기 내측프레임의 내측면을 덮도록 구성된 마감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패널은,
    상하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는 판형의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폭방향 일측 가장자리를 내측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제1 절곡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폭방향 다른 일측 가장자리를 내측으로 절곡하여 상기 제1 절곡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2 절곡부;
    상기 제1 절곡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 끼움부; 및
    상기 제2 절곡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끼움부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제2 끼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공기조화기용 케이싱.
  2. 외측단열재가 구성되며, 연속적으로 이어져 연결되는 다수 개의 가이드패널을 포함하는 외측프레임;
    내측단열재가 구성되며, 상기 외측프레임의 내측면에 구성되는 격자형의 내측프레임; 및
    상기 내측프레임의 내측면을 덮도록 구성된 마감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패널은,
    상하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는 판형의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폭방향 일측 가장자리를 내측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제1 절곡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폭방향 다른 일측 가장자리를 내측으로 절곡하여 상기 제1 절곡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2 절곡부;
    상기 제1 절곡부의 종단부에서 일측방향으로 절곡된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절곡부의 종단부에서 일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연장부에 밀착되도록 형성된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공기조화기용 케이싱.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프레임은,
    상기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에 비하여 큰 폭으로 형성되어, 다수 개의 상기 가이드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패널에 형성된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공기조화기용 케이싱.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프레임은,
    다수 개의 상기 가이드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패널에 형성된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 그리고 상기 지지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되는 실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공기조화기용 케이싱.
  5. 제 4항에 있어서,
    다수 개의 상기 가이드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패널에 형성된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 그리고 상기 지지플레이트 및 실링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외측프레임과 내측프레임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공기조화기용 케이싱.
  6. 제 1항 및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프레임은,
    내부에 상기 외측단열재가 구성되며, 어느 하나의 일측면이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다른 일측면과 끼움결합되면서 폭방향으로 이어져 결합되는 다수 개의 가이드패널; 및
    상기 가이드패널이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끼워지며, 상기 가이드패널의 길이방향 양측단을 지지하는 적어도 두 개의 가이드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공기조화기용 케이싱.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프레임은,
    폭방향으로 이어져 결합되는 다수 개의 상기 가이드패널 중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가이드패널의 측면에 결합되는 마감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공기조화기용 케이싱.
  8. 제 1항 및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프레임은,
    다수 개의 가로프레임 및 세로프레임이 격자형태를 구성하고, 상기 가로프레임 및 세로프레임에 의해 형성된 공간부에 상기 내측단열재가 단순끼움방식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공기조화기용 케이싱.
  9. 삭제
  10. 삭제
KR1020180051668A 2018-05-04 2018-05-04 산업용 공기조화기용 케이싱 KR102128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668A KR102128462B1 (ko) 2018-05-04 2018-05-04 산업용 공기조화기용 케이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668A KR102128462B1 (ko) 2018-05-04 2018-05-04 산업용 공기조화기용 케이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262A KR20190127262A (ko) 2019-11-13
KR102128462B1 true KR102128462B1 (ko) 2020-06-30

Family

ID=68535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1668A KR102128462B1 (ko) 2018-05-04 2018-05-04 산업용 공기조화기용 케이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84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4457B1 (ko) 2020-06-19 2022-04-08 김경화 공기조화기용 판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097B1 (ko) * 2013-04-26 2013-08-08 주식회사 세원기연 복층 패널 구조를 갖는 에너지 절감형 공기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9611B1 (ko) 2010-09-01 2012-12-0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저온 배열을 이용한 에너지 절약형 외기공조장치
KR102233043B1 (ko) * 2013-10-23 2021-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 핸들링 유닛 및 그 조립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097B1 (ko) * 2013-04-26 2013-08-08 주식회사 세원기연 복층 패널 구조를 갖는 에너지 절감형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262A (ko) 2019-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0193B1 (ko) 리모델링이 용이한 커튼월 시스템
KR101016315B1 (ko) 단열창호
KR102128462B1 (ko) 산업용 공기조화기용 케이싱
JP4918902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4628308B2 (ja) 建造物の外壁及びカーテンウォール
JP2018119738A (ja) 天井埋込ダクト型空気調和機
CN216948976U (zh) 太阳能异形幕墙结构
KR100983030B1 (ko) 코너 벽 패널 조립체
KR100953201B1 (ko) 결로방지용 공기조화기 케이스
KR200482922Y1 (ko) 빗물 유입을 차단시키는 구조를 갖는 커튼 월 복층패널 장착용 프레임
KR102108734B1 (ko) 단열바를 사용한 유리창 벽면의 조립구조
JP2009085467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2009198049A (ja) 空気調和機
KR20160129349A (ko) 건축물의 오픈 조인트 커튼월 외장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JP2003268905A (ja) 建物間仕切り壁
JP7192006B2 (ja) 開口部建材
JP2008063766A (ja) 組立ブース
JP2016017352A (ja) 建物ユニット及び建物
JP2018150748A (ja) 開口部建材
KR102564498B1 (ko) 건축구조물용 함체 프레임의 제조방법
JP2022101714A (ja) 空気調和機の天井構造
JPH067820U (ja) フィルタ構造
JP7176851B2 (ja) 建物の壁構造
JP6321396B2 (ja) 外壁フレーム、外壁パネル及び建物ユニット
KR102593016B1 (ko) 창호형 환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