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8118B1 - 디바이스 전력 상태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컨트롤러 - Google Patents

디바이스 전력 상태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컨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8118B1
KR102128118B1 KR1020130017630A KR20130017630A KR102128118B1 KR 102128118 B1 KR102128118 B1 KR 102128118B1 KR 1020130017630 A KR1020130017630 A KR 1020130017630A KR 20130017630 A KR20130017630 A KR 20130017630A KR 102128118 B1 KR102128118 B1 KR 102128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ices
mode
power mode
power state
low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7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5682A (ko
Inventor
딕 반 데 포엘
Original Assignee
인터디지탈 매디슨 페이튼트 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디지탈 매디슨 페이튼트 홀딩스 filed Critical 인터디지탈 매디슨 페이튼트 홀딩스
Publication of KR20130095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5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4/00Circuit arrangements for mains or distribution networks not specified as ac or d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66Regulating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6Power management, e.g. shutting down unused components of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Source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2개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40)에 연결되는 디바이스(30)의 전력 상태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컨트롤러(32)가 설명된다. 또한, 전력 상태 제어를 구성하기 위한 방법 및 컨트롤러(32)가 설명된다. 2개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40) 사이의 관련된 디바이스들의 전력 상태들이 감시된다(10). 2개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40) 사이의 모든 관련된 디바이스들이 저전력 모드에 있는 경우에, 디바이스(30)는 저전력 모드로 스위칭된다(12). 대안으로, 2개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40) 사이의 모든 관련된 디바이스들이 저전력 모드에 있는 경우에, 디바이스(30)는 정상 전력 모드로 스위칭된다(15). 다른 디바이스들(40)이 관련된 디바이스들인지는 구성 절차에서 판단된다.

Description

디바이스 전력 상태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컨트롤러{METHOD AND CONTROLLER FOR DEVICE POWER STATE CONTROL}
본 발명은 디바이스 전력 상태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디바이스를 저전력 모드로 설정할 때 제어하는 방법 및 컨트롤러가 설명된다.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기 위해, 항상 증가하는 수의 디바이스들은 저전력 모드들 또는 대기 상태들을 지원한다. 저전력 모드로부터 어웨이크(awake)되는 디바이스에 대한 기존 메커니즘들, 예를 들어 소위 "웨이크 온 랜(wake on lan)", UPnP 저전력, 디바이스와의 사용자 상호작용 등이 존재할지라도, 디바이스를 저전력 모드로 설정할 때를 위한 로직은 표준화된 방식으로 아직 정의되어 있지 않다.
현재의 구현들에서, 디바이스들은 예를 들어 활동 검출에 기초하여 저전력 모드로 진행될 때를 자동으로 결정하거나, 최종 사용자가 타임 스케줄들에 기초하여 저전력 모드로 진행될 때를 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불행하게도, 저전력 상태로 진행될 때의 자동 검출은 예측불가능한 인간 행동 때문에 문제이다. 예를 들어, 시간 영역들에 기초한 저전력 모드의 선험적 스케줄링은 종종 유용할 것이다. 그러나, 홈 네트워크 어플라이언스들의 이용은 엄격한 스케줄을 따르지 않으므로, 스케줄링은 반드시 적절한 선택권은 아닐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바이스 전력 상태 제어에 대해 향상된 해결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이 목적은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의해 달성되고, 디바이스는 2개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에 연결되며, 방법은,
- 2개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 중에서 관련된 디바이스들의 전력 상태들을 감시하는 단계; 및
- 2개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 중에서 모든 관련된 디바이스들이 저전력 모드에 있는 경우에, 디바이스를 저전력 모드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 - 디바이스는 2개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에 연결됨 - 는,
- 2개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 중에서 관련된 디바이스들의 전력 상태들을 감시하는 단계; 및
- 2개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 중에서 모든 관련된 디바이스들이 저전력 모드에 있는 경우에, 디바이스를 저전력 모드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실제로 연결된 디바이스들 중에서 종속 관계들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TV에서 IPTV를 보기 위해, 셋톱 박스는 파워 온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하면, TV는 셋톱 박스를 위한 관련된 디바이스이고, 그 역도 또한 같다. 단지 TV가 셋톱 박스에 의존할 때, TV가 저전력 모드에 있거나 파워 오프될 때마다 셋톱 박스는 저전력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셋톱 박스가 TV의 유일하게 관련된 디바이스일 때, TV는 셋톱 박스가 저전력 모드에 있거나 파워 오프될 때마다 저전력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관련된 디바이스들에 대한 필요한 정보는 메모리로부터 검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련된 디바이스들의 전력 상태들을 감시하기 위해 수개의 해결법들, 예를 들어 감시 프로토콜 메시지들 또는 핸드쉐이크들 및 능동적 프로빙(probing)이 이용가능하다.
상기 구성은 병렬 전력 구성으로서 최상으로 설명된다. 이 구성에서, 디바이스는 임의의 관련된 디바이스들이 정상 전력 모드에 있기만 하면 정상 전력 모드에 남고, 모든 관련된 디바이스들이 저전력 모드에 있을 때 저전력 모드로 스위칭된다.
유리하게, 디바이스가 저전력 모드에 있을 때, 그것은 2개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 중에서 관련된 디바이스가 정상 전력 모드에 진입하는지를 영구적으로 또는 반복적으로 감시한다. 이것이 발생하면, 디바이스는 또한 정상 전력 모드로 스위칭된다. 이것은 임의의 관련된 디바이스들이 스위치 온될 때 디바이스가 다시 자동으로 스위치 온되는 것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에 따르면, 이 목적은 또한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의해 달성되고, 디바이스는 2개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에 연결되며, 방법은,
- 2개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 중에서 관련된 디바이스들의 전력 상태들을 감시하는 단계; 및
- 2개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 중에서 모든 관련된 디바이스들이 저전력 모드에 있는 경우에, 디바이스를 정상 전력 모드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 - 디바이스는 2개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에 연겸됨 - 는,
- 2개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 중에서 관련된 디바이스들의 전력 상태들을 감시하는 단계; 및
- 2개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 중에서 모든 관련된 디바이스들이 저전력 모드에 있는 경우에, 디바이스를 정상 전력 모드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 추가 구성은 반대 전력 구성으로서 설명될 수 있다. 이 구성에서, 디바이스는 임의의 관련된 디바이스들이 정상 전력 모드에 있기만 하면 저전력 모드에 남고, 모든 관련된 디바이스들이 저전력 모드에 있을 때 정상 전력 모드로 스위칭된다. 예를 들어, 통상 TV 수신 또는 네트워크 라디오를 위한 TV 및 셋톱 박스가 파워 온되면, 네트워크 라디오는 TV 및 셋톱 박스가 파워 오프된 것을 검출할 때 정상 전력 모드로 들어갈 것이다. 디바이스가 단일 관련된 디바이스만을 가지면, 구성은 상호 배타적 전력 구성으로서 설명될 수도 있으며, 즉 디바이스는 관련된 디바이스가 저전력 모드에 진입할 때 정상 전력 모드로 진행되고, 그 역도 또한 같다.
유리하게, 디바이스가 정상 전력 모드에 있을 때, 그것은 2개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 중에서 관련된 디바이스가 정상 전력 모드에 진입하는지를 영구적으로 또는 반복적으로 감시한다. 대안으로 또는 게다가,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파워 온 및 오프하는 디바이스들의 UPnP SSDP(UPnP: Universal Plug and Play; SSDP: Simple Service Discovery Protocol) 광고들에 의해 정상 전력 모드에 진입하는 다른 디바이스들에 대하여 통지받을 수 있다. 이것이 발생하면, 디바이스는 저전력 모드로 스위칭된다. 이것은 임의의 관련된 디바이스들이 스위치 온될 때 디바이스가 다시 자동으로 스위치 오프되는 것을 보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예로 돌아가면, 네트워크 라디오는 TV 또는 셋톱 박스가 파워 온 될 때 다시 정상 전력 모드에 진입할 것이다.
최종 사용자들이 설치 또는 (재)구성 동안 다른 디바이스 전력 상태들에 관한 디바이스 전력 상태의 종속을 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 제어를 구성하기 위한 방법 -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에 연결됨 - 은,
- 전력 상태 구성 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
- 하나 이상의 연결된 다른 디바이스들이 정상 전력 모드에 있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 전력 상태 구성 모드를 종료하는 단계; 및
- 정상 전력 모드에 있는 것으로서 검출된 상기 디바이스들을 관련된 디바이스들로서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 제어를 구성하기 위한 컨트롤러 -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에 연결됨 - 는,
- 전력 상태 구성 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
- 하나 이상의 연결된 다른 디바이스들 중 어느 것이 정상 전력 모드에 있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 전력 상태 구성 모드를 종료하는 단계; 및
- 정상 전력 모드에 있는 것으로서 검출된 상기 디바이스들을 관련된 디바이스들로서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전력 상태 제어를 구성하기 위해, 최종 사용자는 파워 오프 및 온 사이클에 따라 필요하다면, 이 디바이스 전력 상태가 의존하는 임의의 디바이스들을 파워 온하도록 요청받는다. 이것은 실제로 이 디바이스가 서비스들을 다른 디바이스들에게 제공하고 어떤 고객도, 즉 어떤 관련된 디바이스들도 존재하지 않기만 하면 기능할 필요가 없는 것을 의미한다. 디바이스들이 전력 상태 구성 모드 동안 나타나는 것으로 검출되면, 구성된 디바이스는 발견된 모든 디바이스들이 파워 오프되거나 저전력 모드에 있을 때 저전력 모드로 진행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구성 방법은 병렬 전력 구성을 위해 수행된다.
물론, 디바이스를 저전력 모드로 가져오는 모든 디바이스들을 스위치 온하도록 사용자가 요청받는 방식으로 구성 방법을 수정하는 것이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이 경우에, 디바이스들이 전력 상태 구성 모드 동안 나타나는 것으로 검출되면, 구성된 디바이스는 발견된 임의의 디바이스가 파워 온되거나 정상 전력 모드에 있을 때 저전력 모드로 진행될 것이다. 따라서, 이 구성 방법은 반대 전력 구성을 위해 수행된다.
대안으로,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 제어를 구성하기 위한 방법 -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에 연결됨 - 은,
- 전력 상태 구성 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
- 하나 이상의 연결된 다른 디바이스들 중 어느 것이 저전력 모드에 있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 전력 상태 구성 모드를 종료하는 단계; 및
- 저전력 모드에 있는 것으로서 검출된 상기 디바이스들을 관련된 디바이스들로서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 제어를 구성하기 위한 컨트롤러 -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에 연결됨 - 는,
- 전력 상태 구성 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
- 하나 이상의 연결된 다른 디바이스들 중 어느 것이 저전력 모드에 있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 전력 상태 구성 모드를 종료하는 단계; 및
- 저전력 모드에 있는 것으로서 검출된 상기 디바이스들을 관련된 디바이스들로서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반대 전력 구성을 구성하기 위해, 디바이스를 저전력 모드로 가져오는 상기 디바이스들을 스위치 오프하도록 사용자에게 요청하는 것이 더 적절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력 상태 구성 모드 동안 스위치 오프되거나 저전력 모드로 설정되는 디바이스들이 검출되면, 구성된 디바이스는 발견된 임의의 디바이스가 파워 온되거나 정상 전력 모드에 있을 때 저전력 모드로 진행될 것이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지정된 기간 동안 정상 전력 모드 또는 저전력 모드에 각각 있는 상기 연결된 다른 디바이스들만이 메모리에 저장된다. 이것은 거짓 양성들(false-positives), 즉 전력 상태 구성 모드 동안 우연히 스위치 온 또는 오프되는 디바이스를 회피하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전력 상태 구성 모드는 전력 상태 구성 모드 타임 윈도우의 만료 후에 자동으로 종료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것은 사용자가 전력 상태 구성 모드를 수동으로 종료할 수 있는 것을 제거한다.
전형적으로 한번만 수행되는 것이 요구되는 제안된 구성 방법들은 그 또는 그녀의 선호도들 및 습관들에 기초하여 디바이스 전력 상태들의 종속들을 통해서 제어를 최종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중요한 장점들을 제공한다. 우선, 본 발명은 임의의 다른 기존 저전력 모드 해결법과 조합하여 사용가능하고 디바이스에 대한 상이한 기준들 중 하나만을 구성해서 저전력 모드 또는 정상 전력 모드에 진입하는 것을 결정한다. 게다가, 본 발명은 디바이스들이 그것들을 예상하는 것처럼 작용하게 하고 자동으로 결정될 수 없는 전력 상태 종속들을 생성하게 하는 선택권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한다. 더욱이, 전력 모드 종속의 구성은 디바이스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사용하여 복잡한 및/또는 긴 구성 프로세스들을 겪을 필요없이 매우 기본적인 메커니즘(단지 일부 물리적인 상호작용)만을 필요로 한다. 해결법은 디바이스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존하지 않기 때문에, 그것은 전력 상태 구성 모드의 표시가 활성인 상태에서 전력 상태 의존 모드가 트리거 또는 개시될 수 있으면 임의의 디바이스 또는 기구에 적용될 수 있다.
보다 나은 이해를 위해 본 발명은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의 설명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이 예시적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지정된 특징들은 편의상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조합 및/또는 수정될 수도 있는 것이 이해된다.
도 1은 디바이스 전력 상태 제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2는 디바이스 전력 상태 제어를 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장치를 예시한다.
도 4는 도 1 및 도 2의 방법들을 사용하여 실현되는 예시적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도 5는 반대 전력 모드의 경우에 디바이스 전력 상태 제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1은 디바이스 전력 상태 제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디바이스는 그것이 의존하는 다른 디바이스가 스위치 오프되었거나 저전력 모드로 진행되는지를 영구적으로 또는 반복적으로 체크한다(10). 이러한 경우라면, 오프나 저전력 모드에 있지 않은 남겨진 임의의 관련된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가 판단된다(11). 관련된 디바이스들 모두가 오프되거나 저전력 모드에 있는 것이 검출되면, 디바이스는 또한 저전력 모드에 진입한다(12). 이 저전력 모드에서, 디바이스는 관련된 디바이스들 중 어느 하나가 다시 스위치 온되거나 저전력 모드로부터 어웨이크되는지를 감시한다(13). 이것이 발생하면, 디바이스는 다시 정상 전력 모드로 스위칭된다(14).
본 발명은 실제로 연결된 디바이스들 사이에 종속 관계들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TV에서 IPTV를 보기 위해, 셋톱 박스는 파워 온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하면, TV는 셋톱 박스를 위한 관련된 디바이스이고, 그 역도 또한 같다. 단지 TV가 셋톱 박스에 의존할 때, TV가 저전력 모드에 있거나 파워 오프될 때마다 셋톱 박스는 저전력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셋톱 박스가 TV의 유일한 관련된 디바이스일 때, TV는 셋톱 박스가 저전력 모드에 있거나 파워 오프될 때마다 저전력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상이한 메커니즘들은 다른 디바이스들의 전력 상태들을 검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그러한 메커니즘들의 예들은 파워 온 및 오프하는 디바이스들의 UPnP SSDP(UPnP: Universal Plug and Play; SSDP: Simple Service Discovery Protocol) 광고들; UPnP 저전력(http://upnp.org/specs/lp/lp1/ 참조); DHCP(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메시지들에 기초한 수동적 발견; 디바이스가 현재 활성인지를 검출하기 위해 예를 들어 ARP(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 메시지들을 이용하는 능동적 및 주기적 프로빙이다.
연결된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종속 관계들을 이용하기 위해, 디바이스 전력 상태 제어가 구성될 필요가 있다. 디바이스 전력 상태 제어를 구성하기 위한 예시적 방법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디바이스 설치 단계 또는 최종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되는 동안, 전력 상태 구성 모드가 활성화된다(20). 사용자는 예를 들어 디바이스 상의 물리적 버튼을 누름으로써 이 모드를 트리거할 수 있다. 현재의 디바이스 모드는 디바이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또는 절전형 라이트의 플래싱과 같은 LED 광 표시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력 상태 구성 모드 타임 윈도우(tdm) 동안, 사용자는 구성되어 있는 디바이스에 관련되는 홈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디바이스들을 파워 온하거나 파워 사이클링한다. 디바이스는 임의의 연결된 디바이스가 파워 온되었는지를 영구적으로 또는 반복적으로 체크한다(21). 물론, 전력 상태 구성 모드를 개시하기 전에 관련된 디바이스를 파워 온하는 것이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이 경우에 디바이스는 임의의 연결된 디바이스가 정상 전력 모드에 있는지를 체크한다(21). 임의의 경우에, 그러한 연결된 디바이스가 발견되면, 유리하게도 발견된 디바이스를 위한 스톱워치가 시작되며(22), 이는 지정된 기간(td) 동안 디바이스가 파워 온으로 유지되는지를 판단한다. 이 방법으로 거짓 양성들, 즉 우연히 파워 온된 디바이스들은 이 디바이스들을 다시 파워 오프함으로써 회피될 수 있다. 이 기간(td)은 디바이스의 제 1 발견으로부터 개시되고 전력 상태 구성 모드보다 훨씬 더 길게 유지될 수 있다. 물론, 전력 상태 구성은 최소 기간(td)을 지정하지 않고 마찬가지로 수행될 수 있다. 전력 상태 구성 모드 타임 윈도우가 경과되는 것이 판단될 때(23), 전력 상태 구성 모드가 종료된다(24). 적어도 지정된 기간(td) 동안 파워 온으로 유지된 발견된 디바이스들은 관련된 디바이스들의 리스트에 저장된다(25).
또한, 상이한 메커니즘들은 연결된 디바이스들의 파워 온을 검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메커니즘들의 예들은 UPnP SSDP 메시지들; DHCP 발견 메시지들; HDMI(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핸드쉐이크들; ARP 메시지들 mDNS(mDNS: Multicast Domain Name Service) 메시지들이다.
도 1 및 도 2의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장치(30)는 도 3에 개략적으로 예시되어 있다. 장치(30)는 개별적으로 또는 네트워크(41)를 통해서 다른 디바이스들(40)을 연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들(31a, 31b, ...)을 포함한다. 컨트롤러(32)는 연결된 디바이스들(40)의 전력 모드들을 감시하고 장치(30)의 전력 모드를 제어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33)를 통해서 전력 상태 구성 모드를 개시할 때, 컨트롤러(32)는 관련된 디바이스들을 결정하기 위해 파워 온된 임의의 연결된 디바이스(40)를 체크하고 각 검출된 디바이스(40)에 대한 스톱워치(34)를 개시한다. 전력 상태 구성의 끝에서, 모든 검출된 관련 디바이스들에 대한 정보가 메모리(35)에 저장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한 2개의 예가 주어질 것이다. 제 1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셋톱 박스(STB)를 가정에 설치한다. 설치 프로세스의 일부로서, 디바이스는 LED 광 또는 디스플레이 메시지를 통해서 표시되는 전력 상태 구성 모드에 진입한다. STB 전력 상태 구성 모드 타임 윈도우, 예를 들어 3분 동안, TV는 파워 온되고, 일정 기간 동안 예를 들어 HDMI를 통해서 STB에 의해 발견된다. 전력 상태 구성 모드 타임 윈도우는 만료되고, TV는 유일하게 발견된 디바이스이다. 그 후에, TV가 저전력 모드, 예를 들어 "대기"에 진입할 때마다, 원격 제어를 통한 최종 사용자 상호작용 또는 슬립 타이머 만료로 인해, STB는 또한 저전력 모드에 자동으로 진입할 것이다.
다른 예는 디지털 미디어 서버, 예를 들어 DLNA DMS가 전력 상태 구성 모드를 지원하는 유사한 프로세스이다. 이 모드 동안, 디지털 미디어 서버는 인터넷 및 로컬 디지털 미디어 서버로부터 음악을 스트리밍할 수 있는 STB 및 네트워크 라디오를 발견한다. 디지털 미디어 서버는 STB 및 네트워크 라디오 둘 다가 저전력 모드에 있거나 파워 오프되어 있는 것을 검출할 때마다, 그것은 또한 저전력 모드에 진입한다. STB 또는 네트워크 라디오가 다시 활성화되면, 미디어를 스트리밍하기 위해 STB 또는 네트워크 라디오가 디지털 미디어 서버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디지털 미디어 서버가 파워 온된다.
도 4는 4개의 디바이스들이 홈 네트워크, 즉 TV, 셋톱 박스(STB), 네트워크 라디오, 및 디지털 미디어 서버(DMS)에 존재하는 시나리오를 예시한다. 도면에서, 디바이스들의 전력 모드들, 즉 '정상 모드(N)' 및 '저전력 모드(L)'가 시간에 대해 플로팅되어 있다. 그의 전력 상태 구성 모드 동안, STB는 TV만을 t1에서 발견한다. 따라서, 그것은 TV가 t2에서 저전력 모드에 있거나 파워 오프되면 저전력 모드에 자동으로 진행될 것이다. DMS는 미디어 콘텐트, 예를 들어 음악, 영화들, 및 사진들을 STB 및 네트워크 라디오에 제공한다. 그의 전력 상태 구성 모드 동안, DMS는 t3에서 네트워크 라디오를 발견하고 t4에서 STB를 발견한다. 따라서, 그것은 STB 및 네트워크 라디오 둘 다가 t5에서 저전력 모드에 있거나 파워 오프되면 저전력 모드에 자동으로 진입할 것이다. 사용자가 t6에서, 예를 들어 원격 제어를 사용하여 TV를 활성화할 때, STB는 자동으로 파워 온될 것이다. 이어서, 이것은 사용자가 DMS 상에 있는 영화들 또는 사진들을 보는 것을 시작할 수 있도록 DMS가 파워 온되도록 트리거한다.
본 발명의 변형은 디바이스가 "반대" 전력 모드를 자동으로 선택할 것인 전력 상태 제어를 위해 동일한 구성 및 발견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통상 TV 또는 네트워크 라디오가 파워 온되면(상호 배타적임), TV는 네트워크 라디오가 파워 온되는 것을 검출할 때 저전력 모드에 들어갈 것이고, 네트워크 라디오가 파워 오프될 때 다시 정상 전력 모드에 진입할 것이다. 이 변형은 도 5에 개략적으로 예시되어 있다. 디바이스는 그것이 의존하는 다른 디바이스가 스위치 오프되었거나 저전력 모드로 진행되었는지를 영구적으로 또는 반복적으로 체크한다(10). 이러한 경우라면, 오프나 저전력 모드에 있지 않은 남겨진 임의의 관련된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가 판단된다(11). 디바이스가 단일 관련된 디바이스만을 가지면, 이 판단 단계(11)는 생략될 수 있다. 관련된 디바이스들의 모두가 오프이거나 저전력 모드에 있는 것이 검출되면, 디바이스는 정상 전력 모드에 진입한다(15). 이 정상 전력 모드에서, 디바이스는 관련된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것이 다시 스위치 온되거나 저전력 모드로부터 어웨이크되는지를 감시한다(13). 이것이 발생하면, 디바이스는 다시 저전력 모드로 스위칭한다(16).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디바이스(30)의 전력 상태 제어를 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상기 디바이스(30)는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40)에 연결됨 -,
    - 전력 상태 구성 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20);
    - 상기 하나 이상의 연결된 다른 디바이스들(40) 중 어느 것이 정상 전력 모드에 있는지를 검출하는 단계(21);
    - 상기 전력 상태 구성 모드를 종료하는 단계(24); 및
    - 정상 전력 모드에 있는 것으로서 검출된(21) 상기 디바이스들을 관련된 디바이스들로서 메모리(35)에 저장하는 단계(25) - 상기 전력 상태 제어는 모든 관련된 디바이스들이 저전력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디바이스를 저전력 모드로 스위칭하거나 상기 관련된 디바이스들 중에서 하나 이상이 상기 정상 전력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디바이스를 저전력 모드로 스위칭하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하는 방법.
  8. 디바이스(30)의 전력 상태 제어를 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상기 디바이스(30)는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40)에 연결됨 -,
    - 전력 상태 구성 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20);
    - 상기 하나 이상의 연결된 다른 디바이스들(40) 중 어느 것이 저전력 모드에 있는지를 검출하는 단계(21);
    - 상기 전력 상태 구성 모드를 종료하는 단계(24); 및
    - 저전력 모드에 있는 것으로서 검출된(21) 상기 디바이스들을 관련된 디바이스들로서 메모리(35)에 저장하는 단계(25) - 상기 전력 상태 제어는, 상기 관련된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이 정상 전력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디바이스를 저전력 모드로 스위칭하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하는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적어도 지정된 기간(td) 동안 정상 전력 모드 또는 저전력 모드에 각각 있는 상기 연결된 다른 디바이스들(40)만이 메모리에 저장되는(25) 방법.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연결된 다른 디바이스들(40) 중 어느 것이 정상 전력 모드 또는 저전력 모드에 있는지를 검출하는 단계(21)는 프로토콜 메시지들 또는 핸드쉐이크들을 감시하는 것과 능동적 프로빙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방법.
  11.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상태 구성 모드는 전력 상태 구성 모드 타임 윈도우의 만료 이후에 자동으로 종료되는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디바이스(30)의 전력 상태 제어를 구성하기 위한 컨트롤러(32)로서 - 상기 디바이스(30)는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40)에 연결됨 - 상기 컨트롤러(32)는,
    - 전력 상태 구성 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20);
    - 상기 하나 이상의 연결된 다른 디바이스들(40) 중 어느 것이 정상 전력 모드에 있는지를 검출하는 단계(21);
    - 상기 전력 상태 구성 모드를 종료하는 단계(24); 및
    - 정상 전력 모드에 있는 것으로서 검출된(21) 상기 디바이스들을 관련된 디바이스들로서 메모리(35)에 저장하는 단계(25) - 상기 전력 상태 제어는 모든 관련된 디바이스들이 저전력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디바이스를 저전력 모드로 스위칭하거나 상기 관련된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이 상기 정상 전력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디바이스를 저전력 모드로 스위칭하도록 구성됨 -
    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컨트롤러.
  15. 디바이스(30)의 전력 상태 제어를 구성하기 위한 컨트롤러(32)로서 - 상기 디바이스(30)는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40)에 연결됨 - 상기 컨트롤러(32)는,
    - 전력 상태 구성 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20);
    - 상기 하나 이상의 연결된 다른 디바이스들(40) 중 어느 것이 저전력 모드에 있는지를 검출하는 단계(21);
    - 상기 전력 상태 구성 모드를 종료하는 단계(24); 및
    - 저전력 모드에 있는 것으로서 검출된(21) 상기 디바이스들을 관련된 디바이스들로서 메모리(35)에 저장하는 단계(25) - 상기 전력 상태 제어는, 상기 관련된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이 정상 전력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디바이스를 저전력 모드로 스위칭하도록 구성됨 -
    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컨트롤러.
KR1020130017630A 2012-02-20 2013-02-19 디바이스 전력 상태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컨트롤러 KR1021281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120305189 EP2629543A1 (en) 2012-02-20 2012-02-20 Method and controller for device power state control
EP12305189.8 2012-0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5682A KR20130095682A (ko) 2013-08-28
KR102128118B1 true KR102128118B1 (ko) 2020-06-30

Family

ID=47628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7630A KR102128118B1 (ko) 2012-02-20 2013-02-19 디바이스 전력 상태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컨트롤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038323B2 (ko)
EP (2) EP2629543A1 (ko)
JP (1) JP6683410B2 (ko)
KR (1) KR102128118B1 (ko)
CN (1) CN103260083B (ko)
AU (1) AU2013200911B2 (ko)
BR (1) BR102013003116B1 (ko)
HK (1) HK1188351A1 (ko)
HU (1) HUE025357T2 (ko)
TW (1) TWI5664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95678A1 (en) * 2013-09-27 2015-04-02 Lama Nachman Movement-based state modification
JP5975135B1 (ja) 2015-03-31 2016-08-2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制御システム
US10743059B2 (en) * 2015-08-30 2020-08-11 EVA Automation, Inc. Displaying HDMI content at an arbitrary location
KR101988554B1 (ko) * 2015-09-24 2019-06-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셋톱 박스의 대기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ip 주소 확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셋톱 박스, 전력 관리 서버
US10379560B2 (en) * 2015-10-05 2019-08-13 Savant Systems, Llc Home automation system device power optimization
EP3331248A1 (en) * 2016-11-30 2018-06-06 Thomson Licensing Smart standby with multiple devices
US11669901B2 (en) 2019-07-12 2023-06-06 Core Scientific Operating Company Communication network for gaming rewards
US20210064445A1 (en) * 2019-08-27 2021-03-04 Core Scientific, Inc. Harvesting remnant cycles in smart devic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7774A (ja) * 2003-12-04 2005-06-23 Orion Denki Kk 映像音響機器
WO2009101804A1 (ja) 2008-02-13 2009-08-20 Panasonic Corporation 省電力システム
JP2010239589A (ja) 2009-03-31 2010-10-21 Sumitomo Electric Ind Ltd デコー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1831A (ja) 1998-11-09 2000-05-23 Ricoh Co Ltd I/o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403331B2 (ja) * 2000-02-22 2010-01-27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システム、情報処理機器
JP2001353929A (ja) 2000-06-12 2001-12-25 Ricoh Co Ltd 印刷装置
US7509510B2 (en) * 2000-08-11 2009-03-24 Broadcom Corporation Energy detect with auto pair select
EP1438673B1 (en) * 2001-09-26 2012-11-21 Interact Device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media signals
JP2004001241A (ja) 2002-04-05 2004-01-0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GB0229899D0 (en) * 2002-12-21 2003-01-29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Power management in set top boxes
ITBO20040743A1 (it) 2004-11-30 2005-02-28 Spal Srl Impianto di ventilazione, in particolare per autoveicoli
US20060224908A1 (en) 2005-04-04 2006-10-05 Kyocera Mita Corporation Sharing apparatus and energy conservation controlling method therefor
JP2007108862A (ja) 2005-10-11 2007-04-26 Canon Inc ネットワーク接続周辺装置のスリープモード移行制御方法
CN201065261Y (zh) 2007-04-28 2008-05-28 吴江粮食机械有限公司 胶带输送机的可调式进料斗
US8086886B2 (en) * 2007-08-31 2011-12-27 Silicon Image, Inc. Group power management of network devices
US8095814B2 (en) * 2007-09-26 2012-01-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puting device power management
JP4584296B2 (ja) 2007-10-29 2010-11-17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処理装置
CN201118738Y (zh) 2007-11-23 2008-09-17 深圳Tcl工业研究院有限公司 一种对电视机与机顶盒电源进行顺序开关的装置
WO2009124911A1 (en) 2008-04-07 2009-10-15 Nxp B.V. Mobile phone with low-power media rendering sub-system
JP2009282816A (ja) 2008-05-23 2009-12-03 Kyocera Mita Corp 省エネモード遷移管理システム
JP2009296357A (ja) * 2008-06-05 2009-12-17 Ricoh Co Ltd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動作モード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1409809B (zh) 2008-11-21 2010-09-08 熊猫电子集团有限公司 降低数字电视机顶盒功耗的方法及系统
US20100246866A1 (en) * 2009-03-24 2010-09-30 Swat/Acr Portfolio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Hearing Aid with Array of Processors
JP2011194749A (ja) 2010-03-19 2011-10-06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CN102340150A (zh) 2010-07-20 2012-02-01 武汉瑞工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充电站及一种为电动汽车充电的方法
CN201758421U (zh) 2010-07-21 2011-03-09 深圳创维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自动关机装置及带有该装置的机顶盒
CN102065261B (zh) 2010-11-12 2012-07-04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机顶盒及其电源控制装置和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7774A (ja) * 2003-12-04 2005-06-23 Orion Denki Kk 映像音響機器
WO2009101804A1 (ja) 2008-02-13 2009-08-20 Panasonic Corporation 省電力システム
JP2010239589A (ja) 2009-03-31 2010-10-21 Sumitomo Electric Ind Ltd デコー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66493B (zh) 2017-01-11
AU2013200911B2 (en) 2018-07-05
CN103260083B (zh) 2018-05-08
JP2013171588A (ja) 2013-09-02
BR102013003116A2 (pt) 2017-05-09
US10038323B2 (en) 2018-07-31
US20130214600A1 (en) 2013-08-22
HK1188351A1 (en) 2014-04-25
JP6683410B2 (ja) 2020-04-22
EP2629544A1 (en) 2013-08-21
KR20130095682A (ko) 2013-08-28
CN103260083A (zh) 2013-08-21
AU2013200911A1 (en) 2013-09-05
HUE025357T2 (en) 2016-02-29
TW201338328A (zh) 2013-09-16
BR102013003116B1 (pt) 2022-03-08
EP2629544B1 (en) 2015-08-12
EP2629543A1 (en) 2013-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8118B1 (ko) 디바이스 전력 상태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컨트롤러
US8418194B2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US9386102B2 (en) Gateway apparatus, communication apparatus, apparatus co-operation network system, and apparatus co-operation method
JP5657686B2 (ja) ストリーミングメディア受信装置におけるスタンバイ処理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8719407B2 (en) Network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TWI538439B (zh) 網路中基於服務的功率管理
JP5998200B2 (ja) コンテンツの中断されない再生を提供するメディアレンダリングデバイス
US9772669B2 (en) Power device, power control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KR101744887B1 (ko) 비활성 시간구간 관리 기반의 가전장치 전력소비 절감 방법
Nordman et al. Deliverable 3: Use Cases, Analysis Method, and Candidate Device Behavior Model Re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