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7988B1 - 반도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반도체 시스템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반도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7988B1
KR102127988B1 KR1020130044313A KR20130044313A KR102127988B1 KR 102127988 B1 KR102127988 B1 KR 102127988B1 KR 1020130044313 A KR1020130044313 A KR 1020130044313A KR 20130044313 A KR20130044313 A KR 20130044313A KR 102127988 B1 KR102127988 B1 KR 102127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unit
pull
node
synchron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4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6142A (ko
Inventor
이현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4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988B1/ko
Priority to US14/099,542 priority patent/US9124268B2/en
Priority to TW106136330A priority patent/TWI651932B/zh
Priority to TW102145441A priority patent/TWI608701B/zh
Priority to CN201410135998.6A priority patent/CN104113322B/zh
Publication of KR20140126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6142A/ko
Priority to US14/812,194 priority patent/US957106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1Details
    • H03K3/012Modifications of generator to improve response time or to decrease power consump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17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 H03K19/018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using field effect transistors only
    • H03K19/018507Interface arrangements
    • H03K19/018521Interface arrangements of complementary type, e.g. CMO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Abstract

반도체 장치 및 그의 반도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입력신호를 제1 클럭에 동기시켜 출력하며, 입력신호가 제1 위상일 때 제2 클럭을 소오스 전원으로 이용하는 제1 동기부; 제1 동기부로부터 출력되는 제1 동기신호를 제2 클럭에 동기시켜 출력하며, 제1 동기신호가 제1 위상일 때 제1 클럭을 소오스 전원으로 이용하는 제2 동기부; 및 제2 동기부로부터 출력되는 제2 동기신호를 래치하기 위한 래치부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반도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반도체 시스템{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SYSTEM WITH THE SAME}
본 발명은 반도체 설계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도체 장치 및 그의 반도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반도체 시스템에는 기술 발전과 함께 에너지 하베스팅(energy harvesting) 기술이 도입되고 있다.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은 주변의 에너지원으로부터 전력을 생산 및 공급하기 위한 기술이다.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로는, 태양 전지(solar cell)를 이용하여 태양 에너지로부터 전력을 생산하는 방법, 제백 효과(Seeback effect)를 이용하여 열에너지로부터 전력을 발생시키는 방법, 유도현상(Faraday's law of electromagnetic induction) 또는 압전 현상(piezoelectric effect)이나 자기 변형 현상(magnetostriction effect)을 이용하여 진동 에너지로부터 전력을 생산하는 방법 등이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을 통해 생산된 전력은 사용량이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에, 반도체 시스템의 고속화 및 저전력화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입력회로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을 최소화한 반도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반도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입력신호를 클럭에 동기시켜 출력하며, 입력신호가 제1 위상일 때 클럭을 소오스 전원으로 이용하는 입력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입력신호를 제1 클럭에 동기시켜 출력하며, 입력신호가 제1 위상일 때 제2 클럭을 소오스 전원으로 이용하는 제1 동기부; 제1 동기부로부터 출력되는 제1 동기신호를 제2 클럭에 동기시켜 출력하며, 제1 동기신호가 제1 위상일 때 제1 클럭을 소오스 전원으로 이용하는 제2 동기부; 및 제2 동기부로부터 출력되는 제2 동기신호를 래치하기 위한 래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입력신호를 제1 클럭에 동기시켜 출력하며, 입력신호가 제1 위상일 때 제2 클럭을 소오스 전원으로 이용하는 제1 동기부; 제1 동기부로부터 출력되는 제1 동기신호를 제1 클럭에 동기시켜 출력하며, 제1 동기신호가 제1 위상일 때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압을 소오스 전원으로 이용하는 제2 동기부; 및 제2 동기부로부터 출력되는 제2 동기신호를 래치하기 위한 래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입력신호에 따라 제1 클럭을 소오스 전원으로 이용하여 제1 노드를 풀업 구동하기 위한 제1 풀업 구동부; 제2 클럭에 따라 제1 풀업 구동부와 제1 노드를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1 스위칭부; 입력신호에 따라 접지전압으로 제1 노드를 풀다운 구동하기 위한 제1 풀다운 구동부; 제1 노드를 통해 전달되는 제1 동기신호에 따라 제1 클럭을 소오스 전원으로 이용하여 제2 노드를 풀업 구동하기 위한 제2 풀업 구동부; 제2 클럭에 따라 제2 풀업 구동부와 제2 노드를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2 스위칭부; 제1 동기신호에 따라 접지전압으로 제2 노드를 풀다운 구동하기 위한 제2 풀다운 구동부; 제2 클럭에 따라 제2 풀다운 구동부와 접지전압단을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3 스위칭부; 제2 노드를 통해 전달되는 제2 동기신호에 따라 제2 클럭을 소오스 전원으로 이용하여 제3 노드를 풀업 구동하기 위한 제3 풀업 구동부; 제2 동기신호에 따라 접지전압으로 제3 노드를 풀다운 구동하기 위한 제3 풀다운 구동부; 제1 클럭에 따라 제3 풀다운 구동부와 제3 노드를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4 스위칭부; 및 제3 노드를 통해 전달되는 제3 동기신호를 래치하기 위한 래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입력신호에 따라 제1 클럭을 소오스 전원으로 이용하여 제1 노드를 풀업 구동하기 위한 제1 풀업 구동부; 제2 클럭에 따라 제1 풀업 구동부와 제1 노드를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1 스위칭부; 입력신호에 따라 접지전압으로 제1 노드를 풀다운 구동하기 위한 제1 풀다운 구동부; 제1 노드를 통해 전달되는 제1 동기신호에 따라 제1 클럭을 소오스 전원으로 이용하여 제2 노드를 풀업 구동하기 위한 제2 풀업 구동부; 제2 클럭에 따라 제2 풀업 구동부와 제2 노드를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2 스위칭부; 제1 동기신호에 따라 접지전압으로 제2 노드를 풀다운 구동하기 위한 제2 풀다운 구동부; 제2 클럭에 따라 제2 풀다운 구동부와 접지전압단을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3 스위칭부; 제2 노드를 통해 전달되는 제2 동기신호에 따라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압을 소오스 전원으로 이용하여 제3 노드를 풀업 구동하기 위한 제3 풀업 구동부; 제2 동기신호에 따라 접지전압으로 제3 노드를 풀다운 구동하기 위한 제3 풀다운 구동부; 제2 클럭에 따라 제3 풀다운 구동부와 제3 노드를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4 스위칭부; 및 제3 노드를 통해 전달되는 제3 동기신호를 래치하기 위한 래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1 및 제2 클럭의 위상을 혼합하기 위한 클럭 혼합부; 및 클럭 혼합부의 출력신호를 소오스 전원으로 이용하여 외부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동 클럭의 위상을 혼합하여 예정된 레벨의 소오스 전원을 생성하기 위한 로딩부; 접지전압단과 로딩부 사이에 구비되며, 차동 클럭을 입력받기 위한 차동 입력부; 및 인에이블신호에 응답하여 차동 입력부와 접지전압단을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싱킹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외부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공급장치; 및 외부 클럭에 동기시켜 외부 신호를 입력받을 때 외부전원과 외부 클럭을 함께 소오스 전원으로 이용하는 반도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외부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공급장치; 및 외부전원을 이용하여 예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반도체 장치를 포함하며, 반도체 장치는, 외부에서 입력된 클럭을 소오스 전원으로 이용하여 예정된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회로; 및 외부전원을 소오스 전원으로 이용하여 입력회로에서 전달된 신호에 따라 예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내부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회로가 고속으로 동작하는 경우에도 동적 전류(dynamic current)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외부 신호를 외부 클럭에 동기시켜 내부로 전달하기 위한 입력회로의 경우에는 외부 클럭이 예정된 전압레벨로 고정되도록 제어됨에 따라 누설 전류(leakage current) 또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입력회로가 적용된 반도체 시스템은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도 고속 동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특히, 태양 전지(solar cell)와 같은 에너지 하베스팅(energy harvesting) 장치를 포함하는 반도체 시스템의 경우에는 더욱 탁월한 효과를 가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반도체 장치의 일예를 보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반도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반도체 장치의 다른 예를 보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반도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6 및 7은 도 1에 도시된 반도체 장치의 또 다른 예를 보인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반도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이 블록 구성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반도체 시스템은 외부 전원전압(VDD)을 생성 및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장치(100)와, 외부 전원전압(VDD)을 소오스 전원으로 이용하며 외부에서 입력된 차동 클럭(CLK, CLKB) 및 데이터(DIN)에 응답하여 예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반도체 장치(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원 공급 장치(100)는 주변의 에너지원으로부터 전력을 생산 및 공급하기 위한 에너지 하베스팅(energy harvesting) 장치를 포함한다. 예컨대, 전원 공급 장치(100)는 태양 전지(solar cell)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반도체 장치(200)는 도면에 잘 도시되지 않았지만 차동 클럭(CLK, CLKB)을 소오스 전원으로 이용하는 입력회로와, 외부 전원전압(VDD)을 소오스 전원으로 이용하는 내부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입력회로는 외부 전원전압(VDD)과 함께 차동 클럭(CLK, CLKB)을 소오스 전원으로 이용하는 제1 입력회로와, 차동 클럭(CLK, CLKB)만을 소오스 전원으로 이용하는 제2 입력회로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먼저 제1 입력회로를 자세하게 설명한 다음 제2 입력회로를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제1 입력회로의 일예를 보인 내부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입력회로(210)는 데이터(DIN)를 차동 클럭(CLK, CLKB) 중 정 클럭(CLK)에 동기시켜 출력하며 데이터(DIN)가 제1 위상(이하 "논리 로우 레벨"이라 칭함)일 때 차동 클럭 중 부 클럭(CLKB)을 소오스 전원으로 이용하는 제1 동기부(211)와, 제1 동기부(211)로부터 출력되는 제1 동기 데이터(B)를 부 클럭(CLKB)에 동기시켜 출력하며 제1 동기 데이터(B)가 논리 로우 레벨일 때 정 클럭(CLK)을 소오스 전원으로 이용하는 제2 동기부(213)와, 제2 동기부(213)로부터 출력되는 제2 동기 데이터(C)를 래치하기 위한 래치부(215)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동기부(211)는 데이터(DIN)가 제2 위상(이하 "논리 하이 레벨"이라 칭함)에서 논리 로우 레벨로 천이되면 데이터(DIN)를 정 클럭(CLK)에 동기시켜 논리 하이 레벨의 제3 동기 데이터(A)로써 출력하며, 부 클럭(CLKB)을 상기 소오스 전원으로 이용하는 제1 전달부(211A)와, 제3 동기 데이터(A)가 논리 하이 레벨에서 논리 로우 레벨로 천이되거나 또는 논리 로우 레벨에서 논리 하이 레벨로 천이되면 제3 동기 데이터(A)를 정 클럭(CLK)에 동기시켜 제1 동기 데이터(B)로써 출력하며, 부 클럭(CLKB)을 상기 소오스 전원으로 이용하는 제2 전달부(211B)를 포함한다. 제1 전달부(211A)는 데이터(DIN)에 따라 부 클럭(CLKB)을 소오스 전원으로 이용하여 제3 동기 데이터(A)의 출력 노드를 풀업 구동하기 위한 제1 풀업 구동부(P01)와, 정 클럭(CLK)에 따라 제1 풀업 구동부(P01)와 제3 동기 데이터(A)의 출력 노드를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1 스위칭부(P02)와, 데이터(DIN)에 따라 접지전압(VDD)으로 제3 동기 데이터(A)의 출력 노드를 풀다운 구동하기 위한 제1 풀다운 구동부(N01)을 포함한다. 제2 전달부(211B)는 제3 동기 데이터(A)에 따라 부 클럭(CLKB)을 소오스 전원으로 이용하여 제1 동기 데이터(B)의 출력 노드를 풀업 구동하기 위한 제2 풀업 구동부(P03)와, 정 클럭(CLK)에 따라 제2 풀업 구동부(P03)와 제1 동기 데이터(B)의 출력 노드를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2 스위칭부(P04)와, 제3 동기 데이터(A)에 따라 접지전압(VSS)으로 제1 동기 데이터(B)의 출력 노드를 풀다운 구동하기 위한 제2 풀다운 구동부(N02)와, 정 클럭(CLK)에 따라 제2 풀다운 구동부(N02)와 접지전압(VSS)단을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3 스위칭부(N03)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 동기부(213)는 제1 동기 데이터(B)가 논리 로우 레벨에서 논리 하이 레벨로 천이되면 제1 동기 데이터(B)를 부 클럭(CLKB)에 동기시켜 출력한다. 제2 동기부(213)는 제1 동기 데이터(B)에 따라 정 클럭을 소오스 전원으로 이용하여 제2 동기 데이터(C)의 출력 노드를 풀업 구동하기 위한 제3 풀업 구동부(P05)와, 제1 동기 데이터(B)에 따라 접지전압(VSS)으로 제2 동기 데이터(C)의 출력 노드를 풀다운 구동하기 위한 제3 풀다운 구동부(N04)와, 부 클럭(CLKB)에 따라 제3 풀다운 구동부(N04)와 제2 동기 데이터(C)의 출력 노드를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4 스위칭부(P06)를 포함한다.
또한, 래치부(215)는 도면에 잘 도시되지 않았지만 외부 전원전압(VDD)을 소오스 전원으로 이용하여 래치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제1 입력회로(210)는 데이터(DIN)를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차동 클럭(CLK, CLKB)의 스윙 폭이 데이터(DIN)의 스윙 폭보다 크게 설계되기만 하면, 제1 입력회로(210)의 증폭 동작이 가능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입력회로(210)의 동작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는 제1 입력회로(21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데이터(DIN)가 입력되면, 제1 동기부(211)는 데이터(DIN)를 정 클럭(CLK)에 동기시켜 제1 동기 데이터(A)로써 출력한다. 이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제1 전달부(211A)는 데이터(DIN)가 논리 하이 레벨에서 논리 로우 레벨로 천이될 때에만 데이터(DIN)를 정 클럭(CLK)에 동기시켜 제3 동기 데이터(A)로써 출력한다. 그리고, 제2 전달부(211B)는 제3 동기 데이터(A)가 논리 하이 레벨에서 논리 로우 레벨로 천이되거나 또는 논리 로우 레벨에서 논리 하이 레벨로 천이될 때 모두 정 클럭(CLK)에 동기시켜 제3 동기 데이터(A)를 제1 동기 데이터(B)로써 출력한다. 이때, 제1 동기부(211)는 부 클럭(CLKB)을 소오스 전원으로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면, 제2 동기부(213)는 제1 동기 데이터(B)가 논리 로우 레벨에서 논리 하이 레벨로 천이될 때에만 제1 동기 데이터(B)를 부 클럭(CLKB)에 동기시켜 제2 동기 데이터(C)로써 출력한다. 이때, 제2 동기부(213)는 정 클럭(CLK)을 소오스 전원으로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래치부(215)는 외부 전원전압(VDD)을 소오스 전원으로 이용하여 제2 동기 데이터(C)를 래치한다.
한편, 제1 입력회로(210)는 차동 클럭(CLK, CLKB)이 예정된 레벨로 고정되는 경우 누설 전류(leakage current)를 최소화할 수 있다. 예컨대, 정 클럭(CLK)이 논리 하이 레벨로 고정되고 부 클럭(CLKB)이 논리 로우 레벨로 고정되는 경우에는 제1 입력회로(210)에서 발생하는 누설 전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다음, 도 4에는 제1 입력회로의 다른 예를 보인 내부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입력회로(220)는 데이터(DIN)를 차동 클럭(CLK, CLKB) 중 정 클럭(CLK)에 동기시켜 출력하며 데이터(DIN)가 논리 로우 레벨일 때 차동 클럭 중 부 클럭(CLKB)을 소오스 전원으로 이용하는 제1 동기부(221)와, 제1 동기부(221)로부터 출력되는 제1 동기 데이터(B)를 정 클럭(CLK)에 동기시켜 출력하며 제1 동기 데이터(B)가 논리 로우 레벨일 때 외부 전원전압(VDD)을 소오스 전원으로 이용하는 제2 동기부(223)와, 제2 동기부(223)로부터 출력되는 제2 동기 데이터(C)를 래치하기 위한 래치부(225)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동기부(221)는 데이터(DIN)가 논리 하이 레벨에서 논리 로우 레벨로 천이되면 데이터(DIN)를 정 클럭(CLK)에 동기시켜 논리 하이 레벨의 제3 동기 데이터(A)로써 출력하며, 부 클럭(CLKB)을 상기 소오스 전원으로 이용하는 제1 전달부(221A)와, 제3 동기 데이터(A)가 논리 하이 레벨에서 논리 로우 레벨로 천이되거나 또는 논리 로우 레벨에서 논리 하이 레벨로 천이되면 제3 동기 데이터(A)를 정 클럭(CLK)에 동기시켜 제1 동기 데이터(B)로써 출력하며, 부 클럭(CLKB)을 상기 소오스 전원으로 이용하는 제2 전달부(221B)를 포함한다. 제1 전달부(221A)는 데이터(DIN)에 따라 부 클럭(CLKB)을 소오스 전원으로 이용하여 제3 동기 데이터(A)의 출력 노드를 풀업 구동하기 위한 제1 풀업 구동부(P11)와, 정 클럭(CLK)에 따라 제1 풀업 구동부(P11)와 제3 동기 데이터(A)의 출력 노드를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1 스위칭부(P12)와, 데이터(DIN)에 따라 접지전압(VDD)으로 제3 동기 데이터(A)의 출력 노드를 풀다운 구동하기 위한 제1 풀다운 구동부(N11)을 포함한다. 제2 전달부(221B)는 제3 동기 데이터(A)에 따라 부 클럭(CLKB)을 소오스 전원으로 이용하여 제1 동기 데이터(B)의 출력 노드를 풀업 구동하기 위한 제2 풀업 구동부(P13)와, 정 클럭(CLK)에 따라 제2 풀업 구동부(P13)와 제1 동기 데이터(B)의 출력 노드를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2 스위칭부(P14)와, 제3 동기 데이터(A)에 따라 접지전압(VSS)으로 제1 동기 데이터(B)의 출력 노드를 풀다운 구동하기 위한 제2 풀다운 구동부(N12)와, 정 클럭(CLK)에 따라 제2 풀다운 구동부(N12)와 접지전압(VSS)단을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3 스위칭부(N13)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 동기부(223)는 제1 동기 데이터(B)가 논리 로우 레벨에서 논리 하이 레벨로 천이되면 제1 동기 데이터(B)를 정 클럭(CLK)에 동기시켜 출력한다. 제2 동기부(223)는 제1 동기 데이터(B)에 따라 외부 전원전압(VDD)을 소오스 전원으로 이용하여 제2 동기 데이터(C)의 출력 노드를 풀업 구동하기 위한 제3 풀업 구동부(P15)와, 제1 동기 데이터(B)에 따라 접지전압(VSS)으로 제2 동기 데이터(C)의 출력 노드를 풀다운 구동하기 위한 제3 풀다운 구동부(N14)와, 정 클럭(CLK)에 따라 제3 풀다운 구동부(N14)와 제2 동기 데이터(C)의 출력 노드를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4 스위칭부(N15)를 포함한다.
또한, 래치부(225)는 도면에 잘 도시되지 않았지만 외부 전원전압(VDD)을 소오스 전원으로 이용하여 래치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제1 입력회로(220)는 데이터(DIN)를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차동 클럭(CLK, CLKB)의 스윙 폭이 데이터(DIN)의 스윙 폭보다 크게 설계되기만 하면, 제1 입력회로(220)의 증폭 동작이 가능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입력회로(220)의 동작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는 제1 입력회로(22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데이터(DIN)가 입력되면, 제1 동기부(221)는 데이터(DIN)를 정 클럭(CLK)에 동기시켜 제1 동기 데이터(A)로써 출력한다. 이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제1 전달부(221A)는 데이터(DIN)가 논리 하이 레벨에서 논리 로우 레벨로 천이될 때에만 데이터(DIN)를 정 클럭(CLK)에 동기시켜 제3 동기 데이터(A)로써 출력한다. 그리고, 제2 전달부(221B)는 제3 동기 데이터(A)가 논리 하이 레벨에서 논리 로우 레벨로 천이되거나 또는 논리 로우 레벨에서 논리 하이 레벨로 천이될 때 모두 정 클럭(CLK)에 동기시켜 제3 동기 데이터(A)를 제1 동기 데이터(B)로써 출력한다. 이때, 제1 동기부(221)는 부 클럭(CLKB)을 소오스 전원으로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면, 제2 동기부(223)는 제1 동기 데이터(B)가 논리 로우 레벨에서 논리 하이 레벨로 천이될 때에만 제1 동기 데이터(B)를 정 클럭(CLK)에 동기시켜 제2 동기 데이터(C)로써 출력한다. 이때, 제2 동기부(223)는 외부 전원전압(VDD)을 소오스 전원으로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래치부(225)는 외부 전원전압(VDD)을 소오스 전원으로 이용하여 제2 동기 데이터(C)를 래치한다.
한편, 제1 입력회로(220)는 차동 클럭(CLK, CLKB)이 예정된 레벨로 고정되거나 또는 플로팅(floating)되는 경우 누설 전류(leakage current)를 최소화할 수 있다. 예컨대, 차동 클럭(CLK, CLKB)이 모두 논리 로우 레벨로 고정되는 경우에는 제1 입력회로(220)에서 발생하는 누설 전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다음, 도 6에는 제2 입력회로를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입력회로는 차동 클럭(CLK, CLKB)의 위상을 혼합하기 위한 클럭 혼합부(2301)와, 클럭 혼합부(2301)의 출력신호(SOURCE_PWR)를 소오스 전원으로 이용하여 외부에서 입력된 신호(INPUT)를 내부로 전달하기 위한 입력부(2303)를 포함한다.
여기서, 클럭 혼합부(2301)는 차동 클럭(CLK, CLKB)의 위상을 평균화하여 예정된 레벨 - 차동 클럭(CLK, CLKB)의 크로스 포인트에 대응함 - 로 고정된 소오스 신호(SOURCE_PWR)를 생성한다. 예컨대, 클럭 혼합부(2301)는 차동 클럭(CLK, CLKB) 중 정 클럭(CLK)의 입력단과 소오스 신호(SOURCE_PWR)의 출력단 사이에 구비된 제1 저항부(R)와, 차동 클럭(CLK, CLKB) 중 부 클럭(CLKB)의 입력단과 소오스 신호(SOURCE_PWR)의 출력단 사이에 구비된 제2 저항부(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는 도 6에 도시된 제2 입력회로(2301)를 차동증폭기에 적용한 예를 보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입력회로(230)는 차동 클럭(CLK, CLKB)의 위상을 혼합하여 예정된 레벨의 소오스 전원을 생성하기 위한 로딩부(231)와, 접지전압(VSS)단과 로딩부(231) 사이에 구비되며 차동 클럭(CLK, CLKB)을 입력받기 위한 차동 입력부(233)와, 인에이블신호(EN)에 응답하여 차동 입력부(233)와 접지전압(VSS)단을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싱킹부(235)를 포함한다.
여기서, 로딩부(231)는 차동 클럭(CLK, CLKB) 중 정 클럭(CLK)의 입력단과 공통 노드(CN) 사이에 접속된 제1 저항부(R01)와, 차동 입력부(233) 중 제1 입력부(P21)와 공통 노드(CN) 사이에 접속된 제2 저항부(R02)와, 차동 클럭(CLK, CLKB) 중 부 클럭(CLKB)의 입력단과 공통 노드(CN) 사이에 접속된 제3 저항부(R11)와, 차동 입력부(233) 중 제2 입력부(P22)와 공통 노드(CN) 사이에 접속된 제4 저항부(R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2 입력회로(230)의 동작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에는 도 7에 도시된 제2 입력회로(23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입력회로(230)는 인에이블신호(EN)가 논리 하이 레벨로 활성화된 경우에 외부에서 입력된 차동 클럭(CLK, CLKB)의 전압 차이를 증폭하여 내부 클럭(CLKOUT)을 출력한다. 이때, 제2 입력회로(230)는 차동 클럭(CLK, CLKB)의 위상을 혼합하여 예정된 레벨 - 차동 클럭(CLK, CLKB)의 크로스 포인트 레벨임 - 의 소오스 전원(VIX)을 자체적으로 생성 및 이용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신호를 수신할 때 소오스 전원으로 차동 클럭(CLK, CLKB)을 이용함으로써 외부 전원전압(VDD)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으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전원공급장치 200 : 반도체장치
210 : 제1 입력회로 211 : 제1 동기부
213 : 제2 동기부 215 : 래치부

Claims (24)

  1. 삭제
  2. 삭제
  3. 입력신호를 제1 클럭에 동기시켜 출력하며, 상기 입력신호가 제1 위상일 때 제2 클럭을 소오스 전원으로 이용하는 제1 동기부;
    상기 제1 동기부로부터 출력되는 제1 동기신호를 상기 제2 클럭에 동기시켜 출력하며, 상기 제1 동기신호가 상기 제1 위상일 때 상기 제1 클럭을 소오스 전원으로 이용하는 제2 동기부; 및
    상기 제2 동기부로부터 출력되는 제2 동기신호를 래치하기 위한 래치부
    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클럭은 차동 클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기부는,
    상기 입력신호가 제2 위상 - 상기 제1 위상과 반대 위상임 - 에서 상기 제1 위상으로 천이되면 상기 입력신호를 상기 제1 클럭에 동기시켜 제3 동기신호로써 출력하며, 상기 제2 클럭을 상기 소오스 전원으로 이용하는 제1 전달부; 및
    상기 제3 동기신호가 상기 제1 위상에서 상기 제2 위상으로 천이되거나 또는 상기 제2 위상에서 상기 제1 위상으로 천이되면 상기 제3 동기신호를 상기 제1 클럭에 동기시켜 상기 제1 동기신호로써 출력하며, 상기 제2 클럭을 상기 소오스 전원으로 이용하는 제2 전달부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동기부는 상기 제1 동기신호가 상기 제1 위상에서 상기 제2 위상으로 천이되면 상기 제1 동기신호를 상기 제2 클럭에 동기시켜 출력하는 반도체 장치.
  7. 입력신호를 제1 클럭에 동기시켜 출력하며, 상기 입력신호가 제1 위상일 때 제2 클럭을 소오스 전원으로 이용하는 제1 동기부;
    상기 제1 동기부로부터 출력되는 제1 동기신호를 상기 제1 클럭에 동기시켜 출력하며, 상기 제1 동기신호가 상기 제1 위상일 때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압을 소오스 전원으로 이용하는 제2 동기부; 및
    상기 제2 동기부로부터 출력되는 제2 동기신호를 래치하기 위한 래치부
    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클럭은 차동 클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기부는,
    상기 입력신호가 제2 위상 - 상기 제1 위상과 반대 위상임 - 에서 상기 제1 위상으로 천이되면 상기 입력신호를 상기 제1 클럭에 동기시켜 제3 동기신호로써 출력하며, 상기 제2 클럭을 상기 소오스 전원으로 이용하는 제1 전달부; 및
    상기 제3 동기신호가 상기 제1 위상에서 상기 제2 위상으로 천이되거나 또는 상기 제2 위상에서 상기 제1 위상으로 천이되면 상기 제3 동기신호를 상기 제1 클럭에 동기시켜 상기 제1 동기신호로써 출력하며, 상기 제2 클럭을 상기 소오스 전원으로 이용하는 제2 전달부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동기부는 상기 제1 동기신호가 상기 제1 위상에서 상기 제2 위상으로 천이되면 상기 제1 동기신호를 상기 제1 클럭에 동기시켜 출력하는 반도체 장치.
  11. 입력신호에 따라 제1 클럭을 소오스 전원으로 이용하여 제1 노드를 풀업 구동하기 위한 제1 풀업 구동부;
    제2 클럭에 따라 상기 제1 풀업 구동부와 상기 제1 노드를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1 스위칭부;
    상기 입력신호에 따라 접지전압으로 상기 제1 노드를 풀다운 구동하기 위한 제1 풀다운 구동부;
    상기 제1 노드를 통해 전달되는 제1 동기신호에 따라 상기 제1 클럭을 소오스 전원으로 이용하여 제2 노드를 풀업 구동하기 위한 제2 풀업 구동부;
    상기 제2 클럭에 따라 상기 제2 풀업 구동부와 상기 제2 노드를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2 스위칭부;
    상기 제1 동기신호에 따라 상기 접지전압으로 상기 제2 노드를 풀다운 구동하기 위한 제2 풀다운 구동부;
    상기 제2 클럭에 따라 상기 제2 풀다운 구동부와 접지전압단을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3 스위칭부;
    상기 제2 노드를 통해 전달되는 제2 동기신호에 따라 상기 제2 클럭을 소오스 전원으로 이용하여 제3 노드를 풀업 구동하기 위한 제3 풀업 구동부;
    상기 제2 동기신호에 따라 상기 접지전압으로 상기 제3 노드를 풀다운 구동하기 위한 제3 풀다운 구동부;
    상기 제1 클럭에 따라 상기 제3 풀다운 구동부와 상기 제3 노드를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4 스위칭부; 및
    상기 제3 노드를 통해 전달되는 제3 동기신호를 래치하기 위한 래치부
    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클럭은 차동 클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3. 입력신호에 따라 제1 클럭을 소오스 전원으로 이용하여 제1 노드를 풀업 구동하기 위한 제1 풀업 구동부;
    제2 클럭에 따라 상기 제1 풀업 구동부와 상기 제1 노드를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1 스위칭부;
    상기 입력신호에 따라 접지전압으로 상기 제1 노드를 풀다운 구동하기 위한 제1 풀다운 구동부;
    상기 제1 노드를 통해 전달되는 제1 동기신호에 따라 상기 제1 클럭을 소오스 전원으로 이용하여 제2 노드를 풀업 구동하기 위한 제2 풀업 구동부;
    상기 제2 클럭에 따라 상기 제2 풀업 구동부와 상기 제2 노드를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2 스위칭부;
    상기 제1 동기신호에 따라 상기 접지전압으로 상기 제2 노드를 풀다운 구동하기 위한 제2 풀다운 구동부;
    상기 제2 클럭에 따라 상기 제2 풀다운 구동부와 접지전압단을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3 스위칭부;
    상기 제2 노드를 통해 전달되는 제2 동기신호에 따라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압을 소오스 전원으로 이용하여 제3 노드를 풀업 구동하기 위한 제3 풀업 구동부;
    상기 제2 동기신호에 따라 상기 접지전압으로 상기 제3 노드를 풀다운 구동하기 위한 제3 풀다운 구동부;
    상기 제2 클럭에 따라 상기 제3 풀다운 구동부와 상기 제3 노드를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4 스위칭부; 및
    상기 제3 노드를 통해 전달되는 제3 동기신호를 래치하기 위한 래치부
    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클럭은 차동 클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5. 차동 클럭의 위상을 혼합하고 예정된 레벨로 고정된 출력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클럭 혼합부; 및
    상기 출력신호를 소오스 전원으로 이용하여 외부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16. 삭제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혼합부는 상기 차동 클럭의 위상을 평균화하여 상기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반도체 장치.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혼합부는,
    상기 차동 클럭 중 제1 클럭의 입력단과 상기 출력신호의 출력단 사이에 구비된 제1 저항부; 및
    상기 차동 클럭 중 제2 클럭의 입력단과 상기 출력신호의 출력단 사이에 구비된 제2 저항부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19. 차동 클럭의 위상을 혼합하여 예정된 레벨로 고정된 소오스 전원을 생성하기 위한 로딩부;
    접지전압단과 상기 로딩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차동 클럭을 입력받기 위한 차동 입력부; 및
    인에이블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차동 입력부와 접지전압단을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싱킹부
    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부는,
    상기 차동 클럭 중 제1 클럭의 입력단과 공통 노드 사이에 접속된 제1 저항부;
    상기 차동 입력부 중 제1 입력부와 상기 공통 노드 사이에 접속된 제2 저항부;
    상기 차동 클럭 중 제2 클럭의 입력단과 상기 공통 노드 사이에 접속된 제3 저항부; 및
    상기 차동 입력부 중 제2 입력부와 상기 공통 노드 사이에 접속된 제4 저항부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130044313A 2013-04-22 2013-04-22 반도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반도체 시스템 KR102127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4313A KR102127988B1 (ko) 2013-04-22 2013-04-22 반도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반도체 시스템
US14/099,542 US9124268B2 (en) 2013-04-22 2013-12-06 Semiconductor device with clock-based signal input circuit
TW106136330A TWI651932B (zh) 2013-04-22 2013-12-10 具有基於時脈之信號輸入電路之半導體裝置
TW102145441A TWI608701B (zh) 2013-04-22 2013-12-10 具有基於時脈之信號輸入電路之半導體裝置
CN201410135998.6A CN104113322B (zh) 2013-04-22 2014-04-04 具有基于时钟的信号输入电路的半导体装置
US14/812,194 US9571067B2 (en) 2013-04-22 2015-07-29 Semiconductor device with clock-based signal input circu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4313A KR102127988B1 (ko) 2013-04-22 2013-04-22 반도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반도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142A KR20140126142A (ko) 2014-10-30
KR102127988B1 true KR102127988B1 (ko) 2020-06-30

Family

ID=51709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4313A KR102127988B1 (ko) 2013-04-22 2013-04-22 반도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반도체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9124268B2 (ko)
KR (1) KR102127988B1 (ko)
CN (1) CN104113322B (ko)
TW (2) TWI6519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78779B2 (en) 2014-07-11 2016-06-28 Stmicroelectronics International N.V.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detection of power up for a dual-rail circuit
KR20160058445A (ko) * 2014-11-17 2016-05-25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클럭 동기를 이용한 직렬화기 및 그를 이용한 고속 직렬화 장치
US10110208B2 (en) * 2015-11-25 2018-10-23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signal with a differential phase mixer
US11568889B2 (en) 2019-07-22 2023-01-31 Rkmag Corporation Magnetic processing uni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834B1 (ko) * 2004-03-22 2007-02-01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레벨변환회로
US20130051140A1 (en) * 2011-08-23 2013-02-28 Nicholas T. Hendrickson Clock circuit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67963A (en) * 1969-05-22 1971-03-02 Us Navy Field effect transistor logic gate
US3796893A (en) * 1972-08-28 1974-03-12 Motorola Inc Peripheral circuitry for dynamic mos rams
JPS51139247A (en) * 1975-05-28 1976-12-01 Hitachi Ltd Mos logic circuit
US4110639A (en) * 1976-12-09 1978-08-2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ddress buffer circuit for high speed semiconductor memory
JPS6012717B2 (ja) * 1976-09-10 1985-04-03 日本電気株式会社 絶縁ゲ−ト型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を用いた半導体回路
JP2000163961A (ja) * 1998-11-26 2000-06-16 Mitsubishi Electric Corp 同期型半導体集積回路装置
KR100645461B1 (ko) * 2004-06-30 2006-11-1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듀티 싸이클 교정이 가능한 디지털 지연 고정 루프 및그의 제어 방법
KR100736396B1 (ko) 2006-02-13 2007-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전력 소모를 위한 소 신호 수신기 및 이를 구비하는반도체 장치
KR100890041B1 (ko) * 2006-12-29 2009-03-2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클럭 버퍼 회로
KR20090003685A (ko) 2007-07-03 2009-01-1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1060769B1 (ko) 2008-12-12 2011-08-3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버퍼회로
KR101632711B1 (ko) * 2009-12-30 2016-06-22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1086877B1 (ko) * 2010-02-25 2011-11-2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장치
JP5436335B2 (ja) * 2010-05-25 2014-03-05 三菱電機株式会社 走査線駆動回路
KR101847543B1 (ko) * 2011-10-05 2018-05-24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03166602A (zh) * 2011-12-13 2013-06-19 飞思卡尔半导体公司 低功耗的主从触发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834B1 (ko) * 2004-03-22 2007-02-01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레벨변환회로
US20130051140A1 (en) * 2011-08-23 2013-02-28 Nicholas T. Hendrickson Clock circuit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442424A (zh) 2014-11-01
CN104113322A (zh) 2014-10-22
KR20140126142A (ko) 2014-10-30
CN104113322B (zh) 2019-05-07
US9124268B2 (en) 2015-09-01
US20150333741A1 (en) 2015-11-19
TWI608701B (zh) 2017-12-11
US9571067B2 (en) 2017-02-14
US20140312940A1 (en) 2014-10-23
TW201804731A (zh) 2018-02-01
TWI651932B (zh) 2019-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72665C (zh) 寄存器电路以及包括寄存器电路的同步集成电路
US7777522B2 (en) Clocked single power supply level shifter
US9331680B2 (en) Low power clock gated flip-flops
KR102127988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반도체 시스템
US201200258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oltage level shifting with concurrent synchronization
US8736340B2 (en) Differential clock signal generator
CN103782516A (zh) 多个环形振荡器的同步输出
US6573775B2 (en) Integrated circuit flip-flops that utilize master and slave latched sense amplifiers
WO2019074708A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ROVIDING MULTIPHASE CLOCK SIGNALS
US8520428B2 (en) Combined data level-shifter and DE-skewer
EP3228007B1 (en) An electronic latch, a method for an electronic latch, a frequency division by two and a 4-phase generator
KR20240045225A (ko) 비대칭 노화로 인한 듀티 사이클 왜곡의 완화
US20210248104A1 (en) Serial data interface with reduced loop delay
JP2008172779A (ja) 高速動作のためのフリップフロップ
KR100350766B1 (ko) 펄스 발생기
US9197197B2 (en) Duty cycle protection circuit
KR102643441B1 (ko) 반도체 장치의 클럭 생성 회로
US20120306556A1 (en) Double edge triggered flip flop
TWI583137B (zh) 同步器正反器
US9660615B2 (en) Flip-flop devices with clock sharing
US20080315933A1 (en) Pulse synthesis circuit
KR0164396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클럭에지 검출회로
KR20090104160A (ko) 반도체 소자의 입력회로
JP2009246629A (ja) 半導体集積回路
KR20120033885A (ko) 반도체 장치의 입력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